KR20180001227U - 불판 노출형 라면 자판기 - Google Patents

불판 노출형 라면 자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227U
KR20180001227U KR2020160006118U KR20160006118U KR20180001227U KR 20180001227 U KR20180001227 U KR 20180001227U KR 2020160006118 U KR2020160006118 U KR 2020160006118U KR 20160006118 U KR20160006118 U KR 20160006118U KR 20180001227 U KR20180001227 U KR 2018000122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ramen
keyboard body
vending machine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1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6796Y1 (ko
Inventor
이용태
Original Assignee
이용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태 filed Critical 이용태
Priority to KR20201600061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796Y1/ko
Publication of KR201800012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2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7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7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3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 G07F11/4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the articles being delivered by motor-driven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4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 G07F11/6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being rectilinearly movabl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판 노출형 라면 자판기는, 일정 금액 결제에 의해 라면이 끓여져 배출되는 라면 자판기로서, 라면이 넣어진 용기가 내부에 적재되며, 물과 스프가 넣어져 라면이 끓여진 용기가 배출되는 배출부가 있는 자판 본체; 및 자판 본체의 내부에서 외부로 용기를 배출하도록 배출부에 출몰 가능하게 마련되며, 용기를 가열하도록 구성되는 출몰 불판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기술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자판기 내부에서 라면이 끓여진 상태에서 외부의 사용자에게 노출되어 확인될 수 있으며, 기호에 따라 라면을 젓고 더 끓임으로써 익힘 정도를 선택할 수 있다.

Description

불판 노출형 라면 자판기{RAMEN AUTOMATIC VENDING MACHINE HAVING DISCLOSED HEATER PANEL}
본 고안은 불판 노출형 라면 자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 금액 결제에 의해 끓인 라면이 자동으로 판매되는 불판 노출형 라면 자판기에 관한 것이다.
라면 자판기는 라면을 끓여 자동으로 판매하는 자동 판매 장치로서, 라면과 스프를 은박과 같은 용기에 마련하고, 적정량의 물을 공급하여 끓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라면 자판기는 지폐나 동전 혹은 카드와 같은 결제수단에 의해 일정 금액이 지급된 후, 끓인 라면을 공급하도록 제작된 것으로서, 무인 운영되면서 끓인 라면을 자동 판매할 수 있다.
기존의 라면 자판기는 일정 금액이 자판기에 지급 결제된 후, 일정 시간 동안 은박 용기에서 끓인 라면이 제공되도록 구성되었다.
이처럼 라면은 은박과 같은 용기에 끓인 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되지만, 사용자는 각자 기호에 따라 라면의 익힘을 어느 정도 조절하기가 어려웠다. 즉 라면이 용기에 끓여진 상태로 제공된 후, 사용자는 꺼내 눈으로 확인할 수 있지만, 기호에 따라 라면의 익힘 정도를 더하기가 쉽지 않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자판기 내부에서 라면이 끓여진 상태에서 외부의 사용자에게 노출되어 확인될 수 있으며, 기호에 따라 라면을 젓고 더 끓임으로써 익힘을 정도를 선택할 수 있는 불판 노출형 라면 자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판 노출형 라면 자판기는, 일정 금액 결제에 의해 라면이 끓여져 배출되는 라면 자판기에 있어서, 라면이 넣어진 용기가 내부에 적재되며, 물과 스프가 넣어져 상기 라면이 끓여진 용기가 배출되는 배출부가 있는 자판 본체; 및 상기 자판 본체의 내부에서 외부로 용기를 배출하도록 배출부에 출몰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용기를 가열하도록 구성되는 출몰 불판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판 본체의 배출부에는, 상기 자판 본체에 하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탄력적으로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출 도어가 마련되며, 상기 출몰 불판 유닛은, 상기 용기가 위치하여 가열되는 불판부; 및 상기 불판부에 연결되어 상기 불판부를 상기 자판 본체의 내부에서 외부로 이동시키거나, 반대로 외부에서 내부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출몰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출몰 이동부의 단부에는 상기 배출 도어를 밀어 내는 개폐 롤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출몰 이동부는, 상기 자판 본체에 수평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불판부의 저면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레일모듈; 상기 레일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레일모듈을 신축시키는 볼스크류 모듈; 및 상기 볼스크류 모듈을 가동시키는 출몰 구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판 본체의 상부에는, 광고를 위한 디스플레이패널이 위치하며, 상기 배출부의 상부에는, 젓가락이 배출되는 젓가락 인출부가 위치하며, 상기 디스플레이패널과 상기 젓가락 인출부 사이에는, 상기 용기의 가열 시간과 상기 출몰 이동 유닛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용기의 라면을 한 번 더 가열하기 위한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세팅부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술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기존의 라면 자판기에 비해 불판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선된 기술로서, 자판기 내부에서 라면이 끓여진 상태로 외부의 사용자에게 노출되어 확인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기호에 따라 라면을 젓고 더 끓일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익힘 정도를 선택할 수 있는 데에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판 노출형 라면 자판기의 개략적인 입체도이다.
도 2a는 도 1의 라면 배출구로 끓여진 라면이 배출된 개략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라면을 젓는 상태도이다.
도 3은 도 2a의 라면 불판이 노출된 상태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3의 라면 불판에 대한 작동 구성의 측면 배치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들에 의해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실시예들에 차이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사항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고안의 기술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변경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다양한 측면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가리킬 수 있으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구체적인 형태는 설명 상의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된 것일 수 있으며, 실물이 원근감 있게 표현된 것일 수 있다.
도면의 방향과 위치는 XYZ 직교 좌표계를 상정하여 설명하며, 상하좌우는 XY좌표 평면계와 일치하며, 전후좌우는 YZ 좌표의 평면계와 일치하는 것으로 상정한다. 실시예들의 도면에서 하부 요소들이 설명되지 않은 각각의 유닛, 모듈, 부, 부재는 각기 부여된 기능을 갖기 위한 통상적인 하부 요소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정하며, 도면에 도시된 하부 요소들에 제한하진 않는다. 도시되었으나 통상적으로 설명이 생략된 구성 요소들은 실시예들에 포함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특별히 정의된 용어를 제외하고는 통상적인 한자, 국어 혹은 영어의 사전적인 의미 혹은 해당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와 부합하는 속성을 가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포함한다, 구성된다, 또는 구비한다"는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가질 수 있음을, "고정 및 구속된다"는 이동과 움직임이 제한됨을, "회전 및 힌지"는 대상 객체의 일부 혹은 전부가 회전하여 이동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판 노출형 라면 자판기의 개략적인 입체도이며, 도 2a는 도 1의 라면 배출구로 끓여진 라면이 배출된 개략도이며, 도 2b는 도 2a의 라면을 젓는 상태도이며, 도 3은 도 2a의 라면 불판이 노출된 상태에 대한 개략도이며, 도 4는 도 3의 라면 불판에 대한 작동 구성의 측면 배치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판 노출형 라면 자판기의 주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판 노출형 라면 자판기는, 일정 금액 결제에 의해 라면이 끓여져 배출되도록 내부 공간이 구성된 자판 본체(100)와, 자판 본체(100)에 출물 가능하게 구성된 출몰 불판 유닛(120)을 포함한다.
자판 본체(100)는 라면과 스프가 넣어진 용기 내부에 적재되도록 구성되며, 물이 주입되어 라면이 끓여진 용기가 배출되는 배출부(110)가 있다.
이러한 자판 본체(100)의 내부에는, 도시되진 않았으나 라면이 담기 용기들이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적재되는 적재부가 있으며, 용기들을 하나씩 떨어뜨려 출몰 불판 유닛(120) 상에 올리는 이송유닛이 배치된다. 자판 본체(100)의 내부에는 용기에 물을 주입하는 주입 펌프가 배치된다.
자판 본체(100)의 전면부에는 동전과 지폐를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 및 반환구가 배치되며, 끓여진 라면 용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01)가 형성된다. 라면은 출몰 불판 유닛 상에 올려져 1분 이내로 끓여진 후, 배출구(101)를 통해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이때 라면이 끓여진 용기는 출몰 불판 유닛(120)에 의해 배출구(101)를 통해 배출되는데, 라면을 가열할 수 있는 불판과 함께 외부로 배출된다. 불판은 전기 히터가 있는 구조이다.
출몰 불판 유닛(120)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레일 구조에 의해 불판이 이동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불판은 후술되는 불판부에 있는 것으로서, 배출구(101)를 통해 노출되도록 레일에 연결된다.
이러한 출몰 불판 유닛(120)은 자판 본체(100)의 내부에서 외부로 용기를 배출하도록 배출부(110)에 출몰 가능하게 마련된 것으로서, 라면 용기를 지지하기 위한 불판 하부에 가열을 위한 전기 히터가 있다.
한편 자판 본체(100)의 배출부(110)에는, 자판 본체(100)에 하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탄력적으로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출 도어(112)가 마련된다. 즉 배출 도어(112)는 개방에 따른 회전 방향과 반대로 탄성력이 작용하는 탄성 힌지축(115)에 연결되어 있다.
출몰 불판 유닛(120)은 용기가 위치하여 가열되는 불판부(125)와, 불판부(125)에 연결되어 불판부(125)를 자판 본체(100)의 내부에서 외부로 이동시키거나, 반대로 외부에서 내부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출몰 이동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출몰 이동부(130)의 단부에는 배출 도어(112)를 밀어 내는 개폐 롤러(131)가 마련될 수 있다. 개폐 롤러(131)는 배출 도어(112)에 부드럽게 접촉되어 배출 도어(112)를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구름 접촉 요소이다.
라면 용기는 출몰 불판 유닛(120)의 불판부(125) 상에 놓여 끓여진 상태에서 출몰 이동부(130)에 의해 배출구(10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사용자는 외부로 노출된 라면 용기의 라면 상태를 보고 직접 더 끓일지 아니면 그대로 취식할지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젓가락을 사용하여 라면 용기 상의 끓여진 라면을 휘저어 가열장치 위에서 직접 조리하는 것처럼 라면을 끓일 수 있다. 라면 용기는 출몰 이동부(130)에 의해 불판부(125)와 함께 자판 본체(100)의 내부로 이동되어 한 번 더 끓여져 사용자에게 다시 전달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판 노출형 라면 자판기는, 사용자가 직접 라면 용기에 있는 끓은 라면을 젓가락을 휘저어 조리 선택할 수 있도록 라면 용기가 불판과 함께 노출되고, 다시 라면을 끓일 수 있도록 불판이 자판 본체(100)의 내부로 이동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라면의 익힘 정도와 조리 정도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라면 용기가 놓여 가열되는 불판부(125)를 자판 본체(100)의 내부와 외부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는 출몰 이동부(130)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몰 이동부(130)는 레일 모듈(133), 볼스크류 모듈(135), 그리고 출몰 구동 모터(138)를 포함한다. 레일 모듈(133)은 자판 본체(100)에 수평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성되며, 불판부(125)의 저면부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레일 요소이다. 이러한 레일 모듈(133)은 2단으로 구성되거나 2단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레일 모듈(133)은 상호 슬라이드 연결된 레일부재들로 구성될 수 있다.
볼스크류 모듈(135)은 레일 모듈(133) 혹은 불판부(125)에 연결되어 레일 모듈(133)을 신축시킬 수 있는 구동 요소이다.
볼스크류 모듈(135)은 스크류 환봉과 이에 결합되어 이동되는 암 스크류 그리고 스크류 환봉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크류 베어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출몰 구동 모터(138)는 볼스크류 모듈을 가동시키는 구동 요소이다. 이러한 출몰 구동 모터(138)에는 볼스크류 모듈(135)을 구동시키기 위한 풀리와 벨트 혹은 기어 등이 연결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판 본체(100)의 상부에는, 광고를 위한 디스플레이패널(140)이 위치한다. 디스플레이패널(140)은 광고영상을 보여줄 수 있도록 구현된 것이다. 이러한 디스플레이패널(140)의 광고 영상은 영상 정보를 전송 가능한 통신 수단에 의해 입력될 수 있으며, 저장매체에 의해 저장된 상태로 제공되어 반복 실행될 수 있다.
배출부(110)의 상부에는, 젓가락이 배출되는 젓가락 인출부가 위치하며, 디스플레이패널과 젓가락 인출부 사이에는, 용기의 가열 시간과 출몰 이동 유닛(120)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는 용기의 라면을 한 번 더 가열하기 위한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세팅부(142)가 위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기초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100: 자판 본체 101: 배출구
110: 배출부 112: 배출 도어
115: 탄성 힌지축 120: 출몰 불판 유닛
125: 불판부 130: 출몰 이동부
131: 개폐 롤러 133: 레일 모듈
135: 볼스크류 모듈 138: 출몰 구동 모터
140: 디스플레이패널 142: 세팅부

Claims (4)

  1. 일정 금액 결제에 의해 라면이 끓여져 배출되는 라면 자판기에 있어서,
    라면이 넣어진 용기가 내부에 적재되며, 물과 스프가 넣어져 상기 라면이 끓여진 용기가 배출되는 배출부가 있는 자판 본체; 및
    상기 자판 본체의 내부에서 외부로 용기를 배출하도록 배출부에 출몰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용기를 가열하도록 구성되는 출몰 불판 유닛을 포함하는 불판 노출형 라면 자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판 본체의 배출부에는,
    상기 자판 본체에 하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탄력적으로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출 도어가 마련되며,
    상기 출몰 불판 유닛은,
    상기 용기가 위치하여 가열되는 불판부; 및
    상기 불판부에 연결되어 상기 불판부를 상기 자판 본체의 내부에서 외부로 이동시키거나, 반대로 외부에서 내부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출몰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출몰 이동부의 단부에는 상기 배출 도어를 밀어 내는 개폐 롤러가 마련되는 불판 노출형 라면 자판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몰 이동부는,
    상기 자판 본체에 수평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불판부의 저면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레일모듈;
    상기 레일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레일모듈을 신축시키는 볼스크류 모듈; 및
    상기 볼스크류 모듈을 가동시키는 출몰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불판 노출형 라면 자판기.
  4. 제1 항 내지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자판 본체의 상부에는, 광고를 위한 디스플레이패널이 위치하며,
    상기 배출부의 상부에는, 젓가락이 배출되는 젓가락 인출부가 위치하며,
    상기 디스플레이패널과 상기 젓가락 인출부 사이에는, 상기 용기의 가열 시간과 상기 출몰 이동 유닛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용기의 라면을 한 번 더 가열하기 위한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세팅부가 위치하는 불판 노출형 라면 자판기.
KR2020160006118U 2016-10-21 2016-10-21 불판 노출형 라면 자판기 KR2004867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118U KR200486796Y1 (ko) 2016-10-21 2016-10-21 불판 노출형 라면 자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118U KR200486796Y1 (ko) 2016-10-21 2016-10-21 불판 노출형 라면 자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227U true KR20180001227U (ko) 2018-05-03
KR200486796Y1 KR200486796Y1 (ko) 2018-07-02

Family

ID=62166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118U KR200486796Y1 (ko) 2016-10-21 2016-10-21 불판 노출형 라면 자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79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6729A (ko) 2020-02-21 2021-08-31 아주자동차대학 산학협력단 회전판을 구비한 자판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8063B1 (ko) * 1999-06-08 2001-12-22 남찬우 라면 자동 판매장치
KR20070039748A (ko) * 2005-10-10 2007-04-13 유을수 라면 자동판매기
KR20140047228A (ko) * 2012-10-10 2014-04-22 (주) 사운드웨이브 조리 라면 자판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8063B1 (ko) * 1999-06-08 2001-12-22 남찬우 라면 자동 판매장치
KR20070039748A (ko) * 2005-10-10 2007-04-13 유을수 라면 자동판매기
KR20140047228A (ko) * 2012-10-10 2014-04-22 (주) 사운드웨이브 조리 라면 자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6729A (ko) 2020-02-21 2021-08-31 아주자동차대학 산학협력단 회전판을 구비한 자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796Y1 (ko) 2018-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54789C (zh) 烹饪装置和烹饪方法
JP4799906B2 (ja) 複合加熱調理器
JP4111979B2 (ja) 加熱調理器
JP6846623B2 (ja) 加熱調理器
TW201223487A (en) Heating cooker
JP2023041796A (ja) 加熱調理器
KR200486796Y1 (ko) 불판 노출형 라면 자판기
KR102122842B1 (ko) 라면 자판기의 용기 적재 장치
KR20060098153A (ko) 자판식 즉석피자 자동제조 장치
KR102049058B1 (ko) 불판 노출형 라면 자판기
CN209090958U (zh) 一种多功能烤箱
CN204965597U (zh) 一种自动售餐机
CN202432562U (zh) 双开门式微波炉
KR20180001247A (ko) 스팀 조리기
CN115426926A (zh) 具有热空气烤箱的模块化烹饪器具
EA000556B1 (ru) Машина для раздачи горячих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в частности пицц
KR100966792B1 (ko) 즉석식품 자판기
TWI599335B (zh) 烹調機
CN115361872A (zh) 具有用户界面的模块化烹饪器具
CA3172736A1 (en) Modular cooking appliance having a grease shield
KR20190000238U (ko) 라면 자판기
KR102227118B1 (ko) 무인 자동화 조리장치
KR102639727B1 (ko) 대량의 음식물 조리장치
JP2013044506A (ja) 加熱調理器
GB2411342A (en) Automatic contact gri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