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035U - 휴대용 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035U
KR20180001035U KR2020160005765U KR20160005765U KR20180001035U KR 20180001035 U KR20180001035 U KR 20180001035U KR 2020160005765 U KR2020160005765 U KR 2020160005765U KR 20160005765 U KR20160005765 U KR 20160005765U KR 20180001035 U KR20180001035 U KR 2018000103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sealing portion
sheets
pair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57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2955Y1 (ko
Inventor
서중일
장욱
김기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20201600057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955Y1/ko
Publication of KR201800010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0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9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95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6Reinforcements for edges, corners, or other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7Receptacles for personal medical or care products, e.g. drugs, condoms or patches; Small first-aid kits

Landscapes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케이스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몸체부; 압착에 의해 상기 몸체부의 둘레에 마련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밀폐하는 씰링부; 및 상기 씰링부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상기 씰링부보다 상대적으로 강도가 낮게 압착된 가씰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케이스{potable case}
본 고안은 휴대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낙하 시 충격에 의해 둘레가 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현재 여행을 위해 치약이나 칫솔 등의 물품을 담아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스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케이스는, 내부에 보관되는 물건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면이나 메쉬망, 연질 시트 등 다양한 재료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특히 케이스가 여행용 치약이나 칫솔을 보관하기 위한 것일 경우, 방수 및 부드러운 질감 등을 위해, 딱딱하지 않고 부드러운 재질인 PVC 재질과 같은 연질 시트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PVC 재질은 투명도가 우수하고 가공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가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어 널리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여러 장점에도 불구하고, PVC 재질은 저온에서의 충격 강도인 내한충격성이 좋지 않아, 겨울철 영하의 온도에서 낙하 충격에 의해 쉽게 깨지는 등 파손이 발생하여 제품의 가치를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PVC 시트를 제조할 때 가소제 처방을 조정하거나, 충격보강제 등의 첨가제를 투입하는 방법이 사용되었지만, 이 경우 원가가 상승하고 투명도가 저하되며 인쇄품질 역시 저하된다는 문제가 야기되어, 제품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운 실정이다.
다른 방법으로 제품 내에 완충재를 삽입하기도 하나, 이 역시 조립공정이 추가됨에 따라 필연적으로 제품단가가 상승할 수밖에 없다. 또한 PVC 재질이 아닌 저온충격 안정성이 우수한 다른 재질로의 변경을 고려할 수 있지만, 투명성 저하와 단가 상승 등과 같이 해결해야 하는 과제들이 많아 이 또한 적용이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본 고안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제품의 투명성, 인쇄안전성 등의 품질을 확보하면서도 저온충격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고, 별도의 조립공정 추가나 구조물 삽입이 없어 제조단가의 상승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케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케이스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몸체부; 압착에 의해 상기 몸체부의 둘레에 마련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밀폐하는 씰링부; 및 상기 씰링부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상기 씰링부보다 상대적으로 강도가 낮게 압착된 가씰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개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씰링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을 제외한 상기 몸체부의 둘레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씰링부는, 직선 또는 점선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씰링부는, 상기 씰링부와 평행하게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부는, PVC, PE, PU 또는 EVA와 같은 연질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부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씰링부는, 상기 한 쌍의 시트가 압착됨에 따라 형성되되, 외측단 대비 내측단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케이스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시트로 이루어지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둘레에 마련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밀폐하는 씰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씰링부는, 상기 한 쌍의 시트가 압착됨에 따라 형성되되, 외측단 대비 내측단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크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씰링부는, 상기 한 쌍의 시트를 상하에서 가압하면서 열을 가하는 씰링바에 의해 열압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씰링부는, 상기 시트의 면과 경사지게 놓이는 상기 씰링바에 의해 열압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씰링부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상기 씰링부보다 상대적으로 강도가 낮게 압착된 가씰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케이스는, 재질의 변경이나 첨가제 투입 없이도 기존의 제조설비를 활용하여 내한충격성을 대폭 높일 수 있는바, 제조단가의 상승을 억제하면서도 동시에 소비자의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케이스의 정면도이다.
도 2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케이스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케이스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케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케이스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케이스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케이스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케이스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케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케이스(1)는, 몸체부(10), 씰링부(20), 개폐부(30), 가씰링부(40)를 포함한다.
몸체부(10)는, 한 쌍의 시트로 이루어지며, 한 쌍의 시트 사이인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몸체부(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품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약(2)이나 칫솔(3) 등일 수 있지만, 본 고안이 몸체부(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품을 상기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몸체부(10)를 이루는 시트는, PVC, PE, PU 또는 EVA 등과 같은 연질 시트일 수 있으며,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몸체부(10) 내에 수용된 제품이 외부에서 식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시트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시트는, 열압착에 의해 서로간에 접착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몸체부(10)의 둘레는, 열압착에 의해서 씰링되어 씰링부(20)를 이룰 수 있다.
씰링부(20)는, 압착에 의해 몸체부(10)의 둘레에 마련되어, 수용공간을 밀폐한다. 일례로 몸체부(10)가 직사각형의 형태를 가질 경우, 씰링부(20)는 상단을 제외한 좌우단과 하단에 마련될 수 있다.
씰링부(20)가 생략되는 몸체부(10)의 상단은 수용공간이 외부로 개방될 수 있는 개구를 형성하며, 개구에는 개폐부(30)가 마련되어 제품이 개구를 통해 외부로 반출될 수 있다.
씰링부(20)는, 두 겹의 시트가 겹쳐진 상태에서 열 및 압력이 가해져 시트가 서로 접착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시트를 사이에 두고 상측 씰링바(51)와 하측 씰링바(52)가 마련될 수 있으며, 씰링바(50)가 한 쌍의 시트를 가압하면서 열을 가하게 되면, 시트를 이루는 재질이 녹으면서 시트가 서로 접착될 수 있다. 도 4에서 빗금친 부분은 시트가 녹아 서로 붙은 부분을 의미한다.
즉 씰링부(20)는, 한 쌍의 시트를 상하에서 가압하면서 열을 가하는 씰링바(50)에 의해 열압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씰링바(50)는, 시트에 접촉하는 일면이 시트의 면과 평행하게 놓이는 씰링바(50)에 의해 열압착되어 형성된다.
씰링바(50)에서 시트에 접촉하는 일면이 시트의 면과 평행하게 놓이면, 씰링바(50)에 의해 시트에 가해지는 가압은 시트의 면과 수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씰링부(20)는, 수용공간에서 먼 외측단(21)으로부터 수용공간에 인접한 내측단(22)까지, 일정한 두께를 형성할 수 있다.
개폐부(30)는, 몸체부(10)의 일측에 마련되어 수용공간을 개폐한다. 몸체부(10)의 일측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씰링부(20)가 생략되어 개구가 마련될 수 있는데, 개폐부(30)는 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함으로써 수용공간의 개폐를 구현한다.
개폐부(30)는 지퍼 등으로 이루어져서 개폐를 수행할 수 있지만, 본 고안에서 개폐부(30)가 개폐를 구현하는 구조나 방법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개폐부(30)는 별도의 도구인 가위 등을 이용하거나 씰링 강도보다 높은 외력을 억지로 가해야만 개방될 수 있는 씰링부(20)와 달리, 개방을 편리하게 가능케 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개폐부(30)가 몸체부(10)의 일측에 마련되고, 씰링부(20)는 몸체부(10)의 일측을 제외한 몸체부(10)의 둘레에 마련될 수 있지만, 개폐부(30)와 씰링부(20)의 배치는 상기로 한정되지 않으며, 개폐부(30)와 씰링부(20)에 의해 수용공간이 둘러싸일 수 있다면, 어떠한 배치도 가능하다. 일례로 개폐부(30)는 몸체부(10)의 일측과 타측에 마련될 수 있고, 몸체부(10)의 나머지 둘레에 씰링부(20)가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씰링부(40)는, 씰링부(20)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씰링부(20)보다 상대적으로 강도가 낮게 압착되어 형성된다. 본 고안에서 몸체부(10)가 PVC 등의 연질 시트에 의해 이루어지고, 씰링부(20)가 몸체부(10)의 둘레를 열압착하여 형성될 수 있는데, 본 고안이 낙하하여 바닥에 부딪히면, 수용공간 내에 들어있던 제품이 관성에 의해 떨어져 씰링면을 타격하게 된다.
그런데 PVC 등은 내한충격성이 좋지 않아 겨울철 영하의 온도에서 쉽게 깨질 우려가 있기 때문에, 제품에 의한 가격으로 인해 씰링면이 내측단(22)으로부터 깨지거나 찢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씰링부(20)와 제품 사이에 가씰링부(40)를 형성할 수 있다. 가씰링부(40)는 씰링부(20)와 달리 완전히 씰링되어 있지 않고 약하게 붙어있는 부분을 의미하며, 약한 충격에도 쉽게 분리되는 부분일 수 있다. 일례로 가씰링부(40)의 씰링강도는 2kgf 이하일 수 있다.
가씰링부(40)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직선 형태이거나,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점선 형태일 수 있다. 또한 가씰링부(40)는, 씰링부(20)의 내측에서 제품을 두르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일례로 씰링부(20)와 평행하게 마련되어 씰링부(20)를 제품에 의한 타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가씰링부(4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평행한 둘 이상의 선의 형태를 가질 수 있지만, 본 고안에서 가씰링부(40)의 형태가 상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가씰링부(40)는, 빗금 모양을 이루는 복수 개의 사선 형태이거나, 지그재그 형태 등일 수 있다.
다만 가씰링부(40)는, 몸체부(10)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제품과 씰링부(20) 사이에서 씰링부(20)에 인접한 위치에 마련됨에 따라, 제품이 수용공간 내에서 흔들릴 때 제품의 날카로운 부분에 의해 씰링부(20)가 찢어지지 않고 가씰링부(40)가 찢어지도록 하여, 씰링부(20)를 보호할 수 있다.
가씰링부(40) 역시 씰링부(2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씰링바(50)의 압착 및 가열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는데, 다만 가씰링부(40)는 씰링부(20)의 형성 시 가해지는 압력 또는 온도보다 낮은 조건에서 형성됨에 따라, 씰링부(20)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씰링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저온충격안정성의 보완을 위해 가씰링부(40)를 두어, 온도가 낮은 환경에서 휴대용 케이스(1)가 낙하했을 때 수용공간 내의 제품이 떨어지면서 씰링부(20)를 타격해 씰링부(20)가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케이스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케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케이스(1)는, 몸체부(10), 씰링부(2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설명을 생략하는 부분은 앞선 실시예에서의 내용으로 갈음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씰링부(20)는, 한 쌍의 시트가 압착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외측단(21) 대비 내측단(22)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씰링부(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측 씰링바(51)와 하측 씰링바(52)가 한 쌍의 시트를 누르면서 가열함에 따라 열압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런데 앞선 실시예의 경우, 씰링바(50)에서 시트에 접촉하는 일면이 시트의 면과 평행하게 놓임에 따라, 씰링부(20)는 내측단(22)에서 외측단(21)까지 두께가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씰링부(20)의 내측단(22)에서 몸체부(10)로 이어지는 부분이, 수용공간에 제품이 수용되면서 수용공간이 팽창됨에 따라 수직에 가까운 비교적 날카로운 각도를 형성하게 된다. 이 경우 씰링부(20)의 내측단(22)과 몸체부(10)가 연결되는 경계 부분에 낙하충격이 가해지면, 경계 부분이 찢어지거나 터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 시트와 접촉하는 일면이 시트의 면과 경사지게 놓이는 씰링바(50)에 의해 씰링부(20)가 열압착되어 형성되도록 하여, 씰링부(20)의 단면이 외측단(21)에서 내측단(22)으로 갈수록 두께가 커지는, 눕혀진 사다리꼴 형태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6에서 빗금으로 나타낸 시트가 녹아 붙은 부분은, 외측단(21)에서 내측단(22)으로 갈수록 두께가 커질 수 있고, 외측단(21)에서 내측단(22)으로 갈수록 밀도 및 강도가 작아질 수 있다.
이때 씰링부(20)의 내측단(22)과 몸체부(10) 사이의 경계 부분은, 앞선 실시예와 대비할 때 상대적으로 완만한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낙하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씰링부(20)와 몸체부(10) 사이의 경계 부분이 찢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저온 환경인 겨울철에 휴대용 케이스(1)가 낙하하였을 때, 충격이 가해지면서 씰링부(20)와 몸체부(10) 사이의 경계 부분에 응력이 집중되어 경계 부분의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겨울철 영하의 온도에서 낙하충격이 가해졌을 때, 씰링부(20)와 몸체부(10)가 연결되는 부분에 충격이 집중되면서 파손이나 찢어짐이 생기는 것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실시예들의 조합 또는 상기 실시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공지 기술의 조합을 또 다른 실시예로서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휴대용 케이스 2: 치약
3: 칫솔 10: 몸체부
20: 씰링부 21: 외측단
22: 내측단 30: 개폐부
40: 가씰링부 50: 씰링바
51: 상측 씰링바 52: 하측 씰링바

Claims (10)

  1.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몸체부;
    압착에 의해 상기 몸체부의 둘레에 마련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밀폐하는 씰링부; 및
    상기 씰링부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상기 씰링부보다 상대적으로 강도가 낮게 압착된 가씰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개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씰링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을 제외한 상기 몸체부의 둘레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케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씰링부는,
    직선 또는 점선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케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씰링부는,
    상기 씰링부와 평행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케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PVC, PE, PU 또는 EVA와 같은 연질 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케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씰링부는, 상기 한 쌍의 시트가 압착됨에 따라 형성되되, 외측단 대비 내측단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크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케이스.
  7.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시트로 이루어지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둘레에 마련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밀폐하는 씰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씰링부는,
    상기 한 쌍의 시트가 압착됨에 따라 형성되되, 외측단 대비 내측단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크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케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는,
    상기 한 쌍의 시트를 상하에서 가압하면서 열을 가하는 씰링바에 의해 열압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케이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는,
    상기 시트의 면과 경사지게 놓이는 상기 씰링바에 의해 열압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케이스.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상기 씰링부보다 상대적으로 강도가 낮게 압착된 가씰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케이스.
KR2020160005765U 2016-10-06 2016-10-06 휴대용 케이스 KR2004929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765U KR200492955Y1 (ko) 2016-10-06 2016-10-06 휴대용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765U KR200492955Y1 (ko) 2016-10-06 2016-10-06 휴대용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035U true KR20180001035U (ko) 2018-04-16
KR200492955Y1 KR200492955Y1 (ko) 2021-01-08

Family

ID=62079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5765U KR200492955Y1 (ko) 2016-10-06 2016-10-06 휴대용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955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8770A (ja) * 2003-05-16 2004-12-02 Dainippon Printing Co Ltd ジッパー付袋、そ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5878287B2 (ja) * 2010-05-07 2016-03-08 共同印刷株式会社 包装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8770A (ja) * 2003-05-16 2004-12-02 Dainippon Printing Co Ltd ジッパー付袋、そ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5878287B2 (ja) * 2010-05-07 2016-03-08 共同印刷株式会社 包装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955Y1 (ko) 2021-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30123B1 (en) Cushioning package
US20080193055A1 (en) Inflatable bag for bottles packaging
CN105253467B (zh) 具有斜置缓冲部的充气包装装置
US8011511B2 (en) Packing material and method
CN104843332B (zh) 一种自闭式缓冲包装袋
CN107310814A (zh) 快递箱
RU2017112999A (ru) Гибкая упаковочная емкость
CN103224067B (zh) 包装袋热封装置
KR20180001035U (ko) 휴대용 케이스
WO2017014267A1 (ja) シール装置、ブリスタ包装機及びブリスタパックの製造方法
CN204568395U (zh) 一种防撞包装袋
WO2017104340A1 (ja) 包装体
CN113086391B (zh) 一种抗揉搓气柱袋、气柱膜及气柱袋加工工艺
CN205738773U (zh) 内嵌式充气包装装置
CN208666000U (zh) 缓冲保护用包装结构
US9635965B2 (en) Fitment with spoon
JP5548884B2 (ja) タックラベル付きのパウチ包装体
CN217416754U (zh) 一种包装袋的缓冲结构
KR200392796Y1 (ko) 기체 포장자루 및 그 밸브
CN212765161U (zh) 一种承重包装膜
CN212830130U (zh) 一种固体膏的包装袋
CN100439217C (zh) 包装体和用其保持物品的结构
JP6492592B2 (ja) 電子レンジ用包装袋
JP3135795U (ja) 米袋のエアー抜け装置
CN221050465U (zh) 一种水果包装用防震充气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