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445A - 탱크컨테이너의 효율적 악취제거 시스템 - Google Patents

탱크컨테이너의 효율적 악취제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445A
KR20180000445A KR1020160078419A KR20160078419A KR20180000445A KR 20180000445 A KR20180000445 A KR 20180000445A KR 1020160078419 A KR1020160078419 A KR 1020160078419A KR 20160078419 A KR20160078419 A KR 20160078419A KR 20180000445 A KR20180000445 A KR 20180000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deodorization
deodorizing
odor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8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8600B1 (ko
Inventor
정귀영
김환영
어해우
Original Assignee
(주)아이에스오탱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에스오탱크 filed Critical (주)아이에스오탱크
Priority to KR1020160078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8600B1/ko
Publication of KR20180000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8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8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0Controlling by gas-analysis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48Sulfur compounds
    • B01D53/50Sulfur oxides
    • B01D53/501Sulfur oxides by treating the gases with a solution or a suspension of an alkali or earth-alkali or ammonium compound
    • B01D53/502Sulfur oxides by treating the gases with a solution or a suspension of an alkali or earth-alkali or ammonium compound characterised by a specific solution or susp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54Nitrogen compounds
    • B01D53/58Ammon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9Injecting rea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30Sulfu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40Nitrogen compounds
    • B01D2257/406Ammonia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탱크컨테이너의 악취제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탱크컨테이너 내부의 가스에 포함된 악취를 외부로 배출시켜 악취를 정화할 수 있는 탱크컨테이너의 악취 제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탱크컨테이너의 효율적인 악취제거 시스템에 따르면 탱크컨테이너의 악취 농도에 따라 탈취탱크를 효율적으로 분배하여 빠른 탈취작업이 가능하도록 한다.

Description

탱크컨테이너의 효율적 악취제거 시스템{an efficient System for removing a odor in the tank container}
본 발명은 탱크컨테이너의 악취제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탱크컨테이너 내부의 가스에 포함된 악취를 외부로 배출시켜 악취를 정화할 수 있는 탱크컨테이너의 악취 제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탱크컨테이너(tank container)는 유체상태의 화학제품이나 식품 등의 화물이 저장되어 컨테이너 선박에 선적 및 하역이 용이하도록 제작된 용기이다.
이러한 탱크컨테이너는 내부를 세척하기 전에 내부에 잔존하는 가스에 포함된 악취를 배출시켜야 한다. 이와 같은 악취는 환경파괴의 요인이 되며 인체에 매우 유해하여 배출이 엄격히 규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탱크컨테이너의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 2011-092820호(2011. 05. 12. 공개)가 있으나 상기 특허는 단일 악취정화물질만 공급가능하다는 점과 한번에 하나의 탈취만 수행 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탱크컨테이너 내부의 가스에 포함된 악취를 단계별로 제거할 수도 있고, 고농도의 악취가스를 한꺼번에 탈취할 수도 있도록 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효율적인 탱크 컨테이너 전용 악취제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탱크컨테이너 내부의 유체에 포함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탱크컨테이너와 분배관로를 통해 연결되며, 순차적으로 나열된 다수개의 탈취탱크와, 상기 분배관로에 설치되는 분배밸브와 상기 각 탈취탱크와 토출관로를 통해 연결되는 정화탱크와, 상기 각 탈취탱크와 상기 정화탱크 사이에 설치되는 악취감지센서와, 상기 각 토출관로에 연결구성되며, 이웃한 탈취탱크를 연결하는 연결관로와, 상기 각 토출관로에서 연결관로가 형성된 지점에 설치되는 투웨이밸브와, 상기 각 악취감지센서에서 수집한 정보에 따라 상기 각 분배밸브와 투웨이밸브를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각 탈취탱크에 대응하는 악취 정화물질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소와, 일측은 상기 저장소와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해당 탈취탱크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탈취탱크 내부로 상기 악취 정화물질을 분사가능하게 하는 분사관로와, 청수를 저장하고 있는 청수 저장소와, 일측은 상기 청수 저장소와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정화탱크에 연결되어 상기 정화탱크 내부로 상기 청수를 분사가능하게 하는 청수 분사관로 및 상기 정화탱크에 설치되는 배출관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배관로는, 상기 탈취탱크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토출관로는, 상기 탈취탱크 상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탱크컨테이너에는, 상기 분배관로와 커넥터로써 연결된 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탱크컨테이너 내부의 가스에 포함된 악취를 단계별로 제거하여 탱크컨테이너 전용 악취 제거의 표준을 제시할 수 있다.
사용자의 선택 혹은 악취감지센서에서 수집한 농도 정보에 따라 상기 탱크컨테이너 내부의 가스에 포함된 악취를 상기 각 탈취탱크에 적절히 분배하여 탈취함으로써 악취 제거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탱크컨테이너를 세척하는 작업장 환경 보존을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탱크 컨테이너의 효율적인 악취 제거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탱크 컨테이너의 효율적인 악취 제거 시스템의 구동에 따라 악취가스가 단계적으로 탈취되는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탱크 컨테이너의 효율적인 악취 제거 시스템의 구동에 따라 악취가스가 두 영역으로 나뉘어 단계적으로 탈취되는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탱크 컨테이너의 효율적인 악취 제거 시스템의 구동에 따라 악취가스가 각각의 탈취탱크에 분배되어 탈취되는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탱크 컨테이너의 각부 구성에 대한 설명과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을 참조하여 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탱크 컨테이너의 효율적인 악취 제거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거시적으로 악취가스 공급부(10), 탈취부(30), 정화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악취가스 공급부(10) 탱크컨테이너(100) 내에 존재하는 악취를 포함한 가스 및 액체 등의 유체를 상기 탈취부(30)로 공급하는 부위이다.
상기 탱크컨테이너(100)에는 커넥터(140)가 설치되는데 상기 커넥터(140)는 상기 탱크컨테이너(100) 내부의 악취 가스 및 유체를 배출시키게 되는 밸브(120)와 연결되어 탱크컨테이너(100) 내부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기 커넥터(140)는 기본적으로 상기 밸브(120)와 체결되어 유체가 유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140) 단부에는 악취감지센서(360)가 구비되어 상기 탱크컨테이너(100)로부터 배출되는 악취 가스 및 유체의 악취농도를 측정한다.
측정된 악취농도는 후술할 컨트롤러(700)로 송신된다.
이어, 상기 커넥터(140)의 일측으로는 분배관로(160)가 연결된다.
상기 분배관로(160)는 후술할 탈취탱크(300)의 하부에 연결되는데, 상기 탈취탱크(300)는 다수개 일 수 있어 상기 탈취탱크(300)의 개수에 따라 상기 분배관로(160)도 여러 갈래로 나뉘어진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탱크컨테이너(300)로 통하는 분배관로에(160)는 상기 악취 가스 및 유체의 공급 및 차단을 수행하는 분배밸브(162)가 설치된다.
다음, 상기 탈취부(30)는 상기 악취가스 공급부(10)에서 악취 가스 및 유체를 공급받아 중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부위로써, 상기 탈취부(30)의 가장 핵심적 구성은 상기 탈취탱크(300)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탈취탱크(300)는 다수개 일 수 있는데 도 1에서는 상기 탈취탱크(300)의 개수가 4개인 경우로 도시하였다.
덧붙여, 상기 탈취탱크(300)는 순차적으로 나열된 형태를 띤다.
상기 각 탈취탱크(300)는 각각에 해당하는 저장소(320)가 있는데 상기 저장소(320) 내에는 각 탈취탱크(300)에서 필요한 악취 정화물질이 저장되어있다.
덧붙여, 상기 저장소에 저장된 악취 정화물질은, 악취가 암모니아 계열의 악취일 경우에는 수용성의 아민, 수용성의 구연산, 수용성의 파인솔과 같은 방향제로 이루어 질 수 있고, 황화합물 계열의 악취일 경우는 수용성의 수산화나트륨 및 수산화 칼륨 등의 알칼리, 소용성의 가성소다, 수용성의 파인솔 등과 같은 방향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소(320)와 상기 탈취탱크(300)는 분사관로(322)로써 연결된다.
상기 분사관로(322)의 일단은 상기 저장소(320)에, 그리고 타단은 상기 분사관로(322) 상부를 통하며 상기 탈취탱크(300) 내부에 인입 설치되며 상기 저장소(320)에 저장된 악취 정화물질을 분사 가능 하도록하는 구조를 가진다.
한편, 상기 탈취탱크(300) 상부에는 또한, 토출관로(340)가 설치된다.
상기 토출관로(340)는 일측은 각각의 탈취탱크(300)에 연결되지만 타측은 하나로 모아져 후술할 정화탱크(500) 하부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토출관로(340)에서 탈취탱크(300) 근방에는 악취감지센서(36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악취감지센서(360)를 통하여 각 탈취탱크(300)를 통과한 악취 가스 혹은 액체의 탈취 정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악취감지센서(390)가 수집한 정보는 컨트롤러(700)로 수신된다.
상기 분배관로(160)의 상기 각 탈취탱크(300)에 대응하게 설치되는 부위와, 상기 토출관로(340)의 상기 각 탈취탱크(300)에 대응하게 설치되는 부위는 연결관로(382)를 통하여 연결되어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관로(340)의 상기 연결관로(382)가 연결되는 부위에는 투웨이밸브(380)가 설치된다.
상기 투웨이밸브(380)를 통하여 상기 탈취탱크(300)를 통과한 악취 가스 혹은 액체가 기존의 경로대로 상기 토출관로(340)를 따라 상기 정화탱크(500)로 공급될 수도 있고, 상기 탈취탱크(300)와 상기 연결관로(382)를 통하여 연결된 타 탈취탱크(300)로 공급될 수도 있다.
다음, 상기 정화부(50)는 상기 탈취부(30)로부터 탈취된 악취가스 및 유체의 최종적인 정화를 수행하는 영역으로써 가장 핵심적인 부위는 상기 정화탱크(500)이다.
상기 탈취탱크(300)와 마찬가지로 상기 정화탱크(500)도 청수를 저장하고 있는 청수 저장소(520)가 있고, 일단은 상기 청수 저장소(520)와, 타단은 상기 정화탱크(500) 상부를 통과하여 상기 정화탱크(500) 내부로 인입 설치되는 청수 분사관로(522)가 구비되어있다.
그리고 상기 정화탱크(500) 상부에는 본 발명에 따른 탱크컨테이너의 효율적 악취제거 시스템의 모든 탈취 및 정화과정을 마친 악취가스 및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관로(540)가 설치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탱크컨테이너의 효율적 악취제거 시스템에는 상기 악취감지센서(360)에서 수신하는 정보에 따라 상기 각분배밸브(162)와 상기 투웨이밸브(380)를 제어하는 컨트롤러(700)가 포함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탱크 컨테이너의 각부 구성에 대한 설명을 토대로 본 발명의 사용태양에 대하여 알아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탱크 컨테이너의 효율적인 악취 제거 시스템의 구동에 따라 악취가스가 단계적으로 탈취되는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상기 탈취탱크(300) 중 악취 가스 및 유체를 공급받을 수 있는 경로가 오직 상기 탱크컨테이너(100)로부터만 공급받을 수 있는 탈취탱크(300)를 제1 탈취탱크, 상기 제1탈취탱크로부터 악취 가스 및 유체를 공급받을 수 있는 탈취탱크(300)를 제2 탈취탱크, 상기 제2탈취탱크로부터 악취 가스 및 유체를 공급받을 수 있는 탈취탱크(300)를 제3 탈취탱크, 그리고 마지막으로 상기 정화탱크(500)로만 악취 가스 및 유체를 공급할 수 있으며 상기 제3탈취탱크로부터 악취 가스 및 유체를 공급받을 수 있는 탈취탱크(300)를 제4 탈취탱크라고 명명하도록 한다.
하지만, 여기서 상기 탈취탱크(300)의 개수는 설명을 위하여 예시적인 것이므로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먼저, 상기 탱크컨테이너(100)에 설치된 밸브(120)가 개구되면 상기 탱크컨테이너 내부의 악취 가스 및 유체는 상기 커넥터(140)를 통해 분배관로(160)를 타고 상기 분배밸브(160)를 지나 상기 탈취탱크(300)에 공급된다.
이때, 상기 커넥터(140) 일측에는 악취감지센서(360)가 설치되어있어 상기 탱크컨테이너(100)에서 공급되는 악취 가스 및 유체의 농도를 측정한다.
상기 악취감지센서(360)에서 수집된 정보는 상기 컨트롤러로 수신되고, 상기 정보를 제공받은 컨트롤러는 그 농도에 따라 상기 분배관로(160)에 설치된 분배밸브(162)와 상기 투웨이밸브(380)를 제어한다.
도 1은 상기 탱크컨테이너(100) 내부의 악취 가스 및 유체의 농도가 높은 경우에 해당하는 것으로써 여러번의 탈취공정을 거칠 필요가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고농도의 악취 가스 및 유체가 상기 탱크컨테이너(100)로부터 공급되는 경우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분배밸브(160) 중 상기 제1탈취탱크에 연결된 분배밸브(160)만 개방시킨다.
이에 따라, 악취가스 및 유체는 상기 제1탈취탱크 내부로 유입된다.
다음, 상기 제1탈취탱크 내부로는 상기 분사관로(322)를 통해 상기 저장소(320) 내부에 저장되어있는 제1 악취 정화물질을 분사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악취 정화물질은 일정량의 청수와 제1 탈취제가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악취 정화물질과 악취 가스 및 유체가 혼합되면서 악취 가스 및 유체는 화학반응에 의해 중화 및 제1차 탈취가 이루어진다.
제1차 탈취를 마친 악취 가스 및 유체는 상기 제1탈취탱크에 연결구성된 토출관로(340)를 따라 이동하다가 상기 투웨이밸브(380)를 통해 상기 연결관로(382)를 따라 이동된다.
여기서, 도 1은 고농도의 악취 가스 및 유체를 탈취하기 위한 과정으로 여러번의 탈취과정을 거치기 위한 것이므로 상기 투웨이밸브(380)가 상기 컨트롤러(700)에 의해 상기 연결관로(382) 측으로 악취 가스 및 유체를 안내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탈취탱크를 빠져나온 악취 가스 및 유체의 농도정보는 그 일측에 설치된 악취감지센서(360)에 의해 컨트롤러(700)에 수신되는데 만약 상기 악취감지센서(360)에서 수집된 농도 정보가 일정수치 이하인 경우로 더 많은 탈취작업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는 상기 컨트롤러(700)를 통해 상기 투웨이밸브(380)를 상기 토출관로(340)를 따라 계속해서 흐르도록 하여 상기 정화탱크(500)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어, 상기 연결관로(382)를 통과한 악취 가스 및 유체는 상기 연결관로(382)와 연결된 분배관로(160)를 통해 상기 제2 탈취탱크로 유입된다.
상기 제2탈취탱크로 유입된 악취 가스 및 유체는 상기 제1탈취탱크에서 일어난 과정과 같이 상부에 설치된 분사관로(322)를 통해 상기 저장소(320) 내부에 저장된 제2 악취 정화물질을 분사해 유입된 악취 가스 및 유체의 제2차 탈취가 이루어지며 탈취된 악취 가스 및 유체는 다시 그 상부에 설치된 토출관로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투웨이밸브(380)를 거쳐 다시 상기 제3탈취탱크로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반복한다.
상기 제3탈취탱크를 지나 상기 제4탈취탱크로 유입된 악취 가스 및 유체는 상티 타 탈취탱크(300)와 마찬가지로 상부에 설치된 분사관로(322)를 통해 상기 저장소(320) 내부에 저장된 제4 악취 정화물질을 분사해 제4차 탈취가 이루어진다.
다음, 상기 제4탈취탱크 상부에 연결된 토출관로(340)를 통해 탈취를 온전히 마친 악취 가스 및 유체는 상기 정화탱크(500)로 유입된다.
상기 정화탱크(500) 상부에는 청수 분사관로(522)가 설치되며 그 단부에 연결된 청수 저장소(520)을 통해 청수를 공급받아 상기 정화탱크(500) 내부로 청수를 분사한다.
청수를 통해 정화를 마친 악취 가스 및 유체는 상기 배출관로(5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다음,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탱크 컨테이너의 효율적인 악취 제거 시스템의 구동에 따라 악취가스가 두 영역으로 나뉘어 단계적으로 탈취되는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탱크컨테이너 커넥터(140) 단부에 설치된 악취감지센서(360)를 통해 악취의 농도 정보는 상기 컨트롤러(700)로 전송되고, 농도의 값에 따라 상기 분배밸브(162)를 조절한다.
도 3에 도시된 경우는 상기 탱크컨테이너(100) 내부의 악취 가스 및 유체가 단 두 번의 탈취 과정만으로도 탈취가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는 정도의 농도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므로 상기 탱크컨테이너(100) 내부의 악취 가스 및 유체는 상기 제1탈취탱크와 상기 제3탈취탱크 내부로만 상기 분배밸브(162)를 통해 유입된다.
이때 상기 제2탈취탱크와 상기 제4탈취탱크로 통하는 분배밸브(162)는 닫혀있어 상기 악취 가스 및 유체가 상기 제2탈취탱크 및 상기 제4탈취탱크 내부로 유입되지 못한다.
상기 제1탈취탱크와 상기 제3탈취탱크 내부로 각각 유입된 악취 가스 및 유체는 그 상부에 각각 연결된 상기 분사관로(322)와 그 단부에 각각 연결된 상기 저장소(320)를 통해 악취 정화물질을 공급받아 상기 제1탈취탱크 및 상기 제3탈취탱크 내부로 분사한다.
상기 악취 정화물질을 통해 제1차 탈취가 완료된 악취 가스 및 유체는 상기 제1탈취탱크와 상기 제3탈취탱크에 각각 연결된 상기 토출관로(340)를 따라 이동하다가 상기 각각의 탈취탱크(300)와 연결된 토출관로(340)에 설치되는 상기 투웨이밸브(380)를 통해 그 일측에 연결된 연결관로(382)로 안내된다.
상기 연결관로(382)로 안내된 악취 가스 및 유체는 상기 연결관로(382)와 연결된 분배관로(160)를 통해 상기 제2탈취탱크와 상기 제4탈취탱크로 각각 유입된다.
상기 제1탈취탱크와 상기 제3탈취탱크에서 일어난 과정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2탈취탱크와 상기 제4탈취탱크에서는 상부에 각각 연결 설치된 상기 분사관로(322)를 통해 분사되는 악취 정화물질을 공급받아 탈취되고, 탈취를 마친 악취 가스 및 유체는 상기 제2탈취탱크와 상기 제4탈취탱크 상부에 각각 연결된 상기 토출관로(340)를 따라 이동한다.
제2차 탈취가 완료되어 악취 농도가 떨어진 악취 가스 및 유체는 이동중 상기 투웨이밸브(380)를 지나게 되는데, 상기 악취 가스 및 유체는 더 이상의 탈취작업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투웨이밸브(380)는 상기 악취 가스 및 유체가 계속해서 상기 토출관로(340)를 따라 상기 정화탱크(500)로 안내하게 된다.
상기 정화탱크(500)로 유입된 악취가스는 도 2의 설명에서와 동일한 과정을 거쳐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다음,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탱크 컨테이너의 효율적인 악취 제거 시스템의 구동에 따라 악취가스가 각각의 탈취탱크에 분배되어 탈취되는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경우는 상기 탱크컨테이너(100) 내부의 악취 가스 및 유체의 농도가 한번의 탈취과정만으로도 충분히 탈취 가능한 경우를 나타낸다.
그 탈취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탱크컨테이너(100)로부터 배출되는 악취 가스 및 유체의 농도 정보를 상기 커넥터(140) 단부에 설치된 악취감지센서(360)를 통해 수집한다. 수집된 정보는 상기 컨트롤러(700)로 송신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한번의 탈취과정만으로도 충분한 탈취가 완료될 것이라 판단되면 상기 각 분배밸브(162)를 모두 개구시켜 상기 각각의 탈취탱크(300) 내부로 상기 악취 가스 및 유체가 유입되도록 한다.
각 탈취탱크(300) 내부로 유입된 악취 가스 및 유체는 상기 각각의 탈취탱크(300) 상부에 연결된 각각의 분사관로(322)를 통해 상기 각 저장소(320)에 저장된 악취 정화물질 분사 및 공급받는다.
상기 악취 정화물질을 통하여 탈취된 상기 악취 가스 및 유체는 각각의 상기 탈취탱크(300) 상부에 연결된 토출관로를 통해 상기 정화탱크(500)로 일괄 유입된다.
여기서 도 4의 경우는 모두 단일 탈취과정만 가지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므로 이에 따라 상기 투웨이밸브(380)도 모두 상기 연결관로(382)측으로는 폐구되고 상기 정화탱크(500) 측으로만 상기 악취 가스 및 유체가 흐르도록 상기 컨트롤러를 통해 제어되고있다.
상기 정화탱크(500)에서는 도 2 및 도 3에서 서술한 내용과 같은 과정을 통해 탈취 및 정화가 완료된 악취 가스 및 유체가 외부로 배출된다.
끝으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악취가스 공급부
30: 탈취부
50: 정화부
100: 탱크컨테이너
120: 밸브
140: 커넥터
160: 분배관로
162: 분배밸브
300: 탈취탱크
320: 저장소
322: 분사관로
340: 토출관로
360: 악취감지센서
380: 투웨이밸브
382: 연결관로
500: 정화탱크
520: 청수 저장소
522: 청수 분사관로
540: 배출관로
700: 컨트롤러

Claims (3)

  1. 탱크컨테이너 내부의 유체에 포함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탱크컨테이너와 분배관로를 통해 연결되며, 순차적으로 나열된 다수개의 탈취탱크;
    상기 분배관로에 설치되는 분배밸브;
    상기 각 탈취탱크와 토출관로를 통해 연결되는 정화탱크;
    상기 각 탈취탱크와 상기 정화탱크 사이에 설치되는 악취감지센서;
    상기 각 토출관로에 연결구성되며, 이웃한 탈취탱크를 연결하는 연결관로;
    상기 각 토출관로에서 연결관로가 형성된 지점에 설치되는 투웨이밸브;
    상기 각 악취감지센서에서 수집한 정보에 따라 상기 각 분배밸브와 투웨이밸브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상기 각 탈취탱크에 대응하는 악취 정화물질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소;
    일측은 상기 저장소와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해당 탈취탱크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탈취탱크 내부로 상기 악취 정화물질을 분사가능하게 하는 분사관로;
    청수를 저장하고 있는 청수 저장소;
    일측은 상기 청수 저장소와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정화탱크에 연결되어 상기 정화탱크 내부로 상기 청수를 분사가능하게 하는 청수 분사관로; 및
    상기 정화탱크에 설치되는 배출관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컨테이너의 효율적인 악취 제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관로는, 상기 탈취탱크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토출관로는, 상기 탈취탱크 상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컨테이너의 효율적인 악취 제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컨테이너에는,
    상기 분배관로와 커넥터로써 연결된 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컨테이너의 효율적인 악취 제거 시스템.
KR1020160078419A 2016-06-23 2016-06-23 탱크컨테이너의 효율적 악취제거 시스템 KR101948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419A KR101948600B1 (ko) 2016-06-23 2016-06-23 탱크컨테이너의 효율적 악취제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419A KR101948600B1 (ko) 2016-06-23 2016-06-23 탱크컨테이너의 효율적 악취제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445A true KR20180000445A (ko) 2018-01-03
KR101948600B1 KR101948600B1 (ko) 2019-02-15

Family

ID=61002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8419A KR101948600B1 (ko) 2016-06-23 2016-06-23 탱크컨테이너의 효율적 악취제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86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87032A (zh) * 2020-11-15 2021-02-23 李麒 一种用于建筑施工的除尘装置
CN114797335A (zh) * 2022-04-26 2022-07-29 太原科技大学 一种大型排岩机自配液可调浓度防冻抑尘喷雾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4151A (ja) * 2007-12-04 2009-07-16 Nakajima Jidosha Denso:Kk 脱臭装置及び脱臭方法
JP5330960B2 (ja) * 2009-10-27 2013-10-30 株式会社日陸 臭気性ガスが残存しているタンク内部の脱臭方法
JP2011240232A (ja) * 2010-05-17 2011-12-01 Taiheiyo Cement Corp 排ガス処理方法
KR101590551B1 (ko) 2014-11-04 2016-02-18 강림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배기가스 정화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87032A (zh) * 2020-11-15 2021-02-23 李麒 一种用于建筑施工的除尘装置
CN114797335A (zh) * 2022-04-26 2022-07-29 太原科技大学 一种大型排岩机自配液可调浓度防冻抑尘喷雾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8600B1 (ko) 2019-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3368B1 (ko) 약액세정 탈취장치
US585830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erilizing medical devices
KR101513682B1 (ko) 세정식 다단 탈취장치
KR101396227B1 (ko) 격자틀을 이용한 약액세정 및 와류믹서식 탈취장치
KR101001155B1 (ko) 고농도 복합 악취 제거용의 일체형 다단 약액세정장치
JP7129775B2 (ja) 浄化方法
KR101948600B1 (ko) 탱크컨테이너의 효율적 악취제거 시스템
KR20180005439A (ko) 3단 습식 세정 장치
KR101954358B1 (ko) 복합식 악취제거 시스템
KR101699240B1 (ko) 탱크컨테이너의 악취 제거 시스템
KR102092584B1 (ko) 유입 악취가스 농도와 세정액의 pH 측정값에 따른 약품 공급량 자동 조절기능을 갖는 약액 세정식 탈취기
KR102017000B1 (ko) 약액세정탑용 약액 투입 시스템
KR101738349B1 (ko) 악취 제거장치
CN101702876A (zh) 用于对可再次使用的医学产品进行机械处理的方法
KR200471542Y1 (ko) 오존수를 이용한 배관 청소장치
CN104185702A (zh) 具有存储容器和氧化剂发生器的家用器具以及用于其运行的方法
CN106793933B (zh) 内窥镜清洗消毒机
KR101976418B1 (ko) 트레일러 장착용 모듈식 스케일 및 유해화학물질 제거 장치
KR101757684B1 (ko) 탱크컨테이너의 악취 제거 방법
CN101658686B (zh) 消毒装置
KR102221037B1 (ko) 악취 가스 내 악취 유발 성분 세정식 탈취기
KR102332563B1 (ko) 약품 분할 주입형 탈취기
KR101610855B1 (ko) 탱크컨테이너의 악취 제거용 커넥터
CN110066719B (zh) 培养器
KR101864339B1 (ko) 구획된 수조를 갖는 약액세정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