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236U - 철제 랙 캐비넷 조립체 - Google Patents

철제 랙 캐비넷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236U
KR20180000236U KR2020160004041U KR20160004041U KR20180000236U KR 20180000236 U KR20180000236 U KR 20180000236U KR 2020160004041 U KR2020160004041 U KR 2020160004041U KR 20160004041 U KR20160004041 U KR 20160004041U KR 20180000236 U KR20180000236 U KR 2018000023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ack
equipment
pos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40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8120Y1 (ko
Inventor
김충연
김근우
Original Assignee
김충연
대신정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충연, 대신정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충연
Priority to KR20201600040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120Y1/ko
Publication of KR201800002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2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1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1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8Construction of rack or fram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22Printed circuit boards receptacles, e.g. stacked structures, electronic circuit modules or box like frames
    • H05K7/1424Card cages
    • H05K7/1425Card cages of standardised dimensions, e.g. 19"-subrack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22Printed circuit boards receptacles, e.g. stacked structures, electronic circuit modules or box like frames
    • H05K7/1427Hou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6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on hinges or pivo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제 랙 캐비넷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지면에 배치되는 하부 부재; 상기 하부 부재의 전방 모서리 부분에 각각 장착되는 전방 프레임; 상기 하부 부재의 후방 모서리 부분에 각각 장착되는 후방 프레임; 상기 전방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변 프레임; 상기 전방 프레임의 사이에 장착되는 전방 도어; 상기 후방 프레임의 사이에 장착되는 후방 도어; 상기 전방 프레임과 후방 프레임의 사이에 장착되는 측면 도어;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되는 상부 부재; 상기 전방 프레임의 사이에 위치한 하부 부재의 상부와 후방 프레임의 사이에 위치한 상부 부재의 하부에 각각 고정결합되는 고정 프레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소비자가 직접 캐비넷 전체를 교환하거나 분해조립하지 않고 가변프레임만 손쉽게 교체함으로써 다양한 용도의 서브랙 장비를 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철제 랙 캐비넷 조립체{RACK CABINET ASSEMBLY}
본 고안은 철제 랙 캐비넷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장착되는 각종 서브랙(SUB RACK)장비에 따른 구성 변경을 최소화하여 제조비용과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 소비자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호환성을 개선한 철제 랙 캐비넷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랙 캐비넷은, 음향 기기, 통신용 장비, 네트워크, 전화국의 교환유통장비 또는 인터넷 서버(Internet Suber), 전자 장비 등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PCB(Printed Circuit Board)를 복수 분할된 쉘프 내에 장착하는 서브 랙(Sub-Rack) 다수 개가 인.출입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나의 단일 시스템으로 운용되는 수납장치이다.
특히, 최근에는 네트워크 환경이 넓어지고 정보통신 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전화망, 인터넷 통신망 및 위성 통신망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각종 통신기기가 점점 다변화되어 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기지국 및 단말국이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므로, 이러한 각각의 서비스를 한 장소에서 효율적으로 통합관리 및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통신용 장비를 수납 및 보관하는 통신장비용 서브랙을 적재하기 위한 캐비넷을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여기서, 상기 음향기기 및 통신장비용 랙은 IEC 규격(International Electrical Commission 297 Part 1,2,3), EIA 규격(The Electrcal Industries Association)에 따라 19", 21", 23" 등의 다양한 크기로 제작되어 일반 음향기기 및 통신용 장비 뿐만 아니라 계측기, 방송장비, LAN 전용장비, 전자 장비 등으로 다방면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특수장비가 아닐 경우 대부분의 장비에는 19"의 랙을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상술된 랙의 국제규격은 좌우폭(X축 길이)이 일정한 것이지 높이(Y축길이) 및 전후폭(Z축 길이)은 사용장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랙 캐비넷을 설명하면, 상기 캐비넷(10)은 수평프레임(14)과 수직프레임(15)들이 조립되어 직육각형의 기본 골조를 갖춘 메인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수직프레임(15) 사이로 고정프레임(16)이 고정되며,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하부에 상판(11)과 하판(12)을 고정시키며, 그 전,후면에는 도어를 설치하고, 그 좌,우측면으로는 측면판(13)을 각각 고정시켜 캐비넷(10)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좌,우측의 수평프레임(14)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프레임(16)은 수평단면이 직각형태로 형성되어 그 일측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나사홀(16a)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서브랙(20)은 각종 장비가 내장된 박스형태로 형성되고 그 양단에는 플랜지(21)가 형성되는데, 상기 플랜지(21)에는 상기 고정프레임(16)에 형성된 나사홀(16a)과 동일한 간격으로 나사홀(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서브랙(20)은 상기 캐비넷(10)의 양측 수직프레임(15) 사이로 삽입되어진 상태에서, 상기 서브랙(20)의 양측에 형성된 플랜지(21)의 나사홀(22)과 고정프레임(16)의 나사홀(16a)을 동일 선상에 놓이게 한 후 체결 나사(17)에 의해 상기 고정프레임(16)에 체결되어, 대개 하나의 캐비넷(10)에 다수개의 서브랙(20)이 적재되게 된다.
이때, 상기의 서브랙(20)은 국제규격에 맞추어 좌우폭(X축 길이)이 일정한 크기로 제작되므로 상기 서브랙(20)을 보관하는 캐비넷(10)의 너비(W)도 서브랙(20)의 국제규격에 맞추어 일정한 크기로 제작되고 그 깊이와 높이는 사용장비에 따라 다른 크기를 갖고 제작된다.
또한, 이러한 랙 캐비넷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공개실용 제1999-007888호(1999.02.25) '랙 캐비넷의 프레임 결합구조", 공개실용 제2011-0008632호(2011.09.09) "조립식 철재 캐비넷", 공개실용 제2012-0003802호(2012.06.01) "방송장비 보관용 랙", 등록특허 제1162534호(2012.06.28) "랙 캐비넷" 등 다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랙 캐비넷은 내부에 장착되는 서브랙(SUB RACK)(20)의 볼륨 조절기 또는 연결잭 연결구가 구비되는 통신장비나 방송장비에 따라 랙 캐비넷(10)을 분해하여 수직 프레임(15)과 측면판(13)을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즉, 종래의 랙 캐비넷은 볼륨 조절기가 장착되는 방송장비의 사양이나 규격이 변경되어 서브랙(SUB RACK)(20)의 연결잭 연결구가 구비되는 방송장비를 설치하고자 할 경우 또는 연결잭 연결구가 구비되는 방송장비의 사양이나 규격이 변경되어 서브랙(20)의 볼륨 조절기가 장착되는 방송장비를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 전방의 수직 프레임(15)과 양측면판(13)을 제거한 후, 연결잭 연결구 또는 볼륨 조절기의 돌출길이가 변경됨에 따라 전면 강화유리도어가 닫히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브랙장착부가 좀 더 깊게 제작된 수직 프레임과 측면판을 설치해야 함으로써 캐비넷(10)의 전체를 교환하거나 캐비넷(10)을 분해 및 조립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자는 교체가 불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랙 캐비넷은 볼륨 조절기 또는 연결잭 연결구가 구비되는 방송장비에 따른 수직 프레임과 측면판을 서브랙의 연결잭 또는 볼륨 조절기의 돌출길이에 따라 여러 가지로 각각 제조해야 할 뿐만 아니라 수직 프레임(15)과 양측면판(13)의 종류에 따라 랙 캐비넷(10)의 모델이 증가하여 이를 유지 및 보관하는데 재고관리의 어려움이 있었다.
즉, 볼륨 조절기가 구비되는 방송장비가 장착되는 랙 캐비넷의 경우에는 상기 볼륨 조절기의 길이가 짧으므로 측면판을 길게 형성하고 수직 프레임을 짧게 형성하고, 연결잭 연결구가 구비되는 방송장비가 장착되는 랙 캐비넷의 경우에는 상기 연결잭 연결구와 결합되는 연결잭의 길이가 볼륨 조절기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므로 측면판은 볼륨 조절기가 장착되는 측면판보다 짧게 형성하고 수직 프레임은 볼륨 조절기가 장착되는 수직 프레임보다 길게 형성해야 함으로써, 수직 프레임과 측면판의 제조비용이 증가하고 부품의 종류가 많아서 재고관리 및 생산성이 저하되며 제조된 제품의 유지와 보관을 위한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소비자가 설치현장에서 예상치 못한 서브랙의 사양이나 규격 변경이 발생하면 변경된 서브랙을 설치했다가 강화유리 도어가 닫히지 않을 경우 랙 캐비넷을 반품 또는 교환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007888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1-000863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162534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내부에 장착되는 서브랙 장비(방송장비, 음향장비, 케이블 장비 등)에 따라서 전방 포스트를 구성하는 유동 프레임만 간단하게 교체 또는 변경하여 다양한 종류의 서브랙(SUB RACK)장비들을 장착할 수 있도록 호환성구조를 구비하여 손쉽게 캐비넷을 분해조립하지 않고도 소비자가 직접 대응할 수 있는 철제 랙 캐비넷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철제 랙 캐비넷 조립체은 간격을 두고 좌, 우에 장착되는 전방 포스트, 상기 전방 포스트와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장착되는 후방 포스트, 상기 전방 포스트 및 후방 포스트의 상부에 장착되는 상부 커버, 상기 전방 포스트 및 후방 포스트의 하부에 장착되는 하부 베이스, 상기 전방 포스트와 후방 포스트의 사이에 장착되는 측면판, 상기 후방 포스트의 사이에 장착되는 후면 도어, 상기 전방 포스트의 사이에 장착되고 내부를 개·폐하는 캐비넷 도어로 구성되되, 상기 전방 포스트는 내부에 장착되는 서브랙 장비의 전방에 장착되는 조절기 또는 전방에 연결되는 연결부품의 돌출길이가 변경됨에 따라 랙 캐비넷의 전면 강화유리가 닿히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경우 서브랙 장착부분의 전·후방 폭 길이를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고정 프레임과 유동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프레임은 전방이 폐쇄되면서 후방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측면에는 도어 장착홈이 형성되며, 내측면 끝단에는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프레임 결합부가 구비된 고정 절곡부가 외측을 향해 직각으로 절곡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동 프레임은 프레임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과 일체로 형성되고 끝단에는 수직방향으로 일정하게 장비 결합공이 형성되는 장비 결합부가 직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동 프레임은 프레임 결합부와 상기 프레임 결합부의 끝단에 내측을 향해 직각으로 형성되는 프레임 연결부 및 상기 프레임 연결부의 끝단에 내측을 향해 절곡형성되고 수직방향으로 일정하게 장비 결합공이 형성되는 장비 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 포스트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부 커버와 하부 베이스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연결판이 장착되되, 상기 연결판은 고정 프레임과 유동 프레임의 결합 평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방 포스트를 구성하는 유동 프레임의 장비 결합부에는 서브랙을 고정할 수 있도록 연장편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베이스의 하부에는 간격을 두고 캐스터 유닛이 장착되고, 상기 캐스터 유닛은 하부 베이스의 저면 체결고정되는 캐스터 고정판과, '∩' 형상을 가지며 상기 캐스터 고정판에 회전가능하게 고정축 상에 고정된 캐스터 프레임과, 상기 캐스터 프레임 내부에 축설되어 설치면과 구름접촉하는 캐스터와, 상기 캐스터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의 상기 고정축에 체결되어 상하로 높이 조절가능한 봉 형상의 위치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면 도어의 일 측에는 후방 포스트에 고정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잠금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잠금부재에는 회전방향에 따라 후방 포스트를 구성하는 절곡연장편에 록킹 또는 언록킹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잠금자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면 도어와 캐비넷 도어는 일 측을 중심으로 회전작동하여 내부를 개·폐할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랙 캐비넷의 내부에 장착되는 서브랙 장비(방송장비, 음향장비, 케이블 장비 등)에 따라서 전방 포스트를 구성하는 유동 프레임만 교체하거나 변경하면 됨으로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조립시간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성의 감소에 따른 유지보수 비용과 재고률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비자가 직접 서브랙 장비들의 종류에 관계없이 유동프레임만 교체하여 호환성 있게 장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랙 캐비넷을 나타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철제 랙 캐비넷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철제 랙 캐비넷 조립체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철제 랙 캐비넷 조립체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철제 랙 캐비넷 조립체를 나타낸 개략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철제 랙 캐비넷 조립체를 나타낸 개략 평면도.
도 7(a) 및 7(b) 본 고안에 따른 철제 랙 캐비넷 조립체를 구성하는 전방 포스트를 나타낸 평면도.
도 8(a) 및 8(b)은 본 고안에 따른 철제 랙 캐비넷 조립체를 구성하는 유동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철제 랙 캐비넷 조립체를 구성하는 유동 프레임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철제 랙 캐비넷 조립체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철제 랙 캐비넷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철제 랙 캐비넷 조립체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철제 랙 캐비넷 조립체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철제 랙 캐비넷 조립체를 나타낸 개략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철제 랙 캐비넷 조립체를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고, 도 7(a) 및 7(b) 본 고안에 따른 철제 랙 캐비넷 조립체를 구성하는 전방 포스트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8(a) 및 8(b)은 본 고안에 따른 철제 랙 캐비넷 조립체를 구성하는 유동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철제 랙 캐비넷 조립체를 구성하는 유동 프레임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원고안인 철제 랙 캐비넷 조립체(100)는 전방 포스트(200), 후방 포스트(300), 상부 커버(400), 하부 베이스(500), 측면판(600), 후면 도어(700), 캐비넷 도어(8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철제 랙 캐비넷 조립체(100)는 도시된 도면과 같은 사각형 형상 이외에도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다각형 등의 여러 가지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포스트(200, 300)의 높이와 두께도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전방 포스트(200)는 철제 랙 캐비넷 조립체(100)의 전방 모서리 부분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상부와 하부에는 상부 커버(400)와 하부 베이스(500)가 각각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전방 포스트(200)는 도시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 프레임(220)과 상기 고정 프레임(220)의 후방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유동 프레임(240a, 240b)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전방 포스트(200)는 철제 랙 캐비넷 조립체(100)의 내부에 장착되는 서브랙 장비(음향장비, 통신장비, 방송장비 등)의 형상이나 구조의 변화에 따라 고정 프레임(220)과 결합되는 유동 프레임(240a, 240b)을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호환성을 개선한 것이다.
이를 좀 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전방 포스트(200)는 철제 랙 캐비넷 조립체(100)의 내부에 장착되는 서브랙 장비의 전방에 장착되는 조절기 또는 전방에 연결되는 연결부품에 따라 고정 프레임(220)에, 도 7의 H', H"처럼, 서로 다른 폭을 가지는 유동 프레임(240a, 240b)을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랙 캐비넷 전체부품을 공용으로 사용하면서 간단하게 유동 프레임(240a)을 음향장비용으로 유동 프레임(240b)을 통신장비용으로만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H', H"의 거리의 차이에 따라 서브랙의 종류에 관계없이 강화유리도어를 손쉽게 닿힐 수 있게 호환성을 유지하여 간편하게 음향용 랙과 통신용 랙으로 구분이 가능한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유동프레임(240a, 240b)은 음향용과 통신용으로 구분하였으나 서브랙장비에 따라 인터넷허브용이나 서버용으로도 적용될 수 있고, 기타 다양한 장비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프레임(220)은 도 7 및 8처럼 전방이 폐쇄되면서 후방에 개구부(221)가 형성되고, 내측면에는 도어 장착홈(222)이 형성되며, 내측면 끝단에는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프레임 결합부(224)가 형성된 고정 절곡부(223)가 외측을 향해 직각으로 절곡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 프레임(220)은 소정의 두께와 폭을 가지는 금속판을 공지된 절곡 프레스 또는 절곡기를 이용하여 전방은 폐쇄하고, 후방에는 개구부(221)를 형성하며, 내측면에는 도어 장착홈(222)을 형성하며, 상기 내측면 끝단에는 외측방향으로 직각 절곡부(223)를 형성한 다음, 상기 고정 절곡부(223)에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사 또는 볼트가 결합될 수 있도록 프레임 결합부(224)를 다수개 형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프레임 결합부(224)는 관통공 또는 관통공 및 너트를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구성될 수 있고, 탭핑작업으로 나사를 가공할 수도 있으며, 본원고안에서 상기 프레임 결합부(224)는 관통공 및 탭핑작업으로 구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 프레임(220)과 결합하는 유동 프레임(240a, 240b)은 철제 랙 캐비넷 조립체(100)의 내부에 장착되는 서브랙 장비에 따라 도시된 도 8(a) 및 8(b)와 같이 구성된다.
즉, 상기 유동 프레임(240a)은 철제 랙 캐비넷 조립체(100)의 내부에 장착되는 서브랙(SUB RACK) 장비의 전방에 조절기 등 각종 잭(JACK) 및 스위치(SW)의 돌출 길이가 짧은 경우(도 7(a)의 H')에 사용되고, 상기 유동 프레임(240b)은 철제 랙 캐비넷 조립체(100)의 내부에 장착되는 서브랙(SUB RACK) 장비의 전방에 연결부품과 같은 조절기 등 각종 잭(JACK) 및 스위치(SW)의 돌출 길이가 긴 경우(도 7(b)의 H")에 사용된다.
먼저, 상기 유동 프레임(240a)은 프레임 결합부(242a)와 상기 프레임 결합부(242a)의 끝단에 내측을 향해 직각으로 절곡형성되고 끝단에는 수직방향으로 장비 결합공(246a)이 다수개 형성되는 장비 결합부(244a)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유동 프레임(240a)은 평단면상 직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결합부(242a)가 고정 프레임(220)에 밀착되고 상기 장비 결합부(244a)는 대수개 형성된 유동프레임 결합부(248a)에 의해 고정 프레임(220)의 프레임 결합부(224)에 고정되는 볼트 또는 나사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장비 결합부(244a)는 철제 랙 캐비넷 조립체(100)의 내부에 장착되는 각종 서브랙 장비와 원활한 결합을 위하여 고정 프레임(220)의 내측면보다 내측을 향해 돌출형성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 프레임(220)의 프레임 결합부(224)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유동 프레임(240a)의 고정을 위하여 유동프레임 결합부(248a)가 대수개 형성되어 볼트 또는 나사로 결합된다.
즉, 상기 유동프레임 결합부(248a)은 프레임 결합부(224)에 결합되는 나사 또는 볼트와 결합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220)과 유동 프레임(240a)이 서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유동 프레임(240b)은 프레임 결합부(241b)와 상기 프레임 결합부(241b)의 끝단에 내측을 향해 직각으로 형성되는 프레임 연결부(242b) 및 상기 프레임 연결부(242b)의 끝단에 내측을 향해 절곡형성되고 수직방향으로 일정하게 장비 결합공(244b)이 다수개 형성되는 장비 결합부(243b)가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유동 프레임(240b)은 프레임 결합부(241b)와 프레임 연결부(242b) 및 장비 결합부(243b)을 다단으로 절곡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결합부(241b)가 고정 프레임(220)에 밀착되고 상기 프레임 연결부(242b)는 다수개 형성된 유동프레임 결합부(245b)에 의해 고정 프레임(220)의 프레임 결합부(224)에 고정되는 볼트 또는 나사로 고정되며, 상기 장비 결합부(243b)에는 서브랙 장비가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프레임 연결부(242b)는 프레임 결합부(241b)와 연결되는 수평면(242b-1)과 장비 결합부(243b)와 연결되는 전후면(242b-2)으로 구성되되, 상기 전후면(242b-2)은 서브랙 장비의 연결부품의 원활한 장착과 미관 향상을 위하여 고정 프레임(220)의 내측면과 평면이 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 프레임(220)의 프레임 결합부(224)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유동 프레임(240b)의 고정을 위하여 유동프레임 결합부(245b)가 다수개 형성되어 볼트 또는 나사로 결합된다.
즉, 상기 유동프레임 결합부(245b)은 프레임 결합부(224)에 결합되는 나사 또는 볼트와 결합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220)과 유동 프레임(240b)이 서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도 4처럼 상기 전방 포스트(200)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부 커버(400)와 하부 베이스(500)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연결판(260)이 전방포스트(200)의 상·하측 끝부분에 장착 또는 용접된다.
즉, 상기 연결판(260)은 고정 프레임(220)과 유동 프레임(240a, 240b)의 결합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 후, 상기 전방 포스트(200)의 상부와 하부에 용접 또는 체결구를 통해 결합된 다음, 상기 상부 커버(400)와 하부 베이스(500)에 고정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동 프레임(240a, 240b)의 장비 결합부(244a, 243b)에는 서브랙을 고정할 수 있도록 도 9처럼 연장편(28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연장편(280)에 서브랙걸이구멍(GV)을 뚫고 탭(TAP)을 가공할 때 탭을 잘못 뚫게 되어 나사가 망가지거나 서브랙을 고정 또는 분리하는 과정에서 나사(17, 도 1 참고)를 여러 번 풀었다 조였다 할 경우 탭이 망가지게 되면 전방 포스트(200) 전체를 버리고 다시 가공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더욱이, 서브랙걸이구멍(GV)은 랙 캐비넷의 높이에 따라 그 수량이 달라지는데, 예를 들어 33U(1U=44.45mm) 높이의 랙 캐비넷을 기준으로 하면 서브랙걸이구멍(GV)이 보통 99개에 이르는데, 실수로 탭을 한 개라도 잘못 뚫을 경우, 전방 포스트(200)의 원자재를 버리고 재작업을 해야 하므로 재료 낭비가 심하고 작업부하가 급증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 연장편(280)에 탭(나사구멍)을 뚫을 때 작업불량이나 오류가 나면 절취선(TR)을 따라 연장편(280)을 절단하고, 연장편(280)이 잘린 전방 포스트(200)의 단부에 서브랙가고정구(PTA)를 연결 설치함으로써 전방 포스트(200)를 폐기하지 않고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비용과 시간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다.
이때, 상기 서브랙가고정구(PTA)는 내부에 슬라이드홈(SUM)이 형성된 브라켓 형태로서, 외부 일측에는 에이치 형상의 조립슬라이드홈(hom)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립슬라이드홈(hom)은 연장편(280)이 잘린 전방 포스트(200)의 단부에 끼워지고, 고정구체결볼트(BLT)를 이용하여 포스트체결공(bb)과 고정구체결공(aa)에 끼워 체결하게 된다.
그런 다음, 서브랙걸이구멍(GV)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서브랙걸이편(CTA)을 상기 슬라이드홈(SUM)에 여러개 끼워 넣어 절단되기전 연장편(280)과 동일한 상태를 만들어 서브랙걸이편(CTA)에 뚫려 있는 서브랙걸이구멍(GV)에 서브랙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서브랙걸이편(CTA)는 일정길이를 갖는 다수의 편을 수직으로 일직선을 유지한 채 슬라이드홈(SUM)에 필요한 수량만큼 일렬로 끼워 넣어 적층하는 형태로 조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작업오류가 발생하더라도 전방 포스트(200)를 버리지 않고 재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효율적이다.
상기 후방 포스트(300)는 전방 포스트(200)와 간격을 두고 후방에 평행하게 장착되고 상부와 하부에는 상부 커버(400)와 하부 베이스(500)가 각각 결합된다.
즉, 상기 후방 포스트(300)는 전방 포스트(200)와 같이 상부 커버(400)와 하부 베이스(500)에 결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후방 포스트(300)는 대략 "ㄷ"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2 후방포스트(310, 320)으로 분할형성되고, 상기 제1, 2 후방포스트(310, 320)는 용접 등의 방식으로 하나의 후방 포스트(300)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1 후방 포스트(320)는 'ㄷ' 형상으로 절곡된 양단중 어느 일단이 바깥쪽으로 수직절곡되어 절곡연장편(330)을 형성된다.
또한, 상기 후방 포스트(300)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부 커버(400)와 하부 베이스(500)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전방 포스트(200)의 연결판(260)과 같은 후방 연결판(340)이 장착 또는 용접된다.
상기 상부 커버(400)는 소정의 두께와 크기를 가지며 철제 랙 캐비넷 조립체(100)의 상부에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커버(400)는 소정의 두께와 크기를 가지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후방 및 외측에는 철제 랙 캐비넷 조립체(100)의 내부와 연통되는 환기공(410)이 형성된다.
즉, 상기 상부 커버(400)는 사각형 형상으로 하부 전방 양측에 전방 포스트(200)가 장착되고 하부 후방 양측에는 후방 포스트(300)가 장착되는 것이다.
상기 하부 베이스(500)는 소정의 두께와 크기를 가지며 철제 랙 캐비넷 조립체(100)의 하부에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 베이스(500)는 소정의 두께와 크기를 가지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배선공(510)이 형성된다.
즉, 상기 하부 베이스(500)는 사각형 형상으로 상부 전방 양측에 전방 포스트(200)가 장착되고, 상부 후방 양측에는 후방 포스트(300)가 장착되며, 내부에는 다수개의 전선을 인출하기 위하여 배선공(510)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 베이스(500)의 하부에는 간격을 두고 캐스터 유닛(520)이 장착되어 철제 랙 캐비넷 조립체(100)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정위치에서 유동되지 않게 위치 고정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캐스터 유닛(520)은 하부 베이스(500)의 저면에 별도 고정된 지지판 상에 체결되는 캐스터 고정판(521)과, '∩' 형상을 가지며 상기 캐스터 고정판(521)에 회전가능하게 고정축(522)에 고정된 캐스터 프레임(523)과, 상기 캐스터 프레임(523) 내부에 축설되어 설치면과 구름접촉하는 캐스터(524)와, 상기 캐스터(524)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의 고정축(522) 상에 체결되어 상하로 높이 조절가능한 봉 형상의 위치고정부재(5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캐스터 유닛(520)은 기존과 달리 캐스터(524)와 위치고정부재(525)가 한 몸체에 함께 설치되어 있어 사용상 편의성이 증대되며, 조립 설치가 용이하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측면판(600)은 전방 포스트(200)와 후방 포스트(300)의 사이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판(600)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전방 포스트(200), 후방 포스트(300), 상부 커버(400), 하부 케이스(500)와 결합될 수 있도록 측면판 결합부(610)가 절곡형성된다.
즉, 상기 측면판(600)은 소정의 크기를 가지고 형성되는 금속판의 가장자리 부분을 절곡하여 측면판 결합부(610)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후면 도어(700)는 후방 포스트(300)와 후방 포스트(300)의 사이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후면 도어(700)는 후방 포스트(30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크기를 가지는 판넬 또는 유리로 형성되고, 하부 또는 상부에는 내부와 연통하는 다수개의 환기공(710)이 형성되며, 일 측에는 후방 포스트(300)에 고정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잠금부재(720)가 장착된다.
즉 상기 후면 도어(700)는 다수의 환기공(710)을 통해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유입하고, 잠금부재(720)를 통해 후방 포스트(300)의 절곡연장편(330)에 고정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잠금부재(720)에는 잠금자(722)가 구비되고, 상기 잠금자(722)는 잠금부재(72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절곡연장편(330)에 걸리거나 또는 걸리지 않게 되어 록킹 또는 언록킹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후면 도어(700)는 후방 포스트(300)와 후방 포스트(300)의 사이에 고정장착될 수 있으나 본원고안에서 상기 후면 도어(700)는 도시된 도 10과 같이 일 측을 중심으로 회전작동하여 내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후면 도어(700)는 일 측에 회전축 또는 힌지부 또는 회전수단을 장착하여 원활하여 회전작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후면 도어(700)를 회전작동시키는 회전축 또는 힌지부 또는 회전수단은 공지된 구성을 택일하여 구성되고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캐비넷 도어(800)는 전방 포스트(200)와 전방 포스트(200)의 사이에 장착된다.
즉, 상기 캐비넷 도어(800)는 전방 포스트(20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크기를 가지는 강화유리 또는 판넬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넷 도어(800)의 일 측에는 전방 포스트(200)에 고정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열쇠뭉치(820)가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열쇠뭉치(820)는 공지된 열쇠뭉치를 택일하여 구성되고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캐비넷 도어(800)는 전방 포스트(200)와 전방 포스트(200)의 사이에 고정장착될 수 있으나 본원고안에서 상기 캐비넷 도어(800)는 도시된 도 10과 같이 일 측을 중심으로 회전작동하여 내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캐비넷 도어(800)는 일 측에 회전축 또는 힌지부 또는 회전수단을 장착하여 원활하여 회전작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캐비넷 도어(800)를 회전작동시키는 회전축 또는 힌지부 또는 회전수단은 공지된 구성을 택일하여 구성되고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랙 구조물 조립체(100)는 포스트(200, 300)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는 고정프레임(900)이 각각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프레임(900)은 전방 포스트(200)와 전방 포스트(200)의 상·하부에 각각 장착되는 상·하부 고정프레임(910, 920)와 상기 후방 포스트(300)와 후방 포스트(300)의 상·하부에 각각 장착되는 상·하부 후방 고정프레임(930, 940)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고정프레임(900)은 상·하부 고정프레임(910, 920)이 전방 포스트(200)의 양측을 조립 또는 용접으로 연결해주고, 상·하부 후방 고정프레임(930, 940)이 후방 포스트(300)의 양측을 조립 또는 용접으로 연결해주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철제 랙 캐비넷 조립체의 실시 예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소정의 두께와 크기를 가지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배선공(510)이 형성되는 하부 베이스(500)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 베이스(500)의 저면에 간격을 두고 별도 고정된 지지판 상에 체결되는 캐스터 고정판(521)과, '∩' 형상을 가지며 상기 캐스터 고정판(521)에 회전가능하게 고정축(522)에 고정된 캐스터 프레임(523)과, 상기 캐스터 프레임(523) 내부에 축설되어 설치면과 구름접촉하는 캐스터(524)와, 상기 캐스터(524)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의 고정축(522) 상에 체결되어 상하로 높이 조절가능한 봉 형상의 위치고정부재(52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캐스터 유닛(520)을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하부 베이스(500)의 상부 전방 양측으로 전방이 폐쇄되면서 후방에 개구부(221)가 형성되고, 내측면에는 도어 장착홈(222)이 형성되며, 내측면 끝단에는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프레임 결합부(224)가 형성된 고정 절곡부(223)가 외측을 향해 직각으로 절곡형성되는 고정 프레임(220)을 형성한 후 상기 고정 프레임(220)의 배면으로 프레임 결합부(242a)와 상기 프레임 결합부(242a)의 끝단에 내측을 향해 직각으로 절곡형성되고 끝단에는 수직방향으로 장비 결합공(246a)이 형성되는 장비 결합부(244a)으로 형성되는 유동 프레임(240a)을 결합하여 형성되는 전방 포스트(200)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 베이스(500)의 상부 후방 양측에 대략 "ㄷ"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2 후방포스트(310, 320)으로 분할형성되고, 상기 제 1 후방포스트(310)에 바깥쪽으로 절곡연장편(330)이 수직절곡되는 후방 포스트(300)를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전방 포스트(200)와 후방 포스트(300)의 사이로 가장자리 부분에는 전방 포스트(200), 후방 포스트(300), 상부 커버(400), 하부 케이스(500)와 결합될 수 있도록 측면판 결합부(610)가 절곡형성되는 측면판(600)을 각각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전방 포스트(200)와 전방 포스트(200)의 상·하부에 상·하부 고정프레임(910, 920)을 장착하고, 상기 후방 포스트(300)와 후방 포스트(300)의 상·하부에 상·하부 후방 고정프레임(930, 940)을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후방 포스트(30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판넬 또는 유리로 형성되고, 하부와 상부에는 내부와 연통하는 다수개의 환기공(710)이 형성되며, 일 측에는 후방 포스트(300)에 고정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잠금부재(720)가 장착되는 후면 도어(700)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전방 포스트(20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판넬 또는 유리로 형성되고 일 측에는 전방 포스트(200)에 고정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열쇠뭉치(820)가 장착되는 캐비넷 도어(800)를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포스트(200, 300)의 상부로 소정의 두께와 크기를 가지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후방 및 외측에는 철제 랙 캐비넷 조립체(100)의 내부와 연통되는 환기공(410)이 형성되는 상부 커버(400)를 장착하면 철제 랙 캐비넷 조립체(10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철제 랙 캐비넷 조립체(100)의 조립순서는 상기와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철제 랙 캐비넷 조립체(100)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철제 랙 캐비넷 조립체(100)의 내부에 음향 장비, 통신용 장비, 네트워크 장비, 전화국의 교환유통장비 또는 인터넷 서버(Internet Suber), 전자 장비 등을 장착하고자 할 경우에는, 내부가 빈 사각박스 형상을 가지는 철제 랙 캐비넷 조립체(100)의 내부에 간격을 두고 서브랙을 설치하게 되는데,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서브랙을 랙 캐비넷에 결합한 다음, 앞에서 열거한 방법으로 체결하는 것이다.
따라서, 음향 기기, 통신용 장비, 네트워크, 전화국의 교환유통장비 또는 인터넷 서버(Internet Suber), 전자 장비 등 다양한 서브랙 장비들을 장착하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철제 랙 캐비넷 조립체(100)를 구성하는 각종 음향장비, 통신장비 등 서브랙 장비가 변경되어 도 7처럼 H'과 H"의 길이를 변경해야할 경우에는, 상기 전방 포스트(200)를 구성하는 고정 프레임(220)의 배면에 장착되는 프레임 결합부(242a)와 상기 프레임 결합부(242a)의 끝단에 내측을 향해 직각으로 절곡형성되고 끝단에는 수직방향으로 장비 결합공(246a)이 형성되는 장비 결합부(244a)으로 형성되는 유동 프레임(240a)을 분리시킨다.
이때, 상기 유동프레임(240a)의 유동프레임 결합부(248a)와 고정 프레임의 프레임 결합부(224)를 체결한 볼트를 풀면 분리된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 프레임(200)의 배면에 프레임 결합부(241b)와 상기 프레임 결합부(241b)의 끝단에 내측을 향해 직각으로 형성되는 프레임 연결부(242b) 및 상기 프레임 연결부(242b)의 끝단에 내측을 향해 절곡형성되고 수직방향으로 일정하게 장비 결합공(244b)이 형성되는 장비 결합부(243b)가 일체로 형성되는 유동 프레임(240b)을 장착한 후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유동프레임(240b)의 유동프레임 결합부(245b)와 고정프레임의 프레임 결합부(224)를 볼트로 체결하면 조립된다.
여기서, 유동프레임(240a, 240b)은 장착되는 서브랙(SUB RACK)장비의 종류에 따라 강화유리 도어가 잘 닫히지 않을 경우 소비자가 손쉽게 수시로 교체할 수 있도록 호환성을 갖도록 만든 구조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고안인 철제 랙 캐비넷 조립체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철제 랙 캐비넷 조립체, 200 : 전방 포스트,
220 : 고정 프레임, 240a, 240b : 유동 프레임,
260 : 연결판, 300 : 후방 포스트,
310 : 제 1 후방 포스트, 320 : 제 2 후방 포스트,
400 : 상부 커버, 410 : 환기공,
500 : 하부 베이스, 510 : 배선공,
520 : 캐스터 유닛, 600 : 측면판,
610 : 측면판 결합부, 700 : 후면 도어,
800 : 캐비넷 도어, 900 : 고정 프레임.

Claims (9)

  1. 간격을 두고 좌, 우에 장착되는 전방 포스트, 상기 전방 포스트와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장착되는 후방 포스트, 상기 전방 포스트 및 후방 포스트의 상부에 장착되는 상부 커버, 상기 전방 포스트 및 후방 포스트의 하부에 장착되는 하부 베이스, 상기 전방 포스트와 후방 포스트의 사이에 장착되는 측면판, 상기 후방 포스트의 사이에 장착되는 후면 도어, 상기 전방 포스트의 사이에 장착되고 내부를 개·폐하는 캐비넷 도어로 구성되되,
    상기 전방 포스트는 내부에 장착되는 서브랙 장비의 전방에 장착되는 조절기 또는 전방에 연결되는 연결부품의 돌출길이가 변경됨에 따라 전·후방 폭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고정 프레임과 유동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제 랙 캐비넷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은 전방이 폐쇄되면서 후방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측면에는 도어 장착홈이 형성되며, 내측면 끝단에는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프레임 결합부가 구비된 고정 절곡부가 외측을 향해 직각으로 절곡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제 랙 캐비넷 조립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프레임은 프레임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과 일체로 형성되고 끝단에는 수직방향으로 일정하게 장비 결합공이 형성되는 장비 결합부가 직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제 랙 캐비넷 조립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프레임은 프레임 결합부와 상기 프레임 결합부의 끝단에 내측을 향해 직각으로 형성되는 프레임 연결부 및 상기 프레임 연결부의 끝단에 내측을 향해 절곡형성되고 수직방향으로 일정하게 장비 결합공이 형성되는 장비 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제 랙 캐비넷 조립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포스트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부 커버와 하부 베이스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연결판이 장착되되,
    상기 연결판은 고정 프레임과 유동 프레임의 결합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제 랙 캐비넷 조립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포스트를 구성하는 유동 프레임의 장비 결합부에는 서브랙을 고정할 수 있도록 연장편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제 랙 캐비넷 조립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베이스의 하부에는 간격을 두고 캐스터 유닛이 장착되고,
    상기 캐스터 유닛은 하부 베이스의 저면 체결고정되는 캐스터 고정판과, '∩' 형상을 가지며 상기 캐스터 고정판에 회전가능하게 고정축 상에 고정된 캐스터 프레임과, 상기 캐스터 프레임 내부에 축설되어 설치면과 구름접촉하는 캐스터와, 상기 캐스터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의 상기 고정축에 체결되어 상하로 높이 조절가능한 봉 형상의 위치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제 랙 캐비넷 조립체.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도어의 일 측에는 후방 포스트에 고정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잠금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잠금부재에는 회전방향에 따라 후방 포스트를 구성하는 절곡연장편에 록킹 또는 언록킹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잠금자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제 랙 캐비넷 조립체.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도어와 캐비넷 도어는 일 측을 중심으로 회전작동하여 내부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제 랙 캐비넷 조립체.
KR2020160004041U 2016-07-13 2016-07-13 철제 랙 캐비넷 조립체 KR2004881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041U KR200488120Y1 (ko) 2016-07-13 2016-07-13 철제 랙 캐비넷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041U KR200488120Y1 (ko) 2016-07-13 2016-07-13 철제 랙 캐비넷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236U true KR20180000236U (ko) 2018-01-23
KR200488120Y1 KR200488120Y1 (ko) 2019-03-12

Family

ID=61280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4041U KR200488120Y1 (ko) 2016-07-13 2016-07-13 철제 랙 캐비넷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12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8471B1 (ko) 2019-10-30 2021-07-16 주식회사 세이프네트워크 랙 캐비닛
KR102452120B1 (ko) 2022-07-04 2022-10-07 레호 주식회사 내부 보관 환경을 자동으로 최적 상태로 유지해주는 스토리지 캐비넷 시스템
KR102565170B1 (ko) 2022-07-04 2023-08-09 레호 주식회사 360도 회전 가능한 스토리지 캐비넷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4456U (ko) * 1990-01-16 1991-09-26
JP2002271044A (ja) * 2001-03-13 2002-09-20 Ricoh Co Ltd 事務機器
KR20080031895A (ko) * 2008-03-20 2008-04-11 (주)디포그 서버 및 네트워크장비 겸용 통신기기 랙
KR100964171B1 (ko) * 2009-11-24 2010-06-17 이호근 내진 성능이 향상된 통신기기용 랙
KR20110008632A (ko) 2009-07-20 2011-01-27 강기석 생체전기를 이용한 외과수술용 니들장치
KR20110123579A (ko) * 2010-05-07 2011-11-15 (주)디포그 간편 탈부착 도어가 취부되는 통신기기용 랙
KR101162534B1 (ko) 2012-01-20 2012-07-09 곽영덕 랙 캐비넷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4456B2 (ja) * 1990-12-21 2000-10-03 株式会社デンソー 自動車用内燃機関の冷却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4456U (ko) * 1990-01-16 1991-09-26
JP2002271044A (ja) * 2001-03-13 2002-09-20 Ricoh Co Ltd 事務機器
KR20080031895A (ko) * 2008-03-20 2008-04-11 (주)디포그 서버 및 네트워크장비 겸용 통신기기 랙
KR20110008632A (ko) 2009-07-20 2011-01-27 강기석 생체전기를 이용한 외과수술용 니들장치
KR100964171B1 (ko) * 2009-11-24 2010-06-17 이호근 내진 성능이 향상된 통신기기용 랙
KR20110123579A (ko) * 2010-05-07 2011-11-15 (주)디포그 간편 탈부착 도어가 취부되는 통신기기용 랙
KR101162534B1 (ko) 2012-01-20 2012-07-09 곽영덕 랙 캐비넷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실용신안등록 제 3094456호(2003.06.20.)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120Y1 (ko) 2019-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8120Y1 (ko) 철제 랙 캐비넷 조립체
US6123203A (en) System and method for mounting a computer system component within a housing
US6788542B2 (en) Hinged cover for rack-mountable module
EP0574560B1 (en) Restructurable enclosure with multi-purpose mounting blocks
US8607996B2 (en) Server cabinet and server cabinet assembly
US20120227330A1 (en) Door assembly and method of replacing a door of an electronics cabinet
US20150282349A1 (en) Equipment rack bracing
KR101823046B1 (ko) 철제 랙 캐비넷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0484505Y1 (ko) 알루미늄 랙 캐비넷 조립체
KR200484504Y1 (ko)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
US6597576B1 (en) Mounting arrangements for data communication devices
US6150609A (en) Multi-purpose decorative cover for breaker panel
CN214960504U (zh) 一种便于快速安装的机柜框体
EP1956692B1 (en) Upright for electrical switchboard
US20050104490A1 (en) Frameless cabinet door system and method
US9946044B1 (en) Equipment cabinet with movable stile
KR200492538Y1 (ko) 통신기기용 랙
CN209994740U (zh) 一种便于调节分隔板间距的网络机柜
JP2602586Y2 (ja) 低圧配電盤
CN219421261U (zh) 一种散热型网络机柜
CN219536559U (zh) 一种拼装式机柜
EP1111979A1 (en) Multistandard cabinet for electronic components
EP3090317A1 (en) Rackless computing equipment construction
JP2002177068A (ja) キャビネットラックおよびキャビネットラックへの棚板の取り付け方法
JP5130505B2 (ja) 筐体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