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504Y1 -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 - Google Patents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504Y1
KR200484504Y1 KR2020150001896U KR20150001896U KR200484504Y1 KR 200484504 Y1 KR200484504 Y1 KR 200484504Y1 KR 2020150001896 U KR2020150001896 U KR 2020150001896U KR 20150001896 U KR20150001896 U KR 20150001896U KR 200484504 Y1 KR200484504 Y1 KR 2004845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s
pair
shaft
door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18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3412U (ko
Inventor
김근우
김충연
Original Assignee
대신정밀 주식회사
김충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신정밀 주식회사, 김충연 filed Critical 대신정밀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18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504Y1/ko
Publication of KR201600034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4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5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50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01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 H05K7/1411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for securing or extracting box-type draw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22Printed circuit boards receptacles, e.g. stacked structures, electronic circuit modules or box like frames
    • H05K7/1427Hou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8Construction of rack or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좌,우 한 쌍의 프론트포스트와, 상기 프론트포스트와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열된 좌,우 한 쌍의 리어포스트와, 상기 프론트포스트 및 리어포스트의 각 상단에 고정되는 탑커버와, 상기 프론트포스트 및 리어포스트의 각 하단에 고정되는 바텀베이스와, 상기 프론트포스트와 리어포스트 사이에 구비되는 한 쌍의 측판과, 상기 한 쌍의 리어포스트 사이에 설치되는 후면도어와, 상기 한 쌍의 프론트포스트 사이에 조립되어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캐비넷도어를 포함하는 랙 캐비넷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프론트포스트는 개방부를 갖는 제1프론트포스트와, 상기 개방부를 밀폐하면서 제1프론트포스트에 접합되는 제2프론트포스트로 분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IRON RACK CABINET ASSEMBLY}
본 고안은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랙이 걸리는 랙프레임을 포스트에 일체로 구현하여 구조를 간단히 하고, 제조 생산비용을 절감하면서 캐비넷도어의 개폐방향을 자유롭게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설치공간상 제약을 받지 않도록 개선된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랙 캐비넷은, 음향 기기, 통신용 장비, 네트워크, 전화국의 교환유통장비 또는 인터넷 서버(Internet Suber), 전자 장비 등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PCB(Printed Circuit Board)를 복수 분할된 쉘프 내에 장착하는 서브 랙(Sub-Rack) 다수 개가 인.출입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나의 단일 시스템으로 운용되는 수납장치이다.
특히, 최근에 들어서는 네트워크 환경이 넓어지고 정보통신 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전화망, 인터넷 통신망 및 위성 통신망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각종 통신기기가 점점 다변화되어 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기지국 및 단말국이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므로, 이러한 각각의 서비스를 한 장소에서 효율적으로 통합관리 및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통신용 장비를 수납 및 보관하는 통신장비용 랙을 적재하기 위한 캐비넷을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여기서, 상기 음향기기 및 통신장비용 랙은 IEC 규격(International Electrical Commission 297 Part 1,2,3), EIA 규격(The Electrcal Industries Association)에 따라 19", 21", 23" 등의 다양한 크기로 제작되어 일반 음향기기 및 통신용 장비 뿐만 아니라 계측기, 방송장비, LAN 전용장비, 전자 장비 등으로 다방면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특수장비가 아닐 경우 대부분의 장비에는 19"의 랙을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상술된 랙의 국제규격은 좌우폭(X축 길이)이 일정한 것이지 높이(Y축길이) 및 전후폭(Z축 길이)은 사용장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랙 캐비넷을 설명하면, 상기 캐비넷(10)은 수평프레임(14)과 수직프레임(15)들이 조립되어 직육각형의 기본 골조를 갖춘 메인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수직프레임(15) 사이로 고정프레임(16)이 고정되며,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하부에 상판(11)과 하판(12)을 고정시키며, 그 전,후면에는 도어를 설치하고, 그 좌,우측면으로는 측면판(13)을 각각 고정시켜 캐비넷(10)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좌,우측의 수평프레임(14)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프레임(16)은 수평단면이 직각형태로 형성되어 그 일측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나사홀(16a)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서브랙(20)은 각종 장비가 내장된 박스형태로 형성되고 그 양단에는 플랜지(21)가 형성되는데, 상기 플랜지(21)에는 상기 고정프레임(16)에 형성된 나사홀(16a)과 동일한 간격으로 나사홀(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서브랙(20)은 상기 캐비넷(10)의 양측 수직프레임(15) 사이로 삽입되어진 상태에서, 상기 서브랙(20)의 양측에 형성된 플랜지(21)의 나사홀(22)과 고정프레임(16)의 나사홀(16a)을 동일 선상에 놓이게 한 후 체결 나사(17)에 의해 상기 고정프레임(16)에 체결되어, 대개 하나의 캐비넷(10)에 다수개의 서브랙(20)이 적재되게 된다.
이때, 상기의 서브랙(20)은 국제규격에 맞추어 좌우폭(X축 길이)이 일정한 크기로 제작되므로 상기 서브랙(20)을 보관하는 캐비넷(10)의 너비(W)도 서브랙(20)의 국제규격에 맞추어 일정한 크기로 제작되고 그 깊이와 높이는 사용장비에 따라 다른 크기를 갖고 제작된다.
또한, 이러한 랙 캐비넷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공개실용 제1999-007888호(1999.02.25) '랙 캐비넷의 프레임 결합구조", 공개실용 제2011-0008632호(2011.09.09) "조립식 철재 캐비넷", 공개실용 제2012-0003802호(2012.06.01) "방송장비 보관용 랙", 등록특허 제1162534호(2012.06.28) "랙 캐비넷" 등 다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랙 캐비넷은 캐비넷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힌지 구조 및 잠금 구조가 특정방향으로 정해져 있기 때문에 설치공간의 위치상 도어 개방방향이 반대일 경우에는 설치곤란의 문제가 생겨 설치공간에 따른 제약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랙 설치를 위해 랙 걸이대, 즉 랙 프레임을 별도로 만들어 장착해야 하므로 작업공수는 물론 별도 성형에 따른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드는 단점도 있다.
뿐만 아니라, 랙 캐비넷을 위치고정하는 수단과 랙 캐비넷을 이동시키는 수단이 서로 분리된 상태로 장착되어 있어 사용상 불편함이 따르고 설치작업시에도 공수가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랙 캐비넷의 설치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고, 도어의 개방방향을 사용자가 임의로 쉽고 빠르게 가변시킬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을 증대시킨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랙 프레임을 별도 가공하지 않고 포스트와 일체로 구성하여 조립 설치상의 편리성, 제조상의 용이성, 비용상 저렴성을 모두 달성할 수 있도록 한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다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좌,우 한 쌍의 프론트포스트와, 상기 프론트포스트와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열된 좌,우 한 쌍의 리어포스트와, 상기 프론트포스트 및 리어포스트의 각 상단에 고정되는 탑커버와, 상기 프론트포스트 및 리어포스트의 각 하단에 고정되는 바텀베이스와, 상기 프론트포스트와 리어포스트 사이에 구비되는 한 쌍의 측판과, 상기 한 쌍의 리어포스트 사이에 설치되는 후면도어와, 상기 한 쌍의 프론트포스트 사이에 조립되어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캐비넷도어를 포함하는 랙 캐비넷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프론트포스트는 개방부를 갖는 제1프론트포스트와, 상기 개방부를 밀폐하면서 제1프론트포스트에 접합되는 제2프론트포스트로 분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2프론트포스트의 상단에는 상기 탑커버가 체결되는 밀폐편이 수직절곡 또는 별도의 편으로 용접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프론트포스트의 배면에는 상기 측판의 일단이 끼워지는 'ㄷ'형상의 판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1프론트포스트가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서로 대칭되게 동일한 형상의 록킹홀이 천공형성되어 상기 캐비넷도어의 개폐방향을 임의 변경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리어포스트는 'ㄷ'형상을 갖는 제1,2리어포스트가 서로 접합되게 분할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포스트 및 리어포스트의 상단에는 상기 탑커버가 체결되는 탭플레이트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2리어포스트의 배면에는 상기 측판의 타단이 끼워지는 'ㄷ'형상의 판끼움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리어포스트가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서로 대칭되게 동일한 형상의 절곡연장편이 형성되어 상기 후면도어의 개폐방향을 임의 변경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프론트포스트의 상단을 서로 연결 고정하는 상부프론트바와, 상기 한 쌍의 리어포스트의 상단을 서로 연결 고정하는 상부리어바와, 상기 한 쌍의 프론트포스트의 하단을 서로 연결 고정하는 하부프론트바와, 상기 한 쌍의 리어포스트의 하단을 서로 연결 고정하는 하부리어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탑 커버는 상부프론트바 혹은 상부리어바와 각각 분리형, 일체형 혹은 탑커버 단독으로 결합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텀베이스의 일부에는 배선공이 천공되어 다수의 전선을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텀베이스의 저면에는 캐스터유닛을 설치하되, 상기 캐스터유닛은 상기 바텀베이스의 저면 체결고정되는 캐스터고정판과, '∩' 형상을 가지며 상기 캐스터고정판에 회전가능하게 고정축 상에 고정된 캐스터프레임과, 상기 캐스터프레임 내부에 축설되어 설치면과 구름접촉하는 캐스터와, 상기 캐스터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의 상기 고정축에 체결되어 상하로 높이 조절가능한 봉 형상의 위치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포스트의 일측면에는 록킹홀이 구비되고, 상기 캐비넷도어 상에는 잠금수단인 키뭉치와 힌지가 마련되되, 상기 키뭉치에는 록커가 구비되고, 상기 록커는 키뭉치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록킹홈 속으로 인출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는 일단과 상,하면 중 일면 막힌 'ㄷ'형 부재와, 'ㄷ'형 부재의 상,하면 중 막힌 면 상에 일체로 돌출된 힌지축으로 이루어져 유리로 된 캐비넷도어의 상단 모서리 및 하단 모서리에 끼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축과 대응되는 상부프론트바 및 하부프론트바에는 회전축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넷도어의 표면과 힌지를 구성하는 'ㄷ'형 부재 사이에는 완충재가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면도어의 하단면에는 하부 회전축이 구비되고, 상단면에는 상부 회전축이 구비되되, 상기 하부 회전축은 그보다 더 큰 반경을 갖는 원통형상의 축턱을 포함한 채 상기 후면도어의 하단면에 용접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회전축이 고정되는 지점에는 축부싱이 끼워지며, 상기 축턱은 상기 축부싱에 끼워지지 않고 걸림되어 후면도어의 하단에 공간을 형성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면도어의 하단면에는 하부 회전축이 구비되고, 상단면에는 상부 회전축이 구비되되, 상기 상부 회전축은 '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후면도어의 내부에는 'ㄱ' 형상의 축안내브라켓이 용접 또는 나사체결되고, 상기 상부 회전축의 상단은 상기 축안내브라켓을 관통한 상태에서 스프링, 체결구가 순차로 조립된 다음 상기 후면도어의 상단면을 관통하여 상부 회전축의 일부가 노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회전축 및 하부 회전축과 대응되는 상부리어바 및 하부리어바에는 회전축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프론트바 및 하부프론트바는 상기 프론트포스트와 'ㄴ' 혹은 'ㄱ' 형태로 맞춤끼움된 상태에서 상기 프론트포스트의 상단과 하단에서 나사 또는 용접 체결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랙이 걸리는 랙프레임을 포스트에 일체로 구현하여 구조를 간단히 하고, 제조 생산비용을 절감하면서 캐비넷도어의 개폐방향을 자유롭게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설치공간상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랙 캐비넷의 예시도이다.
도 2a,b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의 외관을 보인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의 예시적인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의 예시적인 측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의 예시적인 평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를 구성하는 캐비넷도어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를 구성하는 후면도어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를 구성하는 탑 커버의 설치예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를 정면에서 본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를 구성하는 서브랙 걸이대의 변형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본 고안이 설명하는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는 철을 소재로 하여 제작되기 때문에 철의 특성상 탄소함량이 높아 전성과 연성이 거의 없어 특별한 합금강이 아닌 이상 압출성형이 어려우므로 각 구성부품, 특히 포스트(Post)를 통형상으로 제작하기는 어렵다. 때문에, 본 고안에서도 기존과 동일하게 나사 체결의 용이성을 위해 포스트와 같은 부재 성형시 종방향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부재를 서로 접속시켜 체결하는 형태를 따르기로 한다.
도 2a,b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는 캐비넷도어(D)가 설치된 쪽을 프론트로 보고, 이를 기준으로 좌,우 한 쌍의 프론트포스트(100)와, 상기 프론트포스트(100)와 간격을 두고 이와 평행하게 배열된 좌,우 한 쌍의 리어포스트(200)와, 상기 한 쌍의 프론트포스트(100)의 상단을 서로 연결 고정하는 상부프론트바(300)와, 상기 한 쌍의 리어포스트(200)의 상단을 서로 연결 고정하는 상부리어바(400)와, 상기 한 쌍의 프론트포스트(100)의 하단을 서로 연결 고정하는 하부프론트바(500)와, 상기 한 쌍의 리어포스트(200)의 하단을 서로 연결 고정하는 하부리어바(600)와, 상기 프론트포스트(100) 및 리어포스트(200)의 각 상단에 고정되는 탑커버(700)와, 상기 프론트포스트(100) 및 리어포스트(200)의 각 하단에 고정되는 바텀베이스(800)와, 상기 프론트포스트(100)와 리어포스트(200) 사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측판(S1,S2)과, 상기 한 쌍의 리어포스트(200) 사이에 결합되는 후면도어(B)와, 상기 한 쌍의 프론트포스트(100) 사이에 결합되어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캐비넷도어(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후면도어(B)는 개폐가능한 구조이지만, 단순한 판상으로 끼움결합되게 하여 밀폐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본 고안 실시예에서는 후면도어(B) 형태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이때, 상기 후판도어(B)는 개폐가능한 도어 외에도 판상으로 끼움결합되어 밀폐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는데, 본 고안 실시예에서는 후면도어(B) 형태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도어는 도 2b에서와 같이, 랙 캐비넷 전방에 설치되는 전면도어인 캐비넷도어(D)와, 랙 캐비넷 후방에 설치되는 후면도어(B) 2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도시와 같이 같은 방향으로 개폐됨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서로 엇갈려 개폐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캐비넷도어(D)와 후면도어(B)는 상하로 뒤집어 달 수도 있는데, 이를 위해 특히 방열구멍(RD)이 형성된 후면도어(B)의 경우에는 뒤집어 다는데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상기 방열구멍(RD)이 상하 양쪽에 모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는 내부가 빈 사각박스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는 랙 프레임(미도시)이 수직하게 세워 설치되고, 다수의 랙(미도시)이 상기 랙 프레임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음향 기기, 통신용 장비, 네트워크, 전화국의 교환유통장비 또는 인터넷 서버(Internet Suber), 전자 장비 등을 장착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특히, 상기 바텀베이스(800)의 하면에는 직접 혹은 별도의 지지판을 통해 다수, 바람직하게는 4개의 캐스터유닛(900)이 설치됨으로써 랙 캐비넷 조립체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고, 또한 특정위치에서 유동되지 않게 위치고정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캐스터유닛(9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텀베이스(800)의 하면 혹은 이 하면에 별도 고정된 지지판 상에 체결되는 캐스터고정판(910)과, '∩' 형상을 가지며 상기 캐스터고정판(91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축(920)에 고정된 캐스터프레임(930)과, 상기 캐스터프레임(930) 내부에 축설되어 설치면과 구름접촉하는 캐스터(940)와, 상기 캐스터(940)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의 고정축(920) 상에 체결되어 상하로 높이 조절가능한 봉 형상의 위치고정부재(9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캐스터유닛(900)은 기존과 달리 캐스터(940)와 위치고정부재(940)가 한 몸체에 함께 설치되어 있어 사용상 편의성이 증대되며, 조립 설치가 용이하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장점을 가진다.
예컨대, 종래의 경우에는 캐스터와 위치고정부재가 별개로 구비된 채 간격을 두고 따로 설치되었기 때문에 이들을 조립할 때 그 만큼 조립공수가 증대되고, 체결에 따른 부자재가 증가되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이들을 하나의 몸체에 함께 구비하여 하나의 캐스터유닛(900)을 구성하게 함으로써 조립공수를 줄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키고, 부자재를 줄여 원가절감에 기여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한 쌍의 프론트포스트(10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과 하단에 각각 상부프론트바(300)와 하부프론트바(500)가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론트포스트(100)는 제1프론트포스트(100a)와 제2프론트포스트(100b)가 서로 조립되어 하나의 프론트포스트(100)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무거운 하중을 지탱하는 프론트포스트(100)의 강도를 강화시키며, 측판(S1,S2) 고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제1프론트포스트(100a)에 측판(S1,S2)의 일측단면이 끼워진 상태에서 측판(S1,S2) 쪽에서 상기 측판(S1,S2)의 일측단면을 상기 제1프론트포스트(100a)에 뚫려 있는 나사홀에 나사가 침입하여 고정된 후 그 상태에서 제2프론트포스트(100b)와 조립 고정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측판(S1,S2) 체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에도 그 목적이 있다.
다시 말해, 측판(S1,S2)이 고정된 제1프론트포스트(100a)의 개방된 부위를 제2프론트포스트(100b)가 밀폐함으로써 측판(S1,S2)을 고정한 나사가 보이지 않게 하는 역할도 하기 때문에 외관품질 및 강도를 향상시킨 하나의 프론트포스트(100)를 구현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본 고안은 상기 제2프론트포스트(100b) 제작시 서브랙이 걸릴 수 있는 서브랙 걸이대 기능을 갖도록 연장편(102, 도 5 참조)을 형성하여 서브랙 고정용 탭홀(Tab Hole)을 필요한 수량만큼 직접 가공함으로써 서브랙 걸이대를 별도로 만들 필요가 없어 매우 효율적인 조립 구조를 갖출 수 있게 되며, 원가절감 및 생산성이 향상된다.
아울러, 상기 제1프론트포스트(100a)의 단면 형상은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대략 사각형상의 일측 모서리가 'ㄱ' 형상으로 수직하게 절곡된 형상이며, 일부가 터진 개방부(104)를 이루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ㄱ' 형상으로 절곡된 부위를 갖는 면은 고정면(106a)을 이루고, 'ㄱ' 형상으로 절곡된 면은 끼움접지면(106b)을 이루며, 상기 고정면(106a)의 단부로부터 수직절곡된 후 연장되어 제1걸림면(106c)을 이루고, 상기 끼움접지면(106b)으로부터 수직절곡된 후 연장되어 전방면(106e)을 이루며, 상기 전방면(106e)으로부터 수직절곡된 후 연장되어 상기 고정면(106a)과 평행하게 외측면(106f)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핀삽입홈(110)에는 측판(S1,S2)의 일측단이 삽입되고, 삽입된 상태에서 제2프론트포스트(100b)와 나사체결된다.
또한, 상기 제2프론트포스트(100b)의 일측단, 더 정확하게는 상기 연장편(102)과 대향되는 단부에는 'ㄱ' 형상으로 절곡된 제2걸림면(106d)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2걸림면(106d)의 바깥쪽에는 상기 외측면(106f)의 단부가 배치되게 하여 외관품질을 높이면서 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접합은 용접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덧붙여, 상기 끼움접지면(106b)을 두는 이유는 나사 조립성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은 후술하는 프론트밀폐편(108)까지 일체로 구비한 형태이므로 분할을 최소화하여 조립공수를 줄이고, 조립의 편리성을 높이도록 구성된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2프론트포스트(100b)의 상단에는 수직하게 절곡되어 상기 제1프론트포스트(100a)의 개방된 상단부를 밀폐하는 프론트밀폐편(108)이 형성되는데, 상기 프론트밀폐편(108)에는 상술한 탑커버(700)가 볼트 혹은 나사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프론트밀폐편(108)은 제2프론트포스트(100b)와 일체로 형성하여 절곡할 수도 있고, 별도의 편을 용접 또는 조립 체결하는 구조로 변경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제2프론트포스트(100b)의 외측면에는 'ㄷ' 형상의 판삽입홈(110)이 형성되고, 상기 측판(S1,S2)의 일단이 상기 판삽입홈(110)에 삽입되는 구조로 조립되기 때문에 조립성이 우수하고 조립하기 편리한 장점이 크다.
아울러, 도 4와 같이, 상기 상부프론트바(300)의 양단은 상기 제1프론트포스트(100a)의 고정면(106a)과 끼움접지면(106b)이 형성하고 있는 절곡 형상과 대응되게 상부프론트바(300)의 길이방향으로 단차를 두고 프론트끼움단(310)과 프론트접지면(320)을 구성하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프론트끼움단(310)은 상기 끼움접지면(106b) 상에 접촉지지되고, 상기 프론트접지면(320)은 상기 고정면(106b) 상에 접지된 상태에서 스크류 혹은 볼트를 통해 체결 고정되며, 또한 용접방식으로 체결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하부프론트바(500)의 고정구조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고 있는데, 이는 상부프론트바(300)와 동일한 고정구조를 갖기 때문에 생략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제1프론트포스트(100a)의 길이방향 중간지점의 끼움접지면(106b) 상에는 도 1 및 도 6과 같이 일정크기의 록킹홀(120)이 직사각 모양으로 대칭되게 천공 형성되고, 상기 록킹홀(120)에는 록커(L)가 회전방향에 따라 록킹 혹은 언록킹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록커(L)는 키뭉치(K)에 연결되어 키의 회전방향에 따라 함께 회동되도록 구성되며, 주로 유리로 된 캐비넷도어(D)의 잠금수단인 키뭉치(K)와 힌지(H)의 위치를 바꾸더라도 동일한 잠금구조를 갖추어 캐비넷도어(D)의 개폐방향이 제약을 받지 않도록 상기 록킹홀(120)이 한 쌍의 제1프론트포스트(100a) 상에 대칭 형성된다.
이에 따라, 랙 캐비넷 조립체가 주로 설치공간의 모서리에 배치되는 관계로 캐비넷도어(D)의 개폐방향이 제약을 받을 수 있는데, 본 고안에서는 캐비넷도어(D)를 뒤집어 설치하면되는데, 이때에는 키뭉치(K)와 힌지(H)의 위치만 서로 바꾸어주면 개폐방향을 쉽게 바꿀 수 있어 궁극적으로 설치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고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게 된다.
아울러, 상기 힌지(H)는 키뭉치(K)와 반대쪽에 설치되어 상기 캐비넷도어(D)의 회전중심이 되는데, 이 경우 상기 힌지(H)는 도 6 및 도 7에 예시된 사시도에서와 같이, 일단과 상,하면 중 일면 막힌 'ㄷ'형 부재(H1)와, 'ㄷ'형 부재(H1)의 상,하면 중 막힌 면 상에 일체로 돌출된 힌지축(H2)으로 이루어져 유리로 된 캐비넷도어(D)의 상단 모서리 및 하단 모서리에 끼우게 되면 'ㄷ'형 부재(H1)와 캐비넷도어(D)의 끝단면이 만나는 모서리 지점의 일단이 막혀 있으므로 자동으로 설치위치가 특정되어 설치하기 쉽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ㄷ'형 부재(H1)의 양측면에 형성된 힌지공(H3)을 통해 캐비넷도어(D)를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볼트체결하게 되면 쉽고 빠르게 힌지(H)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힌지(H)가 유리인 캐비넷도어(D)와 직접 접촉하게 되면 깨질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유리인 캐비넷도어(D)의 표면과 힌지(H)를 구성하는 'ㄷ'형 부재(H1)의 홈에는 신축성 소재, 바람직하기로는 고무나 플라스틱 등 신축성 소재로 된 완충재(H4)가 개재될 수 있는데 캐비넷도어(D)를 기준으로 양측 모두에 개재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느 일측에만 개재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고, 양면접착제가 부착될 수도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힌지축(H2)은 부싱(H5)을 통해 회전지지될 수 있으며, 부싱(H5)은 하부프론트바(500)에 형성된 회전축홀(ZR1)에 끼워질 수 있다.
물론, 상기 하부프론트바(5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회전축홀(ZR1)이 도시하지 않았지만 바텀베이스(800)에 형성되면 된다.
또한, 캐비넷도어(D)의 상측에 형성된 힌지축(H2)은 상부프론트바(300)에 형성된 회전축홀(ZR2)에 끼워지며, 만약 상부프론트바(3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탑 커버(700)에 상기 회전축홀(ZR2)이 형성되면 된다.
다른 한편, 상기 한 쌍의 리어포스트(20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과 하단에 각각 상부리어바(400)와 하부리어바(600)가 나사체결이나 혹은 용접방식으로 체결된다.
이 경우에도, 상부리어바(400)와 하부리어바(600)는 조립구조가 동일하므로 어느 하나만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리어포스트(200)는 대략 'ㄷ'형 단면을 갖는 제1,2리어포스트(200a,200b) 2개로 분할형성되고, 이들이 용접 등의 방식으로 접합되어 하나의 리어포스트(200)를 구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리어포스트(200a)는 'ㄷ' 형상으로 절곡된 양단중 어느 일단이 바깥쪽으로 수직절곡되어 절곡연장편(210)을 구성하며, 절곡연장편(210)에는 상부리어바(400)의 일단에 마련된 리어접속편(410)이 맞대어진 상태에서 나사 혹은 볼트 체결되거나 혹은 용접체결 된다.
특히, 상기 절곡연장편(210)은 도 6의 예시에서와 같이, 후면도어(B)의 잠금부재(220)와 힌지축(230a,230b)의 위치를 바꾸더라도 동일한 잠금구조를 갖추어 후면도어(B)의 개폐방향이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한 쌍의 제1리어포스트(200a)에 대칭되게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잠금부재(220)에는 잠금자(222)가 구비되고, 상기 잠금자(222)는 상기 잠금부재(22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절곡연장편(210)에 걸리거나 혹은 걸리지 않게 되어 록킹 혹은 언록킹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힌지축(230a,230b)은 잠금부재(220)와 반대쪽에 설치되어 상기 후면도어(B)의 회전중심이 된다.
이 경우,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회전축(230a,230b)은 앞서 설명한 힌지(H)와 달리, 하부 회전축(230a)과 상부 회전축(230b)으로 분할되며, 이들은 서로 다른 구조를 갖는다.
예컨대, 하부 회전축(230a)은 그보다 더 큰 반경을 갖는 원통형상의 축턱(232)을 포함한 채 상기 후면도어(B)의 하단면에 용접고정된다.
물론, 축부싱(234)이 존재하기 때문에 기본적인 간격이 유지되므로 축턱(232)이 없어도 된다. 따라서, 하부 회전축(230a)의 축턱(232)과 축부싱(234)은 둘 중 그 역할에 따라 한가지만 사용할 수도 있고, 모두 적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리어바(600) 상에는 회전축홈(YB1)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홈(YB1)에는 축부싱(234)이 끼워지며, 상기 하부 회전축(230a)은 상기 축부싱(234)에 끼워져 회전가능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축부싱(234)은 필요에 따라 삭제될 수도 있다. 즉, 축부싱(234)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하부 회전축(230a)이 상기 회전축홈(YB1)에 직접 끼워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축턱(232)은 상기 축부싱(234)에 끼워지지 않고 걸림됨으로써 상기 하부리어바(600)의 상면과 상기 후면도어(B)의 하단 사이에 간격을 유지시킴으로써 상기 후면도어(B)가 하부리어바(600)의 상단면과 마찰접촉하지 않으면서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아울러, 만약 하부리어바(6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회전축홈(YB1)은 바텀베이스(800)에 형성되면 된다.
반면, 상부 회전축(230b)은 대략 'ㄴ' 형상으로 형성되며, 수직한 부분의 길이 일부, 즉 상단으로부터 일정길이 떨어진 지점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나사산이 형성된 구조를 갖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회전축(230b)이 끼워질 위치의 후면도어(B) 상단면에는 후면도어축공(236a)이 관통형성되고, 후면도어(B)의 내부에는 'ㄱ' 형상의 축안내브라켓(236b)이 용접 또는 나사체결되어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후면도어축공(236a)과 일치되는 수직직선상의 축안내브라켓(236b)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 회전축(230b)의 수직부 상단이 끼워지고, 그 상태에서 스프링(236c)이 끼워지며, 스프링(236c) 상부로 체결구(236d)가 끼워진 다음 상기 체결구(236d)는 상부 회전축(230b)의 나사산에 나사체결되거나 용접 또는 압입체결될 수도 있다.
이 상태에서, 상부 회전축(230b)의 상단을 누르면 스프링(236c)이 압축되면서 상부 회전축(230b)은 하향이동하게 되므로 이때 상부 회전축(230b)의 상단을 후면도어축공(236a)에 일치시킨다.
그러면, 스프링(236c)의 탄성복귀력 때문에 체결구(236d)가 밀려 올라가면서 상부 회전축(230b)의 상단이 후면도어축공(236a)을 관통하여 노출됨으로써 후면도어(B)의 상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회전축(230b)은 상부리어바(400)에 형성된 회전축홈(YB2)에 끼워져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데, 만약 상부리어바(4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탑 커버(700) 상에 상기 회전축홈(YB2)을 형성하면 된다.
이 경우, 상기 스프링(236c)의 일단은 상기 축안내브라켓(236b)의 상단에 걸려 있고, 타단은 상기 체결구(236d)의 하단에 걸려 있으므로 고정된 상태인 축안내브라켓(236b)에 반해 유동가능한 상태인 체결구(236d)는 스프링(236c)의 힘에 밀려 올라가면서 상부 회전축(230b) 자체를 끌어 올리게 되며, 최종적으로 끌려 올라간 상태가 도시와 같이 상부 회전축(230b)의 상단이 후면도어(B)의 상단면으로부터 일정길이 돌출된 형태이다.
한편,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상부 회전축(230b)은 후면도어(B)의 개폐방향 제약으로 인해 뒤집어 설치할 경우, 하부 회전축(230a)에 있는 축턱(232)이 없음으로 인해 상기 하부리어바(600)의 상면과 상기 후면도어(B)의 하단 사이에 간격을 유지시킬 수 없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것은 하부 회전축(230a)과 달리 축턱(232)이 없는 구조이기 때문인데, 따라서 후면도어(B)를 뒤집어 설치할 때에는 하부 회전축(230a)에 조립된 축부싱(234)과 같은 역할을 하는 별도의 부싱(미도시)을 상부 회전축(230b)에 끼운 다음 하측에 설치하게 되면 부싱은 상기 축턱(232)의 역할을 그대로 담당하기 때문에 후면도어(B)를 열고 닫는데 지장을 주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리어포스트(200)의 개방된 상부는 탭 플레이트(420)에 의해 밀폐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2리어포스트(200b)의 비절곡면에는 바깥방향으로 'ㄷ' 형상의 판끼움홈(240)이 형성되며, 상기 판끼움홈(240)에는 측판(S1,S2)의 일단이 각각 끼워진다.
또다른 한편, 상기 탑커버(7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론트포스트(100) 및 리어포스트(200)의 상단에서 밀폐편(108) 및 탭플레이트(420) 각각에 나사체결됨으로서 견고히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바텀베이스(800)는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일부가 천공되어 배선공(810)이 형성되는데, 상기 배선공(810)은 다수의 전선이 인출 배선되기 위한 구멍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4개의 포스트를 기준으로 측판(S1,S2)을 끼우고 탑커버(700) 및 바텀베이스(800)를 얹은 후 나사체결만 하면 아주 쉽고 빠르게 조립체를 구성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캐비넷도어(D) 혹은 후면도어(B)의 개폐방향을 사용자가 필요시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도록 떼고 붙이기 쉬워 사용상 편의성이 증대되는 장점도 있다.
특히, 캐스터(940)와 위치고정부재(950)를 일체화시켜 하나의 캐스터유닛(900)에 포함시킴으로써 제조공수를 줄이고, 작업효율화를 증대시키는 장점도 있다.
뿐만 아니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 커버(700)는 상부프론트바(300) 혹은 상부리어바(400)와 각각 분리형, 일체형 혹은 탑커버(700) 단독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것은 사양에 따라 탑 커버(700) 만을 직접 프론트포스트(100) 및 리어포스트(200)에 체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혹은 상부프론트바(300)와 상부리어바(400)를 갖춘 상태에서 탑 커버(700)를 체결할 수도 있으며, 혹은 이들 바(300,400)가 탑 커버(700)와 일체로 구성된 상태에서 한번에 조립 체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 10에서와 같이, 연장편(102)은 곧, 서브랙을 고정하기 위한 서브랙 걸이대로 활용되기 때문에 기존처럼 서브랙 걸이를 위해 별도의 브라켓 등 부재를 갖출 필요가 없어 매우 효율적이다.
한편, 도 10 및 11에서와 같이, 서브랙 고정을 위한 상기 연장편(102)은 그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이것은 연장편(102)에 서브랙걸이구멍(GV)을 뚫고 탭(TAP)을 가공할 때 탭을 잘못 뚫게 되어 나사가 망가지거나 도 1에서 처럼 서브랙(20)을 고정 또는 분리하는 과정에서 나사(17, 도 1 참고)를 여러번 풀었다 조였다 할 경우 탭이 망가지게 되면 제2프론트포스트(100b) 전체를 버리고 다시 가공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더구나, 서브랙걸이구멍(GV)은 랙 캐비넷의 높이에 따라 그 수량이 달라지는데, 예를 들어 33U(1U=44.45mm) 높이의 랙 캐비넷을 기준으로 하면 서브랙걸이구멍(GV)이 보통 99개에 이르는데, 실수로 탭을 한 개라도 잘못 뚫을 경우, 제2프론트포스트(100b)의 원자재를 버리고 재작업을 해야 하므로 재료 낭비가 심하고 작업부하가 급증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연장편(102)에 탭(나사구멍)을 뚫을 때 작업불량이나 오류가 나면 절취선(TR)을 따라 연장편(102)을 절단하고, 연장편(102)이 잘린 제2프론트포스트(100b)의 단부에 서브랙가고정구(PTA)를 연결 설치함으로써 제2프론트포스트(100b)를 폐기하지 않고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비용과 시간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다.
이때, 상기 서브랙가고정구(PTA)는 내부에 슬라이드홈(SUM)이 형성된 브라켓 형태로서, 외부 일측에는 에이치 형상의 조립슬라이드홈(hom)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립슬라이드홈(hom)은 연장편(102)이 잘린 제2프론트포스트(100b)의 단부에 끼워지고, 고정구체결볼트(BLT)를 이용하여 포스트체결공(bb)과 고정구체결공(aa)에 끼워 체결하게 된다.
그런 다음, 서브랙걸이구멍(GV)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서브랙걸이편(CTA)을 상기 슬라이드홈(SUM)에 여러개 끼워 넣어 절단되기전 연장편(102)과 동일한 상태를 만들어 서브랙걸이편(CTA)에 뚫려 있는 서브랙걸이구멍(GV)에 서브랙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서브랙걸이편(CTA)는 일정길이를 갖는 다수의 편을 수직으로 일직선을 유지한 채 슬라이드홈(SUM)에 필요한 수량만큼 일렬로 끼워 넣어 적층하는 형태로 조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작업오류가 발생하더라도 제2프론트포스트(100b)를 버리지 않고 재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효율적이다.
100: 프론트포스트 200: 리어포스트
300: 상부프론트바 400: 상부리어바
500: 하부프론트바 600: 하부리어바
700: 탑커버 800: 바텀베이스
900: 캐스터유닛

Claims (21)

  1. 좌,우 한 쌍의 프론트포스트와, 상기 프론트포스트와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열된 좌,우 한 쌍의 리어포스트와, 상기 프론트포스트 및 리어포스트의 각 상단에 고정되는 탑커버와, 상기 프론트포스트 및 리어포스트의 각 하단에 고정되는 바텀베이스와, 상기 프론트포스트와 리어포스트 사이에 구비되는 한 쌍의 측판과, 상기 한 쌍의 리어포스트 사이에 설치되는 후면도어와, 상기 한 쌍의 프론트포스트 사이에 조립되어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캐비넷도어를 포함하는 랙 캐비넷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프론트포스트는 개방부를 갖는 제1프론트포스트와, 상기 개방부를 밀폐하면서 제1프론트포스트에 접합되는 제2프론트포스트로 분할 형성되며,
    상기 후면도어의 하단면에는 하부 회전축이 구비되고, 상단면에는 상부 회전축이 구비되되, 상기 상부 회전축은 '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후면도어의 내부에는 'ㄱ' 형상의 축안내브라켓이 용접 또는 나사체결되고, 상기 상부 회전축의 상단은 상기 축안내브라켓을 관통한 상태에서 스프링, 체결구가 순차로 조립된 다음 상기 후면도어의 상단면을 관통하여 상부 회전축의 일부가 노출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프론트포스트의 상단에는 상기 탑커버가 체결되는 밀폐편이 수직절곡 또는 별도의 편으로 용접된 형태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프론트포스트의 배면에는 상기 측판의 일단이 끼워지는 'ㄷ'형상의 판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프론트포스트가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서로 대칭되게 동일한 형상의 록킹홀이 천공형성되어 상기 캐비넷도어의 개폐방향을 임의 변경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리어포스트는 'ㄷ'형상을 갖는 제1,2리어포스트가 서로 접합되게 분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포스트 및 리어포스트의 상단에는 상기 탑커버가 체결되는 탭플레이트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리어포스트의 배면에는 상기 측판의 타단이 끼워지는 'ㄷ'형상의 판끼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리어포스트가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서로 대칭되게 동일한 형상의 절곡연장편이 형성되어 상기 후면도어의 개폐방향을 임의 변경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프론트포스트의 상단을 서로 연결 고정하는 상부프론트바와, 상기 한 쌍의 리어포스트의 상단을 서로 연결 고정하는 상부리어바와, 상기 한 쌍의 프론트포스트의 하단을 서로 연결 고정하는 하부프론트바와, 상기 한 쌍의 리어포스트의 하단을 서로 연결 고정하는 하부리어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탑 커버는 상부프론트바 혹은 상부리어바와 각각 분리형, 일체형 혹은 탑커버 단독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텀베이스의 일부에는 배선공이 천공되어 다수의 전선을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텀베이스의 저면에는 캐스터유닛을 설치하되, 상기 캐스터유닛은 상기 바텀베이스의 저면 체결고정되는 캐스터고정판과, '∩' 형상을 가지며 상기 캐스터고정판에 회전가능하게 고정축 상에 고정된 캐스터프레임과, 상기 캐스터프레임 내부에 축설되어 설치면과 구름접촉하는 캐스터와, 상기 캐스터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의 상기 고정축에 체결되어 상하로 높이 조절가능한 봉 형상의 위치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포스트의 일측면에는 록킹홀이 구비되고, 상기 캐비넷도어 상에는 잠금수단인 키뭉치와 힌지가 마련되되, 상기 키뭉치에는 록커가 구비되고, 상기 록커는 키뭉치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록킹홀 속으로 인출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힌지는 일단과 상,하면 중 일면 막힌 'ㄷ'형 부재와, 'ㄷ'형 부재의 상,하면 중 막힌 면 상에 일체로 돌출된 힌지축으로 이루어져 유리로 된 캐비넷도어의 상단 모서리 및 하단 모서리에 끼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도어의 표면과 힌지를 구성하는 'ㄷ'형 부재 사이에는 완충재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과 대응되는 상부프론트바 및 하부프론트바에는 회전축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면도어의 하단면에는 하부 회전축이 구비되고, 상단면에는 상부 회전축이 구비되되, 상기 하부 회전축은 그보다 더 큰 반경을 갖는 원통형상의 축턱을 포함한 채 상기 후면도어의 하단면에 용접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하부 회전축이 고정되는 지점에는 축부싱이 끼워지며, 상기 축턱은 상기 축부싱에 끼워지지 않고 걸림되어 후면도어의 하단에 공간을 형성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
  19. 삭제
  2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회전축 및 하부 회전축과 대응되는 상부리어바 및 하부리어바에는 회전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
  2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론트바 및 하부프론트바는 상기 프론트포스트와 'ㄴ' 혹은 'ㄱ' 형태로 맞춤끼움된 상태에서 상기 프론트포스트의 상단과 하단에서 나사 또는 용접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
KR2020150001896U 2015-03-25 2015-03-25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 KR2004845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896U KR200484504Y1 (ko) 2015-03-25 2015-03-25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896U KR200484504Y1 (ko) 2015-03-25 2015-03-25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412U KR20160003412U (ko) 2016-10-06
KR200484504Y1 true KR200484504Y1 (ko) 2017-09-13

Family

ID=57139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1896U KR200484504Y1 (ko) 2015-03-25 2015-03-25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50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538Y1 (ko) * 2018-12-10 2020-11-02 대신정밀 주식회사 통신기기용 랙
KR102249548B1 (ko) * 2020-11-12 2021-05-07 (주)인터클러스터시스템 It 시스템 장비
KR102491695B1 (ko) * 2022-10-11 2023-01-27 주식회사 사미텍 데이터 가공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1819B1 (ko) * 1993-10-23 2000-02-01 뮬러 노베르트 스위칭 캐비넷용 래크골조(骨組)
KR200210876Y1 (ko) * 2000-07-20 2001-01-15 동해기전산업주식회사 차단판을 구비한 랙
KR200219409Y1 (ko) * 2000-10-10 2001-04-02 박우희 다용도 조립식 수납 케이스
JP2002130924A (ja) * 2000-10-31 2002-05-09 Sharp Corp 扉開閉機構
JP2002271044A (ja) * 2001-03-13 2002-09-20 Ricoh Co Ltd 事務機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1819B1 (ko) * 1993-10-23 2000-02-01 뮬러 노베르트 스위칭 캐비넷용 래크골조(骨組)
KR200210876Y1 (ko) * 2000-07-20 2001-01-15 동해기전산업주식회사 차단판을 구비한 랙
KR200219409Y1 (ko) * 2000-10-10 2001-04-02 박우희 다용도 조립식 수납 케이스
JP2002130924A (ja) * 2000-10-31 2002-05-09 Sharp Corp 扉開閉機構
JP2002271044A (ja) * 2001-03-13 2002-09-20 Ricoh Co Ltd 事務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412U (ko) 2016-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67073C2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ая металлическая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электрических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ых шкафов/щитов
US8033406B2 (en) Equipment enclosure kit and assembly method
US8607996B2 (en) Server cabinet and server cabinet assembly
US6123203A (en) System and method for mounting a computer system component within a housing
US8668283B2 (en) Electronic device enclosure assembly
US5407263A (en) Restructurable enclosure with multi-purpose mounting blocks
US9635776B2 (en) Cabinet
KR200484504Y1 (ko)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
EP3075940B1 (en) Corner connection device of shower door track, shower door frame and shower door
US20110012489A1 (en) Rack system
US20150282349A1 (en) Equipment rack bracing
US20020153814A1 (en) Storage cabinet for electronic components
EP3075939B1 (en) Corner connection device of shower door track, shower door frame and shower door
KR200484505Y1 (ko) 알루미늄 랙 캐비넷 조립체
EP2983459B1 (en) Cabinet and cabinet group having same
EP1508190A2 (en) A cabinet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KR101823046B1 (ko) 철제 랙 캐비넷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0488120Y1 (ko) 철제 랙 캐비넷 조립체
US20030056321A1 (en) Door hinge with positioning feature and method
CN102458066A (zh) 服务器机柜
US20160037919A1 (en) Secure Rack-Based Storage Enclosure
US9946044B1 (en) Equipment cabinet with movable stile
EP1956692A1 (en) Upright for electrical switchboard
US6081968A (en) Door hinge assembly with fixed pivot pin for an enclosure for electrical apparatus and enclosure incorporating same
CN219421261U (zh) 一种散热型网络机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