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052U - 장신구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장신구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052U
KR20180000052U KR2020160003689U KR20160003689U KR20180000052U KR 20180000052 U KR20180000052 U KR 20180000052U KR 2020160003689 U KR2020160003689 U KR 2020160003689U KR 20160003689 U KR20160003689 U KR 20160003689U KR 20180000052 U KR20180000052 U KR 2018000005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hole
case
lock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36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호
Original Assignee
이석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석호 filed Critical 이석호
Priority to KR20201600036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0052U/ko
Publication of KR201800000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05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1/00Watch chains; Ornamental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0/00General types of fasteners
    • A44D2200/10Details of construction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장신구 잠금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장신구 잠금장치는 체인의 일측에 잠금구를 구비하되 잠금구를 금속과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단단한 재질로 구성되며 상하부에 홀이 형성된 중공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충전되고 상기 체인이 통과하는 체인통과홀을 형성한 탄성을 갖는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체인의 일단이 상기 케이스의 상부 홀과 상기 수지의 체인통과홀 그리고 상기 케이스의 하부홀을 통과하여 체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간단한 구조이기 때문에 목걸이와 팔찌와 같은 잠금구를 체인에서 손쉽게 탈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장신구 잠금장치{AN ACCESSARY LOCK DEVICE}
본 고안은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신구에 잠금구를 구비하고, 잠금구 내로 통과하는 장신구의 체인이 잠금구 내의 탄성 재질에 의하여 길이 조절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신구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걸이, 팔찌, 발찌 등의 장신구는 장신구 본체의 일단에 체결구가 마련되고 장신구 본체의 타단에 체결구와 대응되는 체결편이 마련되며, 장신구 본체를 목이나 팔, 발에 두른 다음 후 체결구와 체결편을 체결함으로써 착용하는 형태의 것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장신구의 체결구는 체결편의 체결구멍을 끼울 수 있도록 개구부가 마련되고, 스프링으로 탄성 지지되는 개폐돌기를 통해 상기 개구부의 탄성 개폐하는 고리형의 것 등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체인에 직접 체결편을 체결하는 것은 쉽지 않다.
즉 목걸이를 착용한 뒤 목뒤에서 체결구와 체결편을 결합한다는 것이 어려운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 종래의 잠금장치가 도 1에 개시되어 있다.
도 1 을 참고하면, 장신구 잠금장치는 체결부(10), 탄성스프링(20), 이탈방지바(30), 잠금부(40)를 포함하고, 양단부에 체인(11)을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체결부(10)는 목걸이, 팔찌 및 시계줄 등의 장신구 체인(11) 일측 단부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서 몸체의 선단부는 구형으로 형성되고, 후단은 상기 구형의 선단부보다 작은 직경의 원통형이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원통형의 몸체 외면에 걸림홈(10a)이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탄성스프링(20)의 내주면이 삽입되어 체결된다. 상기 체결부(10)는 상기 체인(11)의 양단을 용이하게 결착시킬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착용하였을 때 아름다움과 세련된 미를 강화하기 위해서 상기 체결부(10)의 선단은 진주를 가공하여 제조할 수 있다.
탄성스프링(20)은 평면상으로 내경이 확장형성되어, 내주면은 상기 걸림홈(10a)에 체결되고, 외주면은 상기 체인(11)에 형성된 걸림홈(20a)에 용이하게 체결되어 탄성작용으로 인해 상기 체결부(10)를 수직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탈방지바(30)는 긴 원통상의 바(bar)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10)의 원통형 몸체 일측에 관통되며, 상기 체인(11)의 걸림홈(20a) 하단에 형성된 가이드홈(30a)에 설치되어 상기 체결부(10)의 유동을 제어하여 상기 체인(11)으로부터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잠금부(40)는 상기 체인(11)의 타단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10)와 결합되도록 몸체 내부에 공간부(40a)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10)와 끼움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잠금부(40)의 공간부(40a) 내면과 상기 체결부(10)의 접촉면에 영구자석을 안치하여 상기 체결부(10)와 상기 잠금부(40)의 결속을 강화할 수 있다고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잠금장치는 단단하게 잠금 기능은 할 수 있으나, 구조가 복잡하여 착용이 어려워 사용하기가 불편하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04869호(2014.08.29)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내부에 실리콘이 충전된 탄성을 갖는 잠금구를 이용하여 길이 조정한 상태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장신구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잠금구 일측에 잠금링을 고정하고, 잠금링에 잠금고리를 걸어 체결할 수 있는 장신구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장신구 잠금장치는 체인의 일측에 잠금구를 구비하되 잠금구를 금속과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단단한 재질로 구성되며 상하부에 홀이 형성된 중공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충전되고 상기 체인이 통과하는 체인통과홀을 형성한 탄성을 갖는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체인의 일단이 상기 케이스의 상부 홀과 상기 수지의 체인통과홀 그리고 상기 케이스의 하부홀을 통과하여 체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잠금구는 일단에 연결고리를 구비하고, 상기 체인의 일단이 상기 연결고리에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체인의 일단에 체결구를 구비하여 상기 연결고리에 상기 체결구를 탈착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의 상부홀의 폭(t1)이 상기 수지의 체인통과홀의 폭(t3)보다 크고, 상기 케이스의 상부홀의 폭(t1)은 체인의 최대 폭(t4)보다 크고, 상기 수지의 체인통과홀의 폭(t3)은 체인의 최대폭(t4)보다 같거나 작게 형성하고, 체인통과홀은 상부에서 하부로 물결무늬로 굴곡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장신구 잠금장치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이기 때문에 목걸이와 팔찌와 같은 잠금구를 체인에서 손쉽게 탈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잠금장치에 의하면, 내부에 실리콘과 같은 탄성 부재를 충전하였기 때문에 길이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탄성부재에 의하여 길이 조절된 상태를 지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장신구 잠금장치에 의하면, 잠금구 일측에 잠금링을 고정하고, 잠금링에 잠금고리를 걸어 체결할 수 있기 때문에 일차로 잠금구를 사용하여 길이를 조절하고 2차로 잠금고리를 이용하여 체인을 탈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장신구 잠금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장신구 잠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잠금구의 확대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잠금구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잠금구를 확대도시한 단면도,
그리고,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잠금구의 확대사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장신구 체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잠금구의 확대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잠금구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장신구 잠금장치(100)는 체인(10)이 상하로 유동되는 잠금구(100)를 체인(10)의 일측에 구비하고, 체인의 일단(10)은 잠금구(100)와 결합되어, 잠금구(100)내에서 체인(10)이 유동되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잠금구(100) 내부에 충전된 부재에 의하여 길이 조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를 위하여 잠금구(100)는 케이스(110) 내부에 탄성이 있는 수지(130)를 충전하고, 케이스(110)와 수지(130)를 체인(10)이 통과되도록 하고, 수지(130)의 탄성에 의하여 체인(10)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케이스(110)는 상부홀(121)과 하부홀(122)을 구비하고, 속이 빈 중공의 형상이며, 금속과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단단한 재질로 구성한다.
또한, 케이스(110)는 충전된 수지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만 가지면 되기 때문에 그 재질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이러한 중공의 케이스(110) 내부에는 탄성을 갖는 수지(130)를 충전하되, 그 중앙에 체인이 통과하는 체인통과홀(120)을 형성한다.
또한, 체인통과홀(120)은 상부에서 하부로 물결무늬로 굴곡되게 형성하거나, 좌우가 요철된 형상을 갖게 하여, 체인통과홀(120)을 중심으로한 수지(130)의 탄성이 체인(10)을 압박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수지(130)는 유연성과 탄성을 갖도록 하고 자기 복원 가능한 폴리에스터 수지나 우레탄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는 수지의 탄성과 복원력에 의하여 체인을 외부에서 압력을 가하여 당기거나 밀면 체인은 체인통과홀내에서 상하로 유동되나, 외부에서 압력을 해제하여 정지하였을 때는 수지의 탄성이 체인을 압박하여 체인(10)이 유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본 고안은 잠금구(100)내에서 체인(10)을 유동시키고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므로, 체인(10)의 여러 형상 중 가장 넓은 폭보다 체인통과홀(120)의 직경이 같거나 작아야 수지의 탄성을 이용하여 체인을 유동시키고 압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의 본 고안의 잠금구를 확대도시한 단면도를 참고하면, 케이스(110)의 상부홀의 폭(t2)이 수지(130)의 체인통과홀(120)의 폭(t3)보다 크고, 케이스(110)의 상부홀의 폭(t2)은 체인(10)의 최대 폭(t4)보다 크고, 수지(130)의 체인통과홀(120)의 폭(t3)은 체인(10)의 최대폭(t4)보다 같거나 작게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체인(10)이 케이스(110)를 보다 쉽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고, 체인(10)의 유동으로 케이스(110)에 손상을 입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하부홀(121,122)은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은 상광하협 형상으로 구성한다.
도 5를 참고하면, 상부폭(t1)이 하부폭(t2)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잠금구(100)의 외주면 일측에는 고리형상의 연결고리(140)를 형성하여 체인(10)의 일단을 결합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목걸이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체인의 일단과 잠금구의 결합방식은 도 3과 같이 고리로 서로 연결하여 결합하거나 또는 직접 잠금구의 외주면에 체인의 일단을 직접 용접하여 결합할 수도 있으며, 체인(10)의 일단에 체결구를 연결하여, 체결구가 연결고리(140)에서 탈착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잠금구의 확대사시도를 참고하면, 잠금구의 케이스(110) 외주면에 형성된 연결고리(140)에 체인(10)의 일단에 결합된 체결구(160)가 탈착되도록 한 것이다.
도면에서는 잠금구(100)의 형상이 작은 경우 연결고리(140)도 미관상 작을 수밖에 없으므로, 연결고리(140)보다 직경이 넓은 보충 고리(150)를 연결고리(140)와 결합하여 보다 손쉽게 체결구(160)가 잠금구에서 탈착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본 고안의 잠금구가 구비된 체인만 판매하는 경우에는 잠금구(100)를 통과한 체인의 일단이 외부의 충격이나 외력에 의하여 빠질 수가 있으므로, 도 2에서와 같이 보석(300)을 결합하기 전에는 빠짐방지용 고리(210)를 체인의 타단에 구비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구성의 본 고안의 장신구 잠금장치를 목걸이에 적용한 경우 사용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보석(300)이 빠짐방지용 고리(210)에 결합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체인(10)에 장식할 보석(300)을 고리(210)에 결합한다.
이후, 착용자의 신체(머리)를 참고하여 잠금구의 케이스(110)를 한손으로 파지하고, 원형의 체인 일단을 다른 손으로 파지한 다음 착용자의 머리가 충분히 들어갈 수 있을 정도로 체인을 늘린 다음 착용한다.
착용이 완료되면 적절한 높이로 보석(300)이 착용자의 목 주위에 위치할 수 있도록 다시 체인을 상하로 조절하여 길이 조정을 완료한다.
한편 도 6에서와 같이 체결구(160)가 구비된 경우에는 한손은 잠금구를 파지하고 다른 손은 체결구(160)를 파지하여 체인을 목에 감싼 다음, 잠금구의 연결고리(140)에 체결구(160)가 체결되도록 하여 1차로 길이 조정을 완료한다.
이때, 보충고리(150)가 구비된 경우에는 체결구(160)가 보충고리(150)에 체결되게 한다.
이후, 2차로, 잠금구(100)를 한손으로 파지하고, 보석이 연결된 체인(10)을 다른 손으로 파지한 다음, 잠금구(100)를 통한 체인(10)을 잡아 당기는 미세 조정을 통하여 보석이 적절한 위치에 오도록 조절하면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잠금구 110 : 케이스
120 : 체인통과홀 130 : 수지
140 : 연결고리 150 : 보충고리
160 : 체결구 210 : 고리
300 : 보석

Claims (4)

  1. 체인의 일측에 잠금구를 구비한 장신구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잠금구는
    금속과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단단한 재질로 구성되며 상하부에 홀이 형성된 중공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충전되고 상기 체인이 통과하는 체인통과홀을 형성한 탄성을 갖는 수지;
    를 포함하고, 상기 체인의 일단이 상기 케이스의 상부 홀과 상기 수지의 체인통과홀 그리고 상기 케이스의 하부홀을 통과하여 체결되는 장신구 잠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잠금구는
    일단에 연결고리를 구비하고, 상기 체인의 일단이 상기 연결고리에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체인의 일단에 체결구를 구비하여 상기 연결고리에 상기 체결구를 탈착하도록 구성된 장신구 잠금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부홀의 폭(t2)이 상기 수지의 체인통과홀의 폭(t3)보다 크고, 상기 케이스의 상부홀의 폭(t2)은 체인의 최대 폭(t4)보다 크고, 상기 수지의 체인통과홀의 폭(t3)은 체인의 최대폭(t4)보다 같거나 작게 형성되는 장신구 잠금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인통과홀은 상부에서 하부로 물결무늬로 굴곡되어 있는 장신구 잠금장치.










KR2020160003689U 2016-06-27 2016-06-27 장신구 잠금장치 KR2018000005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689U KR20180000052U (ko) 2016-06-27 2016-06-27 장신구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689U KR20180000052U (ko) 2016-06-27 2016-06-27 장신구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052U true KR20180000052U (ko) 2018-01-04

Family

ID=61275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3689U KR20180000052U (ko) 2016-06-27 2016-06-27 장신구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0052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4869A (ko) 2013-02-21 2014-08-29 가야대학교 산학협력단 장신구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4869A (ko) 2013-02-21 2014-08-29 가야대학교 산학협력단 장신구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89076A1 (en) Accessory and fastener therefore
EP2854588B1 (en) Interchangeable strap closure system for footwear
US9289035B2 (en) Self-adjustable jewelry clasp
KR101535640B1 (ko) 체결이 용이한 장신구용 결합장치
KR20180003543U (ko) 장신구용 줄의 길이조절 장치
KR20180000052U (ko) 장신구 잠금장치
US20060144082A1 (en) Neck ornament
US605318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ing jewelry to hair
KR101680244B1 (ko) 장신구용 결합장치
KR200474073Y1 (ko) 장식체의 교체 및 위치 조절이 용이한 장신구.
US20050247079A1 (en) Jewelry ornament
JPWO2002065868A1 (ja) 装身具
US8201417B1 (en) Jewelry mount with safety catch
JP2020528326A (ja) 過剰な部分を留め付けるための装置を備えるベルト及びストラップ
JP5819720B2 (ja) 装身具
KR101698416B1 (ko) 스프링에 의한 복원력을 가지는 장식용 팔찌
US20170231334A1 (en) Jewelry Clasp
KR102358960B1 (ko) 장신구용 체결구
KR200465134Y1 (ko) 다용도 장신구
CN215381912U (zh) 一种硅胶内环锁链扣的手链
KR101914552B1 (ko) 장신구용 결합장치
KR102228160B1 (ko) 장신구 줄 체결구
KR101842939B1 (ko) 착용성 및 체결력이 우수한 팔찌용 힌지부의 체결구조
KR101965641B1 (ko) 스마트 주얼리
JP3115496U (ja) ピアスイヤリン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