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3224A - 생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한 이상 상황 판단 및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생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한 이상 상황 판단 및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3224A
KR20170143224A KR1020160077147A KR20160077147A KR20170143224A KR 20170143224 A KR20170143224 A KR 20170143224A KR 1020160077147 A KR1020160077147 A KR 1020160077147A KR 20160077147 A KR20160077147 A KR 20160077147A KR 20170143224 A KR20170143224 A KR 20170143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normal situation
wearer
biometric information
occurred
wearab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7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2091B1 (ko
Inventor
이지환
우현택
최영환
Original Assignee
(주)비젼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젼아이티 filed Critical (주)비젼아이티
Priority to KR1020160077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2091B1/ko
Publication of KR20170143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3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2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2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8Capturing isolated or intermittent images triggered by the occurrence of a predetermined event, e.g. an object reaching a predetermin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06K9/00335
    • G06K9/0088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sychiatr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한 이상 상황 판단 및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입력되는 착용자의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예비 이상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예비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만, CCTV 기기를 제어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 주변의 촬영 영상을 전송받아 저장함과 동시에,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최종 이상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며, 최종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만, CCTV 기기로부터 전송받아 저장된 영상 정보를 저장 유지하고, 이 영상 정보와 이상 상황 발생에 관련된 생체 정보를 관리자 또는 보호자에제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영상 정보 저장 장치 구축을 위한 비용을 절감하면서, 웨어러블 디바이스 착용자의 이상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이상 상황 발생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으며, 웨어러블 디바이스 착용자의 이상 상황에 대한 검증이 필요한 경우, 증거 정보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생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한 이상 상황 판단 및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생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한 이상 상황 판단 및 감시 시스템을 이루는 구성수단은 착용자의 생체 정보를 취득하여 전송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기 착용자의 주변 상황을 촬영하되, 일정량의 영상만을 저장 유지하는 버퍼링 스토리지를 구비하는 CCTV 기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전송된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예비 이상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예비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만 상기 CCTV 기기에서 촬영되는 일정 시간 동안의 영상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면서 동시에, 상기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최종 이상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모니터링 디바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생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한 이상 상황 판단 및 감시 시스템{system for deciding and watching abnormal situation using biometric data and image data}
본 발명은 생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한 이상 상황 판단 및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입력되는 착용자의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예비 이상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예비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만, CCTV 기기를 제어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 주변의 촬영 영상을 전송받아 저장함과 동시에,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최종 이상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며, 최종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만, CCTV 기기로부터 전송받아 저장된 영상 정보를 저장 유지하고, 이 영상 정보와 이상 상황 발생에 관련된 생체 정보를 관리자 또는 보호자에제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영상 정보 저장 장치 구축을 위한 비용을 절감하면서, 웨어러블 디바이스 착용자의 이상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이상 상황 발생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으며, 웨어러블 디바이스 착용자의 이상 상황에 대한 검증이 필요한 경우, 증거 정보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생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한 이상 상황 판단 및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부모의 관리에서 벗어나 있는 유아나 어린이들은 유치원 또는 어린이집 등에서 학대를 받거나 신체적 이상 상황이 발생할 수 있고, 다양한 장소에서 유괴나 아동범죄에 노출되어 있으며, 실제로 이들을 상대로 하는 각종 학대, 범죄들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거동이 불편한 지체 장애인이나 노약자들의 경우도, 범죄의 쉬운 대상이 되며, 또한 언제 발생할지 모르는 건강상의 위급상황으로 인해 항상 주변의 도움을 필요로 한다.
최근 영유아보육법 개정으로 어린이집 CCTV 설치 의무화가 추진되고 있고, 정부와 지자체는, 범죄 발생 가능성이 높은 장소 등에 감시용 돔 카메라나, CCTV 카메라를 설치하여 24시간 감시하는 감시시스템을 가동하고 있으나, 이러한 기존의 기술들은 수많은 CCTV 화면을 관리자가 일일이 확인하기 힘들며, 대다수의 범죄나 사고는 그 사각지대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보호자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최근, 이동통신 또는 인터넷 등의 유/무선 데이터 통신 기술의 급격한 발달과 스마트폰의 등장 그리고, 저가의 고성능 센서들이 개발되면서, 개인이 신체에 착용하거나 휴대할 수 있는 전자통신 장치는 보다 저렴하고 소형화 되었으며, 이들 전자통신 장치들을 이용하여 통신 및 정보전달은 물론, 우리 생활 주변의 범죄와 개인의 신변보호를 위한 감시 수단, 그리고 건강 상의 위급상황을 모니터할 수 있는 장비의 개발이 가능해 졌다.
따라서, 유아나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학대, 유괴나 아동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 감시 시스템과, 거동이 불편한 지체 장애인이나 노약자들의 위급상황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는 원격관리 시스템의 개발이 사회 제도적 측면에서 요구됨에 따라, 정부와 지차체의 지원으로 이러한 원격보호 및 감시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모바일 전자통신 장치들의 연구와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54625호는 "원격 보호 및 감시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스마트폰과 무선으로 연동되는 소정의 디지털 측정기기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고 착용자의 위급상황을 원격지의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원격 보호 및 감시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원격 보호 및 감시 시스템"은 생체 정보를 이용한 이상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한 결과,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CCTV 기기와 연동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상 상황 발생에 관한 정확한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없고, 더 나아가 이상 상황에 대한 검증이 필요한 경우 증빙 자료로서 활용될 수 없는 문제점을 여전히 가지고 있다.
또한 생체 정보만으로 최종적으로 이상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면, 오판단 가능성이 상당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인력 투입이 발생할 수 있고, 상황 대처를 위한 시간, 노력, 비용을 불필요하게 소요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반면, CCTV를 구축하여 모니터링을 하는 경우에도, CCTV의 영상 정보의 능력을 한계가 있고, 이로 인하여 상당한 시간이 지난 영상을 확인할 수 없어서 검증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한편, 영상 정보를 장시간 보존하기 위하여 별도의 영상 정보 저장 장치를 구축할 수 있는데, 실제 저장되는 영상 중에 관심 있는 영상, 문제시되어 검증이 필요한 영상은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영상 정보 장치를 구축하는 것은 영상 정보 저장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간, 노력 및 비용을 필요 이상 증가시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54625호(2014. 01. 22. 공고, 발명의 명칭 : 원격 보호 및 감시 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입력되는 착용자의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예비 이상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예비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만, CCTV 기기를 제어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 주변의 촬영 영상을 전송받아 저장함과 동시에,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최종 이상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며, 최종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만, CCTV 기기로부터 전송받아 저장된 영상 정보를 저장 유지하고, 이 영상 정보와 이상 상황 발생에 관련된 생체 정보를 관리자 또는 보호자에제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영상 정보 저장 장치 구축을 위한 비용을 절감하면서, 웨어러블 디바이스 착용자의 이상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이상 상황 발생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으며, 웨어러블 디바이스 착용자의 이상 상황에 대한 검증이 필요한 경우, 증거 정보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생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한 이상 상황 판단 및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착용자에게 예비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예비 이상 상황 발생 시점 즉, 알람 신호가 발생한 시점을 기준으로 전후 일정 시간 동안 촬영한 영상 정보만을 저장 모듈에 저장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최종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저장 모듈의 저장 능력에 큰 구애를 받지 않고, 착용자의 이상 상황에 대한 명확한 검증 및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생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한 이상 상황 판단 및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최종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만, 저장 모듈에 해당 영상 정보를 저장 유지하고, 보호자 등에게 전송하여 상황 대처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저장 모듈의 저장량에 대한 부담을 줄여주고, 불필요한 상황 대처 수행을 통한 보호자 등의 불필요한 시간, 노력 비용이 소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생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한 이상 상황 판단 및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인 생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한 이상 상황 판단 및 감시 시스템을 이루는 구성수단은 착용자의 생체 정보를 취득하여 전송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기 착용자의 주변 상황을 촬영하되, 일정량의 영상만을 저장 유지하는 버퍼링 스토리지를 구비하는 CCTV 기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전송된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예비 이상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예비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만 상기 CCTV 기기에서 촬영되는 일정 시간 동안의 영상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면서 동시에, 상기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최종 이상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모니터링 디바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가 최종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일정 시간 동안 저장한 영상 정보와 상기 예비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될 때 사용된 생체 정보를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받는 원격의 스마트 기기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착용자의 정상 상태의 생체 정보 값의 범위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전송된 생체 정보의 값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상 상태의 생체 정보 값의 범위에 포함되는지에 따라 예비 이상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는 상기 CCTV 기기에서 촬영되어 전송되는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착용자의 움직임 변화 정도에 따라 최종 이상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 및 해결 수단을 가지는 본 발명인 생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한 이상 상황 판단 및 감시 시스템에 의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입력되는 착용자의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예비 이상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예비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만, CCTV 기기를 제어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 주변의 촬영 영상을 전송받아 저장함과 동시에,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최종 이상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며, 최종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만, CCTV 기기로부터 전송받아 저장된 영상 정보를 저장 유지하고, 이 영상 정보와 이상 상황 발생에 관련된 생체 정보를 관리자 또는 보호자에제 전송되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영상 정보 저장 장치 구축을 위한 비용을 절감하면서, 웨어러블 디바이스 착용자의 이상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이상 상황 발생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으며, 웨어러블 디바이스 착용자의 이상 상황에 대한 검증이 필요한 경우, 증거 정보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착용자에게 예비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예비 이상 상황 발생 시점 즉, 알람 신호가 발생한 시점을 기준으로 전후 일정 시간 동안 촬영한 영상 정보만을 저장 모듈에 저장 유지되도록 하기 때문에, 최종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저장 모듈의 저장 능력에 큰 구애를 받지 않고, 착용자의 이상 상황에 대한 명확한 검증 및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최종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만, 저장 모듈에 해당 영상 정보를 저장 유지하고, 보호자 등에게 전송하여 상황 대처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저장 모듈의 저장량에 대한 부담을 줄여주고, 불필요한 상황 대처 수행을 통한 보호자 등의 불필요한 시간, 노력 비용이 소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한 이상 상황 판단 및 감시 시스템의 구성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한 이상 상황 판단 및 감시 시스템을 이용한 판단 및 감시 방법에 관한 플로우챠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수단 및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인 생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한 이상 상황 판단 및 감시 시스템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한 이상 상황 판단 및 감시 시스템(100)의 구성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한 이상 상황 판단 및 감시 시스템(100)은 어린이, 유아, 노약자 등의 착용자 몸체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 상기 착용자의 주변 상황을 촬영하되, 일정량의 영상만을 저장 유지하는 버퍼링 스토리지를 구비하는 CCTV 기기(50) 및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에서 전송된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예비 이상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예비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만 상기 CCTV 기기(50)에서 촬영되는 일정 시간 동안의 영상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면서 동시에, 상기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최종 이상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모니터링 디바이스(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는 손목 밴드형, 목걸이형, 암 밴드형(팔뚝에 부착), 패치형(가슴에 부착)으로 어린이, 유아, 노약자 등의 착용자에 착용될 수 있고, 의복에 삽입되어 착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는 실시간으로 상기 착용자의 생체 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30)로 전송한다.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는 상기 착용자의 다양한 생체 정보를 취득하기 위하여 다양한 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는 착용자의 체온을 측정하여 체온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체온 센서(11), 착용자의 혈압을 측정하여 혈압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혈압 센서(13), 착용자의 심박을 측정하여 심박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심박 센서(1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10)는 체온 센서(11), 혈압 센서(13) 및 심박 센서(15)에서 각각 측정한 체온 정보, 혈압 정보 및 심박 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30)로 전송한다.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30)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로부터 전송된 다양한 생체 정보의 변화량을 이용하여 상기 착용자의 이상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는 상기 착용자의 다양한 생체 정보들을 취득하여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30)로 전송하고, 그러면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30)는 상기 생체 정보들을 이용하여 1차적으로 예비 이상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예비 이상 상황 발생 여부는 이상 상황이 발생했는지를 최종적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이상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상당한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정리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는 상기 다양한 센서들로부터 획득된 생체 정보들을 웨어러블 디바이스 송수신 모듈(19)을 통하여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30)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30)는 자신의 송수신 모듈(31)을 통하여 상기 생체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수신받는다.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30)는 상기 실시간으로 전송받은 생체 정보들, 즉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에서 전송된 다양한 생체 정보들을 이용하여 1차적으로 예비 이상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고 있는 유아, 어린이, 노약자에게 이상 상황이 발생했다는 가능성이 상당한지 아닌지를 1차적으로 판단한다.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30)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에서 전송된 생체 정보들을 이용하여 1차적으로 예비 이상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예비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만, 즉 복수의 생체 정보들 중, 특정 생체 정보가 정상 범위를 벗어난 경우로 판단되는 경우에만, 상기 CCTV 기기(50)를 제어하여 상기 CCTV 기기(50)에서 촬영되는 일정 시간 동안(예비 이상 상황 발생 시점을 기준으로 그 이전 특정 시점부터 그 이후 특정 시점 사이의 시간 동안)의 영상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면서 동시에, 상기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최종 이상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CCTV 기기(50)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 착용자의 주변 상황을 촬영하되, 일정량의 영상만을 저장 유지하는 버퍼링 스토리지를 구비한다. 즉, 상기 CCTV 기기(50)는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영상들을 저장하기 위한 대용량의 메모리를 구비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량의 영상, 예를 들어 현 시점을 기준으로 이전 특정 시간(5분간, 10분간, 20분간 등) 동안 촬영된 영상만을 저장하고, 그 이전에 촬영된 영상은 지워진다.
따라서, 상기 CCTV 기기(50)는 현 시점을 기준으로 10분 전까지의 촬영된 영상만을 저장 유지할 수 있는 버퍼링 스토리지를 구비하고 있다면, 현 시점을 기준으로 10분 이상의 이전에 촬영된 영상은 모두 지워지고 남아 있지 않는다. 또한 현 시점을 기준으로 10분이 지난 시점에서의 상기 버퍼링 스토리지에는 현 시점 이전에 촬영된 영상은 모두 삭제되고, 현 시점에서 10분이 지난 시점까지 시간 동안 촬영된 영상만이 상기 버퍼링 스토리지에 저장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30)는 상기 예비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CCTV 기기(50)를 제어하여 상기 예비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시점을 기준으로 그 이전 일정 시간 동안(예를 들어 이전 10분 동안)에 촬영되어 상기 버퍼링 스토리지에 저장되어 있는 촬영 영상을 전송받아 저장하고, 상기 예비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시점 이후에 일정 시간 동안 상기 CCTV 기기(50)가 촬영하는 영상 역시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저장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30)는 상기 예비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예비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시점을 기준으로 이전 특정 시간 동안에 촬영된 영상과 이후 특정 시간 동안에 촬영되는 영상을 전송받아 저장한다.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30)는 상기 전송되어 저장되는 영상 정보를 동시에 분석하여 진정하게 이상 상황이 발생했는지, 즉 최종 이상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후술하겠지만, 착용자의 생체 정보들 중 어느 하나가 정상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어 예비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착용자의 상태는 둘 중 하나에 해당된다.
즉 상기 정상 범위 내를 벗어난 생체 정보 값을 유지하는 착용자는 상당한 정도의 움직임을 유지하고 있거나 또는 움직임이 거의 없는 상태에서 생체 리듬이 깨지는 상황에 처해 있는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전자인 경우에는 심한 운동 등에 의한 것이기에 최종 이상 상태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후자의 경우에는 최종 이상 상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후자의 경우는, 노약자가 움직임이 거의 없이 몸에 이상이 온 상태에 있거나, 위험에 처해 있거나, 또는 유치원 내의 유아가 신체 리듬, 생체 리듬이 깨지는 상태, 즉 체벌 또는 학대를 받거나 몸에 이상이 발생한 상태에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30)는 특정 착용자의 생체 정보 중 어느 하나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서 예비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후, CCTV 기기(50)에서 전송된 영상 정보로부터 착용자의 움직인 정도가 크지 않은 것으로 인지되면 최종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 경우,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30)는 상기 예비 이상 상황과 최종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때 사용한 생체 정보와 영상 정보를 원격의 스마트 기기(70)에 전송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생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한 이상 상황 판단 및 감시 시스템은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30)가 최종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일정 시간 동안 저장한 영상 정보와 상기 예비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될 때 사용된 생체 정보를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받는 원격의 스마트 기기(7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스마트 기기(70)를 소유하고 있는 보호자 등은 착용자의 상태를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고, 착용자가 처해있거나 펼쳐지고 있는 상황을 실시간으로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호자 등은 착용자의 상황에 대하여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고, 추후 상황 검증을 위한 정보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30)는 복수의 착용자가 각각 착용하고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로부터 각각 생체 정보들을 저장받는다. 따라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는 자신의 식별 정보와 함께 생체 정보들을 전송하고,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30)는 각각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0)를 구분할 수 있는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각각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0)로부터 전송되는 생체 정보가 정상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 정보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30)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의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 착용자의 정상 상태의 생체 정보 값의 범위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에서 전송된 생체 정보의 값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상 상태의 생체 정보 값의 범위에 포함되는지에 따라 예비 이상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착용자들은 서로 다른 몸의 상태를 유지하고 서로 다른 생체 리듬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상 상태에서의 생체 정보 값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착용자별로 각각 정상 상태의 생체 정보 값의 범위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각각의 착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전송된 생체 정보 값이 각 착용자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저장되고 있는 각 착용자의 정상 상태의 생체 정보 값의 범위에 포함되는지를 확인하여, 전송되는 생체 정보 값이 정상 상태의 생체 정보 값의 범위에서 벗어나면 예비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와 같이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30)는 상기 예비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CCTV 기기(50)를 제어하여 일정 시간 동안에 촬영된 영상이 전송되어 저장되도록 하고, 저장되는 동시에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최종 이상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즉,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30)는 상기 CCTV 기기(50)에서 촬영되어 전송되는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 착용자의 움직임 변화 정도에 따라 최종 이상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30)는 상기 영상 정보를 분석한 결과, 착용자의 움직임 변화 정도가 기준치보다 작은 경우에만 진정한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 즉 최종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착용자의 움직임의 변화 속도가 기준 속도보다 작거나 또는 상기 착용자의 움직임 변화 정도가 특정 범위 내에서만 발생한 경우에는 착용자의 움직임이 거의 없는데도 불구하고 생체 정보 값이 정상 상태의 생체 정보 값의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해당되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모니터링 디바이스(30)의 세부적인 구성요소 및 이들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30)는 상기 각 착용자들의 생체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송수신 모듈(31), 상기 생체 정보와 사전에 데이터베이스화된 정보를 이용하여 예비 이상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모듈(33), 상기 판단 모듈(33)에서 예비 이상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참조되는 각 착용자에 대한 정보, 즉 웨어러블 디바이스 착용자의 정상 상태의 생체 정보 값의 범위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35), 상기 판단 모듈(33)에 의하여 예비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CCTV 기기(50)를 제어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의 주변을 촬영한 일정 시간 동안의 영상 정보를 저장 모듈(39)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모듈(37) 및 상기 제어 모듈(37)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저장 모듈(39)에 저장되고 있는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착용자의 움직임 변화 정도가 기준 범위 이내인지를 판단하여 최종 이상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분석 모듈(3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송수신 모듈(31)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로부터 생체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 예를 들어 생체 정보 획득 주기에 관한 제어 신호, 특정 센서의 동작 여부에 관한 제어 신호 등을 상기 제어 모듈(37)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로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30)의 송수신 모듈(31)로 수신되는 생체 정보는 상기 판단 모듈(33)로 입력된다. 상기 판단 모듈(33)은 상기 데이터베이스(35)에 구축된 정상 상태의 생체 정보 값의 범위에 관한 정보와 상기 입력되는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생체 정보를 전송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착용자의 예비 이상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이와 같이 상기 데이터베이스(35)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의 식별정보(아이디 등)에 대응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착용자의 정상 상태의 생체 정보 값의 범위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아래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별정보 1을 가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착용자는 정상 상태에서의 생체 정보 중, 정상 상태의 체온은 35.5 ~ 36.8도이고, 정상 상태의 혈압은 120 ~ 130이며, 정상 상태의 심박수는 60~70인 것으로 사전에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다.
식별정보 정상 상태의 생체 정보 값의 범위
1 체온 : 35.5~36.8
혈압 : 120~130
심박 : 60~70
.
.
.
.
.
.
.
.
N 체온 : 36~37
혈압 : 115~125
심박 : 58~70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판단 모듈(33)에 의하여 참조된다. 상기 판단 모듈(33)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식별 정보와 함께 전송되는 생체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상 상태의 생체 정보 값의 범위에 관한 정보와 비교하여 예비 이상 상황 발행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모듈(33)은 상기 입력되는 특정 생체 정보(예를 들어 체온에 관한 생체 정보)가 상기 정상 상태의 생체 정보 값의 범위를 벗어나면 예비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범위 이내이면 정상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판단 모듈(33)이 예비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라도, 상기 착용자에게 이상 상황이 진정으로 발생했는지는 불확실하다.
예를 들어, 상기 착용자는 정상 상태에서 열심히 운동하고 있는 경우에는 정상 상태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측정된 생체 정보는 상기 정상 상태의 생체 정보 값의 범위를 벗어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판단 모듈(33)에 의하여 예비 이상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진정한 이상 상황이 발생했는지를 최종적으로 확인하는 절차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의 최종 이상 상황 발생 여부는 상기 CCTV 기기(50)에서 전송되어 저장되는 일정 시간 동안의 촬영된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진행된다.
상기 판단 모듈(33)이 예비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판단 모듈(33)은 알람 신호를 발생한다. 그러면, 상기 알람 신호를 입력받은 상기 제어 모듈(37)은 상기 송수신 모듈(31)을 통하여 CCTV 기기(50)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 모듈(37)은 상기 예비 이상 상황 발생에 따라 알람 신호를 수신 받은 경우, 상기 CCTV 기기(50)를 제어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고 있는 착용자 및 주변을 촬영한 영상 정보 중, 일정 시간 동안 촬영된 영상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되도록 하고, 상기 저장되는 영상 정보를 상기 분석 모듈(38)에 의하여 분석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예비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즉 알람 신호를 수신받으면, 상기 CCTV 기기(50)의 줌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착용자 및 그 주변의 이상 상황이 근접 촬영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고, 상기 CCTV 기기(50)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착용자 및 그 주변의 이상 상황을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틸팅 또는 회전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물론, 복수개의 CCTV 기기들에 의하여 모든 방향에 대한 촬영이 가능할 때는 줌 동작만을 제어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착용자 및 그 주변의 이상 상황을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37)에 의하여 동작 제어되는 상기 CCTV 기기(50)는 평상시 즉,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가 없는 경우에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착용자 및 그 주변을 촬영하여 버퍼링 스토리지에 일정량의 영상정보만을 저장 유지하고 있다. 다만,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가 있는 경우에, 줌 동작 등을 통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 착용자 및 그 주변의 이상 상황을 좀 더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제어되고, 예비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시점을 기준으로 이미 상기 버퍼링 스토리지에 저장되어 있는 이전의 일정 시간 동안의 영상 정보를 가져와서 저장 모듈(39)에 저장할뿐 아니라, 상기 예비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시점 이후에 일정 시간 동안 상기 CCTV 기기에서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가져와서 상기 저장 모듈에 저장한다.
즉, 상기 CCTV 기기(50)는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30)의 제어를 받아, 예비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주변을 촬영한 일정 시간 동안의 영상 정보를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에 전송되어 상기 저장 모듈에 저장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일정 시간 동안의 영상 정보가 상기 저장 모듈에 저장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분석 모듈(38)에 의하여 상기 저장되고 있는 영상 정보가 분석되어 최종 이상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분석 모듈(38)은 상기 제어 모듈(37)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저장 모듈(39)에 저장되고 있는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착용자에 최종적으로 이상 상황이 진정으로 발생했는지를 판단한다. 즉 상기 분석 모듈은 상기 착용자에게 최종 이상 상황이 발생했는지를 판단하여 그 결과를 상기 제어 모듈에게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석 모듈(38)은 상기 영상 정보로부터 연속적으로 정지 이미지 화면을 생성한다. 그런 다음, 상기 각각의 정지 이미지 화면에서 대상체, 즉 착용자의 윤곽선을 추출한다. 상기 착용자의 정확한 이미지를 추출하는 것은 계산량도 많고 복잡해서 상기 착용자의 윤곽선만을 추출한다.
상기 각각의 정지 이미지 화면 상에서 추출된 상기 착용자의 윤곽선이 사라진 것으로 판단된 경우(즉 착용자의 윤곽선이 추출되지 않은 정지 이미지 화면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일단 착용자의 움직임이 강하게 있는 것이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이상 상황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반면, 상기 생성된 각각의 정지 이미지 화면에서 착용자의 윤곽선이 모두 추출되면, 특정 정지 이미지 화면 상에 추출된 윤곽선을 포함하는 기준 움직임 범위를 정한다. 상기 기준 움직임 범위는 상기 특정 정지 이미지 화면 내의 특정 영역을 포함하는 범위이되, 상기 추출된 윤곽선을 포함하는 영역 범위에 해당된다. 상기 기준 움직임 범위는 상기 추출된 윤곽선을 포함되되, 그 주변 일정 부분까지 포함되는 범위이다. 이는 착용자에게 진정하게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전혀 미동이 없을 수도 있지만, 미세한 움직임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특정 정지 이미지 화면 상에 추출된 윤곽선을 포함하는 기준 움직임 범위가 정해지면, 나머지 정지 이미지 화면(상기 선정된 정지 이미지 화면 중, 상기 특정 정지 이미지 화면을 제외한 나머지) 상에 각각 추출된 윤곽선이 상기 기준 움직임 범위 이내에 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나머지 정지 이미지 화면 상에 각각 추출된 윤곽선이 상기 기준 움직임 범위 내에 모두 포함된 경우에는 착용자의 움직임 변화 정도가 거의 없어 상기 기준 움직임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이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진정하게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최종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고), 그렇치 않은 경우에는 착용자의 상당한 움직임 변화가 있는 것이기 때문에, 최종 이상 상황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와 같은 분석 모듈(38)의 판단에 따라,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분석 모듈에 의하여 최종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저장 모듈(39)에 저장된 일정 시간 동안에 촬영된 영상 정보가 지속 저장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반면 최종 이상 상황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저장 모듈(39)에 저장된 일정 시간 동안에 촬영된 영상 정보가 삭제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 모듈은 최종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될 때 사용되는 영상 정보만을 저장 유지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저장 모듈의 저장 능력의 한계를 극복하고, 대용량의 고가의 저장 모듈을 구축하는 것을 요하지 않게 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이상 상황 발생 시점 전후 일정 시간 동안의 영상 정보가 상기 저장 모듈에 저장되기 때문에, 이상 상황에 대한 정확한 검증 및 확인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저장 모듈에 저장된 영상 정보는 추후에 관리자에 의하여 언제든지 재생될 수 있으며, 제어 모듈의 제어에 따라 원격의 스마트 기기(70)에 전송될 수도 있다.
상기 저장 모듈(39)은 상기 최종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때 사용된 영상 정보뿐만 아니라, 상기 예비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될 때 사용된 생체 정보, 즉 웨어러블 디바이스 착용자의 정상 상태에서의 생체 정보 값의 범위를 벗어난 생체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상기 저장 모듈(39)에 저장된 진정한 이상 상황 발생에 관련된 영상 정보와 생체 정보는 제어 모듈의 제어에 따라 관리자 또는 부모님이 접근할 수 있는 원격의 스마트 기기(70)에 전송됨으로써, 이상 상황 발생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원격의 스마트 기기(70)는 거리에 상관없이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와 떨어져 있는 스마트 기기를 모두 포함한다. 즉, 상기 원격의 스마트 기기와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는 유치원, 어린이집 등에 함께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생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한 이상 상황 판단 및 감시 시스템은 원격의 스마트 기기(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가 최종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일정 시간 동안 저장한 영상 정보와 상기 예비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될 때 사용된 생체 정보를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받는 원격의 스마트 기기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고 있는 착용자의 보호자 또는 관리자는 상기 착용자에게 진정한 이상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신속한 대처를 행할 수 있으며, 추후 이상 상황 발생에 대한 검증이 필요한 경우(아동 학대에 대한 검증이 필요한 경우), 정확한 증거 자료로 활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생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한 이상 상황 판단 및 감시 시스템(100)에 의하여 이상 상황 발생 판단 및 감시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2를 참조하여 생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한 이상 상황 판단 및 감시 시스템(100)에 의한 이상 상황 발생 판단 및 감시 방법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웨어러블 디바이스(10)가 착용자의 생체 정보를 취득하여 모니터링 디바이스(30)로 전송한다(S10).
그러면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30)는 상기 취득한 생체 정보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상 상태에서의 착용자의 생체 정보 값의 범위를 비교한다(S20). 이후, 상기 수신된 생체 정보가 상기 해당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응하여 저장된 정상 상태에서의 생체 정보값의 범위에 포함되는지를 통해 예비 이상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S30). 이에 대한 구체적인 판단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후, 예비 이상 상황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단계 S10으로 회귀하여 반복 동작되고, 예비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예비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때 사용된 생체 정보 값들을 상기 저장 모듈(39)에 저장함과 동시에 CCTV 기기를 제어하여 일정 시간 동안 촬영된 영상이 상기 저장 모듈에 저장되도록 함과 동시에 영상 분석을 통하여 진정한 이상 상황이 발생했는지를 분석한다(S40).
상기 분석 결과, 영상 정보에 나타난 착용자의 움직임 변화 정도가 기준 움직임 범위 이내인지에 따라 최종 이상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S50). 이에 대한 구체적인 판단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기 때문에 생략한다.
이후, 최종 이상 상황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단계 S10으로 회귀하여 반복 동작되고, 최종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저장된 영상 정보를 저장 유지하도록 하고 촬영 저장된 영상 정보와 이상 상황 발생에 관한 생체 정보를 스마트 기기(70)에 전송되도록 한다(S60)
결과적으로, 최종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 관련된 영상 정보와 생체 정보가 상기 저장 모듈에 저장되기 때문에, 추후에 언제든지 재생될 수 있고, 더 나아가 사전에 설정된 서버 또는 원격의 목적지로 전송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촬영된 영상 정보와 이상 상황 발생에 관한 생체 정보를 원격의 스마트 기기에 전송한다(S60). 그러면, 원격의 학부모 또는 관리자는 이상 상황 발생에 대한 조속한 조치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웨어러블 디바이스 11 : 체온 센서
13 : 혈압 센서 15 : 심박 센서
19 :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송수신 모듈 30 : 모니터링 디바이스
31 :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송수신 모듈 33 : 판단 모듈
35 : 데이터베이스 37 : 제어 모듈
38 : 분석 모듈 39 : 저장 모듈
50 : CCTV 기기 70 : 스마트 기기
100 : 생체 정보와 CCTV를 이용한 이상 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Claims (4)

  1. 착용자의 생체 정보를 취득하여 전송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기 착용자의 주변 상황을 촬영하되, 일정량의 영상만을 저장 유지하는 버퍼링 스토리지를 구비하는 CCTV 기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전송된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예비 이상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예비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만 상기 CCTV 기기에서 촬영되는 일정 시간 동안의 영상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면서 동시에, 상기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최종 이상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모니터링 디바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한 이상 상황 판단 및 감시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가 최종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일정 시간 동안 저장한 영상 정보와 상기 예비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될 때 사용된 생체 정보를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받는 원격의 스마트 기기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한 이상 상황 판단 및 감시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착용자의 정상 상태의 생체 정보 값의 범위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전송된 생체 정보의 값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상 상태의 생체 정보 값의 범위에 포함되는지에 따라 예비 이상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한 이상 상황 판단 및 감시 시스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는 상기 CCTV 기기에서 촬영되어 전송되는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착용자의 움직임 변화 정도에 따라 최종 이상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한 이상 상황 판단 및 감시 시스템.
KR1020160077147A 2016-06-21 2016-06-21 생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한 이상 상황 판단 및 감시 시스템 KR101822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147A KR101822091B1 (ko) 2016-06-21 2016-06-21 생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한 이상 상황 판단 및 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147A KR101822091B1 (ko) 2016-06-21 2016-06-21 생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한 이상 상황 판단 및 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3224A true KR20170143224A (ko) 2017-12-29
KR101822091B1 KR101822091B1 (ko) 2018-01-25

Family

ID=60939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7147A KR101822091B1 (ko) 2016-06-21 2016-06-21 생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한 이상 상황 판단 및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209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029Y1 (ko) * 2020-01-22 2021-07-19 (주)사이버텔브릿지 작업자의 위치 및 상태정보 수집이 가능한 항만 작업자용 헬멧 부착형 장치
KR200494028Y1 (ko) * 2020-01-22 2021-07-19 (주)사이버텔브릿지 작업자의 위치 및 상태정보 수집이 가능한 항만 작업자용 와치형 장치
WO2022065827A1 (ko) * 2020-09-22 2022-03-31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촬영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029Y1 (ko) * 2020-01-22 2021-07-19 (주)사이버텔브릿지 작업자의 위치 및 상태정보 수집이 가능한 항만 작업자용 헬멧 부착형 장치
KR200494028Y1 (ko) * 2020-01-22 2021-07-19 (주)사이버텔브릿지 작업자의 위치 및 상태정보 수집이 가능한 항만 작업자용 와치형 장치
WO2022065827A1 (ko) * 2020-09-22 2022-03-31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촬영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2091B1 (ko) 2018-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50748B1 (en) Systems for providing online monitoring of released criminals by law enforcement
CN108293187B (zh) 利用可穿戴装置注册用户的方法和系统
WO2020125406A1 (zh) 安全监护方法、装置、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0855957B2 (en) Wireless augmented video system and method to detect and prevent insurance billing fraud and physical assault for remote mobile application
US2014030707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personal protection equipment and promoting worker safety
KR101990803B1 (ko) IoT를 이용한 취약계층 보호관리 시스템
KR101822091B1 (ko) 생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한 이상 상황 판단 및 감시 시스템
KR101675529B1 (ko) 생체 정보와 cctv를 이용한 이상 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JP5054349B2 (ja) 入場規制装置、入場規制方法および入場規制プログラム
US20180302403A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based biometric data collection and processing
CN104332037B (zh) 告警检测的方法及装置
US20200118689A1 (en) Fall Risk Scoring System and Method
KR101211366B1 (ko) 전자발찌 착용자에 대한 영상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00123A (ko) 치매 환자 케어 시스템
KR101453248B1 (ko) 전자발찌 착용자에 대한 범죄예방 감시시스템
US20200051688A1 (en) Alert system
KR20150106986A (ko) 서버기반 졸음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JP6777470B2 (ja) 行動記録システム、端末装置及び行動記録方法
KR102394509B1 (ko) 아동의 활동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안전사고 방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TWI656502B (zh) 隨身安全照護方法、裝置及系統
KR20160136631A (ko) 감시 시스템
KR101327564B1 (ko) 환자 모니터링 장치
RU2737138C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температуры тела людей по видеоданным
JP2012003596A (ja) 通報装置
JP2021036466A (ja) 警備システム、管理装置及び警備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