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2727A - Electronic workbook typed in electronic-book and sheet workbook using proof relationship between given text and item - Google Patents

Electronic workbook typed in electronic-book and sheet workbook using proof relationship between given text and i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2727A
KR20170142727A KR1020160076688A KR20160076688A KR20170142727A KR 20170142727 A KR20170142727 A KR 20170142727A KR 1020160076688 A KR1020160076688 A KR 1020160076688A KR 20160076688 A KR20160076688 A KR 20160076688A KR 20170142727 A KR20170142727 A KR 20170142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swer
user
option
choice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66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94378B1 (en
Inventor
최병찬
Original Assignee
최병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찬 filed Critical 최병찬
Priority to KR1020160076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4378B1/en
Publication of KR20170142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27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4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43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6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multiple-choice answer-type, i.e. where a given question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answers and a choice has to be made from the answers
    • G09B7/08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multiple-choice answer-type, i.e. where a given question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answers and a choice has to be made from the answers characterised by modifying the teaching programme in response to a wrong answer, e.g. repeating the question, supplying further inform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One embodiment of an electronic workbook based on e-book comprises: a user key input unit which receives an order from a provider of pre-registered questions, and a user answer; a display unit which provides the pre-registered questions; and a control unit which, if an order from the provider of the pre-registered questions is received, provides the pre-registered question to the display unit to take a test, and evaluates a user answer of the question. The pre-registered questions comprise a question in a text type having objective choices, and the text is a proof text and classifies the text by preset content units to have a plurality of reading content logic sections, indicates a reading content logic section for each of the reading content logic sections, matches a reading content logic section identifier for identifying other reading content logic sections, respectively, and writes names. The objective choices of the text are relating objective choices having correlation with the reading content logic sections of the text. The control unit provides the proof text and the relating objective choices to verify whether objective choices are valid or not, when a question in the text type is provided, and gathers objective choice answers comprised of user selection objective information and semi-objective choice answers comprised of a user selection reading content logic section identifier, and applies the same to verify whether the objective choices are valid or not, and to evaluate user answers. Due to the present invention, a thinking power for increasing accuracy of question judgment and for discovering a logical correlation between a text and choices can be improved.

Description

제시문과 선택지 간의 언어 논리적 증명관계를 이용한 전자-북(E-BOOK) 기반의 전자 문제집과 종이 문제집{Electronic workbook typed in electronic-book and sheet workbook using proof relationship between given text and item}This paper proposes an e-BOOK-based electronic problem book and a paper problem book using a language-logical proof relationship between a proposal and an option.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제시문(본문의 텍스트나 보기의 텍스트)과 객관식 선택지의 언어적 증명 문제(방식)와 관련된 문제집(특히, 종이 문제집과 전자-북(E-BOOK) 기반의 전자 문제집에 동시에 적용하다)에 관한 것이다.The contents disclosed herein relate to a problem book (particularly, a paper problem book and an electronic book based on an electronic book (E-book)) related to a proposal (a text of a text or an example text) Apply).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Unless otherwise indicated herein, the contents set forth in this section are not prior art to the claims of this application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prior art to be included in this section.

일반적으로, 수학능력시험(국어나 영어)과 LEET((법학적성시험)-언어이해) 등 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하는 시험에서는 문제 객관식 선택지(~)의 타당성이나 오류(제시문(본문이나 보기) 텍스트 내용에 위배되거나 텍스트 내용으로 알 수 없음)를 '제시문 텍스트' 자체 속의 문장(어구, 어휘 포함)으로 증명할 수 있는 문제가 많다(선행문헌 참조, 선행문헌: 국내출원번호 제20-2009-0006517호, 발명의 명칭 "문제 풀이 체계를 도식(圖式)으로 제공하는 언어영역 문제집과 문제집의 정답 해설 방법"). In general, the tests that are given by curriculum evaluators, such as the Math Skill Test (Korean or English) and LEET (Legal Aptitude Test - Language Understanding) (Including phrases and vocabulary) in the 'presentation text' itself (refer to the preceding document and the preceding document: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20-2009-0006517 , The title of the invention, "A glossary of language areas that provide a problem solving system as a diagram, and an explanatory explanation method of a problem book").

이는 문항 출제 오류를 엄격히 단속하고 있는 교육과정평가원 시험에서 그 특징이 뚜렷하며, 그 외 다른 시험에서도 그러한 성격(제시문 텍스트와 선택지의 언어 논리적 증명)을 찾아볼 수 있다.This characteristic is evident in the Curriculum Assessment Examination, which strictly controls the questioning errors. In other examinations, such characteristics (propositional text and logical proof of language of choice) can be found.

따라서, 그러한 언어 논리적 증명관계와 관련된 사고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적극적이고 정확하게 증명관계를 찾아내고 생각하도록 유도하는 새로운 방식의 도구가 필요하다.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thinking power related to such a language logical proof relationship, there is a need for a new type of tool that leads to finding and thinking positively and accurately.

개시된 내용은, 객관식 선택지의 타당성이나 오류를 해당 제시문 텍스트 자체 속의 문장이나 어휘 또는 어구 등으로 증명하는 문제를 사용자가 원활히 풀 수 있도록, 문제 판단의 정확성과 제시문(텍스트)-선택지 간의 언어 논리적 연관성을 찾아내거나 증명하는 사고력이 길러질 수 있도록 하는 전자-북(E-BOOK) 기반의 전자 문제집과 종이 문제집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content of the disclosure is that the correctness of the problem judgment and the logical linkage between the presentation text (text) and the option are select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solve the problem of verifying the validity or error of the multiple choice option in the text of the proposal text itself or in a vocabulary or a phrase (E-BOOK) -based electronic problem book and paper problem book that will help students to find and prove their thinking skills.

실시예에 따른 전자-북(E-BOOK) 기반의 전자 문제집과 종이 문제집은, The E-BOOK-based electronic problem book and the paper problem boo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re,

객관식 선택지를 구비한 제시문 유형의 문제에 있어, 상기 제시문은 해당 제시문을 기설정된 내용 단위별로 구분하여 다수의 독해 내용 논리 구간을 가지고, 더불어 상기 다수의 독해 내용 논리 구간마다 해당 독해 내용 논리 구간를 지시하며 타 독해 내용 논리 구간 상호 간에 식별시키는 독해 내용 논리 구간 식별자를 매칭하여 기명기하여 된 것이다.In a problem of a presentation type having a multiple choice option, the presentation text has a plurality of reading content logic sections by dividing the presentation text into predetermined content units, and also designates a corresponding reading content logic section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reading content logic sections The contents of the reading contents logical section identifying the contents of the other reading contents are matched with each other.

그리고, 상기 제시문에 따른 문제와 객관식 선택지는 독해 내용 논리 구간(독해 내용 논리 구간)의 내용과 언어논리적 연관성을 갖추어 선택지 내용의 타당성이나 오류를 상기 독해 내용 논리 구간으로 증명 가능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oblem according to the above statement and the multiple choice choice can be verified with the logical content of the reading content logic section (reading content logic section), and the validity or error of the selection content can be proved by the reading content logic section.

이때, 상기 제시문 유형의 문제 시험시, 응시자가 질문에 따른 정답 선택지 하나를 선택하는 것은 기존 시험 방식과 동일하나, 정답 여부와 관계없이 모든 선택지에 대하여 그 내용의 타당성이나 오류를 사용자 선택 독해 내용 논리 구간 식별자 나 알 수 없음의 기호를 사용하여 준주관식 형태로 증명하도록 요구하여 정답 여부 뿐 아니라 제시문 내용과 문제 요구사항 선택지의 논리적 상관관계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는 지를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t this time, when the problem test of the above-mentioned presentation type, the candidate selects one of the right answer choices according to the question is the same as the existing test method, but the validity or error of the contents is selected for all the choices regardless of the correct answer, It is required to prove it in semi - official form by using the interval identifier or the symbol of unknown, and it is evaluated whether the log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ents of the statement and the problem requirement option is accurately grasped as well as whether or not the answer is correct.

더불어, 상기 증명 제시문과 상관 객관식 선택지를 제공하여 객관식 선택지의 유효 여부를 증명시키고, 사용자 선택 객관식 선택지 정보로 된 객관식 답안과 사용자 선택 독해 내용 논리 구간 식별자로 된 준주관식 답안을 더불어 취합하여 적용해서 상기 객관식 선택지의 유효 여부 증명을 포함하여 사용자 답안을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oof-of-concept and the correlative multiple-choice option are provided to prove the validity of the multiple-choice option, and a quasi-subjunctive answer consisting of a multiple choice answer with the user-selected multiple choice option information and a user- And evaluating the user's answer including proof of validity of the multiple choice option.

추가로, 상기 문제 해결 방식에서 종이 문제집 해설서는, 해설서 1부는 정답 선택지를 표기하는 방식을 기존과 달리하여 각 문항 번호에 정답 이외의 선택지 번호들을 매칭시켜 제공하여 응시자가 자신이 선택한 선택지 번호가 상기 제공한 정답지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다시 정답을 판단하도록 유도하며 쉽게 정답을 기억하는 것을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해설서 2부는 모든 문항 선택지에 정답 여부와 그 타당성과 오류가 증명가능한 사용자 선택 독해 내용 논리 구간 식별자나 알 수 없음의 기호를 제공하여 응시자가 능동적으로 제시문 내용과 선택지 사이의 언어 논리적 연관성을 생각해 볼 수 있도록 한다. 해설서 3부에서는 선택지 내용과 독해 내용 논리 구간내용의 논리적 대응관계를 직접적으로 대응시켜 나란히 제시하고 필요한 경우는 약간의 보충설명을 추가하여 이해를 돕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oblem solving method, the paper problem book explanatory sheet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method in which the correct answer choice sheet is written in the explanatory sheet part 1, so that the option numbers other than the correct answers are matched and provided, If the answer is included in the provided answer sheet, the user is prompted to judge the correct answer again, thereby preventing the user from easily remembering the correct answer. The second part of the commentary is to provide the user with the correct answers and the validity of the questions and the user-selectable reading contents that can prove the errors. The logic section identifier or the unknown sign is provided so that the candidate can actively think about the language- . In the third part of the explanatory note, the logic correspondence relation between the content of the option content and the content of the reading content is directly corresponded and presented side by side, and if necessary, a little supplementary explanation is added to help understanding.

실시예들에 의하면, 준주관식 문항으로 가공하여 수험생(문제를 푸는 사람)은 객관식 선택지 타당성을 제시문(텍스트) 속에서 구체적으로 찾아서 식별 기호를 선택해서 증명해야 하기 때문에 문제 판단의 정확성과 제시문(텍스트)-선택지 간의 언어 논리적 연관성 및 타당성이나 오류를 찾아내는 사고력이 길러지게 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since the examinee (the person who solves the problem) processes the questionnaire into a quasi-questionnaire form, the validity of the multiple choice option must be specifically identified in the proposal text (text) ) - The logical connection between the choices and the thinking ability to find the validity or error will be raised.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한 해설지는 문제해설에서 제시문 텍스트 내용 외의 어휘나 문장의 개입을 최소화하고 문장을 지시하는 간단한 식별 기호로 일차적 제시문(텍스트)-선택지 간의 연관성을 표시하여 수험생으로 하여금 스스로 적극적인 연관성을 이해하도록 유도한다. In addition, the explanation paper based on this is a simple identification symbol that instructs the sentence by minimizing the intervention of vocabulary or sentence other than the contents of the text in the problem description, and displays the association between the primary text (text) It leads to understanding.

또한, 향후 여러 유사 시험을 대할 경우 연관성을 적극적으로 판단하려는 동기를 부여한다.In addition, it will motivate us to actively judge the relevance of future similarity tests.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북(E-BOOK) 기반의 전자 문제집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북(E-BOOK) 기반의 전자 문제집의 동작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문제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c는 일실시예에 따른 해설지의 구성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electronic problem book based on an E-BOOK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FIG. 2 is a diagram sequentially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n electronic-book based electronic question book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3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question pa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s. 4A to 4C are diagram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xplanation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order; Figs.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북(E-BOOK) 기반의 전자 문제집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electronic question book based on an E-BOOK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북(E-BOOK) 기반의 전자 문제집은 기등록된 객관식 선택지를 가진 제시문 유형의 문제를 포함한 문제지 제공 사용자 명령과 사용자 답안을 입력받는 사용자 키 입력부(101), 상기 문제지를 제공하는 표시부(102) 및, 상기 제시문 유형의 문제에 구비한 객관식 선택지의 유효 여부(타당성이나 오류)를 증명시키고 사용자 증명 결과를 포함(종래 사용자 선택 객관식 선택지 결과와 병행함)하여 사용자 답안을 평가하는 제어부(103) 및, 상기 기등록된 문제지를 저장한 저장부(104)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an electronic question book based on an E-BOOK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problem sheet providing user command including a problem of a presentation type having a previously-selected multiple choice option, a user who receives a user answer, (A validity or an error) of the multiple choice option included in the problem of the proposal type and includes a user proof result (a conventional user selection multiple choice result A control unit 103 for evaluating the user's answers, and a storage unit 104 for storing the pre-registered question papers.

이때, 일실시예에 따른 제시문 유형의 문제는 제시문(본문, 보기 등)과 객관식 선택지를 구비한 것으로, 상기 제시문은 해당 제시문을 기설정된 내용 단위(예: 단락이나 문장 등) 별로 구분하여 다수의 독해 내용 논리 구간를 가지고, 더불어 상기 다수의 독해 내용 논리 구간마다 해당 독해 요底恬지시하며 타 독해 내용 논리 구간 상호 간에 식별시키는 독해 내용 논리 구간 식별자(또는, 식별 기호)를 매칭하여 기명기하여 된 제시문(이하, '증명 제시문'으로 정의함)으로 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객관식 선택지는 해당 제시문의 독해 내용 논리 구간와 연관성을 구비한 객관식 선택지(이하, '상관 객관식 선택지'로 정의함)로 된 것이다.In this case, the problem of the presentation typ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presentation text (text, example, etc.) and an optional selection option, and the presentation text is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content units (for example, paragraphs or sentences) (Or an identifier) that identifies the read-out content and the read-out content logical section and identifies the read content logical section identifier (or the identifier)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read content logical sections, Hereinafter, it is defined as a "proof"). And, the multiple choice selection is made in an objective-type selection (hereinafter, it is defined as a "correlation-based selection option") having relevance to the reading content logic section of the presentation.

구체적으로, 일실시예에 따른 제시문 유형의 문제는 객관식 선택지를 구비한 제시문 유형의 문제에 있어, 상기 제시문은 해당 제시문을 기설정된 내용 단위별로 구분하여 다수의 독해 내용 논리 구간을 가지고, 더불어 상기 다수의 독해 내용 논리 구간마다 해당 독해 내용 논리 구간를 지시하며 타 독해 내용 논리 구간 상호 간에 식별시키는 독해 내용 논리 구간 식별자를 매칭하여 기명기하여 된 것이다.Specifically, the problem of the presentation typ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that, in the problem of the presentation type having the multiple choice option, the presentation text has a plurality of reading contents logic sections by dividing the presentation text into predetermined content units, The contents of the reading contents logic section are identified by referring to the reading contents logical section and the reading contents logical section identifier which identifies the reading contents logical section with each other.

그리고, 상기 제시문에 따른 문제와 객관식 선택지는 독해 내용 논리 구간(독해 내용 논리 구간)의 내용과 언어논리적 연관성을 갖추어 선택지 내용의 타당성이나 오류를 상기 독해 내용 논리 구간으로 증명 가능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problem according to the above statement and the multiple choice choice can be verified with the logical content of the reading content logic section (reading content logic section), and the validity or error of the selection content can be proved by the reading content logic section.

상기 사용자 키 입력부(101)는 기등록된 문제지 제공 사용자 명령과 사용자 답안을 입력받는 것으로, 관련된 키를 구비한다. 상기 기등록된 문제지는 일실시예에 따른 제시문 유형의 문제를 구비한 문제지를 포함한다.The user key input unit 101 receives a pre-registered problem sheet providing user command and a user answer, and has a related key. The pre-registered questionnaire includes a questionnaire having a problem of a presentation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표시부(102)는 상기 제어부(103)의 제어하에, 기등록된 문제지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display unit 102 provides a pre-registered problem shee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03. [

제어부(103)는 상기 각 부를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기등록된 문제지 제공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은 경우 상기 표시부(102)에 기등록된 문제지를 제공하여 시험 처리하고, 상기 처리된 문제지의 사용자 답안을 평가하는 것이다. 특히,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103)는 상기 제시문 유형의 문제 시험시, 응시자가 질문에 따른 정답 선택지 하나를 선택하는 것은 기존 시험 방식과 동일하나, 정답 여부와 관계없이 모든 선택지에 대하여 그 내용의 타당성이나 오류를 사용자 선택 독해 내용 논리 구간 식별자 나 알 수 없음의 기호를 사용하여 준주관식 형태로 증명하도록 요구하여 정답 여부 뿐 아니라 제시문 내용과 문제 요구사항 선택지의 논리적 상관관계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는 지를 평가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제시문 유형의 문제 시험시, 상기 증명 제시문과 상관 객관식 선택지를 제공하여 객관식 선택지의 유효 여부를 증명시키고, 사용자 선택 객관식 선택지 정보로 된 객관식 답안과 사용자 선택 독해 내용 논리 구간 식별자로 된 준주관식 답안을 더불어 취합하여 적용해서 상기 객관식 선택지의 유효 여부 증명(종래 사용자 선택 객관식 선택지 결과와 병행함)을 포함하여 사용자 답안을 평가한다.
The control unit 103 controls each of the above units. When receiving the pre-registered problem sheet providing user command, the control unit 103 provides test documents previously registered in the display unit 102, performs a test process, and evaluates the processed user answers . Particularly, the controller 103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lects the correct answer choice candidate according to the question at the time of the test of the presentation type, but it is the same as the existing test method, The user is asked to prove the validity or error of the content by using the semi-subjective form using the contents logical segment identifier or the unknown sign. The user is able to accurately grasp the log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ent of the statement and the problem requirement option . In addition, at the time of the problem test of the above-mentioned presentation type, it is proved whether or not the multiple choice option is valid by providing the proof and the correlative multiple choice option, and a quasi-open question with a multiple choice answer and user- The answer is then aggregated and applied to evaluate the user's answer, including proof of the validity of the multiple choice option (concurrently with the conventional user option multiple choice result).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북(E-BOOK) 기반의 전자 문제집의 동작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2 is a view sequentially showing the operation of an electronic-book based electronic question book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북(E-BOOK) 기반의 전자 문제집은 먼저, 기등록된 문제지 제공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은 경우 기등록된 문제지를 제공하여 시험 처리한다.As shown in FIG. 2, an electronic question book based on an E-BOOK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first provides a pre-registered question paper in the case of receiving a pre-registered question paper providing user command, and performs a test process.

이때, 상기 기등록된 문제지는 제시문 유형의 문제(상기한 증명 제시문과 상관 객관식 선택지로 된 제시문 유형의 문제)를 구비하여 된 것이다(S201). At this time, the pre-registered question papers are provided with a problem of a presentation-type (a problem of the type of the presentation-type with the above-mentioned proofs and the correlation-based selection option) (S201).

이 경우, 즉 응시자가 질문에 따른 정답 선택지 하나를 선택하는 것은 기존 시험 방식과 동일하나, 정답 여부와 관계없이 모든 선택지에 대하여 그 내용의 타당성이나 오류를 사용자 선택 독해 내용 논리 구간 식별자 나 알 수 없음의 기호를 사용하여 준주관식 형태로 증명하도록 요구하여 정답 여부 뿐 아니라 제시문 내용과 문제 요구사항 선택지의 논리적 상관관계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는 지를 평가한다.In this case, it is the same as the existing test method that the candidate chooses the correct answer option according to the question, but regardless of whether the answer is correct or not, And to evaluate whether they are accurately grasping not only the correct answer but also the log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ent of the presentation and the problem requirement option.

구체적으로, 상기 제시문 유형의 문제 시험시, 일실시예에 따른 증명 제시문과 상관 객관식 선택지를 제공하여 객관식 선택지의 유효 여부를 증명시키고, 사용자 선택 객관식 선택지 정보로 된 객관식 답안과 사용자 선택 독해 내용 논리 구간 식별자로 된 준주관식 답안을 더불어 취합하여(S202) 적용해서 상기 객관식 선택지의 유효 여부 증명을 포함하여 사용자 답안을 평가한다(S203).Specifically, in the problem test of the presentation type, it is proved whether the multiple choice option is valid by providing a proof-of-concept and a correlative multiple choice op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a multiple choice answer with a user- (S202), and the user's answer is evaluated including the proof of validity of the multiple choice option (S203).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시문 유형의 문제 시험시, 일실시예에 따른 증명 제시문과 상관 객관식 선택지를 제공하여 객관식 선택지의 유효 여부를 증명시킨다.More specifically, at the time of the problem test of the above-mentioned presentation type, a proof shee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a correlated multiple choice option are provided to prove the validity of the multiple choice option.

즉, 해당 제시문을 기설정된 내용 단위(예: 단락이나 문장 또는 어구나 어휘 등) 별로 구분하여 다수의 독해 내용 논리 구간를 가지고, 더불어 상기 다수의 독해 내용 논리 구간마다 해당 독해 내용 논리 구간를 지시하며 타 독해 내용 논리 구간 상호 간에 식별시키는 독해 내용 논리 구간 식별자(또는, 식별 기호)를 매칭하여 기명기하여 된 증명 제시문과 해당 제시문의 독해 내용 논리 구간와 연관성을 구비한 객관식 선택지를 제공하여 객관식 선택지의 유효 여부를 증명시킨다.That is, the presenting contents are divided into predetermined content units (for example, paragraphs or sentences or words or vocabulary) to have a plurality of reading content logic sections, and a corresponding reading content logic section is indicat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reading content logic sections. (Or identification) that identifies the contents of the content logical section, and provides a multiple-choice option with relevance to the content description logical section of the proposal, thereby proving the validity of the multiple choice option .

다음, 사용자 선택 객관식 선택지 정보로 된 객관식 답안과 사용자 선택 독해 내용 논리 구간 식별자로 된 준주관식 답안을 더불어 취합하여 적용한다. Next, we combine the semi - answered answers with the multiple - choice answers with the user - selected multiple choice information and the user - selected reading - contents logical section identifier together.

그런 다음, 상기 객관식 선택지의 유효 여부 증명을 포함하여 사용자 답안을 평가한다(종래 사용자 선택 객관식 선택지 결과와 병행함).The user answer is then evaluated, including proof of validity of the multiple choice option (concurrent with the conventional user option multiple choice result).

즉, 사용자 선택 객관식 선택지의 독해 내용 논리 구간와 연관된 제시문의 독해 내용 논리 구간를 지시하는 사용자 선택 독해 내용 논리 구간 식별자(즉, 준주관식 답안)를 기반으로, 사용자 선택 객관식 선택지의 유효 여부 증명을 평가한다. That is, the proof of validity of the user-selected multiple choice option is evaluated based on the user-selected reading content logic interval identifier (i.e., quasi-subjunctive answer) indicating the reading content logic section of the presentation associated with the reading content logic section of the user-

구체적으로는, 상기 사용자 선택 독해 내용 논리 구간 식별자로 된 준주관식 답안과 해당 모범 답안 간의 일치 여부에 따라 사용자 선택 객관식 선택지의 유효 여부(사용자 선택 객관식 선택지의 타당성이나 오류) 증명을 평가한다. Specifically, the validity of the user-selected multiple-choice option (validity or error of the user-option multiple choice option) is evaluat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quasi-functional answer with the user-selected reading content logical section identifier matches the corresponding best-fit answer.

그리고, 이와 병행하여 사용자 선택 객관식 선택지로 된 객관식 답안과 해당 모범 답안 간의 일치 여부에 따라 사용자 선택 객관식 선택지를 평가한다. In parallel with this, the user-selected multiple choice option is evaluat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multiple choice answer with the user-selected multiple choice option is consistent with the corresponding model answer.

그래서, 상기 평가 결과, 상기 준주관식 답안(즉, 객관식 선택지의 유효 여부 사용자 증명 결과)과 객관식 답안이 전체 즉, 두 답안이 해당 모범 답안과 일치시 정답 처리한다.Thus, the above-mentioned evaluation results in that the quasi-submission answer (that is, the result of validation of the validity of the multiple choice option) and the multiple choice answer are correct when the two answers match the corresponding best answer.

반면, 상기 평가 결과, 상기 준주관식 답안이 해당 모범 답안과 미일치시 오답 처리하거나, 상기 객관식 답안이 해당 모범 답안과 미일치시 오답 처리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answer to the question is inconsistent with the best answer, or if the answer does not match the best answer, the answer is incorrect.

그 결과, 일실시예에 따른 준주관식 문항으로 가공하여 문제를 푸는 사람(구체적으로는, 수험생)은 객관식 선택지 타당성을 제시문 속에서 구체적으로 찾아서 특정 기호를 선택해서 증명해야 함으로, 판단의 정확성과 제시문-선택지 간의 논리적 연관성을 찾아내는 사고력이 길러지게 된다.
As a result, the person who solves the problem by processing the quasi-question i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specifically, the examinee) must prove the validity of the judgment by selecting a specific symbol in detail, - Thinking ability to find the logical connection between choices is raised.

한편, 일실시예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객관식 선택지 답을 체크한 후, 제시문 속에 명기된 기호를 직접 적는 방식이 아닌 객관식 선택지 옆 기설정된 기호 선택 도구를 이용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높인다.On the other hand, in one embodiment, after checking the multiple choice answer as described abov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is improved by using a symbol selection tool set beside the multiple choice option rather than directly writing the symbol specified in the suggestion.

구체적으로는, 객관식 선택지 주변의 기설정된 위치에 기등록된 독해 내용 논리 구간 식별자 선택 도구(tool)를 제공하여, 상기 제공된 기등록된 독해 내용 논리 구간 식별자 선택 도구를 적용해서 상기 준주관식 답안을 취합하는 동작으로 이루어진다.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ading content logical section identifier selection tool pre-register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ound the multiple choice option, and compares the semi-subjective answer by applying the provided registered reading content logical section identifier selection tool .

이때, 상기 독해 내용 논리 구간 식별자 선택 도구는 제시문에 포함된 전체의 독해 내용 논리 구간 식별자(또는, 식별 기호) 자체를 구비하여 독해 내용 논리 구간 식별자를 선택하거나, 토글 타입(type)으로 독해 내용 논리 구간 식별자를 변경시키면서 독해 내용 논리 구간 식별자를 선택한다.
At this time, the reading content logic section identifier selection tool may include a reading content logic section identifier (or an identification symbol) itself included in the prose text to select a reading content logic section identifier, or a toggle type, And selects the reading content logical section identifier while changing the section identifier.

그리고, 일실시예는 문제해설에서 제시문 내용 외의 어휘나 문장 개입을 최소화하고 문장을 지시하는 간단한 식별 기호로 일차적으로 제시문(텍스트)-선택지 간의 연관성을 표시하여 수험생으로 하여금 스스로 적극적인 연관성을 이해하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향후 여러 유사 시험을 대할 경우 연관성을 적극적으로 판단하려는 동기를 부여한다.In additio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vocabulary and sentence interventions other than the content of the text in the problem description, and displays a correlation between the text and the option with a simple identification symbol indicating the sentence, thereby inducing the examinee to understand the positive relation do. In the future, it will motivate the students to actively judge the relevance of similar tests.

즉, 상기 제시문 유형의 문제 해설시, 상기 제시문 유형의 문제에 구비한 오답 객관식 선택지 정보만 1 단계로 명시하고, 전체 문제 번호와 객관식 선택지 번호 및 독해 내용 논리 구간 식별자만 2 단계로 표기하며, 제시문의 독해 내용 논리 구간와 해당 선택지의 독해 내용 논리 구간를 직접 대응시키고 기설정된 내용 단위(예를 들어, 어구나 어휘 등)의 연관성을 3 단계로 표기 설명하여, 해설한다.
That is, at the time of commenting the problem of the above-mentioned presentation type, only the answer-based op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roblem of the presentation-type type is specified as one level, and only the total problem number, the multiple choice number and the reading-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reading content logic section and the reading content logic section of the corresponding option and the association of the predetermined content unit (for example, a word, a vocabulary, etc.) in three levels.

또한, 일실시예는 사용자로 하여금 모범 답안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데,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한다.In addition, one embodiment allows a user to derive a model answer, which describes specific operations.

먼저, 일실시예는 전술한 바에 따라 문제를 풀고 시험을 마치며 기설정된 앱을 구동시켜 본인이 선택한 답을 입력한다.First, one embodiment solves the problem as described above, ends the test, runs the predetermined application, and inputs the answer selected by the user.

즉, 상기 제시문 유형의 문제를 적용하여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시험 처리하고 시험을 완료한 경우 기설정된 앱을 구동시켜 사용자 선택 객관식 답안과 준주관식 답안을 입력한다. That is, when the problem of the above-mentioned sentence type is applied and the test processing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user's key operation, when the test is completed, the previously selected application is activated to input the user selected multiple choice answer and quasi-answer answer.

다음, 상기 기설정된 앱은 상기 입력된 사용자 선택 객관식 답안과 준주관식 답안 및 해당 모범 답안 간의 일치 여부에 따라 일차적으로 정답 여부를 알림하고, 이차적으로 상기 입력된 사용자 선택 객관식 답안과 준주관식 답안 및 해당 모범 답안 간에 미일치시 해당 독해 내용 논리 구간 식별자를 기반으로 한 오답 이유 증명을 제시한다.Next, the pre-set app informs whether or not the inputted user-selected multiple-choice answer is matched with the quasi-questionable answer and the corresponding best answer, firstly notifies the user whether the answer is correct, If there is no match between the model answers, a proof of the reason for the incorrect answer is presented based on the identifier of the reading content logical section.

그런 다음, 해당 제시문 유형의 문제 재차 제공에 따른 모범 답안 유도 동작을 수행하여, 문제를 푸는 사람(예: 수험생)이 다시 답을 선택하도록 한다.Then, conduct a best practice guiding action based on re-provisioning of the type of the presentation, so that the person who solves the problem (eg, the candidate) selects the answer again.

그리고, 상기한 동작과 동일한 동작을 통해 정답 여부와 증명을 제시한다.Then, whether or not an answer is correct and proof is presented through the same operation as the above-mentioned operation.

이후, 이러한 동작을 답을 찾을 때까지 즉, 입력된 사용자 선택 객관식 답안과 준주관식 답안 및 해당 모범 답안 간의 일치시까지 반복 수행한다. Thereafter, this action is repeated until the answer is found, that is, until the match between the user-selected multiple choice answer and the corresponding answer is entered.

그 결과, 사용자로 하여금 모범 답안을 유도한다.
As a result, the user is guided to a model answer.

한편, 이와 관련하여 일실시예는 상기 제시문 유형의 문제 오답시 오답 이력(예: 오답 횟수를 기호화함)을 생성하여 기설정된 유형(type)의 오답 이력물(예: 오답 노트)로 다운로드해서 제공함으로써, 학습 등을 지원한다. On the other han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correct answer history (for example, a wrong answer number is symbolized) is generated and downloaded to a predetermined type of wrong answer history (for example, a wrong answer note) And supports learning.

구체적으로는, 상기 오답 이력물을 자동으로 제공받을 기준인 사용자 설정 오답 선택 횟수를 등록받아 예를 들어, 1차 정답 입력 전 등록받는다. Specifically, the user is registered before the first correct answer input, for example, by registering the number of user-set incorrect answers as a criterion for automatically receiving the wrong answer history.

실질적인 예로는, 오답을 택한 횟수를 기준으로 사용자 본인이 '1회 ~ 4회' 중 몇 회 이상 오답을 택한 문제에 대해서 오답 노트를 제공받을지 정한 경우, 해당 정보를 등록받는다.As a practical example, if the user chooses to receive an incorrect answer note for a problem that the user himself / herself has selected incorrect answers more than a few times during 'one to four times', he / she is registered.

다음, 실제 오답 선택 횟수가 상기 등록된 사용자 설정 오답 선택 횟수 이상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Next,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actual number of wrong answers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number of times of the registered wrong user selected wrong answers.

상기 판별 결과, 실제 오답 선택 횟수가 상기 등록된 사용자 설정 오답 선택 횟수 미만인 경우 상기 오답 이력물을 미다운로드시키고, 상기 판별 결과 실제 오답 선택 횟수가 상기 등록된 사용자 설정 오답 선택 횟수 이상인 경우 상기 오답 이력물을 다운로드시킨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number of correct answers is less than the number of selected registered wrong answers, the controller downloads the incorrect answers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number of correct answers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gistered number of incorrect choices, .

이때, 오답 이력물 예를 들어, 오답 노트를 전자-북(E-BOOK) 형태로 다운로드 받고, 오답 이력물에는 문제를 푼 사람이 선택한 오답 횟수를 기호로 처리하여 표시한다.
At this time, the wrong answer history data, for example, the wrong answer note is downloaded in the form of E - BOOK, and the wrong answer history is displayed by processing the number of wrong answers selected by the person who solved the problem.

그리고, 일실시예는 문제를 푼 사람이 채점 이후 페이지에 설정한 'LOCK(해설보기 등)' 버튼이나 키를 해제한 경우, 객관식 선택지 주변 버튼(해당 객관식 선택지 타당성오류 근거를 제시문(텍스트)에 표시하기 기능)을 누를 수 있도록 하는데,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한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person who has solved the problem releases the 'LOCK' button or the key set on the page after the scoring, the button around the multiple choice option (corresponding multiple choice validity error basis, Display function) can be pressed. Specific operations will be described.

먼저, 일실시예는 해당 동작과 관련하여, 해당 제시문 유형의 문제 페이지에 설정한 해설 보기 락(LOCK) 키와, 상기 제시문 유형의 문제 객관식 선택지마다 주변의 기설정된 위치에 해당 선택지의 유효 여부에 상응하는 근거 정보 제시 명령을 입력받는 증명 활성화 키를 구비한다.First, in one embodiment, a commentary view lock key (LOCK) key set on the problem page of the corresponding presentation type and a validity of the corresponding op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ound the problem multiple choice And a proof activation key for inputting a corresponding reason information presentation command.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해설 보기 락 키 신호 입력시 해설 보기 락 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증명 활성화 키의 상태를 인에이블(enable) 상태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증명 활성화 키 신호 입력시 해당 증명 활성화 키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선택지의 유효 여부에 상응하는 근거 정보를 제시한다.In this state, when the commentary view lock key signal is input, the commentary view lock state is released to convert the state of the proof activation key into an enable state, and when the converted proof activation key signal is inputted, And provides basi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validity of the corresponding preset option.

그 결과, 객관식 선택지마다 주변에 키나 버튼이 구비되어 누른 경우 선택지 타당성이나 오류 근거가 제시문(텍스트)에 시각적으로 표시된다. 그리고, 제시문(텍스트) 내용에 미제시되어 오류인 경우는 '알 수 없음'에 해당하는 정보가 제시된다.
As a result, a key or a button is provided for each of the multiple-choice options, and the validity of the option or the reason for the error is visually displayed in the text (text). In the case of an error that is not specified in the contents of the text (tex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unknown' is presented.

또한, 일실시예는 예를 들어, 수험생이 문제를 풀 때 문제에서 정답 선택뿐만 아니라 그 객관식 선택지를 택한 근거를 제시문(텍스트)에서 찾아라는 요구를 할 경우 객관식 선택지 주변 요구찾기 실행버튼(또는, 키)을 누르고 제시문 텍스트 문장에 제시된 식별 기호 버튼을 누른 경우 그 문장이 옳은 선택인가를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For example, when an examinee asks a candidate to find an answer to a question in addition to selecting an answer in a problem, a search for a reason for selecting the multiple-choice option in a text (text) Key) and if you press the Identifier button presented in the sentence text sentence, you can visually identify whether the sentence is the correct one.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한다.A specific opera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이를 위해 일실시예는 상기 독해 내용 논리 구간 식별자별로 해당 식별자를 나타내는 기호 키를 포함한다.To this end, one embodiment includes a symbol key indicating a corresponding identifier for each of the readable content logical section identifiers.

그리고, 상기 제시문 유형의 문제 객관식 선택지마다 주변의 기설정된 위치에 설정하여 해당 제시문에서 사용자 선택 선택지를 택한 근거 색출 요구하는 근거 요구색출 키를 포함한다.And a requirement requesting key for requesting the user to select a user-selected option based on the predetermined prospective location of the problem-based option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problem types.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근거 요구색출 키 신호 입력시 더불어 상기 기호 키 신호 입력시 해당 독해 내용 논리 구간가 유효 선택인지를 시각적으로 식별시키는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 UI) 요소로 UI 처리한다.In this state, the UI is processed with a predetermined user interface (UI) element that visually discriminates whether the corresponding contents logic section is a valid selection at the time of inputting the key request signal key signal or at the time of inputting the symbol key signal.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는 예를 들어, 해당 독해 내용 논리 구간가 유효한 선택인 경우 즉, 옳은 선택인 경우 해당 독해 내용 논리 구간를 기설정된 특정 색상이나 하이라이트 등으로 시각화하는 요소로 된 것이다.The user interface element is, for example, an element for visualizing the read content logic section in a predetermined specific color or highlight if the read content logic section is a valid selection, that is, in the case of a correct selection.

이때, 문제를 푼 사람 즉, 수험생은 옳은 선택을 할 경우까지 반복해서 누른다.
At this time, the person who solved the problem, ie the candidate, presses repeatedly until the right choice is made.

한편, 일실시예에 따른 문제집은 다른 구성 예(종이 문제집 유형)를 가지고, 상기 다른 구성 예는 즉 일실시예에 따른 종이 문제집은 해설서가 구체적으로, 상기 문제 해결 방식에서 종이 문제집 해설서는, 해설서 1부가 정답 선택지를 표기하는 방식을 기존과 달리하여 각 문항 번호에 정답 이외의 선택지 번호들을 매칭시켜 제공하여 응시자가 자신이 선택한 선택지 번호가 상기 제공한 정답지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다시 정답을 판단하도록 유도하며 쉽게 정답을 기억하는 것을 막는다. 그리고, 해설서 2부는 모든 문항 선택지에 정답 여부와 그 타당성과 오류가 증명가능한 사용자 선택 독해 내용 논리 구간 식별자나 알 수 없음의 기호를 제공하여 응시자가 능동적으로 제시문 내용과 선택지 사이의 언어 논리적 연관성을 생각해 볼 수 있도록 한다. 추가로, 해설서 3부에서는 선택지 내용과 독해 내용 논리 구간내용의 논리적 대응관계를 직접적으로 대응시켜 나란히 제시하고 필요한 경우는 약간의 보충설명을 추가하여 이해를 돕는 구성으로 된 것이다. Meanwhile, the problem boo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has another configuration example (a paper problem book type), and the other configuration example, that is, the paper problem book according to an embodiment specifically describes a book, the paper problem book description book, The method of notifying one option correct answer option is provided so that the option number other than the correct answer is matched to each question number so as to judge the correct answer if the option number selected by the candidate is included in the correct answer provided by the user It prevents you from easily remembering the correct answer. In addition, the second part of the commentary provides the user with the correct answers and the validity of the questions and the user-selectable reading contents that can prove the error, and the sign of the logical interval identifier or the unknown, so that the candidate actively thinks the language- So that it can be seen. In addition, in the third part of the commentary, the logical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ent of the option content and the content of the reading content is directly corresponded and presented side by side, and if necessary, a little supplementary explanation is added to help understanding.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등록된 문제지 및, 상기 기등록된 문제지에 구비한 문제의 모범 답안으로 된 답안지를 포함하고, 상기 기등록된 문제지는 객관식 선택지를 가진 제시문 유형의 문제를 포함하며, 상기 제시문 유형의 문제는 상기 객관식 선택지의 유효 여부를 증명시키는 선택지 증명 요소(element)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지 증명 요소는 상기 제시문이 해당 제시문을 기설정된 내용 단위별로 구분하여 다수의 독해 내용 논리 구간를 가지고, 더불어 상기 다수의 독해 내용 논리 구간마다 해당 독해 내용 논리 구간를 지시하며 타 독해 내용 논리 구간 상호 간에 식별시키는 독해 내용 논리 구간 식별자를 매칭하여 기명기하여 된 증명 제시문과, 상기 제시문의 객관식 선택지가 해당 제시문의 독해 내용 논리 구간와 연관성을 구비한 상관 객관식 선택지로 된 것이고, 상기 답안지는 상기 제시문 유형의 문제별로, 해당 문두의 질의 사항에 상응하여 기설정된 객관식 선택지 정보로 된 객관식 모범 답안과 기설정된 객관식 선택지의 유효 여부 증명을 평가하는 독해 내용 논리 구간 식별자로 된 준주관식 모범 답안을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answer book includes an answer sheet having a pre-registered question sheet and a best-prepared answer to the problem already included in the previously registered question sheet. The pre-registered question sheet includes a problem of a show-note type having a multiple choice option, Type problem includes an optional proving element for verifying the validity of the multiple choice choice element, the proposal entry element has a plurality of reading content logic sections by dividing the proposal by predetermined content units, A proof-of-concept statement matching the read-content logic section identifier indicating the corresponding read-content logic section and identifying the read-out content logic section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read content logic sections, Correlated multiple choice with relevance to logic section The answer sheet includes a multiple-choice exemplary answer set corresponding to the question of the corresponding question type, a predetermined multiple choice answer made of the multiple-choice option information, and a reading content logical section identifier for evaluating the validity of the predetermined multiple choice option Includes a quasi - answer model answer.

이때, 상기 문제집은 상기 기등록된 문제지의 해설지를 포함하고, 상기 해설지는 상기 제시문 유형의 문제에 구비한 오답 객관식 선택지 정보만으로 된 1 단계 해설 부(part)와, 전체 문제 번호와 객관식 선택지 번호 및 독해 내용 논리 구간 식별자만으로 된 2 단계 해설 부 및, 제시문의 독해 내용 논리 구간와 해당 선택지의 독해 내용 논리 구간를 직접 대응시키고 기설정된 내용 단위의 연관성을 표시 설명하는 정보로 된 3 단계 해설 부를 포함한다.
At this time, the question book includes a commentary of the pre-registered questionnaire, the commentary includes a first-level comment part made up of only the answer-based option information provided for the question of the present-statement type, And a 3-step commentary section which is information for directly relating the read-out content logic s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isplaying the association of the previously-set content unit.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문제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question pa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문제지는 제시문 유형의 문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시문 유형의 문제는 제시문(본문, 보기 등)과 객관식 선택지를 구비하며, 특히 상기 제시문은 해당 제시문을 기설정된 내용 단위(예: 단락이나 문장 등) 별로 구분하여 다수의 독해 내용 논리 구간를 가지고, 더불어 상기 다수의 독해 내용 논리 구간마다 해당 독해 내용 논리 구간를 지시하며 타 독해 내용 논리 구간 상호 간에 식별시키는 독해 내용 논리 구간 식별자(또는, 식별 기호, 여기서는 , , ... , (1), (2), ... )를 매칭하여 기명기하여 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객관식 선택지는 해당 제시문의 독해 내용 논리 구간와 연관성을 구비한 객관식 선택지(여기서는, , , ... , )로 된 것이다. 이때, 일실시예에 따른 문제지는 객관식 선택지 증명 안내 정보(여기서는, "( ) 안에 선택지 타당성이나 오류의 근거가 되는 본문 문장 기호를 적으세요. 선택지의 내용이 본문 내용으로는 알 수 없는 경우는 '알 수 없음'을 적으세요.")를 구비한다.
As shown in FIG. 3, the problem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problem of a presentation type, and the problem of the presentation type includes a presentation (a text, a view, and the like) and a multiple choice option. A plurality of reading content logic sections that are divided into predetermined content units (e.g., paragraphs or sentences), and a reading content logic section that indicates a corresponding reading content logic section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reading content logic sections, (Or an identifier, in this case, ..., (1), (2), ...). In addition, the multiple choice selection consists of a multiple choice option (here,,, ...) having relevance to the reading content logic section of the proposal. In this case, the question pap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include a multiple choice sentence in which the option validation information (in this case, "() Please write down 'unknown'").

도 4a 내지 도 4c는 일실시예에 따른 해설지의 구성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4A to 4C ar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xplanation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order.

그리고, 도 4a는 제시문 유형의 문제에 구비한 오답 객관식 선택지 정보만으로 1 단계 해설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전체 문제 번호와 객관식 선택지 번호 및 독해 내용 논리 구간 식별자만으로 된 2 단계 해설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c는 제시문의 독해 내용 논리 구간와 해당 선택지의 독해 내용 논리 구간를 직접 대응시키고 기설정된 내용 단위의 연관성을 표시 설명하는 정보로 된 3 단계 해설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4A is a diagram showing a first-level explanatory part with only an option-based option information included in a problem of a presentation type, FIG. 4B shows a second-level explanatory part having only an overall problem number, FIG. 4C is a diagram showing a three-level explanatory unit as information for directly associating a reading content logic section of a presentation with a reading content logic section of the presentation, and displaying and displaying the association of a predetermined content unit.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해설지는 상기 제시문 유형의 문제 해설시, 상기 제시문 유형의 문제에 구비한 오답 객관식 선택지 정보만 1 단계로 명시하고(도 4a 참조), 다음 전체 문제 번호와 객관식 선택지 번호 및 독해 내용 논리 구간 식별자만 2 단계로 표기하며(도 4b 참조), 제시문의 독해 내용 논리 구간와 해당 선택지의 독해 내용 논리 구간를 직접 대응시키고 기설정된 내용 단위의 연관성을 3 단계로 표기 설명하여, 해설한다(도 4c 참조).As shown in FIGS. 4A to 4C, the commentar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specifies only the questionable answer op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question of the type of the presented statement as one step (see FIG. 4A) (See FIG. 4B),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logical content of the content of the presentation and the reading content logic section of the selected content is set to correspond to 3 Step is described and described (see Fig. 4C).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사용자 키 입력부 102 : 표시부
103 : 제어부 104 : 저장부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01: user key input unit 102: display unit
103: control unit 104:

Claims (9)

기등록된 문제지 제공 사용자 명령과 사용자 답안을 입력받는 사용자 키 입력부;
상기 기등록된 문제지를 제공하는 표시부; 및
상기 기등록된 문제지 제공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은 경우 상기 표시부에 기등록된 문제지를 제공하여 시험 처리하고, 상기 처리된 문제지의 사용자 답안을 평가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기등록된 문제지는,
객관식 선택지를 구비한 제시문 유형의 문제를 포함하며, 상기 제시문은 해당 제시문을 기설정된 내용 단위별로 구분하여 다수의 독해 내용 논리 구간를 가지고, 더불어 상기 다수의 독해 내용 논리 구간마다 해당 독해 내용 논리 구간를 지시하며 타 독해 내용 논리 구간 상호 간에 식별시키는 독해 내용 논리 구간 식별자를 매칭하여 기명기하여 된 증명 제시문으로 된 것이고, 상기 제시문의 객관식 선택지는 해당 제시문의 독해 내용 논리 구간와 연관성을 구비한 상관 객관식 선택지로 된 것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시문 유형의 문제 시험시, 상기 증명 제시문과 상관 객관식 선택지를 제공하여 객관식 선택지의 유효 여부를 증명시키고, 사용자 선택 객관식 선택지 정보로 된 객관식 답안과 사용자 선택 독해 내용 논리 구간 식별자로 된 준주관식 답안을 더불어 취합하여 적용해서 상기 객관식 선택지의 유효 여부 증명을 포함하여 사용자 답안을 평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제시문과 선택지 간의 언어 논리적 증명관계를 이용한 전자-북(E-BOOK) 기반의 전자 문제집.
A user key input unit for receiving previously registered problem sheet providing user commands and user answers;
A display unit for providing the pre-registered questionnaire; And
A controller for providing a preliminarily registered questionnaire on the display unit and performing a test processing when the preliminarily registered questionnaire-providing user command is input, and evaluating a user answer of the processed questionnaire;
/ RTI >

The pre-
A plurality of reading content logic sections for dividing the presentation text into predetermined content units and a corresponding reading content logic section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reading content logic sections, The sele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rrelative multiple choice expression having relevance to the reading contents logic section of the presenting statement,

Wherein,
When the problem test of the above-mentioned sentence type is performed, the proof-of-concept and the correlated multiple-choice option are provided to prove the validity of the multiple-choice option, and the quasi-subjunctive answer of the multiple choice answer and the user- Collecting and applying them to evaluate user answers including proof of validity of the multiple choice option;
(E-BOOK) -based electronic workbooks based on the language-logical relationship between propositional and alternative featur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객관식 선택지 주변의 기설정된 위치에 기등록된 독해 내용 논리 구간 식별자 선택 도구(tool)를 제공하여, 상기 제공된 기등록된 독해 내용 논리 구간 식별자 선택 도구를 적용해서 상기 준주관식 답안을 취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북(E-BOOK) 기반의 전자 문제집.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ading content logical section identifier selection tool previously registered at a predetermined location around the multiple choice option and collects the quasi-subjunctive answers by applying the provided registered reading contents logical section identifier selection tool. (E-BOOK) based electronic workboo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각 문항 번호에 정답 이외의 선택지 번호들만을 매칭시켜 제공하여 응시자 선택한 선택지 번호가 상기 제공한 정답지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다시 정답을 판단하도록 유도하며 쉽게 정답을 기억하는 것을 막는 처리하는 1단계 동작을 수행하고, 모든 문항 선택지에 정답 여부와 그 타당성과 오류가 증명가능한 사용자 선택 독해 내용 논리 구간 식별자나 기설정된 알 수 없음의 기호를 제공하여 응시자가 능동적으로 제시문 내용과 선택지 사이의 언어 논리적 연관성을 생각해 볼 수 있도록 처리하는 2단계 동작을 수행하며 및, 선택지 내용과 독해 내용 논리 구간 내용의 논리적 대응관계를 직접적으로 대응시켜 나란히 제시하고 기설정된 내용 단위의 연관성을 표시 설명하는 정보나 보충설명을 추가하는 3 단계 동작을 수행하여, 해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북(E-BOOK) 기반의 전자 문제집.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f only the option numbers other than the correct answers are provided in the respective item numbers, the candidate is prompted to judge the correct answer again if the selected option number is included in the provided correct answer, , The candidate should be able to actively think about the log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ent of the presentation and the choice by providing the user with the correct answer, And the logical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ent of the choice content and the contents of the contents of the reading contents is directly corresponded to each other, and the information describing the association of the content units previously set or the supplementary explanation is added 3 A step operation is performed to explain (E-BOOK) based electronic workboo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답안을 평가하는 것이 상기 제시문 유형의 문제를 적용하여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시험 처리하고 시험을 완료한 경우 기설정된 앱을 구동시켜 사용자 선택 객관식 답안과 준주관식 답안을 입력하며, 상기 기설정된 앱은 상기 입력된 사용자 선택 객관식 답안과 준주관식 답안 및 해당 모범 답안 간의 일치 여부에 따라 일차적으로 정답 여부를 알림하고 이차적으로 상기 입력된 사용자 선택 객관식 답안과 준주관식 답안 및 해당 모범 답안 간에 미일치시 해당 독해 내용 논리 구간 식별자를 기반으로 한 오답 이유 증명을 제시하며 해당 제시문 유형의 문제 재차 제공에 따른 모범 답안 유도 동작을 입력된 사용자 선택 객관식 답안과 준주관식 답안 및 해당 모범 답안 간의 일치시까지 반복 수행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북(E-BOOK) 기반의 전자 문제집.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Evaluating the user's answer by applying the problem of the above-mentioned presentation type and testing according to a user key operation, and when the examination is completed, inputting a user-selected multiple choice answer and a quasi-question answer by driving a predetermined application, Based on the inputted user-selected multiple-choice answer, the semi-answered answer and the corresponding best answer, whether or not there is a match between the inputted user-selected multiple choice answer and the semi-answered answer and the corresponding best answer The contents of the reading comprehension logic section is presented based on the identifier of the incorrect answer and the proof of reason is presented to the user. (E-BOOK) machine Of electronic workbook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시문 유형의 문제 오답시 오답 이력을 생성하여 기설정된 유형(type)의 오답 이력물로 다운로드하고, 상기 오답 이력물을 자동으로 제공받을 기준인 사용자 설정 오답 선택 횟수를 등록받아 실제 오답 선택 횟수가 상기 등록된 사용자 설정 오답 선택 횟수 이상인지 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판별 결과 실제 오답 선택 횟수가 상기 등록된 사용자 설정 오답 선택 횟수 미만인 경우 상기 오답 이력물을 미다운로드시키고 상기 판별 결과 실제 오답 선택 횟수가 상기 등록된 사용자 설정 오답 선택 횟수 이상인 경우 상기 오답 이력물을 다운로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북(E-BOOK) 기반의 전자 문제집.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trol unit
An incorrect answer history is generated in the case of the question type of the presentation type and is downloaded as a wrong type history of the predetermined type and a number of times of the user's choice of the incorrect choice to be automatically provid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number of correct answers is less than the registered number of incorrect choices made by the user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And the downloading of the wrong answer history is performed if the number of incorrect answers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number of times of selection of the incorrectly set user's answer.
제 1 항에 있어서,
해당 제시문 유형의 문제 페이지에 설정한 해설 보기 락(LOCK) 키; 및
상기 제시문 유형의 문제 객관식 선택지마다 주변의 기설정된 위치에 해당 선택지의 유효 여부에 상응하는 근거 정보 제시 명령을 입력받는 증명 활성화 키;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해설 보기 락 키 신호 입력시 해설 보기 락 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증명 활성화 키의 상태를 인에이블(enable) 상태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증명 활성화 키 신호 입력시 해당 증명 활성화 키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선택지의 유효 여부에 상응하는 근거 정보를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북(E-BOOK) 기반의 전자 문제집.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View Comment Lock (LOCK) key set on the problem page of the suggested type; And
A proof activation key for receiving a proof information presentation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validity of the selected option at a predefined location around the problem specific option for each of the proposal type;
And,

The control unit
And when the comment lock key signal is input, releasing the commentary view lock state to convert the state of the proof activation key to an enable state, and when the converted proof key signal is input, (E-BOOK) -based electronic problem solicitation, wherein the user is provided with eviden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validity of the option.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독해 내용 논리 구간 식별자별로 해당 식별자를 나타내는 기호 키;
를 포함하고,

상기 제시문 유형의 문제 객관식 선택지마다 주변의 기설정된 위치에 설정하여 해당 제시문에서 사용자 선택 선택지를 택한 근거 색출 요구하는 근거 요구색출 키;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거 요구색출 키 신호 입력시 더불어 상기 기호 키 신호 입력시 해당 독해 내용 논리 구간가 유효 선택인지를 시각적으로 식별시키는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 UI) 요소로 UI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북(E-BOOK) 기반의 전자 문제집.
7.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6,
A symbol key for indicating a corresponding identifier for each of the readout content logical section identifiers;
Lt; / RTI >

A basis request extraction key for requesting a basis selection of a user selection option in the proposal sentence by setting the selected question type op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ound the question selection type;
/ RTI >

The control unit
(UI) element that visually discriminates whether the corresponding contents logic section is a valid selection when the symbol key signal is input upon inputting the basis request key signal. (E-BOOK) based electronic workbook.
기등록된 문제지; 및,
상기 기등록된 문제지에 구비한 문제의 모범 답안으로 된 답안지;
를 포함하고,

상기 기등록된 문제지는,
객관식 선택지를 가진 제시문 유형의 문제;
포함하며,

상기 제시문 유형의 문제는,
상기 객관식 선택지의 유효 여부를 증명시키는 선택지 증명 요소(element);
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지 증명 요소는,
상기 제시문이 해당 제시문을 기설정된 내용 단위별로 구분하여 다수의 독해 내용 논리 구간를 가지고, 더불어 상기 다수의 독해 내용 논리 구간마다 해당 독해 내용 논리 구간를 지시하며 타 독해 내용 논리 구간 상호 간에 식별시키는 독해 내용 논리 구간 식별자를 매칭하여 기명기하여 된 증명 제시문과, 상기 제시문의 객관식 선택지가 해당 제시문의 독해 내용 논리 구간와 연관성을 구비한 상관 객관식 선택지로 된 것이고,

상기 답안지는,
상기 제시문 유형의 문제별로, 해당 문두의 질의 사항에 상응하여 기설정된 객관식 선택지 정보로 된 객관식 모범 답안과 기설정된 객관식 선택지의 유효 여부 증명을 평가하는 독해 내용 논리 구간 식별자로 된 준주관식 모범 답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문제집.
Previously registered questionnaire; And
An answer sheet having an exemplary answer to the problem included in the previously registered questionnaire;
Lt; / RTI >

The pre-
Problem of type of proposal with multiple choice;
≪ / RTI &

The problem of the above-
An optional proof element for verifying the validity of the multiple choice option;
Lt; / RTI >

The optional proof element includes:
And a reading content logic section for indicating a corresponding reading content logic section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reading content logic sections and identifying the reading content logic sections from among the plurality of reading content logic sections, And a correlated multiple choice form having a multiple choice phrase of the presented sentence having a relevance to a reading content logic section of the presented sentence,

In the answer sheet,
A question-and-answer model answer based on the question type of the above-mentioned statement, a multiple-choice exemplary answer with the multiple-choice option information and a reading content logic interval identifier evaluating the validity of the predetermined multiple choice option;
And a paper problem classifie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등록된 문제지의 해설지;
를 포함하고,

상기 해설지는
각 문항 번호에 정답 이외의 선택지 번호들만을 매칭시켜 제공하여 응시자 선택한 선택지 번호가 상기 제공한 정답지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다시 정답을 판단하도록 유도하며 쉽게 정답을 기억하는 것을 막는 처리하는 해설서 1부(part)와, 모든 문항 선택지에 정답 여부와 그 타당성과 오류가 증명가능한 사용자 선택 독해 내용 논리 구간 식별자나 기설정된 알 수 없음의 기호를 제공하여 응시자가 능동적으로 제시문 내용과 선택지 사이의 언어 논리적 연관성을 생각해 볼 수 있도록 처리하는 해설서 2부 및, 선택지 내용과 독해 내용 논리 구간 내용의 논리적 대응관계를 직접적으로 대응시켜 나란히 제시하고 기설정된 내용 단위의 연관성을 표시 설명하는 정보나 보충설명을 추가하여 된 해설서 3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문제집.
9. The method of claim 8,
A commentary of the previously registered questionnaire;
Lt; / RTI >

The above-
(1) a commentary processing unit which provides only the option numbers other than the correct answer in each question number so as to induce the user to judge the correct answer when the candidate's selected option number is included in the provided correct answer sheet, ), And whether or not the correct answer is given to all the item choices, and the validity and error are verifiable. User-selectable reading contents Logical interval identifier or predetermined unknown symbol is provided so that the candidate actively thinks language- 2, and a logical explanation of the logical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option content and the content of the read-out logical section is presented side by side in correspondence with each other, and the relevance of the predetermined content unit is described. ≪ / RTI >
KR1020160076688A 2016-06-20 2016-06-20 Electronic workbook typed in electronic-book and sheet workbook using proof relationship between given text and item KR1019943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6688A KR101994378B1 (en) 2016-06-20 2016-06-20 Electronic workbook typed in electronic-book and sheet workbook using proof relationship between given text and i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6688A KR101994378B1 (en) 2016-06-20 2016-06-20 Electronic workbook typed in electronic-book and sheet workbook using proof relationship between given text and i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727A true KR20170142727A (en) 2017-12-28
KR101994378B1 KR101994378B1 (en) 2019-07-08

Family

ID=60939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6688A KR101994378B1 (en) 2016-06-20 2016-06-20 Electronic workbook typed in electronic-book and sheet workbook using proof relationship between given text and i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4378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961B1 (en) * 2006-04-06 2007-09-21 이기원 Language training method using internet
KR20100011891U (en) * 2009-05-28 2010-12-08 오충탁 a workbook that displays the system of solution in diagram form for the language part of the SATscholastic aptitude test and the way of explaining answers for the workbook
KR20120117610A (en) * 2011-04-14 2012-10-24 (주)블루핀 Method and apparatus for studying and evaluating using e-learning application in smart device
KR20160020813A (en) * 2014-08-14 2016-02-24 정성모 System, server and method of providing examination ser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961B1 (en) * 2006-04-06 2007-09-21 이기원 Language training method using internet
KR20100011891U (en) * 2009-05-28 2010-12-08 오충탁 a workbook that displays the system of solution in diagram form for the language part of the SATscholastic aptitude test and the way of explaining answers for the workbook
KR20120117610A (en) * 2011-04-14 2012-10-24 (주)블루핀 Method and apparatus for studying and evaluating using e-learning application in smart device
KR20160020813A (en) * 2014-08-14 2016-02-24 정성모 System, server and method of providing examination ser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4378B1 (en) 2019-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manov TESTING AND EVALUATION
Elder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linguistic knowledge and learning outcomes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of Chinese
KR101905807B1 (en) Bool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self-directed learning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Salmela et al. Lexize: A test to quickly assess vocabulary knowledge in Finnish
US1042421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bility-appropriate text generation
Pakpahan et al. Analysis Reading Comprehension Questions by Using Revised Bloom's Taxonomy on Higher Order Thinking Skill (HOTS)
Goh et al. Microfeatures influencing writing quality: The case of Chinese students’ SAT essays
Dirgeyasa THE IMPROVEMENT OF STUDENTS’WRITING SKILL ACHIEVEMENT THROUGH ERROR ANALYSIS METHOD
JP7013004B2 (en) Test equipment, test methods and test programs
Harrington et al. Focus on the forms: Form recognition practice in Chinese vocabulary learning
KR101994378B1 (en) Electronic workbook typed in electronic-book and sheet workbook using proof relationship between given text and item
JP2019152864A (en) Confidence determination method and confidence determination program to answer
KR101113908B1 (en) Diagnosis system and method of cognitive function for foreign language learners
de Silva Joyce et al. Investigating the literacy, numeracy and ICT demands of primary teacher education
TW201513063A (en) Language diagnos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Banerjee et al. Choosing test formats and task types
Jones et al. Asset languages: A case study of piloting the CEFR manual
Ismail Is it Application of Extended Writing Truly Push Writing Student Ability?
Rahimi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Language Assessment Literacy Scale for High School EFL Teachers: A Mixed Methods Approach
KR20150036954A (en) Dictation study and scoring Method using Application
Elyza et al. THE IMPACT OF TEACHER’S FEEDBACK ON STUDENTS’WRITING PERFORMANCE (A PRE EXPERIMENTAL STUDY AT SMAN 1 KUTA BARO)
Jumatriadi The Effectiveness of Using Short Story to Improve Students’ Ability in Reading English Texts: Experimental Study at the Eight Grade Students of MTs. AL-Madani Pelulan in Academic
ŽÁČOK et al. VERIFICATION OF NEW ELECTRONIC TECHNICAL TEXTBOOKS IN THE CURRENT SCHOOL.
SALMELA et al. Cognition and Neurosciences
Metekohy Developing english rubric for describing the student’s basic language skill competence in student’s report c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