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2261A - 절연구조가 개선된 충전기용 트랜스포머 - Google Patents

절연구조가 개선된 충전기용 트랜스포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2261A
KR20170142261A KR1020160075412A KR20160075412A KR20170142261A KR 20170142261 A KR20170142261 A KR 20170142261A KR 1020160075412 A KR1020160075412 A KR 1020160075412A KR 20160075412 A KR20160075412 A KR 20160075412A KR 20170142261 A KR20170142261 A KR 20170142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a hole
block
transformer
cor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5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호
이상규
문 수 정
Original Assignee
이성호
문 수 정
이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호, 문 수 정, 이상규 filed Critical 이성호
Priority to KR1020160075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42261A/ko
Publication of KR20170142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22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3Insulation between winding turns, between wind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6Fastening parts of the core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the core on casing o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04Printed win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절연구조가 개선된 충전기용 트랜스포머가 제공된다. 제공된 절연구조가 개선된 충전기용 트랜스포머는 한 쌍의 코어블록; 상기 한 쌍의 코어블록 사이에 배치되고, 일단에 1차측 코일패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1차측 비아홀이 마련되며, 타단에 2차측 코일패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2차측 비아홀이 마련된 기판유닛; 상기 기판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코어블록과 2차측 비아홀 사이에서 상기 코어블록의 단부를 소정 구간 수용하여 상기 코어블록과 2차측 비아홀 간의 절연거리를 확보하는 스페이서블록 및 상기 코어블록과 스페이서블록을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여 제품의 전체적인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트랜스포머가 견고한 결속 구조를 갖도록 한다.

Description

절연구조가 개선된 충전기용 트랜스포머{Transformer insulation structure is improved}
본 발명은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랜스포머의 구성요소인 1차측 부품(코어블록)과 2차측 비어홀 간의 절연거리를 기판유닛의 길이 연장 없이 별도의 스페이서블록을 통해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판유닛의 길이를 최소화하여 제품의 전체적인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도록 한 절연구조가 개선된 충전기용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기술 및 통신 기술이 급격하게 발전함에 따라 모바일기기의 보급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모바일기기를 동작하기 위해서는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구비되며, 이러한 배터리는 모바일기기의 사용에 따라 내부에 축적된 전력이 결정되며, 일정한 사용 시간이 지나면 축적된 전력 소모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때문에 상기 배터리는 별도의 충전기를 사용하여 충전해주어야만 다시 재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 모바일기기용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기는 가정에 보급되는 상용 전압을 인가받아 배터리를 충전하는데 적합한 전압으로 변환한 후에 배터리를 충전한다.
이때, 가정에 보급되는 상용 전압은 220볼트의 교류 전압이고, 배터리 충전에 사용되는 전압은 5볼트이다. 이에 충전기는 220볼트의 상용 전압을 5볼트의 전압으로 강하시킨 다음 이를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배터리를 충전한다.
이렇게 충전기에서 220볼트의 상용 전압을 5볼트의 낮은 전압으로 강하하는 구성요소가 트랜스포머이다.
상기 트랜스포머는 상용 전압이 인가되는 1차측 권선과 상기 상용 전압보다 낮은 전압을 출력하는 2차측 권선으로 구성된다.
상기 1차측 권선에 교류 전류를 흘려주면 2차측 권선에 교류 전류가 유도되어 흐르게 된다. 트랜스포머는 2차측 권선에 연결되는 2개의 2차측 핀 단자 들을 구비하며, 2차측 핀 단자들에 부하가 연결된다. 부하는 2차측 핀 단자들에 흐르는 전류를 받아서 동작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7489호는 "멀티 트랜스포머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공개된 특허기술로,
페라이트코어와 변압수단으로 구성되어 메인보드에 구비되는 트랜스포머에 있어서, 상기 변압수단은, 평면상에서 동심원으로 형성되는 코일 형상으로써 적어도 둘 이상으로 구비되는 도전성패턴과, 상기 도전성패턴의 사이에 구비되어 교류자속을 발생하는 권선코일 및 상기 도전성패턴과 권선코일 사이에 삽입되는 절연부재가 상기 페라이트코어의 내부에서 적층되어 구비되고, 중앙에는 상기 페라이트코어에 상응하는 장착홀이 형성되고, 둘레면에는 상기 도전성패턴과 권선코일이 결선되는 다수개의 리드핀이 구비되는 마운트;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도전성패턴은, 일단이 상기 마운트의 일측면에 구비된 리드핀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타단은 정방향으로 동심원 형상으로 굴곡지는 제1패턴; 및 일단은 상기 제1패턴의 타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역방향으로 동심원 형상으로 굴곡져서 상기 리드핀 중 상기 제1패턴의 일단이 연결되지 않은 리드핀에 연결되는 제2패턴;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 트랜스포머는 1차측 권선과 2차측 권선 간의 절연을 절연소재를 이용한 수작업으로 진행하였으며, 이로 인해 제품 생산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90132호 "트랜스포머 및 판상 코일 성형체"는 1차 코일모듈의 상하부에 절연 몰딩체에 매립된 2차 코일모듈이 배치되어 절연을 위한 별도의 수작업 없이도 트랜스포머의 1차 코일 모듈과 2차 코일 모듈 간의 내부 절연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종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90132호는 1차측 코일모듈과 한 쌍의 2차측 코일모듈이 구분되어 복잡한 조립구조를 이루어 제품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술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33397호 "평면형 트랜스포머 및 이의 제조방법"은 서로 전자기 결합하는 한 쌍의 코어를 갖는 코어부; 상기 한 쌍의 코어 사이에 배치되고 서로 적층되는 복수의 기판을 갖는 기판부; 상기 기판부의 복수의 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기판상에 형성되어 입력된 전원을 전달하는 전원 전달용 패턴과, 상기 전원 전달용 패턴과 동일한 기판상에 형성되며, 상기 전달용 패턴으로부터 일정 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더미 패턴을 갖는 패턴부; 및 상기 기판부의 복수의 기판 중 상기 패턴부가 형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판 상에 도포되는 절연성 수지를 갖는 수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33397호는 트랜스포머의 전체적인 높이를 낮추어 제품의 슬림화를 구현할 수는 있었으나, 그 구조 특성상 패턴부와 코어부 사이에 필요한 절연거리 확보를 위해 제품의 길이가 더 길어져 제품의 소형화 구현에 어려움이 있었다.
즉, 상기 기판부의 전원 전달용 패턴은 일차 전원전달용 패턴과 이차 전원전달용 패턴으로 구분되며, 일차 전원전달용 패턴 및 이와 관련된 1차측 부품(코어부)과 이차 전원전달용 패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비아홀은 트랜스포머의 안전을 위해 소정거리(기준 절연거리 ; 7mm)를 유지해야 한다.
이에,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33397호는 일차 전원전달용 패턴 관련부품인 코어부와 이차 전원전달용 패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비아홀을 소정 거리 이격시키기 위하여 기판부를 더욱 길게 형성해야 했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748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90132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트랜스포머의 구성요소인 1차측 부품(코어블록)과 2차측 코일패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2차측 비아홀 간의 규격화된 절연거리 유지를 기판유닛의 길이 연장 없이 별도의 스페이서블록을 통해 구현함으로써, 상기 기판유닛의 길이를 최소화하여 제품을 소형화할 수 있도록 한 절연구조가 개선된 충전기용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트랜스포머의 구조 개선을 통해 트랜스포머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이 암·수 연결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트랜스포머가 견고한 결속구조를 갖도록 한 키를 이용한 절연구조를 갖는 충전기용 트랜스포머를 제공한다.
상기한 과제해결을 위한 본 발명은
한 쌍의 코어블록;
상기 한 쌍의 코어블록 사이에 배치되고, 일단에 1차측 코일패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1차측 비아홀이 마련되며, 타단에 2차측 코일패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2차측 비아홀이 마련된 기판유닛;
상기 기판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코어블록과 2차측 비아홀 사이에서 상기 코어블록의 단부를 소정 구간 수용하여 상기 코어블록과 2차측 비아홀 간의 절연거리를 확보하는 스페이서블록 및
상기 코어블록과 스페이서블록을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블록은,
상기 1차측 비아홀 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내측에 상기 기판유닛이 삽입, 연결되는 삽입홀을 갖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의 외측에서 상기 1차측 비아홀 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내측에 상기 한 쌍의 코어블록 단부가 삽입, 연결된 수용홈을 갖는 결속관 및
상기 결속관의 외면에 돌출된 결속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홈은,
상기 수용홈에 삽입, 연결된 코어블록을 상기 2차측 비아홀로 부터 차단하기 위해 상기 2차측 비아홀이 형성된 측이 폐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코어블록은,
내면에 상기 연결관이 삽입, 안착되는 안착홈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내측에 상기 코어블록과 스페이서블록이 안착되는 연결홈이 마련되며, 상기 연결홈의 바닥면에는 상기 스페이서블록의 결속관 두께와 동일한 깊이를 갖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의 어느 일측에는 상기 스페이서블록의 결속돌기가 연결되는 절개부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블록의 결속관은 어느 한 면이 상기 연결관의 단부와 동일한 길이가 되도록 절개되어 있으며, 상기 기판유닛의 2차측 비아홀은 상기 결속관의 절개부위와 반대 방향으로 치우치게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트랜스포머의 구조 개선을 통해 1차측과 2차측 간의 규격 절연거리를 기판유닛의 길이 연장 없이 별도의 스페이서블록을 통해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소형화를 구현함은 물론, 상기 트랜스포머를 구성하는 구성요소 간의 연결구조 개선을 통해 견고한 결속구조를 갖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연구조가 개선된 충전기용 트랜스포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연구조가 개선된 충전기용 트랜스포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연구조가 개선된 충전기용 트랜스포머를 나타낸 저면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연구조가 개선된 충전기용 트랜스포머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연구조가 개선된 충전기용 트랜스포머를 나타낸 요부 평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B-B선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연구조가 개선된 충전기용 트랜스포머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연구조가 개선된 충전기용 트랜스포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연구조가 개선된 충전기용 트랜스포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연구조가 개선된 충전기용 트랜스포머를 나타낸 저면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절연구조가 개선된 충전기용 트랜스포머(100)는 서로 전자기 결합되는 한 쌍의 코어블록(110), 상기 코어블록(110) 사이에 연결된 기판유닛(120), 상기 기판유닛(120)에 연결된 스페이서블록(130) 및 케이스(140)를 포함한다.
상기 코어블록(110)은 그 내부에서 입력측 전압이 승압 또는 강압되어 원하는 출력측 전압으로 변환되는 변환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코어블록(110)에는 각각 제1 레그(leg ; 111), 제2 레그(leg ; 112) 및 제3 레그(leg ; 113)가 구비되어 결합을 통해 서로 전자기 결합되며, 내면에 상기 스페이서블록(130)의 연결관(133)이 삽입, 안착되는 안착홈(115)이 마련된다.
상기 코어블록(110)은 페라이트(Ferrite)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페라이트는 수키로 헤르츠(Hz)에서 수십 키로 헤르츠(Hz)대에서 사용 가능하고, 사용 가능한 주파수대가 높아서 용량에 비해 크기의 소형화가 가능하여 가벼우며, 손실률이 낮아 고주파에서 와전류손실을 감소시킨다.
한편, 상기 기판유닛(120)은 1차 전압을 인가받기 위한 1차측 코일패턴과 상기 1차측 코일패턴과 전자기 유도작용에 의해 유도 전압을 발생시키는 2차측 코일패턴이 인쇄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기판유닛(120)은 그 내부에는 상기 코어블록(110)의 제2 레그(112)가 삽입되는 삽입공(125)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 상기 기판유닛(120)은 하나로 표현하였으나, 적어도 하나의 기판 또는 복수의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기판으로 이루어질 경우 이들은 서로 적층된다.
또한, 상기 기판유닛(120)은 그 일단에 상기 1차측 코일패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1차측 비아홀(121)이 마련되며, 타단에 2차측 코일패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2차측 비아홀(123)이 마련된다.
한편, 상기 스페이서블록(130)은 상기 기판유닛(120)에 연결되며, 상기 코어블록(110)과 2차측 비아홀(123) 사이에서 상기 코어블록(110)의 단부를 소정 구간 수용하여 상기 코어블록(110)과 2차측 비아홀(123) 간의 절연거리를 확보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1차측 부품인 상기 코어블록(110)과 2차측 비아홀(123) 간의 절연거리는 상기 코어블록(110)의 외부 노출부위부터 상기 2차측 비아홀(123) 까지의 거리이며, 그 측정거리가 규격 절연거리 보다 길어야 한다.
이에, 본 발명의 스페이서블록(130)은 상기 코어블록(110)의 단부를 수용하여 상기 코어블록(110)의 외부 노출부위를 상기 2차측 비아홀(123)로 부터 멀어지게 함으로써, 길이가 짧은 기판유닛(120) 내에서도 1차측과 2차측 간의 규격 절연거리를 확보하여 본 발명의 기능을 수행한다.
만약, 상기 스페이서블록이 적용되지 않았다면, 상기 2차측 비아홀(123)의 위치를 상기 코어블록(110)의 단부로 부터 더 멀어지게 하기 위해 기판유닛(120)의 길이가 더 길어지게 된다.
상기한 기능을 수행하는 스페이서블록(130)은 이중관 형상으로 내측에 연결관(133)이 상기 기판유닛(120)의 1차측 비아홀(121) 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의 외측에 결속관(137)이 상기 기판유닛(120)의 1차측 비아홀(121) 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결속관(137)의 외면에 결속돌기(139)가 돌출된다.
상기 연결관(133)은 그 내측에 상기 기판유닛(120)이 삽입, 연결되는 삽입홀(131)이 형성되고, 상기 결속관(137)은 그 내측에 상기 한 쌍의 코어블록(110) 단부가 삽입, 연결된 수용홈(135)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용홈(135)은 이에 삽입, 연결된 코어블록(110)을 상기 2차측 비아홀(123)로 부터 차단하기 위해 상기 2차측 비아홀(123)이 형성된 측이 폐쇄된다.
즉, 상기 수용홈(135)은 1차측 비아홀(121)이 형성된 측이 개방되며, 2차측 비아홀(123)이 형성된 측이 폐쇄된 구조가 된다.
한편, 상기 스페이서블록(130)의 결속관(137)은, 어느 한 면이 상기 연결관(133)의 단부와 동일한 길이가 되도록 절개되어 있으며, 상기 기판유닛(120)의 2차측 비아홀(123)은 상기 결속관(137)의 절개부위와 반대 방향으로 치우치게 마련된다.
이에, 본 발명의 스페이서블록(130)은 1차측 부품인 코어블록(110)과 2차측 코일패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2차측 비아홀(123) 간의 절연거리를 확보하는 과정에서 상기 2차측 비아홀(123)의 최적화된 위치 설정(절개부위와 반대 방향으로 치우치게 마련)과 상기 스페이서블록(130)의 최적화된 구조형상(스페이서블록의 절연거리 확보에 대한 기능수행에 상관없는 불필요한 부위의 성형가공을 하지 않음)을 통해 제품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상기 스페이서블록(130)을 수용하는 케이스(140)의 내부 성형가공을 최소화하여 제품 생산성 향상 및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케이스(140)는 상기 코어블록(110)과 스페이서블록(130)을 수용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상기 케이스(140)는 그 내측에 상기 코어블록(110)과 스페이서블록(130)이 안착된 연결홈(141)이 마련되며, 상기 연결홈(141)의 바닥면에는 걸림홈(143)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143)의 어느 일측에는 절개부(145)가 마련되며, 상기 절개부(145)에는 상기 스페이서블록(130)의 결속돌기(139)가 연결된다.
이때, 상기 걸림홈(143)의 깊이는 상기 스페이서블록(130)의 결속관(137) 두께와 동일한 깊이로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연결홈(141)에 코어블록(110)과 스페이서블록(130)이 안착되면, 상기 스페이서블록(130)의 결속관(137) 하단은 상기 걸림홈(143) 내에 삽입되어, 상기 코어블록(110)의 하단은 상기 결속관(137)의 방해 없이 상기 연결홈(141)에 밀착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40)는 그 일단에 상기 1차측 비아홀(123)에 전기적으로 결선되는 제1 리드핀(147)이 구비되고, 타단에 상기 2차측 비아홀(123)에 전기적으로 결선되는 제2 리드핀(149)이 구비되며, 상기 제1, 2 리드 핀(147,149)들은 어댑터 기판(미도시)에 접속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절연구조가 개선된 충전기용 트랜스포머는 상기 코어블록과 2차측 비아홀 간의 규격화된 절연거리를 별도의 스페이서블록을 통해 구현하여 상기 기판유닛의 길이를 최소화함으로써, 제품을 소형화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에 따른 결합관계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연구조가 개선된 충전기용 트랜스포머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연구조가 개선된 충전기용 트랜스포머를 나타낸 요부 평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4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연구조가 개선된 충전기용 트랜스포머(100)는 한 쌍의 코어블록(110) 사이에 기판유닛(120)이 배치된다.
상기 한 쌍의 코어블록(110)은 제1 레그(leg ; 111), 제2 레그(leg ; 112) 및 제3 레그(leg ; 113)가 서로 전자기 결합되며, 특히 상기 제2 레그(112)는 상기 기판유닛(120)의 삽입홀(131)에 삽입된다.
이후, 상기 기판유닛(120)에 스페이서블록(130)을 연결한다. 즉, 상기 스페이서블록(130)의 연결관(133)에 형성된 삽입홀(131)에 기판유닛(120)을 삽입, 연결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기판유닛(120)을 감싸고 있는 코어블록(110)의 단부는 상기 스페이서블록(130)의 결속관(137)에 형성된 수용홈(135)에 삽입, 연결되며, 상기 코어블록(110)의 안착홈(115)에는 상기 연결관(133)이 삽입, 안착된다.
이에, 상기 코어블록(110)과 스페이서블록(130)은 상기 안착홈(115)과 연결관(133) 간의 암·수 연결을 통해 외력에 의한 흔들림 없는 견고한 연결구조를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절연구조가 개선된 충전기용 트랜스포머(100)는 그 구조 개선을 통해 결합과정에서 상기 코어블록(110)의 단부를 상기 스페이서블록(130)에 소정깊이 수용하여 상기 코어블록(110)의 외부 노출부위와 2차측 비아홀(123) 간의 절연거리(t; 도4 참조)를 상기 기판유닛(120)의 길이 연장 없이도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전체적인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블록(130)의 결속관(137)은 어느 한 면이 상기 연결관(133)의 단부와 동일한 길이가 되도록 절개되어 있으며, 상기 기판유닛(120)의 2차측 비아홀(123)은 상기 결속관(137)의 절개부위와 반대 방향으로 치우치게 형성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스페이서블록(130)의 최적화된 구조형상(스페이서블록의 기능수행에 상관없는 불필요한 부위의 성형가공을 하지 않음)과 상기 2차측 비아홀(123)의 최적화된 위치 설정을 통해 제품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서로 연결된 코어블록(110), 기판유닛(120) 및 스페이서블록(130)을 케이스(140)의 연결홈(141)에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스페이서블록(130)의 결속관(137) 하단은 케이스(140)의 걸림홈(143)에 삽입, 연결되어 상기 코어블록(110)의 하단은 돌출된 다른 구성(결속관)의 방해 없이 상기 연결홈(141)에 밀착되며, 상기 스페이서블록(130)의 결속돌기(139)는 케이스(140)의 절개부(145)에 연결된다.
이에, 상기 스페이서블록(130)과 케이스(140)는 결속관(137)과 걸림홈(143) 및 결속돌기(139)와 절개부(145) 간의 암·수 연결을 통해 외력에 의한 흔들림 없는 견고한 연결구조를 갖게 된다.
또한, 상기 기판유닛(120)의 1차측 비아홀(121)에 제1 리드핀(147)이 연결되고, 2차측 비아홀(123)에 제2 리드핀(149)이 연결된다.
따라서, 1차측 코일패턴 및 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1차측 비아홀(121)은 상기 제1 리드핀(147)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2차측 코일패턴 및 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2차측 비아홀(123)은 상기 제2 리드핀(149)과 결선되고, 또한, 상기 제1, 2 리드핀(147,149)들은 어댑터 기판(미도시)에 접속된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연구조가 개선된 충전기용 트랜스포머는 그 구조 개선을 통해 기판유닛의 길이 연장 없이 1차측 부품(코어블록)과 2차측 비아홀 간의 규격화된 절연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을 소형화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각 구성요소들이 암·수 연결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트랜스포머가 견고한 결속구조를 갖도록 한다.
110 : 코어블록 111,112,113 : 레그
115 : 안착홈 120 : 기판유닛
121 : 1차측 비아홀 123 : 2차측 비아홀
125 : 삽입공 130 : 스페이서블록
131 : 삽입홀 133 : 연결관
135 : 수용홈 137 : 결속관
139 : 결속돌기 140 : 케이스
141 : 연결홈 143 : 걸림홈
145 : 절개부 147 : 제1 리드핀
149 : 제2 리드핀

Claims (5)

  1. 한 쌍의 코어블록(110);
    상기 한 쌍의 코어블록(110) 사이에 배치되며, 일단에 1차측 코일패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1차측 비아홀(121)이 마련되며, 타단에 2차측 코일패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2차측 비아홀(123)이 마련된 기판유닛(120);
    상기 기판유닛(120)에 연결되며, 상기 코어블록(110)과 2차측 비아홀(123) 사이에서 상기 코어블록(110)의 단부를 소정 구간 수용하여 상기 코어블록(110)과 2차측 비아홀(123) 간의 절연거리를 확보하는 스페이서블록(130) 및
    상기 코어블록(110)과 스페이서블록(130)을 수용하는 케이스(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구조가 개선된 충전기용 트랜스포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블록(130)은,
    상기 1차측 비아홀(121) 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내측에 상기 기판유닛(120)이 삽입, 연결되는 삽입홀(131)을 갖는 연결관(133);
    상기 연결관(133)의 외측에서 상기 1차측 비아홀(121) 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내측에 상기 한 쌍의 코어블록(110) 단부가 삽입, 연결된 수용홈(135)을 갖는 결속관(137) 및
    상기 결속관(137)의 외면에 돌출된 결속돌기(139)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홈(135)은,
    상기 수용홈(135)에 삽입, 연결된 코어블록(110)을 상기 2차측 비아홀(123)로 부터 차단하기 위해 상기 2차측 비아홀(123)이 형성된 측이 폐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구조가 개선된 충전기용 트랜스포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블록(110)은,
    내면에 상기 연결관(133)이 삽입, 안착되는 안착홈(115)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구조가 개선된 충전기용 트랜스포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40)는,
    내측에 상기 코어블록(110)과 스페이서블록(130)이 안착된 연결홈(141)이 마련되며, 상기 연결홈(141)의 바닥면에는 상기 스페이서블록(130)의 결속관(137) 두께와 동일한 깊이를 갖는 걸림홈(143)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143)의 어느 일측에는 상기 스페이서블록(130)의 결속돌기(139)가 연결되는 절개부(145)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구조가 개선된 충전기용 트랜스포머.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블록(130)의 결속관(137)은 어느 한 면이 상기 연결관(133)의 단부와 동일한 길이가 되도록 절개되어 있으며, 상기 기판유닛(120)의 2차측 비아홀(123)은 상기 결속관(137)의 절개부위와 반대 방향으로 치우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구조가 개선된 충전기용 트랜스포머.
KR1020160075412A 2016-06-17 2016-06-17 절연구조가 개선된 충전기용 트랜스포머 KR201701422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412A KR20170142261A (ko) 2016-06-17 2016-06-17 절연구조가 개선된 충전기용 트랜스포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412A KR20170142261A (ko) 2016-06-17 2016-06-17 절연구조가 개선된 충전기용 트랜스포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261A true KR20170142261A (ko) 2017-12-28

Family

ID=60939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5412A KR20170142261A (ko) 2016-06-17 2016-06-17 절연구조가 개선된 충전기용 트랜스포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4226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9172B1 (ko) * 2019-05-17 2019-06-14 (주) 트랜스온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
WO2020075996A1 (ko) * 2018-10-10 2020-04-16 이주열 성능개선을 위한 절연구조가 적용된 평면 트랜스포머
KR20220055014A (ko) 2020-10-26 2022-05-03 주식회사 코씨엔 트랜스포머용 절연체 및 이를 포함하는 트랜스포머용 절연체
KR20220157840A (ko) * 2021-05-21 2022-11-29 주식회사 솔루엠 변압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원공급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5996A1 (ko) * 2018-10-10 2020-04-16 이주열 성능개선을 위한 절연구조가 적용된 평면 트랜스포머
KR20200040645A (ko) * 2018-10-10 2020-04-20 이주열 성능 개선을 위한 절연 구조가 적용된 평면 트랜스포머
WO2020230960A1 (ko) * 2018-10-10 2020-11-19 이주열 성능 개선을 위한 절연 구조가 적용된 평면 트랜스포머
CN112514014A (zh) * 2018-10-10 2021-03-16 李株悦 用于改善性能的采用绝缘结构的平面变压器
CN112514014B (zh) * 2018-10-10 2024-03-29 李株悦 用于改善性能的采用绝缘结构的平面变压器
KR101989172B1 (ko) * 2019-05-17 2019-06-14 (주) 트랜스온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
KR20220055014A (ko) 2020-10-26 2022-05-03 주식회사 코씨엔 트랜스포머용 절연체 및 이를 포함하는 트랜스포머용 절연체
KR20220157840A (ko) * 2021-05-21 2022-11-29 주식회사 솔루엠 변압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원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5692B1 (ko) 무선충전기용 송신장치
KR101198880B1 (ko) 비접촉 충전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수신측 및 송신측 비접촉 충전 기기
CN106409483B (zh) 变压器和板状线圈模制主体
CN208674377U (zh) 天线装置以及电子设备
KR101461549B1 (ko) 비접촉 충전 모듈 및 비접촉 충전 기기
KR20130099071A (ko) 무선 전원 공급 시스템 및 다층 심 조립체
KR20170142261A (ko) 절연구조가 개선된 충전기용 트랜스포머
US10686333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wireless power-transmitting device, and resonator
CN112514014B (zh) 用于改善性能的采用绝缘结构的平面变压器
JP2012010533A (ja) 電力伝送システム、該電力伝送システムの給電装置及び携帯機器
EP3675323B1 (en) Wireless charging device using multi-coil
CN117223191A (zh) 用于助听器充电器的充电线圈
US20140056462A1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JPH1097932A (ja) 非接触型電源装置
KR20200081195A (ko) 변압기
KR20150114372A (ko)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2221490B1 (ko) 전원용 회로 모듈 및 전원용 회로 모듈 조립체
US20210111591A1 (en) Portable battery pack for wirelessly charging body-worn devices through clothing
KR102109367B1 (ko) 변압기
KR20150144261A (ko) 코일 부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원공급장치
US20140197914A1 (en) Transformer assemblies with moveable terminal blocks
JP2018153024A (ja) 送電装置
JPH06163266A (ja) 薄型トランス
KR100978503B1 (ko) 슬림형 고전압 트랜스포머
CN104599821A (zh) 线圈部件及其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