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1817A - Multilayer resin sheet for high-speed transmission flexible flat cable, and high-speed transmission flexible cable - Google Patents

Multilayer resin sheet for high-speed transmission flexible flat cable, and high-speed transmission flexible c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1817A
KR20170141817A KR1020177036031A KR20177036031A KR20170141817A KR 20170141817 A KR20170141817 A KR 20170141817A KR 1020177036031 A KR1020177036031 A KR 1020177036031A KR 20177036031 A KR20177036031 A KR 20177036031A KR 20170141817 A KR20170141817 A KR 201701418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lat cable
flexible flat
conductor
resin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60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타카 후쿠다
히로시 하야미
시게아키 가쓰마타
고 히라카와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41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181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1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manufacturing wire harnesses
    • H01B13/01254Flat-harness manufactu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6Insulating bod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2Disposition of insulation
    • H01B7/0208Cables with several layers of insulat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4Flexible cables, conductors, or cords, e.g. trailing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8Flat or ribbon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29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remes of temperature or by flame
    • H01B7/295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remes of temperature or by flame using material resistant to flame

Landscapes

  • Insulated Conductor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ommunication Cables (AREA)
  • Insul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하는 특성 임피던스를 갖고, 유전손이 적은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형성할 수 있는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소정 패턴으로 배설되는 도체층과 이 도체층의 적어도 한쪽의 외면측에 적층되는 실드층 사이에 적층되는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로서, 베이스 필름과, 이 베이스 필름의 내면측에 적층되고, 난연제를 함유하는 난연층과, 이 난연층의 내면측에 적층되고, 난연제를 함유하지 않는 도체 위요층을 구비하는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이다. 상기 난연층의 평균 두께로서는, 10μm 이상 300μm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난연층의 평균 두께로서는, 전체의 평균 두께의 25% 이상 90% 이하가 바람직하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layer resin sheet for a high-speed transfer flexible flat cable capable of forming a high-speed transfer flexible flat cable having a desired characteristic impedance and less dielectric loss. A multilayer resin sheet for a high-speed transfer flexible flat cable laminated between a conductor layer dispos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and a shield layer laminated on at least one outer surface side of the conductor layer, the multilayer resin sheet comprising: a base film; Layered resin sheet for a high-speed transfer flexible flat cable, which has a flame-retardant layer laminated on the side of the flame-retardant layer and a conductor base layer laminated on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flame-retardant layer and containing no flame retardant.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flame-retardant layer is preferably 10 탆 or more and 300 탆 or less.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flame-retardant layer is preferably 25% or more and 90% or less of the total average thickness.

Description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 및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MULTILAYER RESIN SHEET FOR HIGH-SPEED TRANSMISSION FLEXIBLE FLAT CABLE, AND HIGH-SPEED TRANSMISSION FLEXIBLE CABLE}[0001] MULTILAYER RESIN SHEET FOR HIGH-SPEED TRANSMISSION FLEXIBLE FLAT CABLE, AND HIGH-SPEED TRANSMISSION FLEXIBLE CABLE [0002]

본 발명은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 및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layer resin sheet for a high-speed transmission flexible flat cable and a high-speed transmission flexible flat cable.

전자 기기의 내부 배선용의 전선으로서 다심 평형(平型)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이 사용되고 있다. 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은 2장의 절연성 수지 시트 사이에 복수본의 띠 형상의 도체를 병렬해서 끼우고, 열 라미네이트 공정 등의 가압 가열 공정에서 일체화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되고 있다.A flexible flat cable of a multi-core flat type is used as a wire for internal wiring of electronic equipment. This flexible flat cable is manufactured by sandwiching a plurality of strip-shaped conductors in parallel between two sheets of insulating resin sheets and integrating them in a pressurizing and heating process such as a thermal lamination process.

특히, 디지털 기기 등에서는,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이 사용된다.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외부로부터의 전자 노이즈를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수지 시트의 외면에 도전성의 실드층을 적층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고주파 신호를 정확히 전송하기 위해서는, 회로 등과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사이에서 특성 임피던스를 정합시키는 것이 필요시된다.Particularly, in a digital device or the like, a flexible flat cable is used to transmit a digital signal. When a digital signal is transmitted, it is preferable to block the electromagnetic noise from the outside. Therefore, a flexible flat cable in which a conductive shield layer is laminated on the outer surface of a resin sheet is often used. Further, in order to accurately transmit the high-frequency signal, it is necessary to match the characteristic impedance between the circuit and the flexible flat cable.

이를 위해, 폴리에스터를 주 성분으로 하는 절연성 수지 시트와 실드층 사이에 폴리올레핀을 주 성분으로 하는 저유전율층을 개재시키는 것에 의해, 도체와 실드층 사이의 특성 임피던스를 크게 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일본 특허공개 2008-047505호 공보 참조).To this end, it has been proposed to increase the characteristic impedance between the conductor and the shield layer by interposing a low dielectric constant layer mainly composed of polyolefin between the shielding layer and the insulating resin sheet containing polyester as its main component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8-047505).

또한, 절연 수지제 필름에, 도체에 접착되는 발포 수지제의 접착제층을 적층하는 것에 의해서, 특성 임피던스를 크게 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의 수지 시트(절연 테이프)도 제안되어 있다(일본 특허공개 2008-251261호 공보).A resin sheet (insulating tape) for a flexible flat cable that increases the characteristic impedance by laminating an adhesive layer made of a foamed resin to be bonded to a conductor to an insulating resin film has also been propose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 251261).

일본 특허공개 2008-047505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8-047505 일본 특허공개 2008-251261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8-251261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에는 난연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플랫 케이블용 수지 시트는 난연제를 함유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일본 특허공개 2008-047505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수지 시트의 구성에서는, 도체의 주위에 배치되는 수지가 난연재를 함유하기 때문에, 충분히 유전율을 낮게 할 수 없으므로, 고주파 신호를 전송하면 유전손을 발생시킬 수 있다.Since the flexible flat cable is required to have flame retardancy, the resin sheet for a flat cable needs to contain a flame retardant. Therefore, in the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resin sheet for a flexible flat cable a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8-047505, since the resin disposed around the conductor contains the flame retardant, the dielectric constant can not be sufficiently lowered, Transmitting a signal can generate genetic hand.

또한, 일본 특허공개 2008-251261호 공보의 구성에서는, 플랫 케이블 형성 시의 열 압착이나 플랫 케이블 사용 시의 굽힘에 의해 도체 근방의 수지의 기포가 찌그러짐으로써 도체 근방의 수지의 유전율이 변화되어 버리므로, 플랫 케이블의 특성 임피던스의 조정이 용이하지는 않다.Further, in the structure of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8-251261, the dielectric constant of the resin in the vicinity of the conductor is changed by bending the resin in the vicinity of the conductor by the thermal compression during the formation of the flat cable or the bending during use of the flat cable , It is not easy to adjust the characteristic impedance of the flat cable.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사정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원하는 특성 임피던스를 갖고, 유전손이 적은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형성할 수 있는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 및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based on the above-described circumstance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layer resin sheet for a high-speed transfer flexible flat cable and a high-speed transfer flexible flat cable capable of forming a high-speed transfer flexible flat cable having a desired characteristic impedance, And the lik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발명은, 소정 패턴으로 배설(配設)되는 도체층과 이 도체층의 적어도 한쪽의 외면측에 적층되는 실드층 사이에 적층되는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로서, 베이스 필름과, 이 베이스 필름의 내면측에 적층되고, 난연제를 함유하는 난연층과, 이 난연층의 내면측에 적층되고, 난연제를 함유하지 않는 도체 위요(圍繞)층을 구비한다.The present inventio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a multilayer resin sheet for a high-speed transfer flexible flat cable laminated between a conductor layer disposed (arrang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and a shield layer laminated on at least one outer surface side of the conductor layer A base film; a flame retardant layer laminated on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base film, the flame retardant layer containing a flame retardant; and a conductor surrounding layer laminated on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flame retardant layer and containing no flame retardant.

본 발명의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는, 도체층 주위의 도체 위요층의 유전율 및 유전 정접이 낮고 또한 일정하므로, 원하는 특성 임피던스를 갖는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형성할 수 있고,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유전손의 저감이 가능하다.The multilayer resin sheet for a high-speed transmission flexible flat c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a high-speed transmission flexible flat cable having a desired characteristic impedance because the permittivity and dielectric tangent of the conductor base layer around the conductor layer is low and constan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ielectric hand of the flexible flat cab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를 구비하는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와는 상이한 실시형태의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ultilayer resin sheet for a high-speed flexible flat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high-speed transmission flexible flat cable including a multilayer resin sheet for a high-speed transmission flexible flat cable of FIG.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high-speed transmission flexible flat cable of a different embodiment from that of Fig.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설명][Description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소정 패턴으로 배설되는 도체층과 이 도체층의 적어도 한쪽의 외면측에 적층되는 실드층 사이에 적층되는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로서, 베이스 필름과, 이 베이스 필름의 내면측에 적층되고, 난연제를 함유하는 난연층과, 이 난연층의 내면측에 적층되고, 난연제를 함유하지 않는 도체 위요층을 구비하는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이다.A multilayer resin sheet for a high-speed transfer flexible flat cable laminated between a conductor layer dispos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and a shield layer laminated on at least one outer surface side of the conductor layer, the multilayer resin sheet comprising: a base film; Layered resin sheet for a high-speed transfer flexible flat cable, which has a flame-retardant layer laminated on the side of the flame-retardant layer and a conductor base layer laminated on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flame-retardant layer and containing no flame retardant.

당해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는, 도체층의 외면측에 적층되어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형성할 때에 도체층에 인접하는 도체 위요층이 난연제를 함유하지 않기 때문에, 유전율 및 유전 정접이 대략 균일해져, 형성되는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특성 임피던스를 원하는 값으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당해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체 위요층이 난연제를 함유하지 않기 때문에, 이 층의 유전율 및 유전 정접이 작다. 이에 의해, 도체층과 실드층의 거리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얇게 할 수 있음과 더불어, 형성된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에 있어서 도체층이 고주파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도 유전손이 커지지 않는다.The multilayer resin sheet for the high-speed transmission flexible flat cable is laminated on the outer surface side of the conductor layer to form a high-speed flexible flat cable. Since the conductor ground layer adjacent to the conductor layer does not contain any flame retardant, The characteristic impedance of the formed high-speed transmission flexible flat cable can be easily adjusted to a desired value. Further, in the multilayer resin sheet for a high-speed transmission flexible flat cable, since the conductive base layer does not contain a flame retardant as described above, the dielectric constant and dielectric tangent of this layer are small. As a result,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conductor layer and the shield layer can be reduced, the high-speed transmission flexible flat cable can be thinned, and even when the conductor layer transmits a high-frequency signal in the formed high- Do not.

상기 난연층의 평균 두께로서는, 10μm 이상 300μm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난연층의 평균 두께를 상기 범위로 하는 것에 의해, 충분한 난연성과 충분한 가요성을 확보할 수 있다.The average thickness of the flame-retardant layer is preferably 10 탆 or more and 300 탆 or less. By setting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flame-retardant layer within the above range, sufficient flame retardancy and sufficient flexibility can be ensured.

상기 난연층의 평균 두께로서는, 전체의 평균 두께의 25% 이상 90% 이하가 바람직하다.The average thickness of the flame-retardant layer is preferably 25% or more and 90% or less of the total average thickness.

이와 같이 난연층의 평균 두께를 상기 범위로 하는 것에 의해서, 충분한 난연성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베이스 필름 및 도체 위요층의 충분한 두께를 확보할 수 있다.By setting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flame-retardant layer within the above-mentioned range, sufficient flame retardancy can be ensured and a sufficient thickness of the base film and the conductor base layer can be ensured.

상기 베이스 필름의 주 수지 성분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이고, 상기 난연층의 주 수지 성분이 폴리프로필렌이면 된다. 이와 같이 베이스 필름 및 난연층의 수지의 주 성분을 상기 재료로 하는 것에 의해서, 양호한 가공성 및 경제성이 얻어진다.The main resin component of the base film may be polyethylene terephthalate or polyphenylene sulfide, and the main resin component of the flame retardant layer may be polypropylene. By using the above material as the main component of the resin of the base film and the flame-retardant layer as described above, good workability and economy can be obtained.

상기 베이스 필름과 난연층 사이에 적층되는 접착층을 추가로 구비하면 된다. 이와 같이, 접착층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서, 베이스 필름과 난연층의 접착성이 향상되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n adhesive layer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base film and the flame retardant layer. By providing the adhesive layer in this way, the adhesion between the base film and the flame retardant layer is improved, and reliability can be improved.

상기 접착층이 난연제를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접착층에 난연제를 배합하지 않는 것에 의해서, 도체층과 실드층 사이의 특성 임피던스를 보다 작게 할 수 있음과 더불어, 베이스 필름과 난연층의 접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접착층을 압출 성형하는 경우에 다이의 개구부에 난연제의 가스가 괴지 않으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adhesive layer does not contain a flame retardant. In this manner, the characteristic impedance between the conductor layer and the shield layer can be made smaller by not adding the flame retardant to the adhesive layer, and the adhesion between the base film and the flame retardant layer can be further improved. Further, when the adhesive layer is extrusion-molded, the flame retardant gas is not added to the opening portion of the die, so that the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상기 접착층의 주 수지 성분이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이면 된다. 이와 같이, 접착층의 주 수지 성분을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베이스 필름과 난연층의 접착성을 더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The main resin component of the adhesive layer may be an acid-modified polypropylene. By thus forming the main resin component of the adhesive layer with acid-modified polypropylene, the adhesion between the base film and the flame retardant layer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본 발명은, 소정 패턴으로 배설되는 도체층과, 이 도체층의 적어도 한쪽의 외면측에 적층되는 실드층과, 상기 도체층과 실드층 사이에 적층되는 절연층을 구비하는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로서, 상기 절연층이, 상기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이며, 상기 도체 위요층과 도체층이 접해 있는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high-speed transfer flexible flat plate having a conductor layer arrang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a shield layer laminated on at least one outer surface side of the conductor layer, and an insulating layer laminated between the conductor layer and the shield layer, Wherein the insulating layer is a multilayer resin sheet for the high-speed transmission flexible flat cable and includes a high-speed transmission flexible flat cable in which the conductor ground layer and the conductor layer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당해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은, 상기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가 일정하고 작은 유전율을 가지므로, 특성 임피던스의 오차가 작고, 고주파 신호 전달 시의 유전손이 적다.In the high-speed transmission flexible flat cable, since the multilayer resin sheet for the high-speed transmission flexible flat cable has a constant and small dielectric constant, the error of characteristic impedance is small and the dielectric loss at the time of high frequency signal transmission is small.

상기 도체층의 소정 패턴 사이에 있어서의 상기 도체 위요층의 평균 두께로서는, 도체층의 평균 두께의 50% 이상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도체 위요층의 평균 두께를 상기 하한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도체층의 도체 사이에 도체 위요층이 충전되므로 유전손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The averag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base layer between the predetermined patterns of the conductor layers is preferably 50% or more of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conductor layers. By setting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base layer to be equal to or more than the lower limit described above, the conductive base layer is filled between the conductors of the conductive layer, so that the dielectric loss can be further reduced.

상기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의 난연층이 상기 도체층의 소정 패턴 사이에 충전되어 있지 않으면 된다. 이에 의해, 도체층 근방의 유전율을 작게 해서 유전손이 커지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The flame-retardant layer of the multilayer resin sheet for the high-speed transmission flexible flat cable may not be filled between predetermined patterns of the conductor layer. Thereby,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prevent the dielectric loss near the conductor layer from being reduced and the dielectric loss to be increased.

여기에서, 「외면측」 및 「내면측」이란,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에 있어서 도체층에 가까운 측을 「내면측」, 그 반대측을 「외면측」이라고 한다. 또한, 「주 수지 성분」이란, 수지 성분 중 가장 질량 함유량이 많은 수지 성분인 것을 말하고, 바람직하게는 수지 성분 중 50질량% 이상 포함되는 것을 말한다. 또한, 「난연층이 도체층의 소정 패턴 사이에 충전된다」란, 도체층의 패턴 도체 사이의 공간에 난연층이 존재하는 상태를 말한다. 또한, 「도체층의 소정 패턴 사이에 있어서의 도체 위요층의 평균 두께」란, 도체층의 패턴 도체 사이에 있어서의 도체 위요층의 평균 두께를 말한다.Here, the term " outer side " and " inner side " refer to a side closer to the conductor layer in the high-speed transmission flexible flat cable, and " The " main resin component " refers to a resin component having the highest mass content among the resin components, and preferably refers to a resin component containing 50 mass% or more. The phrase " the flame-retardant layer is filled between predetermined patterns of the conductor layer " means a state in which the flame-retardant layer is present in the space between the pattern conductors of the conductor layer. The " averag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base layer between predetermined patterns of the conductor layer " refers to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conductor base layer between the pattern conductors of the conductive layer.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상세][Detailed Description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Multilayer resin sheet for high-speed transmission flexible flat cable]

도 1의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1)는, 베이스 필름(2)과, 이 베이스 필름(2)의 내면에 적층된 접착층(3)과, 접착층(3)의 내면에 적층되고, 난연제를 함유하는 난연층(4)과, 이 난연층(4)의 내면에 적층되고, 난연제를 함유하지 않는 도체 위요층(5)을 구비한다.The multilayer resin sheet 1 for a high-speed flexible flat cable of Fig. 1 comprises a base film 2, an adhesive layer 3 lamin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film 2, and an adhesive layer 3 lamin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3 , A flame retardant layer (4) containing a flame retardant, and a conductor base layer (5) lamin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lame retardant layer (4) and containing no flame retardant.

<베이스 필름><Base film>

베이스 필름(2)으로서는, 절연성 수지를 주 성분으로 하는 필름이 사용된다. 베이스 필름(2)의 절연성 수지로서는, 예컨대 폴리에스터,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폴리이미드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도 범용성이 있는 폴리에스터 또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가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주 성분이란, 질량 함유량이 가장 많은 성분을 말하고, 바람직하게는 50질량% 이상 포함되는 것을 말한다.As the base film 2, a film mainly composed of an insulating resin is used. As the insulating resin of the base film 2, for example, polyester, polyphenylene sulfide, polyimide and the like can be mentioned. Of these, polyesters or polyphenylene sulfides having general versatility are preferable. Here, the main component means a component having the largest mass content, and preferably refers to a component having a mass content of 50 mass% or more.

폴리에스터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폴리뷰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뷰틸렌 나프탈레이트, 폴리트라이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라이메틸렌 나프탈레이트, 폴리사이클로헥세인다이메틸 테레프탈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터 중에서도, 전기적 특성, 기계적 특성, 비용 등의 관점에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polyester includ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naphthalate, polystyrene terephthalate, polystyrene naphthalate,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polytrimethylene naphthalate and polycyclohexane dimethyl terephthalate . Of the polyesters, polyethylene terephthalate is preferable from the standpoints of electrical characteristics, mechanical properties, cost, and the like.

베이스 필름(2)은 접착성을 높이기 위해서 내면에 표면 처리가 실시된 것이어도 된다. 표면 처리로서는, 예컨대 코로나 처리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코로나 처리를 행하는 것에 의해, 베이스 필름(2)의 내면측에 하이드록실기, 카보닐기 등의 극성 작용기가 도입되어, 친수성이 부여된다. 코로나 처리는 절연성 수지로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를 사용할 때에 유효하다. 표면 처리는 약제 처리 등의 다른 방법에 의해 행할 수도 있다. 물론, 코로나 처리 등의 표면 처리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를 절연성 수지로 하는 경우에 한하지 않고, 다른 절연성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임의로 행하면 된다. 또한, 접착성을 높이기 위해서 베이스 필름(2)의 내면측에 기지의 앵커 코팅제를 도포해도 된다.The base film 2 may be one having an inner surface subjected to a surface treatment in order to improve the adhesiveness. The surface treatment may be corona treatment, for example. By performing such corona treatment, a polar functional group such as a hydroxyl group or a carbonyl group is introduced to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base film 2 to impart hydrophilicity. Corona treatment is effective when polyphenylene sulfide is used as an insulating resin. The surface treatment may be carried out by other methods such as chemical treatment. Of course, the surface treatment such as the corona treatment is not limited to the case of using polyphenylene sulfide as an insulating resin, and may be arbitrarily performed even when another insulating resin is used. Further, in order to improve the adhesiveness, a known anchor coating agent may be applied to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base film 2.

베이스 필름(2)의 길이 치수 및 폭 치수는 용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하면 된다. 베이스 필름(2)의 평균 두께의 하한으로서는, 6μm가 바람직하고, 9μm가 보다 바람직하며, 12μm가 더 바람직하다. 한편, 베이스 필름(2)의 평균 두께의 상한으로서는, 75μm가 바람직하고, 50μm가 보다 바람직하며, 40μm가 더 바람직하다. 상기 평균 두께가 상기 하한 미만이면, 충분한 강성을 확보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상기 평균 두께가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충분한 유연성을 확보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The length dimension and the width dimension of the base film 2 may be appropriately set in accordance with the use or the like. The lower limit of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base film 2 is preferably 6 占 퐉, more preferably 9 占 퐉, and further preferably 12 占 퐉. On the other hand, the upper limit of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base film 2 is preferably 75 占 퐉, more preferably 50 占 퐉, and further preferably 40 占 퐉. If the average thickness is less than the lower limit, sufficient rigidity may not be ensured. If the average thickness exceeds the upper limit, sufficient flexibility may not be ensured.

<접착층><Adhesive Layer>

접착층(3)은 수지 성분을 포함한다. 접착층(3)의 주 수지 성분으로서는, 예컨대 폴리올레핀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으로서는, 예컨대 에틸렌, 프로필렌, 뷰텐, 헥센 등의 각 올레핀의 단독중합체나 이들 모노머끼리, 또는 이들 모노머와 비올레핀계 모노머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의 구체예로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상 폴리에틸렌(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프로필렌계 수지, 폴리(4-메틸펜텐-1), 폴리(뷰텐-1), 에틸렌-아세트산 바이닐 공중합체, 및 이들에 무수 말레산 변성(처리)을 행한 산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접착층(3)의 주 수지 성분으로서는, 베이스 필름(2)과 난연층(4)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산 변성 폴리올레핀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수지 성분 전체가 주 수지 성분만으로 이루어져도 된다.The adhesive layer 3 comprises a resin component. Examples of the main resin component of the adhesive layer 3 include polyolefins. Examples of the polyolefin include a homopolymer of each olefin such as ethylene, propylene, butene, and hexene, a copolymer of these monomers, and a copolymer of these monomers and non-olefin monomers. Specific examples of the polyolefin include ethylene based resins such as low density polyethylene, linear polyethylene (ethylene -? - olefin copolymer) and high density polyethylene, propylene resins such as polypropylene and ethylene-propylene copolymer, ), Poly (butene-1), an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and an acid-modified polyolefin-based resin obtained by modifying maleic anhydride with these resins (treated). Particularly, as the main resin component of the adhesive layer 3, an acid-modified polyolefin is preferable in order to improve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base film 2 and the flame-retardant layer 4, more preferably an acid-modified polypropylene. On the other hand, the entire resin component may be composed of only the main resin component.

접착층(3)의 평균 두께의 하한으로서는, 1μm가 바람직하고, 2μm가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접착층(3)의 평균 두께의 상한으로서는, 50μm가 바람직하고, 30μm가 보다 바람직하다.The lower limit of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3 is preferably 1 m, more preferably 2 m. On the other hand, the upper limit of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3 is preferably 50 占 퐉, more preferably 30 占 퐉.

접착층(3)의 평균 두께가 상기 하한 미만이면, 균일한 층의 형성이 용이하지는 않고, 베이스 필름(2)과 난연층(4)을 접착시키는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접착층(3)의 평균 두께가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당해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1)가 쓸데없이 두꺼워질 우려가 있다.If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3 is less than the lower limit described above, it is not easy to form a uniform layer and the effect of bonding the base film 2 and the flame retardant layer 4 may not be sufficiently exhibited. If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3 exceeds the upper limit, the multilayer resin sheet 1 for a high-speed flexible flat cable may be unnecessarily thickened.

접착층(3)은 필요에 따라 그 밖의 첨가제를 포함해도 되지만, 난연제를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층(3)이 난연제를 포함하지 않는 것에 의해, 당해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1) 표면 근방의 유전율을 작게 하고, 당해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1)를 이용하여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형성했을 때에, 도체층과 실드층의 특성 임피던스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접착층(3)을 난연층(4) 및 도체 위요층(5)과 공압출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 난연제가 필름의 표면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베이스 필름(2)에 대한 접착성이 높아진다. 또한, 압출 성형 시에 다이의 개구부에 난연제의 가스가 괴지 않으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adhesive layer 3 may contain other additives as required, but preferably does not contain a flame retardant. Since the adhesive layer 3 does not contain a flame retardant, the dielectric constant in the vicinity of the surface of the multilayer resin sheet 1 for the high-speed flexible flat cable is reduced, and the multilayer resin sheet 1 for high- The characteristic impedance of the conductor layer and the shield layer can be reduced when the high-speed transmission flexible flat cable is formed. When the adhesive layer 3 is formed by co-extrusion with the flame retardant layer 4 and the conductor base layer 5, the flame retardant is not exposed on the surface of the film, and adhesion to the base film 2 is enhanced. Further, since the flame retardant gas is not added to the opening portion of the die at the time of extrusion molding, the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난연층><Flame Retardant Layer>

난연층(4)은 수지 성분 및 난연제를 포함한다.The flame retarding layer 4 includes a resin component and a flame retardant.

(수지 성분)(Resin component)

난연층(4)의 수지 성분으로서는, 예컨대 폴리올레핀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으로서는, 예컨대 에틸렌, 프로필렌, 뷰텐, 헥센 등의 각 올레핀의 단독중합체나 이들 모노머끼리, 또는 이들 모노머와 비올레핀계 모노머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의 구체예로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상 폴리에틸렌(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프로필렌계 수지, 폴리(4-메틸펜텐-1), 폴리(뷰텐-1), 에틸렌-아세트산 바이닐 공중합체, 및 이들에 무수 말레산 변성(처리)을 행한 산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난연층(4)의 주 수지 성분으로서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는 것이 내열성, 저유전율화 및 비용의 점에서 바람직하다.As the resin component of the flame-retardant layer 4, for example, polyolefin can be mentioned. Examples of the polyolefin include a homopolymer of each olefin such as ethylene, propylene, butene, and hexene, a copolymer of these monomers, and a copolymer of these monomers and non-olefin monomers. Specific examples of the polyolefin include ethylene based resins such as low density polyethylene, linear polyethylene (ethylene -? - olefin copolymer) and high density polyethylene, propylene resins such as polypropylene and ethylene-propylene copolymer, ), Poly (butene-1), an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and an acid-modified polyolefin-based resin obtained by modifying maleic anhydride with these resins (treated). Particularly, it is preferable to use polypropylene as the main resin component of the flame-retardant layer 4 in view of heat resistance, low dielectric constant, and cost.

(난연제)(Flame retardant)

난연층(4)에 포함되는 난연제로서는, 금속 수화물계 난연제, 할로젠계 난연제, 안티몬계 난연제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이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함께 이용된다.Examples of the flame retardant contained in the flame retarding layer 4 include a metal hydrate flame retardant, a halogen flame retardant, and an antimony flame retardant, and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금속 수화물계 난연제로서는, 예컨대 수산화 마그네슘〔Mg(OH)2〕, 수산화 알루미늄〔Al(OH)3〕, 하이드로탈사이트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이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함께 이용된다.Examples of the metal hydrate-based flame retardant include magnesium hydroxide [Mg (OH) 2 ], aluminum hydroxide [Al (OH) 3 ], hydrotalcite, etc. These ar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할로젠계 난연제로서는, 예컨대 염소화 파라핀, 염소화 폴리에틸렌, 염소화 폴리페닐, 퍼클로로펜타사이클로데케인, 무수 헤트산, 클로로엔드산 등의 염소계 화합물, 테트라브로모에테인,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헥사브로모벤젠, 데카브로모바이페닐 에터, 테트라브로모 무수 프탈산, 폴리다이브로모페닐렌 옥사이드, 헥사브로모사이클로도데케인, 브롬화 암모늄 등의 브롬계 화합물 등, 할로젠 원소를 포함하는 유기 또는 무기 화합물을 들 수 있고, 이들이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함께 이용된다.Examples of the halogen-based flame retardant include chlorinated compounds such as chlorinated paraffin, chlorinated polyethylene, chlorinated polyphenyl, perchloropentacyclodecane, anhydrous hic acid and chlorinated acid, tetrabromoethane, tetrabromobisphenol A, hexabromo Bromine compounds such as benzene, decabromobiphenyl ether, tetrabromophthalic anhydride, polydibromophenylene oxide, hexabromocyclododecane, and ammonium bromide; and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elements They ar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안티몬계 난연제로서는, 예컨대 삼산화 안티몬, 삼염화 안티몬, 오산화 안티몬, 붕산 안티몬, 몰리브덴산 안티몬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이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함께 이용된다.Examples of the antimony-based flame retardant include antimony trioxide, antimony trichloride, antimony pentoxide, antimony borate and antimony molybdate. These antimony flame retardant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상기 난연제의 함유량의 하한으로서는, 난연층(4)의 수지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20질량부가 바람직하고, 40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난연제의 함유량의 상한으로서는, 난연층(4)의 수지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200질량부가 바람직하고, 150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난연제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미만이면, 충분한 난연성을 부여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난연제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난연층(4)의 강도가 불충분해질 우려나, 비용이 지나치게 높아질 우려가 있다.The lower limit of the content of the flame retardant is preferably 20 parts by mass, more preferably 40 parts by mass, per 100 parts by mass of the resin component of the flame-retardant layer (4). On the other hand, the upper limit of the content of the flame retardant is preferably 200 parts by mass, more preferably 150 parts by mass, per 100 parts by mass of the resin component of the flame-retardant layer (4). If the content of the flame retardant is less than the above lower limi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sufficient flame retardancy can not be imparted. If the content of the flame retardant exceeds the upper limit, the strength of the flame retardant layer 4 may be insufficient, and the cost may be excessively high.

난연층(4)은 난연제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난연 조제를 포함해도 된다. 난연 조제로서는, 예컨대 산화 안티몬 등을 들 수 있다.The flame-retardant layer 4 may contain a flame-retardant additive in order to enhance the effect of the flame-retardant agent. Examples of the flame retarding auxiliary include antimony oxide and the like.

난연층(4)의 평균 두께의 하한으로서는, 10μm가 바람직하고, 20μm가 보다 바람직하다.The lower limit of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flame-retardant layer 4 is preferably 10 占 퐉, more preferably 20 占 퐉.

한편, 난연층(4)의 평균 두께의 상한으로서는, 300μm가 바람직하고, 200μm가 보다 바람직하다. 난연층(4)의 평균 두께가 상기 하한 미만이면, 당해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1)에 충분한 난연성을 부여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난연층(4)의 평균 두께가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당해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1)의 가요성이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limit of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flame-retardant layer 4 is preferably 300 占 퐉, more preferably 200 占 퐉. If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flame retardant layer 4 is less than the above lower limi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sufficient flame retardancy can not be imparted to the multilayer resin sheet 1 for the high-speed flexible flat cable. If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flame retardant layer 4 exceeds the upper limit, flexibility of the multilayer resin sheet 1 for the high-speed flexible flat cable may be insufficient.

또한, 난연층(4)의 평균 두께의 당해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1) 전체의 평균 두께에 대한 비의 하한으로서는, 25%가 바람직하고, 40%가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난연층(4)의 평균 두께의 비의 상한으로서는, 90%가 바람직하고, 80%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난연층(4)의 평균 두께의 비가 상기 하한 미만이면, 당해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1)에 충분한 난연성을 부여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상기 난연층(4)의 평균 두께의 비가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에 있어서 도체 근방의 유전율이 높아져, 유전손이 커질 우려가 있다. The lower limit of the ratio of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flame retardant layer 4 to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multilayer resin sheet 1 for a high-speed flexible flat cable is preferably 25%, more preferably 40%. On the other hand, the upper limit of the ratio of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flame-retardant layer 4 is preferably 90%, more preferably 80%. If the ratio of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flame retardant layer 4 is less than the lower limit described abov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sufficient flame retardancy can not be imparted to the multilayer resin sheet 1 for the high-speed flexible flat cable. If the ratio of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flame retardant layer 4 exceeds the upper limit, the dielectric constant in the vicinity of the conductor in the high-speed transmission flexible flat cable becomes high, and the dielectric loss tends to increase.

<도체 위요층><Conductor base layer>

도체 위요층(5)은 수지를 주 성분으로 하고, 실질적으로 난연제를 포함하지 않는다. 도체 위요층(5)의 주 수지 성분이 되는 수지로서는, 예컨대 폴리올레핀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으로서는, 예컨대 에틸렌, 프로필렌, 뷰텐, 헥센 등의 각 올레핀의 단독중합체나 이들 모노머끼리, 또는 이들 모노머와 비올레핀계 모노머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의 구체예로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상 폴리에틸렌(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프로필렌계 수지, 폴리(4-메틸펜텐-1), 폴리(뷰텐-1), 에틸렌-아세트산 바이닐 공중합체, 및 이들에 무수 말레산 변성(처리)을 행한 산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에폭시 변성 폴리올레핀, 실레인 변성 폴리올레핀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도체 위요층(5)의 주 성분으로서는, 도체에 대한 접착성, 저유전율화 및 비용의 점에서, 산 변성 폴리올레핀 또는 에폭시 변성 폴리올레핀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및 에폭시 변성 폴리올레핀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conductive base layer 5 contains resin as a main component and substantially no flame retardant. As the resin to be the main resin component of the conductor ground layer 5, for example, polyolefin can be mentioned. Examples of the polyolefin include a homopolymer of each olefin such as ethylene, propylene, butene, and hexene, a copolymer of these monomers, and a copolymer of these monomers and non-olefin monomers. Specific examples of the polyolefin include ethylene based resins such as low density polyethylene, linear polyethylene (ethylene -? - olefin copolymer) and high density polyethylene, propylene resins such as polypropylene and ethylene-propylene copolymer, ), Poly (butene-1), an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and acid-modified polyolefin-based resins obtained by modifying (treating) maleic anhydride with these resins, epoxy-modified polyolefins, and silane-modified polyolefins. Particularly, as the main component of the conductive base layer 5, acid-modified polyolefins or epoxy-modified polyolefins are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s of adhesiveness to a conductor, lowering of the dielectric constant and cost. Among them, acid-modified polypropylene and epoxy- More preferable.

도체 위요층(5)의 평균 두께의 하한으로서는, 1μm가 바람직하고, 3μm가 보다 바람직하다.The lower limit of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base layer 5 is preferably 1 占 퐉, more preferably 3 占 퐉.

한편, 도체 위요층(5)의 평균 두께의 상한으로서는, 100μm가 바람직하고, 50μm가 보다 바람직하다. 도체 위요층(5)의 평균 두께가 상기 하한 미만이면, 난연제의 도체층으로의 근접에 의해서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에 있어서 유전손이 커질 우려가 있다. 도체 위요층(5)의 평균 두께가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당해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1)의 가요성이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limit of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base layer 5 is preferably 100 占 퐉, more preferably 50 占 퐉. If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conductor ground layer 5 is less than the lower limit described above, the proximity of the flame retardant to the conductor layer may increase dielectric loss in the high-speed flexible flat cable. If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conductor ground layer 5 exceeds the upper limit, the flexibility of the multilayer resin sheet 1 for the high-speed transmission flexible flat cable may be insufficient.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당해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1)의 제조 방법은, 접착층(3), 난연층(4) 및 도체 위요층(5)을 각각 형성하기 위한 수지 조성물을 조정하는 공정과, 각 수지 조성물에 의해 접착층(3), 난연층(4) 및 도체 위요층(5)을 구성하는 필름을 성형하는 공정과, 접착층(3), 난연층(4) 및 도체 위요층(5)을 구성하는 필름을 베이스 필름(2)에 적층하여 열 압착에 의해 일체화시키는 공정을 구비한다.The method for producing the multilayer resin sheet 1 for a high-speed transfer flexible flat cable includes the steps of adjusting a resin composition for forming the adhesive layer 3, the flame retardant layer 4 and the conductor base layer 5, A step of forming a film constituting the adhesive layer 3, the flame-retardant layer 4 and the conductive base layer 5 by the composition and the step of forming the adhesive layer 3, the flame-retardant layer 4 and the conductive base layer 5 And a step of laminating the film on the base film (2) and integrating the film by thermocompression bonding.

(수지 조성물 조정 공정)(Resin composition adjusting step)

접착층(3), 난연층(4) 및 도체 위요층(5)을 각각 형성하기 위한 수지 조성물은, 수지 성분 및 난연제 등의 다른 성분을 배합한 조성물을 혼련기에 의해 혼련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The resin composition for forming the adhesive layer 3, the flame retardant layer 4 and the conductor base layer 5 can be prepared by kneading a composition containing other components such as a resin component and a flame retardant by a kneader.

혼련기로서는, 예컨대 오픈 롤, 니더, 2축 혼합 압출기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kneader include an open roll, a kneader, and a twin screw extruder.

(필름 성형 공정)(Film Forming Process)

접착층(3), 난연층(4) 및 도체 위요층(5)의 형성은 T 다이법, 인플레이션법 등의 용융 압출법에 의해서 행할 수 있다. 접착층(3), 난연층(4) 및 도체 위요층(5)은 따로따로 독립된 필름으로서 성형해도 되고, 공압출에 의해서 일체의 3층 필름으로서 성형해도 된다.The adhesive layer 3, the flame retardant layer 4 and the conductor base layer 5 can be formed by a melt extrusion method such as a T-die method or an inflation method. The adhesive layer 3, the flame retardant layer 4 and the conductor base layer 5 may be separately formed as independent films or may be formed as an integral three-layer film by coextrusion.

(열 압착 공정)(Thermocompression process)

이렇게 해서 형성한 3장의 필름 또는 1장의 3층 필름을 베이스 필름(2)에 적층하고, 열 압착에 의해 일체화시키는 것에 의해서, 당해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1)를 형성할 수 있다. 열 압착은, 예컨대 가열 롤러를 구비한 가열 라미네이터, 가열 프레스기 등을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가열 온도는, 예컨대 80℃∼200℃ 정도가 된다.The multilayer resin sheet 1 for the high-speed transfer flexible flat cable can be formed by laminating the three films or the three-layer films thus formed on the base film 2 and integrating them by thermocompression bonding . The thermocompression bonding can be performed using, for example, a heating laminator equipped with a heating roller, a heating press machine or the like. The heating temperature is, for example, about 80 to 200 占 폚.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High Speed Transfer Flexible Flat Cable]

도 2의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은, 스트라이프 형상의 패턴으로 배설되는 도체층(6)과, 이 도체층(6)의 표면에 적층되는 절연층(7) 및 도체층(6)의 이면에 적층되는 절연층(8)과, 표측의 절연층(7)의 외면에 적층되는 실드층(9)을 구비한다.The high-speed transmission flexible flat cable shown in Fig. 2 has a conductor layer 6 arranged in a stripe pattern and an insulating layer 7 and a conductor layer 6 laminated on the surface of the conductor layer 6, And a shield layer (9) lamin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sulating layer (7) on the table side.

당해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평균 두께로서는, 예컨대 200μm 이상 900μm 이하로 할 수 있다.The average thickness of the high-speed transmission flexible flat cable may be, for example, 200 占 퐉 or more and 900 占 퐉 or less.

<도체층><Conductor Layer>

도체층(6)은, 층 형상으로 형성되고, 복수의 띠 형상의 패턴 도체(6a)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스트라이프 형상의 패턴을 갖는다. 도체층(6)은, 예컨대 구리, 주석 도금 연동, 니켈 도금 연동 등의 도전성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도체층(6)은, 박 형상의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ductor layer 6 is formed in a layer shape and has a stripe pattern in which a plurality of band-shaped pattern conductors 6a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The conductor layer 6 is made of a conductive metal such as copper, tin-plated interlocking, or nickel-plated interlocking. The conductor layer 6 is preferably formed of a thin conductive metal.

도체층(6)의 평균 두께의 하한으로서는, 10μm가 바람직하고, 20μm가 보다 바람직하다.The lower limit of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conductor layer 6 is preferably 10 占 퐉, more preferably 20 占 퐉.

한편, 도체층(6)의 평균 두께의 상한으로서는, 100μm가 바람직하고, 50μm가 보다 바람직하다. 도체층(6)의 평균 두께가 상기 하한 미만이면, 도체층(6)의 기계적 강도가 부족하여 파단될 우려가 있다. 도체층(6)의 평균 두께가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당해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이 불필요하게 두꺼워질 우려나, 가요성이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limit of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conductor layer 6 is preferably 100 占 퐉, more preferably 50 占 퐉. If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conductor layer 6 is less than the lower limit described above,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conductor layer 6 may be insufficient and the conductor layer 6 may be broken. If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conductor layer 6 exceeds the upper limit, the high-speed transmission flexible flat cable may be unnecessarily thickened, but the flexibility may be insufficient.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1)의 도체층(6)의 패턴 도체(6a) 사이에 있어서의 도체 위요층(5)의 평균 두께로서는, 상기 도체층(6)의 평균 두께의 50% 이상이 바람직하고, 7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체 위요층(5)의 평균 두께가 상기 하한 미만이면, 도체층(6)의 패턴 도체(6a) 사이를 도체 위요층(5)만으로는 메울 수 없어, 패턴 도체(6a) 사이에 난연제를 포함하는 난연층(4)이 파고 들어가므로, 패턴 도체(6a) 사이의 유전율이 높아져, 패턴 도체(6a)의 고주파 신호 전달 시의 손실이 커질 우려가 있다.The averag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base layer 5 between the pattern conductors 6a of the conductor layer 6 of the multilayer resin sheet 1 for a high-speed transmission flexible flat cable is preferably 50 Or more, more preferably 70% or more. If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base layer 5 is less than the lower limit described above, the conductive base layer 5 alone can not fill between the pattern conductors 6a of the conductor layer 6, The dielectric constant between the pattern conductors 6a is increased because the flame retarding layer 4 is pierced and the loss at the time of transmitting the high frequency signal of the pattern conductor 6a may increase.

<절연층>&Lt; Insulating layer &

절연층(7, 8)은 각각 도 1의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1)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들 2개의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1)는, 도체 위요층(5)이 도체층(6)에 맞닿도록 도체층(6)의 양측에 적층되어, 열 압착되어 있다. 이 열 압착에 의해, 2개의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1)의 도체 위요층(5)이 패턴 도체(6a) 사이에 충전되고, 서로 용착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절연층(7, 8)을 구성하는 2개의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1)는 동일한 것이어도 되고, 각 층의 재질이나 두께가 서로 상이한 것이어도 된다.The insulating layers 7 and 8 are each formed by the multilayer resin sheet 1 for high-speed transfer flexible flat cable shown in Fig. These two multilayer resin sheets 1 for high-speed transmission flexible flat cables are laminated on both sides of the conductor layer 6 so that the conductor base layer 5 abuts against the conductor layer 6 and thermally bonded. By this thermocompression bonding, the conductor basis layer 5 of the multilayer resin sheet 1 for two high-speed transmission flexible flat cables is filled between the pattern conductors 6a and welded to each other to be integrated. As described above, the multilayer resin sheets 1 for the two high-speed flexible flat cables constituting the insulating layers 7 and 8 may be the same, or the materials and thicknesses of the respective layers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실드층><Shield Layer>

실드층(9)은 전자 간섭 및 노이즈를 저감시키기 위한 것이며, 도전성의 재료를 층 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면 된다. 이와 같은 실드층(9)은, 예컨대 시판 중인 실드 테이프를 접착하여 형성할 수 있다.The shield layer 9 is for reduc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and noise, and may be a layer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Such a shield layer 9 can be formed, for example, by adhering commercially available shield tape.

실드층(9)을 형성하는 실드 테이프로서는, 예컨대 두께 9μm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등의 절연성의 수지 필름(10)의 내면에, 예컨대 은 등의 도전성 금속을 증착하여 금속 증착층(11)을 형성하고, 또한 금속 증착층(11)의 내면에, 예컨대 은 페이스트 등의 도전성 접착제를 두께 20μm로 도포하여 도전성 접착제층(12)을 형성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를 대신하여, 실드층(9)은 도전성 도료의 도포나 금속박의 접착에 의해 형성해도 된다.As the shielding tape for forming the shielding layer 9, a conductive metal such as silver is deposited on the inner surface of an insulating resin film 10 of, for example,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having a thickness of 9 탆 to form a metal deposition layer 11 And a conductive adhesive agent such as silver paste is appli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metal vapor deposition layer 11 with a thickness of 20 m to form the conductive adhesive agent layer 12. Alternatively, the shield layer 9 may be formed by applying a conductive paint or by adhering a metal foil.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당해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제조 방법은, 도체층(6)의 양면에 당해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1)를 접착하여 절연층(7, 8)을 형성하는 공정과, 표측의 절연층(7)의 외면에 실드 테이프를 접착하여 실드층(9)을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서 제조할 수 있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high-speed transfer flexible flat cable includes a step of bonding the multilayer resin sheet 1 for high-speed transfer flexible flat cable to both surfaces of the conductor layer 6 to form insulating layers 7 and 8, And a step of forming a shield layer (9) by bonding a shield tap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sulating layer (7).

(절연층 형성 공정)(Insulating layer forming step)

절연층 형성 공정에서는, 도체층(6)의 표면 및 이면에 각각, 당해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1)를 적층하고, 이 적층체를 열 압착한다. 당해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1)는, 도체 위요층(5)이 도체층(6)에 맞닿도록 적층되고, 열 압착에 의해, 도체층(6)의 패턴 도체(6a) 사이에 도체 위요층(5)이 충전됨과 더불어, 표리(表裏)의 당해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1)의 도체 위요층(5)이 서로 용착된다. 이에 의해, 표면측의 절연층(7) 및 이면측의 절연층(8)을 도체층(6)과 일체화시킨다. 열 압착은, 예컨대 가열 롤러를 구비한 가열 라미네이터, 가열 프레스기 등을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가열 온도는, 예컨대 80℃ 내지 200℃ 정도가 된다.In the insulating layer forming step, the multilayer resin sheet 1 for the high-speed transfer flexible flat cable is laminated on the front surface and the back surface of the conductor layer 6, respectively, and the laminate is thermally bonded. The multilayer resin sheet 1 for the high-speed transmission flexible flat cabl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conductor base layer 5 is laminat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conductor layer 6 and is thermally bonded to the pattern conductor 6a of the conductor layer 6 The conductive base layer 5 of the multilayer resin sheet 1 for the high-speed transfer flexible flat cable on the front and back sides is welded to each other. Thereby, the insulating layer 7 on the front side and the insulating layer 8 on the back side are integrated with the conductor layer 6. The thermocompression bonding can be performed using, for example, a heating laminator equipped with a heating roller, a heating press machine or the like. The heating temperature is, for example, about 80 占 폚 to 200 占 폚.

(실드층 형성 공정)(Shield layer forming step)

실드층 형성 공정에서는, 표면측의 절연층(7)의 외면에 실드 테이프를 접착하는 것에 의해, 실드층(9)을 형성한다.In the shield layer forming step, the shield layer 9 is formed by adhering a shield tap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sulating layer 7 on the front surface side.

[이점][advantage]

당해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1)를 이용하여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형성했을 때, 난연층(4) 및 도체 위요층(5)이, 당해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1)의 외면측에 적층되는 실드층(9)과, 내측에 적층되는 도체층(6) 사이에 유전율이 작은 절연층(7)을 형성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다른 필름 등을 적층함이 없이,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특성 임피던스를 원하는 값으로 할 수 있다.When the high-speed transfer flexible flat cable is formed by using the multilayer resin sheet 1 for the high-speed transfer flexible flat cable, the flame-retardant layer 4 and the conductor basis layer 5 are laminated on the multilayer resin sheet for high- The insulating layer 7 having a small dielectric constant can be formed between the shield layer 9 laminated on the outer surface side of the substrate 1 and the conductor layer 6 laminated on the inner side. Therefore, the characteristic impedance of the high-speed transmission flexible flat cable can be set to a desired value without stacking other films or the like.

또한, 당해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1)를 이용한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에서는, 도체층(6)의 주위에 유전율이 특히 작은 도체 위요층(5)이 배치되므로, 고주파 신호를 전송할 때의 유전손이 작다.Further, in the high-speed transmission flexible flat cable using the multilayer resin sheet 1 for the high-speed transmission flexible flat cable, since the conductor ground layer 5 having a particularly small dielectric constant is disposed around the conductor layer 6, When the genetic hand is small.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다른 실시형태][Other Embodiments of High Speed Transfer Flexible Flat Cable]

도 3의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은, 도체층(6)과, 이 도체층(6)의 표면 및 이면에 적층되는 절연층(7a, 8a)과, 표측의 절연층(7a)의 외면에 적층되는 실드층(9)을 구비한다. 도 3의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에 있어서, 도체층(6) 및 실드층(9)은, 도 2의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도체층(6) 및 실드층(9)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The high-speed transmission flexible flat cable of Fig. 3 comprises a conductor layer 6, insulating layers 7a and 8a laminated on the front and back surfaces of the conductor layer 6, And a shield layer (9). 3, the conductor layer 6 and the shield layer 9 are the same as the conductor layer 6 and the shield layer 9 of the high-speed transfer flexible flat cable of Fig. 2, And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절연층(7a, 8a)은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1a)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The insulating layers 7a and 8a are formed by a multilayer resin sheet 1a for a high-speed transmission flexible flat cable.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1a)는, 베이스 필름(2)과, 이 베이스 필름(2)의 내면에 적층된 접착층(3)과, 접착층(3)의 내면에 적층되고, 난연제를 함유하는 난연층(4a)과, 이 난연층(4a)의 내면에 적층되고, 난연제를 함유하지 않는 도체 위요층(5a)을 구비한다.The multilayer resin sheet 1a for a high-speed transmission flexible flat cable has a base film 2, an adhesive layer 3 lamin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film 2, And a conductive base layer 5a lamin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lame-retardant layer 4a and containing no flame retardant.

이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1a)의 베이스 필름(2) 및 접착층(3)의 구성은, 도 1의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1)의 베이스 필름(2) 및 접착층(3)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1a)의 난연층(4a) 및 도체 위요층(5a)은, 그의 두께를 제외하고 도 1의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1)의 난연층(4) 및 도체 위요층(5)과 마찬가지이다.The structure of the base film 2 and the adhesive layer 3 of the multilayer resin sheet 1a for the high-speed transmission flexible flat cable is the same as that of the base film 2 of the multilayer resin sheet 1 for high- Since they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adhesive layer 3, they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The flame-retardant layer 4a and the conductor surrounding layer 5a of the multi-layer resin sheet 1a for a high-speed transmission flexible flat cable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multilayer resin sheet 1 for a high- The flame retardant layer 4 and the conductor base layer 5 are the same.

도 3의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에서는, 도체층(6)에 적층하기 전의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1a)에 있어서의 도체 위요층(5a)의 평균 두께가 도체층(6)의 평균 두께의 50%보다도 작아, 도체 위요층(5a)이 도체층(6)의 소정 패턴 사이의 공간 전체에 충전되지 않는다. 즉, 도 3의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에서의 패턴 도체(6a) 사이에 있어서의 도체 위요층(5a)의 평균 두께가 도체층(6)의 평균 두께의 50%보다도 작아져 있다. 이와 같이, 패턴 도체(6a)에 직접 접촉하여 유전손을 발생시키는 얇은 층 형상의 부분에만 난연제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라도, 도 1의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1)와 마찬가지로 유전손을 작게 할 수 있다.3,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conductor basis layer 5a in the multilayer resin sheet 1a for a high-speed transmission flexible flat cable before lamination to the conductor layer 6 is larger than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conductor layer 6 Is less than 50% of the average thickness so that the conductive base layer 5a does not fill the entire space between the predetermined patterns of the conductor layer 6. That is,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conductor base layer 5a between the pattern conductors 6a in the high-speed transmission flexible flat cable of Fig. 3 is smaller than 50% of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conductor layer 6. [ Even in the case where the flame retardant is not contained only in the thin layer-shaped portion which directly contacts the pattern conductor 6a and generates dielectric hand, as in the multilayer resin sheet 1 for high-speed transfer flexible flat cable in Fig. 1, Can be reduced.

[그 밖의 실시형태][Other Embodiments]

금회 개시된 실시의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고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실시형태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나타내지며,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된다는 것이 의도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illustrative and non-restrictive in all respec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is defined by the claims, and it is intended that all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and meaning equivalent to the claims of the claims are included.

예컨대, 당해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에 있어서, 접착층은 생략해도 된다.For example, in the multilayer resin sheet for the high-speed flexible flat cable, the adhesive layer may be omitted.

당해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은, 한쪽의 외면에만 실드층을 갖는 것뿐만 아니라, 양측 외면에 실드층을 가져도 된다.The high-speed transmission flexible flat cable may have not only a shield layer but also a shield layer on both outer sides.

당해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의 제조 방법은, 접착층, 난연층 및 도체 위요층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을 용제에 용해시키고, 베이스 필름의 내면에 차례로 도포하여 건조시키는 것에 의해서도 형성할 수 있다.The multilayer resin sheet for high-speed transfer flexible flat cable can be produced by dissolving the resin composition constituting the adhesive layer, the flame-retardant layer and the conductor base layer in a solvent, sequentially coa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film and drying .

실시예Example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들 실시예를 본 발명의 취지에 기초하여 변형,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들을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on the basis of example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and these examples can be modified or changed based o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y are not excluded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Multilayer Resin Sheet for High Speed Transfer Flexible Flat Cable>

본 발명을 검증하기 위해,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 No. 1∼10을 제조했다.In order to verify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layered resin sheet for high-speed transmission flexible flat cable No. 3 was prepared. 1 to 10 were produced.

우선,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 No. 1∼10의 접착층, 난연층 및 도체 위요층을 형성하기 위해서, 이하의 재료 A∼F를 조정했다.First, the multilayer resin sheet No. 3 for high-speed transfer flexible flat cable No. 3 was prepared. In order to form the adhesive layers 1 to 10, the flame-retardant layer and the conductive base layer, the following materials A to F were adjusted.

(재료 A)(Material A)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100질량부에 산화 방지제 1질량부를 가했다.To 100 parts by mass of the acid-modified polypropylene was added 1 part by mass of an antioxidant.

(재료 B)(Material B)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100질량부에 난연제 40질량부, 난연 조제 10질량부 및 산화 방지제 1질량부를 가했다.40 parts by mass of a flame retardant, 10 parts by mass of a flame retardant auxiliary and 1 part by mass of an antioxidant were added to 100 parts by mass of an acid-modified polypropylene.

(재료 C)(Material C)

폴리프로필렌 100질량부에 난연제 110질량부, 난연 조제 30질량부 및 산화 방지제 1질량부를 가했다.110 parts by mass of a flame retardant, 30 parts by mass of a flame retarding auxiliary and 1 part by mass of an antioxidant were added to 100 parts by mass of polypropylene.

(재료 D)(Material D)

폴리프로필렌 100질량부에 난연제 80질량부, 난연 조제 10질량부 및 산화 방지제 1질량부를 가했다.80 parts by mass of a flame retardant, 10 parts by mass of a flame retardant auxiliary and 1 part by mass of an antioxidant were added to 100 parts by mass of polypropylene.

(재료 E)(Material E)

폴리프로필렌 100질량부에 산화 방지제 1질량부를 가했다.To 100 parts by mass of polypropylene was added 1 part by mass of an antioxidant.

(재료 F)(Material F)

에폭시 변성 폴리올레핀 90질량부 및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10질량부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 100질량부에, 산화 방지제 1질량부를 가했다.1 part by mass of an antioxidant was added to 100 parts by mass of a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90 parts by mass of an epoxy-modified polyolefin and 10 parts by mass of an olefinic elastomer.

상기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으로서는, 미쓰이화학사의 「애드머 QE060」을 사용하고, 상기 폴리프로필렌으로서는, 닛폰폴리프로사의 「WELNEX RFG4VA」를 사용하고, 에폭시 변성 폴리올레핀으로서는, 스미토모화학사의 「본드패스트 E」를 사용하고,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로서는, JSR사의 「다이나론 6200P」를 사용하고, 상기 난연제로서는, 알베말사의 「SAYTEX 8010」을 사용하고, 상기 난연 조제로서는, 산화 안티몬을 사용하고, 상기 산화 방지제로서는, BASF사의 「일가녹스 1076」을 사용했다.As the above-mentioned acid-modified polypropylene, "Admer QE060" manufactured by Mitsui Chemicals, Inc., "WELNEX RFG4 VA" manufactured by Nippon Polypropylene was used as the polypropylene, and "Bond Fast E" manufactured by Sumitomo Chemical Co., DYNARON 6200P "manufactured by JSR Corporation is used as the olefin elastomer," SAYTEX 8010 "is used as the flame retarder, antimony oxide is used as the flame retarding aid, and as the antioxidant, BASF's "Igarox 1076" was used.

접착층, 난연층 및 도체 위요층은, 상기 재료 A∼F 중에서 각각 선택된 재료를 다층 T 다이를 이용한 공압출에 의해 동시에 형성하여, 이들 층이 일체가 된 3층 필름을 얻었다. 그리고, 베이스 필름에 앵커 코팅제를 도포하여 상기 3층 필름을 접착하는 것에 의해서,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 No. 1∼10을 얻었다.The adhesive layer, the flame-retardant layer and the conductive base layer were simultaneously formed by co-extrusion using materials selected from the above materials A to F using a multi-layer T-die to obtain a three-layer film in which these layers were integrated. By applying an anchor coating agent to the base film and bonding the three-layer film, the multilayer resin sheet No. 3 for high-speed transfer flexible flat cable was obtained. 1 to 10 were obtained.

상기 베이스 필름으로서는, 평균 두께가 12μm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제 필름을 사용했다. 또한, 앵커 코팅제로서는, 미쓰이화학사의 「타케락 A-310」과 「타케네이트 A-3」을 혼합한 것을 사용했다.As the base film, a film made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having an average thickness of 12 占 퐉 was used. As an anchor coating agent, a mixture of Takeka A-310 and Takenate A-3 of Mitsui Chemicals, Inc. was used.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 No. 1∼10의 접착층, 난연층 및 도체 위요층은, 각각 표 1에 나타내는 재료를 이용하여, 표 1에 나타내는 평균 두께가 되도록 압출량을 조정했다.Multilayer resin sheet for high-speed flexible flat cable. The adhesive layers 1 to 10, the flame-retardant layer and the conductor surrounding layer were adjusted to have an average thickness shown in Table 1 using the materials shown in Table 1, respectively.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High speed transmission flexible flat cable>

그리고,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 No. 1∼10 중의 1종 또는 2종을 사용해 절연층을 형성하여,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No. 11∼18을 제조했다. 한편,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No. 11∼18은 특성 임피던스의 목표값을 100Ω으로 해서 각 층의 두께 등을 선정했다.As shown in Table 2, the multi-layered resin sheet for high-speed transfer flexible flat cable No. 3 was used. 1 to 10 are used to form an insulating layer, and a high-speed transfer flexible flat cable No. 1 to 10 is formed. 11 to 18 were produced. On the other hand, the high-speed transmission flexible flat cable No. 1. 11 to 18, the target value of the characteristic impedance was set to 100?, And the thickness of each layer and the like were selected.

도체층으로서는, 두께 35μm, 폭 0.3mm의 압연 동박을 사용했다. 상기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를 도체 위요층이 도체층에 맞닿도록 금속박의 표리에 배치하여 열 압착했다. 열 압착에는, 온도 140℃∼160℃의 열 롤을 사용했다. 이 열 압착에 의해, 표리의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의 도체 위요층을 연화시켜 도체층의 도체 사이의 간극에 충전하여, 서로 접합시켰다.As the conductor layer, a rolled copper foil having a thickness of 35 mu m and a width of 0.3 mm was used. The multi-layer resin sheet for the high-speed transmission flexible flat cable was placed on the front and back of the metal foil so that the conductive base layer came in contact with the conductor layer and thermally bonded. For the thermocompression bonding, a heat roll having a temperature of 140 캜 to 160 캜 was used. By this thermocompression bonding, the conductive base layer of the multilayer resin sheet for high-speed transfer flexible flat cables on the front and back sides was softened to fill the gaps between the conductors of the conductor layers and bonded to each other.

이렇게 해서 얻어진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No. 11∼18에 대하여, 수직 연소 시험을 행했다. 여기에서, 「수직 연소 시험」이란, UL(아메리카 보험업자 안전시험소) 규격에서 정하는 수직 연소 시험을 의미한다. 이 시험 결과를 표 2에 합해서 나타낸다. 이 시험 결과는 UL의 VW-1에서 정하는 수직 연소 시험의 기준을 만족시키는 것을 양호(G), 상기 기준을 만족시키지 않는 것을 불량(NG)으로서 나타낸다.The high-speed transfer flexible flat cable No. 1 obtained in this way is referred to as &quot; Vertical combustion tests were conducted for 11 to 18. Here, &quot; vertical combustion test &quot; means a vertical combustion test specified by the UL (American Insurer Safety Test Laboratory) standard. The results of this test are shown together in Table 2. This test result indicates that satisfying the criteria of the vertical combustion test specified by VW-1 of UL is good (G), and that which does not satisfy the above criteria is shown as bad (NG).

다음으로,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No. 11∼15, 17 및 18에 대해서는 표측의 절연층의 외면에,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No. 16에 대해서는 표리 양측의 절연층의 외면에, 실드 테이프를 접착했다.Next, the high-speed transmission flexible flat cable No. 1 is used. 11 to 15, 17, and 18, the high-speed transfer flexible flat cable No. 1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sulating layer on the table side. 16, a shield tape was bonded to the outer surfaces of the insulating layers on both sides of the front and back sides.

상기 실드 테이프로서는, 두께 9μm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내면측에 은을 증착시키고, 이 은 증착면 상에 은 페이스트를 두께 20μm로 도포한 것을 사용했다.As the shield tape, silver was deposited on the inner surface side of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having a thickness of 9 占 퐉, and silver paste having a thickness of 20 占 퐉 was coated on the silver deposition surface.

이와 같이 실드 테이프를 접착한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No. 11∼18의 도체층과 표면측의 실드층 사이의 특성 임피던스를 측정한 결과를 표 2에 합해서 나타낸다. 여기에서, 특성 임피던스는 애질런트테크놀로지사의 「네트워크 애널라이저 E8362B」 및 애질런트테크놀로지사의 「S 파라미터 테스트 세트 N4419B」를 이용하여 측정한 값이다.A high-speed transfer flexible flat cable No. 1 having a shield tape adhered thereto as described above. The characteristic impedances between the conductor layers 11 to 18 and the shield layer on the front surface side are measur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Herein, the characteristic impedance is a value measured using "Network Analyzer E8362B" manufactured by Agilent Technologies Inc. and "S Parameter Test Set N4419B" manufactured by Agilent Technologies.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이상과 같이, 이들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은, 난연층의 두께가 작은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 No. 9를 이용한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No. 17을 제외하고, UL 규격의 VW-1 상당의 난연성을 갖고 있었다. 한편, 상기 UL 규격의 VW-1 시험은 실드 테이프를 접착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행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시험 결과는 실제 사용하는 상태(실드 테이프를 접착한 상태)에서의 난연성과는 상이하다.As described above, these high-speed transfer flexible flat cables have a multilayer resin sheet for a high-speed transfer flexible flat cable having a low flame retardant layer thickness. 9 Flexible Flat Cable with High Speed Transmission No. Except for 17, it had flammability equivalent to VW-1 of UL standard. On the other hand, since the VW-1 test of the UL standard is carried out in a state in which the shield tape is not adhered, the test result is different from the flame retardancy in the actually used state (state in which the shield tape is adhered).

특성 임피던스의 오차에 대해서는, No. 11∼18의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은 모두 5% 이내로, 허용 범위 내였다.With respect to the error of the characteristic impedance, All 11 to 18 high-speed flexible flat cables were within 5% of the permissible range.

또한, 이들 No. 11∼18의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은, 모두 도체층의 주위에 난연제를 포함하지 않는 도체 위요층을 갖기 때문에, 고주파 신호를 전송했을 때의 유전손이 작았다. 예컨대, No. 15의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은, 8GHz의 고주파 신호에서의 손실이 약 12dB로, 종래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손실(17∼25dB)과 비교하여 충분히 저손실이었다.These no. The high-speed transmission flexible flat cables 11 to 18 all have a conductor ground layer not containing a flame retardant around the conductor layer, so that the dielectric loss at the time of transmitting a high-frequency signal was small. For example, 15 has a loss of about 12 dB at a high frequency signal of 8 GHz and is sufficiently low in loss compared to the loss (17 to 25 dB) of a conventional flexible flat cable.

1, 1a: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
2: 베이스 필름
3: 접착층
4, 4a: 난연층
5, 5a: 도체 위요층
6: 도체층
6a: 패턴 도체
7, 7a, 8, 8a: 절연층
9: 실드층(실드 테이프)
10: 수지 필름
11: 금속 증착층
12: 도전성 접착제층
1, 1a: Multilayer resin sheet for high-speed flexible cable
2: base film
3: Adhesive layer
4, 4a: Flame retardant layer
5, 5a: conductor upper layer
6: conductor layer
6a: pattern conductor
7, 7a, 8, 8a: insulating layer
9: Shield layer (shield tape)
10: Resin film
11: Metal deposition layer
12: Conductive adhesive layer

Claims (9)

소정 패턴으로 배설(配設)되는 도체층과 이 도체층의 적어도 한쪽의 외면측에 적층되는 실드층 사이에 적층되는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로서,
베이스 필름과,
이 베이스 필름의 내면측에 적층되고, 난연제를 함유하는 난연층과,
이 난연층의 내면측에 적층되고, 난연제를 함유하지 않는 도체 위요(圍繞)층
을 구비하고,
상기 도체 위요층의 평균 두께는 25μm 이상 50μm 이하이고,
상기 도체층의 소정 패턴 사이에 있어서의 상기 도체 위요층의 평균 두께가 도체층의 평균 두께의 50% 이상인,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
A multilayer resin sheet for a high-speed transfer flexible flat cable laminated between a conductor layer dispos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and a shield layer laminated on at least one outer surface side of the conductor layer,
A base film,
A flame retardant layer laminated on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base film,
And a conductor surrounding layer which is laminated on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flame retardant layer and contains no flame retardant,
And,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base layer is 25 占 퐉 or more and 50 占 퐉 or less,
Wherein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base layer between the predetermined patterns of the conductive layers is 50% or more of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layer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층의 평균 두께가 10μm 이상 300μm 이하인,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flame-retardant layer is not less than 10 占 퐉 and not more than 300 占 퐉.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층의 평균 두께가 전체의 평균 두께의 25% 이상 90% 이하인,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flame-retardant layer is 25% to 90% of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entire multilayer resin sheet.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의 주 수지 성분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이며, 상기 난연층의 주 수지 성분이 폴리프로필렌인,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main resin component of the base film is polyethylene terephthalate or polyphenylene sulfide, and the main resin component of the flame retardant layer is polypropylen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과 난연층 사이에 적층되는 접착층을 추가로 구비하는,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Further comprising an adhesive layer laminated between the base film and the flame retardant lay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이 난연제를 함유하지 않는,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
6. The method of claim 5,
Layer resin sheet for a high-speed transmission flexible flat cable, wherein the adhesive layer does not contain a flame retardan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의 주 수지 성분이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인,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main resin component of the adhesive layer is an acid-modified polypropylene.
소정 패턴으로 배설되는 도체층과,
이 도체층의 적어도 한쪽의 외면측에 적층되는 실드층과,
상기 도체층과 실드층 사이에 적층되는 절연층
을 구비하는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로서,
상기 절연층이, 제 1 항에 기재된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이며, 상기 도체 위요층과 도체층이 접해 있는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A conductor layer dispos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A shield layer laminated on at least one outer surface side of the conductor layer,
An insulating layer laminated between the conductor layer and the shield layer;
Wherein the flexible flat cable comprises:
The high-speed transfer flexible flat cable in which the insulating layer is a multilayer resin sheet for a high-speed transmission flexible flat cab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ductor ground layer and the conductor layer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다층 수지 시트의 난연층이 상기 도체층의 소정 패턴 사이에 충전되어 있지 않는, 고속 전송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flame retardant layer of the multilayer resin sheet for the high-speed transmission flexible flat cable is not filled between predetermined patterns of the conductor layer.
KR1020177036031A 2014-04-07 2015-03-10 Multilayer resin sheet for high-speed transmission flexible flat cable, and high-speed transmission flexible cable KR20170141817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78917 2014-04-07
JP2014078917A JP6379606B2 (en) 2014-04-07 2014-04-07 High-speed transmission flexible flat cable
PCT/JP2015/056919 WO2015156070A1 (en) 2014-04-07 2015-03-10 Multilayer resin sheet for high-speed transmission flexible flat cable, and high-speed transmission flexible cabl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0225A Division KR20150133260A (en) 2014-04-07 2015-03-10 Multilayer resin sheet for high-speed transmission flexible flat cable, and high-speed transmission flexible cab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1817A true KR20170141817A (en) 2017-12-26

Family

ID=5428765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0225A KR20150133260A (en) 2014-04-07 2015-03-10 Multilayer resin sheet for high-speed transmission flexible flat cable, and high-speed transmission flexible cable
KR1020177036031A KR20170141817A (en) 2014-04-07 2015-03-10 Multilayer resin sheet for high-speed transmission flexible flat cable, and high-speed transmission flexible cabl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0225A KR20150133260A (en) 2014-04-07 2015-03-10 Multilayer resin sheet for high-speed transmission flexible flat cable, and high-speed transmission flexible cabl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379606B2 (en)
KR (2) KR20150133260A (en)
CN (1) CN105190788B (en)
TW (1) TWI653144B (en)
WO (1) WO2015156070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18652A1 (en) * 2015-10-27 2017-04-27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Bearing assembly with built-in electrical line to provide multiple operating voltages
US10008304B2 (en) * 2016-07-25 2018-06-26 Hee Jun Yoon Flexible flat cable
KR102267540B1 (en) 2016-09-01 2021-06-21 리켄 테크노스 가부시키가이샤 Resin composition and laminate in which same is used
WO2018159489A1 (en) * 2017-02-28 2018-09-0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Shielded flat cable
CN111869028B (en) * 2018-03-22 2021-11-09 株式会社自动网络技术研究所 Connection structure of flexible flat cable
TWI727838B (en) 2020-06-24 2021-05-11 貝爾威勒電子股份有限公司 Cable structure
JPWO2022130895A1 (en) * 2020-12-15 2022-06-23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76327B2 (en) * 2001-04-19 2012-02-1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Laminated body for flat cable
JP4028262B2 (en) * 2002-03-15 2007-12-2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Flat cable covering material and flat cable
JP2005109160A (en) * 2003-09-30 2005-04-21 Tokai Rubber Ind Ltd Electromagnetic shielding tape and shielding flat cable using it
KR101327725B1 (en) * 2006-07-19 2013-11-11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Flexible flat cable
JP5205748B2 (en) * 2006-07-19 2013-06-05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Flexible flat cable
JP5277766B2 (en) * 2008-07-16 2013-08-2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Insulating film and flat cable having the same
US20110236662A1 (en) * 2009-07-31 2011-09-29 Yutaka Fukuda Insulating film and flat cable using the same
EP2487694B1 (en) * 2009-10-06 2014-12-17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Flame-retardant resin sheet and flat cable using same
US9376596B2 (en) * 2012-03-09 2016-06-28 Hitachi Metals, Ltd. Adhesive film and flat cable using the same
JP5984050B2 (en) * 2012-07-10 2016-09-0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Covering material for flexible flat c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3260A (en) 2015-11-27
JP6379606B2 (en) 2018-08-29
TW201545882A (en) 2015-12-16
WO2015156070A1 (en) 2015-10-15
TWI653144B (en) 2019-03-11
CN105190788A (en) 2015-12-23
JP2015201312A (en) 2015-11-12
CN105190788B (en) 2017-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79606B2 (en) High-speed transmission flexible flat cable
KR101327725B1 (en) Flexible flat cable
US10424423B2 (en) Shielding tape with multiple foil layers
KR101726005B1 (en) Flame-retardant resin sheet and flat cable using same
JP2008198592A (en) Flexible flat cable
JP5578446B2 (en) Insulating film and flat cable using the same
JP5205748B2 (en) Flexible flat cable
JP2008251261A (en) Insulating tape for flexible flat cabl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1690435B1 (en) Insulating film and flat cable
TWI543205B (en) Insulation film of a flex flat cable for signal transmission and flex flat cable comprising the same
KR20230123714A (en) Adhesive film and adhesive film laminate comprising same
JP6428028B2 (en) Adhesive composition, insulating film, method for producing insulating film, and flat cable
WO2023068110A1 (en) Resin sheet for flexible flat cable and flexible flat cable
JP6519187B2 (en) Multilayer transmission line board
JP2020013696A (en) Flat cable with single-sided shield layer
KR20210097340A (en) Adhesive film of flame resistance with low dielectric layer and flexible flat cable by the same
KR20210127328A (en) Adhesive film of flame resistance with low dielectric layer and flexible flat cable by the same
JP2024007704A (en) Cable and resin film for cable
JP2021057176A (en) Flat cable
KR20140070028A (en) Retardant electronic cable with excellent flexi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