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1686A - 광대역 시간-분할 듀플렉스 시스템에서의 슬롯화된 서브-대역 듀플렉스 프레임 구조 설계 - Google Patents

광대역 시간-분할 듀플렉스 시스템에서의 슬롯화된 서브-대역 듀플렉스 프레임 구조 설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1686A
KR20170141686A KR1020177030656A KR20177030656A KR20170141686A KR 20170141686 A KR20170141686 A KR 20170141686A KR 1020177030656 A KR1020177030656 A KR 1020177030656A KR 20177030656 A KR20177030656 A KR 20177030656A KR 20170141686 A KR20170141686 A KR 201701416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andwidth
scheduling
scheduling information
symb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0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0034B1 (ko
Inventor
제이미 멘제이 린
조셉 비나미라 소리아가
팅팡 지
징 장
나가 부샨
로템 쿠퍼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70141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1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0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0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469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using time-sha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16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in which the time allocation to individual channels within a transmission cycle is variable, e.g. to accommodate varying complexity of signals, to vary number of channels transmitted
    • H04J3/1694Allocation of channels in TDM/TDMA networks, e.g. distributed multiplex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47/1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50Queue scheduling
    • H04L47/52Queue scheduling by attributing bandwidth to queues
    • H04L47/522Dynamic queue service slot or variable bandwidth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된다. 방법은 스케줄링 엔티티에서, 시간 분할 듀플렉싱 (TDD) 을 지원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송신을 위해 제 1 프레임을 스케줄링하는 단계로서, 제 1 프레임은 스케줄링 엔티티로의 업링크 송신을 위해 이용될 제 1 대역폭 및 스케줄링 엔티티로부터의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이용될 제 2 대역폭을 포함하는 제 1 듀플렉스 심볼을 포함하는, 상기 제 1 프레임을 스케줄링하는 단계, 및 제 1 프레임이 송신되고 있는 동안에 스케줄링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제 2 대역폭을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스케줄링 정보는 제 1 프레임 직후에 송신되도록 스케줄링되는 제 2 프레임에 관련될 수도 있다. 스케줄링 정보는 업링크 승인 또는 다운링크 승인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광대역 시간-분할 듀플렉스 시스템에서의 슬롯화된 서브-대역 듀플렉스 프레임 구조 설계{SLOTTED SUB-BAND DUPLEX FRAME STRUCTURE DESIGN IN A WIDEBAND TIME-DIVISION DUPLEX SYSTEM}
관련 출원들에 대한 상호-참조
본 출원은 2015년 4월 29일자로 미국 특허국에 제출된 미국 가출원 제62/154,582호, 및 2016년 3월 30일자로 미국 특허국에 제출된 미국 정규출원 제15/085,602호의 이익을 주장하고, 이들의 전체 내용들은 참조에 의해 및 모든 적용가능한 목적들을 위해 본 명세서에 통합된다.
기술분야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통신 시스템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이용을 위한 프레임 구조들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텔레포니 (telephony), 비디오, 데이터, 메시징, 및 브로드캐스트들과 같은 다양한 전기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해 널리 전개된다. 통상의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이용가능한 시스템 리소스들 (예를 들어, 대역폭, 송신 전력) 을 공유하는 것에 의해 다수의 사용자들과의 통신을 지원하는 것이 가능한 다중-액세스 기술들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다중-액세스 기술들의 예들은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CDMA) 시스템들, 시간 분할 다중 액세스 (TDMA) 시스템들,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FDMA) 시스템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OFDMA) 시스템들, 단일-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SC-FDMA) 시스템들, 및 시간 분할 동기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TD-SCDMA) 시스템들을 포함한다.
이들 다중 액세스 기술들은, 상이한 무선 디바이스들로 하여금, 도시 (municipal), 전국 (national), 지역 (regional), 및 심지어 전세계 (global) 레벨로 통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공통 프로토콜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전기통신 표준들에서 채택되어 왔다. 전기통신 표준들의 예들은 롱 텀 에볼루션 (Long Term Evolution; LTE) 및 LTE-어드밴스드 (LTE-A) 를 포함하는데, 이는 제 3 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 (3GPP) 에 의해 공포된 범용 모바일 전기통신 시스템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 모바일 표준에 대한 향상들의 세트를 포함한다. LTE 및 LTE-A 는 스펙트럼 효율을 개선시키고, 비용들을 낮추고, 서비스들을 개선시키고, 새로운 스펙트럼을 이용하고, 그리고 다운링크 (DL) 상의 OFDMA, 업링크 (UL) 상의 SC-FDMA, 및 다중-입력 다중-출력 (MIMO) 안테나 기술을 이용하여 다른 공개 표준들과 더 양호하게 통합하는 것에 의해 모바일 브로드밴드 인터넷 액세스를 더 양호하게 지원하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모바일 브로드밴드 액세스에 대한 요구가 계속 증가함에 따라, 다중 액세스 기술들 기술에 있어서 추가 개선들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개선들은 기존의 및 개발중인 멀티-액세스 기술들 및 이러한 기술들을 채용하는 전기통신 표준들에 적용가능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소정의 양태들은 시간-분할 듀플렉스 기술들을 채용하는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응답적이고 효율적인 듀플렉스 통신들을 지원하기 위해 채용될 수 있는 프레임 구조들에 관한 것이다. 프레임 구조들은 구성가능하고 적용 또는 전개의 특성들에 따라 제어 및 데이터 신호들 양자 모두에 대한 스펙트럼 활용 (spectral utilization) 및 시그널링 레이턴시 간에 트레이드오프들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다양한 양태들에서, 스케줄링 엔티티에서의 방법은 시간 분할 듀플렉싱을 지원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송신을 위해 제 1 프레임을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 1 프레임은 스케줄링 엔티티로의 업링크 송신을 위해 이용될 제 1 대역폭 및 스케줄링 엔티티로부터의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이용될 제 2 대역폭을 포함하는 제 1 듀플렉스 심볼을 갖는다. 방법은 제 1 프레임이 송신되고 있는 동안에, 스케줄링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제 2 대역폭을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스케줄링 정보는 제 1 프레임 직후에 송신되도록 스케줄링되는 제 2 프레임에 관련될 수도 있다. 스케줄링 정보는 업링크 승인 (grant) 또는 다운링크 승인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제 1 프레임은 다운링크-중심 프레임 (downlink-centric frame) 이고, 방법은 복수의 다운링크 심볼들에서 제 1 프레임의 페이로드를 송신하는 단계, 페이로드에 응답하여 확인응답 또는 부정 확인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확인응답 또는 부정 확인응답을 수신하면서 스케줄링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나의 예에서, 확인응답 또는 부정 확인응답은 제 1 대역폭을 이용하여 수신될 수도 있다. 제 1 프레임은, 주파수에서 제 1 대역폭에 대응하는 미사용된 대역폭을 포함하는 제 2 듀플렉스 심볼을 가질 수도 있다. 제 2 듀플렉스 심볼은 송신 시에 제 1 듀플렉스 심볼에 바로 선행할 수도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제 1 프레임은 업링크-중심 프레임 (uplink-centric frame) 이고, 방법은 복수의 심볼들에서 제 1 프레임의 페이로드를 수신하는 단계, 제 2 대역폭을 이용하여 스케줄링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페이로드가 완전히 수신된 후에 확인응답 또는 부정 확인응답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 1 듀플렉스 심볼은 복수의 심볼들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일부 인스턴스들에서, 복수의 심볼들은 하나 이상의 업링크 심볼들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스케줄링 정보는 고우선순위 (high-priority) 승인을 포함한다.
소정의 양태들에서, 방법은 제 3 프레임에서 제공된 이전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프레임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3 프레임은 송신 시에 제 1 프레임에 바로 선행할 수도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제 1 듀플렉스 심볼은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 심볼이다.
소정의 양태들에서, 무선 네트워크는 단일 캐리어를 이용하여 통신하고, 제 1 대역폭은 단일 캐리어의 제 1 서브-대역을 포함할 수도 있고 제 2 대역폭은 단일 캐리어의 제 2 서브-대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무선 네트워크는 집성된 대역폭을 제공하기 위해 캐리어 집성을 채용할 수도 있고, 제 1 대역폭은 집성된 대역폭의 제 1 캐리어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도 있고 제 2 대역폭은 집성된 대역폭의 제 2 캐리어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 1 대역폭은 제 1 캐리어 컴포넌트의 경계와 정렬될 수도 있다. 제 2 대역폭은 제 2 캐리어 컴포넌트의 경계와 정렬될 수도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방법은 스케줄링 엔티티에 의한 브로드캐스트 송신들을 위해 안테나 어레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할당하는 단계, 및 스케줄링 엔티티에서 송신물들을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나머지 안테나들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방법은 스케줄링 엔티티로부터, 하나 이상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들 또는 제어 신호들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들 또는 제어 신호들은 스케줄링 엔티티에서 수신된 하나 이상의 제어 메시지들 또는 낮은 데이터 송신물들과 제 1 듀플렉스 심볼에서 멀티플렉싱될 수도 있다. 파형 프로세서가 제 1 듀플렉스 심볼에서 반송된 하나 이상의 신호들의 특성을 변경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제 1 단방향 심볼은 제 1 단방향 심볼에서의 신호들의 특성을 변경하기 위해 파형 프로세서를 이용하지 않고 송신될 수도 있고, 제 2 단방향 심볼은 제 2 단방향 심볼이 제 2 단방향 심볼에서의 신호들의 특성을 변경하기 위해 파형 프로세서를 이용하지 않고 송신된 경우에 수신될 수도 있다. 파형 프로세서는 업링크 송신과 다운링크 송신 사이의 분리를 개선시키는 가중화된 오버랩-애드 (overlap-add) 필터 뱅크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양태들에서, 장치는 스케줄링 엔티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스케줄링 엔티티는 시간 분할 듀플렉싱을 지원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송신을 위해 제 1 프레임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수단을 가질 수도 있고, 여기서 제 1 프레임은 스케줄링 엔티티로의 업링크 송신을 위해 이용될 제 1 대역폭 및 스케줄링 엔티티로부터의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이용될 제 2 대역폭을 포함하는 제 1 듀플렉스 심볼을 포함한다. 장치는 제 1 프레임 직후에 송신되도록 스케줄링되는 제 2 프레임에 관련된 스케줄링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스케줄링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은 제 1 프레임이 송신되고 있는 동안에, 스케줄링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제 2 대역폭을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스케줄링 정보는 업링크 승인 또는 다운링크 승인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양태들에서, 장치는 시간 분할 듀플렉싱을 지원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송신을 위해 제 1 프레임을 스케줄링하는 것으로서, 제 1 프레임은 스케줄링 엔티티로의 업링크 송신을 위해 이용될 제 1 대역폭 및 스케줄링 엔티티로부터의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이용될 제 2 대역폭을 제공하는 제 1 듀플렉스 심볼을 포함하는, 상기 제 1 프레임을 스케줄링하고, 그리고 제 1 프레임이 송신되고 있는 동안에, 스케줄링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제 2 대역폭을 이용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시스템을 포함하는 스케줄링 엔티티일 수도 있다. 스케줄링 정보는 제 1 프레임 직후에 송신되도록 스케줄링되는 제 2 프레임에 관련될 수도 있다. 스케줄링 정보는 업링크 승인 또는 다운링크 승인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스케줄링 엔티티는 스케줄링 엔티티로부터의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할당된 제 1 복수의 안테나들 및 스케줄링 엔티티로 지향된 수신하도록 할당된 제 2 복수의 안테나들을 갖는 안테나 어레이를 갖거나, 또는 이에 커플링될 수도 있다.
다양한 양태들에서,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는 코드를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일시적 저장 매체 또는 비일시적 저장 매체일 수도 있다. 코드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할 수도 있다. 실행될 때, 코드는 프로세서로 하여금, 스케줄링 엔티티에서, 시간 분할 듀플렉싱을 지원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송신을 위해 제 1 프레임을 스케줄링하게 하는 것으로서, 제 1 프레임은 스케줄링 엔티티로의 업링크 송신을 위해 이용될 제 1 대역폭 및 스케줄링 엔티티로부터의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이용될 제 2 대역폭을 제공하는 제 1 듀플렉스 심볼을 포함하는, 상기 제 1 프레임을 스케줄링하게 하고, 그리고 제 1 프레임이 송신되고 있는 동안에, 스케줄링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제 2 대역폭을 이용하게 할 수도 있다. 스케줄링 정보는 제 1 프레임 직후에 송신되도록 스케줄링되는 제 2 프레임에 관련될 수도 있다. 스케줄링 정보는 업링크 승인 또는 다운링크 승인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양태들에서, 방법은 시간 분할 듀플렉싱을 지원하는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제 1 프레임의 제 1 듀플렉스 심볼에서 스케줄링 엔티티로부터 제 1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제 1 듀플렉스 심볼은 스케줄링 엔티티로의 업링크 송신물을 반송하는 제 1 대역폭 및 스케줄링 엔티티로부터의 다운링크 송신물을 반송하는 제 2 대역폭을 포함하는, 상기 제 1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 1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구성된 제 2 프레임을 이용하여 스케줄링 엔티티와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 2 프레임에서의 제 2 듀플렉스 심볼은 제 3 프레임에 대응하는 제 2 스케줄링 정보를 반송하는 제 3 대역폭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 1 스케줄링 정보는 업링크 승인 또는 다운링크 승인을 포함할 수도 있다.
소정의 양태들에서, 제 1 프레임은 다운링크-중심 프레임이고, 방법은 복수의 다운링크 심볼들에서 제 1 프레임의 페이로드를 수신하는 단계, 페이로드에 응답하여 확인응답 또는 부정 확인응답을 송신하는 단계, 및 확인응답 또는 부정 확인응답을 송신하면서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확인응답 또는 부정 확인응답은 제 1 대역폭을 이용하여 송신될 수도 있다. 제 1 프레임은, 주파수에서 제 1 대역폭에 대응하는 미사용된 대역폭을 포함하는 제 3 듀플렉스 심볼을 가질 수도 있다. 제 3 듀플렉스 심볼은 송신 시에 제 1 듀플렉스 심볼에 바로 선행할 수도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제 1 프레임은 업링크-중심 프레임이고, 방법은 복수의 심볼들에서 제 1 프레임의 페이로드를 송신하는 단계, 제 2 대역폭을 이용하여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페이로드가 완전히 송신된 후에 확인응답 또는 부정 확인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1 듀플렉스 심볼은 복수의 심볼들에 포함될 수도 있다. 복수의 심볼들은 하나 이상의 업링크 심볼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스케줄링 정보는 고우선순위 승인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 1 프레임은 제 4 프레임에서 제공된 이전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구성될 수도 있다. 제 4 프레임은 송신 시에 제 1 프레임에 바로 선행할 수도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제 1 듀플렉스 심볼은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 심볼이다.
하나의 양태에서, 무선 네트워크는 단일 캐리어를 이용하여 통신하고, 제 1 대역폭은 단일 캐리어의 제 1 서브-대역을 포함하고 제 2 대역폭은 단일 캐리어의 제 2 서브-대역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무선 네트워크는 집성된 대역폭을 제공하기 위해 캐리어 집성을 채용하고, 제 1 대역폭은 집성된 대역폭의 제 1 캐리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고 제 2 대역폭은 집성된 대역폭의 제 2 캐리어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제 1 대역폭은 제 1 캐리어 컴포넌트의 경계와 정렬될 수도 있고, 제 2 대역폭은 제 2 캐리어 컴포넌트의 경계와 정렬될 수도 있다.
다양한 양태들에서, 무선 네트워크에서 스케줄링 엔티티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장치는 시간 분할 듀플렉싱을 지원하는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제 1 프레임의 제 1 듀플렉스 심볼에서 스케줄링 엔티티로부터 제 1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 1 듀플렉스 심볼은 스케줄링 엔티티로의 업링크 송신물을 반송하는 제 1 대역폭 및 스케줄링 엔티티로부터의 다운링크 송신물을 반송하는 제 2 대역폭을 포함하는, 상기 제 1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제 1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구성된 제 2 프레임을 이용하여 스케줄링 엔티티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 2 프레임에서의 제 2 듀플렉스 심볼은 제 3 프레임에 대응하는 제 2 스케줄링 정보를 반송하는 제 3 대역폭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 1 스케줄링 정보는 업링크 승인 또는 다운링크 승인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양태들에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스케줄링 엔티티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부차적 (subordinate) 디바이스는 시간 분할 듀플렉싱을 지원하는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제 1 프레임의 제 1 듀플렉스 심볼에서 스케줄링 엔티티로부터 제 1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시스템을 포함할 수도 있고, 여기서 제 1 듀플렉스 심볼은 스케줄링 엔티티로의 업링크 송신물을 반송하는 제 1 대역폭 및 스케줄링 엔티티로부터의 다운링크 송신물을 반송하는 제 2 대역폭을 포함한다. 프로세싱 시스템은 제 1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구성된 제 2 프레임을 이용하여 스케줄링 엔티티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 2 프레임에서의 제 2 듀플렉스 심볼은 제 3 프레임에 대응하는 제 2 스케줄링 정보를 반송하는 제 3 대역폭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 1 스케줄링 정보는 업링크 승인 또는 다운링크 승인을 포함할 수도 있다.
소정의 양태들에서, 제 1 프레임은 다운링크-중심 프레임이고, 프로세싱 시스템은 복수의 다운링크 심볼들에서 제 1 프레임의 페이로드를 수신하고, 페이로드에 응답하여 확인응답 또는 부정 확인응답을 송신하고, 그리고 확인응답 또는 부정 확인응답을 송신하면서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확인응답 또는 부정 확인응답은 제 1 대역폭을 이용하여 송신될 수도 있다. 제 1 프레임은 주파수에서 제 1 대역폭에 대응하는 미사용된 대역폭을 포함하는 제 3 듀플렉스 심볼을 가질 수도 있다. 제 3 듀플렉스 심볼은 송신 시에 제 1 듀플렉스 심볼에 바로 선행할 수도 있다.
다양한 양태들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시간 분할 듀플렉싱을 지원하는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제 1 프레임의 제 1 듀플렉스 심볼에서 스케줄링 엔티티로부터 제 1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서, 제 1 듀플렉스 심볼은 스케줄링 엔티티로의 업링크 송신물을 반송하는 제 1 대역폭 및 스케줄링 엔티티로부터의 다운링크 송신물을 반송하는 제 2 대역폭을 포함하는, 상기 제 1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그리고 제 1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구성된 제 2 프레임을 이용하여 스케줄링 엔티티와 통신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 2 프레임에서의 제 2 듀플렉스 심볼은 제 3 프레임에 대응하는 제 2 스케줄링 정보를 반송하는 제 3 대역폭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 1 스케줄링 정보는 업링크 승인 또는 다운링크 승인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 은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일 예를 예시한다.
도 2 는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른 부차적 엔티티들과 통신하는 스케줄링 엔티티를 예시한다.
도 3 은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른 프로세싱 시스템을 채용하는 스케줄링 엔티티에 대한 하드웨어 구현의 일 예를 예시한다.
도 4 는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른 프로세싱 시스템을 채용하는 부차적 엔티티에 대한 하드웨어 구현의 일 예를 예시한다.
도 5 는 연속적인 캐리어 집성 타입을 예시한다.
도 6 은 비-연속적인 캐리어 집성 타입을 예시한다.
도 7 은 매체 액세스 계층 데이터 집성을 예시한다.
도 8 은 시간 분할 듀플렉싱을 지원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서의 자급식 (self-contained) 프레임들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 9 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소정의 양태들에 따른 슬롯화된 듀플렉스 프레임들의 세트를 예시한다.
도 10 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소정의 양태들에 따른 듀플렉스 심볼 패턴들의 예들을 예시한다.
도 11 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소정의 양태들에 따른 다운링크-중심 프레임의 일 예를 예시한다.
도 12 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소정의 양태들에 따른 다중 프레임들에서의 듀플렉스 심볼들의 이용의 일 예를 예시한다.
도 13 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소정의 양태들에 따른 제어 신호 멀티플렉싱의 일 예를 예시한다.
도 14 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소정의 양태들에 따른 파형 적응 기법들을 채용하는 시스템의 일 예를 예시한다.
도 15 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소정의 양태들에 따라 채용된 소정의 파형 적응 기법들의 영향을 그래픽적으로 예시한다.
도 16 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소정의 양태들에 따른 안테나 멀티플렉싱을 예시한다.
도 17 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소정의 양태들에 따라 적응될 수도 있는 프로세싱 회로를 채용하는 장치의 일 예를 예시한다.
도 18 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소정의 양태들에 따른 무선 통신의 방법의 제 1 플로우 차트이다.
도 19 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소정의 양태들에 따라 적응된 프로세싱 회로를 채용하는 장치에 대한 하드웨어 구현의 제 1 예를 예시한다.
도 20 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소정의 양태들에 따른 무선 통신의 방법의 제 2 플로우 차트이다.
도 21 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소정의 양태들에 따라 적응된 프로세싱 회로를 채용하는 장치에 대한 하드웨어 구현의 제 2 예를 예시한다.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하여 아래에 기재된 상세한 설명은 다양한 구성들의 설명으로서 의도되고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개념들이 실시될 수도 있는 유일한 구성들을 나타내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상세한 설명은 다양한 개념들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는 목적을 위해 특정 상세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들 개념들은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실시될 수도 있다는 것이 당업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일부 인스턴스들에서, 잘 알려진 구조들 및 컴포넌트들은 이러한 개념들을 모호하게 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하여 블록 다이어그램 형태로 도시된다.
전기통신 시스템들의 여러 양태들이 이제 다양한 장치 및 방법들을 참조하여 제시될 것이다. 이들 장치 및 방법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되고 첨부한 도면들에 다양한 블록들, 모듈들, 컴포넌트들, 회로들, 단계들, 프로세스들, 알고리즘들 등 (집합적으로 "엘리먼트들" 로 지칭됨) 으로 예시될 것이다. 이들 엘리먼트들은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그 임의의 조합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엘리먼트들이 하드웨어로서 구현되는지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 여부는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설계 제약들 및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의존한다.
본 개시 전반에 걸쳐 제시된 다양한 개념들은 다양한 전기통신 시스템들, 네트워크 아키텍처들, 및 통신 표준들에 걸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3GPP 는, 흔히 LTE 네트워크들로 지칭되는, 진화된 패킷 시스템 (evolved packet system; EPS) 을 포함한 네트워크들에 대한 여러 무선 통신 표준들을 정의한다. LTE 네트워크들은 송신 디바이스와 수신 디바이스 간에 대략 50ms 정도의 단-대-단 레이턴시를 제공할 수 있고, 특정한 패킷에 대한 오버-디-에어 (over-the-air) 레이턴시는 10ms 의 범위 내에 있다. 현재 알려진 LTE 기능성은 1ms 의 송신 시간 간격 (TTI) 을 이용하여, 적어도 약 8ms 의 소정의 피드백 시그널링 (즉,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 (HARQ) 시그널링) 을 위한 라운드 트립 시간 (RTT) 을 제공한다. 여기서, TTI 는 독립적으로 디코딩될 수 있는 정보의 단위에 대한 최소 지속기간에 대응할 수도 있다. 시간 분할 듀플렉스 (TDD) LTE 구성들에 대해, 업링크/다운링크 레이턴시는 상대적으로 고정된 구성을 가지는데, 이는 변화하는데 약 10ms 걸린다. 일반적으로, LTE 는 모든 서비스들 및 패킷들이 이들 동일한 레이턴시 범위들에 의존하는 일률적인 (one-size-fits-all) 접근법을 제공한다.
제 5 세대 (5G) 네트워크와 같은 LTE 네트워크의 진화된 버전들은, 웹 브라우징, 비디오 스트리밍, VoIP, 미션 결정적 애플리케이션들, 멀티-홉 네트워크들, 실시간 피드백을 가진 원격 조작들 (원격 수술 (tele-surgery))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에 제한되지는 않는, 많은 상이한 타입들의 서비스들 또는 애플리케이션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이들 상이한 세트들의 서비스들은 서로 현저하게 상이한 다중 레이턴시 타겟들을 갖는 것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설명된 LTE 네트워크의 일률적인 양태들은 상이한 레이턴시 타겟들과의 트래픽의 멀티플렉싱을 매우 어렵게 만들 수 있다.
도 1 은 액세스 네트워크 (100) 의 일반화된 예를 예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이 예에서, 액세스 네트워크 (100) 는 다수의 셀룰러 영역들 (셀들) (102) 로 분할된다. 하나 이상의 하위 전력 클래스 기지국들 (108) 은 셀들 (102) 중 하나 이상과 오버랩하는 셀룰러 영역들 (110, 112) 을 가질 수도 있다. 하위 전력 클래스 기지국 (108) 은 펨토 셀 (예를 들어, 홈 기지국, 피코 셀, 마이크로 셀, 원격 무선 헤드, 또는 일부 인스턴스들에서, 사용자 장비 (UE) (106) (일반적으로 메시 네트워크 (112) 로서 예시한 바와 같음)) 일 수도 있다. 기지국들 (104) 은 개별의 셀 (102) 에 각각 배정되고 셀들 (102) 내의 UE들 (106) 모두에 대해 코어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 포인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액세스 네트워크 (100) 의 이 예에는 중앙집중화된 제어기가 없지만, 대안의 구성들에는 중앙집중화된 제어기가 이용될 수도 있다. 기지국들 (104) 은 무선 베어러 제어, 수락 제어, 이동성 제어, 스케줄링, 보안, 및 서빙 게이트웨이 (116) 에 대한 접속성을 포함한 모든 무선 관련 기능들을 담당한다.
액세스 네트워크 (100) 에 의해 채용된 변조 및 다중 액세스 스킴은 채용되는 특정한 전기통신 표준에 의존하여 가변할 수도 있다. LTE 에 따라 정의된 것들과 같은, 일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들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 (OFDM) 은 DL 상에서 이용되고 SC-FDMA 는 UL 상에서 이용되어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 (FDD) 및 TDD 양자 모두를 지원한다. 당업자들이 다음에 오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용이하게 인식할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제시된 다양한 개념들은 다른 변조 및 다중 액세스 기법들을 채용하는 전기통신 표준들을 포함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에 매우 적합하다. 일 예로, 이들 개념들은 5G, LTE, LTE-A, EV-DO (Evolution-Data Optimized) 또는 UMB (Ultra Mobile Broadband) 에서 채용될 수도 있다. EV-DO 및 UMB 는 표준들의 CDMA2000 패밀리의 일부로서 제 3 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 2 (3GGP2) 에 의해 공포된 공중 인터페이스 표준들이고 이동국들에 브로드밴드 인터넷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해 CDMA 를 채용한다. 이들 개념들은 또한, 광대역-CDMA (W-CDMA) 및 CDMA 의 다른 변종들, 이를 테면 TD-SCDMA 를 채용하는 범용 지상 무선 액세스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UTRA); TDMA 를 채용하는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및 OFDMA 를 채용하는 Flash-OFDM, 진화된 UTRA (E-UTRA), IEE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s) 802.11 (Wi-Fi), IEEE 802.16 (WiMAX), 및 IEEE 802.20 으로 확장될 수도 있다. UTRA, E-UTRA, UMTS, LTE 및 GSM 은 3GPP 기관으로부터의 문서들에 기술되어 있다. CDMA2000 및 UMB 는 3GPP2 기관으로부터의 문서들에 기술되어 있다. 채용된 실제 무선 통신 표준 및 다중 액세스 기술은 시스템에 부과된 전체 설계 제약들 및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의존할 것이다.
기지국들 (104) 은 MIMO 기술을 지원하는 다중 안테나들을 가질 수도 있다. MIMO 기술의 이용은 기지국들 (104) 이 공간 도메인을 활용하여 공간 멀티플렉싱, 빔포밍, 및 송신 다이버시티를 지원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공간 멀티플렉싱은 동일한 주파수 상에서 상이한 데이터 스트림들을 동시에 송신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데이터 스트림들은 데이터 레이트를 증가시키기 위해 단일 UE (106) 에 또는 전체 시스템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다중 UE들 (106) 에 송신될 수도 있다. 이것은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을 공간 프리코딩 (즉, 위상 및 진폭의 스케일링을 적용) 한 후 각각의 공간 프리코딩된 스트림을 DL 상에서 다중 송신 안테나들을 통하여 송신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공간 프리코딩된 데이터 스트림들은, UE(들) (106) 의 각각이 그 UE (106) 를 목적지로 한 하나 이상의 데이터 스트림들을 복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상이한 공간 시그니처들과 함께 UE(들) (106) 에 도달한다. UL 상에서, 각각의 UE (106) 는, 기지국 (104) 이 각각의 공간 프리코딩된 데이터 스트림의 소스를 식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공간 프리코딩된 데이터 스트림을 송신한다.
공간 멀티플렉싱은 채널 컨디션들이 우수할 때 일반적으로 이용된다. 채널 컨디션들이 덜 유리한 경우에는, 빔포밍이 하나 이상의 방향들에서 송신 에너지를 포커싱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이것은 다중 안테나들을 통한 송신을 위해 데이터를 공간 프리코딩함으로써 달성될 수도 있다. 셀의 에지들에서 우수한 커버리지를 달성하기 위해, 단일 스트림 빔포밍 송신이 송신 다이버시티와 조합하여 이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액세스 네트워크의 소정의 양태들은 DL 상에서 OFDM 을 지원하는 MIMO 시스템에 관한 것일 수도 있다. OFDM 은 OFDM 심볼 내의 다수의 서브캐리어들에 걸쳐 데이터를 변조하는 확산-스펙트럼 기법이다. 서브캐리어들은 정확한 주파수들을 두고 떨어져 스페이싱된다. 그 스페이싱은 수신기가 서브캐리어들로부터 데이터를 복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직교성 (orthogonality)" 을 제공한다. 시간 도메인에서는, 가드 간격 (예를 들어, 사이클릭 프리픽스) 이 OFDM-심볼-간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각각의 OFDM 심볼에 부가될 수도 있다. UL 은 높은 피크-대-평균 전력비 (peak-to-average power ratio; PAPR) 를 보상하기 위해 DFT-확산 OFDM 신호의 형태로 SC-FDMA 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제 도 2 를 참조하면, 블록 다이어그램은 스케줄링 엔티티 (202) 및 복수의 부차적 디바이스들, 또는 부차적 엔티티들 (204) 을 예시한다. 물론, 도 2 에 예시된 채널들이 반드시 스케줄링 엔티티 (202) 와 부차적 엔티티들 (204) 사이에서 활용될 수도 있는 채널들 전부인 것은 아니며, 당업자들은 다른 제어 및 피드백 채널들을 포함하여, 다른 채널들이 예시된 것들에 더하여 활용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도 2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스케줄링 엔티티 (202) 는 다운링크 데이터 (206) 를 하나 이상의 부차적 엔티티들 (204) 에 브로드캐스트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소정의 양태들에 따르면, 용어 다운링크는 스케줄링 엔티티 (202) 에서 비롯되는 포인트-투-멀티포인트 송신을 지칭할 수도 있다. 광범위하게, 스케줄링 엔티티 (202) 는 다운링크 송신들 및 일부 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부차적 엔티티들로부터 스케줄링 엔티티 (202) 로의 업링크 데이터 (210) 를 포함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트래픽을 스케줄링하는 것을 담당하는 노드 또는 디바이스이다 (그 스킴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방식은 용어 브로드캐스트 채널 멀티플렉싱을 사용하는 것일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르면, 용어 업링크는 부차적 엔티티 (204) 에서 비롯되는 포인트-투-포인트 송신을 지칭할 수도 있다. 광범위하게, 부차적 엔티티들 (204) 의 각각은 스케줄링 승인들, 동기화 또는 타이밍 정보, 또는 스케줄링 엔티티 (202) 와 같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다른 엔티티로부터의 다른 제어 정보를 포함하지만 이들에 제한되지는 않는, 스케줄링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노드 또는 디바이스이다.
스케줄링 엔티티 (202) 는 하나 이상의 부차적 엔티티들 (204) 로 제어 채널 (208 및/또는 212) 을 브로드캐스트할 수도 있다. 업링크 데이터 (210) 및/또는 다운링크 데이터 (206) 는 송신 시간 간격 (TTI) 을 이용하여 송신될 수도 있다. 여기서, TTI 는 독립적으로 디코딩되는 것이 가능한 정보의 캡슐화된 세트 또는 패킷, 즉 정보의 최단 디코딩가능한 송신에 대응할 수도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TTI들은 프레임들, 데이터 블록들, 시간 슬롯들, 또는 송신을 위한 비트들의 다른 적합한 그룹핑들에 대응할 수도 있다.
부차적 엔티티들 (204) 은 스케줄링 엔티티 (202) 에 피드백 채널 (214) 을 송신할 수도 있다. 피드백 채널 (214) 은 일부 예들에서, 스케줄링 엔티티가 업링크 송신들을 스케줄링하게 하는 요청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피드백 채널 (214) 상에서 송신된 요청에 응답하여, 스케줄링 엔티티 (202) 는 업링크 패킷들과 TTI 를 스케줄링할 수도 있는 정보를 제어 채널 (212) 에서 송신할 수도 있다. 하나의 예에서, 피드백 채널 (214) 은 부차적 엔티티 (204) 에서 경험된 간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고, 여기서 스케줄링 엔티티 (202) 는 추가 다운링크 송신들을 간섭에 보다 강건하게 만들 수도 있는 방식으로 다운링크 송신들을 변경하기 위해 동적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도 3 은 도 2 의 스케줄링 엔티티 (202) 에 대응할 수도 있는, 스케줄링 엔티티 (300) 에 대한 하드웨어 구현의 일 예를 예시하는 개념적 다이어그램이다. 스케줄링 엔티티 (300) 는, 하나 이상의 기판들, 회로 보드들, 칩 캐리어들, 등 상에 제공된 주문형 집적 회로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시스템-온-칩 (system-on-chip; SoC) 또는 집적 회로 (IC) 디바이스들의 일부 조합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구현될 수도 있는 프로세싱 회로 (302) 를 가질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르면, 엘리먼트, 또는 엘리먼트의 임의의 부분, 또는 엘리먼트들의 임의의 조합은 프로세싱 회로 (302) 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304) 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서, 스케줄링 엔티티 (300) 는 임의의 적합한 무선 트랜시버 장치일 수도 있고, 일부 예들에서, 기지국 (BS), 기지국 트랜시버 (BTS), 무선 기지국, 무선 트랜시버, 트랜시버 기능부, 기본 서비스 세트 (BSS), 확장 서비스 세트 (ESS), 액세스 포인트 (AP), 노드 B, eNode B (eNB), 메시 노드, 중계기, 또는 일부 다른 적합한 전문용어로 구현될 수도 있다. 기지국은 임의의 수의 사용자 장비 (UE) 에 대해 코어 네트워크에 대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다른 예들에서, 스케줄링 엔티티 (300) 는 무선 UE 로 구현될 수도 있다. UE 의 예들은 셀룰러 폰, 스마트 폰, 세션 개시 프로토콜 (SIP) 폰, 랩톱, 노트북, 넷북, 스마트북,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위성 라디오,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 (GPS) 디바이스, 스마트 홈 디바이스, 지능형 조명,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비디오 디바이스,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 (예를 들어, MP3 플레이어), 카메라, 게임 콘솔, 엔터테인먼트 디바이스, 차량 컴포넌트,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 (예를 들어, 스마트 시계, 헬쓰 또는 피트니스 트래커, 안경류 등), 어플라이언스, 센서, 보안 디바이스, 자동판매기, 스마트 미터, 드론, 멀티콥터, 또는 임의의 다른 유사한 기능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UE 는 또한 당업자들에 의해, 이동국 (MS), 가입자국, 모바일 유닛, 가입자 유닛, 무선 유닛, 원격 유닛, 모바일 디바이스, 무선 디바이스, 무선 통신 디바이스, 원격 디바이스, 모바일 가입자국, 액세스 단말기 (AT), 모바일 단말기, 무선 단말기, 원격 단말기, 핸드셋, 단말기, 사용자 에이전트, 모바일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 또는 일부 다른 적합한 전문용어로 지칭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들 (304) 의 예들은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 (DSP들),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들 (FPGA들), 프로그래밍가능 로직 디바이스들 (PLD들), 상태 머신들, 게이티드 로직, 이산 하드웨어 회로들, 및 본 개시 전반에 걸쳐 설명된 다양한 기능성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다른 적합한 하드웨어를 포함한다. 프로세서 (304) 는, 스케줄링 엔티티 (300) 에서 활용되는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들을 구현하기 위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도 있다.
이 예에서, 프로세싱 회로 (302) 는 버스 (314) 로 일반적으로 나타낸, 버스 아키텍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버스 (314) 는, 전체 설계 제약들 및 프로세싱 회로 (302) 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의존하여 임의의 수의 상호접속 버스들 및 브릿지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버스 (314) 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프로세서 (304) 로 일반적으로 나타냄), 메모리 (305),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06) 로 일반적으로 나타냄) 을 포함한 다양한 회로들을 함께 링크한다. 버스 (314) 는 또한, 타이밍 소스들, 주변장치들, 전압 레귤레이터들, 및 전력 관리 회로들과 같은 다양한 다른 회로들을 링크할 수도 있는데, 이들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버스 인터페이스 (308) 는 버스 (314) 와 트랜시버 (310)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트랜시버 (310) 는 송신 매체를 통해 다양한 다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장치의 본성에 의존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312) (예를 들어, 키패드,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로폰, 조이스틱) 가 또한 제공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양태들에서, 프로세서 (304) 는 시간-주파수 리소스들의 리소스 배정 또는 승인을 생성, 스케줄링, 및 변경하도록 구성된, 리소스 배정 및 TTI 제어 회로부 (341)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리소스 배정 및 TTI 제어 회로부 (341) 는 리소스 배정 및 TTI 제어 소프트웨어 (351) 와 협력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304) 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데이터 및 제어 채널들 뿐만 아니라 업링크 피드백 채널들 및 다운링크 제어 채널들을 생성 및 송신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및 제어 채널 생성 및 송신 회로부 (342) 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데이터 및 제어 채널 생성 및 송신 회로부 (342) 는 데이터 및 제어 채널 생성 및 송신 소프트웨어 (352) 와 협력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304) 는 업링크 피드백 채널 상에서 스케줄링 요청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피드백 수신 및 프로세싱 회로부 (343) 를 더 포함할 수도 있고, 스케줄링 요청들은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 송신들을 위한 시간-주파수 리소스들의 승인을 요청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예들에서, 피드백 수신 및 프로세싱 회로부 (343) 는 채널 품질 표시자 (CQI) 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간섭 메트릭들을 수신 및 프로세싱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도 있다. 피드백 수신 및 프로세싱 회로부 (343) 는 피드백 수신 및 프로세싱 소프트웨어 (353) 와 협력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304) 는 하나 이상의 부차적 엔티티들로부터 업링크 데이터 채널들 상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 및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채널 수신 및 프로세싱 회로부 (344) 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데이터 채널 수신 및 프로세싱 회로부 (344) 는 데이터 채널 수신 및 프로세싱 소프트웨어 (354) 와 협력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304) 는 하나 이상의 부차적 엔티티들과의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통신을 방해하는 간섭을 검출하기 위해 구성된, 간섭 검출 회로부 (345) 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간섭 검출 회로부 (345) 는 간섭 검출 소프트웨어 (355) 와 협력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304) 는 CQI, 간섭에 관한 지속성 정보, 간섭의 빈도, 간섭의 파워, 또는 간섭에 대응하는 공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간섭 메트릭/채널 품질 표시자 결정 및 송신 회로부 (346) 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간섭 메트릭/CQI 결정 및 송신 회로부 (346) 는 간섭 메트릭/CQI 결정 및 송신 소프트웨어 (356) 와 협력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304) 는 다운링크 송신들을 위해 활용할 변조 및 코딩 스킴 (MCS) 및/또는 업링크 송신들을 위해 활용할 부차적 엔티티에 대한 MCS 를 결정하기 위해 구성된, 변조 및 코딩 구성 회로부 (347) 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변조 및 코딩 구성 회로부 (347) 는 변조 및 코딩 구성 소프트웨어 (357) 와 협력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304) 는 버스 (314) 를 관리하는 것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06) 상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포함한, 일반적인 프로세싱을 담당한다. 소프트웨어는, 프로세서 (304) 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싱 회로 (302) 로 하여금, 임의의 특정한 장치에 대해 아래에 설명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06) 는 또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때 프로세서 (304) 에 이해 조작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이용될 수도 있다.
도 4 는 부차적 엔티티들 (204) 중 하나에 대응할 수도 있는, 부차적 엔티티 (400) 의 일 예를 예시하는 개념적 다이어그램이다. 부차적 엔티티 (400) 는 하나 이상의 기판들, 회로 보드들, 칩 캐리어들, 등 상에 제공된 ASIC, SoC 또는 IC 디바이스들의 일부 조합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구현될 수도 있는, 프로세싱 회로 (402) 를 가질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르면, 엘리먼트, 엘리먼트의 임의의 부분, 또는 엘리먼트들의 임의의 조합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404) 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회로 (402) 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싱 회로 (402) 는 도 3 에 예시된 프로세싱 회로 (302) 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도 있고, 버스 인터페이스 (408), 버스 (414), 메모리 (405), 프로세서 (404),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406)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더욱이, 부차적 엔티티 (400) 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412) 를 제공하고 도 3 에서 상기 설명된 것들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트랜시버 (410)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양태들에서, 프로세서 (404) 는 데이터 채널 상에서 업링크 데이터를 생성 및 송신하고, 그리고 피드백 채널 상에서 업링크 피드백을 생성 및 송신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및 피드백 채널 생성 및 송신 회로부 (442)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데이터 및 피드백 채널 생성 및 송신 회로부 (442) 는 데이터 및 피드백 채널 생성 및 송신 소프트웨어 (452) 와 협력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404) 는 데이터 채널 상에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 및 프로세싱하고, 그리고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제어 채널들 상에서 제어 정보를 수신 및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및 제어 채널 수신 및 프로세싱 회로부 (444) 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수신된 다운링크 데이터 및/또는 제어 정보는 메모리 (405) 내의 데이터 버퍼에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 (404) 는 하나 이상의 스케줄링 엔티티들과의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통신을 방해하는 간섭을 검출하기 위해, 그리고 스케줄링 엔티티로의 송신을 위한, CQI, 간섭에 관한 지속성 정보, 간섭의 빈도, 간섭의 파워, 또는 간섭에 대응하는 공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생성하기 위해 구성된, 간섭 메트릭/CQI 결정 및 송신 회로부 (446) 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간섭 메트릭/CQI 결정 및 송신 회로부 (446) 는 간섭 메트릭/CQI 결정 및 송신 소프트웨어 (456) 와 협력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캐리어 집성
소정의 무선 액세스 기술들 (RAT들) 은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들의 결합된 대역폭인 총 대역폭을 획득하기 위해 캐리어 집성 (CA) 스킴으로 할당되는 스펙트럼을 이용한다. 결합된 대역폭은 각각의 방향으로의 송신을 위해 이용될 수도 있다. 일부 인스턴스들에서, 다운링크보다 적은 트래픽이 업링크 상에서 송신되고, 업링크 스펙트럼 할당은 다운링크 할당보다 더 작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20MHz 가 업링크에 배정되면, 다운링크는 100MHz 를 배정받을 수도 있다. 이들 비대칭적 FDD 배정들은 스펙트럼을 보존할 수 있고 브로드밴드 가입자들에 의한 통상 비대칭적 대역폭 활용에 상당히 적합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 을 참조하면, 상이한 CA 스킴들이 적용 필요들 또는 요건들에 따라 채용될 수도 있다. 가능한 CA 스킴들은 연속적인 CA 및 비-연속적인 CA 를 포함한다. 도 5 는 서로 인접한 복수의 이용가능한 컴포넌트 캐리어들을 채용하는 연속적인 CA 의 일 예를 예시한다. 도 6 에 예시한 바와 같이, 비-연속적인 CA 는 다중 이용가능한 컴포넌트 캐리어들이 주파수 대역 내에서 분리될 때 이용될 수도 있다. 하나의 예에서, 비-연속적인 및 연속적인 CA 는 단일 디바이스를 서빙하기 위해 다중 컴포넌트 캐리어들을 집성할 수도 있다.
디바이스는 다중 캐리어들이 주파수 대역을 따라 분리되기 때문에, 비-연속적인 CA 에 대해 다중 고속 푸리에 변환들 (FFT들) 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 다중 무선 주파수 (RF) 수신 유닛들을 채용할 수도 있다. 비-연속적인 CA 가 큰 주파수 범위에 걸친 다중 분리된 캐리어들을 통한 데이터 송신들을 지원하기 때문에, 전파 경로 손실, 도플러 시프트 및 다른 무선 채널 특성들이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에서 상당히 가변할 수도 있다.
하나의 예에서, 스케줄링 엔티티는 각각의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해 고정된 송신 전력을 가질 수도 있고, 각각의 컴포넌트 캐리어의 유효 커버리지 또는 지원가능한 변조 및 코딩은 가변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코딩, 변조 및 송신 전력은 비-연속적인 CA 접근법 하에서 브로드밴드 데이터 송신을 지원하기 위해 상이한 컴포넌트 캐리어들에 대해 적응적으로 조정될 수도 있다.
도 7 은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어드밴스드 시스템의 예에서 매체 액세스 (MAC) 계층에서의 상이한 컴포넌트 캐리어들로부터의 송신 블록들 (TB들) 을 집성하는 것에 관련된 소정의 양태들을 예시한다. MAC 계층 데이터 집성의 경우, 각각의 컴포넌트 캐리어 (702) 는 MAC 계층에서, 그 자신의 독립적인 HARQ 엔티티 (704), 또는 그 등가물을 가질 수도 있다. 각각의 컴포넌트 캐리어 (702) 는 예를 들어, 송신 전력 파라미터들, 변조 및 코딩 스킴 파라미터들, 및/또는 다중 안테나 구성 파라미터들을 포함한 물리 계층 (706) 에서의 그 자신의 송신 구성 파라미터들을 유지 또는 채용할 수도 있다. 유사하게, 물리 계층 (706) 에서는, 하나의 HARQ 엔티티가 각각의 컴포넌트 캐리어 (702) 를 위해 제공될 수도 있다.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전개하기 위한 다양한 접근법들이 다중 컴포넌트 캐리어들에 대해 채택될 수도 있다. 하나의 예에서, 각각의 컴포넌트 캐리어는 그 자신의 코딩된 제어 채널을 배정 또는 할당받을 수도 있다. 제 2 예에서, 상이한 컴포넌트 캐리어들의 제어 채널들은 공동으로 코딩될 수도 있고 제어 채널들은 전용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전개될 수도 있다. 다중 컴포넌트 캐리어들에 대한 제어 정보는 이 전용 제어 채널에서 시그널링 콘텐츠로서 통합될 수 있다. 제 3 예에서, 상이한 컴포넌트 캐리어들에 대한 다중 제어 채널들은 공동으로 코딩되고 그 후 전체 주파수 대역을 통해 송신될 수도 있다. 이 접근법은 고전력 소비의 비용으로, 제어 채널들에서 낮은 시그널링 오버헤드 및 높은 디코딩 성능을 제공한다.
종래의 시간 분할 듀플렉스 (TDD) 스킴에서, 정보는 한번에 하나의 방향으로 캐리어 상에서 반송된다. 즉, 그 캐리어를 활용하는 트랜시버의 관점에서, 송신기는 임의의 주어진 순간에 송신하거나 또는 수신하거나 둘 중 어느 하나를 행하지만, 동시에 송신 및 수신하지는 않는다. 캐리어는 일반적으로 시간 슬롯들 (또는 서브프레임들) 로 분할되며, 여기서 패킷들은 Tx 슬롯들 동안 송신되고 Rx 슬롯들 동안 수신된다. TDD 캐리어를 활용한 통신은 소정의 결점들을 갖는다. 예를 들어, 풀-듀플렉스 통신은 단지 상대적으로 긴 타임스케일에 걸쳐, 및 매우 짧은 타임스케일들에서 달성되고, 서브프레임들의 지속기간의 범위 내에서는, 한번에 단 하나의 방향의 통신이 캐리어 상에서 이용가능하다. 즉, 디바이스가 심볼을 송신하고 있는 동안에, 그 수신기는 디스에이블되고 일반적으로는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심볼을 수신할 수 없다. 유사하게, 디바이스가 심볼을 수신하고 있는 동안에, 그 송신기는 디스에이블되고 그것은 일반적으로는 다른 디바이스에 심볼을 송신할 수 없다.
자급식 프레임들
도 8 은 풀-듀플렉스 타임스케일을 감소시키기 위해 그리고 TDD 를 지원하는 액세스 네트워크들이 가진 다른 이슈들을 개선하기 위해 일부 액세스 네트워크들에서 이용될 수도 있는 자급식 프레임들 (800, 820) 의 구조의 예들을 예시한다. 다운링크 TTI 프레임 또는 DL 프레임 (800) 으로 본 명세서에서 지칭되는 송신기-스케줄링된 프레임은, 예를 들어 UE 일 수도 있는 부차적 엔티티에 제어, 데이터 및/또는 스케줄링 정보를 반송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업링크 TTI 프레임 또는 UL 프레임 (820) 으로 본 명세서에서 지칭되는 수신기-스케줄링된 프레임은, 스케줄링 엔티티에 제어, 데이터 및/또는 스케줄링 정보를 반송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이들 프레임들은 캐리어를 활용하는 상이한 노드들의 관점에서 더 양호하게 이해될 수도 있다.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의 맥락에서, 채널 리소스들은 일반적으로 스케줄링되고, 각각의 엔티티는 동기적이다. 즉,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각각의 노드는, 프레임의 할당된 부분 동안만 송신들이 이루어지도록 리소스들의 그 사용을 코디네이팅하고, 각각의 할당된 부분의 타이밍은 상이한 노드들 간에 동기화된다.
하나의 노드는 스케줄링 엔티티로서의 역할을 한다. 스케줄링 엔티티는 기지국 또는 액세스 포인트, 또는 디바이스-투-디바이스 (D2D) 및/또는 메시 네트워크 (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4 참조) 에서의 UE 일 수도 있다. 스케줄링 엔티티는 캐리어 상의 리소스들을 관리하고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하나 이상의 UE들과 같은 부차적 또는 스케줄링된 엔티티들을 포함한, 채널의 다른 사용자들에게 리소스들을 배정한다. 각각의 프레임은 Tx 및 Rx 부분들로 분할된다.
DL 프레임 (800) 에서, 스케줄링 엔티티는 먼저,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필드 (PDCCH (802)) 에서 제공될 수도 있는 제어 정보를 송신할 기회를 갖고, 그 후 DL 데이터 (804) 로서 데이터 또는 다른 정보를 송신할 기회를 갖는다. 송신들 사이의 갭에 대응할 수도 있는 가드 주기 (GP (806)) 에 후속하여, 스케줄링 엔티티는 피드백 필드 (808) 에서 다른 엔티티들로부터 피드백을 수신하기 위해 캐리어를 이용할 기회를 갖는다. 이 프레임 구조는, 다운링크 방향으로의 스케줄링 엔티티로부터의 송신을 위해 더 많은 리소스들이 할당되기 때문에, 다운링크-중심이다.
UL 프레임 (820) 에서, 스케줄링된 엔티티는 예를 들어 PDCCH (822) 에서, 다른 엔티티들에 제어 정보를 수신할 기회를 갖는다. 그 후, 가드 주기 (GP (826)) 에 후속하여, 스케줄링된 엔티티는 캐리어를 이용하여 다른 엔티티들에 데이터 또는 다른 정보 (UL 데이터 (824)) 를 송신한 후, 프레임 (820) 의 마지막에 피드백 필드 (828) 에서 다른 엔티티들로부터 피드백을 수신할 기회를 갖는다. 이 프레임 구조는, 업링크 방향으로의 부차적 또는 스케줄링된 엔티티들로부터의 송신들을 위해 더 많은 리소스들이 할당되기 때문에, 업링크-중심이다.
하나의 예에서, 다운링크 프레임 (800) 은 PDCCH (802), DL 데이터 (804) 로서 반송된 데이터 페이로드 필드, GP (806), 및 피드백 필드 (808) 에서의 확인응답 (ACK) 을 포함한다. GP (806) 는 UL 및 DL 타이밍에서의 변동성을 수용하도록 스케줄링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송신 경로 레이턴시들은 부차적 엔티티로 하여금 DL 타이밍에 매칭시키기 위해 UL 상에서 조기에 송신하게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기 송신은 스케줄링 엔티티로부터 수신된 심볼들을 방해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GP (806) 는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하나 또는 2 개의 심볼들 지속기간의 시간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일부 인스턴스들에서는, 향상된 수신기 기술이 간섭 소거를 수행하기 위해 채용될 수도 있고 GP (806) 를 불필요하게 만들 수도 있다. 업링크 프레임 (820) 은 PDCCH (822), UL 데이터 (824) 로서 반송된 데이터 페이로드 필드, UL 데이터 (824) 의 송신에 선행하는 GP (826), 및 피드백 필드 (828) 를 포함한다.
자급식 프레임들 (800, 820) 의 구조와 연관된 소정의 한계들은 소정의 심볼들에 대한 스펙트럼 활용 비효율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개선된 듀플렉스 동작을 획득하기 위해 자급식 프레임들 (800, 820) 을 채용하는 TDD-기반 액세스 네트워크들에서, 각각의 OFDM 심볼은 단일 방향에 제한된다. 예를 들어, 피드백 필드 (808, 828) 는 통상적으로 확인응답을 통신하기 위해 작은 수의 비트들, 또는 일부 인스턴스들에서는, 단일 비트를 반송한다. 완전한 대역폭이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드백 필드 (808, 828) 와 연관된 송신 시간 동안 할당되고, 피드백 필드들 (808, 828) 과 같은 필드들에 대한 풀 대역폭의 예약은 유용한 대역폭의 손실을 나타낸다. 단일 방향에 제한된 심볼은 단방향 심볼로 지칭될 수도 있다. 하나의 타입의 단방향 심볼은 업링크 송신들을 위해 전용될 수도 있고 업링크 심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제 2 타입의 단방향 심볼은 다운링크 송신들을 위해 전용될 수도 있고 다운링크 심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자급식 프레임들 (800, 820) 의 이용은 어드밴스드 액세스 네트워크들과 연관된 소정의 서비스들 및 요건들을 지원하기 위해 충분히 낮은 레이턴시를 제공할 수 없을 수도 있고, 낮은 레이턴시 애플리케이션들은 고우선순위 송신들을 스케줄링할 제한된 기회들을 제공하는 TDD-기반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타협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고우선순위 다운링크 통신들은, 스케줄링 엔티티가 PDCCH 필드 (822) 가 송신된 후에 고우선순위 DL 송신을 스케줄링할 어떤 기회도 갖지 않기 때문에 업링크 프레임 (820) 이 송신될 때 지연될 수도 있다. UL-중심 프레임 (820) 에서, 우세한 부분은 시스템이 더 높은 우선순위 업데이트들을 스케줄링 및 시그널링하는 것을 방지하는 페이로드 필드 (UL 데이터 (824)) 이다.
슬롯화된 서브-대역 듀플렉스 프레임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소정의 양태들은 TDD 기술들을 채용하는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더 응답적이고 및/또는 효율적인 듀플렉스 통신들을 지원하기 위해 채용될 수 있는 변경된 프레임 구조를 제공하기 위해 자급식 프레임들의 적응을 제공한다.
도 9 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소정의 양태들에 따라 제공된 슬롯화된 듀플렉스 프레임들 (900) 의 세트를 예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슬롯화된 듀플렉스 프레임들 (900) 은 TDD 를 채용하는 시스템들에서 개선된 플렉시빌리티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이어그램에서, 프레임은 복수의 TTI들 (904a 내지 904d) 의 각각에서 송신될 수도 있다. 다운링크-중심 프레임들은 제 1 TTI (904a) 및 제 3 TTI (904c) 에서 송신되는 한편, 업링크-중심 프레임은 제 2 TTI (904b) 에서 송신된다. 듀플렉스 프레임을 특징으로 한, 제 3 타입의 프레임은, 제 4 TTI (904d) 에서 송신된다. 각각의 프레임은 하나 이상의 듀플렉스 심볼들 (908a, 908b, 908c, 912) 로 종료한다.
듀플렉스 심볼들 (908a, 908b, 908c, 912) 은 다양한 시나리오들에서 효율적인 시그널링을 제공하기 위해 대역폭의 서브-대역 듀플렉스 할당을 이용하여, 복잡한 간섭 소거를 요구하지 않고 UL 및 DL 에서 데이터 송신들을 허용할 수도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상이한 세트들의 슬롯화된 서브-대역 듀플렉스 프레임들은 복잡한 간섭 소거를 요구하지 않고 그리고 효율적인 스펙트럼 활용으로 듀플렉스 심볼들에 대한 구성가능성 (configurability) 을 가능하게 하는 프레임 구조들을 포함한, 상이한 서브-대역 패턴들에 대한 옵션들을 제공하는 프레임 구조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들 프레임 구조들 중 소정의 구조는 낮은 레이턴시 애플리케이션들을 지원하는 UL 멀티-우선순위 스케줄링을 지원할 수도 있다. 슬롯화된 서브-대역 듀플렉스 프레임들은 TDD 를 채용하는 시스템에서 단일 캐리어 또는 캐리어 집성을 이용하는 액세스 네트워크들에서 전개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소정의 양태들에 따르면, 슬롯화된 듀플렉스 프레임들 (900) 의 세트에서의 각각의 프레임은, DL 심볼들 (906a 내지 906c), UL 심볼들 (910), 및/또는 듀플렉스 심볼들 (908a, 908b, 908c, 912) 을 포함할 수도 있는 심볼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DL 심볼들 (906a 내지 906c), UL 심볼들 (910), 및/또는 듀플렉스 심볼들 (908a, 908b, 908c, 912) 은 애플리케이션 요건들에 따라 프레임 구조 내에 소정의 패턴들을 제공하기 위해 및/또는 소정의 성능 특성들을 달성하기 위해 결합될 수도 있다.
소정의 양태들에 따르면, DL 심볼들 (906a 내지 906c) 은 DL 타이밍에 정렬될 수 있고, UL 심볼들 (910) 은 UL 타이밍에 정렬될 수도 있다.
DL 심볼들 (906a 내지 906c) 은 소정의 지정된 DL 서브-캐리어들 및 일부 인스턴스들에서는, 미배정된 서브-캐리어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미배정된 서브-캐리어들은 DL 또는 UL 신호들 중 어느 하나를 반송하기 위해 배정되지 않은 캐리어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UL 심볼들 (910) 은 소정의 지정된 UL 서브-캐리어들 및 일부 인스턴스들에서는, 미배정된 서브-캐리어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듀플렉스 심볼들 (908a, 908b, 908c, 912) 은 액세스 네트워크가 단일 캐리어 모드에서 동작할 때 소정의 서브-대역들의 패턴을 이용하여 프로비저닝될 수도 있다. 듀플렉스 심볼들 (908a, 908b, 908c, 912) 은 액세스 네트워크가 CA 모드에서 동작할 때 소정의 컴포넌트 캐리어들의 패턴을 이용하여 프로비저닝될 수도 있다. 옵션적 미배정된 서브-캐리어들과 함께, DL 서브-캐리어들과 UL 서브-캐리어들 양자 모두를 포함하는 신호 패턴이 채용될 수도 있다.
도 10 및 도 11 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소정의 양태들에 따라 구성되는 듀플렉스 심볼들의 예들을 예시한다. 도 10 은 OFDM 듀플렉스 심볼 패턴들의 상이한 예들 (1000) 을 예시하고 도 11 은 CA 네트워크에서의 DL-중심 프레임 (1100) 을 예시한다. 도 10 의 예에서, 각각의 듀플렉스 심볼 (1002a 내지 1002d, 1004) 은 DL 서브-캐리어들 (1006) 의 영역들 및 UL 서브-캐리어들 (1008) 의 영역들을 분리하는 미배정된 서브-캐리어들 (백색 영역들로서 도시됨) 을 포함한다. DL 서브-캐리어들 (1006) 및 UL 서브-캐리어들 (1008) 은 광대역 캐리어들의 사용자들에게의 배정을 위해 이용되는 소정의 미리정의된 페어링 로직에 따라 선택 및/또는 페어링될 수도 있다. 일부 인스턴스들에서, 듀플렉스 심볼들 (1002a 내지 1002d) 에 대한 DL 서브-캐리어들 (1006) 및 UL 서브-캐리어들 (1008) 의 선택 및/또는 페어링은 네트워크에 의해 배정, 및/또는 표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다중 사용자들은 DL 서브-캐리어들 (1006) 및 UL 서브-캐리어들 (1008) 의 캐리어들의 페어링들 (10021, 10022,... 1202N) 을 할당받을 수도 있다.
CA 환경들에서 이용되는 듀플렉스 심볼들 (1004) 에 대해, 대역폭은 인접 또는 인접하지 않을 수 있는 컴포넌트 캐리어들 (CC들) 을 통하여 집성된다. 일부 인스턴스들에서, 듀플렉스 심볼들 (1004) 의 DL 부분들 (1010) 및 UL 부분들 (1012) 은 그들 개별의 경계들 중 하나 이상이 CC 의 자연 경계들과 일치하도록 선택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듀플렉스 심볼들 (1002a 내지 1002d, 1004) 은 DL 타이밍에 정렬된 DL 서브-캐리어들 (1006, 1010), 및 UL 타이밍에 정렬된 UL 서브-캐리어들 (1008, 1012) 을 갖는다. UE 의 관점에서, UL 타이밍은 DL 타이밍에 대하여 앞설 수도 있다. 네트워크는 UL 송신들이 스케줄링 엔티티의 안테나들에 동시에 도달하게 하도록 스케줄링 엔티티에 의해 서비스된 UE들을 구성할 수도 있다. UL 심볼들의 타이밍은 소정의 네트워크 이벤트들에 기초하여 측정된 전파 레이턴시에 기초하여 조정될 수도 있다. 각각의 UE 는 타이밍 이벤트들에 기초하여 개별적으로 보상할 수도 있고, UE들이 상이한 전파 레이턴시들의 대상일 수도 있기 때문에, UE 는 UL 심볼들을 조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될 가능성이 있다. 각각의 UL 부분 (1008, 1012) 은 하나 또는 2 개의 선행 심볼들에서의 UL 부분 (1008, 1012) 에서 캐리어들의 이용을 방지하는 것에 의해 아이솔레이션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이한 타입들의 듀플렉스 심볼들 (1002a 내지 1002d, 1004) 이 애플리케이션에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1 에서, 완전한 DL-중심 프레임 (1100) 은 한 쌍의 듀플렉스 심볼들 (1104) 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듀플렉스 심볼들 (1104) 의 이용은, 예를 들어, DL 대역폭 (1106a, 1106b) 이 스케줄링 및/또는 다른 제어 또는 공통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이용되도록 제공되는 동안에 발생할 수도 있는 UL 송신 (1108) 에서 ACK 또는 부정 확인응답 (NAK) 이 송신되도록 허용하는 것에 의해 개선된 스펙트럼 효율을 제공한다. UL 송신 (1108) 은 전파 레이턴시로 인한 타이밍 어드밴스들을 수용하기 위하여 2-심볼들 (1104) 의 기간 (span) 내에서, 최종 심볼을 점유할 수도 있다.
도 12 는 제어 및 데이터 신호들 양자 모두에 대한 스펙트럼 활용 및 시그널링 레이턴시 간에 이루어질 수도 있는 소정의 트레이드오프들, 및 구성가능성을 예시하는 멀티-프레임 예 (1200) 를 제공한다. 프레임들 (1202a 내지 1202c, 1204a 내지 1204c) 은 하나 이상의 듀플렉스 심볼들을 포함한다. 일부 인스턴스들에서, 듀플렉스 심볼들은 스케줄링 또는 다른 제어 목적들을 위해 이용될 수도 있는 DL 송신 할당들 (1214a, 1214b) 의 포함을 통하여, 소정의 UL-중심 프레임들 (1204b) 이 송신되고 있는 동안 레이턴시를 개선시킬 수도 있다. 일부 인스턴스들에서, 듀플렉스 심볼들은 ACK 또는 부정 확인응답 (NAK) 송신 (1206) 이 업링크 상에서 발생하는 동안에 DL 송신들을 허용함으로써 소정의 DL-중심 프레임들 (1202a 내지 1202c) 에 대한 스펙트럼 효율을 개선시킬 수도 있다. 프레임들 (1202a 내지 1202c, 1204a 내지 1204c) 은 ACK/NAK 송신들 (1206, 1210) 에 대한 대역폭을 포함한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프레임들 (1202a 내지 1202c, 1204a 내지 1204c) 의 구성은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네트워크 필요들에 따라 선택될 수 있지만, 도 4 에 나타낸 예 (1200) 는 현재 프레임의 마지막까지 데이터 수신을 항상 확인응답하고, 다음 프레임 (1202a 내지 1202c, 1204a 내지 1204c) 에 대한 승인들을 사전-스케줄링하는 효율적인 제어 시그널링을 제공한다. 업링크 멀티-우선순위 스케줄링은 TDD 를 채용하는 시스템에서 낮은 레이턴시 애플리케이션들을 지원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소정의 양태들에 따르면, 스케줄링 엔티티는 듀플렉스 심볼들의 이용을 수용하도록 적응될 수도 있다. UL 및 DL 심볼들의 전력 레벨들에서의 차이들로 인해 소정의 주파수들이 듀플렉스 심볼들을 위해 이용될 때 이슈들이 발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의 송신기는 43dBm 또는 40W (Watts) 에서 다운링크 상에서 송신할 수도 있고, 기지국의 수신기는 업링크 송신물들에서 수신된 신호들에 대해 -110dBm 감도를 가질 수도 있다. 이 예에서는, 150dB 아이솔레이션이 업링크와 다운링크 통신들 사이에서 요구될 수도 있다. 일부 타입들의 송신은 네트워크에서 제공된 대역폭의 큰 부분을 이용 또는 필요로 하지 않을 수도 있고, 이로써 전체 광대역이 이들 타입들의 송신들을 위해 할당되면 용량을 낭비할 수 있다. 이러한 송신들은 동기화 및 공통 오버헤드를 포함하고 및/또는 메시지들을 브로드캐스트할 수도 있다. 추가로, 에지 레이트들은 낮은 스펙트럼 효율과 연관되며 따라서 적은 대역폭을 보증할 수도 있다.
소정의 양태들에 따르면, 부차적 엔티티는 듀플렉스 심볼들의 이용을 수용하기 위해 적응될 수도 있다. 부차적 엔티티, 이를 테면 모바일 단말기에서, 광대역 사용은 광대역 사용이 ACK 또는 CQI 송신들과 같은 제어 송신들을 수반할 때를 포함하여, 업링크가 전력 제약될 때 스펙트럼을 낭비할 수도 있다.
FDD 무선 네트워크에서 듀플렉스 심볼들의 이용과 연관된 소정의 이슈들은 제어 신호 멀티플렉싱, 파형 적응, 및 안테나 멀티플렉싱을 이용하여 완화될 수도 있다.
이제 도 13 을 참조하면, 제어 신호 멀티플렉싱은 UL 제어 메시지들과 DL 싱크 및/또는 브로드캐스트 제어 메시지들을 멀티플렉싱하기 위해 일부 인스턴스들에서 이용될 수도 있다. 종래 또는 레거시 시스템들에서, 및 1300 에서 일반적으로 예시한 바와 같이, 다운링크 제어 시그널링 (1304) 은 통상적으로 데이터 채널들 (1302, 1306) 과 멀티플렉싱된다. 이러한 시스템들에서, 총 송신 전력은 제어 및 데이터 채널들 (1302, 1304, 1306) 간에 공유되어 결국에는 링크 버짓을 해친다. 본 명세서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동기화 및 브로드캐스트 제어 시그널링 (1304) 은 통상적으로 작은 페이로드들을 포함하고 광대역 채널들에 걸쳐서 낭비적일 수 있다. 듀플렉스 심볼에 대한 동기화 및 브로드캐스트 제어의 멀티플렉싱은 레거시 시스템들에서 할당될 수도 있는 것보다 더 많은 전력이 동기화 및 브로드캐스트 제어 채널들에 할당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개선된 링크 버짓을 제공할 수도 있다.
듀플렉스 심볼들에 대한 파형 프로세싱
도 14 및 도 15 를 참조하면, 소정의 파형 적응 기법들은 듀플렉스 심볼들에 대한 추가적인 파형 프로세싱을 제공하기 위해 채용될 수도 있다. 일부 인스턴스들에서, 가중화된 오버랩-애드 (WOLA) 필터 뱅크 프로세서 (1410, 1420, 1426) 는 듀플렉스 심볼 파형들을 적응시키기 위해 구현될 수도 있다. WOLA 또는 시간-도메인 필터링은 UL 및/또는 DL 신호들의 롤-오프 특성들을 상당히 감소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고 DL/UL 신호 간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4 는 대역외 감쇠가 WOLA 필터링을 이용하여 달성될 수도 있는 시스템 (1400) 의 일 예를 예시하고, 여기서 스케줄링 엔티티 (1412) 는 UE 와 같은 부차적 엔티티일 수도 있는 제 2 엔티티 (1402) 와 통신하고 있다. 다른 예들에서, 제 1 엔티티 (1412) 및 제 2 엔티티 (1402) 는 피어 디바이스들, 또는 스케줄링 엔티티들 및 비-스케줄링 엔티티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도 있다. 도 15 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소정의 양태들에 따라 채용된 파형 적응 기법들의 영향을 예시하는 그래프 (1500) 를 포함한다.
도 16 은 안테나 멀티플렉싱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엔티티 (1600) 를 예시한다. 네트워크 엔티티 (1600) 는 기지국 (1602) 및 무선 네트워크의 셀 내에서 통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안테나 어레이들 (1608, 1610, 1612) 을 지원하는 멀티-섹터 셀 타워 (1604) 를 포함할 수도 있다. 기지국 (1602) 은 각각의 섹터에 대해 어레이들 (1608, 1610, 1612) 중 하나를 배정하는 것에 의해 셀의 각각의 섹터에서 통신하도록 멀티-섹터 셀 타워 (1604) 와 협력할 수도 있다. 각각의 어레이 (1608, 1610, 1612) 는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인스턴스들에서, 안테나들은 MIMO 기술의 이용을 가능하게 하도록 그룹화, 배열, 및/또는 동작될 수도 있다. 예시된 예에서, 네트워크 엔티티 (1600) 는 제 1 섹터를 위해 이용되는 안테나 어레이 (1608) 에서 4 개의 안테나들 (16061 내지 16064) 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소정의 양태들에 따르면, 제 1 섹터의 안테나 어레이 (1608) 는 DL 브로드캐스트들 또는 제어 시그널링이 와이드빔 합성을 제공하기 위해 내부 안테나들 (16062, 16063) 의 서브-그룹을 이용하여 송신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한편, UL 신호들은 최대 수신 다이버시티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외부 안테나들 (16061, 16064) 을 이용하여 수신될 수도 있다.
소정의 양태들의 추가적인 설명들
도 17 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프로세싱 회로 (1702) 를 채용하는 장치 (1700) 에 대한 하드웨어 구현의 일 예를 예시하는 개념적 다이어그램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르면, 엘리먼트, 또는 엘리먼트의 임의의 부분, 또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바와 같은 엘리먼트들의 임의의 조합은 프로세싱 회로 (1702) 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싱 회로 (1702) 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들의 일부 조합에 의해 제어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704) 을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들 (1704) 의 예들은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마이크로제어기들, DSP들, FPGA들, PLD들, 상태 머신들, 시퀀서들, 게이티드 로직, 이산 하드웨어 회로들, 및 본 개시 전반에 걸쳐 설명된 다양한 기능성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다른 적합한 하드웨어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704) 은 특정 기능들을 수행하고, 소프트웨어 모듈들 (1716) 중 하나에 의해 구성, 증대 또는 제어될 수도 있는 전문화된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704) 은 초기화 동인 로드된 소프트웨어 모듈들 (1716) 의 조합을 통하여 구성되고, 동작 동안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들 (1716) 을 로드 또는 언로드하는 것에 의해 추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시된 예에서, 프로세싱 회로 (1702) 는 버스 (1710) 로 일반적으로 나타낸, 버스 아키텍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버스 (1710) 는 전체 설계 제약들 및 프로세싱 회로 (1702) 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의존하여 임의의 수의 상호접속 버스들 및 브릿지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버스 (1710) 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704), 및 스토리지 (1706) 를 포함한 다양한 회로들을 함께 링크한다. 스토리지 (1706) 는 메모리 디바이스들 및 대용량 저장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 및/또는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들로 본 명세서에서 지칭될 수도 있다. 버스 (1710) 는 또한, 타이밍 소스들, 타이머들, 주변장치들, 전압 레귤레이터들, 및 전력 관리 회로들과 같은 다양한 다른 회로들을 링크할 수도 있다. 버스 인터페이스 (1708) 는 버스 (1710) 와 하나 이상의 트랜시버들 (1712)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트랜시버 (1712) 는 프로세싱 회로 (1702) 에 의해 지원된 각각의 네트워킹 기술을 위해 제공될 수도 있다. 일부 인스턴스들에서, 다중 네트워킹 기술들은 트랜시버 (1712) 에서 확인된 회로부 또는 프로세싱 모듈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공유할 수도 있다. 각각의 트랜시버 (1712) 는 송신 매체를 통해 다양한 다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장치 (1700) 의 본성에 의존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1718) (예를 들어, 키패드,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로폰, 조이스틱) 가 또한 제공될 수도 있고, 직접 또는 버스 인터페이스 (1708) 를 통하여 버스 (1710) 에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 (1704) 는 버스 (1710) 를 관리하는 것 및 스토리지 (1706) 를 포함할 수도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를 실행을 포함할 수도 있는 일반적인 프로세싱을 담당할 수도 있다. 이것과 관련하여, 프로세서 (1704) 를 포함한 프로세싱 회로 (1702) 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방법들, 기능들 및 기법들 중 임의의 것을 구현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스토리지 (1706) 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때 프로세서 (1704) 에 의해 조작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이용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방법들 중 임의의 하나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프로세싱 회로 (1702) 에서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704) 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하드웨어 기술 언어, 또는 다른 것으로 지칭되든 간에, 명령들, 명령 세트들, 코드, 코드 세그먼트들,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들, 서브프로그램들, 소프트웨어 모듈들, 애플리케이션들,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 소프트웨어 패키지들, 루틴들, 서브루틴들, 오브젝트들, 실행가능물들, 실행 스레드들, 프로시저들, 함수들, 알고리즘들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광범위하게 해석되어야 한다. 소프트웨어는 외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또는 스토리지 (1706) 에 컴퓨터 판독가능 형태로 상주할 수도 있다. 외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및/또는 스토리지 (1706) 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일 예로, 자기 저장 디바이스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 스마트 카드,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예를 들어, "플래시 드라이브", 카드, 스틱, 또는 키 드라이브),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 판독 전용 메모리 (ROM), 프로그래밍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 (PROM), 소거가능한 프로그래밍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 (EP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한 프로그래밍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 (EEPROM), 광 디스크 스토리지, 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레지스터들, 착탈식 디스크, 및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및 판독될 수도 있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명령들을 저장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합한 매체를 포함한다. 디스크 (disk) 및 디스크 (disc) 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콤팩트 디스크 (CD), 레이저 디스크, 광 디스크,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 (DVD), 및 플로피 디스크를 포함하고, 여기서 디스크 (disk) 들은 보통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는 한편, 디스크 (disc) 들은 레이저들로 데이터를 광학적으로 재생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및/또는 스토리지 (1706) 는, 일 예로, 캐리어파, 송신 라인, 및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및 판독될 수도 있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명령들을 송신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합한 매체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및/또는 스토리지 (1706) 는 프로세싱 회로 (1702) 내에, 프로세서 (1704) 내에, 프로세싱 회로 (1702) 외부에 상주하거나, 또는 프로세싱 회로 (1702) 를 포함한 다중 엔티티들에 걸쳐서 분포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및/또는 스토리지 (1706) 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수록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패키징 재료들에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당업자들은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전체 설계 제약들 및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의존하여 본 개시 전반에 걸쳐 제시된 설명된 기능성을 구현하는 최선의 방법을 인지할 것이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및/또는 스토리지 (1706) 는 소프트웨어 모듈들 (1716) 로 본 명세서에서 지칭될 수도 있는, 로드가능한 코드 세그먼트들, 모듈들, 애플리케이션들, 프로그램들 등에 유지 및/또는 조직화된 소프트웨어를 유지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들 (1716) 의 각각은 프로세싱 회로 (1702) 상에 설치 또는 로드되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704) 에 의해 실행될 때,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704) 의 동작을 제어하는 런-타임 이미지 (1714) 에 기여하는 명령들 및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실행될 때, 소정의 명령들은 프로세싱 회로 (1702) 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소정의 방법들, 알고리즘들 및 프로세스들에 따라 기능들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들 (1716) 의 일부는 프로세싱 회로 (1702) 의 초기화 동안 로드될 수도 있고, 이들 소프트웨어 모듈들 (1716) 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다양한 기능들의 수행을 가능하게 하도록 프로세싱 회로 (1702) 를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소프트웨어 모듈들 (1716) 은 프로세서 (1704) 의 내부 디바이스들 및/또는 로직 회로들 (1722) 을 구성할 수도 있고, 트랜시버 (1712), 버스 인터페이스 (1708), 사용자 인터페이스 (1718), 타이머들, 연산 코프로세서들 등과 같은 외부 디바이스들에 대한 액세스를 관리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들 (1716) 은 인터럽트 핸들러들 및 디바이스 드라이버들과 상호작용하고, 그리고 프로세싱 회로 (1702) 에 의해 제공된 다양한 리소스들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하는 제어 프로그램 및/또는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포함할 수도 있다. 리소스들은 메모리, 프로세싱 시간, 트랜시버 (1712) 에 대한 액세스, 사용자 인터페이스 (1718)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싱 회로 (1702) 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704) 은 다기능적일 수도 있어서, 소프트웨어 모듈들 (1716) 의 일부는 상이한 기능들 또는 동일한 기능의 상이한 인스턴스들을 수행하도록 로드 및 구성된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704) 은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1718), 트랜시버 (1712), 및 디바이스 드라이버들로부터의 입력들에 응답하여 개시된 백그라운드 태스크들을 관리하도록 추가적으로 적응될 수도 있다. 다중 기능들의 수행을 지원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704) 은 멀티태스킹 환경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어서, 복수의 기능들의 각각은 필요에 따라 또는 원할 때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704) 에 의해 서비스된 태스크들의 세트로서 구현된다. 하나의 예에서, 멀티태스킹 환경은 상이한 태스크들 사이에 프로세서 (1704) 의 제어를 패스하는 시간공유 프로그램 (1720) 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어서, 각각의 태스크는 임의의 미해결된 (outstanding) 동작들의 완료 시에 및/또는 인터럽트와 같은 입력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704) 의 제어를 시간공유 프로그램 (1720) 에 리턴한다. 태스크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704) 을 제어할 때, 프로세싱 회로는 제어 태스크와 연관된 기능에 의해 어드레싱되는 목적들을 위해 유효하게 전문화된다. 시간공유 프로그램 (1720) 은 오퍼레이팅 시스템, 라운드-로빈 기반으로 제어를 전송하는 메인 루프, 기능들의 우선순위화에 따라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704) 의 제어를 할당하는 함수, 및/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704) 의 제어를 핸들링 기능에 제공하는 것에 의해 외부 이벤트들에 응답하는 인터럽트 구동 메인 루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8 은 무선 통신의 방법의 플로우 차트 (1800) 이다. 방법은 스케줄링 엔티티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블록 (1802) 에서, 스케줄링 엔티티는 TDD 를 지원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송신을 위해 제 1 프레임을 스케줄링할 수도 있다. 제 1 프레임은 스케줄링 엔티티로의 업링크 송신을 위해 이용될 제 1 대역폭 및 스케줄링 엔티티로부터의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이용될 제 2 대역폭을 제공 또는 포함하는 제 1 듀플렉스 심볼을 포함할 수도 있다.
블록 (1804) 에서, 스케줄링 엔티티는 제 1 프레임이 송신되고 있는 동안에, 스케줄링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제 2 대역폭을 이용할 수도 있다. 스케줄링 정보는 제 1 프레임 직후에 송신되도록 스케줄링되는 제 2 프레임에 관련될 수도 있다. 스케줄링 정보는 업링크 승인 또는 다운링크 승인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의 예에서, 제 1 프레임은 다운링크-중심 프레임이고, 제 1 프레임의 페이로드는 복수의 다운링크 심볼들에서 송신될 수도 있다. 페이로드에 응답하는 ACK 또는 NAK 가 수신될 수도 있다. ACK 또는 NAK 는 제 1 대역폭을 이용하여 수신될 수도 있다. 스케줄링 정보는 ACK 또는 NAK 가 수신되고 있는 동안에 송신될 수도 있다. 제 1 프레임은, 주파수에서 제 1 대역폭에 대응하는 미사용된 대역폭을 포함하는 제 2 듀플렉스 심볼을 가질 수도 있다. 제 2 듀플렉스 심볼은 송신 시에 제 1 듀플렉스 심볼에 바로 선행한다.
다른 예에서, 제 1 프레임은 업링크-중심 프레임이고, 제 1 프레임의 페이로드는 복수의 심볼들에서 수신될 수도 있다. 스케줄링 정보는 제 1 듀플렉스 심볼이 복수의 심볼들에 포함될 때 제 2 대역폭을 이용하여 송신될 수도 있다. ACK 또는 NAK 는 페이로드가 완전히 수신된 후에 송신될 수도 있다. 복수의 심볼들은 하나 이상의 업링크 심볼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인스턴스들에서, 스케줄링 정보는 고우선순위 승인을 포함한다.
스케줄링 엔티티는 제 3 프레임에서 제공된 이전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프레임을 구성할 수도 있고, 여기서 제 3 프레임은 송신 시에 제 1 프레임에 바로 선행한다.
일부 인스턴스들에서, 듀플렉스 심볼은 OFDM 심볼이다. TDD 를 지원하는 무선 네트워크는 단일-캐리어 네트워크일 수도 있고, 제 1 대역폭은 단일 캐리어의 제 1 서브-대역을 포함할 수도 있는 한편, 제 2 대역폭은 단일 캐리어의 제 2 서브-대역을 포함한다.
일부 인스턴스들에서, TDD 를 지원하는 무선 네트워크는 집성된 대역폭을 제공하기 위해 캐리어 집성을 채용한다. 제 1 대역폭은 집성된 대역폭의 제 1 캐리어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도 있고 제 2 대역폭은 집성된 대역폭의 제 2 캐리어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 1 대역폭은 제 1 캐리어 컴포넌트의 경계와 정렬될 수도 있다. 제 2 대역폭은 제 2 캐리어 컴포넌트의 경계와 정렬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스케줄링 엔티티는 스케줄링 엔티티로부터, 하나 이상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들 또는 제어 신호들을 송신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들 또는 제어 신호들은 스케줄링 엔티티에서 수신된 하나 이상의 제어 메시지들 또는 낮은 데이터 송신물들과 제 1 듀플렉스 심볼에서 멀티플렉싱될 수도 있다. 파형 프로세서는 제 1 듀플렉스 심볼에서 반송된 하나 이상의 신호들의 특성을 변경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제 1 단방향 심볼은 제 1 단방향 심볼에서의 신호들의 특성을 변경하기 위해 파형 프로세서를 이용하지 않고 송신될 수도 있고, 제 2 단방향 심볼은 제 2 단방향 심볼이 제 2 단방향 심볼에서의 신호들의 특성을 변경하기 위해 파형 프로세서를 이용하지 않고 송신된 경우에 수신될 수도 있다. 파형 프로세서는 업링크 송신과 다운링크 송신 사이의 분리를 개선시키는 가중화된 오버랩-애드 필터 뱅크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9 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소정의 양태들에 따른 프로세싱 회로 (1902) 를 채용하는 장치 (1900) 에 대한 하드웨어 구현의 제 1 예를 예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프로세싱 회로는 통상적으로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제어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시퀀서 및 상태 머신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는 프로세서 (1916) 를 갖는다. 프로세싱 회로 (1902) 는 버스 (1920) 로 일반적으로 나타낸, 버스 아키텍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버스 (1920) 는 전체 설계 제약들 및 프로세싱 회로 (1902) 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의존하여 임의의 수의 상호접속 버스들 및 브릿지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버스 (1920) 는 프로세서 (1916) 로 나타낸,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또는 하드웨어 모듈들, 모듈들 또는 회로들 (1904, 1906 및 1908), 및 안테나 시스템 (1914)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918) 를 통하여 통신하도록 구성가능한 무선 트랜시버 회로들 (1912) 을 포함한 다양한 회로들을 함께 링크한다. 버스 (1920) 는 타이밍 소스들, 주변장치들, 전압 레귤레이터들, 및 전력 관리 회로들과 같은 다양한 다른 회로들을 또한 링크할 수도 있는데, 이는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프로세서 (1916) 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918) 상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포함한, 일반적인 프로세싱을 담당한다. 소프트웨어는, 프로세서 (1916) 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싱 회로 (1902) 로 하여금, 임의의 특정한 장치에 대해 위에 설명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918) 는, 데이터 레인들 및 클록 레인들로서 구성될 수도 있는, 안테나 시스템 (1914) 을 통해 송신된 심볼들로부터 디코딩된 데이터를 포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때 프로세서 (1916) 에 의해 조작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또한 이용될 수도 있다. 프로세싱 회로 (1902) 는 모듈들 (1904, 1906 및 1908)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 모듈들 (1904, 1906 및 1908) 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918) 에 상주/저장된 프로세서 (1916) 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들, 프로세서 (1916) 에 커플링된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모듈들, 또는 그 일부 조합일 수도 있다. 모듈들 (1904, 1906 및/또는 1908) 은 마이크로제어기 명령들, 상태 머신 구성 파라미터들, 또는 그 일부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의 구성에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900) 는 TDD 를 지원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송신을 위해 제 1 프레임을 스케줄링하도록 구성되는 모듈 및/또는 회로 (1904), 제 1 프레임을 구성하도록 구성된 모듈 및/또는 회로 (1906), 및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제 1 프레임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모듈 및/또는 회로 (1908) 를 포함한다.
하나의 예에서, 장치는 TDD 를 지원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송신을 위해 제 1 프레임을 스케줄링하도록 구성된 회로들 또는 모듈들 (1904) 을 포함한다. 제 1 프레임은 스케줄링 엔티티로의 업링크 송신을 위해 이용될 제 1 대역폭 및 스케줄링 엔티티로부터의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이용될 제 2 대역폭을 포함하는 제 1 듀플렉스 심볼을 포함하도록 구성 회로들 또는 모듈들 (1906) 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장치는 제 1 프레임 직후에 송신되도록 스케줄링되는 제 2 프레임에 관련된 스케줄링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회로들 또는 모듈들 (1908, 1912, 1914) 을 포함한다. 스케줄링 정보는 제 1 프레임이 송신되고 있는 동안에, 스케줄링 정보를 송신하도록 제 2 대역폭을 이용하여 송신될 수도 있다. 스케줄링 정보는 업링크 승인 또는 다운링크 승인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0 은 무선 통신의 방법의 플로우 차트 (2000) 이다. 방법은 부차적 디바이스 또는 엔티티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블록 (2002) 에서, 부차적 디바이스 또는 엔티티는 TDD 를 지원하는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제 1 프레임의 제 1 듀플렉스 심볼에서 스케줄링 엔티티로부터 제 1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제 1 듀플렉스 심볼은 스케줄링 엔티티로의 업링크 송신물을 반송하는 제 1 대역폭 및 스케줄링 엔티티로부터의 다운링크 송신물을 반송하는 제 2 대역폭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 1 스케줄링 정보는 업링크 승인 또는 다운링크 승인을 포함할 수도 있다.
블록 (2004) 에서, 스케줄링 디바이스 또는 엔티티는 제 1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구성된 제 2 프레임을 이용하여 스케줄링 엔티티와 통신할 수도 있다. 제 2 프레임에서의 제 2 듀플렉스 심볼은 제 3 프레임에 대응하는 제 2 스케줄링 정보를 반송하는 제 3 대역폭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의 예에서, 제 1 프레임은 다운링크-중심 프레임이고, 제 1 프레임의 페이로드는 복수의 다운링크 심볼들에서 수신될 수도 있다. 페이로드에 응답하는 ACK 또는 NAK 가 송신될 수도 있다. ACK 또는 NAK 는 제 1 대역폭을 이용하여 송신될 수도 있다. 스케줄링 정보는 ACK 또는 NAK 를 송신하면서 수신될 수도 있다. 제 1 프레임은, 주파수에서 제 1 대역폭에 대응하는 미사용된 대역폭을 포함할 수도 있는 제 2 듀플렉스 심볼을 가질 수도 있다. 제 2 듀플렉스 심볼은 송신 시에 제 1 듀플렉스 심볼에 바로 선행한다.
다른 예에서, 제 1 프레임은 업링크-중심 프레임이고, 제 1 프레임의 페이로드는 복수의 심볼들에서 송신될 수도 있다. 스케줄링 정보는 제 1 듀플렉스 심볼이 복수의 심볼들에 포함될 때 제 2 대역폭을 이용하여 수신될 수도 있다. 복수의 심볼들은 하나 이상의 업링크 심볼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ACK 또는 NAK 는 페이로드가 완전히 수신된 후에 송신될 수도 있다.
일부 인스턴스들에서, 스케줄링 정보는 고우선순위 승인을 포함한다.
제 1 프레임은 제 4 프레임에서 제공된 이전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구성될 수도 있고, 여기서 제 4 프레임은 송신 시에 제 1 프레임에 바로 선행한다.
일부 인스턴스들에서, 듀플렉스 심볼은 OFDM 심볼이다. TDD 를 지원하는 무선 네트워크는 단일-캐리어 네트워크일 수도 있고, 제 1 대역폭은 단일 캐리어의 제 1 서브-대역을 포함할 수도 있는 한편, 제 2 대역폭은 단일 캐리어의 제 2 서브-대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인스턴스들에서, TDD 를 지원하는 무선 네트워크는 집성된 대역폭을 제공하기 위해 캐리어 집성을 채용한다. 제 1 대역폭은 집성된 대역폭의 제 1 캐리어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도 있고 제 2 대역폭은 집성된 대역폭의 제 2 캐리어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 1 대역폭은 제 1 캐리어 컴포넌트의 경계와 정렬될 수도 있다. 제 2 대역폭은 제 2 캐리어 컴포넌트의 경계와 정렬될 수도 있다.
도 21 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소정의 양태들에 따른 프로세싱 회로 (2102) 를 채용하는 장치 (2100) 에 대한 하드웨어 구현의 제 2 예를 예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프로세싱 회로는 통상적으로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제어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시퀀서 및 상태 머신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는 프로세서 (2116) 를 갖는다. 프로세싱 회로 (2102) 는 버스 (2120) 로 일반적으로 나타낸, 버스 아키텍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버스 (2120) 는 전체 설계 제약들 및 프로세싱 회로 (2102) 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의존하여 임의의 수의 상호접속 버스들 및 브릿지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버스 (2102) 는 프로세서 (2116) 로 나타낸,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또는 하드웨어 모듈들, 모듈들 또는 회로들 (2104, 2106 및 2108), 및 안테나 시스템 (2114)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118) 를 통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트랜시버 회로들 (2112) 을 포함한 다양한 회로들을 함께 링크한다. 버스 (2120) 는 또한, 타이밍 소스들, 주변장치들, 전압 레귤레이터들, 및 전력 관리 회로들과 같은 다양한 다른 회로들을 링크할 수도 있는데, 이는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프로세서 (2116) 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118) 상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포함한, 일반적인 프로세싱을 담당한다. 소프트웨어는, 프로세서 (2116) 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싱 회로 (2102) 로 하여금, 임의의 특정한 장치에 대해 위에 설명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118) 는 또한, 데이터 레인들 및 클록 레인들로서 구성될 수도 있는, 안테나 시스템 (2114) 을 통해 송신된 심볼들로부터 디코딩된 데이터를 포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때 프로세서 (2116) 에 의해 조작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이용될 수도 있다. 프로세싱 회로 (2102) 는 모듈들 (2104, 2106 및 2108)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 모듈들 (2104, 2106 및 2108) 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118) 에 상주/저장된, 프로세서 (2116) 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들, 프로세서 (2116) 에 커플링된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모듈들, 또는 그 일부 조합일 수도 있다. 모듈들 (2104, 2106 및/또는 2108) 은 마이크로제어기 명령들, 상태 머신 구성 파라미터들, 또는 그 일부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의 구성에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100) 는 TDD 를 지원하는 무선 네트워크 상에서 다음 프레임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 및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되는 모듈 및/또는 회로 (2104),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다음 프레임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모듈 및/또는 회로 (2106), 및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다음 프레임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모듈 및/또는 회로 (2108) 를 포함한다.
하나의 예에서, 장치는 TDD 를 지원하는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제 1 프레임의 제 1 듀플렉스 심볼에서 스케줄링 엔티티로부터 제 1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모듈 및/또는 회로 (2104) 로서, 제 1 듀플렉스 심볼은 스케줄링 엔티티로의 업링크 송신물을 반송하는 제 1 대역폭 및 스케줄링 엔티티로부터의 다운링크 송신물을 반송하는 제 2 대역폭을 포함하는, 상기 모듈 및/또는 회로 (2104), 및 제 1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구성된 제 2 프레임을 이용하여 스케줄링 엔티티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모듈 및/또는 회로 (2106, 2108) 를 포함한다. 제 2 프레임에서의 제 2 듀플렉스 심볼은 제 3 프레임에 대응하는 제 2 스케줄링 정보를 반송하는 제 3 대역폭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 1 스케줄링 정보는 업링크 승인 또는 다운링크 승인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개시된 프로세스들에서의 단계들의 특정 순서 또는 계위 (hierarchy) 는 예시적인 접근법들의 예시인 것으로 이해된다. 설계 선호도들에 기초하여, 프로세스들에서의 단계들의 특정 순서 또는 계위는 재배열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게다가, 일부 단계들은 결합 또는 생략될 수도 있다. 첨부한 방법 청구항들은 샘플 순서로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제시하고, 제시된 특정 순서 또는 계위에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이전의 설명은 임의의 당업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양한 양태들을 실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들 양태들에 대한 다양한 변경들은 당업자들에게 용이하게 명백할 것이며,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다른 양태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청구항들은 본 명세서에 나타낸 양태들에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고, 랭귀지 청구항들에 부합하는 풀 범위를 부여받아야 하며, 여기서 엘리먼트의 단수로의 언급은 구체적으로 그렇게 언급하지 않았다면 "하나 및 단 하나 (one and only one)" 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고, 오히려 "하나 이상 (one or more)" 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구체적으로 다르게 언급하지 않았다면, 용어 "일부 (some)" 는 하나 이상을 지칭한다. 당업자들에게 알려져 있거나 또는 후에 알려지게 될 본 개시 전반에 걸쳐 설명된 다양한 양태들의 엘리먼트들에 대한 모든 구조적 및 기능적 등가물들은 참조로 본 명세서에 명백히 통합되고 청구항들에 의해 포괄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어떤 것도 이러한 개시가 청구항들에서 명시적으로 열거되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공공 (public) 에게 전용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어떤 청구항 엘리먼트도, 그 엘리먼트가 어구 "위한 수단 (means for)" 을 이용하여 명백히 열거되지 않는다면 수단 플러스 기능 (means plus function) 으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Claims (30)

  1. 무선 통신의 방법으로서,
    스케줄링 엔티티에서, 시간 분할 듀플렉싱을 지원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송신을 위해 제 1 프레임을 스케줄링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프레임은 상기 스케줄링 엔티티로의 업링크 송신을 위해 이용될 제 1 대역폭 및 상기 스케줄링 엔티티로부터의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이용될 제 2 대역폭을 포함하는 제 1 듀플렉스 심볼을 포함하는, 상기 제 1 프레임을 스케줄링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프레임이 송신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제 1 프레임 직후에 송신되도록 스케줄링되는 제 2 프레임에 관련된 스케줄링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상기 제 2 대역폭을 이용하는 단계로서, 상기 스케줄링 정보는 업링크 승인 또는 다운링크 승인을 포함하는, 상기 제 2 대역폭을 이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은 다운링크-중심 프레임이고,
    복수의 다운링크 심볼들에서 상기 제 1 프레임의 페이로드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페이로드에 응답하여 확인응답 (ACK) 또는 부정 확인응답 (NAK) 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ACK 또는 상기 NAK 는 상기 제 1 대역폭을 이용하여 수신되는, 상기 ACK 또는 NAK 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ACK 또는 상기 NAK 를 수신하면서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은, 주파수에서 상기 제 1 대역폭에 대응하는 미사용된 대역폭을 포함하는 제 2 듀플렉스 심볼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듀플렉스 심볼은 송신 시에 상기 제 1 듀플렉스 심볼에 바로 선행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은 업링크-중심 프레임이고,
    복수의 심볼들에서 상기 제 1 프레임의 페이로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대역폭을 이용하여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듀플렉스 심볼은 상기 복수의 심볼들에 포함되는,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페이로드가 완전히 수신된 후에 ACK 또는 NAK 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심볼들은 하나 이상의 업링크 심볼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정보는 고우선순위 승인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제 3 프레임에서 제공된 이전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프레임을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프레임은 송신 시에 상기 제 1 프레임에 바로 선행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듀플렉스 심볼은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 심볼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는 단일 캐리어를 이용하여 통신하고, 상기 제 1 대역폭은 상기 단일 캐리어의 제 1 서브-대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대역폭은 상기 단일 캐리어의 제 2 서브-대역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는 집성된 대역폭을 제공하기 위해 캐리어 집성을 채용하고, 상기 제 1 대역폭은 상기 집성된 대역폭의 제 1 캐리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대역폭은 상기 집성된 대역폭의 제 2 캐리어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대역폭은 상기 제 1 캐리어 컴포넌트의 경계와 정렬되고, 상기 제 2 대역폭은 상기 제 2 캐리어 컴포넌트의 경계와 정렬되는, 무선 통신의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엔티티에 의한 브로드캐스트 송신들을 위해 안테나 어레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스케줄링 엔티티에서 송신물들을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나머지 안테나들을 할당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엔티티로부터, 하나 이상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들 또는 제어 신호들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들 또는 제어 신호들은 상기 스케줄링 엔티티에서 수신된 하나 이상의 제어 메시지들 또는 낮은 데이터 송신물들과 상기 제 1 듀플렉스 심볼에서 멀티플렉싱되는, 무선 통신의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듀플렉스 심볼에서 반송된 하나 이상의 신호들의 특성을 변경하기 위해 파형 프로세서를 이용하는 단계;
    제 1 단방향 심볼에서의 신호들의 특성을 변경하기 위해 상기 파형 프로세서를 이용하지 않고 상기 제 1 단방향 심볼을 송신하는 단계; 및
    제 2 단방향 심볼에서의 신호들의 특성을 변경하기 위해 상기 파형 프로세서를 이용하지 않고 송신된 상기 제 2 단방향 심볼을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 프로세서는 상기 업링크 송신과 상기 다운링크 송신 사이의 분리를 개선시키는 가중화된 오버랩-애드 (overlap-add) 필터 뱅크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16.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관리하도록 구성된 스케줄링 엔티티로서,
    프로세싱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시간 분할 듀플렉싱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송신을 위해 제 1 프레임을 스케줄링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 프레임은 상기 스케줄링 엔티티로의 업링크 송신을 위해 이용될 제 1 대역폭 및 상기 스케줄링 엔티티로부터의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이용될 제 2 대역폭을 포함하는 제 1 듀플렉스 심볼을 포함하는, 상기 제 1 프레임을 스케줄링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프레임이 송신되고 있는 동안에, 스케줄링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상기 제 2 대역폭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제 1 프레임 직후에 송신되도록 스케줄링되는 제 2 프레임에 관련되고, 상기 스케줄링 정보는 업링크 승인 또는 다운링크 승인을 포함하는, 상기 제 2 대역폭을 이용하도록
    구성되는, 스케줄링 엔티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엔티티로부터의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할당된 제 1 복수의 안테나들 및 상기 스케줄링 엔티티로 지향된 수신하도록 할당된 제 2 복수의 안테나들을 갖는 안테나 어레이를 더 포함하는, 스케줄링 엔티티.
  18. 부차적 엔티티에서의 무선 통신의 방법으로서,
    시간 분할 듀플렉싱을 지원하는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제 1 프레임의 제 1 듀플렉스 심볼에서 스케줄링 엔티티로부터 제 1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듀플렉스 심볼은 상기 스케줄링 엔티티로의 업링크 송신물을 반송하는 제 1 대역폭 및 상기 스케줄링 엔티티로부터의 다운링크 송신물을 반송하는 제 2 대역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스케줄링 정보는 업링크 승인 또는 다운링크 승인을 포함하는, 상기 제 1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구성된 제 2 프레임을 이용하여 상기 스케줄링 엔티티와 통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2 프레임에서의 제 2 듀플렉스 심볼은 제 3 프레임에 대응하는 제 2 스케줄링 정보를 반송하는 제 3 대역폭을 포함하는, 상기 스케줄링 엔티티와 통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부차적 엔티티에서의 무선 통신의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은 다운링크-중심 프레임이고,
    복수의 다운링크 심볼들에서 상기 제 1 프레임의 페이로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페이로드에 응답하여 확인응답 (ACK) 또는 부정 확인응답 (NAK) 을 송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ACK 또는 상기 NAK 는 상기 제 1 대역폭을 이용하여 송신되는, 상기 ACK 또는 NAK 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ACK 또는 상기 NAK 를 송신하면서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부차적 엔티티에서의 무선 통신의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은, 주파수에서 상기 제 1 대역폭에 대응하는 미사용된 대역폭을 포함하는 제 3 듀플렉스 심볼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듀플렉스 심볼은 송신 시에 상기 제 1 듀플렉스 심볼에 바로 선행하는, 부차적 엔티티에서의 무선 통신의 방법.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은 업링크-중심 프레임이고,
    복수의 심볼들에서 상기 제 1 프레임의 페이로드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대역폭을 이용하여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듀플렉스 심볼은 상기 복수의 심볼들에 포함되는,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페이로드가 완전히 송신된 후에 ACK 또는 NAK 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부차적 엔티티에서의 무선 통신의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심볼들은 하나 이상의 업링크 심볼들을 포함하는, 부차적 엔티티에서의 무선 통신의 방법.
  2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정보는 고우선순위 승인을 포함하는, 부차적 엔티티에서의 무선 통신의 방법.
  24.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은 제 4 프레임에서 제공된 이전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구성되고, 상기 제 4 프레임은 송신 시에 상기 제 1 프레임에 바로 선행하는, 부차적 엔티티에서의 무선 통신의 방법.
  25.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듀플렉스 심볼은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 심볼을 포함하는, 부차적 엔티티에서의 무선 통신의 방법.
  26.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는 단일 캐리어를 이용하여 통신하고, 상기 제 1 대역폭은 상기 단일 캐리어의 제 1 서브-대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대역폭은 상기 단일 캐리어의 제 2 서브-대역을 포함하는, 부차적 엔티티에서의 무선 통신의 방법.
  27.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는 집성된 대역폭을 제공하기 위해 캐리어 집성을 채용하고, 상기 제 1 대역폭은 상기 집성된 대역폭의 제 1 캐리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대역폭은 상기 집성된 대역폭의 제 2 캐리어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부차적 엔티티에서의 무선 통신의 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대역폭은 상기 제 1 캐리어 컴포넌트의 경계와 정렬되고, 상기 제 2 대역폭은 상기 제 2 캐리어 컴포넌트의 경계와 정렬되는, 부차적 엔티티에서의 무선 통신의 방법.
  29.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스케줄링 엔티티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부차적 디바이스로서,
    프로세싱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시간 분할 듀플렉싱을 지원하는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제 1 프레임의 제 1 듀플렉스 심볼에서 스케줄링 엔티티로부터 제 1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 듀플렉스 심볼은 상기 스케줄링 엔티티로의 업링크 송신물을 반송하는 제 1 대역폭 및 상기 스케줄링 엔티티로부터의 다운링크 송신물을 반송하는 제 2 대역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스케줄링 정보는 업링크 승인 또는 다운링크 승인을 포함하는, 상기 제 1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구성된 제 2 프레임을 이용하여 상기 스케줄링 엔티티와 통신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 2 프레임에서의 제 2 듀플렉스 심볼은 제 3 프레임에 대응하는 제 2 스케줄링 정보를 반송하는 제 3 대역폭을 포함하는, 상기 스케줄링 엔티티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부차적 디바이스.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은 다운링크-중심 프레임이고,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복수의 다운링크 심볼들에서 상기 제 1 프레임의 페이로드를 수신하고;
    상기 페이로드에 응답하여 확인응답 (ACK) 또는 부정 확인응답 (NAK) 을 송신하는 것으로서, 상기 ACK 또는 상기 NAK 는 상기 제 1 대역폭을 이용하여 송신되는, 상기 ACK 또는 NAK 를 송신하고; 그리고
    상기 ACK 또는 상기 NAK 를 송신하면서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프레임은, 주파수에서 상기 제 1 대역폭에 대응하는 미사용된 대역폭을 포함하는 제 3 듀플렉스 심볼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 3 듀플렉스 심볼은 송신 시에 상기 제 1 듀플렉스 심볼에 바로 선행하는, 부차적 디바이스.
KR1020177030656A 2015-04-29 2016-03-31 광대역 시간-분할 듀플렉스 시스템에서의 슬롯화된 서브-대역 듀플렉스 프레임 구조 설계 KR1019800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54582P 2015-04-29 2015-04-29
US62/154,582 2015-04-29
US15/085,602 2016-03-30
US15/085,602 US9974093B2 (en) 2015-04-29 2016-03-30 Slotted sub-band duplex frame structure design in a wideband time-division duplex system
PCT/US2016/025377 WO2016175978A1 (en) 2015-04-29 2016-03-31 Slotted sub-band duplex frame structure design in a wideband time-division duplex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1686A true KR20170141686A (ko) 2017-12-26
KR101980034B1 KR101980034B1 (ko) 2019-05-17

Family

ID=55754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0656A KR101980034B1 (ko) 2015-04-29 2016-03-31 광대역 시간-분할 듀플렉스 시스템에서의 슬롯화된 서브-대역 듀플렉스 프레임 구조 설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974093B2 (ko)
EP (1) EP3289737B1 (ko)
JP (1) JP6501910B2 (ko)
KR (1) KR101980034B1 (ko)
CN (1) CN107580799B (ko)
BR (1) BR112017023065A2 (ko)
TW (1) TWI645702B (ko)
WO (1) WO20161759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36519B2 (en) 2015-03-15 2018-04-03 Qualcomm Incorporated Self-contained time division duplex (TDD) subframe structure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10075970B2 (en) 2015-03-15 2018-09-11 Qualcomm Incorporated Mission critical data support in self-contained time division duplex (TDD) subframe structure
US10342012B2 (en) 2015-03-15 2019-07-02 Qualcomm Incorporated Self-contained time division duplex (TDD) subframe structure
US9814058B2 (en) 2015-05-15 2017-11-07 Qualcomm Incorporated Scaled symbols for a self-contained time division duplex (TDD) subframe structure
US9992790B2 (en) 2015-07-20 2018-06-05 Qualcomm Incorporated Time division duplex (TDD) subframe structure supporting single and multiple interlace modes
US10912090B2 (en) * 2016-04-10 2021-02-0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uplink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948407B2 (en) * 2016-05-27 2018-04-17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forming calibration in point to multipoint communication systems
US10375718B2 (en) * 2016-08-11 2019-08-06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resource management for robust communication in new radio
US10396962B2 (en) * 2016-12-15 2019-08-2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self-contained subslot bundling
US11025691B1 (en) 2017-11-22 2021-06-01 Amazon Technologies, Inc. Consuming fragments of time-associated data streams
US10878028B1 (en) * 2017-11-22 2020-12-29 Amazon Technologies, Inc. Replicating and indexing fragments of time-associated data streams
US10944804B1 (en) 2017-11-22 2021-03-09 Amazon Technologies, Inc. Fragmentation of time-associated data streams
US10764347B1 (en) 2017-11-22 2020-09-01 Amazon Technologies, Inc. Framework for time-associated data stream storage, processing, and replication
US11411779B2 (en) 2020-03-31 2022-08-09 XCOM Labs, Inc. Reference signal channel estimation
CA3195885A1 (en) 2020-10-19 2022-04-28 XCOM Labs, Inc. Reference signal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WO2022093988A1 (en) 2020-10-30 2022-05-05 XCOM Labs, Inc. Clustering and/or rate selection in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communication system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29934A (ja) * 2004-03-16 2007-10-25 ノキア コーポレイション 二重通信のための方法、装置、およびシステム
US20090073934A1 (en) * 2007-09-19 2009-03-19 Motorola, Inc. Dynamic compensation for resource stealing in communication systems
WO2013192601A2 (en) * 2012-06-22 2013-12-27 Qualcomm Incorporated Data transmission in carrier aggregation with different carrier configuration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72615B (zh) * 2007-03-22 2012-09-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资源分配信令中的资源位置域传输方法及装置
KR20080092222A (ko) * 2007-04-11 2008-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Tdd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WO2010013961A2 (en) * 2008-07-30 2010-02-0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of monitoring pdcch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969923B2 (en) * 2008-11-14 2011-06-28 Dbsd Satellite Services G.P. Asymmetric TDD in flexible use spectrum
CN101640922A (zh) * 2009-01-24 2010-02-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随机接入过程中下行分量载波的标识方法及一种基站
JP2011014982A (ja) * 2009-06-30 2011-01-20 Fujitsu Ltd 無線受信装置
US9119110B2 (en) * 2010-09-22 2015-08-25 Qualcomm, Incorporated Request to send (RTS) and clear to send (CTS) for multichannel operations
US20120263117A1 (en) * 2011-04-13 2012-10-18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Apparatus to Adjust the Control Region of a Subframe for Reducing Interference Between Channe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WO2013006593A1 (en) 2011-07-04 2013-01-10 Dinan Esmael Hejazi Broadcast channel in multicarrier systems
KR101513049B1 (ko) * 2011-07-26 2015-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의 전송 방법 및 장치
CN103944668B (zh) * 2013-01-18 2019-05-10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处理灵活子帧的上下行传输的方法和设备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29934A (ja) * 2004-03-16 2007-10-25 ノキア コーポレイション 二重通信のための方法、装置、およびシステム
US20090073934A1 (en) * 2007-09-19 2009-03-19 Motorola, Inc. Dynamic compensation for resource stealing in communication systems
WO2013192601A2 (en) * 2012-06-22 2013-12-27 Qualcomm Incorporated Data transmission in carrier aggregation with different carrier configur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7023065A2 (pt) 2018-07-03
US9974093B2 (en) 2018-05-15
CN107580799A (zh) 2018-01-12
EP3289737A1 (en) 2018-03-07
CN107580799B (zh) 2021-04-16
TW201640857A (zh) 2016-11-16
KR101980034B1 (ko) 2019-05-17
TWI645702B (zh) 2018-12-21
EP3289737B1 (en) 2019-02-13
WO2016175978A1 (en) 2016-11-03
US20160323909A1 (en) 2016-11-03
JP6501910B2 (ja) 2019-04-17
JP2018523327A (ja) 2018-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0034B1 (ko) 광대역 시간-분할 듀플렉스 시스템에서의 슬롯화된 서브-대역 듀플렉스 프레임 구조 설계
US11997656B2 (en) Self-contained time division duplex (TDD) subframe structure
AU2021212126B2 (en) Time division duplex (tdd) subframe structure supporting single and multiple interlace modes
US11212067B2 (en) Configurable bi-directional time division duplex (TDD) subframe structure
KR102359147B1 (ko) 자급식 시분할 듀플렉스 (tdd) 서브프레임 구조를 위한 스케일링된 심볼들
CN112075036A (zh) 用于波束细化过程的动态波束切换时延
CN111357249B (zh) 用于pi/2二进制相移键控(bpsk)调制的参考信号
JP2020530679A (ja) キャリアアグリゲーションにおけるsrsアンテナ切替え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AU2017338040A1 (en) Control of aperiodic signalling of SRS for wireless systems
CN114946247A (zh) 用于能力降低的用户设备的下行链路跳频通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