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1541A - 스위치를 포함하는 비콘 장치와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스위치를 포함하는 비콘 장치와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1541A
KR20170141541A KR1020160074738A KR20160074738A KR20170141541A KR 20170141541 A KR20170141541 A KR 20170141541A KR 1020160074738 A KR1020160074738 A KR 1020160074738A KR 20160074738 A KR20160074738 A KR 20160074738A KR 20170141541 A KR20170141541 A KR 20170141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con device
state
ble
based beacon
count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4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진
전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벤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벤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벤플
Priority to KR1020160074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41541A/ko
Priority to CN201780037104.1A priority patent/CN109417688B/zh
Priority to US16/310,082 priority patent/US10820268B2/en
Priority to PCT/KR2017/006042 priority patent/WO2017217704A1/ko
Publication of KR20170141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15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04W4/003
    • H04W4/0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04W40/24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using a network of reference devices, e.g. beac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Y02B60/5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BLE(Bluetooth Low Energy)-기반 비콘 장치는 무선 송신기와,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의 ID를 저장하는 메모리 장치와,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눌림을 감지하고, 감지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의 상태를 아이들 상태로부터 웨이크업 상태로 변경하고, 상기 일정 시간이 지났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일정 시간이 지났으면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의 상태를 상기 웨이크업 상태로부터 상기 아이들 상태로 변경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웨이크업 상태인 동안에만 상기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상기 ID를 상기 무선 송신기로 전송한다.

Description

스위치를 포함하는 비콘 장치와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BEACON DEVICE INCLUDING SWITCH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비콘 장치(beacon device)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너지를 절감하기 위해 사용자의 행동에 기초하여 비콘 신호를 일정시간 동안에만 출력할 수 있는 비콘 장치와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비자가 애플리케이션을 스마트 기기(예컨대, 스마트폰, 태블릿 PC, 또는 웨어러블 기기)에 설치하면, 비콘은 반경 50m 내지 70m 범위 안에 존재하는 상기 스마트 장치의 위치를 찾아 메시지 전송 또는 모바일 결제 등을 가능하게 해주는 BLE(Bluetooth Low Energy)를 활용한 근거리 통신 기술을 말한다.
비콘의 비콘 신호 송신기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은 BLE의 표준 규격을 준수하기 때문에 BLE 4.0을 지원하는 스마트 기기라면 상기 비콘으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비콘으로부터 출력된 비콘 신호의 도달 거리가 대략 50m이기 때문에 상기 비콘의 비콘 송신기의 신호 영역 안에 존재하는 모든 스마트 기기로 메시지 또는 쿠폰 등이 자동으로 전송되므로, 상기 메시지 또는 상기 쿠폰 등을 수신할 필요가 없는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로도 상기 메시지 또는 상기 쿠폰 등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를 사용하는 비콘은 항상 비콘 신호를 전송하므로 상기 비콘의 전력 소모가 증가하므로, 상기 배터리의 수명이 짧아진다.
등록특허공보 10-1557882(2015년 10월 07일 공고)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비콘 신호의 전송을 트리거할 수 있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비콘 신호의 수신을 원하는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를 누르면 웨이크업 상태로 동작하는 일정시간 동안에만 상기 비콘 신호를 전송하고, 자동으로 계산된 상기 일정 시간이 지나면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해 상기 웨이크업 상태로부터 아이들 상태(또는 저전력 상태)로 자동으로 진입하는 비콘 장치와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BLE(Bluetooth Low Energy)-기반 비콘 장치는 무선 송신기와,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의 ID를 저장하는 메모리 장치와,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눌림에 따라 발생한 웨이크업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의 상태를 아이들 상태로부터 웨이크업 상태로 변경하고,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의 상태가 상기 웨이크업 상태인 동안에만 상기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상기 ID를 상기 무선 송신기로 전송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시간을 카운트하여 카운트 값을 생성하고, 상기 카운트 값이 기준 카운트 값이 될 때까지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의 상태를 상기 웨이크업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카운트 값이 상기 기준 카운트 값보다 클 때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의 상태를 상기 웨이크업 상태로부터 상기 아이들 상태로 변경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BLE(Bluetooth Low Energy)-기반 비콘 장치는 무선 송신기와,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의 ID를 저장하는 메모리 장치와,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눌림을 감지하고, 감지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의 상태를 아이들 상태로부터 웨이크업 상태로 변경하고, 상기 일정 시간이 지났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일정 시간이 지났으면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의 상태를 상기 웨이크업 상태로부터 상기 아이들 상태로 변경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웨이크업 상태인 동안에만 상기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상기 ID를 상기 무선 송신기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BLE-기반 비콘 장치를 이용한 비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모바일 장치의 사용자가 아이들 상태의 BLE-기반 비콘 장치의 스위치를 누르면,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가 상기 스위치의 눌림에 따라 발생한 웨이크업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의 상태를 상기 아이들 상태로부터 웨이크업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의 상태가 상기 웨이크업 상태인 동안에만,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가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의 ID를 상기 모바일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를 이용한 비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시간을 카운트하고 카운트 값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카운트 값이 기준 카운트 값이 될 때까지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의 상태를 상기 웨이크업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카운트 값이 상기 기준 카운트 값보다 클 때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의 상태를 상기 웨이크업 상태로부터 상기 아이들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BLE-기반 비콘 장치를 이용한 비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모바일 장치의 사용자가 아이들 상태의 BLE-기반 비콘 장치의 스위치를 누르면,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가 상기 스위치의 눌림을 감지하고, 감지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의 상태를 아이들 상태로부터 웨이크업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가 상기 웨이크업 상태인 동안에만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의 ID를 상기 모바일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가 상기 일정 시간이 지났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일정 시간이 지났으면,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가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의 상태를 상기 웨이크업 상태로부터 상기 아이들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를 이용한 비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의 상태가 상기 웨이크업 상태로부터 상기 아이들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가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의 ID를 상기 모바일 장치로 전송하는 무선 송신기로 공급되는 파워를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신호의 전송을 트리거할 수 있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비콘 장치는, 상기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모바일 장치의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를 누르면, 상기 비콘 장치의 동작 상태를 아이들 상태로부터 웨이크업 상태로 변환하고, 상기 웨이크업 상태로 동작하는 일정시간 동안에만 상기 비콘 신호를 전송하고, 자동으로 계산되는 상기 일정 시간이 지나면 상기 비콘 장치의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해 상기 웨이크업 상태로부터 상기 아이들 상태로 자동으로 복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사용자는 자신이 원할 때에만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상기 비콘 장치는 스위치가 눌려진 후 일정 시간 동안에만 상기 비콘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상기 비콘 장치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으므로, 상기 비콘 장치의 배터리를 오래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상세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비콘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비콘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비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 차이트이다.
도 4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비콘 장치를 이용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비콘 장치를 이용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비콘 장치를 이용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비콘 장치를 이용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비콘 장치(100A 또는 100B, 집합적으로는 "100")는 비콘 신호(예컨대, 비콘 ID(identification; BID))의 전송을 트리거(trigger)할 수 있는 스위치 (110) 및/또는 NFC 태그(115)를 포함하고, 웨이크업 신호(WKU1 또는 WKU2)에 기초하여 비콘 장치(100A, 100B, 또는 100)의 동작 상태를 아이들 상태(또는 저전력 상태)로부터 웨이크업 상태(또는 정상 동작 상태)로 변경하고, 비콘 장치(100A, 100B, 또는 100)가 웨이크업된 시점부터 일정 시간을 카운트한 후 상기 일정 시간이 지나면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비콘 장치(100A, 100B, 또는 100)의 동작 상태를 상기 웨이크업 상태로부터 상기 아이들 상태로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는 제어 회로(120A 또는 120B)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비콘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비콘 장치(100A), 예컨대, BLE(Bluetooth Low Energy)-기반 비콘 장치(100A)는 스위치(110), NFC 태그(115), 제어 회로(120A), 메모리 장치(140), 무선 송신기 (150), 및 배터리(160)를 포함할 수 있다. 비록, 도 1에서는 스위치(110)와 NFC 태그(115) 모두를 포함하는 비콘 장치(100A)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 예들에 따라 비콘 장치(100A)는 스위치(110) 또는 NFC 태그(115)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110)가 사용자에 의해 눌려짐(또는 터치(touch)됨)에 따라, 스위치 (110)는 제1웨이크업 신호(WKU1)를 생성할 수 있다. 스위치(110)는 푸시 버튼 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NFC 태그(115)는,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에 구현된 NFC 리더로부터 출력된 NFC 신호에 기초하여, 제2웨이크업 신호(WKU2)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장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웨어러블 컴퓨터, 사물 인터넷 장치(Internet of Things(IoT)) 장치, 또는 IoE(Internet of Everything)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 회로(120A)는, 스위치(110)의 눌림(또는 터치)에 따라 발생한 제1웨이크업 신호(WKU1) 또는 NFC 태그(115)에 의해 생성된 제2웨이크업 신호(WKU2)에 기초하여, 비콘 장치(100A)의 상태를 아이들 상태로부터 웨이크업 상태로 변경하고, 비콘 장치(100A)의 상태가 상기 웨이크업 상태인 동안에만 메모리 장치(140)에 저장된 비콘 장치(10A)의 ID(BID)를 주기적으로 또는 여러 번 무선 송신기(15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 회로(120A)는 제1웨이크업 신호(WKU1) 또는 제2웨이크업 신호(WKU2)에 기초하여 웨이크업 상태에 해당하는 동작시간을 카운트하여 카운트 값(CNT)을 생성하고, 카운트 값(CNT)이 기준 카운트 값(RCNT)에 도달할 때까지 비콘 장치(100A)의 상태를 상기 웨이크업 상태로 유지하고, 카운트 값(CNT)이 기준 카운트 값(RCNT)보다 클 때 비콘 장치(100A)의 상태를 상기 웨이크업 상태로부터 상기 아이들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상태는 동작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제어 회로(100A)는 클락 신호 생성기(124), 카운터(126), 비교기(128), 및 컨트롤러(122)를 포함한다. 실시 예들에 따라, 클락 신호 생성기(124), 카운터 (126), 및 비교기(128)는 타이머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타이머는 제1웨이크업 신호(WKU1) 또는 제2웨이크업 신호(WKU2)에 기초하여 웨이크업 상태가 유지되는 시간을 카운트하고, 동작시간이 지나면 비콘 장치(100A)의 상태를 웨이크업 상태로부터 아이들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컨트롤러(122)로 출력할 수 있다.
클락 신호 생성기(124)는, 제1웨이크업 신호(WKU1) 또는 제2웨이크업 신호 (WKU2)에 기초하여, 클락 신호(CLK)를 생성한다. 카운터(126)는 클락 신호(CLK)에 응답하여(또는 기초하여) 카운트 값(CNT)을 생성한다. 비교기(128)는 카운트 값 (CNT)과 기준 카운트 값(RCNT)을 비교하고 비교 신호(COMP)를 생성한다.
컨트롤러(122)의 상태는, 제1웨이크업 신호(WKU1) 또는 제2웨이크업 신호 (WKU2)에 기초하여, 아이들 상태로부터 웨이크업 상태로 변경된다. 컨트롤러(122)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컨트롤러(122)는, 카운트 값(CNT)이 기준 카운트 값(RCNT)과 같거나 작을 때 생성된 제1레벨(예컨대, 로우 레벨)을 갖는 비교 신호(COMP)에 기초하여, 비콘 장치(100A)의 상태를 상기 웨이크업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컨트롤러(122)는, 카운트 값(CNT)이 기준 카운트 값(RCNT)보다 클 때 생성된 제2레벨(예컨대, 하이 레벨)을 갖는 비교 신호(COMP)에 기초하여, 비콘 장치(100A)의 상태를 상기 웨이크업 상태로부터 상기 아이들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제어 회로(120A)는, 비콘 장치(100A)의 상태가 웨이크업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에만, 배터리(160)의 출력 전압(PW)이 무선 송신기(150)로 공급되도록 무선 송신기(150)와 배터리(160)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CTRL)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컨트롤러(122)는, 제1웨이크업 신호(WKU1) 또는 제2웨이크업 신호 (WKU2)에 기초하여, 제1레벨을 갖는 제어 신호(CTRL)를 생성할 수 있다. 무선 송신기(150)와 배터리(160)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제1레벨을 갖는 제어 신호(CTRL)에 응답하여 배터리(160)의 출력 전압(PW)을 무선 송신기(150)로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60)의 출력 전압(PW)이 무선 송신기(150)로 공급되는 도중에, 제1레벨(예컨대, 로우 레벨)을 갖는 비교 신호(COMP)가 입력되면, 컨트롤러(122)는 제1레벨을 갖는 제어 신호(CTRL)를 생성(또는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배터리(160)의 출력 전압(PW)이 무선 송신기(150)로 공급되는 도중에, 제2레벨(예컨대, 하이 레벨)을 갖는 비교 신호(COMP)가 입력되면, 컨트롤러 (122)는 제2레벨을 갖는 제어 신호(CTRL)를 생성할 수 있다. 무선 송신기(150)와 배터리(160)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제2레벨을 갖는 제어 신호(CTRL)에 응답하여 배터리(160)의 출력 전압(PW)이 무선 송신기(150)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송신기(150)는 제1레벨을 갖는 제어 신호(CTRL)에 응답하여 인에이블되고 제2레벨을 갖는 제어 신호(CTRL)에 응답하여 디스에이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에이블된 무선 송신기(150)에서 소모되는 전력은 차단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배터리(160)의 출력 전압(PW)이 무선 송신기(150)로 공급되는 도중에 제2레벨(예컨대, 하이 레벨)을 갖는 비교 신호(COMP)가 입력되면, 컨트롤러(122)는 클락 신호 생성기(124), 카운터(126), 비교기(128), 및 메모리 장치 (140)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공급되는 동작 전압(또는 전력)을 차단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비콘 장치(100A)의 상태가 아이들 상태일 때, 스위치(110) 또는 컨트롤러 (122) 중에서 제1웨이크업 신호(WKU1) 또는 제2웨이크업 신호(WKU2)의 수신을 감시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들(124, 126, 128, 140, 및 150)로 공급되는 동작 전압들은 차단될 수 있으므로, 비콘 장치(100A)의 전력 소모는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비콘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비콘 장치(100B), 예컨대, BLE-기반 비콘 장치(100B)는 스위치(110), NFC 태그 (115), 제어 회로(120B), 메모리 장치(140), 무선 송신기(150), 및 배터리(160)를 포함할 수 있다. 비록, 도 2에서는 스위치(110)와 NFC 태그(115) 모두를 포함하는 비콘 장치(100B)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 예들에 따라 비콘 장치 (100B)는 스위치(110) 또는 NFC 태그(1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회로(120B)는, 제1웨이크업 신호(WKU1) 또는 제2웨이크업 신호(WKU2)에 기초하여, 웨이크업 상태에 해당하는 동작시간을 카운트하여 카운트 값(CNT)을 생성하고, 카운트 값(CNT)이 기준 카운트 값(RCNT)이 될 때까지 비콘 장치(100B)의 상태를 상기 웨이크업 상태로 유지하고, 카운트 값(CNT)이 기준 카운트 값(RCNT)보다 클 때 비콘 장치(100B)의 상태를 상기 웨이크업 상태로부터 상기 아이들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제어 회로(100B)는 클락 신호 생성기(125), 스위치(127), 카운터(126), 비교기(128), 및 컨트롤러(122)를 포함한다. 클락 신호 생성기(125), 스위치(127), 카운터(126), 및 비교기(128)는 타이머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타이머의 기능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타이머의 기능과 동일할 수 있다.
클락 신호 생성기(125)는 클락 신호(CLK)를 생성하고 생성된 클락 신호(CLK)를 스위치(127)로 공급한다. 스위치(127)는, 제1웨이크업 신호(WKU1) 또는 제2웨이크업 신호(WKU2)에 기초하여, 클락 신호 생성기(125)로부터 출력된 클락 신호(CLK)가 카운터(126)로 전송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카운터(126)는 클락 신호(CLK)에 응답하여(또는 기초하여) 카운트 값(CNT)을 생성한다. 비교기(128)는 카운트 값(CNT)과 기준 카운트 값(RCNT)을 비교하고, 비교 신호(COMP)를 생성한다.
컨트롤러(122)의 상태는, 제1웨이크업 신호(WKU1) 또는 제2웨이크업 신호(WKU2)에 기초하여, 아이들 상태로부터 웨이크업 상태로 변경된다.
컨트롤러(122)는, 카운트 값(CNT)이 기준 카운트 값(RCNT)과 같거나 작을 때 생성된 제1레벨(예컨대, 로우 레벨)을 갖는 비교 신호(COMP)에 기초하여, 비콘 장치(100B)의 상태를 상기 웨이크업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컨트롤러(122)는, 카운트 값(CNT)이 기준 카운트 값(RCNT)보다 클 때 생성된 제2레벨(예컨대, 하이 레벨)을 갖는 비교 신호(COMP)에 기초하여, 비콘 장치(100B)의 상태를 상기 웨이크업 상태로부터 상기 아이들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제어 회로(120B)는, 비콘 장치(100B)의 상태가 웨이크업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에만, 배터리(160)의 출력 전압(PW)이 무선 송신기(150)로 공급되도록 무선 송신기(150)와 배터리(160)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CTRL)를 생성할 수 있다.
도 3은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비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비콘 장치(100A 또는 100B)의 동작은 도 1부터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전력 소모를 줄이고 사용자가 원할 때만 비콘 신호(예컨대, ID)를 모바일 장치로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여러 번 전송하기 위해, 비콘 장치(100A 또는 100B)의 동작 상태는 아이들 상태라고 가정한다(S110).
비콘 장치(100A 또는 100B)가 아이들 상태일 때,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이벤트가 발생한다(S120). 사용자 이벤트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예컨대, 손가락 또는 발)로 스위치(110)를 누르거나 터치하는 행동 또는 NFC 태그(115)를 NFC 리더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로 스캔(또는 비접촉 터치)하는 행동을 의미한다.
스위치(110) 또는 NFC 태그(115)에 대한 사용자 이벤트가 발생하면(S120), 스위치(110)는 제1웨이크업 신호(WKU1)를 발생하고 NFC 태그(115)는 제2웨이크업 신호(WKU2)를 발생한다(S130).
웨이크업 상태의 비콘 장치(100A 또는 100B)의 제어 회로(120A 또는 120B)의 카운터(126)는 도 1 또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클락 신호(CLK)를 이용하여 카운트 동작을 시작하고 카운트 값(CNT)을 생성한다(S140). 타이머는 제1웨이크업 신호(WKU1) 또는 제2웨이크업 신호(WKU2)에 기초하여 동작 시간 또는 웨이크업 시간을 카운트하는 동작을 시작한다.
제어 회로(120A 또는 120B)는 메모리 장치(140)에 저장된 비콘 장치(100A 또는 100B)의 ID(BID)를 리드하고, 리드된 ID(BID)를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여러번 무선 송신기(150)로 전송한다. 따라서 무선 송신기(150)는 ID(BID)를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전송한다(S150).
제어 회로(120A 또는 120B)의 비교기(128)는 카운트 값(CNT)과 기준 카운트 값(RCNT)을 비교한다(S160).
카운트 값(CNT)이 기준 카운트 값(RCNT)보다 클 때(S160의 YES), 비교기 (128)는 제2레벨을 갖는 비교 신호(COMP)를 컨트롤러(122)로 전송한다. 컨트롤러 (122)는 비콘 장치(100A 또는 100B)의 상태를 웨이크업 상태로부터 아이들 상태로 변경한다. 아이들 상태로 동작하는 비콘 장치(100A 또는 100B)는 새로운 사용자 이벤트가 발생할 때까지 상기 아이들 상태를 유지한다. 아이들 상태의 비콘 장치 (100A 또는 100B)는 비콘 장치(100A 또는 100B)의 ID(BID)를 전송하지 못하므로, 항상 ID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종래의 비콘 장치에 비해 비콘 장치(100A 또는 100B)의 전력 소모는 감소한다.
카운트 값(CNT)이 기준 카운트 값(RCNT)보다 크지 않을 때(S160의 NO), 비교기(128)는 제1레벨을 갖는 비교 신호(COMP)를 컨트롤러(122)로 전송한다. 이때 컨트롤러(122)는 비콘 장치(100A 또는 100B)의 상태를 웨이크업 상태로 그대로 유지하므로, 비콘 장치(100A 또는 100B)는 ID(BID)를 무선 송신기(150)를 통해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여러 번 전송한다(S150). 예컨대, 기준 카운트 값(RCNT)은 몇 초에 해당하는 카운트 값일 수 있고, 비콘 장치(100A 또는 100B)의 사용자는 컨트롤러(122)를 이용하여 기준 카운트 값(RCNT)을 메모리 장치(140)에 프로그램할 수 있다.
도 4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비콘 장치를 이용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디지털 방명록을 작성하는 과정은 도 1부터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상기 디지털 방명록은 종이형태의 방명록에 사용자의 이름, 전화번호, 주소, 및 e-메일을 직접 기재하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개인 정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비콘 장치(100)의 상태가 아이들 상태일 때(S210), 비콘 장치(100)에 대해 사용자 이벤트(UE)가 발생하면(S215), 즉, 웨이크업 신호(WKU1 또는 WKU2)가 발생하면(S215), 비콘 장치(100)는 웨이크업 된다(S220). 웨이크업 된 비콘 장치(100)는 ID(BID)를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여러 번 모바일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S225). 모바일 장치(200)에는 비콘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앱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고, 모바일 장치(200)의 블루투스 수신기가 켜져 있다고 가정한다.
모바일 장치(200)에 설치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비콘 장치(100)의 ID(BID)를 수신하면(또는 수신하자마자),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모바일 장치(200)의 사용자의 컨택 포인트들(CPS)과 비콘 장치(100)의 ID(BID)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관리 서버(300)로 자동으로 전송할 수 있다(S230).
컨택 포인트들(CPS)은 상기 사용자의 이름, 상기 사용자의 SNS 계정, 모바일 장치(200)의 고유번호(예컨대, 전화번호), 및 상기 사용자의 e-메일 주소 중에서 적어도 두 개를 포함할 수 있고 메모리 장치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 장치(140)는 휘발성 메모리 장치와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통칭한다. 컨택 포인트들(CPS)은 사용자가 관리 서버(300)로 제공하고자 하는 컨택 포인트들을 의미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사용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컨택 포인트들(CPS)을 모바일 장치(200)의 메모리 장치에 저장해 놓을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비콘 장치(100)의 ID(BID)가 모바일 장치(200)로 수신되면(또는 수신하자마자),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컨택 포인트들(CPS)의 리스트를 모바일 장치(200)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예컨대, 팝-업 형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택 포인트들 (CPS)의 리스트 중에서 적어도 두 개를 선택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선택된 컨택 포인트들과 ID(BID)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S230).
실시 예들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명록에 남길글, 예컨대 텍스트(TEXT)를 작성할 수 있다(S235).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컨택 포인트들(CPS), 비콘 장치(100)의 ID(BID), 및 텍스트(TEXT)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S240).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의 컨택 포인트들(CPS)과 비콘 장치(100)의 ID(BID)를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할 수 있다(S245).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관리 서버 (300)는 사용자의 컨택 포인트들(CPS), 비콘 장치(100)의 ID(BID), 및 텍스트 (TEXT)를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할 수 있다(S245).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되는 디지털 방명록의 테이블은 복수의 필드들 (301, 303, 305, 307, 309, 311, 313, 및 31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필드(301)는 비콘 장치(100)의 ID(BID)를 저장할 수 있고, 제2필드(303)는 비콘 장치(100)가 설치된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LI)를 저장할 수 있고, 제3필드(305)는 사용자의 이름이 저장될 수 있고, 제4필드(307)에는 상기 사용자의 전화번호가 저장될 수 있고, 제5필드(309)에는 상기 사용자의 SNS 계정이 저장될 수 있고, 제6필드(311)에는 e-메일 주소가 저장될 수 있고, 제7필드(313)에는 텍스트(TEXT)가 저장될 수 있고, 제8필드(315)에는 컨택 포인트들(CPS)을 수신한 시간에 대한 타임스탬프가 저장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디지털 방명록의 테이블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에 불과하다.
비콘 장치(100)의 제어 회로(120A 또는 120B)는 설정된 일정 시간(예컨대, 웨이크업 시간)이 경과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S250). 상술한 바와 같이, 일정 시간이 지났는지는 카운터 (126), 비교기(128), 및 컨트롤러(122)에 의해 판단 또는 결정될 수 있다(S250).
일정 시간이 지나지 않았으면 비콘 장치(100)는 웨이크업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일정 시간이 지났으면 비콘 장치(100)는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웨이크업 상태로부터 아이들 상태로 변환된다(S255).
도 5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비콘 장치를 이용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모바일 장치(200)의 사용자가 상거래 공간(예컨대, 식당, 카페, 극장, 또는 비용을 지불하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장소)에서 비콘 장치(10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은 도 1부터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비콘 장치(100)의 상태가 아이들 상태일 때(S310), 비콘 장치(100)에 대해 사용자 이벤트(UE)가 발생하면(S315), 즉, 웨이크업 신호(WKU1 또는 WKU2)가 발생하면, 비콘 장치(100)는 웨이크업된다(S320). 웨이크업 된 비콘 장치(100)는 ID (BID)를 주기적으로 또는 여러 번 모바일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S325). 상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장치(200)에는 비콘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앱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고 블루투스가 켜져 있다고 가정한다. 모바일 장치(200)는 비콘 장치(100)와 페어링되지 않은 모바일 장치이다.
비콘 장치(100)의 제어 회로(120A 또는 120B)는 설정된 일정 시간이 경과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S327). 상술한 바와 같이, 일정 시간이 지났는지는 카운터 (126), 비교기(128), 및 컨트롤러(122)에 의해 판단 또는 결정될 수 있다(S327).
일정 시간이 지나지 않았으면 비콘 장치(100)는 웨이크업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일정 시간이 지났으면 비콘 장치(100)는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웨이크업 상태로부터 아이들 상태로 변환된다(S329).
모바일 장치(200)에 설치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비콘 장치(100)의 ID(BID)를 수신하면(또는 수신하자마자),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비콘 장치(100)의 ID(BID)와 모바일 장치(200)의 고유번호(UID)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S330).
관리 서버(300)는 비콘 장치(100)의 ID(BID)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400)로부터 가맹점 정보와 메뉴 정보를 서치하고(S335), 상기 가맹점 정보와 상기 메뉴 정보를 고유번호(UID)에 해당하는 모바일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S340).
데이터베이스(400)는 복수의 필드들(321, 323, 325, 327, 329, 및 33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필드(321)에는 비콘 장치(100)의 ID(BID)가 저장되고, 제2필드 (323)에는 비콘 장치(100)가 설치된 가맹점에 대한 가맹점 정보(예컨대, 상호, 주소, 사업자 등록 번호, 등)가 저장되고, 제3필드(325)에는 상기 가맹점에서 제공하는 메뉴들(예컨대, 물품들 또는 서비스들) 각각의 명칭과 가격이 저장되고, 제4필드(327)에는 모바일 장치(200)의 고유번호가 저장되고, 제5필드(329)에는 모바일 장치(200)의 사용자가 선택한 선택 메뉴(들)가 저장되거, 제6필드(331)에는 선택 메뉴(들)의 총 비용(예컨대, 결제를 위한 결제 비용)이 저장된다.
모바일 장치(200)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가맹점 정보와 상기 메뉴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면, 상기 사용자는 상기 메뉴 정보에 포함된 메뉴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S345).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비콘 장치(100)의 ID(BID), 모바일 장치(200)의 고유번호(UID), 및 선택된 메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S350).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선택된 메뉴만을 무선 통신망을 통해 관리 서버 (300)로 전송할 수 있다(S350).
관리 서버(300)는 비콘 장치(100)의 ID(BID)에 매칭되고 비콘 장치(100)가 설치된 가맹점에 설치된 가맹점 단말기(500)로 선택된 메뉴와 상기 선택된 메뉴의 가격 정보를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S355).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뉴의 결제를 위한 결제 정보를 모바일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S360). 상기 결제 정보는 가맹점 정보와 선택된 메뉴의 비용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200)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결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면, 사용자는 상기 결제 정보를 확인하고, 결제 승인을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입력할 수 있다(S365).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결제 승인에 응답하여 결제 확인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결제 확인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S370). 예컨대, 상기 결제 확인 정보는 결제 수단 정보(예컨대, 신용 카드 번호, 체크 카드 번호, 상품권 번호, 앱 카드 번호, 모바일 결제를 위한 전화 번호 등), 결제 금액에 대한 정보, 및 가맹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결제 확인 정보를 수신하고, 결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S375).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비콘 장치(100)는 테이블에 부착될 수 있으므로, 비콘 장치(100)의 ID(BID)는 상기 테이블을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고유번호를 의미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200)의 사용자는 사용자 이벤트를 발생하고, 상기 사용자가 모바일 장치(200)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주문하고, 비콘 장치(100)의 스위치(110) 또는 NFC 태그(115)를 이용하여 추가적인 사용자 이벤트를 발생하지 않고도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결제를 할 수 있다.
도 6은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비콘 장치를 이용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모바일 장치(200)의 사용자가 비콘 장치(100)의 스위치(110) 또는 NFC 태그(115)를 이용하여 주문을 하지 않고 결제만을 위해 비콘 장치(100)의 스위치(110) 또는 NFC 태그(115)를 이용하는 경우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도 1부터 도 3,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비콘 장치(100)의 상태가 아이들 상태일 때(S410), 비콘 장치(100)에 대해 사용자 이벤트(UE)가 발생하면(S415), 즉, 웨이크업 신호(WKU1 또는 WKU2)가 발생하면, 비콘 장치(100)는 웨이크업된다(S420). 웨이크업 된 비콘 장치(100)는 ID (BID)를 주기적으로 또는 여러 번 모바일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S425). 상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장치(200)에는 비콘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앱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고 블루투스가 켜져 있다고 가정한다. 모바일 장치(200)는 비콘 장치(100)와 페어링되지 않은 모바일 장치이다.
비콘 장치(100)의 제어 회로(120A 또는 120B)는 설정된 일정 시간이 경과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S427). 상술한 바와 같이, 일정 시간이 지났는지는 카운터 (126), 비교기(128), 및 컨트롤러(122)에 의해 판단 또는 결정될 수 있다(S427).
일정 시간이 지나지 않았으면 비콘 장치(100)는 웨이크업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일정 시간이 지났으면 비콘 장치(100)는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웨이크업 상태로부터 아이들 상태로 변환된다(S429).
모바일 장치(200)에서 실행중인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비콘 장치(100)의 ID (BID)를 수신하면(또는 수신하자마자),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비콘 장치(100)의 ID (BID)와 모바일 장치(200)의 고유번호(UID)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S430).
관리 서버(300)는 비콘 장치(100)의 ID(BID)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400)로부터 가맹점 단말기(510)의 ID(POS_ID)를 서치하고, 서치된 ID(POS_ID)에 해당하는 가맹점 단말기(510), 예컨대 POS(point-of-sale) 단말기로 결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435). 가맹점 단말기(510)는 결제 정보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S440).
관리 서버(300)는 복수의 필드들(341, 342, 343, 및 344)을 포함하는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필드(341)에는 비콘 장치(100)의 ID(BID)가 저장되고, 제2필드(342)에는 비콘 장치(100)가 설치된 가맹점에 설치된 가맹점 단말기(510)의 ID (POS_ID)가 저장된다. 제3필드(343)에는 결제를 요청하는 모바일 단말기(200)의 고유 번호(UID)가 저장되고, 제4필드(344)에는 가맹점 단말기(510)로부터 전송된 결제 정보가 저장된다.
관리 서버(300)는 가맹점 단말기(510)로부터 전송된 결제 정보를 고유 번호(UID)에 해당하는 모바일 단말기(200)로 전송한다(S445). 모바일 단말기(200)로 전송되는 결제 정보는 가맹점의 상호, 주소, 사업자 등록번호, 결제 금액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200)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결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면, 사용자는 상기 결제 정보를 확인하고, 결제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입력할 수 있다(S450).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결제에 응답하여 결제 승인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결제 승인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S455). 예컨대, 상기 결제 승인 정보는 결제 수단 정보(예컨대, 신용 카드 번호, 체크 카드 번호, 상품권 번호, 앱 카드 번호, 모바일 결제를 위한 전화 번호 등), 결제 금액에 대한 정보, 및 가맹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결제 승인 정보를 수신하고, 결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서비스 제공 방법은 결제자(즉,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자)의 정보는 상거래 사업자(즉, 가맹점)에게 전달하는 방식이 아니라 상거래 사업자(즉, 가맹점)의 정보를 사용자(즉,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방식이다.
도 7은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비콘 장치를 이용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석 체크 방법은 도 1부터 도 3,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비콘 장치(100)의 상태가 아이들 상태일 때(S510), 비콘 장치(100)에 대해 사용자 이벤트(UE)가 발생하면(S515), 즉, 웨이크업 신호(WKU1 또는 WKU2)가 발생하면, 비콘 장치(100)는 웨이크업된다(S520). 웨이크업 된 비콘 장치(100)는 ID (BID)를 주기적으로 또는 여러 번 모바일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S525). 상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장치(200)에는 비콘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앱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고 블루투스가 켜져 있다고 가정한다. 모바일 장치(200)는 비콘 장치(100)와 페어링되지 않은 모바일 장치이다.
비콘 장치(100)의 제어 회로(120A 또는 120B)는 설정된 일정 시간이 경과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S527). 상술한 바와 같이, 일정 시간이 지났는지는 카운터 (126), 비교기(128), 및 컨트롤러(122)에 의해 판단 또는 결정될 수 있다(S527).
일정 시간이 지나지 않았으면 비콘 장치(100)는 웨이크업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일정 시간이 지났으면 비콘 장치(100)는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웨이크업 상태로부터 아이들 상태로 변환된다(S529).
모바일 장치(200)에서 실행중인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비콘 장치(100)의 ID (BID)를 수신하면(또는 수신하자마자),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비콘 장치(100)의 ID (BID)와 모바일 장치(200)의 고유번호(UID)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S530).
관리 서버(300)는 비콘 장치(100)의 ID (BID)와 모바일 장치(200)의 고유번호(UID)를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할 수 있다(S535). 데이터베이스(400)는 복수의 필드들(361, 362, 및 363)을 포함하는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제1필드(361)에는 강의실에 설치된 비콘 장치(100)의 ID(BID)가 저장될 수 있고, 제2필드(362)에는 수강자에 해당하는 모바일 장치(200)의 고유번호(UID)가 저장될 수 있고, 제3필드(363)에는 출석 체크를 위한 타임스탬프가 저장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비콘 장치(100)의 ID(BID)에 해당하는 강의실 정보, 모바일 장치(200)의 고유번호(UID)에 해당하는 수강자 이름, 및 출석 확인을 위한 타임스탬프를 보호자 모바일 장치(600)로 전송할 수 있다(S540).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A, 100B, 100: 비콘 장치
110: 스위치
115: NFC 태그
120A, 120: 제어 장치
122: 컨트롤러
124: 클락 신호 생성기
126: 카운터
128: 비교기
140: 메모리 장치
150: 무선 송신기
160: 배터리

Claims (15)

  1. BLE(Bluetooth Low Energy)-기반 비콘 장치에 있어서,
    무선 송신기;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의 ID를 저장하는 메모리 장치;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의 눌림에 따라 발생한 웨이크업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의 상태를 아이들 상태로부터 웨이크업 상태로 변경하고,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의 상태가 상기 웨이크업 상태인 동안에만 상기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상기 ID를 상기 무선 송신기로 전송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BLE-기반 비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시간을 카운트하여 카운트 값을 생성하고,
    상기 카운트 값이 기준 카운트 값이 될 때까지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의 상태를 상기 웨이크업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카운트 값이 상기 기준 카운트 값보다 클 때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의 상태를 상기 웨이크업 상태로부터 상기 아이들 상태로 변경하는 BLE-기반 비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의 상태가 상기 웨이크업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에만, 상기 배터리의 출력 전압이 상기 무선 송신기로 공급되도록 상기 무선 송신기와 상기 배터리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BLE-기반 비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기초하여 클락 신호를 생성하는 클락 신호 생성기;
    상기 클락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카운트 값을 생성하는 카운터;
    상기 카운트 값과 상기 기준 카운트 값을 비교하고, 비교 신호를 생성하는 비교기; 및
    상기 비교기의 상기 비교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의 상태를 상기 웨이크업 상태로 유지하거나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의 상태를 상기 웨이크업 상태로부터 상기 아이들 상태로 변경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BLE-기반 비콘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클락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카운트 값을 생성하는 카운터;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클락 신호를 상기 카운터로 공급하는 클락 신호 생성기;
    상기 카운트 값과 상기 기준 카운트 값을 비교하고, 비교 신호를 생성하는 비교기; 및
    상기 비교기의 상기 비교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의 상태를 상기 웨이크업 상태로 유지하거나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의 상태를 상기 웨이크업 상태로부터 상기 아이들 상태로 변경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BLE-기반 비콘 장치.
  6. BLE(Bluetooth Low Energy)-기반 비콘 장치에 있어서,
    무선 송신기;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의 ID를 저장하는 메모리 장치;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의 눌림을 감지하고, 감지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의 상태를 아이들 상태로부터 웨이크업 상태로 변경하고, 상기 일정 시간이 지났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일정 시간이 지났으면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의 상태를 상기 웨이크업 상태로부터 상기 아이들 상태로 변경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웨이크업 상태인 동안에만 상기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상기 ID를 상기 무선 송신기로 전송하는 BLE-기반 비콘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감지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일정시간을 카운트하여 카운트 값을 생성하고,
    상기 카운트 값이 기준 카운트 값이 될 때까지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의 상태를 상기 웨이크업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카운트 값이 상기 기준 카운트 값보다 클 때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의 상태를 상기 웨이크업 상태로부터 상기 아이들 상태로 변경하는 BLE-기반 비콘 장치.
  8. 모바일 장치의 사용자가 아이들 상태의 BLE-기반 비콘 장치의 스위치를 누르면,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가 상기 스위치의 눌림에 따라 발생한 웨이크업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의 상태를 상기 아이들 상태로부터 웨이크업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의 상태가 상기 웨이크업 상태인 동안에만,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가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의 ID를 상기 모바일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BLE-기반 비콘 장치를 이용한 비콘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시간을 카운트하고 카운트 값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카운트 값이 기준 카운트 값이 될 때까지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의 상태를 상기 웨이크업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카운트 값이 상기 기준 카운트 값보다 클 때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의 상태를 상기 웨이크업 상태로부터 상기 아이들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BLE-기반 비콘 장치를 이용한 비콘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장치에 설치된 비콘 서비스를 위한 앱이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의 ID를 수신하면, 상기 앱이 상기 사용자의 컨택 포인트들과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의 ID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의 ID와 상기 컨택 포인트들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BLE-기반 비콘 장치를 이용한 비콘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의 상태가 상기 웨이크업 상태로부터 상기 아이들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는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의 ID를 전송하는 무선 송신기로 공급되는 파워를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BLE-기반 비콘 장치를 이용한 비콘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 포인트들은 상기 사용자의 이름, 상기 사용자의 SNS 계정, 상기 모바일 장치의 전화번호, 및 상기 사용자의 e-메일 주소 중에서 적어도 두 개를 포함하는 BLE-기반 비콘 장치를 이용한 비콘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앱을 이용하여 상기 앱에 텍스트를 입력하면, 상기 앱이 상기 컨택 포인트들,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의 ID, 및 상기 텍스트를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컨택 포인트들,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의 ID, 및 상기 텍스트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BLE-기반 비콘 장치를 이용한 비콘 서비스 제공 방법.
  14. 모바일 장치의 사용자가 아이들 상태의 BLE-기반 비콘 장치의 스위치를 누르면,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가 상기 스위치의 눌림을 감지하고, 감지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의 상태를 아이들 상태로부터 웨이크업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가 상기 웨이크업 상태인 동안에만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의 ID를 상기 모바일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가 상기 일정 시간이 지났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일정 시간이 지났으면,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가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의 상태를 상기 웨이크업 상태로부터 상기 아이들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BLE-기반 비콘 장치를 이용한 비콘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의 상태가 상기 웨이크업 상태로부터 상기 아이들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가 상기 BLE-기반 비콘 장치의 ID를 상기 모바일 장치로 전송하는 무선 송신기로 공급되는 파워를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BLE-기반 비콘 장치를 이용한 비콘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60074738A 2016-06-15 2016-06-15 스위치를 포함하는 비콘 장치와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70141541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738A KR20170141541A (ko) 2016-06-15 2016-06-15 스위치를 포함하는 비콘 장치와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CN201780037104.1A CN109417688B (zh) 2016-06-15 2017-06-09 包括开关的信标装置及利用该信标装置的服务提供方法
US16/310,082 US10820268B2 (en) 2016-06-15 2017-06-09 Beacon device including switch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the same
PCT/KR2017/006042 WO2017217704A1 (ko) 2016-06-15 2017-06-09 스위치를 포함하는 비콘 장치와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738A KR20170141541A (ko) 2016-06-15 2016-06-15 스위치를 포함하는 비콘 장치와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984A Division KR101935351B1 (ko) 2018-03-22 2018-03-22 스위치를 포함하는 비콘 장치와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1541A true KR20170141541A (ko) 2017-12-26

Family

ID=60663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4738A KR20170141541A (ko) 2016-06-15 2016-06-15 스위치를 포함하는 비콘 장치와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820268B2 (ko)
KR (1) KR20170141541A (ko)
CN (1) CN109417688B (ko)
WO (1) WO201721770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09094A1 (ko) * 2018-04-27 2019-10-31 (주)금영제너럴 버튼형 비콘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호출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0316B1 (ko) * 2017-01-16 2024-01-03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웨이크-업 라디오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
CN110572869A (zh) * 2019-09-11 2019-12-13 武汉拓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ble和霍尔开关的设备唤醒方法及装置
CN114980283A (zh) * 2021-02-22 2022-08-3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状态的切换方法及装置、信标信号的发送及装置
CN113993113A (zh) * 2021-10-28 2022-01-28 深圳市创鸿新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蓝牙信标、蓝牙系统及非接触式激活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8820A (en) * 1993-10-01 1995-06-27 Motorola Adaptive radio receiver controller method and apparatus
JP4445677B2 (ja) * 2001-01-24 2010-04-07 Oki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
US7720438B2 (en) * 2005-03-30 2010-05-18 Nokia Corporation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reader associated with a mobile terminal
US7768415B2 (en) * 2006-09-28 2010-08-03 Nike, Inc. Sensor device with persistent low power beacon
US8638701B2 (en) * 2008-09-26 2014-01-28 Nxp, B.V. Methods and apparatus for power saving in personal area networks
WO2012052598A1 (en) * 2010-10-20 2012-04-26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machine gateway operation
KR20130063913A (ko) * 2011-12-07 2013-06-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유휴 모드 진입 및 제어 방법 그리고 그 장치
US20130214909A1 (en) * 2012-02-22 2013-08-22 Qualcomm Incorporated Airplane mode for wireless transmitter device and system using short-range wireless broadcasts
JP2014138339A (ja) * 2013-01-17 2014-07-28 Omron Automotive Electronics Co Ltd 送信機と受信機を含むシステム、受信機及び受信方法
US10223719B2 (en) * 2013-03-25 2019-03-05 Steven B. Schoeffler Identity authentication and verification
KR20150049842A (ko) * 2013-10-31 2015-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원 관리 방법 그리고 시스템
KR101551720B1 (ko) * 2014-01-13 2015-09-1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단말 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9740265B2 (en) * 2014-05-12 2017-08-22 Qualcomm Incorporated Electronic device for extending battery life in mobile applications
KR101606491B1 (ko) * 2014-05-22 2016-03-28 팁스밸리(주) 비엘이 비콘 기반의 실내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매장관리시스템
US9980082B2 (en) * 2014-08-26 2018-05-22 Kooltechs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locations and activities
DE102014222651B4 (de) * 2014-11-06 2022-09-29 Infineon Technologies Ag Schaltungschip zum Implementieren eines digitalen Sensorsystem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09094A1 (ko) * 2018-04-27 2019-10-31 (주)금영제너럴 버튼형 비콘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호출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217704A1 (ko) 2017-12-21
US20190253969A1 (en) 2019-08-15
CN109417688B (zh) 2022-03-04
CN109417688A (zh) 2019-03-01
US10820268B2 (en) 2020-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17688B (zh) 包括开关的信标装置及利用该信标装置的服务提供方法
US10817882B2 (en) Customer service manag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03891260A (zh) 用于传输广告控制信息的方法和装置
US10135494B2 (en) Connection and synchronization with a device in a non-active state based on near field communication
CN102667668A (zh) 用于计算装置的动态低功率模式实施方案
JP5347906B2 (ja) 情報生成装置、情報生成方法及び情報生成プログラム
JPWO2006059726A1 (ja) 携帯端末装置
CN108463829B (zh) 用于显示价格和/或产品信息的显示设备
KR101935351B1 (ko) 스위치를 포함하는 비콘 장치와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50058221A1 (en) Text-to-pay for redeemable codes
TWI595422B (zh) 電子標籤、其顯示更新系統及其運作方法
CN107016598B (zh) 一种虚拟物品的续费方法及装置
US20150149349A1 (en) Redeemable code to text
JP5333090B2 (ja) オーダー管理システム、端末、サーバ装置、及びオーダー管理プログラム
KR102031053B1 (ko) 스위치를 포함하는 비콘 장치와 이를 이용하여 제한된 시간동안 이용할 수 있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US11961090B2 (en) Payment support system, payment support method, an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JP2020004309A (ja) 決済システム、決済端末、処理方法、決済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入金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決済方法、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101748031B1 (ko) 금융기기, 그 전원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JP6206249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516268B1 (ko) 메시지를 이용한 포인트 적립 시스템 및 방법
KR101957394B1 (ko) Nfc 기능을 이용하여 비콘 설정값을 변경하는 비콘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WO201014283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 interaction
JP5733349B2 (ja) 表示端末、画面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2198407B1 (ko) 계량기의 재고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2399319B1 (ko) 단말과 서비스 제공 장치와 쿠폰 서버.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