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7394B1 - Nfc 기능을 이용하여 비콘 설정값을 변경하는 비콘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Nfc 기능을 이용하여 비콘 설정값을 변경하는 비콘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7394B1
KR101957394B1 KR1020170098633A KR20170098633A KR101957394B1 KR 101957394 B1 KR101957394 B1 KR 101957394B1 KR 1020170098633 A KR1020170098633 A KR 1020170098633A KR 20170098633 A KR20170098633 A KR 20170098633A KR 101957394 B1 KR101957394 B1 KR 101957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con
nfc
transmitter
memor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8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4760A (ko
Inventor
김경민
김현집
Original Assignee
(주) 헬로팩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헬로팩토리 filed Critical (주) 헬로팩토리
Priority to KR1020170098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7394B1/ko
Publication of KR20190014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4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7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7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04B5/00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비콘을 송수신하는 시스템은 비콘 송신기로부터 발생된 비콘을 수신하는 블루투스 모듈 및 상기 비콘 송신기 측 NFC 모듈과 통신하여 상기 비콘 송신기의 NFC메모리에 설정값 정보를 전달하는 NFC 라이터(Writer) 모드를 수행하는 비콘 수신기; 및 NFC 메모리를 장착하고, 상기 NFC 메모리에 저장된 설정값 정보를 블루투스 모듈 내 블루투스 메모리로 이동시켜 저장하는 NFC 모듈 및 블루투스 메모리를 장착하고, 상기 블루투스 메모리에 저장된 설정값에 기반하여 비콘을 생성하고 송신하는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는 비콘 송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NFC 기능을 이용하여 비콘 설정값을 변경하는 비콘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Beacon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stem and method for modifying beacon setting value using NFC}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비콘신호를 송신하는 기기에 대하여 송신되는 비콘 정보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비콘정보 변경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비콘신호를 송신하는 기기로부터 비콘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을 선행하지 않더라도 NFC(Near Field Communication)기능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비콘정보(예, 신호의 세기, 신호의 주기 등)를 수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비콘정보 변경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저전력 블루투스(BLE;Bluetooth Low Energy) 기반의 근거리 무선통신인 비콘(beacon)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비콘은 반경 50~70m의 범위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는 점과 낮은 배터리 소모량을 특징으로 한다.
비콘 신호를 이용한 정보제공 방식에는 기본적으로 비콘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와 비콘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가 요구된다. 비콘 수신기는 비콘 송신기가 주기적으로 보내는 신호를 감지해 수신한 비콘의 정보(예, UUID)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비콘 수신기는 수신된 비콘에 반응하여, 수신기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통해 특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같은 비콘신호를 이용한 정보제공방식은 박물관, 쇼핑몰, 식당 등 곳곳에서 광고, 안내, 결제, 호출 등을 위해 사용되고 있으며, 그 활용도가 점차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종래에는 비콘신호와 관련된 설정값을 비롯한 비콘정보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 비콘 수신기의 설정앱을 통해 검색된 비콘을 선택하고 GATT(Generic Attribute probfile)통신을 이용해 기기들이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했다. 기기들이 서로 연결되면 비콘 수신기는 비콘 송신기로부터 기존 설정값을 불러온 다음 변경하고자 하는 값을 수정한 후 이를 다시 송신기 측으로 전송하였다. 이와 같이 종래의 방식은 변경하고자 하는 비콘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해당 비콘 송신기와의 연결상태를 유지하는 과정이 요구되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보다 간편하게 비콘 정보를 변경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송수신 시스템은 비콘 송신기로부터 발생된 비콘을 수신하는 블루투스 모듈 및 상기 비콘 송신기 측 NFC 모듈과 통신하여 상기 비콘 송신기의 NFC메모리에 설정값 정보를 전달하는 NFC 라이터(Writer) 모드를 수행하는 비콘 수신기; 및 NFC 메모리를 장착하고, 상기 NFC 메모리에 저장된 설정값 정보를 블루투스 모듈 내 블루투스 메모리로 이동시켜 저장하는 NFC 모듈 및 블루투스 메모리를 장착하고, 상기 블루투스 메모리에 저장된 설정값에 기반하여 비콘을 생성하고 송신하는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는 비콘 송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송수신 방법은 비콘 수신기가 비콘 설정값 변경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 선택에 따라 비콘 설정값을 변경하는 단계, 비콘 송신기와의 NFC 접촉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NFC 접촉에 상응하여 상기 변경된 비콘 설정값을 상기 비콘 송신기 측에 전달하는 단계, 비콘 송신기가 상기 비콘 수신기로부터 상기 변경된 비콘 설정값을 받아 비콘 송신기 측 NFC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비콘 송신기 측 NFC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블루투스 메모리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비콘 송신기 측 블루투스 모듈은 상기 블루투스 메모리에 저장된 비콘 설정값에 기반하여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송수신 방법은 비콘 송신기에서 송신한 비콘을 비콘 수신기가 수신하는 단계, 상기 비콘 수신기가 비콘 송신기에 NFC 접촉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비콘 송신기가 비콘 송신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비콘 시스템에 NFC기능을 부가하여 보다 간편하게 비콘정보 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비콘 시스템에 부가된 NFC 기능을 이용하여 다양한 편리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송수신 시스템의 기본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송신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송신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송수신 시스템에서 비콘 설정값 정보를 변경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수신기에서 비콘 설정값 변경 모드를 수행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비콘 송수신 시스템에서 NFC 접촉을 통해 수행 가능한 기능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수신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비콘 수신의 알림 순서를 변경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과 연관되어 기재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포함한다” 또는“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개시(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송수신 시스템의 기본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비콘을 송신하는 비콘 송신기 100와 비콘을 수신하는 비콘 수신기 200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 때 상기 비콘 수신기 200는 비콘 수신기의 용도만을 위해 제작된 기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콘 수신기 200는 개인 휴대기기인 스마트폰, 스마트시계를 비롯한 웨어러블 전자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송신기 100는 레스토랑에서 사용되는 호출벨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비콘 송신기 100가 호출벨로 역할할 경우, 비콘 수신기 200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비콘 신호에 해당하는 식별자정보를 표시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기가 해당될 수 있다.
또한, 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비콘 수신기 200는 클라우드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비콘 수신기 200는 비콘 수신에 응답하여 클라우드로부터 특정 정보를 수신하거나 클라우드로 정보를 업로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비콘 수신기 200는 특정 업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상태에서 해당 비콘을 수신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연계된 동작(예, 광고 표시)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송신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송신기는 블루투스 안테나 110, 상기 블루투스 안테나 110와 연결되는 블루투스 모듈 115, 상기 블루투스 모듈의 기능에 필요한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 116, NFC 안테나 120, 상기 NFC 안테나와 연결되는 NFC 모듈 125, 상기 NFC 모듈의 기능에 필요한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 126, 버튼 130, 배터리 1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조는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나의 보드 안에 블루투스 모듈 115과 NFC 모듈 125를 포함하는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블루투스 모듈 115은 비콘 신호를 발생시키는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BLE; Bluetooth Low Energy)을 구현하는 모듈을 의미할 수 있다. 그 뿐 아니라, 상기 블루투스 모듈 115은 상기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이 아니더라도 비콘 신호를 발생하는 것이 가능한 향후 다양한 버전의 블루투스 표준을 따르는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비콘 수신기 200 측은 NFC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비콘 수신기 200는 비콘 송신기 측의 NFC 안테나 120 위치에 접근하여 약 10cm 이하의 거리가 되면 NFC 접촉을 통한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비콘 수신기 200는 NFC 기능을 이용하여 기 입력된 정보(예컨대, 기 입력된 비콘 설정값 정보)를 NFC 모듈 내 메모리(이하 NFC 메모리) 126에 전달하고 상기 NFC 메모리 126는 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NFC 메모리 126는 자동으로 혹은 기 설정된 특정 동작이 수행된 경우에 한하여, 외부로부터 저장된 정보를 블루투스 모듈 내 메모리(이하 블루투스 메모리) 116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블루투스 메모리 116에 새롭게 저장된 정보가 비콘 신호의 세기와 관련된 정보라고 가정할 경우, 상기 과정 이후 상기 블루투스 모듈 115은 블루투스 메모리 116에 저장된 값에 해당하는 세기로 비콘신호의 세기를 변경하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버튼 130은 비콘 송신기의 종류에 따라 생략되거나 다수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비콘 송신기가 예컨대, 레스토랑에서 사용되는 호출벨이라고 할 경우, 사용자는 본인이 앉은 테이블 번호를 비콘 수신기측에 표시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버튼 130을 누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버튼 130은 사용자의 누름 이벤트에 반응하여 조건적으로 비콘신호를 전송하도록 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버튼 130은 NFC 메모리 126에 저장된 정보를 블루투스 메모리 116로 옮겨 저장하는 동작을 요청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배터리 140는 본 발명에서 특징적인 구성이 아니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송신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서 도시하는 제 2실시 예는 제 1실시 예에서 도시하는 동작과 대부분 일치한다. 다만, 제 2 실시예는 NFC 모듈 126과 블루투스 모듈 115 이 같은 보드 상에 존재하지 않고 분리되어 구성된다는 차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NFC 모듈 125과 블루투스 모듈 115은 비콘 송신기 내 함께 탑재되되, 상기 NFC 모듈 125와 상기 블루투스 모듈 115는 하나의 보드 상에서 기능하는 방법과 별도의 보드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모두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송수신 시스템에서 비콘 설정값 정보를 변경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비콘 수신기 200는 405단계에서 비콘 설정값 변경을 지원하는 앱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앱은 비콘 송신기 100에서 송신되는 비콘신호의 설정값을 변경할 수 있도록 설정값 변경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앱은 설정값 변경 모드 뿐 아니라 추가의 다양한 기능을 더 포함하여 구동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앱의 추가의 기능으로는 상기 앱에서 표시되는 정보의 정렬 방식 또는 글씨 크기의 조절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또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앱은 비콘 수신 시 해당 비콘이 의도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앱은 설정값 변경모드에서 예컨대, UUID(Universal unique identifier; 범용 고유 식별자), Major ID, Minor ID, 송신 세기(Tx Power), 송신 간격(Tx Interval) 등의 수정 가능한 비콘 설정값 종류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앱 화면에서 보이는 입력창은 디폴트 값으로 설정되어 표시되거나 빈칸으로 표시될 수 있다.
405단계 이후, 비콘 수신기 200는 앱에서 비콘 신호 설정값 변경모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410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앱이 비콘 신호 설정값 변경모드만을 구동하도록 설정된 경우라면 상기 410단계는 생략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앱에서 비콘 신호 설정값 변경모드 이외에 다른 기능을 추가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할 경우, 상기 비콘 수신기 200는 410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앱에서 상기 비콘 신호 설정값 변경모드가 아닌 기타 나머지는 통틀어 일반모드로 지칭될 수 있다.
반면, 410단계에서 신호 설정값 변경모드가 맞다고 확인되면, 상기 비콘 수신기 200는 420단계에서 변경 설정값 입력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비콘 수신기 200는 다양한 변경 가능한 설정값의 종류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420단계에 대하여는 도 5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420단계에서 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된 입력창에서 변경하고자 하는 설정값의 종류 선택과, 선택된 종류의 설정값의 변경을 위한 수치 데이터 선택(입력, 또는 기설정된 다수개의 메뉴 중 선택)이 되면, 상기 비콘 수신기 200는 425단계에서 NFC 라이터(Writer)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425단계의 NFC 라이터 모드는 다양한 시점에 진입이 가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425단계의 NFC 라이터 모드는 사용자가 변경하고자 하는 설정값의 입력이 완료되었을 때 수행하는 특정 동작(예컨대, 화면 내 '완료'버튼 터치 등)이 감지된 경우에 한하여 진입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425단계가 수행중일 경우, 상기 비콘 수신기 200는 변경하고자 하는 설정값이 입력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나 NFC 접촉을 요구한다는 메시지나 애니메이션 등의 알림을 일시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425단계 이후 상기 비콘 수신기 200는 NFC 접촉이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430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430단계에서 NFC 접촉이 감지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435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비콘 수신기 200는 435단계에서 기 설정된 시간이 만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435단계에서 기 설정된 시간이 만료되지 않은 경우, 상기 비콘 수신기 200는 425 단계로 돌아가 앞서 기술한 425단계에서 가능한 다양한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비콘 수신기 200는 기 설정된 시간이 끝나기 전까지는 430단계에서 NFC 접촉이 감지되지 않더라도 기다리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 435단계에서 상기 비콘 수신기 200가 기 설정된 시간이 만료되었음을 확인한 경우, 도 4의 동작은 종료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435단계에서 기 설정된 시간이 만료되었을 경우, 상기 비콘 수신기 200는 해당 앱의 초기화면을 표시하거나, 비콘 신호 설정값 변경모드의 초기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435단계에서 기 설정된 시간이 만료되었을 경우, 상기 비콘 수신기 200는 화면에 NFC 접촉에 관하여 설명하는 메시지, 'NFC 입력모드를 종료할까요' 등의 알림 메시지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할 수도 있다.
반면, 상기 비콘 수신기 200는 430단계에서 NFC 접촉을 감지한 경우, 440단계에서 비콘 송신기 100 측 NFC 모듈 내 NFC 메모리 126에 설정값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송신기 100는 전달된 데이터를 상기 NFC 메모리 126에 저장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440단계 이후, 상기 비콘 송신기 100는 445단계에서 블루투스 메모리 116에 상기 NFC 메모리 126에 저장된 상기 설정값 정보를 옮겨와 저장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NFC 접촉을 통해 비콘 수신기 200측에서 작성된 설정값 정보가 비콘 송신기 100측에 전달될 수 있고, 비콘 송신기 100에서 생성하는 비콘 신호의 설정 값이 변경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수신기에서 비콘 설정값 변경 모드를 수행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상기 도 4의 410단계 내지 420단계에 대한 예시로써, 비콘 수신기 200에서 비콘 신호 설정값 변경모드에 진입한 화면 500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화면 500은 비콘 신호를 통해 관련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앱 및 해당 앱의 일부 메뉴(예컨대, 관리자 설정)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비콘 신호 설정값 변경모드는 관리자만이 진입할 수 있도록 인증절차가 추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화면 500에 표시되는 항목은 변경 가능한 비콘 설정값의 종류 501와 해당 설정값 입력창 502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이 변경하고자 하는 종류의 비콘 설정값 정보를 골라 해당 수치데이터를 변경할 수 있다. 이 때 초기에 표시되는 설정값 입력창 502은 디폴트 값을 표시할 수도 있고, 빈칸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설정값 입력창 502은 최근 입력된 값을 표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설정값 입력창 502에서 수치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가 직접 그 값을 입력하도록 빈 입력창으로 제공될 수도 있고, 몇 가지 메뉴 중 하나를 사용자로 하여금 고를 수 있도록 선택메뉴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비콘 송수신 시스템에서 NFC 접촉을 통해 수행 가능한 기능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비콘 송신기 100는 식당 등에서 호출벨로 쓰이는 장치일 수 있다. 비콘 수신기 200는 비콘신호를 수신한 경우 해당 비콘신호에 포함된 식별자 정보에 근거하여 비콘 신호를 보낸 비콘 송신기 100를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식당 등에서 상기 비콘 송신기 100가 호출벨로 사용될 경우, 상기 비콘 수신기 200는 610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인식된 비콘 송신기의 식별자 정보(예컨대, 테이블 번호) 601를 표시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콘 수신기 200는 식당 내 1번 테이블에 부착된 비콘 송신기로부터 비콘을 수신한 경우, 화면의 일 영역에 '1번 호출'이라고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동작은 NFC 접촉을 통해 종료되지 않는 한 지속적으로 비콘 수신기 200의 화면상에 표시될 수 있다.
620은 상기 610의 동작에 이어서 비콘 송신기 100와 비콘 수신기 200측이 물리적 접촉을 수행하는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620을 살펴보면 비콘 송신기 100와 비콘 수신기 200가 접촉되었고, 이에 따라 상기 비콘 수신기 200의 화면 602에 '1번 호출'이라는 문구가 사라졌다. 비콘 수신기 200는 비콘 송신기 100와 NFC 접촉을 수행한 경우, 상기 비콘 송신기 100는 비콘 발생을 중단시키거나, 상기 비콘 수신기 200가 자체적으로 '1번 호출' 문구를 지울 수 있다. 즉, 도 6에 따르면, 식당 직원은 본인의 단말기(비콘 수신기)에 '1번 호출'이라는 문구를 확인한 후 1번 테이블로 이동할 수 있다. 이후 직원은 1번 테이블에 위치한 비콘 송신기와 본인의 단말기를 접촉시켜 '1번 호출'의 문구를 지우고 해당 테이블로부터의 호출에 응답하였음을 체크할 수 있다. 이로써 도 6에서 보여주는 실시 예는 직원이 미응답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비콘이 수신된 지 일정 시간이 지나 호출 문구가 사라진 경우의 불편함을 보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비콘 송신기 100과 비콘 수신기 200 는 NFC 기능을 추가함을 통해 비콘 설정값 정보 변경을 용이하게 할 뿐 아니라 NFC 기능을 사용한 기능을 추가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수신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수신기 200는 제어부 710, 저장부 720, 표시부 730, 통신부 740, 입력부 750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 710는 순서 변경부 711, 통계 분석부 712, 가중치 설정부 71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710는 수신된 비콘에 해당하는 정보(예컨대, UUID 등)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 710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비콘 송신기 100의 비콘 설정값을 변경하기 위한 앱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 710는 비콘 송신기 100와 NFC 접촉이 이루어질 때 상기 앱 상에서 변경된 정보를 비콘 송신기 100측에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상기 제어부 710는 비콘 수신기 200의 다양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 720는 상기 앱 구동에 요구되는 정보 및 명령들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 720는 비콘 신호의 디폴트 설정값 정보 및 사용자가 입력한 비콘 신호 설정값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상기 저장부 72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 730는 비콘신호 설정값 변경을 위한 앱 실행 시, 상기 앱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 730는 비콘 송신기 100와 NFC 접촉이 이루어진 경우, 제어부 710의 제어하에 화면의 내용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 740는 블루투스 모듈 741과 NFC 모듈 7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 740는 이 외에도 비콘 송신기 100 및 웹 서버 등과 통신 가능한 Wi-Fi 모듈, LTE 모듈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 741은 비콘 송신기 100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NFC 모듈 742은 NFC 컨트롤러칩, 메모리 칩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NFC 모듈 742는 NFC 의 리더(Reader) 모드 및 NFC 라이터(Writer) 모드를 지원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비콘 수신기 200는 비콘 송신기 100 측에 기 저장되어 있는 설정값 정보를 NFC 접촉을 통해 불러올 수 있는데, 이 때 비콘 수신기 200측의 상기 NFC 모듈 742은 NFC 리더 모드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NFC 모듈 742은 비콘 송신기 100측의 NFC메모리에 설정값을 전달/ 저장시키는 NFC 라이터 모드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 750는 상기 비콘 수신기 200상에서 앱을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고 이를 제어부 710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부 750는 비콘신호 설정값 변경 모드에서 변경하고자 하는 설정값 선택 및 해당 설정값 변경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고 이를 제어부 71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 750는 물리 키 또는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 730와 터치 패널일 경우 상기 표시부 730와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밖에도 다양한 방식의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장치가 상기 입력부 750에 해당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 710는 순서 변경부 711, 통계 분석부 712, 가중치 설정부 71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 8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비콘 수신의 알림 순서를 변경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비콘 송신기 100가 호출벨이고, 특정 비콘 송신기 100가 송신하는 비콘의 종류가 다수라고 가정할 수 있다. 상기 비콘은 처리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이에 근거해 다수개로 분류될 수 있다. 예컨대 호출벨의 버튼의 종류가 A, B, C가 있고, 각각 A는 매우 빠른 시간안에 처리 가능한 일(또는 시급한 일), B는 중간, C는 비교적 오랜 시간이 걸리는 일(또는 가장 급하지 않은 일)로 분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식당에서 상기 호출벨을 사용한다고 하면 A 버튼은 '음료', B 버튼은 '사이드메뉴 주문', C 버튼은 '메인 메뉴 주문'으로 대체되어 고객에게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호출벨이 사용되는 곳이 식당이 아니라면, A, B, C는 이에 상응하는 다른 문구들로 각각 표시될 수 있다.
도 8의 810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비콘 수신기 200는 비콘 신호를 수신된 순서에 따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810은 첫번째로 수신된 비콘신호는 2번 테이블에 위치하는 비콘 송신기로부터 수신된 것이고 상기 비콘은 비교적 오랜시간이 걸리는 일인 'C'에 해당됨을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두번째로 수신된 비콘신호는 3번 테이블에 위치하는 비콘 송신기로부터 수신된 것이고, 상기 비콘도 'C'에 해당됨을 도시한다. 세번째로 수신된 비콘신호는 1번 테이블에 위치하는 비콘 송신기로부터 수신된 것이고, 비교적 빠른 시간 내에 처리할 수 있는 일임을 뜻하는 'A'에 해당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빨리 처리할 수 있는 일이지만 비콘 수신의 순서상 맨 마지막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순서 변경부 711는 마지막 순서의 비콘 정보를 가장 먼저 표시하는 동작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820을 참조하면, 비콘 수신기 200의 화면에 순서가 변경된 비콘 정보가 표시 825되는 동작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순서 변경부 711는 또한 810과 같이 비콘 신호가 누적된 경우, 저장된 비콘 수신 순서를 변경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비콘 순서를 계속적으로 바꾸게 되면 C 항목 비콘은 A 항목 비콘에 비하여 우선순위가 항상 늦어질 수밖에 없고, A항목 비콘이 많을 경우에는 C항목 비콘은 오랜시간 대기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순서 변경을 제한하는 기능이 추가될 필요가 있다.
상기 통계 분석부 712는 비콘 신호의 순서가 변경된 횟수를 기억하고 이에 대한 통계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계 분석부 712는 각 비콘 신호별 대기 시간을 기록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예컨대, 비콘 신호가 최초 수신된 시점부터 해당 비콘 발생이 종료된 시점(NFC 접촉된 시간)간의 시간에 대하여 수집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비콘 순서 변경과 관련한 추가의 변수가 수집되고 분석될 수 있다. 그리고 분석된 자료를 바탕으로 상기 통계 분석부 712는 신호 순서의 변경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순서 변경 기능을 제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통계 분석부 712는 대기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길어진 경우, 순서 변경 기능을 제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순서 변경을 제한하기 위한 조건을 종합적인 데이터에 기반하여 파악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가중치 설정부 713는 비콘 순서의 변경이 제한되는 조건을 판단함에 있어 다양한 변수에 기반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순서변경 횟수 및 순서 변경으로 인해 길어진 대기 시간등을 종합적으로 참조하여 기 설정된 값의 이상이 되었다고 판단되면 순서 변경부 711의 순서 변경을 제한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때 각 변수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가중치 설정부 713는 순서 변경 횟수 1회당 30의 가중치를 부과하고 대기시간 1분당 10의 가중치를 부과하며 총 그 값이 100을 넘는 경우 해당 신호의 순서 변경을 제한하는 방식을 쓸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중치 설정부 713는 '30X+10Y≥100(X는 순서 변경 횟수, Y는 대기시간(분))'과 같은 수식에 카운트 된 각 변수를 적용한 결과(순서 변경을 제한할지 여부)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가중치 설정부 713는 순서 변경 제한 조건을 판단하는 과정에서 순서 변경 횟수와 대기 시간을 변수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사용자에 따라 순서 변경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싶어하거나, 순서 변경이 제한되지 않도록 하고 싶어하거나, 순서 변경 횟수, 대기 시간 2가지 변수 중 한가지만을 사용하고자 하는 의견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요구를 반영할 수 있도록 제어부 710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특정 기능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710는 사용자로부터 순서 변경 기능의 활성화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 710는 순서 변경 기능이 활성화될 경우, 순서 변경 제한 기능의 활성화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 710는 순서 변경 제한을 위해 몇개의 변수를 사용할 것인가에 대한 사용자 선택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비콘 송신기
200: 비콘 수신기
110: 블루투스 안테나
115: 블루투스 모듈
116: 블루투스 메모리
120: NFC 안테나
121: NFC 모듈
126: NFC 메모리

Claims (12)

  1. 비콘을 송수신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비콘 송신기로부터 발생된 비콘을 수신하는 블루투스 모듈 및 상기 비콘 송신기 측 NFC 모듈과 통신하여 상기 비콘 송신기의 NFC메모리에 설정값 정보를 전달하는 NFC 라이터(Writer) 모드를 수행하는 비콘 수신기; 및
    NFC 메모리를 장착하고, 상기 NFC 메모리에 저장된 설정값 정보를 블루투스 모듈 내 블루투스 메모리로 이동시켜 저장하는 NFC 모듈 및 블루투스 메모리를 장착하고, 상기 블루투스 메모리에 저장된 설정값에 기반하여 비콘을 생성하고 송신하는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는 비콘 송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비콘 송신기는
    다수개의 종류로 비콘 신호를 분류하여 송신하는 기능을 포함하되,
    상기 다수개의 종류의 비콘 신호는 각각 처리 가능한 시간, 시급성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따라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송수신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송신기는
    상기 비콘 송신기 내 블루투스 모듈과 NFC 모듈을 하나의 보드상에 포함하여 구성하는 방식, 상기 비콘 송신기 내 블루투스 모듈과 NFC 모듈을 별도의 보드에 구분하여 구성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송수신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송신기는
    상기 비콘 송신기 내 NFC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상기 비콘 송신기 내 블루투스 메모리로 이동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송수신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수신기가 전달하는 설정값 정보는
    비콘 신호의 수정 가능한 설정값으로, UUID, Major ID, Minor ID, 송신 간격(Tx interval), 송신 세기(Tx Pow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송수신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수신기는
    상기 설정값 정보의 변경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설정값 정보의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NFC 접촉 감지 시 상기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변경된 설정값 정보를 비콘 송신기 측 NFC 메모리로 이동 저장시키도록 비콘 수신기 내 NFC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송수신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수신된 비콘신호가 처리 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가장 빨리 처리할 수 있는 일에 해당하는 비콘 신호를 먼저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비콘 순서를 변경하는 순서변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송수신 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수신된 비콘신호가 처리 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 시간에 관한 정보에 의해 비콘 순서가 변경 가능한 경우,
    비콘의 순서 변경 횟수, 비콘 수신 후 대기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변수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변수가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비콘 순서 변경을 제한하도록 제어하는 통계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송수신 시스템.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수신된 비콘 신호가 처리 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 시간에 관한 정보에 의해 비콘 순서가 변경 가능한 경우,
    다수개의 변수를 수집하고 해당 변수에 각각 다른 가중치를 부여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비콘 순서를 제한하도록 제어하는 가중치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송수신 시스템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비콘 순서 변경 여부, 비콘 순서 변경 제한 여부 및 비콘 순서 변경 제한을 위한 조건식에 포함시킬 변수의 개수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송수신 시스템.
  10. 삭제
  11. NFC기능을 기용하여 비콘 신호 설정값을 변경하는 방법에 있어서,
    비콘 수신기가 비콘 설정값 변경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 선택에 따라 비콘 설정값을 변경하는 단계;
    비콘 송신기와의 NFC 접촉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NFC 접촉에 상응하여 상기 변경된 비콘 설정값을 상기 비콘 송신기 측에 전달하는 단계;
    비콘 송신기가 상기 비콘 수신기로부터 상기 변경된 비콘 설정값을 받아 비콘 송신기 측 NFC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비콘 송신기 측 NFC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블루투스 메모리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비콘 송신기 측 블루투스 모듈은 상기 블루투스 메모리에 저장된 비콘 설정값에 기반하여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다수개의 종류로 비콘 신호를 분류하여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개의 종류의 비콘 신호는 각각 처리 가능한 시간, 시급성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따라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송수신 방법.
  12. 삭제
KR1020170098633A 2017-08-03 2017-08-03 Nfc 기능을 이용하여 비콘 설정값을 변경하는 비콘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KR101957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633A KR101957394B1 (ko) 2017-08-03 2017-08-03 Nfc 기능을 이용하여 비콘 설정값을 변경하는 비콘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633A KR101957394B1 (ko) 2017-08-03 2017-08-03 Nfc 기능을 이용하여 비콘 설정값을 변경하는 비콘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760A KR20190014760A (ko) 2019-02-13
KR101957394B1 true KR101957394B1 (ko) 2019-03-12

Family

ID=65366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8633A KR101957394B1 (ko) 2017-08-03 2017-08-03 Nfc 기능을 이용하여 비콘 설정값을 변경하는 비콘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73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93113A (zh) * 2021-10-28 2022-01-28 深圳市创鸿新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蓝牙信标、蓝牙系统及非接触式激活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7386A (ko) * 2006-05-03 2007-11-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데이터 통신 방법
KR102173242B1 (ko) * 2014-03-25 2020-11-0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정보 자동 설정 방법, 장치
KR102424834B1 (ko) * 2015-04-16 2022-07-2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비콘 장치를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760A (ko) 2019-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04342B (zh) 基于nfc进行数据传输的方法及移动设备
KR101156321B1 (ko) 발견된 디바이스 리스트를 우선순위화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모바일 디바이스
CN109769065B (zh) 消息显示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KR101487517B1 (ko) 근접 통신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 및 이의 동작 방법
AU2016422505B2 (en) Data sharing method and terminal
KR102089459B1 (ko) 무선 통신에 기반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JP2012034390A (ja) 通信リンクを閉じるための方法
KR102064929B1 (ko) 근접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50019892A (ko) 무선 통신에 기반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N1846412B (zh) 根据用户配置文件处理移动终端设备的推送型电子邮件的方法和设备
KR102203841B1 (ko) Rfid 지원 이동 전화를 동작시키는 방법, 이동 전화, 원격 유닛, 및 응용 프로그램 제품
EP3319304B1 (en) Terminal control method and accessory device
US20080070569A1 (en) Proximity order processing system
CN103714316A (zh) 图像识别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1957394B1 (ko) Nfc 기능을 이용하여 비콘 설정값을 변경하는 비콘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US10271167B2 (en) Item management system
CN107278367B (zh) 一种移动终端、可穿戴设备和消息传送方法
US20190340601A1 (en) Method And Mobile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By Using Barcode
JP2009267664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2016071483A (ja) 特典提供システム、特典提供サーバ、サーバプログラム及び端末プログラム
CN108234275B (zh) 一种发布通讯信息的方法和装置
KR101935351B1 (ko) 스위치를 포함하는 비콘 장치와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551618B1 (ko) 매장내 호출 및 주문 플랫폼을 위한 운영 시스템
KR101371184B1 (ko)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착신자 상황 정보 전송 장치 및 방법
CN110110549B (zh) 一种信息处理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