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1143A - 내시경 연동형 전극을 이용한 치료장치 - Google Patents

내시경 연동형 전극을 이용한 치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1143A
KR20170141143A KR1020170074861A KR20170074861A KR20170141143A KR 20170141143 A KR20170141143 A KR 20170141143A KR 1020170074861 A KR1020170074861 A KR 1020170074861A KR 20170074861 A KR20170074861 A KR 20170074861A KR 20170141143 A KR20170141143 A KR 201701411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optical fiber
target cell
catheter
endosc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4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8904B1 (ko
Inventor
김성남
Original Assignee
(주) 더스탠다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더스탠다드 filed Critical (주) 더스탠다드
Priority to PCT/KR2017/00619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7217760A1/ko
Priority to US16/310,174 priority patent/US20190183563A1/en
Publication of KR20170141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1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8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8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9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flexible, catheter-like structure, e.g. for heart ab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31Accessories for endoscopes
    • A61B1/00137End pieces at either end of the endoscope, e.g. caps, seals or forceps pl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63Optical arrangements
    • A61B1/00165Optical arrangements with light-conductive means, e.g. fibre op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4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characterised by a proximal camera, e.g. a CCD came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4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for absorption im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4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for infrared im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using light-conductive means, e.g. optical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1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electroporation, e.g. including drug reservoirs
    • A61N1/0416Anode and catho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61N1/0507Electrodes f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internal passag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B1/018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internal passages or accessories therefor for receiving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482Digestive system
    • A61B2018/00494Stomach, intestines or bow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613Irreversible electropo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98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combined with or comprising means for visual or photographic inspections inside the body, e.g. end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05Electrodes having a specific shape
    • A61B2018/1425Needle
    • A61B2018/143Needle multiple nee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Cardiology (AREA)
  • Plasma & Fusion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doscop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시경 채널; 및 상기 내시경 채널을 통해 체내에 삽입될 수 있는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은 전압 인가를 통해 체내 표적 세포를 파괴하며, 상기 전극은 임피던스 측정을 통해 표적 세포의 파괴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제1 광섬유 및 제2 광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내시경 채널; 및 내시경 채널을 통해 체내에 삽입될 수 있는 카데터;를 포함하고, 상기 카데터는 체내에 삽입되는 말단에 천공부 및 상기 천공부를 통해 카데터 말단으로부터 돌출되어 표적 세포에 침투할 수 있는 복수의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연동형 전극을 이용한 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시경 연동형 전극을 이용한 치료장치{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ELECTRODE INTERLOCKED WITH ENDOSCOPE}
본 발명은 내시경과 연동되어 체내 표적 세포를 전기적으로 파괴하는 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천공법(electroporation)은 세포 내 DNA와 같은 표적 물질을 주입하기 위해 사용되는 치료 기법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전기천공법은 세포막에 전압을 인가하여 세포막 상에 천공을 형성하고, 그 구멍을 통해 표적 물질을 주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세포막은 리피드(lipid)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높은 전압이 인가되면 리피드가 한쪽으로 쏠려 세포막에 천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천공은 인가된 전압의 세기에 따라 다시 메워질 수 있는데, 전압에 의해 생성된 천공이 시간이 지나서 다시 메워지는 경우를 가역적 전기천공법(reversible electroporation)이라고 일컫는다.
반대로 전압에 의해 생성된 천공이 시간이 지나도 다시 메워지지 않는 경우를 비가역적 전기천공법(irreversible electroporation)이라고 일컫는다. 비가역적 전기천공법은 표적 세포에 회복되지 않는 천공을 형성함으로써 세포를 괴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세포에는 세포 내 대사를 조절하는데 필수적인 칼륨 이온(K+)가 존재하는데, 세포막에 천공이 있으면 칼륨 이온은 천공을 통해 세포 밖으로 유출되어 버린다. 칼륨 이온이 외부로 유출되어 세포 내 칼륨 농도가 비정상이 된 세포는 세포막상수용체로부터 세포 자살(apoptosis)에 이르는 신호를 전달 받아 괴사한다. 이러한 비가역적 전기천공법에 의한 세포 자살은 암세포 또는 악성 종양과 같은 비정상 세포에 수행될 수 있다.
종래의 전기천공법은 표적 세포를 괴사시키기 위한 비가역적 전기천공법 형태보다는 표적 세포에 원하는 물질을 전달하기 위한 가역적 전기천공법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었다. 아울러, 비가역적 전기천공법도 체내에서 이루어지는 경우는 거의 없었다. 비가역적 전기천공법은 표적 세포를 괴사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정확하게 표적 세포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나, 체내에서 표적 세포를 정확하게 집어내는 것은 매우 어려웠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체내에서 비가역적 전기천공법을 수행할 수 있는 치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원 발명은 내시경 채널; 및 상기 내시경 채널을 통해 체내에 삽입될 수 있는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은 전압 인가를 통해 체내 표적 세포를 파괴하며, 상기 전극은 임피던스 측정을 통해 표적 세포의 파괴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제1 광섬유 및 제2 광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원 발명은 내시경 채널; 및 내시경 채널을 통해 체내에 삽입될 수 있는 카데터;를 포함하고, 상기 카데터는 체내에 삽입되는 말단에 천공부 및 상기 천공부를 통해 카데터 말단으로부터 돌출되어 표적 세포에 침투할 수 있는 복수의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가역적 전기천공법을 수행할 수 있는 전극은 내시경과 연동되어 체내에서 표적 세포를 정확하게 집어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가역적 전기천공법은 조직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표적 세포만을 괴사시키기 때문에 치료에 따른 부작용이 덜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치료 장치는 전극 내에 한 쌍의 광섬유를 포함하여 표적 세포의 괴사 정도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료 장치는 장치 내에 표적 세포의 괴사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표적 세포의 괴사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별도의 검사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는 치료 수행 도중 치료의 진척 상황을 확인하기 위해 치료 장치를 제거하고 별도의 검사 장치를 삽입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여주고, 치료 효율을 높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료 장치의 말단을 확대한 간략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치료 장치의 말단을 확대한 간략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치료 장치에 구비된 전극에 대한 간략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내에 구비된 광섬유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전극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전극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다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치료 장치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료 장치의 말단을 확대한 간략 도면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치료 장치의 말단을 확대한 간략 도면이다.
도 1에는, 내시경 채널(100); 및 상기 내시경 채널(100)을 통해 체내에 삽입될 수 있는 제1 전극(20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200)은 전압 인가를 통해 체내 표적 세포(900)를 파괴하며, 상기 제1 전극(200)은 임피던스 측정을 통해 표적 세포의 파괴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제1 광섬유(210) 및 제2 광섬유(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료 장치(10)가 개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치료 장치(10)를 각 구성요소 별로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내시경 채널(100)
내시경 채널(100)은 체내에 삽입되어 시술자가 환자의 체내를 육안으로 볼 수 있게 도와준다. 내시경 채널(100)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바디, 환자의 체내를 촬영하기 위한 영상 취득부(미도시), 제1 전극(200)이 삽입될 수 있는 하우징(미도시) 및 촬영한 환자의 체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영상 출력부를 포함한다.
내시경 채널(100)의 바디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조작하기 쉬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공간이 마련된다. 바디 내부의 공간에는 제1 전극(200)이 삽입될 수 있는 하우징, 영상 취득부와 영상 출력부를 연결하는 전선이 존재한다.
내시경 채널(100)이 환자의 체내에 삽입되었을 때 바디는 전선, 제1 전극(200) 등을 환자의 체액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바디는 위산과 같은 산성 체액에 견딜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바디는 환자의 체내에 직접 닿는 구성 요소이므로 인체에 해로운 화학물질을 발산하지 않아야 한다. 상기 두 가지 조건을 만족하기 위하여, 바디는 플루오로카본(fluorocarbons), 폴리아마이드(polyamide), 폴리에스터(polyester), 폴리에스터 엘라스토머(polyester elastomer) 등의 의료용 고분자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영상 취득부는 바디의 체내에 삽입되는 쪽 말단에 존재한다. 영상 취득부로는 렌즈나 광케이블의 끝단 등 빛을 수광하여 영상을 취득할 수 있는 다양한 광학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취득부에는 바디 앞쪽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는 발광 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은 제1 전극(200)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다. 하우징은 제1 전극(200)이 통과할 수 있을 만큼의 직경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000㎛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이 1000㎛를 초과하는 직경을 가질 경우, 하우징을 수용하는 바디가 지나치게 커져 식도를 통해 환자 체내로 내시경 채널(100)을 삽입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하우징 직경이 100㎛ 미만일 경우 전극을 보호하기에 충분한 강도를 갖지 못할 수 있다. 하우징 또한 바디와 마찬가지로 위산과 같은 산성 체액에 견딜 수 있어야 하며, 인체에 해로운 화학물질을 발산해서는 안 된다. 따라서, 하우징 역시 플루오로카본(fluorocarbons), 폴리아마이드(polyamide), 폴리에스터(polyester), 폴리에스터 엘라스토머(polyester elastomer) 등의 의료용 고분자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영상 출력부는 영상 취득부(미도시)에서 취득한 환자 내부의 모습을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해주는 수단이다. 영상 출력부는 시각적 출력을 위한 디스플레이 부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가지고 다닐 수 있는 휴대용 장치의 형태이거나 컴퓨터와 같이 고정된 장치의 형태일 수 있다.
제1 전극(200)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치료 장치에 구비된 전극에 대한 간략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전극(200)은 표적 세포에 전압을 인가하여 표적 세포를 파괴하기 위한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제1 전극(200)은 표적 세포에 고압을 인가하여, 리피드(lipid)로 이루어진 세포막에 천공을 형성한다.
표적 세포에 충분한 고압이 인가되었을 때, 상기 세포막 상 천공은 시간이 지나도 다시 메워지지 않는다. 천공이 세포막에 영구히 존재하는 경우 세포 내 칼륨 이온(K+)은 혈액 속으로 계속 유출된다. 칼륨 이온은 세포의 대사를 관장하기 때문에 칼륨 이온이 부족한 세포는 세포 복제와 같은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 이러한 비정상 세포는 세포막상수용체로부터 세포 자살(apoptosis)에 이르는 신호를 전달 받아 괴사한다.
표적 세포에 전압을 인가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되는 상기 일련의 과정을 비가역적 전기천공법(irreversible electroporation)이라고 하며, 이러한 비가역적 전기천공법에 의한 세포 자살은 암세포 또는 악성 종양과 같은 비정상 세포에 수행될 수 있다.
암세포와 같은 비정상 세포를 물리적으로 절제하는 경우 주변에 정상 세포 또는 혈관에까지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비가역적 전기천공법을 이용하는 경우 표적 세포만 괴사시키기 때문에 주변 조직에 미칠 수 있는 악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전극(200)은 바람직하게는 패드 형상일 수 있다. 패드 형상의 제1 전극(200)은 위벽과 같은 표적 세포(900)에 밀착한다. 패드 형상의 제1 전극(200)은 표적 세포(900)에 삽입되지 않기 때문에, 삽입에 따른 세포 손상을 야기하지 않는다. 예컨대, 위벽에 치료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제1 전극(200)이 위벽에 삽입된다면 치료 후에 위벽에 제1 전극(200)이 삽입되었던 흔적, 즉 천공을 남긴다. 이러한 천공은 위산에 의해 확장될 수 있고, 환자에게 위궤양 같은 또 다른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다.
제1 전극(200)은 위벽에 전압을 인가할 수 있어야 하므로, 전기 전도성이 높은 물질로 제작되어야 한다. 아울러, 제1 전극(200) 또한 하우징 또는 바디와 마찬가지로 위산과 같은 산성 체액에 견딜 수 있어야 하며, 인체에 해로운 화학물질을 발산해서는 안 된다. 따라서, 제1 전극(200)은 바람직하게는 316 stainless steel, Co-Cr 합금, Ti 합금과 같은 금속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제1 광섬유(210) 및 제2 광섬유(22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내에 구비된 광섬유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전극(200)은 임피던스 측정을 통해 표적 세포의 파괴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제1 광섬유(210) 및 제2 광섬유(220)를 포함한다. 즉, 제1 전극(200)의 적어도 어느 한 면에는 제1 광섬유(210) 및 제2 광섬유(220)가 각각 구성될 수 있다.
제1 광섬유(210)와 제2 광섬유(220)는 근적외선 분광 시스템을 통해 전압 인가에 의해 표적 세포가 얼마나 파괴되었는지를 측정한다. 근적외선은 제1 광섬유(210)로부터 표적 세포를 향해 발산된다. 표적 세포는 발산된 근적외선을 흡수하는데 세포의 구조에 따라 근적외선을 흡수하는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표적 세포를 지난 근적외선은 제2 광섬유(220)에서 검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광섬유(210)에서 발산한 근적외선의 세기와 표적 세포를 지나 제2 광섬유(220)에서 검출된 근적외선의 세기를 비교하여 세포 파괴가 얼마나 진행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임피던스는 근적외선의 흡수 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척도이다.
적외선은 물 분자, 혈액 분자에 잘 흡수되지 않기 때문에 생체 조직 깊숙이까지 침투할 수 있다. 따라서, 근적외선은 세포 파괴를 확인하는 데 있어 다른 파장 범위의 갖는 파동보다 유리하다. 근적외선으로 사용할 수 있는 파동의 파장 범위는 바람직하게는 0.75 내지 3㎛이다. 파동의 파장이 0.75㎛ 미만일 경우 파동에 의해 세포가 돌연변이를 일으킬 수 있으며, 파동의 파장이 3㎛를 초과할 경우 파동이 세포에 거의 흡수되지 않아 세포 구조에 따라 파동이 세포에 흡수되는 양상을 확인하기 어려울 수 있다.
근적외선을 이용하여 표적 세포의 파괴 정도를 확인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은 Beer Lambert law를 따른다.
[Beer Lambert law]
[수식 1]
Iout = Iin10-ODλ
ODλ=
Figure pat00001
= attenuation = Aλ + Sλ
(Iin: 입사광, Iout: 발산광, ODλ: 광밀도, Aλ: 흡수광, Sλ: 산란광)
기타
제1 전극(200)이 비가역적 전기천공법을 수행하기 위해 표적 세포에 인가하는 전압은 1KV이상일 수 있다. 1KV 미만의 전압을 표적 세포에 인가하는 경우 가역적 전기천공법(reversible electroporation)이 일어나, 표적 세포막 상의 천공이 다시 막힐 수 있다. 가역적 전기천공법에 따르면 표적 세포의 세포막에 영구적인 천공을 형성하여 세포를 괴사시킨다는 본 발명의 치료 방법이 수행될 수 없다.
제1 전극(200)은 내시경 채널(100)과 연결되는 고정축(230)을 구비하여 고정축(23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전극(200)이 내시경 채널(100)의 하우징(130) 내에 있을 때는 제1 전극(200)은 하우징(130)과 평행하게 배향될 수 있다. 이는 제1 전극(200)이 통과하기 위해 하우징(130)에 요구되는 직경을 줄이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제1 전극(200)은 표적 세포에 도달했을 때는 표적 세포의 외부 굴곡에 맞게 회전될 수 있다. 인체 내부의 표적 세포는 곡선 형태를 띠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표적 세포의 외부 굴곡에 맞게 회전하는 전극은 곡선 형태의 표적 세포에 더 확실하게 밀착될 수 있고, 이는 전압 인가 효율을 높인다.
도 4에 따르면, 제1 광섬유(210) 및 제2 광섬유(220)는 임피던스 측정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광섬유 홀을 구비할 수 있다. 광섬유 홀은 제1 광섬유(210)로부터 발산된 근적외선이 우회하지 않고 바로 제2 광섬유(220)로 이동할 수 있게 하여, 근적외선의 우회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표적 세포 파괴 정도 측정의 오차를 줄여준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치료 장치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전극(200)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와 도 5를 참조하면, 제2 실시 예로 내시경 채널; 및 내시경 채널을 통해 체내에 삽입될 수 있는 카데터;를 포함하고, 상기 카데터는 체내에 삽입되는 말단에 천공부 및 상기 천공부를 통해 카데터 말단으로부터 돌출되어 표적 세포에 침투할 수 있는 복수의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내시경 채널(100)의 구성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채널(1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데터(300) 및 제1 전극과는 다른 제2 전극(320)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카데터(300)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치료 장치는 카데터(300)를 포함한다. 카데터(300)는 체내에 삽입되는 말단에 천공부(310) 및 상기 천공부(310)를 통해 카데터(300) 말단으로부터 돌출되어 표적 세포에 침투할 수 있는 복수의 제2 전극(320)을 포함한다.
카데터(300)는 위산과 같은 산성 체액에 견딜 수 있어야 하며, 인체에 해로운 화학물질을 발산해서는 안 된다. 따라서, 카데터(300)는 플루오로카본(fluorocarbons), 폴리아마이드(polyamide), 폴리에스터(polyester), 폴리에스터 엘라스토머(polyester elastomer) 등의 의료용 고분자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카데터(300)의 한쪽 말단에는 천공부(310)가 존재한다. 천공부(310)는 카데터(300)로부터 제2 전극(320)이 돌출되는 통로 기능을 수행한다. 천공부(310)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으므로, 통상의 기술자가 필요에 따라 그 수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2 전극(320)은 표적 세포에 삽입되어 표적 세포에 전압을 인가한다. 따라서 제2 전극(320)은 삽입에 용이하도록 바람직하게는 탐침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제2 전극(320)은 위벽에 전압을 인가할 수 있어야 하므로, 전기 전도성이 높은 물질로 제작되어야 한다. 아울러, 제2 전극(320) 또한 카데터(300)와 마찬가지로 위산과 같은 산성 체액에 견딜 수 있어야 하며, 인체에 해로운 화학물질을 발산해서는 안 된다. 따라서, 제2 전극(320)은 바람직하게는 316stainless steel, Co-Cr 합금, Ti 합금과 같은 금속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2 전극(320)이 비가역적 전기천공법을 수행하기 위해 표적 세포에 인가하는 전압은 1KV이상일 수 있다. 1KV 미만의 전압을 표적 세포에 인가하는 경우 가역적 전기천공법(reversible electroporation)이 일어나, 표적 세포막 상의 천공이 다시 막힐 수 있다. 가역적 전기천공법에 따르면 표적 세포의 세포막에 영구적인 천공을 형성하여 세포를 괴사시킨다는 본 발명의 치료 방법이 수행될 수 없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전극(320) 역시 복수 개 존재할 수 있다. 제2 전극(320)의 개수는 바람직하게는 천공부(310)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전극(320) 각각은 제2 전극(320) 내에 양극 및 음극 모두를 구비한다. 제2 전극(320)이 표적 세포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 전극(320)에 전류가 흐르면, 제2 전극(320) 내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전기장이 발생한다. 이 전기장에 의해 표적 세포에는 전압이 인가된다. 본 발명의 제2 전극(320) 각각은 양극 및 음극을 모두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몇 개의 제2 전극(320)이 고장 나도, 다른 제2 전극(320)에 의해 치료가 계속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2 전극(320) 또한 임피던스 측정을 통해 표적 세포의 파괴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제1 광섬유 및 제2 광섬유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광섬유 및 제2 광섬유에 관한 사항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광섬유(210) 및 제2 광섬유(220)에 관한 것과 같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전극(320)에는 표면이 굴곡진 형태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표면이 원 또는 타원 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2 전극에는 제2 전극을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홀이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홀은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위치에 대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홀은 원 또는 타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내시경 채널(100)이 환자의 체내에 삽입되었을 때, 특히 제2 전극(320)이 조직이나 표적 세포, 위장 등에 삽입되었을 때에도 조직이나 표적 세포, 위장 등은 지속적으로 운동을 하게된다. 이에, 제2 전극(320)이 조직이나 표적 세포, 위장 등에 삽입되지 못하거나 삽입된 후에도 움직임에 의해 다시 빠지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제2 전극(320)의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구성되거나, 제2 전극(320)에 적어도 하나의 홀이 구성됨으로써, 제2 전극(320)의 표면 접촉면이 커지면 제2 전극(320)의 표면 접착력을 높일 수 있다. 제2 전극(320)의 표면 접촉면이 커진 상태로 조직이나 표적 세포, 위장 등에 삽입되면, 삽입 결합력이 높아져서 치료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전극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다른 도면이다.
도 2와 함께,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전극(330)은 복수 개 존재하되, 제3 전극(330)의 개수는 바람직하게는 천공부(310)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제3 전극(330)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양극(+) 전극 및 음극(-) 전극으로 분리 구성된다. 즉, 각각의 제3 전극(330)은 양극 전극과 음극 전극이 서로 평행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양극(+) 전극 및 음극(-) 전극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경우, 전압 인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복수의 양극(+) 전극 및 음극(-) 전극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제3 전극(330)이 조직이나 표적 세포, 위장 등에 삽입된 후, 제3 전극(330)에 전류가 흐르면, 복수의 양극(+) 전극 및 음극(-) 전극의 사이에 전기장이 발생한다. 이 전기장에 의해 표적 세포에는 전압이 인가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양극(+) 전극 및 음극(-) 전극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로 조직이나 표적 세포, 위장 등에 삽입되면, 삽입 결합 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치료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서로 평행한 형태로 분리 구성된 양극(+) 전극 및 음극(-) 전극에는 표면이 굴곡진 형태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표면이 원 또는 타원 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양극(+) 전극 및 음극(-) 전극에는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홀이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홀은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위치에 대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홀은 원 또는 타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양극(+) 전극 및 음극(-) 전극의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구성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홀이 구성됨으로써, 양극(+) 전극 및 음극(-) 전극의 표면 접촉면이 커지면, 양극(+) 전극 및 음극(-) 전극의 표면 접착력을 높일 수 있다. 양극(+) 전극 및 음극(-) 전극의 표면 접촉면이 커진 상태로 조직이나 표적 세포, 위장 등에 삽입되면, 삽입 결합력이 높아져서 치료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도면 및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실시 예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실시 예는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내시경 채널
200: 제1 전극
210: 제1 광섬유
220: 제2 광섬유
300: 카데터
310: 천공부
320: 제2 전극
330: 제3 전극

Claims (10)

  1. 내시경 채널; 및
    상기 내시경 채널을 통해 체내에 삽입될 수 있는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은 전압 인가를 통해 체내 표적 세포를 파괴하며,
    상기 전극은 임피던스 측정을 통해 표적 세포의 파괴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제1 광섬유 및 제2 광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연동형 전극을 이용한 치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이 인가하는 전압은 1KV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연동형 전극을 이용한 치료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상기 내시경 채널과 연결되는 고정축을 구비하여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연동형 전극을 이용한 치료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광섬유 홀을 구비하여 상기 제1 광섬유 및 제2 광섬유 사이의 임피던스 측정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연동형 전극을 이용한 치료장치.
  5. 내시경 채널; 및
    내시경 채널을 통해 체내에 삽입될 수 있는 카데터;를 포함하고,
    상기 카데터는 체내에 삽입되는 말단에 천공부 및 상기 천공부를 통해 카데터 말단으로부터 돌출되어 표적 세포에 침투할 수 있는 복수의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연동형 전극을 이용한 치료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표적 세포에 1KV 이상의 전압을 인가하여 표적 세포를 파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연동형 전극을 이용한 치료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극 각각은 양극 및 음극 모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연동형 전극을 이용한 치료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임피던스 측정을 통해 표적 세포의 파괴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제1 광섬유 및 제2 광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연동형 전극을 이용한 치료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극은
    굴곡진 형태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및
    적어로 하나의 관통 홀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연동형 전극을 이용한 치료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극은
    음극 전극과 양극 전극으로 분리 구성되고, 음극 전극과 양극 전극은 평행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연동형 전극을 이용한 치료장치.
KR1020170074861A 2016-06-14 2017-06-14 내시경 연동형 전극을 이용한 치료장치 KR102058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06193 WO2017217760A1 (ko) 2016-06-14 2017-06-14 내시경 연동형 전극을 이용한 치료장치
US16/310,174 US20190183563A1 (en) 2016-06-14 2017-06-14 Therapeutic device employing endoscope-interworking electro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74045 2016-06-14
KR1020160074045 2016-06-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1143A true KR20170141143A (ko) 2017-12-22
KR102058904B1 KR102058904B1 (ko) 2019-12-24

Family

ID=60937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4861A KR102058904B1 (ko) 2016-06-14 2017-06-14 내시경 연동형 전극을 이용한 치료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90183563A1 (ko)
EP (1) EP3470109B1 (ko)
KR (1) KR102058904B1 (ko)
CN (1) CN109310861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77635A3 (ko) * 2020-03-06 2021-10-28 (주)더스탠다드 전립선암 치료를 위한 전기천공용 바이폴라 전극 유닛, 이를 포함하는 전기천공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049299A (ko) * 2020-10-14 2022-04-2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시경용 비가역적 전기천공법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16663A1 (en) * 2002-01-25 2003-11-20 Inotech Medical Systems, Inc. Tissue monitoring system for intravascular infusion
US20110160514A1 (en) * 2009-12-31 2011-06-30 Ethicon Endo-Surgery, Inc. Electrical ablation devices
US20130211176A1 (en) * 2010-06-24 2013-08-15 Emcision Limited Enhanced ablation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0675A (en) * 1992-08-12 1994-12-06 Vidamed, Inc. Medical probe device and method
US5389069A (en) * 1988-01-21 1995-02-14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ethod and apparatus for in vivo electroporation of remote cells and tissue
US5683366A (en) * 1992-01-07 1997-11-04 Arthrocare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surgical tissue canalization
US6438400B1 (en) * 1993-12-06 2002-08-20 Heska Corporation Electrode for evaluating cardiac functions via esophagus
US5441498A (en) * 1994-02-16 1995-08-15 Envision Surgical Systems, Inc. Method of using a multimodality probe with extendable bipolar electrodes
US6235023B1 (en) * 1995-08-15 2001-05-22 Rita Medical Systems, Inc. Cell necrosis apparatus
CA2323160A1 (en) * 1998-03-06 1999-09-10 Jonathan A. Eppstein Photothermal structure for biomedical applications, and method therefor
JP3624711B2 (ja) * 1998-09-29 2005-03-02 フジノン株式会社 超音波検査装置
WO2001074251A2 (en) * 2000-03-31 2001-10-11 Rita Medical Systems Inc. Tissue biopsy and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EP1736094B1 (en) * 2004-04-12 2017-01-11 Olympus Corporation Endoscope device
JP2006058308A (ja) * 2004-04-27 2006-03-02 Jsr Corp シート状プローブおよびその応用
JP4655742B2 (ja) * 2004-04-27 2011-03-23 Jsr株式会社 シート状プローブおよびその応用
JP4794214B2 (ja) * 2005-05-25 2011-10-1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高周波処置具
US20070232871A1 (en) * 2006-04-03 2007-10-04 Edward Sinofsky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tissue properties
DK2032057T3 (da) * 2006-06-12 2010-02-08 Region Hovedstaden V Herlev Ho Elektrodeindføringsindretning
US8986298B2 (en) * 2006-11-17 2015-03-24 Biosense Webster, Inc. Catheter with omni-directional optical tip having isolated optical paths
US9119533B2 (en) * 2008-10-07 2015-09-01 Mc10,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having stretchable integrated circuitry for sensing and delivering therapy
US9468364B2 (en) * 2008-11-14 2016-10-18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Intravascular catheter with hood and image processing systems
US8475450B2 (en) * 2008-12-30 2013-07-02 Biosense Webster, Inc. Dual-purpose lasso catheter with irrigation
JP5451132B2 (ja) * 2009-03-24 2014-03-26 テルモ株式会社 医療用デバイス
US20110098704A1 (en) * 2009-10-28 2011-04-28 Ethicon Endo-Surgery, Inc. Electrical ablation devices
KR101198690B1 (ko) * 2009-11-09 2012-11-12 우먼스캐어 주식회사 피부관리용 전극장치와 이를 구비한 피부관리기
CN203122399U (zh) * 2013-03-28 2013-08-14 中国医科大学附属盛京医院 用于盆底肌电生物反馈治疗仪上的直肠电极探头
KR101655383B1 (ko) * 2013-07-27 2016-09-0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소분자 화합물을 포함하는 만능성 줄기세포의 염색체 안정성 유지용 조성물
US9597140B2 (en) * 2014-01-31 2017-03-21 Medtronic Cryocath Lp Accessory to allow sensing at balloon interface
CN204767032U (zh) * 2015-06-13 2015-11-18 深圳市易特科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柔性神经微电极阵列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16663A1 (en) * 2002-01-25 2003-11-20 Inotech Medical Systems, Inc. Tissue monitoring system for intravascular infusion
US20110160514A1 (en) * 2009-12-31 2011-06-30 Ethicon Endo-Surgery, Inc. Electrical ablation devices
US20130211176A1 (en) * 2010-06-24 2013-08-15 Emcision Limited Enhanced ablation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77635A3 (ko) * 2020-03-06 2021-10-28 (주)더스탠다드 전립선암 치료를 위한 전기천공용 바이폴라 전극 유닛, 이를 포함하는 전기천공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049299A (ko) * 2020-10-14 2022-04-2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시경용 비가역적 전기천공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310861A (zh) 2019-02-05
EP3470109B1 (en) 2021-08-11
EP3470109A1 (en) 2019-04-17
CN109310861B (zh) 2023-06-09
KR102058904B1 (ko) 2019-12-24
US20190183563A1 (en) 2019-06-20
EP3470109A4 (en) 2020-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8248B2 (en) Electroporation abl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AU2013267672B2 (en) Endoscopic sympathectomy systems and methods
EP2968982B1 (en) Interstitial ultrasonic disposable applicator for tissue thermal conformal volume ablation and monitoring the same
CN107468330B (zh) 受控的交感神经切除术以及微-消融系统和方法
US20150164401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overactive bladder
CN103860142A (zh) 光学消融灶评估
JP5642905B2 (ja) 穿刺具及び超音波内視鏡
JP2016501090A (ja) 標的化された挿管のためのデバイス、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3328043A (zh) 激光治疗装置、激光治疗系统和判定方法
KR20170141143A (ko) 내시경 연동형 전극을 이용한 치료장치
US9468363B2 (en) Power supply through a single track of discrete electrodes and method therefor
EP3468494B1 (en) Add-on cap and system for electroporation
Falcone et al. A novel microwire interface for small diameter peripheral nerves in a chronic, awake murine model
US10531916B2 (en) Microwave-irradiating instrument
WO2016017349A1 (ja) レーザー治療器
KR20220128340A (ko) 조직 분석, 로케이션 결정 및 조직 절제를 위한 디바이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04511A (ko) 테라헤르츠 전자기파를 이용한 영상 처리장치
WO2017217760A1 (ko) 내시경 연동형 전극을 이용한 치료장치
KR102102979B1 (ko) 의료용 조직 파지 장치
KR20170022454A (ko) 내시경을 이용한 생체 조직의 특성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US20210153952A1 (en) Digestive organ endoscope system
JP2021153606A (ja) 光治療装置
JP2017000230A (ja) 脊髄機能監視用電極装置
WO2019026637A1 (ja) 生体内電位計測器、生体内電位計測方法、及び生体内電位計測システム
FR3091989A1 (fr) Dispositif de mesure de bio-impedance du tractus digesti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