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0829A - 절단기능을 갖는 고형물 식품 포장용기 및 이를 이용한 포장방법 - Google Patents

절단기능을 갖는 고형물 식품 포장용기 및 이를 이용한 포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0829A
KR20170140829A KR1020160073053A KR20160073053A KR20170140829A KR 20170140829 A KR20170140829 A KR 20170140829A KR 1020160073053 A KR1020160073053 A KR 1020160073053A KR 20160073053 A KR20160073053 A KR 20160073053A KR 20170140829 A KR20170140829 A KR 201701408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olid food
packaging container
cutting
pack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3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5955B1 (ko
Inventor
박보람
김나정
유선미
한귀정
김진숙
김하윤
한혜민
최수영
김미진
최수정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160073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5955B1/ko
Publication of KR20170140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0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5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5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3/00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03Articles enclosed in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the whole being wrap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단기능을 갖는 고형물 식품 포장용기 및 이를 이용한 포장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하부 바닥 및 측면 벽을 포함하는 하부 용기; 상기 하부 용기에 일단이 연결되어 있는 절단용 실; 및 상기 하부 용기를 덮는 상부 용기;를 포함하는 절단기능을 갖는 고형물 식품 포장용기;를 포함하여 고형물 식품을 섭취할 때 손에 묻히지 않고, 칼, 가위 및 막대 등과 같은 절단도구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식품을 간편히 이용할 수 있는 절단기능을 갖는 고형물 식품 포장용기 및 이를 이용한 포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절단기능을 갖는 고형물 식품 포장용기 및 이를 이용한 포장방법{Solid food packing container having cutting function and pakag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절단기능을 갖는 고형물 식품 포장용기 및 이를 이용한 포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형잼, 치즈, 푸딩과 같은 고형식품은 섭취 및 사용이 편리하도록 포장용기에 담아 판매된다. 종래의 치즈의 경우, 개별로 종이 포장지에 담겨 있거나 플라스틱 포장용기를 사용하여 판매되어왔으며, 푸딩의 경우, 얇은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내용물을 개봉한 후 저면을 눌러 압축시키면서 내용물을 인출시킬 수 있도록 한 포장용기를 사용한 바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포장용기는 식품을 포장된 크기로 섭취하거나 또는 원하는 모양 및 크기로 절단하기 위해 칼, 가위, 막대 등의 절단도구를 사용 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고형식품을 보다 편리하게 사용 및 섭취하기 위해 절단하는 종래의 기술로, 대한민국 공개 실용신안 실1999-0034479에서는 두부나 묵과 같은 고형식품을 절단하는 절단기를 개시한 바 있으며, 상세하게는 고형식품의 취급을 위생적이면서도 편리하게 해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절단기로, 돌기가 형성된 바닥과, 요홈이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이 개방된 측벽으로 이루어진 본체, 본체의 요홈을 따라서 수납되며 손잡이를 가진 받침판 및 손잡이를 가진 칼판으로 이루어진 고형식품절단기를 개시한 바 있다.
하지만, 상기 고형식품절단기는 포장된 고형식품을 개봉하여 다시 상기 절단기에 넣고 사용하므로, 고형식품을 상기 절단기가 비치된 곳에서만 절단 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1998-082703에서는 포장용 두부 및 그 성형방법에 대해 개시한 바 있으며, 상세하게는 성형틀에 수납된 두부를 저면에 제1격자틀이 설치되고, 상기 제1격자틀에 의하여 구획되는 각 칸에 상기 제1격자틀보다 높이가 낮은 제2격자틀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누름판으로 상부를 눌러 압축하여 절단된 두부를 형성하는 포장 및 성형방법을 개시한 바 있다.
하지만, 상기의 방법은 누름판에 의해 미리 구획된 칸에 의해 두부가 절단되므로, 원하는 크기로 절단할 수 없으며, 또한 상기 누름판을 두부가 아닌 치즈, 푸딩 및 고형잼 등과 같은 소형식품을 포장하는 용기에 적용하기 어려우며, 적용시 제조대비 포장이 비효율적인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고형물 식품의 포장용기 및 절단방법에 대해 연구하던 중, 포장용기 내에 절단용 실이 포함하여 원하는 모양 및 크기로 절단할 수 있는 포장용기를 개발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공개 실용신안 실1999-0034479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1998-082703
본 발명의 목적은 절단기능을 갖는 고형물 식품 포장용기 및 이를 이용한 포장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부 바닥 및 측면 벽을 포함하는 하부 용기;
상기 하부 용기에 일단이 연결되어 있는 절단용 실; 및
상기 하부 용기를 덮는 상부 용기;를 포함하는 절단기능을 갖는 고형물 식품 포장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포장용기의 하부 용기에 고형물 식품을 위치시키되, 상기 고형물 식품을 위치시키기 전 포장용기에 포함되어 있는 절단용 실을 상기 포장용기 외부로 향하게 하는 단계(단계 1);
상기 절단용 실을 상기 고형물 식품 상부에 위치시키는 단계(단계 2);
상기 포장용기의 상부 용기로 상기 고형물 식품을 덮는 단계(단계 3); 및
상기 포장용기의 상부용기 및 하부용기를 밀봉하는 단계(단계 4);를 포함하는 고형물 식품의 포장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절단기능을 갖는 고형물 식품 포장용기는 고형물 식품을 섭취할 때 손에 묻히지 않고, 칼, 가위 및 막대 등과 같은 절단도구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식품을 간편히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 용기, 절단용 실 및 상부용기를 포함하는 포장용기를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로, 절단용 실이 연결된 면의 맞은 편 측면 벽이 없는 하부용기를 포함하는 포장용기를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가 형성된 하부용기 및 상기 돌출부에 연결된 절단용 실을 포함하는 포장용기를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로, 하부용기에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절단용 실을 포함하는 포장용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본 발명은
하부 바닥 및 측면 벽을 포함하는 하부 용기;
상기 하부 용기에 일단이 연결되어 있는 절단용 실; 및
상기 하부 용기를 덮는 상부 용기;를 포함하는 절단기능을 갖는 고형물 식품 포장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포장용기는 고형잼, 치즈 및 푸딩과 같은 고형물 식품을 포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형물 식품은 조리 없이 섭취가 가능하여 개봉하여 바로 섭취할 수 있는 식품으로 종래의 고형물 식품의 포장은 개별 포장, 종이 포장 및 얇은 합성수지를 포장에 이용하는 등 섭취 및 취급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포장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한편, 상기 고형물 식품을 낱개로 포장하는 방법 이외에는 사용시 식품을 절단하여 사용해야 하므로, 절단도구를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개별 포장의 경우 또한, 사용량을 조절하기 위해 절단해야 하는 경우 절단도구를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의 고형물 식품 포장용기는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한 포장용기로, 절단기능을 갖춰 손 및 다른 절단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고형물 식품을 손쉽게 섬취 및 취급이 가능한 포장용기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절단기능을 갖는 고형물 식품 포장용기를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단기능을 갖는 고형물 식품 포장용기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절단기능을 갖는 고형물 식품 포장용기는 하부 바닥(14) 및 측면 벽(11)을 포함하는 하부 용기(1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하부 용기(10)는 플라스틱으로 되어있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며, 식품을 담기에 유해하지 않은 재료가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하부 용기(10)는 판 상의 필름 또는 호일 형태일 수 있으며, 고형물 식품을 밀봉한 이후 상기 하부 용기(10)가 위로 향하도록 배치하여 보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용기(10)의 측면 벽(11)은 포장되는 고형물 식품을 고정시킬 수 있는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측면 벽(11)에 의해 상기 고형물 식품(40)이 이탈하거나 또는 절단되지 않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상기 측면 벽의 높이가 30mm 내지 1 cm 일 수 있다.
만약 상기 고형물 식품이 고정되지 않을 경우, 상기 포장용기를 개봉한 후 고형물 식품을 절단하기 위해 고형물 식품(40)을 상기 하부 용기에 놓을 때, 고형물 식품(40)이 상기 하부 용기(10)를 이탈하여 위생적이지 않은 바닥에 닿을 수 있는 문제가 발생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절단기능을 갖는 고형물 식품 포장용기는 상기 하부 용기(10)에 일단이 연결되어 있는 절단용 실(20)을 포함한다.
상기 절단용 실(20)로 고형물 식품(40)을 절단할 때, 상기 측면 벽(11)에 의해 아랫부분이 절단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 되지 않게 하기 위해 상기 측면 벽(11)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바닥의 3면만 형성될 수 있는데, 즉, 절단용 실(20)이 연결된 면의 맞은 편에는 측면 벽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단용 실(20)은 하부 용기(10)에 연결될 때 상기 절단용 실(20)의 일단을 하부용기에 고정 또는 이동되도록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절단용 실(20)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용기(10)의 측면 벽(11)에 연결하여 고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용기(10)에 형성된 돌출부(12)에 연결하여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며 하부 용기(10)의 모양 및 형태에 따라 연결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절단용 실은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동 가능하도록 하부 용기의 측면 벽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용기(10)의 측면 벽(11)을 원기둥 형태로 형성한 후 상기 절단용 실(20)을 연결하여, 상기 절단용 실(20)이 원기둥 형태의 측면 벽(13)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고형물 식품(40)을 움직이지 않고 상기 절단용 실(20)을 수평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고형물 식품(40)을 원하는 크기 및 모양으로 절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포장용기 밀봉 시, 상기 절단용 실을 고형물 식품(40) 상부에 놓이도록 한 후 밀봉함으로써, 상기 포장용기를 개방할 경우, 상기 절단용 실(20)을 바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용기를 개방한 후 절단용 실의 하부용기에 연결되지 않은 끝단을 잡아당겨 고형물 식품을 절단함으로써, 고형잼, 치즈, 푸딩과 같은 고형물 식품을 손에 묻히지 않고, 칼, 가위 및 막대 등과 같은 절단도구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섭취 또는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절단용 실(20)은 섬유소재의 실, 꼬임실, 나일론 소재의 낚시줄 및 스트링 소재의 와이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실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며, 식품을 절단하기에 무해하고, 고형물 식품을 자르기에 충분한 강도를 갖는 다른 실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절단기능을 갖는 고형물 식품 포장용기는 상기 하부 용기(10)를 덮는 상부 용기(30)를 포함한다.
상기 포장용기는 상기 하부 용기(10) 및 고형물 식품(40)을 덮는 상부 용기(30)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용기(30) 또한 플라스틱으로 되어있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며, 식품을 담기에 유해하지 않은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용기(30)의 측면은 하부용기 측면 벽의 외면과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포장용기는 상기 하부 용기(10) 및 상부 용기(30)의 둘레를 열 압착하여 밀봉될 수 있는데, 밀봉 전 상기 하부 용기(10)의 측면 벽(11)은 상기 하부 바닥(14)의 맨 끝 또는 그보다 내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측면 벽(11)에 의해 상부 용기(30)는 상기 하부 용기(10)에 끼워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포장용기의 하부 용기에 고형물 식품을 위치시키되, 상기 고형물 식품을 위치시키기 전 포장용기에 포함되어 있는 절단용 실을 상기 포장용기 외부로 향하게 하는 단계(단계 1);
상기 절단용 실을 상기 고형물 식품 상부에 위치시키는 단계(단계 2);
상기 포장용기의 상부 용기로 상기 고형물 식품을 덮는 단계(단계 3); 및
상기 포장용기의 상부용기 및 하부용기를 밀봉하는 단계(단계 4);를 포함하는 고형물 식품의 포장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절단기능을 갖는 포장용기를 이용한 고형물 식품의 포장방법을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형물 식품의 포장방법에 있어, 단계 1은 본 발명의 절단기능을 갖는 포장용기의 하부 용기에 고형물 식품을 위치시키되, 상기 고형물 식품을 위치시키기 전 절단용 실을 상기 포장용기 외부로 향하게 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하부 용기에 연결된 절단용 실이 고형물 식품 아래 놓이지 않도록, 상기 절단용 실을 외부로 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포장용기를 개봉한 이후, 상기 고형물 식품의 상부에 놓인 절단용 실을 바로 사용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고형물 식품은 상기 하부용기의 측면 벽에 의해 이탈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고, 하부 바닥의 3면에만 측면 벽이 형성된 하부 용기를 사용하여 측면 벽에 의해 아랫부분이 절단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형물 식품의 포장방법에 있어, 단계 2는 상기 포장용기에 포함되어 있는 절단용 실을 상기 고형물 식품 상부에 위치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상부 용기의 측면이 하부 용기 측면 벽의 외면과 밀착되기 때문에 상기 하부 용기의 측면 벽에 의해 상부 용기가 끼워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형물 식품의 포장방법에 있어, 단계 3은 상기 포장용기의 상부 용기로 상기 고형물 식품을 덮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 3은 상기 포장용기에 고형물 식품을 넣고 포장용기를 밀봉시키기 전 하부 용기 상부에 고형물 식품 및 절단용 실을 순서대로 넣고, 상부 용기를 덮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상부 용기는 상기 고형물 식품보다 같거나 높은 높이를 가져, 상기 고형물 식품을 덮을 수 있으며, 상기 절단용 실의 일단을 하부 용기에 연결한 후 고형물 식품 상부에 놓임으로써 상기 포장용기를 개방할 경우, 상기 절단용 실을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형물 식품의 포장방법에 있어, 단계 4는 상기 포장용기의 상부용기 및 하부용기를 밀봉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 4는 본 발명의 고형물 식품 포장용기를 밀봉하는 단계로, 고형잼, 치즈, 푸딩과 같은 고형물 식품을 넣고, 상기와 같이 포장하여 밀봉할 수 있으며, 상기 포장방법으로 상기 식품을 포장할 경우, 손에 묻히지 않고, 칼, 가위 및 막대 등과 같은 절단도구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섭취 또는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상부용기 및 하부용기는 둘레를 열 압착하여 밀봉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밀봉방법이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다음과 같은 단계를 통해 본 발명의 절단기능을 갖는 고형물 식품의 포장용기를 이용하여 고형 오디잼을 포장하였다.
단계 1: 가로 약 14.5 cm 및 세로 약 10.5 cm의 크기를 갖는 하부 바닥을 포함하며 3면의 측면에만 약 10 mm 높이의 벽이 형성된 플라스틱 하부 용기 및 가로 약 13.5 cm, 세로 약 9.5 cm 및 높이 약 4.5 cm를 갖는 플라스틱 상부 용기를 제조하였다.
단계 2: 상기 하부 용기의 측면 벽에 섬유소재의 절단용 실의 끝단을 고정하였다. 이때, 상기 절단용 실을 고정하는 측면 벽의 위치는 맞은편에 측면 벽이 형성되지 않은 측면 벽을 선택하였다.
단계 3: 상기 하부 용기의 내측에 고형 오디잼을 넣고, 상기 절단용 실을 상기 고형 오디잼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상부 용기로 상기 고형 오디잼을 덮었다.
단계 4: 상기 하부 용기 및 상부 용기의 둘레를 열 압착하여 밀봉하여 고형 오디잼을 포장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단계 2의 절단용 실의 일단을 하부 용기에 형성된 돌출부에 고정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본 발명의 절단기능을 갖는 고형물 식품의 포장용기를 이용하여 고형 오디잼을 포장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절단용 실이 연결되는 측면벽을 원기둥 형태로 제조하여 상기 절단용 실이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본 발명의 절단기능을 갖는 고형물 식품의 포장용기를 이용하여 고형 오디잼을 포장하였다.
10: 하부 용기
11: 측면 벽
12: 돌출부
13: 원기둥 형태의 측면 벽
14: 하부바닥
20: 절단용 실
30: 상부 용기
40: 고형물 식품

Claims (11)

  1. 하부 바닥 및 측면 벽을 포함하는 하부 용기;
    상기 하부 용기에 일단이 연결되어 있는 절단용 실; 및
    상기 하부 용기를 덮는 상부 용기;를 포함하는 절단기능을 갖는 고형물 식품 포장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용기는 상기 하부 용기 및 상부 용기의 둘레를 열 압착하여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기능을 갖는 고형물 식품 포장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용기 측면이 하부용기 측면 벽의 외면과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기능을 갖는 고형물 식품 포장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용기의 측면 벽은 포장되는 고형물 식품을 고정시킬 수 있는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기능을 갖는 고형물 식품 포장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용기는 상기 절단용 실이 연결된 면의 맞은 편에는 측면 벽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기능을 갖는 고형물 식품 포장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용 실은 하부 용기에 고정 또는 이동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기능을 갖는 고형물 식품 포장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용 실의 일단이 상기 측면 벽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기능을 갖는 고형물 식품 포장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용 실의 일단이 하부 용기에 형성된 돌출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기능을 갖는 고형물 식품 포장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용기는 상기 상부 용기를 개방한 후 절단용 실의 하부용기에 연결되지 않은 끝단을 잡아당겨 고형물 식품을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기능을 갖는 고형물 식품 포장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용 실(20)은 섬유소재의 실, 꼬임실, 나일론 소재의 낚시줄 및 스트링 소재의 와이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실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기능을 갖는 고형물 식품 포장용기.
  11. 제1항의 포장용기의 하부 용기에 고형물 식품을 위치시키되, 상기 고형물 식품을 위치시키기 전 포장용기에 포함되어 있는 절단용 실을 상기 포장용기 외부로 향하게 하는 단계(단계 1);
    상기 절단용 실을 상기 고형물 식품 상부에 위치시키는 단계(단계 2);
    상기 포장용기의 상부 용기로 상기 고형물 식품을 덮는 단계(단계 3); 및
    상기 포장용기의 상부용기 및 하부용기를 밀봉하는 단계(단계 4);를 포함하는 고형물 식품의 포장방법.
KR1020160073053A 2016-06-13 2016-06-13 절단기능을 갖는 고형물 식품 포장용기 및 이를 이용한 포장방법 KR101825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053A KR101825955B1 (ko) 2016-06-13 2016-06-13 절단기능을 갖는 고형물 식품 포장용기 및 이를 이용한 포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053A KR101825955B1 (ko) 2016-06-13 2016-06-13 절단기능을 갖는 고형물 식품 포장용기 및 이를 이용한 포장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0829A true KR20170140829A (ko) 2017-12-22
KR101825955B1 KR101825955B1 (ko) 2018-02-08

Family

ID=60936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3053A KR101825955B1 (ko) 2016-06-13 2016-06-13 절단기능을 갖는 고형물 식품 포장용기 및 이를 이용한 포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5955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31515B1 (ja) * 2007-01-24 2008-01-09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密封容器
KR100899024B1 (ko) * 2008-09-05 2009-05-21 송승민 케익용 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5955B1 (ko) 2018-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54940A (zh) 一种透气泡沫盒
KR101825955B1 (ko) 절단기능을 갖는 고형물 식품 포장용기 및 이를 이용한 포장방법
CN207550844U (zh) 一种透气泡沫盒
CN107777062A (zh) 一种鸭蛋包装盒
CN213293283U (zh) 一种高阻隔异形保鲜袋
KR20170018513A (ko) 에어 캡을 구비한 포장 봉지
KR101678493B1 (ko) 내용물 절단형 강선이 구비된 용기
KR102110092B1 (ko) 과일 포장 장치
ES1043237U (es) Recipiente de embalaje para productos alimenticios en forma de loncha especialmente lonchas de queso.
KR102013916B1 (ko) 국수 포장지 및 그의 제조 방법
CN207985712U (zh) 杨梅泡沫包装盒
JP2005047569A (ja) 生鶏卵の包装方法と包装容器
KR20100004813U (ko) 음식물 포장봉지
CN214801750U (zh) 大黄鱼活鱼包装袋
KR200449533Y1 (ko) 치즈를 보관하고 절단할 수 있는 장치
AU2004201271B2 (en) Bag Incorporating a Handle And Method For Forming Same
KR101381116B1 (ko) 식품 포장필름 절단장치
KR0178300B1 (ko) 버섯류의 포장방법
KR200496459Y1 (ko) 해충 침입 방지 음료수 용기
KR200319555Y1 (ko) 취급이 용이한 계란 포장용기
JP2713945B2 (ja) 食品容器の包装方法
KR200416137Y1 (ko) 절개용띠가 구비된 포장재
KR20170001441U (ko) 김밥 용기
KR200345650Y1 (ko) 한과 포장대
KR20170006708A (ko) 김 절단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