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8513A - 에어 캡을 구비한 포장 봉지 - Google Patents

에어 캡을 구비한 포장 봉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8513A
KR20170018513A KR1020150112230A KR20150112230A KR20170018513A KR 20170018513 A KR20170018513 A KR 20170018513A KR 1020150112230 A KR1020150112230 A KR 1020150112230A KR 20150112230 A KR20150112230 A KR 20150112230A KR 20170018513 A KR20170018513 A KR 20170018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ap
sealed
packaging bag
open
cust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2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성실
이정빈
김소진
Original Assignee
곽성실
김소진
이정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성실, 김소진, 이정빈 filed Critical 곽성실
Priority to KR1020150112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8513A/ko
Publication of KR20170018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85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61Flexible 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 B65D81/3266Flexible 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separated by a common rupturable seal, a clip or other removable fasten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식품 및 물품이 내측에 포함되어 밀봉된 포장 봉지를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는 수단으로 밀봉된 포장 봉지의 일측 또는 양측에 에어 캡이 형성된다. 에어 캡의 일측은 가스가 빠지지 않도록 밀봉되어 있고, 타측은 내측에 식품 및 물품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주입된 가스가 에어 캡에 인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다. 밀봉된 포장 봉지를 개봉하기 위해 에어 캡의 개방측에서 밀봉측 방향으로 밀어올려 줌으로써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며 밀봉된 포장 봉지의 일부분이 개봉된다. 이렇게 일부분 개봉된 봉지를 잡아당겨 줌으로 큰 힘을 들이지 않고 밀봉된 포장 봉지를 개봉할 수 있도록 한다.
위 방법을 응용하여 포장봉지에 내용물 이외의 별도의 공간을 만들어 제과와 잘 어울리는 소스를 넣을 수 있게 한다면 두 공간에 서로 다른 종류의 조미료를 넣어 소비자가 원하는 맛을 선택하게 하거나 혹은 같은 종류의 조미료를 양을 달리 넣어 원하는 만큼의 양을 선택하게 하는 등 소비자에 입맛에 맞출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 캡을 구비한 포장 봉지{Packaging bag with a air cap}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질소가스를 이용한 포장 봉지 단부의 에어 캡을 바깥 방향으로 터뜨려 힘을 들이지 않고 간편하게 개봉하게 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질소가스를 이용한 포장 봉지는 포장 시 질소가스를 충전하여 밀봉하므로 내부 산소가 제거되어 제품의 산화반응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질소가스를 충전하여 밀봉하는 방식의 봉지는 과자 등의 식품포장에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이 종류의 봉지는 대개 주름선을 이용하여 찢는 방법과 봉지 중앙의 양쪽을 잡아당겨 뜯는 방법으로 개봉한다.
주름선을 이용하여 찢는 방법을 채용하면 밀폐보관이 어렵고 개봉 시 내용물을 흘릴 수 있다는 불편함이 있다.
또, 봉지 중앙의 양쪽을 잡아당겨 뜯는 방법을 채용하면 위 방법의 불편함은 해결되지만 개봉 시 상당한 악력이 필요해 쉽게 개봉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등록실용신안 20-0452060, 한국공개특허 10-2004-0025490, 한국등록실용신안 20-2000-002673 에서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없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452060 호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 10-2004-0025490 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2000-0026739 호
본 발명의 목적은 추가적인 부속물을 설치하지 않고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는 포장 봉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식품 및 물품이 내측에 포함되어 있어 질소 포장된 포장지의 개봉이 용이한 포장봉지에 있어서, 밀봉된 포장지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는 에어 캡으로 상기 에어 캡의 일측은 가스가 빠지지 않도록 밀봉되어 있고, 타측은 내측에 식품 및 물품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주입된 가스가 에어 캡에 인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다. 상기 포장지의 내측으로부터 에어 캡에 외측 방향으로 가스를 가입시키고, 상기 가스가 외측으로 방출되며 형성되는 개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이 용이한 포장봉지를 이용하여 기존의 상당한 압력을 요구하는 문제를 해결했다.
본 발명의 장점은 별도의 부속물 없이 구조를 변형하여 포장 봉지, 그리고 이와 유사한 형태의 비닐 패키지를 종래의 형태보다 쉽게 개봉할 수 있다는 점이다. 추가적인 부속물이 없기 때문에 제품 제작 시 추가되는 비용 또한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본 발명을 응용하여 하나의 공간에 서로 다른 종류의 소스를 넣을 수 있게 하는 등 소비자의 입맛에 맞춘 새로운 구조들을 만들어 낼 수 있다.
도1 : 종래기술 실시 예의 개략적인 도면
도2 :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개략적인 도면
도3 : 본 발명의 다른 예의 개략적인 도면
도 1에는 종래기술 실시 예의 개략적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과자 봉지를 비롯한 기존의 식품 및 물품 포장봉지로 사용되는 비닐 패키지나, 알루미늄 호일 패키지들은 도 1의 접합부(101)와 같이 식품 및 물품 포장봉지 상단 부분이 압착되어 있다. 그리고 내부에는 형태를 유지하고 내부 포장물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공기 또는 질소 가스가 충진되어 있다.
이러한 포장지는 개방이 용이하지 않아 뜯는 과정에서 무리한 힘을 가하게 되거나, 포장지를 뜯으면서 가한 힘에 의해 과자가 흩어지거나 쏟아지는 불편함이 있어 상당한 주의를 필요로 했다.
도 2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포장 봉지(200) 상단의 접합부(201)에 에어 캡(211)이 설치되어 있고, 접합부(201)는 내부 가스와 통하도록 되어있는 개방부(211b)와 외부와는 차단되어 있는 차단부(211a)로 구성된 에어 캡(211)을 제외한 부분에 압착을 시도하였다. 그러므로 압착되지 않은 에어 캡(211) 부분이 봉지 내부 가스(공기 또는 질소 가스)에 의해 내부와 연결된 개방부(211b)를 통해 부풀어 오를 수 있다.
손가락으로 도 2의 개방부(211b)를 시작으로 하여 차단부(211a)까지 누르면 에어 캡(211) 부분의 안에 있던 가스가 봉지 밖으로 나가려 하면서 압착되어있던 차단부(211a)의 외측이 개봉된다. 이후에는 기존의 방법과 마찬가지로 양손을 이용해 양쪽으로 잡아당겨 마저 봉지를 개봉한다. 손가락으로 누르는 힘이 크지는 않지만 바깥 둥근 모서리 쪽으로 집중되기 때문에 어린아이라도 어렵지 않게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첨가물이 필요한 경우, 도 3처럼 포장 봉지(300) 하단 또는 측면에 또 다른 접합부(302)를 사용하여 하나 혹은 하나 이상의 별도의 공간, 예를 들어 첨가물 수용부(320)을 만든다. 포장봉지(300)와 첨가물 수용부(320) 사이에 형성된 접합부(302)에는, 각각 포장 봉지(300)와 첨가물 수용부(320) 사이에 에어 캡(321,322)을 설치한다. 첨가물을 추가할 경우, 포장 봉지(300)와 첨가물이 들어있는 공간 사이의 에어 캡(321,322)을 터뜨려 개봉하여 내용물을 혼합하고 포장 봉지(300) 상단의 접합부(301)에 위치한 에어 캡(311)을 터뜨려 개봉한다.
이 경우에도 에어캡은 포장 봉지(300)의 내부로부터 공기나 질소를 이용해 외부로 힘이 가해지도록 공기나 질소 등의 가스가 들어있는 쪽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소스 등을 주입하기 위한 별도 공간이 형성된 첨가물 수용부(320)쪽에 차단부가 형성된다. 가스가 주입된 본체 쪽에서 개방부를 통해 주입된 가스를 첨가물 수용부(320)쪽으로 밀어 차단부를 개방시킨 후, 소스나 조미료 등의 첨가물과 과자 등을 섞을 수 있다.
여러 첨가물 중 소비자가 원하는 종류의 첨가물을 추가하거나 혹은 같은 종류의 첨가물의 경우 원하는 만큼의 양 조절이 가능하도록 선택할 수 있게 하였다.
본 발명의 에어 캡 모양은 물방울, 다이아몬드, 타원형, 하트 형, 원형 등 다양할 수 있다.
100,200,300 : 포장 봉지
101,201,301,302 : 접합부
211,311,321,322 : 에어 캡
211a : 차단부
212b : 개방부
320 : 첨가물 수용부

Claims (2)

  1. 식품 및 물품이 내측에 포함되어 있어 질소 포장된 포장지의 개봉이 용이한 포장봉지에 있어서, 밀봉된 포장지의 일측 또는 양측에 에어 캡(2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에어 캡의 일측은 가스가 빠지지 않도록 밀봉되어 있는 차단부(211a)가, 타측은 내측에 식품 및 물품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주입된 가스가 에어 캡에 인입될 수 있도록 개방부(211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봉지.
  2. 제 1항에 있어서, 접합부(301)에 에어 캡(311)이 형성된 반대 편 또는 측면에 첨가물을 수용하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첨가물 수용부(320)를 포함하고, 포장 봉지(300)와 첨가물 수용부(320) 사이의 접합부(302)에 에어 캡(321,322)이 추가로 형성된 포장봉지.
KR1020150112230A 2015-08-10 2015-08-10 에어 캡을 구비한 포장 봉지 KR201700185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2230A KR20170018513A (ko) 2015-08-10 2015-08-10 에어 캡을 구비한 포장 봉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2230A KR20170018513A (ko) 2015-08-10 2015-08-10 에어 캡을 구비한 포장 봉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8513A true KR20170018513A (ko) 2017-02-20

Family

ID=58265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2230A KR20170018513A (ko) 2015-08-10 2015-08-10 에어 캡을 구비한 포장 봉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851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9994B1 (ko) * 2018-11-14 2019-11-28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설탕 투입량 조절이 가능한 커피믹스 봉투
KR20200135616A (ko) 2019-05-23 2020-12-03 김태형 재활용이 용이한 에어캡 백 및 그 제조장치
KR20230068224A (ko) 2021-11-10 2023-05-17 소현정 밀폐력이 향상된 식품용 포장봉투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6739A (ko) 1998-10-22 2000-05-15 김철병 밀폐식 가스보일러용 안전장치
KR20040025490A (ko) 2002-09-19 2004-03-24 정용석 개봉이 용이한 포장봉지
KR200452060Y1 (ko) 2008-10-15 2011-02-01 씨앤텍 주식회사 가압 개방형 합성수지제 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6739A (ko) 1998-10-22 2000-05-15 김철병 밀폐식 가스보일러용 안전장치
KR20040025490A (ko) 2002-09-19 2004-03-24 정용석 개봉이 용이한 포장봉지
KR200452060Y1 (ko) 2008-10-15 2011-02-01 씨앤텍 주식회사 가압 개방형 합성수지제 백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9994B1 (ko) * 2018-11-14 2019-11-28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설탕 투입량 조절이 가능한 커피믹스 봉투
KR20200135616A (ko) 2019-05-23 2020-12-03 김태형 재활용이 용이한 에어캡 백 및 그 제조장치
KR20230068224A (ko) 2021-11-10 2023-05-17 소현정 밀폐력이 향상된 식품용 포장봉투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08793B2 (en) Flexible container for pourable product
KR20170018513A (ko) 에어 캡을 구비한 포장 봉지
CN106573697B (zh) 零食食品容器
US11425921B2 (en) Dried food fresh-keeping packaging bag structure
KR101686027B1 (ko) Diy 김치 배송방법 및 이를 위한 diy 김치 포장용 용기
KR20210128337A (ko) 이종의 물품을 분리된 공간에 저장하는 비닐 포장지
US2529837A (en) Double compartment nesting band package
KR200464219Y1 (ko) 세트 포장이 가능한 롤 형태의 연결 지퍼백 구조
KR20100004813U (ko) 음식물 포장봉지
CN207107304U (zh) 软包装袋
CN205819789U (zh) 一种甜品包装盒
TWM503390U (zh) 具有排氣功能之盒
CN214453333U (zh) 一种可推拉式包装铁盒
CN214650275U (zh) 一种菜料包
RU91327U1 (ru) Упаковка для набора из кондитерского изделия и употребляемого совместно с ним продукта
CN216402444U (zh) 一种贴合型包装纸盒
CN212922623U (zh) 一种外卖打包用塑料袋
JPH11301746A (ja) 分配包装体
KR101557673B1 (ko) 휴대용 티백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01954U (ko) 식품 포장용 파우치
CN207467144U (zh) 包装盒
KR20100007262U (ko) 번들 타입 파우치 구조
KR200345650Y1 (ko) 한과 포장대
CN201056375Y (zh) 一种含气体吸收和气体发生剂容器的食品包装
KR101752607B1 (ko) 개봉이 용이한 파우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