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0745A - 김장매트 및 그 김장매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김장매트 및 그 김장매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0745A
KR20170140745A KR1020160073454A KR20160073454A KR20170140745A KR 20170140745 A KR20170140745 A KR 20170140745A KR 1020160073454 A KR1020160073454 A KR 1020160073454A KR 20160073454 A KR20160073454 A KR 20160073454A KR 20170140745 A KR20170140745 A KR 20170140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
bottom plate
plate
mat
kimch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3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진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진테크
Priority to KR1020160073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40745A/ko
Publication of KR20170140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07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4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the materials being non-metallic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장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김장매트를 제작함에 있어, 바닥판과 측판의 연결시 봉제구멍이 없이 연결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별도의 방수포 등의 덧대임 없이 단겹 구조를 이루면서도 방수기능을 갖는 김장매트의 제작이 가능하게 되는 등 자재의 절감과 제작상의 편리함을 가져오게 하며, 또한, 부피를 축소시켜 사용상의 편리함과 보관상의 편리함을 가져오는 등 그 취급이 매우 편리하게 하기 위한 김장매트 및 그 김장매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김장매트 및 그 김장매트 제조방법{Mat for making kimch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김장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수성능의 향상을 가져오면서도 제작상의 편리함을 가져오며, 특히 원단의 절감으로 인한 원가의 절감을 가져오게 하기 위한 김장매트 및 그 김장매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김장은 김치를 담가 먹기 곤란한 겨울을 위해 겨우내 먹을 수 있는 김치를 한목에 담가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김장을 위해서는 대표적으로 배추나 무를 포함한 다양한 야채류가 사용된다.
한편, 이러한 김장을 수행시에는 많은량의 김치를 담그는 것인바, 비교적 넓은 면적에서 대량의 재료를 이용하여 수행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재료들에는 상당량의 수분이 포함되어 있는 것인바, 이러한 수분 및 양념으로부터 주변을 보호하기 위해 비닐이나 천막 등의 깔판을 바닥에 깔고 그 위에서 김장을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깔판은 그 높이가 없는 평평한 형태를 이루는 것인바, 수분이 외부로 흘러 주변을 더럽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근자에 들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실용신안공개 제20-2016-0001459호와 같이 넓은 바닥판을 이루고 그 바닥판의 둘레에는 일정한 높이를 이루는 측판이 형성된 거대한 용기 형태의 김장매트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김장매트는, 제작시 바닥판과 측판을 봉제하여 연결하여 구성하는 것인바, 그 봉제부의 봉제구멍을 통해 수분이 소통되는 등 가장 중요한 방수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김장매트의 내부에 별도의 방수포를 한겹 더 형성하여 방수기능을 부가하게 되는 것인바, 이러한 구조는 김장매트 제작에 따른 자재의 증가와 제작상의 난해함으로 인한 제작단가의 증가를 가져왔으며, 이에 불가피하게 김장매트의 판매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중겹 구조를 이루는 특성상 사용상의 번거로움과 불가피하게 부피가 확대되는 등 그 보관시에도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실용신안공개 제20-2016-000145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김장매트를 제작함에 있어, 바닥판과 측판의 연결시 봉제구멍이 없이 연결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별도의 방수포 등의 덧대임 없이 단겹 구조를 이루면서도 방수기능을 갖는 김장매트의 제작이 가능하게 되는 등 자재의 절감과 제작상의 편리함을 가져오게 하기 위한 김장매트 및 그 김장매트 제조방법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부피를 축소시켜 사용상의 편리함과 보관상의 편리함을 가져오는 등 그 취급이 매우 편리하게 하기 위한 김장매트 및 그 김장매트 제조방법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합성수지재 원단으로 구성된 바닥판; 및
바닥판과 동일한 원단으로 구성되며, 바닥판의 주변에 중첩된 상태로 초음파 융착되어 연결 형성되고, 바닥판의 둘레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측판;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측판의 상단에는 측판의 둘레 형상을 유지하는 심재가 더 포함되게 구성하며,
합성수지재로 된 원단을 재단하여 바닥판을 얻는 바닥판 제작공정;
합성수지재로 된 원단을 바닥판의 둘레보다 긴 길이로 재단하여 "띠" 형태를 이루고, 상단에는 심재가 형성된 측판을 얻는 측판 제작공정; 및
제작된 측판의 폭방향을 높이로 하여 그 하부를 바닥판의 주변에 중첩시킨 상태에서 바닥판과 측판의 중첩부와 측판의 양측 중첩부에 초음파를 가해 융착시키는 초음파 융착공정을 수행하되,
초음파 융착공정은,
제작된 측판의 하부가 바닥판의 주변과 중첩되게 한 상태에서 측판의 길이방향 시작지점으로부터 바닥판의 둘레를 따라 중첩부에 초음파를 가해 초음파 융착을 수행하는 제1 융착공정; 및
바닥판과 측판의 하부가 초음파 융착된 상태에서, 측판의 길이방향 양단을 중첩시킨 상태에서 측판의 중첩부에 초음파를 가해 초음파 융착을 수행하여 측판을 링 형태로 만드는 제2 융착공정을 수행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김장매트 및 그 김장매트 제조방법는, 바닥판과 측판을 연결시 초음파 융착을 통해 연결이 가능하여 연결부에 대한 미세한 틈새까지도 완전히 차단이 가능하게 되는 등 방수성능이 현격히 향상되면서도 별도의 추가 자재가 요구되지 않아 자재의 절감과 제작상의 편리함으로 인한 제작단가의 절감 및 이에 따른 판매단가의 하락을 가져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단일겹을 이루는 특성상 구조적으로 매우 간소화되어 사용상 매우 편리하며, 특히 사용된 김장매트를 보관함에 있어 부피가 축소되어 보관이 매우 편리하게 되는 등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김장매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김장매트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김장매트의 심재를 나타낸 실시예도.
도 4는 본 발명 김장매트의 다른 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 김장매트 제조방법의 전체 공정도.
도 6은 본 발명 김장매트 제조방법의 바닥판 제작공정 간략도.
도 7은 본 발명 김장매트 제조방법의 측판 제작공정 간략도.
도 8은 본 발명 김장매트 제조방법의 측판 제작공정 실시예도.
도 9는 본 발명 김장매트 제조방법의 초음파 융착공정의 제1 융착공정 간략도.
도 10은 본 발명 김장매트 제조방법의 초음파 융착공정의 제2 융착공정 간략도.
도 11은 본 발명 김장매트 제조방법의 측판 보강공정 간략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김장매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김장매트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김장매트(1)는, 바닥판(100)과 측판(20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바닥판(100)은, 김장매트(1)의 바닥을 이루어 김장재료로부터 바닥을 보호하게 구성된다.
이때, 바닥판(100)은, 무독성 합성수지재 원단으로 구성된 것으로, 본 발명에 적용되는 합성수지로는 PE타포린재를 적용함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바닥판(100)은, 그 형상에 있어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원형이나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원형 형태로 구성한다.
상기 측판(200)은, 바닥판(100)의 둘레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벽을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바닥판(100)에 놓여지는 김장재료 및 수분이 바닥판(100)을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게 구성되며, 바닥판(100)과 동일한 PE타보포재로 구성된다.
이때, 측판(200)은, 그 하부가 바닥판(100)의 주변에 중첩된 상태에서 초음파 융착에 의해 접합 연결되게 구성된 것으로, 연결부에 대한 틈새가 방지되어 방수 기능이 부여되게 구성된다.
즉, 본 발명 김장매트(1)는, 바닥판(100)과 그 바닥판(100)의 둘레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된 측판(200)을 통해 상부 개방형 용기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다.
한편, 측판(200)에는, 그 상단에 측판(200)의 둘레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심재(210)가 더 포함되게 구성된 것으로, 그 심재(210)를 통해 김장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측판(200)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때, 심재(210)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가능한 것으로, 먼저 도 3의 (a)와 같이 자유 절곡형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 중 어느 하나로 된 와이어(211)로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와같이 자유 절곡형으로 구성시에는 김장을 수행하는 사람의 편의에 따라 측판(200)의 외형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심재(210)를 와이어(211)로 구성시에는, 보관시 자유롭게 절곡하여 접어 보관 가능하게 되며, 사용시 용기 형상으로 펼쳐 사용 가능하게 된다.
또한, 심재(210)는, 도 3의 (b)와 같이 탄성을 가지는 스프링 와이어(212)로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와같이 탄성을 가지게 구성시에는 측판(200)이 항시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여 김장재료 및 수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심재(210)를 스프링 와이어(212)로 구성시에는, 보관시 자유롭게 절곡하여 접은 상태에서 외력이 부여된 상태로 가방 등에 보관 가능하고, 사용시 외력을 해제하게 되면 스프링 와이어(212)의 탄성에 의해 용기 형태로 자동 전개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심재(210)는, 도 3의 (c)와 같이 유연성을 가지는 섬유사가 엮어져 된 로프(213)로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와같이 유연성을 가지게 구성시에는 김장을 수행하는 사람의 편의에 따라 측판(200)의 외형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심재(210)를 로프(212)로 구성시에는, 보관시 자유롭게 절곡하여 접어 보관 가능하게 되며, 사용시 용기 형상으로 펼쳐 사용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 김장매트(1)를 구성함에 있어 다른 실시예로, 도 4의 도시와 같이 측판(200)의 외측에 측판(200)의 높이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수직 형태의 보강 와이어(310)가 더 포함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보강 와이어(310)는, 바닥판(100) 및 측판(200)과 동일한 재질의 보강지(300)로 감싸진 형태를 이루게 구성되며, 측판(200)의 둘레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구성되되, 측판(200)이 원형을 이룰시에는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고, 사각형 등 다각형상을 이룰시에는 각각의 모서리에 해당하게 형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보강 와이어(310)는, 자유 절곡형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으로, 외력을 부여하여 절곡 또는 직선 형태로의 가변이 가능한 것으로, 이러한 절곡력에 의해 측판(20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김장매트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도 5는 본 발명 김장매트 제조방법의 전체 공정도이다.
도 5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김장매트(1)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바닥판 제작공정(S100)과, 측판 제작공정(S200)과, 초음파 융착공정(S300)을 수행하여 된다.
먼저, 바닥판 제작공정(S100)은,
합성수지재로 된 원단(10)을 재단하여 김장매트(1)의 바닥면에 해당하는 바닥판(100)을 얻기 위한 공정으로, 도 6의 도시와 같이 제조하고자 하는 김장매트의 형상에 따라 원형이나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재단하면 된다.
이때, 상기 바닥판(100)을 얻기 위한 원단(10)은, 무독성 PE타포린재를 적용함이 바람직하며, 원단(10)을 재단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프레스를 이용한 타발이나 가위나 칼 등을 이용하여 재단 가능할 것이다.
측판 제작공정(S200)은,
바닥판(100)과 동일한 합성수지재로 된 원단(10)을 재단하여 김장매트(1)의 측벽에 해당하는 측판(200)을 얻기 위한 공정으로, 도 7의 도시와 같이 이때 측판(200)은 바닥판(100)의 둘레보다는 긴 길이를 이루면서 김장매트(1)의 높이에 해당하는 폭으로 재단하면 되며, 재단된 측판(200)은 "띠"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측판(200)을 얻기 위한 원단(10)은, 무독성 PE타포린재를 적용함이 바람직하며, 원단(10)을 재단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프레스를 이용한 타발이나 가위나 칼 등을 이용하여 재단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측판 제작공정(S200)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측판(200)의 상단에 측판(200)의 둘레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심재(210)를 형성하기 위한 심재 형성공정(S210)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심재 형성공정(S210)은,
도 8의 도시와 같이 재단된 측판(200)의 외측 상부에 심재(210)를 둔 상태에서 그 측판(200)의 상부를 접어 심재(210)를 수용시키면 된다.
이후, 접혀진 측판(200)의 상부를 고정하되, 이는 접혀진 측판(200)의 상부를 측판(200)의 외측에 중첩시킨 상태에서 그 중첩부(40)에 열을 가해 열융착을 수행하면 되는 것으로, 심재(210)의 구속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 적용되는 심재(210)는, 자유 절곡형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 중 어느 하나로 된 와이어(211)로 구성하거나, 탄성을 가지는 스프링 와이어(212)로 구성하거나, 유연성을 가지는 로프(213) 중 어느 하나로 적용할 수 있다.
초음파 융착공정(S300)은,
상기에서 얻어진 바닥판(100)과 측판(200)을 연결하여 김장매트(1)를 완성하기 위한 공정으로, 이를 위해서는 제작된 바닥판(100)과 측판(200)을 중첩시킨 상태에서 초음파를 가해 바닥판(100)과 측판(200)을 융착 접합하면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바닥판(100)에 측판(200)을 접합하기 위한 초음파 융착은 제1 융착공정(S310)과, 제2 융착공정(S320)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가능하게 된다.
이때, 제1 융착공정(S310)은,
도 9의 도시와 같이 제작된 측판(200)의 하부가 바닥판(100)의 주변과 중첩되게 한 상태에서 측판(200)의 길이방향 시작지점으로부터 바닥판(100)의 둘레를 따라 중첩부(20)에 초음파를 가해 바닥판(100)과 측판(200)의 초음파 융착을 수행하면 되는 것으로, 이러한 초음파 융착에 의해 바닥판(100)가 측판(200)의 접합이 가능하게 된다.
이후, 제2 융착공정(S320)은,
상기와 같이 제1 융착공정(S310)이 수행되면, 바닥판(100)과 측판(200)의 접합이 이루어지는 한편, 측판(200)의 양단은 분리된 개방 상태를 이루게 되는 것인바, 그 분리된 측판(200)을 연결하게 된다.
즉, 도 10의 도시와 같이 바닥판(100)과 측판(200)의 하부가 초음파 융착되어 접합된 상태에서, 측판(200)의 양단을 중첩시키고, 그 중첩된 중첩부(30)에 초음파를 가해 초음파 융착을 수행하면 되는 것으로, 이러한 초음파 융착에 의해 측판(200)은 링 형태를 이루어 김장매트 둘레가 완전 폐쇄되어 도 1 및 도 2의 도시와 같이 김장매트(1)를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조된 김장매트(1)에 대하여 측판(200)을 사용시 그 높이 형상의 유지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측판 보강공정(S400)에 의해 가능하다.
이때 측판 보강공정(S400)은,
도 11의 도시와 같이 먼저, 측판(200)의 높이를 넘지 않는 길이를 가지는 다수의 보강 와이어(310)를 구비하되, 이때 보강 와이어(310)는 자유 절곡형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 와이어(310)를 형성하기 위한 보강지(300)를 구비하되, 이때 보강지는 바닥판(100)과 측판(200)과 동일한 재질로 구성된다.
이에, 각각의 보강 와이어(310)를 측판(200)의 외측에 수직으로 접하게 한 상태에서 보강지(300)를 덮어 보강 와이어(310)를 구속시키면 되며, 이후, 그 덮어진 보강지(300)와 측판(200)에 초음파를 가해 초음파 융측을 수행함으로 측판(200)과 보강지(300)의 접합을 통한 보강 와이어(310)의 형성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보강 와이어(310)는, 측판(200)의 둘레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형성함으로 측판(200)의 고른 지지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초음파 융착은, 새롭게 구현되는 것이 아니고 통상의 전기적에너지를 진동자를 통해 기계적 진동에너지로 변환한 후, 혼을 통해 가공물에 순간적으로 강력한 마찰열을 발생시켜 접합을 수행하는 것이면 가능할 것이며, 열융착은, 통상의 열과 압력을 가해 접합을 수행하는 것이면 가능할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롤링 가압(도면중 미도시함)에 의한 초음파 및 열 융착 방식의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김장매트 및 그 김장매트 제조방법은, 그 김장매트를 이루는 바닥판과 측판이 통상의 봉제방법이 아닌 초음파 융착에 의한 접합을 통해 연결함으로 봉제공과 같은 틈새가 발생하지 않아 방수성능의 향상을 가져오게 되며, 특히 단일겹을 이루는 김장매트의 제작이 가능하여 원가의 절감과 공정상의 단순화를 통해 제작단가의 하락을 가져올 수 있게 된다.
10 : 원단 20,30,40 : 중첩부
100 : 바닥판 200 : 측판
210 : 심재 211 : 와이어
212 : 스프링 와이어 213 : 로프
300 : 보강지 310 : 보강 와이어
S100 : 바닥판 제작공정 S200 : 측판 제작공정
S210 : 심재 형성공정 S300 : 초음파 융착공정
S310 : 제1 융착공정 S320 : 제2 융착공정
S400 : 측판 보강공정

Claims (6)

  1. 합성수지재 원단으로 구성된 바닥판(100); 및
    바닥판(100)과 동일한 원단으로 구성되며, 바닥판(100)의 주변에 중첩된 상태로 초음파 융착되어 연결 형성되고, 바닥판(100)의 둘레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측판(200);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측판(200)의 상단에는 측판(200)의 둘레 형상을 유지하는 심재(210)가 더 포함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김장매트.
  2. 제 1항에 있어서,
    심재(210)는,
    자유 절곡형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 중 어느 하나로 된 와이어(211)로 구성하거나,
    탄성을 가지는 스프링 와이어(212)로 구성하거나,
    유연성을 가지는 로프(213)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김장매트.
  3. 제 1항에 있어서,
    측판(200)의 외측에는,
    측판(200)의 높이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보강지(300)로 감싸진 보강 와이어(310)가 더 포함되게 구성하되,
    보강 와이어(310)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하며,
    측판(200)의 외측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김장매트.
  4. 합성수지재로 된 원단(10)을 재단하여 바닥판(100)을 얻는 바닥판 제작공정(S100);
    합성수지재로 된 원단(10)을 바닥판(100)의 둘레보다 긴 길이로 재단하여 "띠" 형태를 이루고, 상단에는 심재(210)가 형성된 측판(200)을 얻는 측판 제작공정(S200); 및
    제작된 측판(200)의 폭방향을 높이로 하여 그 하부를 바닥판(100)의 주변에 중첩시킨 상태에서 바닥판(100)과 측판(200)의 중첩부(20)와 측판(200)의 양측 중첩부(30)에 초음파를 가해 융착시키는 초음파 융착공정(S300)을 수행하되,
    초음파 융착공정(S300)은,
    제작된 측판(200)의 하부가 바닥판(100)의 주변과 중첩되게 한 상태에서 측판(200)의 길이방향 시작지점으로부터 바닥판(100)의 둘레를 따라 중첩부(20)에 초음파를 가해 초음파 융착을 수행하는 제1 융착공정(S310); 및
    바닥판(100)과 측판(200)의 하부가 초음파 융착된 상태에서, 측판(200)의 길이방향 양단을 중첩시킨 상태에서 측판(200)의 중첩부(30)에 초음파를 가해 초음파 융착을 수행하여 측판(200)을 링 형태로 만드는 제2 융착공정(S320)을 수행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김장매트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측판 제작공정(S200)에서,
    측판(200)의 상단에 측판(200)의 둘레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심재(210)를 형성하는 심재 형성공정(S210)을 더 수행하되,
    심재 형성공정(S210)은,
    측판(200)의 외측 상부에 심재(210)를 둔 상태에서 그 상부를 접어 심재(210)를 수용시킨 상태에서, 그 접힌 중첩부(40)에 열을 가해 열융착을 수행하여 심재(210)를 구속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김장매트 제조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측판(200)의 외측에 측판(200)의 높이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측판 보강공정(S400)을 더 포함하여 수행하되,
    측판 보강공정(S400)은,
    측판(200)의 높이를 넘지 않는 길이를 가지는 자유 절곡형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 중 어느 하나로 된 다수의 보강 와이어(310)를 측판(200)의 외측에 수직으로 접한 상태에서 바닥판(100) 및 측판(200)과 동일한 재질로 된 보강지(300)를 덮어 보강 와이어(310)를 구속 및 측판(200)과 보강지(300)를 초음파를 가해 초음파 융착하되,
    보강 와이어(310)는, 측판(200)의 둘레에서 일정한 간격을 이루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김장매트 제조방법.
KR1020160073454A 2016-06-13 2016-06-13 김장매트 및 그 김장매트 제조방법 KR201701407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454A KR20170140745A (ko) 2016-06-13 2016-06-13 김장매트 및 그 김장매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454A KR20170140745A (ko) 2016-06-13 2016-06-13 김장매트 및 그 김장매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0745A true KR20170140745A (ko) 2017-12-21

Family

ID=60936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3454A KR20170140745A (ko) 2016-06-13 2016-06-13 김장매트 및 그 김장매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4074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4300B1 (ko) * 2021-02-02 2021-08-25 남용숙 다용도 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4300B1 (ko) * 2021-02-02 2021-08-25 남용숙 다용도 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98746A (en) Carrying case
US4857374A (en) Structurally strong, non vapor, non moisture absorbing, spa/hot tub cover
KR20170140745A (ko) 김장매트 및 그 김장매트 제조방법
JP2013544981A (ja) 丸められるサンバイザー
US4590715A (en) Tarpaulin edge-finished for single line tie-down
KR20170023673A (ko) 방수팩
KR200481607Y1 (ko) 김장매트
KR200471767Y1 (ko) 커버캡을 가진 캔용기
US6110312A (en) Process of making a seal and apparatus for sealing doublewide manufactured homes
JP5327196B2 (ja) 包装装置
JP3762682B2 (ja) 釣り用バケツ
KR200481179Y1 (ko) 발팩
WO2008038891A1 (en) Fruit wrap
CA2956020C (en) Sheeting for covering an object
JP6116742B1 (ja) ポータブル多機能槽
JP6516379B2 (ja) 収容袋及び収容袋の製造方法
JPS62150310U (ko)
KR101740245B1 (ko) 다용도 매트
JPS6330312Y2 (ko)
CN101192476A (zh) 物体的接触型传感器
JP2010149890A (ja) レジ籠袋
JP3015594U (ja) 釣用容器
JPS6024317Y2 (ja) 糸巻付き裁縫箱
JPS6324094Y2 (ko)
JPS63830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037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123

Effective date: 2018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