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0245B1 - 다용도 매트 - Google Patents

다용도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0245B1
KR101740245B1 KR1020160014607A KR20160014607A KR101740245B1 KR 101740245 B1 KR101740245 B1 KR 101740245B1 KR 1020160014607 A KR1020160014607 A KR 1020160014607A KR 20160014607 A KR20160014607 A KR 20160014607A KR 101740245 B1 KR101740245 B1 KR 101740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support plate
edge
frame
r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4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수
김영숙
Original Assignee
김기수
김영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수, 김영숙 filed Critical 김기수
Priority to KR1020160014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02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0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0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4/00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 E04H4/0018Easily movable or transportable swimming pool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01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everal cushions, mattresses or the like, to be put together in one cov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02Mattress or cushion ticking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1Mattresses
    • A47D15/003Mattresses foldable, e.g. baby ma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3/00Devices allowing competitions between several pers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p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용도 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방수 원단 재질로 제작된 바닥 시트와 테두리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 시트와 상기 테두리 시트는 삽입재가 구비될 수 있는 모서리단을 개재하여 연접하며, 상기 테두리 시트의 자유단인 테두리단에 탄성림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테두리단 및 상기 모서리단을 8자 형태로 비틀어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다용도 매트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 시트의 외부면 또는 내부면 상에서 일정 간격의 복수의 위치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테두리 시트가 상기 바닥 시트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지지판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대면적 바닥 시트와 이 바닥 시트 주변에 수직으로 세워진 낮은 높이의 테두리를 구비하며 유연한 방수 시트를 이용하여 제조되고, 테두리 시트의 테두리단 및/또는 모서리단을 8자 형태로 비틀어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다용도 매트로서, 특히 사용시 테두리가 안정적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다용도 매트 {MULTIPURPOSE MAT}
본 발명은 어린이의 놀이풀, 김장 재료 버무리기, 또는 고추 등을 말리는 용도 등 다용도에 사용되는 다용도 매트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신축되지 않고 질긴 방수 원단의 바닥 시트와 이 바닥 시트 주변에 구비된 테두리 시트를 구비하며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다용도 매트로서, 특히 사용시 테두리 시트가 바닥 시트에 대해 안정적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다용도 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김장'이라 함은, 겨울이 다가오면, 집에서 서너 명의 사람이 모여 김치를 대량으로 만드는 작업을 지칭한다. 김치를 만들기 위한 재료는 주재료인 절인 배추 이외에도 젓갈, 고추, 무채, 마늘, 소금 등의 다양한 부재료와 양념 재료가 포함된다. 통상 이들 부재료 및 양념 재료를 적당량 비율로 혼합하여 버무린 후, 절인 배추에 바르거나 사이사이에 끼워넣는 방식으로 김장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서, 근래에는 각종 부재료 및 양념 재료를 버무리고 절인 배추에 바르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타포린 등의 천막 원단과 같이 유연하지만 신축되지 아니하며 질긴 방수성 원단으로 제조하여, 대형이면서도 접어서 보관이 가능한 다용도 매트가 소개되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다용도 매트의 예를 들면, 국내 등록 실용신안 20-0478220 (2015년 09월 18일 공고) "원터치 어린이 놀이풀"의 등록공보에 다용도 매트가 제안되어 있으며, 이는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다용도 매트(10)는 지름이 약 50 ~ 200 cm의 대체로 원형의 바닥 시트(11)와, 이 바닥 시트(11) 둘레에 구비된 약 10 ~ 20 cm 높이의 테두리 시트(13)를 포함한다. 바닥 시트(11)와 테두리 시트(13)는 대체로 동일한 재질의 시트 원단으로 제조되며, 시트 원단은 직물층 양면에 방수성 고분자 합성 수지층이 코팅된 것으로서 신축성이 없고 질긴 유연한 시트이다. 바닥 시트(11)와 테두리 시트(13)가 접하는 모서리단(12)과 테두리(13)의 자유단인 테두리단(14)은, 다용도 매트(10)의 사용시 형태를 유지하는 것을 돕기 위하여, 바닥 시트(11)와 테두리 시트(13) 보다는 더 딱딱한 구조를 가지도록 별도의 봉, 실, 줄을 시트 원단으로 둘러싸 밀봉하여 봉제하는 방식으로 제조된다.
하지만, 김장재료 버무리기 용도의 다용도 매트의 경우 바닥 시트(11)의 크기는 직경이 대략 160cm 일 때 테두리 시트(13)의 높이가 대략 16cm 정도로 낮다. 이는 다용도 매트(10) 주위에 서너 사람이 둘러 앉아, 재료들을 손으로 버무리는 작업을 하기 위해, 테두리 시트(13)의 높이가 낮은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바닥 시트(11)가 대형으로 될수록 유연한 재질의 테두리 시트(13)의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즉, 바닥 시트(11)는 평평한 바닥면에 펼친 상태로 유지될 수 있지만, 테두리 시트(13)는 바닥 시트(11)에 대해 안정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술한 종래 국내 등록 실용신안 20-0478220 (2015년 09월 18일 공고)은 테두리단(14)에 유리섬유와 같은 재질의 탄성림을 포함시킴으로써, 사용시 테두리 시트(13)의 테두리단(14)가 원형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동시에, 접을 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단(14)과 모서리단(12)을 8자 형태로 비틀어 접을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하였다. 그렇지만, 탄성림은 테두리 시트(13)에 추가적인 무게를 가하기 때문에 테두리 시트(13)가 수직 자세를 유지하기 더 어렵게 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기술은 테두리 시트(13)를 바닥 시트(11)에 대해 수직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테두리 시트(13)를 2겹으로 구성할 것을 추가로 제안한다. 비록 2겹의 시트 구조는 다용도 매트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기는 하지만, 이는 원단의 양이 증가하고 모서리단 및 테두리단을 위한 봉제 구조가 복잡하게 되므로 제조 원가가 상승하게 될 뿐만 아니라, 보관을 위해 테두리단과 모서리단을 8자 형태로 비틀어 접을 때, 쉽게 접히지 않게 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한다.
한국 등록 실용신안 20-0478220 (2015년 09월 18일 공고)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김장 재료 버무리기 또는 고추 등을 말리는 용도 등 다용도에 사용되는 다용도 매트의 문제점을 해소하려는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대면적 바닥 시트와 이 바닥 시트 주변에 수직으로 세워진 낮은 높이의 테두리를 구비하며 유연한 방수 시트를 이용하여 제조되고, 테두리 시트의 테두리단 및/또는 모서리단을 8자 형태로 비틀어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다용도 매트로서, 특히 사용시 테두리가 안정적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다용도 매트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바닥 시트와 테두리 시트를 포함하며 테두리 시트의 테두리단 및/또는 모서리단을 8자 형태로 비틀어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다용도 매트에 있어서, 테두리 시트 상의 복수 위치에 일정 간격으로 상대적으로 딱딱한 소형의 지지판을 부착함으로써, 테두리 시트 상하단을 비틀어 접어 보관시 용이하게 접힐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사용시 테두리가 안정적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다용도 매트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바닥 시트와 테두리 시트를 포함하며 테두리 시트의 테두리단 및/또는 모서리단을 8자 형태로 비틀어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다용도 매트에 있어서, 테두리 시트 상의 복수 위치에 일정 간격으로 상대적으로 딱딱한 소형의 지지판을 벨크로 패드 수단을 이용해 탈착 가능하게 부착함으로써, 보관시 딱딱한 지지판을 탈착한 상태로 테두리 시트 상하단을 비틀어 용이하게 접힐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사용시 딱딱한 지지판을 부착함으로써 테두리가 안정적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다용도 매트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바닥 시트와 테두리 시트를 포함하며 테두리 시트의 테두리단 및/또는 모서리단을 8자 형태로 비틀어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다용도 매트에 있어서, 테두리 시트 상의 복수 위치에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상대적으로 딱딱한 소형의 지지판 및 바닥 시트 상에 배치된 내용물을 덮을 수 있고 그 가장자리가 테두리 시트에 탈부착되는 커버 시트를 구비함으로써, 지지판에 의해 테두리가 안정적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커버 시트에 의해 바닥 시트 상에 배치된 내용물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나아가 외부의 이물질이 혼입되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커버 시트 위에서 김장 재료 버무리기 또는 말릴 재료를 널어둘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청결성을 향상시킨 새로운 다용도 매트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바닥 시트와 테두리 시트를 포함하며 테두리 시트의 테두리단 및/또는 모서리단을 8자 형태로 비틀어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다용도 매트에 있어서, 테두리 시트 상의 복수 위치에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상대적으로 딱딱한 소형의 지지판, 및 바닥 시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 높이의 방지턱을 구비함으로써, 지지판에 의해 테두리가 안정적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예컨대 김장 재료를 버무릴 때 바닥 시트와 테두리 시트를 연결하는 봉제선 사이로 양념 등이 스며들어 새는 것을 막아주는 새로운 다용도 매트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다용도 매트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다용도 매트는, 방수 원단 재질로 제작된 바닥 시트와 테두리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 시트와 상기 테두리 시트는 삽입재가 구비될 수 있는 모서리단을 개재하여 연접하며, 상기 테두리 시트의 자유단인 테두리단에 탄성림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테두리단 및 상기 모서리단을 8자 형태로 비틀어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다용도 매트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 시트의 외부면 또는 내부면 상에서 일정 간격의 복수의 위치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테두리 시트가 상기 바닥 시트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지지판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지지판부 각각은, 상기 테두리 시트가 상기 바닥 시트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을 덮고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테두리 시트에 봉제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테두리 시트 상에 상기 지지판이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지지판부 각각은, 상기 테두리 시트의 외부면 또는 내부면에서 상기 지지판부가 구비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고정된 벨크로 패드; 및 상기 테두리 시트가 상기 바닥 시트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의 일면에 고정된 벨크로 패드를 포함하는 지지판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 어셈블리의 벨크로 패드는 상기 테두리 시트의 벨크로 패드에 탈부착되도록 서로 대응하는 타입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바닥 시트 전체 영역을 덮을 수 있고 그 가장자리가 상기 테두리 시트에 탈부착되는 커버 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커버 시트는, 상기 바닥 시트 전체 영역을 덮을 수 있는 시트부; 및 상기 시트부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시트부를 상기 테두리 시트에 탈부착하도록 하는 탄성 고정단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커버 시트는, 상기 바닥 시트 전체 영역을 덮을 수 있는 시트부; 및 상기 시트부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시트부를 상기 테두리 시트에 탈부착하도록 하는 고정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커버 시트는, 상기 바닥 시트 전체 영역을 덮을 수 있는 시트부; 및 상기 시트부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시트부를 상기 테두리 시트에 탈부착하도록 하는 복수의 벨크로 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판부 각각은, 상기 테두리 시트가 상기 바닥 시트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을 덮고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테두리 시트에 봉제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테두리 시트 상에 상기 지지판이 고정시키도록 하는 고정 시트; 및 상기 고정 시트의 외부면에 고정된 벨크로 패드를 포함하고, 및 상기 커버 시트의 벨크로 패드는 상기 지지판부의 벨크로 패드에 탈부착되도록 서로 대응하는 타입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커버 시트는, 상기 바닥 시트 전체 영역을 덮을 수 있는 시트부; 및 상기 시트부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시트부를 상기 테두리 시트에 탈부착하도록 하는 복수의 벨크로 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판부 각각은, 상기 테두리 시트의 외부면 또는 내부면에서 상기 지지판부가 구비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고정된 벨크로 패드; 및 상기 테두리 시트가 상기 바닥 시트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의 양면에 각각 고정된 벨크로 패드를 포함하는 지지판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및 상기 지지판 어셈블리의 벨크로 패드는 상기 테두리 시트의 밸크로 패드 및 상기 커버 시트의 벨크로 패드에 탈부착되도록 서로 대응하는 타입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테두리단에 구비되는 탄성림 및 상기 모서리단에 구비되는 삽입재는 판스프링, 로프, 호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바닥 시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모서리단과 인접하여 상기 바닥 시트로부터 돌출된 방지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매트는 테두리 시트에 지지판을 구비하고 있어 사용시 테두리가 안정적으로 세워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테두리 시트의 테두리단 및/또는 모서리단을 8자 형태로 비틀어 접어서 보관할 수 있어 보관이 용이하다.
또한, 테두리 시트에 탈부착되는 커버 시트를 구비함으로써, 바닥 시트 상에 고추, 나물 등의 재료를 널어 말릴 때 외부의 이물질이 혼입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내용물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온실효과로 인해 내부 온도가 상승하여 내용물을 신속히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커버 시트를 바닥 시트 위에 펼친 후 그 위에서 예컨대, 김장 재료를 버무리는 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매트를 세척하는 데 드는 수고를 덜 수 있으며, 다양한 작업을 연이어 할 수 있다.
또한, 바닥 시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 높이의 방지턱을 구비함으로써, 바닥 시트와 테두리 시트를 연결하는 봉제선 사이로 양념 등이 스며들어 새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다용도 매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다용도 매트의 모서리단 및/또는 테두리단을 8자 형태로 비틀어 접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매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다용도 매트의 지지판부 구조를 더 상세히 보여주는 부분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매트 커버 시트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 및 사시도.
도 6은 도 3의 다용도 매트에 도 5의 커버 시트를 씌운 사용 예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7은 도 3의 다용도 매트에 도 5의 커버 시트를 씌운 다른 사용 예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매트의 지지판부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매트의 지지판부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매트 커버 시트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 및 사시도.
도 11은 도 8의 다용도 매트에 도 10의 커버 시트를 씌운 사용 예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12는 도 8의 다용도 매트에 도 10의 커버 시트를 씌운 다른 사용 예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매트의 테두리단 구조를 더 상세히 보여주는 부분 확대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매트의 모서리단 및 방지턱 구조를 더 상세히 보여주는 부분 확대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매트(30)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매트(30)는 바닥 시트(31), 모서리단(32), 테두리 시트(33), 테두리단(34) 및 지지판부(35)를 포함한다.
바닥 시트(31)와 테두리 시트(33)는, 통상의 다용도 매트와 유사하게, 타포린 등의 천막 원단으로서 질기고 유연하지만 신축적이지 않은 방수성의 시트 원단 또는 두꺼운 비닐 원단 등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시트 원단의 두께는 예컨대 0.1mm ~ 1.0mm 정도일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바닥 시트(31)는 대체로 원형의 시트 형상이지만, 이에만 한정될 필요는 없다. 테두리 시트(33)의 높이(즉, 바닥으로부터 수직 방향을 따라)는 바닥 시트(31)의 직경에 비하여 매우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김치 버무리기 용도를 위한 다용도 매트에 있어서, 바닥 시트(31)의 직경은 대략 50cm ~ 200cm 정도일 수 있으며, 이에 비하여 테두리 시트(33)의 높이는 대략 15cm ~ 20cm 정도일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바닥 시트(31)와 테두리 시트(33)는 함께 대략 낮은 원통형의 그릇이나 대야의 형태를 구성할 수 있다.
모서리단(32)은 바닥 시트(31)와 테두리 시트(33) 사이에 위치하며, 일 예를 들면, 바닥 시트(31)와 테두리 시트(33) 사이의 시트 원단 부분을 돌출시켜 봉제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모서리단(32)은, 바닥 시트(31)와 테두리 시트(33) 사이의 시트 원단 부분이, 판스프링과 같은 탄성림, 로프 또는 호스와 같은 삽입재를 감싸 밀봉하도록 봉제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테두리단(34)은 테두리 시트(33)의 상부단 또는 자유단으로서, 바닥 시트(31)와 테두리 시트(33)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부로 내용물이 출입하는 출입구를 한정한다. 테두리단(34)은 바닥 시트(31)의 가장자리를 따라 대응하는 형상 즉 원형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내부에 복원력이 있는 탄성림을 구비할 수 있다. 테두리단(34)은 테두리 시트(33)에서부터 연장되는 시트 원단 부분이, 예컨대 판스프링, 로프, 호스와 같은 탄성림을 감싸 밀봉하도록 봉제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다용도 매트(30)는 테두리 시트(33)의 기계적 강도를 보강하면서 테두리단(34)을 비틀어 접을 때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는 지지판부(35)를 구비한다는 특징을 가진다. 지지판부(35)는 아래에서 도 4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테두리 시트(33)의 내부면 또는 외부면을 따라 일정 간격을 가지고 복수개 구비된다.
도 3에 도시된 예에서, 지지판부(35)는 테두리 시트(33)의 외부면 상에 동일 간격을 가지고 떨어져 있는 4개의 위치에 각각 구비되어 있다. 비록 도시된 예에서, 다용도 매트는 4개의 위치에 있는 4개의 4각형 지지판부를 구비하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막대 형태의 지지판부를 더 적게 또는 더 많이 구비하는 변형예도 가능하다는 점이 자명하다.
이와 같은 지지판부(35)는 예컨대 얇은 플라스틱판이나 종이판 또는 금속판으로 된 지지판을 포함하며, 이러한 지지판의 기계적 강도에 의해, 테두리 시트(33)가 바닥 시트(31)로부터 대체로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지지판부(35)는 테두리 시트(33)의 영역에 비하여 작은 면적만을 차지할 수 있기 때문에, 테두리단(34)이나 모서리단(32)을 8자 형태로 비틀어 접을 때, 테두리 시트(33)의 접힘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다용도 매트(30)의 지지판부(35) 구조를 더 상세히 보여주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다용도 매트(30)의 테두리 시트(33) 외부면에 봉제됨으로써 고정된 지지판부(35)의 더 상세한 구성이, 도 4의 상부에 표시된 다용도 매트(30)의 A-A에서 자른 부분 확대된 단면도로서 도 4의 하부에 보여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부(35)는 지지판(351) 및 고정 시트(35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판(351)은 테두리 시트(33)가 바닥 시트(31)(도 3 참조)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기계적인 강도를 제공하는 플라스틱판이나 종이판 또는 금속판일 수 있다. 한편 고정 시트(353)는 바닥 시트(31)와 테두리 시트(33)를 이루는 시트 원단과 동일한 재질의 시트 원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 시트(353)는 지지판(351)을 덮고 그 가장자리(도 4에서 봉제부(355)로 표시됨)를 따라 테두리 시트(33)에 봉제되어 고정됨으로써 테두리 시트 (33) 상에 지지판(351)이 고정되도록 한다.
비록 도 4에는 지지판부(35)가 테두리 시트(33) 상에 고정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러한 고정 지지판부 형태만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예컨대 지지판부는 테두리 시트 상에 탈부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탈부착 가능 지지판부를 가지는 실시예의 경우, 테두리 시트의 외부면 또는 내부면에서 지지판부가 구비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벨크로 패드가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테두리 시트에 구비된 복수의 벨크로 패드에 각각 대응하여 지지판 어셈블리가 구성될 수 있다. 지지판 어셈블리는 지지판, 및 지지판에 고정된 벨크로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판 어셈블리의 벨크로 패드는 테두리 시트의 벨크로 패드에 탈부착되도록 서로 대응하는 타입일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예컨대 김치 재료를 버무리는 용도로 다용도 매트를 사용할 때, 지지판 어셈블리의 벨크로 패드를 다용도 매트의 테두리 시트에 형성된 벨크로 패드에 부착시킬 수 있다. 이후 다용도 매트를 보관하기 위하여 접을 때는 지지판 어셈블리의 벨크로 패드를 테두리 시트의 벨크로 패드로부터 탈착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매트 커버 시트(50)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커버 시트(50)는 시트부(51) 및 고정단(53)을 포함한다. 커버 시트(51)는,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다용도 매트(30)의 테두리단(34)에 의해 정의되는 출입구를 덮는 뚜껑 기능을 담당한다.
시트부(51)는, 도 5의 (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다용도 매트의 바닥 시트 전체 영역을 덮을 수 있는 크기를 가진다. 도시된 예에서, 시트부(51) 내부에 표시된 점선은 대응하는 다용도 매트(30)의 바닥 시트(31)의 가장자리 즉 모서리단(32) 또는 테두리단(34)의 위치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시트부(51)는 바닥 시트(31)의 영역을 넉넉하게 덮을 수 있는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바닥 시트(31)의 직경이 약 200cm일 경우, 시트부(51)의 직경은 약 200 ~ 250cm일 수 있다. 시트부(51)는 예컨대 투명 또는 반투명의 비닐을 포함하는 합성수지 원단으로 제조될 수 있고, 일회용으로서 이용될 수도 있다.
고정단(53)은 시트부(51)의 가장자리가 테두리 시트(33)의 외부면에 탈부착되도록 한다. 도시된 예에서, 고정단(53)은 시트부(51)를 이루는 합성 수지 원단이 고무줄, 판스프링, 로프, 호스와 같은 탄성 재질의 줄 또는 링을 감싸 밀봉하도록 봉제되거나 접착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고무줄이 사용된 탄성 고정단(53)은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기만 다를 뿐 그릇의 뚜껑 대신 사용하거나 미용실용에서 머리 손질 후 사용하는 비닐캡과 유사한 형태를 갖는다.
비록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다른 실시예로서, 고정단(53)은 시트부(51)를 이루는 합성 수지 원단이 직물로 된 줄과 같은 비탄성 재질의 줄을 감싸 밀봉하도록 봉제되거나 접착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단(53)의 임의의 위치에서 줄의 양단이 노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묶여질 수 있도록 하는 고정줄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도 3의 다용도 매트에 도 5의 커버 시트를 씌운 사용 예들을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예컨대 도 3의 다용도 매트(30)의 바닥 시트 상에 고추를 널어 말리는 경우, 사용자는 다용도 매트(30) 내에 고추를 널은 다음 도 5의 커버 시트(500)의 탄성 고정단(53)을 테두리단(34) 외측으로 잡아 늘여 끼울 수 있다. 그러면, 탄성 고정단(53)에 구비된 고무줄과 같은 탄성 수단이 테두리단(34)에 밀착됨으로써, 시트부(51)의 가장자리가 테두리 시트(33)를 따라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트부(51)는 바닥 시트 전체 영역을 덮는 투명/반투명한 뚜껑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다용도 매트(30) 내부에 있는 내용물(예컨대, 고추)이 바람에 날려 외측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보호함과 동시에 외부의 먼지 등 이물질이 다용도 매트(30)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온실효과로 인해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므로 내용물을 신속히 건조시킬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예컨대 도 3의 다용도 매트(30)를 김장 재료 버무리기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도 5의 커버 시트(500)의 탄성 고정단(53)을 테두리단(34) 외측으로 잡아늘여 끼울 수 있다. 그러면, 탄성 고정단(53)에 구비된 고무줄과 같은 탄성 수단이 테두리단(34)에 밀착됨으로써, 시트부(51)의 가장자리가 테두리 시트(33)를 따라 고정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시트부(51)의 중심부가 다용도 매트(30) 내부면에 접촉하도록 누름으로써, 시트부(51)는 다용도 매트(30)의 바닥 시트(31)와 테두리 시트(33)의 안쪽면을 둘러싸도록 할 수 있다. 그러고 나서, 사용자는 김장 재료를 바닥 시트(31)와 인접한 시트부(51)의 윗면에 배열 한 후, 시트부(51) 상에서 버무리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트부(51)는 바닥 시트 및 테두리 시트 영역이 버무려지는 재료가 묻는 것으로부터 보호하는 보호면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버무리기 작업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재료가 묻어 있는 커버 시트(500)를 다용도 매트(30)로부터 벗겨 낼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용도 매트(30)는 세척 필요성 없이 계속해서 재사용가능하다는 장점이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커버 시트가 다용도 매트에 벨크로 수단을 이용하여 탈부착하는 예가 설명된다. 이 경우, 다용도 매트와 커버 시트에는 각각 서로 대응하는 형태의 벨크로 패드가 고정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매트의 지지판부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다용도 매트(80)의 테두리 시트(83) 외부면에 봉제되어 고정되고 커버 시트 고정용 벨크로 패드를 포함하는 지지판부(85)의 상세한 구성이, 도 8의 상부에 표시된 다용도 매트(80)의 B-B에서 자른 부분 확대된 단면도로서 도 8의 하부에 보여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다용도 매트(80)는, 지지판부(85)를 제외하면 도 3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요소들을 구비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바닥 시트, 모서리단(82), 테두리 시트(83), 및 테두리단(84)은 도 3의 다용도 매트(30)의 대응하는 요소들과 유사할 수 있다. 한편 지지판부(85)는 지지판(851), 고정 시트(853), 및 벨크로 패드(857)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판(851)은 테두리 시트(83)가 바닥 시트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기계적인 강도를 제공하는 플라스틱판 또는 금속판일 수 있다. 한편 고정 시트(853)는 바닥 시트와 테두리 시트(83)를 이루는 시트 원단과 동일한 재질의 시트 원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 시트(853)는 지지판(851)을 덮고 그 가장자리(도 8에서 봉제부(855)로 표시됨)를 따라 테두리 시트(83)에 봉제되어 고정됨으로써 테두리 시트(83) 상에 지지판(851)이 고정되도록 한다.
벨크로 패드(857)는 고정 시트(853)의 외측면에 예컨대 접착제에 의해 접착됨으로써 또는 봉제됨으로써 고정 부착될 수 있다.
비록 도 8에는 벨크로 패드를 구비한 지지판부(85)가 테두리 시트(83) 상에 고정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러한 고정 지지판부 형태만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예컨대 지지판부는 테두리 시트 상에 탈부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는 아래에서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다용도 매트(90)의 테두리 시트(93)의 벨크로 패드(951) 및 이에 탈부착되고 커버 시트 고정용 벨크로 패드를 포함하는 지지판 어셈블리(952)를 포함하는 지지판부(95)의 상세한 구성이, 도 9의 상부에 표시된 다용도 매트(90)의 C-C에서 자른 부분 확대된 단면도로서 도 9의 하부에 보여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다용도 매트(90)는, 지지판부(95)를 제외하면 도 3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요소들을 구비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바닥 시트, 모서리단(92), 테두리 시트(93), 및 테두리단(94)은 도 3의 다용도 매트(30)의 대응하는 요소들과 유사할 수 있다. 한편, 탈부착형 지지판부(95)는 벨크로 패드(951) 및 지지판 어셈블리(952)를 포함할 수 있다.
벨크로 패드(951)은 테두리 시트(93)의 내부면 또는 외부면 중 어느 하나 상에 접착제에 의해 접착됨으로써 또는 봉제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지지판 어셈블리(952)는 테두리 시트(93)에 고정된 벨크로 패드(951)에 탈부착하는 테두리 시트의 지지수단이다. 이를 위해, 지지판 어셈블리(95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벨크로 패드(9521), 지지판(9522), 및 제 2 벨크로 패드(952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판(9522)은 테두리 시트(93)에 적절한 기계적 강도를 제공하기 위해 사각형 또는 막대형의 플라스틱이나 종이 또는 금속 재질의 판일 수 있다. 제 1 벨크로 패드(9521) 및 제 2 벨크로 패드(9523)는 각각 지지판(9522)의 양면에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 예에서, 테두리 시트(93)에 구비된 복수의 벨크로 패드(951)(도시된 예에서는 4개)에 각각 대응하여 (4개의) 지지판 어셈블리(952)가 구성될 수 있다. 지지판 어셈블리(952)의 벨크로 패드(9521, 9523)는 테두리 시트(93)의 벨크로 패드(951)에 탈부착되도록 서로 대응하는 타입일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예컨대 김치 재료를 버무리는 용도로 다용도 매트(90)를 사용할 때, 지지판 어셈블리(952)의 벨크로 패드(9521, 9523)를 다용도 매트의 테두리 시트(93)에 형성된 벨크로 패드(951)에 부착시킬 수 있다. 이후 다용도 매트(90)를 보관하기 위하여 접을 때는 지지판 어셈블리(952)의 벨크로 패드(9521, 9523)를 테두리 시트(93)의 벨크로 패드(951)로부터 탈착시킬 수 있다.
도 10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다용도 매트(80, 90)에 사용될 수 있는 커버 시트(100)를 예시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커버 시트(100)는 시트부(101) 및 벨크로 패드(103)를 포함한다. 커버 시트(100)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커버 시트(50)와 유사하게, 예컨대 도 8 또는 도 9에 도시된 다용도 매트(80, 90)의 테두리단(84, 94)에 의해 정의되는 출입구를 덮는 뚜껑 기능을 담당한다.
시트부(101)는,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다용도 매트의 바닥 시트 전체 영역을 덮을 수 있는 크기를 가진다. 도시된 예에서, 시트부(101) 내부에 표시된 점선은, 예컨대 대응하는 다용도 매트(80)의 바닥 시트의 가장자리 즉 모서리단(82) 또는 테두리단(84)의 위치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시트부(101)는 바닥 시트의 영역을 넉넉하게 덮을 수 있는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바닥 시트의 직경이 약 200cm일 경우, 시트부(101)의 직경은 약 200 ~ 250cm일 수 있다. 시트부(101)는 예컨대 투명 또는 반투명의 비닐을 포함하는 합성 수지 원단으로 제조될 수 있고, 일회용으로서 이용될 수도 있다.
벨크로 패드(103)는 시트부(101)의 가장자리가, 도 8의 다용도 매트(80)의 경우 지지판부(85)의 외부에 노출된 벨크로 패드(857) 또는 도 9의 다용도 매트(90)의 경우 지지판(95)의 외부에 노출된 벨크로 패드(9523) 탈부착되도록 한다. 벨크로 패드(103)의 타입은 대응하는 벨크로 패드(857) 또는 벨크로 패드(9523)와 서로 탈부착가능하게 대응하는 타입일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도 8의 다용도 매트에 도 10의 커버 시트를 씌운 사용 예들을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예컨대 도 8의 다용도 매트(80)의 바닥 시트 상에 고추를 널어 말리는 경우, 사용자는 다용도 매트(80) 내에 고추를 널은 다음 도 10의 커버 시트(100)의 벨크로 매트(103)를 테두리단(84) 외측의 벨크로 패드(857)에 부착할 수 있다. 그러면, 커버 시트(100)의 시트부(101)의 가장자리가 테두리 시트(83)를 따라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트부(101)는 바닥 시트 전체 영역을 덮는 투명/반투명한 뚜껑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12를 참조하면, 예컨대 도 8의 다용도 매트(80)를 김장 재료 버무리기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도 10의 커버 시트(100)의 벨크로 매트(103)를 테두리단(84) 외측의 벨크로 패드(857)에 대응하여 부착할 수 있다. 그러면, 커버 시트(100)의 시트부(101)의 가장자리가 테두리 시트(83)를 따라 고정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시트부(101)의 중심부가 다용도 매트(80) 내부면에 접촉하도록 누름으로써, 시트부(101)는 다용도 매트(80)의 바닥 시트와 테두리 시트의 안쪽면을 둘러싸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는 김장 재료를 바닥 시트와 인접한 시트부(101)의 윗면에 배열 한 후, 시트부(101) 상에서 버무리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매트의 테두리단 구조를 더 상세히 보여주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라, 다용도 매트(30)의 테두리단(34)에 구비되는 탄성림으로서 판스프링이 이용된 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예에서, 테두리단(34)은, 도 13의 상부 좌측 도면의 D-D 선을 따라 자른 도 13의 상부 우측의 부분 확대 단면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판스프링(345)을 감싸는 보호튜브(345)를 포함한다. 보호튜브(345)는 금속성의 판스프링(345)이 그 외측의 밀봉 시트(341)를 찢거나 상처내는 것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밀봉 시트(341)는 테두리 시트(33)와 동일한 시트 원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밀봉 시트(341)는 보호튜브(345)를 감싼 상태에서 봉제부(347)를 따라 봉제되어 밀봉 고정함으로써, 판스프링(345)이 전체적으로 일정한 형상(도시된 예에서는 원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보호튜브(345)는 도 13의 상부의 E 부분을 확대하여 도 13의 하부에 도시된 부분 확대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열린 단부를 인접하여 튜브 연결구(349)에 억지끼움으로써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매트의 모서리단 및 방지턱 구조를 더 상세히 보여주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다용도 매트(30)의 모서리단(32)의 구성 및 추가적으로 구성될 수 있는 방지턱(310)이 예시된다.
모서리단(32)은 도 14의 상부의 F-F를 자른 도 14의 하부에 도시된 부분 확대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바닥 시트(31) 및 테두리 시트(33)와 동일한 시트 원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모서리단(32)의 외측을 이루는 밀봉 시트(321)는 내부에 삽입재(323)을 감싼 상태에서 봉제부(325)를 따라 봉제될 수 있다. 삽입재(323)는 로프, 호스, 또는 판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도 14의 상부에 개략적인 실선의 원 및 도 14의 부분 확대 단면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용도 매트(30)에는 바닥 시트(31)의 가장자리를 따라, 모서리단(32)과 인접하여 바닥 시트(31)로부터 돌출된 방지턱(31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방지턱(310)은 바닥 시트(31)와 동일한 시트 원단으로 구성되며, 바닥 시트(31)의 일부분을 접어서 그 상부를 봉제함으로써(도 14의 봉제부(312)로 표시됨)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지턱(310)은 바닥 시트(31)와 테두리 시트(33)를 연결하는 봉제선 사이로 양념 등이 스며들어 새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구체적인 일 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여러 가지 특징을 참조하고 조합하여 다양하고 변형된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가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함을 지적해둔다.
30, 80, 90 : 다용도 매트
31 : 바닥 시트
310 : 방지턱
312 : 봉제부
32, 82, 92 : 모서리단
321 : 밀봉 시트
323 : 삽입재
325 : 봉제부
33, 83, 93 : 테두리 시트
34, 84, 94 : 테두리단
341 : 밀봉 시트
343 : 보호튜브
345 : 판스프링
347 : 봉제부
349 : 튜브연결구
35, 85, 95 : 지지판부
351, 851, 9522 : 지지판
353, 853 : 고정 시트
355, 855 : 봉제부
857, 953, 955, 957 : 벨크로 패드
50, 100 : 커버 시트
51, 101 : 시트부
53 : 탄성 고정단
103 : 벨크로 패드

Claims (11)

  1. 김장 재료 버무리기를 위한 다용도 매트로서:
    방수 원단 재질로 제작된 50 ~ 200 cm의 지름을 가진 원형의 하나의 바닥 시트와, 이 바닥 시트 둘레에 구비된 10 ~ 20 cm 높이의 방수 원단 재질의 하나의 테두리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 시트와 상기 테두리 시트는 삽입재가 구비될 수 있는 모서리단을 개재하여 연접하며, 상기 테두리 시트의 자유단인 테두리단에 탄성림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테두리단 및 상기 모서리단을 8자 형태로 비틀어 접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테두리 시트의 외부면 또는 내부면 상에서 일정 간격의 복수의 위치에 서, 상기 테두리 시트가 상기 바닥 시트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지지판부; 및
    상기 바닥 시트 전체 영역을 덮을 수 있고 그 가장자리가 상기 테두리 시트의 외측을 따라 탈부착되는 커버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 시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모서리단과 인접하여 상기 바닥 시트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방지턱을 더 구비하되, 상기 방지턱은 그 상부가 상기 테두리 시트와 함께 봉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부 각각은,
    상기 테두리 시트가 상기 바닥 시트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을 덮고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테두리 시트에 봉제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테두리 시트 상에 상기 지지판이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매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부 각각은,
    상기 테두리 시트의 외부면 또는 내부면에서 상기 지지판부가 구비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고정된 벨크로 패드; 및
    상기 테두리 시트가 상기 바닥 시트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의 일면에 고정된 벨크로 패드를 포함하는 지지판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 어셈블리의 벨크로 패드는 상기 테두리 시트의 벨크로 패드에 탈부착되도록 서로 대응하는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매트.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시트는,
    상기 바닥 시트 전체 영역을 덮을 수 있는 시트부; 및
    상기 시트부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시트부를 상기 테두리 시트에 탈부착하도록 하는 탄성 고정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매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시트는,
    상기 바닥 시트 전체 영역을 덮을 수 있는 시트부; 및
    상기 시트부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시트부를 상기 테두리 시트에 탈부착하도록 하는 고정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매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시트는, 상기 바닥 시트 전체 영역을 덮을 수 있는 시트부; 및 상기 시트부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시트부를 상기 테두리 시트에 탈부착하도록 하는 복수의 벨크로 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판부 각각은, 상기 테두리 시트가 상기 바닥 시트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을 덮고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테두리 시트에 봉제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테두리 시트 상에 상기 지지판이 고정시키도록 하는 고정 시트; 및 상기 고정 시트의 외부면에 고정된 벨크로 패드를 포함하고, 및
    상기 커버 시트의 벨크로 패드는 상기 지지판부의 벨크로 패드에 탈부착되도록 서로 대응하는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매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시트는, 상기 바닥 시트 전체 영역을 덮을 수 있는 시트부; 및 상기 시트부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시트부를 상기 테두리 시트에 탈부착하도록 하는 복수의 벨크로 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판부 각각은, 상기 테두리 시트의 외부면 또는 내부면에서 상기 지지판부가 구비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고정된 벨크로 패드; 및 상기 테두리 시트가 상기 바닥 시트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의 양면에 각각 고정된 벨크로 패드를 포함하는 지지판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및
    상기 지지판 어셈블리의 벨크로 패드는 상기 테두리 시트의 밸크로 패드 및 상기 커버 시트의 벨크로 패드에 탈부착되도록 서로 대응하는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매트.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단에 구비되는 탄성림은 판스프링, 로프, 호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매트.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단에 구비되는 삽입재는 판스프링, 로프, 호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매트.
  11. 삭제
KR1020160014607A 2016-02-05 2016-02-05 다용도 매트 KR101740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4607A KR101740245B1 (ko) 2016-02-05 2016-02-05 다용도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4607A KR101740245B1 (ko) 2016-02-05 2016-02-05 다용도 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0245B1 true KR101740245B1 (ko) 2017-05-26

Family

ID=59052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4607A KR101740245B1 (ko) 2016-02-05 2016-02-05 다용도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024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10876A (ja) 2008-01-31 2011-04-07 プライム オナー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リミテッド 持ち運び可能構造体のまたはそれに関連する改良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10876A (ja) 2008-01-31 2011-04-07 プライム オナー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リミテッド 持ち運び可能構造体のまたはそれに関連する改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45694C (en) Mattress cover
US20160129300A1 (en) Cover or towel to cover exercise mat
US5996148A (en) Mattress coverings with two elastic cords
US5625912A (en) Mattress coverings
US20020088054A1 (en) Mattress coverings
US20070051285A1 (en) Semi-Custom Table Covering
JPH09508848A (ja) マットレスカバー
US6823544B2 (en) Fitted mattress pad and method of forming a fitted mattress pad
JPH02109531A (ja) 床及びその他の表面を磨くモップ
US20070017028A1 (en) Fitted ruffle
US20150123439A1 (en) Outdoor Cushion Cover Sleeve
US6206468B1 (en) Removable padded seat cover
US6270166B2 (en) Method of making a fabric wet mop
KR101740245B1 (ko) 다용도 매트
US2129654A (en) Decorative bag
US5388293A (en) Cover for chaise lounge cushion
US5487587A (en) Seat cushion assembly removably retainable on a seat surface
CN213355378U (zh) 一种多层复合编织袋
US20020194676A1 (en) Modular household fabric product with a cover mounted removably on a side surface of a bag
TWM572689U (zh) Bed Covers
CN210407812U (zh) 一种可拆防水床垫保护套
US1852566A (en) Powder-puff
KR200345204Y1 (ko) 내외피 분해결합형 매트
AU2011100117A4 (en) Doona cover
JP3239992U (ja) バスタブ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