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0584A - 선글라스 겸용 안경 - Google Patents

선글라스 겸용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0584A
KR20170140584A KR1020160073065A KR20160073065A KR20170140584A KR 20170140584 A KR20170140584 A KR 20170140584A KR 1020160073065 A KR1020160073065 A KR 1020160073065A KR 20160073065 A KR20160073065 A KR 20160073065A KR 20170140584 A KR20170140584 A KR 201701405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sunglasses
rim
groov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3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한
Original Assignee
이필임
이동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필임, 이동한 filed Critical 이필임
Priority to KR1020160073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40584A/ko
Publication of KR20170140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05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02C13/001Assembling; Repai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9/00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 G02C9/04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by fitting over or clamping on

Abstract

본 발명은 선글라스 겸용 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브릿지를 중심으로 양측에 한 쌍의 림(101)을 형성하여 렌즈가 결합되는 렌즈프레임과, 렌즈프레임의 양단에서 힌지 결합하는 안경다리를 구비하는 선글라스 겸용 안경(100)에 있어서; 림(101)의 내주면에는, 도수 렌즈(102)가 결합하는 제1렌즈홈(110)과 선글라스 렌즈(103)가 결합하는 제2렌즈홈(120)을 일정 간격을 두고 환상으로 요입하고, 제1렌즈홈(110) 및 제2렌즈홈(120) 상간을 구획하면서 도수 렌즈(102)의 외측 테두리 및 선글라스 렌즈(103)의 내측 테두리를 지지하도록 돌출되는 환상의 지지턱(130)을 형성하고; 림(101)의 일측에는 림(101)을 상·하로 개폐하는 개폐부(140)를 형성하여 제1렌즈홈(110) 및 제2렌즈홈(120)에 도수 렌즈(102) 및 선글라스 렌즈(103)를 조립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시력 교정용 도수 렌즈와 선글라스 렌즈를 단일 렌즈프레임에 함께 간편하게 조립하여 선글라스를 겸할 수 있는 안경을 제공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선글라스 겸용 안경{EYEGLASSES COMBINED SUNGLASSES}
본 발명은 선글라스 겸용 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력 교정용 도수 렌즈와 자외선을 차단하는 선글라스 렌즈를 단일 렌즈프레임에 함께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일반 안경에 비해 외관 및 착용감에 전혀 손색이 없으면서 안경 착용자가 간편하게 안경과 선글라스를 겸하여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선글라스 겸용 안경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은 눈의 초점을 담당하는 수정체의 이상으로 인해 정시안 비해 시력이 낮은 근시안 또는 원시안 및 난시안 등을 가진 사람들이 시력 교정을 위하여 착용하는 도구이다.
이와 같은 안경은 시력 교정을 위해 필요에 의해서 착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안경 착용자 입장에서는 눈 앞에 착용하는 안경으로 인해 일상 생활에서 각종 불편함을 감수해야 하는 경우가 다반사이다.
예컨대, 자외선으로부터 눈을 보호하면서 패션 아이템으로도 각광받는 선글라스를 착용하고자 할 경우, 안경을 미착용한 상태에서 선글라스를 착용하거나 또는 시력 교정 콘택트렌즈를 안구에 착용한 상태에서 선글라스를 이용할 수밖에 없다.
특히, 선글라스는 패션의 목적에서뿐만 아니라 운동이나 레저 등 야외 활동 시에도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으나 안경 착용자 입장에서는 안경을 미착용한 상태에서 선글라스를 이용하는 것은 시력을 교정할 수 없어 무용지물에 가까울 뿐만 아니라 안전상의 문제도 우려되며, 콘택트렌즈를 장시간 착용하는 것 역시 눈 건강을 해칠 수 있는 등의 또 다른 문제를 내포하고 있어 사실상 안경 미착용자에 비해 선글라스를 쉽게 이용하기가 꺼려지는 경향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인지하여 최근에는 안경과 선글라스를 동시에 착용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예컨대 등록실용신안 제20-0136716호에는 보조선글라스 착탈구조가 공지된 바 있으므로 그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렌즈와 렌즈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고정홈이 형성된 안경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보조선글라스가 구비된 보조선글라스 착탈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어 좌/우측의 소정 탄발력으로 양측에 대향되어 장착되는 후크와, 후크와 일체로 상기 보조선글라스의 소정부에 고정수단으로 고정되는 고정부를 구비하여 안경과 보조선글라스가 함께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예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389261호에 공지된 바와 같이 렌즈를 결합하여 구비되는 한 쌍의 안경프레임의 내측을 노즈프레임을 연결하고 상기 안경프레임의 외측은 다리와 힌지로 결합하여 다리가 접철 가능하게 구성되는 안경과, 선글라스렌즈를 결합한 클립프레임의 내측을 노즈프레임을 연결하여 구성되는 선셰이드클립을 안경의 전방에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등록실용신안 제 20 - 0136716 호 등록실용신안 제 20 - 0389261 호 등록특허 제 10 - 0829721 호 등록실용신안 제 20 - 0327617 호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보조선글라스 착탈구조는 안경에 보조선글라스를 장착하도록 후크와 고정부를 각각 구비하여 상호 착탈하도록 구성된다.
종래 기술의 또 다른 예로 든 안경과 선셰이드클립의 결합 구성은 안경에 선셰이드클립을 결합하기 위해 클립프레임에 결합판을 구비하며 마그네트를 수용시켜 자력에 의해 안경과 선셰이드클립을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모두 안경 프레임의 전방에 선글라스를 추가 장착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으므로 하기와 같은 단점을 가지게 된다.
우선, 안경 프레임에 선글라스를 장착하기 위하여 안경 및 선글라스의 브릿지 부위에 각각 후크와 고정부를 구비하거나, 또는 프레임 상에 마그네트를 수용하는 결합판을 수개 구비하는 등 일반적인 안경 프레임의 구성과는 이질적인 별개의 추가 구성을 마련하므로 프레임의 제조 및 조립 공정이 복잡해지고 원가 등의 비용 상승을 초래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종래 기술의 경우 안경 렌즈와 선글라스 렌즈가 별개의 구조를 형성한 상태에서 장착되므로 안경 렌즈와 선글라스 렌즈 간에 구면 수차가 초래될 수 있어 자칫 착용자의 시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점을 내포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안경 프레임에 선글라스 프레임을 장착하는 이중적인 결합 구조 및 별도의 추가 구성을 형성함으로 인해 안경 자체의 무게가 현저히 증대되어 착용성이 저하되는 것은 물론, 외관상으로도 무겁고 투박하며 복잡한 느낌을 주게 되어 실질적인 이용 가능성을 현저히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브릿지를 중심으로 양측에 한 쌍의 림(101)을 형성하여 렌즈가 결합되는 렌즈프레임과, 렌즈프레임의 양단에서 힌지 결합하는 안경다리를 구비하는 선글라스 겸용 안경(100)에 있어서;
상기 림(101)의 내주면에는,
도수 렌즈(102)가 결합하는 제1렌즈홈(110)과 선글라스 렌즈(103)가 결합하는 제2렌즈홈(120)을 일정 간격을 두고 환상으로 요입하고, 제1렌즈홈(110) 및 제2렌즈홈(120) 상간을 구획하면서 도수 렌즈(102)의 외측 테두리 및 선글라스 렌즈(103)의 내측 테두리를 지지하도록 돌출되는 환상의 지지턱(130)을 형성하고;
상기 림(101)의 일측에는 림(101)을 상·하로 개폐하는 개폐부(140)를 형성하여 제1렌즈홈(110) 및 제2렌즈홈(120)에 도수 렌즈(102) 및 선글라스 렌즈(103)를 조립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개폐부(140)에는, 상호 대향하는 상·하측 면 상에 결합홈(141) 및 결합턱(142)을 상·하 대칭하도록 형성하여 힌지피스(150)를 결합하고;
상기 힌지피스(150)는,
제1렌즈홈(110) 및 제2렌즈홈(120)에 상응하는 한 쌍의 요홈(151,152)을 일측에 형성하고 상·하측 면의 결합턱(142) 상간에 개재되는 림연결부(153)와, 림연결부(153)에서 일정 각도로 절곡되고 상·하측 면의 결합홈(141) 상간에 개재되어 제1결합홀(143a) 및 제2결합홀(154a)에 체결되는 결합수단(155)에 의해 힌지피스(150)를 개폐부(140)에 결합시키는 결합부(156)와, 결합부(156)의 일측에서 돌출 구비되고 체결홀(157)을 형성하여 안경다리를 힌지 결합하는 힌지부(158)로 구성한다.
따라서, 시력 교정용 도수 렌즈와 선글라스 렌즈를 단일 렌즈프레임에 함께 조립하여 선글라스를 겸할 수 있는 안경을 제공하도록 하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단일 렌즈프레임에 시력 교정용 도수 렌즈와 선글라스 렌즈를 함께 조립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여 간편하게 안경과 선글라스를 겸하여 이용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안경-선글라스 결합 구조와는 차별하여 렌즈프레임의 무게를 현저히 경량화하고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착용성을 증대하는 것은 물론 일반 안경과 비교해도 외관상의 차이가 거의 없을 정도로 수려한 형태로 디자인을 다양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그에 비해 성형 및 조립 등 제조 공정상의 용이성이 있어 비용 절감 및 생산성 증대를 도모할 수도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선글라스 겸용 안경의 실시 예에 따른 정면(외측)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선글라스 겸용 안경의 실시 예에 따른 배면(내측)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선글라스 겸용 안경의 실시 예에 따른 분해도.
도 5는 도 4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선글라스 겸용 안경의 실시 예에 따른 힌지피스(150)의 상부(a), 저부(c) 사시도 및 정면도(b).
도 7은 본 발명의 선글라스 겸용 안경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 상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선글라스 겸용 안경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선글라스 겸용 안경의 실시 예에 따른 정면(외측)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선글라스 겸용 안경의 실시 예에 따른 배면(내측)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선글라스 겸용 안경의 실시 예에 따른 분해도, 도 5는 도 4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선글라스 겸용 안경의 실시 예에 따른 힌지피스(150)의 상부(a), 저부(c) 사시도 및 정면도(b), 도 7은 본 발명의 선글라스 겸용 안경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 상태 예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선글라스 겸용 안경(100)은 시력 교정용 도수 렌즈(102)와 자외선을 차단하는 선글라스 렌즈(103)를 단일 렌즈프레임에 함께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일반 안경에 비해 외관 및 착용감에 전혀 손색이 없으면서 안경 착용자가 간편하게 안경과 선글라스를 겸하여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선글라스 겸용 안경(100)에 관한 기술임을 주지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선글라스 겸용 안경(100)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릿지를 중심으로 양측에 한 쌍의 림(101)을 형성하여 렌즈가 결합되는 렌즈프레임과, 렌즈프레임의 양단에서 힌지 결합하는 안경다리를 구비한다.
상기 림(101)의 내주면에는 도수 렌즈(102)가 결합하는 제1렌즈홈(110)과 선글라스 렌즈(103)가 결합하는 제2렌즈홈(120)을 일정 간격을 두고 환상으로 요입하여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1렌즈홈(110) 및 제2렌즈홈(120) 상간을 구획하면서 도수 렌즈(102)의 외측 테두리 및 선글라스 렌즈(103)의 내측 테두리를 지지하도록 돌출되는 환상의 지지턱(130)을 형성한다.
도 3에서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렌즈홈(110) 및 제2렌즈홈(120)은 단면 형상이 U 또는 V자 형상으로 림(101)의 내주면을 따라서 일정 깊이로 요입되어 도수 렌즈(102) 및 선글라스 렌즈(103)의 테두리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환상형의 홈이며, 이들 상간에 지지턱(130)을 형성하여 각 렌즈의 내측 또는 외측 테두리를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렌즈프레임 및 안경다리는 플라스틱 재질을 이용해 사출 성형하거나, 또는 금속재를 가공하여 상기 제1렌즈홈(110) 및 제2렌즈홈(120)과 지지턱(130)이 림(101)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면밀하게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각각의 제1렌즈홈(110) 및 제2렌즈홈(120)에 삽입되는 선글라스 렌즈(103)와 도수 렌즈(102) 간에 구면 수차를 배제하면서 복수의 렌즈(102,103)가 림(101)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림(101)의 일측에는 림(101)을 상·하로 개폐하는 개폐부(140)를 형성하여 제1렌즈홈(110) 및 제2렌즈홈(120)에 도수 렌즈(102) 및 선글라스 렌즈(103)를 간편하게 조립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선글라스 겸용 안경(100)은, 일반적으로 단일 렌즈를 사용하는 렌즈프레임의 구성되는 것과는 차별하여 도수 렌즈(102)와 선글라스 렌즈(103)로 이루어진 복수의 렌즈를 림(101)의 내주면 상에 개재하도록 구성되므로 림(101)의 일측, 즉 림(101)과 엔드피스(Endpiece)가 연결되는 지점에서 개폐부(140)를 형성함으로써 림(101)을 탄성적으로 상·하로 개폐하여 복수의 렌즈(102,103)를 제1렌즈홈(110) 및 제2렌즈홈(120)에 삽입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종래의 플라스틱 재질의 안경이 림의 외측에 비해 내측의 턱을 낮게 형성하고 렌즈프레임에 열을 가하여 소재를 이완한 후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렌즈를 강제 가압하여 개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비해, 본 발명에서는 개폐부(140)에 따른 개폐식 조립 구성으로 제1렌즈홈(110) 및 제2렌즈홈(120)에 삽입된 복수의 렌즈(102,103)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시켜 소정의 충격에도 렌즈가 쉽게 이탈될 수 있는 등의 문제를 배제하도록 한다.
아울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개폐부(140)에는 상호 대향하는 상·하측 면 상에 결합홈(141) 및 결합턱(142)을 상·하 대칭하도록 형성하여 힌지피스(150)를 결합한다.
상기 힌지피스(15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렌즈홈(110) 및 제2렌즈홈(120)에 상응하는 한 쌍의 요홈(151,152)을 일측에 형성하고 상·하측 면의 결합턱(142) 상간에 개재되는 림연결부(153)와, 림연결부(153)에서 일정 각도로 절곡되고 상·하측 면의 결합홈(141) 상간에 개재되어 제1결합홀(143a) 및 제2결합홀(154a)에 체결되는 결합수단(155)에 의해 힌지피스(150)를 개폐부(140)에 결합시키는 결합부(156)와, 결합부(156)의 일측에서 돌출 구비되고 체결홀(157)을 형성하여 안경다리를 힌지 결합하는 힌지부(158)로 구성한다.
상기 힌지피스(150)는 제1렌즈홈(110) 및 제2렌즈홈(120)에 상응하는 요홈(151,152)을 제외하고 림연결부(153) 및 결합부(156)의 형태 및 색상, 문양 등을 얼마든지 가변할 수 있으므로 힌지피스(150)를 통해 렌즈프레임 디자인의 다양화를 시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선글라스 겸용 안경(100)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개폐부(140)가 개방된 상태에서 렌즈프레임의 외측에 마련된 제2렌즈홈(120)에 선글라스 렌즈(103)를 삽입하고 렌즈프레임의 내측에 마련된 제1렌즈홈(110)에 도수 렌즈(102)를 삽입한다.
상기 제1렌즈홈(110) 및 제2렌즈홈(120)과 힌지피스(150)의 요홈(151,152)이 연속되도록 힌지피스(150)의 림연결부(153)부터 개폐부(140)에 개재한다.
상기 개폐부(140)의 결함홈(141)에 힌지피스(150)의 결합부(156)를 상호 밀착시킨 상태에서 결합홈(141)의 하측에서부터 제1결합홀(143a)에 결합수단(155)을 개재하여 제2결합홀(154a)에 체결함에 따라 개폐부(140)를 폐쇄하고 림(101)과 힌지피스(150)를 결합하여 렌즈프레임에 선글라스 렌즈(103)와 도수 렌즈(102), 및 힌지피스(150)를 조립한다.
아울러, 상기 결합홈(141)에는 제3결합홀(143b)을 형성하고 힌지피스(150)의 결합부(156)에도 제3결합홀(143b)에 상응하는 제4결합홀(154b)을 형성하여 소정의 결합수단(미도시)을 추가로 체결함으로써 더욱 견고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힌지피스(150)의 힌지부(158)에 형성된 체결홀(157)에 소정의 체결수단을 결합하여 안경다리를 조립하면 도 7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같은 선글라스 겸용 안경(100)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선글라스 겸용 안경(100)은 단일 렌즈프레임에 시력 교정용 도수 렌즈(102)와 선글라스 렌즈(103)를 함께 조립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기술에 비해 렌즈프레임의 무게를 현저히 경량화하고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일반 안경 또는 선글라스와 비교해도 외관상의 차이가 거의 없어 다양한 디자인으로의 변형이 자유롭고 착용성도 우수한 이점을 가지게 된다.
특히, 플라스틱 재질을 이용한 사출 또는 금속재 가공에 의한 성형 및 단순한 조립구조와 같은 제조 공정상의 이점으로 인해 비용 절감 및 생산성 증대를 도모할 수 있어 향후 본 발명에 따른 선글라스 겸용 안경(100)은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100: 안경 101: 림
102: 도수 렌즈 103: 선글라스 렌즈
110: 제1렌즈홈 120: 제2렌즈홈
130: 지지턱 140: 개폐부
141: 결합홈 142: 결합턱
143a: 제1결합홀 143b: 제3결합홀
150: 힌지피스 151,152: 요홈
153: 림연결부 154a: 제2결합홀
154b: 제4결합홀 155: 결합수단
156: 결합부 157: 체결홀
158: 힌지부

Claims (2)

  1. 브릿지를 중심으로 양측에 한 쌍의 림(101)을 형성하여 렌즈가 결합되는 렌즈프레임과, 렌즈프레임의 양단에서 힌지 결합하는 안경다리를 구비하는 선글라스 겸용 안경(100)에 있어서;
    상기 림(101)의 내주면에는,
    도수 렌즈(102)가 결합하는 제1렌즈홈(110)과 선글라스 렌즈(103)가 결합하는 제2렌즈홈(120)을 일정 간격을 두고 환상으로 요입하고, 제1렌즈홈(110) 및 제2렌즈홈(120) 상간을 구획하면서 도수 렌즈(102)의 외측 테두리 및 선글라스 렌즈(103)의 내측 테두리를 지지하도록 돌출되는 환상의 지지턱(130)을 형성하고;
    상기 림(101)의 일측에는 림(101)을 상·하로 개폐하는 개폐부(140)를 형성하여 제1렌즈홈(110) 및 제2렌즈홈(120)에 도수 렌즈(102) 및 선글라스 렌즈(103)를 조립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글라스 겸용 안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140)에는, 상호 대향하는 상·하측 면 상에 결합홈(141) 및 결합턱(142)을 상·하 대칭하도록 형성하여 힌지피스(150)를 결합하고;
    상기 힌지피스(150)는,
    제1렌즈홈(110) 및 제2렌즈홈(120)에 상응하는 한 쌍의 요홈(151,152)을 일측에 형성하고 상·하측 면의 결합턱(142) 상간에 개재되는 림연결부(153)와, 림연결부(153)에서 일정 각도로 절곡되고 상·하측 면의 결합홈(141) 상간에 개재되어 제1결합홀(143a) 및 제2결합홀(154a)에 체결되는 결합수단(155)에 의해 힌지피스(150)를 개폐부(140)에 결합시키는 결합부(156)와, 결합부(156)의 일측에서 돌출 구비되고 체결홀(157)을 형성하여 안경다리를 힌지 결합하는 힌지부(158)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글라스 겸용 안경.
KR1020160073065A 2016-06-13 2016-06-13 선글라스 겸용 안경 KR201701405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065A KR20170140584A (ko) 2016-06-13 2016-06-13 선글라스 겸용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065A KR20170140584A (ko) 2016-06-13 2016-06-13 선글라스 겸용 안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0584A true KR20170140584A (ko) 2017-12-21

Family

ID=60936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3065A KR20170140584A (ko) 2016-06-13 2016-06-13 선글라스 겸용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4058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1213B2 (en) Interchangeable frames for eyeglasses
US7370961B2 (en) Interchangeable eyewear assembly
KR20170038446A (ko) 조립식 안경
US20160041404A1 (en) Eyewear with interchangeable temples and brow bar
KR101584209B1 (ko) 렌즈교체형 안경
KR102144105B1 (ko) 안경과 광학보조 기구의 세트
US7144108B2 (en) Spectacles and sunshade clip assembly using magnets
KR20180069234A (ko) 조립식 안경
KR101212274B1 (ko) 자석을 이용한 착탈식 보조 안경테, 이를 구비한 보조 안경, 및 안경 세트
KR20170140584A (ko) 선글라스 겸용 안경
JP3224837U (ja) モジュール式眼鏡
KR20160109818A (ko) 안경다리의 교체가 용이한 안경의 연결구조
KR102068289B1 (ko) 렌즈 교환형 안경
KR101992268B1 (ko) 안경테 조립구조
JP3208441U (ja) メガネフレーム
CN220752430U (zh) 一种镜架结构、眼镜框架及眼镜
KR20190026195A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힌지구조체
KR102478658B1 (ko) 안경다리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자가 맞춤형 안경
CN216351605U (zh) 一种方便拆装镜片的眼镜框
KR102206631B1 (ko) 안경
KR20180001138U (ko) 보조안경에 사용하는 자기적으로 마운트되는 조립체
KR101983911B1 (ko) 렌즈교환형 안경
KR200473287Y1 (ko) 수지안경과 보조안경의 결합장치
KR101062269B1 (ko) 안경용 힌지 조립체
KR200389261Y1 (ko) 마그네트를 이용한 안경과 선셰이드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