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0392A - 밀리미터파 통신에서의 디코딩 지연을 스케줄링하여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는 디바이스, 네트워크,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밀리미터파 통신에서의 디코딩 지연을 스케줄링하여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는 디바이스, 네트워크,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0392A
KR20170140392A KR1020177034437A KR20177034437A KR20170140392A KR 20170140392 A KR20170140392 A KR 20170140392A KR 1020177034437 A KR1020177034437 A KR 1020177034437A KR 20177034437 A KR20177034437 A KR 20177034437A KR 20170140392 A KR20170140392 A KR 20170140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llimeter wave
wave communication
sub
data transmission
beam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4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3479B1 (ko
Inventor
치안 쳉
웨이민 샤오
지아링 리우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140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0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3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3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6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17Feedback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밀리미터파 통신의 제어 송신 부분이 사용자 장비에서 수신된다. 제어 송신 부분은 복수의 제어 송신 부분 영역으로 분할되고, 각 하위 영역은 밀리미터파 통신의 대응하는 데이터 송신 부분 하위 영역에 대한 데이터 송신을 스케줄링한다. 그러면 제어 송신 부분 하위 영역들 중 제1 하위 영역이 복조되고 디코딩된다. 수신 아날로그 안테나 빔포밍은 복조 및 디코딩된 제1 제어 송신 영역 하위 영역에 따라 준비된다. 빔포밍은 밀리미터파 통신의 데이터 송신 부분의 제1 하위 영역에 대해 수행되고, 데이터 송신 부분의 제1 하위 영역은 제1 제어 송신 부분 하위 영역에 대응한다. 준비 및 수행 중에, 제2 제어 송신 부분 하위 영역은 복조 및 디코딩된다.

Description

밀리미터파 통신에서의 디코딩 지연을 스케줄링하여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는 디바이스, 네트워크, 및 방법
본 개시는 무선 통신을 위한 디바이스, 네트워크,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정 실시예들에 있어서, 밀리미터파 통신에서의 디코딩 지연을 스케줄링하여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5년 5월 1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155,961호 및 2016년 4월 27일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15/140,088호의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우선권의 이익은 본원에 청구되며, 본 명세서에서 그 전체가 참고로서 인용된다.
지난 몇 년 동안 모바일 네트워크에 활용되는 무선 데이터의 수량이 급격히 증가하여, 현재의 매크로 셀룰러 배포 용량을 늘렸다. 마이크로파 스펙트럼 대역(300MHz 내지 3GHz)을 활용하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은 간섭 및 트래픽 부하로 인해 용량 제한적이 되고 있다. 방대한 양의 대역폭을 이용 가능한 고주파 대역(예를 들어, 28, 38, 60, 및 73 GHz)의 사용은 차세대 통신 시스템을 위한 중요한 기술로서 고려된다. 이러한 고주파 대역의 사용은 현재 관찰되는 용량의 문제를 완화할 수 있다.
밀리미터파(mmWave) 통신으로부터 최상의 빔포밍을 보장하기 위해 다양한 지연 기술을 사용한 다양한 밀리미터파 통신 수신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밀리미터파 통신 수신 방법이 제공된다. 밀리미터파 통신의 제어 전송 부분은 사용자 장비에서 수신된다. 제어 송신 부분은 복수의 제어 송신 부분 영역으로 분할되고, 각 하위 영역은 밀리미터파 통신의 대응하는 데이터 송신 부분 하위 영역에 대한 데이터 송신을 스케줄링한다. 그러면 제어 송신 부분 하위 영역들 중 제1 하위 영역이 복조되고 디코딩된다. 수신 아날로그 안테나 빔포밍은 복조 및 디코딩된 제1 제어 송신 영역 하위 영역에 따라 준비된다. 빔포밍은 밀리미터파 통신의 데이터 송신 부분의 제1 하위 영역에 대해 수행되고, 데이터 송신 부분의 제1 하위 영역은 제1 제어 송신 부분 하위 영역에 대응한다. 준비 및 수행 중에, 제2 제어 송신 부분 하위 영역은 복조 및 디코딩된다. 밀리미터파 통신의 데이터 송신 부분의 제1 하위 영역에 대한 빔포밍이 완료된 후에, 수신 아날로그 안테나 빔포밍은 복조 및 디코딩된 제2 제어 전송 부분 하위 영역에 따라 준비되고, 빔포밍은 밀리미터파 통신의 데이터 송신 부분의 제 2 하위 영역에 대해 수행되며, 데이터 송신 부분의 제2 하위 영역은 제어 송신 부분 하위 영역의 제2 하위 영역에 대응한다.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다른 밀리미터파(mmWave) 통신 수신 방법이 제공된다. 밀리미터파 통신의 제어 송신 부분은 사용자 장비(UE)에서 수신된다. 스케줄링 제한은 밀리미터파 통신의 제어 송신 부분의 전단 부분에 할당된다. 제어 송신 부분의 전단 부분의 복조 및 디코딩이 수행된다. 복조 및 디코딩이 완료되기 전에, 밀리미터파 통신의 데이터 송신 부분의 전단 부분이 수신되고, 밀리미터파 통신의 데이터 송신 부분의 전단 부분은 밀리미터파 통신의 제어 송신 부분의 전단 부분에 대응한다. 그러면 빔포밍은 디폴트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밀리미터파 통신의 데이터 송신 부분의 전단 부분에서 수행된다. 제어 송신 부분의 후단의 복조 및 디코딩이 수행된다. 그리고, 밀리미터파 통신의 데이터 송신 부분의 후단 부분의 빔포밍은 제어 송신 부분의 후단 부분의 복조 및 디코딩을 수행하는 동안 획득된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본 발명의 주제 및 그 이점에 대한 보다 완전한 이해를 위해, 이제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취해진 다음의 설명을 참조한다.
도 1은 공유 어레이를 갖는 하나의 하이브리드 빔포밍 아키텍처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는 하위 어레이를 갖는 다른 하이브리드 빔포밍 아키텍처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은 어떻게 컨트롤러로부터 UE로의 송신/수신이 다운링크(DL: downlink) 송수신이라고 지칭되는지, 그리고 어떻게 UE로부터 컨트롤러로의 송신/수신이 업링크(UL: uplink) 송수신이라고 지칭되는지를 도시한다.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리소스 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데이터 패킷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어 송신 영역(예를 들어, PDCCH) 및 데이터 송신 영역(예를 들어, PDSCH)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분할된 제어 송신 영역 및 분할된 데이터 송신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신의 시작 부분에서의 지연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밀리미터파 통신에서 들어오는(incoming) 데이터 송신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제어 송신 부분 및 데이터 송신 부분을 하위 영역들로 분할하는 것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송신의 전단 부분에 스케줄링 제한을 적용하는 것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여기서 설명된 다양한 하드웨어 아키텍처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대표적인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3은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머신 판독가능(machine-readable) 매체(예를 들어, 머신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부터 지시를 판독하고 여기서 논의된 임의의 하나 이상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머신의 컴포넌트(component)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다음의 설명에서, 본 명세서의 일부를 형성하고,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들이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 실시예들은 당업자가 여기서 개시된 주제를 실시할 수 있도록 충분히 상세하게 설명되며,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가 이용될 수 있고, 구조적, 논리적, 및 전기적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설명은 제한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본 개시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 정의된다.
여기에 설명된 기능 또는 알고리즘은 일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및 인간-구현(human-implemented) 절차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인 메모리 또는 로컬 또는 네트워킹된(networked), 다른 유형의 하드웨어 기반 스토리지와 같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스토리지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기능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는 모듈에 대응한다. 요구되는 바와 같이 다수의 기능이 하나 이상의 모듈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기술된 실시예들은 단지 예일 뿐이다. 소프트웨어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퍼스널 컴퓨터, 서버, 또는 다른 컴퓨터 시스템과 같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동작하는 다른 유형의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될 수 있다.
밀리미터 대역(mmWave)에서의 전파(propagation)는 마이크로파 대역에서보다 훨씬 어려워서, 마이크로파 대역보다 더 엄격한 밀리미터파 대역에서의 링크 버짓(link budget)을 야기한다. 송신기 및 수신기에 더 많은 수의 안테나 어레이를 장착하는 것은 빔포밍에 의한 밀리미터파 추가 경로 손실을 보상하기 위한 실행 가능한 솔루션이다.
안테나 크기가 캐리어 주파수에 반비례하므로, 이러한 고주파 대역의 사용은 안테나 크기를 상당히 감소시킨다. 이는 네트워크와 단말 측 모두에서 더 많은 개수의 송신 및 수신 안테나 어레이를 채택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
하이브리드 안테나 아키텍처는 하드웨어 복잡성, 전력 소비, 및 시스템의 성능 및 커버리지를 조정하는 데 사용된다. 하이브리드 안테나 아키텍처는 전형적으로 아날로그(위상 시프터) 및 디지털(베이스밴드 프리-코더) 빔포밍 부분을 포함한다.
베이스 스테이션은 하나 이상의 무선 주파수(RF: Radio Frequency) 체인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RF 체인은 아날로그 위상 시프터 및 안테나 어레이에 연결된다. UE 수신기는 수신기 아날로그 위상 시프터 및 안테나 어레이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RF 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유형의 아날로그 빔포밍 아키텍처: 공유 어레이와 하위 어레이가 존재한다. 도 1은 공유 어레이를 갖는 하나의 하이브리드 빔포밍 아키텍처(100)의 일례를 도시한다. 아키텍처(100)는 베이스밴드 빔포밍 송신기(102) 및 베이스밴드 빔포밍 수신기(104)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밴드 빔포밍 송신기(102)는 베이스밴드 빔포밍 송신 수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베이스밴드 빔포밍 수신기(104)는 베이스밴드 빔포밍 수신 수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베이스밴드 빔포밍 송신기(102)는 복수의 프리코더(106A 내지 106B)를 포함한다. 프리코더(106A-106B)는 정보 스트림을 가중(weighting)하여 송신 다이버시티(transmit diversity)를 활용한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프리코더들(106A-106B)은 프리코딩 수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DACs)(108A, 108B)은 프리코딩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기 공유 어레이(110)에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DAC들(108A, 108B)은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수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송신기 공유 어레이(110)는 송신기 공유 어레이 수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수신기 공유 어레이(112)는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고,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들(ADCs)(114A, 114B)은 수신된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한다. 일 실시예에서, 수신기 공유 어레이(112)는 수신기 공유 어레이 수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각각의 ADC들(114A, 114B)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수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하나 이상의 등화기들(equalizers)(116A, 116B)은 디지털 신호를 등화(equalize)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등화기들(116A, 116B)은 등화 수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하위 어레이를 갖는 다른 하이브리드 빔포밍 아키텍처(200)의 일례를 도시한다. 이 아키텍처(200)는 위상 시프터들의 수를 감소시키고 송신 측에서 RF 결합기에 대한 필요성을 생략하여 도 1의 하이브리드 빔포밍 아키텍처(100)의 보다 덜 복잡한 버전을 제공한다. 그러나, 나머지 아키텍처(200)는 도 1의 공유 하이브리드 빔포밍 아키텍처(100)와 동일하다. 아키텍처(200)는 베이스밴드 빔포밍 송신기(202) 및 베이스밴드 빔포밍 수신기(204)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밴드 빔포밍 송신기(202)는 베이스밴드 빔포밍 송신 수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베이스밴드 빔포밍 수신기(204)는 베이스밴드 빔포밍 수신 수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베이스밴드 빔포밍 송신기(202)는 복수의 프리코더(206A-206B)를 포함한다. 프리코더들(206A-206B)은 정보 스트림을 가중하여 송신 다이버시티를 활용한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프리코더들(206A-206B)은 프리코딩 수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DACs)(208A, 208B)은 프리코딩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기 하위 어레이(210)에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DAC들(208A, 208B)은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수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송신기 하위 어레이(210)는 송신기 공유 어레이 수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수신기 하위 어레이(212)는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고,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들(ADCs)(214A, 214B)은 수신된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한다. 일 실시예에서, 수신기 하위 어레이(212)는 수신기 하위 어레이 수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각각의 ADC들(214A, 214B)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수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하나 이상의 등화기들(216A, 216B)은 디지털 신호를 등화한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등화기들(216A, 216B)은 등화 수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어떻게 컨트롤러(300)로부터 UE(302)로의 송신/수신이 다운링크(DL) 송수신이라고 지칭되는지, 그리고 어떻게 UE(304)로부터 컨트롤러(300)로의 송신/수신이 업링크(UL) 송수신이라고 지칭되는지를 도시한다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호환 통신 시스템과 같은 현대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셀 또는 eNB(evolved NodeBs)(또한 일반적으로 NodeBs, 베이스 스테이션(BS), 베이스 터미널 스테이션, 통신 컨트롤러, 네트워크 컨트롤러, 컨트롤러, 액세스 포인트(AP) 등으로 지칭됨)가 다수의 송신 안테나를 각각 갖는 셀들의 클러스터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각 셀 또는 eNB는 일정 기간 동안 공정(fairness), 비례적 공정(proportional fairness), 라운드 로빈(round robin) 등과 같은 우선순위 메트릭(metric)에 기초하여 다수의 사용자(또한 일반적으로 사용자 장비(UE), 이동국, 사용자, 가입자, 단말기 등으로 지칭됨)에게 서비스할 수 있다. 셀, 송신 포인트, 및 eNB라는 용어는 서로 바꿔 사용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필요한 경우 셀, 송신 포인트, 및 eNB간의 구별이 이뤄질 수 있다.
OFDM(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시스템에서, 주파수 대역폭은 주파수 도메인에서 다수의 하위캐리어들로 분할된다. 시간 도메인에서, 하나의 하위프레임은 다수의 OFDM 심벌들로 분할된다. OFDM 심벌은 다중 경로 지연들로 인한 심벌 간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순환 프리픽스(cyclic prefix)를 가질 수 있다. 하나의 리소스 요소(RE)는 하나의 하위캐리어 및 하나의 OFDM 심벌 내의 시간-주파수 리소스에 의해 정의된다. 데이터 채널, 예를 들어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및 제어 채널, 예를 들어,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와 같은 기준 신호 및 다른 신호들은 시간-주파수 도메인의 상이한 리소스 요소들에서 직교하고 다중화된다. 또한, 신호는 변조되고 리소스 요소로 매핑된다. 각 OFDM 심벌마다 역 푸리에 변환을 사용하여, 주파수 도메인의 신호는 시간 도메인의 신호로 변환되고, 심벌 간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순환 프리픽스가 추가되어 송신된다.
각 리소스 블록(RB)은 다수의 RE를 포함한다.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리소스 블록(4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리소스 블록(400)은 리소스 요소(402)와 같은 다수의 상이한 리소스 요소를 포함한다. 각 리소스 블록(400)에 대해, 각 하위프레임 내에 0 내지 13으로 라벨링된 14개의 OFDM 심벌들이 존재한다. 각 하위프레임 내의 심벌 0 내지 6은 짝수 슬롯에 대응하고, 각 하위프레임 내의 심벌 7 내지 13은 홀수 슬롯에 대응한다. 도면에서, 단지 7개의 OFBM 심벌이 도시되어 있다(404). 각 리소스 블록(400)에 12개의 하위캐리어(406)가 또한 존재하므로, 이 예에서 RB에 132개의 RE가 존재한다. 각 하위프레임에서, 많은 RB가 존재하고, 그 수는 대역폭(BW)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데이터 패킷(500A, 500B)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물리 레이어에서 eNB로부터 UE들로 데이터 패킷들(500A)을 송신하는 데이터 채널들은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502 및 511)라고 지칭되고, 물리 레이어에서 UE들로부터 eNB로 데이터 패킷(500B)을 송신하는 데이터 채널들은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504 및 505)라고 지칭된다. eNB로부터 UE로 송신된, 대응하는 물리 제어 채널은 대응하는 PDSCH(502 및 511) 및/또는 PUSCH(504 및 505)가 주파수 도메인에 존재하고 PDSCH(502 및 511) 및/또는 PUSCH(504 및 505)가 어떤 방식으로 송신되는지를 지시하며, 이는 PDCCH(502, 503, 및 505)라고 지칭된다. 도 5에서, PDCCH(501)는 PDSCH(502) 또는 PUSCH(504)에 대한 시그널링을 지시할 수 있다.
UE는 특히 다중 안테나의 경우, 채널 상태를 측정한다. PMI/CQI/RI 및 다른 피드백은 기준 신호의 측정에 기초될 수 있다. PMI는 프리코딩 행렬 지시자이고, CQI는 채널 품질 지시자이며, RI는 프리코딩 행렬의 순위 지시자이다. UE에 대해 구성된 다수의 기준 신호 리소스가 존재할 수 있다. 각 기준 신호 리소스에 대해 eNB에 의해 할당된 특정 시간-주파수 리소스 및 스크램블링 코드가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eNB들은 제1 eNB에 의한 결정이 제2 eNB에 영향을 줄 수 있도록 서로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eNB들은 자신의 UE들에 서비스하는 때 자신의 송신 안테나 어레이를 사용하여 자신의 UE들에 대한 빔을 형성할 수 있다. 이것은 제1 eNB가 특정 시간-주파수 리소스에서 제1 UE를 서비스하기로 결정하면, 그 UE를 포인팅하는 빔을 형성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포인팅된 빔은 제2 eNB의 커버리지 영역으로 확장하고 제2 eNB에 의해 서비스되는 UE들에 대한 간섭을 야기할 수 있다. 소형 셀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셀간 간섭(ICI: inter-cell interference)은, 일반적으로 대형 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볼 수 있는 노이즈 제한 셀 시나리오와는 상이할 수 있는, 간섭 제한 셀 시나리오라고 지칭된다.
일 실시예에서, eNodeB는 하나 이상의 셀을 제어할 수 있다. 다수의 원격 라디오 유닛이 광섬유 케이블에 의해 eNodeB의 동일한 베이스밴드 대역에 연결될 수 있고, 베이스밴드 유닛과 원격 라디오 유닛 사이의 대기 시간은 매우 짧다. 따라서, 동일한 베이스밴드 유닛은 다수의 셀의 조정된(coordinated) 송신/수신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NodeB는 CoMP(Coordinated Multiple Point) 송신이라 지칭되는, 다수의 셀들의 UE 로의 송신을 조정할 수 있다. eNodeB는 UE로부터 다수의 셀의 수신을 조정할 수도 있으며, 이는 CoMP 수신이라고 지칭된다. 이 경우, 동일한 eNodeB를 갖는 이 셀들 사이의 백홀(backhaul) 링크는 고속 백홀이고, UE에 대한 상이한 셀들에서 송신되는 PDSCH의 스케줄링은 동일한 eNodeB에서 쉽게 조정될 수 있다.
LTE와 같은 전형적인 시스템 설계에서,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PDCCH 채널이 먼저 송신되고 그 다음에 대응하는 데이터 송신이 즉시 이어진다. PDCCH 신호를 수신하면, UE는 제어 신호의 베이스밴드 처리, 즉 제어 메시지의 복조 및 디코딩을 시작한다. 베이스밴드 처리가 완료까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UE는 제어 신호 처리가 수행되기 전에 데이터 송신 신호를 수신해야 한다. 이는 UE가 수신된 신호를 어쨌든 버퍼링하기 때문에, 전형적인 저주파수 대역 시스템에 대한 문제가 아니다.
제어 메시지 디코딩 지연은 고주파수 대역의 큰 경로 손실 특성으로 인해 밀리미터파 시스템 설계에 심각한 문제를 부과한다. 데이터 신호를 적절하게 수신하기 위해서, UE는 eNodeB 송신기에서 활용되는 아날로그 송신 빔포밍에 일치되는, 정확한 아날로그 수신 빔포밍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제어 메시지가 디코딩되면, 스케줄링된 데이터 송신에 관한 정보, 예를 들어, 랭크(rank), PMI 등이 이용 가능하고, 그러면 UE는 데이터 송신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송신 빔(들)을 파악하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일치하는 아날로그 수신 빔포밍을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제어 메시지 디코딩 지연으로 인해, 밀리미터파 통신에서, UE는 데이터 신호 수신이 시작되기 전에 일치된 아날로그 수신 빔포밍을 송신 빔포밍에 적용할 수 없다. UE 버퍼가 수신된 신호를 갖더라도, 제어 메시지의 디코딩 결과가 이용 가능해질 때까지 아날로그 송신 및 수신 빔포밍 불일치 때문에 신호는 쓸모 없을 것이다. 그런 다음에만 UE는 제어 메시지의 디코딩된 결과에 따라 일치하는 아날로그 수신 빔포밍을 적용할 수 있다.
도 6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어 송신 영역(예를 들어, PDCCH) 및 데이터 송신 영역(예를 들어, PDSCH)을 도시한 도면이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어 송신 영역(600)이 먼저 수신되고, 데이터 송신 영역(602)이 이어진다. PDSCH 수신 빔포밍은 시간(604)에서 준비될 수 있지만, PDCCH 복조 및 디코딩 결과는 시간(606)까지 준비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송신 영역(600)(예를 들어, PDCCH) 및 데이터 송신 영역(602)(예를 들어, PDSCH)을 하위 영역들로 분할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이 제공된다. 각각의 제어 하위 영역은 대응하는 데이터 송신 하위 영역에 대한 데이터 송신을 스케줄링한다. 제어 메시지와 스케줄링된 데이터의 송신 사이에 갭이 도입되므로, UE는 제어 메시지의 디코딩을 끝내고 대응하는 데이터 송신 수신의 시작 전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수신 빔포밍을 적용할 수 있다. 환언하면, UE는 대응하는 제어 영역 코드 디코딩 결과에 따라 자신의 수신 아날로그 빔포밍을 준비하여 대응하는 하위 영역의 스케줄링과 송신 사이에 도입된 지연 갭으로 인해 데이터 하위 영역 송신을 수신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된 제어 송신 영역 및 분할된 데이터 송신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제어 송신 영역(700)은 하위 영역(702A)과 하위 영역(702B)으로 분할되고, 데이터 송신 영역(704)은 하위 영역(706A)과 하위 영역(706B)으로 분할되어있다. 이와 같이, 시스템은 데이터 송신 영역 하위 영역(706A)이 시간(710)에서 빔포밍을 수신하기 전에 시간(708)에서 하위 영역(702A)을 복조 및 디코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시스템은 데이터 송신 영역 하위 영역(706B)이 시간(714)에서 빔포밍을 수신하기 전에 시간(712)에서 하위 영역(702B)을 복조 및 디코딩할 수 있다.
대안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데이터 송신 타임 라인의 시작부터 시작하는 데이터 송신에 대한 스케줄링 제한을 부과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이 제공된다. 이 시나리오에서 스케줄링할 데이터 송신을 위한 UE들은 데이터 신호 수신을 위한 디폴트 아날로그 수신 빔포밍, 예를 들어 랭크, PMI, 아날로그 송신 빔포밍 등을 포함하는 UE의 최신 보고 표명(reporting commendations)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송신 빔포밍을 적용한다. 대응하여, 네트워크는 또한 이 특정 스케줄링된 UE에 대한 데이터 송신에서 디폴트 아날로그 송신 빔포밍, 랭크, 및 PMI를 적용한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송신의 시작에 지연이 부과되는 동안, 데이터 송신 타임 라인의 후단 부분부터 시작하는 데이터 송신의 부분(예를 들어, PDSCH)에 제한이 부과되지 않는다. 도 8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신의 시작 부분에서의 지연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제어 송신 영역(802)의 제1 부분(800)의 복조 및 디코딩이 먼저 수행되고, 이는 시간(804)에서 종료되고, 제어 송신 영역(802)의 제2 부분(806)의 복조 및 디코딩이 두 번째로 수행되고, 이것은 시간(808)에서 종료된다. 데이터 송신은 시간(810)에서 시작한다. 그러나, 스케줄링 제한은 송신 시간 간격(TTI1)(812)에 적용되고, 따라서 디폴트 파라미터를 활용하도록 TTI1의 빔포밍을 야기한다(이하에서보다 상세하게 설명됨). TTI2(814)의 경우, 제어 송신 영역(802)의 제2 부분(806)은 시간(808)에서 복조 및 디코딩되기 때문에, 시간(816)에서의 TTI2의 빔포밍은 복조 및 디코딩된 제2 부분(806)으로부터 수집된 실제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나머지 데이터 송신 영역(818)에 적용되는 스케줄링 제한이 존재하지 않는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 7 및 도 8에 대해 전술한 특징들의 조합이 사용된다. 도 9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밀리미터파 통신에서 들어오는 데이터 송신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900)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밀리미터파 통신은 제어 송신 부분 및 데이터 송신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902)에서, 스케줄링 제한이 데이터 송신의 전단 부분에 대해 적용되어야 하는지가 결정된다. 그렇지 않다면, 동작(904)에서 도 7과 관련하여 전술한 프로세스가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제어 송신 부분 및 데이터 송신 부분이 하위 영역들로 분할되고, 데이터 송신 부분의 대응하는 하위 영역들의 빔포밍 이전에 제어 송신 부분의 하위 영역들의 디코딩 및 복호화가 수행된다. 동작(902)에서, 스케줄링 제한이 데이터 송신의 전단 부분에 적용되어야 한다고 결정되면, 동작(906)에서 스케줄링 제한이 데이터 송신의 전단 부분에 적용된다.
도 10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제어 송신 부분 및 데이터 송신 부분을 하위 영역들로 분할하는 것(도 9의 동작(904))을 더 상세히 도시한 순서도이다. 동작(1000)에서, 밀리미터파 통신의 제어 송신 부분이 수신된다. 단계(1002)에서, 제어 송신 부분은 복수의 제어 송신 부분 하위 영역으로 분할되고, 각 하위 영역은 데이터 송신 부분의 대응하는 하위 영역에 대한 데이터 송신을 스케줄링한다. 그런 다음 각 제어 송신 부분 하위 영역에 대해 루프가 개시된다. 동작(1004)에서, UE는 제어 송신 부분 하위 영역을 복조 및 디코딩한다. 동작(1006)에서, UE는 복조 및 디코딩된 제어 송신 부분 하위 영역에 따라 아날로그 안테나 빔포밍을 수신한다. 동작(1008)에서, UE는 데이터 송신 부분의 대응하는 하위 영역에 대한 수신 빔포밍을 수행한다. 동작(1010)에서, 제어 송신 부분 하위 영역이 더 존재하는지가 결정된다. 그렇다면, 프로세스는 다음 제어 송신 부분 하위 영역에 대한 동작(1004)으로 루프한다(loops). 그렇지 않다면, 프로세스는 종료한다.
루프의 각 실행의 양태들이 병렬로 수행될 수 있고, 따라서 동작들(1004-1010)이 도시된 바와 같이 엄격한 일련의 순서로 정확하게 수행될 필요는 없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UE가 하나의 제어 송신 부분 하위 영역에 대해 동작들(1006 및 1008)을 수행하는 동안, 후속 제어 송신 부분 하위 영역에 대해 동작(1004)을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또는 이미 수행되었을 수 있다).
도 1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송신 부분의 전단 부분에 스케줄링 제한을 적용하는 것(도 9의 동작 906)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순서도이다. 동작(1100)에서, 밀리미터파 통신의 제어 송신 부분이 수신된다. 동작(1102)에서, 스케줄링 제한들이 제어 송신 부분의 전단 부분에 할당될 수 있다. 이 스케줄링 제한은 데이터 송신 부분의 대응하는 전단 부분에 대해 수행될 빔포밍에 대한 지연 시간을 지시할 수 있다. 동작(1104)에서, 제어 송신 부분의 전단 부분 및 후단 부분 모두의 복조 및 디코딩이 시작된다. 동작(1106)에서, 밀리미터파 통신의 데이터 송신 부분이 수신된다. 동작(1108)에서, 데이터 송신 부분의 이 전단 부분은 제어 송신 부분의 대응하는 전단 부분의 스케줄링 제한을 받기 때문에, 데이터 송신 부분의 전단 부분의 빔포밍이 디폴트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이 파라미터들은, 예를 들어, 빔포밍에 대한 UE의 최신 보고된 파라미터에 대응할 수 있다. 동작(1110)에서, 밀리미터파 통신의 제어 송신 부분의 후단 부분의 복조 및 디코딩이 완료된다. 동작(1112)에서, 데이터 송신 부분의 후단 부분의 빔포밍은 밀리미터파 통신의 제어 송신 부분의 후단 부분의 복조 및 디코딩으로부터 도출된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전단 부분"으로서 데이터 송신 부분의 어느 부분을 분류할지(따라서 지연을 적용하는)에 대한 결정은 복조 및 디코딩에서 UE의 실제 성능에 기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E의 성능 메트릭은 제어 송신 부분의 일 부분을 복조 및 디코딩하는 데 걸리는 평균 시간을 결정하기 위해 트래킹될(tracked) 수 있다. 전단 부분으로서 분류된 데이터 송신 부분의 수량을 최소화(따라서 빔포밍 중에 디폴트 파라미터가 적용됨)하면서, 데이터 전송 부분의 후단 부분은 복조 및 디코딩된 대응하는 제어 전송 부분의 정보로부터의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빔포밍된다는 것을 보장하도록 전단 부분(지연된)과 후단 부분(지연되지 않은) 사이의 구분은 이 평균 시간(아마, 일부 패딩(padding)과 함께)을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8을 다시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808) 후에 빔포밍되도록 스케줄링된 임의의 TTI는 그것에 적용되는 스케줄링 제한을 갖지 않을 수 있다. 시간(808)은 전술된 바와 같이, 평균 복조 및 디코딩 시간에 선험적으로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시간(808)은 런타임(run-time)에 동적으로 결정될 수 있어서, 제어 송신 부분의 특정 부분이 복조 및 디코딩되었다고 결정되는 때, 데이터 송신 부분의 대응하는 부분은 스케줄링 제한 없이 빔포밍되고, 데이터 송신 부분의 임의의 후속 부분들은 스케줄링 제한 없이 또한 빔포밍된다.
다음의 도면들은 여기서 개시된 디바이스 및 방법을 구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처리 시스템의 도면이다. 특정 디바이스는 도시된 모든 컴포넌트, 또는 컴포넌트의 하위 집합만을 활용할 수 있으며, 통합 수준은 디바이스마다 다를 수 있다.
특정 실시예는 여기서 로직 또는 다수의 컴포넌트, 모듈, 또는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모듈은 소프트웨어 모듈(예를 들어, 머신 판독가능 매체 상에 구현된 코드) 또는 하드웨어 모듈 중 하나를 구성할 수 있다. "하드웨어 모듈"은 특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실재하는 유닛이며 특정 물리적 방식으로 구성 또는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컴퓨터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시스템(예를 들어, 독립형 컴퓨터 시스템, 클라이언트 컴퓨터 시스템 또는 서버 컴퓨터 시스템) 또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모듈(예를 들어,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서 그룹)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동작하는 하드웨어 모듈로서 소프트웨어(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부분)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드웨어 모듈은 기계적으로, 전자적으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 모듈은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영구적으로 구성된 전용 회로 또는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 모듈은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특수 목적 프로세서일 수 있다. 하드웨어 모듈은 또한 특정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소프트웨어에 의해 일시적으로 구성되는 프로그램 가능한 로직 또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 모듈은 범용 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단 이러한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성되면, 하드웨어 모듈은 구성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고유하게 조정된 특정 머신(또는 머신의 특정 컴포넌트)가 되고 더 이상 범용 프로세서가 아니다. 전용 및 영구적으로 구성된 회로에서, 또는 일시적으로 구성된 회로(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성된)에서, 하드웨어 모듈을 기계적으로 구현하는 결정은 비용 및 시간 고려 사항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하드웨어 모듈"이라는 문구는 물리적으로 구성되거나, 영구적으로 구성되거나(예를 들어, 하드웨어에 내장된(hardwired)), 또는 특정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또는 여기서 설명된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일시적으로 구성된(예를 들어, 프로그래밍된) 엔티티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된 바와 같이, "하드웨어 구현 모듈"은 하드웨어 모듈을 지칭한다. 하드웨어 모듈들이 일시적으로 구성되는(예를 들어, 프로그래밍된) 실시예들을 고려하면, 각각의 하드웨어 모듈은 임의의 일 시점에서 구성되거나 또는 인스턴스화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특수 목적 프로세서가 되도록 하드웨어 모듈이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성된 범용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경우, 범용 프로세서는 상이한 시간에서 각각 상이한 특수 목적 프로세서(예를 들어, 상이한 하드웨어 모듈을 포함함)로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하나의 시간 인스턴스에서 특정 하드웨어 모듈을 구성하고 상이한 시간 인스턴스에서 상이한 하드웨어 모듈을 구성하도록 특정한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서들을 구성한다.
하드웨어 모듈은 다른 하드웨어 모듈에 정보를 제공하고, 다른 하드웨어 모듈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설명된 하드웨어 모듈들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동시에 다수의 하드웨어 모듈이 존재하는 경우, 통신은 두 개 이상의 하드웨어 모듈 사이에서 신호 송신을 통해(예를 들어, 적절한 회로 및 버스를 통해) 달성될 수 있다. 다수의 하드웨어 모듈들이 상이한 시간에 구성되거나 인스턴스화되는 실시예에서, 그러한 하드웨어 모듈들 간의 통신은, 예를 들어, 다수의 하드웨어 모듈들이 액세스하는 메모리 구조 내의 정보의 저장 및 검색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하드웨어 모듈은 동작을 수행하고 그 동작의 출력을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메모리 디바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에, 추가 하드웨어 모듈은 저장된 출력을 검색하고 처리하기 위해 메모리 디바이스에 액세스할 수 있다. 하드웨어 모듈은 입력 또는 출력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개시할 수도 있고, 리소스(예를 들어, 정보의 집합)에 대해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된 예시적인 방법의 다양한 동작은 관련 동작을 수행하도록 일시적으로 구성되거나(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에 의해) 또는 영구적으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구성되더라도, 이러한 프로세서는 여기서 설명된 하나 이상의 동작 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동작하는 프로세서 구현 모듈을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 구현 모듈"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구현된 하드웨어 모듈을 의미한다.
유사하게,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프로세서-구현될 수 있으며, 특정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서들은 하드웨어의 일례이다. 예를 들어, 방법의 동작 중 적어도 일부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서 구현 모듈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또는 "서비스로서의 소프트웨어"(SaaS: software as a service)로서 관련 동작의 성능을 지원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일부의 동작은 컴퓨터 그룹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프로세서를 포함한 머신의 예들로서), 이들 동작은 네트워크(예를 들어, 인터넷) 및 하나 이상의 적절한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통해 액세스 가능하다.
특정 동작의 성능은 단일 머신 내에 상주할 뿐만 아니라, 여러 머신에 걸쳐 배치되어 프로세서 사이에서 분산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서 구현 모듈은 단일 지리적 위치(예를 들어, 가정 환경, 사무실 환경, 또는 서버 팜(farm)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서-구현 모듈은 다수의 지리적 위치에 걸쳐 분산될 수 있다.
머신 및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도 1 내지 도 11과 관련하여 기술된 모듈, 방법, 애플리케이션 등은, 일부 실시예에서, 머신 및 관련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의 환경에서 구현된다. 이하의 섹션들은 개시된 실시예들과 함께 사용하는 데 적합한 대표적인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들) 및 머신(예를 들어, 하드웨어) 아키텍처(들)를 설명한다.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는 하드웨어 아키텍처와 함께 사용되어 특정 목적에 맞는 디바이스와 머신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특정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와 결합된 특정 하드웨어 아키텍처는 휴대 전화, 태블릿 디바이스 등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생성한다. 약간 상이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는 "사물 인터넷"에서 사용하기 위해 스마트 디바이스를 얻을 수 있지만, 또 다른 조합은 클라우드 컴퓨팅 아키텍처 내에서 사용할 서버 컴퓨터를 생산한다.
당업자는 여기에 포함된 개시와 상이한 맥락에서 본 발명의 주제를 구현하는 방법을 쉽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아키텍처의 모든 조합이 여기에 제시되지는 않는다.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도 12는 여기서 설명된 다양한 하드웨어 아키텍처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대표적인 소프트웨어 아키텍처(1202)를 도시한 블록도(1200)이다. 도 12는 단지 소프트웨어 아키텍처(1202)의 비제한적 예일뿐이고 여기서 설명된 기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많은 다른 아키텍처가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소프트웨어 아키텍처(1202)는 특히 프로세서(1310), 메모리/스토리지(1330), 및 I/O 컴포넌트(1350)를 포함하는 도 13의 머신(1300)와 같은 하드웨어 상에서 실행될 수 있다. 대표적인 하드웨어 레이어(1204)가 도시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3의 머신(1300)를 나타낼 수 있다. 대표적인 하드웨어 레이어(1204)는 연관된 실행 가능 명령들(1208)을 갖는 하나 이상의 처리 유닛들(1206)을 포함한다. 실행 가능 명령들(1208)은 도 1 내지 도9의 방법들, 모듈들 등의 구현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아키텍처(1202)의 실행 가능한 명령들을 나타낸다. 하드웨어 레이어(1204)는 또한 실행 가능 명령들(1208)을 갖는 메모리 및/또는 저장 모듈들(1210)을 포함한다. 하드웨어 레이어(1204)는 또한 예컨대 머신(1300)의 일부로서 도시된 다른 하드웨어를 나타내는 다른 하드웨어(1212)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 레이어(1204)는 또한 머신(1300)의 일부로서 도시된 다른 하드웨어와 같은, 하드웨어 레이어(1204)의 임의의 다른 하드웨어를 나타내는 다른 하드웨어(12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의 예시적인 아키텍처에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1202)는 각 레이어가 특정 기능을 제공하는 레이어들의 스택으로서 개념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아키텍처(1202)는 운영 체제(1214), 라이브러리(1216), 프레임워크/미들웨어(1218), 애플리케이션(1220), 및 프리젠테이션 레이어(1244)와 같은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상으로, 레이어 내의 애플리케이션(1220) 및/또는 다른 컴포넌트는 소프트웨어 스택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호출(1224)을 호출하고, API 호출(1224)에 응답하여 메시지(1226)로서 도시된 응답, 리턴 값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도시된 레이어들은 본질적으로 대표적이며, 모든 소프트웨어 아키텍처(1202)가 모든 레이어를 갖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일부 모바일 또는 특수 목적 운영 체제는 프레임워크/미들웨어(1218)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지만, 다른 것들은 그러한 레이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다른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는 추가적인 또는 상이한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운영 체제(1214)는 하드웨어 리소스를 관리하고 공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운영 체제(1214)는 예를 들어, 커널(1228), 서비스(1230), 및 드라이버(1232)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널(1228)은 하드웨어와 다른 소프트웨어 레이어 사이의 추상화 레이어(abstraction layer)로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널(1228)은 메모리 관리, 프로세서 관리(예를 들어, 스케줄링), 컴포넌트 관리, 네트워킹, 보안 설정 등을 담당할 수 있다. 서비스(1230)는 다른 소프트웨어 레이어에 대한 다른 공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드라이버들(1232)은 기본 하드웨어를 제어하거나 인터페이싱하는 것을 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라이버(1232)는 하드웨어 구성에 따라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카메라 드라이버, Bluetooth® 드라이버, 플래시 메모리 드라이버, 직렬 통신 드라이버(예를 들어, Universal Serial Bus(USB) drivers), Wi-Fi® 드라이버, 오디오 드라이버, 전원 관리 드라이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라이브러리들(1216)은 애플리케이션들(1220) 및/또는 다른 컴포넌트들 및/또는 레이어들에 의해 이용될 수 있는 공통 인프라스트럭처를 제공할 수 있다. 라이브러리(1216)는 일반적으로 다른 소프트웨어 모듈이 기본 운영 체제(1214) 기능(예를 들어, 커널(1228), 서비스(1230) 및/또는 드라이버(1232))과 직접 인터페이싱하는 것보다 더 쉬운 방식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라이브러리(1216)는 메모리 할당 기능, 스트링 조작 기능, 수학 기능 등과 같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라이브러리(1234)(예를 들어, C 표준 라이브러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라이브러리(1216)는 미디어 라이브러리(예를 들어, MPEG4, H.264, MP3, AAC, AMR, JPG, PNG와 같은 다양한 미디어 형식의 표현 및 조작을 지원하는 라이브러리), 그래픽 라이브러리(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의 그래픽 컨텐츠 상에서 2D 및 3D를 렌더링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OpenGL 프레임워크), 데이터베이스 라이브러리(예를 들어, 다양한 관계 데이터베이스 함수를 제공할 수 있는 SQLite), 웹 라이브러리(예를 들어, 웹 브라우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WebKit) 등과 같은 API 라이브러리(1236)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이브러리(1216)는 애플리케이션(1220) 및 다른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모듈에 많은 다른 API를 제공하기 위해 매우 다양한 다른 라이브러리(1238)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워크/미들웨어(1218)(때때로 미들웨어라고도 지칭됨)는 애플리케이션(1220) 및/또는 다른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모듈에 의해 활용될 수 있는 상위 레벨 공통 인프라스트럭처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워크/미들웨어(1218)는 다양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기능, 고수준(high-level) 리소스 관리, 고수준 로케이션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프레임워크/미들웨어(1218)는 애플리케이션(1220) 및/또는 다른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모듈(일부는 특정 운영 체제(1214) 또는 플랫폼에 대해 특정될 수 있음)에 의해 활용될 수 있는 광범위한 스펙트럼의 다른 API를 제공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1220)은 내장된 애플리케이션(1240) 및/또는 제3 업체 애플리케이션(1242)을 포함한다. 대표적인 내장 애플리케이션(1240)의 예는 연락처 애플리케이션,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 북 리더(book reader) 애플리케이션, 위치 애플리케이션, 미디어 애플리케이션,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3 업체 애플리케이션(1242)은 임의의 내장 애플리케이션(1240)뿐만 아니라 광범위한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예에서, 제3 업체 애플리케이션(1242)(예를 들어, 특정 플랫폼의 공급 업체가 아닌 다른 업체에서 Android™ 또는 iOS™ SDK(software development kit)를 사용하여 개발된 애플리케이션)은 iOS™, Android™, Windows® Phone, 또는 다른 모바일 운영 체제와 같은 모바일 운영 체제에서 실행되는 모바일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이 예에서, 제3 업체 애플리케이션(1242)은 여기서 설명된 기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운영 체제(1214)와 같은 모바일 운영 체제에 의해 제공되는 API 호출(1224)을 호출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1220)은 내장된 운영 체제 기능(예를 들어, 커널(1228), 서비스(1230) 및/또는 드라이버(1232)), 라이브러리(예를 들어, 시스템 라이브러리(1234), API 라이브러리(1236), 및 다른 라이브러리(1238)), 및 시스템의 사용자와 상호 작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미들웨어(1218)를 활용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일부 시스템에서,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은 프레젠테이션 레이어(1244)와 같은 프레젠테이션 레이어를 통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애플리케이션/모듈 "로직"은 사용자와 상호 작용하는 애플리케이션/모듈의 양태와 분리될 수 있다.
일부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는 가상 컴퓨터를 사용한다. 도 12의 예에서, 이는 가상 머신(1248)에 의해 예시된다. 가상 머신은 애플리케이션/모듈이 하드웨어 머신(예를 들어, 도 13의 머신(1300))와 같은)에서 실행중인 것처럼 실행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환경을 생성한다. 가상 머신(1248)은 호스트 운영 체제(도 12의 운영 체제(1214))에 의해 호스팅되며, 통상적으로 항상은 아니지만, 호스트 머신 운영 체제(예를 들어, 운영 체제(1214))와의 인터페이스뿐만 아니라 가상 머신(1248)의 동작을 관리하는 가상 머신 모니터(1246)를 갖는다. 소프트웨어 아키텍처(1202)는 운영 체제(1250), 라이브러리(1252), 프레임워크/미들웨어(1254), 애플리케이션(1256) 및/또는 프리젠테이션 레이어(1258)과 같은 가상 머신(1248) 내에서 실행한다. 가상 머신(1248) 내에서 실행하는 이러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의 레이어는 이전에 기술된 대응하는 레이어와 동일할 수 있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
예제 머신 아키텍처 및 머신 판독가능 매체
도 13은 머신 판독가능 매체(예를 들어, 머신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부터 명령들(1316)을 판독할 수 있고 여기서 논의된 임의의 하나 이상의 방법들을 수행할 수 있는,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머신(1300)의 컴포넌트들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3은 컴퓨터 시스템의 예시적인 형태의 머신(1300)의 개략도를 나타내며, 머신(1300)이 여기서 논의된 임의의 하나 이상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1316)(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애플릿, 앱(app), 또는 다른 실행 가능 코드)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명령들(1316)은 머신(1300)이 도 9 및 도 10의 순서도를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명령들(1316)은 도 1 내지 도 11의 모듈들 등을 구현할 수 있다. 명령들(1316)은 일반적인 프로그래밍되지 않은 머신(1300)을, 설명된 방식으로 설명되고 예시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 특정 머신으로 변환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머신(1300)은 독립형 디바이스로서 동작하거나 또는 다른 머신들에 결합(예를 들어, 네트워킹)될 수 있다. 네트워크 배치에서, 머신(1300)은 서버-클라이언트 네트워크 환경에서 서버 머신 또는 클라이언트 머신의 용량 내에서 동작할 수 있거나, 또는 피어-투-피어(또는 분산된) 네트워크 환경에서 피어 머신으로서 동작할 수 있다. 머신(1300)은, 서버 컴퓨터, 클라이언트 컴퓨터, 퍼스널 컴퓨터(PC), 태블릿 컴퓨터, 랩톱 컴퓨터, 넷북, 셋탑 박스(STB),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엔터테인먼트 미디어 시스템, 셀룰러 폰, 스마트 폰, 모바일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예를 들어, 스마트 워치), 스마트 홈 디바이스(예를 들어, 스마트 어플라이언스(appliance)), 다른 스마트 디바이스, 웹 어플라이언스, 웹 라우터, 네트워크 스위치, 네트워크 브리지, 또는 머신(1300)에 의해 취해질 동작을 특정하는 명령(1316)을 순차적으로 또는 다른 방식으로 실행할 수 있는 임의의 머신일 수 있다. 또한, 단 하나의 머신(1300)이 도시되어 있지만, "머신"라는 용어는 여기서 논의된 임의의 하나 이상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명령(1316)을 개별적으로 또는 공동으로 실행하는 머신들(1300)의 집합을 포함하도록 취해질 수도 있다.
머신(1300)은 버스(1302)를 통해서와 같이 서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프로세서(1310), 메모리/스토리지(1330), 및 I/O 컴포넌트(135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들(1310)(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 RISC(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ing) 프로세서, CISC(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ing) 프로세서, GPU(graphics processing unit), DSP(digital signal processor),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RFIC(radio-frequency integrated circuit), 다른 프로세서, 또는 그것들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은 예를 들어, 명령들(1316)을 실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1312) 및 프로세서(131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라는 용어는 명령들(1316)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는 둘 이상의 독립적인 프로세서들(1312, 1314)(때로는 "코어들"이라고도 지칭됨)을 포함할 수 있는 멀티 코어 프로세서(1312, 1314)를 포함한다. 도 13은 다수의 프로세서들(1310)을 도시하지만, 머신(1300)은 싱글 코어를 갖는 싱글 프로세서(1312, 1314), 다수의 코어를 갖는 다수의 프로세서(1312, 1314)(예를 들어, 멀티 코어 프로세서(1312, 1314)), 싱글 코어를 갖는 다수의 프로세서(1312, 1314), 다수의 코어를 갖는 다수의 프로세서(1312, 1314),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스토리지(1330)는 버스(1302)를 통해서와 같이 프로세서(1310)에 모두 액세스 가능한 메인 메모리 또는 다른 메모리 스토리지와 같은 메모리(1332), 및 스토리지 유닛(1336)을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 유닛(1336) 및 메모리(1332)는 여기서 설명된 임의의 하나 이상의 방법 또는 기능을 구현하는 명령들(1316)을 저장한다. 명령들(1316)은 또한 머신(1300)에 의한 그것의 실행 중에, 프로세서들(1310) 중 적어도 하나(예를 들어, 프로세서(1312, 1314)의 캐시 메모리 내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 내에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상주할 수 있다. 따라서, 메모리(1332), 스토리지 유닛(1336), 및 프로세서(1310)의 메모리는 머신 판독가능 매체의 예들이다.
여기서 사용된 바와 같이, "머신 판독가능 매체"는 명령들(1316 및 1316) 및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의미하고,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Only Memory), 버퍼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광 매체, 자기 매체, 캐시 메모리, 다른 유형의 스토리지(예를 들어, E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및/또는 이들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머신 판독가능 매체"라는 용어는 명령(1316)을 저장할 수 있는 단일 매체 또는 다수의 매체(예를 들어, 중앙 집중된 또는 분산된 데이터베이스, 또는 연관된 캐시 및 서버)를 포함하도록 취해진다. "머신 판독가능 매체"라는 용어는 또한 머신(예를 들어, 머신(1300))에 의한 실행을 위한 명령어(예를 들어, 명령어(1316))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 또는 다중 매체의 조합을 포함하도록 취해져서, 머신(1300)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예를 들어, 프로세서들 (1310))에 의해 실행되는 때, 명령들(1316)은 머신(1300)이 여기서 설명된 임의의 하나 이상의 방법들을 수행하게 한다. 따라서, "머신 판독가능 매체"는 다수의 스토리지 장치 또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기반" 저장 시스템 또는 저장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단일 스토리지 장치 또는 디바이스를 지칭한다. "머신 판독가능 매체"라는 용어는 신호 그 자체를 배제한다.
I/O 컴포넌트(1350)는 입력을 수신하고, 출력을 제공하고, 정보를 송신하고, 정보를 교환하고, 측정을 획득하는 매우 다양한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머신(1300)에 포함되는 특정 I/O 컴포넌트(1350)는 머신(1300)의 유형에 따를 것이다. 예를 들어, 휴대 전화와 같은 휴대용 머신은 터치 입력 디바이스 또는 기타 입력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지만, 헤드리스(headless) 서버 머신은 그러한 터치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하지 않는다. I/O 컴포넌트들(1350)은 도 13에 도시되지 않은 많은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I/O 컴포넌트(1350)는 단지 기능에 따라 그룹핑되어 다음의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한 것이며 그룹핑은 결코 제한적이지는 않다.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I/O 컴포넌트(1350)는 출력 컴포넌트(1352) 및 입력 컴포넌트(1354)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컴포넌트(1352)는 시각 컴포넌트(예를 들어, PDP(plasma display panel), LED(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LCD(liquid crystal display), 프로젝터, 또는 CRT(cathode ray tube)와 같은 디스플레이), 음향 컴포넌트(예를 들어, 스피커), 햅틱 컴포넌트(예를 들어, 진동 모터, 저항 메커니즘), 다른 신호 생성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컴포넌트(1354)는 영숫자(alphanumeric) 입력 컴포넌트(예를 들어, 키보드, 영숫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터치 스크린, 포토-광 키보드, 또는 다른 영숫자 입력 컴포넌트), 포인트 기반 입력 컴포넌트(예를 들어, 마우스, 터치 패드, 트랙볼, 조이스틱, 동작 센서, 또는 다른 포인팅 기구), 촉감 입력 컴포넌트(예를 들어, 물리적 인 버튼, 접촉 또는 터치 제스처의 위치 및/또는 힘을 제공하는 터치 스크린, 또는 다른 촉각 입력 컴포넌트), 오디오 입력 컴포넌트(예를 들어 마이크로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I/O 컴포넌트(1350)는 다른 컴포넌트의 광범위한 어레이 중에서 생체 인식(biometric) 컴포넌트(1356), 모션 컴포넌트(1358), 환경 컴포넌트(1360), 또는 위치 컴포넌트(136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체 인식 컴포넌트(1356)는 표현(예를 들어, 손짓, 표정, 음성 표현, 몸짓, 또는 눈 추적)을 검출하고,, 생체 신호(예를 들어, 혈압, 심박수, 체온, 땀, 또는 뇌파)를 측정하며, 사람(예컨대, 음성 식별, 망막 식별, 안면 식별, 지문 식별, 또는 뇌파 계 기반 식별)을 식별하는 등의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모션 컴포넌트(1358)는 가속도 센서 컴포넌트(예를 들어, 가속도계), 중력 센서 컴포넌트, 회전 센서 컴포넌트(예를 들어, 자이로스코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환경 컴포넌트들(1360)은 예를 들어, 조명 센서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광도계(photometer)), 온도 센서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주위 온도를 검출하는 하나 이상의 온도계), 습도 센서 컴포넌트들, 압력 센서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기압계), 음향 센서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배경 잡음(background noise)을 검출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폰), 근접 센서 컴포넌트들(예를 들면, 근방의 물체를 검출하는 적외선 센서), 가스 센서들(예를 들어, 안전을 위해 위험한 가스의 농도를 검출하거나 대기의 오염 물질을 측정하는 가스 감지 센서), 또는 주변 물리적 환경에 상응하는 표시, 측정 또는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다른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위치 컴포넌트(1362)는 위치 센서 컴포넌트(예컨대, GPS(Global Position System) 수신기 컴포넌트), 고도 센서 컴포넌트(고도 등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는 공기압을 검출하는 고도계 또는 기압계), 방향 센서 컴포넌트(예를 들어, 자력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은 다양한 기술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I/O 컴포넌트(1350)는 각각 머신(1300)을 네트워크(1380) 또는 디바이스(1370)에 커플링(1382) 및 커플링(1372)을 통해 결합하도록 동작 가능한 통신 컴포넌트(136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컴포넌트(1364)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컴포넌트 또는 네트워크(1380)와 인터페이싱하기 위한 다른 적절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예에서, 통신 모듈(1364)은 유선 통신 컴포넌트, 무선 통신 컴포넌트, 셀룰러 통신 컴포넌트,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컴포넌트, Bluetooth® 컴포넌트(예를 들어, Bluetooth® Low Energy), Wi-Fi® 컴포넌트, 및 다른 양식을 통해 통신을 제공하는 다른 통신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1370)는 다른 머신 또는 임의의 다양한 주변 디바이스(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를 통해 연결된 주변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통신 컴포넌트들(1364)은 식별자들을 검출하거나 또는 식별자들을 검출하도록 동작할 수 있는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컴포넌트(1364)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 판독기 컴포넌트, NFC 스마트 태그 검출 컴포넌트, 광 판독기 컴포넌트(예를 들어, UPC(Universal Product Code) 바코드와 같은 1 차원 바코드, QR(Quick Response) 코드, Aztec 코드, Data Matrix, Dataglyph, MaxiCode, PDF417, Ultra Code, UCC RSS-2D 바코드 및 다른 광학식 코드와 같은 다차원 바코드를 검출하는 광학 센서), 또는 음향 검출 컴포넌트(예를 들어, 태그 지정된 오디오 신호를 식별하는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프로토콜(IP) 지리적 위치를 통한 위치, Wi-Fi® 신호 삼각 측량을 통한 위치, 특정 위치를 지시할 수 있는 NFC 비컨 신호의 검출을 통한 위치 등과 같은 통신 컴포넌트(1364)를 통해 다양한 정보가 도출될 수 있다.
송신 매체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1380)의 하나 이상의 부분은 애드혹(ad hoc) 네트워크, 인트라넷, 엑스트라넷, VPN(virtual private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WLAN(wireless LAN), WAN(wide area network), WWAN(wireless WAN),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인터넷, 인터넷의 일부,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의 일부,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네트워크, 셀룰러 전화 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 Wi-Fi® 네트워크, 다른 유형의 네트워크, 또는 둘 이상의 그러한 네트워크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380) 또는 네트워크(1380)의 일부는 무선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고, 커플링(1382)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연결,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연결, 또는 다른 유형의 셀룰러 또는 무선 커플링일 수 있다. 이 예에서, 커플링(1382)은 1xRTT(Single Carrier Radio Transmission Technology), EVDO(Evolution-Data Optimized) 기술,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기술, 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 기술, 3G, 4세대 무선(4G) 네트워크,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표준을 포함하는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다양한 표준 설정 조직 기타 장거리 프로토콜, 또는 기타 데이터 전송 기술에 의해 정의된 기타 표준과 같은, 여러 유형의 데이터 전송 기술 중 임의의 하나를 구현할 수 있다.
명령들(1316)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통한 송신 매체(예를 들어, 통신 컴포넌트들(1364)에 포함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컴포넌트)를 사용하고 다수의 잘 알려진 송신 프로토콜들(예를 들어,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중 임의의 하나를 활용하여 네트워크(1380)를 통해 송신되거나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유사하게, 명령들(1316)은 디바이스들(1370)에 대한 커플링(1392)(예를 들어, 피어-투-피어 커플링)을 통해 송신 매체를 사용하여 송신되거나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송신 매체"라는 용어는 머신(1300)에 의한 실행을 위한 명령(1316)을 저장, 인코딩, 또는 포함할 수 있는 임의의 무형 매체를 포함하도록 취해지며, 그러한 소프트웨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통신 신호 또는 기타 무형 매체를 포함한다.
언어
본 명세서에서, 복수의 인스턴스는 단일 인스턴스로 기술된 컴포넌트, 오퍼레이션 또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방법의 개별적인 동작이 개별적인 동작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지만, 하나 이상의 개별적인 동작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고, 동작이 도시된 순서대로 수행될 필요는 없다. 구성 예에서 개별 컴포넌트로 표현된 구조 및 기능은 결합된 구조 또는 컴포넌트로 구현될 수 있다. 유사하게, 단일 컴포넌트로서 표현된 구조 및 기능은 개별 컴포넌트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들 및 다른 변형, 수정, 추가, 및 개선은 본 명세서의 주제의 범위 내에 있다.
본 발명의 주제에 대한 개요가 특정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보다 넓은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 서 이들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발명의 주제의 예들은 여기서 편의상 및 실제로 하나 이상이 개시되면 임의의 단일 개시 또는 발명 컨셉으로 본원의 범위를 자발적으로 제한하려는 의도 없이 "발명"이라는 용어로써 개별적으로 또는 집합적으로 지칭될 수 있다.
여기서 기술된 실시예는 당업자가 개시된 교시를 실시할 수 있도록 충분히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구조적 및 논리적 대체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른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고 이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은 제한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와 그러한 청구 범위가 부여되는 등가물의 전체 범위에 의해서만 정의된다.
여기서 사용된 바와 같이, "또는"이라는 용어는 포괄적이거나 또는 배타적인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단일 인스턴스로서 기술된 리소스, 동작, 또는 구조에 대해 복수의 인스턴스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리소스, 동작, 모듈, 엔진, 및 데이터 저장소들 사이의 경계는 다소 임의적이고, 특정 동작은 특정 예시적인 구성과 관련하여 설명된다. 기능의 다른 할당이 계획되고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구성 예에서 별도의 리소스로 표현된 구조 및 기능은 결합된 구조 또는 리소스로 구현될 수 있다. 유사하게, 단일 리소스로 표현된 구조 및 기능은 별도의 리소스로 구현될 수 있다. 이들 및 다른 변형, 수정, 추가, 및 개선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 대표되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범위 내에 있다. 따라서, 명세서 및 도면은 제한적인 의미보다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Claims (14)

  1.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가, 밀리미터파(mmWave:millimeter wave) 통신의 제어 송신 부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 송신 부분을 복수의 제어 송신 부분 하위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 각 하위 영역은 상기 밀리미터파 통신의 데이터 송신 부분의 대응하는 하위 영역에 대한 데이터 송신을 스케줄링함 -,
    상기 제어 송신 부분 하위 영역들 중 제1 제어 송신 부분 하위 영역을 복조하고(demodulating) 디코딩하는(decoding) 단계,
    상기 복조되고 디코딩된 제1 제어 송신 부분 하위 영역에 따라 수신 아날로그 안테나 빔포밍(beamforming)을 준비하는(arming) 단계,
    상기 밀리미터파 통신의 데이터 송신 부분의 제1 하위 영역에 대한 빔포밍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수행하는 단계의 수행 중에, 상기 제어 송신 부분 하위 영역들 중 제2 제어 송신 부분 하위 영역을 복조하고 디코딩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밀리미터파 통신의 데이터 송신 부분의 제1 하위 영역에 대한 빔포밍의 완료에 응답하여, 상기 복조되고 디코딩된 제2 제어 송신 부분 하위 영역에 따라 수신 아날로그 안테나 빔포밍을 준비하고, 상기 밀리미터파 통신의 데이터 송신 부분의 제2 하위 영역에 대한 빔포밍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송신 부분의 제1 하위 영역은 상기 제1 제어 송신 부분 하위 영역에 대응하고, 상기 데이터 송신 부분의 제2 하위 영역은 상기 제2 제어 송신 부분 하위 영역에 대응하는,
    밀리미터파 통신 수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들은 빔포밍 공유 어레이를 사용하여 수행되는,
    밀리미터파 통신 수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들은 빔포밍 하위 어레이를 사용하여 수행되는,
    밀리미터파 통신 수신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리미터파 통신 수신 방법은 빔포밍 기준 신호(BFRS: beamforming reference signal)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빔포밍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신호를 사용하여 최상의 빔 쌍을 선택하고, 상기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컨트롤러에게 상기 최상의 빔 쌍을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밀리미터파 통신 수신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 리소스는 상기 기준 신호가 송신되는 시간과 주파수 및 기준 신호를 생성하는 시퀀스를 포함하는,
    밀리미터파 통신 수신 방법.
  6.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가, 밀리미터파(mmWave:millimeter wave) 통신의 제어 송신 부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밀리미터파 통신의 제어 송신 부분의 전단 부분에 스케줄링 제한을 할당하는 단계,
    상기 제어 송신 부분의 전단 부분의 복조(demodulation) 및 디코딩(decoding)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어 송신 부분의 전단 부분의 복조 및 디코딩이 완료되기 전에, 상기 밀리미터파 통신의 데이터 송신 부분의 전단 부분을 수신하는 단계,
    디폴트(default)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상기 밀리미터파 통신의 데이터 송신 부분의 전단 부분의 빔포밍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어 송신 부분의 후단 부분의 복조 및 디코딩을 수행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어 송신 부분의 후단 부분의 복조 및 디코딩이 완료되기 전에, 상기 밀리미터파 통신의 데이터 송신 부분의 후단 부분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밀리미터파 통신의 데이터 송신 부분의 전단 부분은 상기 밀리미터파 통신의 제어 송신 부분의 전단 부분에 대응하고, 상기 밀리미터파 통신의 데이터 송신 부분의 후단 부분은 상기 밀리미터파 통신의 제어 송신 부분의 후단 부분에 대응하는,
    밀리미터파 통신 수신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제한은 지연 시간 및 상기 디폴트 파라미터를 지시하는,
    밀리미터파 통신 수신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폴트 파라미터는 상기 UE에 대해 마지막으로 보고된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파라미터인,
    밀리미터파 통신 수신 방법.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송신 부분의 전단 부분과 후단 부분 및 상기 데이터 송신 부분의 전단 부분과 후단 부분은 평균 복조 및 디코딩 시간에 선험적으로 기초하여 결정되는,
    밀리미터파 통신 수신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신 부분의 후단 부분은 복조 및 디코딩되는 상기 제어 송신 부분의 대응하는 부분에 후속하여 수신되는 상기 데이터 송신 부분의 임의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 송신 부분의 전단 부분과 후단 부분 및 상기 데이터 송신 부분의 전단 부분과 후단 부분은 실행(runtime) 시에 결정되는,
    밀리미터파 통신 수신 방법.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들은 빔포밍 공유 어레이를 사용하여 수행되는,
    밀리미터파 통신 수신 방법.
  12.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들은 빔포밍 하위 어레이를 사용하여 수행되는,
    밀리미터파 통신 수신 방법.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밀리미터파 통신 수신 방법은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빔포밍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신호를 사용하여 최상의 빔 쌍을 선택하고, 상기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컨트롤러에게 상기 최상의 빔 쌍을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밀리미터파 통신 수신 방법.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 리소스는 상기 기준 신호가 송신된 시간과 주파수 및 기준 신호를 생성하는 시퀀스를 포함하는,
    밀리미터파 통신 수신 방법.
KR1020177034437A 2015-05-01 2016-04-29 밀리미터파 통신에서의 디코딩 지연을 스케줄링하여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는 디바이스, 네트워크, 및 방법 KR1021634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55961P 2015-05-01 2015-05-01
US62/155,961 2015-05-01
US15/140,088 2016-04-27
US15/140,088 US10193604B2 (en) 2015-05-01 2016-04-27 Device, network, and method for receiving data transmission under scheduling decoding delay in mmWave communication
PCT/CN2016/080717 WO2016177298A1 (en) 2015-05-01 2016-04-29 Device, network, and method for receiving data transmission under scheduling decoding delay in mmwave commun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0392A true KR20170140392A (ko) 2017-12-20
KR102163479B1 KR102163479B1 (ko) 2020-10-08

Family

ID=57205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4437A KR102163479B1 (ko) 2015-05-01 2016-04-29 밀리미터파 통신에서의 디코딩 지연을 스케줄링하여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는 디바이스, 네트워크, 및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3) US10193604B2 (ko)
EP (2) EP3284313B1 (ko)
JP (2) JP6571204B2 (ko)
KR (1) KR102163479B1 (ko)
CN (4) CN112039569A (ko)
ES (1) ES2764758T3 (ko)
MY (1) MY191979A (ko)
WO (1) WO20161772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36082B2 (en) 2016-10-31 2020-08-04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of a common control in a beamforming system
US10506576B2 (en) 2017-01-27 2019-12-10 Qualcomm Incorporated Multi-link new radio (NR)-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design
CN108923896B (zh) 2017-04-19 2021-03-26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被用于寻呼的用户设备、基站中的方法和装置
CN112865924A (zh) * 2017-07-05 2021-05-28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无线通信的用户设备、基站中的方法和装置
PT3823337T (pt) * 2018-07-13 2024-03-11 Ntt Docomo Inc Equipamento de utilizador e estação base
CN111182629B (zh) * 2018-11-09 2023-04-07 深圳市中兴微电子技术有限公司 小区间干扰协调方法、基站及存储介质
KR20200099044A (ko) * 2019-02-13 2020-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20200266954A1 (en) * 2019-02-14 2020-08-20 Mediatek Singapore Pte.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 Equipment Processing Timeline Enhancement In Mobile Communications
US10826568B1 (en) * 2019-05-03 2020-11-03 Qualcomm Incorporated Simultaneous multiple default beams
KR102371406B1 (ko) 2020-11-18 2022-03-08 지앨에스 주식회사 무선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371408B1 (ko) 2020-11-18 2022-03-07 지앨에스 주식회사 무선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385527B1 (ko) 2020-11-25 2022-04-26 지앨에스 주식회사 무선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385522B1 (ko) 2020-11-26 2022-04-26 지앨에스 주식회사 무선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22131977A1 (en) * 2020-12-16 2022-06-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ime domain resource alloc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102559542B1 (ko) 2020-12-24 2023-07-25 지앨에스 주식회사 무선 통신을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2696A (ko) * 2012-04-03 2014-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50006381A (ko) * 2013-07-08 2015-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빔포밍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108B1 (ko) 2007-07-19 2013-12-10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빔포밍 벡터를 인코딩 및 디코딩하기 위한 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
US8009617B2 (en) * 2007-08-15 2011-08-30 Qualcomm Incorporated Beamforming of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611272B1 (ko) * 2008-11-07 2016-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참조 신호 전송 방법
US20100120442A1 (en) * 2008-11-12 2010-05-13 Motorola, Inc. Resource sharing in relay operations with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EP2453593B1 (en) 2009-06-19 2018-08-15 BlackBerry Limited Downlink reference signal for type II relay
WO2011001697A1 (ja) * 2009-07-03 2011-01-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送信装置及び無線送信方法
US8520648B2 (en) * 2010-06-14 2013-08-27 Intel Corporation Beacon transmission techniques in directional wireless networks
CN101924610B (zh) * 2010-08-02 2012-12-26 西安电子科技大学 Lte-a系统中信道状态信息参考信号csi-rs的设计与分配方法
US9949244B2 (en) * 2010-12-21 2018-04-1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mitigating inter cell interference and device therefor
WO2012108679A2 (ko) 2011-02-08 2012-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송파 집성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KR101764261B1 (ko) * 2011-07-15 2017-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고정 장치 및 방법
WO2013036005A1 (en) 2011-09-05 2013-03-14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indicating a control channel in a wireless access system, base station for the same and user equipment for the same
CN103107872B (zh) 2011-11-09 2015-09-23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增强下行确认/否定确认信号传输的方法及其装置
US9071489B2 (en) 2011-12-07 2015-06-30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eambl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CN105490796B (zh) 2012-01-09 2018-11-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控制信道传输、接收方法及基站、用户设备
US20130188624A1 (en) * 2012-01-20 2013-07-25 Jung Seung Lee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neighbor cells of small cell base station
US9603034B2 (en) 2012-01-30 2017-03-21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mmon control channels in a communications system
US9531573B2 (en) * 2012-04-09 2016-1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cyclic prefix reduction in MMwave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US9380582B2 (en) * 2012-04-16 2016-06-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flexible beam communications in random access in system with large number of antennas
US20130286960A1 (en) * 2012-04-30 2013-10-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 channel beam management in a wireless system with a large number of antennas
GB2502274B (en) 2012-05-21 2017-04-19 Sony Corp Telecommunications systems and methods
WO2014098542A1 (en) * 2012-12-21 2014-06-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channel by beamform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204395B2 (en) * 2013-01-15 2015-1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iscontinuous receive in communication systems with large number of antennas
CN105009474A (zh) 2013-02-07 2015-10-28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用于低延迟毫米波(mmw)回程系统的物理层(phy)设计
US10230513B2 (en) * 2013-03-12 2019-03-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control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420576B2 (en) * 2013-04-23 2016-08-16 Qualcomm Incorporated PDSCH transmission schemes with compact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format in new carrier type (NCT) in LTE
US9467909B2 (en) * 2013-09-11 2016-10-11 Intel IP Corporation Techniques for relocating a backhaul channel between a small cell base station and a macro cell base station
US9497651B2 (en) * 2014-01-31 2016-11-15 Intel IP Corporation Techniques for mmWave-capable small cell detection
KR102169662B1 (ko) * 2014-03-10 2020-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결정 장치 및 방법
US20160072562A1 (en) * 2014-09-10 2016-03-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Channel state information reporting with basis expansion for advanced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2696A (ko) * 2012-04-03 2014-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50006381A (ko) * 2013-07-08 2015-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빔포밍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190884A (zh) 2019-08-30
CN110190884B (zh) 2020-06-26
ES2764758T3 (es) 2020-06-04
CN107535009A (zh) 2018-01-02
WO2016177298A1 (en) 2016-11-10
US10873377B2 (en) 2020-12-22
MY191979A (en) 2022-07-21
EP3284313A4 (en) 2018-08-29
JP2018521531A (ja) 2018-08-02
CN112039569A (zh) 2020-12-04
EP3284313A1 (en) 2018-02-21
CN107535009B (zh) 2020-08-07
US20160323028A1 (en) 2016-11-03
US20210105053A1 (en) 2021-04-08
CN110224733A (zh) 2019-09-10
EP3284313B1 (en) 2019-10-16
US20190044595A1 (en) 2019-02-07
JP7123018B2 (ja) 2022-08-22
KR102163479B1 (ko) 2020-10-08
US11909476B2 (en) 2024-02-20
JP6571204B2 (ja) 2019-09-04
CN110224733B (zh) 2020-07-07
JP2019216454A (ja) 2019-12-19
US10193604B2 (en) 2019-01-29
EP3614792A1 (en) 2020-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84073B2 (en) Device, network, and method for CSI feedback of hybrid beamforming
US11909476B2 (en) Device, network, and method for receiving data transmission under scheduling decoding delay in mmWave communication
WO2018063894A1 (en) Channel state information framework design for 5g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transmissions
US10951277B2 (en) Providing a format indicator comprising rank indication and channel state information spatial domain resolution type
WO2018126913A1 (zh) 上行参考信号信息的指示方法及装置和存储介质
US1174292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itigating codebook inaccuracy when using hierarchical beam operations
JP2014529208A (ja) 下りリンク制御情報送信及び受信方法並びに基地局及び移動端末
CN114223226A (zh) Tci状态配置和激活或去激活的装置和方法
WO2022098629A1 (en) Methods, architectures, apparatuses and systems for adaptive multi-user noma selection and symbol detection
US20240023021A1 (en) Control channel resource optimization in a radio access network
KR20230173500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srs 기반의 빠른 링크 적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2234486A1 (en) Configuring csi reporting for multi-trp transmission
EP3602811A1 (en) A low complexity high performance single codeword mimo for 5g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