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5522B1 - 무선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5522B1
KR102385522B1 KR1020200161321A KR20200161321A KR102385522B1 KR 102385522 B1 KR102385522 B1 KR 102385522B1 KR 1020200161321 A KR1020200161321 A KR 1020200161321A KR 20200161321 A KR20200161321 A KR 20200161321A KR 102385522 B1 KR102385522 B1 KR 102385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mmunication
transmitting
data
receiving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1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기동
은기찬
박영진
Original Assignee
지앨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앨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앨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1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5522B1/ko
Priority to PCT/KR2020/017058 priority patent/WO2022114285A1/ko
Priority to US18/038,122 priority patent/US20240007596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5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5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20Adaptations for transmission via a GHz frequency band, e.g. via satelli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03Software-defined radio [SDR] systems, i.e. systems wherein components typically implemented in hardware, e.g. filters or modulators/demodulators, are implented using software, e.g. by involving an AD or DA conversion stage such that at least part of the signal processing is performed in the digital domain
    • H04B1/0007Software-defined radio [SDR] systems, i.e. systems wherein components typically implemented in hardware, e.g. filters or modulators/demodulators, are implented using software, e.g. by involving an AD or DA conversion stage such that at least part of the signal processing is performed in the digital domain wherein the AD/DA conversion occurs at radiofrequency or intermediate frequency stage
    • H04B1/0014Software-defined radio [SDR] systems, i.e. systems wherein components typically implemented in hardware, e.g. filters or modulators/demodulators, are implented using software, e.g. by involving an AD or DA conversion stage such that at least part of the signal processing is performed in the digital domain wherein the AD/DA conversion occurs at radiofrequency or intermediate frequency stage using DSP [Digital Signal Processor] quadrature modulation and de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64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separate antennas for the more than one b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64Arrangements for coupling to transmission lines
    • H04L25/0272Arrangements for coupling to multiple lines, e.g. for differential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4Multichannel or multilink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8Multiprotocol handlers, e.g. single devices capable of handling multiple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04N21/43635HDMI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2Use of DVI or HDMI protocol in interfaces along the display data pipelin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6Use of wireless transmission of display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데이터 전송 방법은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송신단에서 제1 인터페이스를 갖는 제1 디스플레이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수신한 상기 디스플레이 신호 중 필요 데이터를 추출하는 동작, 상기 필요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신호를 극고주파의 RF 신호로 변환하는 동작, 상기 극고주파 RF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는 동작, 수신단에서, 수신한 상기 극고주파 RF 신호를 제2 인터페이스를 갖는 제2 디스플레이 신호로 변환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데이터 송신기와 수신기는 동일하지 않은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으며, 송신기와 수신기 내에 상대편 수신기와 송신기가 사용하는 통신 프로토콜을 감지하여 해당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전송 또는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 DATA TRANSMISSION}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무선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표시 장치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 방식으로는 유선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DVI(digital video interface),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isplayPort, V-by-One 등과 같은 인터페이스가 상용화 되어있다.
그런데 최근 디스플레이의 대형화 및 고해상도화가 급속히 진행됨에 따라 전자기기간에 전송해야 할 데이터의 용량과 데이터 전송속도 증가에 대한 수요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TV나 PC, Smartphone과 같은 전자기기 이외에도 AR(augmented reality), VR(virtual reality), MR(mixed reality)과 같은 wearable 전자기기에 있어서도 디스플레이 해상도의 고정밀화, 전방위 영상정보의 전송, 영상정보 전송의 실시간성에 따른 초고속 대용량 데이터 전송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거기에 더해 고해상도 카메라, ToF(time of flight) 센서와 같은 다양한 센서의 추가 등으로 초고속 실시간 데이터 전송에 요구는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초고속 데이터 통신은 유선통신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기술적으로 용이하나, 전자기기들이 모바일화 됨으로 인해 이러한 초고속 데이터 통신이 무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이동통신에도 동일하게 적용되어 4G(4th-generation) 이동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차세대(예: 5G 또는 6G) 통신 시스템은 더욱 빠른 데이터 무선 데이터 통신속도를 달성하고자 하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차세대 통신 시스템은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서 극고주파 대역(Extreme High Frequency, EHF, 30 ~ 300 GHz)을 이용한 무선통신 구현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극고주파 대역에서의 통신을 디스플레이 및 전자장치에서의 데이터 전송에 적용하고자 하는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63479호(2020년10월09일 공고)
AR(augmented reality), VR(virtual reality), MR(mixed reality) 등의 기술을 활용함에 있어, 고용량의 실시간 데이터(real-time data)를 고속으로 웨어러블 장치와 제어 장치 간에 전송하기 위하여 유선 데이터 통신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유선 통신을 기반으로, 가상 현실 관련 기술을 활용하는 경우, 특히 스포츠 용도에 있어서, 통신 선로에 의해 움직임에 제약이 가해질 수 있고, 움직임으로 인한 선로 단절의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는 유선통신을 무선통신으로 바꿈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그런데 유선통신으로는 다양한 종류의 통신 프로토콜이 사용되고 있어 전자기기간에 동일한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유선통신끼리만 통신이 가능하다. 유선통신의 경우는 통신 케이블이 연결되는 포트(port)의 구조를 통신 프로토콜 별로 상이하게 디자인 함으로써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통신 케이블이 연결될 수 없게 함으로써 전자기기간 유선통신 프로토콜을 일치시키게 하는 방법을 사용해 왔다.
무선통신에서는 물리적인 포트(port)가 사용되지 않으므로 전자기기간 통신을 위해서는 통신 프로토콜을 서로 일치시키는 번거로운 작업이 필요하다. 그러나 무선통신용 반도체 칩셋 디자인에 통신하려고 하는 상대측의 프로토콜을 인식하고 이 프로토콜을 자신의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시킬 수 있는 기능을 내재하게 되면, 서로 다른 종류의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전자기기간에 사용자의 개입없이 자동적으로 무선통신이 가능하게할 수 있다. 본 기술은 이러한 통신 프로토콜의 자동변환에 관한 것으로 이 기술은 무선통신 뿐만 아니라, 유선통신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데이터 전송 방법은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송신단에서 제1 인터페이스를 갖는 제1 디스플레이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수신한 상기 디스플레이 신호 중 필요 데이터를 추출하는 동작, 상기 필요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는 동작, 상기 RF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는 동작, 수신단에서, 수신한 상기 RF 신호를 제2 인터페이스를 갖는 제2 디스플레이 신호로 변환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단 및 수신단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상기 송신단 및 상기 수신단 간에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채널은 상기 송신단에서 수신한 제1 인터페이스를 갖는 제1 디스플레이 신호 중 필요 데이터를 추출하는 디코더(decoder), 상기 필요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1 컨버터(convertor), 상기 디지털 신호를 상기 RF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하는 제1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 상기 수신단에서, 상기 제1 RF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2 RFIC, 상기 디지털 신호 중 상기 필요 데이터를 추출하는 인코더(encoder) 및 추출된 상기 필요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RF 신호를 제2 인터페이스를 갖는 제2 디스플레이 신호로 변환하는 제2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단 및 수신단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이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수신단에서는 송신단으로 부터 수신된 통신 프로토콜을 수신단이 사용하는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단 및 수신단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이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수신단에서는 송신단으로 부터 수신된 통신의 프로토콜을 자동 감지하는 기능을 내장하여 송신단이 보내온 통신의 프로토콜 종류를 감지한 후, 해당 통신 내용을 수신단이 사용하는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단 및 수신단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이 송신 및 수신하는 통신 프로토콜이 Vx1 또는 HDMI 또는 DP 또는 USB 등과 같은 영상 또는 데이터 정보의 전송을 목적으로 하는 통신 프로토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단 및 수신단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이 송신 및 수신하는 통신 프로토콜이 동일하게 Vx1 또는 HDMI 또는 DP 또는 USB 등과 같은 영상 또는 데이터 정보의 전송을 목적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단 및 수신단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이 송신 및 수신하는 통신 프로토콜이 Vx1 또는 HDMI 또는 DP 또는 USB 등과 같은 영상 또는 데이터 정보의 전송을 목적으로 하는 통신 프로토콜이며 송신단과 수신단이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나 송신단 또는 수신단에 상대편 수신단 또는 송신단이 사용하는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할 수 있는 컨버터가 내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통신 채널은 전자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채널이고, 제 2 통신 채널은 제 1 통신 채널의 제어 신호에 따라 대량의 데이터를 초고속으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제1 통신 채널은 저용량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저속의 통신 채널로 구성되고, 제 2 통신 채널은 대량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초고속 통신 채널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통신 채널을 위한 무선 통신으로는 고주파 (예: 100kHz ~ 30GHz), 제 2 통신채널을 위한 무선통신으로는 극고주파 (예: 30GHz ~ 300GHz)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으며, 두 통신 채널에서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데이터 송신 및/또는 수신을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mmWave(millimeter Wave, 밀리미터파)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이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함으로써, 고용량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송수신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극고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이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함으로써, 고용량의 데이터를 고속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제어 신호 및 디스플레이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제어신호의 지시 조건에 따라 디스플레이 신호의 송수신 속도나 해상도 등 다양한 조건의 설정에 따른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신호 및 아날로그 신호의 인터페이스를 인식함으로써, 각 인터페이스에 최적화된 무선 통신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전송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신호 전송 방법으로 사용되는 V-by-One 또는 HDMI, DisplayPort(DP)와 같은 프로토콜을 유선으로 전송하는 대신에 무선으로 전송함으로써, 디스플레이 기구물 내의 통신배선 또는 디스플레이와 컨트롤러 간의 통신배선을 위한 케이블과 커넥터가 없는 구조의 단순화를 추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Differential Signal 형태를 가지는 유선전송 포맷의 데이터를 바로 mmWave 전송이 가능한 RF(radio frequency) 전자파로 변경해서 송신 또는 수신하여 전송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간 훼손된 신호를 복구 및 교정함으로써, 안정적인 무선 통신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신호 및 제어 신호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통신 프로토콜을 인식하고 해당 통신 프로토콜을 수신 또는 송신단의 전자기기에 맞는 또 다른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함으로써,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전자기기간에 무선통신이 가능할 수 있게 하는 무선 통신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단에서는 HDMI 통신 프로토콜의 신호를 전송하고 수신단에서는 DP 프로토콜의 신호를 수신하는 전자기기에서, 해당 송신단의 전자기기에 HDMI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무선통신 반도체가 있다고 가정할 경우, 해당 수신단의 전자기기에 상기 HDMI 프로토콜의 신호를 인식하고 수신하여 이를 DP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수신단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연결해 주는 무선통신 반도체가 한 예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구조를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통신하는 통신 구조를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라 필요 데이터를 추출하는 프로토콜을 포함하는 통신 구조를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3의 통신 구조가 컨버터를 더 포함하는 통신 구조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구조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구조는 송신단(100)(예: Vx1(V-by-One) Tx 또는 USB(universal serial bus) type-C Tx) 및 수신단(200)(예: Vx1 Rx 또는 USB(universal serial bus) type-C Rx)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송신단(100)은 웨어러블 장치와 연결되는 전자 장치(예: 스마트폰, 가전, 웨어러블 장치)의 일부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송신단(100)은 USB 또는 USB type-C, DisplayPort, HDMI, MIPI 등과 같은 통신 포트와의 연결부의 적어도 일부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수신단(200)은 AR(augmented reality), VR(virtual reality) 또는 MR(mixed reality)을 지원하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적어도 일부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수신단(200)은 USB type-C의 연결부와 연결되는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일 수 있으나, 송신단(100) 및 수신단(200)이 상술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송신단(100) 및 수신단(200)은 작동적으로(operatively)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송신단(100) 및 수신단(200)은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무선으로(wirelessly)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송신단(100) 및 수신단(200)은 제1 통신 채널(110) 및 제2 통신 채널(12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단(100) 및 수신단(200)은 mmWave 통신 및/또는 UWB(ultra-wide band) 통신을 통해 작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송신단(100) 및 수신단(200)은 제1 통신 채널(110)을 통해 30GHz ~ 300GHz를 포함하는 제1 주파수 대역의 제1 신호(예: mmWave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송신단(100) 및 수신단(200)은 제2 통신 채널(120)을 통해 제1 주파수 대역보다 낮은 3GHz ~ 30GHz를 포함하는 제2 주파수 대역의 제2 신호(예: UWB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송신단(100) 및 수신단(200)은 제1 통신 채널(110)을 통해 고용량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제2 통신 채널(120)을 통해 저용량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통신 채널(110)은 고용량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메인 링크(main link)를 형성하고, 제2 통신 채널(120)은 보조 신호들(예: LOCKN, HTPDN)을 송수신하는 보조 링크를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송신단(100)은 수신단(200)으로 제1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송신단(100)은 제1 통신 채널(110)을 통해 제1 신호를 수신단(200)으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단(100)은 mmWave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제1 통신 채널(110)을 통해 수신단(200)으로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미도시)에 따르면, 수신단(200)이 송신단(100)으로 제1 통신 채널(110)을 통해 제1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1 통신 채널(110)을 통해 신호의 송신 및 수신하는 방향이 상술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수신단(200)은 송신단(100)으로 제2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수신단(200)은 제2 통신 채널(120)을 통해 제2 신호를 송신단(100)으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단(200)은 UWB 주파수 대역(3GHz ~ 30GHz)의 신호를 제2 통신 채널(120)을 통해 송신단(100)으로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미도시)에 따르면, 송신단(100)이 수신단(200)으로 제2 통신 채널(110)을 통해 제2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2 통신 채널(120)을 통해 신호의 송신 및 수신하는 방향이 상술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쌍방향 통신(two-way communication)이 가능하도록, 신호의 송신 및/수신에 있어서, 송신단(100) 및 수신단(200)의 역할은 상호 전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통신 채널(110)을 통한 제1 신호의 송신 및/또는 수신은 제2 신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단(100)은 수신단(200)으로부터 수신한 제2 신호에 기반하여, 제1 신호를 제1 통신 채널(110)을 통해 수신단(200)으로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송신단(100)은 수신단(200)으로부터 수신한 제2 신호에 기반하여, 제1 신호를 제1 통신 채널(110)을 통해 수신단(200)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통신하는 통신 구조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구조는 송신단(100), 송신단(100)과 결합하는 제1 무선 통신 회로(300), 수신단(200) 및 수신단(200)과 결합하는 제2 무선 통신 회로(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였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송신단(100) 및 수신단(200)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이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수신단에서는 송신단으로부터 수신된 통신의 프로토콜을 자동 감지하는 기능을 내장하여 송신단이 보내온 통신의 프로토콜 종류를 감지한 후, 해당 통신 내용을 수신단이 사용하는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단(100) 및 수신단(200)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이 송신 및 수신하는 통신 프로토콜이 Vx1 또는 HDMI 또는 DP 또는 USB 등과 같은 영상 또는 데이터 정보의 전송을 목적으로 하는 통신 프로토콜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단(100) 및 수신단(200)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이 송신 및 수신하는 통신 프로토콜이 동일하게 Vx1 또는 HDMI 또는 DP 또는 USB 등과 같은 영상 또는 데이터 정보의 전송을 목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단(100) 및 수신단(200)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이 송신 및 수신하는 통신 프로토콜이 Vx1 또는 HDMI 또는 DP 또는 USB 등과 같은 영상 또는 데이터 정보의 전송을 목적으로 하는 통신 프로토콜이며 상기 송신단과 상기 수신단이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나 송신단 또는 수신단에 상대편 수신단 또는 송신단이 사용하는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할 수 있는 컨버터가 내장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무선 통신 회로(300)는 제1 컨버터(301), 직렬화(serialize) 회로(302), 제1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303), 제3 RFIC(304) 및 제1 유저 로직(305)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무선 통신 회로(400)는 제2 컨버터(401), 역 직렬화(deserialize) 회로(402), 제2 RFIC(403), 제4 RFIC(404) 및 제2 유저 로직(405)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무선 통신 회로(300) 및 제2 무선 통신 회로(400)는 제1 통신 채널(예: 도 1의 제1 통신 채널(110))을 통해 밀리미터파(mmWave) 통신을 수행하고, 제2 통신 채널(예: 도 1의 제2 통신 채널(120))을 통해 UWB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통신 채널은 제1 컨버터(301), 직렬화(serialize) 회로(302), 제1 RFIC(303), 제2 RFIC(403), 역 직렬화 회로(402) 및 제2 컨버터(40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직렬화(serialize) 회로(302)와 역 직렬화 회로(402)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회로로 대체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컨버터(301)는 송신단(100)으로부터 지정된 인터페이스(예: Vx1, DVI, USB-C 또는 DP)를 갖는 디스플레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신호는 차동 신호(DS(differential signal))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컨버터(301)는 송신단(100)으로부터 수신한 디스플레이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제1 컨버터(301)는 디스플레이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직렬화 회로(302)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직렬화 회로(302)는 제1 컨버터(301)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신호를 직렬화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직렬화 회로(302)는 제1 컨버터(301)를 통해 수신한 디지털 신호를 RF(radio frequency) 통신에 적합하도록 직렬화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렬화 회로(302)는 제1 컨버터(301)를 통해 수신한 10bit 병렬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RFIC(303)는 직렬화 회로(302)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제1 RF 신호로 변환하여 방사할 수 있다. 제1 RFIC(303)는 직렬화 회로(302)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제1 네트워크(예: mmWave 네트워크)에 사용되고,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송수신되는 제1 RF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RFIC(303)는 직렬화 회로(302)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30GHz ~ 300GHz를 포함하는, mmWave 대역의 신호로 변환할 수 있으며, 주파수 대역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RFIC(303)는 제1 RF 신호를 제2 RFIC(403)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RFIC(403)는 제1 RFIC(303)로부터 제1 RF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RFIC(403)는 제1 RFIC(303)로부터 수신한 제1 RF 신호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제2 RFIC(403)는 제1 RFIC(303)로부터 수신한 제1 RF 신호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고, 역 직렬화 회로(402)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역 직렬화 회로(402)는 직렬 데이터를 병렬화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역 직렬화 회로(402)는 제2 RFIC(403) 통해 수신한 직렬 데이터를 10bit 병렬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컨버터(401)는 역 직렬화 회로(402)로부터 병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컨버터(401)는 디지털 신호를 디스플레이 신호로 변환하고, 수신단(200)에 송신할 수 있다. 제2 컨버터(401)는 역 직렬화 회로(402)로부터 수신한 병렬 데이터를 지정된 인터페이스(예: Vx1, DVI, USB-C, DP)를 갖는 디스플레이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신호는 차동 신호(DS(differential signal))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통신 채널은 제3 RFIC(304), 제4 RFIC(404), 제1 유저 로직(305) 및 제2 유저 로직(405)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유저 로직(305) 및 제2 유저 로직(405)은 타이밍 컨트롤러(timing controller)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수신단(200)은 컨트롤 데이터 및 타이밍 데이터를 제2 유저 로직(405)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유저 로직(405)은 수신단(200)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유저 로직(405)은 제어 신호를 제4 RFIC(404)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유저 로직(405)은 수신단(200)으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를 제4 RFIC(404)로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미도시)에 따르면, 제2 유저 로직(405)은 수신단(200)으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를 변조하고, 변조된 제어 신호를 제4 RFIC(404)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4 RFIC(404)는 제2 유저 로직(405)으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를 제2 RF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제4 RFIC(404)는 제어 신호를 제2 네트워크(예: UWB 네트워크)에 사용되고, 제2 통신 채널을 통해 송수신되는 제2 RF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제4 RFIC(404)는 변환된 제2 RF 신호를 제3 RFIC(304)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RFIC(404)는 제2 유저 로직(405)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3GHz ~ 30GHz 대역을 포함하는, UWB 대역의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제4 RFIC(404)는 제2 RF 신호를 제3 RFIC(304)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3 RFIC(304)는 제4 RFIC(404)로부터 제2 RF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3 RFIC(304)는 제4 RFIC(404)로부터 수신한 제2 RF 신호를 제어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제3 RFIC(304)는 제4 RFIC(404)로부터 수신한 제2 RF 신호를 제어 신호로 변환하고, 제1 유저 로직(305)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제1 유저 로직(305)은 제3 RFIC(304)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를 송신단(100)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라 필요 데이터를 추출하는 프로토콜을 포함하는 통신 구조를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3의 통신 구조가 컨버터를 더 포함하는 통신 구조를 도시한다. 전술한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였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구조는 송신단(100)과 연결되는 제1 통신 프로토콜(311), 제1 통신 프로토콜(311)과 연결되는 제1 무선 통신 프로토콜(321), 제1 무선 통신 프로토콜(321)과 무선으로 연결되는 제2 무선 통신 프로토콜(322) 및 제2 무선 통신 프로토콜(322)와 연결되는 제2 통신 프로토콜(31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구조는 도 2의 통신 구조에 의해 참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통신 프로토콜(311), 제1 무선 통신 프로토콜(321), 제2 무선 통신 프로토콜(322), 제2 통신 프로토콜(312)는 모두 V-by-One 또는 DisplayPort(DP)와 같은 동일한 통신 프로토콜일 수 있으나, 특정한 통신 프로토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통신 프로토콜(311), 제2 통신 프로토콜(312)는 V-by-One 또는 DisplayPort(DP)와 같은 디스플레이용 통신 프로토콜이고, 제1 무선 통신 프로토콜(321), 제2 무선 통신 프로토콜(322)는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의 P2P 무선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로 제1 통신 프로토콜(311), 제2 통신 프로토콜(312)와는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일 수 있으나, 상기 제1, 제2 무선 통신 프로토콜이 WPAN의 P2P 기반 무선 통신 프로토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통신 프로토콜(311)은 송신단(100)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통신 프로토콜(311)은 송신단(100)으로부터 수신한 디스플레이 신호 중 필요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통신 프로토콜(311)은 송신단(100)이 송신한 디스플레이 신호 중 통신을 위해 추가된 정보를 위한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이를 제외하고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필요 데이터만을 추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통신 프로토콜(311)은 추출한 데이터에 기반한 신호를 제1 무선 통신 프로토콜(321)에 제공(또는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통신 프로토콜(311)은 디코터(decoder)(33), 언팩커(unpacker)(35), CDR(clock and data recovery) 회로(31), 디스크램블러(descrambler)(34), 디시리얼라이저(deserializer)(34)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CDR 회로(31)는 파워 온 이후 인터페이스 초기화 과정에서 CDR 트레이닝 패턴 신호를 입력 받아 CDR 트레이닝 패턴 신호에 내장된 클럭을 복원하고 그 클럭 신호의 위상과 주파수가 고정되면 LOCKN 신호를 로우 레벨로 반전할 수 있다. CDR 회로(31)에 의해 복원된 클럭 신호의 주파수는 픽셀 데이터의 데이터 레이트와 같은 주파수로 발생된다. 따라서, CDR 회로(31)로부터 출력된 클럭 신호를 카운트하면 데이터 비트를 카운트하는 것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시리얼라이저(32)는 메인 링크를 통해 수신된 직렬 데이터를 10bit 병렬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디코더(33)는 송신단(100)의 인코더(43)에서 ANSI 8/10 인코딩 방식으로 변환된 10bit 데이터를 원래의 8bit 데이터로 디코딩할 수 있다. 여기서 예로 든 8/10 인코딩/디코딩 방식은 일 실시 예이며, 다른 종류의 인코딩/디코딩 방식 또한 가능하므로, 특정한 인코딩/디코딩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크램블러(34)는 송신단(100)에서 16bit LFSR(Linear Feedback Shift Register)에 의해 스크램블된 데이터를 원래의 데이터로 복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언팩커(35)는 송신단(100)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픽셀 데이터, 컨트롤 데이터, 그리고 타이밍 데이터로 분리할 수 있다. 이 때, 송신단(100)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는 도 2에서의 디스플레이 데이터(Display Data)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데이터는 수직 동기신호(Vsync), 수평 동기신호(Hsync), 및 데이터 인에이블신호(D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언팩커(35)는 송신단(100)의 데이터 맵핑(Data Mapping) 방식에 맞게 데이터를 재정렬(Re-arrange)할 수 있다. 언팩커(25)로부터 출력된 픽셀 데이터, 컨트롤 데이터 그리고 타이밍 데이터는 제1 유저 로직(36)(예: 도 2의 제1 유저 로직(305))에 전송된다. 제1 유저 로직(36)은 타이밍 컨트롤러(timing controller)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무선 통신 프로토콜(321)은 제1 통신 프로토콜(311)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제2 무선 통신 프로토콜(322)로 송신할 수 있다. 제1 무선 통신 프로토콜(321)과 제2 무선 통신 프로토콜(322) 간의 통신은 무선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도 1 및 도 2의 통신 구조에 의해 참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무선 통신 프로토콜(322)은 제1 무선 통신 프로토콜(321)로부터 수신한 RF 신호를 디스플레이 신호로 변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무선 통신 프로토콜(322)은 변조한 디스플레이 신호를 제2 통신 프로토콜(312)로 제공(또는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통신 프로토콜(312)은 제2 무선 통신 프로토콜(322)로부터 디스플레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통신 프로토콜(312)은 제2 무선 통신 프로토콜(322)로부터 수신한 디스플레이 신호 중 필요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통신 프로토콜(312)은 제2 무선 통신 프로토콜(322)이 송신한 무선 신호 중 디스플레이 신호 외에 추가된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이를 제외하고 디스플레이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필요 데이터만을 추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2 통신 프로토콜(312)은 수신한 디스플레이 신호 중 손상된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손상된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통신 프로토콜(312)은 인코더(encoder)(43), 언팩커(unpacker)(45), 스크램블러(scrambler)(44), 시리얼라이저(serializer)(42) 및 제2 유저 로직(46)(예: 도 2의 제2 유저 로직(405))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유저 로직(46)은 타이밍 컨트롤러(timing controller)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언팩커(45)는 제2 유저 로직(46)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픽셀 데이터, 컨트롤 데이터, 그리고 타이밍 데이터로 분리할 수 있다. 타이밍 데이터는 수직 동기신호(Vsync), 수평 동기신호(Hsync), 및 데이터 인에이블신호(D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언팩커(45)는 송신단(100)의 데이터 맵핑(Data Mapping) 방식에 맞게 데이터를 재정렬(Re-arrange)할 수 있다. 언팩커(45)로부터 출력된 픽셀 데이터, 컨트롤 데이터 그리고 타이밍 데이터는 스크램블러(44)에 전송된다. 스크램블러(45)는 16bit LFSR(Linear Feedback Shift Register)로 데이터를 스크램블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코더(43)는 스크램블러(45)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ANSI 8b/10b 인코딩 방식으로 변환하여 8bit 데이터를 10bit 데이터로 인코딩할 수 있다. 이때 인코딩 방식은 8b/10b 인코딩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종류의 인코딩 방식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리얼라이저(42)는 인코더(43)를 통해 수신된 10bit 병렬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통신 프로토콜(312)은 복구한 신호 또는 추출한 신호를 수신단(200)으로 제공(또는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통신 프로토콜(312)은 컨버터(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컨버터(50)는 수신한 신호의 인터페이스(예: Vx1, HDMI, DP)를 인식할 수 있다. 컨버터(50)는 수신한 신호의 인터페이스를 인식하고, 인터페이스를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버터(50)는 수신한 신호의 인터페이스가 DP 인 경우, 해당 신호의 인터페이스를 HDMI로 변경할 수 있고, 컨버터(50)에 의해 인식 및 변경될 수 있는 신호가 상술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데이터 전송 방법은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송신단에서 제1 인터페이스를 갖는 제1 디스플레이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수신한 상기 디스플레이 신호 중 필요 데이터를 추출하는 동작, 상기 필요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는 동작, 상기 RF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는 동작, 수신단에서, 수신한 상기 RF 신호를 제2 인터페이스를 갖는 제2 디스플레이 신호로 변환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신호를 상기 RF 신호로 변환하는 동작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신호의 데이터를 직렬화(serialize) 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RF 신호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신호로 변환하는 동작은, 상기 RF 신호의 데이터를 역 직렬화(deserialize) 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데이터 전송 방법은 DSP회로를 통해 데이터를 직렬화(serialize) 및/또는 역 직렬화(deserialize)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RF 신호는 30GHz 내지 300GHz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신호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신호는 차동 신호(differential signal)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단 및 수신단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상기 송신단 및 상기 수신단 간에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채널은 상기 송신단에서 수신한 제1 인터페이스를 갖는 제1 디스플레이 신호 중 필요 데이터를 추출하는 디코더(decoder), 상기 필요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1 컨버터(convertor), 상기 디지털 신호를 상기 RF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하는 제1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 상기 수신단에서, 상기 RF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2 RFIC, 상기 디지털 신호 중 상기 필요 데이터를 추출하는 인코더(encoder), 및 추출된 상기 필요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RF 신호를 제2 인터페이스를 갖는 제2 디스플레이 신호로 변환하는 제2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외부 장치와 연결되기 위한 커넥터 및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채널을 통한 상기 RF 신호의 송신 및/또는 수신은,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송신단과 상기 수신단의 디스플레이 정보 전달을 위한 통신 프로토콜로 Vx1 (V-by-One) 또는 DP (DisplayPort) 또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송신단과 수신단간의 무선 통신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와 상기 디스플레이 신호를 구분하여 서로 다른 무선 통신 채널로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송신단과 수신단 간의 무선 통신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의 송수신은 3GHz ~ 30GHz의 낮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신호의 송수신은 30GHz ~ 300GHz의 높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6)

  1. 무선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송신단에서 제1 인터페이스를 갖는 제1 디스플레이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수신한 상기 디스플레이 신호 중 필요 데이터를 추출하는 동작;
    상기 필요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는 동작;
    상기 RF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는 동작;
    수신단에서, 수신한 상기 RF 신호를 제2 인터페이스를 갖는 제2 디스플레이 신호로 변환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무선 데이터 전송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신호를 상기 RF 신호로 변환하는 동작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신호의 데이터를 직렬화(serialize) 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RF 신호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신호로 변환하는 동작은,
    상기 RF 신호의 데이터를 역 직렬화(deserialize) 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무선 데이터 전송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DSP회로를 통해 데이터를 직렬화(serialize) 및/또는 역 직렬화(deserialize)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무선 데이터 전송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F 신호는 30GHz 내지 300GHz 대역을 포함하는, 무선 데이터 전송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신호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신호는 차동 신호(differential signal)를 포함하는, 무선 데이터 전송 방법.
  6. 송신단 및 수신단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 및 상기 수신단 간에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채널은:
    상기 송신단에서 수신한 제1 인터페이스를 갖는 제1 디스플레이 신호 중 필요 데이터를 추출하는 디코더(decoder),
    상기 필요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1 컨버터(convertor),
    상기 디지털 신호를 상기 RF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하는 제1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
    상기 수신단에서, 상기 RF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2 RFIC,
    상기 디지털 신호 중 상기 필요 데이터를 추출하는 인코더(encoder), 및
    추출된 상기 필요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RF 신호를 제2 인터페이스를 갖는 제2 디스플레이 신호로 변환하는 제2 컨버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외부 장치와 연결되기 위한 커넥터 및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채널을 통한 상기 RF 신호의 송신 및/또는 수신은,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수행되는, 전자 장치.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과 상기 수신단의 디스플레이 정보 전달을 위한 통신 프로토콜로 Vx1 (V-by-One) 또는 DP (DisplayPort) 또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과 상기 수신단 간의 무선 통신에 있어서, 제어 신호와 상기 디스플레이 신호를 구분하여 서로 다른 무선 통신 채널로 송수신하는, 전자 장치.
  11.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과 상기 수신단 간의 무선 통신에 있어서, 제어 신호의 송수신은 3GHz ~ 30GHz의 낮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신호의 송수신은 30GHz ~ 300GHz의 높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전자 장치.
  12.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이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수신단에서는 송신단으로 부터 수신된 통신 프로토콜을 수신단이 사용하는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과정이 포함된 전자장치
  13.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이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수신단에서는 송신단으로 부터 수신된 통신의 프로토콜을 자동 감지하는 기능을 내장하여 송신단이 보내온 통신의 프로토콜 종류를 감지한 후, 해당 통신 내용을 수신단이 사용하는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과정이 포함된 전자장치
  14.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이 송신 및 수신하는 통신 프로토콜이 Vx1 또는 HDMI 또는 DP 또는 USB 등과 같은 영상 또는 데이터 정보의 전송을 목적으로 하는 통신 프로토콜인 전자장치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이 송신 및 수신하는 통신 프로토콜이 동일하게 Vx1 또는 HDMI 또는 DP 또는 USB 등과 같은 영상 또는 데이터 정보의 전송을 목적으로 하는 통신 프로토콜인 전자장치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이 송신 및 수신하는 통신 프로토콜이 Vx1 또는 HDMI 또는 DP 또는 USB 등과 같은 영상 또는 데이터 정보의 전송을 목적으로 하는 통신 프로토콜이며 송신단과 수신단이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나 송신단 또는 수신단에 상대편 수신단 또는 송신단이 사용하는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할 수 있는 컨버터가 내장된 전자장치

KR1020200161321A 2020-11-26 2020-11-26 무선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385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1321A KR102385522B1 (ko) 2020-11-26 2020-11-26 무선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PCT/KR2020/017058 WO2022114285A1 (ko) 2020-11-26 2020-11-27 무선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US18/038,122 US20240007596A1 (en) 2020-11-26 2020-11-27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wireless data transmiss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1321A KR102385522B1 (ko) 2020-11-26 2020-11-26 무선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5522B1 true KR102385522B1 (ko) 2022-04-26

Family

ID=81390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1321A KR102385522B1 (ko) 2020-11-26 2020-11-26 무선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007596A1 (ko)
KR (1) KR102385522B1 (ko)
WO (1) WO202211428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5663A1 (ko) * 2022-10-19 2024-04-25 삼성전자 주식회사 보안 연결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686B1 (ko) * 2015-05-04 2016-07-06 주식회사 와이젯 비콘신호와 다중빔 안테나를 이용한 광대역 무선 고속데이터 송수신장치 및 안테나 빔방향 선택방법
KR20160112570A (ko) * 2015-03-20 2016-09-28 주식회사 와이젯 고속 무선전송 기능을 갖는 무선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hmd 장치
KR20170018282A (ko) * 2017-02-06 2017-02-16 주식회사 와이젯 사용자 장치 간의 유선 케이블을 대체하는 고속 무선 통신 방법
KR20200112572A (ko) * 2019-03-22 2020-10-05 지앨에스 주식회사 치료장치용 무선통신기 및 이를 구비한 무압축 영상 전송 시스템
KR102163479B1 (ko) 2015-05-01 2020-10-08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밀리미터파 통신에서의 디코딩 지연을 스케줄링하여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는 디바이스, 네트워크,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14416B2 (en) * 2006-02-14 2011-09-06 Sibeam, Inc. HD physical layer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7765599B2 (en) * 2006-06-13 2010-07-27 Intel Corporation Multimedia transmitter, multimedia receiver, multimedia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ly transmitting multimedia content over a wireless link
EP2974047B1 (en) * 2013-03-15 2019-12-04 Keyssa, Inc. Extremely high frequency system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US20150147978A1 (en) * 2013-11-27 2015-05-28 Lenovo (Singapore) Pte. Ltd. Millimeter wav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puting system and docking station
KR101724342B1 (ko) * 2015-03-20 2017-04-10 주식회사 와이젯 인터페이스 규격에 상관없는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2570A (ko) * 2015-03-20 2016-09-28 주식회사 와이젯 고속 무선전송 기능을 갖는 무선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hmd 장치
KR102163479B1 (ko) 2015-05-01 2020-10-08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밀리미터파 통신에서의 디코딩 지연을 스케줄링하여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는 디바이스, 네트워크, 및 방법
KR101636686B1 (ko) * 2015-05-04 2016-07-06 주식회사 와이젯 비콘신호와 다중빔 안테나를 이용한 광대역 무선 고속데이터 송수신장치 및 안테나 빔방향 선택방법
KR20170018282A (ko) * 2017-02-06 2017-02-16 주식회사 와이젯 사용자 장치 간의 유선 케이블을 대체하는 고속 무선 통신 방법
KR20200112572A (ko) * 2019-03-22 2020-10-05 지앨에스 주식회사 치료장치용 무선통신기 및 이를 구비한 무압축 영상 전송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5663A1 (ko) * 2022-10-19 2024-04-25 삼성전자 주식회사 보안 연결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07596A1 (en) 2024-01-04
WO2022114285A1 (ko) 2022-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53885A1 (en) Plug-in Peripheral Device for Enabling Smart Portable Device to be Universal Remote Control
US20110144778A1 (en) Smart Audio Plug-in for Enabling Smart Portable Device to be Universal Remote Control
JP6947231B2 (ja) 送信装置および送信方法
CN101634904A (zh) 键盘-屏幕-鼠标切换系统、装置及其信号延长装置
CN107003968A (zh) 虚拟显示器输出端口配置
CN201114507Y (zh) 一种无压缩的无线数字高清接口装置
US9262988B2 (en) Radio frequency interference reduction in multimedia interfaces
CN102186073B (zh) 高速球型摄像机中hd-sdi视频信号传输系统及方法
KR102385522B1 (ko) 무선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CN105306855A (zh) 基于可见光通信的投影系统及方法
CN102143344B (zh) 无线高清视频传输机多接口板
US8111737B2 (en) Bidirectional digital communication circuit and a bidirectional digital communication method
CN103581616A (zh) 监控系统、图像压缩串行器以及图像解压缩解串行器
CN101098436A (zh) 基于通用hdmi设备的高清视频图像采集显示方法
KR102385527B1 (ko) 무선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CN102724517B (zh) 一种传输视频信号的方法、装置、系统和终端
CN208656773U (zh) 高清晰度多媒体接口光纤传输装置
KR102371408B1 (ko) 무선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371406B1 (ko) 무선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CN101527575A (zh) 一种音视频信号的无线发射装置、接收装置及家用电器
CN208987065U (zh) Kvm传输系统、发送端子和接收端子
KR102385523B1 (ko) 고화질 영상 고속 전송을 위한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
TWI660616B (zh) 藍牙傳輸積體電路及相關傳輸方法
CN105812703A (zh) Hdmi视频信号转换成lvds视频信号的装置及方法
CN210839845U (zh) 无线图像传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