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9897A - 거트 - Google Patents

거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9897A
KR20170139897A KR1020160072465A KR20160072465A KR20170139897A KR 20170139897 A KR20170139897 A KR 20170139897A KR 1020160072465 A KR1020160072465 A KR 1020160072465A KR 20160072465 A KR20160072465 A KR 20160072465A KR 20170139897 A KR20170139897 A KR 20170139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t
crop
main body
crops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2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3153B1 (ko
Inventor
박재우
Original Assignee
(주)창신아그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창신아그멕 filed Critical (주)창신아그멕
Priority to KR1020160072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3153B1/ko
Publication of KR20170139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9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3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3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7Channels or gutters, e.g. for hydroponic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76Greenhouse gut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거트본체, 배수판, 지지대, 받침대로 이루어진 거트에 있어서, 상기 배수판 하단에 위치하여 작물의 배지온 확보를 위해 길이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이 부설된 지온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각종 작물이 생장하는데 필요한 양분을 양액을 통하여 공급하는 양액재배에 사용되는 거트에 있어서, 배수판의 하부면에 지온관을 부설하여 작물이 생장하는데 적절한 배지온을 제공해주며, 공기통풍구와 공기통풍관을 부설하여 작물의 뿌리 부분에 산소를 공급해주며, 작물예인대를 꼬이도록 구성함에 따라 좌굴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 거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거트{GUT}
본 발명은 거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작물이 생장하는데 필요한 양분을 양액을 통하여 공급하는 양액재배에 사용되는 거트에 있어서, 배수판의 하부면에 지온관을 부설하여 작물이 생장하는데 적절한 배지온을 제공해주며, 공기통풍구와 공기통풍관을 부설하여 작물의 뿌리 부분에 산소를 공급해주며, 작물예인대를 꼬이도록 구성함에 따라 좌굴을 방지할 수 있는 거트에 관한 것이다.
양액재배란 용액재배(solution culture)라고도 하며, 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양분을 공급하는 것과 별개로 피트모스, 펄라이트, 버미큘라이트, 암면, 경석, 훈탄(燻炭), 톱밥, 자갈, 모래 등으로 만든 고형배지(固形培地)를 이용하여 작물이 생육하는 환경을 인위적으로 조성하여 작물을 생육하는 재배법을 말한다. 이는 무토양재배를 원칙으로 하며, NFT(nutrient film technique)나 담액수경(湛液水耕), 분무경(噴霧耕), 모관수경(毛管水耕) 등과 같은 수경재배가 여기에 포함된다. 또는 탱크농법(tank farming), 베드농법(bed farming)이라고도 한다.
양액재배는 단기간에 많은 양의 작물을 수확할 수 있고 토양재배와 비교하여 자연환경의 지배를 훨씬 덜 받기 때문에 농경이 불가능한 곳에서도 재배가 가능하다. 그러나 많은 자본이 필요하고, 일단 병원균이 침투하면 단기간에 전염되며 작물에 대한 세심한 영양관리가 필요하다. 우리나라에서는 1980년경부터 양액재배가 시작되어 1985년에는 재배면적이 4ha에 이르렀으며 1994년에는 59.5ha에 달하였다. 그 가운데 70% 정도는 고형배지를 이용하는 것이며, 30% 정도는 담액수경재배 방식을 취한 것이다. 해당 작물은 오이, 토마토, 방울토마토, 고추 등의 과채류, 상추, 미나리, 앤다이브잎, 파, 들깨 등의 엽채류, 장미, 거베라, 국화, 카네이션 등의 화훼류이다. 재배방식은 1990년을 전후하여 이전에는 NFT, 역경재배(礫耕栽培), 훈탄재배 등이 주류를 이루었으나 그 후부터는 NFT를 제외하고는 암면재배, 펄라이트 재배로 바뀌어 가고 있다.
이러한 양액재배를 구현하는 가장 중요한 핵심기술은 각종 작물의 생육에 유효한 양액 성분의 조성, 병원균의 감염 관리, 그리고 양액의 공급과 작물의 생육을 원활이 할 수 있는 거트 등이다.
특히, 시설하우스내 양액재배에 있어서, 온도관리는 작물의 생육과 생산성을 좌우하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재배기술의 하나이며, 기온 관리 뿐만 아니라 지온관리는 작물 뿌리의 신장, 뿌리군의 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양수분 흡수에 관여하고 토양 미생물에도 영향을 미쳐 간접적으로 생육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작물재배 관리상 매우 중요하다.
종래의 거트는 지온관리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아서 작물 뿌리의 신장, 뿌리군의 형성이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도 존재하였다.
또한, 종래의 거트는 급배수 시스템이 원활하지 않아 영양분이 용이하게 작물에 공급되지 못하여 작물의 생육이 위축되거나, 양액의 순환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오염 등으로 병원균에 쉽게 노출되어 감염 등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도 존재 하였다.
또한, 종래의 거트는 각종 작물이 생장함에 따라 그 크기가 커지더라도 올바른 방향으로 생장하도록 유도할 수가 없어, 줄기나 잎이 중구난방으로 비효율적으로 뻗어 나가게 되는 문제점도 존재하였다.
등록특허번호 제10-0570834호 등록특허번호 제10-0869124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지온을 계절이나 밤낮에 따라 적합한 적정온도로 조절 및 유지가 가능함과 아울러 간접적으로 열을 전달함에 따라 뿌리부분이 마르는 걸 방지할 수 있는 거트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수판의 배수구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물이나 양액의 배출이 용이하여 뿌리부분이 썩거나 바이러스의 감염등을 방지할 수 있는 거트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수판에 공기통풍구와 공기통풍구와 결합되는 공기통구관을 형성함에 따라 뿌리부분에 산소공급을 원활하게 해줌과 동시에 하부에 모여있는 가스를 외부에 배출할 수 있는 거트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재배 작물의 줄기나 가지를 지지해 주며, 생장 방향을 유도해주는 거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거트본체, 배수판, 지지대, 받침대로 이루어진 거트에 있어서, 상기 배수판 하단에 위치하여 작물의 배지온 확보를 위해 길이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이 부설된 지온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배수판 하부에는 상기 지온관이 고정될 수 있는 홈인 지온관결합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판에 형성되어 있는 배수구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는 가운데 방향이 아래쪽으로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판에 형성되어 있는 배수구 중 일부와 결합하며, 결합 후 상토의 상부로 상단부가 노출되어 외부의 공기 공급 및 내부의 가스 배출하는 공기통풍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공기통풍관은, 속이 빈 관형태의 통풍관본체와, 상기 통풍관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배수구와 결합시 일정 깊이 이상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삽입방지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거트본체의 각 측면 상단에 하나 이상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며, 성장하는 작물의 줄기와 잎을 측면으로 유도하기 위한 작물예인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작물예인장치는, 상기 거트본체의 각 측면 상단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끼움결합되는 작물예인고정부와, 상기 작물예인고정부의 상단에 결합되며, 작물의 줄기와 잎의 성장방향을 유도하는 예인줄을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작물예인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작물예인대에는 예인줄을 고정할 수 있는 예인줄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물예인대는 좌굴방지를 위해 180도 꼬인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거트본체의 상부 일측내면에는 망사망 또는 비닐을 결끼워 고정할 수 있는 비닐결합홈이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거트는 계절이나 밤낮에 따라 적정온도로 조절 및 유지가 용이함과 아울러 뿌리부분이 마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배수판의 배수구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물이나 양액의 배출이 용이하여 뿌리부분이 썩거나 바이러스의 감염등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뿌리부분에 산소공급을 원활하게 해줌과 동시에 하부에 모여있는 가스를 외부에 배출할 수 있어 재배 작물의 생육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재배 작물의 줄기나 가지를 지지해 주며, 생장 방향을 유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트의 전체 모습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트에 결합되는 배수판의 모습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샘방지 깔판과 배수판의 배수구 모습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판과 공기통풍관의 결합 모습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물예인장치의 모습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트의 전체 모습,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트에 결합되는 배수판의 모습,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샘방지 깔판과 배수판의 배수구 모습,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판과 공기통풍관의 결합 모습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물예인장치의 모습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거트는 거트본체(200), 배수판(230), 지지대(300), 받침대(400)로 이루어진 거트에 있어서, 상기 배수판(230) 하단에 위치하여 작물의 배지온 확보를 위해 길이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이 부설된 지온관(2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각 구성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거트본체(200)의 위쪽에는 작물이 생장할 수 있는 배지가 되는 상토(혹은 토양 또는 고형배지)를 수용할 수 있는 상부가 개구된 공간부(210)가 구비되어 있으며, 아래쪽에는 상기 공간부(210)에 공급되었던 물이나 양액등이 배수 가능하도록 일정 깊이와 너비를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배수공간부(220)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수공간부(220)에는 상기 공간부(210)로부터 배수가 된 물이나 양액등이 모여 있게 되는데, 상기 배수공간부(220)에서 외부로 배출시키는 퇴수부(25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퇴수부(250)의 경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공간부(210)에서 배수공간부(220)로 물이나 양액이 아래로 흐르면서 상기 공간부(210)에 담겨있는 상토가 씻겨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공간부(210)와 배수공간부(220) 사이에는 배수판(2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수판(230)은 판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거트 내측에 결합될 수 있도록 배수판결합홈(260)에 끼움결합되고, 판의 경사가 수평으로 형성된 것이 아니라 위,아래로 경사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진 형태(지그재그 형태)로 이루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아래쪽으로 경사가 모여 있는 (`V`자 형태) 곳에는 상기 공간부(210)에 공급되었던 물이나 양액을 상기 배수공간부(220)로 흘려보낼 수 있도록 배수구(231)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배수구(231)는 배수판(230)의 형태를 따라서 가운데 방향이 아래쪽으로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배수구(231)의 형태가 단순히 배수판(230)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구성될 수 도 있지만, 상기 배수판(230) (및 배수구(231))의 형태가 좌우 경사를 주어 아래쪽부분으로 경사가 형성된 형태(`V`자 형태)를 이룸에 따라 물의 흐름을 빠르게 하여 상기 배수구(231)를 통해 배출되는 물이나 양액이 수직낙하 하게 하였다. 왜냐하면, 상기 배수판(230)을 수평으로 형성하면 물이나 양액이 배수구(231)의 벽면을 따라 흐르게 되고, 벽면을 따라 흐르면 바이러스가 벽면 물길을 따라 상기 공간부(210)로 이동하여 감염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거트본체(200)의 측면과 하면을 감싸 지지하는 지지대(300)와 상기 지지대(300) 아래쪽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거트본체(200)를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이격시켜주는 받침대(400)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지지대(300)와 받침대(400)를 별도의 구성으로 하지 않고 하나의 구성으로도 할 수 있다. 그럴 경우,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대(300)와 받침대(400)가 결합되는 구조가 아닌 하나의 통합된 형태가 될 것이며, 형태는 안정적으로 상기 거트본체(200)를 지지 및 고정을 할 수 있는 형태면 가능하다고 하겠다. 예를 들면 H자형 받침대(410)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판(230) 하단에는 작물의 배지온 확보를 위해 길이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지온관(240)이 부설되어 있다.
상기 지온관(240)은 상기 배수판(230) 상단 혹은 공간부(210)에도 위치할 수 있으나, 상기 배수판(230) 상단 혹은 공간부(210)에 위치할 경우, 상기 지온관(240)의 열로 인하여 지온관(240) 주위의 상토부분의 건조가 발생하며, 심할 경우에는 작물의 뿌리부분이 마르게 하여 작물의 생육을 저하 시킨다.
따라서, 상기 배수판(230) 상단 혹은 공간부(210)에 위치하는 것 보다는 상기 배수판(230) 하단에 위치하여 작물의 배지온을 확보함과 아울러 작물의 뿌리부분을 마르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이때, 상기 지온관(240)을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배수판(230) 하부에는 지온관결합홈(232)을 형성하여 상기 지온관(240)을 단단히 고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배수판(230)에 형성되어 있는 배수구(231) 중 일부와 결합하며, 결합 후 상토의 상부로 상단부가 노출되어 외부의 공기를 공급해주는 한편, 내부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해주는 공기통풍관(600)이 되는데, 상기 공기통풍관(600)은 속이 빈 관형태의 통풍관본체(610)와, 상기 통풍관본체(6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배수구(231)와 결합시 일정 깊이 이상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삽입방지부(62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삽입방지부(620)를 링형태로 구성하였으나, 돌기나 다른 형태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며, 상기 삽입방지부(620)의 역할인 상기 통풍관본체(6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배수구(2310)와 결합시 일정 깊이 이상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형태라면 어떤 형태도 가능하다고 하겠다.
또한, 상기 거트본체(200)에서 생육하는 작물이 점차 자라면서, 줄기나 잎이 생장하는 경우, 무성해진 줄기나 잎이 하부에서 상부로 고르게 생육되도록 하기 위해서 줄기나 잎을 양측으로 유도하기 위해 상기 거트본체(200)의 각 측면 상단에 더 구비결합된 상태로 성장하는 작물의 줄기와 잎을 측면으로 유도하기 위한 작물예인장치(500)가 더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작물예인장치(500)는, 상기 거트본체(200)의 각 측면 상단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끼움결합되는 작물예인고정부(510)와, 상기 작물예인고정부(510)의 상단에 결합되며, 작물의 줄기와 잎의 성장방향을 유도하는 예인줄(미도시)을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작물예인대(520)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작물예인대(520)에는 예인줄을 고정할 수 있는 예인줄결합부(521)가 더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예인줄결합부(521)는 홈이거나 고정장치든 예인줄을 고정할 수 있는 형태면 모두가 가능하다고 하겠다.
추가적으로 상기 작물예인대(520)는 좌굴방지를 위해 180도 꼬인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좌굴(buckling)이라고 하면, 기둥의 길이가 그 횡단면의 치수에 비해 클 때, 기둥의 양단에 압축하중이 가해졌을 경우 하중이 어느 크기에 이르면 기둥이 갑자기 휘는 현상을 말한다.
여기서, 상기 작물예인대(520)가 작물의 줄기나 잎에 의해 쳐질 수도 있어, 상기 작물예인대(520)의 가운데에는 공기통풍관(600)과 결합할 수 있는 공기통풍관결합홈(5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거트본체(200)의 상부 일측내면에는 망사망 또는 비닐(이하에는 상토깔판(미도시)이라 칭함)을 끼워 고정할 수 있는 비닐결합홈(270)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배수판결합홈(260)에는 물샘방지깔판(261)을 끼워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물생방지깔판(261)의 역할은 상기 거트본체(200) 연결부분의 물이나 양액이 상기 퇴수부(250) 이외 다른 부분으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비닐결합홈(270)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길이가 긴 거트본체(200)는 하나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 길이로 이루어진 상기 거트본체(200)를 여러개 연결하여 하나의 거트본체(200)를 이루게 되는데, 상기 거트본체(200)의 연결부분을 이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상기 작물예인고정부(510)이다. 상기 작물예인고정부(510)는 상기 작물예인대(520)와 결합되어 상기 작물예인대(520)를 고정하는 역할과 함께 하우스 클립의 역할 및 상토깔판을 고정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거트본체(200)를 연결하는데 있어서, 두 개의 상기 거트본체(200)의 측면을 맞닿은 후 상기 작물예인대(520)로 고정할 수도 있지만, 두 개의 상기 거트본체(200)의 측면을 일정거리를 이격 후 상기 작물예인대(520)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상기 거트본체(200)의 재질을 굳이 한정하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PVC를 사용하였으며, 기온차(여름과 겨울)로 인해 상기 거트본체(200)의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기에 일정거리를 이격하여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거트
200 : 거트본체
210 : 공간부
220 : 배수공간부
230 : 배수판
231 : 배수구
232 : 지온관결합홈
240 : 지온관
250 : 퇴수부
260 : 배수판결합홈
261 : 물샘방지깔판
270 : 비닐결함홈
300 : 지지대
400 : 받침대
410 : H자형 받침대
500 : 작물예인장치
510 : 작물예인고정부
520 : 작물예인대
521 : 예인줄결합부
522 : 공기통풍관결합홈
530 : 예인줄
600 : 공기통풍관
610 : 통풍관본체
620 : 삽입방지부
700 : 상토

Claims (10)

  1. 거트본체, 배수판, 지지대, 받침대로 이루어진 거트에 있어서,
    상기 배수판 하단에 위치하여 작물의 배지온 확보를 위해 길이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이 부설된 지온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판 하부에는 상기 지온관이 고정될 수 있는 홈인 지온관결합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판에 형성되어 있는 배수구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는 가운데 방향이 아래쪽으로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판에 형성되어 있는 배수구 중 일부와 결합하며, 결합 후 상토의 상부로 상단부가 노출되어 외부의 공기 공급 및 내부의 가스 배출하는 공기통풍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통풍관은,
    속이 빈 관형태의 통풍관본체와, 상기 통풍관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배수구와 결합시 일정 깊이 이상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삽입방지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트본체의 각 측면 상단에 하나 이상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며, 성장하는 작물의 줄기와 잎을 측면으로 유도하기 위한 작물예인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트.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작물예인장치는,
    상기 거트본체의 각 측면 상단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끼움결합되는 작물예인고정부와, 상기 작물예인고정부의 상단에 결합되며, 작물의 줄기와 잎의 성장방향을 유도하는 예인줄을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작물예인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트.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작물예인대에는 예인줄을 고정할 수 있는 예인줄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트.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작물예인대는 좌굴방지를 위해 180도 꼬인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트.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트본체의 상부 일측내면에는 망사망 또는 비닐을 끼워 고정할 수 있는 비닐결합홈이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트.
KR1020160072465A 2016-06-10 2016-06-10 거트 KR101883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2465A KR101883153B1 (ko) 2016-06-10 2016-06-10 거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2465A KR101883153B1 (ko) 2016-06-10 2016-06-10 거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9897A true KR20170139897A (ko) 2017-12-20
KR101883153B1 KR101883153B1 (ko) 2018-07-30

Family

ID=60931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2465A KR101883153B1 (ko) 2016-06-10 2016-06-10 거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31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126B1 (ko) * 2018-09-21 2020-03-31 경상북도(농업기술원) 배수 물받이 설치기능을 갖는 딸기 수경재배를 위한 고설베드용 화분
KR102229228B1 (ko) * 2020-12-11 2021-03-19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참외 수경재배 전용 지면매립형 배지용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0834B1 (ko) 2005-12-28 2006-04-13 괴산군 씨감자묘 재배베드
KR100869124B1 (ko) 2008-06-20 2008-11-17 권태용 딸기용 수경 재배구조
KR20140091663A (ko) * 2014-07-02 2014-07-22 유지씨 주식회사 채소, 화초 재배용 연결형 간이 화분
KR20140105355A (ko) * 2013-02-22 2014-09-01 박상숙 양액 재배용 베드
KR101540793B1 (ko) * 2014-10-08 2015-07-31 (주)창신아그멕 재배용 베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0834B1 (ko) 2005-12-28 2006-04-13 괴산군 씨감자묘 재배베드
KR100869124B1 (ko) 2008-06-20 2008-11-17 권태용 딸기용 수경 재배구조
KR20140105355A (ko) * 2013-02-22 2014-09-01 박상숙 양액 재배용 베드
KR20140091663A (ko) * 2014-07-02 2014-07-22 유지씨 주식회사 채소, 화초 재배용 연결형 간이 화분
KR101540793B1 (ko) * 2014-10-08 2015-07-31 (주)창신아그멕 재배용 베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126B1 (ko) * 2018-09-21 2020-03-31 경상북도(농업기술원) 배수 물받이 설치기능을 갖는 딸기 수경재배를 위한 고설베드용 화분
KR102229228B1 (ko) * 2020-12-11 2021-03-19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참외 수경재배 전용 지면매립형 배지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3153B1 (ko) 2018-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4657B1 (ko) 양액 재배용 베드
JPH10215713A (ja) 限定された居住又は建物空間を緑化する 方法及び装置
JP6566501B2 (ja) 養液栽培システム
US20120186153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s for hydroponic gardening
JP4744157B2 (ja) 袋培地栽培法
KR101941891B1 (ko) 아쿠아포닉스 인삼 재배 시스템
JP3768489B2 (ja) 植物栽培装置及び植物栽培方法
KR101883153B1 (ko) 거트
JP2010148376A (ja) 高設栽培装置と、高設栽培装置における透湿防水シートの施工方法
JPH0342853B2 (ko)
JP5915832B2 (ja) 果菜類栽培装置及び果菜類栽培方法
JP2979209B2 (ja) 養液栽培方法および該構造
JP2004208611A (ja) 自然薯の養液栽培方法およびその栽培装置
KR101314769B1 (ko) 양액 재배용 베드
KR20180054239A (ko) 스마트팜 인삼 재배 시스템
KR101540793B1 (ko) 재배용 베드
Maiti et al. Understanding hydroponics and its scope in India
KR200179704Y1 (ko) 식물재배기의 자동수분공급장치
KR102045705B1 (ko) 생육활성화가 가능한 이식용 식물재배관리기
KR100205614B1 (ko) 비닐하우스용 수경재배방법 및 그 장치
JP2019150004A (ja) 固形培地底潅水水耕栽培
KR20100065962A (ko) 원예용 저면관수 베드장치
JP6749302B2 (ja) 植物栽培装置
KR19990001509A (ko) 식물의 재배장치
Giacomelli Nutrient delivery systems for crop production in the controlled environ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