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5962A - 원예용 저면관수 베드장치 - Google Patents

원예용 저면관수 베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5962A
KR20100065962A KR1020080124567A KR20080124567A KR20100065962A KR 20100065962 A KR20100065962 A KR 20100065962A KR 1020080124567 A KR1020080124567 A KR 1020080124567A KR 20080124567 A KR20080124567 A KR 20080124567A KR 20100065962 A KR20100065962 A KR 20100065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irrigation
water level
main body
gard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4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일환
박세원
변성호
이상택
임희봉
김순연
이정호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080124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5962A/ko
Publication of KR20100065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59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7Channels or gutters, e.g. for hydroponic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면관수 베드에서 재배되는 작물에 물이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는 원예용 저면관수 베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원예용 저면관수 베드장치는 테이블 상에 설치되며, 재배하고자 하는 작물의 화분을 올려놓을 수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홈 형태로 형성되어 물을 저장하는 다수의 관수로와; 상기 본체의 상면을 커버하며, 상기 관수로 내부의 그 일부가 배치되어, 물을 흡수하여 상기 화분에 물을 공급하는 부직포와; 상기 관수로 내부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 센서와; 상기 수위 센서에서 측정된 수위에 따라 관수로로 물의 공급을 조절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용 저면관수 베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저면관수, 베드

Description

원예용 저면관수 베드장치{Bottom Irrigating Bed}
본 발명은 원예용 저면관수 베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저면관수 베드에서 재배되는 작물에 물이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는 원예용 저면관수 베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의 농업은 수도작(벼농사)위주로 발전하여 왔기 때문에 과수, 채소, 화훼 등의 원예작물은 상대적으로 소홀히 취급되어 왔다.
그러나 국민소득이 증가하고 생활수준이 급속히 향상됨에 따라 원예작물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WTO출범이후 외국 농산물의 수입개방으로 인한 국제경쟁력이 있는 작목의 재배시설(하우스재배)분야라는 인식이 새롭게 제고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원예작물의 재배에는 작물이 최고의 품질로 생산될 수 있도록 최적의 환경조성이 요구되는바, 특히 이 환경요인 중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작물의 생육을 위해서 적절한 수분공급이 이루어져야 한다. 원예작물은 식량작물보다 생육 기간이 짧고 단위면적당 생체수량이 높은 만큼 수분의 요구도가 높다. 식물은 대체로 1㎏을 생산하는데 300∼900ℓ의 물을 필요로 하며, 이와 같이 생육에 필요한 물을 어떻게 알맞게 관수하느냐 하는 것이 관건이며 이는 수분이 부족하거나 또는 과잉 공급되면 작물의 생육과 품질 및 수량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곧 원예작물농사의 성공 또는 실패를 좌우함에 기인하기 때문이다.
도 1은 종래의 원예용 저면관수 베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의 원예용 저면관수 베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원예용 저면관수 베드장치는 테이블 상에 위치하며, 본체(1)와, 상기 본체의 양 측면을 따라 형성된 관수로(2)와, 상기 관수로(2) 내에 일부가 위치하여 물을 흡수하고 이동시켜 화분(P)에 물을 공급하는 부직포(3)를 구비한다.
이러한 종래의 원예용 저면관수 베드장치는 상기 본체(1) 중앙에 위치하는 화분(P)에는 물이 충분히 공급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이는 상기 부직포(3)가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화분(P)에 물을 공급하는데, 이러한 모세관 현상은 물 공급원으로부터 거리가 멀수록 물 흡수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체(1) 중앙에 위치하는 화분(P)에서 재배되는 작물은 본체(1)의 양 측면에 가까운 화분(P)에서 재배되는 작물에 비하여 그 생육 속도가 느리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원예용 저면관수 베드장치는 본체(1) 상의 화분(P)이 각각 그 위치에 따라 생육 정도가 다르며, 종래의 원예용 저면관수 베드장치를 사용하는 가구에서는 화분(P)의 재배치를 위한 노동력이 필요하게 된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재배되는 작물에 물이 균일하게 공급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위 센서를 통하여 관수로 내에 물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온도 조절 파이프를 구비하여 물의 온도를 작물의 생육에 적합하게 조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반사막을 통하여 작물에 빛을 최대한 공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테이블 상에 설치되며, 재배하고자 하는 작물의 화분을 올려놓을 수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홈 형태로 형성되어 물을 저장하는 다수의 관수로와; 상기 본체의 상면을 커버하모, 상기 관수로 내부의 그 일부가 배치되어, 물을 흡수하여 상기 화분에 물을 공급하는 부직포와; 상기 관수로 내부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 센서와; 상기 수위 센서에서 측정된 수위에 따라 관수로로 물의 공급을 조절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부직포 상에는 빛을 반사시키며, 물을 통과시킬 수 있는 다수의 통공을 구비하는 반사막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수위 센서는 상기 관수로에 볼트, 너트 결합을 통하여 설치되는 브라켓을 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봉과, 상기 가이드 봉을 통하여 상하 운동을 하는 부력체와, 상기 부력체가 하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관수로의 내부 저면에는 수온을 조절하는 온도 조절 파이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실시로 발생하는 종래의 기술과 구별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원예용 저면관수 베드장치는 재배되는 작물에 물이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예용 저면관수 베드장치는 수위 센서를 통하여 관수 로 내에 물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예용 저면관수 베드장치는 온도 조절 파이프를 구비하여 물의 온도를 작물의 생육에 적합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예용 저면관수 베드장치는 반사막을 통하여 작물에 빛을 최대한 공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연관하여 이하에서 개시되는 상세한 설명은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할 의도로서 행해진 것이고, 발명이 실행될 수 있는 형태들만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에 포함된 동일한 또한 등가의 기능들이 다른 실시예들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
도면에 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예용 저면관수 베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예용 저면 관수 베드장치의 본체가 테이블 상에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 라인을 따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예용 저면 관수 베드장치에서 생육되는 작물을 심는 화분을 설명하기 위한 하방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예용 저면관수 베드장치는 테이블 상에 위치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관수로(20)와, 상기 본체(10)의 상면을 커버하고 상기 관수로(20)에 그 일부가 위치하는 부직포(30) 및 반사막(40)과, 상기 관수로(20)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 센서(50)와, 상기 관수로(20) 내 물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 조절 파이프(60)와, 상기 수위 센서(50)의 측정된 수위에 따라 물의 공급을 조절하는 컨트롤러(70)와, 상기 컨트롤러(70)에 의해 상기 관수로(20)로 물을 공급하도록 하는 모터(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예용 저면관수 베드장치는 재배하고자 하는 작물의 화분(P)을 올려놓을 수 있는 본체(10)가 테이블 상에 설치된다.
상기 본체(10)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홈 형태의 다수의 관수로(2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관수로(20)는 상기 화분에 파종되어 있는 작물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모터에 의하여 공급된 물의 저장소이기도 하다. 모터에서 물을 공급할 때, 작물의 생육에 관련된 영양분을 함유한 양액을 함께 공급할 수도 있다.
상기 관수로(20)에는 상기 부직포(30) 및 반사막(40)의 일부가 위치하며, 수위 센서(50) 및 온도 조절 파이프(60)가 설치된다. 상기 부직포(30)는 그 일부가 관수로(20) 내에 위치하여, 모세관 현상을 통하여 물을 흡수하고, 흡수된 물을 상기 화분(P)에 공급한다.
상기 반사막(40)은 상기 부직포(30) 상에 위치한다. 이러한 반사막(40)은 흰색 또는 은색으로 빛을 반사시킬 수 있으며, 합성 수지 필름과 같이 매우 얇은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반사막(40)은 다수의 통공(41)을 구비하여 상기 부직포(30)에서 흡수한 물이 상기 화분(P)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위 센서(50)는 상기 관수로(20) 내의 수위를 조정하기 위한 것으로, 브라켓(B)을 통하여 설치된다. 이러한 수위 센서(50)는 볼트(b), 너트(n) 결합을 통하여 상기 관수로(20)에 고정된 브라켓(B)의 중앙에 설치, 고정된다. 또한, 상기 수위 센서(50)는 상기 브라켓(B)에 고정되는 고정구(51)와, 상기 고정구의 하방으로 연결되는 가이드 봉(52)과, 상기 가이드 봉(52)을 통하여 상하 운동을 하는 부력체(53)와, 상기 부력체(53)가 하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구(54)를 포함한다. 이러한 수위 센서(50)는 상기 부유체(53)가 가이드 봉(52)을 따라 상하 운동을 하는 것을 통하여 관수로(20) 내의 수위를 측정한다. 또한, 상기 수위 센서(50)는 상기 관수로(20) 내의 수위가 기준값 이하로 하강하면, 상기 부유체(53)가 가이드 봉(52)을 따라 하강하게 되며, 이에 따른 전기 신호를 상기 컨트롤러(70)로 전송하여 모터(80)를 작동시키고, 물이 관수로(20) 내로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위 센서(50)는 상기 관수로(20) 내의 수위가 기준값 이상으로 상 승하면, 상기 부유체(53)가 가이등 봉(52)을 따라 상승하고, 이에 따른 전기 신호를 상기 컨트롤러(70)로 전송하여 모터(80)의 작동을 정지시켜, 관수로(20)에서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온도 조절 파이프(60)는 상기 관수로(20) 내 저면에 설치되어, 관수로(20) 내 수온을 조절한다. 즉, 하절기와 같이 기온이 높은 경우에는 상기 관수로 내의 수온이 상승하므로, 상기 온도 조절 파이프(60)에 냉수를 공급하여 관수로 내의 수온을 낮춘다. 또한, 동절기에는 관수로 내의 수온이 하강하므로, 상기 온도 조절 파이프(60)에 온수를 공급하여 관수로 내의 수온을 올린다. 따라서, 작물의 생육에 적절한 수온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70)는 상기 다수의 관수로(20)에 설치된 수위 센서(50)에서 전송된 전기 신호를 통하여 모터의 작동을 조절하며, 이에 따라 상기 관수로(20) 내의 수위를 조절한다. 또한, 상기 온도 조절 파이프(60)에 냉수 및 온수를 공급하도록 하여 관수로(20) 내의 수온을 조절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예용 저면관수 베드장치에 사용되는 화분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통공(P1)이 설치되고, 상기 통공(P1)에는 물의 흡수가 빠른 스펀지 또는 부직포와 같은 수분 흡수 수단(P2)이 설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예용 저면관수 베드장치는 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관수로(20)를 통하여 각 화분(P)에 균일하게 물을 공급하여 작물이 균일하게 생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부직포(30) 상의 반사막(40)을 통하여 빛을 반사시켜, 작물이 최대한의 빛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물의 생장 속도를 더욱 빠르게 할 수 있다. 또한, 하절기 및 동절기에도 수온을 작물의 생육에 적절한 온도로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원예용 저면관수 베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원예용 저면관수 베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예용 저면관수 베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예용 저면 관수 베드장치의 본체가 테이블 상에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 라인을 따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예용 저면 관수 베드장치에서 생육되는 작물을 심는 화분을 설명하기 위한 하방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 화분
10; 본체
20; 관수로
30; 부직포
40; 반사막
50; 수위 센서
60; 온도 조절 파이프
70; 컨트롤러
80; 모터

Claims (4)

  1. 테이블 상에 설치되며, 재배하고자 하는 작물의 화분을 올려놓을 수 있는 본체;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홈 형태로 형성되어 물을 저장하는 다수의 관수로;
    상기 본체의 상면을 커버하며, 상기 관수로 내부의 그 일부가 배치되어, 물을 흡수하여 상기 화분에 물을 공급하는 부직포;
    상기 관수로 내부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 센서; 및
    상기 수위 센서에서 측정된 수위에 따라 관수로로 물의 공급을 조절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용 저면관수 베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상에는 빛을 반사시키며, 물을 통과시킬 수 있는 다수의 통공을 구비하는 반사막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용 저면관수 베드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 센서는 상기 관수로에 볼트, 너트 결합을 통하여 설치되는 브라켓을 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봉과,
    상기 가이드 봉을 통하여 상하 운동을 하는 부력체와,
    상기 부력체가 하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용 저면관수 베드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관수로의 내부 저면에는 수온을 조절하는 온도 조절 파이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용 저면관수 베드장치.
KR1020080124567A 2008-12-09 2008-12-09 원예용 저면관수 베드장치 KR201000659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567A KR20100065962A (ko) 2008-12-09 2008-12-09 원예용 저면관수 베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567A KR20100065962A (ko) 2008-12-09 2008-12-09 원예용 저면관수 베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5962A true KR20100065962A (ko) 2010-06-17

Family

ID=42365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4567A KR20100065962A (ko) 2008-12-09 2008-12-09 원예용 저면관수 베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596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3534A (ko) 2017-01-13 2018-07-23 박상현 조립식 저면관수용 베드
KR20190051400A (ko) 2017-11-06 2019-05-15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유니플랜텍 통기성이 극대화된 저면관수 재배통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3534A (ko) 2017-01-13 2018-07-23 박상현 조립식 저면관수용 베드
KR20190051400A (ko) 2017-11-06 2019-05-15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유니플랜텍 통기성이 극대화된 저면관수 재배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40155B (zh) 一种小型植物生长系统
KR101314657B1 (ko) 양액 재배용 베드
US6389751B1 (en) Plant cultivating apparatus using subirrigation
CN203505234U (zh) 一种果菜类轻简高效架式复合无土栽培装置
KR20140122821A (ko) 수경 재배장치
KR101362020B1 (ko) 수경 재배 장치
KR20120109044A (ko) 토마토 재배장치 및 그 방법
KR20160101455A (ko) 다목적 수경 재배기
JP2979209B2 (ja) 養液栽培方法および該構造
KR20100065962A (ko) 원예용 저면관수 베드장치
CN209995068U (zh) 一种无土栽培立体盆式种植设备
CN208258685U (zh) 多功能光照种植单元
KR101405539B1 (ko) 수경재배 겸용 삽목용 화분 수직 재배장치
KR101280123B1 (ko) 식물재배기 겸용 화분 받침대
KR101883153B1 (ko) 거트
CN215122757U (zh) 一种室内苜蓿水肥一体化栽培装置
KR20160024445A (ko) 요철이 형성된 화분 수직 재배장치
CN208370564U (zh) 多功能光照种植托盘装配
JPH0349628A (ja) 養液栽培床及びこれを使用した養液栽培方法
JP2011067172A (ja) ヒシの栽培装置
CN206481706U (zh) 一种基于智能化的温室育苗设施
JP3199233U (ja) 木質チップ発酵熱を利用した水耕栽培システム
KR20210063842A (ko) Led 조명을 이용한 육묘 및 재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육묘 및 재배 방법
CN218389187U (zh) 一种逆流缓吸水植物水培自动化种植装置
CN220630221U (zh) 阳台自动养花及种植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