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9733A -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9733A
KR20170139733A KR1020160071808A KR20160071808A KR20170139733A KR 20170139733 A KR20170139733 A KR 20170139733A KR 1020160071808 A KR1020160071808 A KR 1020160071808A KR 20160071808 A KR20160071808 A KR 20160071808A KR 20170139733 A KR20170139733 A KR 20170139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thin plates
display
upper beam
lower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1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2148B1 (ko
Inventor
하이크카차트리안
김기현
김선호
김정호
김태웅
이정헌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1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2148B1/ko
Priority to US15/611,058 priority patent/US10426046B2/en
Priority to CN201710430777.5A priority patent/CN107492309B/zh
Publication of KR20170139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9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2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2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1Locks; Latch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롤러, 상기 롤러에 제1 방향으로 감기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배면에 위치하며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와 함께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롤러에 감기는 복수의 박판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ROLLABLE DISPLAY DEVICE}
본 기재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최근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rollable flexible display device)가 주목 받고 있다.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롤러(roller)에 감거나 롤러로부터 펼칠 수 있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장치이다. 롤러블 디스플레이는 롤러에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감아 전체적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를 줄여 휴대할 수 있다.
일 실시예는, 롤러에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용이하게 감거나, 롤러로부터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용이하게 펼칠 수 있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롤러로부터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펼쳤을 때, 롤러블 디스플레이가 플랫(flat)하게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측면은, 롤러, 상기 롤러에 제1 방향으로 감기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배면에 위치하며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와 함께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롤러에 감기는 복수의 박판들을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복수의 박판들 각각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복수의 박판들은 상기 롤러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펼쳐지며, 상기 롤러로부터 펼쳐진 상기 복수의 박판들은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배면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곡률을 가지고 휘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박판들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테두리는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배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박판들은 상기 롤러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멀어질수록 상기 제2 방향으로 더 큰 곡률을 가지고 휘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박판들은 상기 제1 방향으로 함몰 연장된 그루브를 포함하며, 상기 그루브는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와 대향할 수 있다.
상기 롤러에 감긴 상기 복수의 박판들은 상기 제2 방향으로 플랫(flat)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롤러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된 고정축,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복수의 박판들이 감기는 회전롤, 및 상기 고정축과 상기 회전롤 사이에 연결된 코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복수의 박판들이 감기는 회전 방향으로 상기 회전롤에 탄성 복원력을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일 단부 및 상기 복수의 박판들의 일 단부들은 상기 롤러에 고정되며,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타 단부 및 상기 복수의 박판들의 타 단부들을 지지하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타 단부를 지지하는 어퍼빔, 및 상기 어퍼빔과 대향하며, 상기 복수의 박판들의 타 단부들을 지지하는 로워빔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박판들의 타 단부들은 상기 어퍼빔과 상기 로워빔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어퍼빔과 상기 로워빔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어퍼빔과 상기 로워빔 사이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어퍼빔 및 상기 로워빔 중 적어도 하나에 탄성 복원력을 발생하는 탄성 연결부, 및 상기 어퍼빔과 상기 로워빔 사이의 간격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로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퍼빔은 상기 복수의 박판들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중앙 부분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1 돌출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워빔은 상기 복수의 박판들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외곽 부분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2 돌출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롤러에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용이하게 감거나, 롤러로부터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용이하게 펼칠 수 있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롤러로부터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펼쳤을 때, 롤러블 디스플레이가 플랫(flat)하게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롤러로부터 롤러블 디스플레이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Ⅳ-Ⅳ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롤러에 롤러블 디스플레이가 감긴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Ⅵ-Ⅵ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Ⅶ-Ⅶ을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또한, 일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기준이 되는 부분 "상에" 있다고 하는 것은 기준이 되는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고, 반드시 중력 반대 방향 쪽으로 "위에" 또는 "상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롤러로부터 롤러블 디스플레이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롤러(100), 롤러블 디스플레이(200), 복수의 박판(300)들, 지지 유닛(400)을 포함한다.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롤러블 디스플레이(200)는 제1 방향(X)을 따라 롤러(100)에 감기거나, 제1 방향(X)을 따라 롤러(100)로부터 펼쳐질 수 있다.
롤러(100)는 제1 방향(X)과 교차하는 제2 방향(Y)으로 연장된다. 롤러(10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롤러블 디스플레이(200)는 제1 방향(X)으로 롤러(100)에 감길 수 있다. 롤러(10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롤러블 디스플레이(200)는 제1 방향(X)으로 롤러(100)로부터 펼쳐 질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롤러(100)는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롤러블 디스플레이(200)는 제1 방향(X)으로 롤러(100)에 감기거나 또는 롤러블 디스플레이(200)는 제1 방향(X)으로 롤러(100)로부터 펼쳐질 수 있다.
롤러(100)는 고정축(110), 회전롤(120), 코일 스프링(130)을 포함한다.
고정축(110)은 제2 방향(Y)으로 연장된다. 고정축(110)의 양 단부는 고정부(FM)에 고정되어 있고, 고정축(110)은 회전롤(120)의 내부에 위치한다.
회전롤(120)은 제2 방향(Y)으로 연장되어 고정축(110)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회전롤(120)과 고정축(110) 사이에는 볼 베어링 등이 위치할 수 있다. 회전롤(120)에 롤러블 디스플레이(200)의 일 단부 및 복수의 박판(300)들의 일 단부가 고정된다. 회전롤(120)이 고정축(110)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제1 방향(X)으로 롤러블 디스플레이(200) 및 복수의 박판(300)들은 회전롤(120)에 감길 수 있다. 회전롤(120)이 고정축(110)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제1 방향(X)으로 롤러블 디스플레이(200) 및 복수의 박판(300)들이 회전롤(120)로부터 펼쳐질 수 있다.
코일 스프링(130)은 고정축(110)과 회전롤(120) 사이에 연결된다. 코일 스프링(130)은 고정축(110)의 단부와 회전롤(120)의 단부 사이를 연결한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코일 스프링(130)은 고정축(110)의 일 부분과 회전롤(120)의 일 부분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코일 스프링(130)은 롤러블 디스플레이(200) 및 복수의 박판(300)들이 감기는 방향(일례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롤(120)에 탄성 복원력을 발생할 수 있다.
일례로, 고정축(110)을 중심으로 회전롤(12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롤러블 디스플레이(200) 및 복수의 박판(300)들이 회전롤(120)로부터 펼쳐진 경우, 회전롤(12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코일 스프링(130)은 고정축(110)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감긴다. 이로 인해, 코일 스프링(130)은 롤러블 디스플레이(200) 및 복수의 박판(300)들이 감기는 방향인 시계 방향으로 회전롤(120)에 탄성 복원력을 발생시킨다.
롤러블 디스플레이(200)는 이미지(image)를 표시한다. 롤러블 디스플레이(200)는 롤러(100)에 제1 방향(X)으로 감기거나, 롤러(100)로부터 제1 방향(X)으로 펼쳐질 수 있다. 롤러블 디스플레이(200)는 액정(liquid crystal),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전자 잉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하는 플렉서블한 기판 또는 필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롤러블 디스플레이(200)는 롤러블 디스플레이(200)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는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일 수 있다. 롤러블 디스플레이(200)의 전면에는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지고 터치(touch) 동작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가 위치할 수 있다. 롤러블 디스플레이(200)의 제1 방향(X)으로의 일 단부는 롤러(100)에 고정되며, 롤러블 디스플레이(200)의 제1 방향(X)으로의 타 단부는 지지 유닛(400)에 지지된다. 일례로, 롤러블 디스플레이(200)의 제2 방향(Y)으로 뻗어있는 두 개의 단부 중 일 단부 및 타 단부 각각은 롤러(100) 및 지지 유닛(400) 각각에 지지될 수 있다.
복수의 박판(300)들은 롤러블 디스플레이(200)의 배면에 위치하며, 롤러블 디스플레이(200)와 함께 제1 방향(X)으로 롤러(100)에 감길 수 있다. 복수의 박판(300)들은 롤러블 디스플레이(200)와 함께 제1 방향(X)으로 롤러(100)로부터 펼쳐질 수 있다. 복수의 박판(300)들은 각각은 제1 방향(X)으로 연장된다. 복수의 박판(300)들 각각은 제2 방향(Y)으로 서로 이격된다. 복수의 박판(300)들 각각은 하나의 판 또는 적층된 복수의 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Ⅱ-Ⅱ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박판(300)들 및 롤러블 디스플레이(200)를 도시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박판(300)들 각각은 제1 방향(X)으로 함몰 연장된 그루브(310)를 포함한다. 그루브(310)는 롤러블 디스플레이(200)와 대향한다. 복수의 박판(300)들은, 제1 방향(X)으로 롤러(100)로부터 펼쳐진 경우, 롤러블 디스플레이(200)의 배면에서 제2 방향(Y)으로 곡률을 가지고 휘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박판(300)들의 제2 방향(Y)으로의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는 롤러블 디스플레이(200)의 배면을 지지한다. 복수의 박판(300)들의 제2 방향(Y)으로의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는 롤러블 디스플레이(200)의 배면과 접촉할 수 있다.
복수의 박판(300)들은 롤러(100)로부터 제1 방향(X)으로 멀어질수록 제2 방향(Y)으로 더 큰 곡률을 가지고 휘어진다. 도 2에 도시된 복수의 박판(300)들의 일 부분은 도 3에 도시된 복수의 박판(300)들의 타 부분 대비 롤러(100)로부터 제1 방향(X)으로 더 멀리 위치하며, 도 2에 도시된 복수의 박판(300)들의 일 부분은 도 3에 도시된 복수의 박판(300)들의 타 부분 대비 제2 방향(Y)으로 더 큰 곡률을 가지고 휘어진다. 도 2에 도시된 복수의 박판(300)들의 일 부분의 제2 방향(Y)으로의 테두리는 롤러블 디스플레이(200)의 배면과 접촉하여 롤러블 디스플레이(200)를 지지한다. 도 3에 도시된 복수의 박판(300)들의 타 부분의 제2 방향(Y)으로의 테두리는 롤러블 디스플레이(200)의 배면과 이격된다.
복수의 박판(300)들의 일 단부들은 롤러(100)에 고정되며, 복수의 박판(300)들의 타 단부들은 지지 유닛(400)에 지지된다. 롤러(100)에 고정되는 복수의 박판(300)들의 일 단부들은 제2 방향(Y)으로 플랫(flat)한 상태로 롤러(100)에 고정된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롤러(100)에 고정되는 복수의 박판(300)들의 일 단부들은 제2 방향(Y)으로 곡률을 가지고 휘어진 상태로 롤러(100)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 유닛(400)에 지지되는 복수의 박판(300)들의 타 단부들은 제2 방향(Y)으로 플랫(flat)한 상태 및 제2 방향(Y)으로 곡률을 가지고 휘어진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지지 유닛(400)에 지지되는 복수의 박판(300)들의 타 단부들은 제2 방향(Y)으로의 중앙 부분만이 지지 유닛(400)에 지지될 수 있다. 지지 유닛(400)에 지지된 복수의 박판(300)들의 타 단부들의 중앙 부분은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 각각과 교차하는 제3 방향(Z)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지지 유닛(400)에 지지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Ⅳ-Ⅳ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유닛(400)은 롤러블 디스플레이(200)의 타 단부 및 복수의 박판(300)들의 타 단부들을 지지하며, 제2 방향(Y)으로 연장된다.
지지 유닛(400)은 어퍼빔(410), 로워빔(420), 탄성 연결부(430), 로커(440)를 포함한다.
어퍼빔(410)은 제2 방향(Y)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롤러블 디스플레이(200)의 타 단부를 지지한다. 어퍼빔(410)은 복수의 박판(300)들의 제2 방향(Y)으로의 중앙 부분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1 돌출부(411)들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1 돌출부(411)들 각각은 복수의 박판(300)들 각각에 대응하여 제2 방향(Y)으로 서로 이격된다. 복수의 제1 돌출부(411)들 각각은 반원 형태를 가지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박판(300)들 각각으로 돌출된다면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 타원형, 원형 등의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로워빔(420)은 제2 방향(Y)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어퍼빔(410)과 대향한다. 로워빔(420)은 복수의 박판(300)들의 타 단부들을 지지한다. 로워빔(420)은 복수의 박판(300)들의 제2 방향(Y)으로의 외곽 부분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2 돌출부(421)들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2 돌출부(421)들은 복수의 박판(300)들 각각의 제2 방향(Y)의 양 단부 각각에 대응하여 돌출된다. 복수의 제2 돌출부(421)들은 사각형 형태를 가지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박판(300)들 각각으로 돌출된다면 삼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 타원형, 원형, 반원형 등의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로워빔(420)과 어퍼빔(410) 사이에는 복수의 박판(300)들의 타 단부들이 위치한다.
탄성 연결부(430)는 어퍼빔(410)과 로워빔(420) 사이를 연결한다. 탄성 연결부(430)는 어퍼빔(410)과 로워빔(420) 사이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어퍼빔(410) 및 로워빔(420) 중 적어도 하나에 탄성 복원력을 발생한다. 탄성 연결부(430)는 어퍼빔(410) 및 로워빔(420) 각각에 연결되어 상호 연결된 복수의 연결부 및 연결부를 둘러싸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일례로, 어퍼빔(410)과 로워빔(42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진 경우, 어퍼빔(410)과 로워빔(420) 사이를 연결하는 탄성 연결부(430)의 스프링이 어퍼빔(410)과 로워빔(420)에 의해 압축된다. 이로 인해, 탄성 연결부(430)는 어퍼빔(410)과 로워빔(420) 사이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어퍼빔(410) 및 로워빔(420) 중 적어도 하나에 탄성 복원력을 발생한다.
한편,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탄성 연결부(430)는 쇼크 업소버(shock absorber)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연결부(430)는 어퍼빔(410)과 로워빔(420) 사이를 연결하는 동시에 어퍼빔(410)과 로워빔(420) 사이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어퍼빔(410) 및 로워빔(420) 중 적어도 하나에 탄성 복원력을 발생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로도 형성될 수 있다.
로커(440)는 탄성 연결부(430)와 이웃하여 어퍼빔(410)과 로워빔(420) 사이에 위치한다. 로커(440)는 어퍼빔(410)과 로워빔(420) 사이의 간격을 선택적으로 고정한다. 로커(440)는 어퍼빔(410) 및 로워빔(420) 각각에 연결되어 상호 구조적으로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부를 포함한다.
일례로, 어퍼빔(410)과 로워빔(420) 사이의 간격이 설정된 거리로 좁아지면, 로커(440)는 온락(on lock)되어 어퍼빔(410)과 로워빔(420) 사이의 간격을 고정한다. 다른 예로, 로커(440)가 오프락(off lock)되면 탄성 연결부(430)에서 발생되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어퍼빔(410)과 로워빔(420) 사이의 간격이 멀어진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롤러블 디스플레이(200)가 롤러(100)에 감긴 상태 및 롤러블 디스플레이(200)가 롤러(100)로부터 펼쳐진 상태를 설명한다.
우선,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롤러블 디스플레이(200)가 롤러(100)에 감긴 상태를 설명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롤러에 롤러블 디스플레이가 감긴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Ⅵ-Ⅵ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Ⅶ-Ⅶ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블 디스플레이(200) 및 복수의 박판(300)들은 함께 롤러(100)에 감겨져 있다. 지지 유닛(400)의 로커(440)는 오프락(off lock)되어 있으며, 탄성 연결부(430)에 의해 어퍼빔(410)과 로워빔(420) 사이의 간격이 멀어져 있다. 복수의 박판(300)들은 로워빔(420)에 지지된 상태로 어퍼빔(410)과 로워빔(420) 사이에서 제2 방향(Y)으로 플랫(flat)한 상태를 유지하며, 어퍼빔(410)의 제1 돌출부(411)들과 이격된다. 롤러(100)에 감긴 복수의 박판(300)들은 제2 방향(Y)으로 플랫한 상태를 유지한다. 롤러(100)와 지지 유닛(400)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박판(300)들의 일부는 롤러블 디스플레이(200)와 이격되어 제2 방향(Y)으로 플랫한 상태를 유지한다.
다음, 상술한 상태로부터,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롤러블 디스플레이(200)가 롤러(100)로부터 펼쳐진 상태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한 상태로부터 지지 유닛(400)을 롤러(1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기면, 지지 유닛(400)이 롤러(100)로부터 제1 방향(X)으로 멀어지면서, 롤러(100)의 회전롤(120)이 고정축(110)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롤러블 디스플레이(200) 및 복수의 박판(300)들이 회전롤(120)로부터 제1 방향(X)으로 펼쳐진다.
이때, 코일 스프링(130)은 롤러블 디스플레이(200) 및 복수의 박판(300)들이 감기는 방향인 시계 방향으로 회전롤(120)에 탄성 복원력을 발생한다.
다음, 지지 유닛(400)의 어퍼빔(410)과 로워빔(420) 사이의 간격이 설정된 거리로 좁아지도록, 어퍼빔(410) 및 로워빔(420)을 가압하면, 어퍼빔(410)의 복수의 제1 돌출부(411)들은 복수의 박판(300)들의 제2 방향(Y)으로의 중앙 부분을 가압 및 접촉하고 로워빔(420)의 복수의 제2 돌출부(421)들은 복수의 박판(300)들의 제2 방향(Y)으로의 양 단부 각각을 가압하게 된다. 지지 유닛(400)의 어퍼빔(410)과 로워빔(420)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박판(300)들은 롤러블 디스플레이(200)의 배면에서 제2 방향(Y)으로 곡률을 가지고 휘어진다.
복수의 박판(300)들이 그루브(310)를 포함함으로써, 복수의 박판(300)들이 제2 방향(Y)으로 용이하게 곡률을 가지고 휘어진다. 휘어진 복수의 박판(300)들의 제2 방향(Y)으로의 테두리는 롤러블 디스플레이(200)의 배면과 접촉하여 롤러블 디스플레이(200)를 지지한다.
이와 같이, 제2 방향(Y)으로 곡률을 가지고 휘어진 복수의 박판(300)들의 제2 방향(Y)으로의 테두리가 롤러블 디스플레이(200)의 배면과 접촉하여 롤러블 디스플레이(200)를 지지한다.
즉, 롤러(100)로부터 제1 방향(X)으로 펼쳐져 제2 방향(Y)으로 곡률을 가지고 휘어진 복수의 박판(300)들에 의해 롤러(100)로부터 제1 방향(X)으로 펼쳐진 롤러블 디스플레이(200)가 제3 방향(Z)으로 휘어지는 것이 억제되기 때문에, 롤러(100)로부터 펼쳐진 롤러블 디스플레이(200)가 플랫(flat)한 상태로 유지된다.
다음, 어퍼빔(410)과 로워빔(420) 사이의 간격이 설정된 거리로 좁아지면, 로커(440)는 온락(on lock)되어 어퍼빔(410)과 로워빔(420) 사이의 간격을 고정하며, 어퍼빔(410)의 제1 돌출부(411)들로 인해 복수의 박판(300)들은 제2 방향(Y)으로 곡률을 가지고 휘어진 상태로 고정된다.
이때, 탄성 연결부(430)는 어퍼빔(410)과 로워빔(420) 사이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어퍼빔(410) 및 로워빔(420) 중 적어도 하나에 탄성 복원력을 발생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박판(300)들이 제1 방향(X)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제2 방향(Y)으로 곡률을 가지고 휘어짐으로써, 복수의 박판(300)들이 제1 방향(X)으로 휘어지는 것이 억제되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130)이 롤러블 디스플레이(200) 및 복수의 박판(300)들이 감기는 방향인 시계 방향으로 회전롤(120)에 탄성 복원력을 발생하더라도, 회전롤(12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롤러블 디스플레이(200) 및 복수의 박판(300)들이 롤러(100)에 감기는 것이 억제된다.
즉, 복수의 박판(300)들이 제2 방향(Y)으로 곡률을 가지고 휘어짐으로써, 롤러블 디스플레이(200) 및 복수의 박판(300)들이 롤러(100)에 다시 감기는 것이 억제되기 때문에, 롤러블 디스플레이(200)가 롤러(100)로부터 펼쳐진 상태가 유지된다.
이상과 같이, 지지 유닛(400)을 롤러(100)로부터 당기고, 지지 유닛(400)의 어퍼빔(410) 및 로워빔(420)를 가압하는 2개의 동작만으로도, 롤러블 디스플레이(200)가 롤러(100)로부터 용이하게 펼쳐지는 동시에 플랫하게 펼쳐진 상태가 유지된다.
다음, 롤러블 디스플레이(200)가 롤러(100)로부터 펼쳐진 상태에서, 롤러블 디스플레이(200)를 다시 롤러(100)에 감을 경우, 로커(440)를 오프락(off lock)하면, 탄성 연결부(43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지지 유닛(400)의 어퍼빔(410)과 로워빔(420) 사이가 멀어지고, 어퍼빔(410)의 제1 돌출부(411)들이 복수의 박판(300)들로부터 멀어져 복수의 박판(300)들이 제2 방향(Y)으로 휘어진 상태에서 플랫(flat)한 상태로 변형된다. 복수의 박판(300)들이 제2 방향(Y)으로 플랫한 상태로 변형됨으로써, 복수의 박판(300)들이 제1 방향(X)으로 용이하게 휘어지는 동시에 코일 스프링(13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회전롤(12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롤러블 디스플레이(200) 및 복수의 박판(300)들이 함께 롤러(100)에 제1 방향으로 용이하게 감긴다.
즉, 로커(440)를 오프락시키는 하나의 동작만으로도, 롤러블 디스플레이(200)가 용이하게 롤러(100)에 감긴다.
이상과 같이, 롤러(100)에 롤러블 디스플레이(200)를 용이하게 감거나, 롤러(100)로부터 롤러블 디스플레이(200)를 용이하게 펼칠 수 있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롤러(100)로부터 롤러블 디스플레이(200)를 펼쳤을 때, 롤러블 디스플레이(200)가 플랫(flat)하게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본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롤러(100), 롤러블 디스플레이(200), 박판(300), 지지 유닛(400)

Claims (13)

  1. 롤러;
    상기 롤러에 제1 방향으로 감기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배면에 위치하며,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와 함께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롤러에 감기는 복수의 박판들
    을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박판들 각각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복수의 박판들은 상기 롤러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펼쳐지며,
    상기 롤러로부터 펼쳐진 상기 복수의 박판들은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배면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곡률을 가지고 휘어진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복수의 박판들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테두리는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배면을 지지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3항에서,
    상기 복수의 박판들은 상기 롤러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멀어질수록 상기 제2 방향으로 더 큰 곡률을 가지고 휘어진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3항에서,
    상기 복수의 박판들은 상기 제1 방향으로 함몰 연장된 그루브를 포함하며,
    상기 그루브는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와 대향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2항에서,
    상기 롤러에 감긴 상기 복수의 박판들은 상기 제2 방향으로 플랫(flat)한 상태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2항에서,
    상기 롤러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된 고정축;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복수의 박판들이 감기는 회전롤; 및
    상기 고정축과 상기 회전롤 사이에 연결된 코일 스프링
    을 포함하며,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복수의 박판들이 감기는 회전 방향으로 상기 회전롤에 탄성 복원력을 발생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2항에서,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일 단부 및 상기 복수의 박판들의 일 단부들은 상기 롤러에 고정되며,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타 단부 및 상기 복수의 박판들의 타 단부들을 지지하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 유닛을 더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타 단부를 지지하는 어퍼빔; 및
    상기 어퍼빔과 대향하며, 상기 복수의 박판들의 타 단부들을 지지하는 로워빔
    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박판들의 타 단부들은 상기 어퍼빔과 상기 로워빔 사이에 위치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항에서,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어퍼빔과 상기 로워빔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어퍼빔과 상기 로워빔 사이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어퍼빔 및 상기 로워빔 중 적어도 하나에 탄성 복원력을 발생하는 탄성 연결부; 및
    상기 어퍼빔과 상기 로워빔 사이의 간격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로커
    를 더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0항에서,
    상기 어퍼빔은 상기 복수의 박판들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중앙 부분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1 돌출부들을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0항에서,
    상기 로워빔은 상기 복수의 박판들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외곽 부분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2 돌출부들을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60071808A 2016-06-09 2016-06-09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22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1808A KR102522148B1 (ko) 2016-06-09 2016-06-09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US15/611,058 US10426046B2 (en) 2016-06-09 2017-06-01 Rollable display device
CN201710430777.5A CN107492309B (zh) 2016-06-09 2017-06-09 可卷曲的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1808A KR102522148B1 (ko) 2016-06-09 2016-06-09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9733A true KR20170139733A (ko) 2017-12-20
KR102522148B1 KR102522148B1 (ko) 2023-04-14

Family

ID=60573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1808A KR102522148B1 (ko) 2016-06-09 2016-06-09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426046B2 (ko)
KR (1) KR102522148B1 (ko)
CN (1) CN107492309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4277A (ko) * 2018-09-21 2020-03-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장치
CN111292619A (zh) * 2018-12-10 2020-06-16 乐金显示有限公司 背板和包括该背板的可卷曲显示装置
CN112349204A (zh) * 2019-08-06 2021-02-09 乐金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
WO2023136563A1 (ko) * 2022-01-17 2023-07-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1202B1 (ko) * 2016-08-23 2022-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대형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8520702B (zh) * 2018-04-02 2022-05-17 广州国显科技有限公司 显示装置及电子产品
CN108717828B (zh) * 2018-05-31 2020-08-2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KR102478444B1 (ko) * 2018-07-03 2022-12-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9229033B (zh) * 2018-08-30 2021-01-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电子车牌及其制造方法
WO2020255211A1 (ja) * 2019-06-17 2020-12-24 株式会社特殊金属エクセル 構造体
CN110580859A (zh) * 2019-10-14 2019-12-17 刘燕庭 可卷曲显示屏的支撑基板、可卷曲显示装置及电子设备
WO2021095911A1 (ko) * 2019-11-13 2021-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N111383538B (zh) 2020-04-10 2021-05-0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可卷曲柔性显示装置
CN111383540B (zh) * 2020-04-30 2022-04-08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可卷曲显示装置
CN111583797B (zh) * 2020-05-14 2022-05-1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折叠屏组合件和电子设备
CN112002226B (zh) * 2020-08-17 2022-02-2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CN112866462B (zh) * 2021-03-30 2023-08-08 北京剑视元宇科技有限公司 手持式多媒体终端机
CN113724591B (zh) * 2021-08-25 2023-10-27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卷轴式柔性屏和电子设备
KR20230102625A (ko) 2021-12-30 2023-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41002A1 (en) * 2006-04-18 2007-10-18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Flexible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3272033A1 (en) 2002-11-21 2004-06-1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Flexible display
JP4860154B2 (ja) * 2002-12-10 2012-01-2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組み合わせ使用のための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7463238B2 (en) * 2003-08-11 2008-12-09 Virtualblue, Llc Retractable flexible digital display apparatus
EP2395497B1 (en) 2004-10-05 2013-11-13 Creator Technology B.V. Rollable display device
WO2006085271A2 (en) 2005-02-11 2006-08-17 Polymer Vision Limited Wrap display system having a flexible display
JP4911919B2 (ja) * 2005-05-16 2012-04-04 昭和電工株式会社 ジオレフィン化合物の選択酸化による2官能性エポキシモノマーの製造方法
TWI370419B (en) 2006-10-31 2012-08-11 Creator Technology Bv Flexible display supported by hinged frame
JP5108293B2 (ja) * 2006-12-20 2012-12-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携帯機器及び撮像装置
KR100818170B1 (ko) 2007-03-13 2008-04-02 한국과학기술원 두루마리형 유연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개인휴대정보단말기
WO2009067010A2 (en) * 2007-11-21 2009-05-28 Polymer Vision Limited An electronic device with a flexible display
JP2010020270A (ja) * 2008-06-09 2010-01-28 Seiko Epson Corp スクリーン
US8385055B2 (en) 2008-12-26 2013-02-26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Electric device and display panel thereof
KR101227644B1 (ko) * 2010-08-10 2013-01-30 유상규 두루마리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NL2006862C2 (en) 2011-05-30 2012-12-03 Polymer Vision Bv Display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US20120314399A1 (en) 2011-06-07 2012-12-13 Microsoft Corporation Flexible display foldable assembly
EP3428774A1 (en) 2011-07-11 2019-0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with display support
KR20140061808A (ko) * 2012-11-14 2014-05-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물 증착 장치
GB2508194A (en) * 2012-11-23 2014-05-28 Averly Ip Ltd Memory material frame to cause flexible display panel to become rigid
EP2984870B1 (en) * 2013-04-12 2018-03-28 Nec Corporation Radio acces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N104423433A (zh) * 2013-08-26 2015-03-18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及其使用方法
EP3087560B9 (en) * 2013-12-24 2021-08-11 Flexterra, Inc. Support structures for a flexible electronic component
TWI543129B (zh) 2014-07-22 2016-07-21 Lg顯示器股份有限公司 捲軸式顯示裝置
KR102365299B1 (ko) * 2014-08-01 2022-02-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4407675B (zh) * 2014-12-12 2017-07-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屏卷绕系统及其控制方法
KR102339290B1 (ko) * 2014-12-16 2021-12-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1570869B1 (ko) * 2014-12-31 2015-11-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20437B1 (ko) * 2015-01-13 2022-07-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 장치 및 롤러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398162B1 (ko) * 2015-02-10 2022-05-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장치
CN104714699A (zh) * 2015-04-13 2015-06-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US9772657B2 (en) * 2015-04-30 2017-09-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llable display device
KR102384576B1 (ko) * 2015-06-15 2022-04-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378758B1 (ko) * 2015-06-19 2022-03-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CN105608999B (zh) * 2016-02-25 2017-11-28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41002A1 (en) * 2006-04-18 2007-10-18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Flexible display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4277A (ko) * 2018-09-21 2020-03-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장치
US10743429B2 (en) 2018-09-21 2020-08-11 Lg Display Co., Ltd. Rollable display device
CN111292619A (zh) * 2018-12-10 2020-06-16 乐金显示有限公司 背板和包括该背板的可卷曲显示装置
CN111292619B (zh) * 2018-12-10 2022-01-11 乐金显示有限公司 背板和包括该背板的可卷曲显示装置
US11341872B2 (en) 2018-12-10 2022-05-24 Lg Display Co., Ltd. Backplate and rolla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12349204A (zh) * 2019-08-06 2021-02-09 乐金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2349204B (zh) * 2019-08-06 2023-06-09 乐金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
WO2023136563A1 (ko) * 2022-01-17 2023-07-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2148B1 (ko) 2023-04-14
CN107492309B (zh) 2021-05-25
CN107492309A (zh) 2017-12-19
US10426046B2 (en) 2019-09-24
US20170359911A1 (en) 2017-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39733A (ko)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US11016532B2 (en) Display device and moving method thereof
KR102342761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14241924B (zh) 可卷曲显示装置及可卷曲装置
KR102627272B1 (ko) 롤러블 표시장치
CN107492310B (zh) 可卷曲显示装置
US10244641B2 (en) Display device
KR20170113919A (ko) 표시 장치
US20170318689A1 (en) Rollable Display Device
US11341872B2 (en) Backplate and rolla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60090976A (ko) 표시 장치
US20080204367A1 (en) Wrap Display System Having A Flexible Display
JP2007529776A (ja) 巻くことができる電子パネル装置
KR20180037637A (ko) 표시 장치
KR20130005650U (ko) 가변형 파티션 및 이를 사용한 테이블
CN113870710B (zh) 柔性显示装置
US20230096985A1 (en) Electronic Device
KR20160059372A (ko) 롤러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12429604A (zh) 一种显示装置
CN113851052B (zh) 滑卷屏机构、显示装置
KR102396761B1 (ko) 표시 장치
US20140053436A1 (en) Roller Banners
US9557632B2 (en) Rolled projection screen
WO2022000320A1 (zh) 一种柔性显示设备以及显示系统
KR101516521B1 (ko) 절첩형 배너 현수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