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9366A - 유연 열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연 열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9366A
KR20170139366A KR1020160071829A KR20160071829A KR20170139366A KR 20170139366 A KR20170139366 A KR 20170139366A KR 1020160071829 A KR1020160071829 A KR 1020160071829A KR 20160071829 A KR20160071829 A KR 20160071829A KR 20170139366 A KR20170139366 A KR 201701393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eat
thermoelectric
heat generating
heat dissip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1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3795B1 (ko
Inventor
김우철
김동규
조병진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71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3795B1/ko
Priority to US15/617,223 priority patent/US10615326B2/en
Publication of KR20170139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9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3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3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1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 H10N10/13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characterised by the heat-exchanging means at the junction
    • H01L35/30
    • H01L35/12
    • H01L35/24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05K7/20409Outer radiating structures o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fins integrated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1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 H10N10/17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configuration of the cell or thermocouple forming the devic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10/85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10/85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 H10N10/856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comprising organic composi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유연 열전 시스템은, 인체에 착용 가능한 열전유닛, 열전유닛과 피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열전유닛의 일면에 마련되어 흡습 및 발열성 재질로 형성되는 발열유닛 및 열전유닛을 사이에 두고 발열유닛과 마주하도록 열전유닛의 타면에 마련되어 열을 방열시키는 방열유닛을 포함하며, 발열유닛 및 방열유닛은 유연하게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피부에 유연하게 부착 가능함과 아울러, 열전유닛의 상하단 온도 차이를 극대화에 따른 발전 또는 냉각 성능 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유연 열전 시스템{FLEXIBLE THERMOELECTRIC SYSTEM}
본 발명은 유연 열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단과 하단 사이의 온도 차이를 유지시켜 발전 또는 냉각과 같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연 열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열전소자는 양단의 온도차에 의해 전류가 흐르는 성질을 가지는 소자로써, 웨어러블(Wearable) 형태의 발전장치에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열전소자가 웨어러블 발전장치로 적용됨에 있어서, 열원이 인체의 온도가 되고 히트싱크(Heat sink)는 외부 환경이 된다.
한편, 인체는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일정한 체온 조절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체온 조절 기능의 일 예로써, 혈류량 조절, 땀 발산과 같은 인체 작용을 통해 피부의 온도를 일정 온도로 적절히 조절한다. 이러한 땀 발산과 같은 인체의 온도 조절은 인체의 피부 온도를 낮춤에 따라, 인체의 피부와 접촉된 열전소자 하단의 온도도 낮아진다. 이러한 열전소자의 온도 변화는 열전소자의 발전 성능에 영향을 미침에 따라, 근래에는 열전소자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출원번호 제2010-0050599호 국내출원번호 제2014-001951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유연하게 마련되어 피부에 부착 가능함과 아울러 열전유닛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온도 차이를 극대화시켜 유지함에 따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연 열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유연 열전 시스템은, 인체에 착용 가능한 열전유닛, 상기 열전유닛과 상기 인체의 피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열전유닛의 일면에 마련되어, 흡습 및 발열성 재질로 형성되는 발열유닛 및, 상기 열전유닛을 사이에 두고 상기 발열유닛과 마주하도록 상기 열전유닛의 타면에 마련되어 열을 방열시키는 방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발열유닛 및 방열유닛은 유연하게 마련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열전유닛은 상기 발열유닛 및 방열유닛의 사이에 상호 나란하게 이격되도록 복수개 설치되어, 상기 발열유닛 및 방열유닛이 유연하게 휘어짐을 간섭하지 않는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발열유닛은 울(Wool) 섬유 또는 아크릴 섬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방열유닛은 밀도와 열용량이 높은 재질로 형성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방열유닛은 쿨젤(Cool gel) 매트를 포함하는 열저장방출(PCM, Phase Change Material) 소재로 형성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방열유닛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탑-다운(Top-Down) 방식으로 공기를 유동시켜 상기 방열유닛을 냉각시키는 냉각팬이 마련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발열 및 방열유닛에 의한 상기 열전유닛의 일면과 타면 사이의 온도차에 의해 전력을 발생시키거나 상기 열전유닛을 냉각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유연 열전 시스템은, 피부에 밀착되어 착용 가능하도록 상호 이격되어 복수개 마련되는 열전유닛, 상기 피부에 밀착되는 상기 복수의 열전유닛의 일면에 마련되어 땀 흡수에 따른 흡착열을 발생시키도록 유연하게 마련되는 발열유닛 및, 상기 복수의 열전유닛의 일면과 대향하는 타면에 마련되어 열을 방열시키도록 유연하게 마련되는 방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방열유닛은 냉각수단에 의해 방열 온도가 유지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발열유닛은 흡습 및 발열성 재질이면서 울(Wool) 섬유 또는 아크릴 섬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방열유닛은 밀도와 열용량이 높은 재질로 형성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방열유닛은 쿨젤(Cool gel) 매트를 포함하는 열저장방출(PCM, Phase Change Material) 소재로 형성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냉각수단은 상기 방열유닛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탑-다운(Top-Down) 방식으로 공기를 유동시켜 상기 방열유닛을 냉각시키는 냉각팬을 포함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발열 및 방열유닛에 의한 상기 열전유닛의 일면과 타면 사이의 온도차에 의해 전력을 발생시키거나 상기 열전유닛을 냉각시킨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열전유닛의 일면과 타면에 발열 및 방열을 위한 발열유닛 및 방열유닛이 마련됨으로써, 열전유닛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온도차에 따른 발전성 또는 냉각성과 같은 성능 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둘째, 피부에 부착되는 열전유닛의 하단에 울소재를 포함하는 발열유닛이 마련됨으로써, 발생된 땀의 흡습발열로 인한 열전유닛 하단의 온도 상승과 함께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셋째, 방열유닛의 냉각성 유지를 위한 냉각수단이 방열유닛과 마주하도록 마련됨으로써, 방열유닛 온도 유지와 함께 효과적인 냉각으로 인한 열전유닛 상하단 사이의 온도차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넷째, 열전유닛의 상하단의 온도차를 극대화시킴과 아울러 온도차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음으로 인해, 착용자의 신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다섯째, 발열 및 방열유닛이 유연하게 마련됨으로써, 피부에 밀착되는 유연 열전 시스템의 착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유연 열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연 열전 시스템이 피부에 유연하게 부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발열유닛이 마련된 열전유닛의 온도 분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그래프, 그리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발열유닛과 열전유닛의 두께에 따른 온도 변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유연 열전 시스템(1)은 열전유닛(10), 발열유닛(20) 및 방열유닛(30)을 포함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유연 열전 시스템(1)은 인체에 착용 가능하도록 웨어러블(Wearable)하게 마련되는 스마트 워치(Smart Watch), 미밴드와 같은 스마트 밴드(Smart band) 등을 포함하는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의 전력 공급을 위해 적용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한 유연 열전 시스템(1)은 자동차 온도조절 시트, 반도체(순환기, 냉각판), 바이오(혈액분석기, PCR, 시료온도싸이클 테스터기), 이학분야(스펙트로포토미터), 광학분야(CCD 쿨링, 적외선센서 냉각, 레이저다이오드 냉각, 포토다이오드 냉각, SHG 레이저 냉각), 컴퓨터(CPU 냉각), 가전제품(김치냉장고, 소형냉장고, 냉온수기, 와인냉장고, 쌀통, 제습기 등), 발전(폐열발전기, 리모트 파워발전) 등과 같은 열전소자가 적용되는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 가능하다.
상기 열전유닛(10)은 인체에 착용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체의 피부(S)에 밀착 가능하도록 유연하게 마련된다. 이러한 열전유닛(10)은 전극(11)과 P형 열전소재(12) 및 N형 열전소재(13)를 포함하여, 제백 및 펠티에 효과에 의한 흡열 또는 발열을 이용하는 열전소자이다.
상기와 같은 열전유닛(10)은 도 2의 도시와 같이, 피부(S)에 유연하게 밀착 가능하도록 상호 나란하게 이격되도록 복수개 마련된다. 이러한 열전유닛(10)은 90도 회전된 "ㄷ"자 형상을 가진다. 이대, 도 1에서 가로로 연장된 부분은 상기 열전유닛(10)의 전극(11)이며 세로로 연장된 2개 중 하나는 P형 열전소재(12)이고 다른 하나는 N형 열전소재(13)이다.
참고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열전유닛(10)의 개수 및 상호 이격된 간격은 도시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발열유닛(20)은 복수의 열전유닛(10)과 피부(S) 사이에 위치하도록 열전유닛(10)의 일면에 마련되어, 흡습 및 발열 특성을 가지며 유연한 재질로 형성된다. 그로 인해, 상기 발열유닛(20)은 피부(S)로부터 발생된 땀의 흡수에 따른 흡착열을 발생시켜, 피부(S)에 밀착되는 열전유닛(10) 하단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이때, 상기 발열유닛(20)은 도 2와 같이 유연하게 휘어짐 가능하도록 복수의 열전유닛(10)을 동시에 지지함으로써, 피부(S)에 대한 밀착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발열유닛(20)은 땀을 흡수하여 흡착열을 발생시킴과 아울러, 땀 증발에 따른 기화열 손실을 차단한다. 이러한 발열유닛(20)은 흡착열의 일부를 이용해 흡수된 땀을 증발시킨다. 그로 인해, 상기 발열유닛(20)은 유연 열전 시스템(1)이 적용된 웨어러블 기기를 착용한 착용자의 쾌적함을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공기의 열전도도는 0.03W/m²k이며 발열유닛(20)의 열전도도는 0.04W/m²k로 공기보다 높지만 타 물질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당히 낮은 수치임에 따라, 단열성이 우수하다. 그로 인해, 상기 피부(S)로부터 땀이 발생되지 않을 경우, 상기 열전유닛(10) 하단에 마련된 발열유닛(20)으로 인해 열전유닛(10)의 열저항이 증가된다. 이때, 상기 열전유닛(10)의 '1-D(두께)' 방향으로의 열 전달량 감소에 따른 상하단 사이의 온도차 감소보다 땀에 의한 기화열 손실을 발열유닛(20)이 차단함에 따른 열전유닛(10)의 온도차 증가의 효과가 우수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발열유닛(20)은 흡습 및 발열 특성을 가지는 소재이면서도 열전도율이 낮은 유연한 재질인 울(Wool) 섬유를 포함하여, 열전유닛(10)의 하단인 일면에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한다. 그러나, 꼭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발열유닛(20)이 땀을 흡수하여 흡착열을 발생시키는 아크릴, 합성 폴리머 등과 같은 흡습 및 발열성을 가지는 합성섬유로 형성되는 변형예도 가능하다. 즉, 상기 발열유닛(20)은 피부(S)로부터 발생된 땀을 흡수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다양한 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한 재질로 형성된다.
이상과 같은 발열유닛(20)의 저항이 유연 열전 시스템(1)의 두께에 주는 영향이 하기 표 1에 정리된다.
Figure pat00001
또한, 도 3의 도시에서는 상기 발열유닛(20)이 마련된 열전유닛(10)의 두께에 따른 표면 온도의 변화가 그래프로 도시된다. 도 3의 도시와 같이, 상기 발열유닛(20)이 마련된 열전유닛(10) 하단의 온도에 비해 열전유닛(10) 상단의 온도가 상승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4의 그래프를 참고하면, 상기 발열유닛(20)의 두께가 0.3mm이고 열전유닛(10)의 두께가 5mm인 경우의 온도 변화가 도시된다. 도 4의 그래프와 같이, 상기 발열유닛(20)에서 열전유닛(10)를 향해 두께가 증가할수록 온도가 감소됨으로써, 열전유닛(10)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온도차가 발생됨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방열유닛(30)은 열전유닛(10)을 사이에 두고 발열유닛(20)과 마주하도록 복수의 열전유닛(10)의 타면에 마련되어 열을 방열시킨다. 이러한 방열유닛(30)은 피부(S)에 밀착되는 복수의 열전유닛(10)의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 즉, 상단에 유연하게 마련됨으로써, 열전유닛(10)을 유연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온도를 하강시킨다.
상기 방열유닛(30)은 열전유닛(10)을 방열시키는 히트싱크(Heat sink)로써, 밀도와 열용량이 높은 재질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방열유닛(30)이 쿨젤(Cool gel) 매트와 같은 열저장방출(PCM, Phase Change Material) 소재를 포함하여 열전유닛(10)의 접합 온도를 낮추는 것으로 예시한다.
참고로, 상기 쿨젤 매트로 채용되는 PCM 소재는 열용량(Specific heat)이 2200J/Kg-K, 밀도(Density)가 1850 kg/m3 그리고, 열확산계수(Thermal diffusivity)(α)가 2.7915*10-7m2/s를 가진다.
또한, 상기 방열유닛(30)의 성능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방열유닛(30)과 마주하여 탑-다운(Top-Down) 방식으로 공기를 유동시켜 방열유닛(30)을 냉각시키는 냉각팬(31)이 마련된다. 상기 냉각팬(31)은 기존의 열전소자의 상하단 온도차에 의한 다운-탑 유동방식을 강제로 탑-다운 방식의 유동으로 전환시켜 방열유닛(30)의 온도를 지속적이면서도 효과적으로 열을 방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유연 열전 시스템(1)의 동작을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기 열전유닛(10)은 피부(S)에 밀착 가능하도록 복수개 마련되되, 열전유닛(10)의 하단에는 울소재로 형성되는 유연한 발열유닛(20)이 마련되고 상단에는 쿨젤 매트를 포함하는 유연한 방열유닛(30)이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발열유닛(20)은 밀착된 피부(S)로부터 발생된 땀을 흡수하여 발열함으로써, 열전유닛(10) 하단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아울러, 상기 방열유닛(30)은 히트싱크로써 열전유닛(10) 상단의 온도를 낮추며, 이러한 방열유닛(30)의 성능은 탑-다운 방식으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냉각팬(31)에 의해 지속적이면서도 효과적인 냉각이 유지된다.
이상과 같이 유연 열전 시스템(1)의 상하단의 온도를 착용자의 땀 발산과 같은 상태 변화에 상관 없이 일정 이상의 온도차를 유지시킬 수 있어, 발전되는 열전유닛(10)의 발전성 유지에 기여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연 열전 시스템(1)이 열전유닛(10)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온도차를 극대화시켜 전력 공급을 위한 발전성을 가지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발전성과 함께 냉각성도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전유닛(10)에 전류를 공급함과 동시에 발열유닛(20)과 방열유닛(30)에 의한 일면과 타면 사이의 온도차를 인위적으로 형성시킴으로써, 유연 열전 시스템(1)의 열전유닛(10)은 냉각성을 가진다. 즉, 전류 인가에 따라 일측은 열을 흡수하고 타측은 열을 방출함에 따른 열전유닛(10)의 냉각성이 상하단과 사이의 온도차 극대화에 의해 향상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유연 열전 시스템
10: 열전유닛
20: 발열유닛
30: 방열유닛
31: 냉각팬

Claims (13)

  1. 인체에 착용 가능한 열전유닛;
    상기 열전유닛과 상기 인체의 피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열전유닛의 일면에 마련되어, 흡습 및 발열성 재질로 형성되는 발열유닛; 및
    상기 열전유닛을 사이에 두고 상기 발열유닛과 마주하도록 상기 열전유닛의 타면에 마련되어 열을 방열시키는 방열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발열유닛 및 방열유닛은 유연하게 마련되는 유연 열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유닛은 상기 발열유닛 및 방열유닛의 사이에 상호 나란하게 이격되도록 복수개 설치되어, 상기 발열유닛 및 방열유닛이 유연하게 휘어짐을 간섭하지 않는 유연 열전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유닛은 울(Wool) 섬유 또는 아크릴 섬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유연 열전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유닛은 밀도와 열용량이 높은 재질로 형성되는 유연 열전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유닛은 쿨젤(Cool gel) 매트를 포함하는 열저장방출(PCM, Phase Change Material) 소재로 형성되는 유연 열전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유닛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탑-다운(Top-Down) 방식으로 공기를 유동시켜 상기 방열유닛을 냉각시키는 냉각팬이 마련되는 유연 열전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 및 방열유닛에 의한 상기 열전유닛의 일면과 타면 사이의 온도차에 의해 전력을 발생시키거나 상기 열전유닛을 냉각시키는 유연 열전장치.
  8. 피부에 밀착되어 착용 가능하도록 상호 이격되어 복수개 마련되는 열전유닛;
    상기 피부에 밀착되는 상기 복수의 열전유닛 일면에 마련되어 땀 흡수에 따른 흡착열을 발생시키도록 유연하게 마련되는 발열유닛; 및
    상기 복수의 열전유닛 일면과 대향하는 타면에 마련되어 열을 방열시키도록 유연하게 마련되는 방열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방열유닛은 냉각수단에 의해 방열 온도가 유지되는 유연 열전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유닛은 흡습 및 발열성 재질이면서 울(Wool) 섬유 또는 아크릴 섬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유연 열전 시스템.
  10. 제8에 있어서,
    상기 방열유닛은 밀도와 열용량이 높은 재질로 형성되는 유연 열전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유닛은 쿨젤(Cool gel) 매트를 포함하는 열저장방출(PCM, Phase Change Material) 소재로 형성되는 유연 열전 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단은 상기 방열유닛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탑-다운(Top-Down) 방식으로 공기를 유동시켜 상기 방열유닛을 냉각시키는 냉각팬을 포함하는 유연 열전 시스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 및 방열유닛에 의한 상기 열전유닛의 일면과 타면 사이의 온도차에 의해 전력을 발생시키거나 상기 열전유닛을 냉각시키는 유연 열전장치.
KR1020160071829A 2016-06-09 2016-06-09 유연 열전 시스템 KR101813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1829A KR101813795B1 (ko) 2016-06-09 2016-06-09 유연 열전 시스템
US15/617,223 US10615326B2 (en) 2016-06-09 2017-06-08 Flexible thermoelectric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1829A KR101813795B1 (ko) 2016-06-09 2016-06-09 유연 열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9366A true KR20170139366A (ko) 2017-12-19
KR101813795B1 KR101813795B1 (ko) 2017-12-29

Family

ID=60573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1829A KR101813795B1 (ko) 2016-06-09 2016-06-09 유연 열전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615326B2 (ko)
KR (1) KR10181379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5158A (ko) 2019-08-01 2021-02-1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흡습성 고분자를 이용한 방열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전 모듈
KR102300381B1 (ko) * 2020-03-17 2021-09-09 주식회사 테스비 자전거용 열전발전 시스템
CN114601210A (zh) * 2022-03-16 2022-06-10 苏州大学 柔性可穿戴热电制冷器件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0317A (en) * 1988-05-20 1990-06-05 Temperature Research Corporation Apparatus for localized heat and cold therapy
IT1232239B (it) * 1989-09-08 1992-01-28 Enea Apparecchio miniaturizzato di condizionamento e climatizzazione
WO1997013481A1 (en) * 1995-10-11 1997-04-17 Kool Limited Personal heat control
JP3544827B2 (ja) * 1996-10-16 2004-07-21 セイコー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熱電式腕時計
US6125636A (en) * 1999-01-14 2000-10-03 Sharper Image Corporation Thermo-voltaic personal cooling/heating device
US6257011B1 (en) * 1999-09-16 2001-07-10 U T Battelle Llc Personal cooling apparatus and method
US6297441B1 (en) * 2000-03-24 2001-10-02 Chris Macris Thermoelectr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6438964B1 (en) * 2001-09-10 2002-08-27 Percy Giblin Thermoelectric heat pump appliance with carbon foam heat sink
KR100446980B1 (ko) 2001-09-26 2004-09-01 백태일 열전소자를 구비한 모자
US6681590B1 (en) * 2003-04-03 2004-01-27 Barbara A. Jones Head cooling compress with removable, self closing fabric cover
US20050193742A1 (en) * 2004-02-10 2005-09-08 Its Kool, Llc Personal heat control devicee and method
US7296304B2 (en) * 2004-11-15 2007-11-20 R & G Machine Tool Crash helmet with thermoelectric cooling
JP4330541B2 (ja) * 2005-01-31 2009-09-16 ヤマハ株式会社 体温利用発電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人工内耳システム
US7854754B2 (en) * 2006-02-22 2010-12-21 Zeltiq Aesthetics, Inc. Cooling device for removing heat from subcutaneous lipid-rich cells
US20080043809A1 (en) * 2006-08-18 2008-02-21 Herbert Curtis B Thermometer
US20080314429A1 (en) * 2007-02-09 2008-12-25 Stichting Imec Nederland Method for Thermal Matching of a Thermoelectric Generator with a Heat Source Having High Thermal Resistance and Thermoelectric Generator thus Obtained
EP2099079A1 (en) * 2008-03-05 2009-09-09 Stichting IMEC Nederland Hybrid energy scavenger comprising thermopile unit and photovoltaic cells
KR101134077B1 (ko) 2010-05-28 2012-04-13 (주)애니캐스팅 열전소자를 적용한 고효율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이용한 전력 발전시스템
WO2012037031A1 (en) * 2010-09-13 2012-03-22 Tempronics, Inc. Distributed thermoelectric string and insulating panel and applications for local heating, local cooling, and power generation from heat
US9314582B2 (en) * 2010-11-23 2016-04-19 Carefusion 2200, Inc. Humidification system
US9596944B2 (en) * 2011-07-06 2017-03-21 Tempronics, Inc. Integration of distributed thermoelectric heating and cooling
US9705449B2 (en) * 2011-09-28 2017-07-1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Effective and scalable solar energy collection and storage
US8658943B1 (en) * 2013-01-15 2014-02-25 3Eye, LLC Personal thermal regulating device
US10182937B2 (en) * 2013-10-11 2019-01-22 Embr Labs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manipulating temperature
KR101584683B1 (ko) 2014-02-20 2016-01-13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가발전이 가능한 착용형 열전모듈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생체전극 센서
KR20160047843A (ko) 2014-10-23 2016-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열전발전장치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KR101767165B1 (ko) 2015-10-26 2017-08-14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웨어러블 열전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5158A (ko) 2019-08-01 2021-02-1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흡습성 고분자를 이용한 방열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전 모듈
KR102300381B1 (ko) * 2020-03-17 2021-09-09 주식회사 테스비 자전거용 열전발전 시스템
CN114601210A (zh) * 2022-03-16 2022-06-10 苏州大学 柔性可穿戴热电制冷器件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358726A1 (en) 2017-12-14
US10615326B2 (en) 2020-04-07
KR101813795B1 (ko) 2017-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3795B1 (ko) 유연 열전 시스템
US10652993B2 (en) Thermoelectric device cooling system
US3132688A (en) Electronic cold and/or hot compress device
KR100992766B1 (ko) 열전반도체를 이용한 머리찜질팩
US20100107657A1 (en) Apparel with heating and cooling capabilities
WO2004070852A3 (en) Peltier cooler integrated with electronic device(s)
US20210175402A1 (en) Thermoelectric Device with Flexible Heatsink
CN113856052A (zh) 主动吸热型电极、肿瘤电场治疗系统及温度控制方法
JP2016140743A (ja) ペルチェ式電気枕
KR101990984B1 (ko) 냉각 제어 모듈, 이를 포함하는 손목 냉각 밴드 및 웨어러블 냉각 장치
KR101190056B1 (ko) 열전소자로 흡열과 발열을 하는 버프 장치
JP2011000342A (ja) 頭部冷暖装置
KR20190018481A (ko) 냉온 찜질팩
KR102202348B1 (ko) 목 냉각 밴드
CN209747557U (zh) 半导体器件和调温设备
CN108282984A (zh) 一种导热垫片及空调器
US20090071169A1 (en) Micro-heatpipe based cold and hot pad
JP4339071B2 (ja) 人体用放熱シート
KR100240938B1 (ko) 열전냉각모듈을 이용한 냉각장치
US20240011679A1 (en) Wearable thermal management device
KR100912195B1 (ko) 환경 친화적 직접 냉온장치
CN216493583U (zh) 一种新型半导体热电材料空调衣
KR20190105323A (ko) 쿨링 넥 밴드
CN218544881U (zh) 半导体制冷装置、设备及降温服
CN220763745U (zh) 一种自冷却智能纤维材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