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7539B1 - 열전소자응용 pcm 전자목도리 - Google Patents

열전소자응용 pcm 전자목도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7539B1
KR102487539B1 KR1020200083559A KR20200083559A KR102487539B1 KR 102487539 B1 KR102487539 B1 KR 102487539B1 KR 1020200083559 A KR1020200083559 A KR 1020200083559A KR 20200083559 A KR20200083559 A KR 20200083559A KR 102487539 B1 KR102487539 B1 KR 102487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unit
thermoelectric element
blower
batter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3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5868A (ko
Inventor
공진문
Original Assignee
공진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진문 filed Critical 공진문
Priority to KR1020200083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7539B1/ko
Publication of KR20220005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5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7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7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Scarves; Head-scarves; Neckerchief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28D15/02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02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latent hea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Scarves; Head-scarves; Neckerchiefs
    • A41D2023/002Scarves; Head-scarves; Neckerchiefs with cooling effe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외부 전원에 충전되고, 열전모듈(210)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지부(100);상기 전지부(100)에서 발생된 전기를 이용하여 열전모듈(210)에 의해 생성되는 냉기 또는 온기가 히트파이프(220)을 통해 피부접촉장치(240)의 상변화물질(a)에 전달되어 열교환되는 작동부(200);로 구성된 열전소자응용 PCM 전자목도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열전소자응용 PCM 전자목도리{Thermoelectric Element Application PCM Electronic Scarf}
본 발명은 열전소자응용 PCM 전자목도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PCM물질과 열전소자모듈의 상호보완작용으로 목 주위의 피부 접촉시 냉감을 유지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열전소자응용 PCM 전자목도리에 관한 것이다.
야외활동 시 목 부분이나 안면을 보온 및 보호하기 위하여 개량된 스카프 형태의 버프(Buff)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버프는 겨울철 목 주변을 따뜻하게 하는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고, 여름철에 야외 활동 시 목 부분이나 얼굴을 가려 자외선에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생활용품이다.
버프는 목토시 또는 머프(muff)라고도 불리며,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의 형상을 하고 있다. 버프는 원통형의 옷감을 목이나 안면까지 뒤집어 쓰는 방식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스카프나 목도리 보다 착용이 간편하고, 얼굴이나 목에 밀착된 형태로 착용하므로 활동이 자유롭다.
그러나 종래의 일반적인 버프는 단순 보온 내지 햇빛을 차단하는 정도의 기능, 즉 스카프로서의 일반적인 기능에 국한되어 있다. 때문에 무더운 여름철이나 추운 겨울철에는 체온 유지를 위해 버프 외에 별도의 보조 도구, 예를 들어 휴대용 선풍기나 핫팩 등을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열전소자(Thermoelement, 熱電素子)는 열과 전기의 상호작용으로 나타나는 효과(Peltier effect)를 이용한 것으로 그 쓰임새가 무궁무진하다. 때문에 자동차, 선박, 일반 기계, 가전, 생활 용품 등 산업 전반에 걸쳐 다양한 용도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열전소자와 함께 사용시 에너지 절약, 효율 향상, 온도 유지성에서 효과적인 상변화물질(Phase Change Material, PCM)을 응용할 필요가 있다.
상변화물질은 상이 변할 때 온도변화 없이 출입하는 열인 잠열의 형태로 열을 저장 및 방출하며, 이는 현열에 비해 훨씬 더 많은 에너지를 축적 할 수 있다. 단순히 열전달을 차단하는 것이 아니라, 열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저장 및 활용한다는 점에서 건축물에 적용 시 단열은 물론 냉난방 에너지이용 효율을 증가시켜 일반적으로 건축물 에너지 사용량 저감을 위해 사용하고 있다.
상변화물질은 온도변화를 수반하지 않고 열을 저장 및 활용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건축물 외에도 전자 장비 및 기기의 발열 방지용 냉각 분야, 쾌적성유지를 위한 직물, 섬유, 의류 분야 등과 같은 다양한 범위에 걸쳐 연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열전소자와 상변화물질로부터 기대할 수 있는 효과, 즉 열과 전기의 상호 작용에 의한 발열, 흡열을 상변화물질의 열저장기능과 함께 적용시키는 것을 착안하여, 무더운 여름철이나 추운 겨울철 체온 유지를 위해 버프 외에 별도의 보조 도구를 휴대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고자 본 발명을 안출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신체 특정 부위에 걸치거나 부착 사용이 가능하고, 전류의 흐름에 따라 흡열 또는 발열기능의 열전소자와 열을 저장할 수 있는 상변화물질을 응용하여, 신체 특정 부위를 따뜻하게 하거나 시원하게 해주는 워밍 앤 쿨링 기능을 갖는 열전소자응용 PCM 전자목도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부 전원에 충전되고, 열전모듈(210)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지부(100);상기 전지부(100)에서 발생된 전기를 이용하여 열전모듈(210)에 의해 생성되는 냉기 또는 온기가 히트파이프(220)을 통해 피부접촉장치(240)의 상변화물질(a)에 전달되어 열교환되는 작동부(200);로 구성된 열전소자응용 PCM 전자목도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지부(100)는 양쪽에 각도가 조절되는 연결부(300)에 의해 한쌍의 작동부(200)가 연결되거나,상기 전지부(100)와 작동부(200)가 결합된 작동모듈(400) 2개가 중간에 작동부(200)와 연결부(300)에 의해 연결된 것에 특징이 있는 열전소자응용 PCM 전자목도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피부접촉장치(240)는 1개 또는 복수개로 작동부(200)의 동일한 일면에 돌출된 형태로 위치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열전소자응용 PCM 전자목도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작동부의 일면에 송풍기(250)가 추가구성되며, 상기 전지부에 의해 공급된 전기로 송풍기(250)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송풍관(251)을 따라 이동하되,
상기 송풍관(251)은 상기 열전모듈(210)과 연결되어 상기 열전모듈(210)에 의한 열교환 후 피부접촉장치(240) 사이 노즐(253)을 통해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열전소자응용 PCM 전자목도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송풍관(251)은 히트파이프(220)과 같은 방향으로 접촉한 상태로 위치하여 상호간 열교환이 발생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열전소자응용 PCM 전자목도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인 열전소자응용 PCM 전자목도리는 신체 특정 부위에 걸쳐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휴대가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류의 흐름에 따라 열전소자가 흡열 또는 발열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기 때문에 여름철과 겨울철에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여름철과 겨울철 각각에 대비하여 보조도구를 준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온도변화 없이 출입하는 열인 잠열의 형태로 열을 저장 및 방출하는 점을 이용하여 특정온도를 유지시키는 상변화물질을 사용함으로써 에너지 사용량 절감 및 피부에 쾌적함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열전모듈만 단독으로 사용시에는 냉기판과 방열판의 국소적 면적에 발생하는 온도만을 이용할 수 있는 불합리한 면을 개선하여, 열전모듈에 순간적 열전도 또는 열이동이 가능한 히트파이프와 잠열 기능이 탁월한 상변화물질을 동시에 이용 적용하고자 하는 최대한의 면적에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도 1a,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전소자응용 PCM 전자목도리에 도면이다.
도 2a, 2b는 본 발명의 작동부의 원리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송풍기 및 노즐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송풍관과 히트파이프의 배치도에 대한 일예이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a,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전소자응용 PCM 전자목도리(1)에 대한 도면이다. 본 발명인 열전소자응용 PCM 전자목도리(1)는 목부분에 걸쳐 사용하는 것으로 피부에 직접 접촉되는 부분에 냉기 또는 온기를 전달할 수 있도록 열전모듈(210) 및 상변화물질을 이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예 중 도 1a는 전지부(100), 작동부(200), 연결부(300)로 구성된 것을 보여주며, 목에 걸칠 수 있게 완만한 곡면형상으로 전지부(100)는 중앙에 위치하고 양쪽에 작동부(200) 한 쌍이 연결부(300)에 의해 연결된 구조이다.
본 발명의 다른 예로 중 도 1b는 전지부(100)와 작동부(200)가 결합된 작동모듈(400) 2개가 중간에 작동부(200)와 연결부(300)에 의해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1b는 전지부(100)가 작동부(200)와 동일한 공간에 위치한 작동모듈(400)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보다 자세하게 본 발명은 외부 전원에 충전되고, 열전모듈(210)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지부(100); 상기 전지부(100)에서 발생된 전기를 이용하여 열전모듈(210)에 의해 생성되는 냉기 또는 온기가 히트파이프(220)을 통해 피부접촉장치(240)의 상변화물질(a)에 전달되어 열교환되는 작동부(200);인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전지부(100)는 외부 전원에 의해 충전되는 배터리기능을 하게 되며 그 종류에 제한을 두고 있지 않다. 다만 목에 걸치는 위치 때문에 무게가 비교적 가볍고, 사용시 열이 많이 발생되지 않은 것이 선호되며, 또한 단열기능 및 피부 감촉성이 좋은 코르크 재질의 내부 케이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300)는 상기 전지부(100)와 작동부(200)를 연결시키며, 전기부의 전원을 작동부(200)에 공급시키는 전선의 통로 기능 및 사용자의 체형이나 신체 조건에 맞춰 밴드를 원하는 형태로 구부리거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사용 편의를 증대시킨 구조로서, 플렉시블(Flexible)한 소재로 구성하여 원하는 모양으로 구부러질 수 있게 할 수 있다.
도 2a, 2b는 본 발명의 작동부(200)의 원리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상기 작동부(200)의 열전모듈(210)은 열전소자(미표시), 냉기판(213) 및 방열판(211)으로 구성되며, 외부와 열교환이 용이하도록 통기성이 좋은 망상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전소자는 핵심소자로 N, P type 열전반도체(Thermoelectric semiconductor)를 전기적으로는 직렬로 열적으로는 병렬이 되도록 연결한 것이고 전원 공급시 열전효과가 발생되며, 열전소자의 양면에 온도차가 발생하여 열을 흡수하는 냉기판(213)과 열을 방출할 수 있는 방열판(211)이 추가적으로 부착된 구조이다.
상기 열전모듈(210)로부터 발생되는 냉기 또는 온기는 연결된 히트파이프(220)을 통해 피부접촉장치(240)로 보내져서 상기 피부접촉장치(240)의 내부의 상변화물질(a)과 열교환된다. 히트파이프(220)의 내부의 열전달 매체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추가로 가압장치(215)를 구성할 수 있다.
히트파이프(220)는 일반적으로 열을 효율적으로 전도하는 파이프로써 알루미늄, 강철, 구리 파이프 등의 안쪽에 유리 섬유나 망상의 동선 따위 심재를 붙이고, 프레온,암모니아 따위의 열매체를 채운 다음, 공기를 뺀 파이프로 알려져 있고 많이 사용되고 있다. 열전도율이 구리의 1,000~1,500배로 높아서 배열 회수 장치로 주목된다. 주로 열배출 기능을 하나, 냉기를 전달할 수 도 있다.
본 발명의 히트파이프(220)는 금속성 소재 중 구리재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히트파이프 주위는 단열재 소재와 케이스로 외부로 열손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일반적인 단열재 소재는 유기질과 무기질로 크게 나뉘는데, 유기질에는 코르크 면(綿), 펠트, 탄화코르크, 거품고무 등이 있으며, 무기질에는 석면(石綿) 유리솜 석영솜 규조토(硅藻土), 탄산마그네슘, 분말 마그네시아, 분말 규산칼슘, 펄라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바람직하게는 비용면을 고려해서 기포가 들어간 필름인 에어캡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어캡은 형상은 2겹 이상의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필름을 포개어 그 사이에 공기의 거품을 가둔 것이다. 외부충격으로부터 완충작용뿐만 아니라 단열효과도가 있다.
도 2a, 2b의 특징은 열전소자로부터 발생된 냉기 또는 온기를 피부접촉장치내부의 상변화물질(a)과 열교환방법에 따른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도 2a는 피부접촉장치(240) 내부에 상변화물질(a)이 내부케이스(243) 안에 위치하고, 상기 피부접촉장치(240)와 내부케이스(243) 사이에는 히트파이프(230)가 지나간다. 즉, 히트파이프(230)와 상변화물질(a)와 열교환을 증가시키기 위해 접촉면적을 최대로 하며, 피부접촉장치(240)의 접촉면(241)을 제외하고 측면 및 상부면에 모두 히트파이프(230)가 지나가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2b는 도 2a의 히트파이프(230) 성형이 다소 복잡한 단점을 보완하고, 상변화물질(a)과의 접촉면을 늘리기 위한 것으로, 히트파이프(230)는 직선이며, 단면은 일 예인 원형이외에 사각 및 다각형도 가능하다.
내부케이스(243)의 상부면이 상기 히트파이프(230)의 대부분이 포함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다만 성형의 어려움이 있어 상기 내부케이스(243)를 관통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이를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히트파이프(220)와 연결된 상기 피부접촉장치(240)는 1개 또는 복수개로 작동부(200)의 동일한 일면에 돌출된 형태로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피부접촉장치(240)는 목 주위의 피부에 직접 접촉할 수 있는 작동부(200)의 일면에 위치하며 접촉면(241)이 넓은 1개로도 구성될 수 있으나, 2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자목도리(1)의 형상에 맞게 일열로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작동부(200) 일면에 돌출된 형상으로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돌출된 피부접촉장치(240)는 내부에 상변화물질이 포함된 내부케이스(243)가 있고, 상기 접촉장치(240)의 돌출면인 접촉면(241)의 안쪽과 결합되어 있다.
상기 상변화물질은 히트파이프(220)를 통해 열전모듈(210)에서 발생된 냉기 또는 온기를 잠열하여 내부케이스(243)와 접촉면(241)을 통해서 피부에 전달되어야 한다.
상기 내부케이스(243)는 충진되는 상변화물질의 종류에 따라 열전도가 우수한 금속판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유연성과 밀폐성을 고려할 때 PP성형필름,PU필름,PVC필름 또는 PE나이론 합지 진공포장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부케이스(243)의 일면과 접촉면(241)이 별개의 구조로 접착된 구조도 가능하며, 아니면 접촉면(241)이 내부케이스(243)의 일면과 공통된 구조도 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케이스(243)와 접촉면(241)이 동일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별개의 재질로 결합된 구조도 가능하다.
상기 금속판은 상변화물질과 열 흐름이 원활할 수 있도록 열전도율이 우수한 은, 구리, 알루미늄, 금, 철, 주철, 탄소강, 청동, 칠삼황동, 납,백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금속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금속의 열전도율(W/m.℃X102)은 은(Ag) 4.12, 구리(Cu) 3.17, 알루미늄(Al) 1.95, 크롬(Cr) 0.96, 니켈(Ni) 0.84, 철(Fe) 0.79 정도 된다. 일반적으로 비용과 전도성을 고려할 때 구리와 알루미늄을 주원료로 다른 금속을 합금으로 사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또한 금속판과 내부케이스(243)는 시공의 편리성을 위해 플렉서블한 성질을 갖기 위해서 1.0mm 이하의 두께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mm~0.5mm가 타당하다.
상기 상변화물질은 열교환이 용이한 수지(예, PP성형필름,PU필름,PVC필름 또는 PE나이론 합지 진공포장필름) 또는 금속박막으로 구성된 케이스내부에 고정되어 액체와 고체가 상변화되더라도 형태가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지부(100) 에는 타이머회로가 설치된 PCB기판이 부착되어, 주기적으로 전원 공급과 차단이 이루어져 전력 에너지 절감을 할 수 있다. 전원 공급과 차단시간은 조절하여 셋팅이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반복적으로 30분~60분 전원 공급후, 30분~60분 전원 차단이 적절하다.
작동부(200)의 내부케이스(243)에 수용되는 상변화물질(PCM)의 종류는 제한 없다. 따라서, 유기화합물 계열, 무기화합물 계열 또는 공융화합물 계열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상변화물질 특성은 갖추어야 한다.
즉, 열역학적으로 ① 요구되는 운전 온도 범위에서의 녹는점, ② 높은 단위체적당 융해잠열 (즉, 주어진 양의 에너지 저장 요구체적 감량), ③ 고상 및 액상에서의 높은 열전도도, ④ 축열 시스템에서의 에너지 흡수 및 방출, ⑤ 상변화시 작은 체적변화 및 운전 온도에서의 작은 증기압이 요구된다. 또한, 화학적으로 ① 가역적인 응결 및 융해 싸이클, ② 수차례의 응결 및 융해 싸이클 후의 일정한 품질 유지, ③ 내부 케이스 비부식성 및 ④ 비독성, 비인화성 및 비폭발성 물질이면 제한을 두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송풍기(250) 및 노즐(253)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상기 작동부(200)의 일면에 송풍기(250)가 추가 구성된 것으로, 상기 전지부에 의해 공급된 전기로 송풍기(250)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송풍관(251)을 따라 이동하되, 상기 송풍관(251)은 상기 열전모듈(210)과 연결되어 상기 열전모듈(210)에 의한 열교환 후 피부접촉장치(240) 사이 노즐(253)을 통해 외부로 공기를 배출된다.
상기 노즐(253)은 돌출된 피부접촉장치(240) 사이의 빈 공간으로 공기를 배출시킨다. 노즐(253)의 개수 및 직경은 공기압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며, 배출 공기의 세기 강약 조절이 가능하다.
피부접촉면(241)은 피부와 접촉되어 있기때문에 피부접촉면(241)으로 공기를 배출하기 보다는 돌출장치 사이의 빈 공간을 통해 배출할 경우 공기의 흐름이 발생이 용이하여 피부에 효과적으로 공기를 전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송풍관과 히트파이프의 배치도에 대한 일예이다. 송풍기(250)와 노즐(253)을 연결시키는 송풍관(251)은 열전모듈(210)과 연결된 히트파이프(220)같은 방향으로 접촉한 상태로 위치하여 상호간 열교환이 발생된다.
다만, 노즐은 돌출형상의 피부접촉장치(240) 사이에 양쪽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여 따라서 송풍관이 히트파이프(230)의 양쪽으로 갈라져서 위치될 수 있으며 비대칭적으로 한쪽방향으로만 노즐이 연결되도 상관은 없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 : 전자목도리 100 : 전지부
200 : 작동부 210 : 열전모듈
211 : 방열판 213 : 냉기판
215 : 가압장치 230 : 히트파이프
240 : 피부접촉장치 241 : 접촉면
243 : 내부케이스 250 : 송풍기
251 : 송풍관 253 : 노즐
300 : 연결부 400 : 작동모듈
a : 상변화물질

Claims (5)

  1. 외부 전원에 충전되고, 열전모듈(210)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지부(100);
    상기 전지부(100)에서 발생된 전기를 이용하여 열전모듈(210)에 의해 생성되는 냉기 또는 온기가 히트파이프(220)을 통해 피부접촉장치(240)의 상변화물질(a)에 전달되어 열교환되는 작동부(200)로 구성되되,
    상기 작동부의 일면에 송풍기(250)가 추가구성되며, 상기 전지부에 의해 공급된 전기로 송풍기(250)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송풍관(251)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송풍관(251)은 상기 열전모듈(210)과 연결되어 상기 열전모듈(210)에 의한 열교환 후 피부접촉장치(240) 사이 노즐(253)을 통해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며,
    상기 송풍관(251)은 히트파이프(220)과 같은 방향으로 접촉한 상태로 위치하여 상호간 열교환이 발생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열전소자응용 PCM 전자목도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부(100)는 양쪽에 각도가 조절되는 연결부(300)에 의해 한쌍의 작동부(200)가 연결되거나,
    상기 전지부(100)와 작동부(200)가 결합된 작동모듈(400) 2개가 중간에 작동부(200)와 연결부(300)에 의해 연결된 것에 특징이 있는 열전소자응용 PCM 전자목도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접촉장치(240)는 1개 또는 복수개로 작동부(200)의 동일한 일면에 돌출된 형태로 위치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열전소자응용 PCM 전자목도리.
  4. 삭제
  5. 삭제
KR1020200083559A 2020-07-07 2020-07-07 열전소자응용 pcm 전자목도리 KR102487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559A KR102487539B1 (ko) 2020-07-07 2020-07-07 열전소자응용 pcm 전자목도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559A KR102487539B1 (ko) 2020-07-07 2020-07-07 열전소자응용 pcm 전자목도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868A KR20220005868A (ko) 2022-01-14
KR102487539B1 true KR102487539B1 (ko) 2023-01-11

Family

ID=79342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3559A KR102487539B1 (ko) 2020-07-07 2020-07-07 열전소자응용 pcm 전자목도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753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48198A1 (en) * 2015-09-18 2017-03-23 Advanced Material Engineering Pte. Ltd. Protective vest with active and passive cooling mechanisms
KR102089967B1 (ko) * 2019-01-28 2020-03-17 이상원 휴대용 냉온 절환형 넥밴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48198A1 (en) * 2015-09-18 2017-03-23 Advanced Material Engineering Pte. Ltd. Protective vest with active and passive cooling mechanisms
KR102089967B1 (ko) * 2019-01-28 2020-03-17 이상원 휴대용 냉온 절환형 넥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868A (ko) 2022-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14958A (ko) 가열 및 냉각 능력을 갖는 의류
US6948322B1 (en) Solid state heat pump appliance with carbon foam heat sink
US6004662A (en) Flexible composite material with phase change thermal storage
CN103098249B (zh) 分布式热电串线和绝缘板以及局部加热、局部冷却和由热产生电能的应用
CN201094297Y (zh) 降温衣及具有该降温衣的个体降温系统
KR101540477B1 (ko) 온도조절 기능을 갖는 스마트 의복
KR102487539B1 (ko) 열전소자응용 pcm 전자목도리
CN209933149U (zh) 一种半导体物理调温用理疗带
KR101190056B1 (ko) 열전소자로 흡열과 발열을 하는 버프 장치
WO2021196696A1 (zh) 一种面向快递外卖员应用相变材料的人体热防护服及方法
CN102090737B (zh) 一种防护服冷却系统
CN213713612U (zh) 封装式散热设备
KR20100093230A (ko) 나노 쿨러 목 밴드
CN209747557U (zh) 半导体器件和调温设备
CN112197460A (zh) 封装式散热设备
CN201403516Y (zh) 降温衣及具有该降温衣的个体降温系统
CN107927936A (zh) 一种温度调节服装的电源
CN110393327B (zh) 一种应用相变材料和辐射反射膜的高温作业降温除湿背心
CN213713611U (zh) 分离式散热设备
CN215013771U (zh) 保暖护膝
KR19990035271U (ko) 건전지/충전지를사용한전열소자가내장된의류
TWM491313U (zh) 保暖衣構造
US20230078921A1 (en) Wearable garment
CN219674502U (zh) 一种制冷制热单元、空调器及背包
CN212368356U (zh) 智能恒温衣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