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9297A - 사출성형기 냉각수 공급관 설치용 냉각수 순환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사출성형기 냉각수 공급관 설치용 냉각수 순환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9297A
KR20170139297A KR1020160071627A KR20160071627A KR20170139297A KR 20170139297 A KR20170139297 A KR 20170139297A KR 1020160071627 A KR1020160071627 A KR 1020160071627A KR 20160071627 A KR20160071627 A KR 20160071627A KR 20170139297 A KR20170139297 A KR 201701392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ater
stator
rotor
space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1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3491B1 (ko
Inventor
변원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천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천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천산
Priority to KR1020160071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3491B1/ko
Publication of KR20170139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9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3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3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74Display units or mountings therefor; Switch cabi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2Heating or cooling
    • B29C45/73Heating or cooling of the mould
    • B29C45/7312Construction of heating or cooling fluid flow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045/7606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display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003Measured parameter
    • B29C2945/76056Flow rate
    • B29C2945/7606Flow rate derivative, change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451Measurement means
    • B29C2945/76454Electrical, e.g. thermocoup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출성형기 냉각수 공급관 설치용 냉각수 순환 표시장치는 중심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격벽을 사이에 두고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각각 일방이 개방된 제1, 제2 공간부를 구비하고, 제1 공간부와 연통되도록 유입구 및 유출구가 형성된 몸체; 몸체의 제1 공간부 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임펠러; 몸체의 제2 공간부에 배치되어 회전축이 격벽의 관통공을 관통해서 임펠러의 회전중심에 결합되는 회전자, 회전자와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회전자가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고정자, 고정자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의 외곽에 방사형으로 배열되어 고정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발광소자를 구비하여, 몸체의 제2 공간부 내에 고정 설치되는 발전 및 발광수단; 및 몸체의 양측에 고정되는 제1, 제2 커버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사출성형기 냉각수 공급관 설치용 냉각수 순환 표시장치{Water cooling circulation display for injection machines}
본 발명은 사출성형기 냉각수 공급관 설치용 냉각수 순환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출성형기에 공급되는 냉각수의 흐름에 연동해서 전기를 발생시켜 냉각수 공급관의 냉각수 흐름 상태가 정상인지 여부를 불빛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사출성형기 냉각수 공급관 설치용 냉각수 순환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 제품 등을 성형하는 사출성형기는 제품의 성형과정에서 가해지는 고온의 열을 식히기 위한 냉각장치의 구비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즉, 고온의 용융 수지에 의해 가열된 금형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서 금형에는 냉각수가 통과하기 위한 냉각수 라인이 형성되고, 이 냉각수 라인으로의 냉각수 공급을 위한 냉각수 공급관이 사출성형기 주변으로 배관이 된다.
도 1 은 종래의 사출성형기 주변에 설치된 냉각수 공급관이 설치된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복수로 설치된 각각의 사출성형기(10)에는 냉각수 공급관(20) 및 냉각수 배출관(30)이 연결 설치된다.
한편, 냉각수 공급관(20)의 도중에는 사출성형기(1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냉각수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밸브(40)가 설치되는 한편 냉각수의 압력을 표시하기 위한 압력 게이지(50) 등이 설치된다.
물론, 사출성형기(1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반에는 사출성형기 자체에 마련된 냉각수 라인을 통해서 냉각수의 공급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지, 냉각수의 온도는 적정온도인지 등이 표시되기도 한다.
그런데 사출성형기(10)에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해 설치되는 냉각수 공급관(20)에는 냉각수의 흐름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해 표시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마련되지 않음에 따라서 작업관리자가 냉각수의 공급 및 흐름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서 사출성형기에 마련된 제어반을 주기적으로 관찰해야만 했다.
물론, 사출성형기 자체에 마련된 냉각수 라인을 통해서 냉각수가 정상적으로 흐리지 않는다거나 냉각수의 온도가 일정 수준 이상일 경우에는 작업관리자에게 알람을 통해 경고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 마련된 경우도 적지 않다.
그러나 사출성형기에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해 설치된 냉각수 공급관에 별도의 전원을 공급하지 않은 상태에서 냉각수 공급관으로 냉각수가 정상적으로 공급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는 수단에 대해서는 제공되지 않고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 10-2001-0079477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76558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출성형기에 공급되는 냉각수의 흐름에 연동해서 전기를 발생시켜 냉각수 공급관의 냉각수 흐름 상태가 정상인지 여부를 불빛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사출성형기 냉각수 공급관 설치용 냉각수 순환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출성형기 냉각수 공급관 설치용 냉각수 순환 표시장치는 중심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격벽을 사이에 두고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각각 일방이 개방된 제1, 제2 공간부를 구비하고, 제1 공간부와 연통되도록 유입구 및 유출구가 형성된 몸체; 몸체의 제1 공간부 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임펠러; 몸체의 제2 공간부에 배치되어 회전축이 격벽의 관통공을 관통해서 임펠러의 회전중심에 결합되는 회전자, 회전자와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회전자가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고정자, 고정자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의 외곽에 방사형으로 배열되어 고정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발광소자를 구비하여, 몸체의 제2 공간부 내에 고정 설치되는 발전 및 발광수단; 및 몸체의 양측에 고정되는 제1, 제2 커버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출성형기 냉각수 공급관 설치용 냉각수 순환 표시장치에서 하나 이상의 슬릿을 가지고 상기 발전 및 발광수단의 지지부재와 제2 커버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그의 중심부에 회전자의 회전축이 고정되는 회전원판이 더 구비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출성형기 냉각수 공급관 설치용 냉각수 순환 표시장치에서 제1, 제2 커버부재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출성형기 냉각수 공급관 설치용 냉각수 순환 표시장치에서 몸체에 나사 결합공이 형성되고, 제1, 제2 커버부재에 나사 결합공에 대응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제1, 제2 커버부재가 볼트에 의해 상기 몸체에 고정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출성형기 냉각수 공급관 설치용 냉각수 순환 표시장치에서 몸체의 제1, 제2 공간부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나선부가 형성되고, 제1, 제2 커버부재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나선부에 대응되는 나선부가 형성되어, 제1, 제2 커버부재가 몸체에 나사결합으로 고정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출성형기 냉각수 공급관 설치용 냉각수 순환 표시장치에서 발광소자가 각기 다른 색상으로 점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출성형기 냉각수 공급관 설치용 냉각수 순환 표시장치에서 지지부재가 그의 전부 또는 일부분이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출성형기 냉각수 공급관 설치용 냉각수 순환 표시장치에서 고정자로부터 출력되는 전류값을 검출하고, 이에 대응하는 속도로 발광소자의 점멸 점등을 제어하는 점등 제어수단이 더 구비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출성형기에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수 공급관을 통해 흐르는 냉각수에 의해 임펠러와 회전자 그리고 고정자를 포함하는 공지의 발전기를 구동시켜 LED 등과 같은 발광소자를 점등시킴으로써 사출성형기에 냉각수가 정상적으로 공급되는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전기의 임펠러와 함께 하나 이상의 슬릿을 가지는 회전원판이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LED와 같은 발광소자를 점멸시키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임펠러와 LED 등과 같은 발광소자가 내입되는 제1, 제2 공간부를 투명 또는 반투명재질의 제1, 제2 커버부재로 개폐함으로써 냉각수의 흐름 을 직접 확인하거나 발광소자의 점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사출성형기 냉각수 공급관 설치용 냉각수 순환 표시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출성형기 냉각수 공급관 설치용 냉각수 순환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출성형기 냉각수 공급관 설치용 냉각수 순환 표시장치의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출성형기 냉각수 공급관 설치용 냉각수 순환 표시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사출성형기 냉각수 공급관 설치용 냉각수 순환 표시장치의 주요부분을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사출성형기 냉각수 공급관 설치용 냉각수 순환 표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출성형기 냉각수 공급관 설치용 냉각수 순환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출성형기 냉각수 공급관 설치용 냉각수 순환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5 및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출성형기 냉각수 공급관 설치용 냉각수 순환 표시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일부 도면부호는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서 사용된 도면부호가 그대로 인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사출성형기 냉각수 공급관 설치용 냉각수 순환 표시장치는 도 2 내지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출성형기(10)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관(20) 도중에 위치하는 몸체(100), 냉각수의 흐름에 의해 회전하는 임펠러(200), 전기를 발전하는 발전기를 포함하는 발전 및 발광수단, 제1, 제2 커버부재(410)(420), 회전원판(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의 몸체(100)는 중심부에 관통공(111)이 형성된 격벽(110)을 사이에 두고 두 개의 원통이 부착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몸체(100)는 두 개의 원통, 즉 격벽(110)의 양측에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각각 일방이 개방된 제1, 제2 공간부(120)(130)를 구비한다. 그리고 몸체(100)는 제1 공간부(120)와 연통되도록 유입구(121) 및 유출구(122)가 형성되는데, 제1 공간부(120)는 사출성형기에 공급되는 냉각수가 경유하는 공간이고, 유입구(121)와 유출구(122)는 냉각수 공급관과의 연결을 위한 구성이다.
위와 같은 유입구(121)와 유출구(122)는 사출성형기에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수 공급관(20)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으나, 용이한 작업을 위해 별도의 연결구(22)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몸체(100)는 두 개의 원통을 격벽(110)의 양면에 부착하여 제작할 수도 있으나, 합성수지 등과 같은 재질로 일체형으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위의 실시 예에서는 몸체(100)가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하는 임펠러(200)와 발전 및 발광수단을 수용할 수 있는 제1, 제2 공간부(120)(130)를 가질 수 있다면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임펠러(200)는 몸체(100)의 제1 공간부(120) 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냉각수 공급관(20)으로부터 유입구(121)를 통해 유입된 후 유출구(122)를 통과하는 냉각수의 수압에 의해 회전한다.
발전 및 발광수단은 냉각수에 의해 전기를 발전하고, 이 전기에 의해 냉각수의 흐름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회전자(310)와 고정자(320)를 포함하는 발전기와 LED 등과 같은 발광소자(340)가 지지부재(330)와 일체형으로 성형되어 몸체(100)의 제2 공간부(130) 내에 고정 설치된다.
위와 같은 발전 및 발광수단은 냉각수가 존재하지 않는 몸체(100)의 제2 공간부(130)에 배치되고, 회전중심이 되는 회전축(311)이 격벽(110)의 관통공(111)을 관통해서 임펠러(200)의 회전중심에 결합되는 회전자(310)와, 회전자(310)와 한 쌍으로 전기를 발전하는 발전기로 구성되고 회전자(310)가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고정자(320)와, 고정자(32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330)의 외곽에 방사형으로 배열되어 고정자(32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LED 등과 같은 발광소자(340)로 구성된다.
이때 격벽(110)의 관통공(111)과 이를 관통하는 회전축(311) 사이에는 회전축(311)의 회전에도 제1 공간부(120)를 경유해서 흐르는 냉각수가 제2 공간부(130)로 누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공지의 수중 모터나 기타 누수 방지를 위한 펌프 등과 같이 별도의 실링구조를 가져야 한다.
여기서, 회전자(310)와 고정자(320)를 포함하는 발전 및 발광수단의 발전기는 공지의 선행기술로서 위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하다.
제1, 제2 커버부재(410)(420)는 몸체(100)의 제1, 제2 공간부(120)(130)를 개폐(밀폐)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몸체(100)의 제1, 제2 공간부(120)(130)의 개방된 부분을 감싸면서 몸체(100)의 양측에 고정된다.
위와 같이 몸체(100)의 양측에 제1, 제2 커버부재(410)(420)를 고정하기 위해, 제1, 제2 공간부(120)(130)를 감싸고 있는 몸체(100)에는 나사 결합공(141)(142)이 각각 형성되고, 제1, 제2 커버부재(410)(420)에 나사 결합공(141)(142)에 대응되는 관통공(411)(421)이 형성됨으로써, 작업자는 볼트(610)(620)를 이용하여 제1, 제2 커버부재(410)(420)를 몸체(100)의 양측에 각각 고정할 수 있다.
위의 실시 예에서와 같이 볼트(610)(620)를 이용하여 몸체(100)의 양측에 제1, 제2 커버부재(410)(420)를 고정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7에서와 같이, 몸체(100)의 제1, 제2 공간부(120)(130)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나선부가 형성되고, 제1, 제2 커버부재(410)(420)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나선부에 대응되는 나선부가 형성됨으로써, 작업자는 별도의 볼트 없이 제1, 제2 커버부재(410)(420)를 몸체(100)에 나사결합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여러 실시 예에서는 몸체(100)에 제1, 제2 커버부재(410)(420)를 고정하였을 때, 몸체(100)와 제1, 제2 커버부재(410)(420) 사이에 실링부재를 내입함으로써, 제1 공간부(120)를 통해 흐르는 냉각수가 외부로 누수되지 않을뿐더러 회전자(310)와 고정자(320)를 포함하는 발전기가 내입되어 있는 제2 공간부(130)에 수분이 들어가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중앙부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열, 즉 지지부재(330)에 내입된 발광소자(340)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슬릿(510)을 가지고 발전 및 발광수단의 지지부재(330)와 제2 커버부재(42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그의 중심부에 회전자(310)의 회전축(311)이 고정되는 회전원판(500)이 더 구비됨으로써, 냉각수 공급관(20)을 통해 사출성형기(10)에 주입되는 냉각수의 흐름이나 반대로 사출성형기(10)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냉각수의 흐름에 의해 발광소자(340)가 점멸하는 것처럼 보여진다.
이때 회전원판(50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서는 지지부재(330)와 제2 커버부재(420)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어야 함은 물론이고, 임펠러(200)와 함께 지지부재(33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부재(330)가 제2 공간부(130)의 내벽은 물론이고 제2 커버부재(420)의 일면의 일부와도 밀착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특히, 냉각수의 흐름에 대응해서 회전원판(500)의 회전속도가 결정됨으로써, 작업자는 발광소자(340)의 점멸속도를 보고 냉각수의 흐르는 속도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제1, 제2 커버부재(410)(420)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구성됨으로써, 작업자가 발광소자(340)에 발한 불빛을 다양한 각도에서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발광소자(340)가 각기 다른 색상으로 점등됨으로써, 발광소자(340)의 점멸, 즉 냉각수의 흐르는 속도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발광소자(340)가 매설되어 있는 지지부재(330)의 전부 또는 일부분이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구성됨으로써, 발광소자(340)에서 발한 빛이 지지부재(330)와 함께 제2 커버부재(420)를 통해 외부로 조사된다.
발광소자(340)가 매설되어 있는 지지부재(330)의 일부분(332) 만을 투명한 재질로 구성하고 나머지 부분은 불투명한 재질로 구성할 경우에는, 각 발광소자(340)에서 발광하는 빛의 색상이 상호 다른 색상으로 발광되도록 하여 회전원판(500)의 각 슬롯(510)을 통해 비추는 색상이 상호 다르게 발하게 되는 측면에서 유리하다. 즉, 각 발광소자(340)에서 상호 다른 색상의 빛이 발하는 과정에서 여러 색상이 혼합되지 않은 상태로 슬롯(510)을 통해 외부로 표시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위의 실시 예에서는 회전원판(500)의 회전으로 발광소자(340)의 점멸효과를 표현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정자(320)로부터 출력되는 전류값을 검출하고, 이에 대응하는 속도로 발광소자(340)의 점멸 점등을 제어하는 점등 제어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발광소자(340)가 냉각수의 흐르는 속도에 대응해서 점멸되도록 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몸체 110 : 격벽
111 : 관통공 141, 142 : 나사 결합공
120, 130 : 제1, 제2 공간부 121 : 유입구
122 : 유출구 200 : 임펠러
310 : 회전자 311 : 회전축
320 : 고정자 330 : 지지부재
340 : 발광소자 410, 420 : 제1, 제2 커버부재
411, 421 : 관통공 500 : 회전원판
510 : 슬릿 610, 620 : 볼트

Claims (8)

  1. 중심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격벽을 사이에 두고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각각 일방이 개방된 제1, 제2 공간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공간부와 연통되도록 유입구 및 유출구가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제1 공간부 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임펠러;
    상기 몸체의 제2 공간부에 배치되어 회전축이 상기 격벽의 관통공을 관통해서 상기 임펠러의 회전중심에 결합되는 회전자, 상기 회전자와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자가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고정자, 상기 고정자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의 외곽에 방사형으로 배열되어 상기 고정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발광소자를 구비하여, 상기 몸체의 제2 공간부 내에 고정 설치되는 발전 및 발광수단; 및
    상기 몸체의 양측에 고정되는 제1, 제2 커버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 냉각수 공급관 설치용 냉각수 순환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슬릿을 가지고 상기 발전 및 발광수단의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커버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그의 중심부에 상기 회전자의 회전축이 고정되는 회전원판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 냉각수 공급관 설치용 냉각수 순환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커버부재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 냉각수 공급관 설치용 냉각수 순환 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나사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제2 커버부재에 상기 나사 결합공에 대응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제2 커버부재가 볼트에 의해 상기 몸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 냉각수 공급관 설치용 냉각수 순환 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제1, 제2 공간부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나선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제2 커버부재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상기 나선부에 대응되는 나선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제2 커버부재가 상기 몸체에 나사결합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 냉각수 공급관 설치용 냉각수 순환 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가 각기 다른 색상으로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 냉각수 공급관 설치용 냉각수 순환 표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가 그의 전부 또는 일부분이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 냉각수 공급관 설치용 냉각수 순환 표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로부터 출력되는 전류값을 검출하고, 이에 대응하는 속도로 상기 발광소자의 점멸 점등을 제어하는 점등 제어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 냉각수 공급관 설치용 냉각수 순환 표시장치.
KR1020160071627A 2016-06-09 2016-06-09 사출성형기 냉각수 공급관 설치용 냉각수 순환 표시장치 KR101893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1627A KR101893491B1 (ko) 2016-06-09 2016-06-09 사출성형기 냉각수 공급관 설치용 냉각수 순환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1627A KR101893491B1 (ko) 2016-06-09 2016-06-09 사출성형기 냉각수 공급관 설치용 냉각수 순환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9297A true KR20170139297A (ko) 2017-12-19
KR101893491B1 KR101893491B1 (ko) 2018-08-30

Family

ID=60924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1627A KR101893491B1 (ko) 2016-06-09 2016-06-09 사출성형기 냉각수 공급관 설치용 냉각수 순환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34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6193A (ko) * 2020-03-17 2021-09-27 (의) 삼성의료재단 알림음을 제공하는 코크를 적용한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8046B1 (ko) 2019-01-02 2020-12-07 고민재 금형의 냉각수 유동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286Y1 (ko) * 2001-11-27 2002-04-25 김효태 관로의 유체흐름확인장치
KR101469686B1 (ko) 2014-08-12 2014-12-05 이상화 유체흐름 확인기구
KR101482714B1 (ko) 2014-09-12 2015-01-14 이상화 오일쿨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6193A (ko) * 2020-03-17 2021-09-27 (의) 삼성의료재단 알림음을 제공하는 코크를 적용한 용기
KR20210116109A (ko) * 2020-03-17 2021-09-27 (의) 삼성의료재단 알림음을 제공하는 코크 및 이를 적용한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3491B1 (ko) 2018-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8687B2 (en) Water inlet generator
RU2434100C2 (ru) Интеграль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гидро-термо-санитарных устройств
KR101893491B1 (ko) 사출성형기 냉각수 공급관 설치용 냉각수 순환 표시장치
KR101469686B1 (ko) 유체흐름 확인기구
CN109058496B (zh) 自发电杀菌智能龙头
JP3168285U (ja) 給水設備のアラーム表示ランプ
CN100566848C (zh) 机电式测温变色花洒
JP2013242060A (ja) 給湯装置
KR101575466B1 (ko) 자가발전을 이용한 수전부착형 유체 온도표시장치
KR101885871B1 (ko) 금형 냉각수 흐름 확인장치
CN101530832B (zh) 能发光的卫浴出水装置
KR101235900B1 (ko) 수력발전기 및 이를 이용한 샤워장치
KR200376769Y1 (ko) 수온감응 발광 샤워헤드
KR101726216B1 (ko) 수도미터기
KR101482714B1 (ko) 오일쿨러
JP3183990U (ja) 温度表示装置
KR20120090213A (ko) 수력 회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량 표시 수전
KR102188046B1 (ko) 금형의 냉각수 유동 표시장치
KR200266332Y1 (ko) 물의 자화장치
KR200351181Y1 (ko) 수도 미터기의 회전커버
CN204573259U (zh) 一种自来水管防漏水装置
CN212561732U (zh) 一种带水温显示功能的出水装置和起泡器
US11175005B2 (en) Light-emitting assembly with micro hydraulic power generator
KR101583182B1 (ko) 절수형 밸브 장치
CN216813110U (zh) 一种数码显示温度阀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