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8792A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8792A
KR20170138792A KR1020160071064A KR20160071064A KR20170138792A KR 20170138792 A KR20170138792 A KR 20170138792A KR 1020160071064 A KR1020160071064 A KR 1020160071064A KR 20160071064 A KR20160071064 A KR 20160071064A KR 20170138792 A KR20170138792 A KR 20170138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s
holder
mounting
connection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1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9747B1 (ko
Inventor
유승완
요하네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1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9747B1/ko
Priority to US15/616,238 priority patent/US10582827B2/en
Priority to EP17174954.2A priority patent/EP3254601B1/en
Publication of KR20170138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8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9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9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 A47L15/428Rotary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02Washing processes, i.e. machine working principles characterised by phases or operational ste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6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rigidly-mounted spra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8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movably-mounted spraying devices
    • A47L15/22Rotary spraying devices
    • A47L15/23Rotary spraying devices moved by means of the sp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Abstract

식기세척기는 내부에 세척공간이 형성된 캐비닛, 세척수가 이동하는 공급관, 상기 공급관에 연결되어 상기 세척공간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유닛은, 상기 세척공간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구를 갖는 유닛몸체, 상기 유닛몸체와 결합하며, 상기 공급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관은, 상기 회전홀더를 지지하며, 상기 공급관의 둘레를 따라 결합되는 홀더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노즐유닛의 장착구조를 개선할 수 있고 또한 노즐유닛의 누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dish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세척효율을 향상시킨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식기 세척기는 내부에 세척조가 마련되는 본체와, 식기를 수납하는 바스켓과, 세척수를 저수하는 섬프와,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과, 섬프의 세척수를 분사 노즐로 공급하는 펌프를 구비하고, 식기에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여 식기를 세척하는 가전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식기 세척기에는 회전하는 노즐유닛을 갖는 로터 타입의 분사 구조가 채용되고 있다. 회전하는 노즐유닛은 수압에 의해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한다.
노즐유닛을 통해 세척공간으로 세척수를 분사함과 동시에, 분사되는 세척수의 수압으로 노즐유닛이 회전하게 되는 데, 노즐유닛에 이물질이 끼거나 노즐유닛의 부품간 유격관계로 인해 유량손실이 큰 경우 노즐유닛의 회전력이 줄어들고, 분사되는 세척수 또한 감소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세척공간에 배치되는 식기에 대한 세척효율이 감소하게 되어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유량손실을 감소시킨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조립구조를 개선한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분사효율을 향상시킨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내부에 세척공간이 형성된 캐비닛; 세척수가 이동하는 공급관; 상기 공급관에 연결되어 상기 세척공간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유닛은, 상기 세척공간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구를 갖는 유닛몸체; 상기 유닛몸체와 결합하며, 상기 공급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관은, 상기 회전홀더를 지지하며, 상기 공급관의 둘레를 따라 결합되는 홀더;를 포함한다.
상기 홀더는, 링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연결관의 단부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은, 둘레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는 환형의 안착홈;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연결관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구성되되, 내면에는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는 안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관은, 둘레를 따라 볼록하게 형성되는 환형의 안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연결관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구성되되, 내면에는 상기 안착돌기가 삽입되는 안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연결관보다 작은 마찰계수를 갖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관은, 상기 공급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홀더와 사이에 상기 회전홀더가 배치되는 장착공간을 구성하도록 상기 홀더와 이격배치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홀더는, 상기 공급관의 외측에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는 회전홀더몸체; 상기 회전홀더몸체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되는 장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유닛몸체는, 상기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가 유입되는 개구를 형성하는 개구형성부; 상기 개구형성부로부터 돌출형성되며, 상기 유닛몸체가 상기 회전홀더에 장착되도록 상기 장착돌기가 끼워지는 복수의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리브는, 상기 장착돌기를 지지하며, 상기 장착돌기의 이동을 제한하는 장착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리브는, 상기 장착돌기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지지리브; 상기 복수의 지지리브와 상기 복수의 장착리브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장착리브와 상기 복수의 지지리브는 상기 회전홀더의 회전축방향으로 이격되되, 원주방향을 따라 교번되게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장착리브의 일단과 상기 복수의 지지리브의 타단의 사이는 상기 장착돌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개방되며, 상기 복수의 연결리브는, 상기 복수의 제한리브의 타단과, 상기 복수의 지지리브의 일단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회전홀더는, 상기 회전홀더몸체의 내주면에 마련되며, 상기 연결관과의 이격을 위해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격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닛몸체는, 상기 유닛몸체의 내부에 돌출형성되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연결관의 단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유입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닛몸체는, 제 1 결합리브와, 상기 제 1 결합리브와 사이에 삽입홈을 형성하며 상기 제 1 결합리브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 2 결합리브를 갖는 상부몸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제 3 결합리브를 갖고, 상기 상부몸체와 사이에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결합하는 하부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몸체, 상기 유입가이드부와 상기 제 3 결합리브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내부에 세척공간이 형성된 캐비닛; 연결부가 형성되며, 세척수가 이동하는 공급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어 상기 세척공간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유닛은, 상기 공급관으로부터 이동하는 세척수가 유입되는 개구를 형성하는 개구형성부와, 상기 개구형성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리브를 갖고, 상기 세척공간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유닛몸체; 상기 복수의 리브에 장착가능하게 구성되는 장착돌기를 갖고, 상기 연결부의 주위를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홀더;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리브는, 상기 장착돌기가 장착되며, 상기 장착돌기의 이동을 제한하는 복수의 장착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리브는, 상기 장착돌기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회전홀더의 회전축방향으로 이격되되 상기 복수의 장착리브와 원주방향으로 교번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리브; 상기 복수의 지지리브와 상기 복수의 장착리브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한리브의 일단과 상기 복수의 지지리브의 타단의 사이는 이격되며, 상기 복수의 연결리브는, 상기 복수의 제한리브의 타단과, 상기 복수의 지지리브의 일단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회전홀더는, 상기 장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리브의 내측단부와 상기 공급관 사이에 위치하는 회전홀더몸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세척공간을 갖는 캐비닛; 연결부가 형성되며, 세척수를 공급하는 공급관; 상기 연결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세척공간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공급관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고, 상기 연결관의 단부에 끼움결합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유닛은, 상기 홀더에 의해 회전축방향 이동이 제한되고, 상기 연결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홀더; 상기 세척공간으로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형성되는 분사구를 갖고, 상기 회전홀더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회전홀더와 함께 회전하는 유닛몸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노즐유닛의 장착구조를 개선하여, 세척수가 공급되는 공급관으로부터 노즐유닛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노즐유닛의 장착구조를 개선하여, 유량손실을 감소시킴에 따라 노즐유닛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의 분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노즐유닛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노즐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노즐유닛의 일부구성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유닛몸체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유닛몸체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유닛몸체의 단면도.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식기 세척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와, 캐비닛(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세척조(12)와, 세척조(12)의 내부에 마련되고 식기를 수납하는 식기바스켓(14a,14b)과, 세척수를 포집하고 저장하는 섬프(20)와,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유닛(41,42,43)을 포함한다.
세척조(12)는 대략 박스 형상으로 마련되고, 식기를 출납할 수 있도록 개방된 전면을 갖는다. 세척조(12)의 개방된 전면은 도어(11)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어(11)는 캐비닛(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세척조(12)의 내부에는 세척수가 분사되어 식기가 세척될 수 있는 세척공간(12a)이 형성된다.
식기바스켓(14a,14b)은 상부 식기바스켓(14a)과 하부 식기바스켓(14b)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식기바스켓(14a)은 상부 랙(13a)에 지지될 수 있고, 하부 식기바스켓(14b)은 하부 랙(13b)에 지지될 수 있다. 상부 랙(13a)과 하부 랙(13b)은 세척조(12)의 내부에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섬프(20)에는 저장된 물을 분사유닛(41,42,43)으로 펌핑하는 세척펌프(21)가 마련될 수 있다. 세척펌프(21)에 의해서 펌핑된 세척수는 공급관(50)을 통해 제 1 내지 3 분사유닛(41, 42, 43)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세척조(12)의 하부에는 세척수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15)와, 세척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 펌프(22)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분사 유닛(41)은 상부 식기바스켓(14a)의 상측에 마련되고, 제 2 분사 유닛(42)은 상부 식기바스켓(14a)와 하부 식기바스켓(14b)의 사이에 마련되고, 제 3 분사 유닛(43)은 하부 식기바스켓(14b)의 아래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 1 분사 유닛(41)은 회전축(41a)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되고, 제 2 분사 유닛(42)은 회전축(42a)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3 분사 유닛(43)은 회전축(43a)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 분사 유닛(41)은 상부 식기바스켓(14a)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고, 제 2 분사 유닛(42)은 상부 식기바스켓(14a) 및 하부 식기바스켓(14b)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제 3 분사유닛(43)은 하부식기바스켓(14b)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노즐유닛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노즐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노즐유닛의 일부구성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노즐유닛(100)은 세척조(12)내의 세척공간(12a)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노즐유닛(100)은 앞서 설명한 제 1 내지 3 분사유닛(41, 42, 43) 중 제 1 분사유닛(41)인 것을 예로드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노즐유닛(100)이 제 2, 3 분사유닛이어도 무방하다.
노즐유닛(100)은 공급관(50)으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아, 세척조(12)내로 분사하도록 마련된다. 노즐유닛(100)은 회전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노즐유닛(100)에 형성되는 분사구(114)로 토출되는 세척수의 수압에 의한 회전력으로 회전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노즐유닛(100)은 유닛몸체(110)와 회전홀더(18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홀더(180)는 공급관(50)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며, 유닛몸체(110)에 결합하도록 구비된다. 자세하게는 공급관(50)은 노즐유닛(100)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연결부(170)를 포함하며, 회전홀더(180)는 연결부(17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회전홀더(180)의 회전에 의해 유닛몸체(110)는 공급관(5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유닛몸체(110)는 회전홀더(180)에 의해 공급관(5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의 분사구(114)가 마련되어 공급관(50)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는 적어도 하나의 분사구(114)를 통해 세척공간(12a)으로 분사되도록 구비된다.
공급관(50)은 연결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70)는 공급관(50)의 단부에 마련되어, 노즐유닛(100)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연결부(170)는 공급관(50)과 별도의 구성으로 구비되어 공급관(50)에 결합될 수도 있으며, 공급관(5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연결부(170)는 공급관(50)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연결관(172)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관(172)의 내부유로는 공급관(50)의 내부유로와 연결되도록 마련되며, 연결관(172)을 통해 세척수가 공급관(50)에서 유닛몸체(11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연결부(170)는 홀더(178)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70)는 지지부(17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홀더(178)와 지지부(176)는 연결관(172)에 마련되어, 회전홀더(180)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비된다.
홀더(178)는 회전홀더(180)가 연결관(172)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홀더(178)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나, 그 일례로 링의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홀더(178)는 연결관(172)으로부터 분리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환형의 홀더(178)는 연결관(172)의 단부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홀더(178)의 내경은 연결관(172)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변형을 통해 홀더(178)를 연결관(172)의 외주면에 끼움으로서, 연결관(172)에 안착시킬 수 있다.
홀더(178)는 연결관(172)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ㅔㅎ 갖도록 구성되며, 그 내면에는 안착돌기(179)가 형성될 수 있다. 안착돌기(179)는 홀더(178)의 내주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도 있고, 적어도 일부구간에 형성될 수 도 있다. 연결관(172)에는 그 둘레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며, 안착돌기(179)가 삽입될 수 있도록 안착홈(174)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안착홈(174)은 연결관(172)의 둘레를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며, 안착돌기(179)도 환형의 안착홈(174)에 대응되어, 홀더(178)의 내주면을 따라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홀더(178)는 안착돌기(179)가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환형의 홀더(178)의 곡면의 내측면이 결합홈(125)에 안착됨으로서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 설명에서는 홀더(178)가 연결관(172)에 결합되는 구성에 대해 일례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홀더(178)가 연결관(172)의 결합되어 회전홀더(180)가 연결관(172)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홀더(178)로 인해 연결관(17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면 이를 만족한다.
홀더(178)는 연결관(172)보다 작은 마찰계수를 갖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홀더(180)는 유닛몸체(110)와 결합하므로, 회전홀더(180)와 유닛몸체(110)의 무게에 의한 중력으로 인해, 회전홀더(180)는 홀더(178)와 밀착하게 되고 회전홀더(180)의 회전에 의해 회전홀더(180)와 홀더(178)사이에는 마찰에 의한 마모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홀더(178)는 연결관(172)보다 마찰계수가 작은 재질을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회전홀더(180)간에 마찰력이 작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홀더(178)는 연결관(172)으로부터 분리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으므로, 홀더(178)에 마모가 발생하는 경우 쉽게 분리 및 교체 또는 수리할 수 있게 된다.
지지부(176)는 연결관(172)에 마련되되, 홀더(178)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지지부(176)와 홀더(178) 사이에는 회전홀더(180)가 회전가능하게 배치될 수 장착공간(161)을 형성하며,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176)는 연결관(172)의 둘레를 따라 플랜지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관(172)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76)는 회전홀더(180)의 이동상한선을 형성하며, 홀더(178)는 회전홀더(180)의 이동하한선을 형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유닛몸체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유닛몸체의 단면도이다. 도 3, 4과 함께 설명한다.
회전홀더(18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급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며, 유닛몸체(110)에 결합하도록 구비된다.
회전홀더(180)는 회전홀더몸체(182)와, 장착돌기(188)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홀더몸체(182)는 연결관(172)의 외측에 장착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즉, 회전홀더몸체(182)의 내측에는 연결관(172)이 삽입되는 장착홀(184, 도 3 참고)이 형성된다. 이를 위해 회전홀더몸체(182)는 연결관(172)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마련된다.
회전홀더(180)는 회전홀더몸체(182)의 일단에 마련되는 홀더지지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홀더지지부(190)는 회전홀더몸체(182)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플랜지의 형상을 갖도록 마련된다. 홀더지지부(190)는 연결부(170)의 지지부(176)와 유닛몸체(110)사이에 위치하도록 마련되어, 회전홀더(180)가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회전홀더(180)는 회전홀더몸체(182)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이격돌기(186)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격돌기(186)는 회전홀더몸체(182)의 장착홀(184)에 삽입되는 연결관(172)과, 회전홀더몸체(182)간의 접촉면적을 감소시키도록 마련된다. 이격돌기(186)는 회전홀더몸체(182)의 내주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복수의 이격돌기(186)가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이격돌기(186)는 회전홀더몸체(18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장착돌기(188)는 회전홀더몸체(182)의 주위를 따라 마련되며, 유닛몸체(110)에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장착돌기(188)는 적어도 하나가 마련 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호 이격된 복수개의 장착돌기(188)가 구비된다.
장착돌기(188)는 이후 설명하는 유닛몸체(110)의 복수의 리브에 끼움결합될 수 있으며, 장착돌기(188)가 복수의 리브에 끼움결합 또는 결합해제됨으로서 회전홀더(180)와 유닛몸체(110)를 선택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장착돌기(188)는 홀더지지부(190)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장착돌기(188)와 홀더지지부(190)사이에는 이후 설명하는 유닛몸체(110)의 장착리브(160)가 삽입될 수 있으므로, 장착돌기(188)와 홀더지지부(190) 사이는 장착리브(16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큰 간격을 형성할 수 있다.
장착돌기(188)의 일측에는 고정돌기(189)가 마련될 수 있다. 고정돌기(189)는 장착돌기(188)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고정돌기(189)는 장착돌기(188)의 상부일면에서 돌출형성되며, 장착리브(160)의 하부일면에는 고정돌기(189)가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홈(160a, 도 4 참고)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홀더(180)는 핸들부(192)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들부(192)는 회전홀더(180)에 마련되어, 사용자가 회전홀더(180)를 파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핸들부(192)의 조작을 통해 회전홀더(180)와 유닛몸체(110)가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핸들부(192)는 홀더지지부(190)에 형성될 수 있으며, 홀더지지부(190)로부터 돌출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홀더지지부(190)의 양 단에 한 쌍의 핸들부(192)가 구비된다.
유닛몸체(110)는 복수의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리브는 장착돌기(188)가 끼워질 수 있도록 마련되며, 장착돌기(188)가 복수의 리브에 끼워지면서 유닛몸체(110)가 회전홀더(180)에 결합된다.
복수의 리브는 유닛몸체(110)의 개구(127)를 형성하는 개구형성부(128)에 형성될 수 있다. 유닛몸체(110)의 개구(127)는 공급관(50)으로부터 유동하는 세척수가 유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유닛몸체(110)의 개구(127)는 연결부(170)의 내부유로(173)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리브는 개구형성부(128)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복수의 리브는 개구형성부(128)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회전홀더(180)의 장착돌기(188)가 복수의 리브에 장착됨으로서 연결관(172)의 내부유로와 유닛몸체(110)의 개구(127)가 연결되게 된다.
복수의 리브는 장착리브(16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리브(160)는 유닛몸체(110)가 회전홀더(18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장착돌기(188)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마련된다. 장착리브(160)는 장착돌기(188)가 위치하는 장착공간(161)을 형성할 수 있다. 유닛몸체(110)가 회전홀더(180)에 장착될 때, 장착돌기(188)는 장착리브(160)의 하부에 형성되는 장착공간(161)에 위치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유닛몸체(110)가 회전홀더(18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장착리브(160)는 복수의 장착돌기(188)에 대응하여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장착리브(160)의 일측면에는 고정홈(160a)이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고정홈(160a)은 장착리브(160)의 하면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고정홈(160a)에는 장착돌기(188)의 고정돌기(189)가 삽입되도록 구비된다. 장착돌기(188)는 장착리브(160)가 형성하는 장착공간(161)에 위치하고, 고정홈(160a)에 고정돌기(189)가 삽입됨으로서, 장착돌기(188)가 원주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복수의 리브는 지지리브(162)와 연결리브(164)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리브(162)는 장착돌기(188)가 삽입되는 삽입공간(163)을 형성할 수 있다. 지지리브(162)는 복수의 장착돌기(188)에 대응하여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리브(162)와 복수의 장착리브(160)는 유닛몸체(110)의 회전축방향으로 이격되되, 원주방향을 따라 교번되게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연결리브(164)는 복수의 지지리브(162)와 복수의 장착리브(160)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장착리브(160)의 일단과 복수의 지지리브(162)의 타단 사이는 장착돌기(188)가 이동할 수 있도록 개방되며, 복수의 장착리브(160)의 타단과 복수의 지지리브(162)의 일단사이는 복수의 연결리브(164)가 각각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즉, 장착리브(160), 연결리브(164)와 지지리브(162)는 상호간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되,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개구(127)를 최소화 시킬 수 있게된다. 또한 복수의 리브 사이에는 장착돌기(188)가 위치하고, 복수의 리브의 원주방향으로 회전홀더몸체(182)가 위치하여, 회전홀더(180)와 유닛몸체(110)간의 틈을 줄일 수 있어서, 유닛몸체(110)와 연결관(172)사이에서의 누수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연결리브(164)는 스토퍼로 기능할 수 있다. 장착돌기(188)는 삽입공간(163)에서 장착리브(160)의 일측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회전홀더(180)와 유닛몸체(110)가 결합하게 된다. 이때 장착돌기(188)가 장착리브(160)가 형성하는 장착공간(161)을 벗어나지 않도록, 장착돌기(188)의 장착방향에 대한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연결리브(164)는 스토퍼로 명칭할 수도 있다.
유닛몸체(110)는 유입가이드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가이드부(144)는 하부몸체(140)의 하부내면(141)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세척수를 유닛몸체(110)의 내부공간(112)으로 배분하도록 마련된다. 유입가이드부(144)는 유닛몸체(110)로 유입되는 세척수가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마련된다. 유입가이드부(144)는 원뿔형상으로 구비되되, 그 측면은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유입가이드부(144)는 유닛몸체(110)로 유입되는 세척수를 내부공간(112)으로 분산시키는 것이므로, 그 중심이 연결관(170)의 단부에 형성되는 공급구(175)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유입가이드부(144)는 하부몸체(140)로부터 돌출되어, 공급구(175)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즉, 유입가이드부(144)의 적어도 일부는 연결관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공급관(50)으로 공급되는 세척수를 안정적으로 가이드 및 유닛몸체(110) 내부로 분산시킬 수 있다.
유닛몸체(110)는 복수의 결합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결합리브는 유닛몸체(110)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닛몸체(110)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분사구(114)들을 제외한 부분에 복수의 결합리브가 형성되어, 유닛몸체(110)가 결합되거나, 유닛몸체(110)의 내부가 밀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부몸체(140)는 제 1, 2 결합리브(150, 1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결합리브(150)는 하부몸체(140)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제 2 결합리브(152)는 제 1 결합리브(150)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제 1, 2 결합리브(150, 152)는, 하부몸체(140)에서 상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제 1, 2 결합리브(150, 152)는, 그 사이에 이격공간으로서, 이후 설명하는 제 3 결합리브(1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155)을 형성할 수 있다.
상부몸체(120)는 제 3 결합리브(130)를 포함 할 수 있다. 제 3 결합리브(130)는 상부몸체(120)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앞서 설명한 제 1, 2 결합리브 사이로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 3 결합리브(130)는 제 1, 2 결합리브가 형성하는 삽입홈(155)에 삽입될 수 있다. 제 1 내지 3 결합리브는 상호 교번되게 배치됨으로서, 내부공간(112)을 중첩되게 밀폐시킬 수 있게 된다.
유닛몸체(110)에서 하부몸체(140)와 유입가이드부(144)와, 제 3 결합리브(13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하부몸체(140), 유입가이드부(144)와, 제 3 결합리브(130)는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유닛몸체(110)의 하부가 밀폐되도록 마련된다. 즉 상부몸체(120)에 형성되는 개구(127)를 통해 유입되는 세척수는, 유입가이드(144)에 의해 내부공간(112)으로 분배된다. 이 과정에서 유입가이드부(144)와 제 3 결합리브(130)와, 하부몸체(140)는 유닛몸체(110)의 하부가 밀폐된 구조로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세척수 유입과정에서 유닛몸체(110)로부터 세척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유닛몸체의 단면도이다.
연결부(170)는 홀더(178)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70)는 지지부(17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홀더(178)와 지지부(176)는 연결관(172)에 마련되어, 회전홀더(180)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비된다.
홀더(178)는 회전홀더(180)가 연결관(172)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홀더(178)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나, 그 일례로 링의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홀더(178)는 연결관(172)으로부터 분리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환형의 홀더(178)는 연결관(172)의 단부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홀더(178)의 내경은 연결관(172)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변형을 통해 홀더(178)를 연결관(172)의 외주면에 끼움으로서, 연결관(172)에 안착시킬 수 있다.
홀더(178)는 연결관(172)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구성되며, 그 내면에는 안착홈(274)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274)은 홀더(178)의 내주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도 있고, 적어도 일부구간에 형성될 수도 있다. 연결관(172)에는 그 둘레를 따라 볼록하게 형성되며, 고정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안착돌기(279)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안착돌기(279)는 연결관(172)의 둘레를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며, 안착홈(274)도 환형의 안착돌기(279)에 대응되어, 홀더(178)의 내주면을 따라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식기세척기 10 : 캐비닛
11 : 도어 12 : 세척조
15 : 히터 20 : 섬프
50 : 공급관
100 : 노즐유닛 110 : 유닛몸체
120 : 상부몸체 140 : 하부몸체
170 : 연결부 172 : 연결관
174 : 안착홈 176 : 지지부
178 : 홀더 179 : 안착돌기
180 : 회전홀더 182 : 회전홀더몸체
184 : 장착홀 186 : 이격돌기
188 : 장착돌기 190 : 홀더지지부
192 : 핸들부 160 : 장착리브
162 : 지지리브 164 : 연결리브

Claims (20)

  1. 내부에 세척공간이 형성된 캐비닛;
    세척수가 이동하는 공급관;
    상기 공급관에 연결되어 상기 세척공간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유닛은,
    상기 세척공간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구를 갖는 유닛몸체;
    상기 유닛몸체와 결합하며, 상기 공급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관은,
    상기 회전홀더를 지지하며, 상기 공급관의 둘레를 따라 결합되는 홀더;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링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연결관의 단부에 끼움결합되는 식기세척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둘레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는 환형의 안착홈;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연결관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구성되되, 내면에는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는 안착돌기;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둘레를 따라 볼록하게 형성되는 환형의 안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연결관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구성되되, 내면에는 상기 안착돌기가 삽입되는 안착홈;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연결관보다 작은 마찰계수를 갖는 재질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은,
    상기 공급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홀더와 사이에 상기 회전홀더가 배치되는 장착공간을 구성하도록 상기 홀더와 이격배치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홀더는,
    상기 공급관의 외측에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는 회전홀더몸체;
    상기 회전홀더몸체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되는 장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유닛몸체는,
    상기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가 유입되는 개구를 형성하는 개구형성부;
    상기 개구형성부로부터 돌출형성되며, 상기 유닛몸체가 상기 회전홀더에 장착되도록 상기 장착돌기가 끼워지는 복수의 리브;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리브는,
    상기 장착돌기를 지지하며, 상기 장착돌기의 이동을 제한하는 장착리브;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리브는,
    상기 장착돌기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지지리브;
    상기 복수의 지지리브와 상기 복수의 장착리브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리브;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장착리브와 상기 복수의 지지리브는 상기 회전홀더의 회전축방향으로 이격되되, 원주방향을 따라 교번되게 배열되는 식기세척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장착리브의 일단과 상기 복수의 지지리브의 타단의 사이는 상기 장착돌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개방되며,
    상기 복수의 연결리브는,
    상기 복수의 제한리브의 타단과, 상기 복수의 지지리브의 일단 사이를 연결하는 식기세척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홀더는,
    상기 회전홀더몸체의 내주면에 마련되며, 상기 연결관과의 이격을 위해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격돌기;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몸체는,
    상기 유닛몸체의 내부에 돌출형성되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연결관의 단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유입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몸체는,
    제 1 결합리브와, 상기 제 1 결합리브와 사이에 삽입홈을 형성하며 상기 제 1 결합리브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 2 결합리브를 갖는 상부몸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제 3 결합리브를 갖고, 상기 상부몸체와 사이에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결합하는 하부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몸체, 상기 유입가이드부와 상기 제 3 결합리브는 일체로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15. 내부에 세척공간이 형성된 캐비닛;
    연결부가 형성되며, 세척수가 이동하는 공급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어 상기 세척공간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유닛은,
    상기 공급관으로부터 이동하는 세척수가 유입되는 개구를 형성하는 개구형성부와, 상기 개구형성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리브를 갖고, 상기 세척공간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유닛몸체;
    상기 복수의 리브에 장착가능하게 구성되는 장착돌기를 갖고, 상기 연결부의 주위를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홀더;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리브는,
    상기 장착돌기가 장착되며, 상기 장착돌기의 이동을 제한하는 복수의 장착리브;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리브는,
    상기 장착돌기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회전홀더의 회전축방향으로 이격되되 상기 복수의 장착리브와 원주방향으로 교번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리브;
    상기 복수의 지지리브와 상기 복수의 장착리브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리브;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한리브의 일단과 상기 복수의 지지리브의 타단의 사이는 이격되며,
    상기 복수의 연결리브는,
    상기 복수의 제한리브의 타단과, 상기 복수의 지지리브의 일단 사이를 연결하는 식기세척기.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홀더는,
    상기 장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리브의 내측단부와 상기 공급관 사이에 위치하는 회전홀더몸체;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20. 세척공간을 갖는 캐비닛;
    연결부가 형성되며, 세척수를 공급하는 공급관;
    상기 연결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세척공간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공급관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고, 상기 연결관의 단부에 끼움결합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유닛은,
    상기 홀더에 의해 회전축방향 이동이 제한되고, 상기 연결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홀더;
    상기 세척공간으로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형성되는 분사구를 갖고, 상기 회전홀더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회전홀더와 함께 회전하는 유닛몸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KR1020160071064A 2016-06-08 2016-06-08 식기세척기 KR102559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1064A KR102559747B1 (ko) 2016-06-08 2016-06-08 식기세척기
US15/616,238 US10582827B2 (en) 2016-06-08 2017-06-07 Dishwasher
EP17174954.2A EP3254601B1 (en) 2016-06-08 2017-06-08 Dishwas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1064A KR102559747B1 (ko) 2016-06-08 2016-06-08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8792A true KR20170138792A (ko) 2017-12-18
KR102559747B1 KR102559747B1 (ko) 2023-07-27

Family

ID=59030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1064A KR102559747B1 (ko) 2016-06-08 2016-06-08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582827B2 (ko)
EP (1) EP3254601B1 (ko)
KR (1) KR1025597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48351S1 (en) * 2013-10-29 2016-01-26 Whirlpool Corporation Sprayer for dish washing machine
EP3481269B1 (en) * 2016-07-08 2021-03-03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Wash arm assembly
US11464391B2 (en) 2017-10-31 2022-10-11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Spray arm assembly
WO2019086107A1 (en) 2017-10-31 2019-05-09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Wash arm assembly
CN111096720A (zh) * 2018-10-26 2020-05-05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一种碗篮及洗碗机
WO2020136256A1 (en) * 2018-12-27 2020-07-02 Arcelik Anonim Sirketi A dishwash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02828C1 (de) * 1987-01-30 1988-04-07 Bosch Siemens Hausgeraete Sprueharmlagerung bei frontseitig beschickbaren Geschirrspuelmaschinen
DE20113227U1 (de) * 2001-08-09 2001-10-25 Whirlpool Co Drehlagerung für einen Sprüharm einer Geschirrspülmaschine
CN201234966Y (zh) * 2008-07-15 2009-05-13 美的集团有限公司 一种洗碗机的喷水组件
KR20120022429A (ko) * 2010-09-02 2012-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KR20150006261A (ko) * 2013-07-08 2015-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04319A1 (de) 1990-02-13 1991-08-14 Bauknecht Hausgeraete Sprueharmlagerung bei einer geschirrspuelmaschine
JPH10225420A (ja) 1997-02-14 1998-08-25 Hitachi Ltd 食器洗い機
US20080149148A1 (en) * 2006-09-27 2008-06-26 Lg Electronics Inc. Sump of dishwasher
US7753062B2 (en) 2007-05-04 2010-07-13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Spray arm for a dishwasher, and associated method
KR101769377B1 (ko) 2011-05-12 2017-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DE102011081562B4 (de) 2011-08-25 2018-08-02 BSH Hausgeräte GmbH Sprüharmanordnung einer Geschirrspülmaschine
CN202235251U (zh) 2011-09-09 2012-05-30 美的集团有限公司 一种洗碗机用喷臂连接结构
KR101860717B1 (ko) 2012-01-06 2018-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노즐 어셈블리와 이를 구비한 식기 세척기
KR102007843B1 (ko) * 2013-02-04 2019-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02828C1 (de) * 1987-01-30 1988-04-07 Bosch Siemens Hausgeraete Sprueharmlagerung bei frontseitig beschickbaren Geschirrspuelmaschinen
DE20113227U1 (de) * 2001-08-09 2001-10-25 Whirlpool Co Drehlagerung für einen Sprüharm einer Geschirrspülmaschine
CN201234966Y (zh) * 2008-07-15 2009-05-13 美的集团有限公司 一种洗碗机的喷水组件
KR20120022429A (ko) * 2010-09-02 2012-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KR20150006261A (ko) * 2013-07-08 2015-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9747B1 (ko) 2023-07-27
EP3254601B1 (en) 2020-08-26
US20170354311A1 (en) 2017-12-14
EP3254601A1 (en) 2017-12-13
US10582827B2 (en) 202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38792A (ko) 식기세척기
US10258217B2 (en) Drain pump assembly for a dishwasher appliance
US10206553B2 (en) Hydraulically actuated diverter for an appliance
US10413152B2 (en) Spray assemblies for dishwasher appliances
RU2551758C1 (ru) Посудомоечная машина
KR101764293B1 (ko) 식기 세척기용 노즐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KR101964646B1 (ko) 식기세척기
US20080163904A1 (en) Nozzle Structure of Dish Washer
KR20190024484A (ko) 식기세척기
US10939797B2 (en) Dishwasher
KR20050105718A (ko) 식기 세척기의 워터 가이드 결합구조
KR20140099692A (ko) 식기세척기
KR101887556B1 (ko) 세척장치용 회전식 스프레이 아암 및 그 응용
US20210127941A1 (en) Pump and dishwasher comprising the same
KR20150142948A (ko) 식기세척기
KR101980706B1 (ko) 식기세척기
KR20120022429A (ko) 식기 세척기
US9687137B2 (en) Diverter for selective fluid flow in a dishwashing appliance
CN113226146A (zh) 餐具清洗机
KR20150009402A (ko) 식기세척기
KR102412768B1 (ko) 식기세척기
KR100698308B1 (ko) 식기세척기
US10512387B2 (en) Hydraulically actuated diverter for an appliance
EP3682787B1 (en) Dishwasher
AU2017437705A1 (en) Dishwasher spray arm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