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8409A - 셀프 라이팅 핸드헬드 기구 - Google Patents

셀프 라이팅 핸드헬드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8409A
KR20170138409A KR1020177026432A KR20177026432A KR20170138409A KR 20170138409 A KR20170138409 A KR 20170138409A KR 1020177026432 A KR1020177026432 A KR 1020177026432A KR 20177026432 A KR20177026432 A KR 20177026432A KR 20170138409 A KR20170138409 A KR 201701384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elf
elongated region
handheld
instr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6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해라우트 와터시안
케보크 와터시안
Original Assignee
바샨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4/627,001 external-priority patent/US9579923B2/en
Priority claimed from US14/673,142 external-priority patent/US9700131B2/en
Priority claimed from US14/817,713 external-priority patent/US9668598B2/en
Application filed by 바샨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바샨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70138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84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2Devices for holding brushes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2Forks; Forks with ejectors; Combined forks and spoons; Salad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4Knife racks or stands; 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1/00Handle constructions
    • B25G1/10Handle construction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shape
    • B25G1/102Handle construction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shape the shape being specially adapted to facilitate handling or improve gr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3/00Attaching handles to the implements
    • B25G3/36Lap joints; Riveted, screwed, or like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2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with means for preventing rolling
    • B43K23/04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with means for preventing rolling enabling the writing implement to be set upr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9/00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 B43L19/0056Holders for erase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 A47G2400/025Avoiding contact with unclean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8Stabilizing containers or articles
    • A47G2400/086Self-leve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Equipment (AREA)
  • Pens And Brushes (AREA)
  • Brushes (AREA)

Abstract

셀프 라이팅 핸드헬드 기구는 일반적으로 둥근 하부 측을 갖는 베이스, 및/또는 베이스 내에 배치될 수 있는 가중 요소, 베이스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세장형 영역, 및 사용 부분을 포함한다. 베이스의 가중 요소 및/또는 둥근 하부는 평평하거나 실질적으로 평평한 표면상에 위치될 때 사용자의 개입 또는 임의의 외부 힘의 인가를 필요하지 않고 기구를 직립 수직 방향으로 균형을 이루도록 개시된 기구에 대한 셀프 라이팅 기능을 제공한다. 베이스는 사용자가 개시된 기구를 사용하기 전에 세장형 영역 및 사용 부분으로부터 분리될 필요가 없다. 베이스는 또한 이의 외부 표면상에 미적 특징부를 가질 수 있고, 베이스의 일부는 평평한 영역 및 복수의 스파이크 요소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셀프 라이팅 핸드헬드 기구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개시내용은 35 U.S.C. §120 하에 2015년 2월 20일에 출원된 계류 중인 미국 정식 출원 일련 번호 14/627,001, 2015년 3월 30일에 출원된 일련 번호 14/673,142, 및 2015년 8월 4일에 출원된 일련번호 14/817,713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의 개시내용은 참고로 통합된다.
발명의 기술분야
본 개시내용은 핸드헬드 기구(handheld utensil), 특히 평평하거나 실질적으로 평평한 표면상에 떨어뜨리거나 던져지고, 그렇지 않으면 이동될 때 수직 방향으로 셀프 라이팅(self-righting)할 수 있는 펜과 같은 핸드헬드 기구에 관한 것이다.
핸드헬드 기구는 사람의 삶을 더욱 편안하게 하기 위해 매일 사용된다. 포크 및 스푼과 같은 특정 기구는 접시 또는 그릇에서 사람의 입으로의 음식의 전달을 도와 준다. 마찬가지로, 펜 및 연필과 같은 다른 기구는 사람이 종이 또는 기질(substrate)에 자신이 원하는 것을 쓰고, 그리거나, 그렇지 않으면 기록할 수 있도록 한다. 칫솔과 같은 또 다른 기구는 사용자가 자신의 치아 및 잇몸을 쉽게 닦을 수 있도록 한다. 핸드헬드형의 품질은 기구를 사용, 유지 및 보관하기 쉽게 한다.
그러나, 핸드헬드 기구는 일반적으로 비교적 작은 물체이므로, 잃어버리거나 잘못 놓이거나, 그렇지 않으면 큰 물체 아래에 묻히기가 쉽다. 예를 들어, 펜의 사용자는 문장을 끝내면 펜을 내려놓을 수 있지만, 이후에 많은 문서가 펜 위에 놓인 후, 사용자가 그 후에 다시 필요로 할 때, 자신이 문서 밑에서 그것을 찾을 수 없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핸드헬드 기구는 사용자가 짧은 시간 내에 그것을 위치시키는 것을 허용하는 몇 가지 쉬운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수단은 값이 싸고, 기구의 특성 또는 동작을 방해하지 않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옵션은 핸드헬드 기구에 셀프 라이팅 또는 바이어싱(biasing) 요소를 도입하는 것이다. 셀프 라이팅 핸드헬드 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제1 해결책은 밸런싱 펜(balancing pen)으로서 미국 특허 제6,200,052호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밸런싱 펜은 그 안에 질량 중심과, 사용하지 않을 때 펜을 균형 잡기 위한 둥근 밑면을 갖는 벌브(bulb)를 포함하며, 이러한 벌브는 사용자가 펜의 사용을 필요할 때 펜으로부터 분리된다. 즉, 사용자는 사용하지 않을 때 벌브 내의 펜을 교체할 수 있으며, 벌브는 일반적으로 직립 방향으로 펜을 유지한다. 이와 관계없이, 이러한 개시내용은 셀프 라이팅 특징을 제공하는 부분이 기구의 동작적 사용 중에 기구 자체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는 셀프 라이팅 핸드헬드 기구를 제시하지 못한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가 개시된 필기구(writing implement)를 사용하는 동안 벌브를 잘못 두면, 이러한 종래 기술의 개시내용은 (개시된 필기구가 더 이상 셀프 라이팅할 수 없다는 점에서) 의도된 대로 동작을 멈추게 된다.
따라서, 기존의 해결책은 몇 가지 셀프 라이팅 특징을 보여주지만, 전술한 것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결점이 남아 있다.
결과적으로, 평평하거나 실질적으로 평평한 표면상에 놓여질 때 직립 수직 방향으로 그 자체가 셀프 라이팅하고, 사용자가 기구를 동작 가능하게 사용하기 위해 기구의 사용 부분으로부터 분리될 필요가 없는 셀프 라이팅 특징을 제공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핸드헬드 기구가 필요하다.
종래 기술의 전술한 단점을 고려하여, 종래 기술의 모든 장점을 포함하고, 그 안에 내재된 결점을 극복하도록 구성된 셀프 라이팅 핸드헬드 기구가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의 목적은 평평하거나 실질적으로 평평한 표면상에 배치될 때, 즉 사용자의 개입 또는 임의의 외부 힘의 인가를 필요하지 않고 직립 수직 방향으로 기구의 자동 균형을 제공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볼록한 하부면을 갖는 가중된 베이스(weighted base)를 포함하는 셀프 라이팅 핸드헬드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개시내용의 목적은 사용자가 기구를 동작 가능하게 사용하기 위해 가중된 베이스가 기구의 나머지(즉, 이의 사용 부분)로부터 분리될 필요가 없는 셀프 라이팅 핸드헬드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에서, 셀프 라이팅 핸드헬드 기구는 상부 측 및 일반적으로 볼록한 하부 측을 가진 베이스; 베이스의 적어도 일부 내에 배치된 가중 요소(weighted element); 베이스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긴(elongated) 영역으로서, 세장형 영역(elongated region)의 제1 단부의 적어도 일부는 베이스의 적어도 일부 내에 배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보유될 수 있는 세장형 영역; 및 세장형 영역의 제2 단부 상에 배치된 사용 부분을 포함하며, 가중 요소는 사용자의 개입 또는 외부 힘의 인가를 필요하지 않고 기구를 지지하는 평평하거나 실질적으로 평평한 표면에 대해 기구를 직립 수직 방향으로 균형을 이루어, 기구를 지지하는 평평하거나 실질적으로 평평한 표면에 대해 세장형 영역 및 사용 부분을 수직으로 지향되게 할 수 있으며, 기구는 베이스가 먼저 세장형 영역 및 사용 부분으로부터 분리될 필요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추가의 대안 및 실시예가 본 명세서에서 고려된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세장형 영역의 제1 단부는 가중 요소와 연통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베이스는 구체(sphere) 및 난형체(ovoid) 중 하나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베이스의 상부 측은 평평한 표면, 일반적으로 오목한 표면 및 일반적으로 볼록한 표면 중 하나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가중 요소는 금속, 금속 합금, 모래, 고무, 플라스틱, 액체, 돌, 실리콘, 오일, 목재, 겔, 토양, 및 전술한 것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가공된 재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베이스는 이의 외부 표면상의 미적 특징부(aesthetic feature)를 더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구는 펜, 연필, 마커, 크레용, 지우개, 형광펜, 칫솔, 포크 및 스푼 중 하나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구는 세장형 영역 및 사용 부분 중 적어도 일부 내에 배치된 내부 요소를 더 포함하며, 내부 요소는 잉크, 납, 흑연 및 왁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기에 적합한 챔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세장형 영역 및 사용 부분은 나사산, 스냅 끼워 맞춤 맞물림(snap-fit engagement) 및 기계적 간섭(mechanical interference)과 같은 커플링을 통해 베이스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목적은 평평하거나 실질적으로 평평한 표면상에 배치될 때, 즉 사용자의 개입 또는 임의의 외부 힘의 인가를 필요하지 않고 직립 수직 방향으로 기구의 자동 균형을 제공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볼록한 하부 단부를 갖는 베이스로서 가중 요소를 포함하는 셀프 라이팅 핸드헬드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개시내용의 목적은 사용자가 기구를 동작 가능하게 사용하기 위해 가중 요소가 기구의 나머지(즉, 이의 사용 부분)로부터 분리될 필요가 없는 셀프 라이팅 핸드헬드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에서, 셀프 라이팅 핸드헬드 기구는 상부 단부 및 일반적으로 볼록한 하부 단부를 가진 가중 요소; 가중 요소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세장형 영역으로서, 제1 단부는 가중 요소의 상부 단부와 연통되고, 사용자에 의해 보유될 수 있는 세장형 영역; 및 세장형 영역의 제2 단부 상에 배치된 사용 부분을 포함하며, 가중 요소는 사용자의 개입 또는 외부 힘의 인가를 필요하지 않고 기구를 지지하는 평평하거나 실질적으로 평평한 표면에 대해 기구를 직립 수직 방향으로 균형을 이루어, 기구를 지지하는 평평하거나 실질적으로 평평한 표면에 대해 세장형 영역 및 사용 부분을 수직으로 지향되게 할 수 있으며, 기구는 가중 요소가 먼저 세장형 영역 및 사용 부분으로부터 분리될 필요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추가의 대안 및 실시예가 본 명세서에서 고려된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세장형 영역의 제1 단부의 적어도 일부는 가중 요소의 상부 단부의 적어도 일부 내에 수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가중 요소의 상부 단부의 적어도 일부는 세장형 영역의 제1 단부의 적어도 일부 내에 수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가중 요소의 상부 단부는 평평한 표면, 일반적으로 오목한 표면 및 일반적으로 볼록한 표면 중 하나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가중 요소는 금속, 금속 합금, 모래, 고무, 플라스틱, 액체, 돌, 실리콘, 오일, 목재, 겔, 토양, 및 전술한 것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가공된 재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구는 펜, 연필, 마커, 크레용, 지우개, 형광펜, 칫솔, 포크 및 스푼 중 하나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구는 세장형 영역 및 사용 부분 중 적어도 일부 내에 배치된 내부 요소를 더 포함하며, 내부 요소는 잉크, 납, 흑연 및 왁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기에 적합한 챔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세장형 영역 및 사용 부분은 나사산, 스냅 끼워 맞춤 맞물림 및 기계적 간섭과 같은 커플링을 통해 가중 요소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베이스의 하부 단부 또는 가중 요소의 하부 단부는 평평한 영역, 일반적으로 펑평한 단부를 갖는 복수의 스파이크 요소, 및 일반적으로 둥근 단부를 갖는 복수의 스파이크 요소 중 하나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을 특징으로 하는 신규성의 다양한 특징과 함께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태와 함께 이들은 특히 본 명세서에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지적되고, 본 개시내용의 일부를 형성한다. 본 개시내용, 이의 동작 이점 및 이의 사용에 의해 달성되는 특정 목적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고 설명된 첨부된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취해진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 범위를 참조로 더욱 잘 이해될 것이며, 동일한 요소는 동일한 기호로 식별된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개시된 셀프 라이팅 핸드헬드 기구의 예시적인 도시도;
도 2a는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개시된 셀프 라이팅 핸드헬드 기구의 예시적인 도시도;
도 2b는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개시된 셀프 라이팅 핸드헬드 기구의 예시적인 도시도;
도 2c는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개시된 셀프 라이팅 핸드헬드 기구의 예시적인 도시도;
도 2d는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개시된 셀프 라이팅 핸드헬드 기구의 예시적인 도시도;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베이스로부터 분리되는 개시된 셀프 라이팅 핸드헬드 기구의 세장형 영역 및 사용 부분의 예시적인 도시도;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베이스 상에 미적 특징을 포함하는 개시된 셀프 라이팅 핸드헬드 기구의 예시적인 도시도;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개시된 셀프 라이팅 핸드헬드 기구의 다른 예시적인 도시도;
도 6은 베이스의 하부 단부 상에 평평한 영역을 포함하는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개시된 셀프 라이팅 핸드헬드 기구의 예시적인 도시도;
도 7a는 일반적으로 평평한 단부를 갖는 복수의 스파이크 요소를 포함하는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개시된 셀프 라이팅 핸드헬드 기구의 예시적인 도시도; 및
도 7b는 일반적으로 둥근 단부를 갖는 복수의 스파이크 요소를 포함하는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개시된 셀프 라이팅 핸드헬드 기구의 예시적인 도시도.
동일한 참조 번호는 여러 도면의 설명 전반에 걸쳐 동일한 부분을 나타낸다.
본 개시내용을 수행하기 위한 최상의 모드는 본 명세서에서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고려하여 제시된다. 예시를 위해 본 명세서에 상세히 설명된 바람직한 실시예는 많은 변형이 가능하다.
상황이 제시되거나 적절하게 제공될 수 있을 때 균등물의 다양한 생략 및 대체가 고려되지만, 본 개시내용의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응용 또는 구현을 커버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 표현 용어는 수량의 제한을 나타내지 않고, 오히려 언급된 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존재를 나타낸다.
실시예에서, 본 개시내용은 떨어뜨리거나 던져지고, 그렇지 않으면 이동될 때 수직 방향으로 그 자체를 셀프 라이팅할 수 있는 펜과 같은 핸드헬드 기구를 포함한다. 기구는 베이스, 베이스의 적어도 일부 내에 배치되는 가중 요소, 베이스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세장형 영역, 및 베이스로부터 먼 세장형 영역의 단부에 배치된 사용 부분을 포함한다. 베이스는, 예를 들어, 구체 또는 난형체로서 일반적으로 볼록한 하부 측을 갖는다면 임의의 기하학적 형상일 수 있다.
세장형 영역은 사용자에 의해 보유될 수 있고, 그 자체가 구체화된 기구의 손잡이 또는 그렇지 않으면 잡은 수 있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 부분은 잉크가 그려지는 펜의 부분, 수집된 음식을 보관하는 포크의 스포크(spoke), 또는 사용자의 치아 및 잇몸과 접촉하여 이를 닦는 칫솔의 칫솔모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또는 사용자를 위해 동작되는 기구의 특정 부분을 포함한다. 세장형 영역은 그 안에 배치된 내부 요소를, 예를 들어 잉크 카트리지로서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내부 요소는 세장형 영역 내에 제거 가능하게 배치된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기구의 세장형 영역 및 사용 부분은 베이스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된다.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에도 불구하고, 세장형 영역 및 사용 부분은 조합하여 베이스의 개시된 셀프 라이팅 효과가 발생하기 위해 가중 요소의 질량보다 작은 질량을 포함해야 한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사용자가 개시된 도구를 사용하는 것을 끝낼 때 언제든지 특정 정지 위치(rest position)에 기구를 놓을 필요없이 단순히 토스(toss)하고, 던지거나 떨어뜨리며, 또는 그렇지 않으면 사람에서 멀리 이동시킬 수 있다. 즉, 평평하거나 실질적으로 평평한 표면상에서 이와 같이 변위될 때, 사용자가 동일한 것을 변위시키는 때에 기구의 방향에 관계없이, 일반적으로 볼록한 베이스 하부 측과 관련하여 가중 요소는 사용자의 개입 또는 임의의 외부 힘의 인가를 필요하지 않고 직립 수직 방향으로 기구를 지향시킨다. 추가의 이득으로, 본 개시내용은 사용자가 먼저 베이스를 제거할 필요없이(즉, 기구가 동작적 사용 중에 베이스가 부착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개시된 기구를 동작할 수 있게 하는 것을 알려 주며, 이는 사용자가 기구의 나머지로부터 분리된 동안 베이스를 잘못 두거나 잃어 버리는 것을 방지한다. 본 개시내용은 아마 임의의 비교적 가벼운 핸드헬드 기구, 특히 펜, 유사한 필기 도구 또는 칫솔에 관련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실시 예는 비한정적인 것으로 의도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핸드헬드 기구는 떨어뜨리거나 던져지고, 그렇지 않으면 이동될 때 수직 방향으로 그 자체를 셀프 라이팅할 수 있다. 기구는 가중 요소, 가중 요소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세장형 영역, 및 가중 요소로부터 먼 세장형 영역의 단부에 배치된 사용 부분을 포함한다. 가중 요소는 일반적으로 볼록한 하부 단부를 갖는다면 임의의 기하학적 형상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베이스의 하부 단부는 평평한 영역, 일반적으로 펑평한 단부를 갖는 복수의 스파이크 요소, 및 일반적으로 둥근 단부를 갖는 복수의 스파이크 요소 중 하나를 포함한다.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셀프 라이팅 핸드헬드 기구는 펜과 관련하여 100으로 도시된다. 기구의 사용 부분(10)(예를 들어, 잉크가 그려지는 펜의 단부)은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기구(100)의 방해받지 않은 사용을 허용하기 위해 기구(100)의 말단부에 도시된다. 세장형 영역(12)은 기구(100)의 나머지에 대하여 사용 부분(10)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세장형 영역(12)은 사용자에 의해 이의 하나 이상의 부분에 보유될 수 있다.
베이스(14)는 사용 부분(10)으로부터 먼 기구(100)의 단부에 배치되고, 세장형 영역(12)의 적어도 일부에 결합되고, 당해 세장형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한다. 부가적으로, 베이스(14) 내에 배치된 것은 가중 요소(16)이며, 이러한 가중 요소는 기구(100)의 세장형 영역(12) 및 사용 부분(10)의 조합된 질량보다 큰 질량이어야 한다. 가중 요소는 금속, 금속 합금, 모래, 고무, 플라스틱, 액체, 돌, 실리콘, 오일, 목재, 겔, 토양, 전술한 것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가공된 재료, 또는 이의 임의의 다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베이스(14) 내에 수용된 세장형 영역(12)의 부분은 가중 요소(16)와 연통한다. 대안적 실시예에서, 세장형 영역(12)과 가중 요소(16)는 서로 접촉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베이스(14) 내에 수용된 세장형 영역(12)의 부분 및 베이스(14) 내에 배치된 가중 요소(16)를 제외하고, 베이스(14)는 달리 중공이다.
도 2a, 도 2b, 도 2c 및 도 2d는 개시된 기구(100)에 대한 대안적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a에서, 기구(100)는 칫솔로서 도시되고, 베이스(14)는 일반적으로 오목한 상부 측(18)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며, 여기서 가중 요소(16)는 모래 또는 모래를 포함하는 가공된 재료를 포함한다. 도 2b에서, 기구(100)는 스푼으로서 도시되고, 베이스(14)는 평평한 상부 측(18)을 갖는 것으로서 도시되며, 여기서 가중 요소(16)는 금속 또는 금속 합금 또는 금속 또는 금속 합금을 포함하는 가공된 재료를 포함한다. 도 2c에서, 기구(100)는 형광펜으로서 도시되고, 베이스(14)는 난형체인 것으로서 도시되며, 여기서 가중 요소(16)는 액체 또는 겔 또는 액체 또는 겔을 포함하는 가공된 재료를 포함한다. 도 2d에서, 기구(100)의 세장형 영역(12)은 가중 요소(16)와 연통하는 제1 단부(22)를 갖는 것으로서 도시되며, 여기서 가중 요소(16)는 플라스틱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가공된 재료를 포함한다. 도 2d가 가중 요소(16)의 일부 내에 수용되는 것으로서 제1 단부(22)를 도시하지만, 세장형 영역(12)의 제1 단부(22)와 가중 요소(16) 사이의 연통은 이러한 구성 요소의 단순한 접촉 또는 대신에 이의 교차점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는 것을 생각하고 이해한다(예를 들어, 이러한 하나의 구성 요소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전술한 것에도 불구하고,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베이스는 세장형 영역(12)을 수용하기 위한 임의의 구멍을 제외한 구체를 포함한다. 그러나, 대안으로, 도면에 의해 일반적으로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베이스(14)는 이의 하부 측(20)이 일반적으로 볼록한 표면을 갖는다면 임의의 기하학적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아래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의도된 대로 동작하기 위해, 베이스(14)는 일반적으로 둥근 하부 측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별개로, 베이스(14)의 상부 측(18)은 평평한 표면, 일반적으로 오목한 표면 및 일반적으로 볼록한 표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4)의 상부 측(18) 및 (기구(100)의 사용 부분(10)을 포함하는) 세장형 영역(12)의 조합된 질량이 베이스(14)의 하부 측(20)보다 작게 남아 있다면, 베이스(14)는 사실상 이의 하부 측(20)이 일반적으로 둥글게 되는 임의의 적절한 기하학적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장형 영역(12)은 그 안에 배치된 내부 요소(24)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내부 요소는 기구(100)의 동작에 필요하거나 최적의 동작에 유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구(100)는 펜이고, 내부 요소(24)는 잉크 카트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세장형 영역(12)이 내부 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내부 요소(24)는 세장형 영역(12) 내에 제거 가능하게 배치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비어 있는 잉크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내부 요소(24)를 교체하기를 원할 수 있다. 이러한 추가의 실시예에서, 내부 요소(24)는 세장형 영역(12)으로부터 분리할 수 없다.
예를 들어, 기구(100)가 손상되어 교체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 사용하기 위해, 기구(100)는 기구(100)를 베이스(14)에 제거 가능하게 고정하는 세장형 영역(12)의 제1 단부(22)에서나 그 근처에 커플링(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커플링(26)은 기구(100)와 베이스(14)를 제거 가능하게 맞물리게 하기 위한 임의의 구조적 메커니즘일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커플링(26)은 나사산, 스냅 끼워 맞춤 맞물림 또는 기계적 간섭 중 하나일 것이다. 전술한 것에도 불구하고, 커플링(26)이 본 개시내용에 따라 동작한다면 임의의 구조가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도 4는 개시된 기구(100)를 베이스(14)의 외부 표면상에 배치된 미적 특징부(aesthetic feature)(28)를 갖는 것으로서 개시된 기구(100)를 도시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미적 특징부(28)는 베이스(14)의 외관을 야구공으로서 나타낸다. 그러나, 사실상, 임의의 미적 특징부(28)는 베이스(14)에 독특한 외관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또한, 특정 타입의 미적 특징부(28), 및 더욱이, 이러한 임의의 미적 특징부(28)의 존재는 의도된 목적을 위해 개시된 기구(100)의 동작 또는 사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야 한다.
사용 시에, 사용자는 베이스(14)를 세장형 영역(12) 및 사용 부분(10)과 결합 해제하는 것과 같이 기구(100)의 임의의 구성 요소를 먼저 분리하지 않고 원하는 대로 당해 기구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분리된 임의의 구성 요소를 잘못 배치하는 위험이 제거된다. 사용자가 기구(100)의 사용을 끝내면, 특정 정지 위치에 기구를 놓을 필요없이 자신이 토스하고, 던지거나 떨어뜨리며, 또는 그렇지 않으면 사람에서 멀리 이동시킬 수 있다. 평평하거나 실질적으로 평평한 표면상에서 이와 같이 변위될 때, 개시된 기구(100)는 직립 수직 방향으로 기구를 지향될 것이며, 셀프 라이팅 메커니즘의 결과로서, 사용 부분(10)은 상기 평평한 표면에 대해 상향으로 향하게 되고, 이는 기구(100)를 더욱 쉽게 이용 가능하게 하고, 추후 사용을 위해 사용자에게 식별 가능하게 한다. 기구(100)의 사용 부분(10)이 베이스(14)로부터 세장형 영역(12) 또는 기구(100)의 임의의 다른 부분을 먼저 분리시키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기구(100)가 동작 상태에 있는 동안 사용자가 베이스(14)를 잃거나 잘못 배치하는 위험이 완전히 제거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서, 셀프 라이팅 핸드헬드 기구는 펜과 관련하여 200으로 도시된다. 기구의 사용 부분(210)(예를 들어, 잉크가 그려지는 펜의 단부)은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기구(200)의 방해받지 않은 사용을 허용하기 위해 기구(200)의 말단부에 도시된다. 세장형 영역(212)은 기구(200)의 나머지에 대하여 사용 부분(210)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세장형 영역(212)은 사용자에 의해 이의 하나 이상의 부분에 보유될 수 있다. 가중 요소(216)는 이의 사용 부분(210)으로부터 먼 기구(200)의 단부에 배치된다. 가중 요소(216)의 상부 단부(218)는 세장형 영역(212)의 제1 단부(214)의 적어도 일부와 연통된다. 이러한 도면은 제1 단부(214)가 가중 요소(216)의 상부 단부(218)의 일부 내에 수용되는 것으로 도시하지만, 세장형 영역(212)의 제1 단부(214)와 가중 요소(216)의 상부 단부(218) 사이의 연통은 이러한 구성 요소의 단순한 접접 또는 대신에 이의 교차점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되고 이해된다(예를 들어, 이러한 하나의 구성 요소는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부분적으로 수용됨).
개시된 균형 기능이 의도된 대로 동작하기 위해, 가중 요소(216)는 기구(200)의 세장형 영역(212) 및 사용 부분(210)의 조합된 질량보다 큰 질량이어야 한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이러한 도면이 플라스틱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가공된 재료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가중 요소(216)를 도시함에도 불구하고, 가중 요소(216)는 금속, 금속 합금, 모래, 고무, 플라스틱, 액체, 돌, 실리콘, 오일, 목재, 겔, 토양, 전술한 것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가공된 재료, 또는 이의 임의의 다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고 고려된다.
가중 요소(216)는 이의 하부 단부(220)가 일반적으로 볼록한 표면을 갖는다면 임의의 기하학적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다른 곳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의도된 대로 동작하기 위해, 가중 요소(216)는 일반적으로 둥근 하부 단부(220)를 가져야 한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별도로, 가중 요소(216)의 상부 단부(218)는 평평한 표면, 일반적으로 오목한 표면 및 일반적으로 볼록한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기구(200)의 사용 부분(210)을 포함하는) 세장형 영역(212)의 질량이 가중 요소(216)의 질량보다 작게 유지된다면. 가중 요소(216)는 사실상 이의 하부 단부(220)가 일반적으로 둥근 임의의 적절한 기하학적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가중 요소(216)의 하부 단부(2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평평한 영역,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평평한 단부를 갖는 스파이크 요소,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둥근 단부를 갖는 스파이크 요소와 같이, 평평한 영역, 일반적으로 펑평한 단부를 갖는 복수의 스파이크 요소, 및 일반적으로 둥근 단부를 갖는 복수의 스파이크 요소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한 영역(34)이 이의 말단점(terminal point)에 위치되는 것을 제외하고, 기구(100) 의베이스(14)의 하부 단부(22)는 일반적으로 볼록하고 둥근 형상을 포함한다. 베이스(14)의 하부 단부(22)의 둥근형(roundedness)을 평평하게 하거나 제한하기 위한 평평한 영역(34)의 존재는 기구(100)의 셀프 라이팅 기능에 불리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고, 오히려 셀프 라이팅 기능이 완료되면 상기 직립 위치에 기구(100)의 더욱 안정한 유지를 지지할 수 있다. 즉, 베이스(14)의 하부 단부(22)의 말단부 상에 평평한 영역(34)을 제공함으로써, 기구(100)가 정지하게 되는 일반적으로 평평한 표면과 접촉하는 베이스의 표면적은 최대화될 수 있으며, 이는 셀프 라이팅 기능의 수행 후에 기구(100)의 바람직하지 않은 임의의 흔들리거나 상하의 움직임을 최소화한다.
추가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4)의 하부 측(22)은 대안으로 기구(100)의 셀프 라이팅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구형 배치로 형성되는 복수의 개개의 스파이크 요소(36)를 포함할 수 있다. 스파이크 요소(36)는 분리되며(즉, 연속적인 구조를 형성하지 않음), 기구(100)의 셀프 라이팅 기능이 만족스런 상태로 유지되는 한, 이격되는 정도는 중요하지 않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도 7a의 스파이크 요소(36)는 이의 하부 단부에서 일반적으로 평평하지만, 도 7b는 스파이크 요소(36)가 일반적으로 둥글게 되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에 대한 전술한 설명은 예시 및 설명을 위해 제공되었다. 이것은 포괄적이거나 본 개시내용을 개시된 정확한 형태로 제한하려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으며, 전술한 교시의 관점에서 명백하게 많은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시적인 실시예는 본 개시내용의 원리 및 이의 실제적인 적용을 가장 잘 설명하여, 당업자가 고려된 특정 용도에 적합한 다양한 수정으로 본 개시내용 및 다양한 실시예를 가장 잘 이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선택되고 설명되었다.

Claims (25)

  1. 셀프 라이팅 핸드헬드 기구(self-righting handheld utensil)로서,
    상부 측 및 일반적으로 볼록한 표면을 포함하는 하부 측을 가진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적어도 일부 내에 배치된 가중 요소(weighted element);
    상기 베이스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세장형 영역(elongated region)으로서, 상기 세장형 영역의 상기 제1 단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베이스의 적어도 일부 내에 배치되고, 상기 세장형 영역은 사용자에 의해 보유될 수 있는, 상기 세장형 영역; 및
    상기 세장형 영역의 상기 제2 단부 상에 배치된 사용 부분을 포함하되,
    상기 가중 요소는 사용자의 개입 또는 외부 힘의 인가를 필요하지 않고 상기 기구를 지지하는 평평하거나 실질적으로 평평한 표면에 대해 상기 기구를 직립 수직 방향으로 균형을 이루어, 상기 기구를 지지하는 평평하거나 실질적으로 평평한 표면에 대해 상기 세장형 영역 및 상기 사용 부분을 수직으로 지향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기구는 상기 베이스가 먼저 상기 세장형 영역 또는 상기 사용 부분으로부터 분리될 필요 없이 사용될 수 있는, 셀프 라이팅 핸드헬드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영역의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가중 요소와 연통하는, 셀프 라이팅 핸드헬드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구체(sphere) 및 난형체(ovoid) 중 하나인, 셀프 라이팅 핸드헬드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기 상부 측은 평평한 표면, 일반적으로 오목한 표면 및 일반적으로 볼록한 표면 중 하나를 포함하는, 셀프 라이팅 핸드헬드 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 요소는 금속, 금속 합금, 모래, 고무, 플라스틱, 액체, 돌, 실리콘, 오일, 목재, 겔, 토양, 및 전술한 것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가공된 재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셀프 라이팅 핸드헬드 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는 펜, 연필, 마커, 크레용, 지우개, 형광펜, 칫솔, 포크 및 스푼 중 하나인, 셀프 라이팅 핸드헬드 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의 외부 표면상의 미적 특징부(aesthetic feature)를 더 포함하는, 셀프 라이팅 핸드헬드 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기 하부 측은 평평한 영역, 일반적으로 펑평한 단부를 갖는 복수의 스파이크 요소, 및 일반적으로 둥근 단부를 갖는 복수의 스파이크 요소 중 하나를 더 포함하는, 셀프 라이팅 핸드헬드 기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는 상기 세장형 영역 및 상기 사용 부분 중 적어도 일부 내에 배치된 내부 요소를 더 포함하는, 셀프 라이팅 핸드헬드 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요소는 잉크, 납, 흑연 및 왁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기에 적합한 챔버를 포함하는, 셀프 라이팅 핸드헬드 기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상부 측과 상기 세장형 영역의 상기 제1 단부를 제거 가능하게 맞물리게 하는 커플링을 더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세장형 영역 및 상기 사용 부분은 상기 베이스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는, 셀프 라이팅 핸드헬드 기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는 내부 요소를 더 포함하되, 상기 내부 요소는 잉크, 납, 흑연 및 왁스 중 적어도 하나를 보유하기에 적합한 챔버를 포함하는, 셀프 라이팅 핸드헬드 기구.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은 나사산, 스냅 끼워 맞춤 맞물림 및 기계적 간섭 중 하나를 포함하는, 셀프 라이팅 핸드헬드 기구.
  14. 셀프 라이팅 핸드헬드 기구로서,
    상부 단부 및 일반적으로 볼록한 표면을 포함하는 하부 단부를 가진 가중 요소;
    상기 가중 요소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세장형 영역으로서,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가중 요소의 상기 상부 단부와 연통되고, 상기 세장형 영역은 사용자에 의해 보유될 수 있는 상기 세장형 영역; 및
    상기 세장형 영역의 상기 제2 단부 상에 배치된 사용 부분을 포함하되,
    상기 가중 요소는 사용자의 개입 또는 외부 힘의 인가를 필요하지 않고 상기 기구를 지지하는 평평하거나 실질적으로 평평한 표면에 대해 상기 기구를 직립 수직 방향으로 균형을 이루어, 상기 기구를 지지하는 평평하거나 실질적으로 평평한 표면에 대해 상기 세장형 영역 및 상기 사용 부분을 수직으로 지향되게 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기구는 상기 가중 요소가 먼저 상기 세장형 영역 또는 상기 사용 부분으로부터 분리될 필요 없이 사용될 수 있는, 셀프 라이팅 핸드헬드 기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영역의 상기 제1 단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가중 요소의 상기 상부 단부의 적어도 일부 내에 수용되는, 셀프 라이팅 핸드헬드 기구.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 요소의 상기 상부 단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세장형 영역의 상기 제1 단부의 적어도 일부 내에 수용되는, 셀프 라이팅 핸드헬드 기구.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 요소의 상기 상부 단부는 평평한 표면, 일반적으로 오목한 표면 및 일반적으로 볼록한 표면 중 하나를 포함하는, 셀프 라이팅 핸드헬드 기구.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 요소는 금속, 금속 합금, 모래, 고무, 플라스틱, 액체, 돌, 실리콘, 오일, 목재, 겔, 토양, 및 전술한 것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가공된 재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셀프 라이팅 핸드헬드 기구.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는 펜, 연필, 마커, 크레용, 지우개, 형광펜, 칫솔, 포크 및 스푼 중 하나인, 셀프 라이팅 핸드헬드 기구.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는 상기 세장형 영역 및 상기 사용 부분 중 일부 내에 배치된 내부 요소를 더 포함하는, 셀프 라이팅 핸드헬드 기구.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요소는 잉크, 납, 흑연 및 왁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기에 적합한 챔버를 포함하는, 셀프 라이팅 핸드헬드 기구.
  22.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는 상기 가중 요소의 상기 상부 단부와 상기 세장형 영역의 상기 제1 단부를 제거 가능하게 맞물리게 하는 커플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세장형 영역 및 상기 사용 부분은 상기 가중 요소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는, 셀프 라이팅 핸드헬드 기구.
  23.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는 내부 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부 요소는 잉크, 납, 흑연 및 왁스 중 적어도 하나를 보유하기에 적합한 챔버를 포함하는, 셀프 라이팅 핸드헬드 기구.
  24.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은 나사산, 스냅 끼워 맞춤 맞물림 및 기계적 간섭 중 하나를 포함하는, 셀프 라이팅 핸드헬드 기구.
  2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단부는 평평한 영역, 일반적으로 펑평한 단부를 갖는 복수의 스파이크 요소, 및 일반적으로 둥근 단부를 갖는 복수의 스파이크 요소 중 하나를 더 포함하는, 셀프 라이팅 핸드헬드 기구.
KR1020177026432A 2015-02-20 2016-02-09 셀프 라이팅 핸드헬드 기구 KR201701384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627,001 US9579923B2 (en) 2015-02-20 2015-02-20 Self-righting handheld utensil
US14/627,001 2015-02-20
US14/673,142 US9700131B2 (en) 2015-02-20 2015-03-30 Self-righting handheld utensil
US14/673,142 2015-03-30
US14/817,713 2015-08-04
US14/817,713 US9668598B2 (en) 2015-02-20 2015-08-04 Self-righting handheld utensil
PCT/US2016/017074 WO2016133737A1 (en) 2015-02-20 2016-02-09 Self-righting handheld utensi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8409A true KR20170138409A (ko) 2017-12-15

Family

ID=56692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6432A KR20170138409A (ko) 2015-02-20 2016-02-09 셀프 라이팅 핸드헬드 기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3258819A4 (ko)
JP (2) JP2018508389A (ko)
KR (1) KR20170138409A (ko)
CN (1) CN107531084A (ko)
AU (1) AU2016220377A1 (ko)
CA (1) CA2977199C (ko)
HK (1) HK1246119A1 (ko)
WO (1) WO20161337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4804A2 (en) * 2018-05-23 2018-07-26 Action Hub Plus, Corp. Kitchen utensil hygienic cover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90827926A (en) * 1908-12-23 1909-11-04 Francis George Bell An Improved Holder for Pens, Pencils and the like.
FR849588A (fr) * 1939-01-28 1939-11-27 Dispositif pour maintenir des articles de bureau ou autres verticaux pour les signaler automatiquement à l'usager
JPS5240832Y2 (ko) * 1971-11-22 1977-09-14
WO1989006152A1 (en) * 1988-01-08 1989-07-13 Nikkal Industries, Ltd. Dinnerware assemblable to toy configuration
US4854587A (en) * 1988-03-14 1989-08-08 Groves Keith N Pop-up practice batting tee
FR2654314A1 (fr) * 1989-11-15 1991-05-17 Rog Betinna Brosse a dents autostable avec ou sans reservoir de gel ou pate dentaire integre rechargeable et avec brosse interchangeable ou fixe.
DE29619569U1 (de) * 1996-11-12 1997-03-27 Klotz Mathias Sich selbständig aufrichtender, bzw. aufrechtstehender Bedarfsgegenstand, vorzugsweise Zahnbürste
JPH1124563A (ja) * 1997-06-30 1999-01-29 Isao Shirayanagi 起き上がりスタンド
US6200052B1 (en) * 1998-05-15 2001-03-13 Kristina Pitaniello Balancing pen
US6490760B1 (en) * 2000-06-16 2002-12-10 Jennifer L. Lauer Self-standing, hand held implements
JP2004074712A (ja) * 2002-08-21 2004-03-11 Maana:Kk スタンド
US20060226324A1 (en) * 2004-11-30 2006-10-12 Kristina Pitaniello Balancing holder for writing instrument
US20070039109A1 (en) * 2005-08-11 2007-02-22 Puneet Nanda Toothbrush
CN201790219U (zh) * 2010-09-27 2011-04-13 南通众联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不倒翁可拆卸式牙刷
CN201996192U (zh) * 2010-10-15 2011-10-05 浙江洁瓴实业有限公司 餐具套件
US8769832B1 (en) * 2011-03-18 2014-07-08 Michael Joyner Utensils having elevated distal ends for preventing germs and contamin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977199A1 (en) 2016-08-25
AU2016220377A1 (en) 2017-09-28
JP2018508389A (ja) 2018-03-29
CN107531084A (zh) 2018-01-02
CA2977199C (en) 2022-08-16
EP3258819A1 (en) 2017-12-27
JP3224015U (ja) 2019-11-21
WO2016133737A1 (en) 2016-08-25
EP3258819A4 (en) 2018-10-31
HK1246119A1 (zh) 2018-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68598B2 (en) Self-righting handheld utensil
US20180043728A1 (en) Self-righting handheld utensil
US20200011477A1 (en) Self-righting handheld utensil
JP6337070B1 (ja) ペンホルダー
US6490760B1 (en) Self-standing, hand held implements
US3651601A (en) Flower holders
US20180215192A1 (en) Decorative writing instrument
US20170303675A1 (en) Self-righting handheld utensil
KR20170138409A (ko) 셀프 라이팅 핸드헬드 기구
US9764589B2 (en) Handle and connector for an illustration unit
JP7440608B2 (ja) 金属製ホワイトボード用の用具ホルダ
CN210204332U (zh) 一种可变重心的筷子
WO2017137817A1 (en) A connecting element with dual engaging means
KR200477887Y1 (ko) 펜꽂이 기구
JP3234971U (ja) 起立式手持装置
US387280A (en) Territoey
KR102198098B1 (ko) 위생 숟가락
US20050121352A1 (en) Multi-purpose holder having a post
US20140033607A1 (en) Handheld Bouquet Container
US20050141949A1 (en) Ink marker bottle
KR200454542Y1 (ko) 필기구 보관대
JP2004074712A (ja) スタンド
KR20200002283A (ko) 바닥까지 물이 흐르지 않는 컵
US20150360503A1 (en) Marker with an Integrated Eraser
KR20130005892U (ko) 필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