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7644A - 완충기 - Google Patents

완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7644A
KR20170137644A KR1020170068268A KR20170068268A KR20170137644A KR 20170137644 A KR20170137644 A KR 20170137644A KR 1020170068268 A KR1020170068268 A KR 1020170068268A KR 20170068268 A KR20170068268 A KR 20170068268A KR 20170137644 A KR20170137644 A KR 20170137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rod
adjustment
unit
longitudinal axis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8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뵈러 안드레아스
슈테판 플로리안
Original Assignee
수스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스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수스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70137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76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0Seat suspensi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4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 F16F9/46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allowing control from a distance, i.e. location of means for control input being remote from site of valves, e.g. on damper external wall
    • F16F9/466Throttling control, i.e. regulation of flow passage geomet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4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0Seat suspension devices
    • B60N2/52Seat suspension devices using fluid means
    • B60N2/527Seat suspension devices using fluid means using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6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both gas and liquid
    • F16F9/062Bi-tubula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4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 F16F9/46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allowing control from a distance, i.e. location of means for control input being remote from site of valves, e.g. on damper external wall
    • F16F9/466Throttling control, i.e. regulation of flow passage geometry
    • F16F9/467Throttling control, i.e. regulation of flow passage geometry using rotary valves
    • F16F9/468Throttling control, i.e. regulation of flow passage geometry using rotary valves controlling at least one bypass to main flow pa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08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with friction surfaces rectilinearly movable along each other
    • F16F7/09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with friction surfaces rectilinearly movable along each other in dampers of the cylinder-and-pisto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F16F9/14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 F16F9/16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 F16F9/18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with a closed cylinder and a piston separating two or more working spaces therein
    • F16F9/19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with a closed cylinder and a piston separating two or more working spaces therein with a single cylinder and of single-tube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완충기는 작업 공간(5)을 구비한 하우징(8), 작업 공간(5) 내에 존재하는 감쇠 유체(10), 작업 공간(5) 내에 배치된 피스톤 유닛(11)으로서, 길이방향 축(7)을 가진 피스톤 로드(12), 피스톤 로드(12)에 고정되며, 작업 공간(5)을 제1 부분 작업 공간(17) 및 제2 부분 작업 공간(19)으로 분할하는 피스톤(13), 제1 부분 작업 공간(17) 및 제2 부분 작업 공간(19)을 접속시키는 흐름 채널(71)을 구비하는, 피스톤 유닛(11), 완충기(1)의 감쇠력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유닛(101)으로서, 흐름 채널(71)의 효율적인 흐름 단면 면적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요소(102), 조정 요소(102) 및 피스톤 로드(12)의 자동화된 배치를 위한 조정 액추에이터(105)를 구비하는, 조정 유닛(101)을 포함하며, 조정 유닛(101)은 완충기(1) 내측에 배치된다.

Description

완충기{SHOCK ABSORBER}
독일 특허 출원 DE 10 2016 209 824.1의 내용은 참조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은 완충기(shock absorber)에 관한 것이다.
완충기는 DE 10 2010 029 180 A1로부터 알려졌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제안하는 문제는 복잡하지 않은, 특히 자동화된 견고한 방식으로 감쇠 작용이 조정될 수 있도록 완충기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기에 의해 해결되며, 이 완충기는 작업 공간을 구비한 하우징, 작업 공간 내에 존재하는 감쇠 유체, 작업 공간 내에 배치된 피스톤 유닛으로서, 길이방향 축을 가진 피스톤 로드, 피스톤 로드에 고정되며 작업 공간을 제1 부분 작업 공간 및 제2 부분 작업 공간으로 분할하는 피스톤 및 제1 부분 작업 공간 및 제2 부분 작업 공간을 접속시키는 흐름 채널을 구비하는, 피스톤 유닛, 및 완충기의 감쇠력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유닛으로서, 흐름 채널의 효율적인 흐름 단면 면적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요소 및 조정 요소와 피스톤 로드의 배치의 자동화된 조정을 위한 조정 액추에이터를 구비하는, 조정 유닛을 포함하고, 조정 유닛은 완충기의 내측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완충기의 감쇠력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유닛이 완충기 내측에 배치되는 것이 발견되었다. 조정 유닛은 특히 완충기의 하우징 내에 배치된다. 이러한 완충기는 특히 조밀한 형태를 가진다. 완충기, 특히 조정 유닛은 개선된 기능 통합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완충기는, 예를 들어 차량 시트, 특히 화물차 또는 승용차 내의 시트를 이동시키도록 사용될 수 있다. 외부적으로 배치된 조정 유닛에 대한 완충기의 개별 전기역학적 연결은 필요하지 않다. 이것은 감소된 풋프린트를 발생시킨다. 조정 유닛과 완충기 사이에서 완충기 외측에 위치된 힘 전달 요소는 불필요하다. 하우징은 감쇠 유체가 존재하는 작업 공간을 포함한다. 이러한 작업 공간 내에는 길이방향 축을 가진 피스톤 로드 및 피스톤 로드에 고정되어 작업 공간을 제1 부분 작업 공간과 제2 부분 작업 공간으로 분할하는 피스톤을 구비한 피스톤 유닛이 배치된다. 조정 유닛은 또한 피스톤 로드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에 대한 길이방향 축에 따른 피스톤 로드의 변위는 피스톤 로드 내측에 위치된 조정 유닛이 적어도 일부분 및/또는 적어도 임시로 하우징 외측에 배치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조정 유닛의 배치는 본 발명의 관점에서 완충기 내측에 있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야만 한다.
제1 부분 작업 공간과 제2 부분 작업 공간은 흐름 채널에 의해 상호접속된다. 조정 유닛은 조정 요소를 포함하며, 이것을 이용하여 흐름 채널의 효율적인 흐름 단면 면적이 조정될 수 있다. 자동화된 조정을 위해서, 조정 요소 및 피스톤 로드의 배치를 조정하는 조정 액추에이터가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완충기는, 특히 자석 밸브에 의해 통제되는 완충기와 비교하여 단순화되고 복잡하지 않은 설계의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완충기는 소형이고 공간 절약적이며 고장에 강하다. 본 발명에 따른 완충기는 1초 미만, 특히 500ms 미만, 특히 300ms 미만의 시간 간격 내의 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완충기의 다른 주요 장점은 영구 에너지화, 즉 영구적인 전력 공급이 필요하지 않다는 점이다.
흐름 채널의 효율적인 흐름 단면 면적의 구체적인 조정을 위한 조정 유닛과의 신호 통신을 대신하는 제어는 감쇠력의 자동화된 조정을 단순화한다. 특히, 이것은 피스톤 로드에 대한 조정 요소의 구체적인 조정을 달성하기 위해 제어 유닛으로부터 조정 유닛으로 전달되는 특정한 제어 신호에 의해서 가능하다.
조정 요소 및 피스톤 로드가 길이방향 축과 관련하여 서로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조정 가능성은 흐름 채널의 흐름 단면 면적의 바람직한 직접 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조정 요소가 길이방향 축과 관련하여 회전할 수 있는 완충기의 실시예는 복잡하지 않은 설계를 가능하게 한다. 특히, 조정 요소는 피스톤 로드 내에서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된다. 조정 요소는 특히 피스톤 로드와 관련하여 그리고 특히 하우징과 관련해 회전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조정 요소가 길이방향 축을 따라 계단, 특히 다수의 계단을 갖는 축턱(shaft shoulder)으로서 설계되는 조정 요소의 실시예는 특정한, 특히 흐름 채널을 형성하는 복수의 스루-개구의 계단식 커버를 가능하게 하며, 여기에서 축턱의 적어도 하나의 계단은 길이방향 축에 직교하게 배향된 둥글지 않은 단면 면적을 가진다. 계단식은 축턱이 피스톤 로드에 대한 조정 요소의 상대적인 회전식 위치에 의존하여, 피스톤 로드의 측벽 내에 형성된 흐름 개구가 커버되거나 개방되도록, 길이방향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짐을 의미한다.
조정 요소가 길이방향 축과 관련해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완충기의 실시예는 조정 요소의 복잡하지 않은 설계를 가능하게 한다. 감쇠 작용은 조정 요소의 축방향 변위에 의해 조정된다. 운동 디바이스에 의해, 특히 조정 액추에이터의 회전식 드라이브 이동이 조정 요소의 축방향 변위로 변환된다. 조정 요소는 특히 드라이브 작용 하에서 특히 피스톤 로드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조정 요소가 스핀들 너트로서 설계되거나 또는 조정 유닛이 니들 밸브로서 설계되는 조정 요소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조정 요소의 축방향 조정 가능성의 복잡하지 않은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조정 유닛이 피스톤 로드 내에 일체형으로 배치되는 통합된 배치는 특히 공간 절약적이다. 특히, 피스톤 로드는 내부에 위치된 부피가 조정 유닛을 위한 구조적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이 발견되었다. 특히, 조정 유닛을 수용하기 위해 완충기 내측 또는 외측에 추가의 구조적 공간을 생성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향상된 기능 및 동일한 구조적 크기를 가진 완충기의 설계가 가능하다.
피스톤 로드가 튜브형 설계인 완충기는 조정 유닛의 효율적인 통합을 가능하게 한다. 튜브형은 피스톤 로드가 속이 비었음을 의미한다. 피스톤 로드의 외부 윤곽이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피스톤 로드의 내부 윤곽이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내부 윤곽은 또한 상이한 형태, 특히 길이방향 축과 관련해 둥글지 않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조정 유닛과의, 구체적으로 조정 액추에이터와의 신호 통신을 대신하는 위치 인식 유닛은 감쇠 작용의 조정, 특히 전원으로부터 완충기의 소정의 분리를 단순화한다. 위치 인식 유닛은 특히 조정 유닛과의 신호 통신을 대신한다. 위치 인식 유닛은 특히 제어 유닛과의 신호 통신을 대신한다.
조정 요소의 기준 위치를 정의하기 위한 기준 요소는 특히 인코더에 의해 즉각적인 위치 인식을 단순화한다. 기준 요소는 예를 들어 기준 마크 또는 다중권(multiturn) 인코더일 수 있다. 특히, 기준 요소는 역학적 기준, 특히 단부 스톱 요소로서 설계된다. 조정 요소가 기준 요소와 대립할 때, 이것은 조정 액추에이터의 모터 전류에서의 뚜렷한 상승을 발생시킨다. 제어 유닛은 기준 요소가 도달할 때 모터 전류에서의 이러한 뚜렷한 상승을 검출할 수 있다.
조정 액추에이터가 회전식 드라이브, 특히 전기 모터로서 설계되는 완충기는 복잡하지 않은 조정 액추에이터의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피스톤 로드의 공동을 봉쇄하기 위한 밀봉 요소는 완충 유체가 피스톤 로드를 가로질러 완충기의 작업 공간으로부터 의도치 않게 탈출하지 않음을 보장한다. 밀봉 요소는 예를 들어 O-링으로서 설계되며 이것은 피스톤 로드의 내부 실린더 표면에서 방사상으로 조정 유닛을 밀봉한다. 길이방향 축에 따른 밀봉 요소의 위치는 다양한 방식으로 확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스톤 로드 내의 조정 요소를 밀봉하는 것이 고안될 수 있다. 조정 요소는 특히 완충기의 작업 공간을 마주하여 배치된다. 밀봉 요소를 작업 공간을 마주하지 않는 조정 액추에이터의 상단면 상에 배치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특히 조정 요소 및 조정 액추에이터는 감쇠 유체, 특히 감쇠 오일에 의해 둘러싸인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바람직한 실시예들, 추가적인 특성들 및 세부사항들은 도면의 도움으로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아래의 설명으로부터 수집될 수 있다.
도 1은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충격 흡수기를 통한 길이방향 단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대한 조정 유닛의 제1 배치의 확대된 부분도,
도 3은 조정 유닛의 제2 배치에서의 도 2에 상응하는 도면,
도 4는 제1 배치에서의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완충기의 통합된 조정 유닛을 갖는 피스톤 로드를 통한 길이방향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제2 배치에서의 조정 유닛을 갖는 도 4에 상응하는 도면,
도 6은 제3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조정 운동학의 개략적인 도면.
도 1 내지 3에 도시된 완충기(1)는 유체 완충기이다. 이러한 유체 완충기의 설계 및 기능은 DE 10 2010 029 180 A1로부터 알려졌으며, 이는 본 명세서에서 참조된다.
완충기(1)는 제1 하우징 단부(2) 및 제2 하우징 단부(16)를 갖는 하우징(4)을 포함한다. 하우징(4)은 제1 하우징 단부(2)에서 가이드 및 밀봉 유닛(3)에 의해 폐쇄된다. 제2 하우징 단부(16)에서, 하우징(4)은 제2 잠금 요소(15)를 포함한다. 하우징(4)은 작업 공간(5) 및 평형 공간(6)을 둘러싼다. 하우징(4)은 길이방향 축(7)을 가진다. 특히, 이것은 적어도 일부분에 대해 길이방향 축(7)에 회전식으로 대칭적으로 설계된다. 하우징(4)은 이중벽 설계일 수 있다. 이것은 특히 내부 하우징(8) 및 외부 하우징(9)을 포함한다. 외부 하우징(9)은 내부 하우징(8)을 둘러싼다. 외부 하우징(9)은 특히 내부 하우징(8)과 동심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평형 공간(6)은 환형의 원통형 공동(cavity)으로서 형성된다.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대안적인 변형예에서, 외부 하우징(9)은 또한 평형 공간(6)이 자신의 원주를 따라서 가변적인, 즉 일정하지 않은 폭을 갖도록 내부 하우징(8)으로부터 오프셋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평형 공간(6)은 특히 위상적으로 수축 가능하게 설계될 수 있다.
작업 공간(5)에는 감쇠 유체(10)가 채워진다. 감쇠 유체(10)는 특히 유압유(hydraulic oil)이다. 평형 공간(6)은 부분적으로 감쇠 유체(10)로 채워진다. 평형 공간(6)의 나머지는 기체, 특히 공기로 채워진다.
가이드 및 밀봉 유닛(3)은 피스톤 로드(12)에 대해 밀착하게 놓이는 제1 밀봉 요소(41)를 포함한다. 피스톤 로드(12) 상에 고정하기 위해서, 제1 밀봉 요소(41)는 클램핑 고리(43)가 배치되는 환형 홈(42)을 가진다. 또한, 가이드 및 밀봉 유닛(3)은 외부 하우징(9)에 고정되는 지지 요소(44)를 포함한다. 지지 요소(44)는 밀봉 고리(45)에 의해서 외부 하우징(9)에 대해 밀착하여 장착된다. 이것은 중심 블라인드 홀(46)을 구비한다. 가이드 및 밀봉 유닛(3)은 중심 보어(central bore)(47)를 구비한다. 이러한 보어(47)는 특히 길이방향 축(7)과 동심으로 배치된다. 피스톤 로드(12)는 보어(47)를 통해 이어진다.
또한, 완충기(1)는 피스톤 로드(12) 및 피스톤(13)을 구비하는 피스톤 유닛(11)을 포함한다. 피스톤(13)은 피스톤 로드(12)에 고정되며 길이방향 축(7)을 따라 내부 하우징(8)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이어진다. 피스톤 로드(12)는 가이드 및 밀봉 유닛(3)에 의해 밀봉되어, 하우징(4) 밖으로 이어진다. 피스톤(13) 반대편의 자신의 단부에서, 피스톤 로드(12)는 제1 잠금 요소(14)에 접속된다.
피스톤(13)은 작업 공간(5)을 제1 하우징 단부(2)와 마주하고 제1 작업 공간 단부(18)를 구비하는 제1 부분 작업 공간(17), 그리고 제2 하우징 단부(16)와 마주하고 제2 작업 공간 단부(20)를 구비하는 제2 부분 작업 공간(19)으로 분할한다.
제1 작업 공간 단부(18)에는 제1 종결 요소(closing element)(21)가 배치된다. 제1 종결 요소(21)는 내부 하우징(8) 내에 배치된다. 제1 종결 요소(21)는 바람직하게는 압입 끼워맞춤(press fit) 또는 나사 고정에 의해 내부 하우징(8)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것은 밀봉 고리(22)에 의해 내부 하우징(8)으로부터 봉쇄된다. 제1 종결 요소(21)는 지지 요소(44)와 단일 조각으로서 설계된다. 따라서, 이는 가이드 및 밀봉 유닛(3)의 설계요소와 같다. 그러나 이론적으로, 제1 종결 요소(21) 및 지지 요소(44)를 분리된 부분들로서 설계하는 것 또한 고안될 수 있다. 제1 종결 요소(21)의 실시예들에 관한 추가의 세부사항을 위해서, DE 10 2005 023 756 A1을 참조한다.
제1 종결 요소는 제1 부분 작업 공간(17)과 평형 공간(6) 사이의, 흐름 접속을 형성하는 제1 평형 채널을 포함한다.
제2 작업 공간 단부(20)에는 제2 종결 요소(24)가 배치된다. 제2 종결 요소(24)는 내부 하우징(8) 내에 배치된다. 제2 종결 요소(24)는 특히 내부 하우징(8) 내에 삽입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압입 끼워맞춤 될 수 있다. 또한, 내부 하우징(8)은 제2 작업 공간 단부(20)의 영역 내의 자신의 원주에 있는 영역들에서 외부 하우징(9)에 기댈 수 있다.
제2 종결 요소(24)는 제2 부분 작업 공간(19)과 평형 공간(6) 사이의 흐름 접속을 형성하는 제2 평형 채널을 포함한다.
제2 종결 요소(24)는 내부 하우징(8)에 대한 단부면에서 스톱 숄더(stop shoulder)(114)에 의해 축방향으로 보강되며 내부 하우징(8)의 내부 원통형 인벨롭 표면에 대해 삽입 칼라(insertion collar)(115)에 의해 축방향으로 보강된다. 삽입 칼라(115)는 길이방향 축(7)과 관련해 방사상 스프링 요소(116)에 의해 방사상으로 초기 인장되고(pretensioned), 초기 인장은 클램핑 볼트(118) 상의 클램핑 너트(117)에 의해 축방향으로 인가된다. 내부 하우징(8)은 외부 하우징(9)의 내부면에 대해 방사상 바깥쪽으로 압착되며 그에 따라 삽입 칼라(115)가 내부 하우징(8)의 내부 원통형 인벨롭 표면에 기대는 영역에서 고정된다.
완충기(1)의 적절한 기능을 위해서, 작업 공간(5)은 항상 감쇠 유체(10)로 완전히 채워져야만 한다. 이것은 작업 공간(5)의 부피 및 평형 공간(6)의 설계에 적응된 감쇠 유체(10)의 양뿐 아니라 제2 평형 채널의 적절한 설계 및 배치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특히, 완충기(1)는 연장 방향(40)이 중력의 방향과 반대로 향하는 바람직한 설치 위치를 가진다. 그에 따라 완충기(1)의 적절한 기능은 바람직한 설치 위치로부터 적어도 77°의 회전각까지 보장될 수 있다.
제2 평형 채널에는 평형 밸브(31)가 제공된다. 평형 밸브(31)의 설계와 관련하여, DE 10 2010 029 180 A1을 참조한다.
평형 밸브(31)는 자동식 밸브로서 설계된다. 이것은 단방향 밸브로서 설계될 수 있다. 특히, 이것은 평형 공간(6)으로부터 제2 평형 채널을 통해 제2 부분 작업 공간(19) 내로의 흐름을 가능하게 하도록 설계된다. 다시 말하면, 평형 밸브(31)는 길이방향 축(7)의 방향에 평행한 연장 방향(40)으로의 피스톤(13)의 이동에 따라 개방되도록 설계된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평형 밸브(31)는 제2 평형 채널을 통한 양방향 흐름을 가능하게 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이것은 2방향 밸브로서 설계된다. 특히, 평형 밸브(31)는 밸브 디스크의 위치와 무관하게 제2 부분 작업 공간(19)과 평형 공간(6) 사이의 양방향 흐름을 가능하게 하는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피스톤 로드(12) 상에서 길이방향 축(7)의 방향으로 사전결정된 제한 힘을 초과함에 따라 평형 밸브(31)가 제2 평형 채널의 개방 상태를 보장하는 과부하 보호 요소를 형성하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과부하 보호의 활성화 특징은 밸브 나선형 스프링 및 밸브 플레이트 스프링의 적절한 선택 및 치수결정에 의해 단순한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평형 밸브(31)의 대안적인 설계가 고안될 수 있다. 평형 밸브(31)에 대한 추가의 세부사항에 있어서, DE 10 2005 023 756 A1, 구체적으로 문단 [0022]를 참조한다.
피스톤 로드(12)는 다수의 부분, 특히 2개의 부분이다. 이것은 외부의, 튜브 형태인 피스톤 로드 슬리브(48)를 포함한다.
피스톤 로드 슬리브(48)는 제1 잠금 요소(14)에 접속될 수 있다. 제1 잠금 요소(14)는 길이방향 축(7)에 동심으로 배치된 스너그 핏(snug fit)(66)을 구비하며, 이것에 의해서 제1 잠금 요소가 피스톤 로드(12), 구체적으로 피스톤 로드 슬리브(48)의 외부면 상에 밀어 넣어진다. 제1 잠금 요소(14)는 용접(67)에 의해 피스톤 로드(12)에 접속된다.
제1 잠금 요소(14)는 대안적으로 내부 스레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제1 잠금 요소(14)가 피스톤 로드 슬리브(48) 상의 상응하는 외부 스레드 상에 나사로 고정된다.
단부 영역(69)에서, 조정 유닛(101)은 리세스(70)를 구비한 조정 요소(102)를 구비한다. 리세스(70)는 길이방향 축(7)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원형 세그먼트로서 형성된다. 이것은 중심각(b)을 가진다. 중심각은 적어도 15°, 특히 적어도 30°, 특히 적어도 45°, 특히 적어도 60°, 특히 적어도 90°이다. 이것은 또한 특히 120°일 수 있다. 중심각에 대한 상한선은 최대 270°, 특히 최대 180°이다. 이론적으로, 리세스(70)의 원형 섹터 형태 또한 가능하다.
리세스(70)는 부분 작업 공간들(17, 19) 사이의 흐름 접속을 형성하는 흐름 채널(71)의 부분이다. 리세스(70)에 추가로, 흐름 채널(71)은 피스톤 로드 슬리브(48) 내의 몇몇 보어들(72)을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보어들(72)은 리세스(70)와 함께 흐름 채널(71)을 형성한다. 흐름 채널(71)은 따라서 피스톤 로드(12) 내에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보어(72)가 피스톤 로드 슬리브(48) 내에 제공된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피스톤 로드 슬리브(48)는 세 개의 보어(72)를 구비한다. 이것은 또한 네 개, 다섯 개, 또는 그보다 많은 보어들(72)을 구비할 수 있다. 보어들(72)은 각각 원주 방향으로 서로에 오프셋된다. 보어들(72)은 모두 동일한 크기를 가진다. 그러나 서로 다른 크기의 보어들(72) 또한 고안될 수 있다.
몇몇 개별 보어들(72)에 대안적으로, 피스톤 로드 슬리브(48)는 또한 연장된 흐름 개구를 가질 수 있다. 흐름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한다. 이것은 최대로 리세스(70)의 중심각만큼 큰 각도 범위를 커버한다.
보어들(72)은 단부 영역(69)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폐쇄될 수 있다. 따라서, 단부 영역(69)은 조정 요소(102)를 형성하며, 이것을 통해서 흐름 채널(71)의 효율적인 흐름 단면이 조정될 수 있다. 흐름 채널(71)의 효율적인 흐름 단면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요소는 따라서 피스톤 로드(12)의 내측, 특히 피스톤 로드 슬리브(48)의 내측에 배치된다.
조정 요소(102)를 통해서, 흐름 채널(71)은 특히 부분 작업 공간들(17, 19) 사이의 흐름 접속을 방해하도록 폐쇄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완충기(1)는 차단될 수 있다.
몇몇 개별 보어들(72)은 완충기(1)의 서로 다른 몇몇 개별 감쇠 설정을 가능하게 한다. 완충기(1)는 따라서 계단식 감쇠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보어들(72)의 바람직한 배치를 통해서, 예를 들어 보어들(72)이 조정 요소(102)의 활성화 방향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버랩하게 배치함으로써, 완충기(1)의 연속적으로 조정 가능한 감쇠 양상을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조정 요소(102)의 조정 방향은 축방향으로 및/또는 길이방향 축(7)에 접하게 배향된다. 유사하게, 피스톤 로드 슬리브(48) 내의 연장된 개구는 완충기(1)의 연속적으로 조정 가능한 감쇠 양상을 가능하게 한다.
조정 요소(102)는 이동가능하고, 특히 피스톤 로드 슬리브(48)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피스톤 로드 슬리브(48)는 내부 하우징(8) 내에 배치된 제1 피스톤 로드 단부(50)에서 감소된 외부 지름을 가지며, 피스톤 로드 스톱(51)을 형성한다. 제1 피스톤 로드 단부(50)의 영역 내의 피스톤 로드 슬리브(48) 상에는, 피스톤 로드 단부 스톱(51)으로부터 시작하여, 제1 스페이서 워셔(52), 특히 플레이트 스프링의 형태인 제1 클로저 요소(53), 피스톤 워셔(54), 특히 플레이트 스프링의 형태인 제2 클로저 요소(55), 제2 스페이서 워셔(56) 및 고정 너트(57)가 배치된다. 고정 너트(57)는 피스톤 로드 스레드 상에 나사로 고정되고 피스톤 로드(12) 상에 피스톤(13)을 고정시킨다. 피스톤(13)은 제1 클로저 요소(53), 피스톤 워셔(54), 제2 클로저 요소(55) 및 피스톤 실(seal)(58)에 의해 형성된다. 피스톤 실(58)은 고리로 형성되며 피스톤 워셔(54) 내의 환형 홈(59) 내에 배치된다. 피스톤 실(58)은 따라서 내부 하우징(8)에 대해 피스톤 워셔(54)를 봉쇄한다.
피스톤 워셔(54) 내에는 몇몇 흐름 채널들(60)이 제공된다. 흐름 채널들(60)은 제1 부분 작업 공간(17)과 제2 부분 작업 공간(19) 사이에 흐름 접속을 형성한다. 클로저 요소들(53, 55)은 각각 흐름 채널들(60) 중 적어도 하나와 상호작용한다. 이들은 또한 몇몇 흐름 채널들(60)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특히, 이들은 밸브 요소로서 작용할 수 있으며 연장 방향(40)에 대한 피스톤(13)의 이동 방향 및/또는 이동 속도에 의존하여 흐름 채널(60)의 효율적인 흐름 단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이들은 흐름 채널(60)을 통과하는 일방향 흐름만이 가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클로저 요소들(53, 55)은 단방향 밸브를 형성한다. 클로저 요소들(53, 55)은 특히 소정의 제한 힘이 초과될 때 개방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이들은 과부하 보호를 형성한다.
피스톤(13)의 대안적인 설계가 고안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흐름 채널(60) 및 클로저 요소들(53, 55)과 관련한 추가의 세부사항들을 위해서, DE 10 2005 023 756 A1의 명세서, 특히 문단 [0023] 이하를 참조한다. 특히, 피스톤(13)을 밀착하게, 즉 흐름 채널(60) 없이 설계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부분 작업 공간들(17, 19)은 피스톤(13)에 의해 유체가 새지 않게 분리된다. 피스톤 로드(12) 내의 흐름 채널(71)은 이러한 경우 부분 작업 공간들(17, 19) 사이에서 오직 직접적인 흐름 접속만을 형성한다.
조정 유닛(101)은 완충기(1)의 감쇠력을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조정 유닛(101)은 조정 요소(102)를 포함한다. 조정 요소(102)는 계단식 축턱으로서 설계된다. 예를 들어 조정 요소(102)는 DE 10 2010 029 180 A1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둥글지 않은 단부 영역을 가지고 설계될 수 있다. 조정 요소(102)는 속이 빈 피스톤 로드(12)의 내부 원통형 인벨롭 표면에 대한 밀봉 요소(103)로서 O-링(O-ring)에 의해 밀봉된다. 도시되지 않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밀봉 요소는 또한 모터(105)와 위치 인식 유닛(107) 사이에서 길이방향 축(7)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모터(105), 트랜스미션(104) 및 조정 요소(102)는 감쇠 유체, 특히 감쇠 오일에 노출될 것이다. 다른 한 편으로, 이것은 위치 인식 유닛(107)에 대한 밀봉을 보장하고 조정 유닛(101)을 제어 유닛에 접속시키는 와이어링을 보장하기에 충분할 것이다.
조정 요소(102)는 트랜스미션(104)을 가로질러 전기 모터(105)에 연결된다. 전기 모터(105)는 트랜스미션(104)을 가로질러 조정 요소(102)에 전달되는 회전식 이동을 제공한다. 조정 요소(102)는 피스톤 로드(12)의 공동(106) 내에 배치되며, 길이방향 축(7)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조정 요소(102)의 축방향 변위는 예를 들어 전기 드라이브에 의해, 특히 전기 모터에 의해 구현된다. 이에 더하여 또는 이와 다르게, 축방향 드라이브 운동을 제공하기 위해 수압식 및/또는 공압식 드라이브가 사용될 수 있다. 회전식 드라이브 운동의 구현은 예를 들어 스핀들 드라이브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선형 모터, 전자기, 공압식 실린더 및/또는 수압식 실린더와 같은 선형 조정 액추에이터가 사용될 수 있다.
작업 공간(5)을 마주하지 않는 모터(105)의 일 단부에는 인코더의 형태인 위치 인식 유닛(107)이 배치된다. 위치 인식 유닛(107)은 조정 유닛(101), 특히 조정 요소(102)의 증가 상대 위치를 인식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기준 요소(108)가 제공된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기준 요소(108)는 공동(106) 안으로 안쪽을 향해 돌출하는 방사상 핀으로서 설계되며 피스톤 로드(12)의 내부 표면상에 배치된다. 기준 요소(108)는 조정 요소(102)에 대한 기계적 기준 단부 스톱 요소이다.
방사상 핀(108) 대신에, 다른 기준 요소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각적으로 인식되는 기준 마크가 제공될 수 있다. 기준 마크는 또한 조정 요소에 상응하게 자기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 조정 요소(102)가 길이방향 축(7) 둘레에서 선회할 수 있는 회전각이 기준 요소로 인해 360° 미만이라는 점이 중요하다. 이것은 위치 인식 유닛(107)을 통한 조정 요소(102)의 절대 위치의 명확한 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튜브형 피스톤 로드(12)는 서로 이격된 몇몇 흐름 개구들(72)을 구비한다. 흐름 개구들(72)은 피스톤 로드(12)의 실린더 인벨롭 벽을 완전히 관통한다. 흐름 개구들(72)은 상부의 제1 부분 작업 공간(17)으로의 공동(106)의 유체 접속을 형성한다. 도 2에 도시된 조정 요소(102)의 배치에서, 흐름 개구들(72)이 명확하다. 이러한 배치에서, 제1 부분 작업 공간(17)으로부터 피스톤 로드(12) 내의 공동(106)을 통해 제2 부분 작업 공간(19)으로 흐름 접속이 제공된다.
피스톤 로드(12)에 대해 조정 요소(102)를 회전시킴으로써, 흐름 개구들(72)이 연속으로 커버된다. 이를 위해서, 흐름 개구들(72)이 길이방향 축(7)에 대한 외부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의 거리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개별적인 흐름 개구들(72)이 길이방향 축(7)에 대한 회전 각도 위치의 측면에서 서로 이격됨을 의미한다.
조정 액추에이터(105)의 활성화에 따라, 회전식 동작은 트랜스미션(104)을 가로질러 조정 요소(102)로 전달된다. 만약 회전식 동작이 충분하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정 요소(102)는 흐름 개구들(72)이 폐쇄된 배치로 놓이게 될 것이다. 이러한 배치에서, 피스톤 로드(12)의 공동(106)을 통한 제1 부분 작업 공간(17)과 제2 부분 작업 공간(19) 사이의 유체 접속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 배치에서 유체 접속은 중단된다.
피스톤 로드(12)에 대한 조정 요소(102)의 회전 위치에 따라서, 더 많거나 더 적은 흐름 개구들(72) 또는 더 많거나 더 적은 흐름 채널의 전체 흐름 면적이 개방된다. 흐름 채널의 효율적인 흐름 단면 면적의 크기에 따라서, 완충기(1)의 감쇠 작용 또는 감쇠력이 변화한다. 효율적인 흐름 단면 면적이 작을수록, 완충기(1)의 감쇠력은 더 크다.
이에 더하여 또는 이와 다르게, 조정 요소(102)의 절대 위치를 직접 검출하기 위해 트랜스미션(104)과 조정 요소(102) 사이에 전위차계가 제공될 수 있다.
기준 이동은 제어 유닛 내의 위치의 예상치 못한 손실 이후 또는 전력 공급 중단 이후 절대 위치의 복구를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서, 조정 요소(102)는 기준 요소(108)에 의해 정의된 기준 위치로 이동된다.
아래에서는, 완충기(1)의 기능이 기술될 것이다. 도 1 및 2에 표현된 조정 요소의 조정 위치에서, 피스톤 로드(12) 내의 흐름 채널(71)은 최대로 개방된다. 연장 방향(40)에 대항하여 피스톤(13)이 이동하면, 감쇠 유체(10)는 따라서 피스톤 로드(12) 내의 흐름 채널(71)을 통해 제2 부분 작업 공간(19)으로부터 제2 부분 작업 공간(17)으로 흐를 수 있다. 또한, 피스톤 로드(12)의 추가 부피에 의해 작업 공간(5)으로부터 변위되는 감쇠 유체(10)는 제1 평형 채널을 통해 평형 공간(6) 내로 흐를 수 있다.
피스톤 로드(12) 상에서 연장 방향(40)에 대항하게 향하는 작은 힘 동안에, 특히 연장 방향(40)에 대항하는 피스톤(13)의 작은 속도 동안에, 제2 평형 채널은 가능한 한 많이 폐쇄되도록 제공된다. 제2 평형 채널을 통한 양방향 흐름을 가능하게 하는 평형 밸브(31)의 경우에서, 평형 밸브(31)는 완전히 폐쇄되지 않는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제2 평형 채널을 통한 양방향 흐름은 언제나 가능하다. 그러나 이론적으로, 평형 밸브(31)가 연장 방향(40)에 대항하게 향하는 피스톤 로드(12) 상의 작은 힘 동안에 폐쇄된 위치에 있는 단방향 밸브로서 설계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평형 밸브(31)의 반응 행동은 밸브 나선형 스프링 및 밸브 플레이트 스프링의 적절한 선택 및 설정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피스톤(13) 내의 흐름 채널(60)은 피스톤(13)의 낮은 속도 동안에 제1 및/또는 제2 클로저 요소(53, 55)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연장 방향(40)으로 피스톤(13)이 운동함에 따라, 감쇠 유체(10)는 피스톤 로드(12) 내의 흐름 채널(71)을 통해 제1 부분 작업 공간(17)으로부터 제2 부분 작업 공간(19)으로 흐를 수 있다. 또한, 평형 밸브(31)가 개방되고 감쇠 유체(10)가 제2 평형 채널을 통해서 평형 공간(6)으로부터 제2 부분 작업 공간(19) 내로 흐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작업 공간(5)이 피스톤 메커니즘(11)에 의해 변위되는 부피로부터 별개로 감쇠 유체(10)로 항상 완전히 채워짐이 보장된다.
제2 종결 요소 내의 평형 밸브(31) 및/또는 피스톤(13) 내의 클로저 요소들(53, 55)은, 연장 방향(40)으로 피스톤 로드(12)가 운동함에 따라, 연장 방향(40)에서의 피스톤 로드(12) 상의 큰 힘 또는 피스톤 로드(12)의 높은 연장 속도 동안에만 제2 종결 요소(24) 내의 제2 평형 채널 및/또는 피스톤(13) 내의 흐름 채널(60)을 통한 감쇠 유체(10)의 흐름이 발생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피스톤(13) 내의 흐름 채널(60) 및/또는 제2 종결 요소 내의 평형 밸브(31)는 따라서 피스톤 로드(12) 상의 큰 속도 및/또는 힘에 의해서 트리거되는 과부하 보호로서 작용하며 그에 따라 완충기(1)의 손상을 방지한다. 물론, 완충기(1)의 감쇠 양상은 흐름 채널(60)의 클로저 요소들(53, 55) 및/또는 평형 밸브(31)의 밸브 요소들의 적절한 선택에 의해 필요한 바와 같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길이방향 축(7) 둘레에서의 조정 요소(102)의 회전에 의해, 피스톤 로드(12) 내의 흐름 채널(71)의 보어들(72)이 폐쇄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피스톤 로드(12) 내의 흐름 채널(71)의 효율적인 흐름 단면이 감소되고, 특히 폐쇄되며, 특히 완전히 폐쇄된다. 제1 부분 작업 공간(17)으로부터의 흐름 채널(71)을 통해 제2 부분 작업 공간(19)으로 흐르거나 또는 그 역으로 진행하는 감쇠 유체(10)의 흐름은 더 이상 가능하지 않다.
평형 밸브(31)는 제2 부분 작업 공간(19)으로부터 평형 공간(6) 내로의 감쇠 유체(10)의 흐름을 방지하므로, 이러한 조정 요소(102)의 위치에 있는 피스톤 로드(12)는 제2 부분 작업 공간(19)의 완전히 폐쇄된 부피로 인해 연장 방향(40)과 반대인 변위에 대항하여 차단된다.
그러나 만약 연장 방향(40)과 반대 방향으로의 피스톤 로드(12) 상의 힘이 사전결정된 제한 힘을 초과한다면, 과부하 보호가 활성화되며 피스톤(13) 내의 흐름 채널(60) 및/또는 제2 종결 요소 내의 제2 평형 채널이 개방된다.
평형 공간(6)으로부터 제2 부분 작업 공간(19) 내로의 감쇠 유체(10)의 흐름을 가능하게 하도록 제2 종결 요소 내의 평형 밸브(31)가 연장 방향(40)으로의 피스톤(13)의 운동에 따라 개방되고, 제1 종결 요소(21) 내의 제1 평형 채널이 폐쇄되기 때문에, 피스톤 로드(12) 내의 폐쇄된 흐름 채널(71)의 경우에서조차도 연장 방향(40)으로의 피스톤 로드(12)의 이동에 대해 완충기(1)는 완전히 차단되지 않는다. 그러나 감쇠 유체(10)가 피스톤 로드(12) 내의 흐름 채널(71)을 통해 제1 부분 작업 공간(17)으로부터 제2 부분 작업 공간(19)으로 흐를 수 없으며, 오히려 제1 부분 작업 공간(17)으로부터 평형 공간(6) 내로 그리고 제2 평형 채널을 통해서 평형 공간(6)으로부터 제2 부분 작업 공간(19)으로 흐르기 때문에, 이것은 최대로 강한 감쇠를 가진다. 따라서 이 경우, 감쇠 특징은 평형 채널들에 의해서, 그리고 또한 특히 평형 밸브(31)에 의해서 결정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연장 방향(40)으로의 피스톤 로드(12)의 운동 속도에 따라서 피스톤(13) 내의 흐름 채널(60)이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클로저 요소들(53, 55)이 설계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속도-종속적인 감쇠 특징이 획득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세부사항을 위해서, DE 10 2005 023 756 A1의 문단 [0028] 이하를 참조한다.
전력 공급 중단의 경우, 위치 인식 유닛(107)은 기준 운동에 의한 위치 인식의 재설정을 보장한다. 이를 위해서, 특히 예를 들어 단부 스톱 요소로서 설계될 수 있는 기준 마크가 사용된다. 조정 요소의 위치가 이것의 변위에서의 예상치 못한 중단 후에 명확하고 쉽게 결정되며 확립될 수 있음을 보장한다.
아래에서는, 도 4 및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예시적인 실시예가 기술될 것이다. 동일한 부분에는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참조번호가 주어지며, 그의 설명을 참조한다. 구조적으로 상이하지만 기능적으로 동일한 부분에는 뒤에 "a"가 붙은 동일한 참조번호가 제공된다.
완충기(1a)에서, 조정 요소(102a)는 상응하는 변위 스핀들(11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스핀들 너트로서 설계된다. 이러한 변위 스핀들은 트랜스미션(104)에 직접 연결된 힘 전달 장치를 형성한다. 변위 스핀들(110)의 회전식 이동은 - 길이방향 축(7) 둘레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 연장 방향(40)으로 또는 그와 반대로 길이방향 축(7)을 따르는 조정 요소(102a)의 변위를 생성한다.
도 4에 도시된 배치에서, 일부 흐름 개구들(72)이 분명하다. 스핀들 너트(102a)가 완충기의 작업 공간(5)을 마주하여 추가로 아래 방향으로 배치되는 도 5에 도시된 배치에서, 흐름 개구들(72)이 커버된다. 이러한 배치는 제1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 3에 대한 배치와 일치한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 조정 유닛은 상응하는 밸브 개구 내에 집어넣을 수 있는, 길이방향 축(7)을 따라 이동 가능한 바늘을 갖는 니들 밸브로서 설계될 수 있다. 밸브 개구 내로의 밸브 바늘의 삽입 깊이에 따라서, 효율적인 흐름 단면 면적이 변경된다. 밸브 개구 내로의 밸브 바늘의 삽입 깊이가 증가할수록 효율적인 흐름 단면 면적이 감소되도록, 밸브 바늘 및/또는 밸브 개구가 길이방향 축(7)을 따라 적어도 일부분에 대해 원뿔형 프로파일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에서는, 도 6의 도움으로 본 발명의 제3 예시적인 실시예가 기술될 것이다. 동일한 부분에는 위의 두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와 동일한 참조번호가 주어지며, 그의 설명을 참조한다. 구조적으로 상이하지만 기능적으로 동일한 부분에는 뒤에 "b"가 붙은 동일한 참조번호가 제공된다.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서와 같이, 회전식 드라이브 이동을 조정 요소(102b)의 축방향 변위로 변환하는 운동 요소(110b)가 제공된다.
흐름 개구들(72)은 특히 길이방향 축(7)을 따라서 서로로부터 소정의 축방향 거리를 두고 배치된다. 조정 요소(102a)의 축방향 변위에 의해서, 연속적으로 더 많거나 더 적은 흐름 개구들(72)이 커버되거나 개방될 수 있다.
조정 요소(102a)에 의해 연속적으로 커버되거나 개방될 수 있는, 예를 들어 연장된 홀의 형태인 단일 흐름 개구만을 제공하는 것이 고안될 수 있다. 이것은 완충기(1a)의 감쇠력의 연속적인 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흐름 개구들(72)은 방사상 피스톤 로드 단부 스톱(51) 위의 피스톤 로드(12) 상에 배치된다. 흐름 개구들(72)은 제1 부분 작업 공간(17)과 조정된다.
운동 요소(110b)는 나선형 슬릿 가이드(112)를 가진 외부 슬리브(111)를 구비하는 모션 스레드로서 설계된다. 슬릿 가이드(112)에는 길이방향 축(7)을 가로지르게 배향된 크로스-볼트(113)가 배치된다. 크로스-볼트(113)는 달리 도시되지 않은 내부 변위 요소로의 회전에 대항해 견고하게 접속된다. 조정 액추에이터 및 조정 요소의 회전식 드라이브 이동에 따라서, 회전 방향에 의존하여, 조정 요소는 가이드 슬릿(112) 내의 크로스-볼트(113)에 의해 힘-가이드되고 길이방향 축(7)을 따라 위쪽으로 또는 아래쪽으로 이동된다.

Claims (18)

  1. 완충기(shock absorber)로서,
    a. 작업 공간(5)을 구비한 하우징(8),
    b. 상기 작업 공간(5) 내에 존재하는 감쇠 유체(10),
    c. 상기 작업 공간(5) 내에 배치된 피스톤 유닛(11)으로서,
    ⅰ. 길이방향 축(7)을 가진 피스톤 로드(12),
    ⅱ. 상기 피스톤 로드(12)에 고정되며, 상기 작업 공간(5)을 제1 부분 작업 공간(17) 및 제2 부분 작업 공간(19)으로 분할하는 피스톤(13),
    ⅲ. 상기 제1 부분 작업 공간(17) 및 상기 제2 부분 작업 공간(19)을 접속시키는 흐름 채널(71)을 구비하는, 상기 피스톤 유닛(11),
    d. 상기 완충기(1)의 감쇠력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유닛(101)으로서,
    ⅰ. 상기 흐름 채널(71)의 효율적인 흐름 단면 면적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요소(102),
    ⅱ. 상기 조정 요소(102) 및 상기 피스톤 로드(12)의 자동화된 배치를 위한 조정 액추에이터(105)를 구비하는, 상기 조정 유닛(101)을 포함하되,
    상기 조정 유닛(101)은 상기 완충기(1) 내측에 배치되는, 완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 채널(71)의 상기 효율적인 흐름 단면 면적의 구체적인 조정을 위해 상기 조정 유닛(101)과의 신호 통신을 대신하는 제어 유닛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완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요소(102) 및 상기 피스톤 로드(12)는 서로에 대해 상기 길이방향 축(7)에 관하여 회전할 수 있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완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요소(102)는 상기 길이방향 축(7)에 관하여 회전할 수 있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완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요소(102)는 상기 길이방향 축(7)을 따라 계단을 갖는 축턱(shaft shoulder)으로서 설계되고, 상기 축턱의 적어도 하나의 계단은 상기 길이방향 축(7)에 직교하게 배향된 둥글지 않은 단면 영역을 갖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완충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요소(102)는 상기 길이방향 축(7)을 따라 다수의 계단을 갖는 축턱으로서 설계되고, 상기 축턱의 적어도 하나의 계단은 상기 길이방향 축(7)에 직교하게 배향된 둥글지 않은 단면 영역을 갖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완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요소(102)는 상기 길이방향 축(7)과 관련해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완충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요소(102)는 스핀들 너트(spindle nut)로서 설계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완충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유닛(101)은 니들 밸브(needle valve)로서 설계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완충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유닛(101)은 상기 피스톤 로드(12) 내에 통합되어 배치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완충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로드(12)는 튜브형으로 설계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완충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위치 인식 유닛(107)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완충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 유닛(107)은 상기 조정 유닛(101)과의 신호 통신을 대신하는, 완충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 유닛(107)은 상기 조정 액추에이터(105)와의 신호 통신을 대신하는, 완충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요소(102)의 기준 위치를 정의하기 위한 기준 요소(108)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완충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액추에이터(105)는 회전식 드라이브로서 설계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완충기.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액추에이터(105)는 전기 모터로서 설계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완충기.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로드(12)의 공동(cavity)(106)을 봉쇄하기 위한 밀봉 요소(103)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완충기.
KR1020170068268A 2016-06-03 2017-06-01 완충기 KR201701376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209824.1 2016-06-03
DE102016209824.1A DE102016209824A1 (de) 2016-06-03 2016-06-03 Dämpf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7644A true KR20170137644A (ko) 2017-12-13

Family

ID=58701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8268A KR20170137644A (ko) 2016-06-03 2017-06-01 완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70350466A1 (ko)
EP (1) EP3252337A1 (ko)
KR (1) KR20170137644A (ko)
CN (1) CN107458276A (ko)
BR (1) BR102017011437A2 (ko)
DE (1) DE1020162098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22441B (zh) * 2019-05-27 2021-03-21 陳旺松 組合式鉸鏈及液壓裝置
CN113124084A (zh) * 2019-12-31 2021-07-16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减振器和运输载具
DE102020204784A1 (de) 2020-04-15 2021-10-21 Suspa Gmbh Dämpfer, insbesondere Hydraulikdämpfer
CN113685479A (zh) * 2021-08-16 2021-11-23 大连大学 一种基于磁性形状记忆合金弹簧的减震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0619A (en) * 1982-05-20 1986-11-04 Atsugi Motor Parts Co., Ltd. Variable-damping-force shock absorber
IN171562B (ko) * 1989-03-03 1992-11-21 Maremont Corp
US5305860A (en) * 1989-03-03 1994-04-26 Maremont Corporation Remote controlled vehicle damper
DE10351794A1 (de) * 2003-11-06 2005-06-09 Suspa Holding Gmbh Schwingungs-Dämpfer
DE102005023756B4 (de) 2005-05-19 2018-11-15 Suspa Gmbh Dämpfer
DE102010029180A1 (de) 2010-05-20 2011-11-24 Suspa Gmbh Dämpf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02017011437A2 (pt) 2017-12-19
EP3252337A1 (de) 2017-12-06
US20170350466A1 (en) 2017-12-07
DE102016209824A1 (de) 2017-12-07
CN107458276A (zh) 2017-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37644A (ko) 완충기
US5833036A (en) Rebound adjustable shock absorber
US4800995A (en) Apparatus for damping courses of motion
US20200180379A1 (en) Twin tube damper with remote gas reservoir
KR0144659B1 (ko) 댐핑력 제어형 유압완충기
US4313529A (en) Hydraulic damper
US4463839A (en) Hydraulic damper
US9394738B2 (en) System for opening and closing a flap
KR100430719B1 (ko) 속도에 따른 감쇠력을 지닌 피스톤-실린더 조립체
EP2574714A2 (en) Rotary hinge with adjustable damping assembly
US20110284333A1 (en) Damper
CN107810345B (zh) 频率相关的阻尼阀组件
GB2266573A (en) Variable damping force shock absorber
KR870001183B1 (ko) 댐핑력 방식의 수압댐퍼
EP3330567B1 (en) Hydraulic damper with a compression stop
KR102068350B1 (ko) 등속 구조의 쇽업소버 기구
GB2142708A (en) Adjustable hydraulic damper
CN104919207A (zh) 具有与位置相关的阻尼器组件的液压悬架阻尼器
US20170350467A1 (en) Damper
US6986414B2 (en) Hydraulic shock absorber
US6655510B2 (en) Hydraulic damper
CN105202100B (zh) 振动阻尼器,特别是用于机动车辆的阻尼可调减振器
US6588555B2 (en) Piston-cylinder unit with at least one bypass groove in the cylinder
CN114303019B (zh) 用于减震器的可调节排放阀组件
KR100623276B1 (ko) 감쇠력가변식 쇼크업소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