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6789A - 양방향 멀티소켓 - Google Patents

양방향 멀티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6789A
KR20170136789A KR1020160068760A KR20160068760A KR20170136789A KR 20170136789 A KR20170136789 A KR 20170136789A KR 1020160068760 A KR1020160068760 A KR 1020160068760A KR 20160068760 A KR20160068760 A KR 20160068760A KR 20170136789 A KR20170136789 A KR 20170136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target device
bearing
depression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8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부섭
Original Assignee
이부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부섭 filed Critical 이부섭
Priority to KR1020160068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6789A/ko
Publication of KR20170136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67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5/00Hand-held or like portable drilling machines, e.g. drill guns; Equipment therefor
    • B23B45/003Attach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5/00Hand-held or like portable drilling machines, e.g. drill guns; Equipment therefor
    • B23B45/008Gear boxes, clutches, bearings, feeding mechanisms or like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1/00Portable power-driven 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tools; Attachments for drilling apparatus serving the same purpose
    • B25B21/002Portable power-driven 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tools; Attachments for drilling apparatus serving the same purpose for special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007Connections or joints between tool parts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 멀티소켓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운동에 기인하여 결속이나 홀의 천공 또는 확장을 유발하기 위한 대상 기기(1)로 장착시키되, 양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중공의 내부 공간을 가지면서 양단 또는 어느 일단에 볼베어링(10)이 개재되어 비트부재 또는 복스홀더를 선택적으로 다단 인입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양방향 멀티소켓에 있어서,
양단의 직경을 동일하게 하면서 해당 형상은 육각 또는 팔각으로 상이하게 구성하거나 또는 양단의 직경 및 형상을 모두 상이하게 구성하고, 양측 단부에서 내부 방향으로 진입되는 해당 공구와의 접촉이 유지되도록 중공의 내부 공간 중앙으로 자성체(20)를 더 배치하고, 상기 볼베어링(10)이 위치되는 양단 또는 일단으로 함몰부(11)가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함몰부(11) 상에는 통공을 부가 천공하여 볼(12)의 인입 수용을 가능하게 하면서 해당 볼의 위치 구속을 위한 커버체(13)가 함몰부 영역으로 개재됨으로써 양 끝단의 조임 여부에 따라 함몰부와 결부될 수 있도록 구성하되, 상기 커버체는 반구 형상으로 구비하여 함몰부의 일부 영역이 커버될 수 있도록 하면서 커버체의 중앙 영역을 함몰부(11)와 미세 간격으로 이격시킴에 따라 커버체의 양쪽 끝 부위만이 함몰부와 중첩 배치되어 함몰부 상에 위치된 볼의 움직임이 커버체(13)와 함몰부와의 사이 간극으로 인해 허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회전운동을 유발하여 관련 작업이 선행되는 대상 기기에 드라이버비트, 드릴비트, 복스홀더 등과 같은 각종 공구를 교체 적용함에 있어서 보다 간편하고 신속한 공구의 교체 작업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 다양한 사이즈의 공구 또한 적용 가능하게 되므로 더욱 광범위한 사용이 가능하게 되고, 일련의 작업시 공구의 교체를 탈부착 타입으로 구현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사다리 작업을 필요로 하거나 협소한 공간 등 기타 작업환경이 열악한 현장에서 과도한 공구의 무게지탱 부담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기대된다.
셋째, 양방향으로 개별 개재가 가능한 구조의 채택으로 하나의 공구뿐 아니라 2종 이상의 대상 공구를 연속적으로 부가 체결할 수 있으며, 대상 기기 및 관련 공구의 끼움 개재시 보다 원활한 삽입과 삽입 후 견고한 결속력이 유지될 수 있으므로 더욱 효과적이다.
넷째, 작업시 저속으로 회전을 주어야 하는 경우와 고속회전시켜야 하는 경우가 나뉠 수 있는데, 감속기어부를 부착하여 저속회전의 경우에도 토크의 감소없이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양방향 멀티소켓{A TWO WAY MULTI SOCKET}
본 발명은 양방향 멀티소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핸드드릴, 충전드릴, 라쳇렌치 등과 같은 대상 기기에 체결되어 각종 공구의 채용 및 사용이 가능하도록 유도하는 소켓으로, 감속기어부를 채택하여 저속에서도 토크의 저하없이 작업의 정밀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 양방향 멀티소켓에 관한 것이다.
특정 재질의 대상물을 접합하거나 홀의 천공, 다듬기 나사결속 등의 작업에서 동종의 재질이나 이종의 재질, 예컨대 목재와 철재, 타일과 철재, 목재와 콘크리트, 유리,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등 작업시 각각의 비트부재와 절삭다듬기 등에 사용되는 초경로 타레바, 목심을 만드는 플러그커터 등이 활용되는바, 이로 인해 잦은 공구의 교체로부터 유발되는 각종 불편함을 감수하여야만 한다.
또한, 앵글의 조립해체를 위하여 볼트, 너트 사용시 목공, 철판, 콘크리트 타일 등의 드릴비트, 이중드릴비트, 센터드릴비트의 작업은 육각드라이버비트로 마무리되는데, 이때 불가피하게 복수의 공구가 마련되어야 함은 물론 시기 적절한 각 공구의 채택시 해당 작업을 위한 제반 공구의 교체가 선행되어야 하므로 작업의 효율성이 현저하게 저하되고 있다.
한편, 근래 들어 보다 다양한 형태 및 기능의 기술사상이 개시되고 있으며, 등록특허 제1434174호 "전동공구의 회전소켓" 내지 등록특허 제1185234호 "공구용 소켓"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사상의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기의 선등록 특허를 포함한 종래 모든 기술사상으로는 전술한 것처럼 하나의 공구 사용시 이에 적합한 툴(TOOL)을 대상 기기에 체결 및 사용한 후, 재차 다음 작업에 필요로 되는 해당 공구를 채용할 수 있도록 기 장착된 툴의 해체 작업을 실시한 후에야 또 하나의 관련 툴을 대상 기기에 체결시킬 수 있으므로, 관련 작업의 행위시 시간이 상당히 지체되는 등 작업자의 피로를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작업시 저속으로 회전을 주어야 하는 경우와 고속회전시켜야 하는 경우가 나뉠 수 있는데, 기존에는 저속회전시 토크의 감소가 초래되어 작업의 효율성이나 정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34174호(공고일자: 2014년08월26일)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멀티소켓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회전운동을 유발하여 관련 작업이 선행되는 대상 기기에 드라이버비트, 드릴비트, 복스홀더 등과 같은 각종 공구를 교체 적용함에 있어서 보다 간편하고 신속한 공구의 교체 작업이 실시될 수 있는 양방향 멀티소켓을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양방향으로 개별 개재가 가능한 구조의 채택으로 하나의 공구뿐 아니라 2종 이상의 대상 공구를 연속적으로 부가 체결할 수 있는 멀티소켓을 제공하는 것이 다른 해결 과제이다.
셋째, 대상 기기 및 관련 공구의 끼움 개재시 보다 원활한 삽입과 삽입 후 견고한 결속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관련 구조를 부가하는 것이 또 다른 해결 과제이다.
넷째, 작업시 저속으로 회전을 주어야 하는 경우와 고속회전시켜야 하는 경우가 나뉠 수 있는데, 기존에는 저속회전시 토크의 감소가 초래되어 작업의 효율성이나 정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양방향 멀티소켓(100)을 구성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양방향 멀티소켓(100)은 회전운동에 기인하여 결속이나 홀의 천공 및/또는 확장을 유발하기 위한 대상 공구(1)로 장착시키되, 양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중공의 내부 공간을 가지면서 양단 또는 어느 일단에 볼베어링(10)이 개재되어 비트부재 또는 복스홀더를 선택적으로 다단 인입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특징으로 제시하는 양방향 멀티소켓(100)은 중공의 내부 공간을 육각 또는 팔각의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특징으로 제시하는 양방향 멀티소켓(100)은 양단의 직경을 동일하게 하면서 해당 형상은 상이하게 구성하거나 또는 양단의 직경을 상이하게 하면서 해당 형상은 동일하게 구성하거나 또는 양단의 직경 및 형상을 모두 상이하게 구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특징으로 제시하는 양방향 멀티소켓(100)은 중공의 내부 공간으로 자성체(20)를 더 수용하여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한편, 상기 볼베어링(10)이 위치되는 양단 또는 일단으로 함몰부(11)가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함몰부(11) 상에는 통공을 부가 천공하여 볼(12)의 인입 수용을 가능하게 하되 해당 볼의 위치 구속을 위한 커버체(13)가 함몰부 영역으로 개재되면서 양 끝단의 조임 여부에 따라 함몰부와 결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양방향 멀티소켓은, 대상기기연결부, 소켓연결부, 전달기어부 및 베어링 커버로 구성되는 감속기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대상기기연결부는, 원통형 부재로서, 일단부에 상기 대상기기의 공구가 인입수용되도록 상기 일단부측만 개방된 제1내부중공; 타단부에 단면 중심에서 돌출되도록 연결된 피니언기어; 및 상기 타단부측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1베어링;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소켓연결부는, 원통형 부재로서, 일단부에 내부로 인입된, 상기 일단부측만 개방된 제2내부중공; 상기 제2내부중공의 내주면에 연결된 링기어; 상기 제2내부중공이 형성된 단부측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2베어링; 및 타단부는 상기 양방향 멀티소켓의 일단부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달기어부는, 삼각형 플레이트 두개로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중앙부에 형성된 피니언기어가 삽입되는 홀; 상기 두개 하우징사이에 각 꼭지점 부분에 각각 연결된 전달기어; 및 상기 하우징의 중심과 상기 제2내부중공의 폐쇄된 단면 중심을 연결하는 샤프트;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베어링커버는 상기 제1베어링과 제2베어링이 내부로 삽입되는 관형상으로, 내주면에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감속기어부를 더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회전운동을 유발하여 관련 작업이 선행되는 대상 기기에 드라이버비트, 드릴비트, 복스홀더 등과 같은 각종 공구를 교체 적용함에 있어서 보다 간편하고 신속한 공구의 교체 작업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 다양한 사이즈의 공구 또한 적용 가능하게 되므로 더욱 광범위한 사용이 가능하게 되고, 일련의 작업시 공구의 교체를 탈부착 타입으로 구현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사다리 작업을 필요로 하거나 협소한 공간 등 기타 작업환경이 열악한 현장에서 과도한 공구의 무게지탱 부담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기대된다.
셋째, 양방향으로 개별 개재가 가능한 구조의 채택으로 하나의 공구뿐 아니라 2종 이상의 대상 공구를 연속적으로 부가 체결할 수 있으며, 대상 기기 및 관련 공구의 끼움 개재시 보다 원활한 삽입과 삽입 후 견고한 결속력이 유지될 수 있으므로 더욱 효과적이다.
넷째, 작업시 저속으로 회전을 주어야 하는 경우와 고속회전시켜야 하는 경우가 나뉠 수 있는데, 감속기어부를 부착하여 저속회전의 경우에도 토크의 감소없이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멀티소켓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멀티소켓을 간략히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멀티소켓을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
도 4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멀티소켓 사용 상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멀티소켓에 있어서 감속기어부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멀티소켓에 있어서 감속기어부를 간략히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멀티소켓에 있어서 감속기어부를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멀티소켓에 있어서 감속기어부의 기어의 연결상태를 간략히 도시한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멀티소켓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멀티소켓을 간략히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멀티소켓을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멀티소켓 사용 상태 예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멀티소켓에 있어서 감속기어부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멀티소켓에 있어서 감속기어부를 간략히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멀티소켓에 있어서 감속기어부를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멀티소켓에 있어서 감속기어부의 기어의 연결상태를 간략히 도시한 정면도로써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핸드드릴, 충전드릴, 라쳇렌치 등과 같은 대상 기기로 체결되어 각종 공구의 채용 및 사용을 가능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소켓에 관련됨을 주지한다.
무엇보다, 본 발명에서의 양방향 멀티소켓(100)은 목공·철공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제반 작업시 기능별 선택에 따라 자유로이 드릴비트, 드라이버비트, 복스홀더 등의 교체를 원터치로 실시할 수 있게 되어 작업의 정밀성과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특징으로 제시하는 양방향 멀티소켓(100)은 회전운동에 기인하여 결속이나 홀의 천공 또는 확장을 유발하기 위한 대상 공구(1)로 장착되는 기술사상으로, 특히 양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중공의 내부 공간을 가지면서 양단 또는 어느 일단에 볼베어링(10)이 개재되어 비트부재 또는 복스홀더를 선택적으로 다단 인입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의 양방향 멀티소켓(100)은 중공의 내부 공간을 육각 또는 팔각의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양단의 직경을 동일하게 하면서 해당 형상은 상이하게 구성하거나 또는 양단의 직경을 상이하게 하면서 해당 형상은 동일하게 구성하거나 또는 양단의 직경 및 형상을 모두 상이하게 구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은 보다 다양한 사이즈의 적용으로 더욱 광범위한 공구의 적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로 인해 작은 직경에서 큰 직경으로 전환하여 사용 가능하거나 반대로 큰 직경에서 작은 직경의 공구로 전환하여 사용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양방향 멀티소켓(100)을 도 3에서와 같이 중공의 내부 공간으로 자성체(20)를 더 수용하여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자성체(20)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내부 공간의 중앙 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며, 양측 단부에서 내부 방향으로 진입되는 해당 공구와의 보다 긴밀한 접촉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속력의 극대화를 유도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양방향 멀티소켓에 볼베어링을 부가 채용함으로써 멀티소켓으로 삽입 개재되는 해당 공구의 슬라이드 정도 및 적정 수준의 구속력을 제공하게 된다.
즉, 상기 볼베어링(10)이 위치되는 양단 또는 일단으로 함몰부(11)가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함몰부(11) 상에는 통공을 부가 천공하여 볼(12)의 인입 수용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해당 볼의 위치 구속을 위한 커버체(13)가 함몰부 영역으로 개재되는바, 이러한 커버체는 양 끝단의 조임 여부에 따라 함몰부와 결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체를 반구 형상으로 구비하여 함몰부의 일부 영역이 커버될 수 있도록 하되 커버체의 중앙 영역은 함몰부(11)와 미세 간격으로 이격되면서 커버체의 양쪽 끝 부위만이 함몰부와 기밀하게 중첩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은 함몰부 상에 위치된 볼의 움직임이 커버체(13)와 함몰부와의 사이 간극으로 인해 보다 자유로울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한편, 본 발명의 양방향 멀티소켓(100)과 관련하여 보다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그 활용도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4 내지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양방향 멀티소켓 사용 상태 예시도이다.
관련 도면은 도 4이다.
대상 기기(1)의 척으로부터 드라이버비트(200)를 체결한 상태에서 드릴비트(300)의 사용이 요구될 경우 본 발명의 양방향 멀티소켓(100)을 드라이버비트 선단에 삽입 개재하되, 이때 드라이버비트와 대응하는 형상 및 직경의 멀티소켓 일단에 해당 드라이버비트 선단을 배치하여 끼움 체결한 후 멀티소켓의 타단으로 목적으로 하는 드릴비트를 개재한다.
이는 대상 기기의 척으로부터 드라이버비트를 체결한 상태에서 드릴비트의 사용이 요구될 경우 반드시 기 체결된 드라이버비트를 대상 기기의 척으로부터 해체한 후 소정의 드릴비트를 재차 대상 기기의 척에 고정 체결하여 사용하여야 했던 종래와 차별된다.
관련 도면은 도 5이다.
대상 기기(1)의 척으로부터 드라이버비트(200)를 체결한 상태에서 육각홀더(400)의 사용이 요구될 경우 본 발명의 양방향 멀티소켓(100)을 드라이버비트 선단에 삽입 개재하되, 이때 드라이버비트와 대응하는 형상 및 직경의 멀티소켓 일단에 해당 드라이버비트 선단을 배치하여 끼움 체결한 후 멀티소켓의 타단으로 목적으로 하는 육각홀더를 개재한다.
이는 대상 기기의 척으로부터 드라이버비트를 체결한 상태에서 육각홀더의 사용이 요구될 경우 반드시 기 체결된 드라이버비트를 대상 기기의 척으로부터 해체한 후 소정의 육각홀더를 재차 대상 기기의 척에 고정 체결하여 사용하여야 했던 종래와 차별된다.
관련 도면은 도 6이다.
대상 기기(1)의 척으로부터 드라이버비트(200)를 체결한 상태에서 복스홀더(600)의 사용이 요구될 경우 본 발명의 양방향 멀티소켓(100)을 드라이버비트 선단에 삽입 개재하되, 이때 드라이버비트와 대응하는 형상 및 직경의 멀티소켓 일단에 해당 드라이버비트 선단을 배치하여 끼움 체결한 후 멀티소켓의 타단으로 소정의 어뎁터(500)를 개재하고, 상기 어뎁터로 하여금 복스홀더(600)의 삽입 개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대상 기기의 척으로부터 드라이버비트를 체결한 상태에서 복스홀더의 사용이 요구될 경우 반드시 기 체결된 드라이버비트를 대상 기기의 척으로부터 해체한 후 소정의 어뎁터를 대상 기기의 척에 고정 체결함으로써 복스홀더의 장착이 가능했던 종래와 차별된다.
통상적으로 목공, 철, 간판 작업시 목재와 목재, 목재와 철, 알루미늄과 철, 기타 재료의 벽면 부착 및 연결을 행하기 위하여 직결피스를 강압적으로 사용하는데, 이로 인한 과도한 부하 문제로 야기되는 비트의 뭉개짐, 목표점의 부정확성, 결합의 느슨함 등을 본 발명의 양방향 멀티소켓으로 해결할 수 있다.
아울러, 철판 작업시 직결피스의 사용은 드라이브비트의 +자 결합 부위의 불안전성에 의하여 많은 애로사항을 유발시키는데, 본 발명의 양방향 멀티소켓을 사용하여 일차 천공 후 2차 나사못의 결합을 간편하게 실행할 수 있고, 또한 앵글결속 및 해체 작업시 복스드라이버의 수동식 작업을 전동식으로 전환하여 능률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멀티소켓에 감속기어부(102)를 부가하여 저속회전이 필요한 경우에도 토크의 감소없이 작업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감속기어부(102)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방향 멀티소켓(100)은, 대상기기연결부(110), 소켓연결부(120), 전달기어부(130) 및 베어링 커버(140)로 구성되는 감속기어부(102)를 더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 및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상기기연결부(110)는, 원통형 부재로서, 일단부에 상기 대상기기의 공구(200)가 인입수용되도록 상기 일단부측만 개방된 제1내부중공(112); 타단부에 단면 중심에서 돌출되도록 연결된 피니언기어(114); 및 상기 타단부측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1베어링(116);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대상기기연결부(110)는 일단은 상기 대상기기의 공구(200) 즉 드라이버비트 등(200)이 삽입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피니언기어(114)가 연결되어 대상기기의 회전력을 그대로 상기 전달기어부(13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외주면에는 상기 제1베어링(116)이 베어링커버(140)와 연결되어 상기 소켓연결부(120)와 별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자세한 작동방법은 아래에서 별도로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켓연결부(120)는, 원통형 부재로서, 일단부에 내부로 인입된, 상기 일단부측만 개방된 제2내부중공(122); 상기 제2내부중공(122)의 내주면에 연결된 링기어(124); 상기 제2내부중공(122)이 형성된 단부측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2베어링(126); 및 타단부는 상기 양방향 멀티소켓의 일단부와 연결되는 연결부(128);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소켓연결부(120)는, 상기 베어링커버(140)와 상기 제2베어링(126)과 연결되어 상기 대상기기연결부(110)에 비해 감속 회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소켓연결부(120)의 제2내부중공(122)의 내주면을 따라 장착된 상기 링기어(124)와 상기 전달기어부(130)가 맞물려서 상기 피니언기어(114)에서 상기 전달기어부(130)로 전달된 회전력을 감속하여 상기 링기어(124)에 전달하게 됨으로써 감속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대상기기연결부(110)와 마찬가지로 제2베어링(126)과 상기 베어링커버(140)간의 연결로 상기 대상기기연결부(110)와 상기 소켓연결부(120)가 별도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대상기기연결부(110)와 상기 소켓연결부(120)는 결국 상기 베어링커버(140)가 연결하게 되는 것이다.
도 9,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달기어부(130)는, 삼각형 플레이트 두개로 형성된 하우징(132); 상기 하우징(132)의 중앙부에 형성된 피니언기어(114)가 삽입되는 홀(134); 상기 두개 하우징(132)사이에 각 꼭지점 부분에 각각 연결된 전달기어(136); 및 상기 하우징(132)의 중심과 상기 제2내부중공(122)의 폐쇄된 단면 중심을 연결하는 샤프트(138);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달기어부(130)는 상기 피니언기어(114)의 회전력을 상기 링기어(124)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달기어부(130)의 하우징(132) 중심은 상기 소켓연결부(120)의 중심과 상기 샤프트(138)로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전달기어부(130)의 하우징(132)은 고정되고, 따라서 상기 전달기어부(130)의 상기 전달기어(136)는 정위치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32)은 삼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두 개가 한 쌍이 된다. 그 중 상기 대상기기연결부(110)쪽의 삼각형의 플레이트는, 중앙부에 상기 피니언기어(114)가 삽입되도록 홀(134)이 형성되어 있다. 나머지 한 개의 플레이트는 중앙부에 상기 소켓연결부(120)의 단면 중심과 연결되는 샤프트(138)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삼각형의 각 꼭지점에 상기 전달기어(136)가 각각 연결되고, 두개의 삼각형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피니언기어(114)와 상기 전달기어(136) 및 상기 링기어(124)가 맞물려 회전하게 되도록 구성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어링커버(140)는 상기 제1베어링(116)과 제2베어링(126)이 내부로 삽입되는 관형상으로, 내주면에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돌출부(142);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커버(140)는 상기 제1베어링(116)과 제2베어링(126)이 상기 돌출부(142)까지 삽입되어, 상기 제1베어링(116)이 연결된 상기 대상기기연결부(110)와, 상기 제2베어링(126)이 연결된 상기 소켓연결부(12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돌출부(142)로 인해 상기 대상기기연결부(110)의 몸체와 상기 소켓연결부(120)의 몸체가 맞닿지 않고, 각자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돌출부(142)와 상기 베어링커버(140)의 내면에서는 상기 제1베어링(116) 및 제2베어링(126)만 접촉하게 되어 상기 대상기기연결부(110)의 몸체와 상기 소켓연결부(120)의 몸체가 각자 회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대상기기연결부(110) 몸체의 회전속도 보다 상기 소켓연결부(120)의 몸체는 감속하여 회전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감속기어부(102)와 상기 양방향 멀티소켓과 접속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감속기어부(102)와 상기 양방향 멀티소켓의 접속방법은 두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번째로는, 상기 양방향 멀티소켓(100)의 전면부 즉 대상기기가 장착되는 부분에 장착되어 상기 대상기기와 상기 양방향 멀티소켓(100)사이에서 양자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작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대상기기연결부(110)의 상기 제1내부중공(112)에는 대상기기의 공구(200)가 삽입되고, 상기 소켓연결부(120)의 상기 연결부(128)는 사이 대상기기의 공구(200) 형상을 띠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연결하는 경우 상기 감속기어부(102)의 탈부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효과적이다. 즉 감속회전이 필요한 경우 상기 감속기어부(102)를 부착하여 감속 회전이 필요한 작업을 수행한 후, 통상의 회전력이 필요한 작업인 경우 상기 감속기어부(102)를 분리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작업의 종류에 따라 탈부착을 통해 작업의 효율과 정확성을 기할 수 있게 된다.
두번째로는, 상기 양방향 멀티소켓(100) 내부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감속기어부(102)가 상기 양방향 멀티소켓의 상기 함몰부(11)와 상기 자성체(20) 사이에 위치하도록 연결하여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대상기기연결부(110)의 상기 제1내부중공(112)과 상기 양방향 멀티소켓(100)의 상기 중공이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대상기기의 공구(200)가 상기 제1내부중공(112)과 상기 중공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소켓연결부(120)의 상기 연결부(128)는, 상기 자성체(20) 전면(상기 대상기기의 공구(200)가 체결되는 쪽)의 상기 양방향 멀티소켓(100)의 몸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감속기어부(102)가 상기 양방향 멀티소켓(10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연결하는 경우, 연결부(128)위를 어떤 장치를 사용하여 연결할 수도 있으며, 애초부터 상기 감속기어부(102)를 포함한 일체로 할 수도 있다.
상기 감속기어부(102)가 부착된 상기 양방향 멀티소켓의 작동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대상기기의 공구(200)와 연결된 상기 대상기기연결부(110)의 제1내부중공(112)이 형성된 몸체가 상기 대상기기의 공구(200)가 회전함에 따라 같은 회전속도로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피니언기어(114)도 같은 회전속도를 가지게 된다. 상기 피니언기어(114)에 맞물린 상기 전달기어(136)가 상기 피니언기어(114)와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전달기어(136)와 맞물린 상기 링기어(124)에 회전력을 전달하고 상기 링기어(124)는 상기 피니언기어(114)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되 회전속도는 감속되어서 회전하게 된다. 이는 상기 피니언기어(114)의 단면직경과 상기 링기어(124)의 단면직경과의 차이에서 발생되는 현상이다. 즉 상기 피니언기어(114)는 상기 링기어(124)의 단면직경보다 작아 상기 피니언기어(114)가 1회전 하더라도 상기 링기어(124)는 1회전에 못미치게 회전하게 되므로 회전속도에 차이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감속된 회전속도를 가진 상기 링기어(124)는 다시 상기 링기어(124)와 연결된 상기 소켓연결부(120)의 몸체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되어 감속된 회전속도를 가진 소켓연결부(120)가 다시 상기 양방향 멀티소켓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결국 상기 양방향 멀티소켓은 감속된 회전속도를 가지게 된다.
상기 대상기기연결부(110)와 상기 소켓연결부(120)가 별도의 회전속도를 가지고 회전하기 위해서는 상기 대상기기연결부(110)의 몸체와 상기 소켓연결부(120)의 몸체가 맞닿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1베어링(116)과 상기 제2베어링(126) 및 상기 베어링커버(140)가 필요한 것이다. 상기 제1베어링(116)은 상기 대상기기연결부(110)의 외주면에 연결되고, 상기 제2베어링(126)은 상기 소켓연결부(120)의 외주면에 연결된다. 상기 제1베어링(116)과 상기 제2베어링(126)은 상기 베어링커버(140)에 삽입되되, 상기 베어링커버(140)의 돌출부(142)까지 삽입되어 상기 베어링커버(140)와 각 베어링은 맞닿아 연결되나, 상기 대상기기연결부(110)와 상기 소켓연결부(120)의 몸체는 서로 맞닿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베어링(116), 상기 제2베어링(126) 및 상기 베어링커버(140)와의 연결을 통해 상기 대상기기연결부(110)와 상기 소켓연결부(120)의 몸체가 별도의 회전속도를 가진 채 회전할 수 있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운동을 유발하여 관련 작업이 선행되는 대상 기기에 드라이버비트, 드릴비트, 복스홀더 등과 같은 각종 공구를 교체 적용함에 있어서 보다 간편하고 신속한 공구의 교체 작업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 다양한 사이즈의 공구 또한 적용 가능하게 되므로 더욱 광범위한 사용이 가능하게 되고, 일련의 작업시 공구의 교체를 탈부착 타입으로 구현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사다리 작업을 필요로 하거나 협소한 공간 등 기타 작업환경이 열악한 현장에서 과도한 공구의 무게지탱 부담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기대된다.
아울러, 양방향으로 개별 개재가 가능한 구조의 채택으로 하나의 공구뿐 아니라 2종 이상의 대상 공구를 연속적으로 부가 체결할 수 있으며, 대상 기기 및 관련 공구의 끼움 개재시 보다 원활한 삽입과 삽입 후 견고한 결속력이 유지될 수 있으므로 더욱 효과적이다.
또한, 작업시 저속으로 회전을 주어야 하는 경우와 고속회전시켜야 하는 경우가 나뉠 수 있는데, 감속기어부(102)를 부착하여 저속회전의 경우에도 토크의 감소없이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대상기기 10: 볼베어링
11: 함몰부 12: 볼
13: 커버체 20: 자성체
100: 양방향 멀티소켓 102: 감속기어부
110: 대상기기연결부 112: 제1내부중공
114: 피니언기어 116: 제1베어링
120: 소켓연결부 122: 제2내부중공
124: 링기어 126: 제2베어링
128: 연결부 130: 전달기어부
132: 하우징 134: 홀
136: 전달기어 138: 샤프트
140: 베어링커버 142: 돌출부
200: 대상기기의 공구(드라이버비트 등)
300: 드릴비트 400: 육각홀더
500: 어뎁터 700: 복스홀더

Claims (2)

  1. 회전운동에 기인하여 결속이나 홀의 천공 또는 확장을 유발하기 위한 대상 기기(1)로 장착시키되, 양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중공의 내부 공간을 가지면서 양단 또는 어느 일단에 볼베어링(10)이 개재되어 비트부재 또는 복스홀더를 선택적으로 다단 인입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양방향 멀티소켓에 있어서,
    양단의 직경을 동일하게 하면서 해당 형상은 육각 또는 팔각으로 상이하게 구성하거나 또는 양단의 직경 및 형상을 모두 상이하게 구성하고,
    양측 단부에서 내부 방향으로 진입되는 해당 공구와의 접촉이 유지되도록 중공의 내부 공간 중앙으로 자성체(20)를 더 배치하고,
    상기 볼베어링(10)이 위치되는 양단 또는 일단으로 함몰부(11)가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함몰부(11) 상에는 통공을 부가 천공하여 볼(12)의 인입 수용을 가능하게 하면서 해당 볼의 위치 구속을 위한 커버체(13)가 함몰부 영역으로 개재됨으로써 양 끝단의 조임 여부에 따라 함몰부와 결부될 수 있도록 구성하되, 상기 커버체는 반구 형상으로 구비하여 함몰부의 일부 영역이 커버될 수 있도록 하면서 커버체의 중앙 영역을 함몰부(11)와 미세 간격으로 이격시킴에 따라 커버체의 양쪽 끝 부위만이 함몰부와 중첩 배치되어 함몰부 상에 위치된 볼의 움직임이 커버체(13)와 함몰부와의 사이 간극으로 인해 허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멀티소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멀티소켓은, 대상기기연결부(110), 소켓연결부(120), 전달기어부(130) 및 베어링커버(140)로 구성되는 감속기어부(102)를 더 포함하되,
    상기 대상기기연결부(110)는, 원통형 부재로서, 일단부에 상기 대상기기의 공구(200)가 인입수용되도록 상기 일단부측만 개방된 제1내부중공(112); 타단부에 단면 중심에서 돌출되도록 연결된 피니언기어(114); 및 상기 타단부측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1베어링(116);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소켓연결부(120)는, 원통형 부재로서, 일단부에 내부로 인입된, 상기 일단부측만 개방된 제2내부중공(122); 상기 제2내부중공(122)의 내주면에 연결된 링기어(124); 상기 제2내부중공(122)이 형성된 단부측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2베어링(126); 및 타단부는 상기 양방향 멀티소켓의 일단부와 연결되는 연결부(128);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달기어부(130)는, 삼각형 플레이트 두개로 형성된 하우징(132); 상기 하우징(132)의 중앙부에 형성된 피니언기어(114)가 삽입되는 홀(134); 상기 두개 하우징(132)사이에 각 꼭지점 부분에 각각 연결된 전달기어(136); 및 상기 하우징(132)의 중심과 상기 제2내부중공(122)의 폐쇄된 단면 중심을 연결하는 샤프트(138);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베어링커버(140)는 상기 제1베어링(116)과 제2베어링(126)이 내부로 삽입되는 관형상으로, 내주면에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돌출부(142);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감속기어부(10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멀티소켓.
KR1020160068760A 2016-06-02 2016-06-02 양방향 멀티소켓 KR201701367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8760A KR20170136789A (ko) 2016-06-02 2016-06-02 양방향 멀티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8760A KR20170136789A (ko) 2016-06-02 2016-06-02 양방향 멀티소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6789A true KR20170136789A (ko) 2017-12-12

Family

ID=60943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8760A KR20170136789A (ko) 2016-06-02 2016-06-02 양방향 멀티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678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2096A1 (en) * 2020-01-07 2021-07-15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Dual size fastener driver
KR102347437B1 (ko) * 2020-10-28 2022-01-0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체결 기능을 갖는 그리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2096A1 (en) * 2020-01-07 2021-07-15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Dual size fastener driver
KR102347437B1 (ko) * 2020-10-28 2022-01-0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체결 기능을 갖는 그리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09136A (en) Power driven tools
JP5003363B2 (ja) 穿孔工具
CN208825639U (zh) 一种开孔器钻头组件
JP2017030144A (ja) 回転可能な切削工具と当該回転可能な切削工具のためのレンチ
JP2013059814A (ja) アングルヘッド型工具ホルダ
KR20170136789A (ko) 양방향 멀티소켓
US20050279519A1 (en) Right angle impact driver
KR20150003475A (ko) 드릴링머신 및 이에 사용되는 절삭공구
US20110176880A1 (en) Screw tap
CN102489745B (zh) 用于狭窄空间内加工小孔的工具
US20080196554A1 (en) Rocket socket
KR101726547B1 (ko) 다용도 라쳇렌치
US4907663A (en) Drilling tool
AU2014200377A1 (en) A Connection Device or and Drive Assembly for a Cutting Tool
CN213711218U (zh) 一种发动机曲轴飞轮盘车工具
US20060232024A1 (en) Quick installment and removal tool anvil and adaptor
CN210422474U (zh) 一种旋块式潜孔跟管钻头
CN204019433U (zh) 螺丝批
CN210678502U (zh) 一种多规格可调式棘轮扳手
JP3189715U (ja) 電動工具に装着する運動変換アダプター
CN213352327U (zh) 一种转向器
CN204800593U (zh) 一种能装配附件的电动工具
KR20140056769A (ko) 회전방향 전환용 드릴 어댑터
CN220280111U (zh) 一种手持切割机
CN220560444U (zh) 一种可旋转的切削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