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6692A - 위조 지문에 대한 보안성이 향상된 휴대용 보안인증기의 인증방법 - Google Patents

위조 지문에 대한 보안성이 향상된 휴대용 보안인증기의 인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6692A
KR20170136692A KR1020160068418A KR20160068418A KR20170136692A KR 20170136692 A KR20170136692 A KR 20170136692A KR 1020160068418 A KR1020160068418 A KR 1020160068418A KR 20160068418 A KR20160068418 A KR 20160068418A KR 20170136692 A KR20170136692 A KR 20170136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fingerprint
unit
heartbea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8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4394B1 (ko
Inventor
나경필
길용석
김문철
김명하
Original Assignee
에코스솔루션(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코스솔루션(주) filed Critical 에코스솔루션(주)
Priority to KR1020160068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4394B1/ko
Publication of KR20170136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6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82Detecting the live character of the finger, i.e. distinguishing from a fake or cadaver finger
    • G06K9/00107
    • G06K9/000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V40/1318Sensors therefor using electro-optical elements or layers, e.g. electroluminescent sen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4Vascular patter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5Biometric patterns based on physiological signals, e.g. heartbeat, blood flow
    • G06K2009/00932
    • G06K2009/00939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ard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맥파 또는 혈류 변화를 검출하여 1차로 위조 손가락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제1측의 측면에서 제1광을 부여하여 제1측의 반대측의 수광부에서 제1광을 검출하며, 제2측의 측면에서 제2광을 부여하여 제2측의 반대측의 수광부에서 제2광을 검출하고, 검출된 제1광 및 제2광을 이용하여 2차로 위조 손가락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1차 및 2차에서 위조 손가락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지문인식을 행하는 위조 지문에 대한 보안성이 향상된 휴대용 보안인증기의 인증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보안인증기의 인증방법은, 연산처리부가, 맥파검출부로부터 맥파(광용적맥파)신호를 수신하여, 심박신호 검출하고, 검출된 심박신호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위조여부를 판단하는, 심박신호기반 위조지문 판별단계; 심박신호기반 위조지문 판별단계에서 위조지문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손가락의 일측에 위치되는 광원부로부터 출사된 광신호를, 광원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된 수광부를 통해 검출하고, 연산처리부는 수광부로부터 수신된 광신호를 이용하여, 2차적으로 위조지문여부를 판단하는, 측광신호기반 위조지문 판별단계; 측광신호기반 위조지문 판별단계에서 위조지문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연산처리부는 지문센서부로부터 수신된 지문영상을 이용하여 지문인식을 하게 하는, 지문인식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위조 지문에 대한 보안성이 향상된 휴대용 보안인증기의 인증방법{Authentication method for portable secure authentication apparatus with improved security for fake fingerprints}
본 발명은 맥파 또는 혈류 변화를 검출하여 1차로 위조 손가락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제1측의 측면에서 제1광을 부여하여 제1측의 반대측의 수광부에서 제1광을 검출하며, 제2측의 측면에서 제2광을 부여하여 제2측의 반대측의 수광부에서 제2광을 검출하고, 검출된 제1광 및 제2광을 이용하여 2차로 위조 손가락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1차 및 2차에서 위조 손가락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지문인식을 행하는 위조 지문(가짜 지문)에 대한 보안성이 향상된 휴대용 보안인증기의 인증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문 바이오인식은 실험실 등의 높은 보안 수준을 요구하는 장소에서 접근제어를 위해 널리 채택되었다. 모바일 기기에 지문 스캐너를 장착함으로써 휴대전화 관련 보안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최근들어, 컴퓨터, 인터넷, 휴대폰과 같은 정보통신 인프라의 급속한 발달에 따라 개인정보 및 기업정보의 보안에 대한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추세이며, 인터넷이나 휴대폰을 통한 인터넷뱅킹, 신용카드 결제, 모바일 결제 등의 신용 거래가 활발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개인에 대한 고유의 인증 수단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개인이 휴대하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지문인식 기반의 보안 인증기기로서, 특히, 지문정보를 이용하여 보다 안전한 개인 정보 보안 관리를 위해, On-Card Match(MOC)를 활용한 바이오 인증 기반의 휴대용 보안인증 기기에 관해, 국내 특허출원 제10-2015-0022976호를 출원한 바 있다.
최근의 인증 처리방식은 스마트카드 내에서 지문캡처/특징점 추출/매칭의 전체 과정을 수행하는 형태(SOC, System On Card)와 인증처리 방식의 일부 과정을 단말기에서 처리하는 형태(MOC, MatchingOn Card)로 발전하였다.
SOC 스마트카드는 지문 센서 및 지문처리 알고리즘을 스마트카드내에서 처리하여야 하므로 고성능의 CPU와 대용량의 메모리를 사용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반면, MOC 스마트카드는 매칭 알고리즘만 처리하므로 상용 스마트카드로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카드의 매칭에 사용되는 코드는 10kbytes이내 RAM 메모리의 크기는 5kbytes 크기 이내 정도로 구현되며, 처리속도는 5초 이내로 수행한다.
최근 스마트폰을 이용한 모바일 금융 서비스 시장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모바일 기기에 개인 정보가 집중되고 개방적인 무선망을 사용함에 따라 분실이나 도난, 도청 및 감청에 의한 정보 유출과 위조 및 변조에 대한 위험성 또한 증대되었다.
특히, 위조 지문(위조 손가락)을 사용하여 인증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위조 지문의 재질로 실리콘, 비닐, 고무, 종이, OHP, 거미(젤라틴 수용액을 겔화시킨 것, gummy)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중에, 종이, OHP, 고무의 위조지문은 현재 시판되는 지문인식기로 인식되지 않으나, 실리콘, 거미는 지문인식이 될 가능성이 있다. 거미는 인간의 표피의 조성에 상대적으로 가까우며, 전기를 통과시키기 때문에, 정전 용량식 지문 센서나 약 전계 방식 센서를 이용하여도 위조를 검출하기 쉽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투명하다.
선행기술로, 국내 등록특허 제10-1054314호 '위조 지문 검출 장치 및 그 방법'이 있다. 이 발명은 파장이 서로 다른 가시광선 영역의 제1광 및 제2광에 각각 대응하여 취득한 제1광 지문 밝기와 제2광 지문 밝기 및 제1광 지문 밝기와 제2광 지문 밝기의 차를 이용하여 위조지문 여부를 판별한다. 즉, 이 발명의 경우, 제1광 지문 밝기와 기 저장된 제1광 지문 밝기 기준과의 차이, 혹은 제2광 지문 밝기와 기 저장된 제2광 지문 밝기 기준과의 차이, 혹은 제1광 지문 밝기와 제2광 지문 밝기의 차가 기 설정된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지 여부에 의해, 위조지문 여부를 판별하는 것으로, 오차 범위의 값의 설정에 따라 정확도가 좌우되는 데, 위조 지문 재질, 위조 지문 구조 등을 고려하여 오차범위를 설정해야 하며, 이는 쉽지 않다. 따라서 정확도가 다소 떨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맥파 또는 혈류 변화를 검출하여 1차로 위조 손가락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제1측의 측면에서 제1광을 부여하여 제1측의 반대측의 수광부에서 제1광을 검출하며, 제2측의 측면에서 제2광을 부여하여 제2측의 반대측의 수광부에서 제2광을 검출하고, 검출된 제1광 및 제2광을 이용하여 2차로 위조 손가락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1차 및 2차에서 위조 손가락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지문인식을 행하는 위조 지문에 대한 보안성이 향상된 휴대용 보안인증기의 인증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휴대용 보안인증기의 인증방법의 일 실시예는, 연산처리부가, 맥파검출부로부터 맥파(광용적맥파)신호를 수신하여, 심박신호 검출하고, 검출된 심박신호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위조여부를 판단하는, 심박신호기반 위조지문 판별단계; 심박신호기반 위조지문 판별단계에서 위조지문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손가락의 일측에 위치되는 광원부로부터 출사된 광신호를, 광원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된 수광부를 통해 검출하고, 연산처리부는 수광부로부터 수신된 광신호를 이용하여, 2차적으로 위조지문여부를 판단하는, 측광신호기반 위조지문 판별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보안인증기의 인증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혈류검출 광원부로부터 손가락으로 광을 출사하고 손가락의 혈관영상들을 혈류검출 카메라로 검출하고, 연산처리부는 혈류 검출부로부터 수신된 혈관영상의 밝기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위조지문여부를 판단하는, 혈관영상기반 위조지문 판별단계; 혈관영상기반 위조지문 판별단계에서 위조지문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손가락의 일측에 위치되는 광원부로부터 출사된 광신호를, 광원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된 수광부를 통해 검출하고, 연산처리부는 수광부로부터 수신된 광신호를 이용하여, 2차적으로 위조지문여부를 판단하는, 측광신호기반 위조지문 판별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 실시예들은 측광신호기반 위조지문 판별단계에서 위조지문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연산처리부는 지문센서부로부터 수신된 지문영상을 이용하여 지문인식을 하게 하는, 지문인식단계;를 더 포함한다.
심박신호기반 위조지문 판별단계는, 연산처리부가, 맥파검출부로부터 수신된 맥파신호로부터 심박신호를 검출하고, 연이은 심박신호의 간격인 심박간격을 검출하는, 심박 간격 검출단계; 연산처리부가, 심박 간격 검출단계에서 검출된 심박 간격이, 기설정된 심박 기준범위의 최저 심박기준보다 크거나 같고, 심박 기준범위의 최고 심박기준보다 작거나 같은지를 비교하여, 심박 간격이 심박 기준범위의 최저 심박기준보다 작거나, 심박 기준범위의 최고 심박기준보다 크다면, 위조지문이라고 판단하는, 심박간격과 심박 기준범위의 비교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혈관영상기반 위조지문 판별단계는, 혈류 검출부의 혈류검출 카메라로부터 혈관영상을 연산처리부가 수신하고, 수신된 혈관영상으로부터 기 설정된 관심영역의 밝기를 검출하는, 혈관영상의 밝기 검출단계; 연산처리부는 혈관영상의 관심영역의 밝기가 기설정된 밝기 기준치보다 작은지를 비교하고, 밝기 기준치보다 작지 않다면, 위조지문이라고 판단하는, 영상 밝기와 광기준치의 비교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측광신호기반 위조지문 판별단계에서, 광원부는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되는 제1광원부 및 제2광원부를 포함하며, 수광부는 제1광원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된 제1수광부와, 제2광원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된 제2수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측광신호기반 위조지문 판별단계는, 측광 검출부의 제1 수광부로부터 제1광을 수신하고, 측광 검출부의 제2 수광부로부터 제2광을 수신하는, 제1광 및 제2광 수신단계; 제1광 및 제2광 수신단계에서 수신된 제1광의 광도 또는 광량이 기 설정된 광기준치보다 큰 지를 판단하고, 제1광의 광도 또는 광량이 광기준치보다 크다면, 위조지문이라고 판단하는, 제1광과 광기준치의 비교단계; 제1광과 광기준치의 비교단계에서 위조지문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제1광 및 제2광 수신단계에서 수신된 제2광의 광도 또는 광량이 기 설정된 광기준치보다 큰 지를 판단하고, 제2광의 광도 또는 광량이 광기준치보다 크다면, 위조지문이라고 판단하는, 제2광과 광기준치의 비교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측광신호기반 위조지문 판별단계는, 측광 검출부의 제1 수광부로부터 제1광을 수신하고, 측광 검출부의 제2 수광부로부터 제2광을 수신하는, 제1광 및 제2광 수신단계; 연산처리부는 제1광 및 제2광의 광도 또는 광량의 차를 구하고, 구하여진 제1광 및 제2광의 광도 또는 광량의 차를 기설정된 광차 기준치보다 작으면 위조지문이라고 판단하는, 제1광 및 제2광의 광차 비교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들 실시예는, 연산처리부는, 심박신호기반 위조지문 판별단계, 혈관영상기반 위조지문 판별단계, 측광신호기반 위조지문 판별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에서 위조지문이라고 판단되면, 모바일 단말기, POS(point of sales) 단말기, 컴퓨터의 단말기 중 어느 하나로 위조지문 알림신호를 전송하는, 위조 지문 알림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지문인식단계는, 연산처리부는 지문 센서를 통해 지문 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지문 이미지로부터 지문의 특징정보를 추출하는, 지문검출 및 특징추출 단계; MOC 스마트카드는 연산처리부로부터 수신한 지문의 특징정보와, MOC 스마트카드 내에 암호로 기 저장된 사용자 지문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지문정합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맥파검출부는 적외선 발광다이오드와 포토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광원부는 손가락의 좌우측중의 일측에 위치되며, 제2광원부는 손가락의 끝부분에 위치되며, 제1광원부 또는 제2광원부 중 어느 하나는 적외선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진다.
혈류검출 광원부는 적외선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지며, 혈류검출 카메라는 CMOS기반 카메라이다.
제1 수광부 및 제2 수광부는 수평하게 위치된 수광센서와 수직하게 위치된 수광센서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휴대용 보안인증기의 인증방법은 맥파 또는 혈류 변화를 검출하여 1차로 위조 손가락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제1측의 측면에서 제1광을 부여하여 제1측의 반대측의 수광부에서 제1광을 검출하며, 제2측의 측면에서 제2광을 부여하여 제2측의 반대측의 수광부에서 제2광을 검출하고, 검출된 제1광 및 제2광을 이용하여 2차로 위조 손가락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1차 및 2차에서 위조 손가락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지문인식을 행하여, 가짜지문에 대한 보안성을 향상시켰다.
즉, 1차적으로, 맥파 또는 혈류 변화를 통해 사람의 손가락인지 여부를 확인하였으며, 사람의 손가락이라고 인식된 경우, 경우에 따라서 누락될 수 있는 위조 지문이 실리콘 또는 거미 재질일 경우의 잘못되어 사람의 손가락의 지문이라고 판별될 가능성이 있는 데, 이를 확인하기 위해, 2차적으로 측광을 수광하여 실리콘 또는 거미 재질의 위조 지문인지를 판별한 후, 실리콘 또는 거미 재질의 위조 지문이 아니라면 지문인식을 행하도록 이루어져, 위조 지문을 보다 잘 인식하여, 보안성을 높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위조 지문에 대한 보안성이 향상된 휴대용 보안인증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휴대용 보안인증기의 외관의 일예이다.
도 3은 도 1의 휴대용 보안인증기의 사용에 대한 설명을 위한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1의 측광 검출부의 제1광원부와 제1수광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1의 측광 검출부의 제2광원부와 제2수광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1의 지문센서부의 지문센서에서 신호검출에 대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7은 도 1의 휴대용 보안인증기의 연산처리부의 구동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휴대용 보안인증기에서 지문인식 단계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7의 특징추출단계의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위조 지문에 대한 보안성이 향상된 휴대용 보안인증기의 인증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위조 지문에 대한 보안성이 향상된 휴대용 보안인증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휴대용 보안인증기의 외관의 일예이고, 도 3은 도 1의 휴대용 보안인증기의 사용에 대한 설명을 위한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보안인증기(10)는 보안인증기 하우징(20)의 내측에 지문센서부(150)와 MOC 스마트카드(200)를 내장하되, 도 2에서와 같이, 보안인증기 하우징(20)의 통공(창)을 통해, 지문센서부(150)의 지문센서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이루어진다. 지문센서부(150)의 상하 중의 일측에 위조지문 검출부(160)를 구비한다. 위조 지문 검출부(160)은 맥파 검출부(170), 혈류 검출부(175), 측광 검출부(1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맥파 검출부(170)와 혈류 검출부(175) 중 하나는 생략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맥파 센서부(171)가 위조 지문 검출부(160)의 중간부에 위치되고, 측광 검출부(180)의 제1광원부(181), 제2광원부(182). 제1 수광부(183), 제2 수광부(184)가 위조지문 검출부(160)의 전후좌우의 각 측면에 구비되되, 제1광원부(181)와 제1 수광부(183)는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며, 제2광원부(182)와 제2 수광부(184)도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된다. 즉, 제1광원부(181)와 제1 수광부(183)는 손가락의 좌우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며, 제2광원부(182)와 제2 수광부(184)는 손가락의 끝과 손가락의 중간부분(손가락의 첫번째 마디)에 위치되도록 구비된다.
맥파 센서부(171)는 발광다이오드(예를들어 적외선 발광다이오드)와 포토센서로 이루어지는 데, 발광다이오드는 제1광원부(181)과 제2광원부(182) 중 어느 하나로 대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1광원부(181) 및 제2광원부(182)를 광원부라 할 수 있으며, 제1 수광부(183) 및 제2 수광부(184)를 수광부라 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미도시되었으나, 혈류 검출부(175)는 혈류검출 광원부와 혈류검출 카메라(CMOS기반의 카메라)로 이루어지며, 광원부는 제1광원부(181)과 제2광원부(182) 중 어느 하나로 대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카메라는 위조지문 검출부(160)의 중간부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미도시되었으나 휴대용 보안인증기(10)는 작동개시 등의 스위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휴대용 보안인증기(10)는 위조 지문 검출부(160)의 맥파 검출부(170)에서 맥파를 검출하고, 맥파신호로부터 심박 신호를 검출하여, 위조 지문이 심박신호를 가지는 것인지(즉, 사람의 것인지)를 확인하거나, 또는 위조 지문 검출부(160)의 혈류 검출부(175)에서 혈류가 흐르고 있음을 확인하여 1차적으로 위조지문인지를 확인하고, 1차적으로 위조지문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측광 검출부(180)에서 제1광원부(181)와 제2광원부(182)에서 순차적으로 광을 출사하여, 제1 수광부(183) 및 제2 수광부(184)의 광도(또는 광량)을 검출하여 기 설정된 광기준치와 비교하여 2차적으로 위조지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위조지문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도 3에서와 같이, 지문 센서를 통해 지문 이미지를 받아들여, 특징정보를 추출하여, MOC 스마트카드(200)에서,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면, 메모리부(155)에 저장된 데이터의 접근을 허용하여, 소정의 데이터(예를들어 인증에 필요한 데이터(비밀번호, 암호등))를 유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즉, 블루투수 통신부(120), WiFi(Wireless-Fidelity) 통신부(130),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근거리무선통신) 통신부(140), USB 커넥터부(110)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510), POS(point of sales) 단말기, 컴퓨터의 단말기(530) 등으로 전송하여, 인증하게 하여, 모바일 단말기(510), POS 단말기, 컴퓨터의 단말기(530)에서 필요한 작업, 즉 OTP, PKCS, eID, 지불 등을 수행하게 한다.
도 1에서와 같이, 휴대용 보안인증기(10)는 연산처리부(100), 지문센서부(150), MOC 스마트카드(200), 맥파 검출부(170), 혈류 검출부(175), 측광 검출부(180), 메모리부(155), 배터리부(190), 블루투수 통신부(120), WiFi 통신부(130), NFC 통신부(140), USB 커넥터부(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연산처리부(100)는 휴대용 보안인증기(10)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수단으로, CPU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산처리부(100)의 CPU로서, ST사의 STM32F4 시리즈 프로세서 또는 Atmel사의 SAMA5 시리즈를 사용할 수 있다.
연산처리부(100)는 맥파 검출부(170)의 맥파센서부(미도시)로부터 맥파를 수신하여 기설정된 시간구간동안 피크를 검출하여 심박으로 설정하되, 연이은 심박 신호의 간격을 검출하여 기설정된 심박 기준범위와 비교하여 심박 기준범위를 초과할 경우 위조지문이라고 판단한다.
연산처리부(100)는 혈류 검출부(175)의 혈류검출 카메라(미도시)로부터 소정 시간차를 두고 촬상된 2개 이상의 영상을 수신하여, 기 설정된 관심영역의 밝기를 각각 검출하고, 각 영상의 관심영역의 밝기가 기설정된 밝기 기준치보다 작을 경우 위조지문이라고 판단한다.
연산처리부(100)는 맥파 검출부(170)의 맥파신호 또는 혈류 검출부(175)의 영상으로부터 위조지문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측광 검출부(180)의 제1 수광부(183) 및 제2 수광부(184)의 광도(또는 광량)을 수신하여, 제1 수광부(183) 및 제2 수광부(184)의 광의 광도(광량) 중 어느 하나가 기 설정된 광기준치를 초과하는 지를 판단하고, 초과한다면 위조지문이라고 판단한다.
경우에 따라서, 제1광원부(181)와 제2광원부(182)가 서로 다른 파장의 광원을 구비하며, 연산처리부(100)는 제1 수광부(183) 및 제2 수광부(184)의 광의 광도(광량)의 차를 구하여, 구하여진 광도(광량)의 차가 기설정된 광차 기준치보다 작으면 위조지문이라고 판단한다.
연산처리부(100)는 측광 검출부(180)의 측광신호로부터 위조지문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지문센서부(150)를 통해 지문 이미지를 수신하여, 지문 이미지를 가공처리하여 지문의 특징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지문의 특징정보를 MOC 스마트카드(200)로 전송하고, MOC 스마트카드(200)에서 사용자 인증결과를 수신하여, 사용자 인증의 성공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였다면, 메모리부(155)에 저장된 데이터의 접근 등을 허용하게 한다.
지문센서부(150)는 지문센서, 지문센서 구동부 등을 구비한다.
지문센서는 손가락 지문의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수단으로, 지문영상을 검출하여 연산처리부(100)로 전송한다. 지문센서는 스윕(SWIPE)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스윕 센서로서 128×8 픽셀을 인식하는 방식의 CMOS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지문 센서는, 한번에 전체 지문을 인식하는 평면센서와, 라인센서형태로 센서에 손가락을 움직여서 지문을 인식하는 스윕(SWIPE) 센서로 구분되며, 스윕 센서의 경우 가격이 저렴하고 면적을 적게 차지한다.
지문센서 구동부는 연산처리부(100)의 지문센싱 요청신호에 따라 지문센서를 구동시켜, 지문영상을 검출하게 한다.
맥파 검출부(170)는 광용적맥파(맥파)를 검출하는 수단으로, 맥파 센서부(171), 맥파신호 전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맥파 센서부(171)는 발광다이오드(예를들어 적외선 발광다이오드)와 포토센서로 이루어진다.
맥파신호 전처리부는 포토센서로부터 맥파신호를 수신하여 증폭하고, 잡음을 제거하며, 디지탈신호로 변환하여 연산처리부(100)로 전송한다.
혈류 검출부(175)는 광원부(적외선 LED)와 카메라(CMOS기반의 카메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손가락의 혈관영상을 촬상한다.
일반적으로 적외선 LED를 비추어 혈관을 투과시켜 투과된 빛을 CMOS기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혈관을 영상화함으로써, 손가락에 분포 되어있는 혈관 또는 혈액의 흐름 등을 알 수 있다.
측광 검출부(180)는 재질이 거미일 경우 위조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1광원부(181), 제2광원부(182). 제1 수광부(183), 제2 수광부(18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광원부(181)와 제2광원부(182)는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지되, 제1광원부(181)와 제2광원부(182) 중 적어도 하나는 적외선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지며, 제1 수광부(183)와 제2 수광부(184)는 수광센서들로 이루어진다.
제1광원부(181)에서 제1광이 출사될 경우, 제1광원부(181)와 마주보고 있는 제1 수광부(183)의 출력을 연산처리부(100)는 수신하고, 제2광원부(182)에서 제2광이 출사될 경우, 제2광원부(182)와 마주보고 있는 제2수광부(184)의 출력을 연산처리부(100)는 수신한다.
MOC 스마트카드(200)는 연산처리부(100)로부터 수신된 지문의 특징정보를 수신하여, MOC 스마트카드(200) 내에 설치된 바이오인식 매칭 프로그램(Bio matching algorithm)을 통해서, MOC 스마트카드(200) 내에 암호로 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연산처리부(100)로 전송한다.
MOC 스마트카드(200)는 바이오인식 매칭 알고리즘(Bio matching algorithm)을 구비하여 사용자 인증을 행하는 바이오 보안 플랫폼(Bio security platform) 이외에, OTP, PKCS, eID, HPTP, 지불(Payment), 전자화폐(E-Cash) 등의 애플렛(applet)을 포함한다.
메모리부(155)는 MOC 스마트카드(200)에서 사용자 인증 후, 접근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메모리부(155)는 SD 메모리, 즉, Secure uSD로 이루어져, 사용자 인증이 성공으로 이루어진 후 접근되는 메모리로, 모바일 단말기(510), POS 단말기, 컴퓨터의 단말기(530) 등에서 인증을 위한 정보 등, 예를들어, 비밀번호 등을 저장하고 있다. MOC 스마트카드(200)에서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진 후, 연산처리부(100)의 요청에 따라서 소정의 정보를 연산처리부(100)로 전송한다.
배터리부(190)는 휴대용 보안인증기(10)의 내의 전원 수단이다.
블루투수 통신부(120)는 연산처리부(10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블루투스로 모바일 단말기(510), POS 단말기, 컴퓨터의 단말기(530) 등으로 전송한다.
WiFi 통신부(130)는 연산처리부(10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WiFi로 모바일 단말기(510), POS 단말기, 컴퓨터의 단말기(530) 등으로 전송한다.
NFC 통신부(140)는 연산처리부(10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NFC 통신으로 모바일 단말기(510) 등으로 전송한다.
USB 커넥터부(110)는 USB 커넥터와 USB 구동부로 이루어져, USB 커넥터를 통해, 연산처리부(100)와 외부의 컴퓨터의 단말기(530) 등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한다.
도 4는 도 1의 측광 검출부의 제1광원부와 제1수광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고, 도 5는 도 1의 측광 검출부의 제2광원부와 제2수광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4에서와 같이, 손가락의 좌우측 중 일측에 제1광원부(181)가 위치되고, 손가락의 좌우측 중 다른 일측에 제1 수광부(183)가 위치된다. 제1 수광부(183)는 다수의 수광센서로 이루어지되, 수평하게 위치된 수광센서와 수직하게 위치된 수광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수평하게 위치된 수광센서와 수직하게 위치된 수광센서 중 어느 하나를 생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거미로 이루어진 위조지문(149)위에 손가락(145)을 위치시킬 경우, 제1 수광부(183)에서는 위조지문(149)이 없을때 보다 광도(광량)이 높다.
도 5에서와 같이, 손가락의 끝과 손가락 마디부분 중의 일측에 제2광원부(182)가 위치되고, 손가락의 끝과 손가락 마디부분 중의 다른 일측에 제2 수광부(184)가 위치된다. 제2 수광부(184)는 다수의 수광센서로 이루어지되, 수평하게 위치된 수광센서와 수직하게 위치된 수광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수평하게 위치된 수광센서와 수직하게 위치된 수광센서 중 어느 하나를 생략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수직하게 위치된 수광센서를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광원부와 제1수광부 뿐만아니라, 제2광원부와 제2수광부를 구비하여 위조지문여부를 판별하는 이유는 위조지문이 어느 한쪽에 치우쳐 있는 등의 이유로 위조지문 검출이 잘 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6은 도 1의 지문센서부의 지문센서에서 신호검출에 대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6의 (a)는 지문센서로서 스윕 센서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지문센서의 상측부터 하측으로 손가락을 움직이게 하며, 이때 지문센서는 지문 영상을 획득하게 된다.
도 6의 (b)는 도 6의 (a)와 같이, 손가락을 움직일 때 지문 영상을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것으로, 지문센서의 상측부터 하측으로 손가락을 움직임에 따라 각 순간의 지문영상을 다층으로 얻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MOC 스마트카드(200) 내에서 인증을 처리해야하기 때문에 지문정보 및 COS(Card Operating System), 애플리케이션(지문인식 알고리즘 등) 등을 MOC 스마트카드(200) 내에 저장하고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도 7은 도 1의 휴대용 보안인증기의 연산처리부의 구동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즉, 도 7은 본 발명의 휴대용 보안인증기의 인증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심박 간격 검출단계로, 연산처리부(100)는 맥파검출부(170)으로부터 맥파신호를 수신하고(S410), 수신된 맥파신호로부터 심박신호를 검출하고, 연이은 심박신호의 간격인 심박간격을 검출한다(S420). 즉, 연산처리부(100)는 수신된 맥파 신호로부터 기설정된 시간구간동안 피크를 검출하여 심박으로 설정하고, 연이은 심박 신호의 간격을 검출한다.
심박간격과 심박 기준범위의 비교단계로, 연산처리부(100)는 심박 간격이, 기설정된 심박 기준범위의 최저 심박기준보다 크거나 같고, 심박 기준범위의 최고 심박기준보다 작거나 같은지를 비교하여(S430), 이와 같지 않다면, 위조지문이라고 판단하고, 위조 지문 알림단계(S500)로 간다.
심박 간격 검출단계와, 심박간격과 심박 기준범위 비교단계는, 심박으로 위조 지문인지를 판별하는, 심박기반 위조지문 판별단계라 할 수 있다.
혈관영상의 밝기 검출단계로, 혈류 검출부(175)의 혈류검출 카메라(미도시)로부터 소정 시간차를 두고 촬상된 혈관영상들을 연산처리부(100)는 수신하고, 수신된 혈관영상으로부터 기 설정된 관심영역의 밝기를 각각 검출한다(S440).
영상 밝기와 광기준치의 비교단계로, 연산처리부(100)는 각 혈관영상의 관심영역의 밝기가 기설정된 밝기 기준치보다 작은지를 비교하고(S450), 밝기 기준치보다 작지 않다면, 위조지문이라고 판단하고, 위조 지문 알림단계(S500)로 간다.
혈관영상의 밝기 검출단계와 영상 밝기와 광기준치의 비교단계는, 혈관영상의 관심영역의 밝기가 변화함으로써, 혈류가 흐르고 있음을 감지하는, 혈관영상기반 위조지문 판별단계라 할 수 있다.
심박기반 위조지문 판별단계와 혈관영상기반 위조지문 판별단계 중 어느 하나를 생략할 수 있다.
제1광 및 제2광 수신단계로, 심박간격과 심박 기준범위의 비교단계(즉, 심박기반 위조지문 판별단계)에서 위조지문이 아니라고 판단되고, 또는 영상 밝기와 광기준치의 비교단계(즉, 혈관영상기반 위조지문 판별단계)에서 위조지문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측광 검출부(180)의 제1 수광부(183)로부터 제1광을 수신하고, 측광 검출부(180)의 제2 수광부(184)로부터 제2광을 수신한다(S460).
제1광과 광기준치의 비교단계로, 제1광 및 제2광 수신단계에서 수신된 제1광의 광도(광량)가 기 설정된 광기준치보다 큰 지를 판단하고(S470), 광기준치보다 크다면, 위조지문이라고 판단하고, 위조 지문 알림단계(S500)로 간다.
제2광과 광기준치의 비교단계로, 제1광과 광기준치의 비교단계에서 위조지문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제1광 및 제2광 수신단계에서 수신된 제2광의 광도(광량)가 기 설정된 광기준치보다 큰 지를 판단하고(S480), 광기준치보다 크다면, 위조지문이라고 판단하고, 위조 지문 알림단계(S500)로 간다.
여기서, 제1광과 광기준치의 비교단계와 제2광과 광기준치의 비교단계 대신에, 연산처리부(100)는 제1광 및 제2광의 광도(광량)의 차를 구하고, 구하여진 제1광 및 제2광의 광도(광량)의 차를 기설정된 광차 기준치보다 작으면 위조지문이라고 판단하고, 위조 지문 알림단계(S500)로 간다.
지문인식단계로, 제2광과 광기준치의 비교단계에서 위조지문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지문센서부(150)로부터 지문영상을 수신하여 지문인식을 수행한다(S490). 지문인식단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위조 지문 알림단계로, 심박간격과 심박 기준범위의 비교단계, 영상 밝기와 광기준치의 비교단계, 제1광과 광기준치의 비교단계, 제2광과 광기준치의 비교단계에서 위조지문이라고 판단된 경우, 연산처리부(100)는 모바일 단말기(510), POS(point of sales) 단말기, 컴퓨터의 단말기(530) 등으로 위조지문 알림신호를 전송하게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휴대용 보안인증기에서 지문인식 단계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9는 도 8의 특징추출단계의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데이터 캡쳐(Data Capture)단계(S110)로, 사용 초기에 사용자의 지문정보를 MOC 스마트카드(200) 내에 저장하는 단계로, 즉, MOC 스마트카드(200)에 사용자의 지문정보를 최초 저장 시 필요한 단계로, 지문센서의 상측부터 하측으로 손가락을 움직임에 따라, 지문센서부(150)로부터, 각 순간의 지문영상을 다층으로 수신하여 하나의 영상으로 영상 정합하고, 영상 정합된 지문영상을 MOC 스마트카드(200)에 저장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영상 정합된 지문영상에서 특징을 추출하여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캡쳐 단계(S110)의 이후 단계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기 위하여 MOC 스마트카드(200) 내에서 처리된다. 데이터 캡쳐 단계(S110)의 이후 단계는 크게 지문검출 및 특징추출(feature extraction)단계(S150)와 지문정합(fingerprint matching)단계(200)의 2단계를 거치게 된다.
지문검출 및 특징추출 단계로(S150), 지문정합 단계에서 사용할 특징점(Minutiae) 데이터 파일을 구성하는 단계로, 지문센서부(150)로부터, 각 순간의 지문영상을 다층으로 수신하여 하나의 영상으로 영상 정합하고, 하나의 영상으로 정합된 지문영상으로부터 특징을 추출한다.
특징추출단계는, 전처리(pre-processing)단계(S160), 특징점 추출단계(S155) 및 후처리(post-processing) 단계(S180)의 3단계로 진행된다.
전처리 단계(S160)는 지문 이미지를 세선화하는 단계로, 이미지 개선(image enhancement)을 행하고, 이미지 개선된 지문영상을 이진화(binarization)를 행하고, 세선화(thinning)한다.
즉, 전처리 단계(S160)는 블록 방향성 이미지, 이진화 이미지, 세선화 이미지로의 변환과정을 거치게 된다. 지문 이미지를 일정 크기의 블록으로 나누고 각 블록별로 융선의 흐름을 나타내는 방향을 결정하여 블록별 방향 이미지로 변환한다. 이렇게 구해진 블록별 융선 방향 정보는 이진화, 평활화 과정에 사용된다. 이진화 과정에서 지문 이미지는 검은색과 흰색으로만 표현되는 이진 이미지로 바뀌고, 다시 이진 이미지는 잡음을 제거하고 융션을 강조하는 평활화 처리를 거침으로써 융션의 연결성을 향상시키고 융션을 1화소 굵기의 선으로 표현하여 세선화 이미지로 변환된다,
특징점 추출단계(S155)는 전처리 단계(S160)에서 세선화된 지문영상에서 후보 특징점을 추출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특징점(Minutiae)이란 단점(융선의 흐름이 끊기는 지점)과 분기점(하나의 융선이 두개로 갈라지는 지점)이라고 부르는 융선의 흐름에 변화가 발생하는 점을 말한다. 특징량(T={m1, m2, ..., mm})은 지문 화상에 존재하는 특징점(mi)의 정보들로 이루어지는데 대부분의 경우 사용되는 특징점의 정보는 분기점과 단점 중 어떤 것인지를 나타내는 특징점의 종류, 지문 이미지내에서의 위치, 특징점이 위치한 융선의 방향에 대한 정보가 있다.
즉, 특징점 추출단계(S155)는 후보 특징점 추출과정으로, 세선화 이미지로부터 융선의 흐름에 변화가 발생하는 단점과 분기점 정보를 저장한다. 세선화 이미지의 융선 정보로부터 의사 특징점을 포함한 후보 특징점을 추출한다. 이때, 세선화 이미지의 잘못된 융선 부분으로 인해 의사 특징점이 발생될 수 있다. 의사 특징점이란 지문 획득시의 잡음으로 인해 세선화 과정 중 발생하는 가짜 특징점을 말한다. 의사 특징점은 무의미한 계산량을 증가시키고 에러를 증가시켜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후처리 단계(S180)는 특징점 추출단계(S155)에서 추출한 특징점에서 가짜 특징점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즉, 후처리 단계(S180)는 의사 특징점의 발생원인이 되는 융선 부분을 수정하여 의사 특징점을 제거하고 누락된 특징점을 추가하여 최종적인 특징점을 추출한다.
지문정합 단계(200)는, 특징점을 이용한 지문 인식방법의 정합 알고리즘에서는 추출 알고리즘에 의해 추출된 특징점 정보로부터 정의된 특징량을 사용하여 두 지문 이미지간의 유사도를 결정한다. 정합 알고리즘은 그림 16과 같이 정렬(Image Alignment), 정합(Mnutiae Matching), Scoring 3단계로 구분된다.
지문정합 단계(200)는, 추출된 특징점 정보로부터 정의된 특징량을 사용하여 두 지문 이미지간의 유사도를 결정하는 단계로, 정렬(Image Alignment)단계(S210), 정합(Mnutiae Matching)단계(S230), 점수획득(Scoring)단계(S250)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정렬단계(S210)에서는 두 지문 이미지의 특징점이 가장 많이 겹쳐지는 회전, 천이량을 산출하여 이미지의 정렬 기준점을 선정한다. 이어서 정렬 기준점에 맞추어지도록 특징점의 좌표를 변환한 후 대응되는 특징점 쌍을 결정한다. 이때, 이상적인 회전 천이량을 찾기 위해서는 가능한 많은 후보 정렬을 수행해야 한다.
정합단계(S230)에서는 정렬단계(S210)에서 결정된 대응 특징점 쌍의 좌표, 종류, 각도정보를 이용하여 유사도(Measure Vector)를 계산한다. 대응 특징점 쌍의 유사도를 사실적으로 반영하기 위해서는 유사도 결정방법에 있어 다양한 통계적 기법으로 여러 각도에서 고려될 수 있다.
점수획득(Scoring)단계(S250)에서는 대응 특징점 쌍의 유사도 (Measure Vector)로부터 두 지문 이미지의 일치하는 정도를 기 설정된 규칙데이터에 따라, 점수로 나타낸다.
규칙데이터는 정합단계와 마찬가지로 이미지의 일치하는 정도를 정확히 반영하기 위해서, Score계산 규칙의 선정(Decision Making)에 통계적인 근거와 수학적인 모델링을 이용하여 사전에 정하여진 데이터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문정보를 이용한 바이오 인식과 안전한 개인 정보 보안 관리를 위해 On-Card Match(MOC)를 활용한 바이오 인증 기반의 휴대용 보안 인증 기술 및보안인증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연산처리부(100)는 우선, 휴대용 보안인증단말기의 지문 센서부(150)를 통해 지문 이미지를 받아들이고, 입력받은 지문 이미지를 가공처리하여 지문의 특징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지문의 특징정보를 MOC 스마트카드(200)으로 전송하여 MOC 스마트카드(200) 내에 설치된 바이오인식 매칭 알고리즘의 애플릿(applet)을 통해서 카드 내에 암호로 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비교하여 최종적인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이렇게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면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의 접근을 허용하며 유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고 인증하여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게 한다. 또한 사용자 인증을 통해 MOC 스마트카드에 설치되어 있는 다양한 서비스 애플릿(OTP, PKCS, eID, 지불 등)에 대한 접근을 허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휴대용 보안인증기 로그인 매니저를 통하여 새로운 사용자 지문을 MOC 스마트카드(200) 내에 암호화하여 저장한다. 그 후, 휴대용 보안인증기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지문센서에 지문을 입력하고, 입력된 지문정보에 대해 MOC 스마트카드(200)의 바이오보안플랫폼이 제공하는 지문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MOC 스마트카드(200)에 저장된 지문정보와 매칭 프로세스를 통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인증된 사용자에 대해서 MOC 스마트카드(200)의 바이오보안플랫폼을 통해 MOC 스마트카드(200)의 애플릿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접근 권한을 부여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된 보안 데이터에 대해 암호화/복호화 알고리즘을 가동하여 저장장치의 도난이나 분실에 대비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휴대용 보안인증기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 지문 등록/인증, 애플릿 관리, 메모리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휴대용 보안인증기 20: 보안인증기 하우징
100: 연산처리부 110: USB 커넥터부
120: 블루투수 통신부 130: WiFi 통신부
140: NFC 통신부 150: 지문센서부
155: 메모리부 170: 맥파 검출부
171: 맥파 센서부 175: 혈류 검출부
180: 측광 검출부 181: 제1광원부
182: 제2광원부 183: 제1 수광부
184: 제2 수광부 190: 배터리부
200: MOC 스마트카드

Claims (15)

  1. 연산처리부가, 맥파검출부로부터 맥파(광용적맥파)신호를 수신하여, 심박신호 검출하고, 검출된 심박신호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위조여부를 판단하는, 심박신호기반 위조지문 판별단계;
    심박신호기반 위조지문 판별단계에서 위조지문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손가락의 일측에 위치되는 광원부로부터 출사된 광신호를, 광원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된 수광부를 통해 검출하고, 연산처리부는 수광부로부터 수신된 광신호를 이용하여, 2차적으로 위조지문여부를 판단하는, 측광신호기반 위조지문 판별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보안인증기의 인증방법.
  2. 혈류검출 광원부로부터 손가락으로 광을 출사하고 손가락의 혈관영상들을 혈류검출 카메라로 검출하고, 연산처리부는 혈류 검출부로부터 수신된 혈관영상의 밝기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위조지문여부를 판단하는, 혈관영상기반 위조지문 판별단계;
    혈관영상기반 위조지문 판별단계에서 위조지문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손가락의 일측에 위치되는 광원부로부터 출사된 광신호를, 광원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된 수광부를 통해 검출하고, 연산처리부는 수광부로부터 수신된 광신호를 이용하여, 2차적으로 위조지문여부를 판단하는, 측광신호기반 위조지문 판별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보안인증기의 인증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측광신호기반 위조지문 판별단계에서 위조지문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연산처리부는 지문센서부로부터 수신된 지문영상을 이용하여 지문인식을 하게 하는, 지문인식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보안인증기의 인증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심박신호기반 위조지문 판별단계는,
    연산처리부가, 맥파검출부로부터 수신된 맥파신호로부터 심박신호를 검출하고, 연이은 심박신호의 간격인 심박간격을 검출하는, 심박 간격 검출단계;
    연산처리부가, 심박 간격 검출단계에서 검출된 심박 간격이, 기설정된 심박 기준범위의 최저 심박기준보다 크거나 같고, 심박 기준범위의 최고 심박기준보다 작거나 같은지를 비교하여, 심박 간격이 심박 기준범위의 최저 심박기준보다 작거나, 심박 기준범위의 최고 심박기준보다 크다면, 위조지문이라고 판단하는, 심박간격과 심박 기준범위의 비교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보안인증기의 인증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혈관영상기반 위조지문 판별단계는,
    혈류 검출부의 혈류검출 카메라로부터 혈관영상을 연산처리부가 수신하고, 수신된 혈관영상으로부터 기 설정된 관심영역의 밝기를 검출하는, 혈관영상의 밝기 검출단계;
    연산처리부는 혈관영상의 관심영역의 밝기가 기설정된 밝기 기준치보다 작은지를 비교하고, 밝기 기준치보다 작지 않다면, 위조지문이라고 판단하는, 영상 밝기와 광기준치의 비교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보안인증기의 인증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측광신호기반 위조지문 판별단계에서, 광원부는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되는 제1광원부 및 제2광원부를 포함하며, 수광부는 제1광원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된 제1수광부와, 제2광원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된 제2수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보안인증기의 인증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측광신호기반 위조지문 판별단계는,
    측광 검출부의 제1 수광부로부터 제1광을 수신하고, 측광 검출부의 제2 수광부로부터 제2광을 수신하는, 제1광 및 제2광 수신단계;
    제1광 및 제2광 수신단계에서 수신된 제1광의 광도 또는 광량이 기 설정된 광기준치보다 큰 지를 판단하고, 제1광의 광도 또는 광량이 광기준치보다 크다면, 위조지문이라고 판단하는, 제1광과 광기준치의 비교단계;
    제1광과 광기준치의 비교단계에서 위조지문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제1광 및 제2광 수신단계에서 수신된 제2광의 광도 또는 광량이 기 설정된 광기준치보다 큰 지를 판단하고, 제2광의 광도 또는 광량이 광기준치보다 크다면, 위조지문이라고 판단하는, 제2광과 광기준치의 비교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보안인증기의 인증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측광신호기반 위조지문 판별단계는,
    측광 검출부의 제1 수광부로부터 제1광을 수신하고, 측광 검출부의 제2 수광부로부터 제2광을 수신하는, 제1광 및 제2광 수신단계;
    연산처리부는 제1광 및 제2광의 광도 또는 광량의 차를 구하고, 구하여진 제1광 및 제2광의 광도 또는 광량의 차를 기설정된 광차 기준치보다 작으면 위조지문이라고 판단하는, 제1광 및 제2광의 광차 비교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보안인증기의 인증방법.
  9. 제3항에 있어서,
    연산처리부는, 심박신호기반 위조지문 판별단계, 혈관영상기반 위조지문 판별단계, 측광신호기반 위조지문 판별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에서 위조지문이라고 판단되면, 모바일 단말기, POS(point of sales) 단말기, 컴퓨터의 단말기 중 어느 하나로 위조지문 알림신호를 전송하는, 위조 지문 알림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보안인증기의 인증방법.
  10. 제3항에 있어서,
    지문인식단계는,
    연산처리부는 지문 센서를 통해 지문 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지문 이미지로부터 지문의 특징정보를 추출하는, 지문검출 및 특징추출 단계;
    MOC 스마트카드는 연산처리부로부터 수신한 지문의 특징정보와, MOC 스마트카드 내에 암호로 기 저장된 사용자 지문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지문정합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보안인증기의 인증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맥파검출부는 적외선 발광다이오드와 포토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보안인증기의 인증방법.
  12. 제6항에 있어서,
    제1광원부는 손가락의 좌우측중의 일측에 위치되며, 제2광원부는 손가락의 끝부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보안인증기의 인증방법.
  13. 제6항에 있어서,
    제1광원부 또는 제2광원부 중 어느 하나는 적외선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보안인증기의 인증방법.
  14. 제2항에 있어서,
    혈류검출 광원부는 적외선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지며, 혈류검출 카메라는 CMOS기반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보안인증기의 인증방법.
  15. 제6항에 있어서,
    제1 수광부 및 제2 수광부는 수평하게 위치된 수광센서와 수직하게 위치된 수광센서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보안인증기의 인증방법.
KR1020160068418A 2016-06-01 2016-06-01 위조 지문에 대한 보안성이 향상된 휴대용 보안인증기의 인증방법 KR102014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8418A KR102014394B1 (ko) 2016-06-01 2016-06-01 위조 지문에 대한 보안성이 향상된 휴대용 보안인증기의 인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8418A KR102014394B1 (ko) 2016-06-01 2016-06-01 위조 지문에 대한 보안성이 향상된 휴대용 보안인증기의 인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6692A true KR20170136692A (ko) 2017-12-12
KR102014394B1 KR102014394B1 (ko) 2019-08-29

Family

ID=60943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8418A KR102014394B1 (ko) 2016-06-01 2016-06-01 위조 지문에 대한 보안성이 향상된 휴대용 보안인증기의 인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43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2662A (ko) * 2018-12-31 2020-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 지문 센싱 회로를 포함한 화소 회로, 화소 회로의 구동 방법,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1915525B2 (en) 2020-12-10 2024-0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that detects spoofing of biometric inform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5830A (ko) 2021-02-09 2022-08-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지문 인증 장치,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지문 인증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1127U (ko) * 2008-04-26 2009-10-29 주식회사지한정보통신 다중 생체인식 장치
KR20110065690A (ko) * 2009-12-10 2011-06-1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조 지문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1127U (ko) * 2008-04-26 2009-10-29 주식회사지한정보통신 다중 생체인식 장치
KR20110065690A (ko) * 2009-12-10 2011-06-1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조 지문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2662A (ko) * 2018-12-31 2020-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 지문 센싱 회로를 포함한 화소 회로, 화소 회로의 구동 방법,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WO2020141663A1 (ko) * 2018-12-31 2020-07-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 지문 센싱 회로를 포함한 화소 회로, 화소 회로의 구동 방법,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13228150A (zh) * 2018-12-31 2021-08-06 乐金显示有限公司 包括光学指纹感测电路的像素电路、驱动像素电路的方法和有机发光显示装置
US11783617B2 (en) 2018-12-31 2023-10-10 Lg Display Co., Ltd. Pixel circuit comprising optical fingerprint sensing circuit, method for driving pixel circuit, an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CN113228150B (zh) * 2018-12-31 2024-06-11 乐金显示有限公司 包括光学指纹感测电路的像素电路、驱动像素电路的方法和有机发光显示装置
US11915525B2 (en) 2020-12-10 2024-0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that detects spoofing of biometric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4394B1 (ko) 2019-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26001B (zh) 使用利用移动设备捕捉的图像执行基于指纹的用户认证的系统和方法
CN107438854B (zh) 使用移动设备捕获的图像执行基于指纹的用户认证的系统和方法
US936150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fingerprint based user authentication using imagery captured using mobile devices
US9076048B2 (en) Biometric identification, authentication and verification using near-infrared structured illumination combined with 3D imaging of the human ear
KR101080643B1 (ko) 생체지문 판단장치 및 그 판단방법
EP2528018B1 (en) Biometric authentication device and biometric authentication method
US20130129164A1 (en) Identity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hybrid biometrics
KR102112682B1 (ko) 보상보험에 의한 디지털 가상화폐를 생체인증신호와 연동시켜 전송하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방법
KR101792008B1 (ko) 유무선 전산망에서 얼굴과 지문을 동시에 스케닝하여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는 다중안전잠금기능을 구비한 전자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70986A (ko) 디지털 가상화폐를 생체인증신호와 매칭시켜 발행되는 디지털 가상화폐 및 그 거래방법
KR101853270B1 (ko) 지문인식방법을 채용한 휴대용 보안인증기의 보안 인증방법
KR101875182B1 (ko) 생체정보를 이용한 다중 안전 잠금 기능을 구비하는 해킹방지용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의 처리 방법
KR102014394B1 (ko) 위조 지문에 대한 보안성이 향상된 휴대용 보안인증기의 인증방법
KR102024372B1 (ko) 디지털 가상화폐를 생체인증신호와 연동시켜 전송하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방법
JP6187262B2 (ja) 生体情報処理装置、生体情報処理方法及び生体情報処理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337264B1 (ko) 전화번호를 연계한 생체인증에 의한 앱(App) 형 모바일 디지털 카드의 생성방법 및 이의 이용방법
KR101336834B1 (ko) Usb 홍채 인식기
KR102178074B1 (ko) 생체인증에 의한 가상계좌와 연동되는 가상화폐 거래방법
KR102014410B1 (ko) 가짜지문에 대한 보안성이 향상된 휴대용 보안인증기
KR20080085353A (ko) 사용자 인증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사용자인증방법
KR101853266B1 (ko) 지문인식방법을 채용한 휴대용 보안인증기
KR102326066B1 (ko) 양방향 에스크로 서비스에 의한 디지털 가상화폐를 거래하는 방법
KR102089618B1 (ko) 생체정보를 이용한 대중교통 무임승차 작동 방법 및 그의 처리 시스템
KR20140061183A (ko) 초분광 영상 기반 위조생체 검출 시스템
EP3893179A1 (en) Digital virtual currency issued by being matched with biometric authentication signal, and transaction metho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