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4957A - 보일러 장치 - Google Patents

보일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4957A
KR20170134957A KR1020177007385A KR20177007385A KR20170134957A KR 20170134957 A KR20170134957 A KR 20170134957A KR 1020177007385 A KR1020177007385 A KR 1020177007385A KR 20177007385 A KR20177007385 A KR 20177007385A KR 20170134957 A KR20170134957 A KR 20170134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line
boiler
fuel
flow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7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료 미야가와
Original Assignee
미우라고교 가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우라고교 가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미우라고교 가부시키카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34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49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1/00Regulating fuel supply
    • F23N1/007Regulating fuel supply using mechanic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9/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returning combustion products or flue gases to the combustion chamber
    • F23C9/08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returning combustion products or flue gases to the combustion chamber for reducing temperature in combustion chamber, e.g. for protecting walls of combustion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1/00Regulating fuel supply
    • F23N1/02Regulating fuel supply conjointly with air supply
    • F23N2027/0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 Control Of Combustion (AREA)
  • Control Of Steam Boilers And Waste-Gas Boilers (AREA)

Abstract

보일러 장치(1)는 연료 공급 라인(31)의 경로 상에 일측의 단부와 타측의 단부가 접속되는 바이패스 라인(36)과, 바이패스 라인(36)에 배치되는 바이패스 밸브(37)와, 통상의 연소시에는 바이패스 밸브(37)를 폐쇄하고, 버너(15)의 착화시에는 바이패스 밸브(37)를 개방해서 바이패스 라인(36)에도 연료가스를 유통시킴으로써, 통상의 연소시에 비해서 상기 연료가스의 공급량을 크게 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61)를 구비한다. 바이패스 라인(36)은 일측의 단부가 제 2 오리피스(35)의 상류측에 접속되고, 타측의 단부가 제 2 오리피스(35)의 하류측에 접속된다.

Description

보일러 장치{BOILER DEVICE}
본 발명은 배기 가스 순환을 행하는 보일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5년 3월 31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원 2015-071633호에 의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종래부터 연소에 의해 생긴 배기 가스를 보일러에 순환시키는 배기 가스 순환을 행하는 보일러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종류의 보일러 장치를 개시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배기 가스의 순환이 행해지고 있지 않은 착화시에 있어서 연소용 공기의 공급량을 억제함으로써 과잉공기에 의한 착화의 문제 등을 방지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평 6-288511호 공보
배기 가스 순환을 행하는 보일러 장치는 배기 가스가 순환하고 있는 통상의 연소시의 상태에 의거하여 연소 조정을 행하고 있으므로, 연소용 공기에 비해서 산소농도가 낮은 배기 가스가 혼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산소농도가 상정되어 있는 것 보다 높은 상태가 되어 버린다. 특히, 통상의 연소시에 있어서 배기 가스 비율이 높게 조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배기 가스가 순환하지 않는 착화시와 통상의 연소시에서 연소용 공기에 포함되는 산소량의 차가 커져 버린다. 이 점, 특허문헌 1에서는 댐퍼의 개방도를 제어해서 착화시에 있어서의 과잉산소에 의한 폐해를 방지하고 있지만, 착화시의 댐퍼 제어를 추가할 필요가 있다. 또한 연소 공기의 공급량에 연료가스의 공급량이 비례하는 비례 제어가 행해지는 보일러 장치에서는 통상의 연소시와 상황이 다른 착화시에 맞춰 공기비의 조정을 행하는 것이 어려웠다. 이렇게, 종래의 기술에는 착화의 문제를 확실하게 방지한다고 하는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은 배기 가스 순환을 행하는 보일러 장치에 있어서, 착화시에 있어서의 산소 농도 과잉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안정된 착화를 실현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보일러와, 상기 보일러에 연료가스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 라인과, 상기 연료가스에 혼합하는 연소용 공기를 상기 보일러에 공급하는 공기 공급 라인 및 상기 공기 공급 라인에 접속되는 송풍기를 갖는 공기 공급부와, 상기 보일러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연료가스와 상기 연소용 공기의 혼합기(氣)를 연소시키는 버너와, 상기 혼합기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배기 가스를 상기 보일러로부터 배출하는 배출 라인과, 상기 배출 라인과 상기 공기 공급부를 접속하여 상기 배기 가스의 일부를 상기 공기 공급부에 순환시키는 배기 가스 순환 라인과, 상기 연료 공급 라인의 경로 상에 일측의 단부와 타측의 단부가 접속되는 바이패스 라인과, 상기 바이패스 라인에 배치되는 바이패스 밸브와, 통상의 연소시에는 상기 바이패스 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버너의 착화시에는 상기 바이패스 밸브를 개방해서 상기 바이패스 라인에도 상기 연료가스를 유통시킴으로써, 통상의 연소시에 비해서 상기 연료가스의 공급량을 크게 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보일러 장치는 상기 연료 공급 라인에 배치되어 상기 연료가스를 감압하는 연료가스 감압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바이패스 라인은 일측의 단부가 상기 연료가스 감압부재의 상류측에 접속되고, 타측의 단부가 상기 연료가스 감압부재의 하류측에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일러 장치는 상기 배기 가스 순환 라인에 배치되어 상기 배기 가스의 유량을 조정하는 배기 가스 유량 조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버너의 착화시에는 상기 공기 공급부에 상기 배기 가스가 공급되지 않도록 상기 배기 가스 유량 조정부를 조정하고, 상기 버너의 착화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후에 상기 공기 공급부에 상기 배기 가스의 공급이 개시되도록 상기 배기 가스 유량 조정부를 조정하는 제어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배기 가스 순환을 행하는 보일러 장치에 있어서, 착화시에 있어서의 산소 농도 과잉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안정한 착화를 실현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인 보일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착화 전후에 있어서의 바이패스 밸브 및 배기 가스 유량 조정 댐퍼의 개폐 제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보일러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보일러 장치(1)는 물을 가열해서 증기의 생성을 행하는 증기 보일러이며, 부하기기(도시생략)에 증기를 공급하는 것이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라인」이란 유로, 경로, 관로 등의 유체의 유통이 가능한 라인의 총칭이다.
도 1에 나타내듯이, 본 실시형태의 보일러 장치(1)는 보일러(2)와, 연료 공급부(3)와, 공기 공급부(4)와, 배기 가스 순환 라인(19)과, 증기 라인(20)과, 급수부(5)와, 제어장치(6)를 구비한다.
보일러(2)는 보일러 하우징(11)과, 보일러 하우징(11)의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수관(12)과, 연료가스에 연소용 공기가 혼합되는 급기 덕트(17)와, 연료가스와 연소용 공기의 혼합기를 연소하는 버너(15)와, 배기 가스를 보일러 하우징(11)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라인으로서의 배기통(18)을 구비한다.
보일러 하우징(11)은 평면으로 볼 때 직사각형 형상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복수의 수관(12)은 보일러 하우징(11)의 내부에 복수의 수관(12)이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열된다. 복수의 수관(12)은 그 상단부가 상부 헤더(도시생략)에 접속됨과 아울러, 그 하단부가 하부 헤더(도시생략)에 접속된 상태에서 보일러 하우징(11)의 내부에 유지되어 있다. 또, 보일러 하우징(11)의 형상은 상술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환형으로 형성된 보일러 하우징을 사용할 수도 있다.
급기 덕트(17)는 보일러 하우징(11)의 길이 방향의 일단측에 접속된다. 이 급기 덕트(17)에 연료 공급부(3)로부터 연료가스가 공급됨과 아울러, 공기 공급부(4)로부터 연소용 공기가 공급된다.
버너(15)는 보일러 하우징(11)에 있어서의 급기 덕트(17)가 접속되는 부분(급기구)에 배치되고, 연료가스와 연소용 공기의 혼합기를 연소해서 복수의 수관(12)의 물을 과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킨다.
배기통(18)은 연소에 의해 생긴 배기 가스를 보일러 하우징(11)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 라인이며, 보일러 하우징(11)의 길이 방향의 타단측에 접속된다.
다음에 연료 공급부(3)에 대해서 설명한다. 연료 공급부(3)는 보일러(2)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다. 연료 공급부(3)는 연료 공급 라인(31)과, 거버너(32)와, 개폐 밸브(33)와, 제 1 오리피스(34)와, 제 2 오리피스(35)와, 바이패스 라인(36)과, 바이패스 밸브(37)를 구비한다.
연료 공급 라인(31)은 그 상류측의 단부가 연료 공급원(도시 생략)에 접속되고, 그 하류측의 단부가 급기 덕트(17)에 접속된다. 거버너(32)는 연료 공급 라인(31)을 흐르는 연료가스의 압력을 조정하는 조압수단이다. 본 실시형태의 거버너(32)는 공기 공급 라인(42)에 접속되는 연통관(도시생략)에 의해 공기 공급 라인(42)의 압력을 받고 있으며, 소위 균압 밸브 방식으로 연소용 공기의 공급량에 연료가스의 공급량이 비례하도록 연료가스의 유량을 제어하는 비례 제어 밸브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개폐 밸브(33)는 거버너(32)의 하류측에 배치된다. 개폐 밸브(33)에 의해, 연료 공급 라인(31)의 유로의 개방 또는 폐지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 1 오리피스(34)는 개폐 밸브(33)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연료가스의 감압을 행한다.
제 2 오리피스(35)는 연료가스를 감압하는 연료가스 감압부재이며, 제 1 오리피스(34)의 하류측에 배치된다. 바이패스 라인(36)은 이 제 2 오리피스(35)의 상류측에 접속됨과 아울러, 하류측에 접속된다. 바이패스 밸브(37)는 바이패스 라인(36)에 배치된다. 바이패스 밸브(37)는 바이패스 라인(36)의 유로의 개방 또는 폐지를 행하는 전자밸브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바이패스 밸브(37)가 폐쇄 상태로 되어서 바이패스 라인(36)의 유로가 폐지되어 있는 상태를 기준으로 해서 통상의 연소시의 연소 조정이 행해지고 있다. 또, 여기에서 말하는 통상의 연소시란 착화후의 연소 상태(예를 들면 보일러(2)에 의해 생성된 증기가 부하기기에 공급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다음에 공기 공급부(4)에 대해서 설명한다. 공기 공급부(4)는 보일러(2)에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실시형태의 공기 공급부(4)는 송풍기(41)와, 공기 공급 라인(42)과, 연소용 공기 댐퍼(43)를 구비한다.
송풍기(41)는 팬과, 이 팬을 회전시키는 모터와, 인버터를 포함해서 구성된다. 송풍기(41)는 인버터에 입력되는 주파수에 따라 모터의 회전수를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송풍기(41)에는 후술하는 배기 가스 순환 라인(19)이 접속되어 있어 보일러 하우징(11)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 가스의 일부를 송풍기(41)에 도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공기 공급 라인(42)은 그 상류측의 단부가 송풍기(41)에 접속됨과 아울러, 하류측의 단부가 급기 덕트(17)에 접속된다. 송풍기(41)는 팬의 회전에 의해 공기를 받아 들이고, 이 공기 공급 라인(42)을 통해 연소용 공기를 보일러(2)에 보내준다.
연소용 공기 댐퍼(43)는 연소용 공기의 유로를 폐쇄한 폐쇄 상태와, 이 폐쇄 상태로부터 회전하여 연소용 공기의 유로를 개방한 개방 상태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공기 공급 라인(42)에 배치된다. 또한 연소용 공기 댐퍼(43)는 연소용 공기의 공급량을 조정하기 위해서 개방도 변경 가능하게 구성된다.
다음에 배기 가스 순환 라인(19)에 대해서 설명한다. 배기 가스 순환 라인(19)은 그 상류측의 단부가 배기통(18)에 접속됨과 아울러, 하류측의 단부가 송풍기(41)(공기 공급부(4))에 접속된다. 보일러 하우징(11)의 내부로부터 배기통(18)으로 배출된 배기 가스의 일부는 이 배기 가스 순환 라인(19)에 의해 송풍기(41)에 보내지고, 외기와 혼합되어서 보일러(2)에 다시 보내진다.
배기 가스 순환 라인(19)에는 배기 가스 유량 조정 댐퍼(27)가 배치된다. 배기 가스 유량 조정 댐퍼(27)는 그 개방도를 조정가능한 소위 다위치 댐퍼이다. 본 실시형태의 배기 가스 유량 조정 댐퍼(27)는 배기 가스 순환 라인(19)의 내부의 배기 가스의 유로를 폐쇄한 폐쇄 상태와, 이 폐쇄 상태로부터 소정의 각도(예를 들면90도) 회전하여 배기 가스의 유로를 개방한 개방 상태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배기 가스 유량 조정 댐퍼(27)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위치 댐퍼이며, 개방 상태에 있어서의 개방도를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기능에 의해, 송풍기(41)에 보내지는 배기 가스의 혼합율의 조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렇게, 배기 가스 유량 조정 댐퍼(27)는 그 개방도가 조정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유량의 조정도 포함해서 배기 가스를 송풍기(41)에 공급할지 아닌지를 조정할 수 있는 배기 가스 유량 조정부로서 기능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기 가스 순환 라인(19)의 내부의 배기 가스의 유로가 개방되어 있고, 배기 가스의 일부가 송풍기(41)에 도입되어 있는 상태를 기준으로 통상시의 연소 조정이 행해지고 있다.
증기 라인(20)은 상류측의 단부가 보일러(2)에 접속됨과 아울러, 하류측의 단부가 부하기기(도시생략)에 접속된다. 이 증기 라인(20)을 통해 보일러(2)에서 생성된 증기가 부하기기에 공급된다.
다음에 급수부(5)에 대해서 설명한다. 급수부(5)는 보일러(2)에 증기를 생성하기 위한 물을 급수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실시형태의 급수부(5)는 급수 라인(51)과, 열교환기(52)를 구비한다. 급수 라인(51)은 상류측의 단부가 급수원(도시생략)에 접속됨과 아울러, 하류측의 단부가 보일러(2)에 접속된다. 열교환기(52)는 배기통(18)의 내부에 배치된다. 열교환기(52)는 급수 라인(51)의 내부를 흐르는 물과, 배기통(18)을 흐르는 배기 가스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한다. 이에 따라 급수 라인(51)을 흐르는 물이 예열된 상태에서 보일러(2)에 공급되게 된다.
다음에 제어장치(6)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어장치(6)는 송풍기(41), 연소용 공기 댐퍼(43), 바이패스 밸브(37), 각 압력센서 등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제어장치(6)는 제어부(61)와, 기억부(62)를 구비한다. 제어부(61)는 연료가스 및 연소용 공기의 공급량의 조정이나 보일러(2)의 착화 제어나 연소 제어 등의 각종 제어를 행한다. 기억부(62)에는 제어부(61)가 제어를 행하기 위한 각종의 정보가 기억된다.
본 실시형태의 제어부(61)는 착화시에 있어서 배기 가스가 순환하지 않는 것에 기인하는 착화 불량을 방지하기 위해서, 통상의 연소 제어시보다 착화시의 연료가스의 유량을 크게 하는 제어를 행한다. 다음에 제어부(61)에 의한 착화시에 있어서의 연료가스의 공급 제어 및 배기 가스의 순환 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착화 전후에 있어서의 바이패스 밸브(37) 및 배기 가스 유량 조정 댐퍼(27)의 개폐 제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보일러(2)의 운전 제어가 개시되면, 착화를 행하는 전단계로서 프리퍼지 제어가 행해진다. 프리퍼지 제어는 송풍기(41)에 의해 공기를 보일러 하우징(11)에 보내주어 보일러 하우징(11)의 내부를 환기하는 제어이다. 도 2에 나타내듯이, 프리퍼지 제어에서는 바이패스 밸브(37)는 폐쇄 상태로 제어됨과 아울러, 배기 가스 순환 라인(19)에 배치되는 배기 가스 유량 조정 댐퍼(27)도 폐쇄 상태로 제어된다.
프리퍼지가 완료되면 착화 제어로 이행한다. 착화 제어가 개시되면, 제어부(61)는 바이패스 밸브(37)를 개방 상태로 해서 바이패스 라인(36)의 유로를 개방하는 제어를 행한다. 바이패스 라인(36)을 유통하는 연료가스는 제 2 오리피스(35)에 의해 감압되지 않고 연료 공급 라인(31)의 하류측으로 보내진다. 따라서, 바이패스 라인(36)이 폐쇄되어 있고, 보일러(2)에 공급되는 모든 연료가스가 제 2 오리피스(35)에 의해 감압되어 있는 상태(통상의 연소시)에 비해 착화시의 쪽이 연료가스의 공급량이 커진다.
버너(15)의 착화가 완료되면 연소 제어로 이행한다. 제어부(61)는 착화 개시로부터 소정 시간(몇초부터 십몇초 정도) 경과후에, 바이패스 밸브(37)를 폐쇄 상태로 제어함과 아울러, 배기 가스 유량 조정 댐퍼(27)를 개방 상태로 제어한다(도 2 참조). 바이패스 밸브(37)가 폐쇄됨으로써 바이패스 라인(36)의 유로가 폐쇄되고, 보일러(2)에 공급되는 연료가스의 공급량은 착화시에 비해서 작아진다. 또한, 배기 가스 유량 조정 댐퍼(27)가 개방됨으로써 배기 가스 순환 라인(19)의 유로가 개방되고, 착화후에 생긴 배기 가스가 송풍기(41)(공기 공급부(4))에 도입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바이패스 라인(36)의 유로가 폐쇄되어 있고, 또한, 배기 가스가 송풍기(41)에 도입되어 있는 상태(산소농도가 낮은 배기 가스와 외기가 혼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연소 조정이 행해지고 있으므로, 연료가스는 바이패스 밸브(37)가 폐쇄됨으로써 적절한 양으로 보일러(2)에 공급되고, 연소용 공기에 대해서도 배기 가스 유량 조정 댐퍼(27)가 개방됨으로써 배기 가스가 혼합되어서 적절한 양으로 보일러(2)에 공급된다.
연소 제어로 이행한 보일러(2)는 배기 가스가 혼합된 연소용 공기와 연료가스의 혼합기의 연소에 의해 수관(12) 내부의 물을 가열해서 증기를 생성시킨다. 생성한 증기는 증기 라인(20)을 통해서 부하기기에 공급된다. 한편, 혼합기의 연소에 의해 생긴 배기 가스는 배기통(18)으로 보내진다. 배기통(18)에서는 배기 가스의 일부가 배기 가스 순환 라인(19)을 통해서 송풍기(41)에 보내지고, 나머지가 외부로 배출된다. 송풍기(41)로 보내진 배기 가스는 외부의 공기와 혼합되어서 공기 공급 라인(42)을 통해서 보일러(2)에 순환된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형태의 보일러 장치(1)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본 실시형태의 보일러 장치(1)는 연료 공급 라인(31)의 경로 상에 일측의 단부와 타측의 단부가 접속되는 바이패스 라인(36)과, 바이패스 라인(36)에 배치되는 바이패스 밸브(37)와, 통상의 연소시에는 바이패스 밸브(37)를 폐쇄하고, 버너(15)의 착화시에는 바이패스 밸브(37)를 개방해서 바이패스 라인(36)에도 연료가스를 유통시킴으로써, 통상의 연소시에 비해서 상기 연료가스의 공급량을 크게 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61)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착화시에 있어서, 통상의 연소시에 비해 연료가스의 공급량이 커지므로, 산소농도가 낮은 배기 가스가 혼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연료가스에 대하여 산소농도가 과잉으로 되어서 발생하는 착화의 문제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배기 가스 순환을 행하는 보일러 장치(1)에 있어서 공기와 혼합되는 배기 가스의 비율이 높은 경우이어도, 안정된 착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연소용 공기 댐퍼(43)의 제어를 복잡화시키지 않고 착화를 안정화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연소용 공기의 공급량에 연료가스의 공급량이 비례하는 비례 제어가 행해지는 가스로 불을 때는 보일러 장치(1)에 있어서도 복잡한 구성이나 제어를 추가하지 않고, 통상의 연소시보다도 착화시의 연료가스의 공급량을 늘리는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즉 연소용 공기의 공급량에 연료가스의 공급량이 비례하도록 연료가스의 유량을 조정하거나 또는 연료가스의 공급량에 연소용 공기의 공급량이 비례하도록 연소용 공기의 공급량을 조정하는 비례 제어가 행해지는 보일러 장치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구성이면, 비례 제어를 행하기 위한 구성을 복잡화하지 않고, 통상의 연소시와 다른 상황에 있는 착화시의 공기비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바이패스 라인(36)은 일측의 단부가 제 2 오리피스(35)의 상류측에 접속되고, 타측의 단부가 제 2 오리피스(35)의 하류측에 접속된다. 이에 따라 바이패스 라인(36)을 통과하는 연료가스는 제 2 오리피스(35)에 의해 감압되지 않으므로, 바이패스 라인(36)을 개방했을 때의 연료가스의 유량의 증가량을 확실하게 크게 할 수 있는 구성을 심플한 구조로 실현할 수 있다.
제어부(61)는 버너(15)의 착화시에는 송풍기(41)(공기 공급부(4))에 배기 가스가 공급되지 않도록 배기 가스 유량 조정 댐퍼(27)를 폐쇄하고, 버너의 착화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후에 송풍기(41)에 배기 가스의 공급이 개시되도록 배기 가스 유량 조정 댐퍼(27)를 개방하는 제어를 행한다. 이에 따라 프리퍼지나 착화 개시시에 배기 가스 순환 라인(19)의 내부의 공기(잔류한 배기 가스)가 송풍기(41)에 공급되는 사태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배기 가스 발생에 맞춰서 배기 가스를 순환시키는 제어로 원활하게 이행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보일러 장치(1)의 바람직한 일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적당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바이패스 밸브(37)를 폐쇄 상태로 하는 제어와, 배기 가스 유량 조정 댐퍼(27)를 개방 상태로 하는 제어를 동시에 행하고 있지만, 시간차를 두어 각각 다른 타이밍에서 이들 제어를 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바이패스 밸브(37)는 전기적으로 제어되는 전자밸브로서 구성되어 있지만, 사정에 따라 적당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이패스 밸브(37)에 니들 밸브나 버터플라이 밸브 등의 구성을 추가해서 바이패스 라인(36)을 흐르는 연료가스의 유량을 조정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배기 가스 유량 조정 댐퍼(27)에 의해 배기 가스 유량 조정부를 구성하고 있지만 이 구성은 적당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기 가스 유량 조정부에 전자밸브를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배기 가스 순환 라인(19)의 하류측의 단부가 송풍기(41)에 접속되는 구성이지만, 이 구성은 적당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기 가스 순환 라인(19)의 하류측의 단부를 공기 공급 라인(42)에 접속하고, 별도 설치한 팬에 의해 배기 가스를 공기 공급 라인(42)으로 보내주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배기 가스 순환 라인(19)에 배치되는 배기 가스 유량 조정 댐퍼(27)에 의해 배기 가스 유량 조정부가 구성되어 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유량 조정 댐퍼 및 개폐 댐퍼에 의해 배기 가스 유량 조정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유량 조정 댐퍼는 개방도 조정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배기 가스의 혼합율을 조정하는 댐퍼이다. 또한 개폐 댐퍼는 배기 가스를 송풍기(41)에 공급할지 아닐지를 조정하는 댐퍼이다. 또는, 개폐 댐퍼만으로 배기 가스 유량 조정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배기 가스 유량 조정부의 구성은 적당하게 변경할 수 있다.
1: 보일러 장치
2: 보일러
4: 공기 공급부
15: 버너
18: 배기통(배출 라인)
19: 배기 가스 순환 라인
27: 배기 가스 유량 조정 댐퍼(배기 가스 유량 조정부)
31: 연료 공급 라인
35: 제 2 오리피스(연료가스 감압부재)
36: 바이패스 라인
37: 바이패스 밸브
41: 송풍기
42: 공기 공급 라인
61: 제어부

Claims (3)

  1. 보일러와,
    상기 보일러에 연료가스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 라인과,
    상기 연료가스에 혼합하는 연소용 공기를 상기 보일러에 공급하는 공기 공급 라인 및 상기 공기 공급 라인에 접속되는 송풍기를 갖는 공기 공급부와,
    상기 보일러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연료가스와 상기 연소용 공기의 혼합기를 연소시키는 버너와,
    상기 혼합기의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배기 가스를 상기 보일러로부터 배출하는 배출 라인과,
    상기 배출 라인과 상기 공기 공급부를 접속하여 상기 배기 가스의 일부를 상기 공기 공급부에 순환시키는 배기 가스 순환 라인과,
    상기 연료 공급 라인의 경로 상에 일측의 단부와 타측의 단부가 접속되는 바이패스 라인과,
    상기 바이패스 라인에 배치되는 바이패스 밸브와,
    통상의 연소시에는 상기 바이패스 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버너의 착화시에는 상기 바이패스 밸브를 개방해서 상기 바이패스 라인에도 상기 연료가스를 유통시킴으로써, 통상의 연소시에 비해서 상기 연료가스의 공급량을 크게 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공급 라인에 배치되어 상기 연료가스를 감압하는 연료가스 감압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바이패스 라인은 일측의 단부가 상기 연료가스 감압부재의 상류측에 접속되고, 타측의 단부가 상기 연료가스 감압부재의 하류측에 접속되는 보일러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가스 순환 라인에 배치되어 상기 배기 가스의 유량을 조정하는 배기 가스 유량 조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버너의 착화시에는 상기 공기 공급부에 상기 배기 가스가 공급되지 않도록 상기 배기 가스 유량 조정부를 조정하고, 상기 버너의 착화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후에 상기 공기 공급부에 상기 배기 가스의 공급이 개시되도록 상기 배기 가스 유량 조정부를 조정하는 제어를 행하는 보일러 장치.
KR1020177007385A 2015-03-31 2016-01-08 보일러 장치 KR201701349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71633 2015-03-31
JPJP-P-2015-071633 2015-03-31
PCT/JP2016/050484 WO2016157925A1 (ja) 2015-03-31 2016-01-08 ボイラ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4957A true KR20170134957A (ko) 2017-12-07

Family

ID=57006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7385A KR20170134957A (ko) 2015-03-31 2016-01-08 보일러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WO2016157925A1 (ko)
KR (1) KR20170134957A (ko)
WO (1) WO201615792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3365A (ko) 2021-03-24 2022-10-05 우성씨엔에스(주) 혼합연료가스 예혼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80331B2 (ja) 2020-03-02 2023-11-15 三浦工業株式会社 ボイラの燃料ガス供給機構およびボイラ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22811A (en) * 1971-07-13 1973-03-27 Phillips Petroleum Co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flow of multiple streams
US4602610A (en) * 1981-01-30 1986-07-29 Mcginnis George P Dual-rate fuel flow control system for space heater
JPS58145808A (ja) * 1982-02-24 1983-08-31 Babcock Hitachi Kk ボイラ起動時のNOx低減法
JPS58190618A (ja) * 1982-04-30 1983-11-07 Tokyo Gas Co Ltd 燃焼装置
JPS6172920A (ja) * 1984-09-19 1986-04-15 Tokyo Gas Co Ltd 空燃比制御装置
JPS61106754U (ko) * 1984-12-14 1986-07-07
JP2782407B2 (ja) * 1993-03-31 1998-07-30 株式会社サムソン 排ガス再循環を行う小型ボイラの空気供給量制御方法
JP4672932B2 (ja) * 2001-09-11 2011-04-20 株式会社サムソン 排ガス再循環燃焼を行うボイラ
JP5800226B2 (ja) * 2011-09-29 2015-10-28 三浦工業株式会社 ボイ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3365A (ko) 2021-03-24 2022-10-05 우성씨엔에스(주) 혼합연료가스 예혼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57925A1 (ja) 2016-10-06
JPWO2016157925A1 (ja) 2018-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65669B2 (ja) ボイラシステム
KR20170134957A (ko) 보일러 장치
KR101436245B1 (ko) 급탕기
WO2018216331A1 (ja) 水素燃焼ボイラ
JP2018004140A (ja) ボイラ装置
US8573162B2 (en) Boiler
WO2014178408A1 (ja) ボイラ
JP2008057814A (ja) ガス給湯装置
CN107543159B (zh) 燃烧装置
JP6633334B2 (ja) 複合熱源機
JP6582364B2 (ja) ボイラシステム
US10107521B2 (en) Connected hot-water supply system
US10168074B2 (en) Turn down ratio (TDR) damper
JP5483049B2 (ja) 燃焼装置
JP4343037B2 (ja) 熱風発生装置
WO2019138709A1 (ja) 燃料供給システム、ガスタービン、発電プラント、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168898B2 (en) Indirect gas furnace
JP5903828B2 (ja) 熱媒ボイラ
JP5919181B2 (ja) 給湯暖房システム
JP2023034570A (ja) ボイラ
JP2024021721A (ja) ガス混合システム
JPH11148606A (ja) 燃焼排ガス循環量の調節を行うボイラ
JP2015096796A (ja) エマルジョン燃料供給装置
JP2022096200A (ja) 燃焼設備
JPH1019246A (ja) コンビネーションバーナの燃焼用空気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