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4578A - 삽입형 안과용 임플란트 - Google Patents

삽입형 안과용 임플란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4578A
KR20170134578A KR1020177031635A KR20177031635A KR20170134578A KR 20170134578 A KR20170134578 A KR 20170134578A KR 1020177031635 A KR1020177031635 A KR 1020177031635A KR 20177031635 A KR20177031635 A KR 20177031635A KR 20170134578 A KR20170134578 A KR 20170134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front edge
thickness
edge
dimen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1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3560B1 (ko
Inventor
필립 수르디으
Original Assignee
필립 수르디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필립 수르디으 filed Critical 필립 수르디으
Publication of KR20170134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4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3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08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 A61F9/0017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implantable in, or in contact with, the eye, e.g. ocular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781Apparatus for modifying intraocular pressure, e.g. for glaucoma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04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adjustable
    • A61F2250/0009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adjustable for adjusting thickne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막(sclera)과 포도막(uveal) 조직 간에 삽입된 영구 삽입형 안과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임플란트는 포도막과 생체 적합성을 갖는 바디(50)를 가지며 상기 바디는 길이 및 폭 중 더 작은 치수보다 최소 10 배 미만인 두께(e)를 가지며, 상기 바디는 상기 두께 방향에 수직인 2 개의 치수들인 길이 및 폭 중 하나를 따라서 서로 이격되어 있는 2 개의 반대편 에지들을 포함하며, 상기 2 개의 반대편 에지들 중 하나는 전방 에지(52)로서 지칭되며, 상기 전방 에지는 상기 두께 방향에 수직인 평면에서 상기 바디로부터 멀어지는 오목형 방식으로 만곡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삽입형 안과용 임플란트
본 발명은 안압(intraocular pressure, IOP)을 낮추기 위해 공막(sclera)과 모양체(ciliary body)가 서로 영구적으로 분리되게 유지되게 하도록 구성된 삽입형 안과용 임플란트(interpositional ophthalmological implant)에 관한 것이다.
안압은 모양체에 의한 분비물 및 슐렘관(Schlemm's canal)을 통한 각공막 섬유주대(corneoscleral trabecular meshwork)를 통한 그의 흐름 및 수성 정맥으로의 흐름 및 일반 혈액 순환 간에서 달성되는 평형 상태의 결과이다. 이러한 흐름의 10 내지 15 %을 차지하는 부분은 공막과 모양체 간의 모양체 섬유주대(ciliary trabeculum)를 통해 직접적으로 유동하며, 이러한 유동은 바로 포도막-공막 유동(uveo-scleral flow)으로 지칭된다. 모양체근(ciliary muscle)의 길이 방향 섬유들은 특히 수용 동안에, 상기 섬유주대를 팽팽하게 하며 이로써 안방수의 포도막-공막 유동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녹내장에서, 안방수의 흐름량은 모양체 섬유주대의 레벨에서 감소되며, 이로써, 대부분의 경우에, 안압(IOP)이 상승하다. 따라서, 안압(IOP)을 낮추는 것은 녹내장의 약물적 및/또는 외과적 치료의 핵심 요소이다. 외과적 치료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옵션들에 의존하다: 모양체에 의해 생성되는 안방수의 생성을 저감시키는 옵션(섬모체-약화(cyclo-weakening) 또는 안방수의 경로를 바꿈으로써 안방수의 유동량을 증가시키는 옵션. 이러한 안방수의 경로 바꿈은 다음과 같은 상이한 방식들로 수행된다:
- 전방(anterior chamber)이 맥락망상 공간(suprachoroidal space)과 바로 연통되게 함으로써 이루어지지만(섬모체 해리술(cyclodialysis) 및 이로부터 기술적으로 파생되는 시술법), 이로써 얻어지는 효과는 일반적으로 일시적이며 불충분하다. 공막 돌기(scleral spur)에서 모양체근의 삽입을 박리시킴으로써, 이러한 주입 기법은 시술 영역에서 포도막-공막 유동을 위한 생리학적 메커니즘을 제거한다. 또한, 수술후 섬유증(post-operative fibrosis)은 상기 시술 영역을 넘어 확장된다. 또한, 상기 전방에 위치한 임플란트의 부분이 오직 간헐적으로만, 각막 내피(corneal endothelium)에 영향을 미치며, 이로써 각막 부종(corneal edema)을 발생시킬 상당한 위험이 있음이 알려졌다.
- 전방으로부터 슐렘관까지 작용하는 모양체 섬유주대를 절개하여 섬유주 장애물(trabecular obstacle)을 짧게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시술은 안방수가 슐렘관으로 영구적으로 직접적으로 접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전방을 향해 개방된 스텐트(stent)를 상기 슐렘관 내로 삽입함으로써 보충될 수 있다. 여기에서도 역시, 이러한 시술 결과는 때로 부분적이고 임시적이며, 약물적 치료의 지속 또는 재개의 필요성을 제거하지 않는다.
여과 수술은 가장 자주 사용되며 필요한 압력 강하를 달성하기 위해 결막 아래로 안방수를 안내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는 공막 플랩(scleral flap) 아래에서 섬유주대 내에 전체 두께의 영구적인 구멍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시술은 섬유 주 절제술(trabeculectomy)이라고 알려져 있다. 또한, 섬유주대의 내부 부분을 제 위치에서 유지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시술은 비-관통 섬유주 시술(심층 공막 절개술(deep sclerotomy), 점탄 물질을 이용한 관절개술(viscocanalostomy)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여과 수술은 여과 기포의 섬유화에 의한 여과의 불충분함과 관련된 합병증으로 진행되거나(이러한 여과 기포는 공막과 결막과의 사이에 존재하며, 자체적으로 상승함), 이와 반대로 이러한 여과의 성능이 지나치게 높아지는 것과 관련된 합병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수술에서, 약 70 %의 시술 성공률(이러한 성공은 IOP를 충분히 낮추는 것을 달성하는 것으로서 규정됨)은, 결막하 여과 시술(sub-conjunctival filtering)과 더불어서, 포도막-공막 유동량 증가를 달성하며, 이러한 유동량 증가는 초음파 검사에서 볼 수 있다. 이러한 포도막-공막 유동량 증가는 안압을 낮추기 위한 메커니즘들 중 하나이기 때문에, 이러한 포도막-공막 유동량 증가를 외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것이 유리하다.
WO 2010/088258은 전방으로부터, 공막과 모양체 사이의 공간으로, 또는 맥락막(맥락막상 공간) 내로, 배출용 임플란트를 주입하는 것을 개시하며, 이러한 배출용 임플란트의 스티프니스는 주변 조직들을 변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시술 기법들로 획득되는 안압의 감소는 때로 불충분하고 일시적이다. 따라서, 보통, 하나 이상의 저압용 약물 치료를 재개해야 하거나 이를 계속 유지해야 한다.
전술한 바에 기초하여, 본 발명은 공막과 모양체 사이에, 추가 시술 또는 여과 또는 다른 시술 없이 또는 이러한 것들과 함께, 해부학적 구조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 임플란트를, 삽입함으로써 생리학적 포도막-공막 유동의 저압 효과를 증가시켜서 이를 영구적으로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제는 공막과 포도막 조직 사이에 삽입된 영구 삽입형 안과용 임플란트이며, 상기 임플란트는 단일체로 형성되며 포도막과 생체 적합성을 갖는 바디를 가지며 상기 바디는 박형이며, 상기 박형 바디는 상기 길이 및 폭 중 더 작은 치수보다 최소 10 배 미만인 실질적으로 균일한 단일 두께를 가지며, 상기 바디는 상기 두께 방향에 수직인 2 개의 치수들인 길이 및 폭 중 하나를 따라서 서로 이격되어 있는 2 개의 반대편 에지들을 포함하며, 상기 2 개의 반대편 에지들 중 하나는 전방 에지로서 지칭되며, 상기 전방 에지는 상기 두께 방향에 수직인 평면으로의 투영 시에, 상기 바디의 외측을 향하는 오목형 만곡부(concave curvature)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임플란트 바디의 오목형 전방 에지는 상기 전방 에지가 상기 섬유주대에 가능한 한 가깝게 동심적으로 위치되게 하며, 이에 따라 임플란트가 최상의 가능한 위치에서 자신의 분리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한다(이러한 최상의 위치에서, 전방 에지의 오목형 만곡부의 곡률 반경은 대체적으로 각막의 곡률 반경과 일치함). 오목형 전방 에지의 이러한 구성은 안방수가 포도막-공막 유동 영역에 가능한 한 가깝게 영구적으로 수집되도록 한다. 따라서, 이러한 임플란트는 생리학적 포도막-공막 분비액 유동량의 증가를 현저하게 개선시킨다.
임플란트의 바디는, 두께 방향에 수직인 평면으로의 투영 시에, 상기 오목형 전방 에지를 포함하는 바디의 부분을 제외하고는, 기하학적으로 볼록한 외측 둘레부 윤곽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평면으로의 투영 시에 이러한 나머지 부분은 볼록한 기하학적 형상을 가지며, 이는 이러한 나머지 부분의 두 지점 A와 B가 고려될 때마다, 이들을 연결하는 선분 AB가 이러한 나머지 부분 내에 완전히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달리 말하면, 오목형 전방 에지를 포함하는 바디의 부분(이러한 부분의 일측은 오목형 전방 에지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고, 전방 에지의 오목형 만곡부의 정점에 대해 접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바디 내부의 가상 직선에 의해서 그 타측의 경계가 정해지고, 그리고 각각이 상기 오목형 전방 에지 및 상기 접선과 만나는 2 개의 반대편 에지들에 의해서 그 측부의 경계가 정해짐)의 외측에서, 상기 평면으로의 투영 시에, 상기 바디의 나머지 부분은 오목부(recess) 또는 융기부(boss) 또는 재차 들어간 각(reentrant angle) 또는 재차 들어간 부분을 갖지 않는다.
또한, 바디가 상이한 두께를 갖는 상이한 다수의 부분들로 형성되지 않는다면 바디의 두께는 단일 두께를 가지며, 만일에 바디가 상이한 두께를 갖는 상이한 여러 부분들로 형성되면, 바디는 가변 두께 프로파일(예를 들어, 계단형 프로파일, 스테이지형 프로파일 또는 정사각-파형 프로파일)을 갖는다. 바디는 균일하고 두께의 측면에서 그리고 두께 방향에 수직한 치수들의 측면에서 국부적 변화들을 갖는 복잡한 형상(절취부, 오목부, 복귀부, 등을 가짐)을 가지지 않는 한 단일체(one single part)로서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바디는 서로 반대편에 있는 면들의 쌍들 각각에서, 하나의 단일 곡률을 갖는 평면형 또는 곡선형인 전체적인 형상을 가지며, 이는 파 형상이나 톱니 모양과 같은 형상은 제외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디는 일반적으로 절취부(cutout)를 갖는 형상을 가지지 않으며, 특히 두께 방향에 수직인 평면으로 투영되게 보여질 때에 그러하다.
일반적으로, 바디의 전체 형상은 종래 기술의 임플란트의 바디의 형상과 비교하여 단순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의 바디는, 특허 문헌 WO 95/35078의 임플란트의 바디(상이한 두께들을 가지며 이러한 두께에 수직인 상이한 폭들을 갖는 두 부분들을 갖는 바디), 미국 특허 제 4521210 호(하나의 분기부가 다른 분기보다 큰 십자형 바디), US 2004/0015140의 임플란트의 바디(전방 부분을 갖는 주걱 형상 바디로서, 상기 전방 부분의 폭은 바디의 나머지 부분과 비교하여 감소되고, 임플란트를 설치하기 위한 공구의 삽입을 위한 측부 절개부들 및 축방향 후방 절개부를 가짐), 및 US 2004/0092856의 임플란트의 바디(T 형상의 크로스바의 두 개의 반대편 단부들을 갖는 T 자형 바디로서, 이러한 두 개의 반대편 단부들의 두께는 T 형의 크로스 바의 나머지 부분들의 두께보다 큼)와는 상이하다.
임플란트의 바디는 공막과 포도막 조직을 서로 분리하여 임플란트가 그들 간에 영구적으로 삽입되게 하며, 안방수의 흐름에 대한 저항이 낮은 구역을 생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박형 바디는 생리학적 공막-포도막 유동 유체를 효과적으로 배출하기 위해서 상기 바디 위에 놓인 구조물과 아래에 놓인 구조물(즉, 공막 및 포도막 조직) 간에 충분한 물리적 분리를 제공한다.
상기 바디가 포도막과 생체 적합성을 갖는다는 것이 의미하는 것은, 바디를 구성하는 재료 또는 재료들이 주변 안구 구조들을, 본 경우에는, 포도막의 구조물들을 침식하거나 변질시키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디의 이러한 생체 적합성은 그 자체로는, 바디가 포도막 내로, 특히 공막과 포도막 조직 사이로 영구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개별적으로 또는 서로 조합하여 고려되는 다른 가능한 특징들에 따르면:
- 예를 들어, 바디는 바디의 나머지 부분에 비해서, 전방 에지가 박형화되도록 구성되며, 이로써 바디는 공막 돌기의 구조물을 간섭하지 않으면서 가능한 한 섬유주대에 근접하게, 공막 돌기 아래로 삽입될 수 있다;
- 보다 구체적으로, 오목형 전방 에지는 100 내지 400㎛의 치수에 걸쳐서 박형화되며, 상기 박형화되는 치수는 상기 바디의 상기 2 개의 반대편 에지들 간에서 연장되는 방향으로 측정되는 것이며; 이러한 전방 에지가 박형화되는 치수는, 임플란트가 공막 돌기의 구조물을 간섭하지 않으면서 가능한 한 섬유주대에 근접하게 임플란트를 위치시키는 효과성의 측면에서 매우 양호한 결과를 낳는다; 반대편 후방 에지는, 예를 들어, 임플란트의 바디의 나머지 부분과 동일한 두께를 갖는다; 바디는 (박형화된 에지가 존재할 때에) 이러한 박형화된 에지를 포함하지 않는 부분에 걸쳐서 실질적으로 균일한 두께(이러한 균일함은 바디의 두께의 가능한 국부적 편차 내에 있음)를 유지한다;
- 바디의 두 반대편 에지들, 즉 전방 에지와 이에 반대쪽에 있는 후방 에지는 두께 방향에 수직인 두 치수들, 즉 폭 및 길이 중 더 작은 것을 따라서 서로 멀리 떨어져 있다;
- 전방 에지의 오목형 만곡부는 5 내지 7mm의 곡률 반경을 갖는다; 전방 에지의 이러한 곡률 반경은 이러한 전방 에지가 각막 가장자리(각막과 공막 사이의 천이 영역)와 동심적으로 위치될 수 있게 하며, 이는 안방수의 최대한 가능한 수용을 보장한다;
- 상기 임플란트의 바디는 미세 기기를 사용하여 핸들링되거나 안과용 주입 시스템을 사용하여 주입될 수 있도록 영구 탄성 변형이 되지 않게 구부려지도록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미동작 상태에서, 변형되지 않은 바디는 평편형이고, 일단 공막과 포도막 조직 사이에 영구적으로 주입되면, 바디는 변형된 사용 상태라고 하는 상태로 변형된다; 이어서, 바디는 공막과 모양체의 곡률들에 최대한 일치하게 부합되는 형상으로 된다;
- 상기 임플란트의 바디가, 상기 공막과 포도막 조직 사이에 삽입된 안과용 임플란트로서 사용될 수 있도록 변형된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바디는 제 2 오목형 만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오목형 만곡부는 상기 두께 방향에 수직인, 상기 임플란트의 두 치수들인 길이 및 폭에 의해 규정된 평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을 중심으로 만곡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2 오목형 만곡부는, 바디를 안구의 구체(sphere)의 일부(바디 아래 놓인 모양체)에 맞게 성형함으로써 모양체의 곡률에 가능한 한 일치되게 바디의 형상이 부합되게 할 수 있으며; 이로써, 임플란트는 이중 곡률을 갖는다;
- 상기 임플란트의 바디는 30 내지 60 kg/cm2의 영율(Young's modulus)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강성/유연성 특성은 바디가 눈에 삽입될 때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게 하고, 바디 아래 및 위에 놓이는 안구의 구조물들에 의해서 영구적으로 변형된 상태로 유지되게 하며, 그리고 이러한 구조물들의 자연적 곡률들에 부합되게 한다(바디의 과도한 강성(rigidity)은 실제로 이러한 구조물들의 변형을 일으켜서 이러한 생체적 구조물들의 기능을 손상시킬 수 있다); 위에서 규정된 범위의 강성은 공막의 강성보다 낮고(또는, 훨씬 더 낮음), 이로써 임플란트가 공막을 변형시키지 않고 공막을 라이닝(lining)할 수 있게 한다;
- 상기 임플란트의 바디는 탄성 변형 가능하지 않고, 상기 바디는 상기 두께 방향에 수직인, 상기 임플란트의 두 치수들인 길이 및 폭에 의해 규정된 평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을 중심으로 만곡진 제 2 오목형 만곡부를 영구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2 오목형 만곡부는 바디가 주입되는, 바디 위에 놓이는 안구 구조물 및 바디 아래에 놓이는 안구 구조물의 자연적 곡률들을 따르도록 곡률 반경을 갖게 된다;
- 상기 제 2 오목형 막곡부는 10 내지 15 mm의 곡률 반경을 갖는다; 이러한 곡률 반경은 임플란트의 바디가 그 밑에 있는 모양체의 구형 부분(spherical portion)에 형상이 부합되게 하는데 특히 적합하다;
- 상기 임플란트의 바디는 3 차원적으로 볼 때에, 전체 형상이 구형 캡 부분(spherical cap portion)에 부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상기 임플란트의 바디는 상기 바디를 통과하는 안방수(aqueous humor)의 유동, 상기 바디를 따르는 안방수의 유동 또는 상기 바디를 통과하고 상기 바디를 따르는 안방수의 유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모양체와 공막 사이에 삽입된 임플란트는, 안방수가 바디를 따라서(전방 에지부터 반대편 후방 에지로) 유동하든 및/또는 바디를 통과하여 유동하든 상관없이, 눈의 후방 부분을 향해 섬유주대의 레벨에서 수집된 안방수가 유동하는 것을 촉진할 필요가 있다;
- 상기 임플란트의 바디는 상기 바디의 두께를 따라 서로 이격된 두 개의 반대편의 대형 면들을 가지며; 이러한 두 개의 반대편에 있는 대형 면들은 대체적으로 상호 평행하고, 미동작 시 및/또는 임플란트가 주입될 때, 동일한 곡률을 갖는다(2 개의 이러한 반대편에 있는 대형 면들은 임플란트가 주입된 후에만 효과적으로 만곡져질 수 있다);
- 상기 서로 이격된 두 개의 반대편의 대형 면들은 실질적으로 평면형이거나 만곡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 상기 서로 이격된 두 개의 반대편의 대형 면들 각각은, 10 내지 20 ㎛의 하나 또는 수 개의 국소적 두께 변화 지점들을 갖는다; 두께의 이러한 국소적인 변화는 두께 방향에 수직인 바디의 치수 또는 치수들와 비교하여 작은, 두께 방향에 수직인 하나 또는 두 개의 치수들, 즉 폭 또는 길이를 따라서 발생한다(두께의 치수는 이러한 폭 또는 길이의 치수보다 약 10 배만큼 작음); 이러한 두께의 가능한 변화는 바디의 균일한 전체 두께의 10 % 정도이다는 점에 유의해야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균일한 두께는 소정의 공칭 또는 전체 값을 가지며 전술한 바와 같은 범위의 두께의 하나 이상의 변화들을 국부적으로 허용하는 두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 임플란트의 바디는 그 두께를 통과하는 오리피스들로 천공된다; 이러한 오리피스는 바디를 통한 안방수의 흐름을 가능하게 한다;
- 상기 임플란트의 바디는 상기 서로 이격된 두 개의 반대편의 대형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대형 면에 형성된 음각부를 가지며, 상기 음각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형 면을 따르는 안방수의 유동을 촉진시키도록 구성된다;
- 상기 바디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형 면에 형성된 음각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형 면에 형성된 홈의 형태를 취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형 면에 부여된 요철(roughness)의 형태를 취한다; 이러한 음각부는 예를 들어, 바디의 전방 에지로부터 반대편 후방 에지까지 연장되는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표면 상에 배열된 홈 또는 채널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 상기 임플란트의 바디는 PTFE, 폴리실록산, 친수성 또는 소수성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로 겔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재료를 포함한다;
- 상기 바디의 2 개의 가장 큰 치수들인 폭과 길이의 투영 부분들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볼 때에, 상기 바디는 2 x 2 mm의 최소 치수 내지 7 x 7 mm의 최대 치수의 범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치수 범위를 준수하면, 임플란트가 목표된 포도막-공막 흐름 작용을 보장할 수 있다; 상기 최소 치수는 충분한 삽입 효과가 얻어지도록 보장하며 이는 유동 저항을 감소시키고, 상기 최대 치수는 안방수의 역동성이 너무 큰 유동량에 의해 방해받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이러한 방해는 안구 내 저압으로 이어질 위험이 있다);
- 임플란트 바디의 두께는 50 내지 400 μm이다; 그러한 두께는 효과적인 분리 효과를 제공한다;
- 상기 임플란트 바디의 체적은 0.8 내지 8 mm3이다; 이러한 체적은 포도막-공막 유동량(uveo-scleral flow)를 증가시키지만 과도하게 증가되지 않게 한다;
- 상기 임플란트의 바디는 하나 이상의 물질을 방출하는 특성을 갖는다;
- 상기 바디는 예리한 에지도 없고 예리한 모서리도 없는 외측 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공간적 배향과 상관없이, 즉 두께 방향에 수직인 평면으로의 투영 시에 또는 두께가 연장되는 방향을 포함하는 평면에로의 투영 시에), 상기 외측 표면은 둥근 모서리 또는 에지를 가지며, 이로써 임플란트를 쉽게 설치하고 주위 조직에 대한 외상 가능성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 상기 바디는 상기 두께 방향에 수직인 평면으로 투영되게 볼 때에, 상기 바디의 윤곽을 규정하는 4 개의 에지들 또는 변들을 가지며, 상기 4 개의 에지들 또는 변들은 상기 전방 에지, 상기 전방 에지 반대편의 후방 에지, 및 2 개의 측부 에지들(lateral edges)로 구성되며, 상기 2 개의 측부 에지들 각각은 상기 전방 에지 및 후방 에지와 만나고 상기 전방 에지와 후방 에지를 서로 연결시킨다(이로써, 4 개의 변들을 갖는 다각형이 구성된다);
- 상기 2 개의 측부 에지들은 상기 후방 에지로부터 상기 전방 에지를 향하는 방향으로 서로를 향해 수렴하거나(이러한 경우에, 전방 에지가 후방 에지보다 길이가 작음), 또는 상기 2 개의 측부 에지들은 서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 상기 바디는, 상기 두께 방향에 수직인 평면으로 투영되게 볼 때에, 전체 형상이 환형인 세그먼트(annular segment)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 및 이점들은 단지 비제한적인 예로서 주어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루어진 이하의 설명의 과정 중에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눈의 각막 둘레에 위치된,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의 몇 가지 가능한 실시예들을, 정면도로 보여주는 매우 개략적인 일반적인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의 실시예의 다양한 가능한 형태를 도시한다.
도 3,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의 바디를 통해서(도 3), 바디를 따라서(도 4), 바디를 통하고 바디를 따라서(도 5) 유동하는 안방수의 유동을 촉진시키는 임플란트의 구성의 가능한 일 실시예를 각각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 및 도 7은 2 개의 상이한 방법들에 따른 임플란트의 설치를 매우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공막과 모양체 사이에 개재된,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의 실시예의 일 가능한 형태가, 인체의 눈 내에 배치된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는 도 8의 임플란트가 없는 홍채각막 각(iridocorneal angle)의 구조의 보다 상세하고 확대된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막과 포도막 간에 개재된 임플란트의 존재 시에, 안방수의 유동량의 증가를 나타내는 비교도들이다.
본 발명은 공막과 포도막 조직 사이에 영구적으로 주입되고 따라서 이들 사이에 영구적으로 삽입되도록 의도된 안과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는 얇은 바디를 포함하며, 이로써, 공막과 포도막 조직 사이에 일단 삽입되면, 상기 바디는 이러한 바디 위에 놓인 조직 및 아래에 놓인 조직을 허용할 수 없을 정도로 변형시키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조직들의 허용 가능한 변형은 이러한 조직들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의 기능 또는 기능들을 손상시키지 않는 변형이다.
본 임플란트의 바디는 공간적으로 3 차원을 갖는다: 두께, 길이 및 두께 방향에 수직인 폭(또는, 길이와 폭이 일치하는 경우에는, 2 개의 동일한 치수들)의 치수들을 갖는다. "박형 바디"가 의미하는 바는 해당 바디의 다른 두 개의 치수들, 즉 길이 및 폭 중 더 짧은 것보다 최소 10 배만큼 작은 두께를 갖는 바디를 말하며, 이러한 다른 두 개의 치수들 중 가장 짧은 것은 폭이거나, 이러한 다른 두 개의 치수들이 동일한 경우에는 이러한 2 개의 다른 치수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바디의 두께는 바디의 폭보다 13 배만큼 작다. 예를 들어, 치수(폭 및 길이)가 4 x 5 mm인 바디의 경우, 바디의 두께는 0.3 mm이다.
본 임플란트의 바디는 두께 방향에 수직인 2 개의 치수들 중 하나, 예를 들어, 폭(이러한 2 개의 치수들 중 더 작은 것)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격된 2 개의 반대편 에지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2 개의 이격된 에지 중들 하나는 전방 에지(anterior edge)라고 불리며, 상기 두께 방향에 수직인 평면으로 투영 시에, 바디의 외측을 향하는 오목형 만곡부를 갖는다.
전방 에지의 오목형 만곡부는 임플란트의 이러한 전방 에지가, 말하자면, 포모막-공막 유동 구역에서, 섬유주대에 가능한 한 가장 근접하게 위치되게 하며, 이로써 안방수의 최대 가능한 양을 수용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전방 에지의 오목형 만곡부의 곡률 반경은, 예를 들어, 5 내지 7 mm이며, 이는 상기 전방 에지가 각막 둘레부와 동심적으로 위치할 수 있게 하며, 따라서, 상기 전방 에지가 섬유주대에 최대한 가깝게 위치하게 하다. 이러한 동심성은 언제나 동공의 중심과 정렬되지는 않는 각막의 중심(원의 중심)에 대해 정의된다. 이러한 전방 에지의 오목형 만곡부의 곡률 반경은, 예를 들어, 5.5 mm와 같다.
상기 전방 에지 반대편의 에지는 후방 에지(posterior edge)라고 불리며, 두께 방향에 수직인 평면으로 투영될 때에 반드시 만곡질 필요는 없다(즉, 반드시 외측을 향해서 볼록하게 될 필요는 없다). 실제로, 이러한 후방 에지는 직선일 수도 있고 다른 형상을 채택할 수도 있다.
본 안과용 임플란트의 바디는 그의 포도막에 대해 생체 적합한 특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진 적어도 하나의 재료를 포함하며, 따라서 바디는 포도막에 대해 생체 적합성을 갖는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서, 바디가 안구 조직에 대한 매우 낮은 접착력을 갖는다. 다시 말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재료는, 바디가 그 위에 놓인 구조물 및 그 아래에 놓인 구조물과 접촉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러한 구조물들이 반복적으로 움직일 때에 이러한 구조물들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본 임플란트의 바디는, 두께 방향에 수직인 평면으로의 투영 시에, 오목형 전방 에지를 포함하는 바디의 부분을 제외하고, 볼록한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 외측 윤곽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평면으로의 투영 시에 바디의 나머지 부분은 볼록한 기하학적 형상을 가지며, 이는 이러한 나머지 부분의 두 지점들 A와 B가 고려될 때마다, 이러한 두 지점들을 연결하는 선분 AB가 상기 나머지 부분에 완전히 포함됨을 의미한다. 즉, 오목형 전방 에지를 포함하는 바디의 부분(이러한 부분의 일측은 오목형 전방 에지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고, 전방 에지의 오목형 만곡부의 정점에 대해 접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바디 내부의 가상 직선에 의해서 그 타측의 경계가 정해지고, 그리고 각각이 상기 오목형 전방 에지 및 상기 접선과 만나는 2 개의 반대편 에지들에 의해서 그 측부의 경계가 정해짐)의 외측에서, 상기 평면으로의 투영 시에, 상기 바디의 나머지 부분은 오목부(recess) 또는 융기부(boss) 또는 재차 들어간 각(reentrant angle) 또는 재차 들어간 부분을 갖지 않는다.
또한, 바디가 상이한 두께를 갖는 상이한 다수의 부분들로 형성되지 않는다면 바디의 두께는 단일 두께를 가지며, 만일에 바디가 상이한 두께를 갖는 상이한 여러 부분들로 형성되면, 바디는 가변 두께 프로파일(예를 들어, 계단형 프로파일, 스테이지형 프로파일 또는 정사각-파형 프로파일)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바디는 서로 반대편에 있는 면들의 쌍들 각각에서, 하나의 단일 곡률을 갖는 평면형 또는 곡선형의 전체적인 형상을 가지며, 이는 파 형상이나 톱니 모양과 같은 형상은 제외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디는 일반적으로 절취부(cutout)를 갖는 형상을 가지지 않으며, 특히 두께 방향에 수직인 평면으로 투영되게 보여질 때에 그러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구(10)는 중앙에 동공(14)을 갖는 각막(12)에 의해 매우 개략적으로 정면도로 도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안과용 임플란트의 실시예의 3 가지 가능한 형태들이, 바디의 두께 방향에 수직인 평면(도 1의 평면)으로 투영되게 볼 때에 각막 주변에서 주입된 위치들로 도시되어 있다.
각각 참조 부호(20, 30 및 40)로 표시된 이들 3 가지 가능한 형태의 임플란트는, 각각 공통적으로 오목형 전방 에지(22, 32, 42)를 가지며, 이러한 오목형 전방 에지(22, 32, 42)의 오목형은 곡률 반경을 의미하며, 이러한 곡률 반경은 상기 오목형 전방 에지가 각막의 둘레부와 동심적으로, 즉 섬유주대에 가능한 한 가깝게 배치될 수 있도록 조절된다.
이들 3 개의 임플란트 각각은 전방 에지와는 상이한 반대편의 후방 에지(24, 34, 44)를 가지며, 임플란트들 간에 상이한 측부 에지들을 갖는다.
임플란트(20)의 후방 에지(24)는 직선이며, 바디는 전방 에지 및 후방 에지에 접하고 이러한 전방 에지 및 후방 에지를 서로 연결하는 2 개의 측부 에지(26, 28)를 포함한다; 전방 에지(22)가 후방 에지(24)보다 길면, 측부 에지(26, 28)는 후방 에지로부터 전방 에지를 향해 서로에 대해 발산한다; 측부 에지들(26, 28)은 서로에 대해 대칭적일지만, 도시되지 않은 다른 형태에서, 이들은 서로에 대해 비대칭일 수 있다.
임플란트(30)의 후방 에지(34)는 볼록형이며(이러한 볼록형은 바디의 외측을 향하며; 이와 달리, 이 후방 에지는 직선일 수 있음), 그 곡률 반경은 오목형 에지(32)의 곡률 반경과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이러한 전방 에지 및 후방 에지에 접하고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2 개의 측부 에지(36, 38)를 포함하며; 전방 에지(32)가 후방 에지(34)보다 짧은 한, 측부 에지들(36, 38)은 후방 에지로부터 전방 에지를 향하여 서로에 대해 수렴한다. 일반적으로, (두께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위에서 보았을 때의 임플란트(30)의 바디는, 그 밑면이 오목하고 그 상면이 볼록하거나 소정의 각도상의 섹터에 걸쳐서 연장되는 환형 세그먼트 또는 부분과 닮은, 사다리꼴을 연상시키는 형상을 갖는다.
본 실례에서, 임플란트(30)의 바디는, 두께 방향에 수직인 평면으로의 투영 시에, 오목형 전방 에지(32)를 포함하는 바디의 부분(32a)을 제외하고, 볼록한 형상을 갖는 외측 둘레 윤곽을 갖는다. 이러한 평면으로 투영 시에 바디의 나머지 부분(32b)은 볼록한 기하학적 형상을 가지며, 이는 이러한 나머지 부분(32b)의 두 지점들 A 및 B가 고려될 때마다, 그들을 연결하는 선분 AB가 이러한 나머지 부분(32b)에 완전히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부분(32a)의 일 측은, 오목형 전방 에지(32)에 의해서 경계가 정해지며, 상기 부분(32a)의 타측의 경계는, (만곡부의 볼록성을 갖는 측에 있는) 오목 전방 에지(32)의 오목형 만곡부의 정점에 대해 접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바디 내부의 가상 직선 또는 가상 축(L)에 의해서 정해지며, 그리고 각각이 상기 오목형 전방 에지(32) 및 상기 접선 또는 가상 직선(L)과 만나는 2 개의 반대편 에지들에 의해서 그 측부의 경계가 정해진다. 달리 말하면, 오목형 전방 에지를 포함하는 바디의 부분(32a) 외부에서, 상기 평면으로의 투영 시에, 상기 바디의 나머지 부분(32b)은 오목부 또는 융기부 또는 재차 들어간 각(reentrant angle) 또는 재차 들어간 부분을 갖지 않는다. 다른 볼록 형상이 바디에 대해 구상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형태에 따르면, 측부 에지들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또 다른 대안적인 형태에 따르면, 위에서 볼 때 바디의 전체적인 형상은 오목형 전방 에지를 제외하고는, 직사각형의 형상일 수 있으며, 후방 에지가 직선형 또는 볼록형일 수도 있다.
임플란트(40)의 볼록형 후방 에지(44)(바디의 외측을 향하는 볼록성을 가짐)는 전방 에지(42)와 바로 만나며; 인접한 측부 에지들이 없다; 따라서, 바디는 위에서 보았을 때 초승달 모양의 전체적인 모양을 가지며(도 1), 그 결과, 두 개의 에지들, 즉 전방 에지(42)와 후방 에지(44) 간에서, 임플란트들(20 및 30)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치수를 가지며, 이러한 임플란트들(20 및 30)에서는, 전방 에지 및 후방 에지가 서로 보다 넓게 이격되어 있다. 임플란트(40)의 형상은, 후방(후방 에지)을 향한 분리 효과를 연장시키면서, 임플란트들(20 및 30)에서보다 작은 크기의 절개부를 통해, 삽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특정 구성을 갖는 임플란트의 경우, 전방 에지의 길이가 최대화되고, 후방 에지의 구성 및/또는 길이는 보다 자유롭다는 것이 구상된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의 측부 에지들(존재하는 경우에 그러하며, 도 1의 임플란트(40)의 경우에는 이러한 측부 에지들이 없음)은 임플란트(30)에서와 같이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거나(임플란트의 오목형 에지가 따라서 연장되는 가상 원의 중심을 향해서 연장되는 에지들; 따라서, 이러한 에지들은 이러한 가상 원의 중심을 향하여 수렴함) 또는 임플란트(20)에서와 같이 가상 원의 외측 방향으로 수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의 형상이 무엇이든), 효과적인 분리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후방 에지는 전방 에지로부터 충분히 멀리 떨어져 있어야 하다. 실제로, 후방 에지는 전방 에지로부터 최소 3 mm의 거리로 이격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의 형상이 무엇이든), 후방 에지의 길이는 전방 에지의 길이를 10 %보다 많이 초과하지 않는다.
그러나, 도시되지 않은 다른 형태에 따르면, 상이한 형상 및/또는 치수를 나타내는 다른 임플란트들이 또한 적합할 수 있다: 따라서, 임플란트는 도 1에 도시된 것보다 각막(12) 둘레부를 따르는 더 큰 원주(또는 각도상의 섹터)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의 형상이 무엇이든), 전방 에지의 길이(원주 부분의 길이)는 예를 들어, 3 내지 7 mm로 구성된다. 이러한 길이 범위를 넘어서면, 임플란트를 삽입하기가 더 어렵다는 것이 증명된다(즉, 더 큰 크기의 절개부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반적인 측면에서의 이러한 임플란트에 의해서 부여되는 효과(생리학적 포도막-공막 유동량 증가)는 각막 둘레부를 따라서 배열된 하나 또는 수 개의 임플란트를 통해 획득 가능하며, 이와 관련하여 수 개의 임플란트들은 서로 접촉하거나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의 형상이 무엇이든), 임플란트의 외측 표면을 한정하고 서로 인접한 다양한 에지들 또는 면들 또는 에지면들 또는 측면들은 라운드형의 교차 각 또는 모서리를 형성하도록 서로 만나게 된다. 즉, 임플란트의 바디는 날카로운 에지가 없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임플란트의 바디는 또한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삼차원에서 보았을 때, 평평한 형상을 유지하거나(바디는 도 1에서와 같이 위에서 볼 때에 바디의 두께를 제외한 2 개의 치수들에 의해서 규정되는 평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제 2 곡률을 갖지 않거나), 곡선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두께를 제외한 2 개의 치수들에 의해서 규정되는 평면에 수직인 상기 방향에서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곡률이 있다).
도 2a는 "e"로 표시된 그의 두께 방향에서 볼 때의, 즉 도 1의 평면에 포함된 방향에서 볼 때의, 임플란트(50)를 도시한다. 이러한 임플란트는 오목형 전방 에지를 가지며, 이러한 오목형 전방 에지의 오목함은 도 2a에서 볼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임플란트는 바디의 다른 두 치수(두께 치수 제외)로 정의된 평면에서 전방 에지의 오목형 만곡부를 포함하지만, 미동작 상태에서(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 임플란트는 이러한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볼 때에 평면형이다(제 2 곡률의 부재).
이러한 임플란트의 바디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재료로 만들어지며 이로써 임플란트는 영구 변형을 일으키지 않고 구부러지기 때문에, 임플란트는 미세도구로 핸들링되거나 안과용 주입 시스템을 사용하여 주입될 수 있다. 그러한 바디가 더 이상 구부리는 힘을 받지 않을 때, 바디는 변형되지 않은 최초의 (미동작) 위치로 되돌아간다.
도 2b 및 도 2c는 변형된 상태로 도 2a의 바디를 도시하며(도 2b : 두께 방향에서의 프로파일 뷰; 도 2c는 위에서 본 사시도), 예를 들어, 바디가 공막과 포도막 조직 사이에 주입되었을 때에 변형된 상태로 도시한다. 이러한 변형된 상태는 또한 미세도구 또는 안과용 주입 시스템과 같은 도구에 의해 외부 벤딩력이 바디에 가해질 때 얻어질 수 있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바디는 구형 표면의 일부분에 형상이 부합하며 구형 캡 부분의 전체 형상을 형상이 부합한다. 따라서, 바디의 형상은 특히, 임플란트 아래에 놓여있는 모양체의 구형 표면의 일부분에 부합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바디는 오목형 전방 에지(52)를 포함한다.
이 변형된 상태에서 바디가 채택한 모양은 이 바디가 (전방 에지의 오목형 곡률에 추가하여) 도 1에서 예시된 바디의 다른 두 치수들(길이와 너비)에 의해 정의된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투영 시에 이중 곡률을 포함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바디(body)를 포함한다. 도 2b에는, 이들 상이한 곡률들 중 하나가 (전방 에지의 오목 곡률 이외에)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변형된 바디는 두께 방향을 따라 서로 분리된 다음과 같은 두 개의 큰 반대편 대면들을 포함하다: 이중으로 만곡된 하나의 볼록한 상부면(50a), 및 또한 이중으로 만곡되고 구형 표면의 일부분과 형상 일치하도록 구성된 도시되지 않은 오목형 반대편 하부면. 이러한 이중 만곡부는 임플란트가 조직들 간의 분리 효과를 정확하게 분산시킬 수 있게 하다.
볼록한 상부면(50a)은 공막과 마주하게 구성된 반면, 오목형 하부면은 포도막 조직을 향하도록 구성된다.
상술된 이중 만곡부의 각 곡률은 10 내지 15 mm의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가지며, 예를 들어, 11 mm와 동일하다.
임플란트의 바디는 영률이 30 내지 60 kg/cm2인 재료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영률은 바디에 유연성 특성을 부여하여 바디가 눈에 삽입될 때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게 하고 이로써 바디의 위에 놓인 안구 구조물 및 아래에 놓인 안구 구조물의 자연적 곡률에 형상 부합되게, 이러한 위에 놓인 안구 구조물 및 아래에 놓인 안구 구조물에 의해서 영구적으로 변형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영률은 이들 안구 구조들 중 어느 하나가 자신의 기능(들)을 손상시키기 쉬운 변형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게 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영률은 예를 들어, 25 %에 대해 친수성인 친수성 아크릴 재료로 제조된 탄성 변형 가능한 바디에 대해 40kg/cm2와 동일하다.
도 2a 내지 도 2c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된 모든 것은 또한 바디가 상이한 전체적인 형상을 갖는 임플란트에 대해서 적용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에서와 같이 두 개의 가장 큰 치수들에 의해 정의된 평면(또는 달리 말하면, 두께 방향에 수직인 평면)으로 투영되게 보여질 때에, 바디의 윤곽은 오목하게 유지되는 오목형 전방 에지(52)를 제외하고, 도 2c에 도시된 것과 상이할 수 있다.
더욱이, 도 2a에서와 같이 전방 에지가 얇아지지 않을 수도 있다.
도 2a 내지 도 2c에서, 바디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디의 에지들, 측면들 또는 에지 면들이 인접한 면들이 서로 만나는 날카로운 에지를 갖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이러한 모든 에지들은 기하학적 배향이 무엇이든지, 라운드형이며, 이로써 임플란트를 쉽게 삽입할 수 있게 한다.
대안적 형태의 실시예에 따르면, 임플란트의 바디는 탄성 변형 가능하지 않고, 도 2b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다른 두 치수들(폭과 길이(도 1))의 평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 2 곡률을 영구히 갖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 2 곡률은 바디가 미동작 상태에 있을 때에 존재한다. 일단 바디가, 공막과 포도막 조직 간의 영구적인 삽입의 최종 위치에 주입되면, 바디는 더 이상 변형되지 않고 이러한 영구적인 곡률을 유지하다.
이러한 대안적인 형태에 따르면, 바디는 도 2c의 전체적인 형상을 취하거나, 도 2a 내지 도 2c에 적용된 대안적인 형태에 대해 상술된 바와 같은 상이한 전체적인 형상을 채택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탄성 변형 불가능한 재료의 일례는 폴리실록산이다.
임플란트의 바디는 상기 바디의 2 개의 가장 긴 치수들의 투영을 포함하는 평면, 즉, 도 1의 평면에서 볼 때에, 일반적으로, 2 x 2 mm의 최소 치수와 최대 치치수 7 x 7 mm 간에 존재하는 치수들을 갖는다. 그러한 치수들은 임플란트가 본 발명의 부재 시에, 인간의 눈에서 약 10 %인 생리학적 포도막-공막 유동량을 증가시키는 데 필요한 작용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안압을 낮출 수 있다.
이러한 치수들은 조직을 분리시키는 효과가 효과적이게 하는데 충분하고 이로써 안방수의 흐름에 대한 저항이 감소되도록 하는데 충분하며, 안방수의 흐름의 역동성을 방해할 정도로 높지는 않다. 따라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임플란트는 약 30 내지 40 %의 생리학적 포도막-공막 흐름량을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안압(IOP)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
도 2a 및 도 2b에서, 바디의 두께는 바디 전체에 걸쳐 동일하게 도시되어있다.
그러나, 오목형 전방 에지가 얇아질 수 있다.
도 2a의 예시에서(이는 도 2b 및 도 2c에도 적용되지만), 오목형 전방 에지(52)는 100 내지 400㎛ 거리 또는 치수 "l"에 걸쳐 얇게 도시 되어있다. 이러한 치수는 바디의 두 개의 반대편의 전방 에지(52)과 후방 에지(54) 간에서 연장되는 방향에서 측정된다. 얇은 부분은 참조 부호(55)로 표시된다. 바디의 길이(L)의 나머지 부분(57)은 예를 들어, 후방 에지까지 일정하게 유지되는 동일한 두께를 갖는다.
그러나, 도시되지 않은 다른 형태에 따르면, 길이(L)의 바디의 나머지 부분의 두께는 이 길이의 전부 또는 일부를 따라서 반드시 일정하지는 않은 값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의 형상이 무엇이든), 후방 에지의 두께는 최소한, 전 에지의 두께와 동일하다.
임플란트 바디의 균일한 두께는 일반적으로 50 내지 400 ㎛로 구성되며, 따라서, 조직들 간의 충분하고 효과적인 분리를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50 μm 미만에서는, 분리 효과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400 ㎛를 초과하면, 저압 위험이 존재한다.
전방 에지의 얇게 된 길이(부분(55))는 공막 돌기의 구조를 방해하지 않고 따라서 모양체 상에 이의 삽입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섬유주대에 가능한 한 가깝게 임플란트를 위치시키는 효과의 측면에서 양호한 결과를 제공한다.
임플란트의 바디는 0.8 내지 8 mm3의 체적을 가지며, 이로써 바디 위에 놓인 조직 및 아래에 놓인 조직의 수용 불가능한 변형 문제를 야기하지 않고 안방수의 역동성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목표된 포모막-공막 유동량을 보장할 수 있다.
도 3 내지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의 또 다른 양상을 도시하고, 프로파일로 보았을 때 3 개의 임플란트(60, 70, 80)를 나타내며, 이는 그들의 두께 방향으로에서의 프로파일로 보았을 때의 도면들이다. 단순화를 위해, 이들 도면은 도 2b 및 2c에 도시된 곡률(들)과 같은 임의의 곡률을 도시하지 않는다. 그러나, 다음의 설명은, 바디가 탄성 변형 가능하거나 탄성 변형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임플란트의 형상 및 치수가 관계없으며, 두께 방향에서도 단순 곡률 또는 이중 곡률을 가질 수 있는 바디를 갖는 임플란트에 대해 적용된다. 도 3 내지 5에서, 치수들은 이해를 위해 의도적으로 과장되어있다.
이 양태에 따르면, 임플란트의 바디는 상기 바디를 통해서(도 3) 또는 바디를 따라서 (도 4), 또는 바디를 관통하고 바디를 따라서(도 5) 유동하는 안방수의 액체 유동을 가능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모양체와 공막 사이에 삽입된 임플란트는 눈의 후방을 향해 섬유주대에서 모인 안방수의 유동/배출을 촉진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안방수의 흐름은 바디를 따라서(전방 에지부터 반대쪽 후방 에지까지) 및/또는 바디를 관통해서 촉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60)의 바디는 그 두께를 관통하는 오리피스(62)들로 천공된다. 이들 오리피스(62)는 안방수가 바디를 통해, 두 개의 큰 반대편면들 중 하나(60a)로부터 다른 반대편면(60b)으로 흐르게 한다. 이러한 관통 오리피스들은 오목형 전방 에지(64)로부터 반대편 후방 에지(66)까지 연장하는 방향으로 단면 평면 내에서 정렬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바디는 또한 도시되지 않은 복수의 다른 오리피스들로 천공되며, 이러한 다른 오리피스들은 도 3의 단면 평면 앞과 뒤의 다른 평면들에 위치한다.
그러나, 바디를 통과하는 오리피스들은 반드시 도 3과 같이 정렬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자면, 각각의 오리피스는 50㎛의 직경을 가지며, 바디의 두께는 200㎛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임플란트(70)의 바디는 두 개의 큰 반대편 면들(70a, 70b)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큰 면을 따라서의 안방수 유동을 촉진할 수 있는 음각부(relief)를 갖는다.
도시된 예에서, 두 개의 반대편의 큰 면(70a, 70b)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음각부가 제공되며, 이러한 음각부는 두 개의 반대편의 큰 면(70a, 70b) 간에서 반드시 동일하게 형성된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이러한 음각부는 두 개의 반대편의 큰 면(70a, 70b) 간에서 동일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음각부는 면들(70a, 70b)의 표면 상에 각각 형성된 홈들 또는 채널들(72, 74)의 형태를 취한다. 이들 홈 또는 채널(72, 74)은 바디의 오목형 전방 에지로부터 반대편 후방 에지까지 연장되는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정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서, 이 방향은 도면의 평면에 수직이고, 전방 및 후방 에지는 도시되지 않았다. 오직 반대편 인접하는 에지들(76, 78)만이 도시된다.
국부적으로 각 두께를 감소시킴으로써 바디의 구성을 약화시키지 않기 위해, 두 개의 홈들 또는 채널들이 서로 마주보게 될 때마다, 홈들 또는 채널들(72)은 홈들 또는 채널들(74)과 위치 대응되게 배치되지 않는다.
임플란트의 바디는 관통-오리피스와 홈들를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리피스들은 홈들의 바닥부 내에 위치하거나 또는 하나의 동일한 면 상에 배열된 두 개의 인접하는 홈들 사이에서 배치된다.
도 5의 임플란트(80)는 큰 면(80a) 상에 생성된 홈들 또는 채널들(82)을 포함하고, 반대편 큰 면(80b) 상에는 홈들 또는 채널들(84)이 상기 홈들 또는 채널들(82)에 대해서 오프셋된 위치에서 형성된다. 관통 오리피스들(89)은 바디의 두께에 걸쳐서, 두 대 면의 홈들 간의 다양한 위치들에서 및/또는 홈들의 각 측면 상에서 형성된다.
도 4에서와 같이, 두 개의 반대편 면들의 홈들은 동일한 이유들로, 엇갈린 배치로 배열된다.
도 5에서, 전방 에지 및 후방 에지는 도 4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서로 반대편의 인접한 에지들(86, 88)만이 도시되어있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형태에 따르면, 상기 음각부는 공지된 방법에 의해 상기 바디의 2 개의 큰 반대편 면들 중 하나의 면 및/또는 다른 하나의 면에 형성된 거칠기 또는 텍스처의 형상를 채택할 수 있다.
보다 일반적으로 그리고 이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5의 임플란트의 다른 형태에 따른 임플란트는 관통 오리피스와, 전술한 홈 또는 채널과는 다른 음각부를 모두 포함한다. 이러한 음각부는 개소들 간에서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도 4 및 도 5와 관련하여 상기 설명된 음각부는 바디의 2 개의 반대편 대면들 중 각각의 대면(또는 단지 하나의 대면) 상에서의 10 내지 20 ㎛의 두께의 국부적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 두께의 이러한 국부적인 변화는, 두께 방향에 수직인 바디의 치수 또는 치수들에 비해 치수가 작은(치수 또는 치수들보다 약 10 배 작음) 두께의 방향에 수직인 하나 또는 두 개의 치수들에서 발생한다. 이러한 두께의 변화는 바디 전체의 균일한 두께의 10 % 정도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디는 실질적으로 균일한 두께를 가지며, 이는 소정의 공칭 또는 전체적인 값을 가지며 10 내지 20 ㎛의 두께 변화를 국부적으로 허용하는 두께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의 바디가 제조되는 재료는 PTFE, 폴리실록산, 친수성 또는 소수성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로겔을 포함하는 재료들로부터 선택된다.
임플란트의 바디에는 하나 이상의 물질을 방출하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물질은 예를 들어, 항-감염 물질 및/또는 항염증 물질이다. 이러한 물질은 항생제 및/또는 코르티손 또는 항-코르티손 물질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주입 방법을 사용하는, 임플란트(90)의 삽입을 도시한다. 이 제 1 주입 방법은 안구 내압의 저하가 목표될 때 기존의 항-녹내장 시술적 개입 또는 안구 내 개입에 대해 추가적으로 사용된다. 섬유주 절개술 및 공막 절개술은 눈에서 하나 또는 여러 개의 공막 플랩들을 절삭하는 것을 수반하며, 이 때에 이러한 플랩들은 리프트되며 이러한 시술적 개입을 진행할 수 있게 한다. 공막 플랩(scleral flap)(92)(도 6에서 점선으로 도시됨)은 일 또는 두 개의 평면들에서 공막을 가변 깊이로, 다음과 같은 3 개의 측면들을 따라서 절개함으로써 획득된다: 각막(12)으로부터 멀어지게 각막(12)으로부터 연장되는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한 절개부들(92a, 92b), 및 이러한 다른 2 개의 절개부들에 수직이고 각막(12)으로부터 이격된 제 3 절개부(92c)를 포함한다. 이렇게 3 개의 절개부들은 하나 또는 여러 개의 공막 플랩(scleral flap)로서 알려진 것을 형성한다. 공막 플랩(들)이 리프트되면, 2 개의 절개부(도 6의 94a, 94b)가 플랩(92) 내부에서, 모양체까지 형성되며, 이로써 임플란트가 심층 공막 평면과 모양체 간에서 슬립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이러한 절개부들은 적어도 2 mm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형태에 따르면,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심층 공막 평면에서의 단일 절개가 이루어진다.
이어서, 사용된 주입 방법은, 예를 들어 히알루론산 유형의 점탄성 물질을, 공막과 모양체 간에서 절개된 절개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로써 이전에 붙어 있던 이러한 두 조직들을 서로 분리할 수 있다. 이는 임플란트가 그 위에 놓인 구조물 및 아래에 놓인 구조물에 외상을 주지 않으면서 삽입될 수 있게 하다.
이 단계는 20 내지 30 g 크기의 직경을 갖는 주입 캐뉼라와 같은 주입 장치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소량의 물질(예를 들어, 0.05 mm3)이 주입된다.
또한, 주입 방법은 양모체까지 깊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2 개의 절개부들(94a, 94b) 중 하나를 통해, 연성-단부형 겸자(soft-ended forceps)와 같은 기구를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겸자는 제 2 절개부를 통해 나오고 임플란트를 파지하여 임플란트를 공막과 모양체 간에 배치한다.
후속 단계 동안, 둔한-에지가 있는 주걱과 같은 미세시술 기구를 사용하여, 임플란트(90)는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섬유주대에 가능한 한 가깝게(즉, 각막 둘레부와 동심이 되도록) 위치되며, 이로써 안방수를 최대로 수용할 수 있다.
임플란트가 공막과 모양체 사이에 위치하는 공간(맥락막상 공간)에 설치, 배치 및 위치될 수 게 하는 다른 유형의 기구 또는 장치, 예를 들어, 인젝터가 사용될 수 있다.
다른 단계에서, 공막 플랩 또는 플랩들은 폴딩되고 봉합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주입 방법을 사용하는 임플란트(100)의 설치를 도시한다.
이 방법은 제 2 방법이 기존 시술에 추가적으로 사용되지 않지만 시술을 구성한다는 점을 제외하면 제 1 방법과 매우 유사하다.
이 제 2 방법에 따르면:
- (도 6의 절개부들(94a, 94b)과 유사하게) 각막에 대해 방사상이거나 서로 평행한 2 개의 절개부들(102a, 102b)이 각막 둘레(각막과 공막 사이의 천이를 표시하는 구역)로부터 형성되어 예를 들어, 1 내지 4 mm 범위의 길이에 걸쳐 연장되며 모양체까지 계속되며,
- 예를 들어,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유형의 점탄성 재료가 두 개의 절개부들 중 하나를 통해 주입되고,
- 공막이 들어 올려져서 임플란트(100)가 삽입 및 위치될 수 있게 한다.
이들 단계는 제 1 방법에 대해 전술한 단계들과 동일하다.
절개부들을 봉합하는 마지막 단계는 역시 선택사항적이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형태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절개부가 이 제 2 방법 동안 형성되고, 이러한 하나의 절개부는 공막과 모양체 간의 삽입 위치에 임플란트를 설치하기에 충분하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임플란트들(90 및 100)은 상술한 임플란트 중 임의의 것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술된 임플란트 주입 방법들은 본 발명에 따른 임의의 임플란트에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공막과 포도막 조직 간에 삽입되는 영구 삽입형 안과용 임플란트에 적용가능하며, 이러한 임플란트는 단일편(single piece)의 포도막 생체 적합성 얇은 바디를 포함하며, 이러한 바디는 상기 바디의 다른 2 개의 치수들 중 가장 작은 것의 치수보다 최소 10 배보다 작은 실질적으로 균일한 단일 두께(e)를 가지며, 상기 임플란트의 바디는 상기 두께 방향에 수직인 2 개의 치수들 중 하나를 따라 서로 멀리 떨어져있는 2 개의 반대편 에지들을 포함하며, 이러한 에지들 중 하나는 전방 에지로 지칭되며 전방 에지는 상기 두께 방향에 수직인 평면으로의 투영 시에 상기 바디의 외측을 향하는 오목형 만곡부를 갖는다. 상기 임플란트는 일반적인 설명 및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및 대안적인 형태들에서 설명된 특징들 중 임의의 하나(또는 몇몇 또는 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제 2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몇몇 임플란트의 삽입에 적용된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상이한 임플란트의 삽입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상이한 절개부(또는 도 7의 예에서는 2 개의 절개부)가 만들어져야한다.
도 8은 전술한 방법들 중 하나를 사용하여 삽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의 단면도이다.
안구(110)의 일부를 통과한 단면도는 홍채(118)에 의해 그 주변부가 구획되는 각막(114)과 수정체(116) 사이에 있는 전방 챔버 또는 전방(anterior chamber)(112)을 도시한다.
홍채(118)의 뒤에는 후방 챔버(120)가 있다.
공막(122)은 각막 가장자리(124)(공막과 각막 사이의 곡률 반경의 변화 영역)를 통해 각막(114)의 둘레부에 연결된다. 공막(122)은 홍채(118)에 연결되고 공막(122)이 놓여있는 모양체근(130)을 포함하는 모양체(128)를 덮는다.
각막과 홍채 사이에 위치된 섬유주대(134)는 필터로서 작용하고 전방 챔버(112)에서 순환하는 안방수에 의해 통과된다.
슐렘관(136)은 공막과 각막 사이에 위치하며 섬유주대(134) 뒤에 있다.
다양한 화살표들(F1, F2, F3 및 F4)은 안방수가 따르는 경로 또는 라우트들을 나타낸다:
- F1은 전방 챔버(112)로 들어가는 안방수가 따르는 종래의 경로 또는 흐름을 나타낸다.
- F2는 전방 챔버(112)로 들어가기 위해 안방수가 따르는 확산 경로 또는 흐름을 나타낸다.
- F3은 전방 챔버(112)를 떠나서 섬유주대(134)를 통해 슐렘관(136)으로 향하는 안방수가 따르는 종래의 경로 또는 흐름을 나타낸다.
- F4는 전방 챔버(112)를 떠나는 안방수의 통상적인 생리학적 포도막-공막 흐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1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공막(122)과 모양체근(130) 사이에 개재되어있다. 이 임플란트는 공막 돌기(spleral spur) 상으로의 모양체근(130)의 삽입을 고려하면서 동시에, 가장 적절한 지점에서 그의 영구적인 분리 효과를 수행할 수 있도록 (그 오목형 전방 에지로 인해서) 섬유주대에 최대한 가장 근접하게 위치한다. 도 9는 본 임플란트가 없는 홍채각막 각(iridocorneal angle)의 구조의 보다 상세하고 확대된 도면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양체근(130)이 삽입되는 공막 돌기(scleral spur)(132)는 섬유주대(134)의 후방 부분(134a) 위에 위치한다.
공막과 모양체 사이의 이 지점에서 생성된 분리작용은 안방수가 생리학적 포도막-공막 흐름의 영역에 가능한 한 가깝게 일정하게 모아지도록 하게 한다(이러한 분리 효과는 안방수의 흐름에 대한 저항성이 적은 구역을 생성한다). 이와 같이 배치된 이러한 임플란트는 생리학적 포도막-공막 흐름량의 증가를 위한 상당한 이득을 제공한다.
생리학적 공막-포토막 흐름은 도 8에서 임플란트 위 및 아래에 위치한 화살표들(F5)로 표시된 바와 같은, 섬유주대(모양체 섬유주대)의 후방 부분을 통과하는 분비액 유동의 추가 분율만큼 증가한다. 이러한 추가 분율만큼의 분비물 흐름은, 가능한 한 섬유주대에 가깝게 배치되지만 이러한 섬유주대를 손상시키지 않게 배치되는, 공막과 모양체를 분리하는 임플란트의 분리 효과로 인해 가능하다.
도 10a 및 도 10b는 각막 이식(corneal graft)을 위해서 사용할 수 없는 안구 은행(eye bank)로부터 획득된 안구에 대해서 수행된 실험의 결과를 도시한다.
녹내장의 상태를 시뮬레이션하는 안압(IOP)에 대응하는 15g 무게가 눈의 각막 상단에 배치된다.
안압을 측정하기 위해 안구 내측에 압력 센서를 설치했다. 연속적인 IOP(토노그래피) 측정치들이, 임플란트가 안방수의 흐름량 및 따라서, IOP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해, 임플란트를 사용하면서 그리고 임플란트를 사용하지 않고서, 측정 및 기록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 외과적 주입 방법을 사용하여, 두 개의 공막 절개부를 통해 안구 내에 삽입되었다. 이러한 임플란트는 모양체 위 공간(supra-ciliary space) 내로 주입되었다.
해당 임플란트는 면적 5 x 3 mm, 두께 150 μm를 갖는 임플란트로서, 그의 포도막 생체 적합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25 % 친수성 아크릴 소재로 제작되었다. 이러한 임플란트의 형상은 도 1의 임플란트(30)의 형상이다.
안방수 유동이 용이한지를 확인하기 위해 연속적인 안압 측정이 본 실례에서 12 분 동안 측정 및 기록되었다(mm Hg로 기록됨). 이러한 기법은 토노그래피로서 지칭된다. 이러한 기법은 예를 들어, 다음의 참고 문헌에서 설명된다: J Glaucoma. 2003 June;12(3):237-42 “Tonography demonstrates reduced facility of outflow of aqueous humor in myocilin mutation carriers”, Wilkinson CH1, Van der Straaten D, Craig JE, Coote MA, McCartney PJ, Stankovitch J, Stone EM, Mackey DA.
도 10a에 도시된 측정 결과들의 다양한 곡선(사각형, 삼각형 및 다이아몬드를 갖는 곡선들)은 안구에 상이한 국부적 압력을 가함으로써, 임플란트 없이 안구에서 얻어지는 것들이다. 인가된 상이한 압력들은 녹내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것과 같은 안압에서의 변화들을 시뮬레이션하고, 이러한 포도막-공막 유동에 대해서 이러한 변화들이 가져오는 결과들을 나타낸다. 사각형과 삼각형이 있는 두 곡선들은 국부적인 압력들 가해진 것들에 대한 곡선들이다.
도 10b에서 예시된 측정 결과들의 다양한 곡선들(사각형, 삼각형 및 다이아몬드가 있는 곡선들)은 안구에 서로 다른 국소 압력들을 가함으로써, 전술한 임플란트를 사용하여, 얻어진 것들이다(정사각형 및 삼각형이 있는 곡선들).
두 도면들 간의 해당 곡선들을 비교하면, 도 10b의 곡선들은 도 10a의 곡선들보다 가파른 경사(더 큰 IOP 기울기)를 가지며, 따라서 IOP가 10 내지 20 mm Hg의 생리학적 압력으로 복귀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더 짧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생리학적 IOP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를 사용하여 재확립되는 속도가 더 빠른 것은 안방수의 유동량이 매우 현저하게 증가되었음을 의미한다.
도 10a와 도 10b 사이의 곡선들의 반전은, 임플란트가 존재할 때, 더 높은 가해진 압력으로 유동량이 더 커진다는 사실로부터 유래한다.

Claims (26)

  1. 공막(sclera)과 포도막(uveal) 조직 사이의 영구 삽입형 안과용 임플란트로서,
    상기 임플란트는 단일체로 형성되며 포도막과 생체 적합성을 갖는 바디(20; 30; 40; 50)를 가지며, 박형인 바디는 길이 및 폭 중 더 작은 치수보다 최소 10 배 미만인 실질적으로 균일한 단일 두께(e)를 가지며,
    상기 바디는 두께 방향에 수직인 두 개의 치수들 중 하나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있는 2개의 반대편 에지들(22, 24; 32, 34; 42, 44; 52, 54)을 포함하며,
    상기 2 개의 반대편 에지들(22, 24; 32, 34; 42, 44; 52, 54) 중 하나의 에지는 전방 에지(22; 32; 42; 52)로 지칭되고, 상기 전방 에지는 두께 방향에 수직인 평면으로의 투영 시에 상기 바디의 외측을 향하는 오목형 만곡부(concave curvature)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안과용 임플란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형 만곡부를 갖는 전방 에지(22; 32; 42; 52)는 100 내지 400㎛의 치수에 걸쳐서 박형화되며, 상기 박형화되는 치수는 상기 바디의 2 개의 반대편 에지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방향으로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안과용 임플란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2 개의 반대편 에지들(22,24; 32,34; 42,44; 52,54)은 상기 전방 에지와, 상기 전방 에지 반대편에 있는 후방 에지로 지칭되며, 상기 전방 에지와 후방 에지는 두께 방향에 수직인 치수들 중 작은 것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안과용 임플란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에지(22; 32; 42; 52)의 오목형 만곡부는 5 내지 7 mm의 곡률 반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안과용 임플란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50)의 바디는, 미세 기기를 사용하여 취급되거나 안과용 주입 시스템을 사용하여 주입될 수 있도록, 영구 변형이 되지 않게 구부려지도록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안과용 임플란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50)의 바디는, 공막과 포도막 조직 사이에 삽입된 안과용 임플란트로 사용될 수 있도록 변형된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두께(e) 방향에 수직인 임플란트의 두 개의 치수들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제2 오목형 만곡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안과용 임플란트.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의 바디는 30 내지 60 kg/cm2의 영율(Young's modulus)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안과용 임플란트.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의 바디는 탄성 변형 가능하지 않고, 상기 두께 방향에 수직인 임플란트의 두 개의 치수들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다른 오목형 만곡부를 영구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안과용 임플란트.
  9. 제 6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오목형 만곡부는 10 내지 15 mm의 곡률 반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안과용 임플란트.
  10. 제 6 항, 제 8 항, 및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50)의 바디는, 3차원적으로 볼 때에, 전체 형상이 구형 캡인 부분(spherical cap portion)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안과용 임플란트.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의 바디는, 상기 바디를 통과하거나 상기 바디를 따르는 안방수(aqueous humor)의 유동을 허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안과용 임플란트.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의 바디는, 상기 바디의 두께를 따라 서로 이격된 두 개의 반대편의 대형 면들(60a, 60b, 72a, 72b, 82a, 82b)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안과용 임플란트.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반대편의 대형 면들은 실질적으로 평면형이거나 만곡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안과용 임플란트.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반대편의 대형 면들은 각각 10 내지 20 ㎛의 하나 또는 수 개의 국소적 두께 변화 지점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안과용 임플란트.
  15.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의 바디는 두께를 관통하는 오리피스들(62, 89)로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안과용 임플란트.
  16. 제 12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의 바디는, 상기 두 개의 반대편의 대형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대형 면(72a, 72b, 82a, 82b)에 음각부(relief)(72, 74, 82, 84)를 가지며, 상기 음각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형 면(72a, 72b, 82a, 82b)을 따르는 안방수의 유동을 촉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안과용 임플란트.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적어도 하나의 대형 면에 형성된 음각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형 면에 형성된 홈(72, 74; 82, 84)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형 면에 부여된 요철(roughness)의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안과용 임플란트.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의 바디는, PTFE, 폴리실록산, 친수성 또는 소수성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로 겔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안과용 임플란트.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의 바디는, 상기 바디의 두 개의 가장 큰 치수들의 투영 부분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볼 때, 2 x 2 mm의 최소 치수 내지 7 x 7 mm의 최대 치수 범위의 치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안과용 임플란트.
  20.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의 바디의 두께(e)는 50 내지 4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안과용 임플란트.
  21.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의 바디는 0.8 내지 8 mm3의 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안과용 임플란트.
  22.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의 바디는 하나 이상의 물질들을 방출하는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안과용 임플란트.
  23.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뾰족한 에지나 모서리가 없는 외측 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안과용 임플란트.
  24. 제 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두께 방향에 수직인 평면으로 투영되게 볼 때에, 상기 바디의 윤곽을 규정하는 4 개의 에지들인, 전방 에지, 상기 전방 에지 반대편의 후방 에지, 및 상기 전방 에지 및 후방 에지에 접하여 상기 전방 에지 및 후방 에지를 서로 연결하는 두 개의 측부 에지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안과용 임플란트.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측부 에지들은, 후방 에지로부터 전방 에지로 향하는 방향으로 서로를 향해 수렴하거나, 또는 서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안과용 임플란트.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두께 방향에 수직인 평면으로 투영되게 볼 때, 전체 형상이 환형인 세그먼트(annular segment)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안과용 임플란트.
KR1020177031635A 2015-03-31 2016-03-25 삽입형 안과용 임플란트 KR1025035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552732A FR3034308B1 (fr) 2015-03-31 2015-03-31 Implant ophtalmologique d'interposition
FR1552732 2015-03-31
PCT/FR2016/050696 WO2016156727A1 (fr) 2015-03-31 2016-03-25 Implant ophtalmologique d'interposi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4578A true KR20170134578A (ko) 2017-12-06
KR102503560B1 KR102503560B1 (ko) 2023-02-27

Family

ID=54014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1635A KR102503560B1 (ko) 2015-03-31 2016-03-25 삽입형 안과용 임플란트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905589B2 (ko)
EP (1) EP3277237A1 (ko)
JP (1) JP6754773B2 (ko)
KR (1) KR102503560B1 (ko)
CN (1) CN107530191B (ko)
BR (1) BR112017020867B1 (ko)
CA (1) CA2980218C (ko)
FR (1) FR3034308B1 (ko)
MX (1) MX2017012524A (ko)
RU (1) RU2721299C2 (ko)
WO (1) WO201615672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37612B2 (en) 2020-08-13 2023-1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sens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61731C1 (ru) * 2021-02-16 2021-12-13 Юрий Юрьевич Калинников Имплантат для введения в роговичный карман человеческого глаза для коррекции послеоперационной аномалии рефракции
FR3119763B1 (fr) 2022-04-15 2024-04-12 Ciliatech Implant ophtalmologique d’interposition a excroissance de contac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21210A (en) * 1982-12-27 1985-06-04 Wong Vernon G Eye implant for relieving glaucoma, and device and method for use therewith
US5879319A (en) * 1994-06-22 1999-03-09 Chauvin Opsia Sclerotomy implant
US20040193262A1 (en) * 2003-03-29 2004-09-30 Shadduck John H. Implants for treating ocular hypertension, methods of use and methods of fabrication
US20040254521A1 (en) * 2003-06-16 2004-12-16 Solx, Inc. Shunt for the treatment of glaucoma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04907A (en) 1994-07-22 1998-01-06 Wound Healing Of Oklahoma Method and apparatus for lowering the intraocular pressure of an eye
IL146021A0 (en) * 1999-04-26 2002-07-25 Gmp Vision Solutions Inc Shunt device and method for treating glaucoma
FR2813521B1 (fr) * 2000-09-01 2003-06-13 Ioltechnologie Production Drain a glaucome
US7749528B2 (en) * 2001-08-29 2010-07-06 Ricardo Azevedo Pontes De Carvalho Implantable and sealable medical device for unidirectional delivery of therapeutic agents to tissues
EP1534363B1 (en) * 2002-07-19 2008-12-31 Yale University Uveoscleral drainage device
RU2394534C2 (ru) * 2007-12-27 2010-07-20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чреждение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Самарская клиническая офтальмологическая больница им. Т.И. Ерошевского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открытоугольной глаукомы
EP3735947B1 (en) 2009-01-28 2022-05-04 Alcon Inc. Ocular implant delivery system
EP2480186A1 (en) * 2009-09-21 2012-08-01 Vidus Ocular, Inc. Uveoscleral drainage device
US9370444B2 (en) * 2010-10-12 2016-06-21 Emmett T. Cunningham, JR. Subconjunctival conformer device and uses thereof
EP2654715B1 (en) 2010-11-24 2017-01-25 Dose Medical Corporation Drug eluting ocular impla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21210A (en) * 1982-12-27 1985-06-04 Wong Vernon G Eye implant for relieving glaucoma, and device and method for use therewith
US5879319A (en) * 1994-06-22 1999-03-09 Chauvin Opsia Sclerotomy implant
US20040193262A1 (en) * 2003-03-29 2004-09-30 Shadduck John H. Implants for treating ocular hypertension, methods of use and methods of fabrication
US20040254521A1 (en) * 2003-06-16 2004-12-16 Solx, Inc. Shunt for the treatment of glaucom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37612B2 (en) 2020-08-13 2023-1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sen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56727A1 (fr) 2016-10-06
CA2980218A1 (fr) 2016-10-06
JP6754773B2 (ja) 2020-09-16
RU2017133016A3 (ko) 2019-08-05
FR3034308A1 (fr) 2016-10-07
US20180353329A1 (en) 2018-12-13
MX2017012524A (es) 2018-02-23
KR102503560B1 (ko) 2023-02-27
FR3034308B1 (fr) 2022-01-21
EP3277237A1 (fr) 2018-02-07
BR112017020867B1 (pt) 2022-12-06
CN107530191B (zh) 2021-08-20
CN107530191A (zh) 2018-01-02
RU2017133016A (ru) 2019-05-06
BR112017020867A2 (pt) 2018-07-10
JP2018512942A (ja) 2018-05-24
RU2721299C2 (ru) 2020-05-18
CA2980218C (fr) 2023-05-23
US10905589B2 (en) 2021-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80600B2 (ja) 眼内流体排出器具及びその製造方法
US10492948B2 (en) Glaucoma drainage shunts and methods of use
US20200315846A1 (en) Glaucoma treatment devices and methods
US7357778B2 (en) Aqueous drainage and flow regulating implant
JP2002521145A (ja) 緑内障治療用の縫合を使用しない移植可能な器具および方法
US11406534B2 (en) Drainage devices and methods for draining the aqueous humor of the eyeball
US20190046356A1 (en) Methods Materials Assemblies Apparatuses and Implants for Surgical Reduction of Intraocular Pressure to Suprachoidal Space Ab Externo and Subconjunctival Space
US20220125638A1 (en) Glaucoma treatment devices and methods
EP0977531A1 (en) Device for use in the eye
AU2005249966A1 (en) Glaucoma shunt
JP2021520248A (ja) ドレナージデバイスおよび方法
KR20170134578A (ko) 삽입형 안과용 임플란트
US20230146222A1 (en) Glaucoma implant device
US20160143781A1 (en) Valve device for use in glaucoma surg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