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4431A - 클리닝 유닛 - Google Patents

클리닝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4431A
KR20170134431A KR1020177027827A KR20177027827A KR20170134431A KR 20170134431 A KR20170134431 A KR 20170134431A KR 1020177027827 A KR1020177027827 A KR 1020177027827A KR 20177027827 A KR20177027827 A KR 20177027827A KR 20170134431 A KR20170134431 A KR 201701344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ments
rod
cleaning unit
covering element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7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스제크 시코라
바르토스 시에슬리코브스키
라도슬라브 피가르스키
Original Assignee
인터내셔널 토바코 머쉬너리 폴란드 에스피. 제트 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PL411447A external-priority patent/PL233965B1/pl
Application filed by 인터내셔널 토바코 머쉬너리 폴란드 에스피. 제트 오.오. filed Critical 인터내셔널 토바코 머쉬너리 폴란드 에스피. 제트 오.오.
Publication of KR20170134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44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2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 A24D3/0204Preliminary operations before the filter rod forming process, e.g. crimping, blooming
    • A24D3/0212Applying additives to filter materials
    • A24D3/0225Applying additives to filter materials with solid additives, e.g. incorporation of a granular product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2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Landscapes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Manufacturing Of Cigar And Cigarette Tobacco (AREA)

Abstract

담배 산업에 이용되는 기계를 위한 클리닝 유닛을 개시하며, 이 클리닝 유닛은 이동하는 트레인(ST2)으로 배치된 로드형 요소(S1, S2)들로부터 낱알 물질 오염물을 제거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트레인(ST2)은 상기 낱알 물질로 채워진 공간(43)에 의해 분리된 로드형 요소(S1, S2)들을 포함하며, 상기 트레인(ST2)은 포장지(101)에 의해 부분적으로 싸여 있으며, 클리닝 유닛은 낱알 물질 오염물을 포집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흡인 노즐(55, 89)을 포함하는 것으로, 그 클리닝 유닛이, 흡인 노즐(55, 89)의 부근에서 트레인(ST2)의 이동 중에 로드형 요소(S1, S2)들 사이의 낱알 물질로 채워진 공간(43)을 커버링 요소(52, 64, 84, 85', 85'', 91)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게 되는 위치로, 커버링 요소(52, 64, 84, 85', 85'', 91)를 변위시키도록 구성된 시프팅 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클리닝 유닛
본 개시는 담배 산업 기계에 이용되고 로드(rod)형 요소들의 트레인(train)으로부터 오염물을 제거하도록 구성된 클리닝 유닛에 관한 것이다.
궐련(cigarette) 등의 담배(tobacco) 산업 제품은 중실 형태의 다른 요소들 사이에 위치한 낱알 알갱이(loose granulate) 형태의 활성탄 등의 다양한 여과 물질을 갖는 세그먼트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활성탄을 갖는 세그먼트는 통상 로드형 요소의 형태를 취하는 중실 세그먼트 사이에 활성탄을 배치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중실 세그먼트들은 여과 특성 또는 비여과 특성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면 이들은 방향 캡슐(aromatic capsule)을 포함할 수 있다. 활성탄 또는 기타 낱알 물질을 포함하는 필터의 제조업자들은, 인접하는 세그먼트들이 그러한 물질로 오염되지 않도록 낱알 재료의 부분을 배치하거나, 또는 포장지(wrapper)에 세그먼트들의 트레인을 싸기 전에 중실 세그먼트로부터 낱알 입자들을 제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미국 특허 US3482488에는 회전 브러시에 의해 로드형 요소로부터 오염물을 제거하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한 해법은 클리닝 효율이 비교적 낮다. 중요한 문제점은, 오염물이 포장지와 로드형 요소의 접촉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홈 내에 잔류하며, 그 낱알 물질의 입자들은 홈 내에 끼이는 경향이 있어 제거하기 곤란하다는 점이다.
낱알 물질이 공급된 위치로부터 그 낱알 물질을 제거하지 않도록 클리닝을 행할 수 있고 로드형 요소의 높은 클리닝 효율을 제공하는, 낱알 물질을 포함한 다중 세그먼트 여과 로드를 제조하는 장치를 제공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담배 산업에 이용되는 기계를 위한 클리닝 유닛을 개시하며, 클리닝 유닛은 이동하는 트레인으로 배치된 로드형 요소들로부터 낱알 물질 오염물을 제거하도록 구성되며, 그 트레인은 낱알 물질로 채워진 공간에 의해 분리된 로드형 요소들을 포함하며, 그 트레인은 포장지에 의해 부분적으로 싸여 있으며, 클리닝 유닛은 낱알 물질 오염물을 포집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흡인 노즐을 포함한다. 클리닝 유닛은, 흡인 노즐의 부근에서 트레인의 이동 중에 로드형 요소들 사이의 낱알 물질로 채워진 공간을 커버링 요소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게 되는 위치로, 그 커버링 요소를 변위시키도록 구성된 시프팅 기구를 더 포함한다.
그 시프팅 기구는 휘일을 포함할 수 있고, 커버링 요소는 휘일의 둘레에 장착될 수 있다.
그 시프팅 기구는 벨트를 포함할 수 있고, 커버링 요소는 벨트의 외면에 장착될 수 있다.
시프팅 기구는 타원형 트랙을 따라 커버링 요소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커버링 요소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링 요소는 커버링 요소의 시프팅 기구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커버링 요소는 공기에 대해 투과성을 갖는 압박면을 구비할 수 있다.
커버링 요소는 공기에 대해 불투과성인 압박면을 구비할 수 있다.
커버링 요소는 원통의 일부분의 형상으로 된 압박면을 구비할 수 있다.
커버링 요소는 또한 커버링 요소의 덕트를 통해 낱알 물질 오염물을 포집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갖는 표면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다중 세그먼트 필터 로드를 제조하는 기계를 개시하며, 그 기계는, 장식 벨트(garniture belt)에 배치된 포장지 상에 로드형 요소들을 서로 이격된 관계로 트레인으로 배치하는 공급 유닛; 로드형 요소들 사이의 공간에 낱알 물질을 공급하는 충전 유닛; 로드형 요소들로부터 낱알 물질 오염물을 제거하는 클리닝 유닛; 로드형 요소들과 낱알 물질 둘레에 포장지를 감아 연속한 로드를 형성하는 장식 유닛; 및 연속한 로드를 다중 세그먼트 필터 로드로 절단하는 커팅 헤드를 포함한다. 그 클리닝 유닛은 상기한 바와 같은 클리닝 유닛이다.
또한, 다중 세그먼트 필터 로드를 제조하는 담배 산업 기계에서 이용하기 위한 것으로, 로드형 요소들로부터 낱알 물질 오염물을 제거함으로써 클리닝하되, 낱알 물질로 채워진 공간에 의해 이격되어 있고 포장지로 부분적으로 싸여진 로드형 요소들을 포함하는 트레인의 이동 중에 낱알 물질 오염물을 제거함으로써, 클리닝하는 방법을 개시하며, 그 방법은 흡인 노즐에 의해 로드형 요소들로부터 낱알 물질 오염물을 포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 방법은 또한, 낱알 물질로 채워지고 포장지로 덮이지는 않은 공간을 커버링 요소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단계; 트레인의 로드형 요소들로부터 오염물을 제거하는 단계; 및 공간의 이전에 덮였던 부분을 덮이지 않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개시하는 유닛은, 100%에 근사한 수준으로 낱알 물질로 채우진 구획을 갖는 여과 로드를 제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제조된 로드가 고품질을 갖게 할 수 있다. 추가적인 이점은 낱알 물질을 갖는 로드를 제조하는 기계의 오염이 비교적 낮다. 게다가, 그 유닛은 고속으로 작동할 수 있다. 수행된 테스트를 통해, 커버링 요소는 낱알 물질, 특히 로드형 요소들 사이의 공간을 채우는 데에 문제가 될 수 있는 낮은 벌크 밀도의 낱알 물질을 압착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상기한 유닛은 첨부 도면에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도시하며, 그 도면에서,
도 1 및 도 2는 연속 다중 세그먼트 로드의 다양한 예의 부분들을 도시하며,
도 3은 다중 세그먼트 로드의 일례를 도시하며,
도 4는 다중 세그먼트 여과 로드를 제조하는 기계의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도 5는 클리닝 유닛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6은 클리닝 유닛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7은 낱알 물질을 덮는 영역의 확대도를 도시하며,
도 8은 클리닝 유닛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9는 클리닝 유닛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10은 흡인 노즐을 도시하며,
도 11은 별개의 파이프 형태의 흡인 노즐을 도시하며,
도 12는 슬라이딩 커버링 요소를 도시하며,
도 13은 커버링 요소의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14는 복수의 커버링 요소를 도시하며,
도 15는 커버링 요소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2는 개시하는 유닛에 의해 형성된 로드형 요소(S1, S2, SC)의 트레인으로부터 형성된 연속 다중 세그먼트 로드(CR1, CR2)의 다양한 예의 부분을 나타내는 것으로, 그 세그먼트들은 포장지(101)에 의해 싸여 있다. 세그먼트(S1, S2)는 통상 원기둥 형상의 중실 형상을 갖는 한편, 세그먼트(SC)는 세그먼트(S1, S1)들 사이 또는 세그먼트(S1, S2)들 사이에 위치하는 낱알 물질(102)로 형성된다. 개시하는 연속 로드는 절단되어 다중 세그먼트 로드로 된다. 도 3은 연속 로드(CR2)로부터 형성된 다중 세그먼트 로드(R2)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다중 세그먼트 여과 로드를 제조하는 기계의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그 기계는 로드형 요소(S1, S2)들을 트레인(ST1)으로서 배치하도록 구성된 공급 유닛(1)을 포함하며, 그 로드형 요소(S1, S2)들은 실질적으로 미리 설정된 서로 이격된 관계로 이송된다. 로드형 요소(S1, S2)는 장식 벨트(5)에 공급된다. 말음 종이(wrapping paper) 등의 포장지가 장착 벨트(5)의 벨트 상에 공급되고, 로드형 요소(S1, S1)는 그 포장지(101) 상에 배치된다. 장식 벨트(5)에 의해 받아들여진 로드형 요소(S1, S2)는 그 로드형 요소(S1, S2)의 트레인(ST2)을 형성하며, 그 로드형 요소들은 서로 이격된 관계로 배치된다. 이동하는 트레인(ST1) 위에는 세그먼트(SC)를 형성하도록 낱알 물질, 예를 들면 활성탄을 공급하는 충전 유닛이 위치한다. 포장지(101)의 들려진 가장자리들과 로드형 요소(S1, S2)의 전면이 구획을 형성하며, 이 구획 내로 낱알 물질(102)이 충전 유닛(103)으로부터 공급된다. 장식 벨트(5) 상에서 이동하는 로드형 요소(S1, S2, SC)의 트레인(ST2)은 장식 유닛(6)에 의해 포장지(101)에 싸이며, 그 포장지(101)의 가장자리들은 장식 유닛(6)에서 로드의 최종 형성 전에 들어올려진다. 장식 벨트(5)는 통상 장식 유닛(6)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충전 유닛(103) 다음에는, 로드형 요소들로부터 오염물, 즉 이전 단계에서, 즉 낱알 물질이 충전 유닛(103)으로부터 공급될 때에 로드형 요소(S1, S2)의 표면 상으로 떨어진 낱알 물질의 입자들을 제거하는 클리닝 유닛(104)이 위치한다. 제조된 연속 로드(CR)는 더 이송되며, 장식 유닛(6)에서 포장지(101)가 접합된 후에, 그 연속 로드는 절단 헤드(8)에 의해 개별 다중 세그먼트 로드(R)로 절단된다.
도 5는 클리닝 유닛(104)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또한 충전 유닛(103)의 부분을 도시하며, 포켓(42) 내에 위치하는 낱알 물질(41)의 부분이 예를 들면 충전 채널(44)을 통해 로드형 요소(S1, S2)들 사이의 공간(43) 내에 배치된다. 충전 유닛(103) 다음에는 복수의 커버링 요소(52)들을 둘레부에 갖고 있는 휘일(51)을 포함하는 클리닝 요소(104)가 위치한다. 휘일(51)의 회전 운동은 장식 유닛(6)의 벨트(53)의 운동과 동기화되며, 그 벨트 상에서 포장지(101)가 그 상에 트레인(ST2)이 놓인 상태로 이송된다. 클리닝 유닛(104)은, 커버링 요소(52)의 압박면(54)이 로드형 요소(S1, S2)들 사이의 연속된 공간(43) 내에 축적된 낱알 물질을 접촉하도록 하는 식으로 장식 유닛(6)에 대해 배치된다. 대안적으로, 커버링 요소(52)의 압박면(54)은 공간(43)이 완전히 채워지지 않은 경우에 공간(43)의 상부벽을 구성할 수도 있다. 압박면(54)은 낱알 물질의 종류에 따라 공기 투과성 또는 공기 불투과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링 요소(52)는 탄성을 가지며, 예를 들면 스폰지형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링 요소(52)는 낱알 물질을 압착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게다가, 클리닝 유닛(104)에는 커버링 요소(52)가 낱알 물질과 접촉하거나 그 낱알 물질을 에워싸는 구역에 부압을 공급하는 흡인 요소가 구비되어 있다. 그 흡인 요소는, 예를 들면 트레인(ST2)의 이동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바아로 이루어진 파이프 또는 개구(55)들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도 6은, 2개의 휘일(62, 63) 상에 장착된 벨트(61)를 포함하고 그 상에 낱알 물질을 갖는 공간(43)을 압박면(69)에 의해 덮도록 구성된 복수의 커버링 요소(64)가 구비된, 제2 실시예의 클리닝 유닛(104')을 도시한다. 그 압박면(69)은 원통형의 오목부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7은 커버링 요소(64)로 낱알 물질을 덮는 영역과 오염물을 제거하는 영역의 확대 평면도를 도시한다(도 6에서 화살표 A의 방향으로 본 것으로 벨트(61)는 명료성을 위해 도시 생략하였다). 커버링 요소(64)는 치수 a 및 b를 가지며, 이들 치수 a 및 b는 로드형 요소(S1, S2)들 사이의 공간 간격 d 및 로드형 요소의 직경 D 각각보다 작거나 그 치수와 동일하다. 대안적으로, 커버링 요소(64)가 변형을 겪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변형 후에 로드형 요소(S1, S2) 사이의 공간을 적절히 덮기 위해 간격 d 및 직경 D 각각보다 큰 치수 a 및 b를 갖는 커버링 요소를 이용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커버링 요소(64)는 낱알 물질을 압축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한 점들은 모든 실시예에 해당한다. 낱알 물질을 덮는 영역을 따라, 부압을 공급하기 위한 개구(67) 및 덕트(68)가 구비된 바아 형태의 흡인 노즐(65, 66)이 위치한다. 흡인 노즐(65, 66)은 도 10의 B??B 단면도에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별개의 파이프(71) 형태(도 11 참조)로 복수의 인접하는 흡인 노즐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유닛의 작동 중에, 포장지(101)의 가장자리(101A, 101B)(도 7 참조)는 흡인 노즐(65, 66)로부터 떨어지게 외측으로 잡아당겨져, 오염물이 축적될 수 있는 로드형 요소(S1, S2)의 영역에 대한 접근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제3 실시예의 클리닝 유닛(104'')를 도시하는 것으로, 그 커버링 요소(81)는 제2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벨트(32)에 장착되지만, 커버링 요소(81)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은 2개의 슬라이딩 요소(83, 84)로 이루어진다. 도 13은 도 8에 도시한 클리닝 유닛(104'')에 이용될 수 있는 다른 실시예의 커버링 요소(81')를 도시하고 있다. 커버링 요소(81')는 큐브(cube)(85)의 형태를 취하며, 그 바닥면(86)은 로드형 요소(S2)들 사이의 낱알 재료를 덮도록 된 오목한 원통면의 형태를 취한다. 바닥면(86)은 낱알 물질(102)을 압축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큐브(85)는 그 바닥면(86)이 낱알 물질(102)을 덮고 있는 작용 위치로 도시되어 있다. 큐브(85')는 낱알 물질(102)로부터 이격된 위치로 도시되어 있다. 커버링 요소(85')는 개구(87')로 끝나는 덕트(88')을 포함하며, 그 개구를 통해 로드형 요소(S2) 상에 놓인 낱알 물질의 입자가 빨아 당겨진다. 도 14는 복수의 커버링 요소(81')들을 도시하는 것으로, 그 커버링 요소들은 개구(88A)를 통해 덕트(88')에 부압을 공급하는 복수의 흡인 노즐을 포함하는 바아(89)를 따라 이동한다. 바아(89)는 커버링 요소(85')의 덕트(88)에 개구에 의해 연결될 수 있거나, 커버링 요소(85')의 측부에서 바아 내의 종방향 덕트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부압을 다양한 공지의 방법에 의해 바아에 공급될 수 있다. 도 15는 다른 실시예의 커버링 요소(85'')를 도시한다. 개구(88A)와 연결된 덕트(88'')가 분할되어, 표면(86A)에 형성된 2개의 개구(87'')를 통해 부압을 공급한다. 커버링 요소(85' 또는 85'')의 표면(86A)은 편평하거나 오목 원통면일 수 있다. 표면(86)이 낱알 물질을 덮는 위치에서, 표면(86A)은 로드형 요소(S2)의 바로 옆에 위치하며, 개구(87'')는 종이 포장지(101)와 로드형 요소(S2)의 측면 사이의 오목부 위에 위치한다. 표면(86A)이 편평한 경우, 표면(86A)이 로드형 요소(S2)의 상면에 접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로드형 요소(S2)의 상면과 표면(86A)의 최하 지점 사이에는 적용된 낱알 물질의 입자의 크기보다 적어도 1.5배 큰 작은 공간, 에를 들면 0.1mm 내지 0.3mm의 공간이 존재한다.
마찬가지로, 덕트(88', 88'') 등의 덕트를 통해 낱알 물질 오염물을 받아들이기 위한 개구(87', 87'') 등의 개구가 다른 실시예의 커버링 요소(52, 64, 84)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9는 제4 실시예의 클리닝 유닛(104''')을 도시하는 것으로, 커버링 요소(91)는 지지부의 단부들이 타원형 트랙에서 이동하는 기구에 장착되며, 커버링 요소(91)의 수평 배치는 유지된다.
기타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요소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Claims (12)

  1. 담배 산업에 이용되는 기계를 위한 클리닝 유닛으로서, 상기 클리닝 유닛은 이동하는 트레인(ST2)으로 배치된 로드형 요소(S1, S2)들로부터 낱알 물질(loose material) 오염물을 제거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트레인(ST2)은 상기 낱알 물질로 채워진 공간(43)에 의해 분리된 로드형 요소(S1, S2)들을 포함하며, 상기 트레인(ST2)은 포장지(101)에 의해 부분적으로 싸여 있으며, 상기 클리닝 유닛은 로드형 요소(S1, S2)들로부터 낱알 물질 오염물을 포집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흡인 노즐(55, 89)을 포함하는 것인 클리닝 유닛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유닛은, 상기 트레인(ST2)의 이동 중에 상기 흡인 노즐(55, 89)의 부근에서 상기 로드형 요소(S1, S2)들 사이의 낱알 물질로 채워진 공간(43)을 커버링 요소(52, 64, 84, 85', 85'', 91)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게 되는 위치로, 상기 커버링 요소(52, 64, 84, 85', 85'', 91)를 변위시키도록 구성된 시프팅 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팅 기구는 휘일(51)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링 요소(52)는 상기 휘일(51)의 둘레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팅 기구는 벨트(61)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링 요소(64)는 상기 벨트(61)의 외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 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팅 기구는 타원형 트랙을 따라 상기 커버링 요소(91)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 유닛.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링 요소(52, 54)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 유닛.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링 요소(84)는 상기 커버링 요소(84)의 시프팅 기구(82)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 유닛.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링 요소(52)는 공기에 대해 투과성을 갖는 압박면(5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 유닛.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링 요소(52)는 공기에 대해 불투과성인 압박면(5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 유닛.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링 요소(52, 64, 84, 85', 85'')는 원통의 일부분의 형상으로 된 압박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 유닛.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링 요소(52, 64, 84, 85', 85'')는 상기 커버링 요소(52, 64, 84, 85', 85'')의 덕트(88', 88'')를 통해 상기 낱알 물질 오염물을 포집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87', 87'')를 갖는 표면(86A)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 유닛.
  11. 다중 세그먼트 필터 로드를 제조하는 기계로서,
    장식 벨트(garniture belt)(5)에 배치된 포장지(101) 상에 로드형 요소(S1, S2)들을 서로 이격된 관계로 트레인(ST2)으로 배치하는 공급 유닛(1);
    상기 로드형 요소(S1, S2)들 사이의 공간에 낱알 물질(102)을 공급하는 충전 유닛;
    상기 로드형 요소(S1, S2)들로부터 낱알 물질 오염물을 제거하는 클리닝 유닛(104);
    상기 로드형 요소(S1, S2)들과 상기 낱알 물질(41) 둘레에 상기 포장지(101)를 감아 연속한 로드(CR)를 형성하는 장식 유닛(garniture unit)(6); 및
    상기 연속한 로드(CR)를 다중 세그먼트 필터 로드(R)로 절단하는 커팅 헤드(8)
    를 포함하는, 다중 세그먼트 필터 로드의 제조 기계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유닛(104)은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클리닝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세그먼트 필터 로드의 제조 기계.
  12. 다중 세그먼트 필터 로드(R)를 제조하는 담배 산업 기계에서 이용하기 위한 것으로, 로드형 요소(S1, S2)들로부터 낱알 물질 오염물을 제거함으로써 클리닝하되, 낱알 물질(41)로 채워진 공간(43)에 의해 이격되어 있고 포장지(101)로 부분적으로 싸여진 로드형 요소(S1, S2)들를 포함하는 트레인(ST2)의 이동 중에 상기 낱알 물질 오염물을 제거함으로써, 클리닝하는 방법으로서,
    흡인 노즐(55, 56)에 의해 상기 로드형 요소(S1, S2)들로부터 상기 낱알 물질 오염물을 포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클리닝 방법에 있어서,
    상기 흡인 노즐(55, 89) 부근에서, 상기 낱알 물질(41)로 채워지고 상기 포장지(101)로 덮이지는 않은 공간(43)을 커버링 요소(52, 64, 84)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단계;
    상기 트레인(ST2)의 로드형 요소(S1, S2)들로부터 상기 흡인 노즐(55, 89)에 의해 오염물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공간(43)의 이전에 덮였던 부분을 덮이지 않게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 방법.
KR1020177027827A 2015-03-04 2016-03-01 클리닝 유닛 KR201701344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L411447A PL233965B1 (pl) 2015-03-04 2015-03-04 Zespół czyszczący
PLP.411447 2015-03-04
PLP.416114 2016-02-12
PL416114A PL242475B1 (pl) 2015-03-04 2016-02-12 Zespół czyszczący, maszyna do produkowania sztabek filtrowych i sposób czyszczenia
PCT/EP2016/054307 WO2016139198A1 (en) 2015-03-04 2016-03-01 A cleaning un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4431A true KR20170134431A (ko) 2017-12-06

Family

ID=55527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7827A KR20170134431A (ko) 2015-03-04 2016-03-01 클리닝 유닛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80035707A1 (ko)
EP (1) EP3264924A1 (ko)
JP (1) JP6737514B2 (ko)
KR (1) KR20170134431A (ko)
CN (1) CN107427063A (ko)
BR (1) BR112017018852A2 (ko)
RU (1) RU2707508C2 (ko)
WO (1) WO20161391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UA20162010A1 (it) * 2016-03-24 2017-09-24 Gd Spa Articolo da fumo e metodo per la sua realizzazione.
PL234036B1 (pl) 2016-09-06 2020-01-31 Int Tobacco Machinery Poland Spolka Z Ograniczona Odpowiedzialnoscia Zespół czyszczący, maszyna przemysłu tytoniowego do produkowania sztabek filtrowych wielosegmentowych i sposób czyszczenia ciągu elementów prętopodobnych
GB201801444D0 (en) * 2018-01-29 2018-03-14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A filing apparatus, a drum assembly for a filling apparatu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obacco industry product component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308903A (de) * 1952-09-09 1955-08-15 Mueller Paul A Verfahren und Maschine zur Herstellung eines Filterstranges aus einem wässrigen Faserbrei.
US3259029A (en) * 1963-07-11 1966-07-05 Liggett & Myers Tobacco Co Apparatus and process for making filter tips for cigarettes
GB1106931A (en) * 1963-10-04 1968-03-20 Molins Organization Ltd Improvements in apparatus for producing composite filter plugs
CA931852A (en) * 1970-02-26 1973-08-14 V. Hall Floyd Apparatus for discharging filter tip material
CH627056A5 (ko) * 1977-12-15 1981-12-31 Baumgartner Papiers Sa
US5542901A (en) * 1992-04-27 1996-08-06 Philip Morris Incorporated Vacuum arrangement on combiner
US6511549B1 (en) * 2001-08-17 2003-01-28 Philp Morris Incorporated Vacuum cleaning wheel and vacuum applicator
PL202126B1 (pl) * 2001-08-17 2009-06-30 Philip Morris Products Sposób i urządzenie do napełniania rozmieszczonych w odstępach wgłębień materiałem cząsteczkowym
US6656412B2 (en) * 2001-08-17 2003-12-02 Philip Morris Incorporated Compaction system for particles in particle filled cavities of an article
US7674218B2 (en) * 2006-12-28 2010-03-09 Philip Morris Usa Inc. Filter component cutting system
IT1400727B1 (it) * 2010-07-08 2013-07-02 Gd Spa Macchina e metodo per la produzione di filtri composti.
ZA201008663B (en) * 2010-12-01 2014-08-27 Tobacco Res And Dev Inst (Pty) Ltd Feed mechanism
CN103027374B (zh) * 2011-09-29 2014-06-11 上海市勤昌织带厂 Af2/kdf2滤棒成型机组除尘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427063A (zh) 2017-12-01
BR112017018852A2 (pt) 2018-04-24
EP3264924A1 (en) 2018-01-10
JP6737514B2 (ja) 2020-08-12
RU2017131783A (ru) 2019-03-13
WO2016139198A1 (en) 2016-09-09
RU2017131783A3 (ko) 2019-06-20
US20180035707A1 (en) 2018-02-08
JP2018507695A (ja) 2018-03-22
RU2707508C2 (ru) 2019-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30548B2 (ja) たばこ加工産業のマルチセグメントフィルタを製造するためにフィルタセグメントのグループを編成する装置とトラフドラム
CN100519345C (zh) 包括微粒填充空腔的平行的香烟滤嘴组合技术
JP5887646B2 (ja) マルチセグメントのフィルタロッドを製造するプロセスにおいてフィルタセグメントを移送するための装置
JP2005502376A5 (ko)
KR101398745B1 (ko) 필터요소 절단시스템
KR20170134431A (ko) 클리닝 유닛
US11559080B2 (en) Compound horizontal filter assembly machine and process
EP3509444B1 (en) A cleaning unit, a tobacco industry machine for producing multi-segment filter rods and a method for cleaning a train of rod-like elements
WO2016142500A1 (en) A filling unit for a loose material and a method for feeding a loose material
JP2004097220A (ja) 切断不可能なフイルタ要素を造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EP3231299B1 (en) Method and machine for the production of smoking articles
CN113784636B (zh) 制造用于烟草制品的过滤嘴的方法和设备
EP3232827B1 (en) Tobacco rod maker with tobacco return
JP6754837B2 (ja) フィルタ製造装置及びフィルタ製造方法
PL242475B1 (pl) Zespół czyszczący, maszyna do produkowania sztabek filtrowych i sposób czyszczenia
US20190008203A1 (en) Garniture device and a machin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multi-segment filter rods
WO2018130457A1 (en) A filling unit for feeding two types of loose material, a machine for manufacturing segment filter rods and a method for feeding two types of loose material in tobacco industry
PL241632B1 (pl) Urządzenie formatowe, maszyna do wytwarzania wielosegmentowych sztabek filtrowych i sposób wytwarzania wielosegmentowych sztabek filtrowy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