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4295A - 피코시아닌(Phycocyanin) 또는 피코에리트린(phycoerythrin)을 유효성분으로 담지한 리포좀을 포함하는 뇌질환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코시아닌(Phycocyanin) 또는 피코에리트린(phycoerythrin)을 유효성분으로 담지한 리포좀을 포함하는 뇌질환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4295A
KR20170134295A KR1020170158383A KR20170158383A KR20170134295A KR 20170134295 A KR20170134295 A KR 20170134295A KR 1020170158383 A KR1020170158383 A KR 1020170158383A KR 20170158383 A KR20170158383 A KR 20170158383A KR 20170134295 A KR20170134295 A KR 20170134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posome
phycocyanin
cholesterol
brain
liposo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8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8528B1 (ko
Inventor
신화성
민슬기
권여선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58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8528B1/ko
Publication of KR20170134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4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8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8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Liposo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61K9/0021Intradermal administration, e.g. through microneedle arrays, needleless inj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31Rectum, an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3N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6Oral mucosa, e.g. mucoadhesive forms, sublingual droplets; Buccal patches or films; Buccal spray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Myc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코시아닌(Phycocyanin) 또는 피코에리트린(phycoerythrin)을 유효성분으로 담지한 리포좀을 포함하는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열화학적 안정성, 사이즈 모노-분산도(size mono-dispersity), 피코시아닌 캡슐화 안정성 및 효율이 높고, 세포 흡수, 생체 적합성 및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여, 종래의 약제보다 유효 성분인 피코시아닌의 신경 보호 작용 시간(neuroprotective time window)을 더 늘릴 수 있어 뇌의 허혈-재관류 손상으로 인한 뇌의 신경 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뛰어나다. 이에 따라, 상기 뇌의 신경 세포와 관련된 뇌의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다.

Description

피코시아닌(Phycocyanin) 또는 피코에리트린(phycoerythrin)을 유효성분으로 담지한 리포좀을 포함하는 뇌질환용 약학적 조성물{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liposome containing phycocyanin or phycoerythrin as an active ingredient for brain disease}
본 발명은 피코시아닌(Phycocyanin) 또는 피코에리트린(phycoerythrin)을 유효성분으로 담지한 리포좀을 포함하는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약물 전달용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뇌혈관 질환에 의한 사망률(인구 십만 명당 사망자수)이 암 다음으로 2위인 73.8명에 이르며, 특히 노령 연령층에 발병률이 높고, 일단 발생하면 사망률이 매우 높다. 뇌혈관 질환은 크게 2가지 형태로 분류될 수 있다. 첫번째, 뇌출혈 등에서 볼 수 있는 출혈성 뇌질환이고, 두번째, 뇌혈관의 폐쇄 등에 의해 나타나는 허혈성 뇌질환이다. 상기 출혈성 뇌질환은 교통사고 등에 의해서 주로 나타나며, 허혈성 뇌질환은 주로 노령의 사람들에서 자주 나타나는 질환이다. 상기 허혈성 뇌질환은 혈전증(thrombosis), 색전증(em-bolism), 일과성 허혈 발작(transient ischemic attack) 및 소경색(lacune)등으로 세분화할 수 있는데, 허혈성 뇌혈관 질환은 주로 혈전과 색전 등에 의하여 뇌에 혈류를 공급하는 혈관에 병리학적 이상이 생긴 것이다. 대뇌에 일시적인 뇌허혈이 유발되는 경우, 뇌조직에 산소와 포도당의 공급이 차단되어 신경세포에서는 ATP 감소, 부종(edema)이 발생하며, 결국 뇌의 광범위한 손상이 유발된다. 신경세포의 사멸은 뇌허혈이 있은 후 상당한 시간 경과 후에 나타나는데, 이를 지연성 신경세포사(delayed neuronal death)라고 한다. 지연성 신경세 포사는 몽골리안 저빌(Mongolian gerbil)을 이용한 일과성 전뇌 허혈모델(transient forebrain ischemic model)을 통한 실험에서 살펴보면, 5분간 뇌허혈 유도 4일 후 해마(hippcampus)의 CA1 영역에서 신경세포사가 관찰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Kirino T, Sano K. Acta Neuropathol., 62, 201-208, 1984; Kirino T. Brain Res., 239, 57-69, 1982).
뇌허혈에 의한 신경세포사 기전에는 크게 2가지가 있다. 첫번째, 뇌허혈에 의해서 세포 바깥에 과도한 글루타메이트(glutamate)가 축적되게 되며, 이러한 글루타메이트가 세포내로 유입되어 결국 과도한 세포내 칼슘의 축적으로 신경세포사가 유발되는 흥분성 신경세포사 기전(Kang TC et al., J. Neurocytol., 30, 945-955, 2001)이고, 다른 하나는 허혈-재관류 시에 갑작스러운 산소 공급으로 인해 생체내 라디칼의 증가로 인해 DNA 및 세포질에 손상을 입어 유발되는 산화성 신경세포사 기전이다(Won MH et al., Brain Res., 836, 70-78, 1999; Sun AY, Chen YM, J. Biomed. Sci., 5, 401-414, 1998; Flowers F, Zimmerman JJ. New Horiz., 6, 169-180, 1998). 상기의 기전 연구를 바탕으로 뇌허혈 시에 나타나는 신경세포사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물질을 탐색하거나, 물질의 기전을 밝히는 연구가 많이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효과적으로 뇌허혈에 의한 신경세포사를 억제하는 물질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허혈성 뇌질환에서 임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약물은 희소하고, 현재 유일하게 허가된 약물은 항혈전제(항응고제, 항혈소판제, 혈전용해제를 포함)이다. 티크로피딘(ticlopidine), 시로스타졸(cilostazole) 및 프로스타시크린(prostacycline)과 같은 항혈소판제나 항응고제는 종종 두통, 심계항진 및 간에 부담을 주는 부작용이 있어 사용에 제한이 따른다. 더불어, FDA 공인 시판 중인 조직 플라즈미겐 활성자(tissue plasminogen activator)는 혈전용해제로 뇌허혈을 유발시키는 혈전을 녹여 빠른 산소 및 포도당의 공급을 유도하는 물질로서, 직접적으로 신경세포를 보호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빠른 사용이 필요하다. 또한, 혈전용해제라는 특징 때문에 과량 사용 또는 자주 사용 시에는 혈관벽이 얇아져 결국 출혈성 뇌혈관 질환을 유발하게 되므로 사용에 주의가 요구된다. 이 때, 재관류 시 과도하게 발생하는 활성산소와 더불어 신경 괴사가 일어난다. 이로 인해, 현재 tPA 투여 시, 항산화제를 동시에 투여하여 신경조직을 보호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신경보호는 재관류 시 상당한 시간 동안 진행될 필요성이 제기되어, 신경보호 연장을 위한 항산화제 포함 전달시스템 개발에 대한 수요가 상당하다.
혈액-뇌 장벽(blood-brain barrier, BBB)은 물질의 통로에 대한 물리적 장벽으로 작용하여, 중추 신경계 장애의 치료를 위한 제제 투여의 경로로 중요하다(Xie, Y. 등, J. Control Release 105, 106-119 (2005)). 비강 투여는 뇌의 손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William, M. P. Pharm. Res. 24, 1733-1744 (2007)). 상기 전달 타입은 후각 신경상피(neuroepithelium)를 통하여 코에서 뇌로 약물의 전달되고, 혈액-뇌 장벽(BBB)을 우회하고, 간의 첫번째-통과 대사를 피한다(Candace, L. G. 등, J. Pharm. Sci. 94, 1187-1195 (2005)). 비강 경로를 통한 약물 전달은 코 점액층, 점막 상피, 후각 신경상피를 통한 경로를 포함하고, 친유성 약물 담체는 비강 투여에 적합한 후보이며, 리포좀은 친유성 약물 담체의 전형적인 것이다(Illum, L, Eur. J. Pharm. Sci. 11, 1-18 (2000)). 리포좀은 친유성 및 점막-부착 특성 때문에, 캡슐화된 약물의 산화 및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어 왔다(Corace, G. 등, J. Liposome. Res. 24, 323-335 (2014)). 리포솜의 약물 반감기는 적어도 내부-비강으로 투여되는 비 약물보다 4배 이상 높음을 확인하였다(Jaafari, M. R. Iran. J. Pharm. Res. 4, 3-11 (2005)). 리포좀은 타겟-특이적 지질을 합성하거나, 보조제를 이용하고, 적절한 항체 및 폴리머를 코팅하는 것에 의해, 타겟-전달을 증진하거나 방출하는 특이적 기능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Gregoriadis, G. Trends Biotechnol. 13, 527-537 (1995)). 콜레스테롤 보충은 리포솜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종래의 방법이며, 인지질 소포체로 콜레스테롤의 혼입은 지질 이중층 구조를 더욱 단단하고 안정적으로 만들기 때문이다(Johnson, S. M. BBA-Biomembranes 307, 27-41 (1973)). 콜레스테롤의 수산기는 인지질의 친수성 헤드와 상호 작용하고, 강도의 조절 및 지질 이중층의 강도를 초래하는 이의 스테로이드 골격은 소수성 인지질 체인과 상호 작용한다(Maria-Lucia, B. Drug. Deliv. Transl. Res. 5, 231-242 (2015)). For these reasons, cholesterol increases the retention of solutes entrapped inside liposome vesicles and serum-induced stability17. 게다가, 콜레스테롤은 뇌 세포 멤브레인의 20~25%를 차지한다. 콜레스테롤을 포함하는 리포좀은 SH-SY5Y (인간 신경 아세포종 세포주) 및 Schwann 세포에 의한 내재화를 강화됨이 보고되었다(Lee, S. Y. 등, Plos One 8 (2013)). 그러나, 비강 전달 경로와 관련된 물리적 및 생물학적 환경은 리포좀의 물리적 안정성 및 생물학적 효능에 영향을 미친다.
C-피코시아닌(C-Phycocyanin, C-Pc)은 스피룰리나와 같은 남조류에서 얻은 단백질이며, 이는 산화 방지제 및 ROS 스캐빈저, 항-염증효과 및 항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omay, C. 등, Curr. Protein Pept. Sci. 4, 207-216 (2003)).
이에 본 발명자들은 효과적으로 뇌 신경 세포를 보호하고, 이와 관련된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방안을 연구한 결과, 산화방지제인 피코시아닌을 리포좀에 담지하고, 상기 리포좀은 일정한 함량의 콜레스테롤로 구성되었을 때, 허혈성 뇌졸중 재관류 시, 본 발명의 리포좀이 뇌조직 보호 시간을 연장하는 데 효과적임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코시아닌(Phycocyanin) 또는 피코에리트린(phycoerythrin)을 유효성분으로 담지한 리포좀을 포함하는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코시아닌(Phycocyanin) 또는 피코에리트린(phycoerythrin)을 유효성분으로 담지한 리포좀을 포함하는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서, 상기 리포좀은 인지질 또는 스테롤을 포함하며, 상기 스테롤은 리포좀의 20 내지 33%(w/w)의 함량으로 포함되고, 상기 리포좀은 뇌 손상 2 내지 10시간 후 투여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열화학적 안정성, 사이즈 모노-분산도(size mono-dispersity), 피코시아닌 캡슐화 안정성 및 효율이 높고, 세포 흡수, 생체 적합성 및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여, 종래의 약제보다 유효 성분인 피코시아닌의 신경 보호 작용 시간(neuroprotective time window)을 더 늘릴 수 있어 뇌의 허혈-재관류 손상으로 인한 뇌의 신경 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뛰어나다. 이에 따라, 상기 뇌의 신경 세포와 관련된 뇌의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다.
도 1은 0%(w/w)의 콜레스테롤-리포좀-0 mg/ml의 C-피코시아닌(C-Pc)(a), 20%(w/w)의 콜레스테롤-리포좀-0 mg/ml의 C-피코시아닌(C-Pc)(b), 20%(w/w)의 콜레스테롤-리포좀-1mg/ml의 C-피코시아닌(C-Pc)(c)의 TEM 이미지를 확인한 도이다.
도 2는 C-피코시아닌(C-Pc)를 담지하지 않고, 0%(w/w) 콜레스테롤(a), 20%(w/w) 콜레스테롤(b), 50%(w/w) 콜레스테롤(c)을 포함하는 리포좀의 크기 분포 나타낸다. 또한, C-피코시아닌(C-Pc)를 담지하고, 0%(w/w) 콜레스테롤(d), 20%(w/w) 콜레스테롤(e), 50%(w/w) 콜레스테롤(f)을 포함하는 리포좀의 크기 분포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각 0%, 11.1%, 20% 및 33.3%(w/w) 콜레스테롤을 포함하는 리포좀의 시차주사 열량측정법(DSC)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각 0%, 11.1%, 20%, 33.3% 및 42.8%(w/w), 콜레스테롤을 포함하는 리포좀의 C-피코시아닌(C-Pc)의 분출 정도를 시간(0, 1, 3, 5, 24, 48 및 72 시간)에 따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Neuro2a 세포에 PBS, 자유(free) C-피코시아닌(C-Pc), C-피코시아닌(C-Pc) 담지한 0%(w/w) 콜레스테롤 리포좀 및 C-피코시아닌(C-Pc) 담지한 20%(w/w)의 콜레스테롤 리포좀을 처리하여 1시간(a) 또는 10시간(b) 후의 각 Neuro2a 세포 흡수 수준을 형광 강도를 통하여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PBS, 자유(free) C-피코시아닌(C-Pc), C-피코시아닌(C-Pc) 담지한 0%(w/w) 콜레스테롤 리포좀 및 C-피코시아닌(C-Pc) 담지한 20%(w/w)의 콜레스테롤 리포좀을 처리한 세포의 생존율을 확인하고(a), 과산화수소(H2O2)를 처리한 조건 하에서 상기 각 조건으로 처리한 세포의 생존율을 확인한 결과(b)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PBS, 자유(free) C-피코시아닌(C-Pc), 0% 콜레스테롤 리포좀, C-피코시아닌(C-Pc) 담지한 0%(w/w) 콜레스테롤 리포좀 및 C-피코시아닌(C-Pc) 담지한 20%(w/w)의 콜레스테롤 리포좀을 처리한 세포에서 MnSOD(a) 또는 카탈라아제(b)의 mRNA 발현수준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중대뇌동맥 폐색(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MCAO) 동물 모델 유도 시점 2시간 후에 본 발명의 리포좀을 처리하는 개략적인 실험 모식도(a), 각 조건에 따른 동물 모델의 경색 부피(infarct volumes)를 확인한 결과(b) 및 각 조건에 따른 동물 모델의 경색 부피(infarct volumes)의 평균을 나타낸 결과(c)를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중대뇌동맥 폐색(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MCAO) 동물 모델 유도 시점 6시간 후에 본 발명의 리포좀을 처리하는 개략적인 실험 모식도(a), 각 조건에 따른 동물 모델의 경색 부피(infarct volumes)를 확인한 결과(b), 각 조건에 따른 동물 모델의 경색 부피(infarct volumes)의 평균을 나타낸 결과(c) 및 각 처리군 마우스의 신경학적 후유증(neurological deficits) 특성을 분석한 결과(mNSS 값)(d)을 나타낸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리포좀 및 투여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고(a), 콜레스테롤 함량에 따른 특징(b)을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정의되지 않은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의미를 갖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피코시아닌(Phycocyanin) 또는 피코에리트린(phycoerythrin)을 유효성분으로 담지한 리포좀을 포함하는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이 신경보호물질의 작용시간(neuroprotective time window)를 늘릴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허혈성 뇌졸중 발병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뒤 투여되어도 신경보호물질인 피코시아닌 또는 피코에리트린의 분출량이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경색 부피가 현저히 감소함을 최초로 규명하였다.
일 양태로서, 피코시아닌(Phycocyanin) 또는 피코에리트린(phycoerythrin)을 유효성분으로 담지한 리포좀을 포함하는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서, 상기 리포좀은 인지질 또는 스테롤을 포함하며, 상기 스테롤은 리포좀의 20 내지 33%(w/w)의 함량으로 포함되고, 상기 리포좀은 뇌 손상 2 내지 10시간 후 투여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리포좀"은 외부 수성 환경으로부터 내부 수성 상을 분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중층을 포함하는 소포를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코시아닌"은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로 나타내며, 피코에리트린과 함께 홍조, 남조, 크립토조 등의 조류에 함유되어 있는 물질로, 공유결합한 피코시아노빌린(곧은사슬상의 테트라피롤유도체)을 크로모겐이라고 하는 청색소 단백질을 의미한다. “피코에리트린”은 피코시아닌과 함께 빌린단백질이라고 하며, 빛에너지를 클로로필 a에 전달하여 광합성을 진행시킨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리포좀은 인지질 또는 스테롤을 포함하고, 상기 인지질은 포스파티딜 콜린(phosphatidyl choline), 포스파티딜 세린 (phosphatidyl serine), 포스파티딜 에탄올아민(phosphatidyl ethanolamine), 스핑고미엘린(sphingomyelin), 포스파티딜 이노시톨(phosphatidyl inositol) 및 포스파티드산(phosphatid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며, 바람직하게는 포스파티딜 콜린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포스파티딜 콜린"은 가장 대표적인 인지질로, 디글리세리드에 인산콜린이 결합한 것을 의미한다. 동식물계에 널리 분포하며, 동물조직에서는 지질의 약 1/2을 차지한다. 생체막 지질의 주요한 구성 성분이며, 콜린의 효율적인 공급원으로 중요할 뿐만 아니라, 각종 효소의 활성에 필요하다.
상기 스테롤은 콜레스테롤, 코프로스탄올, 시토스테롤 및 에르고스테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콜레스테롤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콜레스테롤"은 척추동물에서 발견되는 대표적 스테롤이다. 사람의 경우 거의 모든 세포의 구성성분으로서 유리형 또는 지방산과의 에스테르형으로 존재하고, 특히 뇌, 척수, 신경조직 등에 많이 들어 있다. 세포의 원형질 및 형질막의 구성성분인 반면, 성호르몬, 부신피질호르몬, 담즙산, 비타민D 등 다른 스테로이드의 대부분은 콜레스테롤로부터 생합성된다.
상기 스테롤은 리포좀의 0 내지 50%(w/w)의 함량으로 포함되나,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w/w)의 함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3%(w/w)의 함량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리포좀의 크기는 80 내지 150 나노 미터(nanometer)이고,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30 나노 미터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10 나노 미터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리포좀은 비강 투여(intranasal administration), 경구투여(oral administration), 피내주사(intracutaneous injection), 피하 주사 (subcutaneous injection), 근육내 주사(intramuscular injection), 정맥내 주사 (intravenous injection), 동맥내 주사(intraarterial injection), 직장내 적용(rectal administration), 구강점막 적용 (application to oral mucous membrane) 및 외용(external application) 투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투여를 수행하는 투여 용도이며, 바람직하게는 비강 투여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비강 투여"는 비공에 직접 투여하도록 된 제제이며, 종래의 근육 내 주사의 경우 발작 또는 의식소실을 일으킬 위험이 있는 반면, 비강 투여는 상기 방법에 비해 훨씬 안전하고, 의식이 없는 환자에게 적용하기에도 용이한 이점이 있다.
상기 뇌질환은 중풍, 뇌졸중, 뇌일혈, 뇌경색, 두부손상, 알츠하이머, 혈관성 치매, 크로이츠펠트-야콥병, 혼수 및 쇼크 뇌손상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뇌졸중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허혈성 뇌졸중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리포좀은 허혈-재관류 손상(Ischemia/reperfusion injury), 허혈성 세포 손상(Ischemic cell injury) 및 산화 스트레스(Oxidative stres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손상, 바람직하게는 허혈-재관류 손상으로 인해 손상된 뇌의 신경 세포를 보호하는 것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리포좀은 뇌 손상 후 2 내지 10시간 후 투여용이고,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시간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허혈성 뇌졸중이 발생하고, 재관류가 일어난 4시간 이후(허혈성 뇌졸중 발병 후 6시간), 비강 투여 시, 리포좀에 담지된 피코시아닌의 신경 보호 작용 시간을 늘리는 효과가 있어, 뇌의 신경 세포 보호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리포좀은 리포좀을 단독으로 포함하거나, 뇌의 신경 세포 보호 및 이에 따른 뇌 질환에 효과가 있는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유효성분 외에도 제형, 사용방법 및 사용목적에 따라 추가성분, 즉, 약제학적으로 허용되거나 영양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희석제 또는 부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피코시아닌(Phycocyanin) 또는 피코에리트린(phycoerythrin)을 유효성분으로 담지한 리포좀을 포함하는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외에 추가로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중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통상의 것을 모두 사용 가능하고, 일 예로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광물유, 칼슘카보네이트, 덱스트린, 프로필렌글리콜, 리퀴드 파라핀 및 생리식염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성분들은 리포좀에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추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포좀은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으로서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등과 병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포좀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 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률 및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본 발명의 리포좀의 일일 투여량은 0.01 내지 10000 ㎎/㎏이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이고, 하루 1회 내지 3회에 나눠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험예 1. 리포좀 제조
1-1. C-피코시아닌(C-Phycocyanin, C-Pc)을 담지한 리포좀의 제조
리포좀 내 콜레스테롤 함량 및 C-피코시아닌(C-Pc)담지 여부에 따라 각 리포좀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리포좀은 필름 수화 방법(film hydration method)(Romay, C. 등, Inflamm. Res. 47, 36-41 (1998))을 이용하여 준비하였다. 달걀 노른자(PC, Sigma Aldrich, U.S.)에서 얻은 L-α-포스파티딜콜린 및 콜레스트레롤(Chol; Sigma Aldrich, U.S.)을 상이한 함량(0, 11.1, 20, 33.3, 42.8 및 50%(w/w))으로 혼합하였다. 지질 용액을 진공 챔버에서 3시간 동안 지질 필름을 형성하도록 건조하였다. 10 mM 리포좀 용액을 제조하기 위해 20 μg/ml의 C-피코시아닌(C-Pc)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1 ml의 PBS로 상기 필름을 수화(hydrated)시킨 후, 바이알의 바닥에서부터 벗겨지도록 볼텍싱하였다. 생체 내 실험을 위한 리포좀은 1 mg/ml의 C-피코시아닌(C-Pc)을 포함하도록 제조하였다. 다중층의 리포좀을 파괴하기 위해, -80도 냉동고 및 20도의 수조를 사용하여 10회 냉동/해동을 수행하였다. 리포좀 용액은 압출기(Avanti Polar Lipids, U.S.)를 이용하여 100 nm 기공 폴리카보네이트 멤브레인을 통하여 압출하였다. 세포에 리포좀을 처리하기 전에, 리포좀은 0.22 μm 필터를 통과시킨 것을 멸균시키고 이용하였다.
1-2. 시차주사 열량측정법(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콜레스테롤을 추가한 후 C-피코시아닌(C-Pc)을 담지한 리포좀의 전이 온도 변화를 시차주사 열량계(calorimeter (Netzsch, German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조건의 리포좀 샘플(2 mg)을 알루미늄 팬에 놓고 알루미늄 뚜껑으로 밀봉하였다. 시차주사 열량 측정은 기준으로서 공팬(empty pan)을 이용하여 5도/분의 가열 속도로 20~50도의 범위에 걸쳐 실시하였다.
1-3. 리포좀의 크기 및 제타 전위
리포좀의 크기 및 제타 전위를 측정하기 위하여, 리포좀 용액을 증류수로 5배 희석하여 준비하였다. 입자 크기, 다분산 지수(polydispersity indices), 및 제타 전위는 레이저 회절 사이즈 분석기(Mastersizer 2000, Malvern, UK)을 이용한 동적 광 산란을 통해 분석하였다. 각 기준의 리포좀 샘플은 상기 과정을 3번 수행하였다.
1-4. 투과 전자 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이용
리포좀 형태는 TEM(JEM 2100F, JEOL, Japan)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조건의 리포좀 샘플을 10배 희석하고, TEM 그리드에 떨어뜨리고 1%의 우라닐 아세테이트를 10분간 염색한 후, 증류수로 3회 세척하였다. 그리드를 인공 챔버에 밤새두록 두고, TEM을 이용하여 리포좀을 관찰하였다.
1-5. C-피코시아닌(C- Pc ) 리포좀의 캡슐화 효율 및 생체 외 C-피코시아닌(C- Pc ) 리포좀의 방출 프로파일 확인
기준으로서 C-피코시아닌(C-Pc)을 이용하고, 리포좀에 C-피코시아닌(C-Pc)을 캡슐화한 양을 측정하였다. 용액에서 리포좀을 분리하기 위하여 20,000 g에서 30분간 원심분리하여 리포좀 소포를 수득하였다. 자유(free) C-피코시아닌(C-Pc) 및 불안정 리포좀을 포함한 상등액을 모으고, BCA assay kit(Thermo Scientific, US)를 이용하여 BCA 단백질 분석을 실시하였다. C-피코시아닌(C-Pc)이 없는 리포좀의 상등액을 대조군으로 이용하였다. 캡슐화 효율(encapsulation efficiency, EE%)의 비율은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계산하였으며, 각 조건의 샘플은 3번 측정하였다. 상기 각 조건의 샘플은 암 조건하에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2
생체 외 C-피코시아닌(C-Pc)의 프로파일 방출은, 9 ml의 PBS(pH 7.4)를 1 ml의 리포좀 용액을 37도의 조건에서 각 0, 6, 12, 24, 36, 48, 60 또는 72 시간의 조건으로 처리하였다. 상기 각 시간마다, 1 ml의 용액을 취하여 20,000 g 및 30분 조건으로 원심분리하였다. 분출된 C-피코시아닌(C-Pc)을 포함하는 상등액에 대하여 BCA 단백질 분석을 수행하였다.
1-6. 세포 배양
Neuro2A 세포(마우스 신경 아세포종 세포주)는 ATCC(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USA)에서 얻고, 10% 우태아 혈청(FBS, Gibco, UK) 및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Gibco, UK)을 포함하는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Gibco, UK)에서 37도, 5%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세포의 분화를 위하여, 2% FBS 및 20 μM 레티노산(retinoic acid)으로 4-5일 동안 처리하였다. 리포좀은 세포에 처리되기 전에, 0.22 μm 필터로 걸러 멸균하였다.
1-7. C-피코시아닌(C-Pc) 담지 리포좀의 흡수 수준 및 세포 독성
구체적으로, Neuro2a 세포에 대한 C-피코시아닌(C-Pc) 담지 리포좀의 흡수는 공초점 현미경(LSM 510 META, Carl Zeiss, 및 Germany)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Neuro2a 세포에 3시간 동안 5 μg/ml의 C-피코시아닌(C-Pc)을 포함하는 C-피코시아닌(C-Pc) 담지 리포좀을 처리하였다. 또한, 양성 대조군 또는 음성 대조군으로, 자유(free) C-피코시아닌(C-Pc) 또는 PBS를 Neuro2a 세포에 처리하였다. C-피코시아닌(C-Pc) 유무에 따라 세포를 배양한 후, 배지를 제거하고 세포를 PBS로 제거한 후, 차가운 4% 파라포름알데히드로 15분간 고정시킨 후, Hoechst 33342 dye(Thermo Fisher, MA USA)로 염색하였다. 핵은 405 nm 레이저 및 BP 420-480 nm 방출 필터를 이용하여 이미지화하였으며, C-피코시아닌(C-Pc) 검출은 LP 615 nm 방출 필터를 이용하였다.
Neuro2a 세포에 대한 리포좀의 세포 독성 효과는 MTT 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상기 실험예 1-6의 세포 배양 방법으로 배양한 Neuro2a 세포에, 500 μM 리포좀을 37도의 조건으로 1, 3, 또는 5일 동안 배양하였다. MTT 분석은 100 μl MTT 용액을 이용하여 37도로 1시간 동안 수행하였다. 상기 MTT 용액을 제거하고 포르마잔 결정을 200 μl의 디메틸 설폭시다제로 용해하였다. 광학 밀도(OD)는 ELISA 판독기(Tecan, Austria)를 이용하여 540 nm로 분석하였다.
1-8. C-피코시아닌(C-Pc) 담지 리포좀의 산화 방지 효과 확인 방법
C-피코시아닌(C-Pc) 담지 리포좀의 산화 방지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Neuro2a 세포 생존율은 과산화수소(H2O2)로 유도된 산화 조건 하에서 수행되었다. 상기 실험예 1-6의 세포 배양 방법으로 Neuro2a 세포를 배양하였으며, C-피코시아닌(C-Pc) 담지 또는 비 담지한 리포좀을 1일 동안 전처리하고, 24시간 동안 200 μM H2O2로 처리하였다. 세포 생존률은 상기 실험예 1-7의 MTT 분석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qRT-PCR은 C-피코시아닌(C-Pc) 담지 리포좀를 처리한 Neuro2a 세포의 산화 방지 효소의 mRNA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총 RNA는 RNeasy Plus Mini Kit (QIAGEN, Germany)를 이용하여 분리하였다. cDNA는 RNA QuantiFast Reverse Transcription Kit(Qiagen, Germany)을 이용하여 합성하였으며, qRT-PCR은 QuantiFast SYBR Green PCR Kit(Qiagen, Germany) 및 Rotor-Gene Q PCR unit(Qiagen, Germany)을 이용하였다. PCR 조건은 40회로, 95도에서 5분, 95도에서 10초, 및 60도에서 30분으로 수행하였다. 베타-액틴은 하우스키핑 유전자(housekeeping gene)로서 이용하였다. 프라이머의 서열은 다음과 같다: 베타-액틴은 5'-GTACTCTGTGTGGATCGGTGG-3'(서열번호 1, 정방향) 및 5'-AACGCAGCTCAGTAACAGTCC-3'(서열번호 2, 역방향), MnSOD은 5'-ACCGAGGAGAAGTACCACGA-3' (서열번호 3, 정방향) 및 5'-TGGGTTCTCCACCACCCTTA-3' (서열번호 4, 역방향), Catalase는 5'-GCGGATTCCTGAGAGAGTGG-3'(서열번호 5, 정방향) 및 5'-TGTGGAGAATCGAACGGCAA-3'(서열번호 6, 역방향)을 사용.
1-9. 동물 모델 및 비강 투여
중대뇌동맥 폐색(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MCAO)은 실험 동물의 사용에 대한 국가 지침에 따라 수행하였다. 수컷 Sprague dawley(SD) 래트(DBL, 한국)를 12시간 명-암 사이클하에 22 ± 2도의 조건으로 두었으며, 먹이 및 식수를 제공하였다. INHA-IACUC (Institutio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 of Inha University (Republic of Korea))에서 제공한 프로토콜로 이용하였으며, 모든 동물의 절차는 블라인드로 처리하였다.
MCAO 래트 모델은 Johnson, S. M 등(BBA-Biomembranes 307, 27-41 (1973))에 기재된 방법으로 준비하였다. 8주령 SD 래트를 3% 이소플루란(BKpharm, South Korea)을 이용하여 마취시키고, 안면 마스크를 이용하여 1.5% 이소플루란을 유지시켰다. 수술 동안, 직장 온도는 열 패드를 이용하여 37도를 유지시켰다. 열 패드에 배와위(supine position)로 동물의 자세를 취한 후, 작은 정중선 목 절개(small midline neck incision)를 하고, 미주 신경(vagal nerve)을 유지하면서, 경부 절개 경동맥(common carotid artery, CCA), 내 경동맥(internal carotid artery, ICA) 및 외부 경동맥(external carotid artery, ECA)를 노출시켰다. ECA는 실크 봉합사로 묶고 MCA는 실리콘-코팅된 4-0 나일론 필라멘트(AILEE, South Korea)를 오른쪽 ICA에 삽입하여 막았다. 상기 삽입된 필라멘트는 실크 봉합사를 이용하여 해당 위치에 고정시키고 CCA는 클램프(JEUNG DO BIO, South Korea)와 연결하였다. 목의 피부를 닫고 1시간 동안 봉합한 후, 삽입된 필라멘트를 잡아 당겨 MCA를 통하여 혈액을 재관류시켰다. 콜레스테롤 0% 또는 20%의 리포좀을 각각 포함하는 8.34 μm의 샘플, C-피코시아닌(C-Pc)을 담지한 콜레스테롤 0% 또는 20%의 리포좀; 및 자유(free) C-피코시아닌(C-Pc)을 재관류 후에 6시간 동안 총 용량 33.36 μl로 각 콧구멍에 2회 비강 투여하였다. 2일 후 MCAO 래트의 뇌를 해부하고 2 mm 두께의 섹션을 제공하기 위해 래트 brain slicer (Zivic, USA)를 이용하여 관상면(coronal plane)을 분리하였다. 상기 섹션을 TTC (2, 3, 5 - 트리페닐테트라졸륨 클로라이드(triphenyltetrazolium chloride))로 염색하여 경색 부피(infarct volumes)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콜레스테롤 함량 및 C-피코시아닌(C- Pc ) 담지 여부에 따른 리포좀의 크기, 제타 전위 및 다분산 지수(polydispersity indices) 확인
콜레스테롤 함량 및 C-피코시아닌(C-Pc) 담지 여부에 따른 리포좀의 크기, 제타 전위 및 다분산 지수(polydispersity indices)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각 조건의 리포좀의 형태 및 크기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험예 1-1과 같이 L-α-포스파티딜 콜린을 포함하고, C-피코시아닌(C-Pc)을 0 또는 1mg/ml로 담지하며, 상이한 콜레스테롤 함량(%)(0, 11.1, 20, 33.3, 42.8 및 50%(w/w))으로 구성된 각 리포좀의 형태 및 크기를 상기 실험예 1-4에 나타낸 TEM의 방법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그 결과 중 0%(w/w)의 콜레스테롤-리포좀-0 mg/ml의 C-피코시아닌(C-Pc)(a), 20%(w/w)의 콜레스테롤-리포좀-0 mg/ml의 C-피코시아닌(C-Pc)(b), 20%(w/w)의 콜레스테롤-리포좀-1mg/ml의 C-피코시아닌(C-Pc)(c)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또한, 각 조건의 리포좀의 크기, 다분산 지수 및 제타 전위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험예 1-1과 같이 L-α-포스파티딜 콜린을 포함하고, C-피코시아닌(C-Pc)을 0 또는 1mg/ml로 담지하며, 상이한 콜레스테롤 함량(%)(w/w)(0, 11.1, 20, 33.3, 42.8 및 50)으로 구성된 각 리포좀의 크기, 다분산 지수 및 제타 전위를 실험예 1-3의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고, 각 조건 중 일부의 리포좀의 크기 분포를 확인한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pat00003
또한, 상기 실험예 1-1과 같이 L-α-포스파티딜 콜린을 포함하고, 상이한 콜레스테롤 함량(%)(w/w)(0, 11.1, 20 및 33.3)으로 구성된 각 리포좀의 전이 온도 변화를 실험예 1-2의 시차주사 열량측정법(DSC)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0%(w/w)의 콜레스테롤-리포좀-0 mg/ml의 C-피코시아닌(C-Pc)(a), 20%(w/w)의 콜레스테롤-리포좀-0 mg/ml의 C-피코시아닌(C-Pc)(b), 20%(w/w)의 콜레스테롤-리포좀-1mg/ml의 C-피코시아닌(C-Pc)(c)의 TEM 이미지를 확인한 결과, 리포좀의 크기는 C-피코시아닌(C-Pc)에 영향을 받지 않고, 콜레스테롤의 함량에 따라 크기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표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든 조건 하의 리포좀은 126nm크기 보다 더 작음을 확인하였다. 50%(w/w)의 콜레스테롤을 포함하는 리포좀은 콜레스테롤을 포함하지 않는 리포좀보다 크기가 약 24.97% 증가됨을 확인한 바, 콜레스테롤 함량이 증가할수록, 리포좀 크기도 증가되며 그 크기는 약 90 내지 130 nm사이즈 범위를 형성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C-피코시아닌(C-Pc)의 담지 여부는 리포좀의 크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리포좀의 다분산 지수(PIs)는 42.8% 함량 이하의 콜레스테롤 조건의 리포좀에서 0.2 이하임을 확인하여, 균질하게 분포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제타 전위는 50%(w/w) 콜레스테롤 리포좀은 -17 mV이고, 0%(w/w) 콜레스테롤 리포좀은 7.97 mV임을 확인하여, 제타 전위는 콜레스테롤의 함량이 높아짐에 따라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C-피코시아닌(C-Pc)의 담지 시, 리포좀의 제타 전위는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0%(w/w) 및 11.1%(w/w) 콜레스테롤을 포함하는 리포좀에서는 전이 온도가 각 7.1도 및 -6.9도로 측정되고, 트렌지션 피크(transition peaks)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20%(w/w) 및 33.3%(w/w) 콜레스테롤을 포함하는 리포좀에서는 트렌지션 피크가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콜레스테롤 함량 및 C-피코시아닌(C- Pc ) 담지 여부에 따른 리포좀의 캡슐화 효율 및 방출 효율 확인
콜레스테롤 함량 및 C-피코시아닌(C-Pc) 담지 여부에 따른 리포좀의 캡슐화 효율 및 방출 효율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각 조건의 리포좀의 캡슐화 효율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험예 1-5의 방법으로 C-피코시아닌(C-Pc)을 0 또는 1mg/ml로 담지하며, 상이한 콜레스테롤 함량(%)(w/w)(0, 11.1, 20, 33.3, 42.8 및 50)으로 구성된 각 리포좀의 캡슐화 효율(E.E(%)) 및 방출 효율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표 2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pat00004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C-피코시아닌(C-Pc)을 담지하고 각 0, 11.1, 20, 33.3 및 42.8%(w/w)의 콜레스테롤 함량인 리포좀의 캡슐화 효율은 각 63.95±0.53, 73.14±1.60, 75.47±0.81, 72.28±0.35 및 65.72±2.04 임을 확인하였고, 콜레스테롤 함량이 높아질수록 캡슐화 효율이 점점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캡슐화 효율은 콜레스테롤 함량이 20%(w/w)일 때, 가장 효율적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간이 흐름에 따라, 20%(w/w)의 콜레스테롤을 포함하는 리포좀에서 시간 당 C-피코시아닌(C-Pc)의 분출이 다른 함량의 콜레스테롤을 포함하는 리포좀보다 가장 늦게까지 지속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콜레스테롤 함량에 따른 리포좀의 흡수 수준, 세포 독성 확인 및 산화 방지 효과 확인
콜레스테롤 함량에 따른 리포좀의 흡수 수준, 세포 독성 및 산화 방지 효과를 확인하였다.
3-1. 콜레스테롤 함량에 따른 리포좀의 흡수 수준 확인
구체적으로, 세포에 대한 각 조건의 리포좀 흡수 수준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험예 1-7의 방법을 이용하여 양성 대조군 또는 음성 대조군으로, 자유(free) C-피코시아닌(C-Pc) 또는 PBS를 Neuro2a 세포에 처리하였다. 또한, C-피코시아닌(C-Pc) 담지한 0%(w/w) 또는 20%(w/w)의 콜레스테롤을 포함하는 리포좀을 Neuro2a 세포에 처리한 후, 각 1시간 또는 10시간 이후에 각 세포의 리포좀 흡수 수준을 관찰하였고, 상기 1시간 또는 10시간 이후의 시간 경과에 따른 흡수율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포 처리 1시간 이후, C-피코시아닌(C-Pc) 담지한 0%(w/w) 콜레스테롤 리포좀보다 C-피코시아닌(C-Pc)을 담지한 20%(w/w)의 콜레스테롤 리포좀에서 형광 강도가 높음을 확인하여, Neuro2a 세포에 대한 흡수 수준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포 처리 10시간 이후, C-피코시아닌(C-Pc)을 담지한 20%(w/w)의 콜레스테롤 리포좀에서 형광 강도는 여전히 높음을 확인하였고, 다른 대조군은 상기 세포 처리 1시간 이후보다 형광 강도가 약간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1시간 또는 10시간의 시간 경과에 따른 흡수율은 리포좀보다 C-피코시아닌(C-Pc)을 담지한 20%(w/w)의 콜레스테롤 리포좀에서의 형광 강도는 세포 처리 1시간 이후에도 다른 군 보다 형광 강도가 높음을 확인하여, 흡수율이 다른 군보다 빠름을 확인하였다. 또한, 세포 처리 10시간 이후에도 1시간 이후와 동일한 형광 강도를 보여, 흡수 지속력 또한 다른 군보다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3-2. 콜레스테롤 함량에 따른 리포좀의 세포 독성 확인
구체적으로, 세포에 대한 각 조건의 리포좀 세포 독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험예 1-7의 MTT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양성 대조군 또는 음성 대조군으로, 자유(free) C-피코시아닌(C-Pc) 또는 PBS를 Neuro2a 세포에 처리하였다. 또한, C-피코시아닌(C-Pc) 담지한 0%(w/w) 또는 20%(w/w)의 콜레스테롤을 포함하는 리포좀을 Neuro2a 세포에 처리한 후 1, 3, 또는 5일 동안 배양하여 세포 생존력을 확인하고, 또한, 과산화수소(H2O2)을 24시간 동안 처리하여 유도된 산화 조건하에서 상기 각 조건의 세포 생존율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C-피코시아닌(C-Pc)을 담지한 20%(w/w)의 콜레스테롤을 포함하는 리포좀을 Neuro2a 세포에 처리 시, 시간이 지날수록 세포 생존력이 대조군 및 0%(w/w)의 콜레스테롤을 포함하는 리포좀을 처리한 군보다 더 높아짐을 확인하였다(a). 또한, 피코시아닌을 담지 않은 리포좀은 과산화수소(H2O2)를 처리한 산화 조건 하에서 유의적으로 세포 생존률이 낮음을 확인하였고, 반면에 피코시아닌을 담지하고 0%(w/w) 및 20%(w/w)의 콜레스테롤을 포함하는 리포좀을 처리한 세포에서는 세포 생존률이 피코시아닌을 처리하지 않은 군보다 높음을 확인하였다(b).
3-3. 콜레스테롤 함량에 따른 리포좀의 산화 방지 효과 확인
구체적으로, 세포에 대한 각 조건의 리포좀의 산화 방지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험예 1-8의 방법을 이용하여 양성 대조군 또는 음성 대조군으로, 자유(free) C-피코시아닌(C-Pc) 또는 PBS를 Neuro2a 세포에 처리하였다. 또한, C-피코시아닌(C-Pc) 담지한 0%(w/w) 또는 20%(w/w)의 콜레스테롤을 포함하는 리포좀을 Neuro2a 세포에 처리한 후 과산화수소(H2O2)로 유도된 산화 조건에서 각 조건에 따른 세포의 산화 방지 효소인 MnSOD 또는 카탈라아제의 mRNA 발현 수준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C-피코시아닌(C-Pc) 담지한 20%(w/w)의 콜레스테롤을 포함하는 리포좀을 처리한 군의 MnSOD 또는 카탈라아제의 mRNA 발현수준은 MnSOD는 1.7379이고 카탈라아제는 1.6485의 발현 수준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또한, 양성 대조군인 자유(free) C-피코시아닌(C-Pc) 처리 군만큼, MnSOD 또는 카탈라아제의 mRNA 발현수준이 유의적으로 발현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중대뇌동맥 폐색(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MCAO ) 동물 모델에 대한 리포좀의 신경보호 효과 확인
허혈성 뇌졸중의 원인이 되는 중대뇌동맥 폐색(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MCAO) 동물 모델에서, 콜레스테롤 함량 및 C-피코시아닌(C-Pc) 담지 여부에 따른 신경 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험예 1-9의 방법을 수행하였으며, 도 8의 a 또는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물 모델에 중대뇌동맥 폐색(MCAO)을 유도한 시점으로부터 1시간 후에 혈액을 재관류하고, MCAO 유도 시점 2시간 후 또는 6시간 후에 대조군으로 PBS을 이용하고, 20%(w/w)의 콜레스테롤 리포좀, C-피코시아닌(C-Pc)을 담지한 0%(w/w) 또는 20%(w/w)의 콜레스테롤 리포좀; 및 자유(free) C-피코시아닌(C-Pc) 각각을 마우스에 각각 비강 투여한 후, MCAO 유도 시점 48시간 후 경색 부피(infarct volumes)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8 및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MCAO 유도 시점 2시간 후 본 발명의 C-피코시아닌(C-Pc)을 담지한 20%(w/w)의 콜레스테롤 리포좀을 처리한 마우스에서 양성 대조군인 자유(free) C-피코시아닌(C-Pc)을 처리한 군 만큼, 유의적으로 경색 부피(infarct volumes)가 줄어듦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MCAO 유도 시점 6시간 후 본 발명의 C-피코시아닌(C-Pc)을 담지한 20%(w/w)의 콜레스테롤 리포좀을 처리한 마우스는 양성 대조군인 자유(free) C-피코시아닌(C-Pc) 마우스와 비교하여 3분의 1의 수준으로, C-피코시아닌(C-Pc)을 담지한 0%(w/w)의 콜레스테롤 리포좀 마우스과 비교하여 2분의 1의 수준으로 경색 부피(infarct volumes)가 현저히 줄어듦을 확인하였다.
상기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도 10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허헐-재관류 손상 발생 4시간 후 또는 중대뇌동맥 폐색(허혈성 뇌졸중의 원인) 발생 6시간 후 C-피코시아닌(C-Pc)을 담지한 콜레스테롤을 포함하고 크기가 100nm 내의 리포좀을 비강 투여 시, 신경 보호 물질인 C-피코시아닌(C-Pc)의 신경 보호 작용 시간(neuroprotective time window)을 늘려 뇌 신경 세포를 보호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도 10의 b에 정리된 바와 같이, 콜레스테롤 함량 0%, 11.1%, 20%, 33.3%, 42.8% 및 50%(w/w) 중에서, 20%, 33.3% 및 42.8%(w/w) 함량의 콜레스테롤 조건이 열화학적 안정성 및 사이즈 모노-분산도(size mono-dispersity)가 더 안정적인 것을 확인하였다. 이 중, 20%(w/w) 함량의 콜레스테롤 조건이 약제 캡슐화 안정성 및 효율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이처럼, 상기 20%(w/w) 함량의 콜레스테롤 조건은 세포 흡수, 생체 적합성 및 항산화 효과가 다른 함량에 비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허혈성 뇌졸중이 발생하고, 재관류가 일어난 4시간 이후(허혈성 뇌졸중 발병 후 6시간), 상기 20%(w/w) 함량의 콜레스테롤 조건의 리포좀을 비강 투여 시, 리포좀에 담지된 피코시아닌의 신경 보호 작용 시간(neuroprotective time window)을 늘리는 효과가 있어, 뇌의 허혈-재관류 손상으로 인한 뇌의 신경 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110> Inha University Research and Business Foundation <120>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liposome containing protein from marine microorganism as an active ingredient for brain disease <130> 1-191 <160> 6 <170> KopatentIn 2.0 <210> 1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beta-actin <400> 1 gtactctgtg tggatcggtg g 21 <210> 2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beta-actin <400> 2 aacgcagctc agtaacagtc c 21 <210> 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MnSOD <400> 3 accgaggaga agtaccacga 20 <210> 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MnSOD <400> 4 tgggttctcc accaccctta 20 <210> 5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Catalase <400> 5 gcggattcct gagagagtgg 20 <210> 6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Catalase <400> 6 tgtggagaat cgaacggcaa 20

Claims (7)

  1. 피코시아닌(Phycocyanin) 또는 피코에리트린(phycoerythrin)을 유효성분으로 담지한 리포좀을 포함하는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서,
    상기 리포좀은 인지질 또는 스테롤을 포함하며, 상기 스테롤은 리포좀의 20 내지 33%(w/w)의 함량으로 포함되고,
    상기 리포좀은 뇌 손상 2 내지 10시간 후 투여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질은 포스파티딜 콜린(phosphatidyl choline), 포스파티딜 세린 (phosphatidyl serine), 포스파티딜 에탄올아민(phosphatidyl ethanolamine), 스핑고미엘린(sphingomyelin), 포스파티딜 이노시톨(phosphatidyl inositol) 및 포스파티드산(phosphatid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롤은 콜레스테롤, 코프로스탄올, 시토스테롤 및 에르고스테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좀의 크기는 80 내지 150 나노 미터(nanomet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좀은 비강 투여(intranasal administration), 경구투여(oral administration), 피내주사(intracutaneous injection), 피하 주사 (subcutaneous injection), 근육내 주사(intramuscular injection), 정맥내 주사 (intravenous injection), 동맥내 주사(intraarterial injection), 직장내 적용(rectal administration), 구강점막 적용 (application to oral mucous membrane) 및 외용(external application) 투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투여를 수행하는 투여 용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뇌질환은 중풍, 뇌졸중, 뇌일혈, 뇌경색, 두부손상, 알츠하이머, 혈관성 치매, 크로이츠펠트-야콥병, 혼수 및 쇼크 뇌손상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좀은 허혈-재관류 손상(Ischemia/reperfusion injury), 허혈성 세포 손상(Ischemic cell injury) 및 산화 스트레스(Oxidative stres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손상으로 인해 손상된 뇌의 신경 세포를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170158383A 2017-11-24 2017-11-24 피코시아닌(Phycocyanin) 또는 피코에리트린(phycoerythrin)을 유효성분으로 담지한 리포좀을 포함하는 뇌질환용 약학적 조성물 KR101898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383A KR101898528B1 (ko) 2017-11-24 2017-11-24 피코시아닌(Phycocyanin) 또는 피코에리트린(phycoerythrin)을 유효성분으로 담지한 리포좀을 포함하는 뇌질환용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383A KR101898528B1 (ko) 2017-11-24 2017-11-24 피코시아닌(Phycocyanin) 또는 피코에리트린(phycoerythrin)을 유효성분으로 담지한 리포좀을 포함하는 뇌질환용 약학적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3256A Division KR101804183B1 (ko) 2016-04-29 2016-04-29 해양 미생물 유래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담지한 리포좀을 포함하는 뇌질환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4295A true KR20170134295A (ko) 2017-12-06
KR101898528B1 KR101898528B1 (ko) 2018-09-13

Family

ID=60922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8383A KR101898528B1 (ko) 2017-11-24 2017-11-24 피코시아닌(Phycocyanin) 또는 피코에리트린(phycoerythrin)을 유효성분으로 담지한 리포좀을 포함하는 뇌질환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85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0366A (ko) * 2018-05-14 2019-11-2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키토산 코팅 및 내부에 담지된 피코시아닌을 포함하는 리포좀 및 이를 포함하는 비강 투여용 뇌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12190697A (zh) * 2020-10-09 2021-01-08 暨南大学 一种高负载藻蓝蛋白的纳米颗粒及其制备方法与应用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rain Research Bulletin, 2011, vol.86, pp.42-52 *
Brain Research Bulletin, 2011, vol.86, pp.42-52. *
Brain Research Bulletin, 2011, vol.86, pp.42-52.* *
Journal of Pharmacy and Pharmacology, 2009, vol.61, pp.423-430 *
Journal of Pharmacy and Pharmacology, 2009, vol.61, pp.423-430. *
Journal of Pharmacy and Pharmacology, 2009, vol.61, pp.423-430.*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0366A (ko) * 2018-05-14 2019-11-2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키토산 코팅 및 내부에 담지된 피코시아닌을 포함하는 리포좀 및 이를 포함하는 비강 투여용 뇌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12190697A (zh) * 2020-10-09 2021-01-08 暨南大学 一种高负载藻蓝蛋白的纳米颗粒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2190697B (zh) * 2020-10-09 2024-05-28 暨南大学 一种高负载藻蓝蛋白的纳米颗粒及其制备方法与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8528B1 (ko) 2018-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ahmy et al. Treatment merits of latanoprost/thymoquinone–encapsulated liposome for glaucomatus rabbits
Fang et al. Effect of liposome encapsulation of tea catechins on their accumulation in basal cell carcinomas
Hazzah et al. Gelucire-based nanoparticles for curcumin targeting to oral mucosa: preparation, characteriza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y assessment
Kamil et al. Bioavailability and biodistribution of nanodelivered lutein
Wang et al. Ferrostatin‐1‐loaded liposome for treatment of corneal alkali burn via targeting ferroptosis
Gao et al. The role of daidzein-loaded sterically stabilized solid lipid nanoparticles in therapy for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s
González-Paredes et al. Delivery systems for natural antioxidant compounds: Archaeosomes and archaeosomal hydrogels characterization and release study
US20210220270A1 (en) Composition
KR101365798B1 (ko) 음전하성 다당류를 이용한 안토시아닌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98528B1 (ko) 피코시아닌(Phycocyanin) 또는 피코에리트린(phycoerythrin)을 유효성분으로 담지한 리포좀을 포함하는 뇌질환용 약학적 조성물
US11633356B2 (en) Nanostructured formulations for the delivery of silibinin and other active ingredients for treating ocular diseases
Liu et al. Polymeric lipid hybrid nanoparticles as a delivery system enhance the antitumor effect of emodin in vitro and in vivo
CN114173773A (zh) 用于靶向线粒体和根除癌症干细胞的碳菁化合物
CN102366408B (zh) 单唾液酸四己糖神经节苷脂钠脂质体注射剂
Borowy-Borowski et al. Unique technology for solubilization and delivery of highly lipophilic bioactive molecules
KR101621910B1 (ko) 전립선암 진행을 예방하거나 감소시키는 데 유용한 조성물
KR101804183B1 (ko) 해양 미생물 유래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담지한 리포좀을 포함하는 뇌질환용 약학적 조성물
CA2475218C (fr) Preparation pour composes sensibles a l&#39;oxydation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Tan et al. Apoferritin nanocages loading mertansine enable effective eradiation of cancer stem-like cells in vitro
Min et al. Nasal delivery of antioxidants by cholesterol-incorporated liposomes extends the neuroprotective time window in cerebral ischemia
CN106456783B (zh) 含有欧米茄-3多不饱和脂肪酸和白藜芦醇的口服均相制剂
Ali et al. Nanoliposomal in situ gel of fluoxetine and embelin as a potent intervention for depression via the intranasal route in CUMS animal model
EP3986374A1 (en) Lipid nanocapsules charged with incretin mimetics
KR102079953B1 (ko) 키토산 코팅 및 내부에 담지된 피코시아닌을 포함하는 리포좀 및 이를 포함하는 비강 투여용 뇌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2008303199A (ja) マイタケの脂質抽出物及びゲニステインを含有する抗血管新生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