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4244A - Fixing Type Handle for cooking vessel and cooking vessel with thereof - Google Patents

Fixing Type Handle for cooking vessel and cooking vessel with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4244A
KR20170134244A KR1020170064569A KR20170064569A KR20170134244A KR 20170134244 A KR20170134244 A KR 20170134244A KR 1020170064569 A KR1020170064569 A KR 1020170064569A KR 20170064569 A KR20170064569 A KR 20170064569A KR 20170134244 A KR20170134244 A KR 201701342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cooking
handle
container
cooking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45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홍배
Original Assignee
김홍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배 filed Critical 김홍배
Priority to MYPI2018700640A priority Critical patent/MY190903A/en
Priority to PCT/KR2017/005588 priority patent/WO2017204608A1/en
Publication of KR20170134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424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8Heat-insulating handles
    • A47J45/085Heat shields for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5Safety devices
    • A47J43/0761Safety device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device with a fixed handle which can prevent heat generated in a cooking container from being transmitted to a user through the handle without using a separate heat ins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king device includes a base plate (310) which has a convex round shape in a horizontal direction while having a linear shap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has first curved ends (314a, 314b) curv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by a predetermined surface; a handle plate (320) which includes an upper space unit (322) having a predetermined-extended length while being integrated from the upper surface (310a) of the base plate (310) in a predetermined surface in an upward direction, is curved and exten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a vertical direction to form through-holes (330) in a predetermined shape to have a hand of the user input thereto,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310b) of the base plate (310) in an integrated manner, has a concave round shape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ile being integrated with multiple reinforcing ribs (337) on the inner surface and having an open outer surface; and a handle cover (330) coupled detachably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andle plate (320).

Description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조리기기{Fixing Type Handle for cooking vessel and cooking vessel with thereof}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xed handle structure for a coo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단열체를 사용하지 않고, 조리용기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고온을 손잡이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xed handle structure for a cooking apparatus and a cook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xed handle structure for a cooking apparatus and a cook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최근들어 건강에 대한 관심이 많아짐에 따라 야채주스나 해독주스와 같은 건강을 위한 음식을 자동으로 조리하는 조리기기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Recently, as interest in health has increased, a number of cooking devices for automatically cooking foods for health such as vegetable juice and detox juice are being developed.

이러한 조리기기는 믹서기와 같이 조리재료를 단순히 분쇄하여 각종 즙이나 주스를 만드는 것에서부터 조리재료를 분쇄, 혼합, 가열을 선택적으로 수행하여 두유, 두부, 수프 또는 주스와 같은 다양한 음식물을 조리하기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형태의 제품으로 개발 및 시판되고 있다.Such a cooking device is used for grinding, mixing, and heating a cooking material from a simple grinding of a cooking material such as a blender to make various juices or juices, and then various foods such as soybean milk, tofu, soup or juice are cooked And it has been developed and marketed as a variety of products.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95838호 (2005.06.08)에는 분쇄 및 가열 기능을 갖추어 두부, 두유, 스프, 죽 또는 식품가공에 유용한 식품 가공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식재료를 분쇄하는 칼날이 저면에 장착된 분쇄실을 가지는 용기부, 용기부와 분리 가능하게 접속되는 본체부, 본체부에 형성된 가열부, 칼날의 구동을 위한 구동부 및 제어부로 이루어진 ‘분쇄 및 가열기능을 갖는 식품 가공기 및 이를 이용한 식품 가공방법’이 개시되고 있다. Th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495838 (2005.06.08) is equipped with grinding and heating function to provide food processing machine useful for tofu, soy milk, soup, porridge or food processing, and a blade for grinding food ingredients is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A food processing machine having a crushing and heating function and a food processing method using the same, comprising a container portion having a crushing chamber, a main body portion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ontainer portion, a heating portion formed in the main body portion, a driving portion for driving the blade, Method " is disclosed.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70641호 (2007.10.22)에는 측면에 스크린이 형성된 분리 통, 결합 접점을 가진 손잡이, 감지 센서, 발열량의 조절이 가능한 판형상의 히터, 모터와 제어 장치가 내장된 베이스 및 안전장치로 이루어진 간접 가열 방식의 조리 장치가 개시되고 있다.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770641 (Oct. 22, 2007) discloses a separator with a screen on its side, a handle with a contact point, a sensor, a plate-type heater capable of adjusting a calorific value, a base with a motor and a control device, An indirect heating type cooking device comprising a safety device is disclosed.

또한, 본 발명과 동일 출원이 출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16942호에는 자동 조리기의 상부 하우징(용기부)과 하부 하우징(본체부)을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안전성이 향상된 자동조리기가 개시되어 있다.Further,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16942 filed in the same application as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 automatic cooker having an improved safety that can firmly couple an upper housing (container portion) and a lower housing (body portion) of an automatic cooker .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들은 용기부가 본체부의 상부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구조이며, 용기부의 밑면에는 히터가 구비되어 가열을 필요로 하는 조리시 용기부를 가열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리 내용물이 넘쳐나는 것을 감지하거나 조리 내용물이 과도하게 가열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들이 설치되어야 하는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용기부와 본체부가 상하로 분리 또는 결합되는 구조적 특성을 만족시키면서 용기부에 설치된 센서들에게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However, these prior arts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container portion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a heater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portion to heat the container portion during cooking requiring heating, There is a need to install sensors for sensing that the cooking contents are heated excessively,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oking device which can supply power to sensors installed in the container while satisfying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Technology is required.

또한, 종래의 용기부와 손잡이 사이에는 별도의 단열체를 사용하여 조리용기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고온이 손잡이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 해야하기 때문에 가능한 사출물이 충만하게 형성되어야만 하였기 때문에 전체 제품의 무게를 줄이는데 그 한계가 있었다. In addition, since a separate heat insulator is used between the conventional container portion and the handle to block the high temperature generated inside the cooking container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handle, it is necessary to form an entirely formed article so that the weight of the whole product is reduced There were limits.

또한, 손잡이의 내부에서 미리 설정된 상부 위치에서 거품을 감지하는 거품감지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이 조리용기에서 발생하는 고열로 인해 노화 및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electric wires supplying power to a foam sensor for detecting foam at a predetermined upper position within the handle are aged and deteriorated due to high heat generated in the cooking container.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95838호 (2005.06.08)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495838 (Jun. 2005)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70641호 (2007.10.22)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770641 (October 22, 2007)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16942호 (2012.12.22)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216942 (2012.12.22)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의 기술들의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단열체를 사용하지 않고, 조리용기의 가열시 내부에서 발생하는 고온이 손잡이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고정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technologie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oking device, And to provide a cooking appliance having a fixed handle capable of preventing the cooking utensil from being cut off.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능한 적은 재료를 사용하여 사출형성되면서도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고정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oking apparatus having a fixed handle capable of ensuring durability while injection-molding using as little material as possible.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내부에서 미리 설정된 상부 위치에서 거품을 감지하는 거품감지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조리용기의 외벽에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배치될 수 있는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ubble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bubbles at an upper predetermined position inside the bubble sensor, wherein the bubble sensor is disposed such that electric wires for supplying power to the bubble sensor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And to provide a fixed handle structure for a cooking apparatus.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 구조는, 종방향으로 일자형상이며 횡방향으로 볼록한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을 따라 직각방향으로 절곡된 제1 절곡단(314a,314b)이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된 베이스판(310)과; 사용자의 손이 들어가기 위한 소정 형상의 관통홀(330)이 형성되도록, 상기 베이스판(310)의 일정 크기의 상부면(310a)에서부터 상부방향으로 일체형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어 상부 공간부(322)를 형성한 후, 하측방향으로 일정 길이 절곡 및 연장 형성된 후, 상기 베이스판(310)의 일정 크기의 하부면(310b)에 일체형으로 고정 형성되며, 내측면에는 다수의 강화 리브(337)가 일체형으로 횡방향이나 종방향 또는 사선방향으로 형성되고, 외측 수직방향으로 개방된 수직 공간이 형성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손잡이판(320)과; 상기 손잡이판(320)의 개방된 외측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손잡이 커버(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절곡단(314a,314b)이 조리용기(110)의 외측면에 고정될 때, 조리용기(110)의 외측면과 베이스판(310) 내측면 사이에는 일정 크기의 제1 열분산공간부(336)이 형성되어, 조리용기(110)의 가열시 발생하는 열의 전달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ed handle structure for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longitudinally elongated, roundly convex round shape, and a first bent edge (314a, 314b)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The upper space portion 322 is formed by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integrally from the upper surface 310a of the base plate 310 in the upward direction so as to form a through hole 330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for the user's hand to enter, And a plurality of reinforcing ribs 337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plate 310. The reinforcing ribs 337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lower surface 310b of the base plate 310, A grip plate 320 formed in a shape such that it is formed in a transverse direction, a longitudinal direction, or a diagonal direction, and a vertical space opened in an outer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And a handle cover (330) detachably coupled to an open outer surface of the handle plate (320); A first thermal diffraction hollow portion 336 having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cooking vessel 1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plate 310 when the bent ends 314a and 314b are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oking vessel 110. [ So as to block the transmission of heat generated during the heating of the cooking container 110.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 구조는, 별도의 단열체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조리용기의 가열시 내부에서 발생하는 고온이 손잡이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사용자들이 조리용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는 경우에도 제품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ixed handle structure for cooking utens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high temperature generated inside the cooking utensil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user through the handle while heating the cooking utensil without using a separate heat insulator, Even when the food is heated by using the container, the safe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또한, 가능한 적은 재료를 사용하여 사출형성되면서도 제품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어, 전체 제품의 무게를 줄일 수 있으면서도 편안하게 조리용기를 이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while injecting it using as few materials as possible, thereby reducing the weight of the whole product and moving the cooking container comfortably.

또한, 내부에서 미리 설정된 상부 위치에서 거품을 감지하는 거품감지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조리용기의 외벽에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배치될 수 있어, 조리용기에서 발생되는 고열로 인한 전선의 노화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ectric wire for supplying power to the foam sensor for detecting bubbles at a preset upper position in the interior can be arranged so as to be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outer wall of the cooking container without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ging or deterioration of the electric wire due to the high temperature generated in the electric wir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 구조를 구비한 조리기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내부체결형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 구조를 구비한 조리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2종류의 센서가 설치된 내부체결형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 구조를 구비한 조리기기의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내부체결형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 구조를 구비한 조리기기의 용기부의 밑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a 내지 도 5f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내부체결형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 구조의 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기기에서 덮개부가 조리용기의 상부에 체결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 구조를 구비한 조리기기에서 용기부가 본체부에 1차 체결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 구조를 구비한 조리기기에서 용기부와 본체부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 및 2차 체결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 구조를 구비한 조리기기에서 전원 연결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 구조를 구비한 조리기기에서 전원 연결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외부체결형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 구조를 구비한 조리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 구조를 구비한 조리기기에서 이중구조의 조리용기를 보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oking apparatus having a fixed handle structure for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oking apparatus having a fixed handle structure for an internal fastening typ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cooking device having a fixed handle structure for an internal fastening device provided with two kinds of sensor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ttom surface of a container portion of a cooking apparatus having a fixed handle structure for an internal fastening typ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to 5F are views showing a detailed structure of a fixed handle structure for an internal fastening cook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and FIG. 7 are views showing that the lid is fastened to the upper part of the cooking container in the cooking apparatus having the fixed handl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to 8C are views showing a first fastening of a container unit to a main body of a cooking apparatus having a fixed handle structure for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9A to 9C are views showing that a container unit and a main body unit are electrically connected and secondarily fastened to each other in a cooking apparatus having a fixed knob structure for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power connection path in a cooking appliance having a fixed handle structure for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wer connection path in a cooking appliance having a fixed handle structure for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oking apparatus having a fixed handle structure for an external fastening typ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and FIG. 14 are views showing a dual structure cooking vessel in a cooking apparatus having a fixed handle structure for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As used herein,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selected from general terms that are widel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aking into account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or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In addition, in certain cases, there may be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in which case the meaning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it is intende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rather than on the name of the term, and on the entire contents of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 구조를 구비한 조리기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내부체결형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 구조를 구비한 조리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2종류의 센서가 설치된 내부체결형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 구조를 구비한 조리기기의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내부체결형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 구조를 구비한 조리기기의 용기부의 밑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oking apparatus having a fixed handle structure for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oking apparatus having a fixed handle structure for an internal fastening typ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cooking device having a fixed handle structure for an internal fastening device provided with two kinds of sensor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ottom surface of a container portion of a cooking device having a fixed handle structure for an internal fastening typ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 구조를 구비한 조리기기는, 크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리재료가 투입되어 미리 설정된 조리방식으로 조리되는 용기부(100)와, 사용자에 의해 용기부(100)의 하단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내부에 구비된 동력발생기(260)에서 발생되는 구동력을 용기부(100)로 제공하거나,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전압을 용기부(100)로 공급하는 본체부(200), 그리고 용기부(110)의 임의의 외측면의 형상을 따라 밀착되도록 고정되는 손잡이부(300)와, 용기부(100)의 조리용기(110)의 제1 및 제2 관통공(118)에 관통 설치되어, 조리용기(110)의 내부에서 상부 공간부(322)와 마주하는 베이스판(310)의 상부면의 미리 설정된 상부 임계위치(P1)에서 거품의 발생을 감지하는 한 쌍의 거품감지센서(410)로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S. 1 to 4, a cooking apparatus having a fixed handle structure for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iner unit 100 A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power generator 260 provided in the container 100 is provided to the container unit 100 or at least one type of voltage is applied to the container 100 by the user, A handle 300 fixed to the cooking cavity 110 in a manner to closely contact the cooking cavity 110 of the cooking cavity 110 of the cooking cavity 110 of the cooking cavity 110, And a predetermined upper critical position P1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310 facing the upper space portion 322 in the cooking vessel 110 is formed in the cooking cavity 110. [ A pair of bubble detectors It consists of 410.

여기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용기부(100)는, 조리재료를 혼합 또는 파쇄하는 칼날(160)이 내부에 장착되며, 밑면에 가열용 히터(170)가 설치된 소정 형상의 조리용기(110)와, 조리용기(110)의 하단 외주면에 일정 높이로 결합되며, 내부에 밀폐된 하부 공간부(121)를 형성하면서, 서로 마주하는 외주면에 소정 형상의 제1 및 제2 체결용 돌기(123,124)가 각각 형성되는 용기 베이스(bowl base)(120)와, 조리용기(110)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부(130)와, 용기 베이스(120)의 하부공간부(121)의 상면과 용기 베이스(120)의 일측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제1 접속 및 체결부(150)와, 용기 베이스(120)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칼날(160)에 연결되도록 설치된 상부 커플링(190)으로 구성된다.The container unit 100 shown in FIGS. 1 and 2 includes a cooking vessel 160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nd having a blade 160 for mixing or crushing the cooking material therein and a heater 170 disposed on the bottom thereof And a lower space portion 121 which is sea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cooking container 110. The lower space portion 121 is hermetically sealed and has first and second fastening protrusions A lid 130 which opens and closes the opened upper portion of the cooking container 110 and an upper surface 121 of the lower space 121 of the container base 120, A first connection and fastening part 150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tainer base 120 and an upper coupling 190 connected to the blade 160 through a central part of the container base 120 do.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조리용기(110)는 상부가 개방된 원형의 유리 또는 철제 조리용기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외표면에는 조리재료의 용량을 표시하기 위한 눈금이 표시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리재료가 조리용기(110)의 내부에서 회전되면서 분쇄될 때 분쇄력을 높이기 위한 다수의 수직주름(113)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Meanwhile,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king vessel 110 is preferably implemented as a round glass or iron cooking vessel with an open top, and a scale for indicating the capacity of the cooking material is displayed on the outer surface A plurality of vertical corrugations 113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to increase the crushing power when the cooking material is crushed while being rotated inside the cooking container 110.

또한, 용기 베이스(bowl base)(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부(100)의 하단 외주면에 내부에 밀폐된 하부 공간부(121)를 형성하도록 하부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서, 중심부에 상부 커플링(190)이 관통 설치되도록 원형의 결합홀(127)이 형성된 환형의 결합돌기(129)가 하부 공간부(121)의 내부에 용기 베이스(120)와 일체형으로 돌출 형성되며, 용기 베이스(120)의 내측면과 환형의 결합돌기(129)의 외표면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4, the bowl base 120 is formed by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downward to form a closed lower space portion 121 inside the lower end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tainer portion 100 An annular coupling protrusion 129 having a circular coupling hole 127 is formed in the central space to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ntainer base 120 in the lower space part 121 And an empty space is form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base 12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annular coupling protrusion 129.

여기서, 용기 베이스(120)의 하단 내주면에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체 형상의 제1 및 제2 체결용 돌기(123,124)가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좌우 대칭구조로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and 4, first and second fastening protrusions 123 and 124 having a rectangular shape ar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base 120 in a symmetrical structure at the positions where they face each other .

한편, 손잡이부(30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으로 일자형상이며 횡방향으로 볼록한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을 따라 직각방향으로 절곡된 제1 절곡단(314a,314b)이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된 베이스판(310)과, 베이스판(310)의 일정 크기의 상부면(310a)에서부터 상부방향으로 일체형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어 상부 공간부(322)를 형성하며, 사용자의 손이 들어가기 위한 소정 형상의 관통홀(340)을 형성하도록 수직방향으로 일정 길이 절곡 및 연장 형성된 후, 베이스판(310)의 일정 크기의 하부면(310b)에 일체형으로 고정 형성되며, 내측면은 다수의 강화 리브(337)가 일체형으로 횡방향이나 종방향 또는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오목한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측면은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손잡이판(320)과, 손잡이판(320)의 외측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손잡이 커버(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2 to 5, the handle 300 includes a first bent portion 314a, a second bent portion 314b, and a second bent portion 313b. The first bent portion 314a is ben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andle 300, And an upper space portion 322 formed integrally with the upper surface 310a of the base plate 310 so as to be integrally extended from the upper surface 310a of the base plate 310, Is formed integrally and fixedly on a lower surface 310b of a predetermined size of the base plate 310, and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inner surface 310b of the base plate 310. The base plate 310 is formed by bending and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as to form a through- A handle plate 320 having a plurality of reinforcing ribs 337 integrally formed in a concave round shape formed in a transverse direction or a longitudinal or oblique direction and having an outer surface formed in an open shape, Outside A is configured to include a handle cover 330 is coupled so as to be removable.

여기서, 상부 공간부(322)에 상응하는 베이스판(310)의 상부에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용기(110)의 상부 외측면에 고정 설치된 제1 고정용 브라켓(115)에 고정하기 위한 제1 및 제2 볼팅홀(315a,315b)이 각각 형성되고, 베이스판(310)의 하부면에는 조리용기(110)의 상부 외측면에 고정 설치된 제2 고정용 브라켓(116)에 고정하기 위한 제3 볼팅홀(315c)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베이스판(310)의 상부면과 하부면이 조리용기(110)의 외측면의 형상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밀착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한 쌍의 제1 및 제2 볼팅홀(315a,315b)이 형성되었으나, 필요에 따라 하나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5A,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plate 310 corresponding to the upper space portion 322 is fixed to the first fixing bracket 115 fixed to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cooking container 110, The first and second bolting holes 315a and 315b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late 310 and the second fixing bracket 116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cooking container 110, So that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late 310 can be tightly fix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shap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ooking container 110. [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first and second bolting holes 315a and 315b are formed, but only one may be formed if necessary.

한편, 절곡단(314a,314b)이 조리용기(110)의 외측면에 고정될 때,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용기(110)의 외측면과 베이스판(310) 내측면 사이에는 일정 크기의 제1 열분산공간부(336)이 형성되어, 조리용기(110)의 가열시 발생하는 열의 전달을 일차적으로 차단한다. 5D, when the bent ends 314a and 314b are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oking vessel 110, there is a certain distance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cooking vessel 1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plate 310 The first thermal diffusion area 336 is formed to prevent heat from being generated when the cooking container 110 is heated.

이를 위해 조리용기(110)가 가열될 때 발생하는 고온이 제1 열분산공간부(336)으로 전달될 때,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열분산공간부(336)에 발생된 고온을 자연스럽게 식혀주기 위해, 조리용기(110)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베이스판(310)의 절곡단(314a,314b)의 형상을, 원형 형상의 조리용기(110)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고정되도록 외측 끝단면에서 내측 중심으로 갈수록 완만한 경사(R)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or this purpose, when the high temperature generated when the cooking container 110 is heated is transferred to the first heat splitting portion 336, the high temperature generated in the first heat splitting portion 336 is naturally The shape of the bent ends 314a and 314b of the base plate 310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oking vessel 110 is set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ircular cooking vessel 110, It is preferable to have a gentle slope (R) gradually increasing toward the inner center.

한편, 손잡이판(320)의 외측면에는 도 5c에 도시돤 바와 같이, 외측방향으로 일정 길이의 제2 절곡단(333)이 단차(334)를 갖으면서 연장형성되며, 단차(334)를 갖고 연장 형성된 절곡단(333)의 외측면에는 다수개의 끼움홈(335)이 일정 간격으로 함몰 형성되며, 손잡이 커버(330)의 외측방향으로 일정 길이의 제3 절곡단(343)이 형성되며, 제3 절곡단(343)의 내측면에는 다수개의 끼움홈(335)과 착탈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끼움돌기(345)가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잡이판(320)의 외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 또는 분리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5C,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andle plate 320, a second folding step 333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outward direction is formed to have a step 334 and a step 334 A plurality of fitting grooves 335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xtended bent portion 333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a third bent portion 343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handle cover 330 is formed, A plurality of fitting grooves 335 and a plurality of fitting protrusions 345 are protrud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bent portion 343 at predetermined intervals so that the user can attach and detach the outer surface of the grip plate 320 Assembled or separated.

또한, 손잡이판(320)의 외주면에 손잡이 커버(330)가 결합되면, 도 5c 및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열분산공간부(338)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면서 상측방향으로 상부 공간부(322)와, 하측방향으로 하부 공간부(332)를 통하여 제1 내부공간부(336)가 서로 연통되도록 관통형성되어, 조리용기(110)가 가열될 때 발생하는 고온이 제1 내부공간부(336), 상부 공간부(322), 하부 공간부(332), 제2 열분산공간부(338)으로 분산되면서 서서히 식혀질 수 있다. 5C and 5D, when the handle cover 330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andle plate 320, the second thermal splits 338 ar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first internal space portion 336 is communicated with the first internal space portion 332 through the lower space portion 332 in the downward direction so that the high temperature generated when the cooking container 110 is heated is passed through the first internal space portion 332, The upper space portion 322, the lower space portion 332, and the second thermal diffusion space portion 338. [0086]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는 손잡이판(320)의 내측면에 일체형으로 다수의 강화 리브(337)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다수의 강화 리브(337)는 손잡이판(320)의 제2 열분산공간부(336)을 형성하기 위해 손잡이판(320)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게 사출형성되면서도 손잡이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reinforcing ribs 337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andle plate 320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ribs 337 may be attached to the handle plate 320 The thickness of the handle plate 320 is formed to be relatively thin to form the second thermal splitting portion 336 of the handle 336, and the durability of the handle can be secured.

한편, 상부 공간부(322)에 삽입 설치되는 마이크로 스위치 모듈(3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한 쌍의 전선(353)이 제2 열분산공간부(336)을 따라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어, 두 센서(410,420)에 연결된 전선(353)을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으면서도, 손잡이판(320)의 내측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각각의 강화 리브(337)의 외측면에 형성된 전선 끼움홈(339)을 이용하여 제2 열분산공간부(338)을 따라서 조리용기(110)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A pair of wires 353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icro switch module 350 inserted in the upper space portion 322 can be vertically disposed along the second thermal splitter 336, The reinforcing ribs 337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andle plate 320 without exposing the wires 353 connected to the reinforcing ribs 410 and 420 to the outside by using the wire fitting grooves 339 form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reinforcing ribs 337, And can be vertically arranged while maintaining a certain distance from the cooking container 110 along the two-column partition 338.

이와 같이 전선(353)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조리용기(110)의 외벽에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면, 전선(353)이 조리용기(110)의 외면에 붙지 않아서 조리용기(110)에서 발생하는 고열로 인한 열화 및 노화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리용기(110)의 내부에 장착된 칼날(160)의 고속 회전으로 인해 두 센서(410,420)와 전기적 연결된 전선(353)의 납땜부위의 유동 및 이로 인한 손상을 줄일 수 있다. The electric wire 353 is not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oking container 110 so that the electric wire 353 is not adher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oking container 11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terioration and aging due to the high temperature generated in the cooking vessel 110 and to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the solder 353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wo sensors 410 and 420 due to the high speed rotation of the blade 160 mounted inside the cooking vessel 110 The flow of the region and the damage caused thereby can be reduced.

또한, 손잡이판(320)의 밑면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볼록하게 함몰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손잡이판(320)의 내측 밑면에는 일자형상의 다수의 제1 보강리브(337)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되, 손잡이판(320)의 밑면에서부터 일체형으로 형성된다.As shown in FIG. 5C, the bottom surface of the handle plate 320 is formed to be convexly recessed for easy gripping by the user, and a plurality of straight first reinforcing ribs 320 are form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handle plate 320 Ribs 337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nd integrally formed from the underside of the handle plate 320.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속 및 체결부(150)에 연결된 거품감지센서(410)가 손잡이부(300)의 상부에서 조리용기(110)의 미리 설정된 상측 내부로 일정 길이 관통되도록 설치되어 조리용기(110)에서 발생되는 거품의 높이를 직접적으로 감지하거나, 조리용기(110)의 내부로 관통되지 않고 조리용기(110)에서 발생되는 거품의 높이를 간접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반면, 제1 접속 및 체결부(150)에 연결된 온도감지센서(420)가 손잡이부(300)의 하부에서 조리용기(110)의 하측 내부 또는 밑면에 일정 길이 관통되도록 설치되어 조리용기(110)의 내부 온도를 직접적으로 감지하거나, 조리용기(110)의 내부를 관통하지 않고 조리용기(110)의 내부 온도를 간접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3, the foam detection sensor 410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and fastening part 150 is inserted into the predetermined upper side of the cooking container 110 from the upper part of the handle 300 through a predetermined length The height of the bubbles generated in the cooking vessel 110 can be directly sensed or the height of the bubbles generated in the cooking vessel 110 can be indirectly sensed without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cooking vessel 110 The temperature sensing sensor 420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and fastening unit 150 i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cooking chamber 110 or on the underside of the cooking chamber 110, It is possible to directly detect the internal temperature or to indirectly detec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oking container 110 without penetrating the inside of the cooking container 110.

한편, 상부 공간부(322)의 내부에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용기(110)의 개방된 상부에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결합되는 용기덮개(130)의 결합상태를 감지하여, 감지결과에 따라 조리용기(110)로 전원을 인가 또는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스위치 모듈이 착탈방식으로 설치되는 삽입구조가 형성될 수 있는데, 스위치 모듈은 마이크로 스위치(350) 또는 마그네틱 스위치 중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5C, in the upper space 322, an engagement state of the container lid 130 coupled to the opened upper portion of the cooking container 110 by the user's operation is sensed, The switch module may be formed of a micro switch 350 or a magnetic switch. The micro switch 350 may be a micro switch or a magnetic switch.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상기 삽입구조는 상부 공간부(322)에 마주하는 베이스판(310)의 상부면에,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 스위치 모듈(350)의 설치위치를 잡아주기 위한 제1 삽입공(316)과, 마이크로 스위치 모듈(350)을 고정하기 위해 일정 길이 돌출 형성된 제4 및 제5 볼팅홀(317a,317b)이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작업자가 끼움돌기(352)를 제1 삽입공(316)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나사를 마이크로 스위치 모듈(350)에 형성된 관통홀(미도시)에 삽입하여 제4 및 제5 볼팅홀(317a,317b)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마이크로 스위치 모듈(350)을 상부 공간부(322)에 고정시킬 수 있다.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ertion structure is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310 facing the upper space portion 322, as shown in FIG. 5A, by mounting the micro switch module 350 And the fourth and fifth bolting holes 317a and 317b protruding from the first insertion hole 316 for fixing the micro switch module 350 can be formed and the operator can insert the fitting protrusion 352 The screw is inserted into a through hole (not shown) formed in the micro switch module 350 and fixed to the fourth and fifth bolting holes 317a and 317b in a state where the screw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hole 316 The micro switch module 350 can be fixed to the upper space portion 322.

또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공간부(322)가 형성된 손잡이판(320)의 상부에는 삽입 고정되는 마이크로 스위치 모듈(350)에 접속되는 스위치 레버(135)가 삽입 접속되기 위한 제1 접속공(321)과, 스위치 레버(135)의 접속 여부를 감지하는 접속 감지스위치(351)가 외측방향으로 돌출 설치되기 위한 제1 설치공(323)이 각각 형성된다.5C, a switch lever 135 connected to the micro switch module 350 to be inserted and fixed is insert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handle plate 320 on which the upper space portion 322 is formed, A connection hole 321 and a first installation hole 323 for protruding the connection detection switch 351 for sensing whether or not the switch lever 135 is connected to the outside are formed respectively.

이에 따라 사용자가 덮개부(130)를 조리용기(110)의 상단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핸들(136)을 손잡이부(300)의 상부 방향으로 수평 회전시키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36)의 일측면에 형성된 스위치 레버(135)가 손잡이부(300)의 일측 상단부에 형성된 스위치 홈(321)에 삽입되며, 이때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스프링(353)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접속감지바(351)가 마이크로 스위치 모듈(350)의 내부로 이동함으로써 스위칭 접점이 이루어져, 결국 제어회로(270)는 덮개부(130)가 조리용기(110)에 정상적으로 안전하게 체결된 상태로 인식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When the user rotates the handle 136 horizontally in the upward direction of the handle 300 with the lid 130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cooking container 110, The switch lever 135 formed on one side of the handle 136 is inserted into the switch groove 321 formed at one upper end of the handle 300. At this time, The switching contact is made by moving the connection sensing bar 351 elastically supported inside the micro switch module 350 so that the control circuit 270 allows the cover 130 to be normally and securely fastened to the cooking container 110 So that the power can be supplied.

한편, 핸들(136)이 형성된 덮개(131)의 반대측 외주면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가 ㄷ자, >자 형상의 걸림홈(133a)이 형성된 체결홈(133)이 형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덮개부(130)에 형성된 가위벌림 형상의 홈에 체결돌기(111)가 수평방향으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덮개부(130)를 조리용기(110)의 상단부에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posite side of the lid 131 on which the handle 136 is formed, as shown in Fig. 7, there is formed a fastening groove 133 having a U-shaped hooking groove 133a, The lid part 130 can be firmly fastened to the upper end of the cooking container 110 in such a manner that the fastening protrusion 111 is inserted horizontally into the groove of the scissors opening formed in the lid part 130. [

이때, 덮개부(130)의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구(132)의 내측면에는 일정 폭을 갖는 한 쌍의 수직 결합홈(134)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캡(140)을 결합할 때 캡(140)의 하단 외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결합돌기(144)를 한 쌍의 수직 결합홈(134)에 수직방향으로 끼운 후 임의의 수평방향으로 회전시켜 조리시 캡(140)이 수직방향으로 빠지지 않게 사용할 수 있다. At this time, a pair of vertical coupling grooves 134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132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id part 130. When the user joins the cap 140, A pair of engaging projections 144 formed on the lower end outer side of the main body 140 are vertically inserted into the pair of vertical engaging grooves 134 and then rotated in an arbitrary horizontal direction so as to prevent the cap 140 from fall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used.

또한, 제1 및 제2 접속 및 체결부(150,2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용기부(100)를 체결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암수체결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으로서, 제1 접속 및 체결부(150) 또는 제2 접속 및 체결부(250)는 용기부(100)의 하부 내측면 또는 본체부(200)의 상부 내측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둘 중의 하나가 접속 플러그이면, 나머지 다른 하나는 플러그 소켓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2,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and fastening portions 150 and 25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male and female engaging method when the user rotates the container portion 100 in the fastening direction, And the coupling part 150 or the second connection and fastening part 250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lower inner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part 100 or the upper inner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200. If one of them is a connection plug, And the other one is formed of a plug socke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서는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속 및 체결부(150)를 접속 플러그로 구현하였으며, 이와 같은 접속 플러그는, 플러그 소켓(250)과 접속하기 위해 마주하는 제1 접속면으로부터 일정 깊이 형성된 소켓 체결홈의 단면에서 제2 접속면까지 다수개의 접속핀(151)이 각각 연장형성되며, 소켓 체결홈의 상단면 및 일측면에는 다수개의 접속핀의 길이까지 소켓체결 커버(153)가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8A to 8C, the first connection and fastening part 150 is implemented as a connection plug, and such a connection plug is used to connect the plug socket 250 A plurality of connecting pins 151 are extended from the end surface of the socket connecting groove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facing first connecting surface to the second connecting surface, It is preferable that the socket fastening cover 153 is extended.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체부(200)는, 조리용기(110)의 하부에 위치하는 원통형 형상의 하우징(210)과, 하우징(210)의 상단부에 일정 깊이로 상단부가 개방된 상부공간부(221)가 형성되며, 결합 베이스(220)의 외주면에 제1 및 제2 체결용 돌기(123,124)가 삽입 및 체결이 가능하도록 제1 및 제2 체결용 홈(223,224)가 형성되며, 상단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일정길이 및 일정 두께로 연장 형성된 환형의 결합 베이스(upper base)(220)와, 하우징(210)의 일측 외주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조리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패널(230)과, 하우징(210)의 상부공간부(211)의 밑면과 결합 베이스(220)의 일측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제2 접속 및 체결부(250)와, 전선코드(280)를 통해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전장소자에 맞도록 전압 레벨을 조정한 교류와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제어회로부(270)와, 결합 베이스(220)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상부 커플링(190)에 체결되어 동력발생기(260)에서 발생되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하부 커플링(290)으로 구성된다. The main body 200 shown in FIGS. 1 and 2 includes a cylindrical housing 210 position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ooking vessel 110 and a cylindrical body 210 having an upper end opened to a predetermined depth at an upper end of the housing 210 First and second fastening grooves 223 and 224 are formed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rotrusions 123 and 124 can be inserted and fasten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stening base 220, An upper base 220 formed in an annular shape and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to the upper en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predetermined thickness, a control panel 230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side of the housing 210, A second connection and fastening part 250 integrally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upper hollow 211 of the housing 210 and one side of the coupling base 220 and a second connection and fastening part 250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A control circuit unit 270 for supplying AC power and DC power having a voltage level adjusted to the device, , It is composed of a lower coupling 290 which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engaging base 220 is fastened to the upper coupling 190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power generator 260.

여기서,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제어회로(270)에서 제공되는 교류전원으로 구동되는 모터와 같은 동력발생기(260)가 설치되며, 동력발생기(260)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된 축(미도시)의 끝단부에는 하부 커플링(290)이 고정 설치된다. A power generator 260 such as a motor driven by an AC power supply provided in the control circuit 270 is installed in the housing 210 and a power generator 260 is connected to the power generator 260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lower coupling 290 is fixed to the end por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서는, 본체부(200)의 내부에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기(260)가 구비되고, 사용자가 용기부(100)를 본체부(200)에 체결하기 위하여 용기부(100)를 일측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체결방향은, 동력발생기(260)의 회전방향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설정하여 동력발생기(260)의 회전시 용기부(100)와 본체부(200)의 체결을 더욱 강하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wer generator 260 for generating power is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200. In order to engage the container 100 with the main body 200, 100 is set to be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power generator 260 so that the coupling of the container unit 100 and the main body unit 200 can be further performed when the power generator 260 is rotated It is desirable to set it strongly.

또한, 환형의 결합 베이스(2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200)의 상단 외주면에서 일정 깊이의 단턱(213)이 형성되면서 상부방향으로 일정 두께 및 일정 길이 연장형성되는 것으로서, 용기부(100)의 용기 베이스(120)의 내경은 결합 베이스(220)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용기부(100)의 하단부를 본체부(200)의 상단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체결시킬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annular coupling base 220 has a predetermined depth 213 formed in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main body 200, The inner diameter of the container base 120 of the container unit 100 is formed to be relatively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coupling base 220 so that the user can attach and detach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unit 100 to the upper end of the body unit 200 .

또한, 본체부(200)의 결합 베이스(220)의 상단 외주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형상의 제1 및 제2 체결용 홈(223,224)이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200)의 결합 베이스(220)의 상단 외주면에 소정 형상의 제3 및 제4 체결용 돌기(225,226)가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2,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grooves 223 and 224 of a predetermined shape are preferably formed on the upp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upling base 220 of the main body 200, 11, the third and fourth fastening protrusions 225 and 226 of a predetermined shape a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coupling base 220 of the main body 200, respectively, It is also possible.

또한, 제1 내지 제2 체결용 홈(223,224)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체결용 돌기(123,124)가 일정 깊이까지 끼워진 상태에서 체결거리까지 일측 수평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ㄴ자 형상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9,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grooves 223 and 224 can be rotated in on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fastening distance in a state where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rotrusions 123 and 124 are fitted to a certain depth,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formed in the form of a letter.

또한, 제1 및 제2 체결용 홈(223,224)이 제1 및 제2 체결용 돌기(123,124)에 일정 깊이로 끼워진 상태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속 및 체결부(150) 및 제2 접속 및 체결부(250)의 이격거리는 사용자가 용기부(100)를 체결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이동거리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8, in a state where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grooves 223 and 224 are fitted to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rotrusions 123 and 124 to a predetermined depth, the first connection and fastening portions 150, And the second connection and fastening part 250 may be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movement distance by which the user rotates the container part 100 in the fastening direction.

또한, 제1 및 제2 접속 및 체결부(150,250)는 사용자가 용기부(100)를 체결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암수체결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으로서, 제1 접속 및 체결부(150) 또는 제2 접속 및 체결부(250)는 용기부(100)의 하부 내측면 또는 본체부(200)의 상부 내측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둘 중의 하나가 접속 플러그이면, 나머지 다른 하나는 플러그 소켓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user rotates the container unit 100 in the fastening directio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and fastening units 150 and 250 are electrically connected by the male and female fastening systems.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and fastening units 150 and 150, 2 connection and fastening part 250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lower inner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part 100 or the upper inner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200. If one of them is a connection plug and the other one is formed of a plug socket .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접속 및 체결부(250)는 플러그 소켓으로 구현하였으며, 이와 같은 플러그 소켓은, 접속 플러그(150)과 마주하는 제2 접속면으로부터 다수개의 접속핀(151)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일정 깊이로 다수개의 접속홈(253)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 플러그(150)과 플러그 소켓(250)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동시에 플러그 소켓(250)은 접속 플러그의 소켓체결 커버(153)와 소켓 체결홈(251)으로 이루어지는 내부공간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되어 2차 체결을 수행할 수 있다.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8, the second connection and fastening part 250 is implemented as a plug socket, and such a plug socket is formed from a second connection surface facing the connection plug 150 A plurality of connection grooves 253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ins 151. The connection plug 150 and the plug socket 250 may be formed as shown in FIG. The plug socket 250 can be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socket fastening cover 153 of the connection plug and the socket fastening groove 25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perform secondary fastening.

또한, 제1 및 제2 접속 및 체결부(150,250)에 마주하는 위치에 용기부(100)의 하단부와 본체부(200)의 상단부에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수체결방식의 한 쌍의 제3 및 제4 접속 및 체결부(150a,250a)가 각각 더 형성될 수 있다. 11, at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unit 100 and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200 at the positions facing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and fastening parts 150 and 250, a pair of male and female fastening systems Third and fourth connection and fastening portions 150a and 250a, respectively.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서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제1 및 제2 접속 및 체결부(150,25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1 및 제2 접속 및 체결부(150,250)에 교류와 직류전원이 동시에 공급되도록 배치하지만, 소비자들이 가능한 강력한 회전력을 갖는 동력발생기(260)를 요구하는 경우, 교류과 직류의 주파수 간섭이나 이로인한 제어패널(230)의 오동작을 줄이기 위하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200)에서 공급되는 직류전원은 용기부(100)의 일측에 설치된 손잡이부(130)에 근접하게 설치된 제1 및 제2 접속 및 체결부(150,250)로 제공되고, 교류전원은 손잡이부(130)에서 멀어지도록 설치된 제3 및 제4 접속 및 체결부(150a,250a)로 공급되도록 교류와 직류를 분리하여 제공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and 2, when on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and fastening portions 150 and 250 are use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and fastening portions 150 and 250, In order to reduce the frequency interference between AC and DC and the malfunction of the control panel 230 caused by the power generator 260 having a strong rotational force as much as possible, The direct current power supplied from the main body 200 is su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and fastening parts 150 and 250 provided close to the handle 130 provided at one side of the container part 100 And the AC power source is provided to be separated and supplied from the AC and DC so as to be supplied to the third and fourth connection and fastening parts 150a and 250a provided to be away from the handle 130. [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외부체결형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 구조를 구비한 조리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 구조를 구비한 조리기기에서 이중구조의 조리용기를 보인 도면이다.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oking apparatus having a fixed handle structure for an external fastening typ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and FIG. 14 are views showing a dual structure cooking vessel in a cooking apparatus having a fixed handle structure for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용기부(100)는, 내부가 비도록 형성된 소정 형상의 조리용기(110)와, 조리용기(110)의 하단 외주면에 일정 높이로 결합되며, 내부에 밀폐된 하부 공간부(121)를 형성하는 용기 베이스(bowl base)(120)와, 조리용기(110)의 일측에 고정되는 손잡이부(130)로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12, the container unit 100 includes a cooking container 110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formed inside the cooking cavity 110, a lower space portion 130 coupled to the lower end peripheral surface of the cooking container 110 at a predetermined height, A bowl base 120 for forming a bowl 121 and a handle 130 fixed to one side of the cooking vessel 110.

여기서, 제1 및 제2 접속 및 결합부(150a,150b)는 조리용기(110)를 중심으로 용기 베이스(120)의 하측 외주부에 서로 대칭되도록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되, 제1 및 제2 접속 및 결합부(150a,150b)는, 용기 베이스(120)의 하측 외주부에 서로 대칭되도록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용기 베이스(120)의 외주면의 임의의 위치(P1,P2)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형상을 갖는 일정 높이의 제1 및 제2 수직 결합홈(153,154)이 각각 형성된 플러그 하우징(151,152)과, 플러그 하우징(151,152)의 수직 결합홈(153,154)에 수직방향으로 제1 및 제2 접속핀(157,158)이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접속 플러그(155,156)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제1 접속 및 체결부(150a)가 용기 베이스(120)의 하측 외주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제2 접속 및 체결부(250a)가 하우징(210)의 상단면을 수직방향으로 초과하지 않으면서 수평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하우징(210)의 외측면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소정 형상의 제1 및 제2 지지돌기부(240a,240b)의 상단면에 수직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특징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and coupling portions 150a and 150b are preferably integrally formed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lower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container base 120 about the cooking container 110, The connection and engagement portions 150a and 150b are integrally formed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on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container base 120 and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iner base 120, A plug housing 151 and 152 formed with first and second vertical coupling grooves 153 and 154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having a symmetrical shape and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ortions 153 and 154 perpendicularly connected to the vertical coupling grooves 153 and 154 of the plug housings 151 and 152, And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lugs 155 and 156 formed with pins 157 and 158, respectively.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nection and fastening portion 150a is integrally formed on the lower outer periphery of the container base 120, and the second connection and fastening portion 250a is formed on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housing 210 240b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210 so as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210.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rotrusions 240a, 1 to 11 except for the features that are respectively extend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도 13을 참조하면, 조리용기(110)이 외부 조리용기(110a) 및 외부 조리용기(110a)의 내부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내부 조리용기(110b)로 이루어지며, 내부 조리용기(110b)의 상단부는 외측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후 다시 내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억지끼움홈을 형성하기 위한 절곡단(112)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외부 조리용기(110b)를 내부 조리용기(110a)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외부 조리용기(110b)의 밑면에 충격을 주면 외부 조리용기(110a) 가 내부 조리용기(110b)의 억지끼움홈에 강제적으로 끼워지는 방식으로 서로 조립된다. 13, the cooking vessel 110 includes an outer cooking vessel 110a and an inner cooking vessel 110b detach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outer cooking vessel 110a. The inner cooking vessel 110b Is bent to be inwardly bent to form a bent end 112 to form an interference fit groove. Accordingly, if an operator applies an impa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cooking vessel 110b with the outer cooking vessel 110b positioned in the inner cooking vessel 110a, the outer cooking vessel 110a can be prevented from being forced into the inner cooking vessel 110b They are assembled together in such a way that they are forced into the grooves.

이때, 작업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품감지센서(410)를 조리용기(110)의 미리 설정된 상부 임계위치(P1)라면 손잡이부(300)를 포함한 어떤 위치에 설치하든 무관할 뿐만 아니라 온도감지센서(420) 또한 조리용기(110)의 미리 설정된 하부 임계위치(P2)라면 손잡이부(300)를 포함한 어떤 위치에 설치하든 무관하며, 각각의 센서(410, 420)를 연결하는 전선은 외부 조리용기(110a)와 내부 조리용기(110b) 사이에 형성된 내부공간을 통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14, the operator is not limited in any position including the handle 300 if the foam detection sensor 410 is in the preset upper critical position P1 of the cooking container 110 The temperature sensing sensor 420 is also independent of any position including the handle 300 if the preset lower critical position P2 of the cooking container 110 is set and the wires connecting the sensors 410 and 420 And is disposed through an inner space formed between the outer cooking vessel 110a and the inner cooking vessel 110b.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따른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조리기기에 따르면, 용기부(100)의 손잡이부(300)를 들어서 미리 설정된 기준위치에 놓이도록 본체부(200)의 용기 베이스(220)의 상부에 올려 놓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용기부(100)를 동력발생기(260)의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일정 구간을 수평 회전시키면, 용기부(100)와 본체부(200)가 제1 및 제2 체결용 돌기(123,124)가 ㄴ자 형상의 제1 및 제2 체결용 홈(223,224)에 일정 길이로 수평방향으로 끼워져 결국, 용기부(100)와 본체부(200)가 체결될 수 있는 동시에 용기부(100)의 접속 플러그(150)와 본체부(200)의 플러그 소켓(250)이 암수체결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동시에 플러그 소켓(250)이 접속 플러그의 소켓체결 커버(153)와 소켓 체결홈(251)으로 이루어지는 내부공간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되어 결국 용기부(100)와 본체부(200)가 상하 구조를 이루도록 체결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xed handle structure for cooking utensil and the cook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hen the handle portion 300 of the container portion 100 is lifted and the main body portion 200 is placed i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position, When the user rotates the container unit 100 horizontally for a predetermined perio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power generator 260 while the container unit 100 is placed on the container base 220 of the container unit 100,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rotrusions 123 and 124 are horizontally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grooves 223 and 224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container portion 100 and the body portion 20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connection plug 150 of the container unit 100 and the plug socket 250 of the main body 20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male and female engaging method while the plug socket 250 is connected to the socket of the connection plug The cover 153 and the socket fastening groove 251 Is inser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in the space may eventually storage portion 100 and body portion 200 may be fastened to achieve a vertical structure.

또한, 사용자가 제어패널(230)을 조작하여 원하는 조리를 수행하는 경우, 본체부(200)에서 제1 접속 및 체결부(150)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이 손잡이판(320)와 손잡이 커버(330)의 조립으로 이루어지는 손잡이판(320)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2 열분산공간부(338)을 따라 배치된 전선(353)을 따라 거품감지센서(410) 및 온도감지센서(420)에 각각 공급될 수 있다. When the user operates the control panel 230 to perform a desired cooking operation, power supplied from the main body 200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and connection unit 150 is transmitted to the handle plate 320 and the handle cover 330 The bubble detection sensor 410 and the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420 are disposed along the electric wire 353 disposed along the second heat distribution hollow portion 338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side the handle plate 320 formed by assembling the bubble detection sensor 410 and the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420 Can be suppli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용기부 110 : 조리용기
111 : 체결돌기 113 : 수직주름
115 : 제1 고정용 브라켓 116 : 제2 고정용 브라켓
118 : 관통공 120 : 용기 베이스
121 : 하부 공간부 123~126 : 체결용 돌기
127 : 결합홈 129 : 결합돌기
130 : 덮개부 132 : 관통구
134 : 수직 결합홈 135 : 마이크로 스위치
140 : 캡 144 : 결합돌기
150 : 접속 플러그 151 : 접속핀
160 : 칼날 170 : 히터
182 : 거품감지센서 184 : 온도감지센서
190 : 상부 커플링 200 : 본체부
210 : 하우징 211 : 상부 공간부
213 : 단턱 220 : 결합 베이스
223~226 : 체결용 홈 230 : 제어패널
280 : 전선코드 250 : 플러그 소켓
251 : 소켓홈 260 : 동력발생장치
270 : 제어회로부 290 : 하부 커플링
310 : 베이스판 310a : 상부면
310b : 하부면 311,312, 313,340 : 관통공
314a,314b : 절곡단 315a,315b,315c,317a,317b : 볼팅홀
316 : 삽입공 320 : 손잡이판
320a : 내측면 320b : 외측면
321 : 접속공 322 : 상부 공간부
324 : 설치공 330 : 손잡이 커버
331 : 외측면 332 : 하부 공간부
333,343 : 절곡단 334 : 단차
335 : 끼움홈 336,338 : 제1 및 제2 열분산공간부
337 : 보강리브 339 : 끼움홈
345 : 끼움돌기 350 : 마이크로 스위치 모듈
351 : 접속 감지바 352 : 끼움돌기
353 : 전선 410 : 거품감지용 센서 420 : 온도감지센서
100: container part 110: cooking container
111: fastening protrusion 113: vertical crease
115: first fixing bracket 116: second fixing bracket
118: Through hole 120: Container base
121: lower space part 123 to 126: fastening projection
127: engaging groove 129: engaging projection
130: lid part 132: through hole
134: vertical coupling groove 135: micro switch
140: cap 144: engaging projection
150: connection plug 151: connection pin
160: blade 170: heater
182: Foam detection sensor 184: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190: upper coupling 200:
210: housing 211: upper space portion
213: Step 220: Coupling base
223 to 226: fastening groove 230: control panel
280: Wire cord 250: Plug socket
251: socket groove 260: power generating device
270: control circuit portion 290: lower coupling
310: base plate 310a: upper surface
310b: lower surface 311, 312, 313, 340:
314a, 314b: folded ends 315a, 315b, 315c, 317a, 317b: bolting holes
316: insertion hole 320: handle plate
320a: inner side 320b: outer side
321: connection hole 322: upper space portion
324: mounting hole 330: handle cover
331: outer side surface 332: lower space portion
333,343: Folding step 334: Step
335: fitting grooves 336, 338: first and second thermal splitting portions
337: reinforcing rib 339: fitting groove
345: insertion protrusion 350: microswitch module
351: connection detection bar 352: insertion projection
353: wire 410: bubble detection sensor 420: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Claims (10)

종방향으로 일자형상이며 횡방향으로 볼록한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을 따라 직각방향으로 절곡된 제1 절곡단(314a,314b)이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된 베이스판(310)과;
사용자의 손이 들어가기 위한 소정 형상의 관통홀(330)이 형성되도록, 상기 베이스판(310)의 일정 크기의 상부면(310a)에서부터 상부방향으로 일체형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어 상부 공간부(322)를 형성한 후, 하측방향으로 일정 길이 절곡 및 연장 형성된 후, 상기 베이스판(310)의 일정 크기의 하부면(310b)에 일체형으로 고정 형성되며, 내측면에는 다수의 강화 리브(337)가 일체형으로 횡방향이나 종방향 또는 사선방향으로 형성되고, 외측 수직방향으로 개방된 수직 공간이 형성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손잡이판(320)과;
상기 손잡이판(320)의 개방된 외측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손잡이 커버(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판(310)이 조리용기(110)의 외측면에 고정될 때, 상기 조리용기(110)의 외측면과 상기 베이스판(310) 내측면 사이에는 일정 크기의 제1 열분산공간부(336)이 형성되어, 상기 조리용기(110)의 가열시 발생하는 열의 전달을 감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용 고정식손잡이 구조.
A base plate 310 formed in a longitudinally elongated, roundly convex shape and having first bent ends 314a and 314b ben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plate 310;
The upper space portion 322 is formed by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integrally from the upper surface 310a of the base plate 310 in the upward direction so as to form a through hole 330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for the user's hand to enter, And a plurality of reinforcing ribs 337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plate 310. The reinforcing ribs 337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lower surface 310b of the base plate 310, A grip plate 320 formed in a shape such that it is formed in a transverse direction, a longitudinal direction, or a diagonal direction, and a vertical space opened in an outer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And a handle cover (330) detachably coupled to an open outer surface of the handle plate (320);
When the base plate 310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oking vessel 110, a first thermal split hole 336 having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cooking vessel 1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plate 310 ) Is formed to damp the transmission of heat generated when heating the cooking vessel (1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기(110)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상기 베이스판(310)의 절곡단(314a,314b)의 형상은, 라운드 형상의 상기 조리용기(110)의 외측면에 최소면적이 접하면서 고정되도록 외측 끝단면에서 내측 끝단면으로 향할 수록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완만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hape of the bent ends 314a and 314b of the base plate 310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oking vessel 110 is such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round cooking vessel 110 is fixed to the outside Wherein the length of the fixed handle is formed to be gradually shorter from the end face to the inner end face so as to have a gentle slo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310)을 상기 조리용기(110)의 외주면의 형상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밀착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고정용 브라켓(115) 또는/및 제2 고정용 브라켓(116)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판(310)의 상부면(310a)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볼팅홀(315a) 또는/및 제2 볼팅홀(315b)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판(310)의 하부면(310b)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볼팅홀(315c)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or more first fixing brackets 115 and / or second fixing brackets 116 for fixing the base plate 310 in a vertical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oking container 110 are fixed At least one first bolting hole 315a and / or a second bolting hole 315b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310a of the base plate 310, And at least one third bolt hole (315c) is formed in the first fixing hole (310b).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판(320)의 외측면에는 외측방향으로 일정 길이의 제2 절곡단(333)이 단차(334)를 갖으면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2 절곡단(333)의 외측면에는 다수개의 끼움홈(335)이 일정 간격으로 함몰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 커버(330)의 외측방향으로 일정 길이의 제3 절곡단(343)이 형성되며, 상기 제3 절곡단(343)의 내측면에는 상기 다수개의 끼움홈(335)과 착탈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끼움돌기(345)가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손잡이 커버(330)가 상기 손잡이판(320)의 외측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econd bent end 333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outward direction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andle plate 320 while having a step 334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ent end 333 has a plurality of Grooves 335 are recessed at regular intervals;
A third bent end 343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handle cover 330 is formed and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third bent end 343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e fitting protrusions 345 are protruded at regular intervals;
Wherein the handle cover (330) is detachably coup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handle plate (320) by an operation of the u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310)의 상부면에는 상기 조리용기(11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거품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410)가 관통 설치되기 위한 제4 및 제5 관통공(311,312)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ourth and fifth through holes 311 and 312 are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310 so that a sensor 410 for detecting bubbles generated in the cooking vessel 110 is inserted Features a fixed handle structure for cooking utensi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판(320)의 내측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각각의 강화 리브(337)의 외측면에는, 거품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4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한 쌍의 전선(353)이 상기 손잡이판(320)의 외주면에 상기 손잡이 커버(330)가 결합되면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2 열분산공간부(338)를 따라서 상기 조리용기(110)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전선 끼움홈(339)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용 고정식 손잡이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air of electric wires 353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or 410 for detecting foam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each reinforcing rib 337 integrally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andle plate 320, 320 are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oking container 110 along the second heat distribution hollow portion 338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the handle cover 330 is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oking container 110,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hand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공간부(322)의 내부에는 상기 조리용기(110)의 개방된 상부에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결합되는 용기덮개(130)의 결합상태를 감지하여,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조리용기(110)로 전원을 인가 또는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스위치 모듈이 착탈방식으로 설치되는 삽입구조가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 모듈은 마이크로 스위치(350) 또는 마그네틱 스위치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space portion 322 detects the engagement state of the container lid 130 coupled to the opened upper portion of the cooking container 110 by a user's operation, An insertion structure in which a switch module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to or from a power supply is installed in a detachable manner is formed;
Wherein the switch module is selected from a micro switch (350) or a magnetic switc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판(320)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2 열분산공간부(338)는 상측방향으로 상부 공간부(322)와 하측방향으로 하부 공간부(332)를 통하여 상기 제1 내부공간부(336)가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용 고정식손잡이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thermal splitting portion 338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handle plate 320 is connected to the first inner space portion 336 through the upper space portion 322 in the upward direction and the lower space portion 332 in the downward direction, Are formed so a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종방향으로 일자형상이며 횡방향으로 볼록한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며, 베이스판(310)의 외주면을 따라 직각방향으로 절곡된 제1 절곡단(314a,314b)이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며; 사용자의 손이 들어가기 위한 소정 형상의 관통홀(330)이 상기 베이스판(310)과 손잡이판(320) 사이에 형성되도록, 상기 베이스판(310)의 일정 크기의 상부면(310a)에서부터 상부방향으로 일체형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어 상부 공간부(322)를 형성한 후, 하측방향으로 일정 길이 절곡 및 연장 형성된 후, 상기 베이스판(310)의 일정 크기의 하부면(310b)에 일체형으로 고정 형성되며, 내측면에 다수의 강화 리브(337)가 일체형으로 횡방향이나 종방향 또는 사선방향으로 형성되고, 외측 수직방향으로 개방된 수직 공간이 형성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손잡이 커버(330)가 상기 손잡이판(320)의 개방된 외측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판(310)이 조리용기(110)의 외측면에 고정될 때, 상기 조리용기(110)의 외측면과 상기 베이스판(310) 내측면 사이에는 일정 크기의 제1 열분산공간부(336)이 형성되어, 상기 조리용기(110)의 가열시 발생하는 열의 전달을 감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용 고정식손잡이 구조.
First folded ends 314a and 314b are formed to exte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se plate 310 by a predetermined length; A through hole 330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for allowing a user's hand to enter is formed between the base plate 310 and the handle plate 320. The through hole 330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310a of the base plate 310, The upper space portion 322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lower surface 310b of the base plate 310 so as to be integrally formed on the lower surface 310b of the base plate 310, A plurality of reinforcing ribs 337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in an integrated manner in a transverse direction, a longitudinal direction, or a diagonal direction, and a vertical space opened in an outer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The handle cover 33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open outer surface of the handle plate 320;
When the base plate 310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oking vessel 110, a first thermal split hole 336 having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cooking vessel 1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plate 310 ) Is formed to damp the transmission of heat generated when heating the cooking vessel (110).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리재료가 투입되어 미리 설정된 조리방식으로 조리되는 용기부(100)와; 사용자에 의해 상기 용기부(100)의 하단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내부에 구비된 동력발생기(260)에서 발생되는 구동력을 상기 용기부(100)로 제공하거나,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전압을 상기 용기부(100)로 공급하는 본체부(200); 그리고 상기 용기부(110)의 임의의 외측면의 형상을 따라 밀착되도록 고정되는 손잡이부(300)로 구성되는 조리기기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300)는,
종방향으로 일자형상이며 횡방향으로 볼록한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을 따라 직각방향으로 절곡된 제1 절곡단(314a,314b)이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된 베이스판(310)과;
사용자의 손이 들어가기 위한 소정 형상의 관통홀(330)이 형성되도록, 상기 베이스판(310)의 일정 크기의 상부면(310a)에서부터 상부방향으로 일체형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어 상부 공간부(322)를 형성한 후, 하측방향으로 일정 길이 절곡 및 연장 형성된 후, 상기 베이스판(310)의 일정 크기의 하부면(310b)에 일체형으로 고정 형성되며, 내측면에는 다수의 강화 리브(337)가 일체형으로 횡방향이나 종방향 또는 사선방향으로 형성되고, 외측 수직방향으로 개방된 수직 공간이 형성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손잡이판(320)과;
상기 손잡이판(320)의 개방된 외측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손잡이 커버(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판(310)이 조리용기(110)의 외측면에 고정될 때, 상기 조리용기(110)의 외측면과 상기 베이스판(310) 내측면 사이에는 일정 크기의 제1 열분산공간부(336)이 형성되어, 상기 조리용기(110)의 가열시 발생하는 열의 전달을 감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기기.
A container unit 100 in which at least one cooking material is introduced and cooked in a preset cooking mode; The container 100 may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100 by a user and may be provided with a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power generator 260 provided in the container 100, A main body 200 for supplying the liquid to the unit 100; And a handle (300) fix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a shape of an arbitrary outer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unit (110), the cooking apparatus comprising:
The handle 300 includes:
A base plate 310 formed in a longitudinally elongated, roundly convex shape and having first bent ends 314a and 314b ben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plate 310;
The upper space portion 322 is formed by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integrally from the upper surface 310a of the base plate 310 in the upward direction so as to form a through hole 330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for the user's hand to enter, And a plurality of reinforcing ribs 337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plate 310. The reinforcing ribs 337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lower surface 310b of the base plate 310, A grip plate 320 formed in a shape such that it is formed in a transverse direction, a longitudinal direction, or a diagonal direction, and a vertical space opened in an outer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And a handle cover (330) detachably coupled to an open outer surface of the handle plate (320);
When the base plate 310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oking vessel 110, a first thermal split hole 336 having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cooking vessel 1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plate 310 ) Is formed to attenuate the transfer of heat generated upon heating of the cooking container (110).
KR1020170064569A 2016-05-27 2017-05-25 Fixing Type Handle for cooking vessel and cooking vessel with thereof KR20170134244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MYPI2018700640A MY190903A (en) 2016-05-27 2017-05-29 Cooking instrument having glass cooking bowl and grip structure of the same
PCT/KR2017/005588 WO2017204608A1 (en) 2016-05-27 2017-05-29 Fixed handle structure for cooking device and cooking device hav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65155 2016-05-27
KR1020160065155 2016-05-27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4552A Division KR102112582B1 (en) 2019-07-12 2019-07-12 Fixing Type Handle for cooking vessel and cooking vessel with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4244A true KR20170134244A (en) 2017-12-06

Family

ID=60922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4569A KR20170134244A (en) 2016-05-27 2017-05-25 Fixing Type Handle for cooking vessel and cooking vessel with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424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9813B1 (en) Cooking device having glass container
KR101826760B1 (en) Handle structure of a cooker having a glass cooking vessel
KR20190086424A (en) Fixing Type Handle for cooking vessel and cooking vessel with thereof
KR100770641B1 (en) A device for cooking in indirect heating
US20210015303A1 (en) Heat management for food processor
US20210137315A1 (en) Handling of food processor
EP3298935A1 (en) Stirring and grinding-type automatic cooking apparatus
EP3773092B1 (en) Controlled positioning in food processor
JP2017119070A (en) Food Processor
KR101833279B1 (en) Internal tightening and contact Cookware
KR20170134244A (en) Fixing Type Handle for cooking vessel and cooking vessel with thereof
KR20170140047A (en) Cooking device having glass container
JP6765091B2 (en) Food processor
KR100742609B1 (en) An Apparatus for Making Food with a Separable Screen-cover
KR101157337B1 (en) Automatic Cooker Having Improved Sanitation Property
KR200431125Y1 (en) A Device for Cooking in Indirect Heating
WO2017204608A1 (en) Fixed handle structure for cooking device and cooking device having same
KR102313144B1 (en) Portable cooking device
KR102351746B1 (en) Portable cooking device
CN210124596U (en) Cooking utensil
KR100924541B1 (en) Device for Cooking in Indirect Heating With Function of Anti-scorch
KR100867713B1 (en) Device for cooking in indirect heating with function of anti-scorch
CN211632756U (en) Cooking utensil
CN213044968U (en) Flour fermentation subassembly and cooking machine
CN211582642U (en) Cooking utens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