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3144B1 - Portable cooking device - Google Patents

Portable cook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3144B1
KR102313144B1 KR1020200098374A KR20200098374A KR102313144B1 KR 102313144 B1 KR102313144 B1 KR 102313144B1 KR 1020200098374 A KR1020200098374 A KR 1020200098374A KR 20200098374 A KR20200098374 A KR 20200098374A KR 102313144 B1 KR102313144 B1 KR 102313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oking
fastening
mark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83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대진
Original Assignee
김대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진 filed Critical 김대진
Priority to KR1020200098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314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3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31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27Mixing bow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483Warming devices with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22Mixing, whipping or cut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5Safety devices
    • A47J43/0761Safety device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66Safety device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activated by the proper positioning of the mixing bow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A47J43/085Driving mechanism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202/00Devices having temperature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coo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check the state of lid-container fastening, the state of container-main body fastening, the state of intra-container cooking, and the state of intra-container temperature simply by viewing from the front and even without product rotation or any change in view. The portable cooking device includes: a tubular container (100) having open upper and lower inlets and having a first fastening mark (120a) at a first position preset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a lid (200) removably fasten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100); and a main body (300) having an open upper end portion, having an installation space inside, having a second fastening mark (320) at a second position preset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end, and removably fasten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100). In the case of normal coupling between the container (100) and the main body (300), the first fastening mark (120a) and the second fastening mark (320) are arranged in a row so as to match vertically.

Description

휴대용 조리기기 {Portable cooking device}Portable cooking device {Portable cooking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완성된 조리 물을 갖고 다니면서 필요시 마시거나 떠먹을 수 있고, 조리 재료를 넣은 상태로 휴대하고 다니면서 필요시 즉석에서 조리하여 마시거나 떠먹을 수 있는 휴대용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cooking appliance,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drink or scoop out when necessary while carrying finished cooking water, and to cook and drink or scoop on the spot when necessary while carrying cooking ingredients in it. It relates to portable cooking equipment.

최근 들어 건강에 대한 관심이 많아짐에 따라 야채주스나 해독주스와 같은 건강을 위한 음식을 자동으로 조리하는 조리기기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In recent years, as interest in health has increased, many cooking appliances for automatically preparing healthy food such as vegetable juice or detoxification juice are being developed.

이러한 조리기기는 믹서기와 같이 조리재료를 단순히 분쇄하여 각종 즙이나 주스를 만드는 것에서부터 조리재료를 분쇄, 혼합, 가열을 선택적으로 수행하여 두유, 두부, 수프 또는 주스와 같은 다양한 음식물을 조리하기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형태의 제품으로 개발 및 시판되고 있다.These cooking devices range from simply pulverizing cooking ingredients to make various juices or juices like a blender, to selectively grinding, mixing, and heating cooking ingredients to cook various foods such as soy milk, tofu, soup or juice. It has been developed and marketed in a wide variety of products.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70641호 (2007.10.22) 에는 측면에 스크린이 형성된 분리통, 결합 접점을 가진 손잡이, 감지 센서, 발열량의 조절이 가능한 판형상의 히터, 모터와 제어 장치가 내장된 베이스 및 안전장치로 이루어진 간접 가열 방식의 조리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For exampl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770641 (2007.10.22) discloses a separator with a screen formed on the side, a handle with a coupling contact, a detection sensor, a plate-shaped heater capable of adjusting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a motor and a control device. An indirect heating type cooking device comprising a built-in base and a safety device is disclosed.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29813호 (2018.02.09) 에는 분쇄, 혼합, 가열기능을 갖는 유리조리용기를 구비한 식품가공기기는, 조리용기의 내부에 들어있는 조리재료를 고속으로 분쇄 또는 혼합할 수 있는 분쇄, 혼합, 가열기능을 갖는 유리조리용기를 구비한 식품가공기기가 기재되어 있다.In additio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829813 (2018.02.09) discloses that a food processing machine equipped with a glass cooking container having a grinding, mixing, and heating function grinds or grinds the cooking materials contained in the inside of the cooking container at high speed. A food processing machine equipped with a glass cooking container having a mixing, grinding, mixing, and heating function is disclosed.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이 전원이 공급되는 고정된 장소에서만 조리할 수 있었기에 조리된 음식을 바로 마시거나 먹거나 필요시 별도의 보관용기에 담아서 휴대할 수 있었기에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se prior arts can cook only in a fixed place where power is supplied, such as at home or in an office, the cooked food can be consumed or eaten immediately, or can be carried in a separate storage container when necessary.

첫째,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사용하기에는 그 부피와 무게가 부담될 뿐만 아니라 휴대를 하고 다닌다고 하더라도 본체부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접속된 용기부가 외부 충격을 받거나 수평이 맞지 않으면 쉽게 분리될 수 있어 이동시에는 별도의 케이스가 필요로 하였다(휴대성 문제). First, the volume and weight are burdensome for the user to carry and use, and even if the user carries and travels, the container part detachably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body part can be easily separated if it receives an external shock or is not level. of cases needed (portability problem).

둘째, 종래에는 사용자가 조리기기에서 조리가 완성된 음식을 외출 중에 마시거나 먹기 위해서는 별도의 텀블러나 보관통에 덜어낸 후 휴대하여 갖고 다니다가 마시거나 먹을 수 있었기에 조리가 완성된 음식을 옮기는 시간도 필요하고 조리기기를 세척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이 과정에서 텀블러나 보관통의 남아 있는 냄새나 세척상태에 따라 음식물에 안 좋은 영향을 끼칠 수도 있었다.(보관성 문제) Second, in the prior art, in order for a user to drink or eat food that has been cooked in a cooking appliance while going out, it is necessary to transfer the cooked food because it is possible to drink or eat it while taking it with it after taking it out in a separate tumbler or storage container. There was a hassle of cleaning the cooking equipment, and in this process, depending on the remaining smell or washing condition of the tumbler or storage container, it could have a bad effect on the food. (Storage problem)

셋째, 종래의 조리기기에는 조리재료를 분쇄하는 칼날이 조리용기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조리용기의 밑바닥을 세척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팔을 아래까지 뻗어 조심스럽게 세척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부주의로 인해 세척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세척성 문제)Third, in the conventional cooking device, since the blade for crushing the cooking material is rotatably fixed inside the cooking vessel, in order to wash the bottom of the cooking vessel, the user not only has to extend his arm to the bottom, but also carelessly wash it. As a result, safety accidents may occur during cleaning. (cleanability problem)

넷째, 종래의 조리기기에 구비된 칼날은 모터 축과 바로 연결되지 않고 각각의 커플러(상부 커플러 및 하부 커플러)를 이용하여 연결되었기에 모터가 3,000 RPM 이상의 고속 작동시 많은 진동과 소음이 발생하여 조리기기의 주변에서 전화 통화나 티브이 시청 또는 음악청취가 불가능 하였다. (진동과 소음 문제)Fourth, since the blade provided in the conventional cooking appliance is not directly connected to the motor shaft, but is connected using each coupler (upper coupler and lower coupler), a lot of vibration and noise are generated when the motor operates at a high speed of 3,000 RPM or more. It was impossible to talk on the phone, watch TV, or listen to music in the vicinity of the (Vibration and noise issues)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70641호 (2007.10.22.)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770641 (2007.10.2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29813호 (2018.02.09)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829813 (2018.02.09)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의 기술들의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완성된 조리물을 갖고 다니면서 필요시 마시거나 떠먹을 수 있고, 조리 재료를 넣은 상태로 휴대하고 다니면서 필요시 즉석에서 조리하여 마시거나 떠먹을 수 있는 휴대용 조리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compensate for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ble to drink or eat when necessary while carrying the finished food, and to carry it with cooking ingredient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cooking appliance that can be instantly cooked and consumed or eate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뚜껑부와 용기부 그리고 용기부와 본체부 간의 체결상태, 용기부 내부의 조리상태, 용기부의 내부의 온도상태를 제품을 정면만 보면 바로 확인 할 수 있는 휴대용 조리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cooking appliance that can check the fastening state between the lid part and the container part, and the container part and the main body part, the cooking state inside the container part, and the temperature state inside the container part just by looking at the product from the front. it is to do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용기부와 본체부가 정상적으로 체결된 상태에서 뚜껑부가 용기부의 상부에 정상적으로 체결되면, 용기부와 본체부가 분리되지 않도록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휴대용 조리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cooking appliance capable of maintaining a locked state so that the container and the main body are not separated when the lid is normally fastened to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in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and the main body are normally fastened.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조리재료를 분쇄하는 칼날이 조리용기의 내부에 설치되지 않고, 본체부의 상부에 구동부와 직접 연결될 수 있는 휴대용 조리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cooking appliance in which a blade for pulverizing cooking materials is not installed inside the cooking vessel, and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a driving unit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조리기기는, 상부 입구와 하부 입구가 각각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하단 외주면의 미리 설정된 제1 위치에 제1 체결표식(120a)이 형성된 관통 형상의 용기부(100)와; 상기 용기부(100)의 상부에 착탈방식으로 체결되는 뚜껑부(200)와; 상단부가 개방되면서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며, 상단 외주면의 미리 설정된 제2 위치에 제2 체결표식(320)이 형성되며, 상기 용기부(100)의 하부에 착탈방식으로 체결되는 본체부(300)로 구성되며;
상기 용기부(10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된 상부 설치공(172)와 하부 설치공(174) 사이에 탄성적으로 이동이 가능한 잠금 레버(170)가 상기 용기부(100)의 내주면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300)에 구비된 하우징(300a)의 상단면에 상기 하부 설치공(174)의 하부에 설치공(304)이 형성되어;
상기 용기부(100)가 상기 본체부(300)의 상부에 정상적으로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뚜껑부(200)가 상기 용기부(100)의 상부에 정상적으로 체결되면, 상기 뚜껑부(200)의 밑면이 상기 잠금레버(170)를 하측방향으로 밀어 상기 하우징(300a)의 상단면에 형성된 상기 설치공(304)에 강제적으로 삽입되며;
상기 용기부(100)와 상기 본체부(300)가 정상적으로 체결되면, 상기 제1 체결표식(120a)과 상기 제2 체결표식(320)이 수직방향으로 일치하도록 일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ortabl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uch that the upper inlet and the lower inlet are opened, respectively, and a penetrating container unit 100 in which a first fastening mark 120a is formed at a preset first position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and ; a lid part 200 that is detachably fastened to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part 100; As the upper end is opened, an installation space is formed inside, a second fastening mark 320 is formed at a preset second position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end, and the body portion 300 is detachably fasten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unit 100 . ) consists of;
A lock lever 170 elastically movable between the upper installation hole 172 and the lower installation hole 174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ontainer part 100, respectively, is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iner part 100 .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installation hole 304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installation hole 174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300a) provided in the main body portion (300);
When the lid part 200 is normally fastened to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part 100 in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part 100 is normally fastened to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part 300 , the lower surface of the lid part 200 is by pushing the lock lever 170 downward and forcibly inserted into the installation hole 304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300a;
When the container part 100 and the main body part 300 are normally fastened, the first fastening mark 120a and the second fastening mark 320 are arranged in a line so that they coinc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삭제delete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조리기기에 따르면, 완성된 조리물을 갖고 다니면서 필요시 마시거나 떠먹을 수 있고, 조리 재료를 넣은 상태로 휴대하고 다니면서 필요시 즉석에서 조리하여 마시거나 떠먹을 수 있어, 휴대성 및 즉석 조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portable coo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rink or scoop up the finished food while carrying it, and to cook and drink or eat it on the spot when necessary while carrying the cooking material in it, so that it is portable. And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instant cookability.

또한, 뚜껑부와 용기부 그리고 용기부와 본체부 간의 체결상태, 용기부 내부의 조리상태, 용기부의 내부의 온도상태를 제품을 정면만 보면 바로 확인 할 수 있어,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휴대용 조리기기의 정면만 바라보면 조리 전, 후에 휴대용 조리기기의 점검사항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면서도, 선택적으로 음용 전에 조리물의 온도까지 쉽게 확인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fastening state between the lid part and the container part, and the container part and the main body part, the cooking state inside the container part, and the temperature state inside the container part can be checked immediately by looking at the product from the front. If you look only from the front, you can easily check the inspection items of the portable cooking device before and after cooking, and optionally, it has the effect of easily checking the temperature of the food before drinking.

또한, 용기부와 본체부가 정상적으로 체결된 상태에서 뚜껑부가 용기부의 상부에 정상적으로 체결되면, 용기부와 본체부가 분리되지 않도록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조리 중에 실수로 용기부와 본체부의 분리를 시도하더라도 분리되지 않아 조리중 제품의 안전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In addition, if the lid part is normally fastened to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part while the container part and the main body part are normally fastened, the locked state can be maintained so that the container part and the main body part are not separated. Since it is not separated,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safety of the product during cooking.

또한, 조리재료를 분쇄하는 칼날이 조리용기의 내부에 설치되지 않고, 본체부의 상부에 구동부와 직접 연결될 수 있어, 조리용기의 밑바닥을 세척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팔을 아래까지 뻗어 세척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구동 모터의 고속 작동시 진동과 소음이 거의 발행하지 않아 조리기기의 주변에서 전화 통화나 티브이 시청 또는 음악청취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lade for crushing the cooking material is not installed inside the cooking vessel and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there is no need for the user to extend his or her arm to wash the bottom of the cooking vessel. However, when the driving motor operates at high speed, almost no vibration and noise are generated, so it is effective to make a phone call, watch TV, or listen to music in the vicinity of the cooking appliance.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효과에 따라 어린 아기나 환자 또는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모든 사람들이 완성된 조리물을 휴대하고 다닐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리 재료만 있으면 어느 곳에서든지 즉석에서 원하는 조리물 (예를 들어, 죽, 이유식, 쥬스, 등)을 조리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According to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not only young babies, patients, men and women, all people, regardless of age or sex, can carry and carry the finished food, but as long as there are cooking ingredients, any desired food (for example, , porridge, baby food, juice, etc.)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ok.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조리기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조리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조리기기의 용기부의 단면도 및 밑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조리기기의 본체부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조리기기의 본체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a cross-sectional view and a bottom view of a container part of a portabl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body of a portabl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ain body of a portabl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조리기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조리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조리기기는, 상부 입구와 하부 입구가 각각 개방되도록 형성된 용기부(100)와, 용기부(100)의 상부에 착탈방식으로 체결되는 뚜껑부(200)와, 용기부(100)의 하부에 착탈방식으로 체결되는 본체부(300)로 구성된다.1 and 2 , a portabl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iner part 100 formed to have an upper inlet and a lower inlet open, respectively, and a detachable method on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part 100 . It consists of a lid part 200 to be fastened, and a body part 300 fastened to the lower part of the container part 100 in a detachable manner.

여기서, 용기부(1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부 입구(102)와 제1 하부 입구(104)가 서로 관통되도록 형성된 내부 용기(100a)와, 내부 용기(100a)의 외주면에 조립되며, 정면에 타원형의 조리 확인창(110)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외부 용기(100b)와, 외부 용기(100b)의 내부에 내부 용기(100a)가 삽입된 상태에서 내부 용기(100a)와 외부용기(100b)의 하단면 사이에 형성된 환형의 밑면홈(d3)에 억지 끼움되는 마감 캡(100c)으로 구성된다.Here, the container part 100 is, as shown in FIGS. 3 and 4, an inner container 100a formed so that the first upper inlet 102 and the first lower inlet 104 penetrate each other, and the inner container 100a. ) assemb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100b in which an oval cooking confirmation window 110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front side, and the inner container 100a in a state in which the inner container 100a is inserted into the outer container 100b ( 100a) and a closing cap 100c that is press-fitted into the annular bottom groove d3 formed between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100b.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내부 용기(100a)와 외부 용기(100b)는 재질적 특성, 기능적 특성, 결합적 특성, 체결적 특성, 체결상태를 확인시키는 표식적 특성을 모두 만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aid that it is important that the inner container 100a and the outer container 100b satisfy all of the material properties, functional properties, bonding properties, fastening properties, and marking properties for confirming the fastening state. can

먼저, 재질적 특성을 살펴 보면, 내부 용기(100a)는 사용자가 필요시 조리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조리시 발생하는 고열에도 몸에 해로운 성분이 배출되지 않는 일체형의 유리 용기나 세라믹 용기 또는 도기가 사용되며, 외부 용기(100b)는 조리시 내부 용기에서 발생하는 고온을 차단하기에 적당한 일체형으로 형성된 플라스틱 또는 나무재질 용기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rst, looking at the material properties, the inner container 100a is an integrated glass container, ceramic container, or pottery that does not emit harmful ingredients even in high heat generated during cooking. It is used, and the outer container 100b is preferably an integrally formed plastic or wooden container suitable to block the high temperature generated in the inner container during cooking.

이러한 일체형으로 형성된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의 재질적 특성을 만족하면서도 기능적 특성을 만족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할 때는 조리 용기로 사용되면서 조리 후에는 바로 시음이나 먹을 수 있는 최종 용기로 사용할 수 있도록 내부 용기(100a)의 제1 상부 입구(102)가 외부 용기(100b)의 제2 상부 입구(106) 보다 상대적으로 일정 길이(d1) 더 길게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결합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조리 후에 바로 외부 용기(100b)를 바로 들더라도 내부 용기(100a)의 가열 조리시 발생한 고열이 외부 용기(100b)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내부 용기(100a)와 외부 용기(100b) 사이에 열차단 공간(d2)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 3 in order to satisfy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the integrally formed inner container and the outer container while satisfying the functional properties, it is used as a cooking container when cooking and as a final container that can be tasted or eaten immediately after cooking. To be usable, the first upper inlet 102 of the inner container 100a is coupled to protrude up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d1) longer than the second upper inlet 106 of the outer container 100b at the same time as the user Between the inner container 100a and the outer container 100b, so as to minimize the transfer of high heat generated during heating and cooking of the inner container 100a to the outer container 100b even if the outer container 100b is lifted immediately after cooking. A thermal barrier space d2 is formed.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용기(100a)의 제1 상부 입구(102) 및 제1 하부 입구(104)에서 일정 길이 떨어진 부분에는 외측방향으로 상부 단턱(101) 및 하부 단턱(103)이 각각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동일한 직경을 갖는 몸통부를 형성하는 반면, 외부 용기(100b)의 제2 상부 입구(106) 및 제2 하부 입구(108)에서 일정 길이 떨어진 부분에는 외측방향으로 상부 단턱(107) 및 하부 단턱(109)이 각각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이때 외부 용기(100b)의 몸통부의 직경은 상부 단턱(107)에서 하부 단턱(109)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넓어지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열전달을 차단하는 환형의 열차단 공간(d2)이 형성되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To this end,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 a portion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first upper inlet 102 and the first lower inlet 104 of the inner container 100a has an upper step ( 101) and the lower step 103 are formed to extend outward, respectively to form a body having the same diameter, while the second upper inlet 106 and the second lower inlet 108 of the outer container 100b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n upper stepped 107 and a lower stepped 109 are formed to extend outwardly in the separated portion, respectively, and in this case, the diameter of the body of the outer container 100b increases from the upper stepped 107 to the lower stepped 109. Since it is formed to gradually wide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tructure in which an annular heat-blocking space d2 that blocks heat transfer is formed.

이때, 내부 용기(100a)와 외부 용기(100b)의 재질적 특성, 기능적 특성에 결합적 특성을 만족시키기 위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용기(100a)의 제1 상부 입구(102)가 뚜껑부(100)와 나사결합을 위해 외측면에 제1 숫나사(180)가 형성된 외부 용기(100b)의 제2 상부 입구(106)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되면서 내부 용기(100a)의 상부 단턱(101)은 외부 용기(100b)의 상부 단턱(107)의 내측면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내부 용기(100a)와 외부 용기(100b)의 하단면 사이에 형성된 환형의 밑면홈(d4)에 마감 캡(100c)이 억지 끼움방식으로 결합된다.At this time, in order to satisfy the material properties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the inner container 100a and the outer container 100b, as shown in FIGS. 3 and 4 , the first upper inlet of the inner container 100a (102) is inserted into the second upper inlet 106 of the outer container 100b with the first male screw 180 formed on the outer surface for screwing with the lid part 100 in an interference fit manner while the inner container 100a) The upper step 101 of the outer container 100b is inserted into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step 107 in a press-fitting manner, and is formed between the lower end surfaces of the inner container 100a and the outer container 100b. The closing cap 100c is coupled to the bottom groove d4 by an interference fit method.

여기서, 마감 캡(100c)의 하단 입구(108)의 외측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300)와 나사결합을 위해 제2 숫나사(190)가 형성되며, 하단 입구(108)에서 일정 길이 떨어진 부분에는 외측방향으로 하부 단턱(109)이 외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 용기(100a)의 상부 단턱(101) 및 하부 단턱(103)이 외부 용기(100b)의 상부 단턱(107) 및 하부 단턱(109)에 각각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서 내부 용기(100a)가 외부 용기(100b) 내부에서 흔들리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Her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inlet 108 of the closing cap 100c, as shown in FIG. 4 , a second male screw 190 is formed for screwing with the main body 300, the lower inlet 108 Since the lower step 109 is formed in the outward direction at a portion separated by a certain length from the upper step 101 and the lower step 103 of the inner container 100a, the upper step 107 of the outer container 100b ) and the lower step 109 can be maintained in a fixed state, so that the inner container 100a can be firmly fixed without being shaken inside the outer container 100b.

또한, 조리 확인창(110)의 일측 내측면 즉, 외부 용기(100b)의 내측면에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용기(100a)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전자식 온도계(130)가 제어부(370)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조리 후에 사용자가 온도계를 확인하면서 조리물의 음용 또는 먹는 시점을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 to 2 on the inn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cooking confirmation window 110 , that is,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100b, an electronic thermometer 130 for measur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inner container 100a. ) is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370, so that after cooking, the user can determine when to drink or eat food while checking the thermometer.

이와 같은 전자식 온도계(130)는 본체부(300)의 하우징(300a)의 외표면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Such an electronic thermometer 130 may also be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300a of the main body 300 .

또한,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의 재질적 특성, 기능적 특성, 결합적 특성에 더하여 체결적 특성을 만족시키기 위해 용기부(100)의 상부에 뚜껑부(200)를 체결하면 용기부(100)와 본체부(300)가 분리되지 않도록 잠금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lid part 200 is fasten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part 100 in order to satisfy the fastening properties in addition to the material properties, functional properties, and bonding properties of the inner container and the outer container, the container part 100 and the body A lock function may be implemented to prevent the unit 300 from being separated.

이를 위해 외부 용기(100b)의 상부 단턱(107) 및 하부 단턱(109)의 상부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설치공(172)과 하부 설치공(174)이 수직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며, 상부 설치공(172)와 하부 설치공(174)에 대응되는 외부 용기(100b)의 내측면에 수직방향으로 가이드벽(176)이 형성되며, 이 가이드벽(176)의 내부에 잠금 레버(17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 2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tepped 107 and the lower stepped 109 of the outer container 100b, an upper installation hole 172 and a lower installation hole 174 ar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respectively. A guide wall 176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100b corresponding to the upper installation hole 172 and the lower installation hole 174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lock lever is formed inside the guide wall 176. 170 is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때, 가이드벽(176)의 중간 부분에는 내측 방향으로 환형의 단턱(177)이 형성되며, 잠금 레버(170)의 중간 부분에도 한 쌍의 고정 돌기(170a)가 형성되기 때문에 단턱(177)과 고정 돌기(170a)의 사이에 잠금 레버(170)의 외측방향으로 스프링(160)이 삽입되는 경우, 잠금 레버(170)가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상부 설치공(172)의 상측 방향으로 일정 길이(d3) 돌출되지만 용기부(100)가 본체부(300)의 상부에 정상적으로 체결된 상태에서, 뚜껑부(200)가 용기부(100)의 상부에 정상적으로 체결되기 시작하면, 뚜껑부(200)의 밑면이 잠금 레버(170)의 상단부를 하측방향으로 밀기 시작하여 최종적으로 잠금 레버(170)의 하단부가 하우징(300a)의 설치공(304)에 강제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At this time, an annular step 177 is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guide wall 176 in the inner direction, and since a pair of fixing protrusions 170a are also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lock lever 170, the step 177 and When the spring 160 is inserted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lock lever 170 between the fixing protrusions 170a, the lock lever 170 is in a normal state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upper installation hole 172 by a certain length (d3) When the lid part 200 starts to be normally fastened to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part 100 in a state in which it protrudes, but the container part 100 is normally fastened to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part 300 , the lower surface of the lid part 200 is The upper end of the lock lever 170 starts to be pushed downward, and finally the lower end of the lock lever 170 may be forcibly inserted into the installation hole 304 of the housing 300a.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300)의 하우징(300a)의 상단면의 미리 설정된 위치 즉, 설치공(304)의 주변에 외측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된 보강부(302)가 형성되며, 보강부(302)의 상면 중심에 설치공(304)이 하측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 a preset posi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300a of the main body 300 , that is, a predetermined length protruding outward around the installation hole 304 . The reinforcement part 302 is formed,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installation hole 304 is formed in the downward direction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einforcement part 302 .

한편, 용기부(100)와 본체부(300)의 일측 외측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파지가 용이하도록 파지부(140)가 오목한 손바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파지부(140) 중 상기 용기부(100)에 형성된 파지부(140)에 대응되는 상기 용기부(100)의 내부 용기(100a)의 내측면에는 한 쌍의 분쇄 돌기(150a, 150b)가 내측 방향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4 on the outer side of one side of the container part 100 and the main body part 300, it is preferable that the grip part 140 is formed in a concave palm shap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grip it, and at this time, A pair of grinding protrusions 150a and 150b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container 100a of the container part 100 corresponding to the grip part 140 formed in the container part 100 of the support part 140 in the inward direction.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to protrude, respectively.

여기서, 한 쌍의 분쇄 돌기(150a, 150b)는 내부 용기(100a)의 내부에서 칼날(340)의 회전시 분쇄력을 향상시키고 조리재료에 포함된 유체의 회전방향을 불규칙하게 바꾸게 하는 역할을 하도록 내측 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 형성되는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한 쌍의 분쇄 돌기(150a, 150b)의 형성위치를 파지부(140)의 반대면에 위치하는 내부 용기(100a)의 내측면에 각각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pair of grinding protrusions 150a and 150b serve to improve the grinding force when the blade 340 rotates in the inner container 100a and to change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fluid contained in the cooking material irregularly. It is formed to protrude a certain length in the inner direction, and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pair of crushing protrusions 150a and 150b is loc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container 100a located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gripper 140 . It is preferable to form each.

한편, 뚜껑부(200))의 내측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부(100)의 외측 용기(100b)의 제1 상부 입구(102)의 숫나사(180)에 나사 결합되도록 내부에 암나사(230)가 형성되며, 상단 외주면에 제4 체결표식(120b)의 상부에 근접하도록 소정 형상의 배출공(210)이 형성되는데, 배출공(210)의 형상은 시작점(P1)이 제4 체결표식(120b)의 상부나 조리 확인창(110)의 상부에 대응되는 역삼각형 또는 부체꼴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배출공(210)의 형상적 특징으로 뚜껑부(200)에 제3 체결표식(230)이 형성되지 않아도 제3 체결표식(230)을 대체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id part 200), as shown in FIG. 2, the inside to be screwed to the male screw 180 of the first upper inlet 102 of the outer container 100b of the container part 100. A female screw 230 is formed, and a discharge hole 210 of a predetermined shape is formed on the upper outer peripheral surface to be clos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ourth fastening mark 120b.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in an inverted triangle or floating body shape corresponding to the upper part of the fastening mark 120b or the upper part of the cooking confirmation window 110 . The reason is that even if the third fastening mark 230 is not formed on the lid part 200 due to the shape characteristics of the discharge hole 210 , the third fastening mark 230 may be replaced.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보인 뚜껑부(200))의 내측면에 보인 암나사(230)의 숫자는 제한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가장 간단한 구조를 간는 비드만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Here, the number of the female screws 230 show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id part 200) shown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 is not limited, and it is also possible to form only the beads having the simplest structure as needed. It will be possible.

또한, 뚜껑부(200)의 내측 밑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면을 따라 환형의 패킹 설치홈(240)이 형성되며 패킹 설치홈(240)에 환형의 실리콘 패킹(250)이 설치되기 때문에, 뚜껑부(200)가 용기부(100)의 상부에 체결될 때 내부 용기(100a)의 상부단턱(101)이 실리콘 패킹(250)의 상부를 압박하여 내부 용기(100a)의 밀폐력을 유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lid part 200, an annular packing installation groove 240 is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annular silicone packing 250 is installed in the packing installation groove 240. Therefore, when the lid part 200 is fastened to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part 100, the upper step 101 of the inner container 100a presses the upper part of the silicone packing 250 to maintain the sealing force of the inner container 100a. can

또한, 본체부(300)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는 개방되고, 상단면의 미리 설정된 설치 위치에 설치공(304)이 형성되며, 내주면을 따라 암나사(306)가 형성되며,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300a)과, 상기 하우징(300a)의 외표면에 미리 설정된 조리메뉴 중 하나의 메뉴를 조리하기 위한 설치된 조작부(310)와, 하우징(300a)의 내부에 설치된 베이스판(330)의 상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회전되는 칼날(340)과, 베이스판(330)의 밑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베이스판(330)을 가열하는 히터(350)와, 칼날(340)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구동력을 발생하여 칼날(340)로 전달하는 구동부(360)와, 하우징(210)의 설치공간에 설치되어, 조작부(310)의 제어에 따라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전압 변환하여 히터(350) 또는/및 상기 구동부(360)로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70)로 구성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2 and 5, the main body 300 has an open upper end, an installation hole 304 is formed at a preset installation position on the upper surface, and a female thread 306 is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housing 300a having an installation space formed therein, an operation unit 310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300a for cooking one of the cooking menus preset in advance, It is installed through the upper part of the installed base plate 330, and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lade 340 and the base plate 330 rotated according to the user's control, heating the base plate 330 according to the user's control. The heater 350, which is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blade 340, generates a driving force according to the user's control and transmits it to the blade 340, and is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housing 210, The control unit 370 is configured to convert the voltage supplied from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operation unit 310 to supply it to the heater 350 and/or the driving unit 360 .

한편, 내부 용기(100a)와 외부용기(100b)의 사이에는 내부 용기(100a)의 내부에서 발생된 거품이 미리 설정된 상부 임계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거품감지센서(미도시)가 제어부(370)에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내부 용기(100a)와 외부용기(100b)의 사이 또는 베이스판(330)의 밑면에 내부 용기(100a)의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센서(미도시)가 제어부(370)에 연결되도록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between the inner container (100a) and the outer container (100b), a bubble detection sensor (not shown) for detecting that the bubble generated inside the inner container (100a) reaches a preset upper critical position is a control unit ( 370), between the inner container (100a) and the outer container (100b) or on the underside of the base plate 330, a temperature sensor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inner container (100a) (not shown) city) may be selectively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370 .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베이스판(330)의 외주면과 이와 접하는 하우징(300a)의 내주면을 따라 실리콘 패킹(308)이 설치되어, 용기부(100)의 하부입구(108)가 볼트 체결에 의해 하우징(300a)의 내주면에 체결될 때 용기부(100)와 본체부(300)간 밀폐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licone packing 308 is install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plate 33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300a in contact with it, so that the lower inlet 108 of the container part 100 is bolted. When fasten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300a by this, it is possible to enable sealing between the container part 100 and the body part 300 .

여기서, 실리콘 패킹(308)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부(100)의 하부입구(108)가 하측방향으로 누를 때 누수를 방지하도록 상부방향으로 ㄴ자 형상의 단턱(308c)이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며, 내측 중간 부분에는 누수방지를 위해 베이스판(330)의 외주면을 따라 삽입되도록 환형의 삽입홈(308b)이 형성되며, 하단부는 베이스판(330)을 지지하는 브라켓(309)의 외주면에 볼트(308a)와 같은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고정된다.Here, the silicone packing 308, as shown in FIG. 6, has an L-shaped step 308c in the upper direction to prevent water leakage when the lower inlet 108 of the container part 100 is pressed in the lower direction. The length is extended, and an annular insertion groove 308b is formed in the inner middle portion to be insert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plate 330 to prevent water leakage, and the lower end of the bracket 309 for supporting the base plate 330 is formed. It is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using a fixing member such as a bolt 308a.

여기서, ㄴ자 형상의 단턱(308b)의 형상은 내부 용기(100a)의 제1 상부 입구(102)가 외부 용기(100b)의 제2 상부 입구(106) 보다 상대적으로 일정 길이(d1) 더 길게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된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용기부(100)의 내부 용기(100a)가 본체부(300)의 상부에 체결될 때 내부 용기(100a)의 제2 상부 입구(106)가 실리콘 패킹(308)의 ㄴ자 형상의 단턱(308b)의 밑면 밑면을 압박하기 때문에 내부 용기(100a)의 밀폐력을 유지할 수 있다. Here, in the shape of the L-shaped step 308b, the first upper inlet 102 of the inner container 100a is relatively longer than the second upper inlet 106 of the outer container 100b by a certain length (d1) longer.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ombined shape so as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Accordingly, when the inner container 100a of the container part 100 is fastened to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part 300, the second upper inlet 106 of the inner container 100a is an L-shaped step of the silicone packing 308 ( The sealing force of the inner container 100a can be maintained because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308b is press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구동부(360)는 모터가 사용되며, 모터축에 연결수단으로 커플러를 이용하지 않고 바로 칼날이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tor is used as the driving unit 360,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blade is fixed directly to the motor shaft without using a coupler as a connection means.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용기부(100), 뚜껑부(200) 및 본체부(300)의 체결상태를 확인시키는 표식적 특성을 모두 만족시키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부(100)의 하단 외주면의 미리 설정된 제1 위치에 제1 체결표식(120a)이 형성되고, 본체부(300)의 상단 외주면의 미리 설정된 제2 위치에 제2 체결표식(320)이 형성되어, 용기부(100)와 상기 본체부(300)가 정상적으로 체결되면, 상기 제1 체결표식(120a)과 상기 제2 체결표식(320)이 미리 설정된 표식형상(예를 들어, : 형상)을 완성하도록 수직방향으로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제1 위치와 제2 위치는 서로 상하방향으로 대응되는 관계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 in order to satisfy all the marking characteristics for confirming the fastening state of the container part 100 , the lid part 200 and the body part 300 , the container part A first fastening mark 120a is formed at a preset first position of the low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100, and a second fastening mark 320 is formed at a preset second position of the upp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300, When the container part 100 and the main body part 300 are normally fastened, the first fastening mark 120a and the second fastening mark 320 complete a preset mark shape (eg: shape)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arranged to coinc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have a relationship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때, 본체부(300)의 제2 체결표식(320)과 대응되는 또는 반대측 내면에는 소정 형상의 스토퍼(307)가 용기부(100)의 과도한 체결을 방지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어, 용기부(100)와 상기 본체부(300)가 정상적으로 체결되면, 스토퍼(307)와 제2 체결표식(320)이 앞뒤 방향으로 일치하도록 배치되면서, 제1 체결표식(120a)과 상기 제2 체결표식(320)은 미리 설정된 표식형상(예를 들어, : 형상)을 완성하도록 수직방향으로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At this time, a stopper 307 of a predetermined shape is protruded to prevent excessive fastening of the container part 100 on the inner surface corresponding to or opposite to the second fastening mark 320 of the body part 300, so that the container part 100 ) and the main body 300 are normally fastened, the stopper 307 and the second fastening mark 320 are arranged to match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the first fastening mark 120a and the second fastening mark 320 are arranged to coinc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complete a preset mark shape (eg: shape).

이에 따라 용기부(100)의 제1 체결표식(120a)과 본체부(300)의 제2 체결표식(320)의 위치를 확인만 하여도 용기부(100)가 본체부(300)의 상부에 정상적으로 체결되었는지를 알 수 있다. Accordingly, even by checking the positions of the first fastening mark 120a of the container part 100 and the second fastening mark 320 of the body part 300 , the container part 100 is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part 300 . You can see if it is connected properly.

이에 더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부(200)의 하단 외주면의 미리 설정된 제3 위치에 제3 체결표식(220)이 형성되고, 용기부(100)의 상단 외주면의 미리 설정된 제4 위치에 제4 체결표식(120b)이 형성되어, 뚜껑부(200)가 상기 용기부(100)의 상단에 정상적으로 체결되면, 상기 제3 체결표식(220)과 상기 제4 체결표식(120b)이 수직방향으로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제3 위치와 제4 위치는 서로 상하방향으로 대응되는 관계를 갖도록 형성되면서, 제1 위치와 제2 위치 그리고 제3 위치와 제4 위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기기의 수직 중심선에 일치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 a third fastening mark 220 is formed at a preset third position of the low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id part 200 , and a preset fourth of the upp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tainer part 100 . When the fourth fastening mark 120b is formed at the position and the lid part 200 is normally fastened to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part 100, the third fastening mark 220 and the fourth fastening mark 120b are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and the third position and the fourth position are as shown in FIG. It is preferable to be arranged so as to coincide with the vertical center line of the cooking appliance.

이에 따라 뚜껑부(200)의 제3 체결표식(220)과 용기부(100)의 제4 체결표식(120b)의 위치를 확인만 하여도 뚜껑부(200)가 용기부(100)의 상부에 정상적으로 체결되었는지를 알 수 있다. Accordingly, even by checking the positions of the third fastening mark 220 of the lid part 200 and the fourth fastening mark 120b of the container part 100 , the lid part 200 is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part 100 . You can see if it is connected properly.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용기부(100)의 하단 외주면에 제1 체결표식(120a)이 형성되고 본체부(300)의 상단 외주면에 제2 체결표식(320)이 형성될 수도 있지만, 제1 체결표식(120a)과 제2 체결표식(320)과 함께 용기부(100)의 상단 외주면에 제4 체결표식(120b)이 형성되고 뚜껑부(200)의 외측면에 제3 체결표식(220)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뚜껑부(200)와 용기부(100) 그리고 용기부(100)와 본체부(300) 간의 체결상태를 휴대용 조리기기의 정면만 바라보면 쉽게 알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fastening mark 120a is formed on the low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tainer part 100 and a second fastening mark 320 may be formed on the upp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part 300, but the first A fourth fastening mark 120b is formed on the upp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tainer part 100 together with the fastening mark 120a and the second fastening mark 320, and a third fastening mark 220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id part 200. When this is formed, the fastening state between the lid part 200 and the container part 100 and the container part 100 and the main body part 300 can be easily recognized by looking only at the front of the portable cooking appliance.

또한, 제1 체결표식(120a)과 제2 체결표식(320) 사이에 배치된 조리 확인창과, 조리 확인창(110)의 일측 내측면에 설치된 온도계(130)도 휴대용 조리기기의 정면만 바라보면 뚜껑부(200)와 용기부(100)의 체결상태와 함께 용기부(100)와 본체부(300) 간의 체결상태를 동시에 알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oking confirmation window disposed between the first fastening mark 120a and the second fastening mark 320 and the thermometer 130 installed on one inner surface of the cooking confirmation window 110 are also viewed only from the front of the portable cooking appliance, The fastening state between the container part 100 and the body part 300 together with the fastening state of the lid part 200 and the container part 100 can be seen at the same time.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부(200)의 외측면에 제3 체결표식(220)을 형성하지 않고, 뚜껑부(200)의 상단 외주면에 제4 체결표식(120b)에 근접하도록 형성된 소정 형상의 배출공(210)이 제3 체결표식(220)을 대신할 수 있어, 뚜껑부(200)의 배출공(210)과 용기부(100)의 제4 체결표식(120b)의 위치를 확인만 하여도 뚜껑부(200)가 용기부(100)의 상부에 정상적으로 체결되었는지를 알 수 있을 것이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2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fastening mark 220 is not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id part 200 , and the fourth fastening is performed on the upp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id part 200 . The discharge hole 210 of a predetermined shape formed to be close to the mark 120b can replace the third fastening mark 220 , the discharge hole 210 of the lid part 200 and the fourth of the container part 100 . Just by checking the position of the fastening mark 120b, it will be possible to know whether the lid part 200 is normally fastened to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part 100 .

한편, 뚜껑부(200)에는 뚜껑부(200)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접점감지센서(미도시)가 제어부(370)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가 뚜껑부(200)를 개방하면 제어부(37)가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도록 동작하며, 본체부(300)의 베이스판(330)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어, 내부 용기(100a)의 내부에 조리재료가 있을 때에만 제어부(370)가 조작부(310)를 조작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무게감지센서가 장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lid part 200 has a contact detection sensor (not shown) for detecting the open/closed state of the lid part 200 is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370, when the user opens the lid part 200, the control unit 37 ) operates to automatically cut off the power, and is formed to protrud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330 of the main body 300, so that the control unit 370 controls the operation unit ( 310) may be equipped with a weight senso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조리기기의 동작을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of a portabl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조리용기 1차 체결><First tightening of cooking vessel>

먼저, 사용자는 관통 형상의 용기부(100)의 외부 용기(100b)의 제2 하부 입구(108)의 숫나사(190)가 본체부(300)의 하우징(300a)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306)에 나사결합되도록 착탈방식으로 체결한다. First, the user has a male screw 190 of the second lower inlet 108 of the outer container 100b of the through-shaped container portion 100 is a female screw 306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300a of the body portion 300. Fasten in a detachable manner so that it is screwed to the

이때, 상부 설치공(172)와 하부 설치공(174)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잠금 레버(170)의 상단부는 용기부(100)의 상부 설치공(172)을 통하여 상부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고, 용기부(100)의 하단 외주면에 형성된 제1 체결표식(120a)과 본체부(300)의 상단 외주면에 형성된 제2 체결표식(320)이 수직방향으로 일치되면 용기부(100)와 본체부(300)가 정상적으로 체결된 것을 알 수 있다.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lock lever 170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upper installation hole 172 and the lower installation hole 174 protrudes upward a certain length through the upper installation hole 172 of the container part 100 and , When the first fastening mark 120a formed on the low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tainer part 100 and the second fastening mark 320 formed on the upp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part 300 coinc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container part 100 and the main body part It can be seen that 300 is normally fastened.

여기서, 용기부(100)와 본체부(300)가 정상적으로 체결되면 본체부(300)의 하우징(300a)의 내부에 설치된 베이스판(330)의 상부를 관통하여 설치된 칼날(340)이 용기부(100)의 하단면을 넘어가지 않는 하우징(300a)의 내부에 배치된다. Here, when the container part 100 and the main body part 300 are normally fastened, the knife blade 340 installed through the upper part of the base plate 330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300a of the main body part 300 is connected to the container part ( It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300a) that does not go over the lower surface of the 100).

<조리재료 투입><Input cooking ingredients>

이어, 사용자는 용기부(100)의 상단에 형성된 주입구를 통하여 미리 준비된 조리재료를 투입한다. Then, the user inputs the cooking material prepared in advance through the inlet formed at the top of the container unit 100 .

<조리용기 2차 체결><Secondary fastening of cooking vessel>

이어, 사용자는 용기부(100)의 상부에 뚜껑부(200)를 체결하는데, 뚜껑부(200)의 내측면에 형성된 암나사(230)가 용기부(100)의 외부 용기(100b)의 제2 상부 입구(106)의 외측면에 형성된 숫나사(180)에 나사결합방식으로 체결되면서 뚜껑부(200)의 테두리면이 잠금레버(170)의 상단부를 하측방향으로 강제적으로 밀기 때문에 뚜껑부(200)가 용기부(100)의 상부에 정상적으로 체결되면 잠금레버(170)의 하단부가 하우징(300a)의 설치공(304)에 강제적으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Then, the user fastens the lid part 200 to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part 100 , and the female screw 230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id part 200 is the second of the outer container 100b of the container part 100 . Since the rim surface of the lid part 200 forcibly pushes the upper end of the lock lever 170 downward while it is fastened to the male screw 180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inlet 106 in a screwing manner, the lid part 200 When it is normally fasten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unit 100 , the lower end of the lock lever 170 may be forcibly inserted into the installation hole 304 of the housing 300a.

이때, 사용자가 실수로 용기부(100)와 본체부(300)의 분리를 시도하더라도 잠금 레버(170)가 외부 용기(100b)에서 하우징(300a)의 설치공(304)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분리되지 않는다.At this time, even if the user accidentally attempts to separate the container part 100 and the main body part 300, the lock lever 170 is maintained in the state inserted into the installation hole 304 of the housing 300a in the external container 100b. It is not separated because

<조리 메뉴 설정><Cooking menu settings>

이어, 체결이 완료된 휴대용 조리기기에 전원을 공급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조작부(310)를 조작하여 미리 설정된 조리메뉴 중 원하는 메뉴(예를 들어, 두유 또는 해독주스 등)를 선택하여 조리를 실행할 수 있는데, 이때 사용자는 조리 확인창(110)을 통하여 용기부(100)의 내부 용기(100a)의 내부 조리상태를 육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다. Next, in a state in which power is supplied to the fastened portable cooking appliance, the user may select a desired menu (eg, soy milk or detoxifying juice) from a preset cooking menu by operating the manipulation unit 310 to execute cooking. , at this time, the user can directly check the internal cooking state of the inner container 100a of the container unit 100 through the cooking confirmation window 110 with the naked eye.

<조리 완료 및 음용><Cooking and drinking>

이어, 휴대용 조리기기의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조리시간을 카운트하다가 조리가 완료된 상태로 판단되면 조리완료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조리 확인창(110)의 일측에 설치된 전자식 온도계(130)를 통하여 조리가 완료된 음식의 온도를 확인하면서 음용 또는 먹는 시점을 결정할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는 조리기기의 뚜껑부(200)만을 분리한 후 조리가 완료된 음식을 바로 음용 또는 먹을 수 있어, 용기부(100)가 조리용기와 최종 사용용기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다. Next, the control unit of the portable cooking appliance counts the preset cooking time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oking is completed, may output a cooking completion signal, and the user may use the electronic thermometer 13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ooking confirmation window 110 .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time of drinking or eating while checking the temperature of the cooked food, and at this time, the user can drink or eat the cooked food immediately after removing only the lid part 200 of the cooking appliance, so that the container part 100 . can serve as both a cooking container and an end-use container at the same time.

이때, 사용자가 실수로 용기부(100)와 본체부(300)의 분리를 시도하더라도 잠금 레버(170)가 외부 용기(100b)에서 하우징(300a)의 설치공(304)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뜨거운 음식물의 배출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even if the user accidentally attempts to separate the container part 100 and the main body part 300, the lock lever 170 is maintained in the state inserted into the installation hole 304 of the housing 300a in the external container 100b. Because it is not separa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safety accidents caused by discharging hot food in advance.

<조리용기 분리 및 세척><Separation and cleaning of the cooking vessel>

한편, 조리가 완료된 조리물을 모두 마신 사용자는 휴대용 조리기기의 조리용기를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는데, 이때 사용자는 먼저 뚜껑부(200)를 용기부(100)로부터 분리한 후 용기부(100)와 본체부(300)를 분리할 수 있다. 용기부(100)와 본체부(300)가 먼저, 분리되지 않는 이유는 잠금 레버(170)가 내부 용기(100a)에서 하우징(300a)의 설치공(304)에 강제적으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a user who drank all the cooked food can separate and wash the cooking container of the portable cooking device. In this case, the user first separates the lid part 200 from the container part 100 and then the container part 100 . and the main body 300 may be separated. The reason why the container part 100 and the body part 300 are not separated first is to keep the lock lever 170 forcibly inserted into the installation hole 304 of the housing 300a in the inner container 100a. Becaus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조리기기에 따르면,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이 전원이 공급되는 고정된 장소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다가 전원을 사용할 수 있는 장소는 어디에서든 조리할 수 있어 사용자가 조리시점 및 음용 또는 먹는 싯점을 용이하게 조절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ortabl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cook not only in a fixed place to which power is supplied, such as at home or in an office, but also in a place where the user can use power while carrying it, so that the user can cook anywhere. And it is possible to easily control the timing of drinking or eating.

이에 따라 조리기기와 보관용기를 별도로 구분하여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이로 인한 음식을 옮기는 시간이나 보관용기를 세척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다.Accordingly, there is no need to separately use the cooking appliance and the storage container, and the time to move food or the inconvenience of cleaning the storage container can be solved.

또한, 용기부의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구조를 갖으면서, 조리기기에 구비된 칼날이 본체부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편리하게 조리용기의 밑바닥을 세척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container part have an open structure, and the blade provided in the cooking appliance is rotatably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part,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wash the bottom of the cooking container.

또한, 조리기기에 구비된 칼날이 종래와 같이 커플러를 사용하지 않고 모터 축에 바로 연결되기 모터가 고속으로 회전시 진동과 소음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lade provided in the cooking appliance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motor shaft without using a coupler as in the prior art, the generation of vibration and noise can be minimized when the motor rotates at high spe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t is commo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having the knowledge of, of course,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용기부 100a : 내부 용기
101 : 상부 단턱 102 : 제1 상부 입구
103 : 하부 단턱 104 : 제1 하부 입구
106 : 제2 상부 입구 107 : 상부 단턱
108 : 제2 하부 입구 109 : 하부 단턱
100b : 외부 용기 100c : 마감캡
110 : 조리 확인창
120a 120b : 제1 체결표식 및 제4 체결표식
130 : 전자식 온도계 140 : 파지부
150a,150b : 분쇄 돌기 160 : 스프링
170 : 잠금 레버 170a : 고정 돌기
172 : 상부 설치공 174 : 하부 설치공
176 : 가이드벽 177 : 단턱
180 : 상부 숫나사 190 : 하부 숫나사
200 : 뚜껑부 210 : 배출공
220 : 제3 체결표식 230 : 암나사
300 : 본체부 300a : 하우징
302 : 보강부 304 : 설치공
306 : 나사산 308a : 볼트
308b : 삽입홈 308c : 단턱
309: 브라켓
310 : 조작부 320 : 제2 체결표식
330 ; 베이스판 340 : 칼날
350 : 히터 360 : 구동부
370 : 제어부
100: container part 100a: inner container
101: upper step 102: first upper entrance
103: lower step 104: first lower entrance
106: second upper entrance 107: upper step
108: second lower entrance 109: lower step
100b: outer container 100c: closing cap
110: cooking confirmation window
120a 120b: 1st fastening mark and 4th fastening mark
130: electronic thermometer 140: grip part
150a, 150b: grinding protrusion 160: spring
170: lock lever 170a: fixing protrusion
172: upper installation hole 174: lower installation hole
176: guide wall 177: step
180: upper male thread 190: lower male thread
200: lid 210: discharge hole
220: third fastening mark 230: female thread
300: body part 300a: housing
302: reinforcement part 304: installer
306: thread 308a: bolt
308b: insertion groove 308c: stepped
309: bracket
310: operation unit 320: second fastening mark
330; Base plate 340: blade
350: heater 360: driving unit
370: control unit

Claims (7)

상부 입구와 하부 입구가 각각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하단 외주면의 미리 설정된 제1 위치에 제1 체결표식(120a)이 형성된 관통 형상의 용기부(100)와;
상기 용기부(100)의 상부에 착탈방식으로 체결되는 뚜껑부(200)와;
상단부가 개방되면서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며, 상단 외주면의 미리 설정된 제2 위치에 제2 체결표식(320)이 형성되며, 상기 용기부(100)의 하부에 착탈방식으로 체결되는 본체부(300)로 구성되며;
상기 용기부(10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된 상부 설치공(172)와 하부 설치공(174) 사이에 탄성적으로 이동이 가능한 잠금 레버(170)가 상기 용기부(100)의 내주면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300)에 구비된 하우징(300a)의 상단면에 상기 하부 설치공(174)의 하부에 설치공(304)이 형성되어;
상기 용기부(100)가 상기 본체부(300)의 상부에 정상적으로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뚜껑부(200)가 상기 용기부(100)의 상부에 정상적으로 체결되면, 상기 뚜껑부(200)의 밑면이 상기 잠금레버(170)를 하측방향으로 밀어 상기 하우징(300a)의 상단면에 형성된 상기 설치공(304)에 강제적으로 삽입되며;
상기 용기부(100)와 상기 본체부(300)가 정상적으로 체결되면, 상기 제1 체결표식(120a)과 상기 제2 체결표식(320)이 수직방향으로 일치하도록 일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조리기기.
The upper inlet and the lower inlet are formed so as to be opened, respectively, and the container portion 100 of the penetrating shape in which the first fastening mark 120a is formed at a preset first position of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 lid part 200 that is detachably fastened to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part 100;
As the upper end is opened, an installation space is formed inside, a second fastening mark 320 is formed at a preset second position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end, and the body portion 300 is detachably fasten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unit 100 . ) consists of;
A lock lever 170 elastically movable between the upper installation hole 172 and the lower installation hole 174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ontainer part 100, respectively, is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iner part 100 .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installation hole 304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installation hole 174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300a) provided in the main body portion (300);
When the lid part 200 is normally fastened to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part 100 in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part 100 is normally fastened to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part 300 , the lower surface of the lid part 200 is by pushing the lock lever 170 downward and forcibly inserted into the installation hole 304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300a;
When the container part 100 and the main body part 300 are normally fastened, the first fastening mark 120a and the second fastening mark 320 are arranged in a line so that they coinc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cooking equip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100)는,
제1 상부 입구(102)와 제1 하부 입구(104)가 서로 관통되도록 형성된 내부 용기(100a)와;
상기 내부 용기(100a)의 외표면을 감싸도록 조립되며, 정면에 조리 확인창(110)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외부 용기(100b)와;
상기 외부 용기(100b)의 내부에 상기 내부 용기(100a)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내부 용기(100a)와 상기 외부용기(100b)의 하단면 사이에 형성된 환형의 밑면홈(d3)에 억지 끼움되는 마감 캡(100c)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조리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ainer unit 100,
an inner container 100a formed so that the first upper inlet 102 and the first lower inlet 104 penetrate each other;
an outer container (100b) assembl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ontainer (100a) and having a cooking confirmation window (110)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front thereof;
In a state in which the inner container 100a is inserted into the outer container 100b, the annular bottom groove d3 formed between the inner container 100a and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100b is press-fitted. A portable cooking appliance comprising a closing cap (100c).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확인창(110)의 일측 내측면에는 상기 내부 용기(100a)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계(13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조리기기.
3. The method of claim 2,
A portable cooking appliance, characterized in that a thermometer (130) for measur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inner container (100a) is installed on one inner side surface of the cooking confirmation window (1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200)의 하단 외주면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제3 체결표식(220)이 형성되며, 상기 용기부(100)의 상단 외주면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제4 체결표식(120b)이 형성되며;
상기 뚜껑부(200)가 상기 용기부(100)의 상단에 정상적으로 체결되면, 상기 제3 체결표식(220)과 상기 제4 체결표식(120b)이 수직방향으로 일치하도록 일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조리기기.
According to claim 1,
A third fastening mark 220 is formed at a preset position of the low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id part 200, and a fourth fastening mark 120b is formed at a preset position of the upp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tainer part 100;
When the lid part 200 is normally fastened to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part 100, the third fastening mark 220 and the fourth fastening mark 120b are arranged in a line so that they coinc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portable cooking equip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200)의 상단 외주면에 상기 제2 체결표식(320)의 상부에 근접하도록 소정 형상의 배출공(2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조리기기.
According to claim 1,
A portable cooking appliance, characterized in that a discharge hole (210) of a predetermined shape is formed on the upp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id part (200) so as to be close to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fastening mark (320).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300)는,
상단부는 개방되고, 상단면의 미리 설정된 설치 위치에 설치공(304)이 형성되며, 내주면을 따라 암나사(306)가 형성되며,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300a)과;
상기 하우징(300a)의 외표면에 미리 설정된 조리메뉴 중 하나의 메뉴를 조리하기 위한 설치된 조작부(310)와;
상기 하우징(300a)의 내부에 설치된 베이스판(330)의 상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회전되는 칼날(340)과;
상기 베이스판(330)의 밑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상기 베이스판(330)을 가열하는 히터(350)와;
상기 칼날(340)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구동력을 발생하여 상기 칼날(340)로 전달하는 구동부(360)와;
상기 하우징(300a)의 설치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조작부(310)의 제어에 따라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전압 변환하여 상기 히터(350) 또는/및 상기 구동부(360)로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조리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part 300,
The upper end is open, the installation hole 304 is formed at a preset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upper surface, the female screw 306 is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housing 300a is formed therein the installation space;
an operation unit 310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300a for cooking one of the preset cooking menus;
a blade 340 installed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plate 330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300a and rotated according to the user's control;
a heater 350 installed on the underside of the base plate 330 to heat the base plate 330 according to a user's control;
a driving unit 360 that is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blade 340, generates a driving force according to the user's control and transmits it to the blade 340;
A control unit ( 370), a portable cooking appliance comprising a.
KR1020200098374A 2020-08-06 2020-08-06 Portable cooking device KR1023131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374A KR102313144B1 (en) 2020-08-06 2020-08-06 Portable cook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374A KR102313144B1 (en) 2020-08-06 2020-08-06 Portable cook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3144B1 true KR102313144B1 (en) 2021-10-14

Family

ID=78116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8374A KR102313144B1 (en) 2020-08-06 2020-08-06 Portable cook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3144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3687Y1 (en) * 2003-11-29 2004-03-04 맹명호 Food mixing
KR100770641B1 (en) 2006-05-26 2007-10-30 김홍배 A device for cooking in indirect heating
KR20090012546U (en) * 2008-06-04 2009-12-09 신법균 Electric keeping-warm cup
KR101428669B1 (en) * 2012-12-17 2014-08-11 한국과학기술원 Potable drip coffee maker
KR101690243B1 (en) * 2016-11-09 2016-12-28 주식회사 에이스팩 Aligning position apparatus for container
KR101829813B1 (en) 2018-01-05 2018-02-19 김홍배 Cooking device having glass contain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3687Y1 (en) * 2003-11-29 2004-03-04 맹명호 Food mixing
KR100770641B1 (en) 2006-05-26 2007-10-30 김홍배 A device for cooking in indirect heating
KR20090012546U (en) * 2008-06-04 2009-12-09 신법균 Electric keeping-warm cup
KR101428669B1 (en) * 2012-12-17 2014-08-11 한국과학기술원 Potable drip coffee maker
KR101690243B1 (en) * 2016-11-09 2016-12-28 주식회사 에이스팩 Aligning position apparatus for container
KR101829813B1 (en) 2018-01-05 2018-02-19 김홍배 Cooking device having glass contai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9813B1 (en) Cooking device having glass container
EP1642518B1 (en) A domestic making appliance for preparing porridges
KR101826760B1 (en) Handle structure of a cooker having a glass cooking vessel
KR100770641B1 (en) A device for cooking in indirect heating
US8985839B2 (en) Stand mixer arrangement with guarding device
US6345572B1 (en) Soybean milk maker
EP0963726B1 (en) Electric food processor for home use
US7421941B2 (en) Domestic porridge making appliance and method for making porridge by using the same
US20130233181A1 (en) Combination Food Steamer and Food Processor
JP4065456B2 (en) Crushing cooker
KR101448681B1 (en) container and food cooking utensils the same
KR102313144B1 (en) Portable cooking device
KR20070101972A (en) A Device for Cooking in Indirect Heating
CN106264101B (en) Electric water-heating cup
KR101833279B1 (en) Internal tightening and contact Cookware
KR20170140047A (en) Cooking device having glass container
KR101157337B1 (en) Automatic Cooker Having Improved Sanitation Property
KR200431125Y1 (en) A Device for Cooking in Indirect Heating
CN210043738U (en) Mixer
KR102351746B1 (en) Portable cooking device
KR101874157B1 (en) food processing machine
KR102276757B1 (en) food processing machine
CN210354428U (en) Novel heatable cooking machine
JP2006149499A (en) Soup cooker
KR20050032273A (en) Apparatus for bean-curd dregs making and method for bean-curd dregs making of use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