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3125A - 추진굴착에 의한 하수관로 설치공법 - Google Patents

추진굴착에 의한 하수관로 설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3125A
KR20170133125A KR1020160064162A KR20160064162A KR20170133125A KR 20170133125 A KR20170133125 A KR 20170133125A KR 1020160064162 A KR1020160064162 A KR 1020160064162A KR 20160064162 A KR20160064162 A KR 20160064162A KR 20170133125 A KR20170133125 A KR 20170133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propulsion
machine
pipe
tunnel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4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광
Original Assignee
씨앤이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앤이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앤이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4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3125A/ko
Publication of KR20170133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31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3/00Large underground chamber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6Making by using a driving shield, i.e. advanced by pushing means bearing against the already placed lining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12Devices for removing or hauling away excavated material or spoil; Working or loading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xcavating Of Shafts 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반지반, 점성토 지반 등 모든 토질의 지반에 대응하여 비개착식으로 하수관거를 설치할 수 있는 추진굴착에 의한 하수관로 설치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암석지반에 형성된 발진수직구와 도달수직구 사이에 수평 하수관로를 형성시키기 위한 공법으로서, 원통형 몸체부 전단의 면판에 비트가 장착되어 암석지반을 파쇄하며 수평으로 굴착하는 굴진기; 상기 굴진기를 밀어 전진시키는 압입기; 상기 굴진기와 압입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 굴착토사와 파쇄된 암석을 흡입 배출시키는 배토설비; 상기 굴진기의 몸체부와 동일한 관경을 갖는 다수개의 추진관; 및 상기 배토설비와 연결되도록 구성된 연결관과 상기 굴진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기선이 지나는 통관이 일체(一體)를 이루며, 상기 추진관에 삽입, 설치되는 연결부재; 를 이용하며, (a) 지상에 상기 제어장치를 설치하고, 발진수직구 내에 상기 압입기와 굴진기를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굴진기를 구동시켜 지중의 암반을 파쇄함과 동시에 굴착토사와 파쇄된 암석을 지상으로 배출시키고, 상기 압입기로 상기 굴진기를 수평방향으로 밀어 전진시키는 단계; (c) 상기 굴진기가 전진함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가 삽입, 설치된 추진관을 상기 굴진기와 압입기 사이에 반복적으로 끼워 설치하는 단계; (d) 상기 굴진기가 도달수직구에 이르면 상기 굴진기와 압입기를 인양하여 회수하고, 상기 추진관에서 연결부재를 해체하여 인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굴착에 의한 하수관로 설치공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추진굴착에 의한 하수관로 설치공법{Drain pipe setting method by propeling excavation}
본 발명은 암반지반, 점성토 지반 등 모든 토질의 지반에 대응하여 비개착식으로 하수관거를 설치할 수 있는 추진굴착에 의한 하수관로 설치공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하수도 관거 매설 공사는 어려운 시공 조건이나 시공 기술의 개선 등에 의하여, 종래부터 사용돼오던 개착공법을 대체한 비개착 공법에 의한 시공이 증가하고 있다. 상기 비개착 공법을 대표하는 것은 추진공법으로서, 종래에 알려진 하수관로 파기용 입갱 추진공법은 발진수직구에 압입기와 굴진기를 설치하고, 수평방향으로 굴진과 압입을 개시하여, 일정구간의 굴진이 완료되면 굴진기와 압입기 사이에 추진관을 끼워넣고, 굴진 및 압입을 계속하며, 위 작업은 굴진기가 도달수직구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실시하는 것이다. 이때, 굴삭토사와 지하수 등을 외부로 배출하는 작업을 병행하며, 삽입된 추진관끼리 결합시키는 작업을 함께 진행한다. 그러나 종래의 추진공법은 암반에서부터 점성토에 이르는 모든 지반에 적용할 수는 없었다.
본 발명은 지반의 상태에 구애받지 않고 비개착식으로 하수관거를 설치할 수 있는 추진굴착에 의한 하수관로 설치공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암석지반에 형성된 발진수직구와 도달수직구 사이에 수평 하수관로를 형성시키기 위한 공법으로서, 원통형 몸체부 전단의 면판에 비트가 장착되어 지반을 수평으로 굴착하는 굴진기; 상기 굴진기를 밀어 전진시키는 압입기; 상기 굴진기와 압입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 굴착토사와 파쇄된 암석을 흡입 배출시키는 배토설비; 상기 굴진기의 몸체부와 동일한 관경을 갖는 다수개의 추진관; 및 상기 배토설비와 연결되도록 구성된 연결관과 상기 굴진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기선이 지나는 통관이 일체(一體)를 이루며, 상기 추진관에 삽입, 설치되는 연결부재; 를 이용하며, (a) 지상에 상기 제어장치를 설치하고, 발진수직구 내에 상기 압입기와 굴진기를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굴진기를 구동시켜 지반을 굴착함과 동시에 굴착토사와 파쇄된 암석을 지상으로 배출시키고, 상기 압입기로 상기 굴진기를 수평방향으로 밀어 전진시키는 단계; (c) 상기 굴진기가 전진함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가 삽입, 설치된 추진관을 상기 굴진기와 압입기 사이에 반복적으로 끼워 설치하는 단계; (d) 상기 굴진기가 도달수직구에 이르면 상기 굴진기와 압입기를 인양하여 회수하고, 상기 추진관에서 연결부재를 해체하여 인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굴착에 의한 하수관로 설치공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압입기는 수직으로 세워진 반력판; 상기 반력판 하단에 수평방향으로 직각결합된 추진지지대; 상기 반력판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전(前)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는 복수개의 추진잭; 및 추진잭과 함께 전후로 이동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반력판으로부터 이격된 대향면을 이루는 추진판;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a)단계에서는 상기 굴진기의 몸체부를 상기 추진지지대에 거치시키고, 그 후단은 상기 추진판에 접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굴착에 의한 하수관로 설치공법을 함께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굴진기의 면판에 장착된 비트는 상기 면판에 등각으로 배치된 방사상의 축을 따라 각각 구비되어 축회전하도록 구성된 아웃사이드 비트 및 상기 면판의 중심부에 몰려 있으며, 상기 아웃사이드 비트가 구비된 방사상의 축 사이 사이에 등각으로 배치된 축을 따라 각각 구비되어 축회전하도록 구성된 인사이드 비트가 구분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b)단계 및 (c)단계에서는 상기 아웃사이드 비트가 굴착공의 외측을 파쇄하고, 상기 인사이드 비트가 굴착공의 내측을 파쇄하며 상기 굴진기가 전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굴착에 의한 하수관로 설치공법을 함께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굴진기 면판의 후면에 결합되어 있으며, 굴착토사와 암석을 수용하고, 내장된 분쇄비트로 수용된 암석을 재파쇄하는 분쇄통; 이 굴진기에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b)단계 및 (c)단계에서는 상기 분쇄통에 유입된 암석을 분쇄비트로 2차 파쇄하여 지상으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굴착에 의한 하수관로 설치공법을 함께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굴진기의 몸체부 내에 설치되며, 지상에서 이어진 호스와 연결되어 상기 굴진기의 선단에 이수를 공급하는 송니관; 및 상기 송니관에 이수를 공급하는 이수탱크를 포함하여 구성된 이수공급설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토설비는, 상기 굴진기의 몸체부 내에 설치되며, 지상에서 이어진 호스와 연결되어 상기 분쇄통에서 진흙을 배출하는 배니관; 및 상기 배니관을 통해 배출된 진흙을 수용하여 토사와 분쇄된 암석을 침전시키고, 진흙에서 분리된 물은 상기 이수탱크로 공급하는 침전탱크;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연결관은 상기 송니관과 배니관에 각각 연통되도록 분리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b)단계와 (c)단계는 굴착공에 이수를 주입하며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굴착에 의한 하수관로 설치공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반 상태가 암반지반인지 점토지반인지에 구애받지 않고 비개착식으로 하수관로를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추진굴착에 의한 하수관로 설치공법을 시행하기 위한 구성 장비의 설치상태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추진굴착에 의한 하수관로 설치공법을 각 단계별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굴진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추진관과 연결부재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추진굴착에 의한 하수관로 설치공법을 시행하기 위한 구성 장비의 설치상태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추진굴착에 의한 하수관로 설치공법을 각 단계별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굴진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추진관과 연결부재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1]과 함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장비를 먼저 개별적으로 설명하고, 첨부된 [도 2]와 함께 본 발명이 제공하는 추진굴착에 의한 하수관로 설치공법을 각 공정별로 나누어 설명하기로 한다.
Ⅰ. 본 발명에 사용되는 장비 및 설비
1. 굴진기
상기 굴진기(100)는 원통형의 몸체부(110) 전단의 면판(120)에 비트가 장착되어 지반을 수평으로 굴착하는 장비이다.
상기 원통형의 몸체부(110) 내에는 비트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동모터, 굴진방향을 통제하기 위한 방향수정잭, 굴진기의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포지션센서 등을 필요에 따라 장착해 둘 수 있다.
상기 비트는 몸체부(110) 전단의 면판(120)에 장착되어 지반을 굴착하는 구성요소로서, 여러 가지 형태로 구성하여 배치할 수 있다. 그러나 암석지반을 효율적으로 굴착하기 위해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착공의 외측을 파쇄하는 아웃사이드 비트(130)와 굴착공의 내측을 파쇄하는 인사이드 비트(140)를 분리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아웃사이드 비트(130)는 면판(120)에 등각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방사상 축을 따라 각각 구비되어 축회전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인사이드 비트(140)는 상기 아웃사이드 비트가 구비된 방사상의 축 사이 사이에 등각으로 배치된 축을 따라 각각 구비되어 축회전하도록 구성하여 굴착공의 안쪽과 바깥쪽이 동시에 파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굴진기(100)는 면판(120) 후면에 결합되어 굴착토사와 암석을 수용하고, 내장된 분쇄비트(미도시)로 수용된 암석을 재파쇄하는 분쇄통(1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암석지반을 굴착하는 경우 전술한 아웃사이드 비트(130)와 인사이드 비트(140)로 1차적으로 분쇄한 암석을 그대로 지반 외부로 배출시키기에는 무리가 있으므로, 상기 분쇄통(150) 내에서 분쇄비트로 2차적인 분쇄를 한 후 이를 지반 외부로 배출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암석지반의 경우 면판의 전면에 장착되어 구동되는 아웃사이드 비트(130)와 인사이드 비트(140)로 1차적인 파쇄를 하고, 파쇄된 암석을 면판(120)의 후면에 장착된 분쇄통(150)에 유입시켜 분쇄비트로 2차적인 파쇄를 함으로써 암석지반 굴착 작업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게 된다.
2. 압입기
압입기(200)는 상기 굴진기(100)를 밀어 전진시키는 장비이다. 상기 압입기(200)는 발진수직구(1)의 일측 벽체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벽체의 반대쪽으로 굴진기(100)를 밀어내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압입기(200)는 수직으로 세워진 반력판(210); 상기 반력판(210) 하단에 수평방향으로 직각결합된 추진지지대(220); 상기 반력판(210)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전(前)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는 복수개의 추진잭(230); 및 추진잭(230)과 함께 전후로 이동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반력판(210)으로부터 이격된 대향면을 이루는 추진판(240); 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굴진기(100)의 몸체부(110)를 상기 추진지지대(220)에 거치시키고, 굴진기(100)의 몸체부(110) 후단은 상기 추진판(240)에 접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추진잭(230)이 상기 반력판(210)에 지지된 채 전(前)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면 상기 추진판(240)이 전진하면서 굴진기(100)를 밀도록 구동되는 것이다.
3. 제어장치
제어장치(300)는 상기 굴진기(100)와 압입기(2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사람이 맨홀에 들어가 굴진기와 압입기를 작동시키기는 어려우므로 상기 제어장치(300)를 지상에 설치하여 자동 또는 수동으로 상기 굴진기와 압입기의 구동을 조작할 수 있도록 것이다.
5. 이수공급설비
이수공급설비(700)는 점토지반 굴착시 지반침하 방지를 위해 부가적으로 설치되어 굴착면에 이수(泥水)를 공급하는 설비이다. 상기 이수공급설비(700)는, 상기 굴진기(100)의 몸체부(110) 내에 설치되며, 지상에서 이어진 호스(730)와 연결되어 상기 굴진기(100)의 선단에 이수를 공급하는 송니관(710); 및 상기 송니관(710)에 이수를 공급하는 이수탱크(7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지상에 설치된 이수탱크(720)에 저장된 이수는 송니관(710)을 통해 굴착면에 주입되는 것이다.
연약한 충적 점토층에서는 이수압이 정지토압보다 적으면 지반침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연약한 점토층 등에서는 상기 이수공급설비(700)를 통해 굴착면의 이수압을 높게 관리할 수 있다. 즉, 상기 이수공급설비(700)는 이수압에 의해 굴착면에 작용하는 토압 및 수압에 대응하고, 굴착면에서 지반 내에 이수를 침투시켜 굴착지반에 점착성을 발휘시키기 위한 장비이다. 이수는 점토에 벤토나이트 및 CMC를 첨가하여 토질에 따라 비중, 점성, 안정성 및 탈수성을 조절할 수 있다.
5. 배토설비
배토설비(400)는 굴진기(100) 구동에 의해 발생한 굴착토사와 파쇄된 암석을 흡입하여 지상으로 배출시키는 설비이다. 상기 굴착토사와 파쇄된 암석은 액상화되어야 흡입, 배출이 용이해지므로 굴진기(100)의 분쇄통 내에서 전술한 이수와 혼합하여 진흙으로 만들어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배토설비(400)는, 상기 굴진기(100)의 몸체부(110) 내에 설치되며, 지상에서 이어진 호스(420)와 연결되어 상기 분쇄통(150)에서 진흙을 배출하는 배니관(410) 및 상기 배니관(410)을 통해 배출된 진흙을 수용하여 토사와 분쇄된 암석을 침전시키는 침전탱크(43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침전탱크(430)에서 진흙과 분리된 물은 상기 이수탱크(720)로 공급함으로써 물을 재활용할 수 있다.
6. 추진관
추진관(500)은 본 공법의 완료시 하수관로로 남아 있게 되는 것이며, 본 공법 진행 중에는 굴진기(100)와 압입기(200) 사이에 설치되어 굴착공정의 진행에 따라 굴진기(100)를 밀어내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추진관(500)은 상기 굴진기(100)에 의해 형성된 굴착공에 삽입되어야 하므로 상기 굴진기(100)의 몸체부(110)와 동일한 관경으로 형성되며, 발진수직구(1)와 도달수직구(2) 사이의 거리에 따라 다수개가 사용된다. 다수개의 추진관(500)이 설치되는 경우 추진관(500) 간에 벌어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강하게 연결되어야 한다.
7. 연결부재
상기 굴진기(100)가 전진하고, 굴진기(100)와 압입기(200) 사이에 추진관(500)이 설치하는 과정에서는 배토설비(400), 전기선, 이수공급설비(700) 등의 연결이 문제된다. 상기 연결부재(600)는 위 문제 해결을 위한 구성요소로서 배토설(400)비와 연결되도록 구성된 연결관(620)과 상기 굴진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기선이 지나는 통관(610)이 일체(一體)를 이루며, 상기 추진관(500)에 삽입, 설치된다. 상기 굴진기(100)의 몸체부 내에 송니관(710)과 배니관(410)이 형성된 경우, 상기 연결부재(600)의 연결관(620)은 상기 송니관(710)과 배니관(410)에 각각 연통되도록 분리 형성시킨다. 즉, 상기 연결관(620)은 송니관(710)과 배니관(410)이 추진관(500) 내에서 연장되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통관(610)은 전기선의 설치공간이 되는 것이다.
Ⅱ. 추진굴착에 의한 하수관로 설치공법
1. (a)단계
본 단계는 지상에 상기 제어장치(300)를 설치하고, 발진수직구(1) 내에 상기 압입기(200)와 굴진기(100)를 설치하는 단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반력판(210), 추진지지대(220), 추진잭(230) 및 추진판(2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압입기(200)를 설치하는 경우 본 단계에서는 상기 굴진기(100)의 몸체부(110)를 상기 추진지지대(220)에 거치시키고, 그 후단은 상기 추진판(240)에 접하도록 설치한다([도 2]의 (a) 참조).
2. (b)단계
본 단계는 상기 굴진기(100)를 구동시켜 지반을 굴착함과 동시에 굴착토사와 파쇄된 암석을 지상으로 배출시키고, 상기 압입기(200)로 상기 굴진기(100)를 수평방향으로 밀어 전진시키는 단계이다. 발진수직구(1)에서 처음으로 굴착작업을 시행할 때에는 굴착공 입구에서 지반의 붕괴, 노면함몰 등의 위험이 있으므로 굴착공의 입구부위에 가설벽(10)을 설치하여 가설벽(10)의 부분파괴를 통해 원지반의 교란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설벽(10)은 발진갱구가 되어 굴진기(100)가 굴착작업을 진행하며 발생하는 지하수, 이수, 토사 등이 발진수직공 내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3. (c)단계
본 단계는 상기 굴진기(100)가 전진함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600)가 삽입, 설치된 추진관(500)을 상기 굴진기(100)와 압입기(200) 사이에 반복적으로 끼워 설치하는 단계이다. 막장의 안정을 위해 굴착작업과 압입(추진)작업을 동시에 진행해야 하며, 연약지반의 경우에는 이수 주입작업과 병행하여야 한다. 이 경우 굴진속도는 송,배니설비의 이수처리 능력에 맞춰 밸런스를 유지하여 조작해야 하며, 2~5cm/min의 속도로 굴진하는 것이 적당하다. 이 때 추진관 주변에 작용하는 마찰력과 부착력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관과 흙의 접촉부에 활재를 주입할 수 있으며, 지반침하 방지를 위한 뒷채움재 주입작업을 병행할 수 있다. 상기 추진관(500) 복수개가 연속적으로 설치될 때에는 추진관(500)끼리 접하는 부분을 결속시켜 누수와 관내 토사 유입을 방지토록 해야 한다.
4. (d)단계
본 단계는 상기 굴진기(100)가 도달수직구(2)에 이르면 상기 굴진기(100)와 압입기(200)를 인양하여 회수하고, 상기 추진관(500)에서 연결부재(600)를 해체하여 인양하는 단계이다. 굴진기(100)가 도달수직구(2)에 도달하는 부위에도 지반의 붕괴나 노면함몰을 방지하기 위해 가설벽을 설치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설벽은 도달갱구가 되어 굴진기(100)가 도달갱에 도착할시 토류 절단면과 굴진기의 간격에서 지하수, 이수, 토사 등이 도달수직구(2)에 분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1 :발진수직구 2 : 도달수직구
10 : 가설벽
100 : 굴진기 110 : 몸체부
120 : 면판 130 : 아웃사이드 비트
140 : 인사이드 비트 150 : 분쇄통
200 : 압입기 210 : 반력판
220 : 추진지지대 230 : 추진잭
240 : 추진판
300 : 제어장치
400 : 배토설비 410 : 배니관
420 : 호스 430 : 침전탱크
500 : 추진관
600 : 연결관
700 : 이수공급설비 710 : 송니관
720 : 이수탱크 730 : 호스

Claims (5)

  1. 지반에 형성된 발진수직구와 도달수직구 사이에 수평 하수관로를 형성시키기 위한 공법으로서,
    원통형 몸체부 전단의 면판에 비트가 장착되어 지반을 수평으로 굴착하는 굴진기; 상기 굴진기를 밀어 전진시키는 압입기; 상기 굴진기와 압입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 굴착토사와 파쇄된 암석을 흡입 배출시키는 배토설비; 상기 굴진기의 몸체부와 동일한 관경을 갖는 다수개의 추진관; 및 상기 배토설비와 연결되도록 구성된 연결관과 상기 굴진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기선이 지나는 통관이 일체(一體)를 이루며, 상기 추진관에 삽입, 설치되는 연결부재; 를 이용하며,
    (a) 지상에 상기 제어장치를 설치하고, 발진수직구 내에 상기 압입기와 굴진기를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굴진기를 구동시켜 지반을 굴착함과 동시에 굴착토사와 파쇄된 암석을 지상으로 배출시키고, 상기 압입기로 상기 굴진기를 수평방향으로 밀어 전진시키는 단계;
    (c) 상기 굴진기가 전진함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가 삽입, 설치된 추진관을 상기 굴진기와 압입기 사이에 반복적으로 끼워 설치하는 단계;
    (d) 상기 굴진기가 도달수직구에 이르면 상기 굴진기와 압입기를 인양하여 회수하고, 상기 추진관에서 연결부재를 해체하여 인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굴착에 의한 하수관로 설치공법.
  2. 제1항에서,
    상기 압입기는 수직으로 세워진 반력판; 상기 반력판 하단에 수평방향으로 직각결합된 추진지지대; 상기 반력판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전(前)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는 복수개의 추진잭; 및 추진잭과 함께 전후로 이동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반력판으로부터 이격된 대향면을 이루는 추진판;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a)단계에서는 상기 굴진기의 몸체부를 상기 추진지지대에 거치시키고, 그 후단은 상기 추진판에 접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굴착에 의한 하수관로 설치공법.
  3. 제2항에서,
    상기 굴진기의 면판에 장착된 비트는 상기 면판에 등각으로 배치된 방사상의 축을 따라 각각 구비되어 축회전하도록 구성된 아웃사이드 비트 및 상기 면판의 중심부에 몰려 있으며, 상기 아웃사이드 비트가 구비된 방사상의 축 사이 사이에 등각으로 배치된 축을 따라 각각 구비되어 축회전하도록 구성된 인사이드 비트가 구분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b)단계 및 (c)단계에서는 상기 아웃사이드 비트가 굴착공의 외측을 파쇄하고, 상기 인사이드 비트가 굴착공의 내측을 파쇄하며 상기 굴진기가 전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굴착에 의한 하수관로 설치공법.
  4. 제3항에서,
    상기 굴진기는, 상기 면판의 후면에 결합되어 있으며, 굴착토사와 암석을 수용하고, 내장된 분쇄비트로 수용된 암석을 재파쇄하는 분쇄통;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b)단계 및 (c)단계에서는 상기 분쇄통에 유입된 암석을 분쇄비트로 2차 파쇄하여 지상으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굴착에 의한 하수관로 설치공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굴진기의 몸체부 내에 설치되며, 지상에서 이어진 호스와 연결되어 상기 굴진기의 선단에 이수를 공급하는 송니관; 및 상기 송니관에 이수를 공급하는 이수탱크를 포함하여 구성된 이수공급설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토설비는, 상기 굴진기의 몸체부 내에 설치되며, 지상에서 이어진 호스와 연결되어 상기 분쇄통에서 진흙을 배출하는 배니관; 및 상기 배니관을 통해 배출된 진흙을 수용하여 토사와 분쇄된 암석을 침전시키고, 진흙에서 분리된 물은 상기 이수탱크로 공급하는 침전탱크;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연결관은 상기 송니관과 배니관에 각각 연통되도록 분리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b)단계와 (c)단계는 굴착공에 이수를 주입하며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굴착에 의한 하수관로 설치공법.
KR1020160064162A 2016-05-25 2016-05-25 추진굴착에 의한 하수관로 설치공법 KR201701331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162A KR20170133125A (ko) 2016-05-25 2016-05-25 추진굴착에 의한 하수관로 설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162A KR20170133125A (ko) 2016-05-25 2016-05-25 추진굴착에 의한 하수관로 설치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3125A true KR20170133125A (ko) 2017-12-05

Family

ID=60920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4162A KR20170133125A (ko) 2016-05-25 2016-05-25 추진굴착에 의한 하수관로 설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312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93813B (zh) 地下管道盾构掘进机
CN108386608A (zh) 小管径塑料排水管顶管机具及塑料排水管顶管施工方法
KR20040053756A (ko) 지하 매설관내 자주식 전단면 굴착장치
EP2102418A2 (en) Foundation system for the forming of a foundation pile in the ground
CN207864776U (zh) 一种顶管施工结构
KR20170133125A (ko) 추진굴착에 의한 하수관로 설치공법
CN106032674A (zh) 一种开挖沟槽和回填挖方的推土机
KR100880365B1 (ko) 산업시설용 수중구조물의 수중설치를 위한 확공굴착용굴착장치
CN103161469A (zh) 开挖竖井地下修复顶管工具管的方法
JP2003214085A (ja) シールド掘進機の到達時における坑口形成方法およびシールド掘進機
JP5284168B2 (ja) 土留部材建込用掘削部材および土留部材建込工法
KR100829872B1 (ko) 맨홀터파기용 입갱 추진 교체 공법 및 그 장치
JPH10220173A (ja) 埋設管敷設用複合泥水加圧推進工法およびその装置
CN114060050A (zh) 一种管道原位破除更新施工方法
US9650833B2 (en) Portable modular earth boring machine
KR101237749B1 (ko) 쉴드공법에 사용되는 추진장치의 헤드
JP2011226179A (ja) 既設コンクリート杭の破砕排出装置
KR101368999B1 (ko) 관거매설공의 보강이 가능한 관거 추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거 시공 공법
JP4428888B2 (ja) トンネル計画線上の地盤中の被圧水排水方法
WO2020049473A1 (en) Jet-system pipe laying procedure and device for implementing the procedure
KR200378376Y1 (ko) 지하 매설관내 자주식 전단면 굴착장치
JP7396709B1 (ja) 地盤削孔方法、並びに地盤削孔装置の削孔制御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20050103622A (ko) 지중 매설용 관로의 선단추진 장치
KR200361243Y1 (ko) 강관압입 굴착용 수평굴착장치
JPS594029B2 (ja) 地盤の圧密強化を同時に行う貫通配管工法および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