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2765A - 케이블에 대해 전기적 접촉부를 크림핑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행하기 위한 공구 - Google Patents

케이블에 대해 전기적 접촉부를 크림핑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행하기 위한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2765A
KR20170132765A KR1020177027387A KR20177027387A KR20170132765A KR 20170132765 A KR20170132765 A KR 20170132765A KR 1020177027387 A KR1020177027387 A KR 1020177027387A KR 20177027387 A KR20177027387 A KR 20177027387A KR 20170132765 A KR20170132765 A KR 20170132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imping
continuous
curvature
electrically conductive
radi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7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1413B1 (ko
Inventor
로랑 들레슈뤼즈
로랑 트리스타니
브누아 뵈르
Original Assignee
델피 인터내셔널 오퍼레이션즈 룩셈부르크 에스.에이 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델피 인터내셔널 오퍼레이션즈 룩셈부르크 에스.에이 알.엘. filed Critical 델피 인터내셔널 오퍼레이션즈 룩셈부르크 에스.에이 알.엘.
Publication of KR20170132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2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1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1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01R43/048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with crimp height adjust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 H01R4/185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combined with a U-shaped insulation-receiving por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계적 유지 부분(140)과 전기적 전도 부분(150)을 획득하는 방식으로 상이한 높이로 접촉부(100)가 케이블(200)에 대해 크림핑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계적 유지 부분(140)과 전기적 전도 부분(150)의 최종 크림핑 높이 사이의 차이는 0.5와 0.6 mm 사이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크림핑 방법의 결과로서 케이블(200)에 대해 크림핑된 접촉부(100) 및 상기 방법을 이행하기 위한 공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케이블에 대해 전기적 접촉부를 크림핑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행하기 위한 공구
본 발명은 전기적 연결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전기적 케이블에 전기적 접촉부를 크림핑하는 방법, 이러한 방법으로 크림핑된 전기적 접촉부 및 이러한 방법을 이행하기 위한 공구에 관한 것이다.
연결 기술에서, 수형 및 암형 전기적 접촉부는 예로서 케이블 커넥터 사이 또는 케이블 커넥터와 전기적 또는 전자 디바이스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수형 및 암형 전기적 접촉부의 커플링을 사용한다. 케이블 커넥터의 경우에, 수형 또는 암형 접촉부는 하나 이상의 스트랜드를 포함하는 케이블에 용접, 크림핑 또는 다른 기술에 의해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자동차 연결부에서, 접촉부는 종종 구리 시트를 스탬핑 및 굴곡함으로써 형성된다. 케이블 또한 일반적으로 구리로 형성된다.
특히 차량의 전기적 하네스의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구리 케이블은 때때로 다수의 전도체 스트랜드를 포함하는 알루미늄 케이블로 대체된다. 구리 케이블을 알루미늄 케이블로 대체하는 것은 몇몇 문제점을 나타낸다. 일차적으로, 알루미늄은 산화물 층으로 덮여져 있고, 알루미늄 케이블과 구리 접촉부 사이의 접촉부 구역의 영역에서 전기적 전도가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완화시키기 위해, 한편으로는 더 양호한 전도성을 갖도록 산화물 층을 파괴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크림핑 이후 산화물 층의 재형성을 방지하기를 시도한다. 이를 위해, 크림핑 구역에서의 케이블의 압축 수준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압축 수준의 이러한 증가는 이렇게 압축되는 구역에서 케이블의 기계적 강도가 감소되게 한다.
문헌 US7306495B2는 크림핑 방법을 제안하며,
●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전도체 스트랜드를 갖는 전기적 케이블, 및
●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베이스와 두 개의 날개부(fin)를 포함하는 크림핑 구역을 구비한 전기적 접촉부를 제공하고, 두 개의 날개부는 길이 방향에 수직인 평면에서 기본적으로 U 형상 단면을 갖는 홈을 형성하도록 베이스의 각 측부에서 연장한다.
이러한 방법에서는 또한 케이블 상에 날개부를 굴곡 및 압축함으로써 케이블에 대한 크림핑 구역의 크림핑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두 개의 상이한 크림핑 높이를 갖는 펀치를 포함하는 공구를 사용한다. 따라서, 크림핑 이후, 자체적으로 기계적 유지 부분과 전기적 전도 부분을 포함하는 크림핑 구역을 얻게 된다. 기계적 유지 및 전기적 전도 부분은 서로 재료가 연속된다. 달리 말해서, 케이블의 각 측부 상의 단일 날개부와의 접촉부로부터 시작하여, 이들 날개부를 절단하거나 이들을 분할하여 이들을 다수의 부분으로 분리시키지 않고, 길이 방향에서의 연속적 크림핑 샤프트를 얻게 된다. 기계적 유지 및 기계적 전도 부분은 상이한 최종 크림핑 높이를 가지고, 기계적 유지 부분의 최종 크림핑 높이는 전기적 전도 부분의 최종 크림핑 높이보다 높다.
따라서, 기계적 유지 구역에서, 케이블의 스트랜드는 덜 압축되고(압축 수준은 예로서 20과 30% 사이임), 그래서, 그 기계적 특성의 무결성이 본질적으로 보전되며, 크림핑 샤프트에서 케이블의 유지는 사양을 충족한다. 예로서, 1.5 mm2의 구리 와이어에 대하여, 이 유지력은 155 N을 초과하여야 한다. 전기적 전도 구역에서, 케이블의 스트랜드는 더 많이 압축되고(압축 수준은 예로서 50와 65% 사이임), 따라서, 그 곳의 기계적 특성은 기계적 유지 구역에 비해 열화된다. 다른 한편, 전기적 전도 구역에서의 전기적 저항율은 기계적 유지 구역에서보다 작다.
그러나, 특정 경우에, 이러한 유형의 방법으로 크림핑된 접촉부의 전기적 및 기계적 특성이 시간이 흐르면서 열화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단점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완화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전기적 접촉부를 크림핑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여기서, 또한, 기계적 유지 부분과 전기적 전도 부분의 최종 크림핑 높이 사이의 차이는 0.4과 0.7 mm 사이이고, 특정 경우에는 0.5와 0.6 mm 사이이다.
이러한 배열(예로서, 크림핑 펀치의 기하형상으로부터 초래될 수 있음)의 도움으로, 기계적 유지 부분과 전기적 전도 부분 사이의 천이 구역에서의 접촉부의 변형이 제한되고, 접촉부는 어떠한 균열도 파열도 갖지 않는다. 또한, 구리 접촉부가 예로서, 주석제 보호 층으로 덮여지는 경우, 후자의 무결성이 온전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케이블과 접촉부 사이의 전기화학적 전위차에 기인한 전해 부식의 문제를 피할 수 있다.
또한, 단독으로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것과의 조합으로 고려되는 다음의 특성 중 하나 또는 다른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 크림핑은 길이 방향으로(접촉부가 펀치를 포함하는 크림핑 공구에 위치될 때) 1.5 mm 이상의 거리를 두고 전기적 전도 부분의 영역에서 날개부를 압축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리고,
- 크림핑은 길이 방향으로 그 각각의 길이에 걸쳐 일정한 높이에서 기계적 유지 부분의 영역에서 그리고 전기적 전도 부분의 영역에서 날개부를 압축시킴으로서 이루어지고, 전기적 전도 부분과 기계적 유지 부분 사이에 천이 구역을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의(접촉부가 펀치를 포함하는 크림핑 공구 내에 위치될 때) 천이 구역의 치수는 0.3 mm와 0.6 mm 사이이다.
다른 양태에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방법으로 크림핑된 전기적 접촉부에 관한 것이다. 이 접촉부는 기계적 유지 부분과 전기적 전도 부분 사이에 연속부(run)를 가지며, 그 높이는 0.4와 0.7 mm 사이이고, 특정 경우에 0.5와 0.6 mm 사이이다.
또한, 이 접촉부에 대하여 단독으로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것과의 조합으로 고려되는 다음의 특성 중 하나 또는 다른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 연속부는 0.1 mm와 0.5 mm 사이의 곡률 반경을 갖는 라운딩된 내부 굴곡부를 갖는다;
- 연속부는 0.1 mm와 0.5 mm 사이의 곡률 반경을 갖는 라운딩된 외부 굴곡부를 갖는다;
- 내부 및 외부 굴곡부의 곡률 반경의 합은 0.3와 0.5 mm 사이이다; 그리고,
- 내부 접힘부의 곡률 반경은 0.1 mm와 0.2 mm 사이이고, 예로서, 0.1 mm와 같으며, 외부 접힘부의 것은 0.1 mm와 0.4 mm 사이이고, 예로서, 0.2 mm와 같다.
다른 양태에 따라서, 본 발명은 전기적 접촉부를 크림핑하는 방법을 이행하기 위한 크림핑 펀치를 포함하는 공구에 관한 것이다. 이 펀치는 길이 방향에 수직인 평면에서 실질적으로 W 형상 단면을 갖는 홈을 포함한다. 이 홈은 길이 방향으로 두 개의 연속적 세그먼트인, 기계적 유지 부분의 영역에서 날개부를 압축하기 위한 더 깊은 세그먼트 및 전기적 전도 부분의 영역에서 날개부를 압축하기 위한 덜 깊은 세그먼트를 구비하고, 이들 두 개의 세그먼트 사이의 높이 차이는 0.4와 0.7 mm 사이 이하 또는 특정 경우에 0.5와 0.6 mm 사이이다.
또한, 이 접촉부에 대하여 단독으로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것과의 조합으로 고려되는 다음의 특성 중 하나 또는 다른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 전기적 전도 부분의 영역에서 날개부를 압축하는 세그먼트는 1.5 mm 이상의 길이 방향으로의 치수를 갖는다;
- 두 개의 세그먼트 사이의 높이 차이는 그 연속부 에지가 0.1 mm와 0.5 mm 사이의 곡률 반경을 갖는 연속부를 형성한다;
- 연속부의 저부는 0.1 mm와 0.5 mm 사이의 곡률 반경으로 라운딩된다;
- 연속부 에지와 연속부 저부의 곡률 반경의 합은 0.3와 0.5 mm 사이이다; 그리고,
- 연속부 에지의 곡률 반경은 0.1 mm와 같고, 연속부 저부의 곡률 반경은 0.2 mm와 같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상세한 설명과 첨부 도면을 읽으면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케이블에 아직 크림핑되지 않은 접촉부의 예를 사시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케이블에 대해 그 크림핑 날개부를 크림핑한 이후의 도 1의 접촉부의 크림핑 구역을 측면 입면도로 도시한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접촉부의 크림핑 구역의 두 개의 횡방향 단면을 나타내고, 이들 단면 중 하나는 기계적 유지 부분의 영역에서 형성되고, 이들 단면 중 나머지는 전기적 전도 부분의 영역에서 형성된다.
도 4는 크림핑 공구를 개략적으로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5는 도 4의 크림핑 공구의 상세를 개략적으로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6은 도 4 및 도 5의 크림핑 공구의 상세를 개략적으로 단면도로 도시한다.
이들 도면에서, 동일 또는 유사 요소를 나타내기 위해 동일 참조번호가 사용된다.
도 1은 자동차의 커넥터 공동(도시하지 않음)에 장착되도록 설계된 전기적 접촉부(100)를 도시한다. 접촉부(100)는 예로서, 구리 시트를 스탬핑 및 굴곡함으로써 실현된다. 이 구리 시트의 두께는 예로서 0.2와 0.5 mm 사이이다. 도시된 경우에, 이는 직선 암형 접촉부(100)이고, 역시 커플링 방향에 대응하는 길이 방향(L)으로 연장한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경우에, 접촉부(100)는 예로서 직각 접촉부일 수 있다. 접촉부(100)는 여기서 베어링 밴드(bearing band)(101)에 부착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며, 접촉부(100)는 가능한 주석 도금 이후 추후 단계에서 이 베어링 밴드로부터 분해될 것이다.
접촉부(100)는 커플링 부분(110), 케이블(200)의 전도체 스트랜드(210)에 대한 크림핑 구역(120) 및 이 케이블의 절연체(220)에 대한 크림핑 단부(130)를 구비한다(도 2 참조). 도 1에 도시된 경우에, 커플링 부분(110), 크림핑 구역(120) 및 크림핑 단부(130)는 역시 커플링 방향에 대응하는 길이 방향(L)을 따라 서로 연속적이다. 직각 접촉부의 경우에, 커플링 부분(110)은 그 자체가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장하는 크림핑 구역(120) 및 크림핑 단부(130)에 대해 수직일 수 있다. 그러나, 이하의 설명이 직선 접촉부를 포함하더라도, 숙련자는 직각 또는 다른 접촉부에 대한 그 치환을 쉽게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크림핑 이전에, 크림핑 구역(120)은 베이스(126)의 각 측에서 연장하는 두 개의 날개부(122, 124)를 갖는 거터(gutter)의 형태로 제공된다. 두 개의 날개부(122, 124)와 베이스(126)는 따라서 크림핑 이전에, 길이 방향(L)에 수직인 평면에서 기본적으로 U-형상 단면을 갖는 홈을 형성한다. 각 날개부(122 또는 124)는 그 전체 길이에 대해 연속적이다. 달리 말하면, 날개부(122 또는 124)는 슬릿도 절단부도 갖지 않는다.
접촉부(100)는 케이블(200) 상으로의 크림핑 단계가 행해지고, 그 동안, 날개부(122, 124)는 케이블(200)의 나선 부분(bare portion)에 대해 굴곡 및 압축된다. 이러한 크림핑 단계는 케이블(200)의 단부를 크림핑 구역(120)과 크림핑 단부(130)의 각각의 홈 내로 삽입하고, 크림핑 구역(120)의 영역에서 숙련자에게 공지된 유형의 엔빌(도시되지 않음)과 후술될 펀치(300) 사이에서 접촉부(100)를 타격함으로써 수행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체(220)가 박피된 케이블(200)의 부분의 스트랜드에 대한 이러한 크림핑 단계 이후, 크림핑 구역(120)은 기계적 유지 부분(140), 전기적 전도 부분(150) 및 이들 두 개의 부분 사이의 천이 구역(160)을 갖는다. 기계적 유지 부분(140), 전기적 전도 부분(150) 및 천이 구역(160)은 서로 재료가 연속적이며, 길이 방향(L)으로 어떠한 슬릿도 절단부도 갖지 않는다.
기계적 유지 부분(140) 및 전기적 전도 부분(150)은 길이 방향(L)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이하면서 엔빌을 향한 그리고 서로를 향한 펀치(300)의 변위의 방향(D)에 대응하는 최종 크림핑 높이를 갖는다. 기계적 유지 부분(140)의 최종 크림핑 높이(또한 도 3b 참조)는 전기적 전도 부분(150)의 최종 크림핑 높이(또한 도 3a 참조)만큼 높지 않다.
기계적 유지 부분(140) 및 전기적 전도 부분(150)의 높이는 각각 그 각각의 길이에 대해 실질적으로 일정하다. 따라서, 높이 차이는 실질적으로 고정되고, 0.20와 0.39 mm 사이의 구리 시트의 두께에 대하여 그리고 그 직경이 1.25와 4 mm 사이 또는 심지어 0.75와 6 mm 사이인 알루미늄 케이블에 대하여, 높이 차이는 0.5 mm와 0.6 mm 사이일 수 있다. 높이 차이는 접촉부(100)를 형성하는 시트의 균열 또는 파열의 생성을 피하면서 기계적 유지 부분(140)와 전기적 전도 부분(150)에서 각각 매우 상이한 압축 수준을 획득하기에 충분하다. 이는 구리가 주석 도금될 때 특히 중요하다. 사실, 주석 도금된 구리 층의 파열 또는 균열은 하위 구리를 노출시키며, 따라서, 장기적으로 전기화학적 부식 효과를 유발하여, 접촉부가 기계적으로 취성이 되게 하며, 특히, 접촉부/케이블 계면의 영역에서 그 전도를 열화시킨다.
크림핑 이전의 케이블(200)의 단면과 크림핑 이후의 케이블(200)의 단면 사이의 비율로서 압축 수준을 정의한다. 이때, 각각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접촉부(100)의 단면, 그리고, 따라서, 케이블(200)의 단면을 비교함으로써, 케이블(200)의 압축 수준이 기계적 유지 부분(140)의 영역(도 3a)에서보다 전기적 전도 부분(150)의 영역(도 3b)에서 더 크다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예로서, 접촉부와 케이블 사이의 양호한 전기적 저항을 획득하기 위해, 전기적 전도 부분(150)의 영역에서의 압축 수준은 유리하게는 50% 이상(65% 까지)의 수준이며, 기계적 유지 부분(140)의 영역에서의 압축 수준은 20와 30% 사이이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예에서, 전기적 전도 부분(150)의 길이(lce)(즉, 길이 방향(L)으로)는 1.5 mm보다 크다. 본 발명자는 1.4 mm보다 작은 길이(lce)의 경우, 전기적 전도 부분(150)의 영역에서의 압축 수준에 무관하게, 크림핑의 전기적 저항은 0.3 mΩ보다 크고, 시간이 흐름에 따라 변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는 50% 미만의 전기적 전도 부분(150)의 영역에서의 압축 수준의 경우, 길이(lce)에 무관하게 크림핑의 전기적 저항은 0.3 mΩ보다 크고, 시간이 흐름에 따라, 변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다른 한편, 1.4 mm보다 큰 길이(lce) 및 50% 보다 큰 전기적 전도 부분(150)에서의 압축 수준의 경우, 시간에 걸쳐 안정적인 0.3 mΩ보다 작은 전기적 전도 부분의 영역에서의 저항을 획득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길이 방향(L)에서 천이 구역(160)의 치수는 0.3 mm와 0.6 mm 사이이다. 본 경우에, 이는 0.3 mm이다.
전기적 전도 부분(150)과 기계적 유지 부분(140) 사이의 높이 차이는 내부 굴곡부(162)와 외부 굴곡부(164)를 갖는 연속부를 형성한다. 내부 굴곡부(162) 및 외부 굴곡부(164)는 0.1 mm와 0.5 mm 사이의 곡률 반경으로 라운딩된다. 본 경우에, 내부 굴곡부(162)의 곡률 반경은 0.1 mm이고, 외부 굴곡부(164)의 곡률 반경은 0.2 mm이다. 본 경우에, 내부(162) 및 외부(164) 굴곡부의 곡률 반경의 합은 따라서 0.3 mm이다.
도 2, 도 3a 및 도 3b에 예시된 접촉부(100)는 도 4, 도 5 및 도 6에 예시된 펀치(300)를 포함하는 공구로 크림핑된다.
이 펀치(300)는 크림핑 동안 펀치(300)의 변위의 방향(D)에서, 높은 단부(310)와 낮은 단부(320) 사이에서 세장형인 실질적으로 평행육면체형 판의 형상을 갖는다(도 4 참조). 이 판은 크림핑 동안 길이 방향(L)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두께(E)를 갖는다. 낮은 단부(320)는 절결부(340)에 의해 분리되는 두 개의 치형부(330)를 갖는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결부(340)는 크림핑 동안 날개부(122, 124)의 성형을 가능하게 하는 펀치(300)의 부분에 대응한다. 절결부(340)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위치만큼 멀리 날개부(122, 124)를 합칠 수 있게 하는 V-형 입구부(342), 그후, 이들이 평행할 때 날개부(122, 124)를 수용하도록 실질적으로 평행한 벽을 갖는 채널(344), 그리고, 최종적으로 이를 향해, 그리고, 그후, 그 내부로 날개부(122, 124)가 케이블(200)의 상단부 상에 점진적으로 위치되게 할 수 있는 홈(346)을 갖는다.
이 홈(346)은 길이 방향(L)에 수직인 평면에서 실질적으로 W 형상 단면을 갖는다. 홈(346)은 길이 방향(L)으로 두 개의 연속적 세그먼트(348, 350)를 갖는다. 가장 깊은 세그먼트(348)는 기계적 유지 부분(140)의 영역에서 날개부(122, 124)를 압축하는 것이다. 가장 얕은 세그먼트(350)는 전기적 전도 부분(150)의 영역에서 날개부(122, 124)를 압축하는 것이다. 이들 두 세그먼트 사이의 높이 차이(h)는 0.5와 0.6 mm 사이일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된 예에서, 이 높이 차이(h)는 0.55 mm이다. 전기적 전도 부분(150)의 영역에서 날개부(122, 124)를 압축하는 세그먼트(350)의 길이는 1.4 mm 이상의 길이 방향으로의 치수를 갖는다. 여기에 설명된 예에서, 이는 1.5 mm이다.
세그먼트(348, 350) 사이의 높이 차이(h)는 연속부 에지(352)와 연속부 저부(354)를 갖는 연속부를 형성한다. 연속부 에지(352)는 예로서, 0.1 mm와 0.5 mm 사이의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된 경우에, 이는 0.1 mm이다. 연속부의 저부(354)는 마찬가지로 라운딩된다. 이는 예로서, 0.1 mm와 0.5 mm 사이의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된 경우에, 이는 0.2 mm이다.
또한, 접촉부의 임의의 보호 코팅(예컨대, 주석)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 홈의 리지(356)는 유사하게, 예로서, 0.15와 0.4 mm 사이의 곡률 반경으로 라운딩된다.

Claims (14)

  1. 전기적 접촉부(100)의 크림핑 방법이며,
    - 상기 방법은
    ●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전도체 스트랜드(210)를 갖는 전기적 케이블(200), 및
    ● 길이 방향(L)으로 연장하면서 베이스(126)와 두 개의 날개부(122, 124)를 포함하는 크림핑 구역(120)을 구비한 전기적 접촉부(100)로서, 두 개의 날개부는 길이 방향(L)에 수직인 평면에서 기본적으로 U 형상 단면을 갖는 홈을 형성하도록 베이스(126)의 각 측부에서 연장하는, 전기적 접촉부를 제공하고,
    - 상기 방법은 날개부(122, 124)를 케이블(200) 상에 굴곡 및 압축함으로써 케이블(200)에 대한 크림핑 구역(120)의 크림핑을 수행하며, 크림핑 구역(120)은 크림핑 이후 그 자체가 기계적 유지 부분(140)과 전기적 전도 부분(150)을 포함하고, 기계적 유지 부분(140) 및 전기적 전도 부분(150)은 서로 재료가 연속적이고, 기계적 유지 부분(140) 및 전기적 전도 부분(150)은 상이한 최종 크림핑 높이를 가지고, 기계적 유지 부분(140)의 최종 크림핑 높이는 전기적 전도 부분(150)의 최종 크림핑 높이보다 높은, 크림핑 방법에 있어서,
    기계적 유지 부분(140)과 전기적 전도 부분(150)의 최종 크림핑 높이 사이의 차이는 0.4와 0.7 mm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림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림핑은 전기적 전도 부분의 영역에서 날개부(122, 124)를 길이 방향(L)으로 거리 1.5 mm 이상으로 압축함으로써 이루어지는, 크림핑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크림핑은 전기적 전도 부분(150)의 영역 및 기계적 유지 부분(140)의 영역에서 길이 방향(L)으로 그 각각의 길이에 걸쳐 일정한 높이로 날개부(122, 124)를 압축함으로써 이루어지고, 길이 방향(L)으로의 그 치수가 0.3 mm와 0.6 mm 사이인, 전기적 전도 부분(150)과 기계적 유지 부분(140) 사이의 천이 구역(160)을 갖는, 크림핑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케이블에 대해 크림핑되는 전기적 접촉부이며,
    그 높이가 0.4와 0.7 mm 사이인, 기계적 유지 부분(140)과 전기적 전도 부분(150) 사이의 연속부를 포함하는, 전기적 접촉부.
  5. 제4항에 있어서, 연속부는 0.1 mm와 0.5 mm 사이의 곡률 반경을 갖는 라운딩된 내부 굴곡부(162)를 갖는, 전기적 접촉부.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연속부는 0.1 mm와 0.5 mm 사이의 곡률 반경을 갖는 라운딩된 외부 굴곡부(164)를 갖는, 전기적 접촉부.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부 굴곡부(162) 및 외부 굴곡부(164)의 곡률 반경의 합은 0.3와 0.5 mm 사이인, 전기적 접촉부.
  8.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부 접힘부(162)의 곡률 반경은 0.1 mm와 같고, 외부 접힘부(164)의 곡률 반경은 0.2 mm와 같은 접촉부.
  9. 전기적 접촉부(100)를 크림핑하는 방법을 이행하기 위한 크림핑 공구이며,
    펀치(300)를 포함하고, 이 펀치는 크림핑 공구 내에 위치될 때 전기적 접촉부(100)의 길이 방향(L)에 수직인 평면에서 실질적으로 W 형상 단면을 갖는 홈(346)을 구비하고, 이 홈(346)은 길이 방향(L)으로 두 개의 연속적 세그먼트(348, 350)를 갖고, 더 깊은 세그먼트(348)는 기계적 유지 부분(140)의 영역에서 전기적 접촉부(100)의 날개부(122, 124)를 압축하기 위한 것이고, 덜 깊은 세그먼트(350)는 전기적 전도 부분(150)의 영역에서 날개부(122, 124)를 압축하기 위한 것이고, 이들 두 세그먼트(348, 350) 사이의 높이 차이(h)는 0.4와 0.7 mm 사이인, 크림핑 공구.
  10. 제9항에 있어서, 전기적 전도 부분(150)의 영역에서 날개부(122, 124)를 압축하는 세그먼트(350)는 1.5 mm 이상의 길이 방향(L)으로의 치수를 갖는, 크림핑 공구.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두 개의 세그먼트(348, 350) 사이의 높이 차이는 그 연속부 에지(352)가 0.1 mm와 0.5 mm 사이의 곡률 반경을 갖는 연속부를 형성하는, 크림핑 공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부는 0.1 mm와 0.5 mm 사이의 곡률 반경을 갖는 라운딩된 연속부 저부(354)를 갖는, 크림핑 공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부 에지(352) 및 연속부 저부(354)의 곡률 반경의 합은 0.3와 0.5 mm 사이인, 크림핑 공구.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부 에지(352)의 곡률 반경은 0.1 mm와 같고, 연속부 저부(354)의 곡률 반경은 0.2 mm와 같은, 크림핑 공구.
KR1020177027387A 2015-03-06 2016-03-07 케이블에 대해 전기적 접촉부를 크림핑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행하기 위한 공구 KR1025214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551916A FR3033450B1 (fr) 2015-03-06 2015-03-06 Procede de sertissage d'un contact electrique sur un cable et outil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FR1551916 2015-03-06
PCT/EP2016/054804 WO2016142345A1 (fr) 2015-03-06 2016-03-07 Procédé de sertissage d'un contact électrique sur un câble et outil pour la mise en œuvre de ce procéd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2765A true KR20170132765A (ko) 2017-12-04
KR102521413B1 KR102521413B1 (ko) 2023-04-14

Family

ID=53794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7387A KR102521413B1 (ko) 2015-03-06 2016-03-07 케이블에 대해 전기적 접촉부를 크림핑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행하기 위한 공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86686B2 (ko)
EP (1) EP3266068B1 (ko)
KR (1) KR102521413B1 (ko)
CN (1) CN107408765B (ko)
FR (1) FR3033450B1 (ko)
WO (1) WO20161423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56137B1 (fr) * 2016-09-19 2019-05-10 Delphi Int Operations Luxembourg Sarl Outil de sertissage et contact electrique femelle
USD840942S1 (en) * 2017-11-02 2019-02-19 Vincent Paul DeVito Terminal crimp socket
JP2019212458A (ja) * 2018-06-04 2019-12-12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付き電線および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
FR3094144B1 (fr) 2019-03-21 2021-12-10 Aptiv Tech Ltd Dispositif et procédé de raccordement de fils électriques.
JP1711775S (ja) * 2021-10-21 2022-04-05 キャリア付き端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26515A1 (en) * 2003-07-30 2005-02-03 The Furukawa Electric Co., Ltd. Terminal crimping structure and terminal crimping method onto aluminum electric-wire and producing method of alminum electric-wire with terminal
US20130231012A1 (en) * 2010-07-19 2013-09-05 Stocko Contact Gmbh & Co. Kg Crimping Sleeve for Crimped Connections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0173A (en) * 1987-05-29 1988-12-13 Amp Incorporated Shut height adjustment means in pressing apparatus
FR2635285B1 (fr) * 1988-08-12 1990-11-23 Ricard Claude Procedes et dispositifs pour sertir mecaniquement des terminaux sur des fils conducteurs et pour regler avec precision la hauteur de sertissage
JPH0680263U (ja) * 1993-04-27 1994-11-08 矢崎総業株式会社 圧着端子
US6230406B1 (en) * 1999-01-11 2001-05-15 Electric Motion Company, Inc. Flexible bond harnes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3480708B2 (ja) * 2000-03-15 2003-12-22 住友電装株式会社 雄端子金具
JP2005050736A (ja) * 2003-07-30 2005-02-24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アルミ電線への端子圧着構造及び端子付アルミ電線の製造方法
FR2859047A1 (fr) * 2003-08-19 2005-02-25 Framatome Connectors Int Procede de sertissage de contact electrique et contact obtenu par ce procede
JP2005166489A (ja) * 2003-12-03 2005-06-23 Tokai Rika Co Ltd 雌型端子
KR20060011189A (ko) * 2004-07-29 2006-02-03 (주)기가레인 동축 코넥터와 이 동축 코넥터를 구성하는 핀, 유전체,본체 및 이 부품들을 사용하여 동축 코넥터를 조립하는방법
WO2008120048A1 (en) * 2007-04-03 2008-10-09 Fci Electrical socket,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ical socket
JP4922897B2 (ja) * 2007-11-02 2012-04-25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圧着端子、端子付電線及びその製造方法
CN102037622B (zh) * 2008-03-20 2015-04-08 富加宜汽车控股公司 电端子压接方法及获得的组件
US20100105256A1 (en) * 2008-10-28 2010-04-29 Tektronix, Inc. Electrical Contact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e
US8052492B2 (en) * 2008-11-13 2011-11-08 Delphi Technologies, Inc. Multi-level electrical terminal crimp
JP5707735B2 (ja) * 2009-07-24 2015-04-30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付き電線及び端子金具付き電線の製造方法
EP2533364B1 (en) * 2010-02-05 2016-10-26 Furukawa Electric Co., Ltd. Crimp terminal, connection structural bod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crimp terminal
JP2012089431A (ja) * 2010-10-22 2012-05-10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自動車用端子圧着電線
JP5992231B2 (ja) * 2012-07-02 2016-09-14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線と端子との圧着構造
JP5884986B2 (ja) * 2012-07-31 2016-03-15 矢崎総業株式会社 圧着端子付きアルミ電線
JP5899593B2 (ja) * 2012-07-31 2016-04-06 矢崎総業株式会社 圧着端子付きアルミ電線
JP5846083B2 (ja) * 2012-09-06 2016-01-20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AU2013314647B2 (en) * 2012-09-14 2016-12-15 Saint-Gobain Glass France Pane having an electrical connection element
JP2014199721A (ja) * 2013-03-29 2014-10-23 日本碍子株式会社 圧着端子,圧着体及び圧着体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26515A1 (en) * 2003-07-30 2005-02-03 The Furukawa Electric Co., Ltd. Terminal crimping structure and terminal crimping method onto aluminum electric-wire and producing method of alminum electric-wire with terminal
US20130231012A1 (en) * 2010-07-19 2013-09-05 Stocko Contact Gmbh & Co. Kg Crimping Sleeve for Crimped Connec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033450B1 (fr) 2017-02-17
US20180241167A1 (en) 2018-08-23
FR3033450A1 (fr) 2016-09-09
CN107408765B (zh) 2020-08-11
US10886686B2 (en) 2021-01-05
WO2016142345A1 (fr) 2016-09-15
CN107408765A (zh) 2017-11-28
KR102521413B1 (ko) 2023-04-14
EP3266068A1 (fr) 2018-01-10
EP3266068B1 (fr) 202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1413B1 (ko) 케이블에 대해 전기적 접촉부를 크림핑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행하기 위한 공구
CN109196720B (zh) 电气压接端子
US9484640B2 (en) Wire with a crimp terminal with a bottom plate with an inclined portion and a raised portion
US7905745B2 (en) Crimping terminal with strictly adjusted crimping force
US2693216A (en) Tool for electrical connectors
US9768526B2 (en) Crimp-connection structural body, wire harness, method of manufacturing crimp-connection structural body, and device of manufacturing crimp-connection structural body
EP2482384A2 (en) A terminal fitting and a crimping method
EP2309600A1 (en) Compression terminal, splicing terminal, and electric wire compressing structure
JP6921262B2 (ja) ケーブル組立体
JP2009272141A (ja) 圧着端子及び端子付電線の製造方法
CN110323581B (zh) 带端子的电线
US20130231012A1 (en) Crimping Sleeve for Crimped Connections
CN109565140B (zh) 压接工具和使用该压接工具获得的端子
CN107431283B (zh) 端子以及带端子的电线
US11139591B2 (en) Conductive member
WO2015068639A1 (ja) 圧着端子
WO2018190109A1 (ja) 導電部材
JP5579344B1 (ja) 接続構造体の圧着方法、接続構造体の圧着装置、接続構造体、端子圧着部材、コネクタ、及びワイヤハーネス
CN114520420A (zh) 具有端子的电线和端子压接装置
JP2014164869A (ja) ワイヤハーネス
WO2015068648A1 (ja) 圧着端子
KR20140037960A (ko) 단자 및 단자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