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2507A - 모발 광택 진단 시스템 및 모발 광택 진단 방법 - Google Patents

모발 광택 진단 시스템 및 모발 광택 진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2507A
KR20170132507A KR1020160063483A KR20160063483A KR20170132507A KR 20170132507 A KR20170132507 A KR 20170132507A KR 1020160063483 A KR1020160063483 A KR 1020160063483A KR 20160063483 A KR20160063483 A KR 20160063483A KR 20170132507 A KR20170132507 A KR 20170132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gloss
area
image
refl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3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2777B1 (ko
Inventor
장수임
김은주
이해광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60063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2777B1/ko
Priority to PCT/KR2017/005375 priority patent/WO2017204542A1/ko
Publication of KR20170132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2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2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2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17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with a modulation of one or more physical properties of the sample during the optical investigation, e.g. electro-reflect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55Specular reflectivity
    • G01N21/57Measuring glo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3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solid biological material, e.g. tissue samples, cell cul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0004Microscop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2B21/002Scanning microscopes
    • G02B21/0024Confocal scanning microscopes (CSOMs) or confocal "macroscopes"; Accessories which are not restricted to use with CSOMs, e.g. sample hol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17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with a modulation of one or more physical properties of the sample during the optical investigation, e.g. electro-reflectance
    • G01N2021/1725Modulation of properties by light, e.g. photoreflectan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physics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발 광택 진단 시스템 및 모발 광택 진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발 광택 진단 시스템은, 레이저 광원과 검출 핀홀 상의 초점을 일치시키고, 모발을 초점면 상에 배치하여 모발을 통과하거나 반사되는 빛을 통하여 상기 모발의 영상을 촬영하는 모발 촬영부, 촬영된 모발의 영상에서, 상기 빛이 반사되는 제1 영역과 빛이 반사되지 않는 제2 영역으로 나누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제1 영역의 면적을 통하여 모발의 광택도를 산출하는 광택도 산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발 광택 진단 시스템 및 모발 광택 진단 방법 {HAIR SHEEN DIAGNOSIS SYSTEM AND HAIR SHEEN DIAGNOSIS METHOD}
본 발명은 모발 광택 진단 시스템 및 모발 광택 진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모발의 광택을 정량적으로 비교 및 분석할 수 있는 모발 광택 진단 시스템 및 모발 광택 진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발의 광택을 측정 및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모발의 광택을 평가하기 위해 두발에 전체적으로 빛을 비추었을 때 빛에 의해 반사되는 윤기 링 형상의 부분을 육안으로 평가하는 방법이 있었다. 육안으로 평가하므로 평가하는 연구원에 따라 점수가 변할 수 있어, 신뢰도와 일관성을 보장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특허문헌 1 내지 2는 모발의 윤기 또는 광택을 측정하기 위하여, 두발에 전체적으로 광을 조사하고 이를 카메라로 촬영하여 반사 영역을 관찰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그리고 특허문헌 3은 두발에 반사되는 반사광을 측정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1 내지 3의 경우 두발을 전체적으로 촬영해야 하므로, 피험자가 광택 평가를 위해 측정 장소에 가야하며, 촬영 장소의 조명, 촬영 각도 또는 촬영자의 숙련도 등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카메라 또는 반사광을 측정하는 광택계(gloss meter)의 경우 모발의 색상에 따라 결과가 다르게 나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검은색 모발의 경우, 광택계로는 반사광을 측정하여 평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JP2009-168540 A5 JP2000-287953 A JP2004-212088 A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모발의 윤기 또는 광택을 광택도 값으로 정량화하여 진단할 수 있으며, 일관성이 높고, 신뢰도가 높은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모발 광택 진단 시스템 및 진단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다양한 색상의 모발에 대하여도 윤기 또는 광택의 진단 및 분석이 가능하고, 측정자의 숙련도에 상관없이 일정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모발 광택 진단 시스템 및 진단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발 광택 진단 시스템은, 레이저 광원과 검출 핀홀 상의 초점을 일치시키고, 모발을 초점면 상에 배치하여 모발을 통과하거나 반사되는 빛을 통하여 상기 모발 영상을 촬영하는 모발 촬영부, 촬영된 모발 영상에서, 상기 빛이 반사되는 제1 영역과 빛이 반사되지 않는 제2 영역으로 나누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제1 영역의 면적을 통하여 모발의 광택도를 산출하는 광택도 산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모발 촬영부는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CLSM)을 통하여 모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을 서로 다른 색상으로 구별하여 픽셀 이미지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광택도 산출부는, 상기 제1 영역의 면적을 모발의 두께로 나누어 광택도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광택도 산출부는, 상기 제1 영역의 픽셀 값의 합을 모발의 두께로 나누어 광택도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발 광택 진단 방법은, 레이저 광원과 검출 핀홀 상의 초점을 일치시키고, 모발을 초점면 상에 배치하여 모발을 통과하거나 반사되는 빛을 통하여 상기 모발의 영상을 촬영하는 모발 촬영 단계, 촬영된 모발의 영상에서, 상기 빛이 반사되는 제1 영역과 빛이 반사되지 않는 제2 영역으로 나누는 영상 처리 단계, 및 상기 제1 영역의 면적을 통하여 모발의 광택도를 산출하는 광택도 산출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모발 촬영 단계에서는 1가닥의 모발에서 모근으로부터 기 설정된 위치의 모발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처리 단계에서는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을 서로 다른 색상의 픽셀 이미지로 변환하고, 상기 광택도 산출 단계에서는, 상기 제1 영역의 픽셀 값의 합을 모발 두께로 나누어 모발 광택도를 산출할 수 있다.
모발 노화의 의한 모발 광택도를 진단하도록, 상기 모발의 모근으로부터 기 설정된 위치의 모발의 광택도를 산출할 수 있다.
모발 관리에 의한 모발 광택도를 진단하도록, 상기 모발의 모근과 반대방향 끝에서 기 설정된 위치의 모발의 광택도를 산출할 수 있다.
조성물에 의한 모발 광택도를 진단하도록, 상기 조성물을 바르기 전과 후의 모발 광택도의 차이 또는 그 변화율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택도를 정량화하여 평가할 수 있고, 신뢰도가 높은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모발 광택 진단 시스템 및 진단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색상의 모발에 대하여 광택도의 진단이 가능하고, 측정자의 숙련도에 상관없이 일정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모발 광택 진단 시스템 및 진단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발 광택 진단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발 광택 진단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촬영된 모발 영상(a)과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처리된 모발 이미지(b)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따라 측정된 모발 광택도와 모발 거칠기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발 노화에 의한 모발 광택도를 비교한 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도포 전후의 모발 영상이다.
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개시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혹은 복수의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발 진단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에 관한 것으로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발 진단 시스템은, 레이저 광원과 검출 핀홀 상의 초점을 일치시키고, 모발을 초점면 상에 배치하여 모발을 통과하거나 반사되는 빛을 통하여 상기 모발의 영상을 촬영하는 모발 촬영부(10), 촬영된 모발의 영상에서, 상기 빛이 반사되는 제1 영역과 빛이 반사되지 않는 제2 영역으로 나누는 영상 처리부(20), 및 상기 제1 영역의 면적을 통하여 모발의 광택도를 산출하는 광택도 산출부(30)를 포함한다.
상기 모발 촬영부(10)는 레이저를 광원으로 하여 포인트 소스에서 나오는 광을 사용하여 시료의 초점과 검출 핀홀(pinhole)의 상의 초점을 일치시켜 초점면 이외의 부분은 영상에서 나타나지 않게 하여 시료를 측정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모발 촬영부(10)로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CLSM; Laser scanning confocal microscopy)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모발 촬영부(10)는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을 사용하여 위와 같은 방식으로 모발(시료)을 측정하기 때문에 기존 형광 현미경보다 해상도가 1.4배 정도 높다. 또한, 광축에 핀홀을 설치하여 모발을 통과하거나 시료에서 반사되는 광선을 선택할 수 있으며, 초점이 맞지 않으면 핀홀을 통과하지 않게 하여 해상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모발 1가닥에서의 미세한 반사광의 변화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모발의 내부까지 단층으로 스캐닝하여 내부 구조를 시각화할 수 있고, 2차원 영상은 컴퓨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통하여 3차원 입체 영상으로 재구축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일반 광학 현미경에서 관찰할 수 없었던 단면의 이미지도 관찰할 수 있으며, 부피가 있는 구조물의 경우 현미경을 통하여 원하는 방향의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모발 촬영부(10)를 통하여 모발의 단면 곡선, 거칠기 곡선, 파장곡선 및 표면 영역 등의 물리적인 특성을 수치화하여 분석할 수 있다.
상기 모발 촬영부(10)는 1가닥의 모발을 통하여 모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피험자가 직접 촬영 장치까지 가지 않아도, 1가닥의 모발만 있으면 모발의 광택도를 측정할 수 있다. 물론, 하나 이상의 모발에 대하여도 모발 영상 측정을 통한 광택도의 분석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광택도"라는 용어는 모발에서 단위 면적당 또는 모발의 기 설정된 영역에서 빛을 반사시키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테스트하고자 하는 모발에서 소정의 광원에 대하여 어느 정도의 빛을 반사시킬 수 있느냐를 의미하는 것으로, 반사시키는 빛의 양이 많아질수록 모발이 윤기가 있어 보이므로, 모발의 윤기 또는 광택을 평가하는 척도가 될 수 있다.
상기 모발 촬영부(10)는 모발에서 모근으로부터 기 설정된 위치의 모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정확한 비교 및 분석을 위하여, 모발의 모근으로부터 기 설정된 위치의 모발 영상을 촬영하여 분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발 촬영부(10)는 모발 노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모근으로부터 기 설정된 위치, 일 예로 모근에서 대략 3 ~ 5 cm의 위치에서 모발 영상을 측정할 수 있다. 모근에 가까운 모발일수록 다른 환경 요인에 의한 영항이 적기 때문이다.
또한, 생활 습관에 의한 모발 관리에 의한 모발 광택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모근의 반대방향 단부에서 기 설정된 위치, 일 예로 모근 반대방향 단부에서 대략 5 ~ 7cm의 위치에서 모발 영상을 측정할 수 있다. 모발의 끝 부분의 상태는 외부 환경에 의한 영향이 큰 부분이기 때문이다.
상기 영상 처리부(20)는 촬영된 모발 영상에서, 상기 빛이 반사되는 제1 영역과 빛이 반사되지 않는 제2 영역으로 나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발 촬영부(10)에 의해 측정된 모발 영상(a)과 영상 처리부(20)에 의해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구분된 모발 영상(b)을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영상 처리부(20)에 의하여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구분된 픽셀 이미지를 산출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이후 픽셀 값의 합의 계산을 통하여 반사광에 의한 영역의 면적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처리부(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변환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이미지 프로(Image-Pro), 포토샵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모발 촬영부(10)에 의해 측정된 모발 영상은 모발 1가닥에 대한 투과광 또는 반사광에 대한 이미지이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영상 처리부(20)는 반사광만을 따로 분리하여 광택도를 산출하기 위하여, 반사광에 의한 제1 영역과 나머지의 제2 영역, 즉 모발 영상에서 제1 영역을 제외한 제2 영역으로 구별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은 서로 다른 색상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3의 (b)의 경우 제1 영역은 검은색으로 제2 영역은 흰색으로 구별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광택도 산출부(30)에서 상기 제1 영역의 면적을 산출함으로써, 모발의 광택도를 산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택도 산출부(30)는, 일 예로 기설정된 위치의, 또는 모발의 단위 길이에 대한, 상기 제1 영역의 면적을 도출하고, 이를 모발의 두께(d)로 나눔으로써 광택도를 산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영역의 면적을 픽셀 값을 합하여 구하고, 모발의 두께(d)로 나누어 광택도를 정량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모발에서 모발의 두께가 클수록 상기 제1 영역의 면적이 커질 수 있으므로, 정확한 분석을 위하여 모발의 두께 값으로 나누어 단위 두께당 제1 영역의 면적의 비를 구하여 광택도를 산출하여 비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과 같은 모발 촬영부(10)를 사용하여, 레이저에 의해 모발에서 반사되는 부분의 면적을 이미지 변환을 통하여 정량화하여 광택도를 도출하므로 정확하고, 반복성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의 경우 초점이 일치하는 광원의 빛만 통과시킴으로써 원하는 대역의 파장의 광원만 통과시켜 분석할 수 있으므로, 색상이 다르더라도 원하는 대역의 파장의 반사광의 분석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머리 색에 대하여도 정확하고, 신뢰도 높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발 광택 진단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모발 광택 진단 방법은, 상술한 모발 광택 진단 시스템을 적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상술한 모발 광택 진단 시스템에 대한 설명이 모발 광택 진단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발 광택 진단 방법은, 레이저 광원과 검출 핀홀 상의 초점을 일치시키고, 모발을 초점면 상에 배치하여 모발에서 반사되는 빛을 통하여 상기 모발의 영상을 촬영하는 모발 촬영 단계(S10), 촬영된 모발의 영상에서, 상기 빛이 반사되는 제1 영역과 빛이 반사되지 않는 제2 영역으로 나누는 영상 처리 단계(S20), 및 상기 제1 영역의 면적을 통하여 모발의 광택도를 산출하는 광택도 산출 단계(S30)를 포함한다.
상기 모발 촬영 단계(S10)에서는 1가닥의 모발에서 모근으로부터 기 설정된 위치의 모발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종래는, 두발 전체를 촬영하므로 피험자가 반드시 촬영 장소를 방문해야 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1가닥의 모발의 분석만으로도 모발의 광택도를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영상 처리 단계(S20)에서는 모발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에 의한 상기 제1 영역과 반사광을 제외하며, 투과광 등을 포함하는 광원에 의한 상기 제2 영역을 서로 다른 색상의 픽셀 이미지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택도 산출 단계에서는, 상기 제1 영역의 픽셀 값들의 합을 모발 두께로 나누어 모발 광택도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영역의 픽셀 값들의 합은, 모발에서 기 설정된 영역, 일 예로 모근에서 기 설정된 위치의 모발 영상에서의 제1 영역의 픽셀 값들의 합으로 제1 영역의 면적을 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영역의 면적을 다시 모발의 두께로 나누어 광택도를 산출할 수 있다.
특히, 모발 노화의 의한 모발 광택도를 진단하도록, 상기 모발의 모근으로부터 기 설정된 위치의 모발의 광택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근으로부터 대략 3 ~ 5 cm 지점까지의 모발 영상에서 제1 영역의 면적을 모발 두께로 나눔으로써 모발 광택도를 산출할 수 있다. 모근에서 가까운 영역의 경우, 외부 환경에 의한 영향이 적기 때문에 이 부분의 광택도를 산출함으로써, 모발 노화에 의한 광택도를 진단할 수 있다.
또한, 모발 관리에 의한 모발 광택도를 진단하도록, 상기 모발의 모근과 반대방향 끝에서 기 설정된 위치의 모발의 광택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근의 반대방향 끝에서 대략 5 ~ 7 cm 지점까지의 모발 영상에서 제1 영역의 면적을 모발 두께로 나눔으로써 모발 광택도를 산출할 수 있다. 모발 끝 부분의 경우 내적 요인보다는 생활 습관과 같은 외부 환경에 의한 외적 요인에 영향을 많이 받았기 때문에 이 부분의 광택도를 산출함으로써, 모발 관리 습관에 따른 모발 광택도를 진단해 낼 수 있다.
그리고, 생활 습관에 의한 모발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모근에 가까운 영역과, 모발 끝 부분의 영역의 광택도를 비교할 수도 있다. 모근에 가까운 영역의 경우 외부 환경에 의한 영향을 적게 받은 부분이고, 모발 끝 부분의 경우 외부 환경에 의한 영향을 가장 크게 받은 부분이므로, 이 두 부분의 광택도를 비교하여 생활 습관에 의한 모발의 광택도를 진단할 수 있다.
또한, 조성물에 의한 모발 광택도를 진단하도록, 상기 조성물을 바르기 전과 후의 모발 광택도의 차이 또는 그 변화율을 산출할 수 있다. 조성물을 적용하기 전후의 광택도 값의 차 또는 변화율을 산출하여, 조성물에 의한 모발 광택 변화를 비교할 수 있다.
조성물이 모발의 윤기 또는 광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일 예로, 모발의 거칠기와 같은 모발의 표면을 확대하여 분석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모발의 거칠기와 모발의 윤기는 상관관계는 있으나, 모발의 거칠기 값이 크다고 하여 모발이 항상 윤기가 없는 것은 아니다.
모발의 거칠기 값만으로는 모발이 윤기가 나는지를 평가하기 어렵다. 모발의 거칠기가 모발 전체에 걸쳐 균일한 경우도 오히려 모발에 윤기가 날 수 있으며, 모발의 거칠기가 모발 전체에 걸쳐 균일하지 않은 경우에 모발에서 윤기가 나지 않기 때문이다. 즉, 모발의 광택 여부는 단순히 모발의 거칠기 값만을 비교하여 분석하기엔 부족하다.
또한, 모발 조성물의 특성상 모발에 도포하더라도 즉각적으로 모발의 거칠기가 변화하지는 않는다. 조성물에 의한 모발 거칠기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는, 장기간 조성물을 모발에 적용한 뒤에 그 영향력을 분석해야 그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그러나, 모발 조성물의 경우 도포 전/후의 모발 광택의 변화가 있다면 반사광의 값이 변화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모발 광택 진단 시스템 및 진단 방법을 적용하는 경우 조성물에 의한 모발 광택 또는 윤기의 변화를 진단해 낼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1가닥의 모발에 대해서도 미세한 반사광의 변화도 측정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반사광의 값의 변화를 측정하여, 조성물에 의한 모발 광택 변화를 비교 및 분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택 진단 시스템에 의해 측정된 모발 광택도와 모발 거칠기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모발 거칠기 값이 적을수록 모발이 매끄럽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모발에 광택이 있음을 의미한다. 즉, 모발의 광택과 모발의 거칠기는 상관관계가 있다. 그러나, 거칠기 값이 크다고 모발에 광택이 없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으므로, 거칠기 값 만으로는 모발의 광택 분석이 어렵다.
도 4를 참조하면, 모발에 대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발 광택 진단 시스템에 의해 측정된 모발 광택도와 거칠기를 비교할 수 있다. 모발 광택도와 모발 거칠기는 상관관계(R2 = -0.303)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모발의 거칠기 값이 작을수록 직선 부근에 점들이 분포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모발이 매끈할 수록 모발의 광택이 있으므로, 모발의 광택도 값도 같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발 노화에 따른 광택도 값에 따른 모발 영상들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을 통하여 촬영하였으며, 1024×1024 픽셀의 이미지를 사용하였으며, 256×257㎛ 이미지 크기를 분석하였다. 도 5의 그래프에 대응하는 구체적인 광택도 값은 아래 [표 1]과 같다.
나이 낮은 광택도 높은 광택도
25 - 35세 65302 pixel/㎛ 98473 pixel/㎛
55 - 65세 45832 pixel/㎛ 67549 pixel/㎛
상기 [표 1]과 도 5를 참고하면, 낮은 광택도 값을 갖는 경우 모발의 광택이 떨어지고, 높은 광택도 값을 갖는 경우 모발의 광택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25 - 35 세의 경우의 광택도 값들이 55 - 65 세의 광택도 값들보다 크며, 도 5의 모발 영상을 통해서도 25 - 35 세의 모발 광택이 더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발 광택 진단 시스템을 통하여 조성물(미장센® 헤어 에센스)을 도포하기 전/후의 모발 영상을 나타내는 사진들이다.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을 통하여 촬영하였으며, 1024×1024 픽셀의 이미지를 사용하였으며, 256×257 ㎛ 이미지 크기를 분석한 것이다.
조성물 도포 전의 광택도는 83406 pixel/㎛이었고, 도포 후의 광택도는 117620 pixel/㎛이었다. 광택도가 41.02%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도 6의 도포 전(a) 모발 영상과 도포 후(b)의 영상에서도 모발 광택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피험자가 직접 측정장치까지 가지 않아도, 1가닥의 모발을 떼어내어 분석하면 되므로, 광택 측정이 매우 간편하고 편리한 모발 광택 진단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모발 1가닥의 미세한 반사광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정밀하고, 정확하며, 일관성 있는 분석이 가능한 모발 광택 진단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10: 모발 촬영부
20: 영상 처리부
30: 광택도 산출부

Claims (11)

  1. 레이저 광원과 검출 핀홀 상의 초점을 일치시키고, 모발을 초점면 상에 배치하여 모발을 통과하거나 반사되는 빛을 통하여 상기 모발의 영상을 촬영하는 모발 촬영부;
    촬영된 모발의 영상에서, 상기 빛이 반사되는 제1 영역과 빛이 반사되지 않는 제2 영역으로 나누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제1 영역의 면적을 통하여 모발의 광택도를 산출하는 광택도 산출부를 포함하는 모발 광택 진단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 촬영부는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CLSM)을 통하여 모발의 영상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광택 진단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을 서로 다른 색상으로 구별하여 픽셀 이미지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광택 진단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택도 산출부는, 상기 제1 영역의 면적을 모발의 두께로 나누어 광택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광택 진단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광택도 산출부는, 상기 제1 영역의 픽셀 값의 합을 모발의 두께로 나누어 광택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광택 진단 시스템.
  6. 레이저 광원과 검출 핀홀 상의 초점을 일치시키고, 모발을 초점면 상에 배치하여 모발을 통과하거나 반사되는 빛을 통하여 상기 모발의 영상을 촬영하는 모발 촬영 단계;
    촬영된 모발의 영상에서, 상기 빛이 반사되는 제1 영역과 빛이 반사되지 않는 제2 영역으로 나누는 영상 처리 단계; 및
    상기 제1 영역의 면적을 통하여 모발의 광택도를 산출하는 광택도 산출 단계를 포함하는 모발 광택 진단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 촬영 단계에서는 1가닥의 모발에서 모근으로부터 기 설정된 위치의 모발의 영상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광택 진단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 단계에서는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을 서로 다른 색상의 픽셀 이미지로 변환하고,
    상기 광택도 산출 단계에서는, 상기 제1 영역의 픽셀 값의 합을 모발 두께로 나누어 모발 광택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광택 진단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모발 노화의 의한 모발 광택도를 진단하도록,
    상기 모발의 모근으로부터 기 설정된 위치의 모발의 광택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광택 진단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모발 관리에 의한 모발 광택도를 진단하도록,
    상기 모발의 모근과 반대방향 끝에서 기 설정된 위치의 모발의 광택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광택 진단 방법.
  11. 제 6 항에 있어서,
    조성물에 의한 모발 광택도를 진단하도록,
    상기 조성물을 바르기 전과 후의 모발 광택도의 차이 또는 그 변화율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광택 진단 방법.
KR1020160063483A 2016-05-24 2016-05-24 모발 광택 진단 시스템 및 모발 광택 진단 방법 KR102552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483A KR102552777B1 (ko) 2016-05-24 2016-05-24 모발 광택 진단 시스템 및 모발 광택 진단 방법
PCT/KR2017/005375 WO2017204542A1 (ko) 2016-05-24 2017-05-24 모발 광택 진단 시스템 및 모발 광택 진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483A KR102552777B1 (ko) 2016-05-24 2016-05-24 모발 광택 진단 시스템 및 모발 광택 진단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2507A true KR20170132507A (ko) 2017-12-04
KR102552777B1 KR102552777B1 (ko) 2023-07-10

Family

ID=60412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3483A KR102552777B1 (ko) 2016-05-24 2016-05-24 모발 광택 진단 시스템 및 모발 광택 진단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52777B1 (ko)
WO (1) WO2017204542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6044A (ja) * 1999-01-12 2000-07-28 Kao Corp 毛髪のつやの評価方法
JP2000287953A (ja) 1999-04-02 2000-10-17 Kao Corp 毛髪診断システム
JP2004212088A (ja) 2002-12-27 2004-07-29 Kose Corp 毛髪のつや測定器具
KR100802036B1 (ko) * 2006-11-28 2008-02-12 김용시 모발 검사장치 및 모발을 검사하는 방법
JP2009168540A (ja) 2008-01-15 2009-07-30 Shiseido Co Ltd 評価装置、評価方法、評価プログラム、及び該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JP2013092409A (ja) * 2011-10-25 2013-05-16 Lasertec Corp 形状測定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6044A (ja) * 1999-01-12 2000-07-28 Kao Corp 毛髪のつやの評価方法
JP2000287953A (ja) 1999-04-02 2000-10-17 Kao Corp 毛髪診断システム
JP2004212088A (ja) 2002-12-27 2004-07-29 Kose Corp 毛髪のつや測定器具
KR100802036B1 (ko) * 2006-11-28 2008-02-12 김용시 모발 검사장치 및 모발을 검사하는 방법
JP2009168540A (ja) 2008-01-15 2009-07-30 Shiseido Co Ltd 評価装置、評価方法、評価プログラム、及び該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JP2013092409A (ja) * 2011-10-25 2013-05-16 Lasertec Corp 形状測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2777B1 (ko) 2023-07-10
WO2017204542A1 (ko) 2017-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76510B2 (ja) 測色装置により得られた色情報に基づく肌状態の鑑別法
US11452455B2 (en) Skin reflectance and oiliness measurement
JP5934180B2 (ja) オブジェクトの材料特性を決定するための方法
JP5797921B2 (ja) 体表評価方法および体表評価装置
EP1693003A1 (en) Device and method for demonstrating and quantifying skin texture
JP6756524B2 (ja) 美容施術効果の解析方法
CN110740679A (zh) 用于对皮肤光泽定量估计的皮肤光泽测量
US2009008072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collagen thickness
Haridas et al. Surface roughness evaluation of additive manufactured metallic components from white light images captured using a flexible fiberscope
JP5565765B2 (ja) メラノーマ鑑別指標の導出方法
JP5544065B2 (ja) 肌状態の評価方法
JP4921222B2 (ja) 化粧料付着状態解析方法、化粧料付着状態解析装置、化粧料付着状態解析プログラム、及び該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Alberto et al. Corneal sublayers thickness estimation obtained by high-resolution FD-OCT
US9668653B2 (en) Quantification of under-eye skin color
DE102014108789A1 (de) Mehrstufiges Verfahren zur Untersuchung von Oberflächen sowie entsprechende Vorrichtung
KR102552777B1 (ko) 모발 광택 진단 시스템 및 모발 광택 진단 방법
DE102007031774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ermessung von Objekten mittels hochdynamischer Bildaufnahmen
Houser et al. Shadow analysis via the C+ K Visioline: A technical note
KR20160147533A (ko) 광학적 특성 분석을 이용한 미술품의 진위감정 시스템 및 방법
JP5408527B2 (ja) メラノーマ診断用画像の作成方法
CN108692676A (zh) 使用了扫描型白色干涉显微镜的三维形状计测方法
JP7308443B2 (ja) 評価装置、本物感評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8663120B (zh) 基于多光谱成像系统的纱线颜色测量装置及方法
JP2012220224A (ja) 反射光ムラ測定方法および装置
Ohtsuki et al. Appearance analysis of human skin with cosmetic found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