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2122A - 동결을 이용한 3가 비소의 산화방법 - Google Patents

동결을 이용한 3가 비소의 산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2122A
KR20170132122A KR1020170156632A KR20170156632A KR20170132122A KR 20170132122 A KR20170132122 A KR 20170132122A KR 1020170156632 A KR1020170156632 A KR 1020170156632A KR 20170156632 A KR20170156632 A KR 20170156632A KR 20170132122 A KR20170132122 A KR 20170132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senic
trivalent arsenic
freezing
hydrogen peroxide
oxid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6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7242B1 (ko
Inventor
김기태
윤호일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70156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242B1/ko
Publication of KR20170132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2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3/00Processes for making harmful chemical substances harmless or less harmful, by effecting a chemical change in the substances
    • A62D3/30Processes for making harmful chemical substances harmless or less harmful, by effecting a chemical change in the substances by reacting with chemical agents
    • A62D3/38Processes for making harmful chemical substances harmless or less harmful, by effecting a chemical change in the substances by reacting with chemical agents by oxidation; by combus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28/00Compounds of arse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28/00Compounds of arsenic
    • C01G28/005Oxides; Hydroxides; Oxyac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 Removal Of Specific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산화수소(H2O2)의 존재 하에 동결을 이용한 3가 비소의 산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산화방법을 이용한 오염토양, 오염수, 폐수 또는 폐기물 등으로부터 3가 비소의 정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3가 비소의 산화방법은 과산화수소(H2O2)의 존재 하에 동결상태에서 수행됨으로써,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으로 3가 비소를 5가 비소로 산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산화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오염토양, 오염수, 폐수 또는 폐기물 등으로부터 3가 비소를 간단하고 빠르게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동결을 이용한 3가 비소의 산화방법{Method for reduction of hexavalent chromium using freezing}
본 발명은 과산화수소(H2O2)의 존재 하에 동결을 이용한 3가 비소의 산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산화방법을 이용한 오염토양, 오염수, 폐수 또는 폐기물 등으로부터 3가 비소의 정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휴·폐광산 부근의 토양 및 지하수에서 비소를 포함한 중금속들에 의한 오염 문제가 날로 심각해져가고 있다. 중금속 오염에 의한 동식물 및 사람에 대한 피해는 이미 널리 알려져 있는 사실이지만, 이들 중금속 중에서 특히 비소는 매우 맹독성인 물질로서, 인체에 흡수될 경우 치명적인 피해를 입힐 수 있다. 비소 중독으로 인하여 야기될 수 있는 증상으로는 피부암, 혈관 장애, 신경염, 간출혈 등의 장애가 있으며, 비화수소의 경우 이를 극미량만 흡입하여도 사망으로까지 이르게 되는 등 매우 위험한 물질인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비소는 자연계에 많은 양으로 존재하지는 않으며, 더욱이 그 유해성으로 인하여 현재 그 사용 빈도는 급격히 감소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구리, 아연 등의 제련 공정에서는 여전히 비소가 함유된 폐기물이 발생하고 있으며, 또한 예전의 금 광산 및 금속 광산을 개발하는 경우, 선광 공정에서 발생하는 광미(鑛尾) 등에 비소가 함유되는 경우도 많다. 그 외에 비소는 반도체 원료로서 또는 제조공정 상의 첨가 물질로서 사용되기 때문에, 비소를 함유하는 산업폐기물 및 일반폐기물의 발생량은 반도체 산업의 발전과 함께 앞으로도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3가 비소를 처리하기 위하여 많은 과학자들이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그 연구의 결과에 의하여 많은 처리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예를 들면, 비소를 제거하는 방법에는 공침·침전법, 이온교환(Ion exchange)법, 흡착법, 역삼투여과(Reverse osmosis)법, 나노여과(Nanofilteration)법 및 전기투석(Electrodialysis reversal)법 등이 있다. 그러나, 공침·침전법의 경우 오염수 내의 비소 농도에 따라 제거약품의 양을 달리하여 최적의 제거효율을 얻을 수 있으나 침전물질의 이차적인 제거가 필요한 단점이 있고, 이온교환법 또는 흡착법의 경우 비소의 처리효율이 저하된 매질(이온교환수지 또는 활성알루미나가 충진·도포된 부재)을 자주 교환해줘야 하며 처리비용이 고가인 단점이 있다. 그리고 역삼투여과법 또는 나노여과법의 경우 고가의 처리비용과 함께 투과막 또는 담체에 막힘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공정개선의 필요성이 자주 대두되며, 전기투석법의 경우 에너지 소모량이 과다하고 운전이 까다로우며 일정한 처리효율을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처리방법들은 근본적인 처리방법이 아니고 대부분이 농축 또는 침전에 의한 방법에 해당되어 농축물 또는 침전물은 자연상태에서 분해가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재처리하여야 하는 문제가 남게 된다.
KR 10-2010-7005156
본 발명자들은 3가 비소의 산화방법에 대해 탐색하던 중, 과산화수소(H2O2)의 존재 하에 동결을 이용한 3가 비소의 산화방법이 친환경적이며 경제적이고, 상기 산화방법을 이용할 경우 오염토양, 오염수, 폐수 또는 폐기물 등으로부터 3가 비소를 간단하고 빠르게 제거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과산화수소(H2O2)의 존재 하에 동결을 이용한 3가 비소의 산화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산화방법을 이용한 3가 비소를 포함하는 오염토양, 오염수, 폐수 또는 폐기물 등의 정화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3가 비소를 포함하는 용액에 과산화수소(H2O2)를 가하고, 동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가 비소의 산화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3가 비소를 포함하는 시료에 과산화수소(H2O2)를 가하고, 동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가 비소의 정화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3가 비소를 포함하는 용액에 과산화수소(H2O2)를 가하고, 동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가 비소의 산화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비소는 비소는 +5, +3, 0, -3 등의 산화상태를 가지고 있으며 주변조건에 따라 그 상태가 변한다. 일반적인 자연조건에서는 주로 3가 비소와 5가 비소가 지배적이다. 3가 비소는 5가 비소에 비하여 높은 이동성과 60배 이상의 독성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일반 자연조건 상에서 3가 비소는 5가 비소에 비하여 흡착성이 낮은 형태로 존재하여 흡착매질에 의한 제거가 용이하지 못하다. 따라서 흡착매질에 의한 제거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3가 비소를 5가 비소로 산화시키는 전처리과정이 필요하다.
상기 3가 비소는 독성이 강한 중금속으로 수질 및 토양오염 등의 많은 환경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3가 비소를 과산화수소를 이용하여 동결상태에서 독성이 덜한 5가 비소로 산화함으로써 상기 환경 문제를 친환경적으로 줄일 수 있다.
상기 3가 비소는 pH 3 내지 11 범위의 수용액에서 산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3가 비소는 용액상태에서는 pH 3, 5, 7, 9 또는 11로 증가할수록, 3가 비소의 산화로 인한 5가 비소의 생성이 점진적으로 증가하였으나, 동결상태에서는 모든 pH 영역에서 빠르게 5가 비소로 산화된 것을 알 수 있다. 이 결과는 동결상태에서는 과산화수소에 의한 3가 비소의 산화반응이 크게 증가하여, pH에 별로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과산화수소는 상기 3가 비소를 산화시키는 산화제일 수 있다.
상기 과산화수소의 농도는 0.1 내지 1000 μM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0 μM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μM일 수 있다. 상기 과산화수소를 미량만 투입하더라도 3가 비소를 효과적으로 산화시킬 수 있으므로, 비용면에서 경제적일 수 있다.
상기 3가 비소는 동결상태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산화될 수 있다. 상기 동결은 -1 내지 -200℃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될 수 있으나, -1 내지 -30℃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15 내지 -25℃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동결을 -15 내지 -25℃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하면, 상기 용액은 서서히 얼게 된다. 따라서, 용액이 서서히 얼 때 대부분의 과산화수소 및 3가 비소는 얼음의 결정 주위에 존재하는 준-액체층에 더욱 효과적으로 농축된다.
상기 동결방법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통상적인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고, 일 실시예에 따라, 저온 냉각 수조 또는 액체 질소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산화되는 3가 비소의 양은 사용되는 과산화수소의 농도, 동결온도, pH, 반응시간 등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3가 비소를 포함하는 시료에 과산화수소(H2O2)를 가하고, 동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가 비소의 정화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시료는 3가 비소의 오염물질로서 오염토양, 오염수, 폐수 또는 폐기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3가 비소의 산화방법을 이용할 경우, 3가 비소를 포함하는 오염토양, 오염수, 폐수 또는 폐기물로부터 3가 비소를 안전하고 경제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가 비소의 산화방법은 과산화수소(H2O2)의 존재 하에 동결상태에서 수행됨으로써,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으로 3가 비소를 5가 비소로 산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산화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오염토양, 오염수, 폐수 또는 폐기물 등으로부터 3가 비소를 간단하고 빠르게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과산화수소의 농도에 따른 3가 비소의 산화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실시예 2 및 비교예 2의 pH 농도에 따른 3가 비소의 산화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실시예 3의 동결온도에 따른 3가 비소의 산화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동결상태에서 과산화수소(H 2 O 2 )의 농도에 따른 3가 비소의 산화
각각 별도의 pH 3으로로 조절된 3가 비소 20μM 수용액에 각각 과산화수소(H2O2) 20, 50, 100, 200 또는 400μM를 코니칼 튜브에 주입하고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저온 냉각 수조 및 액체 질소를 사용하여 -20℃로 동결한 후,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몰리브덴 블루 방법(molybdene blue method)방법으로 UV/vis-분광 광도계(spectrophotometer, UV-2401PC Shimadzu or Libra S22)를 이용하여 8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5가 비소의 함량을 계산하였다.
비교예 1. 용액상태에서 과산화수소(H 2 O 2 )의 농도에 따른 3가 비소의 산화
상기 실시예 1에서, 상기 혼합물을 저온 냉각 수조 및 액체 질소를 사용하여 -20℃로 동결하는 과정을 생략한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2. 동결상태에서 pH 농도에 따른 3가 비소의 산화
각각 별도의 pH 3, 5, 7, 9 또는 11로 조절된 3가 비소 20μM 수용액에 과산화수소(H2O2) 100μM을 코니칼 튜브에 주입하고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저온 냉각 수조 및 액체 질소를 사용하여 -20℃로 동결한 후,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몰리브덴 블루 방법(molybdene blue method)방법으로 UV/vis-분광 광도계(spectrophotometer, UV-2401PC Shimadzu or Libra S22)를 이용하여 8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5가 비소의 함량을 계산하였다.
비교예 2. 용액상태에서 pH 농도에 따른 3가 비소의 산화
상기 실시예 2에서, 상기 혼합물을 저온 냉각 수조 및 액체 질소를 사용하여 -20℃로 동결하는 과정을 생략한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3. 동결온도에 따른 3가 비소의 산화
각각 별도의 pH 5로 조절된 3가 비소 20μM 수용액에 과산화수소(H2O2) 100μM을 코니칼 튜브에 주입하고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저온 냉각 수조 및 액체 질소를 사용하여 각각 25, -10, -20 또는 -30℃로 동결한 후,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몰리브덴 블루 방법(molybdene blue method)방법으로 UV/vis-분광 광도계(spectrophotometer, UV-2401PC Shimadzu or Libra S22)를 이용하여 8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5가 비소의 함량을 계산하였다.
실험예 1. 과산화수소 농도에 따른 3가 비소의 산화 결과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과산화수소의 농도에 따른 5가 비소의 생성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과산화수소의 농도가 20, 50, 100, 200 또는 400μM로 증가할수록, 용액상태에서는 3가 비소의 산화로 인한 5가 비소의 생성이 서서히 증가하였으나, 동결상태에서는 빠르게 증가하여, 100μM 이후로는 잔존하는 3가 비소가 거의 사라지고, 5가 비소가 생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결과로부터 3가 비소는 용액상태에 비해 동결상태에서 과산화수소의 농도 증가에 따라 빠르게 산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pH 농도에 따른 3가 비소의 산화 결과
실시예 2 및 비교예 2의 pH 농도에 따른 3가 비소의 산화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pH 3, 5, 7, 9 또는 11로 증가할수록, 용액상태에서는 3가 비소의 산화로 인한 5가 비소의 생성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동결상태에서는 모든 pH 영역에서 3가 비소가 사라지고 5가 비소가 생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결과로부터 동결상태에서는 3가 비소의 산화반응이 크게 증가하여, pH에 별로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동결온도에 따른 3가 비소의 산화 결과
실시예 3의 동결온도에 따른 3가 비소의 산화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20℃에서 동결할 때 3가 비소가 가장 빠르게 산화되어 5가 비소가 생성되었고,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30℃)에서 동결할 때보다도 더 빠른 3가 비소의 산화속도를 나타내었다. 이 결과는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20℃)에서 서서히 동결한 경우, 동결로 인한 과산화수소 및 3가 비소의 농축현상이 더 현저하게 일어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다만, -10℃에서 동결한 경우는 오히려 3가 비소의 산화속도가 다소 저해되었다. 그러나, 상기 결과로부터 동결온도에 관계없이, 3가 비소는 용액상태에 비해 동결상태에서 더 빠르게 산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8)

  1. 3가 비소를 포함하는 용액에 과산화수소(H2O2)를 가하고, 동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가 비소의 산화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은 pH 3 내지 11의 범위를 갖는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가 비소의 산화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과산화수소는 상기 3가 비소를 산화시키는 산화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가 비소의 산화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과산화수소의 농도는 0.1 내지 1000 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가 비소의 산화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결은 -1 내지 -30℃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가 비소의 산화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결은 저온 냉각 수조 또는 액체 질소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가 비소의 산화방법.
  7. 3가 비소를 포함하는 시료에 과산화수소(H2O2)를 가하고, 동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가 비소의 정화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는 오염토양, 오염수, 폐수 또는 폐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가 비소의 정화방법.
KR1020170156632A 2017-11-22 2017-11-22 동결을 이용한 3가 비소의 산화방법 KR102147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632A KR102147242B1 (ko) 2017-11-22 2017-11-22 동결을 이용한 3가 비소의 산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632A KR102147242B1 (ko) 2017-11-22 2017-11-22 동결을 이용한 3가 비소의 산화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4849A Division KR20160094480A (ko) 2015-01-30 2015-01-30 동결을 이용한 3가 비소의 산화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2122A true KR20170132122A (ko) 2017-12-01
KR102147242B1 KR102147242B1 (ko) 2020-08-24

Family

ID=60922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6632A KR102147242B1 (ko) 2017-11-22 2017-11-22 동결을 이용한 3가 비소의 산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724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18425A (en) * 1978-06-29 1980-08-19 Cominco Ltd. Process for extracting arsenic from oxidic materials
US5024769A (en) * 1988-07-29 1991-06-18 Union Oil Company Of California Method of treating an arsenic-containing solution
US5047226A (en) * 1988-12-12 1991-09-10 Fluorex, S.A. De C.V. Process for the removal of arsenic in the manufacture of hydrofluoric acid
JP2007297240A (ja) * 2006-04-28 2007-11-15 Dowa Holdings Co Ltd 砒素含有物の処理方法
KR20130015493A (ko) * 2011-08-03 2013-02-14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6가 크롬 및 3가 비소의 제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18425A (en) * 1978-06-29 1980-08-19 Cominco Ltd. Process for extracting arsenic from oxidic materials
US5024769A (en) * 1988-07-29 1991-06-18 Union Oil Company Of California Method of treating an arsenic-containing solution
US5047226A (en) * 1988-12-12 1991-09-10 Fluorex, S.A. De C.V. Process for the removal of arsenic in the manufacture of hydrofluoric acid
JP2007297240A (ja) * 2006-04-28 2007-11-15 Dowa Holdings Co Ltd 砒素含有物の処理方法
KR20130015493A (ko) * 2011-08-03 2013-02-14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6가 크롬 및 3가 비소의 제거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ndreas Voegelin 외 1명, Catalyzed Oxidation of Arsenic(III) by Hydrogen Peroxide on the Surface of Ferrihydrite: An in situ ATR-FTIR Study, 2003, Environ. Sci. Technol Vol. 37, No. 5, pages 972-978.*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7242B1 (ko) 2020-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73867A (ko) 정제 폐수로부터 셀레늄의 제거
CN105439357B (zh) 矿山酸性废水资源化与深度净化方法
US20100218645A1 (en) Method of removal of heavy metal ions from water
CN104512974A (zh) 一种深度去除水体中持久性有机污染物和重金属的方法
AU2016316884A1 (en) Removal of sulfur substances from an aqueous medium with a solid material
KR20060087457A (ko) 배수 처리 방법
Arnold et al. Technologies for sulphate removal with valorisation options
KR102147242B1 (ko) 동결을 이용한 3가 비소의 산화방법
Brisset et al. Degradation of surfactant by cold plasma treatment
CN105481202A (zh) 一种不锈钢酸洗废水处理系统及处理方法
KR20160094480A (ko) 동결을 이용한 3가 비소의 산화방법
JP4567344B2 (ja) ヒ素の除去方法
KR101723502B1 (ko) 동결을 이용한 6가 크롬의 환원방법
CA2874054C (en) Metalloid contaminated water solution purification process for safe human consumption-rated reduction of contaminant concentration therein, by precipitation without oxidation
WO2007006058A1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sodium sulphide compounds
CN105439310A (zh) 一种硫酸盐有机污水的处理方法
WO2018096962A1 (ja) 排水からのマンガンの除去方法
JP4649887B2 (ja) 水質浄化促進材及び高機能水質浄化材並びにそれらを用いた水質浄化方法
Luo et al. Performance and Mechanism of Chlorine Removal in Wastewater by Combination of CuSO 4 and Zero-Valent Copper
KR20220041054A (ko) 폐기물 매립지에서 발생하는 바이오황을 포함하는 중금속 흡착제
JP2018086643A (ja) 排水からのマンガンの除去方法
Gray et al. Expanding the use of Ceramic Membranes
Bellie et al. Health Effects of Chromium, its Reduction and Removal
Reid An Introduction to Iron and Manganese Biofiltration.
CN103524003A (zh) 一种选矿药剂生产废水的处理装置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