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2119A - 다층 구조를 가지는 이차전지용 복합 전해질 - Google Patents

다층 구조를 가지는 이차전지용 복합 전해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2119A
KR20170132119A KR1020170156405A KR20170156405A KR20170132119A KR 20170132119 A KR20170132119 A KR 20170132119A KR 1020170156405 A KR1020170156405 A KR 1020170156405A KR 20170156405 A KR20170156405 A KR 20170156405A KR 20170132119 A KR20170132119 A KR 20170132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lyte layer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composite
ceramic 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6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븐킹에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븐킹에너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븐킹에너지
Priority to KR1020170156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2119A/ko
Publication of KR20170132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21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1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in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2Solid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5Polymeric materials, e.g. gel-type or solid-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68Solid electrolytes inorganic
    • H01M2300/0071Ox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82Organic poly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전지용 복합 전해질로서, 양극부를 향해 위치하는 제1 전해질층과, 음극부를 향해 위치하는 제2 전해질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해질층 및 상기 제2 전해질층 각각은 고분자 기재 및 세라믹 입자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전해질층 및 상기 제2 전해질층은 서로 상이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를 가지는 이차전지용 복합 전해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층 구조를 가지는 이차전지용 복합 전해질{COMPOSITE ELECTROLYTE HAVING MULTILAYERS FOR SECONDARY BATTERIES}
본 발명은 이차전지용 복합 전해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 층 이상의 다층으로 복합 전해질을 구성하여 안정성 및 전기 화학적 특성을 향상시킨 다층 구조를 가지는 이차전지용 복합 전해질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노트북, 캠코더 등의 휴대용 기기뿐만 아니라 전기 자동차에 이르기까지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의 적용 분야가 날로 확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이차전지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이차전지의 개발시 용량 밀도 및 비에너지를 향상시키기 위한 전지 설계에 대한 연구 개발도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는 양극부, 음극부 및 이 사이에 위치하는 전해 질과 고분자의 분리막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종래 전기 화학 소자용 전해질로는 액체 상태의 전해질, 특히 비수계 유기 용매에 염을 용해한 이온 전도성 유기 액체 전해질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액체 상태의 전해질이 가지는 가연성과 낮은 열적 안정성은 리튬 이차전지의 안정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리튬 이차전지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세라믹 고체 전해질, 고분자 전해질과 같은 다양한 전해질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세라믹 고체 전해질과 고분자 전해질은 상온에서 이온전도도가 낮으며 전극과의 높은 계면 저항 특성을 가지고 있어 이차전지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저하시키는 다른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세라믹 입자와 고분자를 혼합하여 복합 전해질을 제조하며 거기에 소량의 액체 전해질을 포함시켜 고체상의 복합 전해질을 제조하는 시도가 있다.
이렇게 제조된 복합 전해질은 열적 안정성도 증가시키지만 계면저항을 감소시키고 리튬 이온 활성화된 세라믹을 포함하고 있어 리튬 이온의 이동을 향상시킴으로써 전기 화학적 특성을 증가시킨다.
그러나, 복합 전해질에 사용되는 세라믹과 고분자는 종류에 따라 이차전지의 양극부와 음극부에서 다른 특성을 가짐에 따라 안정성과 전기화학적 특성 향상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11833호(2013년 10월 11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양극 및 음극을 포함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다층 구조의 전해질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양극부를 향해 위치하는 전해질층과 음극부를 향해 위치하는 전해질층을 상이한 재질로 형성하고 다층 구조로 적층함에 따라 양극부와 음극부의 특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이차전지용 복합 전해질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구조를 가지는 이차전지용 복합 전해질은 이차전지용 복합 전해질로서, 양극부를 향해 위치하는 제1 전해질층과, 음극부를 향해 위치하는 제2 전해질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해질층 및 상기 제2 전해질층 각각은 고분자 기재 및 세라믹 입자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전해질층 및 상기 제2 전해질층은 서로 상이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구조를 가지는 이차전지용 복합 전해질은 상기 제1 전해질층과 상기 제2 전해질층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전해질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전해질층은 고분자 기재 및 세라믹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차전지용 복합 전해질은 액체 전해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전해질층은 상기 제2 전해질층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양극부에서의 전기적 안정성이 우수하고, 상기 제2 전해질층은 상기 제1 전해질층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음극부에서의 전기적 안정성이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전해질층 및 상기 제2 전해질층 각각은 상이한 고분자 기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고분자 기재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계,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계,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계,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olyvinyl chloride)계,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계, 폴리이미드(Polyimide)계, 폴리에틸렌(Polyethylene)계, 폴리우레탄(Polyurethane)계,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계,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Polypropylene oxide)계,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eimine)계, 폴리에틸렌 설파이드(Polyethylene sulfide)계, 폴리비닐 아세테이트(Polyvinyl acetate)계, 폴리에틸렌석시네이트(Polyethylenesuccinate)계, 폴리에스테르(Polyester)계, 폴리아민(Polyamine)계, 폴리설파이드(Polysulfide)계, 실록산(Siloxane)계, 이의 유도체 및 이의 조
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전해질층 및 상기 제2 전해질층 각각은 상이한 세라믹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세라믹 입자는 Al2O3계, SiO2계, BaTiO3계, TiO2계, 리튬산화물계, 리튬황화물계, 비정질 이온 전도도 물질, 나시콘(NASICON), 나트륨황화물계, 나트륨산화물계, 이의 유도체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존에는 이차전지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체상 전해질은 고분자 또는 세라믹으로만 제조되었고, 세라믹과 고분자 복합전해질은 한 층으로만 제조되었는데, 고분자 전해질은 상온에서 이온 전도도가 낮고 세라믹 고체 전해질은 전극과의 계면 저항이 크고 세라믹과 고분자 복합전해질은 이차전지의 양극과 음극의 특성을 동시에 만족시키지 못한다.
이와 달리, 본 발명에 의한 다층 구조를 가지는 이차전지용 복합 전해질은 이온 전도도가 높고 전극과의 계면 저항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양극부와 음극부의 특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열적 안정성이 우수하고 이차전지에 적용하는 경우 용량이 우수하며 충-방전 사이클이 진행됨에 따라 용량의 큰 감소 없이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층 구조를 가지는 이차전지용 복합 전해질의 단면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삼층 구조를 가지는 이차전지용 복합 전해질의 단면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구조를 가지는 이차전지용 복합 전해질 표면의 SEM 분석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구조를 가지는 이차전지용 복합 전해질 단면의 SEM 분석 사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구조를 가지는 이차전지용 복합 전해질의 변형 특성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구조를 가지는 이차전지용 복합 전해질의 열적 안정성을 시험하기 위한 사진이다.
도 7a 및 도 7b는 종래 상용화된 이차전지용 분리막의 열적 안정성을 시험하기 위한 사진이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구조를 가지는 이차전지용 복합 전해질의 충-방전 곡선이고,
도 8b는 종래 이차전지용 복합 전해질의 충-방전 곡선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층 구조를 가지는 이차전지용 복합 전해질의 단면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층 구조를 가지는 이차전지용 복합 전해질(100)은 양극부와 음극부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에 사용되며, 양극부를 향해 위치하는 제1 전해질층(110)과 음극부를 향해 위치하는 제2 전해질층(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 전해질층(110) 및 상기 제2 전해질층(120) 각각은 고분자 기재(10) 및 상기 고분자 기재(10)에 분포된 세라믹 입자(2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전해질층(110) 및 상기 제2 전해질층(120)은 서로 상이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용 복합 전해질에 사용되는 세라믹 입자(20)와 고분자 기재(10)는 종류에 따라 이차전지의 양극부와 음극부에서 다른 특성을 가지므로 전기 화학적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단층 구조의 복합 전해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양극부와 음극부에 하나의 전해질층이 접촉되며, 이러한 하나의 전해질층은 양극부와 음극부에서 각각 다른 특성을 나타내므로 이차전지의 안정성 및 전기 화학적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한계가 있다.
이와 달리, 본 발명에서는 양극부와 음극부에 접촉하는 전해질에 서로 상이한 재질을 가지도록 각각 다른 세라믹 입자(20)와 고분자 기재(10)를 복합화시켜 두 층 또는 그 이상의 다층 구조를 가지는 복합 전해질을 제조함으로써 이차전지의 안정성 및 전기 화학적 특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삼층 구조를 가지는 이차전지용 복합 전해질의 단면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구조를 가지는 이차전지용 복합 전해질(100)은 양극부와 음극부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에 사용되며, 양극부를 향해 위치하는 제1 전해질층(110)과 음극부를 향해 위치하는 제2 전해질층(120)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해질층(110)과 상기 제2 전해질층(120) 사이에 위치하는 제3전해질층(1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해질층 각각은 고분자 기재(10) 및 상기 고분자 기재(10)에 분포된 세라믹 입자(20)를 포함하되, 상기 양극부를 향해 위치하는 제1 전해질층(110)과 상기 음극부를 향해 위치하는 제2 전해질층(120)은 서로 상이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 전해질층(110)은 상기 제2 전해질층(120)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양극부에서의 전기적 안정성이 우수하고, 상기 제2 전해질층(120)은 상기 제1 전해질층(110)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음극부에서의 전기적 안정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3 전해질층(130)을 통해 다양한 세라믹 특성을 복합화 시킴으로써 이차전지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위 구조 이외에도 사용하고자 하는 이차전지의 특성이나 원하는 복합 전해질의 특성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제1 전해질층(110)과 상기 제2 전해질층(120) 사이에 복수의 전해질층을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다층 구조를 가지는 이차전지용 복합 전해질을 구현할 수 있다. 다층 구조는 앞서 설명한 이층 구조 및 삼층 구조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다층 구조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프린팅법, 닥터브레이드법, 상 분리법, 전기방사법, 추출법, 압착법 등 통상적으로 알려진 제조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구조를 가지는 이차전지용 복합 전해질은 소량의 액체 전해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전해질은, 에틸렌 카보네이트(Ethylene Carbonate),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 1,2-부틸렌 카보네이트(Butylene Carbonate), 2,3-부틸렌 카보네이트(Butylene Carbonate), 2,3-펜틸렌 카보네이트(Pentylene Carbonate) 등과 같은 환형 카보네이트계 유기 용매와, 디메틸 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 디에틸 카보네이트(Diethyl Carbonate), 에틸메틸 카보네이트(Ethylmethyl Carbonate), 1,2-디메톡시에탄(Dimethoxyethane), 디프로필 카보네이트(Dipropyl Carbonate), 메틸프로필 카보네이트(Methylpropyl Carbonate)및 에틸프로필 카보네이트(Ethylpropyl Carbonate) 등과 같은선형 카보네이트계 유기 용매에 LiBF4, LiClO4, LiPF6, LiSbF6, LiAsF6, Li(C2F5SO3)2N, LiCF3SO3, Li(CF3SO2)2N, LiC4F9SO3, Li(CF3SO2)3C, LiBPh4, LiAlO4, LiAlCl4, LiSCN 및 LiC(CF3SO2)3로 이루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리튬염을 용해시킨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종류의 액체 전해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전해질은 전체 복합 전해질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함침 과정을 통해 복합 전해질에 투입할 수 있다.
액체 전해질을 함침시키는 방법에는 각각의 전해질층을 별도로 제작한 후 함침시키거나 다층 구조를 가지는 복합 전해질 전체를 함침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함침된 액체 전해질은 전극과 전해질의 계면 저항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복합 전해질 내의 세라믹 입자(20)와 고분자 기재(10) 사이의 계면저항도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전해질층(110) 및 제2 전해질층(120) 각각은 동일한 고분자 기재(10)를 포함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나 상이한 고분자 기재(1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고분자 기재(10)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PVdF)계,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O)계,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PAN)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계,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olyvinyl chloride)계,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PVP)계, 폴리이미드(Polyimide, PI)계,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계,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계,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계,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Polypropylene oxide, PPO)계, 폴리 에틸렌이민(Polyethylene imine, PEI)계, 폴리에틸렌 설파이드(Polyethylenesulfide, PES)계, 폴리비닐 아세테이트(Polyvinyl acetate, PVAc)계, 폴리에틸렌석시네이트(Polyethylenesuccinate, PESc)계, 폴리에스테르(Polyester)계, 폴리아민(Polyamine)계, 폴리설파이드(Polysulfide)계, 실록산(Siloxane)계, 이의 유도체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전해질층(110) 및 제2 전해질층(120) 각각은 상이한 세라믹 입자(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세라믹 입자(20)는 Al2O3계, SiO2계, BaTiO3계, TiO2계, 리튬산화물계, 리튬황화물계, 비정질 이온 전도도 물질, 나시콘(NASICON), 나트륨황화물계, 나트륨산화물계, 이의 유도체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리튬산화물계는 Li1.3Al0.3Ti1.7(PO4)3(LTAP)나 Li7La3Zr2O12(LLZO)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리튬황화물계는 Li10GeP2S12, Li2S-P2S5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비정질 이온 전도도 물질은 인-기반 글래스(phosphorus-based glass), 옥사이드-기반 글래스(oxide-based glass), 옥사이드/설파이드 기반 글래스(oxide/sulfide based glas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O)계 고분자는 음극부 쪽에서는 안정하지만 양극부 쪽에서는 불안정한 측면이 있고, Li1.3Al0.3Ti1.7(PO4)3(LTAP) 세라믹 고체 전해질은 Ti의 높은 환원 전위 때문에 흑연, Si, Li 등과 같은 낮은 전압의 음극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나 리튬 이온 활성도가 우수하여 복합 전해질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제1 전해질층(110)은 전기적 안정성이 높은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PVdF)를 고분자 기재(10)로 이용하고 LTAP를 세라믹 입자(20)로 이용하여 복합화시키고, 제2 전해질층(120)은 전기적 안정성이 높은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PVdF)나 음극부 쪽에서 안정성이 높은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O)계를 고분자 기재(10)로 이용하고 저전압에 안정적인 LLZO나 Al2O3를 세라믹 입자(20)로 이용하여 복합화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제3 전해질층(130)은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O)계를 고분자 기재(10)로 이용하고 Li2S-P2S5 등의 리튬황화물계를 세라믹 입자(20)로 이용하여 복합화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구조를 가지는 이차전지용 복합 전해질 표면의 SEM 분석 사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구조를 가지는 이차전지용 복합 전해질 단면의 SEM 분석 사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구조를 가지는 이차전지용 복합 전해질은 세라믹 입자와 고분자 기재가 잘 혼합되어 표면이 매우 고르게 형성된 것을 알 수 있으며 전해질층 간의 결합이 견고하게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구조를 가지는 이차전지용 복합 전해질의 변형 특성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인데,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성이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도 6a는 종래 상용화된 이차전지용 분리막의 열적 안정성을 시험하기 위한 사진이고,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구조를 가지는 이차전지용 복합 전해질의 열적 안정성을 시험하기 위한 사진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구조를 가지는 이차전지용 복합 전해질은 가연성이 없으며 120도에서도 수축되지 않는 우수한 열적 안정성을 보여주는 반면에 상용화 분리막은 불에 잘 타며 120도에서 심하게 수축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구조를 가지는 이차전지용 복합 전해질의 충-방전 곡선이고, 도 7b는 종래 이차전지용 복합 전해질의 충-방전 곡선이다.
여기서, 도 7a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구조를 가지는 이차전지용 복합 전해질은 양극부를 향해 위치하는 제1 전해질층을 LTAP와 PVdF를 중량비 80:20으로 혼합하여 제조하였고, 음극부를 향해 위치하는 제2 전해질층을 LLZO와 PVdF를 중량비 80:20으로 혼합하여 제조하였으며, 필름 제조 방법으로 프린팅, 상분리 및 닥터 블레이드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복합 전해질을 전체 복합 전해질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에 해당하는 액체 전해질을 함침시켰다.
복합 전해질을 사용한 이차전지의 전기 화학적 특성 분석을 위하여 양극으로는 LiCoO2를 사용하고 음극으로는 전위가 가장 낮은 Li 금속을 사용하여 상온, 0.1C의 전류밀도에서 충-방전시켰다.
도 7b에 도시된 종래 이차전지용 복합 전해질은 PEO/LTAP/PEO 3층 구조의 단일 혼합물로 복합 전해질을 구성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LiCoO2양극이 최대 170mAh/g의 용량을 나타내는데,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구조를 가지는 이차전지용 복합 전해질은 160mAh/g의 용량을 가지며 충-방전 사이클이 반복됨에도 불구하고 용량 변화가 크지 않는데 반해 종래 이차전지용 복합 전해질은 충-방전 사이클이 반복됨에 따라 용량이 계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는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구조를 가지는 이차전지용 복합 전해질의 전기 화학적 특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복합 전해질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등록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등록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등록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등록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고분자 기재
20: 세라믹 입자
100: 이차전지용 복합 전해질
110: 제1 전해질층
120: 제2 전해질층
130: 제3 전해질층

Claims (8)

  1. 이차전지용 복합 전해질로서,
    양극부를 향해 위치하는 제1 전해질층과,
    음극부를 향해 위치하는 제2 전해질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해질층은 고분자 기재 및 리튬 이온 활성화된 세라믹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해질층은 고분자 기재 및 세라믹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해질층 및 상기 제2 전해질층은 서로 상이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를 가지는 이차전지용 복합 전해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전해질층과 상기 제2 전해질층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전해질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전해질층은 고분자 기재 및 세라믹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를 가지는 이차전지용 복합 전해질.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차전지용 복합 전해질은 액체 전해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를 가지는 이차전지용 복합 전해질.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전해질층은 상기 제2 전해질층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양극부에서의 전기적 안정성이 우수하고,
    상기 제2 전해질층은 상기 제1 전해질층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음극부에서의 전기적 안정성이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를 가지는 이차전지용 복합 전해질.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전해질층 및 상기 제2 전해질층 각각은 상이한 고분자 기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를 가지는 이차전지용 복합 전해질.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기재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계,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계,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계,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olyvinyl chloride)계,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계, 폴리이미드(Polyimide)계, 폴리에틸렌(Polyethylene)계, 폴리우레탄(Polyurethane)계,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계,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Polypropylene oxide)계,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e imine)계, 폴리에틸렌 설파이드(Polyethylene sulfide)계, 폴리비닐 아세테이트(Polyvinyl acetate)계, 폴리에틸렌석시네이트(Polyethylenesuccinate)계, 폴리에스테르(Polyester)계, 폴리아민(Polyamine)계, 폴리설파이드(Polysulfide)계, 실록산(Siloxane)계, 이의 유도체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를 가지는 이차전지용 복합 전해질.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전해질층 및 상기 제2 전해질층 각각은 상이한 세라믹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를 가지는 이차전지용 복합 전해질.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입자는 Al2O3계, SiO2계, BaTiO3계, TiO2계, 리튬산화물계, 리튬황화물계, 비정질 이온 전도도 물질, 나시콘(NASICON), 나트륨황화물계, 나트륨산화물계, 이의 유도체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를 가지는 이차전지용 복합 전해질.
KR1020170156405A 2017-11-22 2017-11-22 다층 구조를 가지는 이차전지용 복합 전해질 KR201701321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405A KR20170132119A (ko) 2017-11-22 2017-11-22 다층 구조를 가지는 이차전지용 복합 전해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405A KR20170132119A (ko) 2017-11-22 2017-11-22 다층 구조를 가지는 이차전지용 복합 전해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6894A Division KR20170111439A (ko) 2016-03-28 2016-03-28 다층 구조를 가지는 이차전지용 복합 전해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2119A true KR20170132119A (ko) 2017-12-01

Family

ID=60921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6405A KR20170132119A (ko) 2017-11-22 2017-11-22 다층 구조를 가지는 이차전지용 복합 전해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21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72166A (zh) * 2019-06-11 2020-12-11 现代自动车株式会社 具有改进柔性和强度的固体电解质复合材料及其制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72166A (zh) * 2019-06-11 2020-12-11 现代自动车株式会社 具有改进柔性和强度的固体电解质复合材料及其制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886164B (zh) 一种具有多层结构的二次电池用复合电解质
EP3428998B1 (en) Negative electrode comprising multiple protection layers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US10497930B2 (en) Anode comprising multiple protective layers,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KR101972145B1 (ko) 일체형 전고체 이차전지
KR102025033B1 (ko) 나노다공성 세퍼레이터 상의 애노드 직접 코팅을 이용한 배터리
KR101060400B1 (ko) 리튬 이차전지
KR102047300B1 (ko) 복합 고체 전해질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US10923766B2 (en) Hybrid solid electrolyte for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889207B1 (ko) 유/무기 복합 다공성 필름 및 이를 이용하는 전기 화학소자
KR101796259B1 (ko) 다층 구조의 복합전해질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CN105190969A (zh) 用于电极的保护结构
KR101705307B1 (ko) 상 전환법을 이용한 전기화학소자용 세퍼레이터의 제조방법, 그로부터 형성된 세퍼레이터 및 그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US20220052378A1 (en) Hybrid solid state electrolyte
JP4355970B2 (ja) 固体電解質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70015149A (ko) 선택적 이온 흡착성 세퍼레이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화학 전지
KR101480499B1 (ko) 전기화학 소자용 세퍼레이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소자
KR20170132119A (ko) 다층 구조를 가지는 이차전지용 복합 전해질
KR20180092364A (ko) 리튬 이차 전지
KR101684315B1 (ko) 전극의 구성이 상이한 단위셀들을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
KR20200143281A (ko) 바이폴라 리튬 이차전지
KR101693525B1 (ko) 전기화학 소자용 세퍼레이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소자
KR20140018029A (ko) 전기화학소자용 세퍼레이터 및 그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US20230411686A1 (en) Layered gel-polymer electrolytes and methods of forming thereof
US20230411678A1 (en) Solid electrolyte membrane, all-solid-state battery using the same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reof
KR100385213B1 (ko) 리튬 2차전지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