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0877A - 도어의 틈새를 조절하기 위한 도어 트림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의 틈새를 조절하기 위한 도어 트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0877A
KR20170130877A KR1020160061660A KR20160061660A KR20170130877A KR 20170130877 A KR20170130877 A KR 20170130877A KR 1020160061660 A KR1020160061660 A KR 1020160061660A KR 20160061660 A KR20160061660 A KR 20160061660A KR 20170130877 A KR20170130877 A KR 201701308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door
latch
bolt
receiv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1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2645B1 (ko
Inventor
강재석
Original Assignee
강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재석 filed Critical 강재석
Priority to KR1020160061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2645B1/ko
Publication of KR20170130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0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2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2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0Bolts of locks or night la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12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for lock parts held in place before or during mounting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45Silencing devices; Noise red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3Adjustable by motors, magnets, springs or we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4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high or low tempera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트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도어 프레임의 래치(latch) 홈 간격을 잠금장치의 래치 위치에 맞게 조절함으로써 도어 프레임과 도어 사이의 틈을 최소화할 수 있는 도어 트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트림 장치는 도어 프레임의 래치 홈에 설치되는 트림 받이판과, 잠금장치의 래치가 삽입되도록 상기 트림 받이판의 내부에서 래치의 위치에 따라 이동할 수 있게 장착되는 포켓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도어의 틈새를 조절하기 위한 도어 트림 장치 {Door trim apparatus for door gap arrangement}
본 발명은 도어 트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도어 프레임의 래치(latch) 홈 간격을 잠금장치의 래치 위치에 맞게 조절함으로써 도어 프레임과 도어 사이의 틈을 최소화할 수 있는 도어 트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에 장착되는 다양한 종류의 잠금장치로 인해 도어 프레임의 래치 홈의 크기는 장금장치의 래치에 비해 크다.
도 1 및 도 2는 도어에 설치된 도어락의 모습으로, 도 1은 도어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고, 도 2는 도어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00)에 설치된 도어락은 크게 내기(410), 외기(420) 및 잠금장치(300)로 구성된다.
도어락의 작동 상태에 따라 잠금장치(300)의 래치(310)가 도어(200)에서 돌출되거나 도어(200)에 삽입된다. 도어 프레임(100)에는 돌출된 래치(310)가 삽입되는 래치 홈(110)과 받이판(120)이 설치되어 있다.
도 2를 보면, 도어(200)가 닫힌 상태에서 래치(310)가 받이판(120)의 구멍을 통해 래치 홈(110)에 삽입되어 있다. 그런데 래치(310)가 항상 받이판(120)의 구멍 중심에 위치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으로 도어락 및 도어의 상태에 따라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여러 종류의 도어락을 다양한 상태의 도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래치 홈(110)과 받이판(120)의 구멍이 래치(310)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래치(310)는 받이판(120)의 제1 면(121)과 제2 면(122)에서 떨어지게 되고 그 유격이 상당히 크게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유격으로 인하여 래치(310)가 받이판(120)에 부딪혀 래치 홈(110)으로 들어가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그 유격만큼 도어(200)가 흔들리게 되고, 도어(200)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도 도어(200)가 계속 흔들려서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 뿐만 아니라 도어(200)와 도어 프레임(100)간 유격에 따른 틈이 발생하여 그 틈을 따라 내외간 열의 이동으로 인한 단열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44136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 프레임의 래치 홈에서 발생하는 유격으로 인한 도어의 소음 및 단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트림 장치는 도어 프레임의 래치 홈에 설치되는 트림 받이판과, 잠금장치의 래치가 삽입되도록 상기 트림 받이판의 내부에서 래치의 위치에 따라 이동할 수 있게 장착되는 포켓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포켓의 내부 홈에 스프링 가이드가 설치되고 스프링 가이드에 스프링이 삽입되고, 상기 트림 받이판에는 높이가 다르게 설치된 제1 기어 및 제2 기어가 구비되어, 상기 스프링이 삽입된 스프링 가이드에 기어볼트가 끼워지면 상기 스프링에 의해 기어볼트가 상기 포켓의 내부 홈에 밀착되고 기어볼트의 기어가 상기 제1 기어 및 제2 기어에 모두 맞물리면서 기어볼트가 고정되어 상기 포켓이 상기 트림 받이판에 고정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기어볼트가 눌리면 아래로 이동하여 상기 포켓의 내부 홈에서 떨어지면서 상기 기어볼트의 기어는 상기 제1 기어에 맞물려 있으나 상기 제2 기어에서 이탈하여 상기 기어볼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포켓이 상기 트림 받이판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트림 장치는 도어 프레임의 래치 홈에 설치되는 트림 받이판과, 잠금장치의 래치가 삽입되도록 상기 트림 받이판의 내부에서 래치의 위치에 따라 이동할 수 있게 장착되는 포켓을 포함하여, 상기 포켓은 이동 체결체에 의해 상기 트림 받이판에 고정되거나 이동 체결체의 회전 이동에 따라 고정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트림 받이판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래치가 삽입되는 포켓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어서 다양한 도어락 및 도어에 대하여 래치 홈과 래치 간의 유격을 최소화하면서 도어락을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어볼트의 회전 조작만으로 래치가 삽입되는 포켓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도어 트림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도어에 설치되는 종래 도어락의 모습으로서 도어가 열려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어에 설치되는 종래 도어락의 모습으로서 도어가 닫혀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트림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트림 장치의 조립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트림 장치에서 기어볼트의 체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트림 장치에서 포켓의 이동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트림 장치가 적용된 도어락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며,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함에 유의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트림 장치(10)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트림 장치(10)는 트림 받이판(20), 포켓(30), 기어볼트(40), 및 스프링(50)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트림 장치(10)는 일반 받이판(120)과 같이 도어 프레임(100)의 래치 홈(110)의 볼트 구멍(111)에 볼트를 체결하여 설치하면 된다.
도어 트림 장치(10)의 조립을 위해, 트림 받이판(20)의 내부에 포켓(30)을 도 3의 (a)와 같이 밀어 넣으면, 포켓(30) 양측면의 걸림 돌기(31)가 트림 받이판(20) 양측면의 걸림 턱(21)에 끼워진다.
스프링(50)은 포켓 내부의 스프링 가이드(32)에 끼워지고 기어볼트(40)는 스프링(50) 위에 끼워진다.
기어볼트(40)는 트림 받이판(20)의 내부에 수용되는 포켓(30)이 트림 받이판(20)에 고정 장착되거나 트림 받이판(20)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체결체의 역할을 수행한다.
기어볼트(40)가 스프링(50) 위에 끼워지면 포켓(30)의 내부 홈의 양측면의 기어볼트 걸림 턱(33)에 기어볼트(40)가 걸려 고정되고, 스프링(50)은 기어볼트(40)의 내부 구멍에 끼워져 스프링 탄성력이 작용하는 상태가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트림 장치(10)의 조립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기어볼트(40)가 포켓(30)의 내부 홈에 체결되면 기어볼트의 기어(41)가 트림 받이판(20)의 제1 기어(22) 및 제2 기어(23)에 끼워지면서 기어볼트(40)가 고정되어 회전하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도 5는 도 4와 같이 조립되어 있는 도어 트림 장치(10)에서 기어볼트(40)의 체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림 받이판(20)의 제1 기어(22)와 제2 기어(23)는 같은 평면상에 위치하지 않고, 서로 다른 높이 차이를 가지고 있다.
기어볼트(40)는 스프링(50)의 탄성력에 의해 기어볼트 걸림 턱(33)에 밀착된 상태로 걸려 있는데, 이때 기어볼트 기어(41)의 하측은 제1 기어(22)의 일부에 끼워져 있고, 기어볼트 기어(41)의 상측은 제2 기어(23)의 일부에 끼워져 있는 상태로서 기어볼트(40)가 회전하지 못하고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 상태에서, 드라이버로 기어볼트(40)를 누르면 도 5의 (b)와 같은 상태가 된다.
기어볼트(40)는 드라이버의 누름 동작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여 스프링(50)을 압축하면서 포켓(30) 하단부 즉, 스프링 가이드(32)의 하단부와 접촉할 때까지 이동한다.
이때, 기어볼트 기어(41)의 상측은 트림 받이판(20)의 제2 기어(23)에 끼워져 있다가 빠지게 되고, 기어볼트 기어(41)의 하측은 트림 받이판(20)의 제1 기어(22)에 더욱 많이 끼워지게 된다. 즉, 제1 기어(22)에 일부 끼워져 있던 기어볼트 기어(41)의 하측이 제1 기어(22)와 완전히 맞물리게 된다.
이렇게 되면, 기어볼트 기어(41)는 제2 기어(23)와 전혀 간섭이 없기 때문에 제1 기어(22)에 맞물려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트림 장치에서 래치가 삽입되는 포켓의 이동을 나타낸 것이다.
기어볼트(40)를 드라이버로 누른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도 6의 (a)와 같이 기어볼트 기어(41)와 제1 기어(22)가 상호 맞물려 회전하면서 기어볼트(40)가 장착된 포켓(30)이 한쪽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기어볼트(40)를 드라이버로 누른 상태에서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도 6의 (b)와 같이 포켓(30)이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기어볼트(40)를 일정 거리 회전시킨 후 눌렀던 드라이버를 떼면, 압축된 스프링(50)의 탄성력에 의해 기어볼트(40)가 기어볼트 걸림 턱(33)에 다시 걸릴 때까지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도 5의 (a)와 같은 상태로 돌아간다.
도 5의 (a)와 같은 상태가 되면, 기어볼트 기어(41)의 상측이 다시 제2 기어(23)에 일부 끼워지고, 기어볼트 기어(41)의 하측은 여전히 제1 기어(22)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여 기어볼트(40)는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고 고정된다.
여기서, 기어볼트 기어(41)의 하측은 제1 기어(22)에 완전히 끼워져 있는 상태에서 일부 끼워진 상태로 바뀌나 제1 기어(22)에 끼워져 있는 상태는 유지하게 된다.
도 6에서 상술한 것처럼, 도어 트림 장치(10)의 기어볼트(40)를 회전시켜 래치(310)가 삽입되는 포켓(30)의 위치를 조절하면, 도어(200)가 닫힌 상태에서 잠금장치(300)의 래치(310)가 도어 프레임(100)의 래치 홈(110)의 어느 부분에 위치하더라도 포켓(30)의 위치를 래치(110)에 맞출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포켓(30) 안으로 래치(3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포켓(30)의 위치가 조정되어 있으며, 종래와 달리 래치(310)와 래치 홈(100) 간의 유격이 거의 없음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트림 장치는 원통형 잠금장치, 튜불러형(tubular) 잠금장치, 모티스(mortise) 잠금장치 등 다양한 잠금장치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 도어 트림 장치 20: 트림 받이판
30: 포켓 40: 기어볼트
50: 스프링

Claims (4)

  1. 도어 프레임의 래치 홈에 설치되는 트림 받이판과,
    잠금장치의 래치가 삽입되도록 상기 트림 받이판의 내부에서 래치의 위치에 따라 이동할 수 있게 장착되는 포켓을 포함하는 도어 트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의 내부 홈에 스프링 가이드가 설치되고 스프링 가이드에 스프링이 삽입되고, 상기 트림 받이판에는 높이가 다르게 설치된 제1 기어 및 제2 기어가 구비되어,
    상기 스프링이 삽입된 스프링 가이드에 기어볼트가 끼워지면 상기 스프링에 의해 기어볼트가 상기 포켓의 내부 홈에 밀착되고 기어볼트의 기어가 상기 제1 기어 및 제2 기어에 모두 맞물리면서 기어볼트가 고정되어 상기 포켓이 상기 트림 받이판에 고정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트림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볼트가 눌리면 아래로 이동하여 상기 포켓의 내부 홈에서 떨어지면서 상기 기어볼트의 기어는 상기 제1 기어에 맞물려 있으나 상기 제2 기어에서 이탈하여 상기 기어볼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포켓이 상기 트림 받이판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트림 장치.
  4. 도어 프레임의 래치 홈에 설치되는 트림 받이판과,
    잠금장치의 래치가 삽입되도록 상기 트림 받이판의 내부에서 래치의 위치에 따라 이동할 수 있게 장착되는 포켓을 포함하여,
    상기 포켓은 이동 체결체에 의해 상기 트림 받이판에 고정되거나 이동 체결체의 회전 이동에 따라 고정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트림 받이판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트림 장치.
KR1020160061660A 2016-05-19 2016-05-19 도어의 틈새를 조절하기 위한 도어 트림 장치 KR101812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660A KR101812645B1 (ko) 2016-05-19 2016-05-19 도어의 틈새를 조절하기 위한 도어 트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660A KR101812645B1 (ko) 2016-05-19 2016-05-19 도어의 틈새를 조절하기 위한 도어 트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877A true KR20170130877A (ko) 2017-11-29
KR101812645B1 KR101812645B1 (ko) 2017-12-27

Family

ID=60811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1660A KR101812645B1 (ko) 2016-05-19 2016-05-19 도어의 틈새를 조절하기 위한 도어 트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2645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6885A (ja) * 1998-09-25 2000-04-04 Kikaku Hashimoto:Kk ラッチ受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2645B1 (ko) 2017-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8995B1 (ko) 도어락
KR101453945B1 (ko) 멀티타입 래치볼트
KR102127482B1 (ko) 로터리 레버 잠금 장치
US10081466B2 (en) Case with device for tool free unlocking access
KR101701336B1 (ko) 폴딩 도어용 잠금장치
US4331355A (en) Temporary locking device
KR101712087B1 (ko) 자동 잠금이 가능한 도어 록킹장치
KR200484244Y1 (ko) 기밀 효과를 높인 창호용 잠금장치
KR101743238B1 (ko) 잠금키가 구비된 창호용 핸들장치
KR101812645B1 (ko) 도어의 틈새를 조절하기 위한 도어 트림 장치
KR101782579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CN113574238A (zh) 开闭体的锁定装置
KR101583513B1 (ko) 푸시버튼형 도어락
KR101683129B1 (ko) 창호용 창 잠금장치
CN211900123U (zh) 锁座组件以及锁闭装置
KR101990693B1 (ko) 방범 방충망용 잠금장치
KR101756863B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200442766Y1 (ko) 락카용 문 쇄정장치
JP4756483B2 (ja) 自動チリ調整ストライク
JP2001262892A (ja) 家具における鍵の誤作動防止装置
CN109788675B (zh) 操作机构和机箱
KR200300191Y1 (ko) 미닫이문의 외부잠금장치
KR101534108B1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핸들장치
US20050134056A1 (en) Cabinet door locking system
KR102016984B1 (ko) 직접 잠금 장치(dls)용 그립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