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0652A - 다각모양 음용용기에 대한 스트로 부착 방법 및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다각모양 음용용기에 대한 스트로 부착 방법 및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0652A
KR20170130652A KR1020160060745A KR20160060745A KR20170130652A KR 20170130652 A KR20170130652 A KR 20170130652A KR 1020160060745 A KR1020160060745 A KR 1020160060745A KR 20160060745 A KR20160060745 A KR 20160060745A KR 20170130652 A KR20170130652 A KR 20170130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nking container
conveying conveyor
straw
conveyor
polygonal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0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5666B1 (ko
Inventor
김종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일
Priority to KR1020160060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5666B1/ko
Priority to CN201611028751.XA priority patent/CN107399474B/zh
Publication of KR20170130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0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5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5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18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making package-opening or unpack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2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adding cards, coupons or other inserts to package contents
    • B65B61/202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adding cards, coupons or other inserts to package contents for attaching articles to the outside of a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24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endless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roller-ways or endless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8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22Arrangements or mountings of driving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24Gearing between driving motor and 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48Driving means for the 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각모양 음용용기에 대한 스트로 부착 방법 및 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포장 스트로를 부착하는 과정에서 다각모양 음용용기의 경사진 모서리면을 음용용기의 이송 컨베이어의 진행방향과 평행 방향을 이루게 변화시키어 포장 스트로를 정확하게 부착하기 최적의 수평면을 이루게 하여, 포장 스트로의 부착 작업이 문제 발생 없이 효율적이면서 안정적으로 실행될수 있게 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다각모양 음용용기에 대한 스트로 부착 방법 및 부착장치{Straw Attachment Device of the Rectangular Drinking Container and Method}
본 발명은 다각형 음용용기(Drinking Container)에 포장 스트로를 하나씩 부착하는 스트로 부착방법 및 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각모양 음용용기의 경사진 모서리면으로 포장 스트로를 부착함에 있어서 트러블 없이 효율적으로 부착할 수 있도록 부착공정을 개선한 다각형 음용용기에 대한 스트로 부착 방법 및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 혹은 우유와 같은 음용제품이 수용되는 종이 혹은 합성 수지재질의 음용용기에는 음용제품을 간편하게 마실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에서 음용용기의 어느 일면에는 낱개로 포장된 포장 스트로가 부착 됨은 주지된 사실이다.
이러한 포장 스트로를 음용용기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스트로 부착장치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 스트로 부착장치는 음용용기의 모양에 따라서 다양한 부착방식이 적용되어 지고 있다.
가장 널리 사용하는 스트로 부착장치가 사각의 음용용기에 포장 스트로를 부착하는 방식인데, 사각 모양의 음용용기에 포장 스트로를 부착하는 장치에 대한 일예로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각각 등록을 받고 있는 국내 실용 등록제0139104호 및 공개특허 특2003-0033175호 이외에 국내 특허 공고번호 제90-5032호, 및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평3-8110호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사각모양의 음용용기에 포장 스트로를 부착시키는 장치는 다수의 스트로가 포장되어 연속적으로 구획 형성된 일정 길이의 포장 스트로가 스트로 공급드럼의 외주 면에 안내되어 감아 돌면서 커터에 의해 매 포장 스트로 마다 하나씩 절단된 상태에서 공급드럼을 타고 이동되고, 최종적으로 이젝터에 의해서 추출되어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어 오는 음용용기의 외면에 각각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사각모양의 음용료용기의 어느 일면에 포장 스트로를 견실하게 부착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음용용기 이상의 각(角)을 가진 음용용기, 즉 도 8의 표시와 같은 다각모양의 음용용기(10)의 특정면인 경사진 모서리면(12)에 상기와 같은 스트로 부착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경사 모서리면(12)으로 포장 스트로(1)가 정확하게 부착되지 못하는 트러블 발생으로 부착 효율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즉, 기존의 스트로 부착장치는 선행기술들의 도면 표시와 같이 이젝트 바가 컨베이어를 타고 이동되는 음용용기에 대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선회(旋回)운동을 하면서 포장 스트로 공급드럼으로부터 포장 스트로를 이탈 시키어 음용용기에 부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사각모양의 음용용기의 경우 이젝트 바의 포장 스트로를 지지하고 있는 선단부위가 사각모양의 음용용기의 부착면과 밀착되는 상태를 이루며 포장 스트로를 부착하기 때문에 포장스트로의 전면(全面)이 사각 음용용기의 부착면에 정확히 견실하게 부착되는 반면, 도8의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서 하고자 하는 다각 모양의 음용용기(10)의 경사진 모서리면(12)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이젝트 바(24)의 선회운동으로 포장 스트로(1)를 지지하고 있는 선단부가 포장 스트로(1)가 부착되는 경사진 모서리면(12)과 일부만이 접촉되는 상태를 이루면서 경유하게 된다.
이 때문에 포장 스트로(1)역시 다각 모양의 음용용기(10)의 경사진 모서리면(12)에 이젝트바(24)가 접촉되는 부위만이 부착되는 상태를 이루게 되어, 후공정에서 포장 스트로(1)가 다각 모양의 음료용기(10)로부터 이탈되는 문제 발생으로 인해 생산성 저하로 이어지게 함은 물론 상품성 저하의 요인도 되게하고 있다.
음용용기를 다각모양으로 만드는 것은 소비자들로 하여금 사각 음용용기와는 차별화된 모양을 이루게 하여 호기심을 더 갖게 함으로써 상품의 구매 충동감을 더 갖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음용용기의 경사진 모서리면에 포장스트로를 부착하는 이유는 다른 면으로는 광고 그림이나 제품의 설명 문구를 넣는 유효면으로 사용할 수 있는 활용도가 큰 반면, 경사진 모서리 부위는 상대적으로 활용도가 작아서 포장 스트로를 부착하는 면으로 활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각모양의 음용용기의 어느 특정면이라도 포장 스트로를 정확하게 트러블 발생이 없이 견실하게 부착 고정시킬수 있는 방법 및 장치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KR 국내 실용등록제0139104호 KR 국내 공개특허 제2003-0033175호 KR 국내 특허 공고번호 제90-5032호 JP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평3-8110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다양한 추가 장점을 제공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다각모양 음용용기의 경사진 모서리면에 포장 스트로를 부착하는 데 있어, 다각모양 음용용기의 경사진 모서리면을 음용용기의 이송 컨베이어의 진행방향과 평행 방향을 이루게 변화시키어 포장 스트로를 정확하게 부착하기 위한 최적의 수평상태로 제공되게 하여, 다각모양 음용용기의 경사진 모서리면에 대한 포장 스트로의 부착 작업이 효율적이며, 안정적으로 실행될수 있게 한 다각형 음용용기에 대한 스트로 부착 방법 및 부착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다각형 음용용기에 대한 스트로 부착 방법 및 부착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다각형 음용용기에 대한 스트로 부착 방법은, 경사진 모서리면을 갖는 다각모양 음용용기를 이송 컨베이어 의해 포장 스트로 부착 공정으로 이송하는 단계;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양측에서 회전속도비를 각각 달리하여 대향 설치된 제1변환부에 의한 소정 방향으로의 회전력을 부여하여 상기 다각모양 음용용기의 경사진 모서리면이 포장 스트로의 최적 부착 방향인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진행방향과 평행을 이루는 방향으로 변환시키는 제1변환단계; 상기 제1변환부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일측에 설치되어 안내 작용을 하는 제2변환부에 의해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타고 이송되는 다각 모양 음용용기와 접촉하면서 다각 모양 음용용기의 포장 스트로가 부착된 경사진 모서리면이 최초 진입 조건의 방향으로 어느 정도 까지만 선회되게 하는 미는 힘을 상기 음용용기에 부여하는 제2변환단계;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상기 제2변환부와 대향위치에서 회전되게 설치된 제3변환부에 의해 상기 제2변환단계를 경유한 다각모양 음용용기를 상기 제2변환부와 같이 지지하면서 포장스트로가 부착된 경사진 모서리면이 최초의 진입조건의 방향으로 완전히 변환되게 하고자 상기 다각모양 음용용기의 이송속도 보다 빠른 회전력을 상기 다각모양 음용용기에 부여하는 제3변환단계;를 포함하여, 다각모양의 음용용기의 경사진 모서리면으로 포장 스트로 부착이 정확하며 안정적으로 실행될 수 있게 하였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다각형 음용용기에 대한 스트로 부착 장치는, 경사진 모서리면을 갖는 다각모양 음용용기를 포장 스트로 부착 공정으로 이송하는 이송 컨베이어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양측에서 회전속도비를 각각 달리하여 대향 설치되어 상기 다각모양 음용용기의 경사진 모서리면이 포장 스트로의 부착에 최적 방향인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진행방향과 평행 방향을 이루게 변환시키도록 구성된 제1변환부; 상기 제1변환부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타고 이송되는 다각모양 음용용기와 접촉되게 하면서 포장 스트로가 부착된 경사진 모서리면이 최초의 진입조건 방향을 향하여 어느 정도 까지만 방향 전환시킴에 필요한 미는 힘을 부여하도록 구성된 제2변환부;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상기 제2변환부와 대향 위치에서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제2변환부를 경유한 다각모양 음용용기를 상기 제2변환부와 같이 지지하면서 포장스트로가 부착된 경사진 모서리면이 최초의 진입 조건 방향으로 완전히 방향 전환되게 상기 다각모양 음용용기의 이송속도 보다 빠른 회전력이 상기 다각모양 음용용기 쪽으로 부여되게 하는 제3변환부를 포함 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변환부는,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양측에서 상기 이송 컨베이어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게 배치되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를 타고 이송되는 다각모양 음용용기를 협지하는 상태로 지지하는 이송벨트와,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양측에서 상기 이송벨트의 각각에 대응 설치되어 상기 이송벨트에 회전력을 부여하되 이송벨트들에 의해 협지되는 다각모양 음용용기의 경사진 모서리면의 위치 변화가 있게 서로 다른 회전비율로 회전되게 한 회전축들과, 이 회전축들을 같이 회전되게 연결하는 전동벨트, 및 상기 회전축들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부여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변환부는,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어느 일측에서 그 이송 컨베이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를 타고 이송되는 다각모양 음용용기에 대하여 제2차 방향 전환에 필요한 미는 힘을 부여하는 방향전환 경사단부를 갖는 가이드바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변환부는,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상기 가이드바와 대향 위치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제2변환부에 의해 어느 정도 까지 만 방향 전환된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다각모양 음용용기를 상기 가이드바 쪽으로 밀착되게 지지하는 상태로 회전되게 하면서 다각 모양의 음용용기의 포장 스트로가 부착된 경사진 모서리면이 최초의 진입 조건 방향으로 완전히 방향 전환되게 하는 회전력을 부여하되, 이 회전력은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회전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되는 방향전환용 회전롤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변환부는,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상기 가이드바와 대향 위치에 회전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2변환부에 의해 어느 정도 까지만 선회된 상태를 이루어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다각모양 음용용기를 상기 가이드바 쪽으로 밀착되게 지지하는 상태로 회전되게 하면서 다각 모양의 음용용기의 포장 스트로가 부착된 경사진 모서리면이 최초의 진입 조건과 같은 방향으로 완전히 방향 전환시키는 회전력을 부여하는 복수개의 회전롤러들을 안내벨트로 같이 회전되게 연결하되, 어느 하나의 회전롤러에는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회전속도 보다 빨리 회전되는 구동모터의 회전 구동력이 부여되게 하고, 상기 안내벨트는 평벨트 혹은 원형 단면을 갖는 링형 벨트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각모양의 음용용기의 경사진 모서리면으로 포장 스트로를 효율적이면서 안정적으로 부착하여 생산성 향상의 효과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각모양 음용용기에 대한 스트로 부착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스트로 부착장치의 평면을 개략(槪略)적으로 표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 만을 발췌하여 확대 표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를 화살표 "D"방향에서 보아 표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I-I선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2의 II-II선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서 "B"부분 만을 발췌하여 확대 표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6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종래의 다각모양 음용기에 포장 스트로가 부착되는 과정만을 위에서 보아 개략적으로 표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다각형 음용용기에 대한 스트로 부착 방법 및 부착장치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으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각모양 음용용기에 대한 스트로 부착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스트로 부착장치의 평면을 개략(槪略)적으로 표시한 도면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여 다각모양 음용용기에 대한 포장 스트로의 부착방법의 일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각모양 음용용기(10)에는 다양한 다각모양을 포함할 수 있으나, 하기 실시예서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8각을 일예로 들었으며,이 8각의 다각모양 음용용기(10)에는 포장 스트로(1)를 부착하기 위한 적어도 4개의 경사진 모서리면(12)이 제공되는데, 하나의 포장 스트로(1)는 4개의 경사진 모서리면(12)중 어느 한쪽의 경사진 모서리면(12)에 부착하면 된다. 포장 스트로(1)가 부착되는 다각모양 음용용기(10)의 내부에 수용되는 내용물은 보통의 과일 혹은 탄산 음료 혹은 우유 음료 혹은 유산균 음료 혹은 푸딩 등이 수용될 수 있는데, 이외에 음용가능한 것이라면 어느 내용물이라도 수용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본 발명의 다각모양 음용용기에 대한 스트로 부착방법>
<다각모양 음용용기 이송단계;S1>
경사진 모서리면들(12)을 갖는 다각모양 음용용기(10)를 이송 컨베이어(30)에 의해 포장 스트로 부착 공정(S3)으로 이송한다.
본 실시예에서 포장 스트로 부착공정(S3)은 특허문헌에서 인용된 선행기술에서 자세히 개시된 보통의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포장 스트로 부착공정(S3)에서 도면부호는 중복설명을 피하고자 도 8과 동일 부호로서 표시하였다.
<다각모양 음용용기의 방향에 대한 제1변환단계;S2>
제1변환단계(S2)는, 이송 컨베이어(30)의 양측에서 기어의 회전속도비를 각각 달리하여 설치된 제1변환부(120)로 하여금, 이송 컨베이어(30)를 타고 이송되는 다각모양 음용용기(10)를 협지한 상태로 지지하여 도 1에서 보아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 이동되게 하는 회전력을 부여하는 것에 의해, 상기 다각모양 음용용기(10)의 경사진 모서리면중 포장 스트로(1)를 부착하고자 하는 도면부호 12로 지시된 경사진 모서리면의 위치가 포장 스트로(1)를 안정적으로 정확하게 부착할수 있는 방향인 상기 이송컨베이어(30)의 진행방향과 평행 방향을 이루는 위치로 변환되어져 이송된다. 이렇게 위치가 변환된 다각 모양 음용용기(10)는 이송 컨베이어(30)에 의하여 통상의 포장 스트로 부착공정(S3)을 경유하게 되는데, 이때 이송컨베이어(30)의 진행방향과 평행 방향을 이루는 위치로 변환된 다각 모양 음용용기(10)의 경사지 모서리면(12)은 포장 스트로 공급드럼(20)으로부터 포장 스트로(1)를 추출하여 회전 이동되는 이젝트바(24)의 선단부와 수평면을 이루는 상태로 접하는 상태를 이루게 되어, 이젝트바(24)로 하여금 포장 스트로(1)의 어느 일측 전면(全面)이 경사진 모서리면(12)의 전체에 균일하게 부착되는 가압력을 부여하게 함으로써, 포장 스트로(1)는 경사진 모서리면(12)에 밀착된 상태로 빈틈 없이 안정적으로 정확하게 부착될 수 있게 한다. 상기에서 다각모양 음용용기(10)의 위치를 변환시키는 작용을 하는 제1변환부(120)에 대한 상세 구성에 대해서는 차후에 도2내지 도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각모양 음용용기의 방향에 대한 제2변환단계;S4>
제2변환단계(S4)는, 상기 제1변환부(120)에 의한 방향 변환작용으로 인하여 이송 컨베이어(30)와 평행을 이루게 한 다각모양 음용용기(10)의 포장 스트로(1)가 부착된 경사진 모서리면들(12)이 최초 진입할 때와 동일 조건의 방향으로 변환되게 안내하는 단계이다.
즉, 1차로 방향이 변환된 상태를 이루어 이송컨베이어(30)를 타고 이송되는 다각 모양 음용용기(10)를 제1변환부(120)와 이격된 위치에서 이송컨베이어(30)의 일측에 설치되어 안내 작용을 하는 제2변환부(140)에 의해, 도1에서 보아 화살표 b방향 -포장 스트로(1)가 부착된 경사진 모서리면(12)이 최초 진입 조건으로 돌아가는 방향-으로 틀어지게 유도하여 포장 스트로(1)가 부착된 경사진 모서리면(12)이 최초 진입시와 같은 조건으로 돌아가는 쪽으로 틀어지게 방향 전환이 실행된다.
상기에서 다각모양 음용용기(10)의 위치를 최초 진입위치와 동일 조건으로 돌아가게 일부 변환시키는 작용을 하는 제2변환부(140)에 대한 상세 구성 또한 도6 내지 도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다각모양 음용용기의 방향에 대한 제3변환단계;S5>
제3변환단계(S5)는, 이송 컨베이어(30)의 제2변환부(140)와 대향위치에서 회전되게 설치된 제3변환부(160)에 의해, 상기 제2변환단계(S4)를 경유하여 이송되는 다각모양 음용용기(10)를 제2변환부(140)와 같이 협지하는 상태로 지지하면서 포장스트로(1)가 부착된 경사진 모서리면(12)이 최초 진입 상태와 같은 조건으로 완전히 방향이 변환되게 유도하는 회전력을 다각모양 음용용기(10)에 부여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제3변환부(140)로부터 이송 컨베이어(30)에 의해 이송되는 다각모양 음용용기(10)에 전달되는 회전력은 이송 컨베이어(30)에 의해 이송되는 다각모양 음용용기(10)의 이송 속도 보다는 빠르다.
상기 제1변환부(120)에 의하여 경사진 모서리면(12)이 이송 컨베이어(30)와 평행하게 위치 변환되게 한 다각모양 음용용기(10)를 상기 제2,제3위치 변환부들(140,160)에 의해서 다시 원래 위치로 돌아가게 방향 변환을 하는 이유는, 포장스트로(1)가 부착된 다각모양 음용용기(10)의 후 처리 공정에서 방향전환으로 인한 트러블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에서 다각모양 음용용기(10)의 방향을 최초 진입 조건의 방향으로 변환시키는 작용을 하는 제3변환부(160) 또한 도6 내지 도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 만을 발췌하여 표시한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I-I선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고, 그리고 도 5는 도2의 II-II선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다각모양 음용용기(10)의 경사진 모서리면(12)이 이송컨베이어(30)의 진행방향과 평행 방향을 이루게 변환되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 표시와 같이, 제1변환부(120)는, 이송컨베이어(30)의 길이방향 양측에서 이송 컨베이어(30)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게 배치되어져서 이송 컨베이어(30)를 타고 이송되는 다각모양 음용용기(10)를 양측에서 협지하는 상태로 지지하는 장원(長圓)형태의 이송벨트들(121)이 한쌍씩의 회전축들(122)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들(122)의 회전은 구동모터(124)에 의하여 실행되는데, 도2에서는 좌측 회전축(122)으로 직접적인 구동력을 부여하는 구동모터(124)를 설치한 것을 일예로들어 표시하였다. 구동모터(124)의 구동축에 설치된 구동기어(125)가 도4에서 보아 좌측 한쌍의 회전축(122)중 어느 하나의 회전축(122)에 설치된 종동기어(126)와 맞물리게 하여, 구동모터(124)의 구동시 전달되는 구동력이 기어(126)가 설치된 회전축(122)으로 전달되게 함으로써 이송벨트(121)가 이송 컨베이어(30)와 같은 진행방향으로 회전되게 하였다.
또한 도2 및 도4에서 보아 구동모터(124)의 구동축 상단에 설치된 전동 기어 (123-1)와 우측 회전축(122)의 어느 하나에 설치된 전동기어(123-2)를 치(齒)가 설치된 전동벨트(127)로 연결하되 전동기어(123-1)와 전동기어(123-2)의 치의 갯수를 달리하여 회전비율을 서로 다르게 설정한 것에 의하여, 전동기어들(123-1, 123-2)을 통하여 전동벨트(127)로 연결된 이송벨트들(121)은 각가 다른 속도비로써 회전되면서 다각모양 음용용기(10)를 지지하여 이송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2의 구동모터(124)의 구동축에 설치된 전동기어(123-1)를 반대측 전동기어(123-2)보다 빨리 회전되게 설정한 것에 의해, 다각모양 음용용기(10)가 이송벨트들(121)에 의하여 양측이 협지되는 상태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전동기어들(123-1, 123-2)의 서로 달리 설정된 회전비에 의해 도 2에서 보아 우측 이송벨트(121)와 접하는 도면 부호 12의 경사진 모서리면이 빨리 회전되는 이송벨트(121)의 화살표a방향으로 회전되어 위치변환이 이루어지면서 이송컨베이어(30)를 따라 이동되면서 이송벨트들(121)로부터 배출되게 된다. 다각모양 음용용기(10)의 위치변환 방향은 전동기어들(123-1,123-2)의 회전비율 설정으로 상기 실시예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얼마든지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도 6은 도 1에서 "B"부분 만을 발췌하여 확대 표시한 사시도이다. 이도면을 참조하여 1차로 변환된 다각모양 음용용기를 원래 위치로 변환하는 제2변환부(140) 및 제3변환부(16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 표시와 같이, 제2변환부(140)는 이송컨베이어(30)의 어느 일측에서 이송 컨베이어(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이송 컨베이어(30)를 타고 이송되는 다각모양 음용용기(10)(도1참조)의 변환된 방향을 최초 진입된 조건과 같은 조건을 이루는 방향으로 변환시키는 작용을 하는 가이드바(142)로 이루어져 있다.
즉, 1차로 방향이 변환된 상태를 이루어 이송컨베이어(30)를 타고 이송되는 포장 스트로(1)가 부착된 다각모양 음용용기(10)는, 이송컨베이어(30)를 타고 이송되는 과정에서 제1변환부(110)와 이격된 위치에서 이송컨베이어(30)의 일측에 설치되어 방향 전환 안내 작용을 하는 가이드바(142)의 초입에 설치된 방향전환 경사단부(144)와 접촉하는 순간 방향전환 경사단부(144)가 다각모양 음용용기(10)를 화살표 b 방향(도1 참조)으로 자연스럽게 밀게되는 상태를 이루어 다각모양 음용용기(10)는 화살표 b방향으로 약간 틀어지는 방향 변환이 실행된 상태를 이루어 가이드바(142)에 지지된 상태를 이루면서 이송 컨베이어(30)에 의해 제3변환부(160)를 경유하도록 이송된다(도1참조).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제3변환부(160)는, 이송컨베이어(30)의 가이드바(142)와 대향 위치에 회전되게 설치된 방향전환용 회전롤러(162)와 이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부여하는 구동모터(16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방향전환용 회전롤러(162)는 상기 제2변환부(140)에 의해 최초 진입시 조건의 방향을 향하여 어느 정도 변환되어 이송컨베이어(30)에 의해 이송되는 다각모양 음용용기(10)를 가이드바(142)쪽으로 밀착되게 지지하는 상태로 화살표c 방향( 도1참조)으로 회전되게 하는 회전력을 부여하여 다각 모양 음용용기(10)의 포장 스트로가 부착된 경사진 모서리면(12)이 최초 진입시의 조건으로 방향 전환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방향전환용 회전롤러(162)는 포장 스트로가 부착된 경사진 모서리면(12)이 최초 진입시의 조건으로 방향 전환되게 하고자, 상기 방향전환용 회전롤러(162)의 회전속도는 이송컨베이어(30)에 의해 이송되는 다각모양 음용용기(10)의 이송속도에 비하여 빠르게 실행된다. 또한, 상기 방향전환용 회전롤러(162)는 다각모양 음용용기(10)를 지지할 시 미끄럼 발생이 없게 하고자 소정의 마찰력을 갖는 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도 6의 제3변환부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제3변환부(170)는 복수개의 회전롤러들(172-1,172-2)을 안내벨트(176)로 연결하여 구동모터(174)에 의해 어느 하나의 회전롤러(172-1)를 회전되게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송컨베이어(30)의 가이드바(142)와 대향 위치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제2변환부(140)에 의해 소정 방향을 향하여 방향 변환되어 이송컨베이어(30)에 의해 이송되는 다각모양 음용용기(10)를 복수개의 회전롤러들(172-1,172-2)을 연결하고 있는 안내벨트(176)에 의해 가이드바(142)쪽으로 밀착되게 지지하는 상태로 회전되게 하면서 다각모양 음용용기(10)의 포장 스트로(1)가 부착된 경사진 모서리면(12)(도1 참조)이 최초의 진입 조건의 방향으로 변환되게 하는 회전력을 부여하는 것인데, 이러한 작용은 상기 실시예의 제3변환부(160)와 동일하다. 상기 복수개의 회전롤러들(172-1,172-2)을 안내벨트(176)로 회전되게 연결하는 안내벨트는 평벨트 혹은 원형 단면을 갖는 복수의 링형 벨트들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회전롤러들(172-1,172-2)의 회전속도 또한 상기 방향전환용 회전롤러(162)와 같이 이송컨베이어(30)에 의해 이송되는 다각모양 음용용기(10)의 이송속도에 비하여 빠르게 실행되며, 상기 안내벨트(176) 역시 방향전환용 회전롤러(162)와 같이 다각모양 음용용기(10)를 지지할시 미끄럼 발생이 없게 하고자 마찰력을 갖는 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다각형 음용용기에 포장 스트로를 효율적으로 부착하는데 사용할수 있는 유용성이 있다.
1: 포장 스트로
10 : 다각모양 음용용기
12 : 경사진 모서리면
30 : 이송 컨베이어
120 : 제1변환부
121 :이송벨트
122 : 회전축
123-1,123-2 : 전동기어
124 : 구동모터
125: 구동기어
126 : 종동기어
127 : 전동벨트
140 : 제2변환부
142 : 가이드바
144 : 방향전환 경사단부
160 : 제3변환부
162 : 방향전환용 회전롤러
164 : 구동모터

Claims (10)

  1. 경사진 모서리면을 갖는 다각모양 음용용기를 이송 컨베이어 의해 포장 스트로 부착 공정으로 이송하는 단계;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양측에서 회전속도비를 각각 달리하여 대향 설치된 제1변환부에 의한 소정 방향으로의 회전 이동을 부여하여 상기 다각모양 음용용기의 경사진 모서리면이 포장 스트로의 최적 부착 방향인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진행방향과 평행 방향을 이루게 변환시키는 제1변환단계;
    상기 제1변환부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일측에 설치되어 안내 작용을 하는 제2변환부에 의해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타고 이송되는 다각 모양 음용용기와 접촉하면서 다각 모양 음용용기의 포장 스트로가 부착된 경사진 모서리면이 최초 진입 조건의 방향으로 어느 정도만 선회시키기 위한 미는 힘을 상기 음용용기에 부여하는 제2변환단계; 및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상기 제2변환부와 대향위치에서 회전되게 설치된 제3 변환부에 의해 상기 제2변환단계를 경유한 다각모양 음용용기를 상기 제2변환부와 같이 지지하면서 포장스트로가 부착된 경사진 모서리면이 최초의 진입 조건의 방향으로 완전히 전환되게 유도하고자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다각모양 음용용기의 이송 속도보다 빠른 속도의 회전력을 상기 다각모양 음용용기에 부여하는 제3변환단계;를 포함하여,
    다각모양의 경사진 모서리면으로 포장 스트로 부착이 정확하며 안정적으로 실행되게 한 다각모양 음용용기에 대한 스트로 부착 방법.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제1변환부는,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양측에서 상기 이송 컨베이어 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를 타고 이송되는 다각모양 음용용기를 협지하는 상태로 이송되게 지지하는 이송벨트와, 이송벨트의 양단에 설치되어 이송벨트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부여하는 한쌍씩의 회전축들과, 어느 하나의 회전축과 기어들에 의해 맞물리게 설치되어 구동력을 부여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상기 회전축의 어느 하나에 치를 달리하여 회전비율이 달리하게 설치된 전동기어들, 및 이 전동기어들을 상호 연결되게 치합되어 상기 이송벨트들로 하여금 다각모양 음용용기가 어느 특정방향으로 변환이 실행되도록 서로 다른 회전비로 회전되게 하는 전동력을 부여하는 전동벨트를 포함하는 다각모양 음용용기에 대한 스트로 부착 방법.
  3.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제2변환부는,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어느 일측에서 그 이송 컨베이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를 타고 이송되는 다각모양 음용용기에 대하여 제2차 방향 전환에 필요한 선회작용을 유도하는 방향전환 경사단부를 갖는 가이드바로 구성 됨을 특징으로하는 다각모양 음용용기에 대한 스트로 부착 방법.
  4.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제3변환부는,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상기 가이드바와 대향 위치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제2위치 변환부에 의해 어느 정도 까지만 방향 전환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다각모양 음용용기를 상기 가이드바 쪽으로 밀착되게 지지하는 상태로 회전되게 하면서 다각 모양의 음용용기의 포장 스트로가 부착된 경사진 모서리면이 최초의 진입 조건으로 완전히 방향 전환시키는 회전력을 부여하는 방향전환용 회전롤러와 이 회전롤러에 상기 컨베이어의 회전 속도 보다는 빠른 회전 구동력을 부여하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모양 음용용기에 대한 스트로 부착 방법.
  5.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제3변환부는,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상기 가이드바와 대향 위치에 회전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2변환부에 의해 소정 방향 까지만 선회된 상태를 이루어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다각모양 음용용기를 상기 가이드바 쪽으로 밀착되게 지지하는 상태로 회전되게 하면서 다각 모양의 음용용기의 포장 스트로가 부착된 경사진 모서리면이 최초의 진입 조건과 같은 방향으로 완전히 방향 전환시키는 회전력을 부여하는 복수개의 회전롤러들을 안내벨트로 같이 회전되게 연결하되 어느 하나의 회전롤러에는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회전속도 보다 빨리 회전되는 구동모터의 회전 구동력이 부여되게 하고, 상기 안내벨트는 평벨트 혹은 원형 단면을 갖는 링형 벨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모양 음용용기에 대한 스트로 부착 방법.
  6. 경사진 모서리면을 갖는 다각모양 음용용기를 포장 스트로 부착 공정으로 이송하는 이송 컨베이어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양측에서 회전속도비를 각각 달리하여 대향 설치되어 상기 다각모양 음용용기의 경사진 모서리면이 포장 스트로의 부착에 최적 방향인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진행방향과 평행 방향을 이루게 변환시키도록 구성된 제1변환부;
    상기 제1변환부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타고 이송되는 다각모양 음용용기와 접촉하면서 포장 스트로가 부착된 경사진 모서리면이 최초 진입 조건의 방향을 향하여 어느 정도만 선회되도록하는 미는 힘을 상기 음용용기에 부여하도록 구성된 제2위치 변환부; 및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상기 제2변환부와 대향위치에서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제2변환부를 경유한 다각모양 음용용기를 상기 제2변환부와 같이 지지하면서 포장스트로가 부착된 경사진 모서리면이 최초의 진입 조건의 방향으로 전환되게 상기 다각모양 음용기에 대하여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회전속도 보다 빨리 회전되는 회전력을 부여하는 제3변환부;를 포함하는 다각모양 음용용기에 대한 스트로 부착장치.
  7. 청구항6에 있어서,
    상기 제1변환부는,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양측에서 상기 이송 컨베이어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를 타고 이송되는 다각모양 음용용기를 협지하는 상태로 이송되게 지지하는 이송벨트와, 이송벨트의 양단에 설치되어 이송벨트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부여하는 한쌍씩의 회전축들과, 어느 하나의 회전축과 기어들에 의해 맞물리게 설치되어 구동력을 부여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상기 회전축의 어느 하나에 치(齒)의 갯수를 달리하여 회전비율이 달리하게 설치된 전동기어들, 및 이 전동기어들을 상호 연결되게 치합되어 상기 이송벨트들로 하여금 다각모양 음용용기가 어느 특정방향으로 위치 변환이 실행되도록 서로 다른 회전비로 회전되게 하는 전동력을 부여하는 전동벨트를 포함하는 다각모양 음용용기에 대한 스트로 부착장치.
  8. 청구항7에 있어서,
    상기 제2변환부는,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어느 일측에서 그 이송 컨베이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를 타고 이송되는 다각모양 음용용기에 대하여 제2차 방향 전환에 필요한 미는 힘을 부여하는 방향전환 경사단부를 갖는 가이드바로 구성됨을 특징으로하는 다각모양 음용용기에 대한 스트로 부착 장치.
  9. 청구항8에 있어서,
    상기 제3변환부는,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상기 가이드바와 대향 위치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제2변환부에 의해 어느 정도 까지만 방향 전환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다각모양 음용용기를 상기 가이드바 쪽으로 밀착되게 지지하는 상태로 회전되게 하면서 다각 모양의 음용용기의 포장 스트로가 부착된 경사진 모서리면이 최초의 진입 조건으로 방향전환 시키는 회전력을 부여하는 방향전환용 회전롤러와, 이 회전롤러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 보다 빨리 회전되는 회전 구동력을 부여하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모양 음용용기에 대한 스트로 부착장치.
  10. 청구항8에 있어서,
    상기 제3변환부는,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상기 가이드바와 대향 위치에 회전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2변환부에 의해 소정 방향 까지만 선회된 상태를 이루어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다각모양 음용용기를 상기 가이드바 쪽으로 밀착되게 지지하는 상태로 회전되게 하면서 다각 모양의 음용용기의 포장 스트로가 부착된 경사진 모서리면이 최초의 진입 조건과 같은 방향으로 완전히 방향 전환시키는 회전력을 부여하는 복수개의 회전롤러들을 안내벨트로 같이 회전되게 연결하되 어느 하나의 회전롤러에는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회전속도 보다 빨리 회전되는 구동모터의 회전 구동력이 부여되게 하고, 상기 안내벨트는 평벨트 혹은 원형 단면을 갖는 링형 벨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모양 음용용기에 대한 스트로 부착 부착장치.
KR1020160060745A 2016-05-18 2016-05-18 다각모양 음용용기에 대한 스트로 부착 방법 및 부착장치 KR101895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745A KR101895666B1 (ko) 2016-05-18 2016-05-18 다각모양 음용용기에 대한 스트로 부착 방법 및 부착장치
CN201611028751.XA CN107399474B (zh) 2016-05-18 2016-11-18 多角形饮用容器的吸管附着方法及附着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745A KR101895666B1 (ko) 2016-05-18 2016-05-18 다각모양 음용용기에 대한 스트로 부착 방법 및 부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652A true KR20170130652A (ko) 2017-11-29
KR101895666B1 KR101895666B1 (ko) 2018-09-07

Family

ID=60389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0745A KR101895666B1 (ko) 2016-05-18 2016-05-18 다각모양 음용용기에 대한 스트로 부착 방법 및 부착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95666B1 (ko)
CN (1) CN10739947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79046A (zh) * 2020-08-18 2020-12-15 韦海民 一种钢材加工用带有上料导向装置的加工设备主体及方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5032B1 (ko) 1985-09-14 1990-07-18 오베르베크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팩용기에 음료 빨대를 부착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실시하는 장치
KR0139104B1 (ko) 1987-12-04 1998-05-01 알 더블우 베캠 텔루르 및 셀렌 알킬의 정제 방법
KR20030033175A (ko) 2001-10-18 2003-05-01 주식회사 서일 스트로 부착장치
JP2004035001A (ja) * 2002-06-28 2004-02-05 Daiwa Can Co Ltd 角形容器の整列装置
JP2005306458A (ja) * 2004-04-23 2005-11-04 Toyo Seikan Kaisha Ltd 断面非円形容器の方向規制装置
JP2006213475A (ja) * 2005-02-04 2006-08-17 Nihon Yamamura Glass Co Ltd 容器搬送装置
KR20120019719A (ko) * 2010-08-26 2012-03-07 박승애 라벨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벨부착 방법
WO2016045921A1 (en) * 2014-09-26 2016-03-31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A method of operating an apparatus for applying drinking straws to packaging containers and an apparatus operated by the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09833C2 (sv) * 1997-05-16 1999-03-15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Anordning för applicering av sugrör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5032B1 (ko) 1985-09-14 1990-07-18 오베르베크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팩용기에 음료 빨대를 부착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실시하는 장치
KR0139104B1 (ko) 1987-12-04 1998-05-01 알 더블우 베캠 텔루르 및 셀렌 알킬의 정제 방법
KR20030033175A (ko) 2001-10-18 2003-05-01 주식회사 서일 스트로 부착장치
JP2004035001A (ja) * 2002-06-28 2004-02-05 Daiwa Can Co Ltd 角形容器の整列装置
JP2005306458A (ja) * 2004-04-23 2005-11-04 Toyo Seikan Kaisha Ltd 断面非円形容器の方向規制装置
JP2006213475A (ja) * 2005-02-04 2006-08-17 Nihon Yamamura Glass Co Ltd 容器搬送装置
KR20120019719A (ko) * 2010-08-26 2012-03-07 박승애 라벨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벨부착 방법
WO2016045921A1 (en) * 2014-09-26 2016-03-31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A method of operating an apparatus for applying drinking straws to packaging containers and an apparatus operated by the method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평3-8110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399474B (zh) 2019-10-25
KR101895666B1 (ko) 2018-09-07
CN107399474A (zh) 2017-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0399A (en) Guide feeding device for a thermal shrinking film mechanism
CN103328354B (zh) 用于转移和扶正可倾倒食品的密封包装的单元
JP7467439B2 (ja) 物品搬送方法及び物品搬送システム
JP2006117326A (ja) 製品用梱包装置
CN1721276B (zh) 可倾倒食品的包装机械的折叠装置
KR101895666B1 (ko) 다각모양 음용용기에 대한 스트로 부착 방법 및 부착장치
CN106470903B (zh) 用于馈送可倾倒食品的密封包装的进给单元
JP6031726B2 (ja) 容器供給装置を備えた容器処理装置
JP2011251760A (ja) 包装袋の集積装置
JP2004026444A (ja) 物品整列搬送装置
KR101654769B1 (ko) 필름 접힘 방지 유닛과 이를 가지는 포장 시스템
JP3905598B2 (ja) 物品仕分け装置
US20200130881A1 (en) Application Device, Appl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pplying Additional Elements to Packages
KR102268146B1 (ko) 스트로우 내장형 파우치의 제조장치
KR20040041674A (ko) 예비 성형장치
CN213170768U (zh) 一种食品包装内膜用成型装置
KR100323285B1 (ko) 음료수용 캔의 탭 이송장치
JP5509682B2 (ja) ストロー貼着装置
CN220075579U (zh) 一种纸箱覆膜机承接装置
US10273135B2 (en) Machine for filling containers
CN215554519U (zh) 分组装置及套标设备
KR20190097517A (ko) 면봉 이송 장치
CN114056634A (zh) 一种保鲜膜包装机托盒顶部覆膜装置
EP1528021A1 (fr) Margeur de machine pour le traitement de feuilles
JP2004075174A (ja) 包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