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0251A - An emergency position transmitt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n emergency position transmitt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0251A
KR20170130251A KR1020160061125A KR20160061125A KR20170130251A KR 20170130251 A KR20170130251 A KR 20170130251A KR 1020160061125 A KR1020160061125 A KR 1020160061125A KR 20160061125 A KR20160061125 A KR 20160061125A KR 20170130251 A KR20170130251 A KR 201701302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unit
distress
signal
so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11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15643B1 (en
Inventor
장숙현
최병도
Original Assignee
장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숙현 filed Critical 장숙현
Priority to KR1020160061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5643B1/en
Priority to GB1613249.0A priority patent/GB2550623B/en
Publication of KR20170130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02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5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56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005Life-saving in water by means of alarm devices for persons falling into the water, e.g. by signalling, by controlling the propulsion or manoeuvring means of the boa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9/17Emergency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34Power consump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009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to remote stations
    • G01S5/0018Transmission from mobile station to base station
    • G01S5/0027Transmission from mobile station to base station of actual mobile position, i.e. position determined on mobi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5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EAS] tag technology used for parent or child unit, e.g. same transmission technology, magnetic tag, RF tag, RFI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8Communication between parent and child units via remote transmission means, e.g. satellite networ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8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the presence of persons in a body of water, e.g. a swimming pool; responsive to an abnormal condition of a body of wat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8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the presence of persons in a body of water, e.g. a swimming pool; responsive to an abnormal condition of a body of water
    • G08B21/088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the presence of persons in a body of water, e.g. a swimming pool; responsive to an abnormal condition of a body of water by monitoring a device worn by the person, e.g. a bracelet attached to the swimm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1/00Systems for transmitting the position of an object with respect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system, e.g. tele-autographic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2009/0017Life-saving in water characterised by making use of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e.g.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Transmitters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tress location transmitter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The distress location transmitt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ower supply unit; an input unit; a sensor unit which includes a first sensor detecting a water or salt concentration; an RF communication unit; a GPS reception unit; a memory unit which stores location data; and a control unit. The distress location transmitter further comprises a satellite transmission unit. The control unit is maintained as a standby mode at the time of power-on, wakes up the GPS reception unit at each set standby interval, stores location data in the memory unit in accordance with reception of a GPS signal. Whe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distress in accordance with an SOS input from the input unit or a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unit during a standby mode, the control unit switches the mode to an SOS mode, generates a distress signal including location data, operates the RF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distress signal at a previously set RF transmission interval, operates the satellite transmission unit at a first satellite transmission interval longer than the first RF transmission interval, wakes up the GPS reception unit at an SOS mode interval shorter than the standby interval, and stores or updates the location data in the memory unit. When a flooding determination state based on the signal of the first sensor and the strength of the GPS signal equal to or lower than a set value is continued during the SOS mode, the control unit switches the mode to a power saving mode, stops the operations of the RF communication unit and the satellite transmission unit, and wakes up the first sensor and the GPS reception unit at a power saving mode interval longer than the SOS mode interval. In additio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distress location transmitter is proposed.

Description

조난위치 발신기 및 그의 동작 방법{AN EMERGENCY POSITION TRANSMITT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Desc / Clms Page number 1 > AN EMERGENCY POSITION TRANSMITT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조난위치 발신기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조난신호로 RF신호와 위성신호를 송신하는 조난위치 발신기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tress location transmitter and a method of operation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tress location transmitter that transmits an RF signal and a satellite signal using a distress signal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현재 어선에는 해상사고시 구조신호를 보낼 수 있는 어선위치발신장치(V-PASS)가 설치되어 있고, VHF-DSC 무전기가 의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위 통신장비들은 어선이 전복되거나 침몰 시에는 통신이 두절되어 최종 침몰지점 정도만 알려줄 뿐이고 해류에 떠밀려 표류하는 조난자의 위치를 확인할 방법이 없다. 또한 육상 통신소와의 통달거리가 제한되어 있어서 먼 바다에서 조업할 경우에는 사고신고마저 어려울 수도 있다.Vessel position transmitter (V-PASS), which can send rescue signals in case of a sea accident, is installed on the fishing boat, and VHF-DSC radio is mandatory. However, the above communication equipment only informs about the final sinking point when the fishing boat is overturned or sinks, and there is no way to confirm the location of the drifting drift. In addition, since the distance to the station is limited, it may be difficult to report an accident when operating in the far sea.

이와 같이 어선이 전복되거나 침몰 시 해상 인명피해로 이어지는 이유는 빠른 유속의 해류에 떠내려가는 조난자 위치 파악이 육안 수색으로는 어렵기 때문이다. 시야가 좁은 야간이나 안개 등 기상여건이 열악할 경우에는 더욱이 수색이 난해하여 저체온 사고나 실종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어선뿐만 아니라 기타 선박 사고 또는 해상 레저활동 중 해상에서 조난을 당한 경우, 특히, 야간에는 탐조등의 식별거리가 수백미터로 짧고 악천후 또는 해류이동으로 인해 조난자의 위치파악이 어려워서 익사사고에 대한 구조율이나 실종자 수색에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The reason why the fishing vessel overturns or sinks in this way leads to the damage of the marine life is because it is difficult to visualize the location of the victim who is drifting in the current of the rapid flow velocity. If weather conditions such as nighttime or fog are poor, the search will be more difficult and lead to hypothermic accidents or disappearances. In addition to fishing vessels, other marine casualties or marine leisure activities have been disturbed at sea, especially at night, the distance of the searchlight is as short as a few hundred meters and it is difficult to locate the victim due to bad weather or ocean currents. There is a very difficult problem in searching for missing persons.

이로 인해 인명손실은 물론 실종자 수색에 소요되는 행정 인력과 함정, 항공기 비용 등이 과다하게 소모되고 있어서, 해양사고 시 육안 수색방식을 개선하여 골든타임에 인명을 구조할 수 있는 보다 과학적인 조난자 수색구조방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As a result, the number of administrative manpower, traps, aircraft costs, etc. required to search for missing persons as well as the loss of human life are being excessively consumed. Therefore, a more scientific search for victims A method is urgently required.

해양뿐만 아니라 인적 드문 호수나 강 등에서도, 마찬가지로, 뱃놀이, 낚시 등을 하다가 물에 빠져 조난되는 경우에도 육안 수색보다 과학적인 구조가 가능한 방법이 요구된다. In the case of boats, fishing, etc., as well as in marine and uncommon lakes and rivers,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capable of scientific structure rather than visual search even if it is distressed by water.

해난 구조 등에서 위치파악의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GPS를 이용한 위치추적 가능한 개인용 조난구조 장치에 대한 개발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difficulty of location in the rescue structure, there has been much development of a personal distress rescue device capable of positioning using GPS.

그러나 현재 통상의 GPS 수신시스템은 수초 간격으로 위성신호를 수신하고 있어, 조난구조 단말기에서 GPS 수신대기전력이 상당히 많이 소요되고 있다. 그에 따라, 해양사고의 구조의 어려움으로 조난구조시까지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경우에는 조난구조 단말기가 충분한 배터리 잔량을 갖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However, the conventional GPS receiving system receives satellite signals at intervals of several seconds, so that the GPS receiving standby power is considerably high in the distress terminal. Accordingly, if the time required for the distress rescue takes a long time due to the difficulty in the structure of the marine accident, the distress terminal may not have sufficient battery residual capacity.

등록특허공보 제10-1135148호 (2012년 4월 3일 등록)Patent Registration No. 10-1135148 (registered on Apr. 3, 2012)

해상 등의 수상에서 조난사고 발생 시 조난위치 발신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에서 종래의 근거리 RF 신호의 송신에 따른 신호커버 영역의 문제와 신호커버 확장을 위해 다른 무선통신방식의 추가에 따른 배터리 전력 간에 반비례적인 관계가 나타난다.In the event of a distress accident in a waterfront or the like, the problem of the signal cover area due to the transmission of the conventional short-range RF signal in the portable terminal such as the distress location transmitter and the battery power due to the addition of the other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Relationship.

이에 따라, 조난위치 발신기와 같은 조난구조용 휴대 단말에서 조난신호의 송신 커버 영역을 늘리면서 동시에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a technology capable of simultaneously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while increasing the transmission coverage area of the distress signal in the portable terminal for distress structure such as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조난신호로 RF신호와 위성신호를 송신하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조난위치 발신기 및 그의 동작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tress location transmitter capable of transmitting an RF signal and a satellite signal with a distress signal but reducing power consumption.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모습에 따라, 전원부, 전원 및 SOS 설정을 입력받는 입력부, 수분 또는 염분농도를 감지하는 제1 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부, 조난신호를 RF통신으로 전송하는 RF통신부, GPS신호를 수신 처리하는 GPS수신부, GPS신호로부터 산출된 위치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조난위치 발신기에 있어서, 조난신호를 위성통신으로 전송하는 위성송신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전원 온(on) 시 대기모드로 유지되며 GPS수신부를 설정된 대기간격마다 웨이크업시켜 GPS신호 수신에 따라 위치데이터를 메모리부에 저장 또는 갱신 저장시키고, 입력부에서의 SOS 입력 또는 대기모드 중 센서부의 감지신호에 따른 조난 판단 시 SOS모드로 전환하고 위치데이터를 포함한 조난신호를 생성하고 조난신호가 전송되도록 RF통신부를 설정된 제1 RF송신간격으로 그리고 위성송신부를 제1 RF송신간격보다 긴 제1 위성송신간격으로 각각 동작시키고 GPS수신부를 대기간격보다 짧은 SOS모드간격으로 웨이크업 동작시켜 위치데이터를 메모리부에 저장 또는 갱신시키고, SOS모드 중 제1 센서의 신호에 따른 침수판단상태 및 설정 이하의 GPS 신호세기의 지속 시 절전모드로 전환하고 RF통신부 및 위성송신부의 동작을 오프(off)시키고 SOS모드간격보다 긴 절전모드간격으로 제1 센서 및 GPS수신부를 웨이크업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난위치 발신기가 제안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nsor unit including a power unit, an input unit for receiving power and an SOS setting, a sensor unit for sensing moisture or salinity, A disturbance position transmitter including a transmitting RF communication unit, a GPS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GPS signals, a memory unit for storing position data calculated from the GPS signal, and a control unit, further comprising a satellite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distress signal through satellite communication The control unit is kept in the standby mode at the time of power on and wakes up the GPS receiver every predetermined waiting interval to store or update the position data in the memory unit according to the reception of the GPS signal, Mode, it switches to SOS mode and generates a distress signal including position data and sends a distress signal The RF communication unit is operated in the first RF transmission interval set and the satellite transmission unit is operated in the first satellite transmission interval longer than the first RF transmission interval and the GPS reception unit is waked up in the SOS mode interval shorter than the standby interval, And when the immersion determination state and the GPS signal intensity lower than the set GPS signal intensity are maintained, the operation mode is switched to the power saving mode, the operation of the RF communication unit and the satellite transmission unit is turned off, and the SOS mode And the first sensor and the GPS receiver are waked up in a power saving mode interval longer than the interval.

이때, 하나의 예에서, 조난위치 발신기는 조난 음파신호를 생성하여 수중 출력하는 음파발신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절전모드에서 설정 간격으로 음파발신부를 동작시켜 조난 음파신호를 수중으로 발신시킬 수 있다.
In this case, in one example,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may further include a sound wave transmitter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distress sound wave signal, and the controller may operate the sound wave transmitter at a set interval in the power saving mode to transmit the distress sound wave signal to the receiver .

또한, 하나의 예에서, 제어부는, 절전모드에서 웨이크업된 GPS수신부의 GPS 신호세기가 설정 이상이면 부상상태모드로 전환하고, 부상상태모드에서 센서부를 오프(off)시키고 설정된 부상모드 간격으로 GPS수신부를 웨이크업 동작시키고 조난신호가 전송되도록 RF통신부를 제1 RF송신간격보다 긴 제2 RF송신간격으로 그리고 위성송신부를 제1 위성송신간격보다 긴 제2 위성송신간격으로 각각 동작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one example, when the GPS signal strength of the GPS receiving unit waked up in the power saving mod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control unit switches to the floating state mode, turns off the sensor unit in the floating state mode, The RF communication unit may be operated at a second RF transmission interval longer than the first RF transmission interval and the satellite transmission unit may be operated at a second satellite transmission interval longer than the first satellite transmission interval in order to wake up the receiving unit and transmit the distress signal.

이때, 또 하나의 예에서, 제어부는, 부상상태모드에서 제2 RF송신간격 및 제2 위성송신간격에 따른 조난신호의 전송 기간을 제1 부상모드로 설정하고, 제1 부상모드가 설정 시간을 경과한 경우 제2 부상모드로 전환하고 부상모드 간격보다 긴 제2 부상모드 간격으로 GPS수신부를 웨이크업 동작시키고 조난신호가 전송되도록 RF통신부를 제2 RF송신간격보다 긴 제3 RF송신간격으로 그리고 위성송신부를 제2 위성송신간격보다 긴 제3 위성송신간격으로 각각 동작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in another example, the control unit sets the transmission period of the distress signal according to the second RF transmission interval and the second satellite transmission interval in the floating state mode to the first floating mode, and the first floating mode sets the transmission time The RF communication unit is switched to the second floating mode, and the GPS receiving unit is waken up at the second floating mode interval longer than the floating mode interval, and the RF communication unit is switched to the third RF transmission interval longer than the second RF transmission interval so that the distress signal is transmitted And operate the satellite transmitter at a third satellite transmission interval that is longer than the second satellite transmission interval.

또한, 하나의 예에서, 제어부는 전원 오프 모드에서 입력부에서의 SOS 입력에 의한 트리거 동작으로 웨이크업하며 SOS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Further, in one example, the control unit can wake up and switch to the SOS mode by the trigger operation by the SOS input at the input unit in the power off mode.

또 하나의 예에서, 센서부는 가속도센서를 더 구비하고, 제어부는, 대기모드 중 제1 센서의 감지결과, 가속도센서의 감지결과 또는 제1 센서 및 가속도센서의 감지결과가 설정범위 값 이상인 경우 조난으로 판단하여 SOS 모드로 전환하고, SOS 모드로의 전환 후 입력부에서 SOS 해제 입력에 따른 SOS 모드 해제 전까지 가속도센서의 동작을 오프시킬 수 있다.
In another example, the sensor unit may further include an acceleration sensor, and the control unit may cause the disturbance whe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first sensor, the detection result of the acceleration sensor, or the detection result of the first sensor and the acceleration sensor, It is possible to turn off the operation of the acceleration sensor until the SOS mode is released according to the SOS release input in the input unit after switching to the SOS mode.

또한, 하나의 예에 따르면, 메모리부는 위치데이터 외에 설정등록된 등록정보를 더 저장하고, 제어부는 위치데이터 외에 등록정보 또는 등록정보와 조난시간정보를 더 포함하는 조난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xample, the memory unit further stores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registered in addition to the location data, and the control unit can generate the distress signal further including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or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and the distress time information in addition to the location data.

또 하나의 예에서, RF통신부는 RF통신으로 외부 신호를 수신하고, 외부 신호는 RF통신부를 통해 송신된 조난신호에 대한 응답신호이거나 외부의 조난수신신호이고, 제어부는 외부 신호가 응답 신호인 경우 메모리부에 저장되되 조난신호에 포함되지 않은 추가 정보를 포함하는 추가조난신호를 생성하여 송신시키고 외부 신호가 조난수신신호인 경우 조난수신신호를 RF통신부를 통해 브로드캐스팅시키며 무선 라우팅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고, 추가 정보는 설정등록된 등록정보, 조난 후 이동정보, 조난시간정보, 조난판단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nother example, the RF communication unit receives an external signal through RF communication, the external signal is a response signal to the distress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RF communication unit, or an external distress signal, and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external signal is a response signal Generates and transmits an additional distress signal including additional information that is stored in the memory but not included in the distress signal, broadcasts the distress signal through an RF communication unit when the external signal is a distress signal, , And the additional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a part of registered registration information, post-distress movement information, distress time information, and distress determination information.

또한, 하나의 예에서, RF통신부는 능동형 RFID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Further, in one example, the RF communication unit may include an active RFID module.

다음으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모습에 따라, 전원 및 SOS 설정을 입력받는 입력부, 수분 또는 염분농도를 감지하는 제1 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부, 조난신호를 RF통신으로 전송하는 RF통신부, GPS신호를 수신 처리하는 GPS수신부 및 조난신호를 위성통신으로 전송하는 위성송신부를 포함하는 조난위치 발신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전원 온(on) 시 대기모드로 유지되고 GPS수신부의 동작이 설정된 대기간격마다 웨이크업되고 수신된 GPS신호에 따라 위치데이터가 저장 또는 갱신되고 센서부의 감지신호에 따른 조난여부 판단이 수행되는 대기 단계; 입력부에서의 SOS 입력 시 또는 대기 단계에서 조난여부 판단에 따른 조난 판단 시 SOS모드로 전환되어 유지되고, 위치데이터를 포함한 조난신호가 생성되고 RF통신부가 설정된 제1 RF송신간격으로 그리고 위성송신부가 제1 RF송신간격보다 긴 제1 위성송신간격으로 동작되어 조난신호가 전송되고 GPS수신부가 대기간격보다 짧은 SOS모드간격으로 웨이크업 동작되어 위치데이터가 저장 또는 갱신되는 SOS 단계; 및 SOS 단계에서 제1 센서의 신호에 따른 침수판단상태 및 설정 이하의 GPS 신호세기 지속 시 절전모드로 전환되어 유지되고, RF통신부 및 위성송신부의 동작이 오프(off)되며 SOS모드간격보다 긴 절전모드간격으로 제1 센서 및 GPS수신부가 웨이크업 동작되는 절전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난위치 발신기의 동작 방법이 제안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ontrolling a distress signal, comprising: a sensor unit having an input unit for receiving power and SOS settings, a first sensor for sensing moisture or salinity, An operation method of a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including an RF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by communication, a GPS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a GPS signal, and a satellite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a distress signal by satellite communication, A waiting step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receiving unit is woken up at the set waiting interval and the position data is stored or updated according to the received GPS signal and the disturbance determina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sensing signal of the sensor unit; A distress signal including position data is generated, and the RF communication unit is switched to the first RF transmission interval set at the first RF transmission interval and the satellite communication unit 1 SOS step wherein the SOS step is operated at a first satellite transmission interval longer than the one RF transmission interval to transmit the distress signal and the GPS receiver is waked up at an SOS mode interval shorter than the standby interval to store or update the position data; And in the SOS step, when the immersion determination state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first sensor and the GPS signal intensity below the setting are maintained, the power saving mode is maintained and the operation of the RF communication unit and the satellite transmission unit is turned off, And a power saving step of waking up the first sensor and the GPS receiving unit at a mode interval.

이때, 하나의 예에서, 절전 단계에서 조난위치 발신기는 설정 간격으로 조난 음파신호를 생성하여 수중으로 발신한다.
At this time, in one example, in the power saving step,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generates a distressed sound signal at a set interval and sends it to the hand.

또한 하나의 예에서, 동작 방법은, 절전 단계에서 웨이크업된 GPS수신부의 GPS 신호세기가 설정 이상이면 부상상태모드로 전환되어 유지되고, 센서부는 오프(off)되고 설정된 부상모드 간격으로 GPS수신부는 웨이크업되고 RF통신부는 제1 RF송신간격보다 긴 제2 RF송신간격으로 그리고 위성송신부는 제1 위성송신간격보다 긴 제2 위성송신간격으로 각각 동작하며 조난신호의 전송이 수행되는 부상상태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GPS signal strength of the GPS receiving unit waked up in the power saving step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operation method is switched to the floating state mode and the sensor unit is turned off. And the RF communication unit operates at a second RF transmission interval that is longer than the first RF transmission interval and the satellite transmission unit operates at a second satellite transmission interval that is longer than the first satellite transmission interval and in which a transmission of the distress signal is performed, .

이때, 또 하나의 예에서, 부상상태 단계는, 부상모드 간격으로 GPS수신부가 웨이크업되고 제2 RF송신간격 및 제2 위성송신간격에 따라 조난신호가 전송되는 제1 부상모드 단계, 및 제1 부상모드 단계가 설정 시간을 경과한 후 전환되어, 부상모드 간격보다 긴 제2 부상모드 간격으로 GPS수신부는 웨이크업되고 RF통신부는 제2 RF송신간격보다 긴 제3 RF송신간격으로 그리고 위성송신부는 제2 위성송신간격보다 긴 제3 위성송신간격으로 각각 동작하며 조난신호의 전송이 수행되는 제2 부상모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in another example, the floating state step includes a first floating mode step in which the GPS receiving unit is woken up at the floating mode interval and the distress signal is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second RF transmission interval and the second satellite transmission interval, The GPS receiver is woken up at a second floating mode interval that is longer than the floating mode interval and the RF communication unit is switched to the third RF transmission interval longer than the second RF transmission interval and the satellite transmission unit And a second floating mode step in which transmission of a distress signal is performed, each of which operates at a third satellite transmission interval longer than the second satellite transmission interval.

또 하나의 예에서, SOS 단계에서의 입력부의 SOS 입력에 의한 SOS 모드로의 전환은 전원 오프 모드에서 입력부에서의 SOS 입력에 의한 트리거 동작으로 조난위치 발신기가 웨이크업하며 수행되거나 또는 대기 단계에서 입력부에서의 SOS 입력에 따라 수행되고, SOS 단계에서의 조난 판단에 따른 SOS 모드로의 전환은 대기 단계에서 제1 센서의 감지결과, 센서부에 추가 구비된 가속도센서의 감지결과 또는 제1 센서 및 가속도센서의 감지결과가 설정범위 값 이상인 경우 조난으로 판단됨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In another example, switching to the SOS mode by the SOS input of the input section in the SOS stage may be performed by triggering the SOS input at the input section in the power off mode to wake up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The switching to the SOS mode according to the distress determination at the SOS stage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first sensor at the standby stage, the detection result of the acceleration sensor provided at the sensor unit, If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t range value, it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that the distress is detected.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조난신호로 RF신호와 위성신호를 송신하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난구조를 용이하게 하고 한편으로는 발신기의 전력소비를 최소화하여 장시간 조난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F signals and satellite signals can be transmitted with a distress signal, but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This facilitates the distress structure, while minimiz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transmitter and transmitting the distress signal for a long tim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직접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다양한 구성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It is apparent that various effects not directly referred to in accordance with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riv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various configuration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조난위치 발신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조난위치 발신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조난위치 발신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회로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조난위치 발신기의 동작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조난위치 발신기의 동작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조난위치 발신기의 동작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조난위치 발신기의 동작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하나의 예에 따른 조난위치 발신기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istress location transmitter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istress location transmit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ircuit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istress location transmit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schematically shows the appearance of a distress location transmitter according to one example.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설명에 있어서, 동일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고,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이해를 도모하기 위하여 부차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In the descrip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components, and a detailed description may be omitted for the sake of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배치 관계가 설명되어 있는 경우에는 '직접'이라는 한정이 없는 이상, '직접 연결, 결합 또는 배치'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그들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됨으로써 연결, 결합 또는 배치되는 형태로도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방향 및/또는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로 설명되고 있는 경우 그러한 용어는 기준으로부터 정해지는 상대적 개념이고, 이때 기준은 본 명세서에서 직접 설명되거나 또는 직접 설명되지 않더라도 방향 및/또는 위치를 나타내는 구성과 관련 구성의 관계로부터 충분히 이해될 수 있다.As used herein, unless an elem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arranged with another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there is no need for any other form of " direct connection, But may also be in the form of being connected, bonded or disposed by intervening components. Also, where described in terms of direction and / or position in the present description, such terms are relative concepts as determined from the bases, wherein the bases may be described directly or not, Can be fully understoo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figuration and the related configuration.

본 명세서에 비록 단수적 표현이 기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발명의 개념에 반하거나 명백히 다르거나 모순되게 해석되지 않는 이상 복수의 구성 전체를 대표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는', '갖는', '구비하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등의 기재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그들의 조합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t should be noted that, although a singular expression is used in this specification, it can be used as a concept representing a plurality of constitutions as long as it is contrary to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or is not interpreted as being obviously different or contradictory.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hrases "including", "having", "having", "comprising", etc. in this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be additionally or interchangeable with one or more other elem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조난위치 발신기][SOS location transmitter]

우선, 본 발명의 하나의 모습에 따른 조난위치 발신기를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이때, 각 도면에 도시된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을 의미하고, 설명되는 도면에서 도시되지 않은 도면부호는 다른 도면에 도시된 동일한 도면부호와 동일 구성을 지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First, a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components, and reference numerals which are not shown in the drawings denote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in the other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조난위치 발신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조난위치 발신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조난위치 발신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회로 블럭도이다. 도 8은 하나의 예에 따른 조난위치 발신기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FIG.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ircuit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ure 8 schematically shows the appearance of a distress location transmitter according to one example.

도 4 내지 7은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모습의 예에 따른 조난위치 발신기의 동작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으나,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조난위치 발신기의 동작에도 적용되므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참조될 수 있다.
4 to 7 schematically illustrate a method of operating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ed to the operation of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according to on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ferred to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 따른 조난위치 발신기는 전원부(10), 입력부(20), 센서부(30), RF통신부(50), GPS수신부(40), 메모리부(70) 및 제어부(90)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조난위치 발신기는 위성송신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 내지 3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 따른 조난위치 발신기는 음파발신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1 to 3,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according to one example includes a power source unit 10, an input unit 20, a sensor unit 30, an RF communication unit 50, a GPS receiving unit 40, a memory unit 70, And a control unit 90. At this time, the distress location transmitter may further include a satellite transmission unit 60. [ 2 to 3,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according to one example may further include a sound wave transmitter 80. [

먼저, 간단히 살펴보면, 전원부(10)는 전원을 공급한다. 입력부(20)는 전원 설정을 입력받고 또한 SOS 설정을 입력받는다. 예컨대, 입력부(20)는 전원 온/오프 버튼과 SOS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30)는 제1 센서(31)를 구비한다. 이때, 제1 센서(31)는 수분 또는 염분농도를 감지한다. RF통신부(50)는 제어에 따라 조난신호를 RF통신으로 전송한다. GPS수신부(40)는 GPS신호를 수신 처리한다. 메모리부(70)는 제어에 따라 GPS신호로부터 산출된 위치데이터를 저장 및/또는 갱신 저장한다. 또한, 위성송신부(60)는 제어에 따라 조난신호를 위성통신으로 송신한다.First, briefly, the power supply unit 10 supplies power. The input unit 20 receives the power setting and receives the SOS setting. For example, the input unit 20 may include a power on / off button and an SOS button. The sensor unit 30 includes a first sensor 31. At this time, the first sensor 31 senses moisture or salt concentration. The RF communication unit 50 transmits the distress signal through the RF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The GPS receiving unit 40 receives and processes the GPS signal. The memory unit 70 stores and / or updates the position data calculated from the GPS signal according to the control. Further, the satellite transmitting section 60 transmits the distress signal through satellite communication under control.

게다가, 제어부(90)는 대기모드, SOS모드 및 절전모드에 따라 각 구성들을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90)는 전원 온(on) 시 대기모드를 유지하며 설정된 대기간격마다 GPS수신부(40)를 웨이크업시키고, GPS수신부(40)의 GPS신호 수신에 따라 위치데이터를 메모리부(70)에 저장 또는 갱신 저장시킨다. 또한, 제어부(90)는 입력부(20)에서의 SOS 입력을 받거나 또는 대기모드 중 센서부(30)의 감지신호에 따른 조난 판단 시 SOS모드로 전환한다. SOS모드에서, 제어부(90)는 위치데이터를 포함한 조난신호를 생성하고, RF통신부(50)를 제1 RF송신간격으로 그리고 위성송신부(60)를 제1 RF송신간격보다 긴 제1 위성송신간격으로 각각 동작시켜 조난신호를 전송한다. 게다가, SOS모드에서, 제어부(90)는 GPS수신부(40)를 대기간격보다 짧은 SOS모드간격으로 웨이크업 동작시키고, GPS신호로부터 산출된 위치데이터를 메모리부(70)에 갱신 저장시킨다. 또한, 제어부(90)는 SOS모드 중 제1 센서(31)의 신호에 따른 침수판단상태가 지속되고 설정 이하의 GPS 신호세기가 지속되는 경우, SOS모드를 절전모드로 전환한다. 절전모드에서, 제어부(90)는 RF통신부(50) 및 위성송신부(60)의 동작을 오프(off)시키고, SOS모드간격보다 긴 절전모드간격으로 제1 센서(31) 및 GPS수신부(40)를 웨이크업 동작시킨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90 controls the respective components according to the standby mode, the SOS mode, and the power saving mode.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90 keeps the standby mode at the time of power on and wakes up the GPS receiving unit 40 at predetermined waiting intervals, and transmits the position data to the memory unit 70 ). The control unit 90 receives the SOS input from the input unit 20 or switches to the SOS mod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ensor unit 30 senses a distress signal during the standby mode. In the SOS mode, the control unit 90 generates the distress signal including the position data, and transmits the RF communication unit 50 at the first RF transmission interval and the satellite transmission unit 60 at the first satellite transmission interval Respectively, to transmit distress signals. In addition, in the SOS mode, the control unit 90 wakes up the GPS receiver 40 in the SOS mode interval shorter than the standby interval, and updates the position data calculated from the GPS signal in the memory unit 70 to update. The control unit 90 switches the SOS mode to the power saving mode when the immersion determination state continues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first sensor 31 in the SOS mode and the GPS signal intensity below the predetermined level continues. The controller 90 turns off the operations of the RF communication unit 50 and the satellite transmission unit 60 and controls the first sensor 31 and the GPS reception unit 40 in a power saving mode interval longer than the SOS mode interval, Up operation.

각 구성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이때, 전원부(10), 입력부(20), 센서부(30), 메모리부(70), RF통신부(50), GPS수신부(40), 위성송신부(60), 음파발신부(80) 및 제어부(90) 순으로 구성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이때,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르면, 기본 구성으로 전원부(10), 입력부(20), 센서부(30), RF통신부(50), GPS수신부(40), 위성송신부(60), 메모리부(70) 및 제어부(90)를 포함할 수 있다.
Let's look at each configuration in more detail. In this case, the power unit 10, the input unit 20, the sensor unit 30, the memory unit 70, the RF communication unit 50, the GPS reception unit 40, the satellite transmission unit 60, the sound transmission unit 80, (9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upply unit 10, the input unit 20, the sensor unit 30, the RF communication unit 50, the GPS reception unit 40, the satellite transmission unit 60, (70) and a control unit (90).

전원부(10)The power supply unit (10)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전원부(10)는 전원을 공급한다. 이때, 전원부(10)에서 전원이 필요한 각 구성으로의 전원 공급은 상시 공급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제어부(90)의 제어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1 to 3, the power supply unit 10 supplies power. At this time, power supply to each configuration requir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10 may be perform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90, except that the power supply is always supplied.

예컨대, 전원부(10)는 충전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0)의 배터리의 충전은 노출된 충전단자를 통하여 유선 충전이 이루어지거나 또는 충전단자 없이 무선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충전단자가 구비되는 경우 케이스 상에 노출되게 된다.
For example, the power supply unit 10 may include a rechargeable battery. The charging of the battery of the power supply unit 10 may be performed by wired charging through the exposed charging terminal or wireless charging without charging terminal. For example, if a charging terminal is provided, it is exposed on the case.

입력부(20)The input unit 20,

도 1, 2, 3 및/또는 8을 참조하면, 입력부(20)는 전원 설정을 입력받고 또한 SOS 설정을 입력받는다. 예컨대, 입력부(20)는 전원 온/오프 버튼(22)과 SOS 버튼(21a, 21b)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0)에서 전원 온(on) 설정 입력에 따라 전원부(10)에서 필요한 구성들에 전원이 공급된다. 예컨대, 전원 온/오프 버튼은 2개 버튼이거나 하나의 버튼일 수 있다. 전원 온/오프 버튼(22)이 하나인 경우, 예컨대 전원 온 상태에서 전원 버튼을 길게 누름으로써 전원을 오프시킬 수 있다. 1, 2, 3 and / or 8, the input unit 20 receives a power setting and also receives an SOS setting. For example, the input unit 20 may include a power on / off button 22 and SOS buttons 21a and 21b. Power is supplied to the necessary components in the power supply unit 10 according to the power on setting input in the input unit 20. [ For example, the power on / off button may be two buttons or one button. If the power ON / OFF button 22 is ON, for example, the power can be turned off by pressing the power button for a long time in the power ON state.

예컨대, 도 8을 참조하면, SOS 버튼(21a, 21b)도 2개 구비되어 SOS 설정 버튼(21a)과 SOS 해제 버튼(21b)을 구비할 수 있고, 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1개 버튼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SOS 버튼이 1개인 경우, 전원 온(on) 상태에서 짧게 누르는 경우 SOS 입력이 되고 설정된 시간이상으로 길게 누르는 경우 SOS 해제 설정 입력일 수 있다. 또는 하나의 SOS 버튼을 설정시간 내 2회 연속 누르는 등의 방식으로 횟수를 달리하여 SOS 해제 설정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예컨대, 이때, 제어부(90)는 입력부(20)에서의 SOS 버튼에 의한 입력신호를 판단하여 해당신호가 SOS 설정 요청신호인지 SOS 해제요청신호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8, two SOS buttons 21a and 21b may be provided and may include an SOS setting button 21a and an SOS release button 21b, or may include only one button It is possible. If there is only one SOS button, press SOS button briefly in the power on state, and press SOS button longer than the set time. Alternatively, the SOS release setting input may be performed by changing the number of times by pressing one SOS button twice in a set time or the like. For example, at this time, the controller 90 may determine an input signal by the SOS button in the input unit 20 and determine whether the signal is an SOS setting request signal or an SOS release request signal.

또한, 하나의 예에서, 전원 오프(off) 상태에서도 입력부(20)에서의 SOS 입력에 의한 트리거 동작으로 제어부(90)가 웨이크업하고 이에 따라 제어부(90)가 전원 오프상태를 SOS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전원 오프 상태에서 SOS 설정 버튼을 설정된 시간이상 길게 누름으로써 SOS 입력에 의한 트리거 동작이 수행되고 이에 따라 전원 오프모드에서 바로 SOS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예컨대, SOS 설정 버튼 하부에 압전센서(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어, 전원 오프 상태에서 SOS 설정 버튼을 누름에 따라 압전센서에 생성되는 신호를 트리거 회로에서 받아 트리거 동작되며 제어부(90)에 전원을 공급시키며 제어부(90)를 웨이크업하고 제어부(90)에서 SOS모드 전환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Also, in one example, even when the power is off, the controller 90 wakes up the controller 90 by the trigger operation by the SOS input at the input unit 20, and the controller 90 switches the power off state to the SOS mode . For example, by pressing the SOS setting button longer than the set time in the power off state, the trigger operation by the SOS input is performed, so that the SOS mode can be directly switched from the power off mode. For example, a piezoelectric sensor (not shown) is provided under the SOS setting button. When the SOS setting button is pressed in the power off state, a signal generated in the piezoelectric sensor is received from the trigger circuit, The control unit 90 can be woken up and the control unit 90 can switch the SOS mode.

센서부(30)The sensor unit 30,

센서부(30)는 제1 센서(31)를 구비한다. 이때, 제1 센서(31)는 수분 또는 염분농도를 감지한다. 제1 센서(31)는 수분감지센서일 수 있고, 또는 조난신호 발신기가 해양조난사고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제1 센서(31)는 염분 내지 염분농도를 감지하는 염분감지센서일 수 있다. 제1 센서(31)는 수분 또는 염분농도를 감지해야 하므로, 센서단자가 노출된다. 예컨대, 제1 센서(31)의 센서단자는 방수되는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된다.The sensor unit 30 includes a first sensor 31. At this time, the first sensor 31 senses moisture or salt concentration. The first sensor 31 may be a moisture sensor or the first sensor 31 may be a salinity sensing sensor for sensing salinity or salinity when the distress signal transmitter is used for marine distress accidents. Since the first sensor 31 needs to detect moisture or salinity, the sensor terminal is exposed. For example, the sensor terminal of the first sensor 31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waterproof case.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센서부(30)는 가속도센서(3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가속도센서(33)는 기준 3축 방향에서 중력가속도를 감지함으로써 객체의 가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난위치 발신기를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가 선박이나 갯바위 등에서 이탈하여 바다, 강, 호수 등의 물에 빠지는 경우 감지되는 가속도 값으로부터 조난을 확인하거나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물에 빠지는 경우뿐만 아니라 선박 상에서 조난위치 발신기 소지자의 추락사고 등이 일어나는 경우에도 가속도센서(33)에 의해 감지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2, in one example, the sensor unit 30 may further include an acceleration sensor 33. For example, the acceleration sensor 33 can sense the acceleration of the object by sensing the gravitational acceleration in the reference triaxial directio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confirm or determine the distress from the detected acceleration value when the user having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is detached from the ship or the seabed and falls into the water such as the sea, river, lake, and the like. In addition, it can be detect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33 not only in case of falling into water, but also in case of a falling accident of the transmitter of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on the ship.

메모리부(70)In the memory unit 70,

메모리부(70)는 제어에 따라 GPS신호로부터 산출된 위치데이터를 저장 및/또는 갱신 저장한다. 위치데이터는 해당 위치에서의 시간정보와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위치데이터의 갱신 저장은 최신 위치데이터에 대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최신 위치데이터가 아닌 기존 위치데이터도 설정된 시간 또는 횟수 범위에서 메모리부(70)에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90)는 조난신호 생성 시 메모리부(70)에 저장된 위치데이터, 예컨대 최신 위치데이터를 읽어들여 조난신호에 포함시킬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부(70)는 제어부(90)의 제어에 따라 센서부(30), 예컨대 제1 센서(31)에서 감지된 감지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부(70)는 제어부(90)의 제어에 따라 위성송신부(60)에서 통신한 위성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위성송신부(60)의 웨이크업 동작에 따라 제어부(90)에서 메모리부(70)에 저장된 위성정보를 읽어들여 위성통신을 보다 수월하게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The memory unit 70 stores and / or updates the position data calculated from the GPS signal according to the control. The location data may be stored together with the time information at the location. Updating and storing the position data can be performed on the latest position data. For example, in one example, existing position data other than the latest position data may also be stored in the memory section 70 within a set time or frequency range. The control unit 90 may read the positional data, for example, the latest positional data stored in the memory unit 70 during the generation of the distress signal, and include the data in the distress signal. For example, the memory unit 70 may store sensing data sensed by the sensor unit 30, for example, the first sensor 3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90. [ For example, the memory unit 70 may store the satellite information communicated by the satellite transmission unit 6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90, and may transmit the satellite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unit 90 to the memory unit 70 to read the satellit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70 and perform satellite communication more easily.

또한, 하나의 예에서, 메모리부(70)는 위치데이터 외에 설정등록된 등록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부(70)에 저장되는 설정된 등록정보에는 조난위치 발신기 ID 또는/및 사용자 ID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등록정보에는 조난위치 발신기의 고유한 ID가 포함되는 경우, 조난위치 발신기를 예컨대 출항이나 선박탑승 등의 경우에 선박관리자나 관계기관 등에 등록되도록 하여 소지자와 매칭을 통해 사용자 식별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컨대, 등록정보에 조난위치 발신기 고유 ID를 제외한 사용자(소지자) ID가 포함되는 경우, 만일 메모리부(70)의 저장기기가 조난위치 발신기의 메모리커버를 해제하여 착탈가능하게 되는 경우 분리된 저장기기를 PC 등에 연결시켜 사용자 ID를 입력할 수 있고, 또는 조난위치 발신기의 RF통신부(50)에서 RF수신을 통해 메모리부(70)에 사용자 ID 등을 포함한 등록정보를 설정 저장하거나 갱신시킬 수 있다. 예컨대, 조난위치 발신기의 RF통신부(50)와 RF 통신을 통해 등록정보의 설정 등록, 갱신 등을 수행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 등에 설치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Further, in one example, the memory unit 70 may further store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registered in addition to the location data. For example, the set regist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70 may include a distress location transmitter ID and / or a user ID.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unique ID of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is included in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may be registered in the ship manager or a related organization in the case of departure or boarding, for example, so that the user can be identified through matching with the owner It is possible. For example, when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es a user ID (user ID) other than the unique ID of the distress location transmitter, if the storage device of the memory unit 70 is detachable by releasing the memory cover of the distress location transmitter, To the PC or the like, or the RF communication unit 50 of the distress location transmitter may set and update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user ID and the like in the memory unit 70 through RF reception. For example, when setting registration and updating of registration information are performed through RF communication with the RF communication unit 50 of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the registration may be performed through a specific application installed in a mobile terminal or the like.

예컨대, 메모리부(70)에 위치데이터 외에 등록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90)는 조난신호 생성 시 위치데이터 및 등록정보를 포함하는 조난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memory unit 70 in addition to the position data, the control unit 90 can generate the distress signal including the position data and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when the distress signal is generated.

또한, 하나의 예에서, 메모리부(70)에서 최신 위치데이터뿐만 아니라 기존의 위치데이터들을 저장하는 경우 예컨대 제어부(90)에서 위치데이터들을 통해 경로를 산출하고 산출된 이동경로 정보도 메모리부(7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이동경로는 위치데이터의 업데이트에 따라 업데이트될 수 있다. 예컨대, 이동경로는 시간정보와 함께 저장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one example, when storing the latest position data as well as the latest position data in the memory unit 70,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90 calculates the path through the position data, and the calculated path information is also stored in the memory unit 70 ). ≪ / RTI > At this time, the movement route can be updated in accordance with the update of the position data. For example, the movement path may be stored together with the time information.

RF통신부(50)The RF communication unit 50,

RF통신부(50)는 제어에 따라 조난신호를 RF통신으로 전송한다. RF통신부(50)는 RF 송신을 위한 RF통신모듈을 포함한다. 예컨대, RF통신모듈은 저전력 통신을 위한 RFID모듈일 수 있고 또는 블루투스모듈 등 다른 근거리 통신모듈일 수도 있다. RFID모듈 중 능동형의 경우 송신거리가 대략 100m 정도 또는 그 이상까지도 가능하다. 블루투스 모듈의 경우에도 야외에서 100m 정도까지 송신 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RF통신모듈은 능동형 RFID 모듈일 수 있다.The RF communication unit 50 transmits the distress signal through the RF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The RF communication unit 50 includes an RF communication module for RF transmission. For example, the RF communication module may be an RFID module for low power communication, or may be another local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a Bluetooth module. In the case of the active type of the RFID module, the transmission distance can be up to about 100 m or more. The Bluetooth module can also transmit up to 100m outdoors. For example, in one example, the RF communication module may be an active RFID module.

예컨대, 도 2 내지 3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RF통신부(50)는 RF통신으로 외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즉, RF통신부(50)는 RF 송신파트와 RF 수신파트로 이루어지고 RF 수신파트를 통해 외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RF 수신파트를 통해 수신되는 외부 신호는 RF통신부(50), 예컨대 RF 송신파트를 통해 송신된 조난신호에 대한 응답신호이거나 외부의 조난수신신호일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S. 2 to 3, in one example, the RF communication unit 50 can receive an external signal by RF communication. That is, the RF communication unit 50 includes an RF transmission part and an RF reception part, and can receive an external signal through the RF reception part. At this time, the external signal received through the RF receiving part may be a response signal to the distress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RF communication part 50, for example, the RF transmission part, or an external distress signal.

예컨대, 도 3을 참조하면, RF통신부(50)는 외부로 무선신호를 전송하는 RF 송신파트와 외부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RF 수신파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RF 송신파트는 RF송신모듈(51), 전력증폭기(52), 저역통과필터(LPF)(53) 및 RF송신안테나(54) 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RF송신모듈(51)은 제어부(90)로부터 조난신호를 받아 신호처리하여 출력하고 전력증폭기(52)는 RF송신기로부터 신호처리된 조난신호를 받아 증폭시켜 출력한다. LPF(53)는 전력증폭기(52)에서 증폭된 신호에 포함된 고주파신호, 예컨대 스퓨리어스 성분을 제거한다. 다음으로, RF 수신파트는 RF수신안테나(58), 대역통과필터(BPF)(57), 저잡음증폭기(56), RF수신모듈(55) 순으로 구성될 수 있다. RF수신안테나(58)에서 RF신호를 수신하면 대역통과필터(BPF)(57)에서 필터링하고 저잡음증폭기(56)에서 증폭하여 RF수신모듈(55)에서 신호처리한다. 도 3의 RF통신부(50)의 구성은 예시적인 것으로, RF통신부(50)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3, the RF communication unit 50 may include an RF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a radio signal to the outside and an RF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radio signal from the outside. For example, the RF transmission part may be in the order of an RF transmission module 51, a power amplifier 52, a low pass filter (LPF) 53, and an RF transmission antenna 54. The RF transmission module 51 receives the distress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90, processes the signal, and outputs the distress signal. The power amplifier 52 receives the distress signal processed by the RF transmitter and amplifies the signal. The LPF 53 removes a high-frequency signal, for example, a spurious component contained in the signal amplified by the power amplifier 52. Next, the RF receiving part may be composed of an RF receiving antenna 58, a band pass filter (BPF) 57, a low noise amplifier 56, and an RF receiving module 55 in this order. When the RF signal is received by the RF receiving antenna 58, the RF signal is filtered by a band pass filter (BPF) 57, amplified by a low noise amplifier 56, and processed by an RF receiving module 55. The configuration of the RF communication unit 50 of FIG. 3 is an example,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RF communication unit 50 is not limited thereto.

GPS수신부(40)The GPS receiver 40,

GPS수신부(40)는 GPS신호를 수신 처리한다. GPS수신부(40)는 GPS안테나(46)를 통해 수신된 GPS 신호를 신호처리한다. 예컨대, GPS수신부(40)는 GPS모듈(41)을 탑재하여 수신된 GPS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90)는 신호처리된 GPS신호로부터 위치좌표 데이터를 산출하거나 GPS모듈에서 산출되는 위치좌표 데이터를 받아 메모리부(70)에 저장 또는 갱신 저장한다. GPS수신부(40)에서 위성신호를 수초, 통상 1~2초간격으로 수신하는 경우 전력소모가 크므로, 제어부(90)에서 GPS수신부(40)의 웨이크업 시간간격을 설정모드에 따라 제어함으로써 조난위치 발신기의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The GPS receiving unit 40 receives and processes the GPS signal. The GPS receiving unit 40 processes the GPS signal received via the GPS antenna 46. [ For example, the GPS receiving unit 40 can process the received GPS signal by mounting the GPS module 41. [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90 calculates position coordinate data from the signal-processed GPS signal or receives position coordinate data calculated by the GPS module, and stores or updates the position coordinate data in the memory unit 70. When the GPS receiver 40 receives a satellite signal at intervals of several seconds, typically 1 to 2 seconds, power consumption is high, so that the controller 90 controls the wakeup time interval of the GPS receiver 40 according to the setting mod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position transmitter can be reduced.

예컨대, 도 3을 참조하면, GPS수신부(40)는 GPS안테나(46), 대역통과필터(43), 저잡음증폭기(42), GPS모듈(41) 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에서는 GPS안테나(46)를 위성송신안테나(46)와 겸용하고 있는 것이 도시된다. 이때, 위성송신 기능과 스위칭을 위해 스위치(44)가 대역통과필터(43)와 겸용 안테나(46) 사이에 구비될 수 있고, 스위치(44)와 겸용 안테나(46) 사이에 저역통과필터(LPF)(4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겸용 안테나(46)를 통해 수신된 신호는 LPF(45)를 거쳐 스위칭에 의해 대역통과필터(43)에서 필터링된다. 예컨대, 이때, 대역통과필터(43)는 필터링 성능이 우수한 SAW필터일 수 있다. 대역통과필터(43)에서 필터링된 GPS신호는 저잡음 증폭기(42)에서 증폭되어 GPS모듈(41)에서 신호처리된다.
3, the GPS receiver 40 may be implemented in the order of a GPS antenna 46, a bandpass filter 43, a low noise amplifier 42, and a GPS module 41. In FIG. 3, it is shown that the GPS antenna 46 is also used as the satellite transmission antenna 46. At this time, a switch 44 may be provided between the band-pass filter 43 and the dual-purpose antenna 46 for satellite transmission function and switching, and a low-pass filter (LPF) 46 may be provided between the switch 44 and the dual- ) 45 may be further provided. Th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combined antenna 46 is filtered by the band-pass filter 43 by switching through the LPF 45. [ For example, at this time, the band-pass filter 43 may be a SAW filter having excellent filtering performance. The GPS signal filtered by the band-pass filter 43 is amplified by the low-noise amplifier 42 and signal-processed by the GPS module 41.

위성송신부Satellite transmitter (60)(60)

위성송신부(60)는 제어에 따라 조난신호를 위성통신으로 송신한다. RF통신만으로 조난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예컨대 RF통신부(50)에서의 RF 송신이 송신거리에 한계가 있는 경우 원활한 조난구조 요청이 되기 어렵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위성송신부(60)를 구비하여 위성통신으로 조난신호를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원활한 조난구조 요청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위성송신부(60)를 통한 조난신호의 전송은 전력소모 및 비용 측면에서 설정간격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90)는 설정모드에 따라 위성송신부(60)의 웨이크업 동작 간격을 제어하며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The satellite transmitting unit 60 transmits the distress signal to the satellite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When a distress signal is transmitted only by RF communication, for example, when the RF transmission in the RF communication unit 50 has a limited transmission distance, it is difficult to request a smooth distress call. Accordingl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tellite transmitter 60 is provided to transmit a distress signal by satellite communication,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perform a more distressful rescue request. At this time, transmission of the distress signal through the satellite transmission unit 60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setting interval in terms of power consumption and cost. The controller 90 controls the wake-up operation interval of the satellite transmitter 60 according to the setting mode and can reduce power consumption.

예컨대, 도 3을 참조하면, 위성송신부(60)는 위성송신모듈(61), 전력증폭기(62), 저역통과필터(45) 및 위성안테나(46)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3에서는 위성안테나(46)를 GPS안테나(46)와 겸용하는 것이 도시되고 있다. 예컨대, 안테나(46)의 겸용 사용 시 전력증폭기(62)와 저역통과필터(45) 사이에 스위치(44)를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90)에서 생성되어 위성송신모듈(61)에서 신호처리된 위성 조난신호는 전력증폭기(62)에서 증폭되고, 스위칭 연결된 저역통과필터(45)에서 필터링되어 안테나(46)를 통해 송신된다.3, the satellite transmission unit 60 may include a satellite transmission module 61, a power amplifier 62, a low-pass filter 45, and a satellite antenna 46. In FIG. 3, 46 are used in common with the GPS antenna 46. As shown in Fig. For example, when the antenna 46 is commonly used, the switch 44 may be provided between the power amplifier 62 and the low-pass filter 45. The satellite distress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90 and processed by the satellite transmission module 61 is amplified by the power amplifier 62 and filtered by the switching low-pass filter 45 and transmitted through the antenna 46.

도 3에서, GPS수신부(40)와 위성송신부(60)는 안테나(46)를 겸용하고 있으므로, 제어부(90)에서 각각의 웨이크업 시간 간격을 제어하고 동시에 스위치(44)를 제어하며 GPS신호 수신과 조난신호의 위성 송신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3, the GPS receiving unit 40 and the satellite transmitting unit 60 share the antenna 46, so that the control unit 90 controls each wake-up time interval and at the same time controls the switch 44 and receives GPS signals And satellite transmission of the distress signal.

음파발신부Sound wave transmitter (80)(80)

예컨대, 도 2 내지 3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조난위치 발신기는 음파발신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파발신기는 조난 음파신호를 생성하여 수중 출력한다. 예컨대, 음파발신기는 SOS모드에서 설정시간 간격으로 상시 동작하거나 또는 상시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전력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음파발신기는 절전모드 전환 시에 동작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90)는 절전모드에서 설정 간격으로 음파발신부(80)를 동작시켜 조난 음파신호를 수중으로 발신시킬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s. 2 to 3, in one example,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may further include a sound wave transmitter 80. [ A sound wave transmitter generates a distressed sound wave signal and outputs it to the underwater. For example, the sound wave transmitter may be controlled so as to always operate in the SOS mode at set time intervals or not to operate at all times. For example, in order to minimize power consumption, the sound wave transmitter can be controlled to be operated upon power saving mode switching.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90 can operate the sound wave transmitting unit 80 at a set interval in the power saving mode to transmit the distressed sound wave signal to the receiver.

음파발신부(80)를 구비하여 조난구조용 음파신호를 발신하도록 함으로써, 조난위치 발신기의 소지자가 수중에 잠기더라도 일반 어선 등에서 널이 이용되는 어군탐지기나 소나 장비에 의해 쉽게 음파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The sound wave transmitter 80 is provided to transmit the sound wave signal for the distress structure so that even if the owner of the distress location transmitter is submerged in water, the sound wave signal can be easily received by a fish finder or a sonar device, .

제어부(90)The control unit 90,

다음으로, 제어부(90)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제어부(90)는 대기모드, SOS모드 및 절전모드에 따라 각 구성들을 제어한다. 제어부(90)의 대기모드, SOS모드 및 절전모드의 제어를 순차로 살펴보고, 실시예에 따라 추가되는 부상상태모드에 대해서도 살펴볼 것이다. 이때, 조난위치 발신기의 동작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내는 도 4 내지 7이 참조될 수 있다.Next, the control unit 9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troller 90 controls the respective components according to the standby mode, the SOS mode, and the power saving mode. The SOS mode and the power saving mode of the controller 90 will be sequentially checked, and the floating state mode add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ill be also described. At this time, reference can be made to Figs. 4 to 7 showing a schematic flow of the operation method of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먼저, 제어부(90)에 의한 대기모드의 동작 내지 대기모드에서의 제어 동작을 살펴본다. 제어부(90)는 전원 온(on) 시 대기모드를 유지하며 설정된 대기간격마다 GPS수신부(40)를 웨이크업시킨다. 대기모드는 전원이 온 상태이고 SOS 자동 및/또는 수동 설정이 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때, 제어부(90)는 웨이크업된 GPS수신부(40)의 GPS신호 수신에 따라 위치데이터를 메모리부(70)에 저장 또는 갱신 저장시킨다. 위치데이터의 갱신 저장은 최신 위치데이터에 대한 것이다. 예컨대, 제어부(90)는 최신 위치데이터의 갱신 저장뿐만 아니라 설정 시간 또는/및 횟수 범위 내에서 위치데이터를 메모리부(70)에 저장시킬 수 있다. 제어부(90)는 위치데이터 저장 또는/및 갱신 시 위치에 따른 시간정보와 함께 저장 또는/및 갱신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90)는 메모리부(70)에 저장된 다수의 위치데이터들을 읽어들여 경로를 산출하고 산출된 이동경로 정보를 메모리부(70)에 저장시킬 수 있다.First, the operation of the standby mode by the control unit 90 or the control operation in the standby mode will be described. The control unit 90 maintains the standby mode at the time of power on and wakes up the GPS receiving unit 40 at the set waiting interval. Standby mode is the state in which the power is on and SOS automatic and / or manual setting is not made.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90 stores or updates the position data in the memory unit 70 according to the reception of the GPS signal of the wakeup GPS receiving unit 40. Updating and storing the position data is for the latest position data.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90 may store the position data in the memory unit 70 within the set time and / or the number of times, as well as update and store the latest position data. The control unit 90 may store and / or update the position data together with time information according to position at the time of storing and / or updating the position data.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90 may read a plurality of positional data stored in the memory unit 70, calculate the route, and store the calculated travel route information in the memory unit 70.

예컨대, 실시예에 따라, 대기모드에서 제어부(90)는 RF통신부(50)와 위성송신부(60)를 오프 상태로 유지되게 제어할 수 있고, 또는 RF통신부(50)의 수신파트는 활성화시키고 송신파트와 위성송신부(60)를 오프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90)는 실시예에 따라 대기모드에서 센서부(30)를 설정간격마다 웨이크업 동작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For examp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 the standby mode, the control unit 90 can control the RF communication unit 50 and the satellite transmission unit 60 to be kept in the off state, or activate the reception part of the RF communication unit 50, And the satellite transmitter 60 can be kept in the off state. Also, the control unit 90 may control the sensor unit 30 to perform the wake-up operation or the normal operation at the set interval in the standby mod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예컨대, 대기모드에서 RF통신부(50)의 수신파트가 활성화되는 경우, RF통신으로 외부 신호가 수신될 수 있다. 이때, 수신되는 외부 신호는 외부로부터의 조난신호인 조난수신신호일 수 있다. 예컨대, 이때, 제어부(90)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조난수신신호에 대하여 무선 라우팅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90)는 수신된 조난수신신호를 RF통신부(50)를 통해 브로드캐스팅시키며 무선 라우팅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90)에서 위와 같은 무선 라우팅 수행이 가능한 경우라도, 만일 대기모드가 아닌 SOS모드 및 부상상태모드에서는 무선 라우팅 기능이 억제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receiving part of the RF communication unit 50 is activated in the standby mode, an external signal can be received by RF communication. At this time, the received external signal may be a distress reception signal which is a distress signal from the outside. For example,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90 may perform wireless routing with respect to the distress recep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outside. That is, the control unit 90 broadcasts the received distress signal via the RF communication unit 50 and controls the wireless routing function to be performed. For example, even if the above-described wireless routing can be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90, the wireless routing function can be suppressed in the SOS mode and the floating state mode, which is not the standby mode.

다음으로, 제어부(90)에 의한 SOS모드의 동작 내지 SOS모드에서의 제어동작을 살펴본다. 제어부(90)는 입력부(20)에서의 SOS 입력을 받거나 또는 대기모드 중 센서부(30)의 감지신호에 따른 조난 판단 시 SOS모드로 전환한다. 즉, SOS모드로의 전환은 입력부(20)의 SOS 설정 입력에 따르거나 또는 센서 감지에 의한 자동 전환되는 경우 2 가지이다. 먼저, 입력부(20)에서의 SOS 입력에 의한 경우를 살펴본다. 제어부(90)는 입력부(20)로부터 예컨대 SOS 버튼의 눌림에 따라 SOS 설정 입력되는 경우 SOS모드로 판단하여 제어한다. 예컨대, 도 4 및 5에 도시된 동작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입력부(20)에서의 SOS 입력에 의한 SOS모드로의 전환은 전원 온 상태에서의 전환과 전원 오프상태에서의 전환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전원 온 상태에서는 예컨대 SOS 버튼을 최초 누름으로써 신호가 제어부(90)에 전달되고 제어부(90)에서는 전원 온 상태의 대기모드를 SOS모드로 전환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동작을 참조하면, 전원 오프 모드에서 SOS모드로의 전환을 살펴보면, 하나의 예에서, 제어부(90)는 전원 오프 모드에서 입력부(20)에서의 SOS 입력에 의한 트리거 동작으로 웨이크업하며 SOS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예컨대, SOS 버튼의 하부에 압력센서가 구비되어 전원 오프 상태에서 SOS 버튼의 눌림에 따라 압력센서에서 전류신호를 생성시켜 예컨대 트리거 회로를 동작시켜 제어부(90)를 웨이크업시킬 수 있다. 트리거 동작에 의해 웨이크업된 제어부(90)는 SOS모드로 전환시켜 GPS수신부(40), RF통신부(50), 위성송신부(60) 등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며 웨이크업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전원 오프 모드에서 SOS 버튼 눌림에 의한 트리거 동작은 설정시간 이상의 SOS 버튼 눌림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SOS mode by the control unit 90 or the control operation in the SOS mode will be described. The control unit 90 receives the SOS input from the input unit 20 or switches to the SOS mode when the sensor unit 30 detects a distress due to the detection signal. That is, the switch to the SOS mode i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SOS setting input of the input unit 20 or when the switch is automatically switched by the sensor detection. First, a case of SOS input in the input unit 20 will be described. The control unit 90 determines that the SOS mode is set when the SOS setting is input according to the depression of the SOS button, for example, from the input unit 20 and controls the SOS mode. 4 and 5, in one example, the switching to the SOS mode by the SOS input at the input unit 20 is divided into switching in the power-on state and switching in the power-off state . In the power on state, for example, a signal is first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90 by pressing the SOS button for the first time, and the control unit 90 switches the standby mode in the power on state to the SOS mode. Referring to FIG. 5, in the switching from the power off mode to the SOS mode, the controller 90 controls the trigger operation by the SOS input at the input unit 20 in the power off mode To switch to SOS mode. For example, a pressure sensor may be provided under the SOS button to generate a current signal from the pressure sensor in response to the depression of the SOS button in the power-off state, thereby operating the trigger circuit, for example, to wake up the control unit 90. The control unit 90 woken up by the triggering operation may switch to the SOS mode and control the power supply to the GPS receiving unit 40, the RF communication unit 50, the satellite transmitting unit 60, and so on to perform the wakeup operation. For example, a trigger operation by pressing the SOS button in the power off mode can be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sing of the SOS button longer than the set time.

다음, 센서 감지에 의해 자동으로 SOS모드로 전환되는 경우를 살펴본다. 대기모드 중 센서부(30)로부터 감지결과를 수신한 제어부(90)는 감지결과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조난으로 판단되면 SOS모드로 자동전환시킨다. 이때, 제어부(90)는 감지된 결과값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 또는 초과하는 경우에 조난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센서(31)가 수분을 감지하는 경우, 비 또는 파도 등에 의한 오감지를 방지하기 위해, 감지량, 감지지속시간, 또는 이들 모두를 종합하여 조난위치 발신기의 소지자의 익수상태(물에 빠진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90)는 제1 센서(31)에서 3초 이상 설정치 이상의 감지결과가 수신 또는 유지되는 경우 익수상태(침수상태)로 판단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센서(31)가 염분 내지 염분농도를 감지하는 경우 감지량, 감지지속시간, 또는 이들 모두를 종합하여 바다에 빠졌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Next, the case where the sensor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SOS mode will be described. Upon receiving the detection result from the sensor unit 30 in the standby mode, the controller 90 determines the detection result and automatically switches to the SOS mode if it is determined to be a distress result. At this time, the controller 90 may determine that the distress is occurred when the sensed result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For example, when the first sensor 31 senses the moisture, it may be possible to collect the sensed amount, the sensed duration, or both, so as to prevent the sensation of rain due to rain or waves, It can be judged as a missing state). For example, the controller 90 may determine that the first sensor 31 is in a drowning state (immersed state) when a detection result of a set value of 3 seconds or more is received or maintain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When the first sensor 31 senses the salinity or the salinity concentration, it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detected amount, the duration of the detection, or both are integrated into the sea.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제어부(90)는, 대기모드 중 제1 센서(31)의 감지결과, 가속도센서(33)의 감지결과 또는 제1 센서(31) 및 가속도센서(33)의 감지결과가 설정범위 값 이상인 경우 조난으로 판단하여 SOS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가속도센서(33)에 의한 감지의 경우, 예컨대 감지된 결과 값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 또는 초과하는 경우에 선박, 갯바위 등에서 수상으로의 추락 또는 선박 등의 구조물 내에서의 추락 등의 조난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one example, the control unit 9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detection result of the first sensor 31, the detection result of the acceleration sensor 33, or the detection result of the first sensor 31 and the acceleration sensor 33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 range value, it can be determined that it is a distress and can be switched to the SOS mode. In the case of sensing by the acceleration sensor 33, for example, when the sensed result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it is judged whether the ship falls on a seaside or the like or a distress situation such as a fall in a structure such as a ship .

하나의 예에서, 제어부(90)는 SOS 모드로의 전환 후 입력부(20)에서 SOS 해제 입력에 따른 SOS 모드 해제 전까지 가속도센서(33)의 동작을 오프시킬 수 있다. SOS모드 전환이 이루어진 후에는 가속도센서(33)의 감지결과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해 가속도센서(33)의 동작을 오프시킬 필요가 있다. 이때, SOS모드로 잘못 전환된 경우에는 SOS모드를 해제시킬 수 있고 가속도센서(33)의 동작 오프 제어는 해제될 수 있다. 예컨대, SOS 모드 해제는 입력부(20)에서 SOS 해제 입력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SOS 해제 입력은 예컨대 SOS 버튼을 설정시간 이상 길게 눌리거나 설정시간 내 수회 연속 눌림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In one example, the control unit 90 may turn off the operation of the acceleration sensor 33 until the SOS mode is released according to the SOS release input at the input unit 20 after the switch to the SOS mode. Since the detection result of the acceleration sensor 33 is not required after the SOS mode is switched, it is necessary to turn off the operation of the acceleration sensor 33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At this time, if the SOS mode is erroneously changed, the SOS mode can be canceled and the operation-off control of the acceleration sensor 33 can be released. For example, the SOS mode can be released by the SOS release input at the input 20. The SOS release input may be accomplished by, for example, depressing the SOS button longer than the set time or by pressing several consecutive times within the set time.

계속하여, SOS모드의 동작을 살펴본다. SOS모드에서, 제어부(90)는 위치데이터를 포함한 조난신호를 생성하고, 조난신호를 RF통신부(50) 및 위성송신부(60)를 통해 외부로 전송시킬 수 있다. 제어부(90)에서 위치데이터를 포함한 조난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SOS모드 전환에 따라 바로 조난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메모리부(70)에 저장된 최신 위치데이터를 읽어들여 조난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또는 하나의 예에서, SOS모드 전환에 따란 GPS수신부(40)를 웨이크업시켜 GPS수신부(40)로부터 수신된 신호로부터 최신 위치데이터를 획득하여 조난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90)는 조난신호에 위치데이터와 함께 최초 조난시간정보를 포함시켜 조난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위치데이터의 업데이트 정보가 조난신호에 포함되는 경우 최초 조난시간정보도 조난신호에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최초 조난시간정보는 최초 조난신호 생성 시의 시간이거나 최초 조난신호에 포함되는 위치데이터의 위치에서의 시간정보일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제어부(90)는 위치데이터 외에 등록정보 또는 등록정보와 조난시간정보를 더 포함하는 조난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등록정보는 메모리부(70)에 저장된 것이다. 예컨대, 등록정보는 사용자 식별정보 또는/및 조난위치 발신기 자체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Next, the operation of the SOS mode will be described. In the SOS mode, the control unit 90 generates a distress signal including the position data, and can transmit the distress signal to the outside through the RF communication unit 50 and the satellite transmission unit 60. When the distress signal including the position data is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90, the distress signal can be generated by reading the latest position data stored in the memory unit 70 when generating the distress signal immediately after switching the SOS mode, or In one example, depending on the SOS mode switching, the GPS receiving unit 40 may be woken up to acquire the latest position data from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GPS receiving unit 40 to generate a distress signal.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90 may generate the distress signal by including the initial distress time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position data in the distress signal. That is, when the update information of the position data is included in the distress signal, the first distress time information may be included in the distress signal. At this time, the initial distress time information may be time at the time of generating the first distress signal or time information at the position of the position data included in the first distress signal. For example, in one example, the control unit 90 may generate a distress signal further including registration information or registration information and distress time information in addition to the position data. At this time,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memory unit 70. For example,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 or distress location sender self identification information.

제어부(90)에서 조난신호의 전송을 제어하는데 있어서, 제어부(90)는 RF통신부(50)를 제1 RF송신간격으로 그리고 위성송신부(60)를 제1 RF송신간격보다 긴 제1 위성송신간격으로 각각 동작시켜 조난신호를 전송시킬 수 있다. 위성송신이 전력소모 및 비용 측면에서 불리하므로 위성송신 간격을 RF통신부(50)를 통한 RF송신간격보다 길게 할 수 있다. 예컨대, RF송신 주기는 30초 간격으로 하고 위성송신 주기는 5분 간격으로 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control unit 90 controls the RF communication unit 50 at the first RF transmission interval and the satellite transmission unit 60 at the first satellite transmission interval longer than the first RF transmission interval, Respectively, so that the distress signal can be transmitted. Since the satellite transmission is disadvantageous in terms of power consumption and cost, the satellite transmission interval can be made longer than the RF transmission interval through the RF communication unit 50. For example, the RF transmission period may be 30 seconds apart and the satellite transmission period may be 5 minutes apart, but is not limited thereto.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SOS모드에서 제어부(90)의 조난신호 송신 간격 제어는 2 단계 이상으로 나누어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2 단계로 나누어 수행되는 경우를 살펴보면, SOS 초기모드와 SOS 지속모드로 나눌 수 있다. SOS 초기모드는 제어부(90)에서 입력부(20)로부터 최초 SOS 입력을 받거나 또는 대기모드 중 센서부(30)의 감지신호에 따른 최초 조난 판단 시 수행되는 모드이다. 이때, 최초 SOS 입력 및 최초 조난 판단은 이후 SOS 모드가 해제되거나 다른 모드로 전환되기 전까지 범위 내에서 처음을 의미한다. SOS 최초모드가 설정된 시간 동안 진행되다가 다른 모드로의 전환이나 SOS 모드의 해제가 없는 상태에서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SOS 지속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90)는 SOS 최초모드 중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RF통신부(50)를 제1 RF송신간격보다 긴 제4 RF송신간격으로 그리고 위성송신부(60)를 제1 위성송신간격보다 긴 제4 위성송신간격으로 각각 동작시키고 조난신호를 전송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90)는 SOS 최초모드가 설정시간인 예컨대 3시간 경과 후 SOS 지속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때, SOS 최초모드의 설정시간은 미리 설정되거나 설정입력에 의해 설정 변경되어 입력될 수 있다. 이때, 설정 변경 입력은 메모리부(70)에 등록정보를 설정하는 과정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진행될 수 있다. SOS 초기모드와 SOS 지속모드로 구분하여 설정시간 이후 SOS 지속모드로 전환시킴으로써 조난위치 발신기의 사용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SOS 초기모드에서 제어부(90)는 RF송신 주기를 30초 간격으로 하고 위성송신 주기를 5분 간격으로 하다가 SOS 지속모드로 전환 후 RF송신 주기를 5분 간격으로 하고 위성송신 주기를 1시간 간격으로 제어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in one example, the distress signal transmission interval control of the control unit 90 in the SOS mode can be divided into two or more stages. For example, the SOS initial mode and the SOS continuous mode can be divided into two stages. The SOS initial mode is a mode performed when the control unit 90 receives the initial SOS input from the input unit 20 or when the first distress is determined based on the sensing signal of the sensor unit 30 during the standby mode. At this time, the first SOS input and the first distress determination are first within the range until the SOS mode is released or switched to another mode. When the first time of the SOS has been set for a set time, and the set time has elapsed without switching to another mode or releasing the SOS mode, the system can be switched to the SOS continuous mode. For example, when the set time of the SOS initial mode has elapsed, the control unit 90 sets the RF communication unit 50 to the fourth RF transmission interval longer than the first RF transmission interval and the satellite transmission unit 60 to the long- 4 satellite transmission interval and send the distress signal.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90 may switch the SOS first mode to the SOS continuous mode after a lapse of a set time, for example, three hours. At this time, the set time of the SOS first mode may be set in advance or may be changed by setting input. At this time, the setting change input may proceed in the same or similar process as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setting process in the memory unit 70. [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use time of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by switching to the SOS continuous mode after the set time by dividing into the SOS initial mode and the SOS continuous mode. For example, in the SOS initial mode, the controller 90 sets the RF transmission period to 30 seconds, the satellite transmission period to 5 minutes, the RF transmission period to 5 minutes after the transition to the SOS continuous mod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SOS모드에서의 제어 내지 동작을 계속 살펴보면, SOS모드에서, 제어부(90)는 대기간격보다 짧은 SOS모드간격으로 GPS수신부(40)를 웨이크업 동작시키고, 웨이크업된 GPS수신부(40)에서 수신된 GPS신호로부터 산출된 위치데이터를 메모리부(70)에 저장 또는/및 갱신시킨다. 예컨대, 제어부(90)는 SOS 모드 전환과 동시에 GPS수신부(40)를 웨이크업 동작시키며 작동주기를 SOS모드 간격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는 SOS 모드 전환 후 돌아오는 주기부터 동작주기를 변경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SOS mode, the control unit 90 wakes up the GPS receiving unit 40 at the SOS mode interval shorter than the standby interval, and the wake-up GPS receiving unit 40 And stores and / or updates the position data calculated from the received GPS signal in the memory unit 70. [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90 may wake up the GPS receiver 40 at the same time as switching the SOS mode, and change the operation period to the SOS mode interval. Alternatively, the operation cycle can be changed from the return cycle after the SOS mode is switched.

또한, 하나의 예에서, RF통신부(50)에서 RF통신으로 외부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예컨대, SOS모드에서 RF통신부(50)를 통해 송신된 조난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로서 외부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90)는 추가조난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추가조난신호는 메모리부(70)에 저장되되 최초 또는 이전까지의 조난신호에 포함되지 않은 추가 정보를 포함하는 조난신호이다. 이때, 추가 정보는 메모리부(70)에 설정등록된 등록정보, 조난 후 이동정보, 조난시간정보, 조난판단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조난 후 이동정보는 메모리부(70)에 저장된 위치데이터들로부터 제어부(90)가 산출하여 저장 또는 갱신 저장되어 있던 정보이다.
In addition, in one example, when an external signal is received by the RF communication unit 50 through RF communication, for example, when an external signal is received as a response signal to the distress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RF communication unit 50 in the SOS mode , The control unit 90 may generate an additional distress signal. At this time, the additional distress signal is a distress signal stored in the memory unit 70 and including additional information not included in the first or previous distress signal. At this time, the additional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a part of registration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memory unit 70, movement information after distress, distress time information, and distress determination information. The post-distress movement information is information that the control unit 90 has calculated, stored, or updated from the position data stored in the memory unit 70.

다음으로, 제어부(90)에 의한 절전모드의 동작 내지 절전모드에서의 제어동작을 살펴본다. 제어부(90)는 SOS모드 중 제1 센서(31)의 신호에 따른 침수판단상태가 지속되고 설정 이하의 GPS 신호세기가 지속되는 경우, SOS모드를 절전모드로 전환한다. 이때, 절전모드에서, 제어부(90)는 RF통신부(50) 및 위성송신부(60)의 동작을 오프(off)시킨다. 즉, 절전모드는 조난위치 발신기의 소지자가 수중으로 가라앉는 경우에 수행되는 모드이다. 조난자가 수중에 빠지면 의식을 읽고 가라앉게 되고 나중에 사망에 이를 수 있는데, 수중에서의 구조 또는 추후 시신 수습 등을 위해 전력소모를 효율화시키거나 줄일 필요가 있다. 즉, 수중에서는 RF통신 및 위성통신이 이루어지지 않고, GPS 수신도 어려우므로 전력소모를 효율화하여 추후 상황을 대비할 필요가 있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90 in the power saving mode or the control operation in the power saving mode will be described. The control unit 90 switches the SOS mode to the power saving mode when the immersion determination state continues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first sensor 31 in the SOS mode and the GPS signal intensity below the predetermined level continues. At this time, in the power saving mode, the control unit 90 turns off the operations of the RF communication unit 50 and the satellite transmission unit 60. That is, the power saving mode is performed when the owner of the distress location transmitter sinks into the water. When a victim falls into the water, he or she can read the consciousness and sink, and later die, and it is necessary to streamline or reduce power consumption for underwater structures or for later corpses. In other words, since RF communication and satellite communication are not performed in the water, and GPS reception is also difficul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ower consumption and prepare for future situations.

제어부(90)에서 절전모드로 전환은 제1 센서(31)에 의해 감지되는 신호에 따른 침수판단상태가 설정시간 이상 지속되고 GPS 수신신호의 세기가 설정이하가 설정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SOS모드를 절전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90)는 제1 센서(31)의 감지결과판단에 따른 침수상태와 GPS 수신세기의 설정범위 이하 상태가 5분이상 지속되면 SOS모드에서 절전모드로 전환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control unit 90 switches the power saving mode to SOS mode when the immersion determination state according to the signal sensed by the first sensor 31 continues for a set time or longer and the intensity of the GPS reception signal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etting duration It is possible to switch to the power saving mode.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90 may switch from the SOS mode to the power saving mode if the submersion status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first sensor 31 is less than the setting range of the GPS reception intensity for more than 5 minutes, Do not.

또한, 절전모드에서, 제어부(90)는 SOS모드간격보다 긴 절전모드간격으로 제1 센서(31) 및 GPS수신부(40)를 웨이크업 동작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90)는 절전모드에서 5분 주기로 제1 센서(31) 및 GPS수신부(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in the power save mode, the controller 90 can wake up the first sensor 31 and the GPS receiver 40 in a power saving mode interval longer than the SOS mode interval. For example, the controller 9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irst sensor 31 and the GPS receiver 40 in a 5-minute cycle in the power saving mo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때, 하나의 예에서, 제어부(90)는 설정 간격으로 음파발신부(80)를 동작시켜 조난 음파신호를 수중으로 발신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90)는 5분주기로 음파발신부(80)를 동작시켜 4.8kHz의 음파신호를 3회 송신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In this case, in one example, the controller 90 may operate the sound wave transmitter 80 at a set interval to transmit the distressed sound wave signal to the receiver.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90 can transmit the sound wave signal of 4.8 kHz three times by operating the sound wave transmitting unit 80 in five-minute intervals, but is not limited thereto.

계속하여, 도 6 및/또는 7에 도시된 동작을 참조하여, 제어부(90)에 의한 부상상태모드의 동작 내지 부상상태모드에서의 제어동작을 살펴본다. 하나의 예에서, 제어부(90)는, 절전모드에서 웨이크업된 GPS수신부(40)의 GPS 신호세기가 설정 이상이면 부상상태모드로 전환한다. 부상(浮上)상태모드는 수중에 가라앉아 있던 조난위치 발신기의 소지자가 예컨대 사망 후 소정 시간 경과 후 떠오른 상태를 말한다. 부상상태모드에서, 제어부(90)는 센서부(30)를 오프(off)시키고 설정된 부상모드 간격으로 GPS수신부(40)를 웨이크업 동작시킬 수 있다. 부상상태모드에서는 이후 시신 수습 등의 상황을 대처하기 위해 센서부(30)의 동작을 오프시켜 전력소모를 줄이고, GPS수신부(40)의 웨이크업 동작 주기를 SOS모드에서의 SOS모드간격보다 또는 절전모드에서의 절전모드간격보다 또는 대기모드에서의 대기모드간격보다 늘릴 수 있다.Subsequently, referring to the operations shown in Figs. 6 and / or 7, a control operation in the floating state mode or the floating state mode by the control unit 90 will be described. In one example, the control unit 90 switches to the floating state mode when the GPS signal strength of the GPS receiving unit 40 waked up in the power saving mode is higher than the set value. The floating state mode refers to a state in which a holder of a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sitting in the water floats afte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after death. In the floating state mode, the controller 90 can turn off the sensor unit 30 and wake up the GPS receiver 40 at the set floating mode interval. In the floating state mode, the operation of the sensor unit 30 is turned off in order to cope with a situation such as a body collision and the power consumption is reduced, and the wakeup operation cycle of the GPS receiver 40 is set to be longer than the SOS mode interval in the SOS mode, May be greater than the power saving mode interval in mode or the standby mode interval in standby mode.

또한, 부상상태모드에서, 제어부(90)는 RF통신부(50)를 제1 RF송신간격보다 긴 제2 RF송신간격으로 그리고 위성송신부(60)를 제1 위성송신간격보다 긴 제2 위성송신간격으로 각각 동작시키고 조난신호를 전송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90)는 RF송신 주기를 5분 간격으로 하고 위성송신 주기를 1시간 간격으로 제어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floating state mode, the controller 90 controls the RF communication unit 50 to transmit a second RF transmission interval longer than the first RF transmission interval and to transmit the satellite transmission unit 60 a second satellite transmission interval Respectively, and transmit a distress signal.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90 may control the RF transmission period at intervals of five minutes and the satellite transmission period at intervals of one hour,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때, 도 7에 도시된 동작을 참조하면, 또 하나의 예에서, 제어부(90)는 부상상태모드를 제1 부상모드와 제2 부상모드로 구분 설정할 수 있다. 2 이상의 구분도 가능하다. 제어부(90)는, 절전모드에서 부상상태모드로 전환되는 경우를 제1 부상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제1 부상모드에서는 전술한 부상상태모드에서 제2 RF송신간격 및 제2 위성송신간격에 따른 조난신호의 전송과 동일하게 전송주기가 결정된다. 이때, 설정에 따라 제1 부상모드의 기간, 즉 제2 RF송신간격 및 제2 위성송신간격에 따른 조난신호의 전송 기간이 정해진다. 예컨대, 제어부(90)는 부상상태모드 전환 후 3시간 동안을 제1 부상모드로 설정하고 조난신호에 대하여 5분주기로 RF 송신, 1시간 주기로 위성송신을 수행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부상모드에서의 GPS수신 주기는 전술한 부상상태모드에 따른다.In this case, referring to the operation shown in FIG. 7, in another example, the controller 90 may divide the floating state mode into the first floating mode and the second floating mode. Two or more distinctions are possible. The control unit 90 can set the first floating mode when switching from the power saving mode to the floating state mode. That is, in the first floating mode, the transmission period is determined in the same manner as the transmission of the distress signal according to the second RF transmission interval and the second satellite transmission interval in the floating state mode described above. 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setting, the transmission period of the distress signal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eriod of the first floating mode, that is, the second RF transmission interval and the second satellite transmission interval.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90 may set the first floating mode for three hours after the switching of the floating state mode, perform the RF transmission at the frequency of five minutes for the distress signal, and perform the satellite transmission at the one-hour cycle. The GPS reception period in the first floating mode is dependent on the floating state mode described above.

제1 부상모드가 설정 시간을 경과한 경우, 제어부(90)는 제2 부상모드로 설정 또는 전환하고, 부상모드 간격보다 긴 제2 부상모드 간격으로 GPS수신부(40)를 웨이크업 동작시킨다. 또한, 제어부(90)는 RF통신부(50)를 제2 RF송신간격보다 긴 제3 RF송신간격으로 그리고 위성송신부(60)를 제2 위성송신간격보다 긴 제3 위성송신간격으로 각각 동작시켜 조난신호를 전송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90)는 30분주기로 RF 송신을 통해, 3시간 주기로 위성송신을 통해 조난신호를 전송시킬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When the first floating mode has passed the set time, the controller 90 sets or switches to the second floating mode and wakes up the GPS receiver 40 at the second floating mode interval that is longer than the floating mode interval. The control unit 90 also operates the RF communication unit 50 at a third RF transmission interval longer than the second RF transmission interval and the satellite transmission unit 60 at a third satellite transmission interval longer than the second satellite transmission interval, Signal can be transmitted.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90 may transmit the distress signal through satellite transmission at a period of 3 hours through RF transmission at a 30-minute perio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예컨대, 제1 부상모드 및 제2 부상모드 외에 추가적으로 부상상태모드를 구분하는 경우 제2 부상모드가 예컨대 6시간 지속되면 제3 부상모드로 설정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3 부상모드에서, 조난신호 전송주기는 제2 부상모드보다 길게 설정될 수 있다.
For example, in addition to the first floating mode and the second floating mode, if the floating mode is further classified, the second floating mode may be set to the third floating mode if the second floating mode is maintained for 6 hours, for example. In the third floating mode, the distress signal transmission period can be set longer than the second floating mode.

케이스 및 기타Cases and other

예컨대, 도 8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 따른 조난위치 발신기는 케이스(5)를 구비하는데, 이때, 조난위치 발신기의 케이스(5)에 의해 침수 시 방수가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제1 센서(31)는 케이스 상에 센서단자가 노출되어 수분 또는 염분농도를 감지하게 된다. 예컨대, 조난위치 발신기가 전원부(10)에 충전단자를 구비하는 경우에도 케이스 상에 충전단자가 노출되며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8, a distress location transmitter according to one example has a case 5, wherein the waterproof case can be maintained by the case 5 of the distress location transmitter. At this time, the sensor terminal is exposed on the case of the first sensor 31 to detect moisture or salt concentration. For example, even when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includes the charging terminal in the power supply unit 10, the charging terminal is exposed on the case and can perform charging.

도시되지 않았으나, 또 하나의 예에서, 조난위치 발신기는 부력 케이스(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부력 케이스는 케이스(5)와 별개 케이스이거나 또는 케이스(5) 자체일 수 있다. 부력 케이스는 예컨대 부주의나 추락 시 충격 등으로 조난위치 발신기가 익수자로부터 떨어지는 경우 또는 조난위치 발신기가 구명복의 수납공간으로 이탈되는 경우 물에 잠기지 않고 수면으로 떠오를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부력 케이스는 침수시 수면으로 떠오르도록 하기 위해 조난위치 발신기의 자체 케이스이거나 또는 조난위치 발신기 제품을 커버하는 별도 케이스일 수 있다. 부력 케이스가 자체 케이스인 경우 내부에 에어포켓 등을 구비하여 부력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난위치 발신기가 수면 아래로 가라앉음에 따라 GPS를 이용한 무선 전송이 되지 않거나 수면 아래에서 해류에 의해 떠내려감에 따라 위치추적의 어려워지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another example,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may have a buoyancy case (not shown). At this time, the buoyancy case may be a separate case from the case 5 or the case 5 itself. The buoyancy case allows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to fall into the water without falling into the water when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is dropped from the submerged person due to an inadvertent impact or the like, or when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is detached to the storage space of the life belt. For example, the buoyancy case may be a self-contained case of the distress location transmitter or a separate case that covers the distress location transmitter product to float to the surface when flooded. If the buoyancy case is its own case, an air pocket or the like may be provided inside to maintain buoyancy. Accordingly, as the transmitter of the distress location sinks below the water surfac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that wireless transmission using GPS can not be performed or location tracking becomes difficult due to drifting by sea current below the water surface.

또한, 예를 들면, 조난위치 발신기는 구명복의 수납공간에 수납될 수 있다. 이때, 구명복의 수납용 공간과 조난위치 발신기를 연결하는 소정 길이의 줄이 구비될 수 있다. 조난위치 발신기가 부력 케이스를 구비하는 경우, 부력 케이스 내의 발신기 또는 부력 케이스 자체와 수납용 공간이 줄로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조난위치 발신기 또는 그를 커버하고 있는 부력 케이스는 구명복이 아닌 사용자의 신체 일부 또는 착용된 복장이나 착용 기구 등에 줄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조난위치 발신기 또는 그를 커버하는 부력 케이스를 줄로 연결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물에 빠지는 경우 부주위 또는 충격으로 사용자(익수자)로부터 이탈 시 사용자의 주위에 머물도록 하여 조난위치의 추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Further, for example,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may be housed in a storage space of the lifejackets. At this time, a string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may be provided to connect the storage space of the lifejacket and the distress location transmitter. When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is provided with a buoyancy case, the transmitter in the buoyancy case or the buoyancy case itself and the accommodation space can be connected by a line. Alternatively,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or the buoyancy case covering the buoyancy position may be connected to the body part of the user, not the lifeboat, or to the wearer's clothing, wearer, or the like. In this way, when the user falls into the water by using the line connecting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or the buoyancy case covering the user, it is possible to easily keep track of the distress position by allowing the user to stay around the user when leaving the user can do.

도 8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조난위치 발신기는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LED표시부(2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LED표시부(25)는 발신기의 동작 상태, 예컨대 SOS모드를 나타낼 수 있고, 또는 SOS모드 외에 대기모드 또는 전원 온 상태, RF통신 상태, 위성통신 상태 등의 적어도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in one example,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may further include an LED display unit 25 for displaying an operation state. The LED display unit 25 may indicate the operating state of the transmitter, for example, the SOS mode, or may represent at least some of the standby mode or power-on state, RF communication state, satellite communication state, etc. in addition to the SOS mode.

[조난위치 발신기의 동작 방법][Operation method of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모습에 따른 조난위치 발신기의 동작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이때, 조난위치 발신기의 동작 방법은 전술한 발명의 모습에 따른 조난위치 발신기의 동작에 관한 것이므로, 본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설명에서 전술한 조난위치 발신기의 실시예들 및 도 1 내지 3이 참조될 수 있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Next, a method of operating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is case, since the operation method of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i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mbodiments of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described above and FIGS. Note that redundant descriptions may be omitted.

도 4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조난위치 발신기의 동작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조난위치 발신기의 동작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조난위치 발신기의 동작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조난위치 발신기의 동작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FIG. 4 is a flow 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schematically shows an operation method of a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먼저,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동작 방법을 수행하는 조난위치 발신기를 간단히 살펴본다. 이때, 도 1 내지 3이 참조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 따른 동작 방법을 수행하는 조난위치 발신기는 전원 및 SOS 설정을 입력받는 입력부(20), 수분 또는 염분농도를 감지하는 제1 센서(31)를 구비하는 센서부(30), 조난신호를 RF통신으로 전송하는 RF통신부(50), GPS신호를 수신 처리하는 GPS수신부(40) 및 조난신호를 위성통신으로 전송하는 위성송신부(60)를 포함한다. 물론 전원부(10)도 포함하고 있다.First, a distress location transmitter that performs an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on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1 to 3 can be referred to. The distress location transmitter that performs an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one example includes an input unit 20 that receives power and SOS settings, a sensor unit 30 that includes a first sensor 31 that detects moisture or salinity, A GPS receiver 40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GPS signals, and a satellite transmitter 60 for transmitting a distress signal through satellite communication. Of course, the power supply unit 10 is also included.

이때, 도 4 내지 7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 따른 조난위치 발신기의 동작 방법은 대기 단계(S100), SOS 단계(S300, S300') 및 절전 단계(S500, S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6 내지 7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 따른 조난위치 발신기의 동작 방법은 부상상태 단계(S700, S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 단계들을 순차로 살펴본다.
4 to 7, the operation method of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according to one example may include a waiting step S100, an SOS step S300, S300 'and a power saving step S500, S500' have. 6 to 7, the operation method of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according to one example may further include a float state step (S700, S700 '). We examine each step sequentially.

대기 단계Standby phase

대기 단계(S100)에서는, 조난위치 발신기는 전원 온(on) 시 대기모드로 유지된다. 이때, GPS수신부(40)의 동작이 설정된 대기간격마다 웨이크업하며 GPS수신부(40)는 GPS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된 GPS신호에 따라 위치데이터는 저장 또는/및 갱신된다. 또한, 조난위치 발신기는 센서부(30)의 감지신호에 따른 조난여부 판단을 수행한다. 본 단계에서의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난위치 발신기의 대기모드 제어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기로 한다.
In the waiting step S100,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is kept in the standby mode at power on. At this time, the operation of the GPS receiving unit 40 wakes up every set waiting interval, and the GPS receiving unit 40 receives the GPS signal. The position data is stored and / or updated in accordance with the received GPS signal. In addition,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makes a determination as to whether or not the distress position is disturbed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unit 30. [ A more detailed description in this step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a description of the standby mode control of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OS 단계SOS step

도 4 내지 7을 참조하면, SOS 단계(S300, S300')에서는, 입력부(20)에서의 SOS 입력 시 또는 대기 단계(S100)에서 조난여부 판단에 따른 조난 판단 시 SOS모드로 전환되어 유지된다(S310). SOS 단계(S300)로의 진입, 즉 SOS모드로의 전환은 2 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는, 입력부(20)에서의 SOS 설정 입력에 의한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대기 단계(S100)에서 조난여부 판단 수행에 따라 조난으로 판단되는 경우이다. SOS 단계(S300)로의 진입 및 SOS 단계(S300)에서의 동작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난위치 발신기의 SOS모드 제어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기로 한다. Referring to FIGS. 4 to 7, in the SOS steps S300 and S300 ', when the SOS is input in the input unit 20 or when the distress determination is determined in the waiting step S100, the SOS mode is maintained and maintained S310). The entry to the SOS step S300, that is, the transition to the SOS mode, can be accomplished in two ways. One is a method of inputting an SOS setting in the input unit 20, and the other is a case in which it is determined that a distress is caused by performing a distress determination in a waiting step S100. A more detailed explanation of the entry into the SOS step S300 and the operation in the SOS step S3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escription of the SOS mode control of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SOS 단계(S300')에서의 입력부(20)의 SOS 입력에 의한 SOS 모드로의 전환은 전원 오프 모드에서 입력부(20)에서의 SOS 입력에 의한 트리거 동작으로 조난위치 발신기가 웨이크업하며 수행되거나(S313) 또는 대기 단계(S100)에서 입력부(20)에서의 SOS 입력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S312).5, the switch to the SOS mode by the SOS input of the input unit 20 at the SOS step S300 'is triggered by the SOS input at the input unit 20 in the power off mode, The position transmitter may be performed in step S313 or may be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SOS input in the input unit 20 in the standby step S100 in step S312.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SOS 단계(S300')에서의 조난 판단에 따른 SOS 모드로의 전환은 대기 단계(S100)에서 제1 센서(31)의 감지결과, 센서부(30)에 추가 구비된 가속도센서(33)의 감지결과 또는 제1 센서(31) 및 가속도센서(33)의 감지결과가 설정범위 값 이상인 경우 조난으로 판단되어 수행될 수 있다(S311).
5, the switch to the SOS mode according to the distress judgment in the SOS step S300 'may be performed by adding the sensor result to the sensor unit 30 as a result of the detection of the first sensor 31 in the waiting step S100 The detection result of the first acceleration sensor 33 or the detection result of the first sensor 31 and the acceleration sensor 33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t range value.

계속하여, 도 4 내지 7을 참조하면, SOS 단계(S300, S300')에서, 조난위치 발신기는 위치데이터를 포함한 조난신호를 생성한다(S330). RF통신부(50)가 설정된 제1 RF송신간격으로 그리고 위성송신부(60)가 제1 RF송신간격보다 긴 제1 위성송신간격으로 동작되며 조난신호가 전송된다(S330). 도시되지 않았으나, 하나의 예에서, SOS 단계(S300)는 SOS 초기단계 및 SOS 지속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OS 초기단계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조난위치 발신기는 위치데이터를 포함한 조난신호를 생성하고, RF통신부(50)는 설정된 제1 RF송신간격으로 그리고 위성송신부(60)는 제1 RF송신간격보다 긴 제1 위성송신간격으로 동작되며 조난신호 전송이 이루어진다. SOS 지속단계에서, 조난위치 발신기는 위치데이터를 포함한 조난신호를 생성하고, RF통신부(50)는 설정된 제1 RF송신간격보다 긴 제4 RF송신간격으로 그리고 위성송신부(60)는 제1 위성송신간격보다 긴 제4 위성송신간격으로 동작되며 조난신호의 전송이 수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난위치 발신기의 SOS모드에서 조난신호 생성 및 전송에 관한 설명을 참조하기로 한다. 4 to 7, in the SOS step (S300, S300 '),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generates a distress signal including position data (S330). The RF communication unit 50 is operated at a first RF transmission interval and the satellite transmission unit 60 is operated at a first satellite transmission interval longer than the first RF transmission interval and a distress signal is transmitted at step S330. Although not shown, in one example, the SOS step S300 may include an SOS initial step and an SOS persistent step. In the initial stage of the SOS,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generates the distress signal including the position data. The RF communication unit 50 transmits the first RF transmission interval and the satellite transmission unit 60 transmits the distances 1 satellite transmission interval and a distress signal transmission is performed. In the SOS sustain phase,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generates a distress signal including position data, and the RF communication unit 50 transmits a fourth RF transmission interval that is longer than the set first RF transmission interval and the satellite transmission unit 60 transmits the first satellite transmission The fourth satellite transmission interval longer than the interval and transmission of the distress signal can be performed. A mor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the description of the generation and transmission of the distress signal in the SOS mode of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게다가, 도 4 내지 7을 참조하면, SOS 단계(S300, S300')에서, GPS수신부(40)가 대기간격보다 짧은 SOS모드간격으로 웨이크업 동작되며 GPS신호를 수신하고, 이때, 위치데이터는 저장 또는/및 갱신된다(S350).
4 to 7, in the SOS steps (S300 and S300 '), the GPS receiving unit 40 wakes up in the SOS mode interval shorter than the standby interval and receives the GPS signal, And / or updated (S350).

절전 단계Power saving step

도 4 내지 7을 참조하면, 절전 단계(S500, S500')에서는, SOS 단계(S300, S300')에서 제1 센서(31)의 신호에 따른 침수판단상태 및 설정 이하의 GPS 신호세기 지속 시, 조난위치 발신기는 절전모드로 전환되어 유지된다(S510).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난위치 발신기에서 절전모드로의 전환 및 절전모드에서의 동작에 관한 설명을 참조하기로 한다. 4 to 7, in the power saving step (S500, S500 '), when the immersion determination state and the GPS signal intensity lower than the setting are sustained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first sensor 31 in the SOS steps (S300, S300'),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is switched to the power saving mode and maintained (S510). A mor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the description of the transition from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to the power saving mode and the operation in the power saving mod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이때, RF통신부(50) 및 위성송신부(60)의 동작이 오프(off)되며 SOS모드간격보다 긴 절전모드간격으로 제1 센서(31) 및 GPS수신부(40)는 웨이크업 동작한다(S530). At this time, the operations of the RF communication unit 50 and the satellite transmission unit 60 are turned off, and the first sensor 31 and the GPS receiving unit 40 perform a wakeup operation at a power saving mode interval longer than the SOS mode interval (S530) .

또한, 도 5를 참조하여, 하나의 예를 살펴보면, 절전 단계(S500')에서, 조난위치 발신기는 설정 간격으로 조난 음파신호를 생성하여 수중으로 발신할 수 있다(S550).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5, in one power saving step S500 ', the distress location transmitter may generate a distressed sound wave signal at a set interval and send it to the hand (S550).

부상상태 단계Injury status phase

다음으로, 도 6 및 7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 따른 조난위치 발신기의 동작 방법은 부상상태 단계(S700, S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아래에서 설명되지 않은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난위치 발신기에서 부상상태모드로의 전환 및 부상상태모드에서의 동작에 관한 설명을 참조하기로 한다. Next, referring to FIGS. 6 and 7, a method of operating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according to one example may further include a floating state step (S700, S700 '). Hereinafter, a mor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the description of the transition from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to the floating state mode and the operation in the floating state mod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도 6을 참조하면, 부상상태 단계(S700)에서는, 조난위치 발신기가 절전 단계(S500)에서 웨이크업된 GPS수신부(40)의 GPS 신호세기가 설정 이상이면 부상상태모드로 전환되어 유지된다(S701). 부상상태 단계(S700)에서, 센서부(30)는 오프(off)되고, 설정된 부상모드 간격으로 GPS수신부(40)는 웨이크업된다. 또한, 부상상태 단계(S700)에서, RF통신부(50)는 제1 RF송신간격보다 긴 제2 RF송신간격으로 그리고 위성송신부(60)는 제1 위성송신간격보다 긴 제2 위성송신간격으로 각각 동작하며 조난신호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S710).Referring to FIG. 6, in the float state step S700, when the GPS signal strength of the GPS receiving unit 40 waked up in the power saving step S50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t value,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is switched to the floating state mode and is maintained (S701 ). In the floating state step S700, the sensor unit 30 is turned off, and the GPS receiving unit 40 is woken up at the set floating mode interval. Further, in the floating state step S700, the RF communication unit 50 transmits the first RF transmission interval at a second RF transmission interval longer than the first RF transmission interval and the satellite transmission unit 60 at a second satellite transmission interval longer than the first satellite transmission interval And the distress signal transmission can be performed (S710).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또 하나의 예에서, 부상상태 단계(S700')는 제1 부상모드 단계(S710) 및 제2 부상모드 단계(S7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상모드 단계(S710)에서는, 부상모드 간격으로 GPS수신부(40)는 웨이크업된다. 또한, 제1 부상모드 단계(S710)에서는 제2 RF송신간격 및 제2 위성송신간격에 따라 조난신호가 전송된다. 다음으로, 제2 부상모드 단계(S730)에서는, 제1 부상모드 단계(S710)가 설정 시간을 경과한 후 전환되어 유지된다. 제2 부상모드 단계(S730)에서, 부상모드 간격보다 긴 제2 부상모드 간격으로 GPS수신부(40)는 웨이크업된다. 또한, 제2 부상모드 단계(S730)에서, RF통신부(50)는 제2 RF송신간격보다 긴 제3 RF송신간격으로 그리고 위성송신부(60)는 제2 위성송신간격보다 긴 제3 위성송신간격으로 각각 동작하며 조난신호 전송이 수행될 수 있다.
7, in another example, the floating state step S700 'may include a first floating mode step S710 and a second floating mode step S730. In the first floating mode step S710, the GPS receiving unit 40 is woken up at the floating mode intervals. In addition, in the first floating mode step S710, the distress signal is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second RF transmission interval and the second satellite transmission interval. Next, in the second floating mode step S730, the first floating mode step S710 is switched and maintained after the set time has elapsed. In the second floating mode step S730, the GPS receiving unit 40 is woken up at the second floating mode interval which is longer than the floating mode interval. Further, in the second floating mode step S730, the RF communication unit 50 transmits the third RF transmission interval longer than the second RF transmission interval and the satellite transmission unit 60 transmits the third satellite transmission interval Respectively, and distress signal transmission can be performed.

이상에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에 대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이다. 또한, 전술한 구성들의 다양한 조합에 따른 실시예들이 앞선 구체적인 설명들로부터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경, 대안, 균등물들을 포함하고 있다.
The foregoing embodiments and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Embodiments in accordance with various combinations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can also be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Accordingly,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Alternatives, and equivalent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10 : 전원부 20: 입력부
30: 센서부 31: 제1 센서
40: GPS 수신부 41: GPS 모듈
42, 56: 저잡음 증폭기 43, 57: 대역통과필터
44: 스위치 45, 53: 저역통과필터
46: 안테나 50: RF 통신부
51: RF송신모듈 52, 62: 전력증폭기
54: RF 송신안테나 55: RF수신모듈
58: RF 수신안테나 60: 위성송신부
61: 위성송신모듈 70: 메모리부
80: 음파발신부 90: 제어부
10: power supply unit 20: input unit
30: sensor part 31: first sensor
40: GPS receiver 41: GPS module
42, 56: low-noise amplifier 43, 57: band-pass filter
44: switch 45, 53: low-pass filter
46: antenna 50: RF communication unit
51: RF transmission module 52, 62: power amplifier
54: RF transmitting antenna 55: RF receiving module
58: RF receiving antenna 60: Satellite transmission unit
61: satellite transmission module 70: memory unit
80: sound wave transmitter 90:

Claims (14)

전원부, 전원 및 SOS 설정을 입력받는 입력부, 수분 또는 염분농도를 감지하는 제1 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부, 조난신호를 RF통신으로 전송하는 RF통신부, GPS신호를 수신 처리하는 GPS수신부, 상기 GPS신호로부터 산출된 위치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조난위치 발신기에 있어서,
상기 조난신호를 위성통신으로 전송하는 위성송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전원 온(on) 시 대기모드로 유지되며 상기 GPS수신부를 설정된 대기간격마다 웨이크업시켜 상기 GPS신호 수신에 따라 상기 위치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 또는 갱신 저장시키고,
상기 입력부에서의 SOS 입력 또는 상기 대기모드 중 상기 센서부의 감지신호에 따른 조난 판단 시 SOS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위치데이터를 포함한 상기 조난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조난신호가 전송되도록 상기 RF통신부를 설정된 제1 RF송신간격으로 그리고 상기 위성송신부를 상기 제1 RF송신간격보다 긴 제1 위성송신간격으로 각각 동작시키고 상기 GPS수신부를 상기 대기간격보다 짧은 SOS모드간격으로 웨이크업 동작시켜 상기 위치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 또는 갱신시키고,
상기 SOS모드 중 상기 제1 센서의 신호에 따른 침수판단상태 및 설정 이하의 GPS 신호세기의 지속 시 절전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RF통신부 및 상기 위성송신부의 동작을 오프(off)시키고 상기 SOS모드간격보다 긴 절전모드간격으로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GPS수신부를 웨이크업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난위치 발신기.
A sensor section including a power source section, an input section for receiving power and an SOS setting, a first sensor for sensing water or saline concentration, an RF communication section for transmitting a distress signal through RF communication, a GPS receiving section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a GPS signal, A disturbance position transmitter including a memory unit for storing position data calculated from the disturbance position transmitter,
Further comprising a satellite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distress signal to satellite communication,
Wherein,
The GPS receiver is kept in a standby mode at power on and wakes up the GPS receiver every predetermined waiting interval to store or update the position data in the memory unit according to the GPS signal reception,
Wherein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switch to an SOS mode when a SOS input at the input unit or a distress signal is detected according to a sensing signal of the sensor unit during the standby mode to generate the distress signal including the position data, Operating the GPS receiver at an RF transmission interval and at a first satellite transmission interval that is longer than the first RF transmission interval and waking up the GPS receiver at an SOS mode interval shorter than the standby interval, Or < / RTI >
When the flood determination state and the GPS signal intensity lower than the set GPS signal intensity are maintained, the operation of the RF communication unit and the satellite transmission unit is turned off and the SOS mode interval Wherein the first sensor and the GPS receiver are woken up in a long power saving mode interval.
청구항 1에서,
상기 조난위치 발신기는 조난 음파신호를 생성하여 수중 출력하는 음파발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전모드에서 설정 간격으로 상기 음파발신부를 동작시켜 상기 조난 음파신호를 수중으로 발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난위치 발신기.
In claim 1,
Wherein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further comprises a sound wave transmitter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distressed sound wave signal,
Wherein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sound wave transmitting unit at a set interval in the power saving mode to send the distressed sound wave signal to the hand.
청구항 1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전모드에서 웨이크업된 상기 GPS수신부의 상기 GPS 신호세기가 설정 이상이면 부상상태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부상상태모드에서 상기 센서부를 오프(off)시키고 설정된 부상모드 간격으로 상기 GPS수신부를 웨이크업 동작시키고 상기 조난신호가 전송되도록 상기 RF통신부를 상기 제1 RF송신간격보다 긴 제2 RF송신간격으로 그리고 상기 위성송신부를 상기 제1 위성송신간격보다 긴 제2 위성송신간격으로 각각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난위치 발신기.
In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switches to a floating state mode when the GPS signal strength of the GPS receiving unit woken up in the power saving mod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GPS receiver is woken up at a set floating mode interval in the floating state mode and the RF communication unit is operated at a second RF transmission interval longer than the first RF transmission interval so that the distress signal is transmitted And operating the satellite transmitter at a second satellite transmission interval that is longer than the first satellite transmission interval.
청구항 3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상상태모드에서 상기 제2 RF송신간격 및 상기 제2 위성송신간격에 따른 상기 조난신호의 전송 기간을 제1 부상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제1 부상모드가 설정 시간을 경과한 경우 제2 부상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부상모드 간격보다 긴 제2 부상모드 간격으로 상기 GPS수신부를 웨이크업 동작시키고 상기 조난신호가 전송되도록 상기 RF통신부를 상기 제2 RF송신간격보다 긴 제3 RF송신간격으로 그리고 상기 위성송신부를 상기 제2 위성송신간격보다 긴 제3 위성송신간격으로 각각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난위치 발신기.
In claim 3,
Wherein,
Setting the transmission period of the distress signal according to the second RF transmission interval and the second satellite transmission interval in the floating state mode to a first floating mode,
When the first floating mode is switched to the second floating mode when the set time has elapsed and the GPS receiving unit is woken up at a second floating mode interval that is longer than the floating mode interval and the RF communication unit A third RF transmission interval longer than the second RF transmission interval and a third satellite transmission interval longer than the second satellite transmission interval, respectively.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제어부는 전원 오프 모드에서 상기 입력부에서의 상기 SOS 입력에 의한 트리거 동작으로 웨이크업하며 상기 SOS 모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난위치 발신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control unit wakes up and switches to the SOS mode by a trigger operation by the SOS input at the input unit in a power off mode.
청구항 1 내지 4 중의 어느 하나에서,
상기 센서부는 가속도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기모드 중 상기 제1 센서의 감지결과, 상기 가속도센서의 감지결과 또는 상기 제1 센서 및 가속도센서의 감지결과가 설정범위 값 이상인 경우 조난으로 판단하여 상기 SOS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SOS 모드로의 전환 후 상기 입력부에서 SOS 해제 입력에 따른 SOS 모드 해제 전까지 상기 가속도센서의 동작을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난위치 발신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sensor unit may further include an acceleration sensor,
Wherein,
Wherein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switch to the SOS mode whe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first sensor, the detection result of the acceleration sensor, or the detection result of the first sensor and the acceleration senso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t range value,
And the operation of the acceleration sensor is turned off until the SOS mode is released according to the SOS release input in the input unit after the switch to the SOS mode.
청구항 1 내지 4 중의 어느 하나에서,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위치데이터 외에 설정등록된 등록정보를 더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데이터 외에 상기 등록정보 또는 상기 등록정보와 조난시간정보를 더 포함하는 상기 조난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난위치 발신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memory unit further stores registration information registered in addition to the location data,
Wherein the controller generates the distress signal further including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or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and the distress time information in addition to the position data.
청구항 1 내지 4 중의 어느 하나에서,
상기 RF통신부는 RF통신으로 외부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외부 신호는 상기 RF통신부를 통해 송신된 상기 조난신호에 대한 응답신호이거나 외부의 조난수신신호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신호가 상기 응답 신호인 경우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되 상기 조난신호에 포함되지 않은 추가 정보를 포함하는 추가조난신호를 생성하여 송신시키고 상기 외부 신호가 상기 조난수신신호인 경우 상기 조난수신신호를 상기 RF통신부를 통해 브로드캐스팅시키며 무선 라우팅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추가 정보는 설정등록된 등록정보, 조난 후 이동정보, 조난시간정보, 조난판단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난위치 발신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RF communication unit receives an external signal through RF communication,
Wherein the external signal is a response signal to the distress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RF communication unit or an external distress signal,
Wherein the control unit generates and transmits an additional distress signal including additional information that is stored in the memory unit and is not included in the distress signal when the external signal is the response signal and transmits the distress signal when the external signal is the distress signal Broadcasts a received signal through the RF communication unit, controls the wireless routing function to be performed,
Wherein the additional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a part of set registration information, post-distress movement information, distress time information, and distress determination information.
청구항 1 내지 4 중의 어느 하나에서,
상기 RF통신부는 능동형 RFID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난위치 발신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RF communication unit includes an active RFID module.
전원 및 SOS 설정을 입력받는 입력부, 수분 또는 염분농도를 감지하는 제1 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부, 조난신호를 RF통신으로 전송하는 RF통신부, GPS신호를 수신 처리하는 GPS수신부 및 상기 조난신호를 위성통신으로 전송하는 위성송신부를 포함하는 조난위치 발신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전원 온(on) 시 대기모드로 유지되고, 상기 GPS수신부의 동작이 설정된 대기간격마다 웨이크업되고 수신된 상기 GPS신호에 따라 위치데이터가 저장 또는 갱신되고 상기 센서부의 감지신호에 따른 조난여부 판단이 수행되는 대기 단계;
상기 입력부에서의 SOS 입력 시 또는 상기 대기 단계에서 상기 조난여부 판단에 따른 조난 판단 시 SOS모드로 전환되어 유지되고, 상기 위치데이터를 포함한 상기 조난신호가 생성되고 상기 RF통신부가 설정된 제1 RF송신간격으로 그리고 상기 위성송신부가 상기 제1 RF송신간격보다 긴 제1 위성송신간격으로 동작되며 상기 조난신호가 전송되고 상기 GPS수신부가 상기 대기간격보다 짧은 SOS모드간격으로 웨이크업 동작되어 상기 위치데이터가 저장 또는 갱신되는 SOS 단계; 및
상기 SOS 단계에서 상기 제1 센서의 신호에 따른 침수판단상태 및 설정 이하의 GPS 신호세기 지속 시 절전모드로 전환되어 유지되고, 상기 RF통신부 및 상기 위성송신부의 동작이 오프(off)되며 상기 SOS모드간격보다 긴 절전모드간격으로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GPS수신부가 웨이크업 동작되는 절전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난위치 발신기의 동작 방법.
An input unit for receiving power and an SOS setting, a sensor unit having a first sensor for detecting water or salinity, an RF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 distress signal through RF communication, a GPS receiver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the GPS signal, A method of operating a distress location transmitter including a satellite transmitter for transmission over a communication,
The GPS receiver is maintained in a standby mode at the time of power on and the operation of the GPS receiver is woken up at the set waiting interval and the position data is stored or updated according to the received GPS signal, A standby stage to be performed;
Wherein the disturbance signal including the position data is generated and the RF communication unit is switched to the first RF transmission interval set in the SOS mode when the SOS is input at the input unit or at the standby stage, And the satellite transmitter is operated at a first satellite transmission interval that is longer than the first RF transmission interval and the distress signal is transmitted and the GPS receiver is woken up in an SOS mode interval shorter than the standby interval, Or an SOS step to be updated; And
In the SOS step, when the immersion determination state and the GPS signal intensity lower than the set GPS signal intensity continue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first sensor, the power saving mode is maintained and the operations of the RF communication unit and the satellite transmission unit are turned off, Wherein the first sensor and the GPS receiver are wake-up in a power-saving mode interval longer than the interval.
청구항 10에서,
상기 절전 단계에서 상기 조난위치 발신기는 설정 간격으로 조난 음파신호를 생성하여 수중으로 발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난위치 발신기의 동작 방법.
In claim 10,
Wherein the distress location transmitter generates the distressed sound signal at a set interval and sends the distressed sound signal to the receiver in the power saving step.
청구항 10에서,
상기 동작 방법은, 상기 절전 단계에서 웨이크업된 상기 GPS수신부의 상기 GPS 신호세기가 설정 이상이면 부상상태모드로 전환되어 유지되고, 상기 센서부는 오프(off)되고 설정된 부상모드 간격으로 상기 GPS수신부가 웨이크업되고 상기 RF통신부는 상기 제1 RF송신간격보다 긴 제2 RF송신간격으로 그리고 상기 위성송신부는 상기 제1 위성송신간격보다 긴 제2 위성송신간격으로 각각 동작하며 상기 조난신호의 전송이 이루어지는 부상상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난위치 발신기의 동작 방법.
In claim 10,
The operation method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GPS signal strength of the GPS receiving unit woken up in the power saving step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portable terminal is switched to the floating state mode and is maintained, and the sensor unit is turned off, Wherein the RF communication unit is operated at a second RF transmission interval longer than the first RF transmission interval and the satellite transmission unit is operated at a second satellite transmission interval longer than the first satellite transmission interval and the transmission of the distress signal is performed Further comprising a float state step. ≪ Desc / Clms Page number 17 >
청구항 12에서,
상기 부상상태 단계는,
상기 부상모드 간격으로 상기 GPS수신부가 웨이크업되고 상기 제2 RF송신간격 및 상기 제2 위성송신간격에 따라 상기 조난신호가 전송되는 제1 부상모드 단계, 및
상기 제1 부상모드 단계가 설정 시간을 경과한 후 전환되어, 상기 부상모드 간격보다 긴 제2 부상모드 간격으로 상기 GPS수신부가 웨이크업되고 상기 RF통신부는 상기 제2 RF송신간격보다 긴 제3 RF송신간격으로 그리고 상기 위성송신부는 상기 제2 위성송신간격보다 긴 제3 위성송신간격으로 각각 동작하며 상기 조난신호의 전송이 수행되는 제2 부상모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난위치 발신기의 동작 방법.
In claim 12,
Wherein said floating state step comprises:
A first floating mode step in which the GPS receiving unit is woken up at the floating mode interval and the distress signal is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second RF transmission interval and the second satellite transmission interval;
The GPS receiver is woken up at a second floating mode interval that is longer than the floating mode interval and the RF communication unit is switched to the third RF mode, which is longer than the second RF transmission interval, And a second floating mode operation in which the satellite transmitter operates at a third transmission interval that is longer than the second satellite transmission interval and transmission of the distress signal is performed. Way.
청구항 10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SOS 단계에서의 상기 입력부의 SOS 입력에 의한 상기 SOS 모드로의 전환은 전원 오프 모드에서 상기 입력부에서의 SOS 입력에 의한 트리거 동작으로 상기 조난위치 발신기가 웨이크업하며 수행되거나 또는 상기 대기 단계에서 상기 입력부에서의 SOS 입력에 따라 수행되고,
상기 SOS 단계에서의 상기 조난 판단에 따른 상기 SOS 모드로의 전환은 상기 대기 단계에서 상기 제1 센서의 감지결과, 상기 센서부에 추가 구비된 가속도센서의 감지결과 또는 상기 제1 센서 및 가속도센서의 감지결과가 설정범위 값 이상인 경우 조난으로 판단됨에 따라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난위치 발신기의 동작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to 13,
The switching to the SOS mode by the SOS input of the input unit in the SOS step may be performed by triggering the SOS input at the input unit in the power off mode so that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is woken up, I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SOS input at the input section,
The switching to the SOS mode according to the distress determination in the SOS step may include switching the sensing mode to the SOS mode based on sensing results of the first sensor, And when the detection resul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t range value, the disturbance is performed.
KR1020160061125A 2016-05-18 2016-05-18 An emergency position transmitt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8156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125A KR101815643B1 (en) 2016-05-18 2016-05-18 An emergency position transmitt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GB1613249.0A GB2550623B (en) 2016-05-18 2016-08-01 An emergency position transmitt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125A KR101815643B1 (en) 2016-05-18 2016-05-18 An emergency position transmitt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251A true KR20170130251A (en) 2017-11-28
KR101815643B1 KR101815643B1 (en) 2018-02-21

Family

ID=60811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1125A KR101815643B1 (en) 2016-05-18 2016-05-18 An emergency position transmitt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15643B1 (en)
GB (1) GB2550623B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3464B1 (en) * 2017-07-27 2019-02-2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Water ingress detector for transmitting distress signal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istress signal using the same
KR20190078271A (en) * 2017-12-26 2019-07-04 전자부품연구원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position of object under water
CN111028449A (en) * 2019-11-21 2020-04-17 西安微城信息科技有限公司 Alarm control method and system based on mobile network
KR20220082711A (en) * 2020-12-10 2022-06-17 주식회사 리텍 System and method for emergency rescue location tracking
KR20230092411A (en) * 2021-12-17 2023-06-26 주식회사 지텔글로벌 A maritime distress identification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71682A1 (en) * 2018-12-17 2020-06-24 SOS Ltd. Man over board detection system
CN114531744B (en) * 2022-01-28 2023-12-15 西安烽火电子科技有限责任公司 Distress lifesaving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lifesaving search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18889B2 (en) * 1998-07-06 2003-02-11 Dan Schlager Voice-activated personal alarm
US6222484B1 (en) * 1999-06-16 2001-04-24 Ronald L. Seiple Personal emergency location system
US6439941B2 (en) * 1999-11-15 2002-08-27 Mcclure Richard J. Automated fail-safe sea rescue flotation system
KR100716518B1 (en) 2006-09-20 2007-05-09 주식회사 알에프테크윈 Wireless distress signal device with gps and wireless rescue system thereof
KR101135148B1 (en) 2010-12-06 2012-04-16 주식회사 라이프가드 An emergency position transmitter with which high floatable lifesaving clothes are equipped, and an accident rescue system using it
KR101356022B1 (en) 2012-07-19 2014-01-29 에이피위성통신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istress position using satellite communicatio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3464B1 (en) * 2017-07-27 2019-02-2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Water ingress detector for transmitting distress signal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istress signal using the same
KR20190078271A (en) * 2017-12-26 2019-07-04 전자부품연구원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position of object under water
CN111028449A (en) * 2019-11-21 2020-04-17 西安微城信息科技有限公司 Alarm control method and system based on mobile network
KR20220082711A (en) * 2020-12-10 2022-06-17 주식회사 리텍 System and method for emergency rescue location tracking
KR20230092411A (en) * 2021-12-17 2023-06-26 주식회사 지텔글로벌 A maritime distress identif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550623B (en) 2020-04-15
GB201613249D0 (en) 2016-09-14
GB2550623A (en) 2017-11-29
KR101815643B1 (en) 201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5643B1 (en) An emergency position transmitt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135148B1 (en) An emergency position transmitter with which high floatable lifesaving clothes are equipped, and an accident rescue system using it
RU2389036C2 (en) Rescue system for life jacket
US6545606B2 (en) Device and method for alerting to the need to recover something, identifying it, and determining its location for purposes of recovery
EP3423867B1 (en) A tracking system and method
AU2006212052B2 (en) Signalling and localization device for an individual in the sea and method for use thereof
US6388617B1 (en) Radio beacon with a GPS interface for automatically activated EPIRBs
RU2566830C2 (en) Passive restraint system and equipment providing passive restraint system on vessels for situations "man overboard"
CN102956089B (en) A kind ofly search and rescue terminal and the rescue method waterborne based on this search and rescue terminal
KR20170111523A (en) A device of generating distress signals
KR20180032848A (en) Marine Search And Rescue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Using Personal Location Transponder Which is Based On V-PASS
KR102055583B1 (en) Monitoring System for Marine Distress Signal Based on Buoy type Smart Point
JP2020037353A (en) Search system
KR101389452B1 (en) Floting position pursuit apparatus of live jacket
CN202929801U (en) Search and rescue terminal
WO2003072429A1 (en) Life saving system
CN102222400A (en) Alarm instrument for omnibearing emergent searching and rescuing of endangered human bodies
US9666055B2 (en) Distress signal transmitters
CN207571311U (en) A kind of water life-saving localizing emission terminal receives terminal and system
KR100757987B1 (en) Distress signal transmission device
JP2000103391A (en) Lifesaving buoy
US20020158795A1 (en) Electronic distress call and position finding system for rescueing distressed people
KR200394768Y1 (en) Distress signal transmission device
KR101835351B1 (en) Emergency situation detecting system using a buoyancy suit
JP2003040193A (en) Drowning rescue suppor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