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5148B1 - An emergency position transmitter with which high floatable lifesaving clothes are equipped, and an accident rescue system using it - Google Patents

An emergency position transmitter with which high floatable lifesaving clothes are equipped, and an accident rescue system using 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5148B1
KR101135148B1 KR1020100123203A KR20100123203A KR101135148B1 KR 101135148 B1 KR101135148 B1 KR 101135148B1 KR 1020100123203 A KR1020100123203 A KR 1020100123203A KR 20100123203 A KR20100123203 A KR 20100123203A KR 101135148 B1 KR101135148 B1 KR 101135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ess
signal
position transmitter
unit
high buoya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32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병도
주세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이프가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이프가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이프가드
Priority to KR1020100123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514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5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51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9/17Emergency appl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2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waves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Transmitt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 distress position signal transmitter equipped in a high-buoyant life jacket and a distress rescue system using the same are provided to transmit long time distress signals. CONSTITUTION: A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comprises a sensor unit(120), a setting input part(130), a GPS receiver(140), an RF communication unit(150), a memory unit(160), and a controller(170). The sensor unit senses moisture or salt concentration. The setting input part inputs the power on/off setting and SOS on/OFF setting. The GPS receiver receives GPS satellite signals and produces position coordinates. The RF communication unit wirelessly transmits the distress signal to the outside and receives radio signals from the outside. The memory unit stores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and the position coordinates calculated from the GPS receiver.

Description

고부력 구명복에 구비되는 조난위치 발신기 및 그를 이용한 조난구조 시스템{AN EMERGENCY POSITION TRANSMITTER WITH WHICH HIGH FLOATABLE LIFESAVING CLOTHES ARE EQUIPPED, AND AN ACCIDENT RESCUE SYSTEM USING IT}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equipped in high buoyancy life suit and distress rescue system using same {AN EMERGENCY POSITION TRANSMITTER WITH WHICH HIGH FLOATABLE LIFESAVING CLOTHES ARE EQUIPPED, AND AN ACCIDENT RESCUE SYSTEM USING IT}

본 발명은 고부력 구명복에 구비되는 조난위치 발신기 및 그를 이용한 조난구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provided in a high buoyancy life suit and a distress rescue system using the same.

현재 어선에는 승선원수에 맞게 구명동의(라이프자켓)를 비치하는 것이 의무화되어 있다. 구명동의를 착용하였더라도 조난자를 신속히 구조하지 않을 경우 저체온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빠르게 해난사고 사실을 인지하여 신속히 출동하는 것이 해난구조의 가장 중요한 포인트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통용되는 선박용 구명동의가 두껍고 활동에 제약이 많아 조업에 지장을 주기 때문에, 어업인은 평상시 구명동의를 착용하지 못하고 있으며, IT기술을 이용한 재난구조체계가 구축되어 있지 않으므로 국내 해양사고는 매년 증가추세에 있다. Currently fishing boats are required to have life jackets (life jackets) for the number of crew. Even if you wear lifejackets, if you do not rescue the distress quickly, it may lead to hypothermia accidents, so it is the most important point of the rescue to quickly recognize the distress accident. However, since the current lifeboat agreements for ships are thick and limited in activity, fishing companies are not usually able to wear lifejackets and there is no disaster rescue system using IT technology. There is a trend.

해상에서 조난을 당한 경우, 특히, 야간에는 탐조등의 식별거리가 수백미터로 짧고 악천후 또는 해류이동으로 인해 조난자의 위치파악이 어려워서 익사사고에 대한 구조율이나 실종자 수색에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In the case of distress at sea, especially at night, the distance of searchlights is several hundred meters, and it is difficult to find the location of the distress due to bad weather or sea current movement.

해난 구조 등에서 위치파악의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GPS를 이용한 위치추적 가능한 개인용 조난구조 장치에 대한 개발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difficulties of location detection in sea rescue, there have been many developments of personal distress rescue devices that can be tracked using GPS.

그러나 현재 통상의 GPS 수신시스템은 수초 간격으로 위성신호를 수신하고 있어, 조난구조 단말기에서 GPS 수신대기전력이 상당히 많이 소요되고 있다.However, the current GPS receiver system receives satellite signals every few seconds, so the GPS receiver standby power is consumed considerably in the distress rescue terminal.

그에 따라, 야간에 위치파악이 어렵거나 해류이동에 따라 조난구조시까지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경우에는 조난구조 단말기가 충분한 배터리 잔량을 갖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location is difficult at night or when a long time is required for distress rescue due to current movement, the distress rescue terminal may not have a sufficient battery level.

또한, 조난자가 물속에 잠기는 경우에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무선신호가 전송되지 않아 조난자의 위치파악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distress is submerged in wat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distress because the radio signal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is not transmitted.

또한, 종래의 선박용 구명동의가 두껍고 활동에 제약이 많아 조업에 지장을 주었기 때문에 구명동의 미착용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게 되었다.
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lifeboats for ships are thick and limited in activity, the unloading accidents of the lifejackets frequently occur.

본 발명은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GPS 수신대기전력의 소모를 획기적으로 줄여 장시간 조난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고부력 구명복에 구비되는 조난위치 발신기 및 그를 이용한 조난구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at least one problem described above, to provide a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and a distress rescue system using the same high buoyancy life suit that can transmit a distress signal for a long time by dramatically reducing the consumption of GPS reception standby power .

또한, 하나의 모습에 따라, 조난자가 물속에 잠기는 경우에 위치정보를 정확하게 전송할 수 있는 고부력 구명복에 구비되는 조난위치 발신기 및 그를 이용한 조난구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aspect, to provide a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and a distress rescue system using the high buoyancy life suit that can accurately transmit the position information when the distress is submerged in the water.

게다가, 하나의 모습에 따라, 슬림한 고부력 구명복에 조난위치 발신기를 장착시킴으로써, 조업활동에 지장이 없고 착용이 편리한 고부력 구명복에 구비되는 조난위치 발신기 및 그를 이용한 조난구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aspect, by providing a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in a slim high buoyancy life suit, to provide a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and distress rescue system using the high buoyancy life suit that is easy to wear and not easy to operate.

아울러, 다음의 과제해결수단으로 제시될 혁신적인 고부력 구명복에 구비되는 조난위치 발신기 및 그를 이용한 조난구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and distress rescue system using the innovative high buoyancy life suit to be presented as the next problem solving means.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모습에 따라, 수납용 공간이 형성된 고부력 구명복에 구비되는 조난위치 발신기에 있어서, 조난위치 발신기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수분 또는 염분농도를 감지하는 센서부; 전원 온/오프 설정 및 SOS 온/오프 설정을 입력하는 설정입력부; GPS 위성신호를 수신하여 위치좌표를 산출하는 GPS 수신부; 조난신호를 외부로 무선 전송하고, 외부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RF 통신부; 설정 등록정보 및 상기 GPS 수신부로부터 산출된 위치좌표를 포함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각 구성들을 제어하고, 센서부에서 감지된 결과값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 또는 초과하는 경우 또는 설정입력부로부터의 SOS 온 설정 입력되는 경우 SOS 모드로 판단하여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제어부는 SOS 모드 판단시 전원부로부터 GPS 수신부로의 전원공급을 제어하여 미리 설정된 제1 간격으로 GPS 수신부에서 위성신호를 수신하여 위치좌표를 산출하도록 제어하며 산출된 위치좌표와 메모리부에 저장된 위치좌표 중 최신의 위치좌표 및 메모리부에 저장된 설정 등록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조난신호를 생성하여 RF 통신부를 통해 미리 설정된 제2 간격으로 무선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또한, SOS 모드가 아닌 경우 전원부로부터 GPS 수신부로의 전원공급을 제어하여 SOS 모드 판단시의 제1 간격보다 긴 미리 설정된 제3 간격으로 GPS 수신부에서 위성신호를 수신하여 위치좌표를 산출하여 산출된 위치좌표와 메모리부에 저장된 위치좌표 중 최신 위치좌표 및 메모리부에 저장된 설정 등록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생성하여 RF 통신부를 통해 제2 간격보다 긴 미리 설정된 제4 간격으로 무선 전송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GPS 수신부의 작동을 중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부력 구명복에 구비되는 조난위치 발신기가 제안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provided in a high buoyancy life suit with a space for receiving,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Sensor unit for detecting water or salt concentration; A setting input unit for inputting power on / off setting and SOS on / off setting; A GPS receiver for receiving a GPS satellite signal and calculating a position coordinate; An RF communication unit wirelessly transmitting a distress signal to the outside and receiving a wireless signal from the outside; A memory unit for storing data including setting registration information and position coordinates calculated from the GPS receiver;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respective components, and determining and controlling the SOS mode when a result value detected by the sensor unit is greater than or exceeds a preset value or when an SOS on setting input from the setting input unit is inpu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power supply from the power supply unit to the GPS receiver in determining the SOS mode, and receives the satellite signal at the GPS receiver at a first predetermined interval to calculate the position coordinates. Generating a distress signal including the latest position coordinates stored in the unit and at least a part of the setting properties stored in the memory unit, and controlling to transmit the radio signal at the second interval set in advance through the RF communication unit. If not, control the power supply from the power supply to the GPS receiver to receive the satellite signal at the GPS receiver at a preset third interval longer than the first interval when determining the SOS mode, calculate the position coordinates and calculate the position coordinates At least a part of the stored position coordinates, the latest position coordinates and the setting properties stored in the memory unit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provided in the high buoyancy rescue suit,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control to wirelessly transmit at a predetermined fourth interval longer than the second interval through the RF communication unit, or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GPS receiver. Is suggested.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모습에 따라, 제어부는 GPS 수신부에서 수신하여 산출된 위치좌표와 메모리부에 저장된 최신 위치좌표 사이에 좌표변화가 없거나 소정의 기준 이하인 경우 제1 간격보다 긴 간격으로 또는 제3 간격보다 긴 간격으로 GPS 수신부에서 위성신호를 수신하여 위치좌표를 산출하도록 전원 공급을 제어하고, 산출된 위치좌표를 포함하는 조난신호 또는 위치정보를 제2 또는 제4 간격보다 긴 간격으로 무선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is a distance longer than the first interval when there is no coordinate change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between the position coordinates received by the GPS receiver and the latest position coordinates stored in the memory unit Control the power supply to receive the satellite signal at the GPS receiver at intervals longer than or equal to the third interval to calculate the position coordinates, and dispose the distress signal or the posi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calculated position coordinates longer than the second or fourth interval.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to transmit wirelessly.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모습에 따라, 제어부는 SOS 모드 판단시 제1 간격에서 점차 길어지는 간격으로 GPS 수신부에서 위성신호를 수신하여 위치좌표를 산출하도록 전원 공급을 제어하고, 산출된 위치좌표를 포함하는 조난신호를 제2 간격에서 점차 길어지는 간격으로 무선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preferably,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power supply to receive the satellite signal at the GPS receiver to calculate the position coordinates at intervals that gradually increase from the first interval when determining the SOS mode, And controlling the distress signal including the calculated position coordinates to be wirelessly transmitted at intervals that gradually increase from the second interval.

바람직하게는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의 모습에 따라, 조난위치 발신기는 조난신호에 상응하는 음파신호를 발신하는 음파발신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제어부는 SOS 모드 판단시 조난신호에 상응하는 음파신호를 생성하여 음파발신부를 통해 미리 설정된 제5 간격으로 발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further comprises a sound wave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a sound wav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istress signal, the control unit in the SOS mode determination sound wav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istress signal To generate and control to transmit at a predetermined fifth interval through the sound wave transmitter.

게다가, 바람직하게는, 제어부는 SOS 모드 판단시 음파발신부에서 미리 설정된 상어퇴치 음파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음파발신부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제6 간격으로 상어퇴지 음파신호를 발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preferably,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sound wave generator to generate a predetermined shark extinguishing sound wave signal when determining the SOS mode, and the sound wave transmitter transmits the shark extinguishing sound wave signal at a sixth predetermined interv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It features.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모습에 따라, 조난위치 발신기는 RF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다른 조난위치 발신기로부터의 조난신호를 중계하며 무선 애드혹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무선 라우팅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Preferably,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further comprises a wireless routing unit for relaying distress signals from other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s received through the RF communication unit and forming a wireless ad hoc network.

바람직하게는, 또한,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모습에 따라, 전원 오프 상태에서, 설정입력부는 SOS 온 설정 버튼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길게 눌러진 경우 전원 인가 명령을 발생시키거나, 전원 오프 상태에서, 센서부 및 제어부에 최소 전원이 공급되고 센서부에서 수분 또는 염분농도가 감지된 경우 제어부는 전원 인가 결정하고, 제어부는 전원 인가 명령 및 SOS 온 설정에 따라, 또는 전원 인가 결정 및 감지된 결과값의 미리 설정된 값 이상 또는 초과 여부에 따라 SOS 모드로 판단하여 제어한다.
Preferably,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ower-off state, the setting input unit generates a power-up command when the SOS on setting button is press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or in the power-off state, When the minimum power is supplied to the sensor unit and the control unit, and the water or salt concentration is detected by the sensor unit,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power supply, and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power supply according to the power supply command and the SOS on setting, It determines and controls the SOS mode according to whether or not a predetermined value is exceeded or exceeded.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모습에 따라, GPS 수신부에서 GPS 위성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제어부는 SOS 모드 판단시 현재 시간과 메모리부에 저장된 설정 등록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조난신호, 또는 RF 통신부에서 수신된 외부 서버시스템으로부터의 신호에 대한 회신정보와 메모리부에 저장된 설정 등록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조난신호를 생성하여 RF 통신부를 통해 무선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SOS 모드가 아닌 경우 위치정보의 무선 전송시, 현재 시간과 메모리부에 저장된 설정 등록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위치정보, 또는 RF 통신부에서 수신된 외부 서버시스템으로부터의 신호에 대한 회신정보와 메모리부에 저장된 설정 등록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생성하여 RF 통신부를 통해 무선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Also preferably,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GPS receiver does not receive the GPS satellite signal, the controller includes a distress including at least part of the current time and setting regist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when determining the SOS mode. A signal, or a distress signal including at least a part of reply information to a signal from an external server system received by the RF communication unit and setting properties stored in the memory unit is generated and controlled to wirelessly transmit through the RF communication unit. If not, the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current time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etting regist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during the wireless transmission of the location information, or the reply information for the signal from the external server system received by the RF communication unit and the setting stored in the memory unit Generate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and wirelessly transmit it through the RF communication unit And controls so as to.

게다가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하나의 모습에 따라, 조난위치 발신기는 부력구조 케이스를 구비하고, 부력구조 케이스의 내부 또는 외부에 고부력 구명복의 수납용 공간과 조난위치 발신기를 연결하는 견고한 소정 길이의 줄이 구비되어 있다.
Further preferably,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has a buoyancy structure case, and has a rigid predetermined length for connecting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and the storage space of the high buoyancy life suit inside or outside the buoyancy structure case. A string is provided.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모습에 따라, 제어부는 전원 온 상태에서 RF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외부 신고소의 주장치로부터의 주기적 수신전계강도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의 범위에서 점차 작아지는 경우 출항 신고 모드로, 점차 커지는 경우 입항 신고 모드로 판단하고, 출항 신고 모드에서 수신전계강도가 미리 설정된 값 아래로 떨어질 때까지 또는 외부 신고소의 주장치로부터 출항신고 완료에 상응하는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그리고 입항 신고 모드에서 외부 신고소의 주장치로부터 입항신고 완료에 상응하는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무선 전송하고 그 후 출항 또는 입항 신고 모드가 해제되도록 제어한다.Preferably,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is the departure report mode when the periodic received electric field strength from the main device of the external declaration station received through the RF communication unit in the power-on gradually decreases in the range above a predetermined value In case of gradual increase, it is judged as the arrival report mode, until the received electric field strength falls below the preset value in the departure report mode or until th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mpletion of the departure report is received from the main device of the external declaration station and the arrival report mode. In the system, the mobile station periodically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until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mpletion of the arrival report is received from the main device of the external reporting station, and then controls the departure or arrival report mode to be released.

한편,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모습에 따라, 조난위치 발신기의 설정입력부는 출입항신고 설정/해제 버튼을 구비하고, 제어부는 설정입력부에서의 출입항신고 설정 입력에 따라 출입항 모드로 판단하고, 출입항 모드에서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무선 전송하고, 설정입력부에서의 출입항신고 해제 입력에 따라 또는 외부 신고소로부터의 출입항 신고 완료에 상응하는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출입항 모드가 아닌 상태로 판단하여 제어한다.
On the other hand, preferably,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tting input unit of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has an entry / exit setting / release button, and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entry / exit mode according to the entry / exit setting setting input from the setting input unit. In the access port mode, wirelessly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periodically and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not in the access port mode according to the access report release input from the setting input unit or th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mpletion of the access port report from the external report station. .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모습에 따라, 고부력 구명복의 수납용 공간은 상부 일측에 형성되며 조난위치 발신기를 수납하고, 고부력 구명복은 부력 충전재로서 저밀도 폴리에틸렌 발포수지로 제조된 부력 충전재를 구비하고, 부력 충전재는 시트형으로 다중 겹으로 겹쳐 형성되어 있다.Also preferably,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space of the high buoyancy life sui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ide and stores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the high buoyancy life suit is a buoyancy filler made of low density polyethylene foam resin as a buoyancy filler The buoyancy filler is provided in a sheet form and overlapped in multiple layers.

또한, 더 바람직하게는, 다중 겹으로 겹쳐진 각각의 시트형 충전재의 두께는 0.5 ~ 1 mm이다.
Further, more preferably, the thickness of each sheet-like filler stacked in multiple layers is 0.5 to 1 mm.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모습에 따라, 고부력 구명복에 구비되는 조난위치 발신기를 이용한 조난구조 시스템에 있어서, 앞선 실시예 중의 하나에 따른 고부력 구명복에 구비되는 조난위치 발신기; 및 조난구조 장비로부터의 위치정보 또는 조난신호와 위치정보를 무선 수신하여 분석하고 분석된 정보를 전자해도상에 표시하며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조난신호 수신시 알람 및 조난신호의 위치 인근 경비정 또는 선박으로의 구조요청신호를 발생시키는 서버시스템;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부력 구명복에 구비되는 조난위치 발신기를 이용한 조난구조 시스템이 제안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istress rescue system using a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provided in a high buoyancy life suit, a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provided in the high buoyancy life suit according to one of the preceding embodiments; And receive and analyze the location information or distress signal and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distress rescue equipment wirelessly, display the analyzed information on the electronic chart and perform monitoring, and when the distress signal is received, the alarm and distress signal to the nearby guard boat or ship A server system for generating a structure request signal of a; A distress rescue system using a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provided in a high buoyancy life suit comprising a is proposed.

바람직하게는, 고부력 구명복에 구비되는 조난위치 발신기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서버시스템으로 중계하는 중계단말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Preferably, it further comprises a relay terminal for receiving a radio signal from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provided in the high buoyancy life suit to relay to the server system.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모습에 따라, 고부력 구명복에 구비되는 조난위치 발신기를 이용한 조난구조 시스템에 있어서, 앞선 실시예 중의 하나에 따른 고부력 구명복에 구비되는 조난위치 발신기; 및 선박이나 함정에 창작되되 GPS를 내장하고, 고부력 구명복에 구비되는 조난위치 발신기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분석하고, 선박이나 함정의 현재위치를 기준으로 전자해도 상에 영역을 설정하고, 고부력 구명복에 구비되는 조난위치 발신기로부터의 무선 신호에 포함된 위치정보가 설정된 영역을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벗어나는 경우 알람 또는 점등 신호를 나타내는 GPS 내장 주장치;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부력 구명복에 구비되는 조난위치 발신기를 이용한 조난구조 시스템이 제안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istress rescue system using a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provided in a high buoyancy life suit, a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provided in the high buoyancy life suit according to one of the preceding embodiments; And a GPS built in a ship or a vessel, receiving and analyzing a radio signal from a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provided in a high buoyancy life suit, setting an area on an electronic chart based on the current position of a ship or a ship, and providing a high buoyancy life suit. A GPS built-in mai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adio signal from the distress location transmitter provided in the device is out of the set area and indicating an alarm or lighting signal when the device is out of the set area; A distress rescue system using a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provided in a high buoyancy life suit comprising a is propos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모습으로 비록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았으나, 앞서 언급된 기술적 특징의 가능한 다양한 조합에 따른 실시예들이 구현 가능함은 자명하다.
Although not explicitly mentioned as one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pparent that embodiments according to various possible combinations of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features can be implemented.

본 발명의 모습에 따라, GPS 수신대기전력의 소모를 획기적으로 줄여 장시간 조난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고부력 구명복에 구비되는 조난위치 발신기 및 그를 이용한 조난구조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조난위치 발신기의 전력소비를 최소화하여 장시간 조난신호를 전송할 수 있게 되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and a distress rescue system using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that is provided in a high buoyancy life jacket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consumption of GPS reception standby power for a long time distress signal, minimiz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The distress signal can be transmitted for a long time.

또한,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조난자가 수중으로 가라앉았을 경우에 대비하여 음파를 발신하게 하고, 부력구조의 조난위치 발신기가 부상하여 조난신호를 발신할 수 있게 하여, 위치정보를 정확하게 전송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그에 따라 실종자 수색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되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vent that the distress is submerged in the water so that the sound waves, and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of the buoyancy structure to be injured to transmit the distress signal, location information You can now transmit correctly. It also helps to search for missing persons.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어업인이 평상시에 선상에서 조업활동에 지장이 없는 얇고 방한성을 가진 고부력소재의 구명복에 조난위치 발신기를 탑재하여 해난사고시 주야간 기상조건에 관계없이 조난자의 현재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여 신속 정확하게 구조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저체온사고와 실종사고를 획기적으로 줄이고 생존율을 높일 수 있게 되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sherman mounts a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in a life-saving suit of a thin, cold-resistance and high buoyancy material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fishing activities on board a ship on a regular basis.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accurately rescue by accurately understanding the temperature, thereby dramatically reducing hypothermia and missing accidents and increasing survival rat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직접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다양한 구성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It is apparent that various effects not directly referred to in accordance with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riv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various configuration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고부력 구명복에 구비되는 조난위치 발신기와 고부력 구명복을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조난위치 발신기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블럭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의 조난위치 발신기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블럭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1의 조난위치 발신기의 다른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블럭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1의 조난위치 발신기의 하나의 실시예에서의 위치 및 SOS 송신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조난구조 시스템에서의 관제 모니터링 화면을 나타낸다.
1 illustrates a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and a high buoyancy rescue suit provided in a high buoyancy rescue s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a schematic block diagra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distress location transmitter of FIG. 1.
FIG. 3 show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of FIG. 1.
4 show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yet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tress location transmitter of FIG.
5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location and SOS transmission process in one embodiment of the distress location transmitter of FIG. 1.
6 shows a control monitoring screen in the distress rescu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고, 중복되거나 발명의 의미를 한정적으로 해석되게 할 수 있는 부가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생략될 수 있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descriptions that may overlap or limit the meaning of the invention may be omitted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구체적 설명에서는, 우선,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고부력 구명복에 구비되는 조난위치 발신기를 먼저 살펴보고, 다음으로 그를 이용한 조난구조 시스템을 살펴볼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모습에 따른 고부력 구명복에 구비되는 조난위치 발신기는 결국 조난위치 발신기이므로, 고부력 구명복에 구비될 수 있는 것이면 족하고, 반드시 고부력 구명복을 포함하는 경우에 한하여 본 발명이 구성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provided in the high buoyancy life s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rst, and then the distress rescue system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Since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provided in the high buoyancy life jacket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in the end, it is sufficient that it can be provided in the high buoyancy life suit,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only if it includes a high buoyancy life suit. no.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고부력 구명복에 구비되는 조난위치 발신기와 조난위치 발신기가 수납되는 고부력 구명복을 나타내고, 도 2는 도 1의 조난위치 발신기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블럭도를 나타내고, 도 3은 도 1의 조난위치 발신기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블럭도를 나타내고, 도 4는 도 1의 조난위치 발신기의 다른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블럭도를 나타낸다.1 shows a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and a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provided in a high buoyancy rescue s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view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of Figure 1 3 shows a schematic block diagr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of FIG. 1, and FIG. 4 shows a schematic b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of FIG. Shows a figure.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수납용 공간(31)이 형성된 고부력 구명복(30)에 구비되는 조난위치 발신기(10)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고부력 구명복(30)은 다양한 실시예로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고부력 구명복(30)은 상부 일측에 수납용 공간(31)이 형성되고, 그 수납용 공간(31)에 조난위치 발신기(10)가 수납될 수 있다. 또 바람직하게, 고부력 구명복(30)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발포수지 시트를 다중겹으로 처리하여 슬림하면서도 고부력의 방한성이 우수하도록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후면 또는/및 전면에 고휘도 반사원단을 띠형식으로 부착하여 야간에 조명에 의한 식별이 용이하도록 한다.Referr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ure 1, relates to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10 provided in the high buoyancy life suit 30 is formed with a receiving space (31). The high buoyancy life suit 30 shown in FIG. 1 can be changed to various embodiments. For example, the high buoyancy life suit 30 has a storage space 31 is formed on one side,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10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31. In addition, the high buoyancy life suit 30 is treated with multiple layers of low density polyethylene foamed resin sheet so that it is excellent in the cold but high buoyancy. Also, preferably, a high-brightness reflective fabric is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and / or the front surface in the form of a band to facilitate identification by illumination at night.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 도 1에서의 조난위치 발신기(10)는 전원부(110), 센서부(120), 설정입력부(130), GPS 수신부(140), RF 통신부(150), 메모리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2 to 4,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10 in FIG. 1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110, a sensor unit 120, a setting input unit 130, a GPS receiver 140, an RF communication unit 150, and a memory unit. And a control unit 170.

전원부(110)는 전원을 공급한다. 바람직하게, 전원부(110)는 배터리 또는 충전 배터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더 바람직하게는, 전원부(110)는 충전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일반 휴대폰 충전기를 이용하여 충전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충전인터페이스는 개폐 가능한 방수케이스에 의해 방수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10 supplies power. Preferably, the power supply unit 110 includes a battery or a rechargeable battery. More preferably, the power supply unit 110 includes a charging interface, and more preferably can be charged using a general mobile phone charger. Also, preferably, the charging interface may be waterproof by an openable and waterproof case.

센서부(120)는 수분 또는 염분농도를 감지한다. 염분농도는 센서부(120)에 접촉된 액체의 염소이온 또는 기타 염류의 농도를 측정하여 감지한다. The sensor unit 120 detects moisture or salt concentration. Salt concentration is detected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chlorine ions or other salts of the liquid in contact with the sensor unit 120.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전원 오프 상태에서, 센서부(120) 및 제어부(170)에 최소 전원이 공급되고, 센서부(120)에서 수분 또는 염분농도가 감지된 경우 제어부(170)는 전원 인가 결정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다음에서와 같이, 전원 인가 결정 및 감지된 결과값의 미리 설정된 값 이상 또는 초과 여부에 따라 SOS 모드로 판단하여 제어하게 된다.Prefera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ower off state, when the minimum power is supplied to the sensor unit 120 and the control unit 170, the moisture or salt concentration detected in the sensor unit 120 The controller 170 determines power supply. In addition, the controller 170 determines and controls the SOS mode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o exceed or exceed a preset value of the power supply determination and the detected result value as follows.

설정입력부(130)는 전원 온/오프 설정 및 SOS 온/오프 설정을 입력한다. 전원 온/오프 설정 및 SOS 온/오프 설정은 버튼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온/오프의 설정은 한 개의 버튼을 이용할 수 있고, 또는 2개의 버튼을 이용할 수도 있다. The setting input unit 130 inputs a power on / off setting and an SOS on / off setting. The power on / off setting and the SOS on / off setting can be made using a button. Preferably, the on / off setting may use one button or two buttons.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설정입력부(130)는 전원 오프 상태에서 SOS 온 설정 버튼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길게 눌러진 경우 전원 인가 명령을 발생시킨다. 이 때, 제어부(170)는 전원 인가 명령 및 SOS 온 설정에 따라 SOS 모드로 판단하여 제어한다.Prefera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tting input unit 130 generates a power-on command when the SOS on setting button is pressed longer than a preset time in the power-off state.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70 determines and controls the SOS mode according to the power-on command and the SOS on setting.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도시되지 않았으나, 설정입력부(130)는 출입항신고 설정/해제 버튼을 더 구비한다. 출입항신고 설정/해제 버튼은 외부의 신고소의 주장치로 출항 또는/및 입항을 무선 신고하기 위한 설정버튼이다.Also,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not shown, the setting input unit 130 further includes an entry / exit setting / release button. The entry / exit report setting / release button is a setting button for wirelessly reporting the departure / and / or entry to the main device of the external reporting station.

도 2를 참조하면, GPS 수신부(140)는 GPS 위성신호를 수신하여 위치좌표를 산출한다. 바람직하게, 도시되지 않았으나, GPS 위성신호를 수신하는 GPS 수신안테나와 수신된 신호로부터 위치좌표를 산출하는 GPS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GPS 수신부(140)에서 위성신호를 수초, 통상 1~2초간격으로 수신함에 따른 전력소모가 크므로, 본 발명에서는 GPS 수신부(140)에서의 전력소모를 줄임으로써 조난위치 발신기(10)의 배터리 소모를 줄이게 된다. 본 발명에서, GPS 수신부(140)는 메모리에 저장된 최신 위치좌표를 기준으로 GPS 위성으로 신호를 전송하여 GPS 위성으로부터 위성신호를 수신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위치좌표를 찾을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 2, the GPS receiver 140 calculates a position coordinate by receiving a GPS satellite signal. Preferably, although not shown, it comprises a GPS receiving antenna for receiving GPS satellite signals and a GPS module for calculating position coordinates from the received signals. Since the GPS consumption unit 140 consumes a large number of satellite signals at intervals of several seconds, typically 1 to 2 seconds,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GPS receiver 140 by discharging the battery of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10. Reduced consump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PS receiver 140 transmits a signal to the GPS satellites based on the latest position coordinates stored in the memory to receive the satellite signals from the GPS satellites so that the position coordinates can be found more quickly.

도 2의 RF 통신부(150)는 조난신호를 외부로 무선 전송하고, 외부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한다. RF 통신부(150)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외부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RF 수신파트와 외부로 무선신호를 전송하는 RF 송신파트로 이루어져 있다. RF 통신부(150)는 제어부(170)에서 생성된 조난신호를 무선 전송하고, 도시되지 않았으나 외부의 서버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서버 또는 외부 또는 외부 서버 또는 외부 서버시스템은 그 내용에 반하지 않는 한, 육상의 신고소 등의 주장치 또는 시스템, 또는/해상의 함정 또는/및 선박의 송수신 주장치 또는 시스템이 이에 해당될 수 있고, 본 발명에서의 RF 통신부(150)는 그러한 외부 또는 외부 서버시스템으로 무선신호를 전송하고, 외부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RF 통신부(150)를 통한 외부 무선전송은 AIS 등 선박/어선 위치발신장치와 연동하여 조난자의 신호를 주변 선박에서도 수신할 수 있게 된다.The RF communication unit 150 of FIG. 2 wirelessly transmits the distress signal to the outside and receives the radio signal from the outside. Although not shown, the RF communication unit 150 includes an RF receiving part for receiving a wireless signal from the outside and an RF transmitting part for transmitting the wireless signal to the outside. The RF communicator 150 may wirelessly transmit the distress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ler 170 and may receive a wireless signal transmitted from an external server system although not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the server or external or external server or external server system is contrary to the contents, the main device or system, such as a land declaration, or / sea vessels and / and ships transmitting and receiving main device or system is applicable thereto.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F communication unit 150 transmits a radio signal to such an external or external server system, and receives a radio signal from the outside. Therefore, the external wireless transmission through the RF communication unit 150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eive the signal of the distress in the surrounding vessels in conjunction with the vessel / fishing vessel position transmitter, such as AIS.

바람직하게는, RF 통신부(150)는 외부 서버 시스템과 동기화된 시간정보를 포함한 데이터를 전송시켜 외부 서버 시스템에서 위치추적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방식(시분할다중화방식)을 이용하여 송신하게 된다. 또 바람직하게는, 외부의 서버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시간 또는/및 등록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시켜 반송시킴으로써 외부 서버시스템과 동기화 또는 비동기화된 경우 위치추적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RF communication unit 150 may transmit data including time information synchronized with the external server system to enable location tracking in the external server system. For example, transmission is performed using a time division multiplexing (TDM) method. In addition, preferably, by receiving a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an external server system and carry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time or / and registration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enable location tracking when synchronized or asynchronous with the external server system.

메모리부(160)는 설정 등록정보 및 상기 GPS 수신부(140)로부터 산출된 위치좌표를 포함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설정 등록정보는 조난위치 발신기(10)가 연결된 PC 등의 외부 컴퓨터에서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또는 조난위치 발신기(10)를 통해 설정 입력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조난위치 발신기(10)가 유선 또는 무선, 바람직하게는, 유선 연결된 외부 컴퓨터 단말에서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설정 등록정보를 입력하도록 구성된다. 설정등록정보에는 사용자 ID 등이 포함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설정 등록정보에는 조난위치 발신기(10)의 고유한 ID도 포함된다.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설정 등록정보 중 조난위치 발신기(10)의 고유 ID 또는/및 설정 입력된 사용자 ID가 제어부(170)에서 조난신호 또는 위치정보 생성시 포함되어 외부로 전송되게 된다. 메모리부(160)는 GPS 수신부(140)에서 산출되는 최신의 위치좌표를 저장하게 된다. The memory unit 160 stores data including setting registration information and position coordinates calculated from the GPS receiver 140. The setting registration information is configured to be inputable through an application on an external computer such as a PC to which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10 is connected or through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10. Preferably, the distress location transmitter 10 is configured to input setting properties via an application on a wired or wireless, preferably wired, connected external computer terminal. The setting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es a user ID and the like. Further, preferably, the setting registration information also includes a unique ID of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10. In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unique ID of the distress location transmitter 10 and / or the setting input user ID of the setting regist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160 is included when the distress signal or loca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by the controller 170. Will be sent to the outside. The memory unit 160 stores the latest position coordinates calculated by the GPS receiver 140.

또한 바람직하게, 메모리부(160)는 저장된 위치좌표로부터 산출된 이동경로를 저장한다. 이 때 이동경로의 산출은 제어부(170)에서 이루어지고, 그 결과로써 이동경로가 업데이트되며 저장되게 된다. 이동경로의 저장은 바람직하게는 시간 정보와 함께 저장되게 된다. 저장된 이동경로는 필요시 조난위치 발신기(10)에 연결된 외부 컴퓨터에서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 바람직하게, 메모리부(160)는 조난신호 발신기록, 이동경로를 일정기간 저장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출입항기록도 일정기간 저장할 수 있고, 필요시 외부 컴퓨터에 연결하여 다운로드할 수 있다.Also, preferably, the memory unit 160 stores the movement route calculated from the stored position coordinates. At this time, the calculation of the movement route is made by the controller 170, and as a result, the movement route is updated and stored. The storage of the movement route is preferably stored with the time information. The stored movement path may be downloaded from an external computer connected to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10 when necessary. In addition, the memory unit 160 may store the distress signal transmission record and the movement rout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preferably, the entrance and exit record may be stor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may be downloaded and connected to an external computer if necessary.

그리고 도 2의 제어부(170)는 각 구성들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센서부(120)에서 감지된 결과값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 또는 초과하는 경우 또는 설정입력부(130)로부터의 SOS 온 설정 입력되는 경우 SOS 모드로 판단하여 제어한다. 센서부(120)에서 감지된 결과값과 대비되는 미리 설정된 값은 미리 설정되어 메모리부(160)에 저장되어 있다. 예컨대 센서부(120)에서 감지된 결과가 수분감지에 관한 것인 경우, 센서부(120)가 소정 시간 이상 해수 또는 담수 등의 물에 담겨져 있는지가 SOS 모드 판단의 기준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소정 시간은 수초에서 수십초 범위에서 정해질 수 있고, 또는 그 이상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센서부(120)에서 감지된 결과가 염분농도에 관한 것이라면, 예컨대, 해수의 염분 농도 범위를 기준으로 SOS 모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염분 농도의 경우, 예를 들면, 염소이온 농도를 기준으로 할 수 있고, 또는 다른 염류의 농도를 기준으로 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170 of FIG. 2 controls each component. In addition, the controller 170 determines and controls the SOS mode when a result value detected by the sensor unit 120 exceeds or exceeds a preset value or when an SOS on setting input from the setting input unit 130 is input. The preset value contrasted with the result value detected by the sensor unit 120 is preset and stored in the memory unit 160. For example, when the result detected by the sensor unit 120 relates to moisture detection, whether the sensor unit 120 is immersed in water such as seawater or fresh water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may be a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SOS mode. In this case, the predetermined time may be set in the range of several seconds to several tens of seconds, or more. In addition, if the result detected by the sensor unit 120 relates to the salinity concentration, for example,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SOS mode based on the salinity concentration range of seawater.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salt concentration, for example, it may be based on the concentration of the chloride ion, or may be based on the concentration of other salts.

특히,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어부(170)는 SOS 모드 판단시 전원부(110)로부터 GPS 수신부(140)로의 전원공급을 제어하게 된다. 전원공급 제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제1 간격으로 GPS 수신부(140)에서 위성신호를 수신하여 위치좌표를 산출하게 된다. 결국, 제어부(170)에서 GPS 수신부(140)로의 전원공급 제어에 따라 GPS 수신부(140)의 작동 주기 또는 간격이 제어되고, 그에 따라 통상 수초, 예컨대 1~2초 간격으로 지속적으로 GPS 위성신호를 수신함에 따른 과다한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170)는 GPS 수신부(140)에서 수신되어 산출된 최신 위치좌표를 메모리에 저장시킴으로써, GPS 수신부(140)가 최신 GPS 위성신호를 수신하여 위치좌표를 산출하는데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제어부(170)에서 GPS 수신부(140)로의 전원공급 제어하는 제1 간격은 메모리에 저장된 최신 위치좌표와의 변동이 없거나 미미한 경우 길게 할 수 있다. 예컨대, 해류나 파도가 적은 해난 조난시에는 위치의 변동이 거의 없거나 미미하므로, 제1 간격을 길게 함으로써, 배터리의 소모를 최소화하고 조난 구조시까지 지속적인 조난신호 전송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 간격 및 다음에서의 제2 내지 제6 간격 등은 시간 간격을 구분짓기 위한 것에 그치고, 그 간격의 동일성여부 또는 간격의 길이 차이 여부 또는 간격 길이의 순서와는 무관하다.In particula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70 controls the power supply from the power supply unit 110 to the GPS receiver 140 when determining the SOS mode. The GPS receiver 140 receives the satellite signal at a first predetermined interval according to the power supply control to calculate the position coordinates. As a result, the operation period or the interval of the GPS receiver 140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power supply control from the controller 170 to the GPS receiver 140, and accordingly, the GPS satellite signal is continuously continuously maintained at intervals of several seconds, for example, 1 to 2 seconds. It is possible to reduce excessive power consumption by receiving.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70 stores the latest position coordinates received by the GPS receiver 140 in a memory, so that the GPS receiver 140 may receive the latest GPS satellite signal and use the same to calculate the position coordinates. Accordingly, the first interval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from the controller 170 to the GPS receiver 140 may be lengthened if there is no or slight variation with the latest position coordinate stored in the memory. For example, since there is little or no change in position during distress distressing due to small currents or waves, by increasing the first interval, it is possible to minimize battery consumption and to continuously transmit distress signals until distress rescu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interval and the following second to sixth intervals, etc. are merely for distinguishing the time intervals, and are irrelevant to whether the intervals are identical or not.

제어부(170)는 또한, 산출된 위치좌표와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위치좌표 중 최신의 위치좌표 및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설정 등록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조난신호를 생성하여 RF 통신부(150)를 통해 미리 설정된 제2 간격으로 무선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GPS 수신부(140)로 전원공급하는 제1 간격과 RF 통신부(150)를 통해 무선 전송하는 제2 간격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예컨대, GPS 수신부(140)에서 위성신호 수신 및 위치좌표 산출에서의 전력소비를 줄이고, 조난신호의 무선전송 횟수를 늘이기 위해서 제1 간격보다 제2 간격을 짧게 할 수 있다. 제1 간격 보다 제2 간격을 짧게 하는 경우, GPS 수신부(140)에 산출된 최신 위치좌표보다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최신 위치좌표가 더 최신의 위치좌표가 될 수도 있다.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설정 등록정보의 적어도 일부는, 바람직하게, 조난위치 발신기(10)의 고유 ID 또는/및 설정 입력된 사용자 ID를 포함하게 된다. 그에 따라 조난 위치와 조난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된 조난신호가 생성되어 전송되게 된다. 예컨대 조난위치 발신기(10) 고유 ID 또는 사용자 ID는 관계기관에 이미 신고되어 있어,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데이터가 된다.The control unit 170 also generates a distress signal including a latest position coordinate among the calculated position coordinates and the position coordinates stored in the memory unit 160 and the setting regist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160 to generate an RF communication unit. Control to wirelessly transmit at a second predetermined interval through the 150. The first interval for supplying power to the GPS receiver 140 and the second interval for wireless transmission through the RF communication unit 150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or example, the GPS receiver 140 may shorten the second interval from the first interval in order to reduce power consumption in satellite signal reception and position coordinate calculation, and to increase the number of radio transmissions of the distress signal. When the second interval is shorter than the first interval, the latest position coordinates stored in the memory unit 160 may be more recent than the latest position coordinates calculated by the GPS receiver 140. At least a part of the setting regist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160 preferably includes the unique ID of the distress location transmitter 10 and / or the setting input user ID. As a result, a distress signal including a distress position and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distress person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For example,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10 unique ID or the user ID has already been reported to the relevant authority, and the data is used to identify the user.

또한, 제어부(170)는 SOS 모드가 아닌 경우 GPS 수신부(140)의 전원공급을 중단시켜 GPS 수신부(140)의 작동을 중단시키거나, 전원부(110)로부터 GPS 수신부(140)로의 전원공급을 제어하여 SOS 모드 판단시의 제1 간격보다 긴 미리 설정된 제3 간격으로 GPS 수신부(140)에서 위성신호를 수신하여 위치좌표를 산출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70 stops the operation of the GPS receiver 140 by stopping the power supply of the GPS receiver 140 when it is not in the SOS mode, or controls the power supply from the power supply unit 110 to the GPS receiver 140. The GPS receiver 140 receives the satellite signal at a third predetermined interval longer than the first interval at the time of SOS mode determination to calculate the position coordinates.

SOS 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우선 GPS 수신부(140)로의 전원공급을 차단시킴으로써 GPS 수신부(140)의 작동을 중단시켜 전력소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조난위치 발신기(10)가 순수하게 조난구조용으로만 사용되는 경우에 유익하다. 또한, 어장위치 등의 노출 우려 등으로 위치추적을 기피하는 어민들에게 적합하며, 배터리 사용시간이 길다. In the case of the non-SOS mode, the power supply to the GPS receiver 140 may be interrupted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GPS receiver 140 to minimize power consumption. This method is advantageous when the distress location transmitter 10 is used purely for distress rescue. In addition, it is suitable for fishermen who avoid location tracking due to exposure of fisheries location, etc., and the battery use time is long.

또한 다른 방법으로 GPS 수신부(140)로 전원공급시키되, GPS 수신부(140)로의 전원공급 간격을 더 길게 함으로써, GPS 수신부(140)에서의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간격보다 제3 간격을 더 길게하는 이유는 조난위치 발신기(10)가 예측치 못한 비상시에도 배터리에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즉, SOS 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전력소모를 최소한으로 유지함으로써 SOS 모드 상황시 조난신호를 충분히 전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후자의 방법은 조난위치 발신기(10)로 조난구조의 목적 이외에 위치정보를 모니터링하도록 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또한, 유사시 SOS 발신을 못한 조난자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파악하여 실종지점을 추정하여 수색범위를 좁힐 수 있으므로, 해경 함정등에서 중국어선 등의 진압요원의 위치확인을 위하여 사용되거나 쌍끌이 어선 등 선닥을 이루어 이동하는 경우 선두 어선에서 후미의 이탈어선 정보를 확인하는데 적합할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되지 않았으나, 외부 서버시스템에서 조난위치 발신기(10)의 위치를 주기적 또는 간헐적으로 모니터링하거나 어선 선단 그룹 내에서 모니터링하는 경우 등에 유용할 수 있다. 후자의 방법에 있어서, 예컨대, 제3 간격은 수분 내지 수십분의 범위가 될 수 있다. 혹은 그 이상의 시간간격이 될 수도 있고, 예컨대, 조업 중인 상태인 경우에는 시간간격을 더 길게 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1 간격 보다 긴 수십초의 간격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SOS 모드가 아닌 경우로써, 예컨대, 출입항 신고 등을 위해 위치정보를 무선 전송하는 경우에는 수십초 간격으로 또는 그 이상으로 GPS 수신부(140)로 전원을 공급하여 위치좌표를 산출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GPS receiver 140 in another manner, and the power supply interval to the GPS receiver 140 is longer,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the GPS receiver 140. The reason why the third interval is longer than the first interval in this embodiment is that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10 must be maintained to supply power from the battery even in an unexpected emergency. In other words, in the non-SOS mode, the power consumption is kept to a minimum so that the distress signal can be sufficiently transmitted in the SOS mode. The latter method may be useful for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10 to monitor location information in addition to the purpose of distress rescu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narrow down the search range by estimating the missing point by roughly identifying the location of the distress who failed to send SOS in case of emergency. In case of movement, it may be suitable for confirming the information of the trailing fishing boat from the leading fishing boat. For example, although not shown, the external server system may be useful for periodically or intermittently monitoring the position of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10 or monitoring the position within the fishing vessel tip group. In the latter method, for example, the third interval may range from several minutes to several tens of minutes. Alternatively, the time interval may be longer than that. For example, when the vehicle is in operation, the time interval may be longer. In some cases, an interval of several tens of seconds longer than the first interval is possible. Preferably, when not in the SOS mode, for example, in the case of wirelessly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for entry and exit reporting, etc., the position coordinates may be calculated by supplying power to the GPS receiver 140 at intervals of several tens of seconds or more. Can be.

제어부(170)에서 GPS 수신부(140)로 제3 간격으로 전원공급시키는 경우, 제어부(170)는 산출된 위치좌표와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위치좌표 중 최신 위치좌표 및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설정 등록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생성하여 RF 통신부(150)를 통해 제2 간격보다 긴 미리 설정된 제4 간격으로 무선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GPS 수신부(140)로 전원공급하는 제3 간격과 RF 통신부(150)를 통해 무선 전송하는 제4 간격은 동일하거나 혹은 다를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설정 등록정보의 적어도 일부는, 바람직하게, 조난위치 발신기(10)의 고유 ID 또는/및 설정 입력된 사용자 ID를 포함하게 된다.
When the controller 170 supplies power to the GPS receiver 140 at a third interval, the controller 170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the latest position coordinates and the memory unit 160 among the calculated position coordinates and the position coordinates stored in the memory unit 160. By genera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tored setting registration information to control the wireless transmission at the fourth predetermined interval longer than the second interval through the RF communication unit 150. The third interval for supplying power to the GPS receiver 140 and the fourth interval for wireless transmission through the RF communication unit 150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In addi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etting regist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160 preferably includes a unique ID of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10 and / or a setting input user ID.

또한,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조난신호를 전송하거나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경우에 있어서, 제어부(170)는 GPS 수신부(140)에서 수신하여 산출된 위치좌표와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최신 위치좌표 사이에 좌표변화가 없거나 소정의 기준 이하인 경우 제1 간격보다 긴 간격으로 또는 제3 간격보다 긴 간격으로 GPS 수신부(140)에서 위성신호를 수신하여 위치좌표를 산출하도록 전원 공급을 제어하고, 산출된 위치좌표를 포함하는 조난신호 또는 위치정보를 제2 또는 제4 간격보다 긴 간격으로 무선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즉, GPS 수신부(140)에서 산출된 최신 위치좌표와 메모리부(160)에 기 저장된 최신 위치좌표를 비교함으로써, 위치좌표의 좌표변화가 없거나 소정 기준 이하인 경우에는 GPS 수신간격을 길게 함으로써 전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조난신호 또는 위치정보를 무선전송하는 간격을 더 길게 하여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의 이러한 기능의 구현은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그러한 프로그램의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위의 설명에 근거해 프로그래머에 의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transmitting a distress signal or transmitting location information, the controller 170 receives the position coordinates calculated by the GPS receiver 140 and the memory unit 160. If there is no change in coordinates between the latest position coordinates stored in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the GPS receiver 140 receives a satellite signal at an interval longer than the first interval or at an interval longer than the third interval, and supplies power to calculate the position coordinate. The wireless terminal may be configured to wirelessly transmit the distress signal or the posi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calculated position coordinates at intervals longer than the second or fourth intervals. That is, by comparing the latest position coordinates calculated by the GPS receiver 140 with the latest position coordinates pre-stored in the memory unit 160, if there is no change in coordinates of the position coordinates or is below a predetermined reference, power consumption i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GPS reception interval. It can be minimiz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by longer intervals for transmitting the distress signal or location information wirelessly. The implementation of such a function in the controller 170 may be implemented by a preset program,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of such a program may be easily implemented by a programmer based on the above description, and thus will be omitted. do.

바람직하게는, 또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위치좌표 사이의 변화를 판단하여 속도가 빨라지는 경우 제3 간격 또는/및 제4 간격을 좁게 하고, 속도가 느려지는 경우 제3 간격 또는/및 제4 간격을 길게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Preferably, also in one embodiment, the third interval or / and the fourth interval is narrowed when the speed is increased by judging the change between the positional coordinates, and the third interval or / and the third when the speed is slowed. It is also possible to variably control four intervals.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70)는 SOS 모드 판단시 제1 간격에서 점차 길어지는 간격으로 GPS 수신부(140)에서 위성신호를 수신하여 위치좌표를 산출하도록 전원 공급을 제어하고, 산출된 위치좌표를 포함하는 조난신호를 제2 간격에서 점차 길어지는 간격으로 무선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라, SOS 모드 상황의 초기에는 자주 조난신호를 보내되, 나중으로 갈수록 시간 간격을 길게 함으로써, 배터리 소모를 줄이면서도, 최후 구조되는 상황까지 지속적으로 위치정보를 포함한 조난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In addition, prefera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70 receives the satellite signal from the GPS receiver 140 at intervals that gradually increase from the first interval when determining the SOS mode to determine the position coordinates. The power supply is controlled to calculate and wirelessly transmits the distress signal including the calculated positional coordinates at intervals that gradually increase from the second interval.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distress signal is frequently sent at the beginning of the SOS mode situation, but by increasing the time interval later, the distress signal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can be continuously transmitted to the last rescued situation while reducing battery consumption. It is to ensure that.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를 살펴본다. GPS 수신부(140)에서 GPS 위성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조난위치 발신기(10)의 상부에 위성신호 수신을 방해하는 물체가 있는 경우, 또는 사용자가 GPS 수신 대기전력을 줄이기 위해 GPS 위치산출하는 GPS 모드의 설정을 해제하고 RF신호의 도달시간 또는 도달시간차에 의해 위치추적을 하는 RF 모드를 설정한 경우 등이다. 이 경우, 제어부(170)는, SOS 모드 판단시, 현재 시간과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설정 등록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조난신호를 생성하여 RF 통신부(150)를 통해 무선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Look a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PS receiver 140 may not receive a GPS satellite signal. For example, when there is an object on the upper part of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10 that prevents satellite signal reception, or when the user cancels the GPS mode for calculating the GPS position to reduce the GPS reception standby power, the arrival time or arrival time of the RF signal is reached. This is the case when the RF mode which performs position tracking by time difference is set. In this case, when determining the SOS mode, the control unit 170 generates a distress signal including a current time and at least a part of the setting regist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160 to control the wireless transmission through the RF communication unit 150. .

이러한 방법은 TOA(Time Of Arrival)나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에 의한 위치추적 기법을 적용한 것으로, 모바일 단말기, 예컨대 본 발명에서의 조난위치 발신기(10)로부터의 전파도달시간을 측정하여 단말기와 서버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TOA나TDOA 데이터를 갖는 위치결정 알고리즘은 위치서비스 센터, 예컨대 외부 서버시스템에서 조난위치 발신기(10)의 위치를 추적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방식은 조난위치 발신기(10)로부터 최소 3개의 외부 서버까지의 절대적인 시간을 계산하여 위치를 추적하는 알고리즘으로 동기식 또는 비동기식으로 계산될 수 있는데, 동기식 방법은 조난위치 발신기(10)와 서버가 서로 동기화되어 있는 시스템으로, 동기식 방법에서 조난위치 발신기(10)는 외부 서버로 절대적인 현재시간을 기록하여 신호를 보낸다. 이 신호는 조난위치 발신기(10)의 주변에 있는 각각의 서버로 도달하게 되고, 외부 서버와 조난위치 발신기(10)는 현재 시간을 동기적으로 맞추고 있기 때문에 외부 서버는 받은 신호에 대한 절대적인 도달 시간을 계산할 수 있으며, 이 시간에 대한 거리를 이용하여 조난위치 발신기(10)에 대한 위치를 계산하게 된다. This method applies a location tracking technique based on a time of arrival (TOA) or a time difference of arrival (TDOA), and measures a radio wave arrival time from a mobile terminal, for example, the distress location transmitt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ositioning algorithm with TOA or TDOA data in a way to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the servers is used to track the position of the distress location transmitter 10 in a location service center, such as an external server system. This method can be calculated synchronously or asynchronously by calculating the absolute time from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10 to at least three external servers and tracking the position. The synchronous method is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10 and the server mutually. In a synchronous system,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10 in a synchronous method records an absolute current time and sends a signal to an external server. This signal reaches each server in the vicinity of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10. Since the external server and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10 synchronize the current time, the external server has an absolute arrival time for the received signal. It can be calculated, using the distance for this time to calculate the position for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10).

또는, GPS 수신부(140)에서 GPS 위성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제어부(170)는 RF 통신부(150)에서 수신된 외부 서버시스템으로부터의 신호에 대한 회신정보와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설정 등록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조난신호를 생성하여 RF 통신부(150)를 통해 무선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 외부 서버시스템은 하나의 서버 또는 다수의 서버를 포함한 시스템일 수 있고, 외부 서버시스템으로부터의 신호는 하나의 서버로부터의 신호 또는 최소 3개의 서버로부터의 신호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에서 RF 통신부(150)를 통해 전송된 신호는 주변의 최소 3개의 서버에서 수신됨으로써 위치를 계산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의 예로, 동기식도 가능하나 비동기식 방법도 가능하다. 비동기식 방식에서는 모든 외부 서버와 조난위치 발신기(10) 간에 시간 동기화가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는다. 외부 서버는 현재시간을 기록하고 조난위치 발신기(10)로 신호를 보내고, 조난위치 발신기(10)는 신호를 받는 즉시 응답 신호를 외부 서버로 보낸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조난위치 발신기(1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최소 3개의 외부 서버는 시간동기화되어 있다. 물론, 각 서버들간에 시간 동기화가 되어 있지 않더라도 가능하다. 외부 서버는 조난위치 발신기(10)에서 보내온 신호의 도착 시간과 기존에 저장해 놓은 신호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거리를 계산하게 된다. Alternatively, when the GPS receiver 140 does not receive the GPS satellite signal, the controller 170 may reply to the signal from the external server system received by the RF communicator 150 and set regist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160. Generates a distress signal inclu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trol to wirelessly transmit through the RF communication unit 15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xternal server system may be a system including one server or multiple servers, and the signal from the external server system may be a signal from one server or a signal from at least three servers. Preferably, in this embodiment, th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RF communication unit 150 is received by at least three servers in the vicinity to calculate the position. An example of such a method is synchronous but asynchronous. In the asynchronous manner, time synchronization between all external servers and the distress location transmitter 10 is not necessarily required. The external server records the current time and sends a signal to the distress location transmitter 10, the distress location transmitter 10 immediately sends a response signal to the external server. In this case, preferably, at least three external servers that receive signals from the distress location transmitter 10 are time synchronized. Of course, even if there is no time synchronization between the servers. The external server calculates the distance using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arrival time of the signal sent from the distress location transmitter 10 and the previously stored signal.

동기식 또는 비동기식 방법에 의한 위치계산 방식을 살펴보기 위해, 우선, 1개의 외부 서버를 기준으로 할 때 전파의 도달 시간에 따른 거리의 계산 공식은 d(거리) = c(전파의 속도) × t(시간)이다. In order to examine the position calculation method by the synchronous or asynchronous method, first, the formula for calculating the distance according to the arrival time of the radio wave based on one external server is d (distance) = c (speed of radio wave) × t ( Time).

예를 들어, 최소 3개의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된 TOA 또는 TDOA를 통해 조난위치 발신기(10)의 위치를 산출하는 공식의 하나의 예는 아래와 같다. 여기에서, d1, d2, d3는 각 외부 서버와 조난위치 발신기(10) 사이의 거리이고, (x1, y1), (x2, y2), (x3, y3)는 각 외부 서버의 x, y좌표이고, (Xm, Ym)은 조난위치 발신기(10)의 x, y좌표이다. For example, one example of a formula for calculating the position of the distress location transmitter 10 through a TOA or TDOA received from at least three external servers is as follows. Here, d1, d2, d3 are the distance between each external server and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10, and (x1, y1), (x2, y2), (x3, y3) are the x, y coordinates of each external server. And (Xm, Ym) are the x and y coordinates of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10.

Figure 112010080042571-pat00001
Figure 112010080042571-pat00001

식 d = c × t 에 의해 산출된 d1, d2, d3 거리 정보를 활용하여 조난위치 발신기(10)의 위치 좌표를 구할 수 있다.The location coordinates of the distress location transmitter 10 can be obtained by using the distance information d1, d2, d3 calculated by the equation d = c × t.

또는 식 d = c × t 에 의해 산출된 d1, d2, d3 거리 정보를 활용하여 3개의 외부 서버로부터 조난위치 발신기(10)에 대한 거리를 반지름으로 갖는 3개의 원을 그리고 3개의 원이 공통으로 만나는 교차 영역을 조난위치 발신기(10)의 위치로 선택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방법에서, 조난위치 발신기(10)의 위치를 결과로 나타내기 위해 원이 교차하는 전체 영역을 조난위치 발신기(10)의 위치로 판단하게 된다. Or, using the distance information d1, d2, d3 calculated by the equation d = c × t, three circles having a radius with respect to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10 from three external servers and three circles in common There is a method of selecting the intersection area where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10 is located. In this method, the entire area where the circle intersects is determined as the position of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10 to indicate the position of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10 as a result.

게다가, SOS 모드가 아닌 경우에 있어서, 위치정보를 무선 전송하는 경우에는, 제어부(170)는 현재 시간과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설정 등록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위치정보, 또는 RF 통신부(150)에서 수신된 외부 서버시스템으로부터의 신호에 대한 회신정보와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설정 등록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생성하여 RF 통신부(150)를 통해 무선 전송하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in the non-SOS mode, in the case of wirelessly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170 may include the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current time and at least some of the setting regist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160, or the RF communication unit ( The controller 150 generates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reply information about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server system received at 150 and at least a part of the setting regist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160 and wirelessly transmits the information through the RF communication unit 150.

본 실시예에서, 서버, 외부 서버, 외부 서버시스템은 도시되지 않았으나, 지상 또는/및 선박에 설치된 장치 또는 시스템으로 조난위치 발신기(10)와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조난위치 발신기(10)에 대하여 서버로 동작하는 것이면 족하다. In this embodiment, the server, the external server, and the external server system, although not shown, forms a network with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10 as a device or system installed on the ground or / and the ship, and serves as a server for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10. If it works, that's enough.

본 실시예에 따라, 종래의 GPS를 이용한 위치추적 장치들에 있어서 GPS 위성신호가 수신되지 않아 정확한 위치추적이 어려운 문제를 극복하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GPS satellite signals are not received in the conventional location tracking devices using GPS, thereby overcoming the problem of accurate location tracking.

또한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전원 오프 상태에서, 설정입력부(130)는 SOS 온 설정 버튼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길게 눌러진 경우 전원 인가 명령을 발생시킨다. 그리하여, 제어부(170)는 전원 인가 명령 및 SOS 온 설정에 따라 SOS 모드로 판단하여 제어한다.In addition, referr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ower-off state, the setting input unit 130 generates a power-on command when the SOS on setting button is pressed longer than a preset time. Thus, the controller 170 determines and controls the SOS mode according to the power-on command and the SOS on setting.

또 다른 실시예로, 전원 오프 상태에서, 센서부(120) 및 제어부(170)에 최소 전원이 공급되고 센서부(120)에서 수분 또는 염분농도가 감지된 경우 제어부(170)는 전원 인가 결정하게 된다. 그리하여, 제어부(170)는 전원 인가 결정 및 감지된 결과값의 미리 설정된 값 이상 또는 초과 여부에 따라 SOS 모드로 판단하여 제어한다.In another embodiment, in the power off state, when the minimum power is supplied to the sensor unit 120 and the control unit 170 and the moisture or salt concentration is detected at the sensor unit 120, the control unit 170 may determine whether to supply power. do. Thus, the controller 170 determines and controls the SOS mode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power supply is determined and the detected result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value.

이러한 실시예들에 따라, 갑작스러운 조난 상황에서도 조난신호를 손쉽게 혹은 자동으로 생성/전송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se embodiments, the distress signal may be easily or automatically generated / transmitted even in a sudden distress situation.

도 5는 도 1의 조난위치 발신기의 하나의 실시예에서의 위치 및 SOS 송신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5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location and SOS transmission process in one embodiment of the distress location transmitter of FIG. 1.

도 5를 참조하여, 조난위치 발신기(10)의 위치 및 SOS 송신과정을 살펴본다. 도 5는 발명의 이해를 위해 예시적으로 도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Referring to Figure 5, looks at the position of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10 and the SOS transmission process. 5 is shown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hereto.

우선 기본 정보 설정이 되어 단말기 ID와 센서, 배터리(Bat.)가 기본 설정된 후, 채널이 설정된다. 그리고 GPS 버튼이 ON 상태로 설정입력되면, 예컨대 GPS 수신을 위해 3초 정도 대기하고, SOS 버튼이 ON 상태인지 판단한다. SOS 버튼이 설정입력되지 않은 상태라면, 위치 송신모드로 작동되어, GPS 수신이 Fix 되었는지를 판단한다. GPS가 Fix 되면, GPS 동기시켜 TDM 슬롯을 할당하고, 제4간격, 예컨대 5~30분 주기로 위치정보 송신을 개시한다. 만일 GPS가 Fix 되지 않았다면, 주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주장치와 동기시킨다. 또한, 음파발신부(180)를 구비한 경우라면, 주장치와 동기시키고 음향신호를 송신하고 더불어 위치정보없이 TOA를 위한 기본정보를 제4간격, 예컨대 5~30분 주기로 송신한다. First, basic information is set, and terminal ID, sensor, and battery (Bat.) Are basically set, and then channel is set. When the GPS button is set to the ON state, for example, it waits for about 3 seconds to receive the GPS, and determines whether the SOS button is ON. If the SOS button is not set, it is operated in the position transmission mode to determine whether GPS reception is fixed. When the GPS is fixed, the GPS is synchronized and the TDM slot is allocated, and lo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is started at a fourth interval, for example, 5 to 30 minutes. If the GPS is not fixed, receive a signal from the main unit and synchronize it with the main unit. In addition, if the sound wave transmitting unit 180 is provided, it synchronizes with the main apparatus, transmits an acoustic signal, and transmits basic information for the TOA without position information at a fourth interval, for example, 5 to 30 minutes.

도 5에서, 만일 SOS 버튼이 ON 상태인 경우에는 단말기는 SOS 송신모드로 작동한다. SOS 송신모드에서 GPS가 Fix 된 상태라면, GPS와 동기시키고 TDM 슬롯을 할당하고 제2간격, 예컨대 10초 주기로 SOS 송신을 개시한다. GPS가 Fix 되지 않았다면, 주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주장치와 동기시키고, 음향신호를 송신한다. 더불어 위치정보없이 TOA를 위한 기본정보를 제2간격, 예컨대 10초 주기로 송신한다.
In Fig. 5, if the SOS button is in the ON state, the terminal operates in the SOS transmission mode. If the GPS is fixed in the SOS transmission mode, it synchronizes with the GPS, allocates a TDM slot, and starts SOS transmission at a second interval, for example, a 10 second period. If the GPS is not fixed, it receives a signal from the main unit, synchronizes with the main unit, and transmits an audio signal. In addition, basic information for the TOA is transmitted at a second interval, for example, at 10 second intervals without location information.

도 3은 도 1의 조난위치 발신기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블럭도를 나타낸다.FIG. 3 show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of FIG. 1.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조난위치 발신기(10)는 조난신호에 상응하는 음파신호를 발신하는 음파발신부(18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음파발신부(180)를 구비하여 음파신호를 발신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조난구조 장비를 착용한 사용자가 수중에 잠기더라도 전용 수신기가 없이도 일반 어선 등에서 널이 이용되는 어군탐지기나 소나장비에 의해 쉽게 신호를 수신하여 조난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음파발신부(180)에서 발생되는 음파신호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부저음향과 같은 음향신호이거나 소나장비에 의해 수신가능한 음파신호이거나 상어퇴치 등의 목적의 초음파신호이거나 또는 그들의 일부 또는 전부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10 further includes a sound wave transmitter 180 for transmitting a sound wav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istress signal. By providing a sound wave transmitting unit 180 to transmit a sound wave signal, even if the user wearing the distress rescue equip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ked in the water by a fish detector or sonar equipment that is used in a general fishing boat without a dedicated receiver It is to receive a signal to receive a distress signal. The sound wave signal generated by the sound wave transmitter 180 may be an acoustic signal such as a buzzer sound, a sound wave signal that can be received by sonar equipment, an ultrasonic signal for the purpose of combating sharks, or some or all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170)는 SOS 모드 판단시 조난신호에 상응하는 음파신호를 생성하여 음파발신부(180)를 통해 미리 설정된 제5 간격으로 발신하도록 제어한다. 제5 간격은 제2 간격과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센서부(120)에서 물속에 잠겨 있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에, 제어부(170)에서는 제2 간격보다 자주 음파신호를 발신하도록 하거나 RF 통신부(150)를 통한 무선전송 대신에 음파신호만 발신하도록 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70 generates a sound wav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istress signal when determining the SOS mode, and controls to transmit at a fifth predetermined interval through the sound wave transmitter 180. The fifth interval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than the second interval. Preferably, when the sensor unit 120 is detected as being submerged in water, the control unit 170 transmits a sound wave signal more frequently than the second interval or only a sound wave signal instead of wireless transmission through the RF communication unit 150. You can make a call.

게다가,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170)는 SOS 모드 판단시 음파발신부(180)에서 미리 설정된 상어퇴치 음파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음파발신부(18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제6 간격으로 상어퇴지 음파신호를 발신한다. 제6 간격은 제5 간격과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In addition, preferably,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70 controls the sound wave generator 180 to generate a preset shark sound wave signal when determining the SOS mode, and the sound wave transmitter 18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70, the shark sound wave signal is transmitted at a sixth predetermined interval. The sixth interval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fifth interval.

도 4는 도 1의 조난위치 발신기의 다른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블럭도를 나타낸다.4 show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yet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tress location transmitter of FIG.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조난위치 발신기(10)는 RF 통신부(150)를 통해 수신된 다른 조난위치 발신기(10)로부터의 조난신호를 중계하며 무선 애드혹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무선 라우팅부(19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따라, 조난위치 발신기(10)와 함정 또는 육상의 주장치와의 송수신율을 높이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라 조난신호를 중계하여 먼 곳에 위치한 육상 기지국 또는 함정에 조난 신호가 전송됨으로써 통달거리 증대효과와 긴급상황을 전파하는 매개체로서 사용가능하다. 따라서 이웃한 조난위치 발신기(10)나 인근 선박의 선박위치발신장치와 연동하여 조난신호를 중계하여 통달거리 증대효과 및 빠른 상황전파와 신속구조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Referring to FIG. 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ress location transmitter 10 may relay distress signals received from another distress location transmitter 10 received through the RF communication unit 150 to form a wireless ad hoc network. It further comprises a wireless routing unit 19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transmission / reception rate between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10 and the main device of the ship or the land is increas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stress signal may be relayed to a land base station or a ship located in a distant place, and thus the distress signal may be used as a medium for propagating the communication distance and spreading an emergency situa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arry out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communication distance and quick situation propagation and quick rescue by relaying the distress signal in connection with the neighbor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10 or the vessel position transmitting device of the nearby ship.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조난위치 발신기(10)는 이웃한 조난위치 발신기나 인근 선박의 선박위치발신장치와 연동하여 조난신호를 중계하여 통달거리 증대효과 및 빠른 상황전파와 신속구조를 수행할 수 있는데, 인근 선박이 주장치와 통신이 불가능한 원거리 또는 통신이 곤란한 통신음영지역에 위치하는 경우 다른 선박에 구비된 단말기(중계단말기)를 이용하여 주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중계단말기는 조난위치 발신기(10) 혹은 조난위치 발신기(10)의 통신을 중계하는 선박의 단말기(또는 선박위치발신장치)와, 주장치 혹은 주장치에 통신 중계하는 다른 선박의 단말기 사이에 통신 중계를 수행하는 단말기를 지칭한다. 선박의 중계단말기의 중계 기능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라우팅부(190)를 포함하는 조난위치 발신기(10)의 기능과 유사하게 된다. 즉, 각 선박에 구비되는 단말기는 타 선박의 단말기와 주장치 사이에서 통신을 중계할 수 있는 중계기능이 부가되며, 조난위치 발신기(10) 또는 중계단말기는 자기선박이 원거리 또는 음영지역에 위치한 경우 타 선박의 중계단말기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타 선박으로부터 중계요청이 있는 경우 타 선박의 단말기와 주장치 간의 통신을 중계하게 된다.
Preferably,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ys distress signals in conjunction with a neighbor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or a vessel position transmitting device of a nearby ship, and increases communication range and rapid situation propaga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a quick rescue, and if the nearby ship is located in a remote communication area that is unable to communicate with the main device or difficult to communicate with the main device, it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communication with the main device using a terminal (relay terminal) provided in another ship. have. Here, the relay terminal transmits a communication relay between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10 or the terminal of the ship (or vessel position transmitting device) relaying the communication of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10 and the terminal of another vessel relaying communication to the main apparatus or the main apparatus. Refers to a terminal to perform. The relay function of the ship's relay terminal is similar to that of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10 including the wireless routing unit 19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terminal provided in each ship is added with a relay function for relay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main device of the other ship,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10 or the relay terminal is different when the self-ship is located in a remote or shadowed area The communication is performed using the ship's relay terminal, and when there is a relay request from another ship,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of the other ship and the main device is relayed.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조난위치 발신기(10)가 무선 중계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 데이터 송신 형식을 살펴본다. 조난위치 발신기(10)의 GPS 수신부(140)가 활성화되지 않거나 오랫동안 Fix되지 않을 경우에는 주장치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조난위치 발신기(10)가 동기된다. 바람직하게, TDM방식의 다중화를 이용하여 송신하게 되므로, 주장치의 통신권 내에 있는 단말기들의 자기 송신 타이밍이 서로 다르게 된다. 예를 들면, 자기 송신타이밍을 200ms 간격으로 나누고, 이때 타임 슬롯은 단말기 자체의 RF ID의 마지막 1byte × 200ms 지점이 자기 송신타이밍이 되도록 한다. 즉, 자기 RF ID가 01020304번이면 04×200ms = 800ms 지점에서 다음의 표에서와 같이 중계 RF ID와 자기 RF ID를 포함하여 송신하게 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ook at the data transmission format when the distress location transmitter 10 performs a wireless relay function. When the GPS receiver 140 of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10 is not activated or fixed for a long time,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10 is synchronized by a signal from the main apparatus. Preferably, since the transmission using TDM multiplexing, the self-transmission timing of the terminals in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main apparatus is different. For example, the self transmission timing is divided by 200 ms intervals, and the time slot causes the last 1 byte × 200 ms point of the RF ID of the terminal itself to be the self transmission timing. That is, when the magnetic RF ID is 01020304, the relay RF ID and the magnetic RF ID are transmitted at the point of 04 × 200ms = 800ms a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Figure 112010080042571-pat00002
Figure 112010080042571-pat00002

여기에서, 중계 RF ID는 조난위치 발신기(10)가 무선 라우팅부(190)에 의해 중계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외부의 다른 단말기로부터 무선 신호를 받은 경우에 있어서의 다른 단말기의 RF ID이다. 각 RF ID는 예컨대 단말기 고유 ID들이다.
Here, the relay RF ID is an RF ID of another terminal when the distress location transmitter 10 receives a radio signal from another terminal when performing the relay function by the wireless routing unit 190. Each RF ID is for example terminal unique IDs.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를 살펴본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조난위치 발신기(10)는 부력구조 케이스를 구비하고, 부력구조 케이스의 내부 또는 외부에 고부력 구명복(30)의 수납용 공간(31)과 조난위치 발신기(10)를 연결하는 견고한 소정 길이의 줄이 구비되어 있다. 부력구조 케이스는 본 발명의 조난구조 장비가 물 속에 잠기는 경우 고부력 구명복(30)의 수납용 공간(31)으로 떨어져 나온 조난위치 발신기(10)가 수면으로 떠 오르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소정 길이의 줄이 연결된 것은 조난위치 발신기(10)가 수면 위로 떠오른 반면, 방한복을 착용한 사용자가 물 속에 잠긴 경우 사용자 또는 물 속 선박이 해류 등에 떠밀려 시간경과에 따라 이동하더라도 정확한 위치를 찾을 수 있게 한다. 부력구조 케이스의 내부 또는 외부에 감겨진 소정 길이의 줄은 조난위치 발신기(10)가 부력구조 케이스에 의해 수면으로 떠오르는 경우 풀리면서 방한복의 수납용 공간(31)과 연결되도록, 바람직하게는 수십미터의 길이로 감겨져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줄이 부력구조 케이스의 내부 또는 외부에 감겨진 조난위치 발신기(10)는 고부력 구명복(30)의 수납용 공간(31)으로 분리시켜 사용자의 일반 의복에 장착하고 소정 길이의 줄이 일반 의복 등에 연결시켜 사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선박사고시 구명동의를 착용하지 못하고 수면아래에 가라앉거나 또는 구명동의를 착용했음에도 선박과 함께 수면 아래로 가라앉음에 따라 GPS를 이용한 무선 전송이 되지 않거나 수면 아래에서 해류에 의해 떠내려감에 따라 위치추적의 어려워지는 문제를 해소하는데 도움이 된다.
Look a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not show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10 is provided with a buoyancy structure case, the storage space 31 and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10 of the high buoyancy life suit 30 inside or outside the buoyancy structure case 10. It is equipped with a string of sturdy length. The buoyancy rescue case is intended to allow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10, which has fallen into the storage space 31 of the high buoyancy rescue suit 30, when the distress rescue equip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bmerged in water, and floats to the surface of a predetermined length. This connection allows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10 to rise above the surface of the water, while the user wearing the winter clothes is submerged in the water so that the user or the ship in the water can be found in the current, even if the ship is moved by time and the like to find the correct position. A predetermined length of wire wound inside or outside the buoyancy structure case is loosened when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10 rises to the water surface by the buoyancy structure case and is connected to the storage space 31 of the winter clothes, preferably several tens of meters. It is wound to the length of. In addition, preferably,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10 in which a predetermined line is wound inside or outside the buoyancy structure case is separated into a storage space 31 of the high buoyancy life suit 30 and mounted in a general garment of a user. A string of length can be used in connection with general clothing. Therefore, in case of a ship accident, it may not be able to wear a life preserver or sink below the surface of the ship, or even if a life preserver is worn down, it may not be wirelessly transmitted using GPS or floated by currents under the water. This helps solve the problem of location tracking.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를 살펴본다. Look a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어부(170)는 전원 온 상태에서 RF 통신부(150)를 통해 수신되는 외부 신고소의 주장치로부터의 주기적 수신전계강도(RSSI)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의 범위에서 점차 작아지는 경우 출항 신고 모드로, 점차 커지는 경우 입항 신고 모드로 판단한다. 본 실시예에서 외부 신고소라 함은 육상 신고소, 출입항 신고 수신 또는/및 확인 가능한 해상의 함정, 경비정, 어업지도선 등을 말하고, 주장치는 무선 출입항 신고를 위해 무선 신호를 송신/수신하여 출입항을 확인하거나 중계하는 송수신 장치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출입항 신고 모드는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외부 신고소의 주장치 또는 그에 연결된 서버 시스템에서의 전자해도상에서 항구 외곽에 가상으로 형성된 출입항 존을 기준으로 해당 존을 벗어나는 경우 출항으로, 해당 존 내로 들어오는 경우를 입항으로 판단하는 방식이다. Preferably,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70 in the power-on state, the periodic received field strength (RSSI) from the main device of the external declaration station received through the RF communication unit 150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value If it gradually decreases in the range, it is determined as the departure reporting mod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xternal reporting station refers to a land declaration station, an access port report reception and / or a verifiable maritime vessel, a patrol boat, a fishery guidance line, etc., and the claim value confirms the access port by transmitting / receiving a radio signal for the wireless access report. Means a transmission / reception device that relays or relay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ntry / exit reporting mode is automatic. When the departure from the zone is based on the entry / exit zone virtually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port on the electronic chart of the main device of the external declaration office or the server system connected thereto, the departure and departure into the zone. It is a way of judging if it is coming in.

본 실시예의 출항 신고 모드에서 수신전계강도가 미리 설정된 값 아래로 떨어질 때까지 또는 외부 신고소의 주장치로부터 출항신고 완료에 상응하는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무선 전송한다. 그리고 입항 신고 모드에서 외부 신고소의 주장치로부터 입항신고 완료에 상응하는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무선 전송한다. 수신전계강도가 미리 설정된 값 아래로 떨어진 후 또는 출항신고 완료에 상응하는 신호를 수신한 후, 더 바람직하게는 출항신고 완료에 상응하는 신호를 수신한 후 출항 신고 모드가 해제되고, 입항신고 완료에 상응하는 신호를 수신한 후 또는 수신전계강도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으로 올라간 후, 더 바람직하게는 입항신고 완료에 상응하는 신호를 수신한 후 입항 신고 모드가 해제되도록 제어한다.In the departure report mod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cation information is periodically wirelessly transmitted until the received electric field strength drops below a preset value or until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mpletion of the departure report is received from the main device of the external reporting station. In the port report mode, the mobile station periodically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until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mpletion of the port report is received from the main device of the external report station. After the received electric field strength falls below a preset value or after receiving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mpletion of the departure report, the departure report mode is released after receiving th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mpletion of the departure notification, After receiving a corresponding signal or after the received electric field strength rises above a predetermined value, more preferably, after receiving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mpletion of the port arrival report, the port reporting mode is released.

본 실시예에 따라 조난위치 발신기(10)의 효용성을 높이고 어민의 출입항 신고의 편의를 높일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utility of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10 and increase the convenience of the fishermen's entry and exit report.

한편, 바람직하게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조난위치 발신기(10)의 설정입력부(130)는 출입항신고 설정/해제 버튼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170)는 설정입력부(130)에서의 출입항신고 설정 입력에 따라 출입항 모드로 판단하고, 출입항 모드에서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무선 전송하고, 설정입력부(130)에서의 출입항신고 해제 입력에 따라 또는 외부 신고소로부터의 출입항 신고 완료에 상응하는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출입항 모드가 아닌 상태로 판단하여 제어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외부 신고소로부터 출입항 신고 완료에 상응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오디오 또는/및 문자 또는/및 부저음 등의 방법으로 표시되고, 출입항 모드가 해제된다.
On the other hand, preferably, although not show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tting input unit 130 of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10 is provided with the entry / exit report setting / release butt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70 determines the entrance and exit mode according to the entry and exit report setting input from the setting input unit 130, and wirelessly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in the entry and exit mode periodically, the entry and exit report from the setting input unit 130 In response to the release input or receiving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mpletion of the entry / departure report from the external declaration statio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not in the entry / exit mode. In addition, preferably, when receiving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mpletion of the entry and exit report from the external declaration office, it is displayed by a method such as audio and / or text and / and buzzer sound, the entry and exit mode is released.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도시되지 않았으나, 조난위치 발신기(10)는 설정입력부(130)에 LOCK 키를 구비하여 부주의에 의한 SOS 온 설정 입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조난위치 발신기(10)는 통신체크버튼을 설정입력부(130)에 구비하여, 조난위치 발신기(10)의 통신성능 확인 또는/및 현 위치가 통신권역내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배터리 잔량 알람경보음 또는/및 배터리 잔량 LED 경보램프 또는/및 배터리 잔량 LCD창을 구비하여 배터리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 배터리 잔량은 LCD 창에 퍼센트 단위로 표시될 수도 있다.
Also prefera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not shown,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10 may have a lock key on the setting input unit 130 to prevent inadvertent SOS on setting input. .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1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check button in the setting input unit 130 to check the communication performance of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10 and / or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position is in the communication zone. have.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battery level alarm alarm sound and / and the battery level LED alarm lamp and / and the battery level LCD window can be checked the battery level. The battery level can also be displayed in percent on the LCD.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를 살펴본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고부력 구명복(30)의 수납용 공간(31)은 상부 일측에 형성되며 조난위치 발신기(10)를 수납한다. 고부력 구명복(30)은 부력 충전재로서 저밀도 폴리에틸렌 발포수지로 제조된 부력 충전재를 구비하고, 부력 충전재는 시트형으로 다중 겹으로 겹쳐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저밀도 폴리에틸렌 발포수지는 일반 PE폼이나 NBR, EVA 등을 부력재로 하는 구명동의와 달리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발포제, 이형제, 계면활성제를 배합하여 용융, 경화, 발포, 냉각 공정을 거쳐 고배율 압출공법으로 제조된다. 저밀도 폴리에틸렌 발포수지는 일반적인 부력재에 비하여 부력성이 뛰어나며, 얇은 시트형으로 제작하여 여러겹으로 겹쳐 만들더라도 착용자의 활동에 불편을 초래하지 않고 조업활동 중에도 제약없이 착용할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라, 종래의 선박용 구명동의가 두껍고 활동에 제약이 많아 조업에 지장을 줌에 따른 구명동의 미착용사고를 방지하는데 도움이 된다.Look a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torage space 31 of the high buoyancy life suit 30 is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accommodates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10. The high buoyancy life jacket 30 is provided with a buoyancy filler made of low density polyethylene foamed resin as a buoyancy filler, and the buoyancy filler is formed in a sheet-like layer in multiple layers. Preferably, the low-density polyethylene foamed resin is mixed with low-density polyethylene, a foaming agent, a release agent, and a surfactant by melting, curing, foaming, and cooling in a high magnification extrusion process, unlike life-saving agreements using buoyant materials such as general PE foam, NBR, and EVA. Are manufactured. Low-density polyethylene foam resin is excellent buoyancy compared to the general buoyancy material, even if made in a thin sheet-like overlapping multiple layers without causing inconvenience to the wearer's activities can be worn without restrictions during operation activities. Accordingly, the conventional lifejackets for ships are thick and limited in activity, which helps to prevent the wearing of lifejackets due to disruption of operation.

또한, 더 바람직하게는, 다중 겹으로 겹쳐진 각각의 시트형 충전재의 두께는 0.5 ~ 1 mm이다. 예컨대, 0.5 ~ 1 mm의 두께의 시트를 4~8겹으로 포개더라도 기존의 2.5~3.5cm 가량의 통상의 라이프자켓의 패드 두께보다 훨씬 얇아, 조업 등의 활동에 지장을 주지 않게 된다.
Further, more preferably, the thickness of each sheet-like filler stacked in multiple layers is 0.5 to 1 mm. For example, even if the sheet of 0.5 ~ 1 mm thick in four to eight fold is much thinner than the pad thickness of the conventional life jacket of about 2.5 ~ 3.5cm, it does not interfere with activities such as operation.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모습에 따른 고부력 구명복에 구비되는 조난위치 발신기를 이용한 조난구조 시스템의 구체적 실시예들을 살펴본다.Next, look at specific embodiments of the distress rescue system using a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provided in a high buoyancy life suit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부력 구명복에 구비되는 조난위치 발신기를 이용한 조난구조 시스템은 고부력 구명복에 구비되는 조난위치 발신기 및 서버시스템(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distress rescue system using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provided in the high buoyancy rescue su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and a server system (not shown) provided in the high buoyancy rescue suit.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고부력 구명복에 구비되는 조난위치 발신기는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부력 구명복에 구비되는 조난위치 발신기들이 사용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앞서 실시예들의 설명을 참조하도록 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provided in the high buoyancy life suit is used in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provided in the high buoyancy life su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refer to the description of the above embodiments.

도시되지 않았으나, 서버시스템은 고부력 구명복에 구비되는 조난위치 발신기로부터의 위치정보 또는 조난신호와 위치정보를 무선 수신하여 분석하고 분석된 정보를 전자해도상에 표시하며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조난신호 수신시 알람 및 조난신호의 위치 인근 경비정 또는 선박으로의 구조요청신호를 발생시킨다.Although not shown, the server system wirelessly receives and analyzes the location information or the distress signal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provided in the high buoyancy rescue suit, displays the analyzed information on the electronic chart, performs monitoring, and receives the distress signal. Location of Alarms and Distress Signals Generates a rescue request signal to a nearby patrol boat or ship.

본 실시예들에서의 서버시스템은 육상 신고소, 육상 관제센터, 육상의 신고소에 연결된 센터, 해상 함정, 경비정, 어업지도선 등에 구비된 송수신 주장치 또는 시스템이 해당될 수 있으며, 고부력 구명복에 구비되는 조난위치 발신기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단말기와 서버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면 족하다. 예컨대, 앞서 설명된 주장치는 하나의 서버시스템으로 이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서버시스템은 육상 관제센터로 이해될 수 있다.The server system in the present embodiments may be a transmission and reception main unit or system provided in a land declaration station, a land control center, a center connected to a land declaration station, a marine vessel, a patrol boat, a fishery guidance line, and the like. It is enough to form a network with the distress location transmitter to form a server-server relationship. For example, the claims described above can be understood as one server system. Preferably, the server system can be understood as a land control center.

본 실시예에서, 분석된 정보는 수신된 신호와 그에 매칭되는 것으로 DB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한 것으로, 예컨대, 위치좌표, 조난위치 발신기(10) 고유 ID 또는/및 사용자 ID를 비롯하여, 이동방향, 이동속도, 조난자 정보, 선박정보, 조난위치 발신기(10)의 배터리잔량, 인위적 전원 오프상태 등의 적어도 일부가 포함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nalyzed information is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and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DB to match it, for example, the position coordinates,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10 unique ID or / and the user ID, and the moving direction. , At least a portion of a moving speed, distress information, ship information,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of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10, the artificial power off state, and the like.

또한 바람직하게는, 분석된 정보로부터 전자해도상에 설정된 조업금지구역 내에 진입여부를 판단할 수 있어 불법어업 선박관리가 가능하다.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전자해도상의 조업금지구역 내 또는 주변에서 고부력 구명복에 구비되는 조난위치 발신기의 조난위치 발신기(10)의 전원 오프상태를 판단하여 관제컴퓨터 또는 전자해도상에 알람 또는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전원 오프 상태로의 불법조업을 관리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entry into the operation prohibited area set on the electronic chart from the analyzed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manage illegal fishing vessels. Further, preferably, by determining the power-off state of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10 of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provided in the high buoyancy rescue suit in or around the operation prohibited area on the electronic chart to alarm or display on the control computer or the electronic chart, Illegal operation to the power off state can be managed.

또한 바람직하게는, 서버시스템의 관제프로그램에서 GPS 내장된 주장치를 이용하여 이동중인 함정 반경을 기준으로 존을 설정하여 주기적으로 발산하는 조난위치 발신기(10)를 소지한 사용자의 추락 등에 의한 이탈사고를 자동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쌍끌이 어선 등 선단을 이루어 항해하는 선박의 이탈선박 확인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preferably, by using the embedded GPS value in the control system of the server system to set the zone based on the moving radius of the departure by the fall of the user having a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10 that emits periodically It can be automatically recognized. This can be usefully used to check the departure ship of a ship sailing in pairs such as a fishing boat.

또 바람직하게는, 고부력 구명복에 구비되는 조난위치 발신기를 이용한 조난구조 시스템의 하나의 실시예는 전술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고부력 구명복에 구비되는 조난위치 발신기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서버시스템으로 중계하는 중계단말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중계단말기는 앞서 설명된 중계단말기이고, 바람직하게는 선박에 구비된 중계단말기이다.
Further preferably, one embodiment of the distress rescue system using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provided in the high buoyancy life suit receives a radio signal from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provided in the high buoyancy life su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described above to relay to the server system It further comprises a relay terminal. Here, the relay terminal is a relay terminal described above, preferably a relay terminal provided in the ship.

게다가, 본 실시예에서의 서버시스템은 앞선 본 발명의 고부력 구명복에 구비되는 조난위치 발신기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적용에 따른 대응하는 적절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이러한 서버시스템의 구체적인 설명은 앞선 본 발명의 고부력 구명복에 구비되는 조난위치 발신기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당업자가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server system in the present embodiment can perform a corresponding appropriate function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provided in the high buoyancy life sui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such a server system is described above. Since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provided in the high buoyancy rescue suit, it will be omitted.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조난구조 시스템에서의 관제 모니터링 화면을 나타낸다.
6 shows a control monitoring screen in the distress rescu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모습에 따라, 고부력 구명복에 구비되는 조난위치 발신기를 이용한 조난구조 시스템은 고부력 구명복(30)에 구비되는 조난위치 발신기(10) 및 GPS 내장 주장치(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고부력 구명복에 구비되는 조난위치 발신기(10)는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부력 구명복(30)에 구비되는 조난위치 발신기(10)들이 사용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ress rescue system using a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provided in the high buoyancy life suit includes a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10 and a GPS built-in main unit (not shown) provided in the high buoyancy life suit 30 It is done by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10 provided in the high buoyancy life suit is used in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10 provided in the high buoyancy life suit 3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되지 않았으나, GPS 내장 주장치는 선박이나 함정에 창작되되 GPS를 내장하고 있다. 또한, GPS 내장 주장치는 고부력 구명복(30)에 구비되는 조난위치 발신기(10)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분석하고, 선박이나 함정의 현재위치, 바람직하게는 GPS 내장 주장치의 설치위치를 기준으로 전자해도 상에 영역을 설정하고, 조난위치 발신기(10)로부터의 무선 신호에 포함된 위치정보가 설정된 영역을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벗어나는 경우 알람 또는 점등 신호를 나타낸다.Although not shown, the built-in GPS claim is created on a ship or ship, but has a built-in GPS. In addition, the GPS embedded claim value receives and analyzes a radio signal from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10 provided in the high buoyancy life suit 30, and electronically based 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ship or the vessel, preferably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GPS embedded main device. An area is set on the chart,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adio signal from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10 is out of the set area, and when it is out, an alarm or a lighting signal is displayed.

이에 따라, GPS 내장된 주장치를 이용하여 이동중인 함정 반경을 기준으로 존을 설정하여 주기적으로 발산하는 조난위치 발신기(10)를 소지한 사용자의 추락 등에 의한 이탈사고를 자동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또한, 쌍끌이 어선 등 선단을 이루어 항해하는 선박의 이탈선박 확인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Accordingly, by using a GPS embedded claim value, the zone can be set based on a moving trap radius to automatically recognize a departure accident caused by a fall of a user having a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10 that emits periodically. In addition, it can also be usefully used to check the departure ship of the ship sailing in pairs such as fishing vessels.

또한, 도 6의 관제 모니터링 화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난위치 발신기(10)로부터 수신받은 무선신호를 분석하여, ID, 이름, 연락처, 관할출입항(도 6에서 주문진항), 현재위치, GPS 상태, 배터리 상태, 나아가 사진 등의 정보를 전자해도 상에 도시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the control monitoring screen of Figure 6, by analyzing the radio signal received from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10, ID, name, contact information, jurisdiction port (order port in Figure 6), current location, GPS status, Information such as a battery status and a photograph can also be shown on the electronic chart.

이상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되었다. 첨부된 도면 및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에 대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전술한 실시예들은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들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경, 대안, 균등물들이 전술한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어 있음은 자명하다.
In the foregoing,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foregoing embodiments are provided by way of illustration for purposes of clarity of understanding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and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embodiments, and various changes, alternatives, and equivalent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be made by the inventions It is obvious that it is included in the range of.

10 : 조난위치 발신기 30 : 고부력 구명복
31 : 수납용 공간 110 : 전원부
120 : 센서부 130 : 설정입력부
140 : GPS 수신부 150 : RF 통신부
160 : 메모리부 170 : 제어부
180 : 음파발신부 190 : 무선라우팅부
10: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30: High buoyancy life jacket
31: storage space 110: power supply
120: sensor unit 130: setting input unit
140: GPS receiver 150: RF communication unit
160: memory unit 170: control unit
180: sound wave transmitting unit 190: wireless routing unit

Claims (16)

수납용 공간이 형성된 고부력 구명복에 구비되는 조난위치 발신기에 있어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수분 또는 염분농도를 감지하는 센서부; 전원 온/오프 설정 및 SOS 온/오프 설정을 입력하는 설정입력부; GPS 위성신호를 수신하여 위치좌표를 산출하는 GPS 수신부; 조난신호를 외부로 무선 전송하고, 외부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RF 통신부; 설정 등록정보 및 상기 GPS 수신부로부터 산출된 위치좌표를 포함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각 구성들을 제어하고,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결과값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 또는 초과하는 경우 또는 상기 설정입력부로부터의 SOS 온 설정 입력되는 경우 SOS 모드로 판단하여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SOS 모드 판단시 상기 전원부로부터 상기 GPS 수신부로의 전원공급을 제어하여 미리 설정된 제1 간격으로 상기 GPS 수신부에서 위성신호를 수신하여 위치좌표를 산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산출된 위치좌표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위치좌표 중 최신의 위치좌표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설정 등록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조난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RF 통신부를 통해 미리 설정된 제2 간격으로 무선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SOS 모드가 아닌 경우 상기 전원부로부터 상기 GPS 수신부로의 전원공급을 제어하여 상기 SOS 모드 판단시의 상기 제1 간격보다 긴 미리 설정된 제3 간격으로 상기 GPS 수신부에서 위성신호를 수신하여 위치좌표를 산출하여 산출된 위치좌표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위치좌표 중 최신 위치좌표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설정 등록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RF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 간격보다 긴 미리 설정된 제4 간격으로 무선 전송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GPS 수신부의 작동을 중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부력 구명복에 구비되는 조난위치 발신기.
In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provided in the high buoyancy life suit with a storage space,
A power supply unit supplying power; Sensor unit for detecting water or salt concentration; A setting input unit for inputting power on / off setting and SOS on / off setting; A GPS receiver for receiving a GPS satellite signal and calculating a position coordinate; An RF communication unit wirelessly transmitting a distress signal to the outside and receiving a wireless signal from the outside; A memory unit for storing data including setting registration information and position coordinates calculated from the GPS receiver;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components, and determining and controlling the SOS mode when a result value detected by the sensor unit exceeds or exceeds a preset value or when an SOS on setting input from the setting input unit is input.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power supply from the power supply unit to the GPS receiver in determining the SOS mode, and receives the satellite signal at the GPS receiver at a first predetermined interval to calculate the position coordinates. Generating a distress signal including the latest position coordinates stored in the memory unit and at least a part of the setting regist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and controlling to wirelessly transmit at a second predetermined interval through the RF communication uni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power supply from the power supply unit to the GPS receiver when not in the SOS mode, and receives satellite signals at the GPS receiver at a preset third interval longer than the first interval when determining the SOS mode. Calculates coordinates and generates posi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latest position coordinates calculated from the position coordinates stored in the memory unit and at least a part of the setting regist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and generates the position information to be larger than the second interval through the RF communication unit.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provided in the high buoyancy life suit,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wireless transmission at a long preset fourth interval or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GPS receiv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GPS 수신부에서 수신하여 산출된 위치좌표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최신 위치좌표 사이에 좌표변화가 없거나 소정의 기준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간격보다 긴 간격으로 또는 상기 제3 간격보다 긴 간격으로 상기 GPS 수신부에서 위성신호를 수신하여 위치좌표를 산출하도록 전원 공급을 제어하고, 산출된 위치좌표를 포함하는 상기 조난신호 또는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제2 또는 제4 간격보다 긴 간격으로 무선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부력 구명복에 구비되는 조난위치 발신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have an interval longer than the first interval or longer than the third interval if there is no coordinate change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criterion between the position coordinate calculated by the GPS receiver and the latest position coordinate stored in the memory unit. Control the power supply to receive the satellite signal from the GPS receiver to calculate the position coordinates, and to wirelessly transmit the distress signal or the posi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calculated position coordinates at intervals longer than the second or fourth intervals.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provided in the high buoyancy life jacket,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SOS 모드 판단시 상기 제1 간격에서 점차 길어지는 간격으로 상기 GPS 수신부에서 위성신호를 수신하여 위치좌표를 산출하도록 전원 공급을 제어하고, 산출된 위치좌표를 포함하는 상기 조난신호를 상기 제2 간격에서 점차 길어지는 간격으로 무선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부력 구명복에 구비되는 조난위치 발신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power supply to receive the satellite signal at the GPS receiver to calculate the position coordinates at intervals that gradually increase from the first interval when the SOS mode is determined, and the distress signal includes the calculated position coordinates.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provided in the high buoyancy life jacke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to wireless transmission at intervals that gradually increase in the second interv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난위치 발신기는 조난신호에 상응하는 음파신호를 발신하는 음파발신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SOS 모드 판단시 상기 조난신호에 상응하는 음파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음파발신부를 통해 미리 설정된 제5 간격으로 발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부력 구명복에 구비되는 조난위치 발신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further comprises a sound wave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a sound wav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istress signal,
The control unit is a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provided in the high buoyancy life suit,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the sound wav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istress signal when determining the SOS mode to transmit at a predetermined fifth interval through the sound wave transmitter.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SOS 모드 판단시 상기 음파발신부에서 미리 설정된 상어퇴치 음파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음파발신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제6 간격으로 상기 상어퇴지 음파신호를 발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부력 구명복에 구비되는 조난위치 발신기.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troller controls the sound wave transmitter to generate a preset shark sound wave signal when the SOS mode is determined.
The sound wave transmitter is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provided in the high buoyancy life suit,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shark sound wave signal at the sixth interval prese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청구항 1 내지 5 중의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조난위치 발신기는 상기 RF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다른 조난위치 발신기로부터의 조난신호를 중계하며 무선 애드혹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무선 라우팅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부력 구명복에 구비되는 조난위치 발신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is a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provided in the high buoyancy life su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wireless routing unit for relaying distress signals from other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s received through the RF communication unit to form a wireless ad hoc network.
청구항 1 내지 5 중의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전원 오프 상태에서, 상기 설정입력부는 SOS 온 설정 버튼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길게 눌러진 경우 전원 인가 명령을 발생시키거나, 상기 센서부 및 상기 제어부에 최소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센서부에서 수분 또는 염분농도가 감지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전원 인가 결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 인가 명령 및 SOS 온 설정에 따라, 또는 상기 전원 인가 결정 및 감지된 결과값의 미리 설정된 값 이상 또는 초과 여부에 따라 SOS 모드로 판단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부력 구명복에 구비되는 조난위치 발신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In the power-off state, the setting input unit generates a power-up command when the SOS on setting button is press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or the minimum power is supplied to the sensor unit and the control unit, and the moisture or salt concentration of the sensor unit is supplied. Is detected, the controller determines power supply,
The control unit is provided in the high buoyancy life sui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according to the power-on command and the SOS on setting, or in the SOS mode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predetermined value or more than the predetermined value of the power-up determination and the detected result valu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청구항 1 내지 5 중의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GPS 수신부에서 GPS 위성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SOS 모드 판단시 현재 시간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설정 등록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조난신호, 또는 상기 RF 통신부에서 수신된 외부 서버시스템으로부터의 신호에 대한 회신정보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설정 등록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조난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RF 통신부를 통해 무선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SOS 모드가 아닌 경우 상기 위치정보의 무선 전송시, 현재 시간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설정 등록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위치정보, 또는 상기 RF 통신부에서 수신된 외부 서버시스템으로부터의 신호에 대한 회신정보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설정 등록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RF 통신부를 통해 무선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부력 구명복에 구비되는 조난위치 발신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If the GPS receiver does not receive a GPS satellite signal,
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the SOS mode, the distress signal including the current time and at least a part of the setting regist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or reply information on a signal from an external server system received by the RF communication unit, and the memory unit. Generate a distress signal including at least a portion of stored setting properties and wirelessly transmit the distress signal;
In the non-SOS mode, when the wireless transmission of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current time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etting regist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or a response to a signal from an external server system received by the RF communication unit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provided in the high buoyancy life suit,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information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etting regist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and to transmit the radio through the RF communication unit.
청구항 1 내지 5 중의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조난위치 발신기는 부력구조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부력구조 케이스의 내부 또는 외부에 상기 고부력 구명복의 수납용 공간과 상기 조난위치 발신기를 연결하는 견고한 소정 길이의 줄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부력 구명복에 구비되는 조난위치 발신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is provided with a buoyancy structure cas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provided in the high buoyancy life suit,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or outer side of the buoyancy structure case is provided with a rigid predetermined length of the line connecting the storage space of the high buoyancy life suit and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청구항 1 내지 5 중의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원 온 상태에서 상기 RF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외부 신고소의 주장치로부터의 주기적 수신전계강도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의 범위에서 점차 작아지는 경우 출항 신고 모드로, 점차 커지는 경우 입항 신고 모드로 판단하고, 상기 출항 신고 모드에서 상기 수신전계강도가 미리 설정된 값 아래로 떨어질 때까지 또는 상기 외부 신고소의 주장치로부터 출항신고 완료에 상응하는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그리고 상기 입항 신고 모드에서 상기 외부 신고소의 주장치로부터 입항신고 완료에 상응하는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상기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무선 전송하고 그 후 상기 출항 또는 입항 신고 모드가 해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부력 구명복에 구비되는 조난위치 발신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periodic reception electric field intensity received from the main device of the external reporting station received through the RF communication unit gradually decreases in a range of more than a predetermined value in the power-on state, and departs in the departing report mode when the control unit gradually increases. In the departure report mode, until the reception field strength falls below a preset value or until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mpletion of the departure report is received from the main device of the external declaration station and enters from the main device of the external declaration station in the entry notification mod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provided in the high buoyancy life suit characterized in that the radio periodically transmits the position information until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mpletion of the report and then control the release or departure report mode is released.
청구항 1 내지 5 중의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조난위치 발신기의 설정입력부는 출입항신고 설정/해제 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입력부에서의 출입항신고 설정 입력에 따라 출입항 모드로 판단하고, 상기 출입항 모드에서 상기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무선 전송하고, 상기 설정입력부에서의 출입항신고 해제 입력에 따라 또는 외부 신고소로부터의 출입항 신고 완료에 상응하는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출입항 모드가 아닌 상태로 판단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부력 구명복에 구비되는 조난위치 발신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setting input unit of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is provided with an entry and exit report setting / release butto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o enter and exit the mode according to the entry and exit report setting input from the setting input unit, and periodically wirelessly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in the entry and exit mode, and according to the entry and exit report release input from the setting input unit or from an external declaration offic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provided in the high buoyancy life sui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to determine the state that is not the access port mode in accordance with th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mpletion of the access port report.
청구항 1 내지 5 중의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고부력 구명복의 수납용 공간은 상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조난위치 발신기를 수납하고,
상기 고부력 구명복은 부력 충전재로서 저밀도 폴리에틸렌 발포수지로 제조된 부력 충전재를 구비하고,
상기 부력 충전재는 시트형으로 다중 겹으로 겹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부력 구명복에 구비되는 조난위치 발신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storage space of the high buoyancy life sui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ide to receive the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The high buoyancy life jacket is provided with a buoyancy filler made of low density polyethylene foamed resin as a buoyancy filler,
The buoyancy filler is a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provided in the high buoyancy life sui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multiple layers in a sheet form.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다중 겹으로 겹쳐진 각각의 시트형 충전재의 두께는 0.5 ~ 1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부력 구명복에 구비되는 조난위치 발신기.
The method of claim 12,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provided in the high buoyancy life jacket,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of each sheet-like filler overlapped with multiple layers is 0.5 ~ 1 mm.
고부력 구명복에 구비되는 조난위치 발신기를 이용한 조난구조 시스템에 있어서,
청구항 1 내지 5 중의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따른 고부력 구명복에 구비되는 조난위치 발신기; 및
상기 조난구조 장비로부터의 위치정보 또는 조난신호와 위치정보를 무선 수신하여 분석하고 분석된 정보를 전자해도상에 표시하며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상기 조난신호 수신시 알람 및 상기 조난신호의 위치 인근 경비정 또는 선박으로의 구조요청신호를 발생시키는 서버시스템;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부력 구명복에 구비되는 조난위치 발신기를 이용한 조난구조 시스템.
In the distress rescue system using a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provided in a high buoyancy life suit,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provided in the high buoyancy life sui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nd
Wirelessly receive and analyze the location information or distress signal and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distress rescue equipment, display the analyzed information on the electronic chart and perform monitoring, and when the distress signal is received, an alarm near the position of the alarm and the distress signal or A server system for generating a rescue request signal to a ship; Distress rescue system using a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provided in a high buoyancy life suit comprising a.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조난구조 장비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서버시스템으로 중계하는 중계단말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부력 구명복에 구비되는 조난위치 발신기를 이용한 조난구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Distress rescue system using a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provided in the high buoyancy life suit further comprises a relay terminal for receiving a radio signal from the distress rescue equipment to relay to the server system.
고부력 구명복에 구비되는 조난위치 발신기를 이용한 조난구조 시스템에 있어서,
청구항 1 내지 5 중의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따른 고부력 구명복에 구비되는 조난위치 발신기; 및
선박이나 함정에 창작되되 GPS를 내장하고, 상기 조난구조 장비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분석하고, 선박이나 함정의 현재위치를 기준으로 전자해도 상에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조난구조 장비로부터의 무선 신호에 포함된 위치정보가 상기 영역을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벗어나는 경우 알람 또는 점등 신호를 나타내는 GPS 내장 주장치;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부력 구명복에 구비되는 조난위치 발신기를 이용한 조난구조 시스템.
In the distress rescue system using a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provided in a high buoyancy life suit,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provided in the high buoyancy life sui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nd
Created on ships or ships with built-in GPS, receiving and analyzing radio signals from the distress rescue equipment, setting areas on the electronic chart based 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ship or ship, and radios from the rescue equipment A GPS built-in main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he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ignal is out of the area and indicates an alarm or lighting signal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is out of the area; Distress rescue system using a distress position transmitter provided in a high buoyancy life suit comprising a.
KR1020100123203A 2010-12-06 2010-12-06 An emergency position transmitter with which high floatable lifesaving clothes are equipped, and an accident rescue system using it KR1011351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203A KR101135148B1 (en) 2010-12-06 2010-12-06 An emergency position transmitter with which high floatable lifesaving clothes are equipped, and an accident rescue system using 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203A KR101135148B1 (en) 2010-12-06 2010-12-06 An emergency position transmitter with which high floatable lifesaving clothes are equipped, and an accident rescue system using 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5148B1 true KR101135148B1 (en) 2012-04-16

Family

ID=46143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3203A KR101135148B1 (en) 2010-12-06 2010-12-06 An emergency position transmitter with which high floatable lifesaving clothes are equipped, and an accident rescue system using 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5148B1 (en)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5591B1 (en) 2012-11-28 2013-12-31 국방과학연구소 Rescue signal pattern change type beacon and rescue signal transmitting method thereof
KR101389452B1 (en) 2012-03-12 2014-05-13 종합전자통신주식회사 Floting position pursuit apparatus of live jacket
KR101458356B1 (en) 2013-04-18 2014-11-05 한국세라믹기술원 SOS transmitting apparatus equipped in a life vest
KR101515929B1 (en) 2013-10-10 2015-05-04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Smart life vest system based on wireless wearable technology for rescue on/under the water and method thereof
KR101523704B1 (en) * 2014-12-04 2015-06-02 김상민 Distress signal transmitter and life jacket within the same
KR101532636B1 (en) * 2014-08-19 2015-06-30 태창엔이티 주식회사 Personal device for storaging and sending of a distress signal
KR20160079171A (en) 2014-12-26 2016-07-06 강명효 Smart lifesaving system based on lifesaving box having lte communication router
KR20160085095A (en) 2015-01-07 2016-07-15 주식회사 에코카 Transmitters, terminals to avoid the risk of using that transmitters and method thereof
KR20160119662A (en) 2015-04-06 2016-10-14 황지환 SOS Airball
KR20170021495A (en) 2015-08-18 2017-02-28 조정숙 LED distress position display terminal based on solar cell
GB2550623A (en) * 2016-05-18 2017-11-29 Jang Suk-Hyun An emergency position transmitt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835351B1 (en) * 2016-10-24 2018-03-08 (주)스마클로 Emergency situation detecting system using a buoyancy suit
CN109178219A (en) * 2018-10-29 2019-01-11 上海海事大学 A kind of maritime search and rescue AIS group-net communication buoy group
KR20190033965A (en) 2017-09-22 2019-04-01 주식회사 씨뱅크 Distress call device and method for life jacket
KR101971663B1 (en) * 2017-12-27 2019-04-23 에스트랜스포트 주식회사 Distress rescue system using sound wave
KR102012879B1 (en) * 2019-02-13 2019-10-21 유지호 Automated accident detection kit and its system using that kit
KR20190124563A (en) * 2018-04-26 2019-11-05 국방과학연구소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improving positioning performance at low power
WO2020095931A1 (en) * 2018-11-09 2020-05-14 M・S・K株式会社 System for assisting search and rescue of persons in distress, method for assisting search and rescue of persons in distress, rescue tag, lifesaving equipment, remote management system, remote management method and management tag
JP2020075694A (en) * 2018-11-09 2020-05-21 M・S・K株式会社 Person in distress search rescue support system, person in distress search rescue support method, rescue tag, life jacket, remote management system, remote management method, and management tag
KR102165241B1 (en) * 2020-01-21 2020-10-13 상명대학교산학협력단 Position tracking life jacket minimizing battery power consumption
KR20230014950A (en) * 2021-07-22 2023-01-31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Life jacket mounted locator
KR20230092411A (en) * 2021-12-17 2023-06-26 주식회사 지텔글로벌 A maritime distress identification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4566A (en) * 1996-05-15 1997-12-10 김종윤 Working clothes combined with lifejacket
KR200425958Y1 (en) 2006-06-15 2006-09-12 주식회사 엘림시스 The Personal Emergency Locator Transmitter and The Search And Rescue System
KR100716518B1 (en) 2006-09-20 2007-05-09 주식회사 알에프테크윈 Wireless distress signal device with gps and wireless rescue system thereof
KR20100119995A (en) * 2009-05-04 2010-11-12 (주)한국시엠알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istress signal with buo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4566A (en) * 1996-05-15 1997-12-10 김종윤 Working clothes combined with lifejacket
KR200425958Y1 (en) 2006-06-15 2006-09-12 주식회사 엘림시스 The Personal Emergency Locator Transmitter and The Search And Rescue System
KR100716518B1 (en) 2006-09-20 2007-05-09 주식회사 알에프테크윈 Wireless distress signal device with gps and wireless rescue system thereof
KR20100119995A (en) * 2009-05-04 2010-11-12 (주)한국시엠알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istress signal with buoy

Cited B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452B1 (en) 2012-03-12 2014-05-13 종합전자통신주식회사 Floting position pursuit apparatus of live jacket
KR101345591B1 (en) 2012-11-28 2013-12-31 국방과학연구소 Rescue signal pattern change type beacon and rescue signal transmitting method thereof
KR101458356B1 (en) 2013-04-18 2014-11-05 한국세라믹기술원 SOS transmitting apparatus equipped in a life vest
KR101515929B1 (en) 2013-10-10 2015-05-04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Smart life vest system based on wireless wearable technology for rescue on/under the water and method thereof
KR101532636B1 (en) * 2014-08-19 2015-06-30 태창엔이티 주식회사 Personal device for storaging and sending of a distress signal
KR101523704B1 (en) * 2014-12-04 2015-06-02 김상민 Distress signal transmitter and life jacket within the same
KR20160079171A (en) 2014-12-26 2016-07-06 강명효 Smart lifesaving system based on lifesaving box having lte communication router
KR20160085095A (en) 2015-01-07 2016-07-15 주식회사 에코카 Transmitters, terminals to avoid the risk of using that transmitters and method thereof
KR20160119662A (en) 2015-04-06 2016-10-14 황지환 SOS Airball
KR20170021495A (en) 2015-08-18 2017-02-28 조정숙 LED distress position display terminal based on solar cell
GB2550623A (en) * 2016-05-18 2017-11-29 Jang Suk-Hyun An emergency position transmitt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815643B1 (en) 2016-05-18 2018-02-21 (주)우리별 An emergency position transmitt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835351B1 (en) * 2016-10-24 2018-03-08 (주)스마클로 Emergency situation detecting system using a buoyancy suit
KR20190033965A (en) 2017-09-22 2019-04-01 주식회사 씨뱅크 Distress call device and method for life jacket
KR101971663B1 (en) * 2017-12-27 2019-04-23 에스트랜스포트 주식회사 Distress rescue system using sound wave
KR102206645B1 (en) * 2018-04-26 2021-01-22 국방과학연구소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improving positioning performance at low power
KR20190124563A (en) * 2018-04-26 2019-11-05 국방과학연구소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improving positioning performance at low power
CN109178219A (en) * 2018-10-29 2019-01-11 上海海事大学 A kind of maritime search and rescue AIS group-net communication buoy group
CN109178219B (en) * 2018-10-29 2024-03-08 上海海事大学 Maritime search and rescue AIS networking communication buoy group
WO2020095931A1 (en) * 2018-11-09 2020-05-14 M・S・K株式会社 System for assisting search and rescue of persons in distress, method for assisting search and rescue of persons in distress, rescue tag, lifesaving equipment, remote management system, remote management method and management tag
JP2020075694A (en) * 2018-11-09 2020-05-21 M・S・K株式会社 Person in distress search rescue support system, person in distress search rescue support method, rescue tag, life jacket, remote management system, remote management method, and management tag
KR102012879B1 (en) * 2019-02-13 2019-10-21 유지호 Automated accident detection kit and its system using that kit
KR102165241B1 (en) * 2020-01-21 2020-10-13 상명대학교산학협력단 Position tracking life jacket minimizing battery power consumption
KR20230014950A (en) * 2021-07-22 2023-01-31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Life jacket mounted locator
KR102555073B1 (en) * 2021-07-22 2023-07-17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Life jacket mounted locator
KR20230092411A (en) * 2021-12-17 2023-06-26 주식회사 지텔글로벌 A maritime distress identification system
KR102632000B1 (en) * 2021-12-17 2024-01-31 주식회사 지텔글로벌 A maritime distress identificat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5148B1 (en) An emergency position transmitter with which high floatable lifesaving clothes are equipped, and an accident rescue system using it
US7642919B2 (en) Signalling and localization device for an individual in the sea and method of use thereof
RU2566830C2 (en) Passive restraint system and equipment providing passive restraint system on vessels for situations "man overboard"
KR101815643B1 (en) An emergency position transmitt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1294074B2 (en) Tracking system and method
CN102956089B (en) A kind ofly search and rescue terminal and the rescue method waterborne based on this search and rescue terminal
EP1872151A1 (en) Salvage system for life jacket
KR101633347B1 (en) Automatic distress beacon and identifies the location reporting system using smart devices
KR101205411B1 (en) Real time location system and method in the sea using ultrasonic and RF signal
KR102116563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distress passenger of vessel
US11830337B2 (en) Signal device for maritime distress rescue and surveilance device for maritime distress rescue
CN104199070A (en) Marine target positioning method, help seeking terminal and search and rescue terminal and system
US1009340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handling a man overboard situation
KR102012879B1 (en) Automated accident detection kit and its system using that kit
US20190331754A1 (en) Location system for maritime beacon and associated methods
KR20190081426A (en) Monitoring System for Marine Distress Signal Based on Buoy type Smart Point
JP2009282963A (en) Device for detecting person falling into water
CN202929801U (en) Search and rescue terminal
KR101995259B1 (en) Man overboard alert apparatus using wireless device
KR20230152853A (en) Emergency position transmitter with lifesaving clothes and accident rescue system using it
KR102406660B1 (en) Monitoring system for rescue worker
KR20200047993A (en) Monitoring System for Marine Distress Signal Based on Buoy type Smart Point
KR20200125530A (en) Apparatus for position tracking of sufferer on the sea
JPH0995298A (en) Drowning rescue device
GB2556214A (en) Emergency Indic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