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0120A - 콘텐트 제공 서버 및 방법 - Google Patents

콘텐트 제공 서버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0120A
KR20170130120A KR1020160060756A KR20160060756A KR20170130120A KR 20170130120 A KR20170130120 A KR 20170130120A KR 1020160060756 A KR1020160060756 A KR 1020160060756A KR 20160060756 A KR20160060756 A KR 20160060756A KR 20170130120 A KR20170130120 A KR 201701301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nformation
terminal
consumer
consum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0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일한
Original Assignee
이일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일한 filed Critical 이일한
Priority to KR1020160060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0120A/ko
Publication of KR20170130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01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1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 H04N21/23109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by placing content in organized collections, e.g. EPG data reposito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locally within server, e.g. reading video streams from disk ar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2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 H04N21/26258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for generating a list of items to be played back in a given order, e.g. playlist, or scheduling item distribution according to such li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텐트 제공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비자가 입력한 검색어에 대응되는 태그 정보 및 콘텐트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콘텐트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콘텐트 제공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트 제공 서버는 공급자 단말로부터 하나 이상의 콘텐트 정보 및 각각의 콘텐트 정보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제1 태그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소비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검색어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면, 상기 제1 태그 정보 중 상기 검색어에 대응되는 제2 태그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제2 태그 정보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콘텐트 정보를 검색하는 검색부, 검색된 상기 하나 이상의 콘텐트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트 목록을 상기 소비자 단말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콘텐트 제공 서버 및 방법{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본 발명은 콘텐트 제공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비자가 입력한 검색어에 대응되는 태그 정보 및 콘텐트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콘텐트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콘텐트 제공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IT 산업의 급속한 발달로 통신망을 통해 교환되는 콘텐트의 종류는 날이 갈수록 다양해 지고 방대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콘텐트의 소비자들이 PC 또는 모바일 기기 등을 통해 접할 수 있는 콘텐트가 많아지고, 콘텐트에 대한 사용자들의 생활 의존도 역시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혼자 사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고 각종 요리 프로그램 및 요식업 등이 성행함에 따라 음식 콘텐트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소비자의 취향에 맞는 음식 콘텐트를 제공하는 온, 오프라인 매장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음식 콘텐트를 중개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콘텐트 중개 서버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음식 콘텐트 중개 서버는 음식 콘텐트를 제공하는 오프라인 매장과 소비자의 거래를 중개하는 서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음식 콘텐트 중개 서버는 소비자의 주문을 받아 오프라인 매장으로 전달하고, 오프라인 매장은 해당 주문에 따른 음식 콘텐트를 소비자에게 배달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방식은 사업자가 아닌 개인이 음식 콘텐트를 제공하기 어렵고, 정형화된 배달 음식 콘텐트만을 제공하므로, 다양한 음식 콘텐트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이 제시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 콘텐트 제공 방법은 음식 콘텐트의 카테고리에 제한이 있어 새롭고 독창적인 콘텐트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콘텐트 제공 방법은 주공급자가 오프라인에서 활동하는 프랜차이즈, 요식업체, 전문 요리사 등이므로 콘텐트의 다양성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콘텐트 제공 방법은 오프라인 매장 등을 기반으로 하는 공급자들에 의해 콘텐트가 제공되므로, 별도의 비용 소모 없이 누구나 자신의 콘텐트를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콘텐트 제공 방법은 정형화된 홍보용 음식 사진 등을 이용해 콘텐트를 광고함으로써, 콘텐트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콘텐트 제공 방법은 콘텐트를 검색하는데 있어서 카테고리 검색을 이용하므로 소비자에게 맞춤형 콘텐트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콘텐트 제공 방법은 음식 콘텐트의 명칭 검색만을 이용하므로 소비자의 심리 상태 등을 반영하여 콘텐트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콘텐트 제공 방법은 콘텐트와 소비자간의 거리에 관계 없이 콘텐트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가 신속하게 콘텐트를 제공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공급자가 제작한 다양한 콘텐트 정보를 수신하여 제공함으로써, 새롭고 독창적인 콘텐트를 자유롭게 제공할 수 있는 콘텐트 제공 서버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누구나 자유롭게 콘텐트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별도의 비용 소모 없이 자신의 콘텐트를 제공할 수 있는 콘텐트 제공 서버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급자가 직접 제작한 콘텐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콘텐트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콘텐트 제공 서버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비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검색어에 대응하는 다양한 콘텐트 정보를 소비자 단말로 제공함으로써, 맞춤형 콘텐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콘텐트 제공 서버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감정 또는 상황 등의 키워드를 이용하여 콘텐트를 검색함으로써, 소비자 심리 상태 등을 반영하여 콘텐트를 제공할 수 있는 콘텐트 제공 서버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비자에게 가까운 거리에 있는 콘텐트를 우선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소비자가 신속하게 콘텐트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콘텐트 제공 서버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콘텐트에 대한 주문 정보를 공급자에게 송신하고, 콘텐트에 대한 배송 정보를 소비자에게 송신함으로써, 통합적이고 원활한 콘텐트 유통을 가능하게 하는 콘텐트 제공 서버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트 제공 서버는 공급자 단말로부터 하나 이상의 콘텐트 정보 및 각각의 콘텐트 정보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제1 태그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소비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검색어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면, 상기 제1 태그 정보 중 상기 검색어에 대응되는 제2 태그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제2 태그 정보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콘텐트 정보를 검색하는 검색부, 검색된 상기 하나 이상의 콘텐트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트 목록을 상기 소비자 단말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트 제공 방법은 공급자 단말로부터 하나 이상의 콘텐트 정보 및 각각의 콘텐트 정보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제1 태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소비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검색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태그 정보 중 상기 검색어에 대응되는 제2 태그 정보 및 상기 제2 태그 정보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콘텐트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상기 하나 이상의 콘텐트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트 목록을 상기 소비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급자가 제작한 다양한 콘텐트 정보를 수신하여 제공함으로써, 새롭고 독창적인 콘텐트를 자유롭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누구나 자유롭게 콘텐트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별도의 비용 소모 없이 자신의 콘텐트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급자가 직접 제작한 콘텐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콘텐트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소비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검색어에 대응하는 다양한 콘텐트 정보를 소비자 단말로 제공함으로써, 맞춤형 콘텐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감정 또는 상황 등의 키워드를 이용하여 콘텐트를 검색함으로써, 소비자 심리 상태 등을 반영하여 콘텐트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소비자에게 가까운 거리에 있는 콘텐트를 우선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소비자가 신속하게 콘텐트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콘텐트에 대한 주문 정보를 공급자에게 송신하고, 콘텐트에 대한 배송 정보를 소비자에게 송신함으로써, 통합적이고 원활한 콘텐트 유통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트 제공 서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부 및 송신부가 공급자 단말 및 소비자 단말과 통신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콘텐트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표정 이모티콘이 소비자 단말에 표시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콘텐트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날씨 이모티콘이 소비자 단말에 표시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자 단말을 통해 음식 콘텐트를 업로드 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 단말을 통해 음식 콘텐트를 주문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거리 순으로 정렬된 콘텐트 목록이 소비자 단말에 표시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트 제공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콘텐트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트 정보를 정렬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트 제공 서버(1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트 제공 서버(100)는 수신부(110), 검색부(120), 송신부(130) 및 산출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콘텐트 제공 서버(100)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그 구성요소들이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가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부(110) 및 송신부(130)가 공급자 단말(210) 및 소비자 단말(220)과 통신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콘텐트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표정 이모티콘이 소비자 단말(220)에 표시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콘텐트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날씨 이모티콘이 소비자 단말(220)에 표시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수신부(110), 송신부(130) 및 검색부(12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수신부(110)는 공급자 단말(210)로부터 하나 이상의 콘텐트 정보 및 각각의 콘텐트 정보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제1 태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급자 단말(210)은 콘텐트를 콘텐트 제공 서버(100)에 업로드 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콘텐트는 인터넷이나 통신 등을 통하여 제공되는 유형 또는 무형의 상품을 포함할 수 있고, 음식, 여행상품, 의류, 패션잡화, 음악, 영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콘텐트 정보는 콘텐트에 대한 정보로써 콘텐트 영상, 콘텐트 이미지, 콘텐트 재고량 및 콘텐트 가격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트는 음식일 수 있고, 콘텐트 정보는 음식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영상일 수 있다.
제1 태그 정보는, 공급자가 공급자 단말(210)을 통해 콘텐트를 업로드 할 때 콘텐트에 대한 부가 설명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태그 정보는 이모티콘, 감정 키워드, 상황 키워드, 용도 키워드, 재료 키워드 및 날씨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태그 정보의 예시로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에서 검색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입력되는 해시태그(Hashtag)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트가 음식이면 제1 태그 정보는 #즐거운 날, #행복한 오후, #비오는날 먹는 파전, #스트레스 받을 때 먹는 떡볶이, #당근으로 만든 주스, #다이어트 할 때 먹는 샐러드 등의 해시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수신부(110)는 소비자 단말(220)을 통해 입력된 검색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소비자 단말(220)은 콘텐트 제공 서버(100)로부터 콘텐트를 제공받기 위해 사용되는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검색어는 해당 검색어에 대응되는 태그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것으로,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색어는 감정을 나타내는 #두근두근, #설렘, #우울, #외로움, # 짜증 등의 해시태그를 포함할 수 있고, 상황을 나타내는 #축구, #졸업식, #파티, #회의 등의 해시태그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검색어는 날씨를 나타내는 #맑음, #비, #흐림, #눈, #바람 등의 해시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소비자 단말(220)을 통해 입력되는 검색어는 표정 이모티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비자는 여러 개의 표정 이모티콘 중 자신의 심리 상태를 나타내는 표정 이모티콘을 선택함으로써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소비자 단말(220)을 통해 입력되는 검색어는 날씨 이모티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비자는 여러 개의 날씨 이모티콘 중 자신이 위치한 곳의 날씨 상태를 나타내는 날씨 이모티콘을 선택함으로써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소비자는 음성인식이 가능한 단말기를 통해 음성으로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고, 표정감지가 가능한 단말기를 통해 자신의 표정을 촬영하여 검색어를 입력할 수도 있다.
또한, 수신부(110)는 소비자 단말(220)로부터 콘텐트 주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콘텐트 주문 정보는 소비자가 주문하고자 하는 콘텐트를 주문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트 주문 정보는 콘텐트를 구매하기 위한 금액, 콘텐트 주문 수량, 콘텐트의 배송 희망 지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신부(110)는 콘텐트 주문 정보에 따라 콘텐트가 배송되면, 공급자 단말(210)로부터 콘텐트 배송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콘텐트 배송 정보는 공급자가 콘텐트를 배송한 시간, 배송 시작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물품 배송 중계 업체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수신부(110)는 공급자 단말(210)로부터 콘텐트 정보에 대응되는 콘텐트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소비자 단말(220)로부터 소비자 단말(220)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 정보는 산출부(140)가 콘텐트 거리 정보를 산출하는데 이용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송신부(130)는 검색부(120)에 의해 검색된 하나 이상의 콘텐트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트 목록(240)을 소비자 단말(220)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콘텐트 목록(240)은 콘텐트 정보를 일정한 순서로 나열한 것일 수 있다. 한편, 검색부(120)는 검색어에 대응되는 제2 태그 정보 및 콘텐트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송신부(130)는 수신부(110)에서 수신된 콘텐트 주문 정보를 공급자 단말(210)로 송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콘텐트 제공 서버(100)는 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콘텐트 주문 정보를 저장한 후 공급자 단말(210)로 송신하여 공급자에게 주문 사실을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송신부(130)는 수신부(110)에서 수신된 콘텐트 배송 정보를 소비자 단말(220)로 송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콘텐트 제공 서버(100)는 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콘텐트 배송 정보를 저장한 후 소비자 단말(220)로 송신하여 소비자에게 배송 사실을 통지할 수 있다.
상술한 수신부(110) 및 송신부(130)는 공급자 단말(210) 및 소비자 단말(220)과 통신하기 위하여 무선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수신부(110), 송신부(130), 공급자 단말(210) 및 소비자 단말(220)은 IOT(Internet Of Things)를 기반으로 하는 인터넷 서버 또는 클라우드 서버 등을 공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부(120)는 소비자 단말(220)을 통해 입력된 검색어가 수신부(110)에 의해 수신되면, 제1 태그 정보 중 검색어에 대응되는 제2 태그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검색부(120)는 제2 태그 정보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콘텐트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검색부(120)는 방대한 분량의 자료 중 원하는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색부(120)는 검색어와 동일한 제2 태그 정보를 검색하거나 검색어를 포함하는 제2 태그 정보를 검색할 수 있으며, 검색어와 유사한 제2 태그 정보를 검색하는 검색엔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소비자는 소비자 단말(220)에 감정을 나타내는 해시태그인 #행복을 검색할 수 있다. 이 때, 검색부(120)는 제1 태그 정보 중 #행복에 대응되는 제2 태그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색부(120)는 #행복을 포함하는 제2 태그 정보로서 #행복한 오후
Figure pat00001
를 검색할 수 있고, #행복한 오후
Figure pat00002
에 대응되는 음식 콘텐트(230)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소비자는 소비자 단말(220)에 감정을 나타내는 표정 이모티콘인
Figure pat00003
을 검색할 수 있다. 이 때, 검색부(120)는 제1 태그 정보 중
Figure pat00004
에 대응되는 제2 태그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색부(120)는
Figure pat00005
을 포함하는 제2 태그 정보로서 #즐거운 날
Figure pat00006
을 검색할 수 있고, #즐거운 날
Figure pat00007
에 대응되는 음식 콘텐트(230)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소비자는 소비자 단말(220)에 날씨를 나타내는 날씨 이모티콘인
Figure pat00008
을 검색할 수 있다. 이 때, 검색부(120)는 제1 태그 정보 중
Figure pat00009
에 대응되는 제2 태그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색부(120)는
Figure pat00010
을 포함하는 제2 태그 정보로서 #행복한 오후
Figure pat00011
를 검색할 수 있고, #행복한 오후
Figure pat00012
에 대응되는 음식 콘텐트(230)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검색부(120)는 소비자 단말(220)이 음성인식이 가능한 경우 인식된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여 해당 텍스트에 대응되는 제2 태그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검색부(120)는 소비자 단말(220)이 표정인식이 가능한 경우 인식된 표정을 텍스트로 변환하거나 이모티콘으로 변환하여 해당 텍스트 또는 이모티콘에 대응되는 제2 태그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자 단말(210)을 통해 음식 콘텐트(230)를 업로드 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 단말(220)을 통해 음식 콘텐트(230)를 주문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공급자가 음식 콘텐트(230)를 업로드 하는 과정 및 소비자가 음식 콘텐트(230)를 주문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a) 공급자는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음식을 제조하는 영상을 촬영하여 음식 콘텐트(230)를 제작할 수 있다. (b) 그 다음, #비오는 날, #매콤한
Figure pat00013
과 같이 음식 콘텐트(230)를 제작할 때의 상황, 음식 콘텐트(230)의 맛을 나타내는 해시태그와 함께 촬영된 음식 콘텐트(230) 영상을 업로드 할 수 있다. (c) 그 다음, 콘텐트 제공 서버(100)는 해당 음식 콘텐트(230)의 가격과 판매 수량을 기재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공급자가 해당 음식 콘텐트(230) 가격을 5000원, 판매 수량은 4개로 기재함으로써 음식 콘텐트(230)의 업로드가 완료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1) 소비자는 자신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콘텐트 제공 서버(100)에 접속하고, 음식 콘텐트(230)를 구매하기 위한 금액을 충전할 수 있다. (2) 그 다음, 소비자는 #비오는 날과 같이 현재 날씨에 기초한 해시태그를 검색창에 입력하여 음식 콘텐트(230)를 검색할 수 있다. 콘텐트 제공 서버(100)는 입력된 해시태그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콘텐트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트 목록(240)을 제공할 수 있다. (3) 소비자는 제공된 콘텐트 목록(240) 중에서 주문하고자 하는 콘텐트 정보를 선택하여 음식 콘텐트(230) 제조 영상을 확인하고 해당 음식 콘텐트(230)를 주문할 수 있다.
한편, 공급자 및 소비자간에 거래되는 콘텐트의 가격은 현실화폐로 거래될 수 있고, 실물 없이 네트워크 상에서만 존재하는 가상화폐로 거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가상화폐를 이용하는 경우 소비자가 콘텐트 제공 서버(100)에 1000원을 입금하면 콘텐트 제공 서버(100)는 해당 소비자의 계정에 10개의 잼(jjam)이라는 가상화폐를 지급할 수 있다. 이 때, 1개의 잼은 100원의 가치를 가질 수 있다. 한편, 공급자는 현실화폐가 아닌 가상화폐로 콘텐트의 가격을 설정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콘텐트 제공 서버(100)는 (c)단계의 가격설정 화면을 잼 개수 설정 화면으로 대체할 수 있다. 이 때, 공급자는 잼 개수로써 5000원에 해당하는 50개를 기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트 제공 서버(100)는 콘텐트를 공급하는 공급자에게 일정 리워드를 제공함으로써, 콘텐트 제공에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트 제공 서버(100)는 공급자가 업로드 한 콘텐트 개수에 따라 현실화폐 또는 현실화폐에 대응하는 가상화폐를 지급할 수 있다. 또한 콘텐트 제공 서버(100)는 업로드 된 콘텐트의 주문 수량에 따라 현실화폐 또는 현실화폐에 대응하는 가상화폐를 지급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거리 순으로 정렬된 콘텐트 목록(240)이 소비자 단말(220)에 표시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및 도 7을 참조하여 산출부(14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출부(140)는 콘텐트 위치 정보 및 소비자 단말(220) 위치 정보 사이의 콘텐트 거리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콘텐트 위치 정보는 콘텐트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로서 공급자가 콘텐트를 제공할 때 콘텐트가 제조되는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식 콘텐트인 경우 일반 가정에서 음식을 제조하는 공급자는 자신의 집 위치를 콘텐트 위치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전문 음식점에서 음식을 제조하는 공급자는 자신의 음식점 위치를 콘텐트 위치 정보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콘텐트 위치 정보는 공급자에 의해 직접 설정될 수 있고, GPS 또는 데이터 기반 위치 추적 기능 등을 통해 공급자 단말(210)의 위치로 자동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콘텐트 위치 정보는 상술한 수신부(110)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한편, 소비자 단말(220) 위치 정보는 GPS 또는 데이터 기반 위치 추적 기능 등을 통해 측정되는 소비자 단말(220)의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추적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소비자 단말(220) 위치 정보는 소비자가 미리 설정한 위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비자가 여행중인 경우 소비자 단말(220) 위치 정보는 GPS를 통해 수신된 해당 여행지의 위치일 수 있고, 소비자가 미리 설정한 소비자 집의 위치일 수도 있다. 한편, 소비자 단말(220) 위치 정보는 상술한 수신부(110)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산출부(140)는 수신된 콘텐트 위치 정보 및 소비자 단말(220) 위치 정보 사이의 콘텐트 거리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콘텐트 거리 정보는 콘텐트 위치 정보와 소비자 단말(220) 위치 정보 사이의 직선 거리를 포함할 수 있고, 도로를 따라 이동 가능한 최단 거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산출부(140)는 검색된 하나 이상의 콘텐트 정보에 대응하는 각각의 콘텐트 거리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콘텐트 정보는 콘텐트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정렬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소비자는 #매콤이라는 해시태그를 이용하여 콘텐트를 검색할 수 있고, 콘텐트 제공 서버(100)는 #매콤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콘텐트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트 목록(240)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콘텐트 목록(240)에 포함되는 콘텐트 정보는 거리가 가까운 콘텐트로부터 거리가 먼 콘텐트로 정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비자는 자신의 위치와 가까운 콘텐트를 주문하여 신속하게 콘텐트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트 제공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콘텐트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트 정보를 정렬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트 제공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트 제공 장치는 공급자 단말로부터 하나 이상의 콘텐트 정보 및 각각의 콘텐트 정보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제1 태그 정보를 수신한다(S710). 그 다음, 콘텐트 제공 장치는 소비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검색어를 수신한다(S720). 그 후, 콘텐트 제공 장치는 제1 태그 정보 중 검색어에 대응되는 제2 태그 정보 및 제2 태그 정보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콘텐트 정보를 검색한다(S730). 마지막으로, 콘텐트 제공 장치는 검색된 하나 이상의 콘텐트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트 목록을 소비자 단말로 송신한다(S740).
단계(S710) 및 단계(S720)는 도 1에 도시된 수신부(110)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할 수 있고, 단계(S730)는 도 1에 도시된 검색부(120)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단계(S740)는 도 1에 도시된 송신부(130)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트 제공 장치는 콘텐트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트 정보를 정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콘텐트 제공 장치는 공급자 단말로부터 콘텐트 정보에 대응되는 콘텐트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810). 그 다음, 콘텐트 제공 장치는 소비자 단말로부터 소비자 단말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820). 그 후, 콘텐트 제공 장치는 콘텐트 위치 정보 및 소비자 단말 위치 정보 사이의 콘텐트 거리 정보를 산출할 수 있고(S830), 콘텐트 목록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콘텐트 정보를 콘텐트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정렬할 수 있다(S840). 단계(S810) 및 단계(S820)는 도 1에 도시된 수신부(110)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할 수 있고, 단계(S830)는 도 1에 도시된 산출부(140)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급자가 제작한 다양한 콘텐트 정보를 수신하여 제공함으로써, 새롭고 독창적인 콘텐트를 자유롭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누구나 자유롭게 콘텐트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별도의 비용 소모 없이 자신의 콘텐트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급자가 직접 제작한 콘텐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콘텐트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소비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검색어에 대응하는 다양한 콘텐트 정보를 소비자 단말로 제공함으로써, 맞춤형 콘텐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감정 또는 상황 등의 키워드를 이용하여 콘텐트를 검색함으로써, 소비자 심리 상태 등을 반영하여 콘텐트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소비자에게 가까운 거리에 있는 콘텐트를 우선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소비자가 신속하게 콘텐트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콘텐트에 대한 주문 정보를 공급자에게 송신하고, 콘텐트에 대한 배송 정보를 소비자에게 송신함으로써, 통합적이고 원활한 콘텐트의 유통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12)

  1. 공급자 단말로부터 하나 이상의 콘텐트 정보 및 각각의 콘텐트 정보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제1 태그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소비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검색어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면, 상기 제1 태그 정보 중 상기 검색어에 대응되는 제2 태그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제2 태그 정보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콘텐트 정보를 검색하는 검색부; 및
    검색된 상기 하나 이상의 콘텐트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트 목록을 상기 소비자 단말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콘텐트 제공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태그 정보 및 상기 제2 태그 정보는
    이모티콘, 감정 키워드, 상황 키워드, 용도 키워드, 재료 키워드 및 날씨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콘텐트 제공 서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트 정보는
    콘텐트 영상, 콘텐트 이미지, 콘텐트 재고량 및 콘텐트 가격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콘텐트 제공 서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에 의해 상기 공급자 단말로부터 상기 콘텐트 정보에 대응되는 콘텐트 위치 정보가 수신되고, 상기 수신부에 의해 상기 소비자 단말로부터 소비자 단말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콘텐트 위치 정보 및 상기 소비자 단말 위치 정보 사이의 콘텐트 거리 정보를 산출하는 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콘텐트 목록에 포함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콘텐트 정보는 상기 콘텐트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정렬되는
    콘텐트 제공 서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소비자 단말로부터 콘텐트 주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콘텐트 주문 정보를 상기 공급자 단말로 송신하는
    콘텐트 제공 서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콘텐트 주문 정보에 따라 상기 콘텐트가 배송되면, 상기 공급자 단말로부터 콘텐트 배송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콘텐트 배송 정보를 상기 소비자 단말로 송신하는
    콘텐트 제공 서버.
  7. 공급자 단말로부터 하나 이상의 콘텐트 정보 및 각각의 콘텐트 정보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제1 태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소비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검색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태그 정보 중 상기 검색어에 대응되는 제2 태그 정보 및 상기 제2 태그 정보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콘텐트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검색된 상기 하나 이상의 콘텐트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트 목록을 상기 소비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트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태그 정보 및 상기 제2 태그 정보는
    감정 키워드, 상황 키워드, 용도 키워드, 재료 키워드 및 날씨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콘텐트 제공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트 정보는
    콘텐트 영상, 콘텐트 이미지, 콘텐트 재고량 및 콘텐트 가격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콘텐트 제공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자 단말로부터 상기 콘텐트 정보에 대응되는 콘텐트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소비자 단말로부터 소비자 단말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트 위치 정보 및 상기 소비자 단말 위치 정보 사이의 콘텐트 거리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트 목록에 포함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콘텐트 정보를 상기 콘텐트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정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텐트 제공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비자 단말로부터 콘텐트 주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트 주문 정보를 상기 공급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텐트 제공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트 주문 정보에 따라 콘텐트가 배송되면, 상기 공급자 단말로부터 콘텐트 배송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트 배송 정보를 상기 소비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텐트 제공 방법.
KR1020160060756A 2016-05-18 2016-05-18 콘텐트 제공 서버 및 방법 KR201701301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756A KR20170130120A (ko) 2016-05-18 2016-05-18 콘텐트 제공 서버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756A KR20170130120A (ko) 2016-05-18 2016-05-18 콘텐트 제공 서버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120A true KR20170130120A (ko) 2017-11-28

Family

ID=60811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0756A KR20170130120A (ko) 2016-05-18 2016-05-18 콘텐트 제공 서버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01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1648A1 (ko) * 2020-06-11 2021-12-16 (주) 알트소프트 콘텐츠 확보가 가능한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1648A1 (ko) * 2020-06-11 2021-12-16 (주) 알트소프트 콘텐츠 확보가 가능한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37119B2 (en) Architecture and associated methodology for data standardization and utilization in retail industry applications
JP6511024B2 (ja) 消費者主導広告システム
US1062164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gital gift card selection
US20180285465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channel, decision making, and recommendations
CA2710883C (en) Enhancing and storing data for recall and use
US20180300774A1 (en) Product Review Platform Based on Social Connections
TWI490808B (zh) 智慧型裝置輔助商務
AU2011345269B2 (en) Providing relevant notifications for a user based on location and social information
US2013029010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irections to items of interest
TW201011583A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mapping and routing
WO2009079609A2 (en) Communications network system
CN103858142A (zh) 店铺信息提供系统
KR102645521B1 (ko) 식당의 광고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CN113496428A (zh) 适地性内容媒合方法与系统
KR20170118297A (ko) 기상 정보에 기반한 상품 추천 방법
US20160328697A1 (en) Light-life system and application
WO2013116816A1 (en) System and method of inferring user preferences
KR20130102793A (ko) 모바일 쿠폰 서비스 제공 서버,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위한 기록매체
KR20150076407A (ko) 맞춤형 샘플 제공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101180359B1 (ko) 제품리뷰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
KR101699041B1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여 지인 간의 인터랙션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70130120A (ko) 콘텐트 제공 서버 및 방법
KR20150006919A (ko) 중고 컨텐츠를 판매하는 방법 및 장치
JP2021162991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1593856B2 (en) Crowd-based product recommendatio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