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0111A - 모형선 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형 시험 방법 - Google Patents

모형선 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형 시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0111A
KR20170130111A KR1020160060733A KR20160060733A KR20170130111A KR 20170130111 A KR20170130111 A KR 20170130111A KR 1020160060733 A KR1020160060733 A KR 1020160060733A KR 20160060733 A KR20160060733 A KR 20160060733A KR 20170130111 A KR20170130111 A KR 201701301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l line
space
model
upper structure
spac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0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상
남종오
이창훈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0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0111A/ko
Publication of KR20170130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01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0/00Hydrodynamic testing; Arrangements in or on ship-testing tanks or water tunnels
    • B63B9/02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erodynamic Tests, Hydrodynamic Tests, Wind Tunnels, And Water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형선 시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체가 수용되는 유체 수용 공간 및 모형선을 수용하는 모형선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수조; 상기 수조 상부에 배치되며, 모형선과 연결되어 유체 상에서 모형선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상부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모형선 수용 공간은 상기 유체 수용 공간과 연결되되 상기 모형선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공간부; 상기 제1 공간부의 일단으로부터 서로 다른 복수개의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1 공간부로부터 유입되는 모형선을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제1 공간부 측으로 모형선을 방출하는 제2 공간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모형선 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형 시험 방법{APPARATUS FOR TESTING MODEL SHIP AND METHOD FOR TESTING MODEL SHIP}
본 발명은 모형선 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형 시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형선의 교체 시간을 절감하여 모형선 시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모형선 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형 시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수면 위에서 가장 안정한 상태로 유체의 저항을 가장 적게 받으면서 고속의 속도를 구현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조건을 갖춘 선박을 시행착오 없이 제작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실제의 선박이 아닌 모형선박을 미리 제작한 후 예인수조 안에서 선박의 형상에 따른 물의 저항 및 프로펠러의 곡면형상에 의한 추진력 등과 같은 다양한 측정을 시험할 수 있는 모형선박 시험용 예인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모형선박 시험용 예인장치는 실해역과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길이 및 폭, 깊이 등을 갖춘 예인수조 안에 시험하고자하는 모형선박을 띄워놓음과 동시에 좌우측 레일 위에 지지되는 서브 예인전차의 중앙에 모형선박을 조립한 후, 서브 예인전차와 메인 예인전차를 이용하여 추진되도록 하므로써 모형선박이 유체 위를 실제의 해역에서 달리는 것과 같이 고속 또는 저속으로 선회 주행되도록 하여 그에 따른 각종 시험 데이터를 수득하여 최적의 조건을 갖춘 선박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예인수조 안에 채워진 수위, 즉 파고(波高)는 모형선박의 최적의 조건의 시험 데이터를 측정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므로 파고를 매우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저항식 및 레이저식, 초음파식 등의 다양한 파고계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있다.
한편, 모형선의 시험 장치와 관련하여 제10-2016-0006998호가 개시되고 있다. 이러한 모형선의 시험 장치에서 모형선은 상부 구조물에 장착되어 수조 내에서 이동하는데, 모형선 교체시 모형선을 상부 구조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이 빈번히 발생한다.
이러한 교체 과정에 의해 모형선의 교체 시간이 증가하게 되며, 이로 인해 수조에 저장된 수조수의 대류가 변동하여 시험 정확성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모형선의 교체 시간 증가 및 수조수의 대류 안정성을 확보하는 시간이 추가적으로 요구되어 전체 시험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06998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험 정확성을 확보하고 시험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모형선 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형 시험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유체가 수용되는 유체 수용 공간 및 모형선을 수용하는 모형선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수조; 상기 수조 상부에 배치되며, 모형선과 연결되어 유체 상에서 모형선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상부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모형선 수용 공간은 상기 유체 수용 공간과 연결되되 상기 모형선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공간부; 상기 제1 공간부의 일단으로부터 서로 다른 복수개의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1 공간부로부터 유입되는 모형선을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제1 공간부 측으로 모형선을 방출하는 제2 공간부;를 구비하는 모형선 시험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공간부와 상기 제2 공간부 사이를 개폐가능하게 마련되는 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공간부는 상기 제1 공간부로부터 서로 다른 2개의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모형선이 기수용되는 제1 수용부와 상기 제1 공간부로부터 유입되는 모형선이 수용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2 수용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수용부와 제2 수용부는 예각을 형성하며, 상기 제1 공간부와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1 공간부와 제2 수용부는 둔각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 구조물은 모형선과 연결되되 모형선의 흘수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모형선 시험 장치를 이용한 모형선 시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부 구조물 상에 제1 모형선이 장착된 상태로 상기 상부 구조물을 상기 모형선 수용 공간 측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단계; 상기 제1 모형선이 상기 제1 수용부 측으로 진입하도록 상기 상부 구조물을 이동시키는 제1 수용부 진입단계; 상기 제1 모형선을 상기 제2 공간부 측으로 진입시키되 상기 제2 공간부 측에 기수용된 제2 모형선을 상기 상부 구조물 측에 연결시키는 교체단계;를 포함하는 모형선 시험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교체단계 이후에, 상기 상부 구조물 상에 제2 모형선이 장착된 상태로 상기 상부 구조물을 상기 모형선 수용 공간 측으로 이동시키는 재이동 단계; 상기 제2 모형선이 상기 제1 수용부 측으로 진입하도록 상기 상부 구조물을 이동시키는 제1 수용부 재진입단계; 상기 제2 모형선을 상기 제2 공간부 측으로 진입시키되 상기 제2 공간부 측에 기수용된 제1 모형선을 상기 상부 구조물 측에 연결시키는 재교체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형선의 교체 시간을 절감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수조 수의 대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모형선의 교체 시간의 절감을 통해 전체적인 시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단축된 시험 시간 및 변수 발생의 억제를 통해 시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형선 시험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형선 시험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모형선 시험 방법에서 이동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에 따른 모형선 시험 방법에서 제1 수용부 진입단계를 이동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2에 따른 모형선 시험 방법에서 교체단계를 이동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2에 따른 모형선 시험 방법에서 재이동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2에 따른 모형선 시험 방법에서 제2 수용부 진입단계를 이동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2에 따른 모형선 시험 방법에서 재교체단계를 이동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형선 시험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형선 시험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형선 시험 장치(100)는 수조(110)를 유체 수용 공간(120)과 모형선 수용 공간(130)으로 구분하고, 모형선 수용 공간(130)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모형선을 구비하여 모형선 수용 공간(130) 내에서 모형선의 교체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서, 수조(110)와 상부 구조물(150)과 측정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수조(110)는 모형선(M)에 의한 시험이 수행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유체 수용공간(120)과 모형선 수용공간(130)과 개폐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체 수용공간(120)은 수조수(W)가 수용되는 공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유체 수용공간(120)은 모형선의 시험 공간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충분한 시험 공간의 확보를 위해 수조(110) 내의 대부분의 공간을 차지하게 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모형선 수용공간(130)는 모형선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으로 제1 공간부(131)와 제2 공간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형선 수용공간(130)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2개의 모형선을 이용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시험 전 후술할 상부 구조물(150) 상에 연결된 모형선을 제1 모형선(M1)으로 정의하고, 제2 공간부(132) 상에 수용된 모형선을 제2 모형선(M2)으로 정의한다.
상기 제1 공간부(131)는 후술할 제2 공간부(132)와 유체 수용공간(120)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유체 수용공간(120)과 모형선 수용공간(130)의 경계로부터 모형선 수용공간(130) 측으로 연장되며, 제1 모형선(M1)의 이동 경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로를 따라 연장된다.
다시 설명하면, 제1 공간부(131)는 제1 모형선(M1)과 제2 모형선(M2)의 교체가 이루어지는 공간으로서, 제1 모형선(M1)이 제2 공간부(132) 측으로 이동하는 통로가 되며 제2 모형선(M2)이 상부 구조물(150)에 연결될 수 있도록 제2 공간부(132)를 이탈하는 경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공간부(131)의 길이는 제1 모형선(M1)의 길이보다 다소 길게 마련될 수 있고, 폭은 제1 모형선(M1)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그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공간부(132)는 제1 공간부(131)으로 일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제1 공간부(131)와 연결되는 복수개의 공간을 형성하며, 제1 공간부(131)로부터 유입되는 제1 모형선(M1)이 수용되는 공간 및 제1 공간부(131) 측으로 전달되는 제2 모형선(M2)이 기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2 공간부(132)는 서로 다른 2개의 공간인 제1 수용부(133)와 제2 수용부(134)를 구비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제1 수용부(133)는 제2 모형선(M2)이 기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제2 수용부(134)는 제1 모형선(M1)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수용부(133)와 제2 수용부(134) 사이는 예각을 형성하며, 제1 수용부(133)와 제1 공간부(131) 사이 및 제2 수용부(134)와 제1 공간부(131) 사이는 둔각을 형성할 수 있다.
가령, 제1 수용부(133)와 제1 공간부(131) 사이 및 제2 수용부(134)와 제1 공간부(131) 사이는 동일한 각도를 형성함으로써, 제1 공간부(131)와 제1 수용부(133)와 제2 수용부(134)는 전체적으로 "Y"자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모형선(M1)의 유입 및 제2 모형선(M2)의 유출을 보다 부드럽게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140)는 제1 공간부(131)와 제2 공간부(132) 사이를 개폐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으로, 더 정확히는 제2 공간부(132) 측으로의 모형선의 유입 또는 유출을 차단하거나 허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개폐부(140)는 다양한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가령, 제1 수용부(133)와 제1 공간부(131) 사이 및 제2 수용부(134)와 제1 공간부(131) 사이에 각각 마련되어 제1 수용부(133)와 제1 공간부(131) 사이 및 제2 수용부(134)와 제1 공간부(131) 사이의 개폐를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물론, 제1 수용부(133)와 제2 수용부(134) 사이를 기준으로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제1 수용부(133)와 제2 수용부(134)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수용부(133)가 개방되면 제2 수용부(134)는 밀폐되고, 제1 수용부(133)가 밀폐되면 제2 수용부(134)가 개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모형선(M2)이 제2 수용부(134)에 저장된 상태에서는 제2 수용부(134)는 밀폐된 상태, 제1 수용부(133)는 개방된 상태이며, 제1 공간부(131)로 유입되는 제1 모형선(M1)은 자연스럽게 제1 수용부(133) 측에 안착한다. 이 후, 제1 수용부(133)가 밀폐되면 제2 수용부(134)가 개방되고 제2 모형선(M2)은 제1 공간부(131)를 통해 상부 구조물(150)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물론, 제2 공간부(132)는 n개(여기서, n는 최소 3)의 수용부를 구비할 수 있고, n-1개의 수용부에 모형선들이 기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구조물(150) 상에 장착된 모형선은 모형선들이 기저장되지 않은 어느 하나의 수용부로 이동하고, 기저장된 모형선 중 어느 하나의 모형선이 상부 구조물(150) 상으로 이동하여 상기와 같은 시험을 반복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구조물(150)은 수조(110) 상부에 마련되어 모형선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구조물(150)은 수조(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마련되고, 이러한 상부 구조물(150)의 운동에 따라 상부 구조물(150)에 연결되는 모형선은 상부 구조물(150)과 동시에 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부 구조물(150)은 수조(110)를 마주보는 면에 모형선과 연결가능하며,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수면상에서 모형선이 배치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부(151)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높이 조절부(151)는 상부 구조물(150)의 수조(110)를 마주보는 면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고, 유압 또는 공압에 따라 모형선을 수중으로 밀어내거나 수면 위로 부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부 구조물(150)은 원활한 이동을 위해 수조(110)와의 사이에 레일(152)을 구비할 수 있다.
더 정확히 설명하면, 수조(110)의 서로 마주보는 모서리 상면에 한 쌍의 레일(152)이 거치되고, 한 쌍의 레일(152)의 상부에 상부 구조물(150)의 양단부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부 구조물(150)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종래의 주지한 어떠한 구성도 채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측정부(160)는 모형선의 흘수를 측정하는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측정부(160)는 모형선이 수중에 잠긴 정도를 측정하게 된다.
여기서, 측정부(160)는 수중에 잠긴 상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수조(110)에 장착되거나 또는 상부 구조물(150)에 장착될 수 있다. 즉, 모형선을 측정할 수 있다면 설치 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물론, 수조(110)에 별도의 관측창(미도시)이 형성되고, 모형선의 이동 경로를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조명부(미도시)를 구비하여 시험 수행자가 직접적으로 모형선의 흘수를 측정하도록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모형선 시험 장치를 이용한 모형선 시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형선 시험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형선 시험 방법(S100)은 상술한 모형선 시험 장치(100)를 이용하여 모형선을 시험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동단계(S110)와 제1 수용부 진입단계(S120)와 교체단계(S130)를 포함한다.
도 3은 도 2에 따른 모형선 시험 방법에서 이동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에 따른 모형선 시험 방법에서 제1 수용부 진입단계를 이동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2에 따른 모형선 시험 방법에서 교체단계를 이동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단계(S110)는 상부 구조물(150) 상에 제1 모형선(M1)이 장착된 상태로 상부 구조물(150)을 모형선 수용 공간(130) 측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이다.
다시 설명하면, 제1 모형선(M1)을 통한 시험을 마무리하고 제2 모형선(M2)으로 교체하기 위하여 상부 구조물(150)을 이동시키는 시험 마무리 단계로 볼 수 있다.
여기서, 이동단계(S110) 이전에 제1 모형선을 시험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부 구조물(150)을 통해 제1 모형선(M1)이 수조(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1회 이상 왕복운동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수용부 진입단계(S120)는 제1 모형선(M1)이 제1 수용부(133)에 진입하도록 상부 구조물(150)을 이동시키는 단계이다.
가령, 상부 구조물(150)은 제1 공간부(131)의 상부에 위치할 때까지 이동할 수 있고, 제1 모형선(M1)과의 연결을 해제함으로써 관성에 의해 제1 모형선(M1)이 제1 수용부(133) 측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여기서, 개폐부(140)는 제2 수용부(134)를 밀폐시키되 제1 수용부(133)는 개방할 수 있으며, 제1 모형선(M1)은 자연스럽게 제1 수용부(133) 측으로 이동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교체단계(S130)는 제1 모형선(M1)을 제1 수용부(133) 측에 진입시키고, 제1 모형선(M1)의 진입이 완료되면 제2 모형선(M2)을 제2 수용부(134) 측에서 제1 공간부(131) 측으로 이동시켜 상부 구조물(150)에 연결시키는 단계이다.
상술한 것과 같이 제2 모형선(M2)는 제2 수용부(134) 내부에 기수용된 상태이며, 개폐부(140)를 통해 제2 수용부(134)를 개방시킴으로써 제2 모형선(M2)을 제2 수용부(134)로부터 이탈시키고 상부 구조물(150) 상에 연결시킬 수 있다.
상술한 단계를 진행한 후에 제2 모형선(M2)을 통해 다시 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도 2에 따른 모형선 시험 방법에서 재이동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2에 따른 모형선 시험 방법에서 제2 수용부 진입단계를 이동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2에 따른 모형선 시험 방법에서 재교체단계를 이동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가령, 도 6 내지 도 8과 같이 제1 모형선(M1)을 통해 다시 시험을 수행한다면, 재이동단계(S140)와 제2 수용부 진입단계(S150)와 재교체단계(S160)를 수행할 수 있다. 각각의 단계는 상술한 이동단계(S110)와 제1 수용부 진입단계(S120)와 교체단계(S1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다만, 제2 모형선(M2)을 제1 모형선(M1)으로 교체한다는 점이 상이하다.
물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시험이 완료된 제2 모형선(M2)을 다시 제2 수용부(134) 측에 진입시키고, 제1 모형선(M1) 또는 제3의 모형선을 상부 구조물(150)에 장착하여 추가적인 시험을 수행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술한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은 모형선의 교체 시간을 절감하여 수조수의 대류 안정성을 확보하고, 시험 시간을 절감함으로써 시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례 또는 변형례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볼 것이다.
100: 모형선 시험 장치
110: 수로 120: 유체 수용공간
130: 모형선 수용공간 140: 개폐부
150: 상부 구조물 160: 측정부
S100: 모형선 시험 방법
S110: 이동단계 S120: 제1 수용부 진입단계
S130: 교체단계 S140: 재이동단계
S150: 제2 수용부 진입단계 S160: 재교체단계

Claims (8)

  1. 유체가 수용되는 유체 수용 공간 및 모형선을 수용하는 모형선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수조;
    상기 수조 상부에 배치되며, 모형선과 연결되어 유체 상에서 모형선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상부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모형선 수용 공간은 상기 유체 수용 공간과 연결되되 상기 모형선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공간부; 상기 제1 공간부의 일단으로부터 서로 다른 복수개의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1 공간부로부터 유입되는 모형선을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제1 공간부 측으로 모형선을 방출하는 제2 공간부;를 구비하는 모형선 시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간부와 상기 제2 공간부 사이를 개폐가능하게 마련되는 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모형선 시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간부는 상기 제1 공간부로부터 서로 다른 2개의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모형선이 기수용되는 제1 수용부와 상기 제1 공간부로부터 유입되는 모형선이 수용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2 수용부를 구비하는 모형선 시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와 제2 수용부는 예각을 형성하며,
    상기 제1 공간부와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1 공간부와 제2 수용부는 둔각을 형성하는 모형선 시험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구조물은 모형선과 연결되되 모형선의 흘수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를 구비하는 모형선 시험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모형선을 마주보는 위치에 마련되어 모형선의 흘수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모형선 시험 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모형선 시험 장치를 이용한 모형선 시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부 구조물 상에 제1 모형선이 장착된 상태로 상기 상부 구조물을 상기 모형선 수용 공간 측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단계;
    상기 제1 모형선이 상기 제1 수용부 측으로 진입하도록 상기 상부 구조물을 이동시키는 제1 수용부 진입단계;
    상기 제1 모형선을 상기 제2 공간부 측으로 진입시키되 상기 제2 공간부 측에 기수용된 제2 모형선을 상기 상부 구조물 측에 연결시키는 교체단계;를 포함하는 모형선 시험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단계 이후에,
    상기 상부 구조물 상에 제2 모형선이 장착된 상태로 상기 상부 구조물을 상기 모형선 수용 공간 측으로 이동시키는 재이동 단계;
    상기 제2 모형선이 상기 제1 수용부 측으로 진입하도록 상기 상부 구조물을 이동시키는 제1 수용부 재진입단계;
    상기 제2 모형선을 상기 제2 공간부 측으로 진입시키되 상기 제2 공간부 측에 기수용된 제1 모형선을 상기 상부 구조물 측에 연결시키는 재교체단계;를 포함하는 모형선 시험 방법.
KR1020160060733A 2016-05-18 2016-05-18 모형선 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형 시험 방법 KR201701301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733A KR20170130111A (ko) 2016-05-18 2016-05-18 모형선 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형 시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733A KR20170130111A (ko) 2016-05-18 2016-05-18 모형선 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형 시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111A true KR20170130111A (ko) 2017-11-28

Family

ID=60811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0733A KR20170130111A (ko) 2016-05-18 2016-05-18 모형선 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형 시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011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37795A (zh) * 2021-03-23 2021-06-11 中国船舶科学研究中心 一种气层减阻波浪试验中的横摇装置及其使用方式
KR20240076311A (ko) 2022-11-23 2024-05-30 한화오션 주식회사 모형선 데크형상 변경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37795A (zh) * 2021-03-23 2021-06-11 中国船舶科学研究中心 一种气层减阻波浪试验中的横摇装置及其使用方式
KR20240076311A (ko) 2022-11-23 2024-05-30 한화오션 주식회사 모형선 데크형상 변경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97901B (zh) 一种冰区船模试验拖曳装置
KR101571308B1 (ko) 선박 건조공법
JP6104790B2 (ja) 水中航走体模擬実験装置及び水中航走体模擬実験方法
CA2560609C (en) A device for the checking and measurement of the journal bearing clearance on the rudder shaft of a rudder for water-borne craft
KR101767216B1 (ko) 모형시험용 선박 충격하중 측정 장치
KR20170130111A (ko) 모형선 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형 시험 방법
CN108557007A (zh) 一种船体巨型总段海上对位合拢方法
KR100343021B1 (ko) 6자유도 운동 계측장치
KR102157797B1 (ko) 선박의 상가 시스템
KR20120062093A (ko) 선체의 흘수 계측용 장치
KR100343022B1 (ko) 4자유도 운동 및 저항 계측장치
KR20170104204A (ko) 예인수조의 예인 시험장치
KR102268578B1 (ko) 건식 계류시스템의 초기 자세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120139213A (ko) 모형선박의 반류 계측장치
CN100498201C (zh) 检测和测量水上运输工具用舵的舵杆的轴颈轴承间隙的装置以及相应的检测及测量方法和该装置的应用
KR20130014083A (ko) 잠수함의 경사시험 장치와 그 방법
KR101460022B1 (ko) 모형선의 설치 오차 최소화 장치
KR101460023B1 (ko) 양력 계측을 통하여 모형선의 설치 오차를 최소로 만드는 방법
US3547065A (en) Keel boat
Morabito Planing in Shallow Water at Critical Speed.
KR100974849B1 (ko) 부유체 운동 실험용 예인 및 계류 장치
KR102486115B1 (ko) 예인수조 수심조절 시스템에 적용되는 수심 조절부의 승강 보정장치
KR101775099B1 (ko) 마찰력 시험장치
RU2804146C1 (ru) Стенд для экспериментального исследования процессов движения на плаву и затопления двухзвенного гусеничного транспортера
KR20160110823A (ko) 모형선박 예인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