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0022B1 - 모형선의 설치 오차 최소화 장치 - Google Patents

모형선의 설치 오차 최소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0022B1
KR101460022B1 KR20130130624A KR20130130624A KR101460022B1 KR 101460022 B1 KR101460022 B1 KR 101460022B1 KR 20130130624 A KR20130130624 A KR 20130130624A KR 20130130624 A KR20130130624 A KR 20130130624A KR 101460022 B1 KR101460022 B1 KR 101460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l line
dynamometer
lift
model
s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30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반석호
임근태
안해성
이영연
김철희
황승현
김명수
유윤규
이창용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20130130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00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0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0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0/00Hydrodynamic testing; Arrangements in or on ship-testing tanks or water tunn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erodynamic Tests, Hydrodynamic Tests, Wind Tunnels, And Water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형선의 양력 계측을 통하여 모형선의 설치 오차가 최소가 되도록 만들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모형선의 설치 오차에 기인하는 양력을 계측하고 양력이 최소화되도록 모형선의 설치 자세를 조절하는 것으로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예인수조에서 저항/자항과 같은 모형시험을 수행하는 경우 모형선의 설치 오차를 최소화하여 모형시험의 정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모형선의 설치 오차 최소화 장치{device for minimizing installation error of ship model}
본 발명은 모형선의 설치 오차 최소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모형선의 양력 계측을 통하여 모형선의 설치 오차가 최소가 되도록 만들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인수조에서 저항/자항과 같은 모형시험을 수행하는 경우 모형선의 6자유도 운동 중 좌우동요(sway), 선수동요(yawing)를 제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모형선의 선수와 선미에 트림가이드라 불리는 모형선 운동 구속 장치가 설치된다. 그러나 트림가이드의 예인전차 내 설치 위치나 모형선에 트림가이드가 부착되는 위치는 오차를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모형선의 길이방향이 예인전차의 진행방향과 일치하지 않고 차이가 발생하여 받음각(angle of attack)을 가지게 된다. 이처럼 받음각이 생기면 모형선에 양력(lift)이 작용하여 저항계측 값에 영향을 주게 되며 이는 모형시험의 전체적인 정확도에까지 영향을 주게 된다(도 1).
모형선 시험장치(특허출원 제10-2010-009451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모형선의 양력 계측을 통하여 모형선의 설치 오차가 최소가 되도록 만들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모형선의 설치 오차에 기인하는 양력을 계측하고 양력이 최소화되도록 모형선의 설치 자세를 조절하는 것으로 달성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형선의 선수에 부착되는 제1부착부; 상기 제1부착부와 제1유니버셜조인트로 연결되며 상기 제1부착부에 가해지는 측력을 계측하는 제1동력계 및; 상기 제1동력계와 연결되며 예인전차 프레임 사이에 설치된 제1거치대 상에서 좌우로 이동하면서 모형선의 선수 방향을 좌우로 조절하는 제1조절부;로 이루어지는 선수조절부와, 모형선의 선미에 부착되는 제2부착부; 상기 제2부착부와 제2유니버셜조인트로 연결되며 상기 제2부착부에 가해지는 측력을 계측하는 제2동력계 및; 상기 제2동력계와 연결되며 예인전차 프레임 사이에 설치된 제2거치대 상에서 좌우로 이동하면서 모형선의 선미 방향을 좌우로 조절하는 제2조절부;로 이루어지는 선미조절부를 포함하는, 모형선의 설치 오차 최소화 장치로서, 상기 제1동력계와 상기 제2동력계가 모형선의 설치 오차에 기인하는 양력을 계측하고 상기 제1조절부와 상기 제2조절부가 좌우로 이동하면서 양력이 최소화되도록 모형선의 설치 자세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선의 설치 오차 최소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조절부는, 상기 제1동력계에 연결되되, 수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제1하부수직축; 상기 제1하부수직축에 힌지로 연결되되, 수면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제1수평축 및; 상기 제1수평축에 힌지로 연결되되, 수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거치대 상에서 좌우로 이동하는 제1상부수직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조절부는, 상기 제2동력계에 연결되되, 수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하부수직축; 상기 제2하부수직축에 힌지로 연결되되, 수면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수평축 및; 상기 제2수평축에 힌지로 연결되되, 수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거치대 상에서 좌우로 이동하는 제2상부수직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수평축은 수평을 유지하기 위한 제1평형보정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수평축은 수평을 유지하기 위한 제2평형보정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예인수조에서 저항/자항과 같은 모형시험을 수행하는 경우 모형선의 설치 오차를 최소화하여 모형시험의 정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모형선의 설치 오차에 따른 양력 발생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형선의 설치 오차 최소화 장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형선의 선수 및 선미 위치 조절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1번 시험의 상황과 그 때 계측된 A-B와 양력의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2번 시험의 상황과 그 때 계측된 A-B와 양력의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2번 시험 종료 후 양력이 0으로 예상되는 위치를 찾는 선형보간 법.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3번 시험 종료 후 양력이 0으로 예상되는 위치를 찾는 선형근사 법.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형선의 설치 오차 최소화 장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모형선(50)의 양력 계측을 통하여 모형선(50)의 설치 오차를 최소로 만들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선수조절부(10)와 선미조절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경우, 선수조절부(10)는 제1부착부(11)와 제1동력계(13) 및 제1조절부(14)로 이루어지며, 선미조절부(20)는 제2부착부(21)와 제2동력계(23) 및 제2조절부(24)로 이루어진다.
선수조절부(10)와 선미조절부(20)는 예인전차 프레임(40)과 모형선(50) 사이에 설치되며, 또한 선수조절부(10)는 모형선(50)의 선수에, 선미조절부(20)는 모형선(50)의 선미에 설치된다. 즉, 선수조절부(10)와 선미조절부(20)는 상부가 예인전차 프레임(40)에 설치되고 하부가 각각 모형선(50)의 선수와 선미에 부착되어 예인과정에서 모형선(50)의 좌우동요와 선수동요를 제한하는 동시에 모형선(50)에 발생하는 양력을 계측한다.
이 경우, 선수조절부(10)와 선미조절부(20)는 각각 모형선(50)의 선수와 선미 위치에서 모형선 좌우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모형선(50)의 초기설치 시 모형선(50)의 길이방향과 예인전차의 진행방향 간의 차이에서 기인하는 모형선(50)의 받음각(angle of attack)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받음각을 조절한다는 것은 결국 모형선(50)에 발생하는 양력을 조절한다는 의미이다.
상기와 같은 작용을 하는 선수조절부(10)와 선미조절부(2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선수조절부(10)는 제1부착부(11)와 제1동력계(13) 및 제1조절부(14)로 이루어진다. 제1부착부(11)는 모형선(50)의 선수에 부착되어 선수를 고정한다. 그리고 제1동력계(13)는 제1부착부(11)와 제1유니버셜조인트(12)로 연결되며, 예인과정에서 제1부착부(11), 즉 모형선(50)의 선수에 가해지는 측력을 계측한다. 그리고 제1조절부(14)는 제1동력계(13)와 연결되며, 예인전차 프레임(40) 사이에 설치된 제1거치대(15) 상에서 좌우로 이동하면서 모형선(50)의 선수 방향을 좌우로 조절한다(도 3). 즉, 제1부착부(11)와 제1동력계(13) 및 제1조절부(14)는 일체로 연결된 하나의 구조물이기 때문에 제1조절부(14)의 위치가 좌우로 이동하면 이에 따라 모형선(50)의 선수 방향도 동일하게 좌우로 조절되는 것이다. 이 경우, 제1조절부(14)가 제1거치대(15) 상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예를 들면 LM 가이드 등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제1조절부(14)는 축의 형태를 하고 있는데, 이 경우 만약 제1조절부(14)가 단일 축의 형태를 하고 있다면 제1거치대(15)와 제1동력계(13) 사이에서 상하방향 길이가 고정되도록 설치된 제1조절부(14)에 의하여 자칫 모형선(50)의 선수 부분 흘수가 원래와 다르게 형성될 우려가 있다. 즉, 제1조절부(14)가 모형선(50)의 선수를 아래로 누르거나 위로 잡아당기는 효과로 인하여 모형선(50)의 선수 부분 흘수가 원래보다 커지거나 작아지는 현상이 생길 수 있는 것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제1조절부(14)를 제1하부수직축(14a)과 제1수평축(14b) 및 제1상부수직축(14c)의 3등분 된 축의 형태가 되도록 하였다. 이 경우, 제1하부수직축(14a)은 제1동력계(13)에 연결되되, 수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이 되도록 연결된다. 그리고 제1수평축(14b)은 제1하부수직축(14a)에 힌지(30)로 연결되되, 수면에 대하여 수평방향이 되도록 연결된다. 그리고 제1상부수직축(14c)은 제1수평축(14b)에 힌지(30)로 연결되되, 수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이 되도록 연결되며, 제1거치대(15) 상에서 좌우로 이동한다(도 3). 이 때, 제1수평축(14b)은 수평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제1평형보정추(14d)를 구비한다.
결국 제1조절부(14)는 제1하부수직축(14a)과 제1상부수직축(14c)이 각각 제1수평축(14b)의 양쪽에서 힌지(30)로 결합한 형태가 되는 것인데, 따라서 이러한 힌지(30)의 작용으로 인하여 제1조절부(14)는 모형선(50)의 상하방향 움직임에 거스르지 않고 모형선(50)의 상하방향 움직임을 따라 자연스럽게 그 전체 길이가 조절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제1조절부(14)가 모형선(50)의 선수를 아래로 누르거나 위로 잡아당기는 효과로 인하여 모형선(50)의 선수 부분 흘수가 원래보다 커지거나 작아지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선미조절부(20)는 제2부착부(21)와 제2동력계(23) 및 제2조절부(24)로 이루어진다. 제2부착부(21)는 모형선(50)의 선미에 부착되어 선미를 고정한다. 그리고 제2동력계(23)는 제2부착부(21)와 제2유니버셜조인트(22)로 연결되며, 예인과정에서 제2부착부(21), 즉 모형선(50)의 선미에 가해지는 측력을 계측한다. 그리고 제2조절부(24)는 제2동력계(23)와 연결되며, 예인전차 프레임(40) 사이에 설치된 제2거치대(25) 상에서 좌우로 이동하면서 모형선(50)의 선미 방향을 좌우로 조절한다(도 3 참조). 즉, 제2부착부(21)와 제2동력계(23) 및 제2조절부(24)는 일체로 연결된 하나의 구조물이기 때문에 제2조절부(24)의 위치가 좌우로 이동하면 이에 따라 모형선(50)의 선미 방향도 동일하게 좌우로 조절되는 것이다. 이 경우, 제2조절부(24)가 제2거치대(25) 상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예를 들면 LM 가이드 등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제2조절부(24)는 축의 형태를 하고 있는데, 이 경우 만약 제2조절부(24)가 단일 축의 형태를 하고 있다면 제2거치대(25)와 제2동력계(23) 사이에서 상하방향 길이가 고정되도록 설치된 제2조절부(24)에 의하여 자칫 모형선(50)의 선미 부분 흘수가 원래와 다르게 형성될 우려가 있다. 즉, 제2조절부(24)가 모형선(50)의 선미를 아래로 누르거나 위로 잡아당기는 효과로 인하여 모형선(50)의 선미 부분 흘수가 원래보다 커지거나 작아지는 현상이 생길 수 있는 것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제2조절부(24)를 제2하부수직축(24a)과 제2수평축(24b) 및 제2상부수직축(24c)의 3등분 된 축의 형태가 되도록 하였다. 이 경우, 제2하부수직축(24a)은 제2동력계(23)에 연결되되, 수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이 되도록 연결된다. 그리고 제2수평축(24b)은 제2하부수직축(24a)에 힌지(30)로 연결되되, 수면에 대하여 수평방향이 되도록 연결된다. 그리고 제2상부수직축(24c)은 제2수평축(24b)에 힌지(30)로 연결되되, 수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이 되도록 연결되며, 제2거치대(25) 상에서 좌우로 이동한다. 이 때, 제2수평축(24b)은 수평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제2평형보정추(24d)를 구비한다.
결국 제2조절부(24)는 제2하부수직축(24a)과 제2상부수직축(24c)이 각각 제2수평축(24b)의 양쪽에서 힌지(30)로 결합한 형태가 되는 것인데, 따라서 이러한 힌지(30)의 작용으로 인하여 제2조절부(24)는 모형선(50)의 상하방향 움직임에 거스르지 않고 모형선(50)의 상하방향 움직임을 따라 자연스럽게 그 전체 길이가 조절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제2조절부(24)가 모형선(50)의 선미를 아래로 누르거나 위로 잡아당기는 효과로 인하여 모형선(50)의 선미 부분 흘수가 원래보다 커지거나 작아지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모형선(50)의 설치 오차를 최소화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서 보는 것과 같이 예인전차의 진행방향과 모형선(50)의 길이방향이 차이가 있을 경우 받음각이 생기고 이에 따라 모형선(50)에 양력이 작용한다. 이 양력의 발생이 최소가 되도록 모형선(50)의 설치 자세를 조정하였을 때, 모형선(50)의 길이방향이 예인전차의 진행방향과 일치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모형선(50)에 작용하는 양력은 도 2에서 보는 것과 같이 모형선(50)의 선수와 선미에 설치된 제1동력계(13) 및 제2동력계(23)에서 계측되는 측력의 합으로써 구할 수 있다. 그리고 모형선(50)의 설치 자세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것과 같이 모형선(50)의 선수와 선미에 설치된 제1조절부(14) 및 제2조절부(24)의 좌우 위치를 각각 조절함으로써 조절 가능하다.
모형선(50)의 설치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상세 과정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와 같다.
① 1번 시험 (도 4)
선수조절부(10)와 선미조절부(20)로 모형선(50)을 예인전차에 설치하고 모형선(50)을 미리 정해진 시험속도로 예인하면서 모형선(50)에 작용하는 양력을 계측한다.
이 경우, 계측된 양력은 그 작용방향에 따라 양(+)의 값이 될 수도 있고 음(-)의 값이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양력이 모형선(50)의 좌현 방향으로 작용할 때를 양(+)의 값이라고 한다면 반대로 양력이 모형선(50)의 우현 방향으로 작용할 때는 음(-)의 값이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양력이 모형선(50)의 좌현 방향으로 작용할 때를 양(+)의 값이라고 기준하였다.
한편, 선수와 선미에 설치된 제1조절부(14)와 제2조절부(24)의 좌우 위치(예인전차 프레임(40)의 좌우 어느 한 쪽을 기준으로 함)(도 3 참조)를 각각 A와 B라고 할 때, 제1조절부(14)와 제2조절부(24)의 상대적 위치(또는 거리)는 A-B로 표현될 수 있다. A-B는 A의 거리와 B의 거리 간의 차이를 의미하므로, A-B는 양(+)의 값이 될 수도 있고 음(-)의 값이 될 수도 있다.
1번 시험에서 이와 같이 정의된 A-B와 계측된 양력을 각각 X축과 Y축에 점으로 도시한다. 통상 모형선(50)의 초기 설치 시 A와 B는 동일하게 한다(즉, A-B=0). 1번 시험의 상황과 그 때 계측된 A-B와 양력의 그래프는 도 4에 나타나 있다. A-B는 0이며 양력은 양(+)의 값이다.
② 2번 시험 (도 5, 도 6)
상기 1번 시험에서 계측된 양력과 반대 방향으로 양력이 작용하도록 모형선(50)의 설치 자세, 즉 선수와 선미의 위치를 조절한다. 더 자세히는 도 4에서 선미는 양력의 방향으로 선수는 양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조절한다. 이는 모형선(50)의 선수와 선미에 설치된 제1조절부(14)와 제2조절부(24)의 좌우 위치를 각각 조절함으로써 조절 가능하다. 이에 따라 도 4의 선수와 선미의 위치 조절 후 도 5에서 A는 도 4보다 커지고 B는 도 4보다 작아졌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2번 시험에서 A-B는 양(+)의 값이 된다.
그리고 다시 모형선(50)을 예인하여 양력을 계측하고, A-B와 계측된 양력을 각각 X축과 Y축에 점으로 도시한다. 2번 시험의 상황과 그 때 계측된 A-B와 양력의 그래프는 도 5에 나타나 있다. A-B는 양(+)의 값이며, 2번 시험에서는 1번 시험과 반대로 양력이 음(-)의 값이 되었다. 이는 2번 시험의 경우 A는 필요한 것보다 많게, B는 필요한 것보다 적게 조절되었음을 의미한다.
이 때, 양력이 0이 되는 순간을 찾기 위하여 A와 B를 또 다시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렇게 하다보면 A와 B의 세밀한 조절을 몇 번이나 반복해야 하는 수가 생길 수도 있으며, 이렇게 되면 모형시험의 전 과정이 지연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2번 시험에서와 같이 양력이 1번 시험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경우, 즉 시험을 통하여 반복 계측된 양력이 각각 양(+)과 음(-)의 값을 갖는 경우에는 1번 시험과 2번 시험의 계측 값을 선형보간(linear interpolation) 함으로써 양력이 0으로 예상되는 A-B 값을 찾을 수 있다(도 6 참조).
③ 3번 시험 (도 7)
만일 2번 시험에서 계측한 양력의 방향이 1번 시험과 같을 경우에는 선수와 선미의 위치 조절량을 증가시킨다. 즉, 선미는 양력의 방향으로 선수는 양력의 반대 방향으로 더 이동하도록 조절한다.
그리고 모형선(50)을 예인하여 양력을 계측하고, A-B와 계측된 양력을 각각 X축과 Y축에 점으로 도시한다. 3번 시험의 상황과 그 때 계측된 A-B와 양력의 그래프는 도 7에 나타나 있다. A-B는 양(+)의 값이며, 3번 시험에서는 1번 시험 및 2번 시험과 반대로 양력이 음(-)의 값이 되었다.
따라서 3번 시험에서와 같이 양력이 1번 시험 및 2번 시험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경우, 즉 시험을 통하여 반복 계측된 양력이 각각 양(+)과 음(-)의 값을 갖는 경우에는 1번 시험과 2번 시험과 3번 시험의 계측 값을 선형근사(linear approximation) 함으로써 양력이 0으로 예상되는 A-B 값을 찾을 수 있다(도 7).
만약 선수와 선미의 위치 조절량을 증가시켰음에도 불구하고 양력의 방향이 반대가 되지 않는 경우에는 양력의 방향이 반대가 될 때까지 선수와 선미의 위치 조절량을 증가시킨다. 그리고 양력의 방향이 반대가 되면 선형근사를 통하여 양력이 0으로 예상되는 A-B 값을 찾아낸다.
상기 2번 시험 또는 3번 시험에서 양력이 0으로 예상되는 A-B 값을 찾으면 이 A-B 값에 대응하도록 제1조절부(14)와 제2조절부(24)의 좌우 위치를 각각 조절하고 예인시험을 통해 양력을 최종 계측한다. 이 경우 계측된 양력의 값이 0 또는 오차범위 이내에 들어온다면 모형선(50)의 길이방향이 예인전차의 진행방향과 일치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으며, 이로써 모형선(50)의 설치 오차가 최소화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예인수조에서 저항/자항과 같은 모형시험을 수행하는 경우 모형선(50)의 설치 오차를 최소화하여 모형시험의 정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선수조절부 11 : 제1부착부
12 : 제1유니버셜조인트 13 : 제1동력계
14 : 제1조절부 14a : 제1하부수직축
14b : 제1수평축 14c : 제1상부수직축
14d : 제1평형보정추 15 : 제1거치대
20 : 선미조절부 21 : 제2부착부
22 : 제2유니버셜조인트 23 : 제2동력계
24 : 제2조절부 24a : 제2하부수직축
24b : 제2수평축 24c : 제2상부수직축
24d : 제2평형보정추 25 : 제2거치대
30 : 힌지 40 : 예인전차 프레임
50 : 모형선

Claims (5)

  1. 모형선(50)의 선수에 부착되는 제1부착부(11);
    상기 제1부착부(11)와 제1유니버셜조인트(12)로 연결되며 상기 제1부착부(11)에 가해지는 측력을 계측하는 제1동력계(13) 및;
    상기 제1동력계(13)와 연결되며 예인전차 프레임(40) 사이에 설치된 제1거치대(15) 상에서 좌우로 이동하면서 모형선(50)의 선수 방향을 좌우로 조절하는 제1조절부(14);
    로 이루어지는 선수조절부(10)와,
    모형선(50)의 선미에 부착되는 제2부착부(21);
    상기 제2부착부(21)와 제2유니버셜조인트(22)로 연결되며 상기 제2부착부(21)에 가해지는 측력을 계측하는 제2동력계(23) 및;
    상기 제2동력계(23)와 연결되며 예인전차 프레임(40) 사이에 설치된 제2거치대(25) 상에서 좌우로 이동하면서 모형선(50)의 선미 방향을 좌우로 조절하는 제2조절부(24);
    로 이루어지는 선미조절부(20)를 포함하는, 모형선의 설치 오차 최소화 장치로서,
    상기 제1동력계(13)와 상기 제2동력계(23)가 모형선(50)의 설치 오차에 기인하는 양력을 계측하고 상기 제1조절부(14)와 상기 제2조절부(24)가 좌우로 이동하면서 양력이 최소화되도록 모형선(50)의 설치 자세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선의 설치 오차 최소화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조절부(14)는,
    상기 제1동력계(13)에 연결되되, 수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제1하부수직축(14a);
    상기 제1하부수직축(14a)에 힌지(30)로 연결되되, 수면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제1수평축(14b) 및;
    상기 제1수평축(14b)에 힌지(30)로 연결되되, 수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거치대(15) 상에서 좌우로 이동하는 제1상부수직축(14c);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선의 설치 오차 최소화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조절부(24)는,
    상기 제2동력계(23)에 연결되되, 수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하부수직축(24a);
    상기 제2하부수직축(24a)에 힌지(30)로 연결되되, 수면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수평축(24b) 및;
    상기 제2수평축(24b)에 힌지(30)로 연결되되, 수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거치대(25) 상에서 좌우로 이동하는 제2상부수직축(24c);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선의 설치 오차 최소화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수평축(14b)은 수평을 유지하기 위한 제1평형보정추(14d)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선의 설치 오차 최소화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수평축(24b)은 수평을 유지하기 위한 제2평형보정추(24d)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선의 설치 오차 최소화 장치.
KR20130130624A 2013-10-30 2013-10-30 모형선의 설치 오차 최소화 장치 KR101460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0624A KR101460022B1 (ko) 2013-10-30 2013-10-30 모형선의 설치 오차 최소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0624A KR101460022B1 (ko) 2013-10-30 2013-10-30 모형선의 설치 오차 최소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0022B1 true KR101460022B1 (ko) 2014-11-11

Family

ID=52287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30624A KR101460022B1 (ko) 2013-10-30 2013-10-30 모형선의 설치 오차 최소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00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76458A1 (ko) * 2014-11-13 2016-05-19 한국해양연구원 모형선의 종동요 관성 모멘트 및 무게중심 높이 측정 장치
CN110077521A (zh) * 2019-05-29 2019-08-02 常石集团(舟山)造船有限公司 一种船用测试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296B1 (ko) 2012-06-19 2012-11-27 이상림 선박용 횡동요 감쇄장치의 성능시험을 위한 모형 시험장치 및 모형 시험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296B1 (ko) 2012-06-19 2012-11-27 이상림 선박용 횡동요 감쇄장치의 성능시험을 위한 모형 시험장치 및 모형 시험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76458A1 (ko) * 2014-11-13 2016-05-19 한국해양연구원 모형선의 종동요 관성 모멘트 및 무게중심 높이 측정 장치
CN110077521A (zh) * 2019-05-29 2019-08-02 常石集团(舟山)造船有限公司 一种船用测试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20765B (zh) 水池船模试验用水平面平面运动机构
KR20170017071A (ko) 선박의 곡률에 따라 반목의 조정이 가능한 대차장치
CN101920764B (zh) 平台式水平面平面运动机构
CN105035262A (zh) 船舶适航测试仪
KR101460022B1 (ko) 모형선의 설치 오차 최소화 장치
CN205044183U (zh) 一种用于3d打印机的带自动调平机构的打印平台
KR101273865B1 (ko) 예인수조에서 모형시험 시 예인점의 위치를 조절하는 장치
CN104875848A (zh) 船舶适航性能测试系统
JP2019507054A5 (ko)
KR101926078B1 (ko) 예인수조 유장계측용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형선박 사항시험 방법
CN204871470U (zh) 一种船舶适航测试仪
KR101460023B1 (ko) 양력 계측을 통하여 모형선의 설치 오차를 최소로 만드는 방법
KR20130021155A (ko) 선박의 스러스터 모터와 시트의 얼라인먼트 조정을 위한 지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얼라인먼트 조정 방법
CN109324627B (zh) 一种全机静力试验中姿态控制方法
KR102278421B1 (ko) 사항 및 횡경사 시험용 모형선 고정장치
CN113968258A (zh) 一种城轨车辆头车钩缓装置自动连挂方法及系统
EP2871110B1 (en) Crosswind stabilisation method and associated rail vehicle
CN104374460A (zh) 一种车载油箱称重装置
KR101452855B1 (ko) 무게 추의 자동적인 왕복 이동을 통한 모형선의 흘수조건 설정방법
CN110579334A (zh) 一种机械式多用船模恢复力测量装置及方法
JP2020085635A (ja) 水槽試験装置、水槽試験システム、および水槽試験方法
KR101466924B1 (ko) 갠트리 이송형 기계장치의 이송 오차 제어장치 및 방법
CN103624715B (zh) 一种汽车前防撞梁总成装配工装
CN207095871U (zh) 一种车身模态测试用悬挂装置
KR101722752B1 (ko) 모형선 성능 시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5